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515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515A
KR20120022515A KR1020110004374A KR20110004374A KR20120022515A KR 20120022515 A KR20120022515 A KR 20120022515A KR 1020110004374 A KR1020110004374 A KR 1020110004374A KR 20110004374 A KR20110004374 A KR 20110004374A KR 20120022515 A KR20120022515 A KR 20120022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damper
vegetable
vegetable chamber
damp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1434B1 (ko
Inventor
히로토시 와타나베
가즈후미 사사무라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2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결을 방지한 야채실용의 댐퍼 장치를 구비하고, 신뢰성이 향상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해결 수단으로서, 단열 칸막이벽에 의해 구획된 야채실과, 그 야채실에 설치된 수납 용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야채실의 상면 후부이며, 또한 상기 수납 용기의 배벽보다 후방에 설치된 야채실 냉기 토출구와, 그 야채실 냉기 토출구에 설치되어서 상기 야채실로의 냉기 공급량을 제어하는 댐퍼 장치를 구비하고, 그 댐퍼 장치는, 냉기 통로를 개폐하는 플래퍼를 갖는 댐퍼 케이스와, 공간을 두고 상기 댐퍼 케이스를 덮는 댐퍼 케이스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배경기술로서, 일본국 특개평8-303931호 공보(특허문헌 1) 및 일본국 실공평6-18177호 공보(특허문헌 2)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단열 케이싱과, 구획벽에 의해 위에서부터 냉장실, 냉동실, 야채실로 구획되고, 냉각기와, 송풍 장치에 의해 냉기를 순환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에 냉기를 보내는 풍로(風路)를 상기 야채실까지 연통시킨 냉동냉장고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야채실에 연통하는 풍로의 구획벽부에 댐퍼 장치를 설치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야채실의 야채 케이스 내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센서와, 이 습도 센서의 검출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서 야채 케이스의 케이스 밖으로 통하는 연통구를 개폐하는 야채 케이스 댐퍼와, 야채 케이스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이 온도 센서의 검출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서 야채실 내로의 냉기 송풍구를 개폐하는 야채실 댐퍼를 구비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8-303931호 공보 일본국 실공평6-1817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댐퍼 장치는, 구획벽 내에 있음으로써, 냉각기를 거친 냉기의 영향을 받아서, 냉동 온도대(溫度帶)까지 냉각된다. 이 상태에서 풍로 내에 야채실 온도대의 공기가 들어오면, 온도차에 의해, 댐퍼 장치 및 풍로 내에 결로(結露)가 생긴다. 결로수(結露水)는, 풍로 내에 빙괴(氷塊)를 만드는 것 외에, 댐퍼 장치를 동작 불가능하게 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야채실 댐퍼는, 야채실 전용 덕트의 냉기 송풍구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야채실 댐퍼 자체가 냉각기를 거친 냉기에 의해 직접 냉각되게 된다. 이 때문에, 야채실 도어를 열었을 때, 야채실 내에 흘러드는 난기(暖氣)의 온도차에 의해, 야채실 댐퍼에 다량의 결로수가 발생하고, 결과로서 동결할 우려가 있다. 또한, 구동 모터에 큰 전류가 흘러, 모터 코일 또는 기계적 구동부에 가해져서, 파손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동결을 방지한 야채실용의 댐퍼 장치를 구비하고, 신뢰성이 향상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한다. 본원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복수 포함하고 있지만, 그 일례를 들자면, 단열 칸막이벽에 의해 구획된 야채실과, 그 야채실에 설치된 수납 용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야채실의 상면 후부(後部)이며, 또한 상기 수납 용기의 배벽(背壁)보다 후방에 설치된 야채실 냉기 토출구와, 그 야채실 냉기 토출구에 설치되어서 상기 야채실로의 냉기 공급량을 제어하는 댐퍼 장치를 구비하고, 그 댐퍼 장치는, 냉기 통로를 개폐하는 플래퍼(flapper)를 갖는 댐퍼 케이스와, 공간을 두고 상기 댐퍼 케이스를 덮는 댐퍼 케이스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결을 방지한 야채실용의 댐퍼 장치를 구비하고, 신뢰성이 향상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로서, 도어를 제외한 요부 설명도.
도 2는 도 1의 댐퍼 장치 설치부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댐퍼 장치 설치부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1의 댐퍼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댐퍼 장치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 댐퍼 장치를 조립한 냉장고의 댐퍼 장치 설치부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댐퍼 장치 설치부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야채실 천장면(단열 칸막이벽)에의 댐퍼 장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2와는 다른 댐퍼 장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1) 내는, 제 1 단열 칸막이벽(2), 제 2 단열 칸막이벽(3)에 의해 저장 공간이 구획되어 있다. 저장 공간은, 위에서부터 냉장실(4), 냉동실(5), 야채실(6)의 순서로 상이한 온도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저장실의 전면(前面) 개구는,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냉장실 도어, 냉동실 도어, 야채실 도어에 의해 각각 폐쇄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 본체(1)는, 그 외에도 예를 들면 제빙실, 급냉동실, 온도전환실 등을 갖고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부호 7은 고내(庫內) 냉기 순환 팬이다. 고내 냉기 순환 팬(7)은, 냉각기(8)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각각의 저장실에 강제 순환한다. 즉, 이 고내 냉기 순환 팬(7)에 연결되는 냉기 덕트, 또한 각 저장실에 설치된 댐퍼 장치(9, 11), 온도 검출기(도시하지 않음) 등을 따라, 냉동실(5)에는 주체적으로 냉기가 보내진다. 또한, 냉장실(4), 야채실(6)은 냉동실(5)에 비해 온도대가 높으므로, 종속적으로 냉기가 보내진다.
다음으로, 부호 10은 냉기를 야채실(6)에 안내하는 냉기 덕트이다. 냉기 덕트(10)는, 냉동실(5)의 배부(背部) 등을 통해, 제 2 단열 칸막이벽(3)을 관통해서 야채실 냉기 토출구(10a)가 야채실(6)에 임해 있다.
이 야채실 냉기 토출구(10a)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는, 후술하는 연직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수납 용기의 투영면으로부터 벗어난 야채실의 천장면 후부이다. 즉, 수납 용기의 배벽보다 후방에 야채실 냉기 토출구(10a)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11은 댐퍼 장치이다. 이 댐퍼 장치(11)는, 야채실(6) 내의 온도를, 예를 들면 0℃?5.0℃로 유지하도록 냉기 유입량을 제어한다. 이 때문에, 댐퍼 장치(11)는 온도 검출기(12)의 검지 온도에 의거하여, 냉기 덕트(10) 내의 냉기를 야채실(6)에 불어내는 플래퍼(상세한 것은 후술함)를 개폐한다. 또한, 후술하는 댐퍼 장치(11)의 냉기 유입구(25)는, 야채실 냉기 토출구(10a)에 기밀(氣密)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댐퍼 장치(11)의 냉기 유입구(25)와 야채실 냉기 토출구(10a)를 직접 접속하고 있지만, 스페이서 또는 어댑터 등을 개재해서 부착해도 된다. 이 경우, 치수 또는 형상이 다른 복수의 기종에 대응해서 부품을 공용할 수 있다.
통상, 압축기(13) 및 고내 냉기 순환 팬(7)은, 냉동실(5) 내를 -18℃로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 및 회전수로 운전된다. 이 압축기(13) 및 고내 냉기 순환 팬(7)이 운전되고 있는 동안에, 냉장실(4), 야채실(6)은 필요한 양의 냉기를 각각 도입받아서, 소정 온도, 예를 들면, 냉장실(4)이면 1.0℃?5.0℃로, 야채실이면 0℃?5.0℃로 냉각하는 것이다. 이 냉기량의 제어는, 댐퍼 장치(9, 11)의 제어에 의해 행해진다.
환언하면, 야채실(6)에 냉기를 도입하는 냉기 덕트(10) 내(야채실 냉기 토출구(10a)까지의 구간)에는 냉기가 흐르고 있고, 그것이 댐퍼 장치(11) 내의 플래퍼(20)에 의해 야채실(6) 측으로 유출하는 것을 막고 있다.
또한, 댐퍼 장치(11)는, 저부 후방을 들어올려서 만들어진 단차부(33)와 제 2 단열 칸막이벽(3)이 만드는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 즉, 야채실(6)의 하부 후방에는, 전측(前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기계실(51)을 갖고, 이 기계실(51)에 압축기(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계실(51) 위쪽의 야채실(6)의 후방 공간에, 댐퍼 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댐퍼 장치(11)는, 야채실(6)의 후방에서 제 2 단열 칸막이벽(3)에 의해 형성되는 야채실 상면(3a)에 부착된다. 이 댐퍼 장치(11)의 위치는, 종래, 수납 용기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던, 소위 무효 공간에 설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냉기 덕트(10)의 야채실 냉기 토출구(10a)는, 이 무효 공간에 임해 있다.
부호 14는, 냉각기(8)의 하부에 설치된 제상(除霜; 성에 제거) 히터이다. 부호 15는, 제상 히터(14)로 냉각기(8)를 제상한 제상수(除霜水)를 받는 홈통이다. 부호 16은, 홈통(15)에 고이는 제상수를 기계실(51) 내에 설치된 제상수 받이부(17)에 도수(導水)하는 배수 파이프이다.
부호 18은, 제 2 단열 칸막이벽(3) 내에 설치된 야채실(6)의 냉기 반환 통로이다. 이 냉기 반환 통로(18)는, 야채실 상면(3a)을 형성하는 제 2 단열 칸막이벽(3)의 전부(前部)에 설치된 흡입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흡입된 냉기를, 냉각기(8)에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즉, 댐퍼 장치(11)로부터 불어나온 냉기가, 야채실(6) 내의 야채 등의 수납물을 냉각한 후, 야채실(6)의 상부 전방의 흡입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냉기 반환 통로(18) 내로 흡입되어서, 냉각기(8)로 반환된다.
다음으로, 도2, 도3, 도4를 이용해서 댐퍼 장치(11)의 구성을 설명한다. 댐퍼 장치(11)는, 구동 모터(19), 플래퍼(20) 등을 갖는 댐퍼 케이스(21)와, 댐퍼 케이스(21)와의 사이에 단열 공간(22)(도 2 참조)을 두고 댐퍼 케이스(21)를 덮는 댐퍼 케이스 커버(23)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단열 공간(22)을 설치하는 이유는, 냉각기(8)를 거친 냉기에 의해 저온으로 되어버리는 댐퍼 케이스(21)의 열이, 댐퍼 케이스 커버(23)에 전해지기 어렵도록, 공기 단열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댐퍼 케이스 커버(23)는, 상면 개구(23a)에서 댐퍼 케이스(21)를 수납한다. 이때, 구동 모터(19) 및 냉기 통로(24)를 개폐하는 플래퍼(20) 등을 내장하는 댐퍼 케이스(2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mm?5mm의 단열 공간(22)을 확보해서 댐퍼 케이스 커버(23) 내에 수납된다.
냉기 통로(24)의 댐퍼 케이스(21) 측의 하단부와, 댐퍼 케이스 커버(23)에 형성된 개구(29)의 사이(L 치수)는, 30mm?100mm 높이의 간격을 마련하고 있다. 이 단열 공간(22)이 있음으로써, 댐퍼 케이스 커버(23)는 공간에 의해 단열되어서 냉각되기 어려워진다.
이들에 의해, 야채실(6)의 도어를 열었을 때에 고내로 유입하는 난기가, 댐퍼 케이스 커버(23)에 접촉하여 결로되는 것을 대폭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댐퍼 케이스 커버(23)는, 댐퍼 케이스(21)에 난기가 유입해서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댐퍼 케이스(21)에 직접 난기가 접촉해서 결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댐퍼 케이스 커버(23)는, 제 2 단열 칸막이벽(3) 측에 설치된 냉기 덕트(10)의 야채실 냉기 토출구(10a)와 댐퍼 장치(11)의 냉기 유입구(25)의 접속을 유지하는 부착부(26)를 갖는다. 이 부착부(26)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단열 칸막이벽(3) 측에 설치된 부착 클로(claw)(36)에 걸림으로써 접속된다.
리드선(27)의 수납부(28)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19) 측으로부터 나가는 리드선(27a)과 냉장고 본체(1) 측으로부터 나가는 리드선(27b)을 접속한 하우징(27c)을 수납한다. 이 하우징(27c)의 수납에 있어서는, 하우징(27c)을 수납부(28)의 공간에 뜨게 하기 위해, 시트(seat)(30a)가 형성된 커버(30)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28) 저부를 막도록 부착된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27c)이 리드선(27a)을 타고 수납부(28)에 들어가는 물방울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호 29는, 댐퍼 케이스 커버(23) 저부에 설치된 개구(냉기 분출구)이다. 이 개구(29)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 케이스 커버(23) 저부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복수의 개구(29)를 합친 면적은, 냉기 통로(24)의 입구측 개구 면적 또는 야채실 냉기 토출구(10a)의 개구 면적 중 어느 한쪽의 작은 쪽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댐퍼 케이스 커버(23) 내에는 플래퍼(20)를 데우기에 충분한 야채실내 공기가 들어간다. 플래퍼(20)는, 이 공기로 데워져서, 플래퍼(20)의 결로수가 동결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결로수의 동결로 플래퍼(20)가 기능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외기 온도 등이 떨어져서, 플래퍼(20)의 동결이 걱정되는 사용 환경이 상정될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은 용량의 가열 히터(50)를 플래퍼(20)의 근방에 설치하여, 냉기 반환 통로(18)에 설치된 가열 히터(44)에 의한 가열이 부족할 경우나, 그 밖의 필요에 따라 통전해서 가온하면 된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가열 히터(50)는, 댐퍼 케이스(21) 상부를 데워서, 플래퍼(20)의 동결을 방지한다. 가열 히터(50)를 설치하는 경우는, 가열 히터(44)의 가열 출력을 작은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식품에의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야채실(6) 내에는, 수납 용기인 상단 용기(31)와 하단 용기(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단 용기(31), 하단 용기(32)는, 야채실(6)의 도어의 인출에 의해, 야채실(6) 측에 설치된 레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야채실(6)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단 용기(31), 하단 용기(32) 내에 수납되는 야채 등의 수납물은, 수분을 증산(蒸散)한다. 그 때문에, 냉기가 직접 불어닥치지 않도록 연구되고 있다. 이를 위한 수단이 야채실(6) 내의 수납물을, 상단 용기(31) 및 하단 용기(32)의 외측으로부터 간접적으로 냉각해서, 수납물에 냉기가 직접 불어닥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 케이스 커버(23)에 설치되는 개구(29)의 위치를, 하단 용기(32)의 플랜지부(32a)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해서, 냉기가 하단 용기(32) 내에 들어가지 않는 위치로 하고 있다. 또한, 개구(29)로부터 나온 냉기는, 상단 용기(31) 저면에 설치된 냉기 가이드 리브(31a)와, 하단 용기(32)의 플랜지부(32a)가 대향해서 극간을 좁힘으로써, 이 부분으로부터의 냉기 침입이 제한된다. 이것은, 개구(29)가 전후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게 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개구(29)로부터 불어나온 냉기는, 단차부(33)의 방향으로 불어나오고, 단차부(33)에 불어닥친 후, 이 단차부(33)가 형성하는 경사면(33a)을 따라 흐르고, 하단 용기(32) 저부측으로 흘러서, 상단 용기(31), 하단 용기(32) 내의 식품을 간접적으로 냉각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냉기 통로(24)의 댐퍼 케이스(21) 측의 하단부와, 댐퍼 케이스 커버(23)에 형성된 개구(29)의 사이(L 치수)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이 L 치수는, 상술한 대로, 30mm?100mm 높이의 간격을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개구(29)로부터 불어나오는 냉기는, 하단 용기(32)의 아래쪽에 집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단 용기(32) 저면 측으로의 냉기 유도가 용이해져서, 수납물(야채)을 간접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즉, 댐퍼 케이스 커버(23)에 설치된 개구(29)로부터 불어나온 냉각기(8)를 거친 냉기는, 하단 용기(32)의 후면을 냉각하고, 도 2의 화살표와 같이 저면을 냉각한다. 이렇게, 상단 용기(31), 하단 용기(32)의 주위면을 냉각한 후, 냉기 반환 통로(18)를 거쳐서 냉각기(8)에 반환된다.
다음으로 도 5, 도 6을 참조하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도 6은, 도 2의 댐퍼 장치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 댐퍼 장치를 조립한 냉장고의 댐퍼 장치 설치부의 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만 설명한다.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댐퍼 케이스(21)는, 냉기 통로(24)의 상단에 단열재(39)로 덮인 이음 파이프(34)를 갖고 있다. 이 이음 파이프(34)가, 제 2 단열 칸막이벽(3) 측의 냉기 덕트(10)의 야채실 냉기 토출구(10a)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이 이음 파이프(34)는, 미리 댐퍼 장치(11)에 설치해둬도 되지만, 냉기 덕트(10)의 야채실 냉기 토출구(10a) 측에 접속한 후에, 댐퍼 장치(11)를 접속해도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설치 구조를 취하는 목적은, 작업성의 개선이다. 즉, 야채실(6)의 후방 안쪽 부분에 댐퍼 장치(11)를 조립하는 작업은, 냉장고 본체(1)의 깊이가 깊어질 수록, 야채실(6) 전면(前面) 측으로부터 부착부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어려워진다. 특히, 야채실(6)의 야채실 상면(3a)에 직접 댐퍼 장치(11)를 조립하는 것에 있어서는, 야채실 상면(3a)에 가로막혀서, 접속부의 주변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빠진다.
그래서, 이음 파이프(34)를 이용함으로써, 이 작업을 용이한 것으로 한 것이다. 즉, 이음 파이프(34)와 냉기 덕트(10)의 야채실 냉기 토출구(10a)의 접속 작업, 및 이음 파이프(34)와 댐퍼 장치(11)의 접속 작업은, 접속부의 주변이 보이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서, 야채실 천장면(단열 칸막이벽)에의 댐퍼 장치 부착 구조를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댐퍼 장치(11)는, 제 2 단열 칸막이벽(3)이 만드는 야채실 상면(3a)에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되어 있다. 즉, 댐퍼 장치(11)와 야채실 상면(3a)의 사이에, 시일(seal)재(35)를 끼우고, 냉기 덕트(10)의 야채실 냉기 토출구(10a) 내에 댐퍼 장치(11)의 냉기 유입구(25)를 아래로부터 꽂은 상태에서, 제 2 단열 칸막이벽(3) 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부착 클로(36)에, 부착부(26)를 걸리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변이 잘 보이지 않아, 작업성이 나쁜 장소여도, 댐퍼 장치(11)는 야채실 상면(3a)에 아래로부터 간단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시일재(35)에 손상을 주지 않고 작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도 2의 댐퍼 장치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 댐퍼 장치를 조립한 냉장고의 댐퍼 장치 설치부의 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만 설명한다.
도 8의 댐퍼 장치(11)는, 제 2 단열 칸막이벽(3)이 만드는 경사면(3b)에,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댐퍼 장치(11)를 육안관찰하면서 시일재(35)를 끼우고, 냉기 덕트(10)의 야채실 냉기 토출구(10a) 내에 댐퍼 장치(11)의 냉기 유입구(25)를 비스듬히 아래쪽으로부터 슬라이드시키지 않고 꽂을 수 있다. 그후, 제 2 단열 칸막이벽(3) 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부착 클로(도시하지 않음) 등에, 부착부(도시하지 않음)를 걸리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변이 잘 보이지 않아, 작업성이 나쁜 장소여도, 댐퍼 장치(11)는 야채실 상면(3a)에 시일재(35)를 개재시켜서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기 덕트(10) 측을 변형시켜둘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단열 칸막이벽에 의해 구획된 냉동실 및 야채실과, 그 야채실에 설치된 수납 용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야채실의 상면 후부이며, 또한 상기 수납 용기의 배벽보다 후방에 설치한 야채실 냉기 토출구와, 그 야채실 냉기 토출구에 설치되어서 상기 야채실로의 냉기 공급량을 제어하는 댐퍼 장치를 구비하고, 그 댐퍼 장치는, 냉기 통로를 개폐하는 플래퍼를 갖는 댐퍼 케이스와, 공간을 두고 상기 댐퍼 케이스를 덮는 댐퍼 케이스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냉동실 온도로 차가워진 냉기가 댐퍼 장치(11) 내에 유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플래퍼(20)를 개폐하는 구동 모터(19)를 덮는 댐퍼 케이스(21)는, 단열 공간(22)을 두고 댐퍼 케이스 커퍼(23)에 의해 덮여서, 댐퍼 케이스(21)에 난기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댐퍼 케이스(21)에 결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댐퍼 장치(11) 내가 야채실(6)의 고습 공간에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플래퍼면(20a)(야채실측)에 결로될 우려가 있지만, 동결하는 것은 방지된다. 또한, 야채실(6)의 도어를 개방했을 때 등에 댐퍼 장치(11)에 부착되는 결로수의 양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납 야채를 상하게 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 외에, 구동 모터 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댐퍼 장치(11)는, 구동 모터(19) 및 냉기 통로(24)를 개폐하는 플래퍼(20) 등을 갖는 댐퍼 케이스(21)를, 그 댐퍼 케이스(21)와 단열 공간(22)을 두고 수납하는 댐퍼 케이스 커버(23)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2 단열 칸막이벽(3) 측에 설치된 냉기 덕트 야채실 냉기 토출구(10a)와 댐퍼 장치(11)의 냉기 유입구(25)를 접속하기 위한 부착부(26), 구동 모터(19)에 급전하는 리드선(27a, 27b)의 수납부(28), 플래퍼(20)를 거친 냉기를 하단 용기(32)의 저면측에 불어내는 용도의 개구(29) 등을 구비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댐퍼 장치(11)를 야채실(6) 내에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하단 용기(32)의 저면측으로의 냉기 유도가 용이해져서, 용기 내의 식품(야채)을 간접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댐퍼 케이스 커버(23)에 설치된 냉기 불어내기용의 개구(29)의 개구 면적은, 냉기 덕트 야채실 냉기 토출구(10a)의 개구 면적, 또는, 댐퍼 장치(11)의 냉기 유입구(25)의 개구 면적의 어느 한쪽의 작은 쪽의 면적보다 크게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댐퍼 케이스 커버(23) 내에는 플래퍼면(20a)을 따뜻하게 하는 야채실 내 공기가 들어가서, 플래퍼면(20a)을 동결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냉장고 본체(1)의 저부 배면에 기계실(51)이 위치하고, 야채실(6) 내의 저부 후방에는 단차부(33)가 형성되며, 이 단차부(33)와 제 2 단열 칸막이벽(3) 사이의 공간에 댐퍼 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간은, 종래는 사용되고 있지 않았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이며, 그 공간에 야채실(6)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댐퍼 장치(11)를 설치함으로써, 야채실(6)의 식품 수납 용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야채실(6)의 도어에 설치된 상하 2단의 수납 용기가, 레일(도시 생략) 등을 사용해서 야채실(6)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야채실용의 댐퍼 장치(11)의 냉기 불어내기용의 개구(29)는, 하단 용기(32)의 상면 개구보다 아래쪽에 위치해 있다. 이것에 의해, 하단 용기(32)의 저면 측으로의 냉기 유도가 용이해져서, 수납 용기(상단 용기(31), 하단 용기(32)) 내의 식품을 간접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야채나 과일의 수분 증산에 의한 손상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댐퍼 케이스(21)가 수납된 댐퍼 케이스 커버(23)는, 제 2 단열 칸막이벽(3)에 설치된 부착 클로(36) 등에 댐퍼 케이스(21)의 부착부(26)가 걸림으로써 고정된다. 따라서, 야채실(6) 상면 안쪽 부분에 댐퍼 케이스(21)의 부착 작업을 행할 때, 개재하는 시일재(35) 등을 손상시키지 않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야채실 도어 개방시 등에 댐퍼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결로수의 양을 대폭 저감할 수 있고, 플래퍼면(야채실측)에 결로되었을 경우에도, 그것이 동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동결했다고 해도 결로수의 양이 대폭 저감되어 있음으로써, 동결 부분을 작은 힘으로 박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1 : 냉장고 본체
3 : 제 2 단열 칸막이벽
3a : 야채실 상면
3b, 33a : 경사면
4 : 냉장실
5 : 냉동실
6 : 야채실
9, 11 : 댐퍼 장치
10 : 냉기 덕트
1Oa : 야채실 냉기 토출구
12 : 온도 검출기
13 : 압축기
14 : 제상 히터
18 : 냉기 반환 통로
19 : 구동 모터
20 : 플래퍼
21 : 댐퍼 케이스
22 : 단열 공간
23 : 댐퍼 케이스 커버
23a : 상면 개구
24 : 냉기 통로
25 : 냉기 유입구
26 : 부착부
27a, 27b : 리드선
27c : 하우징
28 : 수납부
29 : 개구(냉기 분출구)
30 : 커버
30a : 시트
31 : 상단 용기(수납 용기)
31a : 냉기 가이드 리브
32 : 하단 용기(수납 용기)
32a : 플랜지부
33 : 단차부
34 : 이음 파이프
35 : 시일재
36 : 부착 클로
50 : 가열 히터
51 : 기계실

Claims (6)

  1. 단열 칸막이벽에 의해 구획된 야채실과, 그 야채실에 설치된 수납 용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야채실의 상면 후부(後部)이며, 또한 상기 수납 용기의 배벽(背壁)보다 후방에 설치된 야채실 냉기 토출구와, 그 야채실 냉기 토출구에 설치되어서 상기 야채실로의 냉기 공급량을 제어하는 댐퍼 장치를 구비하고,
    그 댐퍼 장치는, 냉기 통로를 개폐하는 플래퍼(flapper)를 갖는 댐퍼 케이스와, 공간을 두고 상기 댐퍼 케이스를 덮는 댐퍼 케이스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케이스는, 상기 야채실 냉기 토출구와 상기 댐퍼 장치의 상기 냉기 통로를 접속하는 부착부와, 상기 플래퍼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에 급전하는 리드선 수납부와, 상기 플래퍼를 거친 냉기를 상기 수납 용기의 저면측에 불어내는 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케이스의 상기 개구는, 상기 야채실 냉기 토출구의 면적 또는 상기 댐퍼 장치의 상기 냉기 통로의 입구측 면적의 어느 한쪽의 작은 쪽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야채실의 하부 후방에 전측(前側)으로 볼록해지도록 설치된 기계실과, 그 기계실에 설치된 압축기를 갖고,
    상기 기계실의 위쪽의 상기 야채실의 후방 공간에 상기 댐퍼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는 하단 용기와, 그 하단 용기 위의 상단 용기를 갖고, 상기 댐퍼 장치의 상기 개구는 상기 하단 용기의 위쪽 개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케이스 커버의 상기 부착부는, 상기 단열 칸막이벽 측에 설치된 부착 클로(claw)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10004374A 2010-07-30 2011-01-17 냉장고 KR101251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71299 2010-07-30
JP2010171299A JP5639811B2 (ja) 2010-07-30 2010-07-30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515A true KR20120022515A (ko) 2012-03-12
KR101251434B1 KR101251434B1 (ko) 2013-04-05

Family

ID=4554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374A KR101251434B1 (ko) 2010-07-30 2011-01-17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39811B2 (ko)
KR (1) KR101251434B1 (ko)
CN (1) CN1023459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7237B2 (ja) * 2012-08-01 2017-02-08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5989466B2 (ja) * 2012-09-05 2016-09-07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5989467B2 (ja) * 2012-09-05 2016-09-07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2014062669A (ja) * 2012-09-20 2014-04-10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JP6081872B2 (ja) * 2013-06-21 2017-02-15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JP6373053B2 (ja) * 2014-04-30 2018-08-1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ダンパ装置
JP6989312B2 (ja) * 2017-07-13 2022-01-0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ダンパ装置
CN111256407A (zh) * 2020-01-20 2020-06-09 澳柯玛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回风控制的风道结构及冰箱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813Y2 (ko) * 1980-06-18 1988-03-07
JPS6259360A (ja) * 1985-09-09 1987-03-16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JPS6446555A (en) * 1987-08-12 1989-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ler for refrigerator
JPH04371778A (ja) * 1991-06-21 1992-12-24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3291346B2 (ja) * 1993-02-23 2002-06-10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
US5460010A (en) * 1993-02-23 1995-10-24 Sanyo Electric Co., Ltd. Refrigerator
JPH07218120A (ja) * 1994-01-26 1995-08-18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JPH07260316A (ja) * 1994-03-28 1995-10-13 Matsushita Refrig Co Ltd 冷凍冷蔵庫
JPH08303931A (ja) * 1995-04-28 1996-11-22 Matsushita Refrig Co Ltd 冷凍冷蔵庫
JPH10205967A (ja) * 1997-01-17 1998-08-04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H10292971A (ja) * 1997-04-18 1998-11-04 Hitachi Ltd 冷蔵庫
JP2002090026A (ja) * 2000-09-20 2002-03-27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
JP2005172303A (ja) * 2003-12-09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WO2005057104A1 (ja) * 2003-12-09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冷蔵庫
JP2006308259A (ja) * 2005-05-02 2006-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冷蔵庫
JP4221402B2 (ja) * 2005-09-09 2009-02-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2008070015A (ja) * 2006-09-13 2008-03-27 Toshiba Corp 冷蔵庫
JP5573014B2 (ja) * 2008-06-19 2014-08-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2010060187A (ja) * 2008-09-03 2010-03-18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39811B2 (ja) 2014-12-10
KR101251434B1 (ko) 2013-04-05
JP2012032067A (ja) 2012-02-16
CN102345956B (zh) 2014-05-21
CN102345956A (zh)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434B1 (ko) 냉장고
KR101278994B1 (ko) 냉장고
AU2018372734A1 (en) Ice maker-integrated refrigerator
JP2012002394A (ja) 冷蔵庫
US10156394B2 (en) Air flow and drainage system for ice maker
KR20220124925A (ko) 냉장고
JP2531843B2 (ja) 冷蔵庫
JP6255567B2 (ja) 冷蔵庫
CN110513943B (zh) 冰箱
JP3789294B2 (ja) 冷蔵庫
JP2000337748A (ja) 冷蔵庫
JP2005069646A (ja) 冷蔵庫
KR100289599B1 (ko) 냉장고
JP2744145B2 (ja) 冷蔵庫
US20180156527A1 (en) Refrigeration Device Comprising a Flap Motor Compartment and a Motor Compartment Cover
WO2023199553A1 (ja) 冷蔵庫
JP4229941B2 (ja) 冷蔵庫
JPH09159341A (ja) 冷蔵庫
KR200444500Y1 (ko) 서랍식 냉장냉동고
JP3743086B2 (ja) 機械室構造
JPH08105679A (ja) 冷蔵庫
JP4404941B2 (ja) 冷蔵庫
JP2015025590A (ja) 冷蔵庫
JP2002130922A (ja) 冷蔵庫
JP2023155594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