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832B1 -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 및 전기 화학 소자 - Google Patents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 및 전기 화학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832B1
KR102372832B1 KR1020177004559A KR20177004559A KR102372832B1 KR 102372832 B1 KR102372832 B1 KR 102372832B1 KR 1020177004559 A KR1020177004559 A KR 1020177004559A KR 20177004559 A KR20177004559 A KR 20177004559A KR 102372832 B1 KR102372832 B1 KR 102372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adhesive layer
electrode assembly
adhesive composition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529A (ko
Inventor
토모카즈 사사키
Original Assignee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3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2Fixing or assembling a capacitive element in a housing, e.g. mounting electrodes, current collectors or terminal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26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multi-layered, porosity or surface features
    • H01G11/28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multi-layered, porosity or surface features arranged or disposed on a current collector; Layers or phases between electrodes and current collectors, e.g.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01G11/70Current col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permeability or size
    • H01M50/133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6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0Batt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atteries o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액 중에서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전기 화학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높일 수도 있는 접착층을 형성 가능한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의 접착에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외표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쉘부를 구비하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유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의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가 5배 이상 30배 이하이고, 상기 쉘부의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가 1배 초과 4배 이하인 중합체이다.

Description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 및 전기 화학 소자{ADHESIVE COMPOSITION FOR ELECTROCHEMICAL ELEMENT, ADHESIVE LAYER FOR ELECTROCHEMICAL ELEMENT, AND ELECTROCHEMICAL ELEMENT}
본 발명은,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 및 전기 화학 소자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리튬 이온 커패시터 등의 전기 화학 소자는 소형이며 경량이고, 또한, 에너지 밀도가 높고, 나아가 반복 충방전이 가능하다는 특성이 있어, 폭넓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전기 화학 소자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전극 및 이들 전극을 격리하여 단락을 방지하는 세퍼레이터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전극 어셈블리와, 전해액과, 이들을 밀봉 수납하는 외장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 화학 소자의 안전성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기 화학 소자 중에서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를 접착시켜, 전극 어셈블리를 외장체에 고정하는 기술이 종래부터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접착면이 형성된 제1 접착층과, 상기 제1 접착층의 접착면과는 반대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제2 접착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용 시일(seal) 테이프를, 제1 접착층의 접착면을 전극 어셈블리의 외표면에 접착시키고, 또한 제2 접착층의 접착면을 외장체의 내표면에 접착시킴으로써, 외장체의 내부에서 전극 어셈블리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이차 전지의 안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되어 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2-529753호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테이프를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의 접착에 사용하면, 테이프를 구성하는 성분이 전해액 중에 용출되어, 당해 테이프의 전해액 중에서의 접착성이 손상되고, 또한, 전기 화학 소자의 전기적 특성(고온 사이클 특성, 저온 출력 특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기술에는, 전해액 중에 있어서 전극 어셈블리를 외장체에 충분히 고정하면서, 전기 화학 소자에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발휘시킨다는 점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의 접착에 사용되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전해액 중에서 우수한 접착성을 유지하고, 또한, 전기 화학 소자에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을 형성 가능한,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의 접착에 사용되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으로서, 전해액 중에서 우수한 접착성을 유지하고, 또한, 전기 화학 소자에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전기 화학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각각 특정한 전해액 팽윤도를 갖는 코어부와 쉘부를 구비하는 특정한 코어쉘 구조를 갖는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접착층이, 전해액 중으로의 성분의 용출이 충분히 억제되어, 전해액 중에서 우수한 접착성을 유지 가능한 것을 알아냈다. 게다가 당해 접착층을 사용하여 전극 어셈블리를 외장체에 고정함으로써, 전기 화학 소자에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은,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의 접착에 사용되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외표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쉘부를 구비하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유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가, 전해액 팽윤도가 5배 이상 30배 이하인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쉘부가, 전해액 팽윤도가 1배 초과 4배 이하인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특정한 전해액 팽윤도를 갖는 코어부 및 쉘부를 구비하는 특정한 코어쉘 구조를 갖는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면, 전해액 중으로의 성분의 용출이 억제되고 또한 우수한 접착성을 유지 가능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당해 접착층을 사용하여 전극 어셈블리를 외장체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화학 소자는,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 입자의 코어부 및 쉘부의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코어부의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 150℃ 이하이고, 상기 쉘부의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상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부 및 쉘부의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각각 상술한 범위 내이면, 당해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접착층의 전해액 중으로의 성분의 용출을 보다 억제하고, 또한 당해 접착층의 전해액 중에서의 접착성 및 전기 화학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당해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접착층 및 당해 접착층을 형성한 부재의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 입자의 코어부 및 쉘부의 「유리 전이 온도」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은,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상 0℃ 이하인 결착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 내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결착재를 상술한 유기 입자와 병용하면, 그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접착층의 전해액 중에서의 접착성 및 전기 화학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결착재의 「유리 전이 온도」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은,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를 접착하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으로서, 상술한 어느 하나의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어느 하나의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접착층은, 전해액 중에서의 용출이 충분히 억제되어, 우수한 접착성을 유지 가능하다. 그리고, 당해 접착층을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 사이에 배치하여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를 접착하면, 전기 화학 소자에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유리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는, 전극 어셈블리와, 전해액과, 상기 전극 어셈블리 및 상기 전해액을 수용하는 외장체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 어셈블리와 상기 외장체가 상술한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을 개재하여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접착층을 사용하여 전극 어셈블리를 외장체에 고정한 전기 화학 소자는, 고온 사이클 특성이나 저온 출력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의 접착에 사용되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전해액 중에서 우수한 접착성을 유지하고, 또한, 전기 화학 소자에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을 형성 가능한,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의 접착에 사용되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으로서, 전해액 중에서 우수한 접착성을 유지하고, 또한, 전기 화학 소자에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전기 화학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유기 입자의 일례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의 일례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은, 건조 등을 거침으로써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이 되고, 전기 화학 소자에 있어서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를 접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접착성을 갖는 층이며,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 사이에 배치되어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를 접착할 때에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는,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 사이에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을 구비하고, 당해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을 개재하여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를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은 유기 입자를 함유하고, 임의로, 결착재 및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는, 물을 분산매로 한 슬러리 조성물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은, 전해액 중으로의 성분의 용출이 충분히 억제되어, 전해액 중에서 우수한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당해 접착층에 의해 전극 어셈블리가 외장체에 고정된 전기 화학 소자는, 고온 사이클 특성이나 저온 출력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은,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를 접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전극과 세퍼레이터 사이에 설치되는 다공막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조성물과는 달리, 통상, 알루미나 등의 비도전성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다. 한편, 비도전성 입자에는,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기 입자 및 결착재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유기 입자>
유기 입자는,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접착층에 있어서, 전해액 중에서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를 강고하게 접착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유기 입자는 코어부와, 코어부의 외표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쉘부를 구비하는 코어쉘 구조를 갖고 있고, 코어부는, 전해액 팽윤도가 5배 이상 30배 이하인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또한, 쉘부는, 전해액 팽윤도가 1배 초과 4배 이하인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조 및 성상을 갖는 유기 입자는, 전해액 중에 있어서 우수한 접착성을 발휘하고, 게다가 전해액으로의 성분의 용출이 적어, 우수한 접착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접착층을 구비하는 전기 화학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양호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접착층은, 전해액으로의 침지 전에는 큰 접착력을 발휘하지 않으므로, 당해 접착층 자체 및 당해 접착층을 형성한 부재는 블로킹(접착층끼리, 혹은 접착층을 개재한 부재끼리 등의 교착)이 생기기 어려워, 핸들링성이 우수하다.
여기서, 상기 유기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는 이유는, 분명하지는 않지만, 이하와 같다고 추찰된다.
즉, 유기 입자의 쉘부를 구성하는 중합체는, 전해액에 대하여 어느 정도 팽윤된다. 이 때, 예를 들어 팽윤된 쉘부의 중합체가 갖는 관능기가 활성화되어, 쉘부는 전해액 중에서 전극 어셈블리나 외장체와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입자의 코어부를 구성하는 중합체는, 전해액에 대하여 크게 팽윤된다. 이와 같이 코어부의 중합체가 크게 팽윤됨으로써, 유기 입자와, 접착층을 개재하여 접착되는 부재의 밀착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들 쉘부의 중합체와 코어부의 중합체의 특성이 어우러져, 전해액 중에 있어서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층에 의해 전극 어셈블리를 외장체에 강력하게 접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으로 추찰된다.
또한, 쉘부의 중합체 및 코어부의 중합체는 모두 전해액 팽윤도가 소정의 값 이하로 설정되어 있어, 전해액에 대하여 과도하게 팽윤되는 경우도 없다. 그 때문에, 전해액 중에서의 성분의 용출이 억제되어, 상술한 우수한 접착성을, 예를 들어 전기 화학 소자의 장시간 가동 후에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고 추찰된다.
그리고,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해액 중에 있어서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를 강력하게 접착할 수 있으므로, 당해 접착층을 구비하는 전기 화학 소자에서는, 접착층을 개재하여 접착된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 사이에 공극이 생기기 어렵다. 그 때문에,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사용한 전기 화학 소자에서는, 전기 화학 소자 내에 있어서 가스가 발생한 경우 등에도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 사이에 데드 스페이스가 생기기 어렵고, 당해 데드 스페이스에 전해액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기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반응장(즉, 전극간)에 존재하는 전해액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하여, 우수한 고온 사이클 특성이나 저온 출력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으로 추찰된다.
한편, 유기 입자는, 전해액에 팽윤되지 않는 한은 접착성을 전혀 발휘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며, 전해액에 팽윤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도, 예를 들어 일정 온도 이상(예를 들어 50℃ 이상)으로 가열됨으로써, 접착성을 발현할 수 있다.
[유기 입자의 구조]
여기서, 유기 입자는, 코어부와, 코어부의 외표면을 덮는 쉘부를 구비하는 코어쉘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쉘부는, 코어부의 외표면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즉, 유기 입자의 쉘부는, 코어부의 외표면을 덮고 있으나, 코어부의 외표면 전체를 덮고 있지는 않다. 외관상, 코어부의 외표면이 쉘부에 의해 완전히 덮여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라도, 쉘부의 내외를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면, 그 쉘부는 코어부의 외표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쉘부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쉘부의 외표면(즉, 유기 입자의 둘레면)에서부터 코어부의 외표면까지 연통하는 세공을 갖는 쉘부를 구비하는 유기 입자는, 상기 유기 입자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입자의 일례의 단면 구조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 입자(100)는, 코어부(110) 및 쉘부(120)를 구비하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코어부(110)는, 이 유기 입자(100)에 있어서 쉘부(120)보다 내측에 있는 부분이다. 또한, 쉘부(120)는, 코어부(110)의 외표면(110S)을 덮는 부분으로, 통상은 유기 입자(100)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쉘부(120)는, 코어부(110)의 외표면(110S) 전체를 덮고 있는 것은 아니며, 코어부(110)의 외표면(110S)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여기서, 유기 입자에서는, 코어부의 외표면이 쉘부에 의해 덮이는 평균 비율(피복률)은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9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다. 피복률을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전해액 중에서의 유기 입자의 접착성을 높이고, 전기 화학 소자의 고온 사이클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피복률을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코어부의 중합체의 팽윤이 쉘부의 중합체에 의해 저해되는 일도 없고, 결과로서 유기 입자의 결착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전기 화학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코어부의 외표면이 쉘부에 의해 덮이는 평균 비율은, 유기 입자의 단면 구조의 관찰 결과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먼저, 유기 입자를 상온 경화성의 에폭시 수지 중에 충분히 분산시킨 후, 포매하여,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블록편을 제작한다. 다음으로, 블록편을, 다이아몬드날을 구비한 마이크로톰으로 두께 80 nm~200 nm의 박편상으로 잘라내어, 측정용 시료를 제작한다. 그 후,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사산화루테늄 또는 사산화오스뮴을 사용하여 측정용 시료에 염색 처리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이 측정용 시료를,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에 세트하여, 유기 입자의 단면 구조를 사진 촬영한다. 전자 현미경의 배율은, 유기 입자 1개의 단면이 시야에 들어오는 배율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0,000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촬영된 유기 입자의 단면 구조에 있어서, 코어부의 외표면에 상당하는 둘레의 길이 D1, 및, 코어부의 외표면과 쉘부가 맞닿는 부분의 길이 D2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길이 D1 및 길이 D2를 이용하여, 하기의 식(1)에 의해, 그 유기 입자의 코어부의 외표면이 쉘부에 의해 덮이는 비율 Rc를 산출한다.
피복 비율 Rc(%) = (D2/D1) × 100···(1)
상기의 피복 비율 Rc를, 20개 이상의 유기 입자에 대하여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계산하여, 코어부의 외표면이 쉘부에 의해 덮이는 평균 비율(피복률)로 한다.
여기서, 상기의 피복 비율 Rc는, 단면 구조로부터 매뉴얼로 계산할 수도 있으나, 시판의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도 있다. 시판의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어 「AnalySIS Pro」(올림푸스 주식회사 제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은, 바람직하게는 0.1 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μ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 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μm 이하이다. 유기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을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전기 화학 소자의 저온 출력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기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을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전해액 중에서의 유기 입자의 접착성을 높이고, 전기 화학 소자의 고온 사이클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유기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은, 고형분 농도 15 질량%로 조정한 수분산 용액의, 레이저 회절식 입자경 분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습식 측정된 입자경 분포에 있어서, 소경측으로부터 계산한 누적 체적이 50%가 되는 입자경으로서 구할 수 있다.
한편, 유기 입자는, 소기의 효과를 현저하게 손상하지 않는 한, 상술한 코어부 및 쉘부 이외에 임의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유기 입자는, 코어부의 내부에, 코어부와는 별도의 중합체로 형성된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구체예를 들면, 유기 입자를 시드 중합법으로 제조하는 경우에 사용한 시드 입자가, 코어부의 내부에 잔류하고 있어도 된다. 단, 소기의 효과를 현저하게 발휘하는 관점에서는, 유기 입자는 코어부 및 쉘부만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부-
유기 입자의 코어부는, 전해액에 대하여 소정의 팽윤도를 갖는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코어부의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는 5배 이상일 필요가 있고, 5.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6배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또한, 30배 이하일 필요가 있고, 25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6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3.5배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코어부의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를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코어부가 적당히 팽윤됨으로써 유기 입자와 피접착물의 밀착도가 확보되기 때문에, 전해액 중에서의 유기 입자의 접착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전기 화학 소자의 고온 사이클 특성 및 저온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코어부의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를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코어부의 전해액 중으로의 성분의 용출이 충분히 억제되고, 또한 전해액 중의 유기 입자의 접착성이 확보되고, 전기 화학 소자의 고온 사이클 특성 및 저온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코어부의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해액으로는,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접착층을 전기 화학 소자로서의 이차 전지나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에틸카보네이트(DEC)와, 비닐렌카보네이트(VC)의 혼합 용매(체적 혼합비: EC/DEC/VC = 68.5/30/1.5)에, 지지 전해질로서 LiPF6을 1 mol/L의 농도로 녹인 용액(SP값 12.8(cal/cm3)1/2)을 사용하고,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접착층을 전기 화학 소자로서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매로서의 아세토니트릴에, 지지 전해질로서 테트라에틸암모늄플루오로보레이트(TEABF4)를 1 mol/L의 농도로 녹인 용액(SP값 11.9(cal/cm3)1/2)을 사용한다.
그리고, 코어부의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는,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먼저, 유기 입자의 코어부의 중합체를 준비한다. 예를 들어, 유기 입자의 조제에 있어서 코어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행하는 것과 동일한 공정을 행함으로써 얻어진 중합체를 준비한다. 그 후, 준비한 중합체에 의해 필름을 제작한다. 예를 들어 중합체가 고체이면, 온도 25℃, 48시간의 조건으로 중합체를 건조한 후, 그 중합체를 필름상으로 성형하여, 두께 0.5 mm의 필름을 제작한다. 또한, 예를 들어, 중합체가 라텍스 등의 용액 또는 분산액인 경우에는, 그 용액 또는 분산액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제의 샬레에 넣고, 온도 25℃, 48시간의 조건으로 건조하여, 두께 0.5 mm의 필름을 제작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하여 제작한 필름을 1 cm 정방형으로 재단하여, 시험편을 얻는다. 이 시험편의 중량을 측정하여, W0으로 한다. 또한, 이 시험편을 상기 전해액에 온도 60℃에서 72시간 침지하고, 그 시험편을 전해액으로부터 취출한다. 취출한 시험편의 표면의 전해액을 닦아내고, 침지 후의 시험편의 중량 W1을 측정한다.
그리고, 이들 중량 W0 및 W1을 이용하여, 팽윤도 S(배)를, S = W1/W0으로 계산한다.
한편, 코어부의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를 조정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전해액의 SP값을 고려하여, 당해 코어부의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단량체의 종류 및 양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합체의 SP값이 전해액의 SP값에 가까운 경우, 그 중합체는 그 전해액에 팽윤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한편, 중합체의 SP값이 전해액의 SP값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면, 그 중합체는 그 전해액에 팽윤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여기서 SP값이란, 용해도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SP값은, 한센 솔루빌리티 파라미터스 유저즈 핸드북 제2판(Hansen Solubility Parameters A User's Handbook, 2ndEd(CRCPress))에서 소개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유기 화합물의 SP값은, 그 유기 화합물의 분자 구조로부터 추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SMILE의 식으로부터 SP값을 계산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HSPiP」(http=//www.hansen-solubility.com))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에서는, 한센 솔루빌리티 파라미터스 유저즈 핸드북 제2판(Hansen SOLUBILITY PARAMETERS A User's Handbook SecondEdition, Charles M.Hansen)에 기재된 이론에 기초하여, SP값이 구해지고 있다.
코어부의 중합체를 조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단량체로는, 그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가 상기 범위가 되는 것을 임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염화비닐계 단량체; 아세트산비닐 등의 아세트산비닐계 단량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스티렌술폰산, 부톡시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비닐아민 등의 비닐아민계 단량체;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아세트아미드 등의 비닐아미드계 단량체;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단량체, 술폰산기를 갖는 단량체,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 등의 산기 함유 단량체; 메타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유도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등의 (메트)아크릴아미드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2-(퍼플루오로헥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부틸)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불소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말레이미드; 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 유도체; 1,3-부타디엔, 이소프렌 등의 디엔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하고, 「(메트)아크릴로」는, 아크릴로 및/또는 메타크릴로를 의미한다.
상기의 단량체 중에서도, 코어부의 중합체의 조제에 사용되는 단량체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코어부의 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또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메틸 유래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중합체의 팽윤도의 제어가 용이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단량체 단위를 포함한다」는 것은, 「그 단량체를 사용하여 얻은 중합체 중에 단량체 유래의 구조 단위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코어부의 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98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7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하이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비율을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전기 화학 소자의 저온 출력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비율을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전해액 중에서의 유기 입자의 접착성을 높이고, 전기 화학 소자의 고온 사이클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코어부의 중합체는, 산기 함유 단량체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산기 함유 단량체로는, 산기를 갖는 단량체,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단량체, 술폰산기를 갖는 단량체,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 및,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모노카르복실산,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모노카르복실산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디카르복실산으로는, 예를 들어,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술폰산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비닐술폰산, 메틸비닐술폰산, (메트)알릴술폰산, (메트)아크릴산-2-술폰산에틸,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 3-알릴옥시-2-하이드록시프로판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알릴」이란, 알릴 및/또는 메탈릴을 의미한다.
또한,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인산-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메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인산에틸-(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로일」이란, 아크릴로일 및/또는 메타크릴로일을 의미한다.
또한,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산-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2-하이드록시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산기 함유 단량체로는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모노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산기 함유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코어부의 중합체에 있어서의 산기 함유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하이다. 산기 함유 단량체 단위의 비율을 상기 범위에 들어가게 함으로써, 유기 입자의 조제시에, 코어부의 중합체의 분산성을 높이고, 코어부의 중합체의 외표면에 대하여, 코어부의 외표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쉘부를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코어부의 중합체는, 상기 단량체 단위에 더하여, 가교성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성 단량체란, 가열 또는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중합 중 또는 중합 후에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단량체이다. 가교성 단량체 단위를 포함함으로써, 중합체의 팽윤도를 상기의 범위에 용이하게 들어가게 할 수 있다.
가교성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당해 단량체에 2개 이상의 중합 반응성기를 갖는 다관능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다관능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디비닐벤젠 등의 디비닐 화합물;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등의 디(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 알릴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코어부의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관점에서,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중합체에 있어서 가교성 단량체 단위의 비율이 증가하면, 그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는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가교성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사용하는 단량체의 종류 및 양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부의 중합체에 있어서의 가교성 단량체 단위의 구체적인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하이다. 가교성 단량체 단위의 비율을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전해액 중에서의 유기 입자의 접착성을 높이고, 고온 사이클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교성 단량체 단위의 비율을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유기 입자의 조제시의 중합 안정성이 확보되어, 얻어지는 유기 입자를 호적한 입자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코어부의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코어부의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코어부의 전해액 중으로의 용출을 충분히 억제하고, 전기 화학 소자의 저온 출력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를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전해액 중에서의 유기 입자의 접착성을 높이고, 전기 화학 소자의 고온 사이클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코어부의 직경은, 유기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경 100%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99%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8.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8% 이하이다. 코어부의 직경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유기 입자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코어부의 직경은, 유기 입자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얻어지는, 쉘부를 형성하기 전의 입자상의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쉘부를 형성하기 전의 입자상의 중합체는, 코어부를 구성하는 입자상의 중합체에 상당한다. 한편, 쉘부를 형성하기 전의 입자상의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은, 상기 유기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과 동일하게 측정할 수 있다.
-쉘부-
유기 입자의 쉘부는, 코어부의 전해액 팽윤도보다 작은 소정의 전해액 팽윤도를 갖는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쉘부의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는, 1배 초과 4배 이하일 필요가 있고, 1.0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3.5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1배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쉘부의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전해액 중에서의 유기 입자의 접착성을 높이고, 전기 화학 소자의 고온 사이클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쉘부의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해액으로는, 코어부의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해액과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쉘부의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는,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먼저, 유기 입자의 쉘부의 중합체를 준비한다. 예를 들어, 유기 입자의 조제에 있어서, 코어부의 형성에 사용하는 단량체 조성물 대신에 쉘부의 형성에 사용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코어부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중합체를 제조한다.
그 후, 코어부의 중합체의 팽윤도의 측정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쉘부의 중합체에 의해 필름을 제작하고, 그 필름으로부터 시험편을 얻어, 팽윤도 S를 측정한다.
여기서, 쉘부의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를 조정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전해액의 SP값을 고려하여, 당해 쉘부의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단량체의 종류 및 양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쉘부의 중합체를 조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단량체로는, 그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가 상기 범위가 되는 것을 임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코어부의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단량체로서 예시한 단량체와 동일한 단량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단량체 중에서도, 쉘부의 중합체의 조제에 사용되는 단량체로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즉, 쉘부의 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사용하면,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를 제어하기 쉽다. 또한, 유기 입자의 접착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 중에서도, 스티렌 및 스티렌술폰산 등의 스티렌 유도체가 보다 바람직하고, 저온 출력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스티렌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쉘부의 중합체에 있어서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9.5 질량% 이하이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비율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전해액 중에서의 유기 입자의 접착성을 높이고, 전기 화학 소자의 고온 사이클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쉘부의 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이외에, 산기 함유 단량체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산기 함유 단량체로는 산기를 갖는 단량체,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단량체, 술폰산기를 갖는 단량체,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 및,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산기 함유 단량체로는, 코어부에 포함할 수 있는 산기 함유 단량체 단위를 구성할 수 있는 단량체와 동일한 단량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산기 함유 단량체로는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모노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산기 함유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쉘부의 중합체 중의 산기 함유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하이다. 산기 함유 단량체 단위의 비율을 상기 범위에 들어가게 함으로써, 접착층 중에서의 유기 입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전해액 중에 있어서 접착층 전면에 걸쳐 양호한 접착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쉘부의 중합체는 가교성 단량체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가교성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코어부의 중합체에 사용할 수 있는 가교성 단량체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단량체를 들 수 있다. 또한, 가교성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쉘부의 중합체에 있어서의 가교성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이다.
또한, 쉘부의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이다. 쉘부의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전해액으로의 침지 전에 접착층이 큰 접착력을 발휘하는 것을 억제하여, 블로킹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쉘부의 전해액 중으로의 용출을 충분히 억제하고, 전기 화학 소자의 저온 출력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를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전해액 중에서의 유기 입자의 접착성을 높이고, 전기 화학 소자의 고온 사이클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쉘부는, 유기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는 평균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에 대한 쉘부의 평균 두께(코어쉘 비율)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쉘부의 평균 두께를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전해액 중에서의 유기 입자의 접착성을 높이고, 전기 화학 소자의 고온 사이클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전기 화학 소자의 저온 출력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쉘부의 평균 두께는,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을 사용하여 유기 입자의 단면 구조를 관찰함으로써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TEM을 사용하여 유기 입자의 단면 구조에 있어서의 쉘부의 최대 두께를 측정하고, 임의로 선택한 20개 이상의 유기 입자의 쉘부의 최대 두께의 평균값을, 쉘부의 평균 두께로 한다. 단, 쉘부가 중합체의 입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유기 입자의 직경 방향에서, 쉘부를 구성하는 입자끼리가 겹치지 않고, 그들 중합체의 입자가 단층으로 쉘부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쉘부를 구성하는 입자의 개수 평균 입자경을 쉘부의 평균 두께로 한다.
또한, 쉘부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쉘부는 중합체의 입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쉘부가 중합체의 입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유기 입자의 직경 방향으로 쉘부를 구성하는 입자가 복수개 겹쳐져 있어도 된다. 단, 유기 입자의 직경 방향에서는, 쉘부를 구성하는 입자끼리가 겹치지 않고, 그들 중합체의 입자가 단층으로 쉘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쉘부가 중합체의 입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쉘부를 구성하는 입자의 개수 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10 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n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0 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nm 이하이다. 개수 평균 입자경을 상기 범위에 들어가게 함으로써, 접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쉘부를 구성하는 입자의 개수 평균 입자경은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을 사용하여 유기 입자의 단면 구조를 관찰함으로써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입자의 단면 구조에 있어서의 쉘부를 구성하는 입자의 최장경을 측정하고, 임의로 선택한 20개 이상의 유기 입자의 쉘부를 구성하는 입자의 최장경의 평균값을, 쉘부를 구성하는 입자의 개수 평균 입자경으로 할 수 있다.
[유기 입자의 조제 방법]
그리고, 상술한 코어쉘 구조를 갖는 유기 입자는, 예를 들어, 코어부의 중합체의 단량체와, 쉘부의 중합체의 단량체를 사용하여, 경시적으로 그들 단량체의 비율을 바꾸어 단계적으로 중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입자는, 앞 단계의 중합체를 나중 단계의 중합체가 순차적으로 피복하는 것 같은 연속된 다단계 유화 중합법 및 다단계 현탁 중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이에, 이하에, 다단계 유화 중합법에 의해 상기 코어쉘 구조를 갖는 유기 입자를 얻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중합시에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유화제로서, 예를 들어,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도데실황산나트륨 등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등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또는 옥타데실아민아세트산염 등의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과황산칼륨, 큐멘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 2,2'-아조비스(2-메틸-N-(2-하이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염산염 등의 아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중합 순서로는, 먼저, 코어부를 형성하는 단량체 및 유화제를 혼합하고, 일괄적으로 유화 중합함으로써 코어부를 구성하는 입자상의 중합체를 얻는다. 또한, 이 코어부를 구성하는 입자상의 중합체의 존재 하에 쉘부를 형성하는 단량체의 중합을 행함으로써, 상술한 코어쉘 구조를 갖는 유기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코어부의 외표면을 쉘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는 관점에서, 쉘부의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는 복수회로 분할하거나, 혹은, 연속해서 중합계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쉘부의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를 중합계로 분할하여, 혹은, 연속으로 공급함으로써, 쉘부를 구성하는 중합체가 입자상으로 형성되고, 이 입자가 코어부와 결합함으로써, 코어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쉘부의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를 복수회로 분할하여 공급하는 경우에는, 단량체를 분할하는 비율에 따라 쉘부를 구성하는 입자의 입자경 및 쉘부의 평균 두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쉘부의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를 연속으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단위 시간당의 단량체의 공급량을 조정함으로써, 쉘부를 구성하는 입자의 입자경 및 쉘부의 평균 두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쉘부의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로서 중합 용매에 대하여 친화성이 낮은 단량체를 사용하면, 코어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쉘부를 형성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중합 용매가 물인 경우, 쉘부의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는 소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쉘부의 중합에 사용하는 유화제량을 적게 하면, 코어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쉘부를 형성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유화제량을 적당히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코어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쉘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코어부를 구성하는 입자상의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 쉘부를 형성한 후의 유기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 및, 쉘부를 구성하는 입자의 개수 평균 입자경은, 예를 들어, 유화제의 양, 단량체의 양 등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범위로 할 수 있다.
또한, 코어부의 외표면이 쉘부에 의해 덮이는 평균 비율은, 코어부를 구성하는 입자상의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에 대응시켜, 예를 들어, 유화제의 양, 및, 쉘부의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범위로 할 수 있다.
<결착재>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 입자는 전해액에 팽윤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통상, 큰 접착성을 발현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전해액으로의 침지 전에 접착층에 포함되는 성분이 접착층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전해액에 팽윤되어 있지 않은 온도 25℃의 환경 하에 있어서 유기 입자보다 높은 접착성을 발휘하는 결착재를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착재를 사용함으로써, 전해액에 팽윤되어 있는 상태 및 팽윤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양방에 있어서, 접착층을 구성하는 성분이 접착층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결착재」에는 상술한 유기 입자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유기 입자와 병용하는 결착재로는, 비수용성이며, 수중에 분산 가능한 기지의 입자상 중합체, 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및 아크릴계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아크릴계 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공액 디엔계 중합체란,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가리키고, 공액 디엔계 중합체의 구체예로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R) 등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및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가리킨다.
한편, 이들 결착재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단, 2종류 이상을 조합한 결착재를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결착재는, 상술한 소정의 전해액 팽윤도를 갖는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유기 입자와는 다른 것이다.
또한, 결착재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접착층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결착재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단위 및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단위의 양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이다. 상기 비율을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결착재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의 강도를 높여, 당해 아크릴계 중합체를 사용한 접착층의 강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율을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결착재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가 전해액에 대하여 적당하게 팽윤되기 때문에, 당해 아크릴계 중합체의 전해액 중에서의 접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결착재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결착재의 유리 전이 온도를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전기 화학 소자의 저온 출력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결착재의 유리 전이 온도를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결착재의 전해액 중에서의 접착성이 확보되고, 전기 화학 소자의 고온 사이클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결착재(입자상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은 바람직하게는 0.1 μm 이상 0.5 μm 이하이다. 결착재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을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결착재의 분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 D50을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결착재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결착재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은 상기 유기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과 동일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 중의 결착재의 배합량은, 유기 입자 100 질량부당 5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4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결착재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접착층의 전해액으로의 침지 전 및 전해액 중 쌍방에서의 접착성이 확보되고, 또한 전기 화학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결착재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전기 화학 소자의 저온 출력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결착재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중에서 중합을 할 수 있어, 입자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을 그대로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의 재료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화 중합법 및 현탁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착재로서의 중합체를 제조할 때, 그 반응계는 분산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착재는, 통상, 실질적으로 그것을 구성하는 중합체에 의해 형성되는데, 중합시에 사용한 첨가제 등의 임의의 성분을 동반하고 있어도 된다.
<그 밖의 성분>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유기 입자, 결착재 이외에도, 임의의 그 밖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그 밖의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젖음제, 점도 조정제, 전해액 첨가제 등의 기지의 첨가제를 들 수 있다. 이들 그 밖의 성분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접착제 조성물을 전극 어셈블리 또는 외장체 등의 피접착 부재에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할 때의 도포 편차를 개선하는 관점에서, 젖음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 중의 젖음제의 배합량은, 유기 입자 100 질량부당 0.1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젖음제의 배합량을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 편차를 억제할 수 있어, 전해액 중에서의 접착층의 접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젖음제의 배합량을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전해액 중에서의 접착층의 접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의 조제 방법>
여기서,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의 조제 방법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통상은, 유기 입자와, 분산매로서의 물과,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결착재, 및 젖음제 등의 그 밖의 성분을 혼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한다. 혼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각 성분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통상은 혼합 장치로서 분산기를 사용하여 혼합을 행한다.
분산기는 상기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 및 혼합할 수 있는 장치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볼 밀, 샌드 밀, 안료 분산기, 뇌궤기, 초음파 분산기, 호모게나이저, 플래네터리 믹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높은 분산 쉐어를 가할 수 있는 관점에서, 비즈 밀, 롤 밀, 필 믹스 등의 고분산 장치도 들 수 있다.
얻어지는 접착제 조성물의 표면 장력은 20 m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mN/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m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m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 조성물의 표면 장력이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이면, 얻어지는 접착층의 전해액 중에서의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접착제 조성물의 표면 장력이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이면, 접착제 조성물을 전극 어셈블리나 외장체 등의 피접착 부재에 도포할 때의 도포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의 표면 장력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접착제 조성물의 표면 장력은, 예를 들어 젖음제나 결착재의 양을 변경함으로써, 임의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 mPa·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mPa·s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mPa·s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 mPa·s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100 mPa·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mPa·s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접착제 조성물 중에서 유기 입자 등의 각 성분을 양호하게 분산시키면서, 접착제 조성물의 전극 어셈블리나 외장체 등의 피접착 부재로의 도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점도」란, B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온도 25℃, 회전 속도 60 rpm으로 측정되는 값을 가리킨다.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은, 상술한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구체적으로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을 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은, 상기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의 건조물로 이루어지고, 통상, 상기 유기 입자를 함유하고, 임의로, 상기 결착재와, 상기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한다. 한편, 상술한 유기 입자 중의 중합체 및/또는 결착재가 가교성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유기 입자 중의 중합체 및/또는 결착재는 슬러리 조성물의 건조시, 또는, 건조 후에 임의로 실시되는 열 처리시에 가교되어 있어도 된다(즉,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은, 상술한 유기 입자 및/또는 결착재의 가교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한편,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 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 성분의 호적한 존재비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호적한 존재비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접착층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 사이에 배치되어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를 접착할 때에 사용된다. 그리고, 접착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 입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해액 중에서 우수한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접착층을 개재하여 접착된 전극 어셈블리 및 외장체를 갖는 전기 화학 소자는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은 최종적으로, 전기 화학 소자 중에 있어서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 사이에, 그들 쌍방을 접착할 수 있도록 배치되면, 배치 방법 및 배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표면에 접착층을 구비하는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를 사용하여 전기 화학 소자를 조립해도 되고, 내표면에 접착층을 구비하는 외장체와 전극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전기 화학 소자를 조립해도 된다. 또한,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는 접착층을 개재하여 접착되면 되고,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 사이에는 접착층 이외의 부재가 개재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 사이에 접착층을 배치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1) 접착제 조성물을 전극 어셈블리의 외표면 또는 외장체의 내표면에 도포하고, 이어서 건조하는 방법;
2) 접착제 조성물에 전극 어셈블리 또는 외장체를 침지 후, 이것을 건조하는 방법;
3) 접착제 조성물을, 이형 기재 상에 도포하고, 이어서 건조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얻어진 접착층을 전극 어셈블리의 표면 또는 외장체의 표면에 전사하는 방법;
4) 전극 어셈블리 또는 외장체를 제조할 때에, 전극 어셈블리 또는 외장체의 구성 부재(예를 들어, 전극 어셈블리의 세퍼레이터)의 표면에 미리 접착층을 설치하고, 당해 접착층을 구비하는 구성 부재를 사용하여, 접착층이 가장 외측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전극 어셈블리 또는 외장체를 제조하는 방법;
이들 중에서도, 전기 화학 소자의 생산 효율 향상 등의 관점에서, 4)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체적인 4)의 방법으로는, 전극의 집전체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어서 건조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나서, 접착층이 가장 외측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접착층을 구비하는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적층하여, 적층체인 전극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이나, 세퍼레이터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어서 건조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나서, 접착층이 가장 외측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전극과, 접착층을 갖지 않는 세퍼레이터와, 전극과, 접착층을 갖는 세퍼레이터를 이 순서로 적층해 권회하여, 권회체인 전극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전극 어셈블리, 외장체, 및 이들 구성 부재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스프레이 코트법, 닥터 블레이드법, 리버스 롤법, 다이렉트 롤법, 그라비아법, 익스트루전법, 브러시 도포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얇은 접착층을 형성하는 점에서, 그라비아법이나 스프레이 코트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극 어셈블리, 외장체, 및 이들 구성 부재 상의 접착제 조성물을 건조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온풍, 열풍, 저습풍에 의한 건조, 진공 건조, 적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조사에 의한 건조법을 들 수 있다. 건조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0~80℃이고, 건조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초~10분이다.
한편, 접착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 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μ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 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μm 이하이다. 접착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접착층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전기 화학 소자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 건조함으로써 접착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층의 두께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기 화학 소자)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는, 전극 어셈블리와, 전해액과, 상기 전극 어셈블리 및 상기 전해액을 수용하는 외장체를 구비하고 있고,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가 상술한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을 개재하여 접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는, 전극 어셈블리의 외장체에 대한 고정에 본 발명의 접착층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온 사이클 특성이나 저온 출력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전극 어셈블리>
전극 어셈블리는, 복수의 전극 및 세퍼레이터 등의 구성 부재를 구비하는 구조체이며, 필요에 따라 전극 및 세퍼레이터 이외의 구성 부재(예를 들어, 전극 및 세퍼레이터를 보강하는 다공막 등)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전극 어셈블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번갈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 혹은, 당해 적층체를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권회체로 이루어진다.
[전극]
전극(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있어서의 정극, 부극)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집전체 상에 전극 합재층이 형성된 전극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집전체, 전극 합재층 중의 성분(예를 들어, 전극 활물질 및 전극 합재층용 결착재 등), 그리고, 집전체 상에 대한 전극 합재층의 형성 방법은, 기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45763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77559호에 기재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04303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세퍼레이터 전체의 막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기 화학 소자의 전극 활물질의 비율을 높게 하여 체적당의 용량을 높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폴리올레핀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염화비닐)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다공막이 바람직하다.
<외장체>
외장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막과 금속박을 적층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외장체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막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박을 구성하는 금속으로는 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장체를 구성하는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0~300 μm 정도이다. 또한, 외장체의 형상은 전기 화학 소자의 형상에 따라 임의 결정한다.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는, 상술한 전극 어셈블리의 외표면 및 외장체의 내표면 사이에, 본 발명의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을 구비한다. 당해 접착층은, 전극 어셈블리를 외장체 내표면에 고정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극 어셈블리의 외표면 전체를 덮고 있어도 되고, 일부만을 덮고 있어도 된다.
<전해액>
전해액으로는, 통상, 유기 용매에 지지 전해질을 용해한 유기 전해액이 사용된다.
전해액에 사용하는 지지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나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있어서는, LiPF6, LiAsF6, LiBF4, LiSbF6, LiAlCl4, LiClO4, CF3SO3Li, C4F9SO3Li, CF3COOLi, (CF3CO)2NLi, (CF3SO2)2NLi, (C2F5SO2)NLi 등의 리튬염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용매에 녹기 쉬워 높은 해리도를 나타내는 관점에서, LiPF6, LiClO4, CF3SO3Li가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있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8007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저온 출력 특성 향상의 관점에서 TEABF4가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 전해질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전해액에 사용하는 유기 용매로는, 지지 전해질을 용해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나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있어서는, 디메틸카보네이트(DMC), 에틸렌카보네이트(E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 부틸렌카보네이트(BC), 메틸에틸카보네이트(MEC) 등의 카보네이트류; γ-부티로락톤, 포름산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1,2-디메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술포란,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함유황 화합물류; 등이 호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들 용매의 혼합액을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유전율이 높고, 안정적인 전위 영역이 넓으므로 카보네이트류가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있어서는, 상술한 카보네이트류, 에스테르류, 함유황 화합물류, 그리고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등이 호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들 용매의 혼합액을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저온 출력 특성 향상의 관점에서 아세토니트릴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해액 중의 전해질의 농도는 임의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해액에는 기지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전기 화학 소자의 제조 방법>
전기 화학 소자는, 예를 들어,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 사이에 접착층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외장체에 전해액을 주입하여 봉구(封口)하고, 그 후 필요에 따라, 전극 어셈블리를 외장체에 보다 강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프레스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전극 어셈블리를 외장체로 감쌀 때, 접착층은, 통상, 전극 어셈블리 외면 또는 외장재 내면의 적어도 일방에 이미 접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데, 전극 어셈블리를 외장체로 감싸기 직전에, 자립막인 접착층을 전극 어셈블리 외면 또는 외장재 내면에 배치시켜도 된다. 여기서, 외장체에는, 필요에 따라 익스팬디드 메탈이나, 퓨즈, PTC 소자 등의 과전류 방지 소자, 리드판 등을 넣어, 전기 화학 소자 내부의 압력 상승, 과충방전의 방지를 해도 된다. 전기 화학 소자의 형상은, 예를 들어, 코인형, 버튼형, 시트형, 원통형, 각형, 편평형 등 어느 것이라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양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또한, 복수 종류의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되는 중합체에 있어서, 어느 단량체를 중합하여 형성되는 구조 단위의 상기 중합체에 있어서의 비율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통상은, 그 중합체의 중합에 사용하는 전체 단량체에서 차지하는 당해 어느 단량체의 비율(투입비)과 일치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유기 입자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 유기 입자의 코어부의 외표면이 쉘부에 의해 덮이는 평균 비율(피복률), 유기 입자의 쉘부의 평균 두께(코어쉘 비율), 각 입자(유기 입자 및 결착재)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 각 중합체(코어부의 중합체, 쉘부의 중합체, 및 결착재)의 유리 전이 온도,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의 표면 장력,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의 전해액 중에서의 접착성 및 전해액으로의 내용출성, 그리고, 전기 화학 소자의 고온 사이클 특성 및 저온 출력 특성은 하기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유기 입자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
유기 입자의 코어부 및 쉘부의 조제에 사용한 단량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코어부 및 쉘부의 중합 조건과 동일한 중합 조건으로 측정 시료가 되는 중합체(코어부의 중합체 및 쉘부의 중합체)의 수분산액을 각각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수분산액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제의 샬레에 넣고, 온도 25℃에서 48시간 건조하여, 두께 0.5 mm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필름을 1 cm 정방형으로 재단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이 시험편의 중량을 측정하여, W0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시험편을 전해액에 온도 60℃에서 72시간 침지하였다. 그 후, 시험편을 전해액으로부터 취출하고, 시험편의 표면의 전해액을 닦아내어, 침지 후의 시험편의 중량 W1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중량 W0 및 W1을 이용하여, 팽윤도 S(배)를, S = W1/W0으로 계산하였다.
한편,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접착층을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해액으로는,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에틸카보네이트(DEC)와, 비닐렌카보네이트(VC)의 혼합 용매(체적 혼합비: EC/DEC/VC = 68.5/30/1.5)에, 지지 전해질로서 LiPF6을 1 mol/L의 농도로 녹인 용액(SP값 12.8(cal/cm3)1/2)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접착층을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해액으로는, 용매로서의 아세토니트릴에, 지지 전해질로서 TEABF4를 1 mol/L의 농도로 녹인 용액(SP값 11.9(cal/cm3)1/2)을 사용하였다.
<유기 입자의 코어부의 외표면이 쉘부에 의해 덮이는 평균 비율(피복률)>
유기 입자를, 가시광 경화성 수지(닛폰 전자 주식회사 제조 「D-800」)에 충분히 분산시킨 후, 포매하여,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블록편을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블록편을, 다이아몬드날을 구비한 마이크로톰으로 두께 100 nm의 박편상으로 잘라내어 측정용 시료를 제작하였다. 그 후, 사산화루테늄을 사용하여 측정용 시료에 염색 처리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염색한 측정용 시료를, 투과형 전자 현미경(닛폰 전자사 제조 「JEM-3100F」)에 세트하여, 가속 전압 80 kV로 유기 입자의 단면 구조를 사진 촬영하였다. 전자 현미경의 배율은 시야에 유기 입자 1개의 단면이 들어오도록 배율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촬영된 유기 입자의 단면 구조에 있어서, 코어부의 둘레의 길이 D1, 및, 코어부의 외표면과 쉘부가 맞닿는 부분의 길이 D2를 계측하고, 하기 식(1)에 의해, 그 유기 입자의 코어부의 외표면이 쉘부에 의해 덮이는 비율 Rc를 산출하였다.
피복 비율 Rc(%) = (D2/D1) × 100···(1)
그리고, 피복 비율 Rc를, 임의로 선택한 20개의 유기 입자에 대하여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계산하여, 코어부의 외표면이 쉘부에 의해 덮이는 평균 비율(피복률)로 하였다.
<유기 입자의 쉘부의 평균 두께(코어쉘 비율)>
유기 입자의 쉘부의 평균 두께를 이하의 순서로 측정하였다.
쉘부가 중합체의 입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피복률의 측정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해, 유기 입자의 단면 구조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관찰된 유기 입자의 단면 구조로부터, 쉘부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입자의 최장경을 측정하였다. 임의로 선택한 20개의 유기 입자에 대하여 쉘부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입자의 최장경을 측정하고, 그 최장경의 평균값을 쉘부의 평균 두께로 하였다.
또한, 쉘부가 입자 이외의 형상을 갖고 있는 경우, 상기 피복률의 측정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해, 유기 입자의 단면 구조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관찰된 유기 입자의 단면 구조로부터, 쉘부의 최대 두께를 측정하였다. 임의로 선택한 20개의 유기 입자에 대하여 쉘부의 최대 두께를 측정하고, 그 최대 두께의 평균값을 쉘부의 평균 두께로 하였다.
그리고, 측정된 쉘부의 평균 두께를 유기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으로 나눔으로써, 유기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에 대한 쉘부의 평균 두께의 비율인 코어쉘 비율(단위: %)을 계산하고, 쉘부의 평균 두께를 평가하였다.
<각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
각 입자(유기 입자 및 결착재)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은, 각각 고형분 농도 15 질량%로 조정한 수분산 용액의, 레이저 회절식 입자경 분포 측정 장치(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SALD-3100」)에 의해 측정된 입자경 분포에 있어서, 소경측으로부터 계산한 누적 체적이 50%가 되는 입자경으로 하였다.
<각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
코어부의 중합체, 쉘부의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의 측정에는, 각 중합체의 조제에 사용한 단량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당해 중합체의 중합 조건과 동일한 중합 조건으로, 측정 시료가 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을 각각 제작하고, 당해 수분산액을 건고시켜 얻어지는 측정 시료를 사용하였다.
결착재의 유리 전이 온도의 측정에는, 얻어진 결착재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을 건고시켜 얻어지는 측정 시료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시차 열 분석 측정 장치(에스아이아이·나노테크놀로지사 제조, 제품명 「EXSTAR DSC6220」)를 사용하여, 상술한 측정 시료 10 mg을 알루미늄 팬에 계량하고, 레퍼런스로서 빈 알루미늄 팬을 사용하여, 측정 온도 범위 -100℃~500℃의 사이에서, 승온 속도 10℃/분, 상온 상습 하에서, DSC 곡선을 측정하였다. 이 승온 과정에서, 미분 신호(DDSC)가 0.05 mW/분/mg 이상이 되는 DSC 곡선의 흡열 피크가 나오기 직전의 베이스 라인과, 흡열 피크 후에 최초로 나타나는 변곡점에서의 DSC 곡선의 접선의 교점으로부터, 유리 전이 온도를 구하였다.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의 표면 장력>
접착제 조성물의 표면 장력은 자동 표면 장력계(쿄와 계면 과학사 제조, 「DY-300」)를 사용하여, 백금 플레이트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의 전해액 중에서의 접착성>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얻어진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25℃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정치시킨 후에, 25℃의 환경 하에서, 4.4 V, 1 C의 충전, 2.75 V, 1 C의 방전으로 충방전의 조작을 행하였다. 또한, 60℃ 환경 하에서, 충방전을 1000 사이클 반복한 후,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해체하여,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를 접착시킨 채 취출하였다. 그 후, 외장체를 갖는 전극 어셈블리의 폭이 넓은 면의 외장체를 편면만 벗겨, 노출된 어셈블리측의 전해액을 닦아내고, 전극 어셈블리의 표면에 셀로판 테이프를 첩부하였다. 이 때, 셀로판 테이프로는 JIS Z1522에 규정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셀로판 테이프는 수평한 시험대에 고정해 두었다. 그 후, 외장체의 일단을 연직 상방으로 인장 속도 50 mm/분으로 잡아당겨 벗겼을 때의 응력을 측정하였다. 이 측정을 3회 행하고, 응력의 평균값을 구하여, 당해 평균값을 필 강도 P로 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측정된 필 강도 P가 클수록, 전해액 중에 있어서 접착층의 접착성이 양호하게 유지되어 있어, 전극 어셈블리가 외장체에 강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A: 필 강도 P가 5 N/m 이상
B: 필 강도 P가 3 N/m 이상 5 N/m 미만
C: 필 강도 P가 1 N/m 이상 3 N/m 미만
D: 필 강도 P가 1 N/m 미만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얻어진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25℃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정치시킨 후에, 25℃의 환경 하에서, 3.0 V, 10 C의 충전, 2.75 V, 10 C의 방전으로 충방전의 조작을 행하였다. 또한, 60℃ 환경 하에서, 충방전을 1000 사이클 반복한 후,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해체하여,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를 접착시킨 채 취출하였다. 그 후, 외장체를 갖는 전극 어셈블리의 폭이 넓은 면의 외장체를 편면만 벗겨, 노출된 어셈블리측의 전해액을 닦아내고, 전극 어셈블리의 표면에 셀로판 테이프를 첩부하였다. 이 때, 셀로판 테이프로는 JISZ1522에 규정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셀로판 테이프는 수평한 시험대에 고정해 두었다. 그 후, 외장체의 일단을 연직 상방으로 인장 속도 50 mm/분으로 잡아당겨 벗겼을 때의 응력을 측정하였다. 이 측정을 3회 행하고, 응력의 평균값을 구하여, 당해 평균값을 필 강도 P로 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측정된 필 강도 P가 클수록, 전해액 중에 있어서 접착층의 접착성이 양호하게 유지되어 있어, 전극 어셈블리가 외장체에 강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A: 필 강도 P가 5 N/m 이상
B: 필 강도 P가 3 N/m 이상 5 N/m 미만
C: 필 강도 P가 1 N/m 이상 3 N/m 미만
D: 필 강도 P가 1 N/m 미만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의 전해액으로의 내용출성>
얻어진 접착제 조성물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제의 용기에 흘려 넣고, 60℃, 72시간 건조시켜, 두께 500 μm의 접착층을 제작하였다. 당해 필름을 1 cm × 1 cm로 잘라내고, 질량 m0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접착층을 전해액의 용매(접착제 조성물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인 예에 있어서는, EC/DEC/VC = 68.5/30/1.5의 혼합 용매, 또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인 예에 있어서는 아세토니트릴을 각각 사용)에 60℃, 72시간 침지시켰다. 그 후 60℃, 24시간 진공 건조시켜 전해액의 용매를 제거하고, 질량 m1을 측정하였다. 접착층의 질량 변화율 Δm(%) = (m0 - m1)/m0 ×100을 산출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이 값이 작을수록, 접착층의 성분이 전해액으로 용출되기 어려운 것을 나타낸다.
A: 질량 변화율 Δm이 0.1% 미만
B: 질량 변화율 Δm이 0.1% 이상 1% 미만
C: 질량 변화율 Δm이 1% 이상 5% 미만
D: 질량 변화율 Δm이 5% 이상
<전기 화학 소자의 고온 사이클 특성>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얻어진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25℃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정치시킨 후에, 25℃의 환경 하에서, 4.4 V, 1 C의 충전, 2.75 V, 1 C의 방전으로 충방전의 조작을 행하여, 초기 용량 C0을 측정하였다. 그 후 다시, 60℃ 환경 하에서, 충방전을 반복하고, 1000 사이클 후의 용량 C1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사이클 전후에서의 용량 유지율 ΔC(%) = (C1/C0) × 100을 산출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용량 유지율 ΔC의 값이 클수록, 고온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A: 용량 유지율 ΔC가 85% 이상
B: 용량 유지율 ΔC가 80% 이상 85% 미만
C: 용량 유지율 ΔC가 75% 이상 80% 미만
D: 용량 유지율 ΔC가 75% 미만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얻어진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25℃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정치시킨 후에, 25℃의 환경 하에서, 3.0 V, 10 C의 충전, 2.75 V, 10 C의 방전으로 충방전의 조작을 행하여, 초기 용량 C0을 측정하였다. 그 후 다시, 60℃ 환경 하에서, 충방전을 반복하고, 1000 사이클 후의 용량 C1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사이클 전후에서의 용량 유지율 ΔC1(%) = (C1/C0) × 100을 산출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용량 유지율 ΔC의 값이 클수록 고온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A: 용량 유지율 ΔC가 85% 이상
B: 용량 유지율 ΔC가 80% 이상 85% 미만
C: 용량 유지율 ΔC가 75% 이상 80% 미만
D: 용량 유지율 ΔC가 75% 미만
<전기 화학 소자의 저온 출력 특성>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얻어진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25℃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정치하였다. 그 후, 25℃의 환경 하에서, 4.4 V, 0.1 C, 5시간의 충전의 조작을 행하고, 그 때의 전압 V0을 측정하였다. 그 후, -10℃ 환경 하에서, 1 C의 방전 레이트로 방전의 조작을 행하고, 방전 개시 15초 후의 전압 V1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ΔV = V0 - V1로 나타내는 전압 변화를 구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이 전압 변화가 작을수록 저온 출력 특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A: 전압 변화 ΔV가 500 mV 이하
B: 전압 변화 ΔV가 500 mV 초과 700 mV 이하
C: 전압 변화 ΔV가 700 mV 초과 900 mV 이하
D: 전압 변화 ΔV가 900 mV 초과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얻어진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25℃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정치하였다. 그 후, 25℃의 환경 하에서, 3.0 V, 0.1 C, 5시간의 충전의 조작을 행하고, 그 때의 전압 V0을 측정하였다. 그 후, -10℃ 환경 하에서, 10 C의 방전 레이트로 방전의 조작을 행하고, 방전 개시 1초 후의 전압 V1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ΔV = V0 - V1로 나타내는 전압 변화를 구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이 전압 변화가 작을수록, 저온 출력 특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A: 전압 변화 ΔV가 500 mV 이하
B: 전압 변화 ΔV가 500 mV 초과 700 mV 이하
C: 전압 변화 ΔV가 700 mV 초과 900 mV 이하
D: 전압 변화 ΔV가 900 mV 초과
(실시예 1)
<유기 입자의 조제>
교반기 장착 5 MPa 내압 용기에, 유기 입자의 코어부 형성용으로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로서의 메타크릴산메틸 75 부, 산기 함유 단량체로서의 메타크릴산 4 부, 가교성 단량체로서의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 부, 유화제로서의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1 부, 이온 교환수 150 부, 및, 중합 개시제로서의 과황산칼륨 0.5 부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한 후, 60℃로 가온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96%가 된 시점에서, 계속해서, 유기 입자의 쉘부 형성용으로서,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서의 스티렌 19 부와, 산기 함유 단량체로서의 메타크릴산 1 부의 혼합물을 연속 첨가하고, 70℃로 가온하여 중합을 계속하였다. 첨가한 전체 단량체의 중합 전화율이 96%가 된 시점에서, 냉각하여 반응을 정지시켜,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을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유기 입자의 피복률 및 코어쉘 비율, 체적 평균 입자경 D50을 측정하였다. 또한, 유기 입자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 및 유리 전이 온도도 측정하였다. 결과를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낸다.
<결착재(아크릴계 중합체 1)의 조제>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70 부, 유화제로서의 라우릴황산나트륨(카오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에말 2F」) 0.15 부, 그리고 과황산암모늄 0.5 부를, 각각 공급하고, 기상부를 질소 가스로 치환하고, 60℃로 승온하였다.
한편, 별도의 용기에서, 이온 교환수 50 부, 분산제로서의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0.5 부, 그리고, 부틸아크릴레이트 94 부, 아크릴로니트릴 2 부, 메타크릴산 2 부,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1 부 및 알릴글리시딜에테르 1 부를 혼합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얻었다. 이 단량체 혼합물을 4시간에 걸쳐 상기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중합을 행하였다. 첨가 중에는, 60℃에서 반응을 행하였다. 첨가 종료 후, 추가로 70℃에서 3시간 교반하고 반응을 종료하여, 결착재(아크릴계 중합체 1)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결착재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은 0.36 μm, 유리 전이 온도는 -35℃였다.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의 조제>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을 고형분 상당으로 100 부, 결착재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 1을 포함하는 수분산액을 고형분 상당으로 21 부, 젖음제(산노프코사 제조, 「SN366」) 1 부를 혼합하고, 추가로 이온 교환수를 고형분 농도가 30%가 되도록 첨가하여,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접착제 조성물의 표면 장력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낸다.
<권회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후술하는 권회체인 전극 어셈블리를 제조함에 있어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권회용 세퍼레이터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을, 폴리프로필렌제 세퍼레이터(셀가드사 제조, 「셀가드 2500」) 상에 도포하고, 50℃에서 3분간 건조시켰다. 이 조작을 세퍼레이터의 양면에 실시하여, 편면에 두께 1 μm의 알루미늄 포장재 외장용 접착층, 반대측의 면에 두께 1 μm의 전극용 접착층을 구비하는 세퍼레이터(권회용 세퍼레이터)를 얻었다.
<부극의 제조>
교반기 장착 5 MPa 내압 용기에, 1,3-부타디엔 33 부, 이타콘산 3.5 부, 스티렌 63.5 부, 유화제로서의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0.4 부, 이온 교환수 150 부 및 중합 개시제로서의 과황산칼륨 0.5 부를 넣고, 충분히 교반한 후, 50℃로 가온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96%가 된 시점에서 냉각하여 반응을 정지시켜, 부극 합재층용의 입자상 결착재(SBR)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 입자상 결착재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8로 조정 후, 가열 감압 증류에 의해 미반응 단량체의 제거를 행하였다. 그 후, 30℃ 이하까지 냉각하여, 원하는 입자상 결착재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부극 활물질로서의 인조 흑연(체적 평균 입자경 D50: 15.6 μm) 100 부, 증점제로서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염(닛폰 제지사 제조, 「MAC350HC」)의 2% 수용액을 고형분 상당으로 1 부, 및, 이온 교환수를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가 68%가 되도록 조정한 후, 25℃에서 60분간 혼합하였다. 이어서, 고형분 농도가 62%가 되도록 이온 교환수로 조정하고, 다시 25℃에서 15분간 혼합하였다. 그 후, 얻어진 혼합액에, 전술한 입자상 결착재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을 고형분 상당으로 1.5 부, 및 이온 교환수를 넣고, 최종 고형분 농도가 52%가 되도록 조정하여, 다시 10분간 혼합하였다. 이것을 감압 하에서 탈포 처리하여, 유동성이 좋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콤마 코터로, 집전체인 두께 20 μm의 구리박 상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150 μm 정도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켰다. 이 건조는, 구리박을 0.5 m/분의 속도로 60℃의 오븐 내를 2분에 걸쳐 반송함으로써 행하였다. 그 후, 120℃에서 2분간 가열 처리하여 프레스 전의 부극 원단을 얻었다. 이 프레스 전의 부극 원단을 롤 프레스로 압연하여, 부극 합재층의 두께가 80 μm인 프레스 후의 부극을 얻었다.
<정극의 제조>
정극 활물질로서의 LiCoO2(체적 평균 입자경 D50: 12 μm)를 100 부, 도전재로서의 아세틸렌 블랙(덴키 화학 공업사 제조, 「HS-100」)을 2 부, 정극 합재층용의 입자상 결착재로서의 폴리불화비닐리덴(쿠레하사 제조, 「#7208」)을 고형분 상당으로 2 부와, N-메틸피롤리돈을 혼합하여, 전체 고형분 농도를 70%로 하였다. 이들을 플래네터리 믹서에 의해 혼합하여, 정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정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콤마 코터로, 집전체인 두께 20 μm의 알루미늄박 상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150 μm 정도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켰다. 이 건조는, 알루미늄박을 0.5 m/분의 속도로 60℃의 오븐 내를 2분에 걸쳐 반송함으로써 행하였다. 그 후, 120℃에서 2분간 가열 처리하여, 정극 원단을 얻었다. 이 프레스 전의 정극 원단을 롤 프레스로 압연하여, 정극 합재층의 두께가 80 μm인 프레스 후의 정극을 얻었다.
<전극 어셈블리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프레스 후의 정극을 49 cm × 5 cm로 잘라내어 정극 합재층측의 표면이 상측이 되도록 두고, 그 위에 55 cm × 5.5 cm로 잘라낸, 접착층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세퍼레이터(셀가드사 제조, 「셀가드 2500」)를 배치하였다. 또한, 상기에서 얻어진 프레스 후의 부극을, 50 cm × 5.2 cm로 잘라내고, 이것을 세퍼레이터 상에, 부극 합재층측의 표면이 세퍼레이터와 마주보도록 배치하였다. 그리고 또한 부극의 집전체측에, 60 cm × 5.5 cm로 잘라낸 상기에서 얻어진 권회용 세퍼레이터를, 전극용 접착층이 부극과 마주보도록 배치하였다. 얻어진 정극과, 세퍼레이터와, 부극과, 권회용 세퍼레이터를 이 순서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체를, 알루미늄 포장재 외장용 접착층이 가장 바깥 둘레에 위치하도록 권회기에 의해 권회하고, 또한 60℃, 0.5 MPa로 프레스하여, 편평상의 권회체를 얻었다. 이 권회체를, 폴리프로필렌 수지막이 알루미늄박 상에 적층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포장재 외장으로 감싸고, 전해액(용매: EC/DEC/VC(체적 혼합비) = 68.5/30/1.5, 전해질: 농도 1 M의 LiPF6)을 공기가 남지 않도록 주입하였다. 그 후, 알루미늄 포장재 외장의 개구를 밀봉하기 위하여, 150℃의 히트 시일을 하여 알루미늄 포장재 외장을 폐구하고, 또 60℃, 0.5 MPa의 조건으로 프레스하여, 방전 용량 1000 mAh의 권회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사용하여, 고온 사이클 특성, 저온 출력 특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3)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의 조제시에, 유기 입자의 코어부 형성용으로서 첨가한 단량체의 비율을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입자, 결착재, 접착제 조성물, 권회용 세퍼레이터, 부극, 정극, 전극 어셈블리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5)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의 조제시에, 유기 입자의 쉘부 형성용으로서 첨가한 단량체의 종류 및 비율을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입자, 결착재, 접착제 조성물, 권회용 세퍼레이터, 부극, 정극, 전극 어셈블리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7)
접착제 조성물의 조제시에, 결착재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 1의 양을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입자, 결착재, 접착제 조성물, 권회용 세퍼레이터, 부극, 정극, 전극 어셈블리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접착제 조성물의 조제시에, 결착재로서 아크릴계 중합체 1 대신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제한 아크릴계 중합체 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입자, 결착재, 접착제 조성물, 권회용 세퍼레이터, 부극, 정극, 전극 어셈블리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낸다.
<결착재(아크릴계 중합체 2)의 조제>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70 부, 유화제로서의 라우릴황산나트륨(카오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에말 2F」) 0.15 부, 그리고 과황산암모늄 0.5 부를, 각각 공급하고, 기상부를 질소 가스로 치환하고, 60℃로 승온하였다.
한편, 별도의 용기에서, 이온 교환수 50 부, 분산제로서의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0.5 부, 그리고, 부틸아크릴레이트 56 부, 스티렌 40 부, 메타크릴산 2 부,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1 부 및 알릴글리시딜에테르 1 부를 혼합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얻었다. 이 단량체 혼합물을 4시간에 걸쳐 상기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중합을 행하였다. 첨가 중에는, 60℃에서 반응을 행하였다. 첨가 종료 후, 추가로 70℃에서 3시간 교반하고 반응을 종료하여, 결착재(아크릴계 중합체 2)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결착재의 체적 평균 입자경 D50은 0.3 μm, 유리 전이 온도는 -2℃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입자, 결착재, 접착제 조성물, 권회용 세퍼레이터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유기 입자의 코어부의 중합체 및 쉘부의 중합체의 전해액 팽윤도는, 실시예 1과는 전해액을 변경하여 별도 측정하였다. 결과를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낸다.
그리고, 이하의 요령으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전극, 전극 어셈블리 및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제조하였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전극의 제조>
교반기 장착 5 MPa 내압 용기에, 아크릴산 2-에틸헥실 76 부, 이타콘산 4 부, 아크릴로니트릴 20 부, 유화제로서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2 부, 이온 교환수 150 부 및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칼륨 0.5 부를 넣고, 충분히 교반한 후, 50℃로 가온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96%가 된 시점에서 냉각하여 반응을 정지시켜, 전극 합재층용의 입자상 결착재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 입자상 결착재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8로 조정 후, 가열 감압 증류에 의해 미반응 단량체의 제거를 행하였다. 그 후, 30℃ 이하까지 냉각하여, 원하는 입자상 결착재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전극 활물질로서의 야자 찌꺼기를 원료로 하는 수증기 부활(賦活) 활성탄(쿠라레 케미컬사 제조, 「YP-50F」)을 100 부, 분산제로서의 카르복시메틸기의 말단이 암모늄(NH4)으로 치환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1.5% 수용액(다이셀 화학 공업사 제조, 「DN-800H」)을 고형분 상당으로 2.0 부, 도전재로서의 아세틸렌 블랙(덴키 화학 공업사 제조, 「덴카블랙(등록상표) 분말상」)을 5 부, 전술한 입자상 결착재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을 고형분 상당으로 3 부, 및 이온 교환수를 혼합해 고형분 농도가 42%가 되도록 조정하여,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전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닥터 블레이드로, 집전체인 두께 30 μm의 알루미늄박 상에, 10 m/분의 전극 성형 속도로 도포하고, 먼저 60℃에서 20분간, 이어서 120℃에서 20분간 건조하여, 두께 100 μm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전극을 얻었다.
<전극 어셈블리 및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전극을 49 cm × 5 cm로 잘라내어 전극 합재층측의 표면이 상측이 되도록 두고, 그 위에 55 cm × 5.5 cm로 잘라낸 접착층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세퍼레이터(셀가드사 제조, 「셀가드 2500」)를 배치하였다. 또한, 상기에서 얻어진 전극을, 50 cm × 5.2 cm로 잘라내고, 이것을 세퍼레이터 상에, 전극 합재층측의 표면이 세퍼레이터와 마주보도록 배치하였다. 그리고 또, 일방의 전극의 집전체측에, 60 cm × 5.5 cm로 잘라낸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권회용 세퍼레이터를, 전극용 접착층이 전극과 마주보도록 배치하였다. 얻어진 전극과, 세퍼레이터와, 전극과, 권회용 세퍼레이터를 이 순서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체를, 알루미늄 포장재 외장용 접착층이 가장 바깥 둘레에 위치하도록 권회기에 의해 권회하고, 또한 60℃, 0.5 MPa로 프레스하여, 편평상의 권회체를 얻었다. 이 권회체를, 폴리프로필렌 수지막이 알루미늄박 상에 적층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포장재 외장으로 감싸고, 전해액(용매: 아세토니트릴, 전해질: 농도 1 M의 TEABF4)을 공기가 남지 않도록 주입하였다. 그 후, 알루미늄 포장재 외장의 개구를 밀봉하기 위하여, 150℃의 히트 시일을 하여 알루미늄 포장재 외장을 폐구하고, 또한 60℃, 0.5 MPa의 조건으로 프레스하여, 500F의 권회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고온 사이클 특성, 저온 출력 특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2)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의 조제시에, 유기 입자의 코어부 및 쉘부 형성용으로서 첨가한 단량체의 비율을 각각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입자, 결착재, 접착제 조성물, 권회용 세퍼레이터, 부극, 정극, 전극 어셈블리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의 조제시에, 유기 입자의 코어부 형성용으로서 첨가한 단량체의 비율을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입자, 결착재, 접착제 조성물, 권회용 세퍼레이터, 부극, 정극, 전극 어셈블리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의 조제시에, 유기 입자의 쉘부 형성용으로서 첨가한 단량체의 비율을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입자, 결착재, 접착제 조성물, 권회용 세퍼레이터, 부극, 정극, 전극 어셈블리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이하에 나타내는 표 1 중,
「LIB」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EDLC」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MMA」는 메타크릴산메틸을 나타내고,
「MAA」는 메타크릴산을 나타내고,
「EDMA」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를 나타내고,
「AN」은 아크릴로니트릴을 나타내고,
「ST」는 스티렌을 나타내고,
「NaSS」는 스티렌술폰산나트륨을 나타내고,
「ACL1」은 아크릴계 중합체 1을 나타내고,
「ACL2」는 아크릴계 중합체 2를 나타내고,
「혼합 용매」는 EC/DEC/VC(체적 혼합비) = 68.5/30/1.5의 혼합 용매를 나타내고,
「ACN」은 아세토니트릴을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7016754577-pct00001
상술한 표 1의 실시예 1~9 및 비교예 1~4로부터, 소정의 코어쉘 구조를 갖는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접착층은, 전해액 중으로의 성분의 용출이 충분히 억제되어 있고, 또한 전해액 중에서 우수한 접착성을 유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덧붙여, 당해 접착층을 구비하는 전기 화학 소자는 고온 사이클 특성 및 저온 출력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표 1의 실시예 1~3으로부터, 유기 입자의 코어부의 단량체 조성, 전해액 팽윤도를 조정함으로써, 접착층의 전해액 중에 있어서의 접착성 및 전해액으로의 성분의 내용출성, 그리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고온 사이클 특성 및 저온 출력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표 1의 실시예 1, 4, 5로부터, 유기 입자의 쉘부의 단량체 조성, 전해액 팽윤도를 조정함으로써, 접착층의 전해액 중에 있어서의 접착성, 그리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고온 사이클 특성 및 저온 출력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표 1의 실시예 1, 6, 7로부터, 결착재의 양을 변경함으로써, 접착층의 전해액 중에 있어서의 접착성, 그리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고온 사이클 특성 및 저온 출력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덧붙여, 상술한 표 1의 실시예 1, 8로부터, 결착재의 단량체 조성, 유리 전이 온도를 조정함으로써, 접착층의 전해액 중에 있어서의 접착성,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고온 사이클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의 접착에 사용되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전해액 중에서 우수한 접착성을 유지하고, 또한, 전기 화학 소자에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을 형성 가능한,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의 접착에 사용되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으로서, 전해액 중에서 우수한 접착성을 유지하고, 또한, 전기 화학 소자에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전기 화학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100 유기 입자
110 코어부
110S 코어부의 외표면
120 쉘부
200 전기 화학 소자
210 전극 어셈블리
220 외장체
230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

Claims (5)

  1.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의 접착에 사용되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외표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쉘부를 구비하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유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가, 전해액 팽윤도가 5배 이상 30배 이하인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쉘부가, 전해액 팽윤도가 1배 초과 4배 이하인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해액 팽윤도는 전해액에 60℃에서 72시간 침지한 후의 시험편의 중량에 기초한 팽윤도인,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의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 150℃ 이하이고,
    상기 쉘부의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상 200℃ 이하인,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상 0℃ 이하인 결착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
  4. 전극 어셈블리와 외장체를 접착하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으로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
  5. 전극 어셈블리와, 전해액과, 상기 전극 어셈블리 및 상기 전해액을 수용하는 외장체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 어셈블리와 상기 외장체가 제4항에 기재된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을 개재하여 접착되어 있는, 전기 화학 소자.
KR1020177004559A 2014-09-29 2015-09-07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 및 전기 화학 소자 KR102372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99312 2014-09-29
JP2014199312 2014-09-29
PCT/JP2015/004530 WO2016051674A1 (ja) 2014-09-29 2015-09-07 電気化学素子用接着剤組成物、電気化学素子用接着層、および電気化学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529A KR20170063529A (ko) 2017-06-08
KR102372832B1 true KR102372832B1 (ko) 2022-03-08

Family

ID=55629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559A KR102372832B1 (ko) 2014-09-29 2015-09-07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 및 전기 화학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77415B2 (ko)
JP (1) JP6504179B2 (ko)
KR (1) KR102372832B1 (ko)
CN (1) CN106575736B (ko)
WO (1) WO2016051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4342B2 (ja) 2016-05-20 2019-1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蓄電デバイス
JP6988799B2 (ja) * 2016-06-21 2022-01-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機能層用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用機能層及び非水系二次電池
JP6996513B2 (ja) * 2016-10-14 2022-01-1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用接着剤組成物、電気化学素子、及び電気化学素子製造方法
JP6977272B2 (ja) * 2017-02-08 2021-12-08 凸版印刷株式会社 蓄電装置用外装材及び蓄電装置
US11721798B2 (en) * 2017-08-31 2023-08-08 Zeon Corporation Composition for electrochemical device functional layer, functional laye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chemical device
US20210175536A1 (en) * 2017-12-18 2021-06-10 Samsung Sdi Co., Ltd. Finishing tap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EP3780240A4 (en) * 2018-03-27 2021-12-29 NGK Insulators,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WO2020004332A1 (ja) * 2018-06-29 2020-01-0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電気化学素子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電気化学素子用電極、および電気化学素子
CN113906626B (zh) * 2019-06-03 2023-08-11 日本瑞翁株式会社 带有电化学元件用功能层的间隔件和电化学元件
JPWO2022138868A1 (ko) * 2020-12-25 2022-06-30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2847A (ja) 2004-09-22 2006-04-06 Nitto Denko Corp 電池用セパレータのための反応性ポリマー担持多孔質フィルムとこれを用いる電池の製造方法
WO2013080946A1 (ja) 2011-11-29 2013-06-0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5117B2 (ja) 2008-07-24 2013-05-0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極およ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WO2011001848A1 (ja) * 2009-06-30 2011-01-0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二次電池用電極及び二次電池
JP5579863B2 (ja) 2010-10-04 2014-08-2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シール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CN104078684A (zh) * 2010-12-28 2014-10-01 Jsr株式会社 电极用粘结剂组合物的保管方法
GB2487569B (en) * 2011-01-27 2014-02-19 Nexeon Ltd A binder for a secondary battery cell
JP5617725B2 (ja) 2011-03-28 2014-11-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二次電池用電極、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製造方法及び二次電池
JP2013077559A (ja) 2011-09-14 2013-04-25 Nippon Zeon Co Ltd 電気化学素子用電極の製造方法
JP6186852B2 (ja) 2013-04-30 2017-08-3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二次電池多孔膜用スラリー組成物、二次電池用電極、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二次電池
JP2015028842A (ja) * 2013-06-28 2015-02-1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接着剤、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EP3021380B1 (en) * 2013-07-10 2018-04-18 Zeon Corporation Porous film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separator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10141557B2 (en) * 2013-07-10 2018-11-27 Zeon Corporation Adhesiv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separator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10193119B2 (en) * 2014-06-27 2019-01-29 Zeon Corporation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functional layer, functional laye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US10177362B2 (en) * 2014-07-30 2019-01-08 Zeon Corporation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functional layer, functional layer-equipped substrate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2847A (ja) 2004-09-22 2006-04-06 Nitto Denko Corp 電池用セパレータのための反応性ポリマー担持多孔質フィルムとこれを用いる電池の製造方法
WO2013080946A1 (ja) 2011-11-29 2013-06-0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051674A1 (ja) 2017-07-06
CN106575736B (zh) 2019-09-13
JP6504179B2 (ja) 2019-04-24
WO2016051674A1 (ja) 2016-04-07
US20170275506A1 (en) 2017-09-28
KR20170063529A (ko) 2017-06-08
CN106575736A (zh) 2017-04-19
US10177415B2 (en)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2832B1 (ko)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 및 전기 화학 소자
KR102563082B1 (ko) 비수계 이차전지 기능층용 조성물, 비수계 이차전지용 기능층 및 비수계 이차전지
KR102422232B1 (ko) 비수계 이차전지 기능층용 조성물, 비수계 이차전지용 기능층 및 비수계 이차전지
KR102438015B1 (ko) 비수계 이차 전지 기능층용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용 기능층을 갖는 기재,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비수계 이차 전지
KR102494518B1 (ko) 비수계 이차 전지용 적층체 및 비수계 이차 전지 부재의 제조 방법
JP6155967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の接着剤、接着層付きセパレータ、接着層付き電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2408243B1 (ko) 비수계 이차전지용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비수계 이차전지
KR102477891B1 (ko) 비수계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비수계 이차 전지
KR20210132000A (ko) 전기 화학 소자용 기능층, 전기 화학 소자용 기능층 형성 세퍼레이터, 및 전기 화학 소자
JP2017098203A (ja) 非水系二次電池接着層用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用接着層、及び非水系二次電池
JP6589269B2 (ja) 非水系二次電池接着層用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用接着層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JP2016031911A (ja) 非水系二次電池機能層用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用機能層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KR20190018634A (ko) 비수계 이차 전지 기능층용 조성물, 비수계 이차 전지용 기능층 및 비수계 이차 전지
JP6536017B2 (ja) 非水系二次電池接着層用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用接着層、非水系二次電池部材、非水系二次電池、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用接着層の製造方法
JP6891392B2 (ja) 非水系二次電池用積層体
KR102496400B1 (ko) 비수계 이차 전지 접착층용 슬러리 조성물, 제조 방법 및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