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852A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1852A KR20120011852A KR1020117024636A KR20117024636A KR20120011852A KR 20120011852 A KR20120011852 A KR 20120011852A KR 1020117024636 A KR1020117024636 A KR 1020117024636A KR 20117024636 A KR20117024636 A KR 20117024636A KR 20120011852 A KR20120011852 A KR 201200118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ing
- movable iron
- iron core
- displacement
- rotating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30—Operating devices electr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 B66D5/14—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embodying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제1 변위체는 제1 가동철심과, 제1 가동철심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종동체와, 종동체에서의 제1 가동철심 측의 면에 마련된 제1 라이닝을 가지고 있다. 제1 가동철심과 제1 라이닝과의 사이에는 회전체가 개재하고 있다. 제2 변위체는 제1 가동철심과 회전체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2 가동철심과, 제2 가동철심에서의 회전체 측의 면에 마련된 제2 라이닝을 가지고 있다. 제1 변위체는 제1 라이닝이 회전체에 접하는 방향으로 제1 가압체에 의해 가압되고, 제2 변위체는 제2 라이닝이 회전체에 접하는 방향으로 제2 가압체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제1 및 제2 가동철심 사이에는 공통의 전자 마그넷이 배치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은 제1 및 제2 가압체의 가압력에 거슬러, 제1 및 제2 라이닝이 회전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 가동철심을 변위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로프나 벨트가 감긴 구동쉬브를 가지는 권상기에 마련되고, 구동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구동쉬브와 일체로 회전되는 로터에 제동력을 주기 위해서, 서로 동축에 배치된 환상(環狀)의 크고 작은 2개의 아마츄어(armature, 전기자(電機子))를 로터에 대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제동작동시키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전자 브레이크가 제안되고 있다. 각 아마츄어는 별개의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서 로터에 각각 밀어 붙여진다. 이와 같이, 각 아마츄어에 의한 제동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발생 가능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전자 브레이크의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작은 아마츄어의 지름이 큰 아마츄어의 지름보다도 작으므로, 작은 아마츄어에 의해서만 제동력을 로터에 주는 경우에는, 충분한 제동력이 얻어지기 어려워져 버린다. 또, 작은 아마츄어에 의해서만 제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작은 아마츄어를 변위시키는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을 강화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코일 스프링이 대형화하거나 작은 아마츄어가 로터에 접촉할 때의 충격음이 커지거나 하는 문제가 생겨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제동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는,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체, 제1 가동철심과, 제1 가동철심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종동체(從動體)와, 종동체에서의 제1 가동철심 측의 면에 마련된 제1 라이닝(lining)을 가지고, 제1 가동철심과 제1 라이닝과의 사이에 회전체가 개재(介在)하며, 제1 라이닝이 회전체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제1 변위체, 제1 가동철심과 회전체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2 가동철심과, 제2 가동철심에서의 회전체 측의 면에 마련된 제2 라이닝을 가지고, 제2 라이닝이 회전체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제2 변위체, 제1 라이닝이 회전체에 접하는 방향으로 제1 변위체를 가압하는 제1 가압체, 제2 라이닝이 회전체에 접하는 방향으로 제2 변위체를 가압하는 제2 가압체 및 제1 및 제2 가동철심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가압체의 가압력에 거슬러, 제1 및 제2 라이닝이 회전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 가동철심을 변위시키는 공통의 전자 마그넷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동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동쉬브에 대한 제동력을 해제하고 있을 때의 브레이크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회전축에 대한 제동력을 해제하고 있을 때의 브레이크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동쉬브에 대한 제동력을 해제하고 있을 때의 브레이크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회전축에 대한 제동력을 해제하고 있을 때의 브레이크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바닥부(피트부)에는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를 승강로(1) 내에서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권상기(4)가 마련되어 있다.
권상기(4)는 모터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5)와, 권상기 본체(5)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쉬브(6)와, 구동쉬브(6)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7)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는 구동쉬브(6)에 감긴 복수의 현가체(8)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현가체(8)로서는, 예를 들면 로프나 벨트 등이 이용되고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9), 균형추 측 리턴쉬브(10), 제1 로프멈춤장치(11) 및 제2 로프멈춤장치(12)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2)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3)가 마련되어 있다. 균형추(3)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14)가 마련되어 있다.
현가체(8)의 일단부는 제1 로프멈춤장치(11)에 접속되고, 현가체(8)의 타단부는 제2 로프멈춤장치(12)에 접속되어 있다. 현가체(8)는 제1 로프멈춤장치(11)로부터 각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3),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9), 구동쉬브(6), 균형추 측 리턴쉬브(10)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14)의 순서로 감겨, 제2 로프멈춤장치(12)에 이르러 있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는 구동쉬브(6)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도 2는 도 1의 브레이크 장치(7)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브레이크 장치(7)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구동쉬브(6)에 대한 제동력을 해제하고 있을 때의 브레이크 장치(7)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구동쉬브(6)에 대한 제동력을 발생하고 있을 때의 브레이크 장치(7)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브레이크 장치(7)는 권상기 본체(5)의 케이싱에 지지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장치(7)는 권상기 본체(5)에서의 모터의 회전축(15)에 제동력을 부여함으로써 구동쉬브(6)를 제동한다.
브레이크 장치(7)는 회전축(15)과 일체로 회전되는 브레이크 디스크(회전체)(16)와, 브레이크 디스크(16)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각각 독립하여 변위 가능한 제1 변위체(17) 및 제2 변위체(18)와, 브레이크 디스크(16)에 접하는 방향으로 제1 변위체(17)를 가압하는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제1 가압스프링(제1 가압체)(19)과, 브레이크 디스크(16)에 접하는 방향으로 제2 변위체(18)를 가압하는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제2 가압스프링(제2 가압체)(20)과, 권상기 본체(5)에 장착되고, 제1 및 제2 가압스프링(19, 20)의 가압력에 거슬러 제1 및 제2 변위체(17, 18)의 각각을 변위시키는 공통의 전자 마그넷(21)을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디스크(16)는 회전축(15)의 축선(軸線)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된 원판 모양 부재이다. 또, 브레이크 디스크(16)는 회전축(15)에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디스크(16)에는 서로 평행한 제1 제동면(16a) 및 제2 제동면(16b)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제동면(16a, 16b)은 브레이크 디스크(16)의 두께방향에 대해서 브레이크 디스크(16)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및 제2 제동면(16a, 16b)이 회전축(15)의 축선에 대해서 수직으로 되어 있다.
제1 변위체(17)는 제1 가동철심(22)과, 제1 가동철심(22)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엔드 플레이트(end plate)(종동체)(23)와, 제1 가동철심(22)과 엔드 플레이트(23)를 연결하는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가이드핀(연결부재)(24)과, 엔드 플레이트(23)에서의 제1 가동철심(22) 측의 면에 마련된 제1 라이닝(25)을 가지고 있다.
제1 가동철심(22) 및 엔드 플레이트(23)는 회전축(15)의 축선에 따른 방향에 대해서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가동철심(22) 및 엔드 플레이트(23)는 회전축(15)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환상부재이다.
각 가이드핀(24)은 브레이크 디스크(16)를 피하여 회전축(15)의 축선을 따라서 배치된 막대 모양 부재이다. 또, 각 가이드핀(24)은 제1 가동철심(22) 및 엔드 플레이트(23)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 가이드핀(24)은 제1 가동철심(22) 및 엔드 플레이트(23)의 둘레방향에 대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변위체(17)는 각 가이드핀(24)이 전자 마그넷(21)에 통과된 상태에서 전자 마그넷(21)에 지지되어 있다. 또, 제1 변위체(17)는 제1 가동철심(22)과 제1 라이닝(25)과의 사이에 브레이크 디스크(16)가 개재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핀(24)은 전자 마그넷(21)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변위체(17)는 전자 마그넷(21)에 대한 각 가이드핀(24)의 슬라이드에 의해, 회전축(15)의 축선에 따른 방향으로 변위된다. 제1 라이닝(25)은 제1 변위체(17)가 회전축(15)의 축선에 따른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브레이크 디스크(16)의 제1 제동면(16a)에 접리된다.
제2 변위체(18)는 제1 가동철심(22)과 브레이크 디스크(16)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2 가동철심(26)과, 제2 가동철심(26)에서의 브레이크 디스크(16) 측의 면에 마련된 제2 라이닝(27)을 가지고 있다. 또, 제2 변위체(18)는 제1 변위체(17)에 대해서 각 가이드핀(24)을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변위체(18)는 회전축(15)의 축선에 따른 방향으로 제1 변위체(17)와 독립하여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라이닝(27)은 제2 변위체(18)가 회전축(15)의 축선에 따른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브레이크 디스크(16)의 제2 제동면(16b)에 접리된다.
제2 가동철심(26)은 회전축(15)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환상부재이다. 제2 가동철심(26)에는 각 가이드핀(24)의 위치에 맞추어 복수의 관통구멍(28)이 마련되어 있다. 각 관통구멍(28)에는 가이드핀(24)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된 통 모양의 부쉬(bush)(29)가 끼워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변위체(18)는 각 가이드핀(24)을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21)은 제1 가동철심(22)과 제2 가동철심(26)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전자 마그넷(21)은 회전축(15)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환상체이다. 또한, 전자 마그넷(21)은 권상기 본체(5)에 고정된 고정자 철심(30)과, 고정자 철심(30)에 마련된 브레이크 코일(31)을 가지고 있다.
고정자 철심(30)에는 복수의 관통구멍(32)이 각 가이드핀(24)의 위치에 맞추어서 마련되어 있다. 각 관통구멍(32)에는 가이드핀(24)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된 통 모양의 부쉬(33)가 끼워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변위체(17)는 회전축(15)의 축선에 따른 방향으로 전자 마그넷(21)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자 철심(30)에서의 제1 가동철심(22) 측의 면에는 복수의 제1 오목부(제1 스프링 받이부)(34)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자 철심(30)에서의 제2 가동철심(26) 측의 면에는 복수의 제2 오목부(제2 스프링 받이부)(35)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오목부(34, 35)는 전자 마그넷(21)의 둘레방향에 대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압스프링(19)은 제1 오목부(34)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각 제1 가압스프링(19)은 전자 마그넷(21)과 제1 가동철심(22)과의 사이에서 수축되어 있다. 제1 변위체(17)는 각 제1 가압스프링(1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라이닝(25)이 제1 제동면(16a)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제2 가압스프링(20)은 제2 오목부(35)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각 제2 가압스프링(20)은 전자 마그넷(21)과 제2 가동철심(26)과의 사이에서 수축되어 있다. 제2 변위체(18)는 각 제2 가압스프링(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 라이닝(27)이 제2 제동면(16b)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21)은 브레이크 코일(31)로의 통전에 의해, 제1 및 제2 가동철심(22, 26)의 각각을 흡인하는 전자 흡인력을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가동철심(22, 26)은 제1 및 제2 가압스프링(19, 20)의 가압력에 거슬러, 전자 마그넷(2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제1 가동철심(22)이 전자 마그넷(2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제1 라이닝(25)이 제1 제동면(16a)으로부터 떨어지고, 제2 가동철심(26)이 전자 마그넷(2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제2 라이닝(27)이 제2 제동면(16b)으로부터 떨어진다.
즉, 전자 마그넷(21)은 브레이크 코일(31)로의 통전에 의해, 제1 라이닝(25)이 제1 제동면(16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제1 가압스프링(19)의 가압력에 거슬러 제1 변위체(17)를 변위시키고, 제2 라이닝(27)이 제2 제동면(16b)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제2 가압스프링(20)의 가압력에 거슬러 제2 변위체(18)를 변위시킨다.
회전축(15)에는 제1 및 제2 라이닝(25, 27)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브레이크 디스크(16)에 접촉함으로써 제동력이 주어진다. 또, 회전축(15)에 주어진 제동력은 제1 및 제2 라이닝(25, 27) 모두가 브레이크 디스크(16)로부터 떨어짐으로써 해제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브레이크 코일(31)로의 통전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는, 각 제1 가압스프링(19)의 가압력에 의해 제1 라이닝(25)이 제1 제동면(16a)으로 밀어 붙여지고, 각 제2 가압스프링(20)의 가압력에 의해 제2 라이닝(27)이 제2 제동면(16b)으로 밀어 붙여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축(15) 및 브레이크 디스크(16)에 제동력이 주어지고 있다.
브레이크 코일(31)로의 통전이 행해지면, 전자 마그넷(21)이 전자 흡인력을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제1 가동철심(22)이 각 제1 가압스프링(19)의 가압력에 거슬러 전자 마그넷(2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제2 가동철심(26)이 각 제2 가압스프링(20)의 가압력에 거슬러 전자 마그넷(2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제1 라이닝(25)이 제1 제동면(16a)으로부터 떨어지고, 제2 라이닝(27)이 제2 제동면(16b)으로부터 떨어진다. 제1 및 제2 라이닝(25, 27)이 제1 및 제2 제동면(16a, 16b)으로부터 각각 떨어지면, 회전축(15) 및 브레이크 디스크(16)에 대한 제동력이 해제된다.
예를 들면, 제1 라이닝(25)이 제1 제동면(16a)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부쉬(33)에 대한 가이드핀(24)의 슬라이드 불량이 발생하고, 브레이크 디스크(16)에 대한 제1 변위체(17)의 변위가 불가능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제2 라이닝(27)만이 각 제2 가압스프링(20)의 가압력에 의해 제2 제동면(16b)으로 밀어 붙여진다. 이것에 의해, 회전축(15) 및 브레이크 디스크(16)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한편, 브레이크 디스크(16)에 대한 제2 변위체(18)의 변위가 불가능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제1 라이닝(25)만이 각 제1 가압스프링(19)의 가압력에 의해 제1 제동면(16a)으로 밀어 붙여진다. 이것에 의해, 회전축(15) 및 브레이크 디스크(16)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제1 변위체(17)에서의 제1 가동철심(22)과 제1 라이닝(25)과의 사이에 브레이크 디스크(16)가 개재하고, 제2 변위체(18)에서의 제2 가동철심(26) 및 제2 라이닝(27)이 제1 가동철심(22)과 브레이크 디스크(16)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변위체(17, 18)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브레이크 디스크(16)의 두께방향 양측에서 제1 및 제2 라이닝(25, 27)을 브레이크 디스크(16)로 밀어붙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라이닝(25, 27)이 브레이크 디스크(16)에 접촉하는 각각의 위치를 회전축(15)의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는 위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라이닝(25, 27) 중 어느 하나만이 브레이크 디스크(16)에 접촉하는 경우라도, 제1 및 제2 라이닝(25, 27)의 차이에 따라 회전축(15)에 주는 제동력의 크기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라이닝(25, 27)의 각각의 위치와 회전축(15)의 축선과의 거리를 서로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장치(7)의 지름방향에 대해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1 가압스프링(19)이 전자 마그넷(21)과 제1 가동철심(2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1 가압스프링(19)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권상기 본체(5)에 고정된 별개의 고정부재와 제1 가동철심(22)과의 사이에 제1 가압스프링(19)을 배치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2 가압스프링(20)이 전자 마그넷(21)과 제2 가동철심(26)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2 가압스프링(20)의 위치도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권상기 본체(5)에 고정된 별개의 고정부재와 제2 가동철심(26)과의 사이에 제2 가압스프링(20)을 배치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2 가동철심(26)이 가이드핀(24)을 따라서 안내되도록 되어 있지만, 가이드핀(24)과 평행한 별개의 막대 모양 부재를 따라서 제2 가동철심(26)을 안내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구동쉬브(6)에 대한 제동력을 해제하고 있을 때의 브레이크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회전축(15)의 외주부에는 회전축(15)의 축선에 따른 복수의 스플라인(spline)(41)이 마련되어 있다. 각 스플라인(41)은 회전축(15)의 둘레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브레이크 디스크(16)의 중심에는 각 스플라인(41)에 끼운 상태에서 회전축(15)이 통과된 끼워맞춤구멍(42)이 마련되어 있다. 즉, 브레이크 디스크(16)는 각 스플라인(4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16)는 각 스플라인(41)에 따른 방향으로 회전축(15)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디스크(16)는 회전축(15)의 둘레방향에 대해서는 각 스플라인(41)과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축(15)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및 제2 변위체(17, 18)의 각각의 변위가 원활히 행해지는 경우에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제1 라이닝(25)이 제1 제동면(16a)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부쉬(33)에 대한 가이드핀(24)의 슬라이드 불량이 발생하고, 브레이크 디스크(16)에 대한 제1 변위체(17)의 변위가 불가능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제2 변위체(18)가 각 제2 가압스프링(20)의 가압력에 의해 변위되어, 제2 라이닝(27)만이 제2 제동면(16b)에 접촉한다. 이 후, 브레이크 디스크(16)는 제2 라이닝(27)이 접촉한 상태에서 제2 변위체(18)에게 밀리면서, 제1 라이닝(25)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 스플라인(41)을 따라서 변위된다. 이 후, 각 제2 가압스프링(20)의 가압력에 의해, 제1 제동면(16a)이 제1 라이닝(25)으로 밀어 붙여지고, 제2 라이닝(27)이 제2 제동면(16b)으로 밀어 붙여진다. 즉, 브레이크 디스크(16)가 제1 및 제2 라이닝(25, 27)의 사이에서 파지된다. 이것에 의해, 회전축(15) 및 브레이크 디스크(16)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회전축(15)의 축선에 따른 스플라인(41)이 회전축(15)에 마련되고, 브레이크 디스크(16)가 스플라인(4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므로, 회전축(15)에 대한 브레이크 디스크(16)의 회전을 방지함과 아울러, 회전축(15)의 축선에 따른 방향으로 브레이크 디스크(16)를 회전축(15)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변위체(17, 18) 중 어느 한쪽의 변위가 불가능하게 되었을 경우라도, 다른 쪽의 변위체로 밀게 됨으로써 브레이크 디스크(16)를 한쪽의 변위체의 위치까지 변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라이닝(25, 27)을 제1 및 제2 제동면(16a, 16b)으로 각각 밀어붙일 수 있어, 회전축(15)에 주는 제동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 도 7은 도 6의 회전축(15)에 대한 제동력을 해제하고 있을 때의 브레이크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제1 라이닝(25)과 제2 라이닝(27)과의 사이에는 실시형태 2의 브레이크 디스크(16)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 2개의 브레이크 디스크(51, 52)가 배치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 디스크(51, 52)는 회전축(15)의 축선에 따른 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각 브레이크 디스크(51, 52)는 각 스플라인(41)에 따른 방향으로 회전축(15)에 대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1)와 다른 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2)와의 사이에는 회전축(15)의 축선에 따른 방향으로 변위되는 각 브레이크 디스크(51, 52)를 받는 공통의 받이부재(53)가 배치되어 있다. 한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1)는 제1 라이닝(25)과 받이부재(53)와의 사이에 개재하고, 다른 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2)는 제2 라이닝(27)과 받이부재(53)와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받이부재(53)는 고정자 철심(30)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 받이부재(53)는 회전축(15)의 축선에 따른 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된 중간 플레이트(54)와, 중간 플레이트(54)에서의 한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1) 측의 면에 마련된 중간 라이닝(55)과, 중간 플레이트(54)에서의 다른 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2) 측의 면에 마련된 중간 라이닝(56)을 가지고 있다.
중간 플레이트(54)는 회전축(15)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환상판이다. 또, 중간 플레이트(54)는 각 가이드핀(24)을 피해서 배치되어 있다.
중간 라이닝(55)은 회전축(15)의 축선에 따른 방향에 대해서, 한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1)를 통하여 제1 라이닝(25)에 대향하고 있다. 중간 라이닝(55)에는 다른 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1)에서의 제2 제동면(16b)이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중간 라이닝(56)은 회전축(15)의 축선에 따른 방향에 대해서, 다른 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2)를 통하여 제2 라이닝(27)에 대향하고 있다. 중간 라이닝(56)에는 다른 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2)에서의 제1 제동면(16a)이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2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브레이크 코일(31)로의 통전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는, 각 제1 가압스프링(19)의 가압력에 의해 제1 라이닝(25)이 한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1)를 통하여 중간 라이닝(55)으로 밀어 붙여지고, 각 제2 가압스프링(20)의 가압력에 의해 제2 라이닝(27)이 다른 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2)를 통하여 중간 라이닝(56)으로 밀어 붙여져 있다. 즉, 제1 라이닝(25)과 중간 라이닝(55)과의 사이에서 한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1)가 파지되고, 제2 라이닝(27)과 중간 라이닝(56)과의 사이에 다른 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2)가 파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브레이크 디스크(51, 52)의 각각에 제동력이 주어져 회전축(15) 및 브레이크 디스크(16)에 제동력이 주어지고 있다.
브레이크 코일(31)로의 통전이 행해지면, 제1 가동철심(22)이 각 제1 가압스프링(19)의 가압력에 거슬러 전자 마그넷(2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제2 가동철심(26)이 각 제2 가압스프링(20)의 가압력에 거슬러 전자 마그넷(2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제1 라이닝(25)이 중간 라이닝(55)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제2 라이닝(27)이 중간 라이닝(56)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한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1)가 스플라인(41)을 따라서 슬라이드되면서 제1 라이닝(25) 및 중간 라이닝(55)의 각각으로부터 떨어지고, 다른 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2)가 스플라인(41)을 따라서 슬라이드되면서 제2 라이닝(27) 및 중간 라이닝(56)의 각각으로부터 떨어진다. 이것에 의해, 각 브레이크 디스크(51, 52)에 대한 제동력이 해제된다.
예를 들면, 제1 라이닝(25)이 한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1)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부쉬(33)에 대한 가이드핀(24)의 슬라이드 불량이 발생하고, 한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1)에 대한 제1 변위체(17)의 변위가 불가능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다른 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2)만이 제2 라이닝(27)과 중간 라이닝(56)과의 사이에서 파지된다. 이것에 의해, 회전축(15)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또, 다른 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2)에 대한 제2 변위체(18)의 변위가 불가능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한쪽의 브레이크 디스크(51)만이 제1 라이닝(25)과 중간 라이닝(55)과의 사이에서 파지된다. 이것에 의해, 회전축(15)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회전축(15)의 축선에 따른 방향으로 늘어선 2개의 브레이크 디스크(51, 52)가 회전축(1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고, 각 브레이크 디스크(51, 52)의 사이에 받이부재(53)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라이닝을 접촉시키는 제동면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회전축(15)에 대한 제동력의 크기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변위체(17, 18)의 어느 한쪽의 변위가 불가능하게 되었을 경우라도, 각 브레이크 디스크(51, 52) 중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의 변위체에게 밀리면서 변위됨으로써, 브레이크 디스크(51, 52)를 파지할 수 있어,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동작의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받이부재(53)가 고정자 철심(30)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권상기 본체(5)에 대해서 받이부재(53)를 고정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브레이크 디스크(51, 52)의 회전방향뿐만이 아니라 회전축(15)의 축선에 따른 방향에 대해서도, 받이부재(53)가 고정자 철심(30)이나 권상기 본체(5)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지만, 브레이크 디스크(51, 52)의 회전방향에 대해서만 받이부재(53)를 고정자 철심(30)이나 권상기 본체(5)에 대해서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즉, 브레이크 디스크(51, 52)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받이부재(53)가 고정자 철심(30)이나 권상기 본체(5)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으면, 받이부재(53)가 회전축(15)의 축선에 따른 방향으로 회전축(15)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Claims (3)
-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체,
제1 가동철심과, 상기 제1 가동철심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종동체(從動體)와, 상기 종동체에서의 상기 제1 가동철심 측의 면에 마련된 제1 라이닝(lining)을 가지고, 상기 제1 가동철심과 상기 제1 라이닝과의 사이에 상기 회전체가 개재(介在)하며, 상기 제1 라이닝이 상기 회전체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제1 변위체,
상기 제1 가동철심과 상기 회전체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2 가동철심과, 상기 제2 가동철심에서의 상기 회전체 측의 면에 마련된 제2 라이닝을 가지고, 상기 제2 라이닝이 상기 회전체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제2 변위체,
상기 제1 라이닝이 상기 회전체에 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변위체를 가압하는 제1 가압체,
상기 제2 라이닝이 상기 회전체에 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변위체를 가압하는 제2 가압체, 및
상기 제1 및 제2 가동철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압체의 가압력에 거슬러, 상기 제1 및 제2 라이닝이 회전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가동철심을 변위시키는 공통의 전자 마그넷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변위체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軸線)을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 따른 스플라인(spline)이 마련되며,
상기 회전체는 상기 스플라인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제1 및 제2 라이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 따른 방향으로 늘어선 2개의 상기 회전체가 마련되어 있고,
각 상기 회전체의 사이에는 받이부재가 마련되며, 각 상기 회전체가 상기 받이부재에 접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9/060772 WO2010143298A1 (ja) | 2009-06-12 | 2009-06-12 |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のブレーキ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1852A true KR20120011852A (ko) | 2012-02-08 |
KR101250030B1 KR101250030B1 (ko) | 2013-04-03 |
Family
ID=4330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24636A KR101250030B1 (ko) | 2009-06-12 | 2009-06-12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441724B1 (ko) |
JP (1) | JP5279905B2 (ko) |
KR (1) | KR101250030B1 (ko) |
CN (1) | CN102428020B (ko) |
WO (1) | WO201014329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4673B1 (ko) | 2019-01-08 | 2019-08-26 | 유성민 | 마이크로웨이브 유전가열을 이용한 반탄화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103330B (zh) * | 2014-03-13 | 2018-09-28 | 三菱电机株式会社 | 电梯及电梯用曳引机制动器 |
JP2016156414A (ja) * | 2015-02-24 | 2016-09-01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電磁ブレーキ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 |
JP6684739B2 (ja) * | 2017-03-03 | 2020-04-2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巻上機およびエレベーター装置 |
CN110835065B (zh) | 2018-08-17 | 2022-02-01 | 奥的斯电梯公司 | 电梯制动装置以及电梯系统 |
CN109217629A (zh) * | 2018-11-05 | 2019-01-15 | 苏州市职业大学 | 电梯环式永磁制动器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45035A (en) * | 1991-04-15 | 1992-09-08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disc brake |
JP3748947B2 (ja) * | 1996-06-26 | 2006-02-22 | 株式会社産機 | 複式制動装置 |
JPH11106154A (ja) * | 1997-10-01 | 1999-04-20 | Toshiba Elevator Co Ltd | エレベータの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
JPH11325128A (ja) * | 1998-05-15 | 1999-11-26 | Hitachi Ltd | 電磁ブレーキ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の巻上機 |
JP2000110868A (ja) * | 1998-10-05 | 2000-04-18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ブレーキ装置と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
JP2000211858A (ja) * | 1999-01-25 | 2000-08-02 | Hitachi Ltd | エレベ―タ―巻上機の電磁ブレ―キ |
JP2003246570A (ja) * | 2002-02-25 | 2003-09-02 | Mitsubishi Electric Corp |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
WO2004026750A1 (ja) * | 2002-09-20 | 2004-04-01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エレベータ用巻上機 |
JP4558724B2 (ja) * | 2004-02-19 | 2010-10-06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そのブレーキ装置 |
JP4359187B2 (ja) * | 2004-05-26 | 2009-11-0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電磁ブレーキ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巻上機の電磁ブレーキ装置 |
JP4365345B2 (ja) * | 2004-10-20 | 2009-11-18 | 三菱電機株式会社 | 巻上機及びその据付方法 |
JP2007195342A (ja) * | 2006-01-19 | 2007-08-02 | Toshiba Corp | ブレーキ付きモータおよびそのモータを用いたエレベータ駆動システム |
JP2009073635A (ja) * | 2007-09-21 | 2009-04-09 | Meidensha Corp | ダブルブレーキ付き巻上機 |
-
2009
- 2009-06-12 EP EP09845823.5A patent/EP2441724B1/en active Active
- 2009-06-12 JP JP2011518188A patent/JP5279905B2/ja active Active
- 2009-06-12 KR KR1020117024636A patent/KR10125003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06-12 CN CN200980159309.2A patent/CN102428020B/zh active Active
- 2009-06-12 WO PCT/JP2009/060772 patent/WO201014329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4673B1 (ko) | 2019-01-08 | 2019-08-26 | 유성민 | 마이크로웨이브 유전가열을 이용한 반탄화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428020B (zh) | 2014-04-16 |
JP5279905B2 (ja) | 2013-09-04 |
EP2441724A1 (en) | 2012-04-18 |
WO2010143298A1 (ja) | 2010-12-16 |
EP2441724B1 (en) | 2017-12-27 |
EP2441724A4 (en) | 2017-01-25 |
KR101250030B1 (ko) | 2013-04-03 |
CN102428020A (zh) | 2012-04-25 |
JPWO2010143298A1 (ja) | 2012-1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0030B1 (ko)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 | |
JP5409788B2 (ja) | エレベータの直動式ドラムブレーキ装置 | |
JP5911042B2 (ja) | ブレーキ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用巻上機 | |
JP4937095B2 (ja) | エレベータ用巻上機ブレーキの制動力試験装置および試験方法 | |
WO2014174603A1 (ja) | ブレーキ装置、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ブレーキ装置の緩衝反力調整方法 | |
CN108285103B (zh) | 卷扬机以及电梯 | |
CN110506022B (zh) | 电梯的曳引机制动器以及电梯曳引机 | |
JP4812544B2 (ja) |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 |
CN110546100B (zh) | 电梯装置 | |
JP4601687B2 (ja) |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 |
JP2013103832A (ja) | エレベータ制動装置 | |
JP2010024014A (ja) | エレベーターの巻上機 | |
JP2016156414A (ja) | 電磁ブレーキ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 | |
CN100447068C (zh) | 电梯的紧急制动装置 | |
CN203006827U (zh) | 电磁制动装置 | |
JP2007261792A (ja) | エレベーター巻上機用制動装置 | |
KR100884875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2013155808A (ja) | ブレーキ面当りの調整方法 | |
CN114678972B (zh) | 电枢铁芯、旋转电机、电梯曳引机和电枢铁芯的制造方法 | |
JP6293069B2 (ja) | 電磁ブレーキ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 |
EP2014601A1 (en) | Brake device of hoist for elevator | |
JP5465112B2 (ja) |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装置 | |
JP2011202705A (ja) | 電磁ディスクブレーキ | |
EP1783089A1 (en) | Hoist of elevator | |
WO2018198231A1 (ja) | エレベータ用巻上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