KR102384912B1 -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912B1
KR102384912B1 KR1020150083129A KR20150083129A KR102384912B1 KR 102384912 B1 KR102384912 B1 KR 102384912B1 KR 1020150083129 A KR1020150083129 A KR 1020150083129A KR 20150083129 A KR20150083129 A KR 20150083129A KR 102384912 B1 KR102384912 B1 KR 102384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secondary battery
electrode
rupture means
electrod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7145A (ko
Inventor
이용준
김진고
이승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3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912B1/ko
Publication of KR20160147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 외주면에 실링부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전극 조립체를 밀봉하는 파우치; 상기 실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와 연결되고, 수용홀을 갖는 전극 리드; 및 상기 실링부에 상기 전극 리드와 중첩되어 배치되는 파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열수단은 상기 수용홀에 수용되고, 상기 파우치의 팽창 시 상기 파우치를 뚫어 개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 휴대용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용 무선기기의 경량화와 전기 자동차의 발전 및 고기능화에 따라서 그 구동용 전원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의 경우, 소형이면서도 에너지 밀도가 높고, 충전 및 방전 특성이 우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로는, 예를 들어,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수명이 길고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서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금속 전지 및 리튬 이온 전지와, 고분자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폴리머 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들을 갖는 반면에, 리튬 이차전지는 작동 중에 내부 단락, 과충전 및 고온 노출 등의 비정상적인 작동상태에 이르게 되면 내부 전해액이 분해되면서 고압의 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이차전지의 변형을 유발하고,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차전지가 부풀어오르는 스웰링(swelling) 현상이 발생하여 이차전지가 폭발하거나 발화하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서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당 기술분야에서는 이차전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 외주면에 실링부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전극 조립체를 밀봉하는 파우치; 상기 실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와 연결되고, 수용홀을 갖는 전극 리드; 및 상기 실링부에 상기 전극 리드와 중첩되어 배치되는 파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파열수단은 상기 수용홀에 수용되고, 상기 파우치의 팽창 시 상기 파우치를 뚫어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파열수단은, 제1 두께를 갖는 몸체부 및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두께의 제2 두께를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전극 리드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일면이 상기 실링부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고정부의 반대측 끝단부가 뾰족한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파열수단은 상기 전극 리드의 연장 방향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열수단은 상기 고정부가 상기 파우치의 내부를 향하고, 상기 몸체부가 상기 파우치의 외부를 향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극 리드는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파열수단은 상기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홀은 상기 전극 리드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파열수단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실링부에서 상기 파열수단을 포함한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파우치 사이에 개재되는 리드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열수단은 상기 리드 필름에 부분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상기 이차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웰링 현상의 발생 시 내부의 고압 가스를 특정 부위로 신속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이차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전극 리드와 파열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이차전지에서 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배터리 모듈에서 전지 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이차전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이차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이차전지(1)는 전극 조립체(10), 파우치(20), 전극 리드(30) 및 파열수단(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열수단(40)을 포함한 상기 전극 리드(30)와 상기 파우치(20) 사이에 개재되는 리드 필름(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하나 이상의 양극판(11)과 하나 이상의 음극판(12)이 분리막(13)이 개재된 상태로 적층되어 양극판(11)/분리막(13)/음극판(12)의 구조를 이루며, 양극판(11)과 음극판(12)은 분리막(13)에 의해 접촉하지 않고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11)과 음극판(12)은 각각 집전체에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다수의 양극판(11)과 음극판(12)이 적층된 상태의 구조를 가지거나, 젤리롤(jelly-roll)형으로 권취된 상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상기 양극판(11)과 음극판(12)에서 각각 부분적으로 돌출된 양극탭(11a) 및 음극탭(12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탭(11a)과 음극탭(12a)은 상기 양극판(11)과 음극판(12) 중 상기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에 해당하며 추후 설명하는 전극 리드(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20)는 외주면에 실링부(23)를 구비하며, 내부 공간에 상기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여 밀봉할 수 있다. 상기 파우치(20)는 제1 파우치 필름(21)과 제2 파우치 필름(22)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23)는 상기 제1 및 제2 파우치 필름(21, 22)의 테두리를 열융착하여 일체로 접합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23)에 의해 밀봉되는 상기 파우치(2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전극 조립체(10)가 배치되어 외부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20)의 내부 공간에는 전해액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파우치(20)는 내부 수지층, 금속층 및 외부 수지층이 적층된 다층막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상기 파우치(20)의 재질의 일 예시이며 상기 파우치(2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극 리드(30)는 상기 실링부(23)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극 리드(30)는 적어도 한 쌍의 양극 전극(31) 및 음극 전극(32)을 포함하며, 각각 상기 전극 조립체(10)의 양극탭(11a) 및 음극탭(12a)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양극 전극(31)과 음극 전극(32)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파우치(20)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양극 전극(31)과 음극 전극(32)은 상기 파우치(20)의 일측에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히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극 리드(30)는 사각 형상을 갖는 얇은 판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극 리드(30)는 일단부가 상기 전극 조립체(10), 구체적으로, 상기 양극탭(11a) 및 음극탭(12a)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 리드(30)의 타단부는 상기 실링부(23)를 가로질러 상기 파우치(20)의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전극 리드(30)는 상기 파열수단(40)을 수용하는 수용홀(3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홀(33)은 상기 전극 리드(3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파열수단(40)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홀(33)은 상기 양극 전극(31) 및 음극 전극(32)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거나 양측 전극(31, 32)에 모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파열수단(40)은 상기 실링부(23)에서 상기 전극 리드(30)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열수단(40)은 상기 파우치(2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파우치(20)의 팽창 시 상기 파우치(20)를 뚫어 개방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파열수단(4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는 전극 리드와 파열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파열수단(40)은, 제1 두께(D1)를 갖는 몸체부(41) 및 상기 제1 두께(D1)보다 큰 두께의 제2 두께(D2)를 갖는 고정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두께(D2)는 상기 전극 리드(30)의 두께(D)와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42)의 표면(상면과 하면)은 상기 전극 리드(30)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몸체부(41)는 상기 고정부(42)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므로 상기 전극 리드(30)의 표면은 상기 몸체부(41)가 배치되는 위치에서 함몰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41)의 표면(상면과 하면)은 상기 전극 리드(30)의 표면과 단차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몸체부(41)는 상기 고정부(42)의 반대측 끝단부가 뾰족한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형상은 상기 파우치(20)를 뚫는데 용이한 구조이면 충분하며, 따라서 반드시 뾰족한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고정부(42)는 상기 전극 리드(30)의 표면과 공면을 이루는 표면, 즉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일면이 상기 파우치(20)의 실링부(23)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파열수단(40)은 상기 전극 리드(30)의 연장 방향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열수단(40)은 상기 고정부(42)가 상기 파우치(20)의 내부를 향하고, 상기 몸체부(41)가 상기 파우치(20)의 외부를 향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 리드(30)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파열수단(40)은 상기 양극 전극(31) 및 음극 전극(32)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극 전극(31) 및 음극 전극(32)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거나, 상기 양극 전극(31) 및 음극 전극(32) 양측에 모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파열수단(40)은 견고한 재질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는, 예를 들어,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파열수단(40)의 재질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드 필름(50)은 상기 실링부(23)에서 상기 파열수단(40)을 포함한 상기 전극 리드(30)와 상기 파우치(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50)은 상기 전극 리드(3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며, 상기 파우치(20)와 함께 열융착되어 상기 전극 리드(30)와 상기 파우치(20)의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50)은 일단부가 상기 실링부(23)에서 상기 파우치(20) 내부로 노출되고, 타단부가 상기 파우치(2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50)은 열융착을 통해서 상기 실링부(23)에서 상기 전극 리드(3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극 리드(30)를 관통하는 상기 수용홀(33) 상에서는 열융착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상기 수용홀(33)이 차지하는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전극 리드(30)의 표면에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드 필름(50)은 상기 수용홀(33) 내에 수용되는 상기 파열수단(40) 중 상기 전극 리드(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상기 고정부(42)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파열수단(40) 중 상기 몸체부(41)를 제외한 상기 고정부(42)만이 상기 리드 필름(50)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열수단(40)은 열융착 시 상기 리드 필름(50)에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상기 실링부(23) 내에 배치되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2)와 상기 리드 필름(50) 사이에는 접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층(60)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60)은 상기 고정부(42)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는 파우치(20)의 실링부(23) 내에 배치된 파열수단(40)을 통해서 파우치(20)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파열수단(40)은 평소에는 상기 파우치(20)의 실링부(23) 내에 고정되어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과충전 또는 내부 단락과 같은 이상 상황에 의해 상기 파우치(20)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면 상기 파우치(20)는 부풀어오르게 된다.
상기 파우치(20)가 부풀어오르면서 압력(P)을 가하면 상기 실링부(23)의 접착은 내부에서부터 해제되며, 상기 파우치(20)는 내부에서부터 벌어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파열수단(40)은 상기 고정부(42)가 상기 리드 필름(50)과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파우치(20)가 벌어짐에 따라서 상기 몸체부(41)의 뾰족한 끝단부가 상기 파우치(20)를 천공하여 가스(g)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파우치형 이차전지(1)의 비정상적인 작동 시 폭발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파열수단(40)이 상기 파우치(20) 중 제1 파우치 필름(21) 측에 부착되어 제2 파우치 필름(22) 측을 천공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파우치 필름(22) 측에 부착되어 상기 제1 파우치 필름(21) 측을 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파열수단(40)을 상기 수용홀(33)이 형성된 상기 전극 리드(30)에 수용하여 상기 전극 리드(30)와 중첩되는 구조로 상기 실링부(23) 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파열수단(40)을 상기 전극 리드(30)의 수용홀(33) 내에 수용함으로써 상기 전극 리드(30)가 상기 파열수단(40)을 기구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차전지(1)를 운반하거나 케이스 등에 조립하는 등의 핸들링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상기 파열수단(40)이 상기 파우치(20)를 파열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배터리 모듈에서 전지 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은 상기 이차전지(1)를 포함하는 전지 셀(110), 상기 전지 셀(110)을 복수개 수납하는 케이스(120) 및 상기 케이스(120)를 덮는 커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지 셀(110)은 파티션(111)과, 상기 파티션(111)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차전지(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티션(111)은 상기 이차전지(1)에 대응하여 사각형의 틀 구조를 가지며, 일측 또는 좌우 양측에 각각 상기 이차전지(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지 셀(110)은 복수개가 상기 케이스(120) 내에 적층되는 구조로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0)의 양 측면에는 각각 커버(130)가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120) 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전지 셀(110)을 덮어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 모듈(100)은 상기 케이스(120)에 구비되는 히트 싱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100)은,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전기 열차, 전기 비행기 등과 같이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이동수단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100)은 전기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각종 전자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은 상술한 이차전지(1)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이차전지
10... 전극 조립체
20... 파우치
30... 전극 리드
40... 파열수단
50... 리드 필름

Claims (12)

  1. 전극 조립체;
    외주면에 실링부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전극 조립체를 밀봉하는 파우치;
    상기 실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와 연결되고, 수용홀을 갖는 전극 리드; 및
    상기 실링부에 상기 전극 리드와 중첩되어 배치되는 파열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파열수단은 상기 수용홀에 수용되고, 상기 파우치의 팽창 시 상기 파우치를 뚫어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수단은, 제1 두께를 갖는 몸체부 및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두께의 제2 두께를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전극 리드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일면이 상기 실링부에 부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고정부의 반대측 끝단부가 뾰족한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수단은 상기 전극 리드의 연장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수단은 상기 고정부가 상기 파우치의 내부를 향하고, 상기 몸체부가 상기 파우치의 외부를 향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리드는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파열수단은 상기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홀은 상기 전극 리드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파열수단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에서 상기 파열수단을 포함한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파우치 사이에 개재되는 리드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수단은 상기 리드 필름에 부분적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2. 제1항 내지 제7항,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150083129A 2015-06-12 2015-06-12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384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129A KR102384912B1 (ko) 2015-06-12 2015-06-12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129A KR102384912B1 (ko) 2015-06-12 2015-06-12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145A KR20160147145A (ko) 2016-12-22
KR102384912B1 true KR102384912B1 (ko) 2022-04-11

Family

ID=5772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129A KR102384912B1 (ko) 2015-06-12 2015-06-12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056B1 (ko) 2017-06-29 2021-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충전 방지부재를 가지는 배터리 셀
KR102324549B1 (ko) 2017-08-29 2021-11-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벤팅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CN112366393B (zh) * 2019-07-23 2023-10-2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
US20230318133A1 (en) * 2020-07-10 2023-10-05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Gas Discharge Portion Configured to Discharge Gas and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986B1 (ko) * 2005-12-20 2008-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과 리튬 이차전지용가스방출기구
KR101182275B1 (ko) * 2010-11-02 2012-09-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462041B1 (ko) * 2011-11-15 2014-11-1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927398B1 (ko) * 2012-04-12 2018-12-1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40091222A (ko) * 2013-01-11 2014-07-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145A (ko)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67525B (zh) 二次电池和具有该二次电池的电池模块
JP4686399B2 (ja) 二次電池
JP6061162B2 (ja) パウチ型二次電池およびバッテリーパック
KR101370265B1 (ko) 이차전지, 이에 적용되는 이차전지용 부품 및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KR100959090B1 (ko) 안전성이 개선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508416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056363B1 (ko) 전지 셀
KR101730576B1 (ko)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384912B1 (ko)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60045468A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0086753A (ja) 蓄電デバイス
KR101749729B1 (ko) 이차전지
KR101773333B1 (ko)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11476550B2 (en)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equalizing internal/external pressure
CN114665139A (zh) 软包电池
US20200220134A1 (en) Secondary battery
KR20190048863A (ko) 이차전지용 파우치의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KR102216744B1 (ko)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2004319101A (ja) 蓄電素子
CN116231185A (zh) 二次电池
KR101795704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5600A (ko)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053987B1 (ko) 전지 셀
US20220263204A1 (en) Battery Cell, Battery Module And Vehicle
KR100303842B1 (ko)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