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400A - 모빌 크레인 상의 보조 리프팅 유닛을 조립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모빌 크레인 상의 보조 리프팅 유닛을 조립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400A
KR20120019400A KR1020110084442A KR20110084442A KR20120019400A KR 20120019400 A KR20120019400 A KR 20120019400A KR 1020110084442 A KR1020110084442 A KR 1020110084442A KR 20110084442 A KR20110084442 A KR 20110084442A KR 20120019400 A KR20120019400 A KR 20120019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lifting unit
auxiliary lifting
auxiliar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크 슈뢰더
Original Assignee
매니토웍 크레인 그룹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니토웍 크레인 그룹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매니토웍 크레인 그룹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20019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4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 B66C23/76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and movable to take account of variations of load or of variations of length of ji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리프팅 유닛의 프레임(14)에 장착되고 보조 리프팅 유닛을 크레인에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는 보조 리프팅 유닛 조립 고정부(16, 24, 26)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보조 리프팅 유닛 프레임(10)과 조립 고정부(16, 24, 26), 또는 보조 리프팅 유닛 프레임(10)이나 조립 고정부(16, 24, 26)를 조립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립 유닛(32, 40)으로 이루어지는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10)을 위한 조립 시스템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조립 시스템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적당한 그리고/또는 채택된 보조 구조로 구성되는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10)을 위한 조립 설치 장치와 관련된다.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10)을 위한 다리 지지부와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10)을 조립하는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모빌 크레인 상의 보조 리프팅 유닛을 조립하는 장치{Assembling an auxiliary lifting unit on a mobile crane}
본 발명은 매우 일반적으로 모빌 크레인 상의 보조 리프팅 유닛의 조립에 관련된다. 특히, 본 발명은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에 대한 조립 시스템과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을 다룬다; 추가적으로,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을 위한 다리 지지부가 설명된다.
메인 리프팅 유닛을 보조 또는 지지하기 위한 보조 리프팅 유닛의 사용은 모빌 크레인 구조에서는 잘 알려져 있다. 대부분, 보조 리프팅 유닛들은 크레인에 그들을 조립하기 위해 그리고 필요한 만큼 그들은 적용하기 위해 적용의 어떤 목적들에 따른 분리된 유닛들로서 공급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그런 리프팅 유닛들은 조립 고정부를 가지며, 이들 대부분은 이들의 프레임 부분들에 장착되고 보조 리프팅 유닛을 크레인에 고정하기 위해 적용된다.
지금까지, 보조 리프팅 유닛들은, 이들은 이들의 무게와 이들의 수치들에 의해 힘의 보조로 이동되어져야만 하며, 대부분 이동되어 조립되며, 예로써, 현재 평형추 리프팅 시스템의 도움으로 상승되어 그 후 회전 테이블 리셉테클에 고정된다.
불리하게도, 이러한 접근은 실질적으로 평형추를 움직이도록 디자인 된 리프팅 유닛에 의해 보조 리프팅 유닛의 정확한 적용을 수행하기 위해 운영담당자에 의해 일과 주위의 높은 요구를 수반했다.
이러한 배경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방법 안에서 보조 리프팅 유닛을 조립하는 형태인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뿐만 아니라, 조립 시스템을 공급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조립은 일과 시간과 주위의 상당한 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 목적은 청구항 14에 따른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과 청구항 9에 따르는 조립 설치 장치뿐만 아니라 청구항 1에 따르는 조립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그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시스템은, 보조 리프팅 유닛 조립 고정부를 가지며, 보조 리프팅 유닛의 프레임에 장착되고, 보조 리프팅 유닛을 크레인에 고정하기 위해 작동되며, 보조 리프팅 유닛 프레임과/또는 조립 고정부를 조립 위치안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립 유닛을 가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시스템은 자체 장착 장치와 함께 공급되며, 보조 리프팅 유닛 또는 보조 리프팅 유닛 그 자체의 요구된 부분들을 이동시킬 수 있고, 또는 하나의 위치에 그것들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조립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조립 유닛은 보조 리프팅 유닛 프레임 또는 조립 고정부를 위한 이동 또는 조절 수단으로써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현 조립 유닛은 상당히 덜 포괄적이고 그리고 노동 집약적인 방법 안에서 수행할 수 있는, 심지어는 대부분 자동 또는 반자동 방식인, 그러한 방식 안에서 조립 작업을 지지한다.
평형추 리프팅 시스템은 더 이상 보조 리프팅 유닛 조립 작업을 위해 낭비되거나 이러한 일에 채택되지 말아야 한다. 보조 리프팅 유닛 조립 작업은 빠르고 또한 매우 안전한 방법 안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특별히 자동 또는 반자동 조립 유닛이 생산적으로 항상 동일하고, 정확하게 작동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조립 위치는, 보조 리프팅 유닛 조립 고정부와 연결 고정부 사이에 결합이 발생되고, 특히 주요 리프팅 유닛 상에서, 크레인 상부 구조상에 놓여지는, 크레인 상부 구조의 고정부 위치가 될 수 있다.
물론, 조립 위치는 모빌 크레인 상의 어떤 적당한 위치가 될 수 있고, 거기서 그것은 크레인 형상에 따른 보조 리프팅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의미를 갖는다.
조립 유닛은 방향뿐만 아니라 다른 방법 안에서 작동되거나 행동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보조 리프팅 유닛 프레임과/또는 조립 고정부를 조립 위치로 이동, 위치 변화 또는 이송, 특히, 상방, 하방, 경사진 상방 또는 하방 또는 평행하게 이동시킨다.
더욱이, 다양한 운전과 작동 형태들은 개별적으로 생각할 수 있고, 즉 예를 들면, 전기적, 유압적, 공압적 또는 결합안에서, 여기서 기계적인 운전은 물론 언급된 운전 타입들의 각각 안에서 역할을 하거나 분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오직 하나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기본적으로, 크랭크 작업이나 기어 전송과 같은 수작업으로 작동된 기계적인 운전들은 또한 노동적일 수 있다. 조립 작업이 반복적으로 재생산적인 방법, 특히 “조립 유닛”이라는 용어에 의해 또한 분명해지는 것과 같이, 안에서 이해하기 쉽게 발생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조립 유닛은 보조 구조 엘리먼트로부터 멀리 또는 멀리 떨어지게 보조 리프트 유닛 프레임을 상승시키는 유압 리프팅 실린더 장치를 포함한다.
그러한 보조 구조 엘리먼트는 보조 리프팅 유닛의 일부로 될 수 있다. 매우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서, 보조 리프팅 유닛과 그것의 조립 유닛은 유리하게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고, 즉, 별도의 또는 개별적 그리고 각각 분리 구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시스템의 특성 안에서, 보조 구조 엘리먼트는 지지 베이스 또는 프레임에 장착된 지지 플레이트이고, 특히 조립 유닛 또는 리프팅 실린더 장치를 경유하여 프레임과 연결되며, 이로부터 프레임은 조립 유닛 또는 리프팅 실린더 장치의 수단에 의해 조립 위치로 상승될 수 있다.
즉, 보조 구조 엘리먼트는 그 부분이 될 수 있고, 크레인 부분에 상응하여 놓여지며 그것에 적당하게 형성되고, 반면에 조립 유닛은 보조 리프팅 유닛의 나머지를 보조 구조 구성으로부터 떨어진 조립 위치로 상승시킨다.
여기에서, 조립 유닛 또는 리프팅 실린더 장치를 지지 베이스 또는 지지 플레이트로 압축방지, 특히 장력 방지 및 압축 방지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자(장력 방지 및 압축 방지)의 경우에, 프레임은 보조 구조 구성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강제될 수 없고, 사실, 보조 구조 구성은 조립 작업 후에 프레임으로 당겨질 수 있고, 보조 리프팅 유닛은 그것의 장착 위치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몇몇 다리는 바닥부나 지지 베이스의 측면에 또는 프레임으로부터 멀리 보이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위치되며, 특히 위치 안에서 다리 조절 그리고/또는 위치에 대한 다리 보상이 가능하다.
물론, 이런 다리들은 또한 조립 유닛의 바닥 부분에 즉시 위치될 수 있고, 예로서, 지지 베이스 또는 지지 플레이트가 조립 유닛의 하부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을 위한 조립 설치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로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된 것과 같이 그리고 나아가서 또한 더욱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는 바와 같은 조립 시스템을 포함하며, 그리고 그것은 좀 더 보조 리프팅 유닛 또는 그것의 지지 베이스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적용시키기에 적합 또는 적응되는 보조 구조를 갖는다. 그러한 보조 구조는 다음으로 될 수 있다:
- 최고 장착 평형추 엘리먼트 그리고/또는
- 평형추 지지부 또는 평형추 엘리먼트에 위치된 마운팅 랙.
조립 설치 장치의 디자인 다양성에 따라, 결합 다리 지지부, 특히 다리 리셉터클, 은 보조 구조에, 특히, 평형추 지지부 또는 마운팅 랙 상에, 지지 베이스 또는 지지 플레이트의 다리들을 보조하기 위해 공급된다.
위,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을 위한 다리들 또는 다리 지지부는 이미 몇몇 부분에서 언급되었다.
그러한 다리 지지부는 여기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되고, 그래서 발명적인 유닛을 형성하는 하나의 개별적인 장치와 같으나, 그것은 조립 시스템 또는 조립 설치 장치의 일부분을 구성할 수 있으며, 그들은 위에서 설명되어지고 특히 자세히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어째든, 다리 지지부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보조 리프팅 유닛에 대해 적어도 한 방향 안에서 제한적으로 이동 및/또는 조절이 형성된 다리 지지 엘리먼트를 가진다.
지금까지, 이러한 다리 지지부들은 대부분 개별적으로 현 보조 구조 안에서 수용 홀 안으로 인입될 수 있는 스틸 핀들로 구성된 핀 구성들로 지적된 것과 같이 장착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강체 지지부는 정확한 인입이 요구되기 때문에 매우 경직적이고 조립 작업을 느리고 복잡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만약, 현재 발명에 따름으로써, 보조 리프팅 유닛에 대한 적어도 일방향 안에서 제한된 움직임이 나타난다면, 이미 가능한 공차를 증가시킨 이 방향에 대해 그것의 보조 구조 상에 보조 리프팅 유닛을 제조 및 위치시키는 것 모두에서 발생된다.
이동가능한 조립는 이러한 의미 안에서 구조적인 조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나, 재질 선택으로도 달성될 수 있는 일방향의 조정성과 이동성 모두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다리 지지 엘리먼트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게 디자인 될 수 있고, 특히 그것의 종축에 수직적으로 또는 그것의 부착에 대해 횡축으로 가능하며, 그래서 종축에 수직인 2개 축 안에서의 움직임이 나타난다.
다른 또는 추가적인 가능성은 잠금 가능한 스크류 나사 연결이 될 수 있는 그것의 부착 방향 또는 다리 엘리먼트 종축을 따라 조절될 수 있는 잠금 가능한 지지부를 갖는 보조 리프팅 유닛 또는 지지 베이스 또는 이것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다리 지지 엘리먼트를 장착하는 것이다.
그러한 연결은 단순하고 높은 조정을 가능하게 만든다. 다리 지지 엘리먼트의 이동성 또는 조정성이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고, 왜냐하면 만족될 수 있도록 구성들에 대한 공차가 추가적으로 증가될 수 있고, 기계작업은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인접한 엘리먼트들에 대해, 큰 제조 공차들은 수용될 수 있으며, 예로서, 홀을 수용하는 캐스트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특히 또한 조립 작업 안에서 캐스트 플레이트(보조 구조)가 수직적으로 위치되지 않는 경우에 그렇다.
수용 지점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크레인 드라이버에 더 잘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보다 빠르게 수행될 수 있고, 충분한 설치 공간과 함께, 보조 구조들을 수용하는 것은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지적된 핀 구조들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다.
보조 리프팅 유닛의 프레임에 할당되고 보조 리프팅 유닛을 그레인에 고정시키도록 적용되는 보조 리프팅 유닛 조립 고정부를 갖는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안에서, 보조 리프팅 유닛 또는 그것의 보조 리프팅 유닛 프레임 및/또는 조립 고정부는 조립 위치로 이동되거나, 변위되거나 또는 전달된다.
여기서, 이 움직임, 변위 또는 전달은 보조 리프팅 유닛 프레임 및/또는 조립 고정부를 조립 위치로 이동시키는 보조 리프팅 유닛에 부착된 조립 유닛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다시 이미 조립 시스템과 조립 설치 장치 각각을 기초로 위에서 언급되어진 이러한 이득과 선택적이 특징들을 가진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안에서, 다양한 실시예 안에서, 조립 시스템, 조립 설치 장치 또는 다리 지지부는 조립 안에서 사용되거나 적용될 수 있으며, 그들은 위에서 설명되었고 또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여기에 설명되는 특징들 모두는 합당한 결합 안에서 뿐만 아니라 개별적으로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향상된 방법 안에서 보조 리프팅 유닛을 조립하는 형태인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뿐만 아니라, 조립 시스템을 공급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 내지 4는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리프팅 유닛을 나타냄;
도 5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시스템을 갖는 조립 작동부로서, 리프팅 유닛 조립 시스템에 대한 보조 구조로서 평형추를 가지고, 노출된(exposed) 평형추로부터 평형추로부터 멀리 올려진 보조 리프팅 유닛까지, 주 리프팅 유닛에 조립되며;
도 12 내지 14는 보조 구조로서 마운팅 랙을 사용하는 조립 시스템에 대한 예이며; 그리고
도 15 내지 17은 자유 단면도 안에서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인 본 발명에 따른 다리 지지부를 상세하게 나타냄.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유닛이 장착된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의 몸체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다. 여기에, 도 1은 상부 좌측으로부터의 빗각(oblique) 사시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측면도 및 도 4는 정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보조 리프팅 유닛은 전체적으로 도면번호 10으로 나타낸다. 이하에서 이 도면부호는 계속적으로 도면들에서 사용되며, 또한 동일하거나 최소한 기능상으로 동등한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 보조 리프팅 유닛(auxiliary lifting unit) 10은 스틸 프레임 14를 가지고, 그 안에 로프 윈치(rope winch) 12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전방에, 도 4에서 측면으로 나타나는 상기 윈치 12를 위한 연결 부재 36은 프레임 14로부터 돌출된다.
보조 리프팅 유닛 10은 추가적으로 3개 모듈들을 포함하며, 즉, 조립 고정(assembly fastenings)부 모듈, 조립 유닛(assembly unit) 모듈 그리고 다리 지지(footing support) 모듈이다. 상기 보조 리프팅 유닛은 상기 조립 고정부에 의해 크래인 상부 구조, 예를 들면, 주요 리프팅 유닛(main lifting unit)에 고정되며, 반면 조립 유닛은 조립 고정부에 의해 프레임 안의 조립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점에서 보조 리프팅 유닛 그 자체는, 오직 그것의 프레임 또는 그 밖의 오직 조립 고정부가 매우 일반적으로 조립 위치에 도달되도록 조립 유닛과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들의 결합체는 다시 이동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는 현재 실시예에 기재된다.
도 1 내지 4의 보조 리프팅 유닛이 그것의 작동 위치에서 안정화됨에 의해 조립 고정부는 리프팅 유닛 10의 일측에 위치되고, 이것은 도 1 내지 3에서 정면으로부터 자명하게 보여질 수 있고, 정면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그들은 동일하게 양측 가장자리에 붙어 대향되고, 상부에 돌출부 18을 형성하며, 그것은 양측에서 볼트 16을 보유한다. 바닥에, 이중 돌기 20이 차례로 형성되고, 이것은 사이 공간 22을 형성하며, 볼트 26이 피스톤 실린더 장치 24로부터 그 안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미 언급했듯이, 상기 볼트 16과 26은 상기 보조 리프팅 유닛 프레임 10을 크래인 상부 구조 또는 주요 리프팅 유닛에 고정시키기 위해 적용되며,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 설명된다.
실질적인 기능으로 리프팅 유닛 10의 두번째 모듈은 조립 유닛이고, 이것은 이것의 프레임 14에서 리프팅 유닛 10을 승강시킬 수 있고 조립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이것의 볼트 16과 26은 장착부를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 10의 각 전방측에 위치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은 상기 리프팅 이동을 책임지고, 여기서 실린더는 도면부호 22로 나타내며, 상기 피스톤은 도면부터 40으로 나타낸다. 한편, 실린더는 측면 플레이트34(도 1)를 경유하여 프레임 10에 창착되고, 피스톤 40은 그것의 끝단 38을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 28에 장착되며, 이것은 도 1과 4를 통하여 쉽게 알 수 있다. 실린더 32로부터 피스톤40을 신장시킴에 의해 프레임10은 상기 플레이트 28로부터 상승방향으로 이동되며, 복원(retracting)은 다시 상기 플레이트 28과 프레임 10 사이를 접근되게 한다. 물론, 여기에서 조립 고정부 상의 볼트 26과 16의 높이는 또한 변화되어 이들의 위치들에서 장착부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인 시스템은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보조 리프팅 유닛10의 세번째 모듈은, 도면 1 내지 4에서 자명하게 나타나며, 다리 지지부이고, 이것은 도면 1, 3 그리고 4에서 다리들30과 함께 여기서 실현된다. 상기 다리 지지부와 다리들30은 또한 더욱 상세히 묘사되며; 그들은 하방향으로 경사지고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다리 지지부 엘리먼트를 가지며, 이것은 특히 단순하게 연결 지지부로 인입될 수 있고, 여기에서 큰 공차 및 위치 부정확을 인정하거나 수용할 수 있다. 다리들30은 베이스 플레이트28의 (4개) 모서리에서 바닥부에 형성된다; 그들은 전방측에서 명시적으로 묘사된다. 여기서, 그것은 또한 상기 다리들30 중 오직 적어도 하나가 기본적으로 공차 보상을 위해 탄성적이거나 이동할 수 있거나 조절될 수 있다는 점이 주의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상기 다리들 중 둘, 셋 또는 넷의 형성 가능성이 또한 있고, 즉, 매우 일반적으로 개별적이거나, 복수적이거나 또는 모든 다리들이 본 발명에 따른 다리 지지부의 정의에 따른다.
더욱이, 도 5 내지 11을 토대로, 본 발명을 사용하는 보조 리프팅 유닛에 대한 설치 작업, 그리고 조립 작업이 예를 들어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서, 보조 리프팅 유닛은 상기 조립 작업을 위한 준비를 위해 도 5에서 나타나는 평형추 패키지 44에 위치된다. 상기 평형추 패키지 44는 모빌 크레인의 크레인 언더캐리지42에 놓여지며, 다리 리셉테클들 48을 가진 최상 평형추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오목부는 조립 작업에 대한 보조 구조로 사용된다.
도 6은 보조 리프팅 유닛10이 어떻게 조립 작업을 위한 준비를 위해 최상 평형추 플레이트 46 상에 위치되었는지 그래서 여기서 더 이상 거의 보여지지 않는 상기 다리들이 다리 리셉테클들 48 안으로 인입되어진 것을 보여준다. 상기 동일한 상태가 도면 7에서 반대편으로부터 사시도 안에서 나타내어지며, 여기서 종전에 언급한 다리30은 또한 그것의 다리 지지부에서 도면 부호와 함께 지적된다. 크레인 언더캐리지42에 관련한 방향인 ”전방”은 도 6의 상단 좌측을 자명하게 나타내고 도 7의 하부 오르쪽을 자명하게 나타내며, 그래서 상기 보조 리프팅 유닛10은 전방으로 향하는 크레인 상의 조립 고정부 16, 18, 20, 24를 가진 최상 평형추 엘리먼트 46에 위치된다고 말할 수 있다.
추가적인 조립 작업은 도 8로부터 자명하며, 여기에 도시방향은 다시 도 5와 6의 도시 방향에 대응된다. 도 8에서, 보조 리프팅 유닛10은 아직 최상 평형추 엘리먼트 46에 위치되고, 이것은 도 6과 7에서 보여진 바와 같다. 그러나, 리프팅 유닛 리테이너 50을 갖고, 메인 리프팅 유닛52가 장착되는 크레인 상부 구조48는 후방으로 회전되어 전후방으로 곧게 향하는 크레인 언더캐리지42의 상방에 위치된다. 이 위치에서, 상기 메인 리프팅 유닛52는 하나의 위치로 장착되고, 여기에 그것에 부착된 보조 리프팅 유닛 연결 고정부 54와 56이 조립 고정부 16, 18 그리고 20의 상부에 자유롭게 곧 놓여진다. 연결 고정부 54와 56은 바닥부에서 양측에 부착된 상부 고리 엘리먼트 54와 바닥부에서 양측면에 부착된 캐칭과 센터링 러그들 56을 포함한다. 도 8의 상태에서, 실린더 32가 구비된 피스톤 실린더 유닛, 이러한 조립 유닛, 은 완벽하게 들어가져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플레이트 28의 상부 가까이에 위치된다.
이제, 상기 조립 유닛은 보조 리프팅 유닛10을 메인 리프팅 유닛52로 부착함을 수행함에 따라 구동되며, 그리고 이 단계 이후의 상황은 도 9에서 나타낸다. 조립 유닛의 피스톤 40은 실린더 32로부터 신장되어 베이스 플레이트 28로부터 보조 리프팅 유닛10의 프레임을 상방으로 상승시킨다. 이 작업에서, 한편으로 볼트 16은 메인 리프팅 유닛52(그것의 지지부들18 사이)의 상부 후방측의 고리 54로 인입되며, 다른 한편으로 돌출부 20이 초기에 풀려있지 않은 볼트26와 함께 캡쳐링 과 센터링 러그 56 안의 저면부 양측에 결합(captured)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 26은 다음으로 피스톤/실린더 유닛24(예를 들면 도 1 참고)의 도움(aid)을 받아 인터스페이스 22 안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그리고 중심에 고정된 볼트 연결은 바닥부에서 메인 리프팅 유닛52와 보조 리프팅 유닛10 사이에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들 16, 18 그리고 54는 양측의 상부에서 티핑 안정도를 위해 공급된다.
추가적인 작업 단계 안에서, 이 단계는 도 10에 이미 완성되어 있고, 지금,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28은 조립 유닛, 즉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32, 40의 도움을 받아 현재 고정되도록 장착된 보조 리프팅 유닛10을 향하여 잡아당겨지고, 다리들30은 다리 지지부들 48로부터 분리되며, 이를 통하여 메인 리프팅 유닛52와 보조 리프팅 유닛10 결합체의 자유 회전이 보장된다.
만약, 평형추를 크레인 상부 구조에 부착하는 것이 요구된다면, 피스톤 실린더 유닛58이 도면 11로부터 자명한 바와 같이 적용되어 질 수 있고, 이것은 이것의 고정부 60를 갖는 평형추 패키지에 연결되고 그것을 상방으로 함께 상승시킨다. 여기서, 보조 리프팅 유닛10은 다시 그것의 다리 지지부에 놓여지도록 되고 전체 평형추 패키지는 상부구조 상으로 리프팅 유닛들과 함께 전달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많은 실시예들이 도 12 내지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 8과 9의 개략도와 함께, 보조 리프팅 유닛10은 여기에서 설명되어진 발명적인 실시예 안에서 어떤 높이에 있는 상기 크레인 언더캐리지42 상에 위치될 수 있고, 그래서 메인 리프팅 유닛52는 접근할 수 있고 보조 리프팅 유닛은 조립 유닛과 함께 상승됨에 의해 그것의 결합된 조립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면 5 내지 11의 예에서, 상기 위치된 높이는 대략 최상 평형추 엘리먼트의 높이이고, 그러나 적게 또는 전혀 평형추가 조립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해서, 본 발명을 위한 실시예에 따라, 마운팅 랙은 도면 12에 그러진 바와 같이 공급될 수 있고 도면 부호 64로 나타낼 수 있다. 마운팅 랙64는 평형추 지지부62 상에서 그것의 두개 컬럼66과 함께 놓여지며, 그것은 프레임 68을 지지하고, 여기서 네개의 다리 리셉택클들 70이 상단에서 형성되며, 이것은 적용과 형상에서 지지 리셉테클들48과 유사하고, 이 예는 도 5에 보여진다.
도면 13은 지금 어떻게 보조 리프팅 유닛10이 마운팅 랙46 상에 상응하게 위치되는지, 따라서 조립 작업을 위한 준비가 이미 영향을 받고, 그 다음에 도면 8 내지 10에 보여진 바와 같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형태로 영향을 받고, 여기서 마운팅 랙64는 보조 리프팅 유닛10에 대한 나머지 표면으로서 최상 평형추 플레이트 46의 기능을 부여받는지를 보여준다. 도면 14에서, 마운팅 랙을 가진 몸체가 평형추 없이 완벽하게 작업할 뿐만 아니라, 만약 많은 평형추72가 결합되면, 여기서 이러한 평형추들은 컬럼66의 관통을 위한 오목부분74을 가진다는 것을 마지막이고 추가적으로 보여준다
이미 위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지금, 도면 15와 16의 언급과 함께, 본 발명에 따라서 공급되는 다리 지지부의 다리들이 어떻게 자세히 묘사되는지가 설명된다. 도면 15는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다리 지지부의 4분의 1 절개도를 나타내고, 한편 2분의 1 절개도는 도 16으로부터 자명하게 나타난다.
다리 30은 베이스 플레이트 28의 코너에 부착되고, 여기에 그것의 다리 지지부 엘리먼트 92이 오목부분 또는 평형추 플레이트 46의 다리 리셉테클48에 놓여진다. 상기 다리 지지 엘리먼트92는 탄성적인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이로써, 상대적으로 큰 제작 공차들이 보상될 수 있고, 그리고 복록, 원뿔 다리 지지 엘리먼트 92가 다리 리셉터클48에 상응하게 반대적으로 형성된 오목부분에 들어갈 때 자동적으로 중심이 인입부에 나타난다. 다리 지지 엘리먼트 92와 다리 리셉테클48의 상대적으로 큰 직경에 의해, 보조 리프팅 유닛의 조립 작업 또는 셋업이 빠르게 영향을 받을 수 있고, 또한 수령 지점이 크레인 작업자에 잘 보일일 수 있다. 상기 다리 지지 엘리먼트 92, 이것은 하나의 특별한 고무 스프링 엘리먼트로서 형성될 수 있고, 수평 방향으로 레이디얼 클리어런스 보상뿐만 아니라 위치 부정확에 대한 자동 보상도 공급한다.
다리 지지 엘리먼트 92의 탄성으로부터 위에서 언급한 수평 조절 또는 움직임 결과는 다리 고정부의 종축에 대해 주요하게 수직적으로 작동하며, 이것은 볼트 82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볼트 82는 나사 볼트이고, 이것은 디스크 84 상부에서 머리가 위치되어 슬리브 안에서 중앙으로 지지되며, 상부 반부86과 하부 반부88로 구성되고 양측에서 베이스 플레이트 28를 둘러싼다. 하부 슬리브 반부88의 아래로, 볼트 82는 추가적인 디스크 90을 통과하여 다리 지지 엘리먼트 92로 통과되고, 여기에서 그것은 나사 체결로 유지된다. 디스크 90은 다리 지지 엘리먼트 92(-이것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내측 나사를 낮은 지역에서 볼트82의 외측 나사에 결합하도록 수행한다.)의 탄성 재질에 고정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안에서, 볼트 82를 돌리는 것은 다리 지지 엘리먼트 92와 베이스 플레이트 28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주고 상기 다리 30은 베이스 플레이트 28로부터 볼 때 더 낮아질 수 있거나 상승될 수 있다. 이로부터, 다리 지지 엘리먼트 92 또는 다리 30의 더 많은 움직임과 조절이 그것의 고정되는 길이 방향에서, 또한 볼트의 길이 방향에서 그리고 수평적 고정 평면에 대해 수직적으로 나타난다.
탄성 다리 지지 엘리먼트에 의한 2개의 방향(x, y) 안에서 수평적 기계적인 조절과 움직임 그리고 볼트 82에 의한 높이 조절 z과 함께, 다리30은 이 실시예 안에서 3개의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조절될 수 있고, 따라서 큰 제조 공차를 보상할 수 있고 항상 보조 리프팅 유닛의 적절한 셋업 각을 위해 공급된다. 이 조절은 스크류들, 디스크들 그리고 너트들과 같은 표준 부분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단순한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다; 그것은 큰 조절 범위, 예를들면 +/- 15mm, 를 수직인 수평면과 길이 방향 모두에 또한 공급할 수 있다. 특히, 그림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슬리브 (또는 보스)87은 이것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 방향의 조절은 슬리브 반부86, 87을 회전시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반부86, 87이 보통으로 지향된(oriented) 개구를 갖는 일방향으로 돌면, 볼트82는 이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그 다음 다시 고정된다. 만약 상기 반부86,87이 서로에 대항하여 꼬인다면, 변위는 이미 조절(최적의 변위 보안)을 형성함에 의해 배제된다.
10: 리프팅 유닛 18: 돌출부
16, 26: 볼트 24: 피스톤 실린더 장치
52: 메인 리프팅 유닛 64: 마운팅 랙

Claims (16)

  1. 보조 리프팅 유닛의 프레임(14)에 장착되어 보조 리프팅 유닛을 크레인에 고정하도록 작동되는 보조 리프팅 유닛 조립 고정부(16, 24, 26)와,
    보조 리프팅 유닛(10) 프레임과 조립 고정부(16, 24, 26)를 조립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보조 리프팅 유닛(10) 프레임 또는 조립 고정부(16, 24, 26)를 조립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립 유닛(32, 40)
    에 의해 특징되는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10)을 위한 조립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리프팅 유닛 조립 고정부(16, 24, 26)와 크레인 상부 구조(48)의, 특히 메인 리프팅 유닛(52)의, 연결 고정부(54, 56) 사이의 연결이 일어나는 조립 위치가 크레인 상부 구조(48) 상의 고정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조립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립 유닛(32, 40)은 보조 리프팅 유닛 프레임(10) 및 조립 고정부(16, 24, 26), 또는 보조 리프팅 유닛 프레임(10)이나 조립 고정부(16, 24, 26)를 조립 위치로 이동, 변위 또는 전달시키며, 특히 조립 위치로 상방, 하방, 경사진 상방 또는 하방 또는 평행하게 전달시키는 특징을 갖는 조립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 유닛(32, 40)은 전기적으로, 유압적으로, 공압적으로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운전 및 구동되거나 운전 또는 구동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 유닛은 보조 리프팅 유닛 프레임(10)을 보조 구조 엘리먼트(28)로부터 멀리 또는 멀리 떨어지도록 상승시키는 유압 리프팅 실린더 장치(32, 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조 엘리먼트는 프레임(10)에 연결된 지지 베이스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28)이고, 특히 조립 유닛 또는 리프팅 실린더 장치를 통하여 프레임(10)에 연결되며, 프레임(10)은 조립 유닛 또는 리프팅 실린더 장치에 의해 보조 구조 엘리먼트로부터 조립 위치로 상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립 유닛 또는 리프팅 실린더 장치(32, 40)가 압축방지, 특히 장력 방지 및 압축 방지 방식으로 지지 베이스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28)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복수개의 다리(30)가 바닥부, 지지 베이스의 측면 또는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베이스 플레이트(28), 특히 위치와 위치에 대한 보상, 위치 또는 위치에 대한 보상 안에서 조절될 수 있는 다리 지지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시스템.
  9. 청구항 1에 따른 조립 시스템을 갖고, 보조 리프팅 유닛 또는 그것의 지지 베이스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28)를 위치시키기 위한 적합 적응 보조 구조를 포함하며,
    - 최상 장착 평형추 엘리먼트(46) 및
    - 평형추 지지부(62) 또는 평형추 엘리먼트에 위치되는 마운팅 랙(68),
    이거나
    - 최상 장착 평형추 엘리먼트(46) 또는
    - 평형추 지지부(62) 또는 평형추 엘리먼트에 위치되는 마운팅 랙(68),을 갖는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10)에 대한 조립 설치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결합 다리 지지부, 특히 다리 리셉터클(48)은 보조 구조, 특히 평형추 지지부(62) 또는 마운팅 랙(68), 상에 지지 베이스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28)의 다리들(30)에 보충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설치 장치.
  11. 특히 청구항 1에 따른 조립 시스템용으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다리 지지 엘리먼트 (9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지지 엘리먼트(92)가 보조 리프팅 유닛에 관한 적어도 한 방향 안에서 제한적인 움직임 또는 조절력을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10)을 위한 다리 지지부.
  12. 특히, 청구항 9에 따른 조립 설치 장치용으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다리 지지 엘리먼트 (9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지지 엘리먼트(92)가 보조 리프팅 유닛에 관한 적어도 한 방향 안에서 제한적인 움직임 또는 조절력을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10)을 위한 다리 지지부.
  13.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다리 지지 엘리먼트(92)가 탄성적으로, 특히 그것의 종축에 대해 수직적으로 또는 그것의 부착지점에 대해 교차적으로,변형될 수 있고, 그리고 다리 지지 엘리먼트 (92)는 종축에 교차적으로 변화될 수 있게 부착된, 특히 개구부 또는 슬롯형태의 슬리브(87) 안에 미끄러지게 지지되며, 특히 360도 회전할 수 있는 볼트(82)에 장착되거나,
    다리 지지 엘리먼트(92)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특히 그것의 종축에 대해 수직적으로 또는 그것의 부착지점에 대해 교차적으로, 또한 다리 지지 엘리먼트 (92)는 종축에 교차적으로 변화될 수 있게 부착된, 특히 개구부 또는 슬롯형태의 슬리브(87) 안에 미끄러지게 지지되며, 특히 360도 회전할 수 있는 볼트(8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지지부.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다리 지지 엘리먼트(92)는 보조 리프팅 유닛(10) 또는 지지 베이스 또는, 다리 엘리먼트 종축 또는 특히 잠김 가능한 스크류-나사 연결부를 갖는 다리 지지 엘리먼트(92)의 부착 방향 내에서 정리될 수 있는 잠김 가능한 지지부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28)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지지부.
  15. 보조 리프팅 유닛의 프레임(14)에 장착되며, 보조 리프팅 유닛을 크레인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보조 리프팅 유닛 조립 고정부(16, 24, 26)를 갖고,
    여기서 보조 리프팅 유닛(10) 또는 그것의 보조 리프팅 유닛 프레임(10)과 조립 고정부(16, 24, 26), 또는, 그것의 보조 리프팅 유닛 프레임(10) 또는 조립 고정부(16, 24, 26)가 조립 위치로 이동, 변위 또는 전달되며,
    여기서 이동, 변위 또는 전달은 보조 리프팅 유닛에 부착되며, 보조 리프팅 유닛 프레임(10)과 조립 고정부(16, 24, 26), 또는 보조 리프팅 유닛 프레임(10)이나 조립 고정부(16, 24, 26)를 조립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립 유닛(32, 40)에 의해 이루어지는 모빌 크레인 보조 리프팅 유닛(10)을 조립하는 방법.
  16. 청구항 1에 따른 조립 시스템, 청구항 9에 따른 조립 설치 장치 또는, 청구항 11 또는 12에 따른 다리 지지부가 조립 안에서 사용되거나 채택되는 것 안에서, 청구항 14에 따른 방법.
KR1020110084442A 2010-08-24 2011-08-24 모빌 크레인 상의 보조 리프팅 유닛을 조립하는 장치 KR201200194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73822.7 2010-08-24
EP10173822.7A EP2423149B1 (de) 2010-08-24 2010-08-24 Rüsten eines Hilfshubwerks an einem Mobilkra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400A true KR20120019400A (ko) 2012-03-06

Family

ID=4348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442A KR20120019400A (ko) 2010-08-24 2011-08-24 모빌 크레인 상의 보조 리프팅 유닛을 조립하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94146B2 (ko)
EP (1) EP2423149B1 (ko)
JP (1) JP5607588B2 (ko)
KR (1) KR20120019400A (ko)
CN (1) CN102442613B (ko)
BR (1) BRPI1104776A2 (ko)
CA (1) CA2748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6836A (ja) * 2010-11-17 2012-06-07 Tcm Corp 産業車両用ディーゼル・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ー取付構造
DE202013008486U1 (de) * 2013-09-24 2013-10-16 Manitowoc Crane Group France Sas Modulare Kran-Rüstwinde
NO2694425T3 (ko) * 2015-01-28 2018-04-28
JP6065930B2 (ja) * 2015-02-19 2017-01-2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クレーン
JP7180966B2 (ja) 2016-01-29 2022-11-30 マニタウォック クレイン カンパニーズ, エルエルシー 視覚的アウトリガー監視システム
US11097927B1 (en) * 2016-04-20 2021-08-24 Link-Belt Cranes, L.P., Lllp Lifting machine with counterweight sens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DE202016003698U1 (de) * 2016-06-13 2017-09-14 Liebherr-Werk Ehingen Gmbh Mobilkran
DE202016005419U1 (de) * 2016-09-05 2016-10-04 Liebherr-Werk Ehingen Gmbh Kran und Gegengewicht für einen Kran
US10982495B2 (en) * 2016-09-08 2021-04-20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Drawworks apparatus and method
US11124392B2 (en) 2016-11-22 2021-09-21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Optical detection and analysis for boom angles on a crane
DK180448B1 (en) * 2019-09-11 2021-04-28 Eltronic As A load guiding arrangement arranged for mounting to a crane
CN111332947B (zh) * 2020-03-16 2021-08-10 中国能源建设集团西北电力建设工程有限公司 高稳定性塔式起重机
CN111704061B (zh) * 2020-05-15 2022-03-01 河北雷萨重型工程机械有限责任公司 组合配重的安装装置及起重机
CN114604795A (zh) * 2020-12-09 2022-06-10 河北雷萨重型工程机械有限责任公司 卷扬机构及汽车起重机
CN113479803B (zh) * 2021-07-21 2022-07-12 田少龙 一种重力和阻力转化成动力的装置
CN113460897A (zh) * 2021-07-30 2021-10-01 盛景智能科技(嘉兴)有限公司 配重确定方法、装置、设备及作业机械
CN113772572B (zh) * 2021-09-26 2023-03-24 枣庄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柴里煤矿 一种煤矿节能提升绞车
CN113879968B (zh) * 2021-09-29 2024-01-30 合肥市春华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缓冲机构的欧式起重机用移动小车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14858E (en) * 1920-05-18 Marine cableway
US1444737A (en) * 1920-01-26 1923-02-06 Standard Conveyor Co Portable hoist
US1474054A (en) * 1920-08-10 1923-11-13 Int Motor Co Variable-speed winch for motor trucks
CA1033688A (en) * 1975-10-23 1978-06-27 Manitowoc Company Demountable gantry, boom hoist and counter-weight
US4483448A (en) * 1980-04-08 1984-11-20 Fmc Corporation Heavy duty crane
JPS58120182U (ja) * 1982-02-09 1983-08-16 株式会社 多田野鉄工所 クレ−ンのブ−ム分割装置
US4700851A (en) * 1985-04-18 1987-10-20 Reeve Richard J Lightweight, self-powered, transportable crane assembly
US5484069A (en) * 1991-09-20 1996-01-16 The Manitowoc Company, Inc. Process for self-disassembling a crawler crane
US5427256A (en) * 1991-09-20 1995-06-27 The Manitowoc Company, Inc. Crane upper works to lower works alignment system
US5443169A (en) * 1992-09-15 1995-08-22 The Manitowoc Company Crane backhitch
JP2771764B2 (ja) * 1993-11-17 1998-07-02 住友建機株式会社 クレーンのカウンタウエイト着脱調整装置
JPH08121689A (ja) * 1994-10-21 1996-05-17 Nec Eng Ltd ダンパ付レベラ
US6131751A (en) * 1996-04-26 2000-10-17 Manitowoc Crane Group, Inc. Counter weight handling system and boom parking device
US6062405A (en) * 1996-04-26 2000-05-16 Manitowoc Crane Group, Inc. Hydraulic boom hoist cylinder crane
AUPP085997A0 (en) * 1997-12-12 1998-01-08 Carter, William Shane Mobile car body hoist
US6226955B1 (en) * 1998-12-28 2001-05-08 Jerry L. Lorriga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building materials and implements
DE19956312B4 (de) * 1999-11-12 2004-03-04 Terex-Demag Gmbh & Co. Kg Zusatzhubwerk mit einem Rahmen zur Anordnung an einen Kran
DE19964356B4 (de) * 1999-11-12 2004-07-01 Terex-Demag Gmbh & Co. Kg Vorrichtung zur Anordnung eines Zusatzhubwerkes an einen Kran
JP2001220088A (ja) * 2000-02-08 2001-08-14 Tadano Ltd 移動式クレーンのウインチ着脱装置
JP3538736B2 (ja) * 2000-06-26 2004-06-14 住友重機械建機クレーン株式会社 移動式クレーンのウインチドラム取付構造
US6695158B2 (en) * 2002-02-04 2004-02-24 Manitowoc Crane Companies, Inc. Crane with self-raising mast
DE20203662U1 (de) * 2002-03-07 2003-07-17 Liebherr Werk Ehingen Fahrzeugkran
US6672568B1 (en) * 2002-06-13 2004-01-06 Richard J. Rawlinson Winch assembly for a tractor
JP4016783B2 (ja) * 2002-09-30 2007-12-05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移動式作業機械
US7007764B2 (en) * 2002-12-06 2006-03-07 Manitowoc Crane Companies, Inc. Carbody to crawler connection
DE112005000728T5 (de) * 2004-03-31 2007-03-22 Kobelco Cranes Co., Ltd. Kran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en des Krans
JP4229168B2 (ja) * 2006-10-23 2009-02-25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ブームフットピン着脱装置
JP4225344B2 (ja) * 2006-11-20 2009-02-18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クレーン
JP5018256B2 (ja) * 2007-06-08 2012-09-05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クレーン作業車
DE202007009639U1 (de) * 2007-07-10 2008-11-27 Liebherr-Werk Ehingen Gmbh Fahrzeugkran
US8397924B2 (en) * 2008-09-19 2013-03-19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Drum frame system for cranes
EP2165964B1 (en) * 2008-09-19 2016-05-04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Mobile crane and method for erecting a crane boom
JP5394774B2 (ja) * 2009-02-26 2014-01-22 日立住友重機械建機クレーン株式会社 上部旋回体およびクレ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1104776A2 (pt) 2013-02-13
US9394146B2 (en) 2016-07-19
CN102442613B (zh) 2015-01-28
EP2423149A1 (de) 2012-02-29
CA2748068A1 (en) 2012-02-24
CN102442613A (zh) 2012-05-09
JP5607588B2 (ja) 2014-10-15
US20120118846A1 (en) 2012-05-17
EP2423149B1 (de) 2016-11-23
JP2012051732A (ja)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9400A (ko) 모빌 크레인 상의 보조 리프팅 유닛을 조립하는 장치
KR200463402Y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US8475094B2 (en) Fixing structure of spindle balancer for machine tool technical field
CA2912516A1 (en) Support leg
CN110271945B (zh) 用于v型发动机气缸套的吊装工具及吊装方法
CN109339425B (zh) 一种建筑施工用支撑平台及其安装方法
KR101788867B1 (ko) 공작기계용 크로스 레일의 상하 밸런스를 위한 유압 실린더 장치
CN107598530B (zh) 一种浮动机构
CN211362252U (zh) 一种三轴伺服机械手
JP4891165B2 (ja) 仕口組立台
CN210879747U (zh) 桁架机器人调节底座及桁架机器人
CN208801249U (zh) 夹具快换机构
CN106704333B (zh) 螺栓安装结构及采用该螺栓安装结构的顶驱线缆马鞍架
CN111128421A (zh) 反应堆压力容器顶盖存放支承装置
KR20160009453A (ko) 액세스 플로어 설치용 패드 고정 구조
CN215626435U (zh) 多功能千斤顶
CN215604452U (zh) 一种折叠床增高机构
CN213802756U (zh) 一种智能制造实训平台
CN211193768U (zh) 大型工装的快速调节平衡的结构
CN219633607U (zh) 液压支架散装工装
CN215596763U (zh) 一种方便调节的设备安装支座
CN213053490U (zh) 一种简单的可卸可调式焊接夹具
CN210459275U (zh) 地脚结构及设有该结构的设备
CN216030642U (zh) 一种方便拆装的机电安装架
CN217877607U (zh) 一种用于三坐标测量附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