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477A - 아연계 도금 강판 - Google Patents

아연계 도금 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477A
KR20110130477A KR1020117024066A KR20117024066A KR20110130477A KR 20110130477 A KR20110130477 A KR 20110130477A KR 1020117024066 A KR1020117024066 A KR 1020117024066A KR 20117024066 A KR20117024066 A KR 20117024066A KR 20110130477 A KR20110130477 A KR 20110130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zinc
compound
galvanized steel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4568B1 (ko
Inventor
타케시 마츠다
아키라 마츠자키
마사토 사사키
카츠토시 다카시마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6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lkaline aqueous solutions with pH greater than 8
    • C23C22/62Treatment of iron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09D5/082Anti-corrosive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corrosiv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8Stabilisers against degradation by oxygen, light or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6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lkaline aqueous solutions with pH greater than 8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22/00Aspects relating to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medium
    • C23C2222/20Use of solutions containing sil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36Al-base component
    • Y10T428/1275Next to 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57F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85Group I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92Zn-base component
    • Y10T428/12799Next to Fe-base component [e.g., galvaniz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06Refractory [Group IVB, VB, or VIB] metal-base compon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식성 및 밀착성의 제성능을 갖고, 저(低)면압에서의 도통성이 우수한 아연계 도금 강판을 제공한다.
수용성 지르코늄 화합물과 테트라알콕시실란과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과 킬레이트제와 실란커플링제와 바나딘산과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고, 이들을 특정의 비율로 혼합한 pH8∼10인 표면 처리제를 이용하여 아연계 도금 강판 표면 상에 도포하고, 가열 건조하여, 50∼1200㎎/㎡의 표면 처리 피막을 갖는 아연계 도금 강판.

Description

아연계 도금 강판{ZINC-COATED STEEL SHEET}
본 발명은, 자동차, 가전, 건재(建材) 등에 이용되며, 아연계 도금 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표면 처리 피막 중에 6가 크롬 등의 공해 규제 물질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표면 처리를 행한 환경 조화형 아연계 도금 강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전자 기기 등, 전자파 누설(electromagnetic interference;EMI)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용도에 적합하고, 전자파 시일드 특성이 우수함과 함께, 내식성도 우수한 아연계 도금 강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보여지는 가전 제품의 디지털화 진전, CPU 고속화 등에 수반하여, 그 주변 기기나 인체에 미치는 전자파 장해에 관한 문제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일본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 등 전파 장해 자주 규제 협의회(VCCI)」가 설립되어 있으며, 근래, VCCI의 규격을 준수하기 위해, 전자파 장해 문제에 대한 업계 자주 규제의 경향이 더욱 강해지고 있다. 전기·전자 기기 내의 전자 기반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 노이즈의 대책으로서, 금속(도전체) 소재의 시일드 박스(shield box)에 의해 전자 기반 등을 포위하여, 전자파를 시일드하는 기술이 그 일 예이다.
시일드 박스는, 시일드 박스를 구성하는 도전성 소재가 전자파를 반사함으로써 전자파를 차폐한다. 또한, 시일드 박스를 구성하는 소재의 도전성이 높을수록 전자파의 반사율도 높아져, 전자파 시일드성이 향상된다. 그 때문에, 시일드 박스의 전자파 시일드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는, 시일드 박스를 구성하는 금속판이 높은 도전성을 갖는 것이 중요해진다.
또한, 시일드 박스는, 금속판을 성형 가공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불연속부(이음매나 접합부)를 갖고, 그 불연속부로부터는 전자파의 누설 또는 침입이 발생하기 쉽다. 그 때문에, 시일드 박스에서는 통상, 불연속부에 도전성의 가스켓(gasket)을 삽입하여 전자파의 누설·침입을 막고 있다.
여기에서, 시일드 박스의 차폐성을 보다 확실히 하는데 있어서는, 소망하는 전류를 시일드 박스 전체에 걸쳐 통전 가능한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금속체와 가스켓과의 접촉부는 통상, 접촉 압력이 낮기 때문에, 금속체-가스켓간의 전기 도통성(이하, 단순히 「도통성」이라고 함)이 떨어져, 당해 접촉부에 있어서의 통전량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시일드 박스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도전성을 확보하는 것에 더하여, 금속판-가스켓 간의 도통성도 확보하는 것이, 시일드 박스의 더 한층의 고성능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중요해진다.
한편, 오늘날, 모든 환경하에서 전기·전자 기기가 사용되고 있어, 시일드 박스를 구성하는 소재에는, 가혹한 사용 환경하에 있어서도 부식되지 않는 것, 즉,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것도 요구되고 있다. 종래, 가전 제품용 강판, 건재용 강판, 자동차용 강판에 사용되는 아연계 도금 강판의 표면에, 내식성(내백청성(white-rust resistance, 내적청성(red-rust resistance))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크롬산, 중(重)크롬산 또는 그 염류를 주요 성분으로 한 처리액에 의한 크로메이트(chromate) 처리를 행한 강판이 널리 이용되어 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일드 박스를 구성하는 금속체(강판)에는 높은 도전성, 나아가서는, 가스켓과의 도통성이 요구된다. 여기에서, 크로메이트 처리에 의해 강판 표면에 형성되는 피막은, 소지(素地;base) 강판보다도 도전성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크로메이트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피막은, 그 막두께가 박막이라도 방청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크로메이트 처리를 행한 표면 처리 강판에 있어서는, 도전성이 떨어지는 피막을 최대한 얇게 함으로써, 강판(표면 처리 없음)에 필적하는 도전성이 얻어지는 결과, 상기 가스켓과의 도통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방청성능과 전자파 시일드성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러나, 최근의 지구 환경 문제로부터, 크로메이트 처리에 의하지 않는 무공해인 표면 처리 강판, 소위 크롬프리(chromium-free) 처리 강판을 채용하는 것에 요청이 높아지고 있다.
크롬프리 처리 강판에 관한 기술은 이미 많이 제안되어 있으며, 크롬산과 동일한 Ⅳ A족에 속하는 몰리브덴산, 텅스텐산의 부동태화(不動態化) 작용을 겨냥한 기술, Ti, Zr, V, Mn, Ni, Co 등의 천이 금속이나 La, Ce 등의 희토류 원소의 금속염을 이용하는 기술, 탄닌산 등의 다가 페놀카본산이나 S, N을 포함하는 화합물 등의 킬레이트제를 베이스로 하는 기술, 실란커플링제를 이용하여 폴리실록산 피막을 형성한 기술, 혹은, 이들을 조합한 기술 등이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이하와 같다.
(1) 폴리비닐페놀 유도체 등의 유기 수지와 산성분, 에폭시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피복제 및, 실란커플링제나 바나듐 화합물 등을 배합한 처리액으로부터 피막을 형성하는 기술(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2) 수성 수지와 티오카보닐기와 바나딘산 화합물과 인산을 포함하는 피막을 형성하는 기술(예를 들면, 특허문헌 5)
(3) Ti 등의 금속 화합물과 불화물, 인산 화합물 등의 무기산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처리액으로부터 피막을 형성하는 기술(특허문헌 6, 특허문헌 7, 특허문헌 8, 특허문헌 9, 특허문헌 10, 특허문헌 11, 특허문헌 12)
(4) Ce, La, Y 등의 희토류 원소와 Ti, Zr 원소의 복합 피막을 형성하여, 그 피막 중에서 도금 계면측에 산화물층, 표면측에 수산화물층을 농화시키는 기술(특허문헌 13)이나, Ce와 Si 산화물의 복합 피막을 형성하는 기술(특허문헌 14)
(5) 하층에 산화물을 함유하는 인산 및/또는 인산 화합물 피막, 그 상층에 수지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복합 피복을 형성하는 기술(예를 들면, 특허문헌 15, 특허문헌 16).
(6) 특정의 인히비터(inhibitor) 성분과 실리카/지르코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피막을 형성하는 기술(예를 들면 특허문헌 17).
이들 기술에 의해 형성되는 피막은, 유기 성분 혹은 무기 성분의 복합 첨가에 의해 아연의 백청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노린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1) 및 (2)의 기술은, 주로 유기 수지를 첨가함으로써 내식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기 수지에 의한 피막 조성의 경우, 유기 수지가 절연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피막이 형성된 강판은, 충분한 도전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시일드 박스의 소재로서 부적당하다.
상기 (3) 및 (4)의 기술에서는, 유기 성분을 전혀 함유하지 않는 무기 단독 피막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금속 산화물·금속 수산화물에 의한 복합 피막에서는, 피막을 두껍게 하지 않으면 아연계 도금 강판에 충분한 내식성을 부여할 수 없다. 덧붙여, 아연계 도금 강판 표면을 인산 아연과 같은 부도체 피막(절연성 피막)으로 덮기 때문에, 상기 (1) 및 (2)의 기술과 동일하게, 양호한 도전성을 얻기에는 불리하여, 내식성과 도전성의 양립이 곤란했다.
상기 (5)의 기술에서는, 표면 처리 강판 표면의 도전성이 표면에 피복하는 절연성 피막의 막두께에 의존하는 것에 주목하여, 절연성 피막을 얇게 함으로써 양호한 도전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막두께를 얇게 하면 강판의 내식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내식성과 도전성이 함께 우수한 표면 처리 강판을 얻는 것은 곤란했다.
(6)의 기술에서는, 인히비터 성분으로서 바나딘산 화합물의 부동태화 작용 및 인산 화합물에 의한 난용성 금속염을 이용하고, 또한 골격 피막으로서 지르코늄 화합물, 미립자 실리카, 실란커플링제의 복합 피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우수한 내식성을 발현하고 있다. 그러나, 도전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는 막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있어, 내식성과 도전성의 양립이 곤란했다.
이상과 같이, 현재까지 제안되어 있는 크롬프리 처리 강판에서는, 종래의 크로메이트 피막과 같은 정도의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절연성이 높은 피막의 막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이들 크롬프리 처리 강판은, 도전성의 확보가 곤란하고, 시일드 박스 본체를 구성하는 강판에 요구되는 특성을 충분히 만족하는 것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한, 전술한 대로, 시일드 박스의 차폐성을 보다 확실히 하는데 있어서는, 저(低)접촉 압력으로 접촉하는 금속체(강판)-가스켓 간의 도통성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는 바, 상기의 어느 기술에 있어서도 이러한 도통성에 대해서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1325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181860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26325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155452호 일본특허 3549455호 공보 일본특허 3302677호 공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105658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18301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171778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27117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213958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4819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234358호 일본특허 3596665호 공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53980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5397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8-169470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아연계 도금 표면에 6가 크롬 등의 공해 규제 물질을 완전히 포함하는 일 없이, 내식성 및, 밀착성의 제성능을 갖고, 특히 내식성이 저하되는 일 없이, 낮은 접촉 압력으로 가스켓 등과 강판이 접촉하는 바와 같은 엄격한 조건에서도 도통성이 우수한 표면 처리 피막을 갖는 아연계 도금 강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수용성 지르코늄 화합물과, 테트라알콕시실란과,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과, 킬레이트제와, 바나딘산 화합물과, 금속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알칼리성의 표면 처리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5)를 제공한다.
(1) 수용성 지르코늄 화합물(A)과, 테트라알콕시실란(B)과,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C)과, 킬레이트제(D)와, 바나딘산 화합물(E)과, Ti, Al 및, Z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금속을 함유하는 금속 화합물(F)을 함유하고, pH가 8∼10이며, 하기 (I)∼(V)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조정된 표면 처리제를 아연계 도금 강판 표면 상에 도포하고, 가열 건조하여 얻은, 편면당의 부착량이 50∼1200㎎/㎡의 표면 처리 피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계 도금 강판.
(I) 수용성 지르코늄 화합물(A)의 Zr 환산 질량과 테트라알콕시실란(B)과의 질량비(A/B)가 1.0∼6.0
(Ⅱ) 테트라알콕시실란(B)과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C)과의 질량비(B/C)가 0.1∼1.6
(Ⅲ) 테트라알콕시실란(B)과 킬레이트제(D)와의 질량비(B/D)가 0.3∼2.0
(Ⅳ) 바나딘산 화합물(E)의 V 환산 질량과 킬레이트제(D)와의 질량비(E/D)가 0.03∼1.0
(V) 금속 화합물(F)의 금속 합계 환산 질량과 킬레이트제(D)와의 질량비(F/D)가 0.05∼0.8
또한, 상기의 질량비를 나타내는 식 중, A는 수용성 지르코늄 화합물(A)의 Zr 환산 질량, B는 테트라알콕시실란(B)의 질량, C는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C)의 질량, D는 킬레이트제(D)의 질량, E는 바나딘산 화합물(E)의 V 환산 질량, F는 금속 화합물(F)의 금속 합계 환산 질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하 동일하게 기재한다.
(2) 상기 편면당의 부착량이 50∼500㎎/㎡인 (1)에 기재된 아연계 도금 강판.
(3) 상기 표면 처리제가 추가로 윤활제(G)를 함유하고, 당해 윤활제(G)를, 상기 표면 처리제의 전(全)고형분에 대하여, 1∼10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아연계 도금 강판.
(4) 상기 표면 처리제가 추가로 비이온계 아크릴 수지 에멀션(H)을 함유하고, 당해 비이온계 아크릴 수지 에멀션(H)을, 상기 표면 처리제의 전고형분에 대하여, 0.5∼45.0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연계 도금 강판.
(5) 상기 비이온계 아크릴 수지 에멀션(H)을 상기 표면 처리제의 전고형분에 대하여, 0.5∼4.5질량% 함유하는 (4)에 기재된 아연계 도금 강판.
본 발명에 의하면, 내식성 및, 밀착성의 제성능을 갖고, 특히 내식성이 저하되는 일 없이, 낮은 접촉 압력으로 강판이 가스켓 등과 접촉하는 바와 같은 엄격한 조건에서도 도통성이 우수한 아연계 도금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아연계 도금 강판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아연계 도금 강판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용융 아연 도금 강판(GI) 또는 이것을 합금화한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GA), 또는 용융 아연 Zn-5질량% Al 합금 도금 강판(GF), 용융 아연 55질량% 알루미늄 합금 도금 강판(GL), 전기 아연 도금 강판(EG), 전기 아연-Ni 합금 도금 강판(Zn-11질량% Ni)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연계 도금 강판은, 수용성 지르코늄 화합물(A)과, 테트라알콕시실란(B)과,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C)과, 킬레이트제(D)와, 바나딘산 화합물(E)과, Ti, Al 및, Z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금속을 함유하는 금속 화합물(F)을 함유하는 표면 처리제를 이용하여, 아연계 도금 강판 표면 상에 도포하고, 가열 건조하여, 편면당의 부착량이 50∼1200㎎/㎡의 피막을 갖는 도통성이 우수한 아연 도금 강판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는 수용성 지르코늄 화합물(A)을 함유한다. 수용성 지르코늄 화합물을 함유하는 표면 처리제를 이용하여 아연계 도금 강판의 표면에 표면 처리 피막을 형성하면, 당해 강판의 내식성, 형성되는 피막의 밀착성 및, 알칼리 탈지 후에 있어서의 당해 강판의 내식성의 제성능이 우수하여, 무기 피막의 특성인 내열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아연계 도금 강판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성 지르코늄 화합물(A)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질산 지르코늄, 옥시질산 지르코늄, 아세트산 지르코닐, 황산 지르코닐, 탄산 지르코늄, 탄산 지르코닐암모늄, 탄산 지르코닐칼륨, 탄산 지르코닐나트륨, 지르콘 불화 수소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연 도금 강판의 내식성 및, 도통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탄산 지르코닐암모늄 및, 탄산 지르코닐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는, 테트라알콕시실란(B)을 함유한다. 상기 수용성 지르코늄과 함께 테트라알콕시실란을 함유하는 표면 처리제를 이용하여 아연계 도금 강판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면, 당해 강판의 내식성, 형성되는 피막의 밀착성 및, 알칼리 탈지 후에 있어서의 당해 강판의 내식성의 제성능이 우수하여, 무기 피막의 특성인 내열성, 용접성이 우수한 아연계 도금 강판이 얻어진다. 이러한 우수한 특성이 얻어지는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테트라알콕시실란(B)과 전술한 수용성 지르코늄(A)을 병용하면, 수용성 지르코늄(A)과 테트라알콕시실란(B)이, 삼차원 가교를 갖는 피막을 형성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테트라알콕시실란(B)의 종류는 1 분자 중에 알콕시기를 4개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프로폭시실란 및, 테트라부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알콕시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탄소수가 1∼4의 알콕시기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이다. 즉, 아연계 도금 강판의 내식성이 보다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테트라에톡시실란 및, 테트라메톡시실란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처리제에 사용되는 수용성 지르코늄(A)과 테트라알콕시실란(B)의 함유량은, 수용성 지르코늄(A)의 합계 Zr 환산 질량과 테트라알콕시실란(B)과의 질량비(A/B)가 1.0∼6.0이며, 1.6∼3.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비가 1.0 미만의 경우에는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계 도금 강판이 얻어지지 않고, 6.0 초과의 경우에는 아연계 도금 강판의 도통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는,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C)을 함유한다. 상기 수용성 지르코늄 및 테트라알콕시실란과 함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C)을 함유하는 표면 처리제를 이용하여 아연계 도금 강판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면, 당해 강판의 내식성 및, 알칼리 탈지 후에 있어서의 당해 강판의 내식성의 제성능이 우수하고, 특히, 밀착성, 내스크레치성(resistance to scratching) 및, 윤활성이 우수한 피막을 아연계 도금 강판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C)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의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아디핀산 디글리시딜에스테르, 프탈산 디글리시딜에스테르, 테레프탈산 디글리시딜에스테르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스테르 화합물, 솔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솔비탄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의 에폭시를 갖는 에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적은 피막량으로 아연계 도금 강판의 내식성이 보다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C)의 함유량은, 테트라알콕시실란(B)의 질량과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C) 합계의 질량과의 질량비(B/C)가, 0.1∼1.6이며, 0.2∼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비가 0.1 미만의 경우에는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계 도금 강판이 얻어지지 않고, 1.6 초과의 경우에는 피막의 밀착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는, 킬레이트제(D)를 함유한다. 킬레이트제(D)를 함유함으로써, 보관 안정성(저장 안정성)이 우수한 표면 처리제가 얻어진다. 그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킬레이트제(D)는, 상기 테트라알콕시실란(B)이 표면 처리제 중에서 고분자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라고 추측되며, 이러한 효과에 기인하여 표면 처리제를 조제 후 장기간에 걸쳐 보관한 경우에 있어서도 변질되는 일 없이, 조제시의 품질이 유지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킬레이트제(D)는, 바나딘산 화합물(E) 및 금속 화합물(F)을 표면 처리제 중에 안정되게 용해하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킬레이트제(D)는, 질산, 인산, 황산, 불산 등의 무기산에 비해 아연 도금층 표면의 에칭 작용이 적기 때문에, 인산 아연 등의 부도체 피막을 형성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킬레이트제(D)를 함유하는 표면 처리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피막을 갖는 아연계 도금 강판은, 보다 우수한 도통성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킬레이트제(D)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주석산, 말산 등의 하이드록시카본산, 모노카본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구연산, 아디핀산 등의 디카본산 또는 트리카본산 등의 폴리카본산 및 글리신 등의 아미노카본산 등,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킬레이트제의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표면 처리제의 보관 안정성(저장 안정성) 및, 아연계 도금 강판의 내식성과 도통성의 관점에서, 1 분자 중에 카복실기 또는 포스폰산 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킬레이트제(D)의 함유량은, 테트라알콕시실란(B)의 질량과 킬레이트제(D) 합계의 질량과의 질량비(B/D)가 0.3∼2.0이며, 0.5∼1.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질량비가 0.3 미만 또는 2.0 초과의 어느 경우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계 도금 강판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는, 바나딘산 화합물(E)을 함유한다. 바나딘산 화합물(E)은 아연계 도금 강판 표면에 형성되는 피막 중에 있어서, 물에 용해되기 쉬운 형태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존재하고, 소위 아연 부식시의 인히비터 효과를 발현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나딘산 화합물(E)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바나딘산 암모늄, 메타바나딘산 나트륨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나딘산 화합물(E)의 함유량은, 바나딘산 화합물(E) 합계의 V 환산 질량과 킬레이트제(D) 합계의 질량과의 질량비(E/D)가, 0.03∼1.0이며, 0.05∼0.7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질량비가 0.03 미만의 경우에는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계 도금 강판이 얻어지지 않고, 1.0 초과의 경우에는 표면 처리제로의 바나딘산 화합물의 용해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는, Ti, Al 및 Z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 화합물(F)을 함유한다. 이들 금속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내식성(특히 가공부)을 갖는 아연계 도금 강판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속 화합물(F)로서는, Ti, Al 및 Z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 화합물이면 특별히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Ti를 포함하는 금속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황산 티타닐, 질산 티타닐, 질산 티탄, 염화 티타닐, 염화 티탄, 티타니아졸, 산화 티탄, 옥살산 티탄산 칼륨, 티탄 불화 수소산, 티탄 불화 암모늄, 티탄락테이트, 티탄테트라이소프로폭사이드, 티탄아세틸아세트네이트, 디이소프로필티타늄비스아세틸아세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황산 티타닐의 수용액을, 열가수분해시켜 얻어지는 메타티탄산이나, 알칼리 중화로 얻어지는 오르소티탄산 및 이들 염도 들 수 있다.
Al를 포함하는 금속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알루미늄, 황산 알루미늄, 질산 알루미늄, 인산 알루미늄, 염화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Zn을 포함하는 금속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 아연, 산화 아연, 수산화 아연, 황산 아연, 질산 아연, 염화 아연, 인산 아연 외에, 아연은 양성 금속이기 때문에, 알칼리사이드에서 생성하는 아연산 나트륨, 아연산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속 화합물(F)의 함유량은, 금속 화합물(F)의 금속 합계 환산 질량과 킬레이트제(D) 합계의 질량과의 질량비(F/D)가, 0.05∼0.8이며, 0.17∼0.3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질량비가 0.05 미만의 경우에는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계 도금 강판이 얻어지지 않고, 0.8 초과의 경우에는 금속 화합물(F)의 표면 처리제로의 용해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는, pH8∼10이며, pH8.2∼9.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처리액의 pH가 8 미만이면 표면 처리제의 보관 안정성(저장 안정성), 그리고, 아연계 도금 강판의 내식성 및 강판 표면에 형성되는 피막의 밀착성이 저하된다. 한편, pH가 10을 초과하는 경우나 산성이 된 경우에는, 아연의 에칭이 현저해져, 아연계 도금 강판의 내식성 및, 도통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pH의 조정에 이용되는 알칼리로서는, 암모늄, 아민, 아민의 유도체 및 아미노폴리카본산이 바람직하고, 산으로서는 전술한 킬레이트제(D)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연 도금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피막은, 편면당의 부착량이 50∼1200㎎/㎡가 되도록 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100∼900㎎/㎡로 조정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500㎎/㎡ 이하로 조정된다. 50㎎/㎡ 미만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는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1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효과가 포화하여, 경제적으로 불이익이 되는 것 외에, 경우에 따라서는 도통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는, 윤활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윤활제(G)를 첨가할 수 있다. 윤활제로서는, 폴리에틸렌 왁스, 산화 폴리에틸렌 왁스, 산화 폴리프로필렌 왁스, 카르나바 왁스, 파라핀 왁스, 몬탄 왁스, 라이스 왁스, 테플론(Teflon;등록상표) 왁스, 2황화 탄소, 그래파이트(graphite) 등의 고체 윤활제를 들 수 있다. 이들 고체 윤활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윤활제(G)의 함유량은, 표면 처리제의 전고형분에 대하여, 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7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질량% 이상으로 하면 윤활성능의 향상이 얻어지고, 10질량% 이하의 경우에는 아연계 도금 강판의 내식성이 저하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는, 아연계 도금 강판 표면에 형성되는 피막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비이온계 아크릴 수지 에멀션(H)을 함유할 수 있다. 비이온계 아크릴 수지 에멀션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스티렌 등의 비닐계 모노머를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혹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구조상에 갖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유화제)의 존재하, 수중에서 유화 중합한 수계 에멀션 등, 비이온계 유화제로 유화된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이온계 아크릴 수지 에멀션(H)의 함유량은, 표면 처리제의 전고형분에 대하여 0.5∼45.0질량%이며, 1.0∼40.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5질량% 이상으로 하면 표면 처리제의 젖음성(wettability) 향상의 효과가 얻어지고, 45.0질량% 이하의 경우에는 아연계 도금 강판의 도통성이 저하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는, 상기한 성분을 탈(脫)이온수, 증류수 등의 수중에서 혼합함으로써 얻어진다. 표면 처리제의 고형분 비율은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는, 필요에 따라서 알코올, 케톤, 셀로솔브계의 수용성 용제, 계면활성제, 소포제, 레벨링제, 방균 방곰팡이제, 착색제 등을 첨가해도 좋다. 이것들을 첨가함으로써, 표면 처리제의 건조성, 도포 외관, 작업성, 저장 안정성(보관 안정성), 디자인성(design property)이 향상한다. 단, 이것들은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는 정도로 첨가하는 것이 중요하여, 첨가량은 많아도 표면 처리제의 전고형분에 대하여 5질량% 미만이다.
본 발명의 표면 처리제의 아연계 도금 강판으로의 도포의 방법으로서는, 처리되는 아연계 도금 강판의 형상 등에 의해 적절히 최적인 방법이 선택되어, 롤 코팅법, 바 코팅법, 침지법(dipping), 스프레이 도포법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시트 형상이면 롤 코팅법, 바 코팅법이나, 표면 처리제를 아연계 도금 강판에 스프레이하여 롤 드로잉이나 기체를 고압으로 내뿜어 도포량을 조정한다. 성형품이면, 표면 처리제에 침지하여 인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압축 에어로 여분의 표면 처리제를 날려 버려 도포량을 조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연계 도금 강판에 표면 처리제를 도포하기 전에, 필요에 따라서, 아연계 도금 강판 표면 상의 유분이나 더러움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전(前)처리를 아연계 도금 강판에 행해도 좋다. 아연계 도금 강판은, 방청 목적으로 방청유가 도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방청유로 도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작업 중에 부착된 유분이나 더러움 등이 있다. 전처리를 행함으로써, 아연계 도금 강판 표면 상이 청정화되어, 금속 재료 표면이 균일하게 젖기 쉬워진다. 유분이나 더러움 등이 없고, 표면 처리제가 균일하게 젖는 경우는, 전처리 공정은 특별히 필요는 없다.
또한, 전처리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탕세(湯洗;cleaning with hot water), 용제 세정, 알칼리 탈지 세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연계 도금 강판 표면 상에 형성된 피막을 건조할 때의 가열 온도(최고 도달판 온도)는, 통상 60∼200℃이며, 80∼1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를 60℃ 이상으로 하면, 주(主)용매인 수분이 잔존하는 일 없이, 아연계 도금 강판의 내식성의 저하 등을 볼 수 없다. 한편, 가열 온도를 200℃ 이하로 하면, 피막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에 의한 아연계 도금 강판의 내식성 저하가 없다. 가열 건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열풍이나 인덕션 히터, 적외선, 근적외선 등에 의해 가열하고, 표면 처리제를 건조하면 좋다.
또한, 가열 시간은, 사용되는 아연계 도금 강판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최적인 조건이 선택된다. 또한,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는, 0.1∼60초가 바람직하고, 1∼30초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아연계 도금 강판에 있어서, 내식성 및, 아연계 도금 강판 표면에 형성되는 피막의 밀착성의 제성능을 갖고, 특히 내식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소망하는 도통성이 얻어지는 이유는 반드시 분명하지는 않지만,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에 의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우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용성 지르코늄 화합물과 테트라알콕시실란과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에 의해 아연계 도금 강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피막의 골격(skeleton)을 구성한다. 수용해성 지르코늄의 피막은, 일단 건조하면 재차 물에는 용해되지 않고 배리어(barrier)적 효과를 갖기 때문에, 아연계 도금 강판의 내식성, 피막의 밀착성 및, 알칼리 탈지 후에 있어서의 아연계 도금 강판의 내식성의 제성능이 우수하여, 무기 피막의 특성인 내열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아연계 도금 강판이 얻어진다. 이때, 테트라알콕시실란을 함유함으로써, 알콕시기로부터 발생한 실라놀기와 수용성 지르코늄 화합물이 삼차원 가교(cross linking)함으로써, 치밀한 피막이 형성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처리제는,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에폭시기가, 실라놀기 및, 수용성 지르코늄과 가교 반응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이 때문에, 피막의 결합력이 보다 강고하게 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에 의해, 유기 피막의 특성인 내스크레치성 및, 윤활성이 우수한 아연 도금 강판이 얻어진다.
또한, 바나딘산 화합물과 금속 화합물은, 피막 중에 있어서 물에 녹기 쉬운 형태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존재하고, 소위 아연 부식시의 인히비터 효과를 발현한다. 즉, 바나딘산 화합물과 금속 화합물은, 부식 환경하에서 일부가 이온화되어, 부동태화됨으로써 아연의 부식 자체를 억제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특히, 금속 화합물은, 성형 후의 피막 결함부에 우선적으로 용출하여, 아연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킬레이트제는, 표면 처리제 중에서, 테트라알콕시실란이 고분자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 및, 바나딘산 화합물과 금속 화합물을 안정되게 용해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건조하여 피막을 형성할 때에는, 인산 아연과 같은 절연 피막을 형성하지 않고, 킬레이트제의 카복실기, 또는 포스폰산 기가 상기 피막 골격 성분과 치밀한 피막 골격을 형성하기 위한 가교제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도통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즉, 본 발명의 도통성이 우수한 아연계 도금 강판은, 수용성 지르코늄 화합물, 테트라알콕시실란 및,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에 의해 형성되는 피막이 박막이면서 고내식성을 갖는 점과, 킬레이트제, 바나딘산 화합물 및, 금속 화합물의 부식 인히비터를, 피막 중에 함유시키는 구성에 의해, 낮은 압력으로 가스켓 등과 접촉하는 경우라도, 우수한 도통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으로 추측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식성 및, 밀착성의 제성능을 갖고, 특히 내식성이 저하되는 일 없이, 낮은 압력으로 강판이 접촉하는 바와 같은 엄격한 조건에서도 도통성이 우수한 아연계 도금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연계 도금 강판은 여러 가지의 용도에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건축, 전기, 자동차 등의 각종 분야에서 사용되는 재료 등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설명하는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시험판의 작성 방법
(1) 공시판(소재)
이하의 시판의 재료를 공시판으로서 사용했다.
(i) 전기 아연 도금 강판(EG) : 판두께 0.8mm, 도금량=20/20(g/㎡)
(ii) 용융 아연 도금 강판(GI) : 판두께 0.8mm, 도금량=60/60(g/㎡)
(iii)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GA) : 판두께 0.8mm, 도금량=40/40(g/㎡)
또한, 도금량은 각각의 강판의 주면 상으로의 도금량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아연 도금 강판의 경우는, 20/20(g/㎡)이며, 강판의 양면의 각각 20g/㎡의 도금층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2) 전처리(세정)
시험편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우선 상기의 공시재의 표면을, 니혼 파커라이징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펄 클린 N364S를 이용해 처리하여, 표면 상의 유분이나 더러움을 없앴다. 다음으로, 수돗물로 수세(水洗)하여 금속 재료 표면이 물에 100% 젖는 것을 확인한 후, 추가로 순수(탈이온수)를 흘러 내려, 100℃ 분위기의 오븐에서 수분을 건조한 것을 시험편으로서 사용했다.
(3) 본 발명의 처리액의 조정
각 성분을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질량비)으로 탈이온수 중에서 혼합하여, 표면 처리제를 얻었다.
또한, 표 1 중의 성분(G) 및 (H)의 배합량은, 표면 처리제 1kg 중에 배합한 양(g)을 나타낸다.
[표 1-1]
Figure pct00001
[표 1-2]
Figure pct00002
[표 1-3]
Figure pct00003
[표 1-4]
Figure pct00004
[표 1-5]
Figure pct00005
[표 1-6]
Figure pct00006
[표 1-7]
Figure pct00007
[표 1-8]
Figure pct00008
[표 1-9]
Figure pct00009
[표 1-10]
Figure pct00010
[표 1-11]
Figure pct00011
[표 1-12]
Figure pct00012
이하에, 표 1에서 사용된 화합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용성 지르코늄 화합물(A)>
A1: 탄산 지르코늄나트륨
A2: 탄산 지르코늄암모늄
<테트라알콕시실란(B)>
B1: 테트라에톡시실란
B2: 테트라메톡시실란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C)>
C1: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C2: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킬레이트제(D)>
D1: 1-하이드록시메탄-1.1-디포스폰산
D2: 주석산
<바나딘산 화합물(E)>
E1: 메타바나딘산 암모늄
E2: 메타바나딘산 나트륨
<금속 화합물(F)>
F1: 티탄불화 암모늄
F2: 질산 알루미늄·6수화물
F3: 탄산 아연
<윤활제(G)>
G1: 폴리에틸렌 왁스(미츠이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케미펄(CHEMIPEARL;등록상표) W900)
<비이온계 아크릴 수지 에멀션(H)>
H1: 스티렌-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n-부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4) 처리 방법
상기의 표면 처리제를 이용하여, 바 코팅 도장으로 각 시험편의 편측의 표면 상에 도장하고, 그 후, 수세하는 일 없이, 그대로 오븐에 넣고, 표 2에 나타나는 건조 온도가 되도록 건조시켜, 표 2에 나타나는 부착량(mg/m2)의 피막을 형성시켰다.
건조 온도는, 오븐 중의 분위기 온도와 오븐에 넣고 있는 시간으로 조절했다. 또한, 건조 온도는 시험편 표면의 최고 도달 온도를 나타낸다. 바 코팅 도장의 구체적인 방법은, 이하와 같다.
바 코팅 도장: 표면 처리제를 시험편에 적하하여, #3∼5 바 코터로 도장했다. 사용한 바 코터의 번수와 표면 처리제의 농도에 의해, 표 2에 나타내는 부착량이 되도록 조정했다.
[표 2-1]
Figure pct00013
[표 2-2]
Figure pct00014
[표 2-3]
Figure pct00015
(5) 평가 시험의 방법
(5-1) 내식성의 평가
각 공시판으로부터 사이즈 70×150mm의 시험편을 잘라내어, 이면과 단부를 비닐 테이프로 시일하여 이하의 시험을 행했다. 평가는, 녹 발생 면적율을 육안으로 판정 평가했다.
염수 분무 시험(SST: JIS-Z-2371-2000에 준함):
SST 120시간 후의 백청 발생 면적율을 육안으로,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판정 기준:
◎: 백청 발생 면적율 5% 미만
○: 백청 발생 면적율 5% 이상 20% 미만
△: 백청 발생 면적율 20% 이상 40% 미만
×: 백청 발생 면적율 40% 이상
(5-2) 덧칠 도장성(overpaintability;밀착성)의 평가
상기와 동일 사이즈의 시험편 상에 시판의 멜라민 알키드 도료를 도장하여, 140℃로 30분간 번인(burn-in)한 후의 도막 두께가 30㎛가 되도록 했다. 그 후, 비수(boiling water)에 2시간 침지 후, 시험편의 표면에 NT 커터로 소지강(base steel)까지 달하는 절입(cut)을 넣어 1mm모서리의 바둑판눈을 100개 형성하여, 절입을 넣은 부분이 외(표)측이 되도록 에릭센 압출기로 5mm 압출하여, 테이프로 박리하고, 도막의 잔존 상황을 이하의 평가로 실시했다. 에릭센 압출 조건은, JIS-Z-2247-2006(에릭센값 기호: IE)에 준하여, 펀치 지름: 20mm, 다이스 지름: 27mm, 드로잉 폭: 27mm로 했다.
판정 기준:
◎: 박리 면적 5% 미만 및 박리 없음
○: 박리 면적 10% 미만 5% 이상
△: 박리 면적 20% 미만 10% 이상
×: 박리 면적 20% 이상
(5-3) 도통성의 평가
시험판에 대해서, 미츠비시카가쿠 애널텍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로레스타 GP, ESP 단자를 이용하여 표면 저항값을 측정해 평가했다. 표면 저항값은, 단자에 걸리는 하중을 50g 피치로 증가시켜 측정하고, 10-4Ω 이하를 달성할 수 있는 최소의 하중을 평가했다.
◎: 10점 측정의 평균 하중이 250g 미만
○: 10점 측정의 평균 하중이 250g 이상, 500g 미만
○-: 10점 측정의 평균 하중이 500g 이상, 750g 미만
△: 10점 측정의 평균 하중이 750g 이상, 950g 미만
×: 10점 측정의 평균 하중이 950g 이상
(5-4) 보관 안정성(저장 안정성)의 평가
표 1에 나타낸 성분 조성을 갖는 각 표면 처리에 대해서, 40℃의 항온조에 30일간 보관하여, 표면 처리제의 외관을 육안에 의해 평가했다.
◎: 변화 없음
○: 극미량의 침전이 보여진다.
△: 미량의 침전이 보여진다. 또는, 점도가 약간 높아졌다.
×: 대량의 침전이 보여진다. 또는, 겔화했다.
(5-5) 윤활성의 평가
표면 처리한 시험판으로부터 직경 100mm의 원판 형상의 시험편을 잘라내어, 펀치 지름: 50mm, 다이스 지름: 51.91mm, 주름 누름력: 1톤의 조건으로 컵 형상으로 성형했다. 성형품의 드로잉 가공을 받은 면(컵의 측면)의 외관을 육안에 의해 조사하여, 상처 정도 및 흑화 정도를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전면에 걸쳐 대부분 변함없고, 외관이 균일
○: 스크레치 및 흑화(blackening)가 조금 발생하고, 외관이 분명하게 불균일
△: 코너부를 중심으로 스크레치 및 흑화가 심하게 발생
×: 성형하지 못하고 갈라졌다
실시예 1∼81 및, 비교예 82∼103에 기재된 표면 처리제를 이용하여 얻어진 아연계 도금 강판에 관하여, 상기의 (5-1)∼(5-4)의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89 및, 비교예 101에 있어서는, 처리액이 불안정하고 피막을 형성할 수 없어, 각종 평가를 행할 수 없었다.
[표 3-1]
Figure pct00016
[표 3-2]
Figure pct00017
[표 3-3]
Figure pct00018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연계 도금 강판은, 내식성 및, 밀착성의 제성능을 갖고, 낮은 접촉 압력으로 가스켓 등과 접촉할 때의 도통성이 우수한 아연계 도금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통성이 우수한 아연계 도금 강판은 피막 중에 6가 크롬 등의 공해 규제 물질을 완전히 포함하지 않아, 자동차, 가전, OA 기기의 부품으로서 사용하는 아연계 도금 강판으로서는 최적이다.
피막 중에 6가 크롬 등의 공해 규제 물질을 완전히 포함하는 일 없이, 내식성 및, 밀착성의 제성능을 갖고, 특히 내식성이 저하되는 일 없이, 낮은 접촉 압력으로 가스켓 등과 강판이 접촉하는 바와 같은 엄격한 조건에서도 도통성이 우수한 아연계 도금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수용성 지르코늄 화합물(A)과, 테트라알콕시실란(B)과,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C)과, 킬레이트제(D)와, 바나딘산 화합물(E)과, Ti, Al 및, Z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금속을 함유하는 금속 화합물(F)을 함유하고, pH가 8∼10이며, 하기 (I)∼(V)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조정된 표면 처리제를 아연계 도금 강판 표면 상에 도포하고, 가열 건조하여 얻은, 편면당의 부착량이 50∼1200㎎/㎡의 표면 처리 피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계 도금 강판.

    (I) 수용성 지르코늄 화합물(A)의 Zr 환산 질량과 테트라알콕시실란(B)과의 질량비(A/B)가 1.0∼6.0
    (Ⅱ) 테트라알콕시실란(B)과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C)과의 질량비(B/C)가 0.1∼1.6
    (Ⅲ) 테트라알콕시실란(B)과 킬레이트제(D)와의 질량비(B/D)가 0.3∼2.0
    (Ⅳ) 바나딘산 화합물(E)의 V 환산 질량과 킬레이트제(D)와의 질량비(E/D)가 0.03∼1.0
    (V) 금속 화합물(F)의 금속 합계 환산 질량과 킬레이트제(D)와의 질량비(F/D)가 0.05∼0.8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면당의 부착량이 50∼500㎎/㎡인 아연계 도금 강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제가 추가로 윤활제(G)를 함유하고, 당해 윤활제(G)를 상기 표면 처리제의 전(全)고형분에 대하여, 1∼10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계 도금 강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제가 추가로 비이온계 아크릴 수지 에멀션(H)을 함유하고, 당해 비이온계 아크릴 수지 에멀션(H)을, 상기 표면 처리제의 전고형분에 대하여, 0.5∼45.0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계 도금 강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 아크릴 수지 에멀션(H)을 상기 표면 처리제의 전고형분에 대하여, 0.5∼4.5질량% 함유하는 아연계 도금 강판.
KR1020117024066A 2009-03-31 2010-03-31 아연계 도금 강판 KR101414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88263 2009-03-31
JPJP-P-2009-088263 2009-03-31
JP2010070873A JP5663915B2 (ja) 2009-03-31 2010-03-25 亜鉛系めっき鋼板
JPJP-P-2010-070873 2010-03-25
PCT/JP2010/056278 WO2010114170A1 (ja) 2009-03-31 2010-03-31 亜鉛系めっき鋼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477A true KR20110130477A (ko) 2011-12-05
KR101414568B1 KR101414568B1 (ko) 2014-08-06

Family

ID=4282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066A KR101414568B1 (ko) 2009-03-31 2010-03-31 아연계 도금 강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20088122A1 (ko)
EP (1) EP2418303B1 (ko)
JP (1) JP5663915B2 (ko)
KR (1) KR101414568B1 (ko)
CN (1) CN102378828B (ko)
CA (1) CA2756812C (ko)
MY (1) MY158154A (ko)
SG (1) SG174954A1 (ko)
TW (1) TWI465604B (ko)
WO (1) WO201011417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171A (ko) * 2013-02-08 2015-10-0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아연계 도금 강판용 표면 처리액과 표면 처리 피막 부착 아연계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41748A (ko) * 2015-04-24 2017-12-26 니혼 파커라이징 가부시키가이샤 금속 재료용 표면 처리제 및 금속 재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8226B (zh) 2011-06-07 2018-07-17 杰富意钢铁株式会社 热压用钢板
US20140186614A1 (en) 2011-08-31 2014-07-03 Jfe Steel Corporation Electromagnetic steel sheet having insulating coating (as amended)
JP5870570B2 (ja) 2011-09-14 2016-03-0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亜鉛系めっき鋼板用の表面処理液ならびに亜鉛系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493077B (zh) * 2012-04-27 2015-07-21 China Steel Corp A water-based metal surface treatment agent and a metal surface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1781771B1 (ko) * 2013-11-29 2017-09-25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처리 피막이 형성된 아연계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04099007B (zh) * 2014-06-19 2016-07-06 锐展(铜陵)科技有限公司 一种多镁基铝合金表面处理剂
JP6569194B2 (ja) * 2014-08-06 2019-09-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表面処理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6263278B2 (ja) * 2014-12-10 2018-01-1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亜鉛めっき鋼板用表面処理剤
CN104911573A (zh) * 2015-07-02 2015-09-16 常熟风范电力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批量热镀锌无铬钝化剂的制备方法
CN105344715A (zh) * 2015-11-10 2016-02-24 铜陵市明诚铸造有限责任公司 轧辊辊颈表面的处理方法
CN105331966B (zh) 2015-11-30 2018-04-27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无铬表面处理镀锡板、其生产方法及表面处理剂
CN105951083B (zh) * 2016-06-27 2018-09-07 湖南省鎏源新能源有限责任公司 镀锌钢板用水性复合钝化液及其制备方法
CN109642324A (zh) 2016-09-01 2019-04-16 美国圣戈班性能塑料公司 转化涂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9455B2 (ja) 1999-02-01 2004-08-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非クロム型表面処理金属材
US6827981B2 (en) * 1999-07-19 2004-12-07 The University Of Cincinnati Silane coatings for metal
JP3596665B2 (ja) 1999-11-30 2004-12-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亜鉛系めっき鋼板用表面処理皮膜及び表面処理鋼板
JP3860697B2 (ja) 1999-12-27 2006-12-20 日本パーカライジング株式会社 金属表面処理剤、金属材料の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金属材料
JP3851482B2 (ja) 2000-02-18 2006-11-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耐白錆性および塗膜密着性に優れる亜鉛系めっき鋼板
JP2001271175A (ja) 2000-03-27 2001-10-02 Kawasaki Steel Corp 表面処理亜鉛系めっき鋼板
JP3302677B2 (ja) * 2000-05-10 2002-07-15 日新製鋼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亜鉛系めっき鋼板及び化成処理方法
US20030209293A1 (en) * 2000-05-11 2003-11-13 Ryousuke Sako Metal surface treatment agent
JP3903740B2 (ja) 2000-05-30 2007-04-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有機被覆鋼板
JP3903739B2 (ja) * 2000-05-30 2007-04-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有機被覆鋼板
JP2002105658A (ja) 2000-07-26 2002-04-10 Nisshin Steel Co Ltd 耐黒変性,加工後耐食性に優れた亜鉛めっき鋼板,化成処理液及び化成処理方法
MY117334A (en) * 2000-11-10 2004-06-30 Nisshin Steel Co Ltd Chemically processed steel sheet improved in corrosion resistance
JP4078044B2 (ja) * 2001-06-26 2008-04-23 日本パーカライジング株式会社 金属表面処理剤、金属材料の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金属材料
JP2003155452A (ja) 2001-11-19 2003-05-30 Nippon Paint Co Ltd 鋼材用水性被覆剤、被覆方法及び被覆鋼材
JP2003171778A (ja) 2001-12-06 2003-06-20 Nippon Hyomen Kagaku Kk 金属の保護皮膜形成方法及び金属の保護皮膜
JP2004143549A (ja) * 2002-10-25 2004-05-20 Nisshin Steel Co Ltd 亜鉛系めっき鋼板用化成処理液
JP4167046B2 (ja) 2002-11-29 2008-10-15 日本パーカライジング株式会社 金属表面処理剤、金属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金属材料
JP2004263252A (ja) 2003-03-03 2004-09-24 Jfe Steel Kk 耐白錆性に優れたクロムフリー化成処理鋼板
JP2005048199A (ja) 2003-07-29 2005-02-24 Jfe Steel Kk 耐食性、導電性および皮膜外観に優れる表面処理鋼板
JP5075321B2 (ja) * 2003-12-10 2012-11-2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金属表面の水系処理薬剤
JP4573586B2 (ja) * 2004-07-07 2010-11-04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表面処理鋼板
JP2006213958A (ja) 2005-02-02 2006-08-17 Nippon Parkerizing Co Ltd 金属材料表面処理用組成物及び処理方法
JP2006321957A (ja) * 2005-05-20 2006-11-30 Nippon Parkerizing Co Ltd 環境対応型プレコート金属材料用水系表面処理剤及び表面処理方法
JP5313432B2 (ja) * 2005-12-28 2013-10-09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金属表面処理用組成物、金属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された亜鉛めっき鋼板
JP5578757B2 (ja) * 2006-06-13 2014-08-27 朝日化学工業株式会社 表面処理剤および鋼板
WO2007144951A1 (ja) * 2006-06-15 2007-12-21 Nippon Steel Corporation 被覆鋼板
JP4972240B2 (ja) * 2006-09-07 2012-07-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表面処理鋼板
MY148014A (en) * 2006-09-07 2013-02-28 Jfe Steel Corp Surface-treated steel shee t
JP4815316B2 (ja) * 2006-09-27 2011-11-16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クロムフリー水性防錆被覆剤で処理された塗装亜鉛系メッキ鋼板
JP5088095B2 (ja) * 2006-12-13 2012-12-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平板部耐食性、耐黒変性およびプレス成形後の外観と耐食性に優れた表面処理亜鉛系めっき鋼板、並びに亜鉛系めっき鋼板用水系表面処理液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171A (ko) * 2013-02-08 2015-10-0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아연계 도금 강판용 표면 처리액과 표면 처리 피막 부착 아연계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41748A (ko) * 2015-04-24 2017-12-26 니혼 파커라이징 가부시키가이샤 금속 재료용 표면 처리제 및 금속 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63915B2 (ja) 2015-02-04
EP2418303A4 (en) 2016-08-10
MY158154A (en) 2016-09-15
CN102378828A (zh) 2012-03-14
WO2010114170A1 (ja) 2010-10-07
US20120088122A1 (en) 2012-04-12
EP2418303A1 (en) 2012-02-15
SG174954A1 (en) 2011-11-28
JP2010255105A (ja) 2010-11-11
KR101414568B1 (ko) 2014-08-06
EP2418303B1 (en) 2017-11-22
CN102378828B (zh) 2014-12-31
TWI465604B (zh) 2014-12-21
TW201042083A (en) 2010-12-01
CA2756812A1 (en) 2010-10-07
CA2756812C (en) 201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568B1 (ko) 아연계 도금 강판
KR101492485B1 (ko) 아연계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아연계 도금 강판
KR101599167B1 (ko) 아연계 도금 강판용의 표면 처리액과 아연계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754102B2 (ja) 亜鉛系めっき鋼板
KR20130057481A (ko) 아연계 도금 강판
KR102376587B1 (ko) 아연 도금 강재용의 금속 표면 처리제, 피복 방법 및 피복 강재
JP2009120951A (ja) 向上された耐アルカリ性と加工性を有するクロムフリー樹脂溶液組成物、これを用いた鋼板の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された鋼板
KR100765068B1 (ko) 가공성이 우수한 크롬 프리 수지 용액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표면처리 강판
JP2008019492A (ja) 亜鉛系めっき金属材料に適した表面処理液
JP2008184659A (ja) 表面処理金属材
KR100782640B1 (ko) 가공성이 우수한 크롬 프리 수지 용액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표면처리 강판
WO2015080066A1 (ja) 表面処理皮膜付き亜鉛系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