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822A - 낚싯대용 장대 및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용 장대 및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822A
KR20120023822A KR1020117030665A KR20117030665A KR20120023822A KR 20120023822 A KR20120023822 A KR 20120023822A KR 1020117030665 A KR1020117030665 A KR 1020117030665A KR 20117030665 A KR20117030665 A KR 20117030665A KR 20120023822 A KR20120023822 A KR 20120023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reg tape
prepreg
reinforcing fibers
woun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5358B1 (ko
Inventor
토모키 이와나리
소우시 이와타
카즈마 타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48838A external-priority patent/JP56267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61953A external-priority patent/JP552299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20023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배설 방향에 궁리를 더하는 것에 의해, 비틀림 강성 등을 높인 낚싯대용 장대를 제공한다. 내측층(23)을, 장대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강화 섬유(42)를 끌어 맞추어 배치한 프리프레그 시트(52)로 이루어지는 메인 패턴을 강화 섬유(42)가 장대축선에 대해 경사지는 상태로 되도록 권회하여 형성한다. 외측층(25)을, 길이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42)를 끌어 맞춘 세폭의 프리프레그 테이프(70)를, 그 프리프레그 테이프(70)의 세폭 방향의 단부끼리가 밀착하는 상태로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한다. 프리프레그 시트(52)의 강화 섬유(42)와 프리프레그 테이프(70)의 강화 섬유(42)가,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또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역방향 나선 모양으로 권회되도록, 프리프레그 시트(52)와 프리프레그 테이프(70)를 권회하여 구성하고 있다.

Description

낚싯대용 장대 및 낚싯대{ROD BODY FOR FISHING ROD, AND FISHING ROD}
본 발명은 프리프레그(prepreg)를 권회(卷回)하여 형성한 내측층과 프리프레그를 권회하여 형성한 외측층을 구비한 낚싯대용 장대(rod body) 및 낚싯대용 장대를 구비한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낚싯대용 장대에 있어서, 프리프레그를 테이프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나 프리프레그를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 사용되는 일이 있다. 프리프레그 테이프는 세폭(細幅)의 장척(長尺)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가 배향되어 있다.
프리프레그 시트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나타내도록 낚싯대용 장대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와 통상체(筒狀體)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폭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사용하여 내측층이나 외측층을 형성하는데는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맨드럴(mandrel)에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밀착하는 상태로 나선 모양으로 권회함으로써 형성하고 있었다.
내측층과 외측층에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사용하고 있지만, 나선 모양으로 권회되는 방향이 모두 동방향이다. 즉, 공보에 있어서의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권회 방향은 우권(右卷)이고, 내외층 모두 동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가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따른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되므로, 동방향을 향해 배설(配設)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우권을 따른 방향의 비트는 힘을 받은 경우에는 강화 섬유가 인장 대항력을 발휘하여 비틀림 강성을 충분한 것으로 하지만, 좌권(左卷)을 따른 방향의 비트는 힘을 받은 경우에는, 강화 섬유는 인장 대항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비틀림 강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8-263819호(특허 문헌 1)의 구성의 것에 대해서,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중간층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사이에 두고 내외에 배치 구성한 것도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1988-32631호 공보(특허 문헌 2)에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낚싯대용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여 중간층을 형성하고, 중간층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층에 있어서는, 세폭의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그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폭보다 큰 피치(pitch)로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내측층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중간층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층에 있어서는, 세폭의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그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폭보다 큰 피치로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외측층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외측층을 형성하는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권회 방향을 내측층을 형성하는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권회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것처럼 내외에 위치하는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권회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라도, 큰 피치로 권회되어 있는 것만 있으므로, 내측층과 외측층은 단지 중간층을 보강할 뿐의 것에 지나지 않아 충분한 비틀림 강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는 되지 않았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8-263819호 공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1988-32631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의 배설 방향에 궁리를 더하는 것에 의해, 비틀림 강성 등을 높인 낚싯대용 장대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제1 발명에 의한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내측층의 프리프레그 시트의 강화 섬유와 외측층의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가,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또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역방향 나선 모양으로 권회되도록,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와 상기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권회하고 있으므로, 좌우 어느 쪽의 방향으로부터의 비트는 힘이 작용해도, 어느 강화 섬유가 그 비트는 힘에 대항하므로, 비틀림 방향에 의존하지 않는 비틀림 강성이 높은 낚싯대용 장대로 할 수가 있었다.
또한, 프리프레그 테이프는, 그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세폭 방향의 단부끼리가 밀착하는 상태로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고 있으므로, 내측층의 프리프레그 시트의 단순한 보강에 그치지 않고, 낚싯대용 장대의 외측층을 구성하는 요소로 되어 비틀림에 대한 강도를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바늘에 걸린 물고기가 옆으로 도망가는 것에 대해 낚시꾼은 장대를 옆으로 눕히면서 물고기의 움직임에 대응할 때에, 낚싯대를 추종시키면서 물고기를 수면에 띄우는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내측층으로서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고 있으므로,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내측층으로서 권회하는 경우에 비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즉,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권회할 때에, 세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부끼리를 밀접하게 하는 상태로 권회하여 갈 필요가 있어, 그것에 작업성의 곤란함이 있다. 이에 대해서 프리프레그 시트에는, 세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부끼리를 밀접하게 하는 상태로 권회한다고 하는 점에 유의할 필요는 없고, 강도가 높은 내측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프리프레그 시트의 강화 섬유가 장대 축선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상태로 권회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것을 말할 수 있다. 즉, 물고기가 바늘에 걸려 장대가 하향의 구부러짐을 일으킨 경우에, 각 낚싯대용 장대에 있어서의 장대축선보다 상방측의 표면에는 큰 인장력이 작용하지만, 그 경우에, 프리프레그 시트의 강화 섬유에 있어서의 장대 축선방향을 따른 성분이 대항력을 발휘하여 물고기의 인장력에 대항할 수가 있다. 한편, 물고기가 바늘에 걸려 장대가 하향의 구부러짐을 일으킨 경우에는, 각 낚싯대용 장대의 단면을 횡장(橫長) 타원으로 변형시키는 힘이 작용하지만, 프리프레그 시트의 강화 섬유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을 따른 성분이 대항력을 발휘하여 그 변형력에 대항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프리프레그 시트의 강화 섬유를 장대축선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 끌어 맞추어 배치함으로써, 장대 축선방향을 따른 인장력에 대해서 대항력을 발휘하는 강화 섬유를 장대축선을 따라 배치한 상태와 단면을 횡장 타원으로 변형시키는 힘에 대해서 강한 강화 섬유를 둘레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의 양방의 기능에 준한 기능을 구비한 구부러짐 강성이 높은 프리프레그 시트를 단일의 프리프레그 시트로 달성할 수가 있었다.
내측에 프리프레그 시트를 배치하고, 외측에 프리프레그 테이프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권회할 때에는, 프리프레그 테이프가 세폭의 것으로 되어,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는 경우에 비해 공기를 말려들게 하는 일이 적어 결함이 발생하는 것이 적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세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부끼리를 밀접하게 하는 상태로 권회하는 점에 대해서도, 맨드럴에 선행하여 권회되어 있는 프리프레그 시트의 위로부터 이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권회하여 가는 것으로 되므로,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맨드럴에 직접 권회하는 경우에 비해 세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부끼리를 밀접하게 하는 상태로 권회하는 것을 그다지 주의 깊고 신중하게 작업에 옮길 필요성은 높지 않아 비교적 양호한 권회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물고기의 움직임에 대응한 장대 다루기를 행할 수가 있고, 또한 제조면에서도 강도면에서도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는 낚싯대용 장대를 제공할 수가 있었다.
제2 발명에 의한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제1 발명에 대응하여 기재한 작용 효과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그 외측층의 더 외측에 최외측층을 형성하였다. 최외측층의 구성은 내측 부분이 프리프레그 테이프이고, 외측 부분이 프리프레그 시트이고, 바로 제1 발명에 있어서의 내측층의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외측 부분에, 제1 발명에 있어서의 외측층의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내측 부분으로 하여 중합시킨 것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최외측층을 설치한 제2 발명에 있어서의 낚싯대용 장대는, 비트는 힘에 대한 대항력을 높인 것으로 할 수 있고, 특히 대형어를 낚는 대형의 낚싯대 등에 적용할 수가 있다.
제3 발명에 의한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상기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와 상기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가,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또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역방향 나선 모양으로 권회되도록, 상기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와 상기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역방향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고 있으므로, 좌우 어느 쪽의 방향으로부터의 비트는 힘이 작용해도, 어느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를 그 비트는 힘에 대항시킬 수가 있어 비틀림에 강한 장대로 할 수가 있었다.
또한, 프리프레그 테이프는, 그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세폭 방향의 단부끼리가 밀착하는 상태로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고 있으므로, 내측층의 프리프레그 시트의 단순한 보강에 그치지 않고, 낚싯대용 장대의 단독층을 구성하는 요소로 되어 비틀림에 대한 강도를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바늘에 걸린 물고기가 옆으로 도망가는 것에 대해 낚시꾼은 장대를 옆으로 눕히면서 물고기의 움직임에 대응할 때에, 낚싯대를 추종시키면서 물고기를 수면에 띄우는 조작이 용이하게 되어, 물고기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쉬운 낚싯대용 장대를 제공할 수가 있었다.
제4 발명에 의한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상기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와 상기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가,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또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역방향 나선 모양으로 권회되도록, 상기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와 상기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역방향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고 있으므로, 좌우 어느 쪽의 방향으로부터의 비트는 힘이 작용해도, 어느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를 그 비트는 힘에 대항시킬 수가 있어 비틀림에 강한 장대로 할 수가 있었다.
또한, 프리프레그 테이프는, 그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세폭 방향의 단부끼리가 밀착하는 상태로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고 있으므로, 내측층의 프리프레그 시트의 단순한 보강에 그치지 않고, 낚싯대용 장대의 단독층을 구성하는 요소로 되어 비틀림에 대한 강도를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바늘에 걸린 물고기가 옆으로 도망가는 것에 대해 낚시꾼은 장대를 옆으로 눕히면서 물고기의 움직임에 대응할 때에, 낚싯대를 추종시키면서 물고기를 수면에 띄우는 조작이 용이하게 되어, 물고기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쉬운 낚싯대용 장대를 제공할 수가 있었다.
또한, 세폭의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되어 있는 내측층과, 마찬가지로 세폭의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되어 있는 외측층의 사이에 중간층을 설치하고, 이 중간층이 장대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는 프리프레그 시트이므로, 세폭의 프리프레그 테이프가 중간층의 프리프레그 시트에 의해 연결 결합되어, 내측층 및 외측층 자체의 결합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내측층과 중간층과의 결합력, 및 중간층과 외측층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가 있다. 이에 의해 내측층 및 외측층 내에서 박리나, 내측층과 중간층과의 사이의 층간 박리, 중간층과 외측층과의 사이의 층간 박리를 억제할 수 있어 손상이 일어나기 어려운 낚싯대를 제공할 수 있기에 이르렀다.
또, 물고기가 바늘에 걸린 경우에, 장대는 장대의 앞쪽을 하향으로 한 구부러짐을 일으킨다. 그 경우에, 장대의 장대축선보다 상측의 단면에는 인장력이 작용한다. 중간층에 있어서, 장대 축선방향을 따른 강화 섬유가 끌어 맞추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장대를 굽히는 힘에 대한 대항력이 높다. 즉, 구부러짐 강성이 높은 장대를 제공할 수가 있었다.
제5 발명에 의한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내측층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와 상기 제2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가,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또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역방향 나선 모양으로 권회되도록, 상기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와 상기 제2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또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역방향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고 있으므로, 내측층만에 있어서도 청구항 3과 관련되는 발명의 작용 효과로 기재한 것처럼 비틀림 강성을 높일 수가 있고, 이 점은 외측층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내측층과 외측층에 있어서, 각각, 프리프레그 테이프끼리를 내외 방향으로 중합시키고 있으므로, 일방의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권회 상태에 있어서 혼란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도, 타방의 프리프레그 테이프에서 혼란을 일으키는 일 없이 권회함으로써 상기 일방의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권회 상태에 있어서의 혼란의 영향을 억제할 수가 있어 강성의 불균일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층과 외측층을 프리프레그 테이프끼리를 중합시켜 형성하고 있으므로, 크게 비트는 힘이나 구부리는 힘이 작용하는 원상(元上)이나 원간(元竿) 등이 큰 직경의 장대를 형성하는 경우에, 내측층과 외측층을 단일의 프리프레그 테이프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비틀림 강성이나 구부러짐 강성을 큰 것으로 할 수 있어, 큰 직경의 장대에 적당한 강도를 구비한 낚싯대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중간층을 제1 메인 패턴(main pattern)의 프리프레그 시트와 제2 메인 패턴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중합시키는 상태로 권회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간층을 단일의 프리프레그 시트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중간층의 비틀림 강성이나 구부러짐 강성을 크게 할 수 있다.
제1 메인 패턴의 프리프레그 시트와 제2 메인 패턴의 프리프레그 시트와 강화 섬유에 있어서의 끌어 맞추는 방향을 임의로 선택하고 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비틀림 강성을 높이고 싶은 경우에는, 강화 섬유의 끌어 맞춤 방향을 장대 축선에 경사 방향으로 설정하고, 구부러짐 강성을 높이고 싶은 경우에는, 강화 섬유의 끌어 맞춤 방향을 장대 축선에 따라 방향으로 설정하고, 비틀림 강성과 구부러짐 강성과 모두 충족하는 경우는 두 프리프레그 시트의 일방의 강화 섬유를 장대 축선에 경사 방향으로 설정하고, 타방의 강화 섬유의 끌어 맞춤 방향을 장대 축선에 따라 방향 설정한다고 하는 조합 방법이 가능하다.
제6 발명에 의한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것 같은 비틀림 강성 및 구부러짐 강성이 높은 장대를 적당히 조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물고기가 옆으로 도망가는 것 등이 있어도 장대를 시험하면서 물고기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수면까지 물고기를 띄우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물고기가 바늘에 걸려 낚싯대가 큰 구부러짐을 일으킨 경우라도, 그 상태로부터 더 물고기가 하향으로 잠입하는 동작을 한 경우에도 낚싯대는 더 변형되어 그 물고기의 움직임에 추종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물고기를 수중에 넣기 위해 낚싯대를 종방향 자세로 치켜들었을 경우에도 낚싯대는 자기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종방향의 직선 자세로 복귀하는 강력함을 겸비하는 낚싯대를 제공할 수가 있었다.
도 1은 낚싯대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우권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위로부터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좌권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구권(口卷) 보강 패턴을 권회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우권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리프레그 시트(메인 패턴)를 권회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좌권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구권(口卷) 보강 패턴을 권회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우권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에 대해서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서로 역방향으로 권회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리프레그 시트(제1 메인 패턴) 및 프리프레그 시트(sheet)(제2 메인 패턴)를 권회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좌권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제1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에 교차하도록 권회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반(前半) 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프리프레그 시트를 맨드럴에 권회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프리프레그 시트의 위로부터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좌권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후반(後半) 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위로부터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우권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위로부터 외측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장대의 비트는 힘을 측정하는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장대의 비트는 힘을 측정하는 장치로 측정한 오른쪽 비틀림 상태의 수치를 나타내는 절선(折線) 그래프이다.
도 21은 장대의 비트는 힘을 측정하는 장치로 측정한 왼쪽 비틀림 상태의 수치를 나타내는 절선 그래프이다.
도 22는 물고기의 띄우기 쉬움을 검증하는 필드 테스트(field test) 결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제1 실시 형태(제1 발명에 대응한 실시 형태)
은어 낚싯대나 계류(溪流) 낚싯대 등으로 대표되는 낚싯대(27)는, 도 1에 나타내듯이 낚싯대용 장대(21)로서의 낚싯줄(80)을 연결한 수선간(穗先竿)(1), 2번 장대(2), 3번 장대(3), 원상(元上)(4), 악부(握部)(22)를 구비한 원간(元竿)(5)로 구성되어 있다.
수선간(1)으로부터 2번 장대(2) 등의 비교적 작은 직경의 낚싯대용 장대(21)에 적절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내측층(23), 외측층(25)으로 구성하고, 내측층(23)에 프리프레그 시트를 사용하고, 외측층(25)에 1매의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겹쳐서 사용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측층(2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 및 15에 나타내듯이 내측층(23)은 메인 패턴(52)을 맨드럴(6)에 권회하여 제작된다. 메인 패턴(52)은 장대축선(41)에 대해 경사지는 상태로 끌어 맞춘 강화 섬유(42)에 열강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시트를 낚싯대용 장대(21)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50)와 맨드럴(6)의 둘레 길이(몇 둘레 길이)에 상당하는 폭(51)을 구비한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재단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재단한 메인 패턴(52)을 메인 패턴(52)의 맨드럴(6)에 대향하는 측면(53)을 맨드럴(6)의 축선(49)에 평행한 자세로 한 상태로 권회함으로써 내측층(23)을 형성한다.
강화 섬유(42)가 장대축선(41)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는 10°~80°이고, 바람직하게는 30°~60°이다.
외측층(2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내듯이 길이 방향을 따라 끌어 맞춘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42)에 매트릭스 수지로서의 에폭시 수지 등의 열강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세폭의 프리프레그 테이프(70)를 형성한다. 그 프리프레그 테이프(70)를 내측층(23)의 위로부터 장대축선(41) 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다.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는 상태는 그 프리프레그 테이프(70)의 세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접촉하는 밀착 상태이다. 이와 같이, 프리프레그 테이프(70)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함으로써 외측층(25)이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내듯이 내측층(23)의 프리프레그 시트(sheet)(52)의 강화 섬유(42)와 외측층(25)의 프리프레그 테이프(70)의 강화 섬유(42)가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또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역방향 나선 모양으로 권회되어 있다.
교차하는 각도는 10°~75°의 범위에 있으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20°~60°이다. 다만, 프리프레그 테이프(70)의 강화 섬유(42)는 프리프레그 시트(52)의 강화 섬유(42)에 대해서 장대축선(41)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원칙이다.
이와 같이, 내측층(23)의 프리프레그 시트(52)와 외측층(25)의 프리프레그 테이프(70)를, 이들의 강화 섬유(42)가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고, 서로 역방향으로 권회됨으로써, 제1 발명에 대응한 작용 효과의 항에서 기재한 것처럼 비틀림 강성이 높은 기능을 확보할 수가 있다.
강화 섬유(42)로서는 탄소 섬유 이외에 유리 섬유 및 보론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열강화성 수지로서는 페놀 수지 등이 사용 가능하다. 함침시키는 수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42)로서는 탄소 섬유로 메인 패턴에 20~60톤/㎜2의 인장 탄성률의 것을 사용하게 된다.
외측층(25)의 외주면에는 장식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장식층은 수지 도료를 붓칠하는 방법이나 분사 방법에 의해 도포하거나 장식 원료를 물리 증착이나 화학 증착에 의해 박막 형상으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
(1) 내측층(23)으로서의 프리프레그 시트(52)의 강화 섬유(42)의 방향을 우권 방향으로 권회하고 있지만, 좌권 방향으로 권회하여도 좋다. 따라서, 외측층(25)으로서의 프리프레그 테이프(70)의 강화 섬유(42)의 방향을 우권 방향으로 권회한다.
(2) 내측층(23)과 외측층(25)의 사이에 중간층으로서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42)를 끌어 맞춘 프리프레그 시트를 배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42)를 끌어 맞춘 프리프레그 시트를 배치함으로써, 물고기가 바늘에 걸려 낚싯대(27)가 하향으로 구부러짐을 일으킨 경우에, 각 낚싯대용 장대(21)의 장대축선(41)보다 상측 부분과 관련되는 인장력에 대한 대항력을 높일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제작한 낚싯대용 장대(21)를 사용하여 비틀림 강도 테스트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재하여 설명한다.
강도 테스트로 사용한 낚싯대용 장대(21)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발명품과 종래 기술의 항에서 설명한 종래품이다. 발명품은 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재한 낚싯대용 장대(21)이다. 한편, 종래품은 내측층(23)과 외측층(25)으로서 모두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사용하여 이들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42)가 장대축선(41)에 대해 경사지는 상태에서 또한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동일 방향으로 권회된 것이 사용된다.
측정 장치(60)로서 다음과 같은 것으로 행하였다. 도 19에 나타내듯이 낚싯대용 장대(21)를 좌우에 간격 S(도면 상에서 61)로 배치한 고정 디스크(59)와 회전 디스크(56)로 끼워 넣어 지지한다. 회전 디스크(56)의 외주면에 환상홈(57)을 형성하고, 환상홈(57)에 측정용의 와이어(wire)(58)를 장착하고, 측정 와이어(58)의 일단을 회전 디스크(56)에 고정하고, 타단을 회전 디스크(56)와 함께 회전시켜 인출해 간다.
이 인출량(비틀림량)과 인출력(비트는 힘)으로 발명품과 종래품의 비틀림 강성을 평가한다.
비틀림 강성 GIp에 관련하는 강도으로서는 비열각 θ/S가 있고, 그 비열각은 다음의 식으로 나타내진다.
비열각은,
(θ/S)=(360°/2Π)×(T/IpG) (1)
 T : 비틀림 모멘트, Ip : 극단면(極斷面) 2차 모멘트, G : 횡탄성 계수, θ : 비틀림각(도면 상에서 63), S : 고정 디스크(59)와 회전 디스크(56)의 간격(도면 상에서 61)으로서 표현된다.
비틀림 모멘트 T는,
T=P×R  (2)
 P : 비트는 힘(인장력), R : 회전 디스크 반경(도면 상에서 62)으로서 표현된다.
 비틀림량 H는,
H≒R×θ  (3)
 H : 비틀림량으로서 표현된다.
상기한 수식 (1)에 수식 (2) 및 수식 (3)을 대입하여 비틀림 강성 GIp의 식이 산출된다.
GIp≒(2Π/360°)×(SR2)×(P/H)≒(정수)×(P/H)
으로 표현되고, 비틀림 강성 GIp는 상기한 비트는 힘 P와 비틀림량 H의 관계식의 기울기로서 나타내진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상기한 것 같은 수식을 기초로 하여 비트는 힘 P를 가했을 경우에, 회전 디스크(56)가 회전하여 측정 와이어(58)의 인출 길이(비틀림량 : H)를 측정하고, 비틀림 강성 GIp를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했다.
여기서 사용된 측정 장치(60)의 수치는 S=340㎜, R=150㎜이다.
도 20에서는 오른쪽 비틀림을 가했을 경우의 발명품과 종래품의 테스트 결과이다. 이 경우에는 발명품도 종래품보다 약간 양호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고, 비트는 힘이 12N(뉴톤)을 넘는 수치로 되었을 경우에 측정 와이어(58)가 25㎜ 정도 인출되는 비틀림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종래품의 강화 섬유(42)의 권회 방향이 비틀림 방향과 일치하는 것이면, 발명품과 종래품의 비틀림 강성에 있어서 차이는 적다고 할 수 있다.
도 21에 나타내듯이 반대 방향으로부터의 비틀림(왼쪽 비틀림)을 가하면, 발명품과 종래품은 상황이 다르다. 즉, 발명품에서는 오른쪽 비틀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트는 힘이 14N 근처로 되면, 측정 와이어(58)가 25㎜ 정도 인출되는 비틀림 상태를 나타낸다.
그러나, 종래품의 경우에는 비트는 힘이 8N에 못 미친 상태에서 측정 와이어(58)가 25㎜ 정도 인출되는 비틀림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비틀림 강성이 낮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종래품에 있어서는, 반대 방향으로부터의 비트는 힘이 작용했을 경우에는, 비틀림 강성이 큰 폭으로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강화 섬유(42)의 권회 방향이 비틀림 방향과 반대 방향이면, 도 21에 나타내듯이 종래품에서는 비틀림 강성이 큰 폭으로 저하하고 있다. 이에 반해 발명품은 강화 섬유(42)의 권회 방향이 왼쪽 비틀림에 대응할 수 있는 것과 오른쪽 비틀림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의 양쪽 모두의 것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종래품과 같이 비틀림의 방향에 의해 비틀림 강성이 다르다고 하는 것은 적다.
또, 작용 효과의 항에서 옆으로 도망가는 물고기를 쉽게 떠오르게 한 점에 대해 언급했지만, 그 쉽게 떠오르게 한 것에 대해서 필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 필드 테스트에서는 종래품과 발명품으로 각각 2종류의 낚싯대(27)를 준비하고, 두 명의 필드 테스터(tester)에 의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2종류의 낚싯대(27)는 장치가 낚싯대(27)의 반의 길이밖에 없는, 소위 제등(提燈) 낚시를 실시하는 제등 낚시용 낚싯대(27)와 장치가 낚싯대(27)보다 긴 장치 부착 낚싯대(27)이다.
각각의 낚싯대(27)로 두 명의 필드 테스터(73, 74)가 12마리의 물고기를 낚아 올리고, 낚아 올린 물고기의 중량과 물고기를 떠오르게 하는데 요하는 시간을 계측하고, 시간을 중량으로 나누어 최대 및 최소를 버리고 나머지의 수치를 평균한 것이고, 낚싯대(27)의 강화 섬유(42)의 권회 상태에 의해, 어떠한 낚싯대(27)가 물고기를 쉽게 떠오르게 한 것인가를 검증했다.
그 결과를 도 22에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하면 제등 낚시용 낚싯대(27)와 낚싯대(27)의 장치의 길이의 차이에 따라 물고기를 떠오르게 하는데 요하는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발명품의 쪽이 물고기를 쉽게 떠오르게 한다고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제2 발명에 대응한 실시 형태)
제2 발명에 대응한 낚싯대용 장대(21)의 제작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3번 장대(3)로부터 원간(5) 등의 비교적 큰 직경의 낚싯대용 장대(21) 또는 더 대형어의 낚시에 적절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장식층을 형성하기 전의 낚싯대용 장대(21)에, 다음에 적은 것 같은 최외측층(81)을 권회하여, 제1 실시 형태의 낚싯대용 장대(21)와는 별개의 낚싯대용 장대(21)를 형성하는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제1 실시 형태의 낚싯대용 장대(21)의 외측층(25)의 위로부터 더, 최외측층(81)을 형성하여 새로운 낚싯대용 장대(21)를 형성한다.
최외측층(81)은 내측 부분을 형성하는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1)와 외측 부분을 형성하는 외측 메인 패턴(72)을 권회함으로써,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시한 낚싯대용 장대(21)와는 별개의 낚싯대용 장대(21)를 형성한다.
도 17에 나타내듯이 최외측층(81)의 내측 부분으로서의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1)는 길이 방향을 따라 끌어 맞춘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42)에 매트릭스 수지로서의 에폭시 수지 등의 열강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세폭의 테이프로서 형성된다.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1)를 외측층(25)으로서의 프리프레그 테이프(70)의 위로부터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다.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는 상태는 그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1)의 세폭 방향의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접촉하는 밀착 상태이다. 이와 같이,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1)를 나선 모양에 우권함으로써, 내측에 위치하는 프리프레그 테이프(70)의 강화 섬유(42)와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1)의 강화 섬유(42)는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고, 서로 역방향으로 권회되므로 비트는 힘에 대한 대항력이 높다.
다만,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1)의 강화 섬유(42)는 프리프레그 테이프(70)의 강화 섬유(42)에 대해서 장대축선(41)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원칙이다.
도 18에 나타내듯이 최외측층(81)의 내측 부분으로서의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1)의 외측에 최외측층(81)의 외측 부분으로서의 외측 메인 패턴(72)을 권회한다. 외측 메인 패턴(72)은 장대축선(41)에 대해 경사지는 상태로 끌어 맞춘 강화 섬유(42)에 열강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외측 프리프레그 시트를 낚싯대용 장대(21)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53)와 맨드럴(6)의 둘레 길이(몇 둘레 길이)에 상당하는 폭(54)을 구비한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재단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재단한 외측 메인 패턴(72)을 그 외측 메인 패턴(72)의 맨드럴(6)에 대향하는 측면(55)이 맨드럴(6)의 축선(49)에 대해서 평행한 자세로 되는 상태로 권회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강화 섬유(42)가 장대축선(41)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는 10°~80°이고, 바람직하게는 30°~60°이다.
도 18에 나타내듯이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1)의 강화 섬유(42)와 외측 메인 패턴(72)의 강화 섬유(42)는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또한 역방향으로 권회된다. 교차하는 각도는 10°~75°의 범위에 있으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20°~60°이다. 다만, 외측 프리프레그 시트(10)의 강화 섬유(42)는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1)의 강화 섬유(42)에 대해서 장대축선(41)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원칙이다.
이상과 같이, 2개의 프리프레그 테이프(70, 71)와 2개의 프리프레그 시트(52, 72)가 겹쳐서 권회되어 있지만, 각각의 강화 섬유(42)의 권회 방향은 서로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교차하는 각도는 10°~75°의 범위에 있으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20°~60°이다. 비틀림 모멘트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에서는 2개의 프리프레그 테이프(70, 71)와 2개의 프리프레그 시트(52, 72)의 강화 섬유(42)의 권회 방향에 있어서의 조합에 대해서 기재한다. 이들의 조합은 낚싯대용 장대(21)의 소망의 경도를 얻기 위해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가 있다.
강화 섬유(42)를 장대축선(41) 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가는 상태를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도 14~18에 나타난 권회 방향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1) 프리프레그 시트(52)의 강화 섬유(42)는 「우권 방향」, 프리프레그 테이프(70)의 강화 섬유(42)는 「좌권 방향」,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1)의 강화 섬유(42)는 「우권 방향」, 외측 프리프레그 시트(72)는 「좌권 방향」이다.
상기한 이외에 다음과 같은 권회 방향의 조합이 가능하다.
(2) 프리프레그 시트(52)는 「좌권 방향」, 프리프레그 테이프(70)는 「우권 방향」,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1)는 「우권 방향」, 외측 프리프레그 시트(72)는 「좌권 방향」이라도 좋다.
(3) 프리프레그 시트(52)는 「우권 방향」, 프리프레그 테이프(70)는 「좌권 방향」,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1)는 「좌권 방향」, 외측 프리프레그 시트(72)는 「우권 방향」이라도 좋다.
(4) 프리프레그 시트(52)는 「좌권 방향」, 프리프레그 테이프(70)는 「우권 방향」,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1)는 「좌권 방향」, 외측 프리프레그 시트(72)는 「우권 방향」이다.
(5) 상기한 것 같은 프리프레그 시트(52), 프리프레그 테이프(70),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1), 외측 프리프레그 시트(72)의 권회 방향은 낚싯대용 장대(21)의 비틀림 강성이나 구부러짐 강성의 정도, 및 이들과 관련되는 장대 상태에 필요한 형태를 적당하게 채용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권회한 외측 프리프레그 시트(72)의 외측에 장식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여 낚싯대용 장대(21)를 형성한다.
제2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
외측층(25)의 프리프레그 테이프(70)와 최외측층(81)의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1)의 사이에, 또는 최외측층(81)의 내측 부분인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71)와 최외측층(81)의 외측 부분인 외측 프리프레그 시트(72)의 사이에,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42)를 끌어 맞춘 프리프레그 시트를 배치해도 좋다. 이 프리프레그 시트로서는 복수매 겹친 것이라도 좋다.
제3 실시 형태(제3 발명에 대응한 실시 형태)
낚싯대용 장대(21)의 제작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수선간(1)으로부터 2번 장대(2) 등의 비교적 작은 직경의 낚싯대용 장대(21)에 적용되는 것으로, 내측층(23)과 외측층(25)으로 구성하고, 내측층(23)과 외측층(25)에 각각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사용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측층(2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길이 방향을 따라 끌어 맞춘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42)에 매트릭스 수지로서의 에폭시 수지 등의 열강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세폭의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8)를 형성한다. 그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8)를 맨드럴(6)에 대해서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우권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다.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는 상태는 맨드럴(6)에 권회된 그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8)의 세폭 방향의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접촉하는 밀착 상태이다. 이와 같이,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8)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함으로써 내측층(23)을 형성한다.
외측층(2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길이 방향을 따라 끌어 맞춘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42)에 매트릭스 수지로서의 에폭시 수지 등의 열강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세폭의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9)를 형성한다. 그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9)를 내측층(23)의 위로부터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좌권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다.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는 상태는 그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9)의 세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접촉하는 밀착 상태이다. 이와 같이,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9)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함으로써 외측층(25)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내측층(23)의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8)와 외측층(25)의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9)는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또한 역방향으로 권회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프리프레그 테이프(8, 9)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강화 섬유(42)도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또한 역방향으로 권회되어 있다.
교차하는 각도는 10°~75°의 범위에 있으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20°~60°이다.
이와 같이,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8)와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9)를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는 상태로 또한 역방향으로 권회하는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제1 발명에 대응한 작용 효과의 항에서 기재한 것처럼 비틀림 모멘트등에 대한 강도를 확보할 수가 있다.
강화 섬유(42)로서는 탄소 섬유 이외에 유리 섬유 및 보론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열강화성 수지로서는 페놀 수지 등이 사용 가능하다. 함침시키는 수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42)로서는 탄소 섬유로 메인 패턴에 20~60톤/㎜2의 인장 탄성률의 것을 사용하게 된다.
제3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
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8)를 맨드럴(6)에 권회하기 전에, 미리, 프리프레그 시트제의 메인 패턴을 권회하여, 그 메인 패턴의 위로부터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8)를 권회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여기에, 메인 패턴이라는 것은 프리프레그 시트를 낚싯대용 장대(21)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와 맨드럴(6)의 둘레 길이(몇 둘레 길이)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것으로 재단한 것이다.
제4 실시 형태(제4 발명에 대응한 실시 형태)
낚싯대용 장대(21)의 제작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3번 장대(3)로부터 원간(5) 등의 비교적 큰 직경의 낚싯대용 장대(21)에 적절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내측층(23), 중간층(24), 외측층(25)으로 구성하고, 내측층(23)과 외측층(25)에 각각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사용하고, 중간층(24)에 프리프레그 시트를 사용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맨드럴(6)에 대해서 제1 구권(口卷) 보강 패턴(7)을 실시하고 있다. 제1 구권 보강 패턴(7)은 장대축선(41)에 대해서 제1 경사각(28)만큼 경사시켜 끌어 맞춘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42)에 대해서, 매트릭스 수지로서의 에폭시 수지 등의 열강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상측 프리프레그(31)와, 강화 섬유(42)의 끌어 맞춤 방향을 상측 프리프레그(31)의 강화 섬유(42)와 장대축선(41)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하여 형성한 하측 프리프레그(31)를 중합한 바이어스식(bias type) 중합체이다.
내측층(2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듯이 길이 방향을 따라 끌어 맞춘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42)에 매트릭스 수지로서의 에폭시 수지 등의 열강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세폭의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3)를 형성한다. 그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3)를 제1 구권 보강 패턴(7)을 실시한 맨드럴(6)에 대해서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우권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다.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는 상태는 맨드럴(6)에 권회된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3)의 세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접촉하는 밀착 상태이다. 이와 같이,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3)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함으로써 내측층(23)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층(2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듯이 메인 패턴(11)은 장대축선(41)을 따라 끌어 맞춘 강화 섬유(42)에 열강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시트를 낚싯대용 장대(21)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43)와 맨드럴(6)의 둘레 길이(몇 둘레 길이)에 상당하는 폭(44)을 구비한 소정 형상으로 재단한 것이다. 메인 패턴(11)을 맨드럴(6)에 권회함으로써 중간층(24)을 구성한다.
외측층(2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듯이 길이 방향을 따라 끌어 맞춘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42)에 매트릭스 수지로서의 에폭시 수지 등의 열강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세폭의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4)를 형성한다. 이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4)를 중간층(24)의 위로부터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좌권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다.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는 상태는 중간층(24)에 권회된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4)의 세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접촉하는 밀착 상태이다. 이와 같이,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4)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함으로써 외측층(25)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층(23)의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3)와 외측층(25)의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4)는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서로 역방향으로 권회되어 있고, 각 프리프레그 테이프(13, 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강화 섬유(42)에 대해서도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서로 역방향으로 권회되어 있다.
교차하는 각도는 10°~75°의 범위에 있으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20°~60°이다. 비틀림 모멘트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4)를 권회한 후에 제1 간고(竿尻) 보강 패턴(10)을 권회한다. 제1 간고 보강 패턴(10)은 상측 프리프레그(32)와 하측 프리프레그(32)를 중합한 바이어스식 중합체이다. 상측 프리프레그(32)는 장대축선(41)에 대해서 제2 경사각(29)만큼 경사시켜 끌어 맞춘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42)에 대해서 에폭시 등의 열강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것이다. 하측 프리프레그(32)는 강화 섬유(42)의 끌어 맞춤 방향을 상측 프리프레그(32)의 강화 섬유(42)에 대해서 장대축선(41)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바이어스식의 제1 간고 보강 패턴(10)을 실시함으로써, 원상(4)의 간고측 단부의 외주면을 원간(5)의 간선측 단부의 내주면에 압접시켜 진출간(振出竿)을 신장 상태로 유지한 경우에, 강화 섬유(42)를 장대축선(41)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그러한 강화 섬유(42)가 장대축선(41)을 따른 하중, 및 장대축선(41)에 직교하는 하중뿐만 아니라, 장대축선(41)에 경사지는 하중에 대해서도 대항력을 발휘하여 맞댐 부위에서의 대전단력(對剪斷力)을 강화한다.
강화 섬유(42)로서는 탄소 섬유 이외에 유리 섬유 및 보론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열강화성 수지로서는 페놀 수지 등이 사용 가능하다. 함침시키는 수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42)로서는 탄소 섬유로 메인 패턴에 20~60톤/㎜2의 인장 탄성률의 것, 보강 패턴에 10~40톤/㎜2의 인장 탄성률의 것을 사용하게 된다.
제4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
메인 패턴(11)으로서는 강화 섬유(42)를 둘레 방향으로 끌어 맞추어 배치한 프리프레그를 사용해도 좋다.
제5 실시 형태(제5 발명에 대응한 실시 형태)
다음에, 3번 장대(3)로부터 원간(5)에 대응한 큰 직경의 낚싯대용 장대(21)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내측층(23), 중간층(24), 외측층(25)으로 구성하고, 내측층(23)과 외측층(25)에 각각 2매의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겹쳐서 사용하고, 중간층(24)에 2매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겹쳐서 사용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듯이 맨드럴(6)에 제2 구권 보강 패턴(12)을 실시한다. 제2 구권 보강 패턴(12)은 상측 프리프레그(33)와 하측 프리프레그(33)를 중합한 바이어스식의 보강 프리프레그이다. 프리프레그에 사용되는 강화 섬유(42)의 방향이 장대축선(41)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각(47)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2 구권 보강 패턴(12)은 프리프레그를 구성하는 강화 섬유(42), 강화 섬유(42)의 장대축선(41)에 대한 경사 방향, 매트릭스 수지 등을 제1 구권 보강 패턴(12)과 동일하게 설정해도 좋고, 혹은 다른 것으로 설정해도 좋다.
다음에, 내측층(23)을 형성한다. 도 9에 나타내듯이 제2 구권 보강 패턴(12)의 위로부터 세폭의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7)를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우권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다.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는 상태는 권회된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7)의 세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접촉하는 밀착 상태이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듯이 맨드럴(6)에 권회된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7)의 위로부터 제2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8)를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다.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는 상태는 제2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8)의 인접하는 부분끼리의 측단이 접촉하는 밀착 상태이다.
내측층(23)은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7)와 제2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8)로 구성하지만, 이들의 권회 상태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7)와 제2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8)는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서로 역방향으로 권회되어 있고, 각 프리프레그 테이프(17, 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강화 섬유(42)에 대해서도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서로 역방향으로 권회하는 상태이다.
교차하는 각도는 10°~75°의 범위에 있으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20°~60°이다. 비틀림 모멘트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중간층(2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제1 메인 패턴(15) 및 제2 메인 패턴(16)을 맨드럴(6)에 권회함으로써 중간층(24)을 구성한다. 제1 메인 패턴(15) 및 제2 메인 패턴(16)은 장대축선(41)을 따라 끌어 맞춘 강화 섬유(42)에 열강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시트를 낚싯대용 장대(21)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45)와 맨드럴(6)의 둘레 길이(몇 둘레 길이)에 상당하는 폭(46)을 구비한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한 것이다.
제1 메인 패턴(15) 및 제2 메인 패턴(16)으로서는 프리프레그를 구성하는 강화 섬유(42), 매트릭스 수지 등을 메인 패턴(11)과 동일하게 설정해도 좋고, 혹은 다른 것으로 설정해도 좋다.
즉, 도 11에 나타내듯이 제1 메인 패턴(15) 및 제2 메인 패턴(16)의 강화 섬유(42)의 끌어 맞춤 방향을 장대 축선방향을 따른 상태로 배설한다.
이와 같이 하면, 물고기가 걸려 낚싯대(27)가 크게 구부러진 경우에, 장대의 단면에 있어서 장대축선(41)보다 상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큰 인장력이 작용하지만, 이 인장력에 대해서 강화 섬유(42)가 대항력을 발휘하므로 낚싯대(27)의 구부러짐에 대한 구부러짐 강도를 높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양쪽 모두의 프리프레그 시트(15, 16)로 낚싯대(27)의 구부러짐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가 있으므로, 구부러짐 강성이 높은 낚싯대(27)를 구성할 수가 있다.
제1 메인 패턴(15)과 제2 메인 패턴(16)의 조합으로서는, 일방의 메인 패턴의 강화 섬유(42)를 장대축선(41) 방향을 따른 배치로 하고, 또한, 타방의 메인 패턴의 강화 섬유(42)를 둘레 방향을 따른 배치로 해도 좋다.
혹은, 양자의 강화 섬유(42)를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지는 권회 상태로 형성해도 좋다.
또,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키는 점으로부터 말해 왔지만, 관점을 바꾸어 보면, 강화 섬유(42)의 인장 탄성률이나 메인 패턴의 겹침 매수를 적당하게 선택함으로써 낚싯대용 장대(21)의 휘기 쉬움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즉, 딱딱한 상태의 낚싯대용 장대(21)로 하는데는 인장 탄성률의 큰 강화 섬유(42)를 선택하거나 도시한 것처럼 제1 메인 패턴(15)과 제2 메인 패턴(16)을 중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연조자(軟調子)의 낚싯대용 장대(21)로 하는데는 인장 탄성률이 작은 강화 섬유(42)를 선택하거나 제1 메인 패턴(15)만을 권회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외측층(25)을 형성한다. 도 12에 나타내듯이 중간층(24)의 위로부터 세폭의 제1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9)를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좌권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다.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는 상태는 권회된 제1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9)의 세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접촉하는 밀착 상태이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내듯이 중간층(24)에 권회된 제1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9)의 위로부터 제2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20)를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우권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다.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는 상태는 제2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20)의 세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접촉하는 밀착 상태이다.
제2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20)를 권회한 후에 제2 간고 보강 패턴(21)을 권회한다. 즉, 제2 간고 보강 패턴(21)은 상측 프리프레그(26)와 하측 프리프레그(26)를 중합한 바이어스식 중합체이다. 상측 프리프레그(26)는 장대축선(41)에 대해서 제4 경사각(48)만큼 경사시켜 끌어 맞춘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42)에 대해서 에폭시 등의 열강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것이다. 하측 프리프레그(26)는 강화 섬유(42)의 끌어 맞춤 방향을 상측 프리프레그(26)의 강화 섬유(42)와 장대축선(41)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하여 형성한 것이다.
외측층(25)은 제1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9)와 제2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20)로 구성하지만, 이들의 권회 상태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제1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9)와 제2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20)는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서로 역방향으로 권회되어 있고, 각 프리프레그 테이프(19, 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강화 섬유(42)에 대해서도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서로 역방향으로 권회되어 있다.
교차하는 각도는 10°~75°의 범위에 있으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20°~60°이다. 비틀림 모멘트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내측층(23)의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7)와 제2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8), 외측층(25)의 제1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9)와 제2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20)의 관계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상기한 것처럼 내측층(23)에서는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7)와 제2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8)는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권회되어 있고, 각 프리프레그 테이프(17), 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강화 섬유(42)에 대해서도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권회되어 있다.
상기한 것처럼 외측층(25)에서는 제1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9)와 제2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20)는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권회되어 있고, 각 프리프레그 테이프(19, 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강화 섬유(42)에 대해서도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서로 역방향으로 권회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4개의 프리프레그 테이프(17, 18, 19, 20)의 나선권회 방향에 있어서의 조합에 대해서 기재한다. 이들의 조합은 낚싯대용 장대(21)의 소망의 경도를 얻기 위해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가 있다.
프리프레그 테이프(17, 18, 19, 20)를 장대축선(41) 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가는 상태를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권회 방향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1)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7)는 「우권 방향」, 제2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8)는 「좌권 방향」, 제1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9)는 「좌권 방향」, 제2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20)는 「우권 방향」이다.
상기한 이외에 다음과 같은 권회 방향의 조합이 가능하다.
(2)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7)는 「우권 방향」, 제2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8)는 「좌권 방향」, 제1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9)는 「우권 방향」, 제2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20)는 「좌권 방향」이라도 좋다.
(3)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7)는 「좌권 방향」, 제2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8)는 「우권 방향」, 제1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9)는 「좌권 방향」, 제2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20)는 「우권 방향」이라도 좋다.
(4)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7)는 「좌권 방향」, 제2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8)는 「우권 방향」, 제1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19)는 「우권 방향」, 제2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20)는 「좌권 방향」이다.
(5) 상기한 것 같은 프리프레그 테이프(17~20)의 권회 방향은 낚싯대용 장대(21)의 비틀림 강성이나 구부러짐 강성의 정도, 및 이들과 관련되는 장대 상태에 필요한 형태를 적당하게 채용할 수가 있다.
제5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
(1) 제1 구권 보강 패턴(7)과 아울러, 간고측단의 상당 위치에,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간고측 보강 패턴을 설치해도 좋다.
(2) 간선단부 및 간고단부의 보강을 도모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제1 구권 보강 패턴(7)과 아울러 간고측 보강 패턴에 대해서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상, 5개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해 왔지만, 여기서, 이들에 실시 형태를 포함시킨 낚싯대용 장대(21)의 강도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으므로, 그 테스트 결과를 여기서 기재한다. 테스트품은 5개 준비되어 있다.
No1은 내측층(23) 및 외측층(25)이 모두 강화 섬유(42)를 둘레 방향으로 배치한 프리프레그 시트로 이루어지는 메인 패턴으로 구성된 낚싯대용 장대(21)이다. 후기하는 표 1, 2에서는 최내층 및 최외층 모두 둘레 방향 S로 표시한다.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42)를 배치하고, S는 시트를 의미한다.  
No2는 내측층(23)이 강화 섬유(42)를 둘레 방향으로 배치한 프리프레그 시트로 이루어지는 메인 패턴으로 구성되고, 외측층(25)이 강화 섬유(42)를 둘레 방향으로 배치한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우권(정방향)을 따른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 것으로 구성된 낚싯대용 장대(21)이다. 후기하는 표 1, 2에서는 최내층을 둘레 방향 S로 표시하고, 최외층을 우권 T로 표시한다. 최내층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42)를 배치하고, S는 시트를 의미한다. 또, 최외층에서는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우권 방향으로 권회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No3은 내측층(23) 및 외측층(25)이 모두 강화 섬유(42)를 둘레 방향으로 배치한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우권(정방향)을 따른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 것으로 구성된 낚싯대용 장대(21)이다. 후기하는 표 1, 2에서는 최내층을 둘레 방향 S로 표시하고, 최외층을 오른쪽 나사 T로 표시한다. 최내층 및 최외층 모두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우권 방향으로 권회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No4는 내측층(23)이 강화 섬유(42)를 둘레 방향으로 배치한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좌권(역방향)을 따른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 것으로 구성되고, 외측층(25)이 강화 섬유(42)를 둘레 방향으로 배치한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우권(정방향)을 따른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 것으로 구성된 낚싯대용 장대(21)이다. 후기하는 표 1, 2에서는 최내층을 좌권 T로 표시하고, 최외층을 우권 T로 표시한다. 최내층에서는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좌권 방향으로 권회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최외층에서는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우권 방향으로 권회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No5는 내측층(23)이 강화 섬유(42)를 둘레 방향에 대해서 약간 경사진 상태로 배치한 프리프레그 시트로 이루어지는 메인 패턴으로 구성되고, 외측층(25)이 강화 섬유(42)를 둘레 방향으로 배치한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우권(정방향)을 따른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 것으로 구성된 낚싯대용 장대(21)이다. 후기하는 표 1, 2에서는 최내층을 경사 S로 표시하고, 최외층을 우권 T로 표시한다. 최내층에서는 둘레 방향에 대해서 조금 경사지는 강화 섬유(42)를 배치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배치하고, S는 시트를 의미한다. 또, 최외층에서는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우권 방향으로 권회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들의 테스트 결과를 다음의 표에 의해 설명한다.
표 1에 있어서는, 낚싯대용 장대(21)에 오른쪽 비틀림을 가한 상태에서의 파괴 강도 등을 측정하고 있다.
Figure pct00001
표 2에 있어서는, 낚싯대용 장대(21)에 왼쪽 비틀림을 가한 상태에서의 파괴 강도 등을 측정하고 있다.
Figure pct00002
상기 측정 결과를 평가하면, 그 측정 결과에 있어서 주목해야할 데이터는, 비틀림에 대항하는 강성 Nm/rad이다. 최내층(23) 및 최외층(25) 모두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42)를 배치한 프리프레그 시트로 견딜 수 있는 종래품(No1)에 비해 최내층(23)에 둘레 방향의 강화 섬유(42)를 배치한 프리프레그 시트로 구성하고, 최외층(25)에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우권(정방향)을 따른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 것으로 구성한 개량품(No2)은 0.22(좌우 비틀림 방향값의 평균)/0.16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고, 약 41%의 강성값의 향상이 보이고 있다.
이에 반해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본 발명품(No4)에 있어서는, 또한 개량품(No2)에 비해 0.31(좌우 비틀림 방향값의 평균)/0.22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고, 약 34%의 향상이 보인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
본 발명의 구성은, 장대의 외주면에 낚싯줄 가이드를 단 호수 낚싯대, 선박 낚싯대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낚싯줄 가이드를 장대 체내에 구비하는 중통간(中通竿)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진출간뿐만이 아니라 병계간(竝繼竿) 및 인로(in-low) 계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6)

  1. 내측층과 외측층을 구비한 낚싯대용 장대로서,
    상기 내측층을, 장대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강화 섬유를 끌어 맞추어 배치한 프리프레그 시트로 이루어지는 메인 패턴을 상기 강화 섬유가 장대축선에 대해 경사지는 상태로 되도록 권회하여 형성하고,
    상기 외측층을, 길이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를 끌어 맞춘 세폭의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그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세폭 방향의 단부끼리가 밀착하는 상태로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하고,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의 강화 섬유와 상기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가,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또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역방향 나선 모양으로 권회되도록,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와 상기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권회하고 있는 낚싯대용 장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층의 더 외측에 최외측층을 설치하고, 상기 최외측층을, 길이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를 끌어 맞춘 세폭의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그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세폭 방향의 단부끼리가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밀착하는 상태로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한 내측 부분과, 장대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강화 섬유를 끌어 맞추어 배치한 외측 프리프레그 시트로 이루어지는 외측 메인 패턴을 상기 강화 섬유가 장대축선에 대해 경사지는 상태로 되도록 권회하여 형성한 외측 부분을 중합시켜 형성하고,
    상기 최외측층의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와 상기 최외측층의 외측 프리프레그 시트의 강화 섬유가,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또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역방향 나선 모양으로 권회되도록, 상기 최외측층의 외측 프리프레그 시트와 상기 최외측층의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권회하고 있는 낚싯대용 장대.
  3. 내측층과 외측층을 구비한 낚싯대용 장대로서,
    상기 내측층을, 길이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를 끌어 맞춘 세폭의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그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세폭 방향의 단부끼리가 밀착하는 상태로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하고,
    상기 외측층을, 길이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를 끌어 맞춘 세폭의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그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세폭 방향의 단부끼리가 밀착하는 상태로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하고,
    상기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와 상기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가,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또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역방향 나선 모양으로 권회되도록, 상기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와 상기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역방향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고 있는 낚싯대용 장대.
  4. 내측층과 중간층과 외측층을 구비한 낚싯대용 장대로서,
    상기 내측층을, 길이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를 끌어 맞춘 세폭의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그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세폭 방향의 단부끼리가 밀착하는 상태로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하고,
    상기 중간층을, 장대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강화 섬유를 끌어 맞추어 배치한 프리프레그 시트로 이루어지는 메인 패턴을 권회하여 형성하고,
    상기 외측층을, 길이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를 끌어 맞춘 세폭의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그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세폭 방향의 단부끼리가 밀착하는 상태로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밀착하는 상태로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하고,
    상기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와 상기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가,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또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역방향 나선 모양으로 권회되도록, 상기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와 상기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교차하도록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역방향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고 있는 낚싯대용 장대.
  5. 내측층과 중간층과 외측층을 구비한 낚싯대용 장대로서,
    상기 내측층을, 길이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를 끌어 맞춘 세폭의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밀착하는 상태로 나선 모양으로 권회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에 중합시키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를 끌어 맞춘 세폭의 제2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밀착하는 상태로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하고,
    상기 중간층을, 장대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강화 섬유를 끌어 맞추어 배치한 프리프레그 시트로 이루어지는 제1 메인 패턴과, 상기 제1 메인 패턴의 위로부터 장대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강화 섬유를 끌어 맞추어 배치한 프리프레그 시트로 이루어지는 제2 메인 패턴을 권회하여 형성하고,
    상기 외측층을, 길이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를 끌어 맞춘 세폭의 제1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밀착하는 상태로 나선 모양으로 권회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를 끌어 맞춘 세폭의 제2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장대 축선방향을 따라 밀착하는 상태로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1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와 상기 제2 내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이들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가,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여 역방향으로 권회되도록, 또한 상기 제1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와 상기 제2 외측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이들 프리프레그 테이프의 강화 섬유가, 직경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여 역방향으로 권회되어 있는 낚싯대용 장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낚싯대용 장대를 구비한 낚싯대.
KR1020117030665A 2009-06-23 2009-09-17 낚싯대용 장대 및 낚싯대 KR101275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48838A JP5626747B2 (ja) 2009-06-23 2009-06-23 釣り竿用竿体及び釣り竿
JPJP-P-2009-148838 2009-06-23
JP2009161953A JP5522990B2 (ja) 2009-07-08 2009-07-08 釣り竿用竿体及び釣り竿用竿体を備えた釣り竿
JPJP-P-2009-161953 2009-07-08
PCT/JP2009/066309 WO2010150421A1 (ja) 2009-06-23 2009-09-17 釣り竿用竿体及び釣り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822A true KR20120023822A (ko) 2012-03-13
KR101275358B1 KR101275358B1 (ko) 2013-06-17

Family

ID=4338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665A KR101275358B1 (ko) 2009-06-23 2009-09-17 낚싯대용 장대 및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10014B2 (ko)
KR (1) KR101275358B1 (ko)
CN (1) CN102802408B (ko)
WO (1) WO20101504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2223B2 (ja) * 2011-10-05 2015-12-1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
JP6164835B2 (ja) * 2012-12-25 2017-07-19 株式会社シマノ 釣竿用竿体とそれを備えた釣竿並びに釣竿用竿体の製造方法
KR101606859B1 (ko) 2014-07-16 2016-03-28 주식회사 은성사 보강 프리프레그 시트를 이용한 문양 형성 낚싯대용 장대
JP6616582B2 (ja) * 2015-03-31 2019-12-0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装飾層を備える管状体および管状体に装飾層を形成する方法
CN105034401A (zh) * 2015-06-11 2015-11-11 东阳市富士碳素制品有限公司 一种碳纤维无缝钓竿及其制造方法
CN114568399B (zh) * 2018-06-28 2023-08-11 古洛布莱株式会社 具有安装了安装部件的竿体的钓竿
JP7138523B2 (ja) * 2018-09-21 2022-09-16 株式会社シマノ 釣竿及び竿体
JP7138524B2 (ja) * 2018-09-21 2022-09-16 株式会社シマノ 釣竿及び竿体
JP7198727B2 (ja) * 2019-06-04 2023-01-04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JP7193440B2 (ja) * 2019-11-20 2022-12-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り用品用の湾曲体
EP4175469A1 (en) * 2020-07-02 2023-05-10 Penicka, Robert Fishing rod and method for attaching line guides, tip tops and accessories to a rod blank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8886A (ko) 1973-10-20 1975-06-09
JPS5832570B2 (ja) * 1975-09-25 1983-07-14 トクノウ トモトシ キヨウカプラスチツクツリザオノ セイゾウホウ
JPH029621A (ja) 1988-06-29 1990-01-12 Shimano Ind Co Ltd 釣竿の製造法
KR0111961Y1 (en) * 1994-01-12 1997-12-23 Wonder Co Ltd Fishing rod
JP2807970B2 (ja) * 1994-08-10 1998-10-08 株式会社シマノ 中通し竿及びその製造方法
JP4302220B2 (ja) * 1999-01-06 2009-07-22 株式会社シマノ 管状体
JP3652154B2 (ja) 1999-01-28 2005-05-2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実竿杆を使用した継式釣竿
JP2001009924A (ja) 1999-06-25 2001-01-16 Shimano Inc 管状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1190185A (ja) * 2000-01-07 2001-07-17 Ryobi Ltd 釣竿の穂先
JP2003144016A (ja) * 2001-11-13 2003-05-20 Shimano Inc 竿体の製造方法
TWI266607B (en) * 2002-05-01 2006-11-21 Shimano Kk Fishing rod
ITBO20040474A1 (it) * 2004-07-27 2004-10-27 Luca Pirazzini Elemento tubolare in materiale composito a base di fibra di carbonio
JP4784968B2 (ja) 2005-03-11 2011-10-0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用の竿体
JP2006288343A (ja) * 2005-04-14 2006-10-26 Shimano Inc 釣り竿用の竿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614277B2 (ja) * 2005-05-18 2011-01-19 株式会社シマノ 振出竿
JP2007020498A (ja) * 2005-07-19 2007-02-01 Shimano Inc 穂先竿
JP5142259B2 (ja) * 2007-10-18 2013-02-13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用竿体及び釣り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5358B1 (ko) 2013-06-17
US20120174467A1 (en) 2012-07-12
CN102802408B (zh) 2014-12-03
WO2010150421A1 (ja) 2010-12-29
CN102802408A (zh) 2012-11-28
US9010014B2 (en)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358B1 (ko) 낚싯대용 장대 및 낚싯대
US6811877B2 (en) Reinforcing structure
US20170274603A1 (en) Fiber-reinforced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436772B1 (ko) 낚싯대
JP5661535B2 (ja)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879904B1 (ko) 장대의 제조 방법
US9878225B2 (en) Golf club shaft and golf club using the same
AU2003235976B2 (en) Fishing rod
KR101181251B1 (ko) 낚싯대용 장대 및 낚싯대용 장대의 제조 방법
CN105994205B (zh) 卷线器脚固定装置
JP5843585B2 (ja) 釣り竿
JP2013104511A5 (ko)
JP5522990B2 (ja) 釣り竿用竿体及び釣り竿用竿体を備えた釣り竿
JP5626747B2 (ja) 釣り竿用竿体及び釣り竿
JP5832221B2 (ja) 釣り竿
JP6347585B2 (ja) 穂先竿
JP2016079723A (ja) 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組立構造体
JP5112284B2 (ja) 釣り用スプール
JPS623025Y2 (ko)
JP2006288345A5 (ko)
JP2020157685A (ja) Frp製円筒体および動力伝達軸
JP2014161429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シャフト
KR20060109261A (ko) 낚싯대용 장대 및 그 제조 방법
JP2020005573A (ja) 釣竿の合わせ部構造
JP2021170096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