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9832A - 자동차의 해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해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9832A
KR20110119832A KR1020117022376A KR20117022376A KR20110119832A KR 20110119832 A KR20110119832 A KR 20110119832A KR 1020117022376 A KR1020117022376 A KR 1020117022376A KR 20117022376 A KR20117022376 A KR 20117022376A KR 20110119832 A KR20110119832 A KR 20110119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drive
direction change
axis
dri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8643B1 (ko
Inventor
롤프 시트즐러
우베 썸머
가에탄 코디어
데니스 바랄
필리페 쿠드롱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꼼빠니 쁠라스틱 옴니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꼼빠니 쁠라스틱 옴니움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Publication of KR2011011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2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screw-and-nut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1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6Tailgates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부(2)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해치(1)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해치(1)는, 특히, 기하학적 해치 축선(5)을 중심으로 힌지(3, 4)를 통해 회동됨으로써 자동차 본체의 해치 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구동부(2)는 선형 구동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세장형의 선형 구동부로서 구성되고, 설치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는 해치 축선(5)을 따라 연장하며 선형 구동 운동의 관점에서 해치 축선(5)에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이, 설치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는 해치 축선(5)의 구역 내에서 해치(1)의 공동(8)에 배치되며, 방향 변경 기어(9)가 해치 축선(5)의 구역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2)는 해치(1)의 개구(10, 11)를 통과하여 방향 변경 기어(9)에 의해 자동차 본체에 구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해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DRIVE ARRANGEMENT FOR ACTUATION OF A HATCH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춘 자동차의 해치, 특히, 테일게이트의 작동을 위한 구동 장치와, 청구항 19의 전제부에 따른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해치 장치, 그리고 청구항 30의 전제부에 따른 스포일러(spoiler)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내에서, 용어 자동차의 "해치(hatch)"는 포괄적인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해치는 테일게이트(tailgate), 리어 부트 리드(rear boot lid) 또는 엔진 후드(engine hood)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사이드 도어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에 논의되고 있는 해치는 기하학적 해치 축선을 중심으로 힌지에 의해 회동됨으로써, 자동차 본체의 해치 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동차 본체가 본 발명에서 예시되고 있는 바와 같은 해치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해치는 자동차 본체의 구성 요소가 아니다.
본 발명의 선행 발명(제 DE 20 2005 018 584 U1 호)에 공지된 바와 같은 구동 장치에는 선형 구동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세장형의 스핀들 구동부가 장착되어 있다. 설치 상태에서, 스핀들 구동부는 해치 축선을 따라 연장하며 구동부의 선형 구동 운동과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해치 축선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여기서, 스핀들 구동부는 해치 축선 부근으로 후방 루프 프레임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만족할 만한 수준의 설치 공간 활용이 보장된다.
전술한 공지의 구동 장치는, 그러나, 충돌 거동 면에서 단점이 있다. 구동부가 기계적으로 상당히 견고하지 못한 커버에 의해서만 정식으로 자동차 내부로부터 분리된다는 사실로 인해, 루프 영역에서 충돌로 인한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차 탑승자가 구동부로 인해 위험해질 수도 있다. 이 같은 상황은, 특히, 후방에 좌석이 한 줄 더 배치되어 있는 자동차에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돌 안전성이 증가하는 방식으로 공지의 구동 장치를 설계 개발하는 문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구동 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문제는 청구항 1의 특징부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가 해치의 공동 내부에 배치되면 즉각적으로 필요한 충돌 안전성이 실현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가장 간단한 구성의 경우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치의 벽부가 자동차로부터 구동부를 분리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해치의 공동 내부에 구동부를 배치하는 기본 개념은 구동부가 해치 축선의 구역 내에 위치한다는 사실에 의해 실용화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의 중량으로 인해 해치에 작용하는 토오크가 전체적으로 낮음에 따라, 구동부 전체가 해치 축선을 따라 연장한다. 그 결과, 구동부를 비교적 약한 강도로 설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저렴한 비용으로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해치의 공동 내부에 구동부를 배치하는 구성은 자동차 내부 소음에 있어서의 유리한 발전과 연관이 있다. 이에 대응하는 구성을 보면, 소음 면에서 차량 내부를 구동부로부터 대폭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것은 해치 축선의 구역 내에 구동부를 배치함으로 인해 조장되는 효과이다. 해당 구역에서 우세한 높은 기계적 강성의 덕택으로,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관심 주파수 범위에서는 낮은 공명 진동만이 예상된다.
해치의 공동 내부에 구동부를 배치한 결과,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전자기 호환성)에 관한 제안에 따른 장치의 거동에 있어서 특히 유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적당한 해치 구성의 경우, 해치가 구동부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이른바 구동부용 차폐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자동차 본체에 구동부를 구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하여, 구동 장치에는 최종적으로 방향 변경(redirection) 기어가 해치의 대응 개구를 관통하여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스핀들 구동부이다. 스핀들 구동부의 기본적인 구조적 구성과 관련하여서는, 본 발명의 두 출원인 중 한 명에게 소유권이 있으며 본 출원의 주제의 범위가 되는 독일 실용 신안 제 20 2005 007 154 U1 호를 참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스핀들 구동부의 사용에 따른 특정한 장점은 두드러지게 슬림한 구성이다. 따라서, 스핀들 구동부가 중량의 영향으로 추가로 배후로 이동됨에 따라, 스핀들 구동부를 해치 축선에 가능한 한 밀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취지로 주어진 또 다른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청구항 19에 따른, 해치의 작동을 위한 구동 장치 및 전술한 바와 같은 해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해치 장치가 청구된다.
구동부를 수용하는 전술한 공동이 해치에 장착된다는 사실은 본 발명에 따른 해치 장치에 있어서 필수 요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요건에 따라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충돌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청구항 20에 따르면, 상기 구동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구동 장치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에 관한 모든 해설이 참조될 수도 있다.
청구항 24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해치에는 해치 내피와 해치 외피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용어 "해치 내피(hatch inner skin)"와 "해치 외피(hatch outer skin)"는 광범위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해치 내측면과 해치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해치 내피와 해치 외피를 상호 연결하는 것이 필수이다. 여기서, 해치 내피와 해치 외피는 모두 복수 개의 조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스포일러 구성 요소, 커버, 조명, 연결부 및/또는 통풍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청구항 26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해치 내피에 의해 자동차 내부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어느 경우에나 해치 내피는 제공되므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전술한 충돌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청구항 27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해치 외피 또는 내피의 일부는 내부에 구동부가 배치되는 상기 공동의 커버를 형성한다. 구동부를 수용하는 공동용 커버가 이러한 방식으로 실현됨으로써 구동부로의 단순 접근성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가 추가로 지정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 가능한 스포일러 구성 요소가 관심을 받고 있다. 스포일러 구성 요소의 조절 능력은, 특히, 고속 주행 자동차의 구동축 상의 공력(downforce)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가 스포일러 구성 요소의 동력 조절을 위해 스포일러 구성 요소에 결합된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구동 가능한 결합은 해치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만, 다시 말해, 해치가 비활성인 상태에서만 유효하다.
각각의 해치가 구동 작동 동안 정식으로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선택적인 결합이 적절하다. 이러한 유형의 선택적인 결합은 또한, 예를 들어, 한편으로는 구동부와 해치 사이에, 다른 한편으로는 구동부와 스포일러 구성 요소 사이에 마련되는 의도한 자재륜(freewheel)에 의해 즉각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 다른 독립적인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스포일러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청구항 30에 따른 스포일러 장치가 청구된다. 여기서, 무엇보다도, 스포일러 구성 요소는 세장형이며 실질적으로 자동차의 폭 일부에 걸쳐 연장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스포일러 구성 요소는 그 종방향 범위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철수 위치와 신장 위치 사이에서 구동부에 의해 정해진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현되는 조절 운동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필수적으로, 구동부는 선형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세장형 선형 구동부로서 구성되어야 하며, 또한, 구동부는 스포일러 구성 요소를 따라 연장하는 한편 선형 구동 운동의 관점에서 스포일러 구성 요소와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발견한 바에 따르면, 적당하게는, 구동부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소정 체적의 설치 공간이 스포일러 구성 요소를 따라, 스포일러 구성 요소 자체 내부에, 또는 스포일러 구성 요소를 지지하는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한다.
청구항 31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설치 상태에서, 구동부는 스포일러 구성 요소에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구동부는 전술한 설명에 제안된 바와 같은 해치 장치에서와 같이 스포일러 구성 요소의 조절 운동을 정확하게 추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충돌 안전성이 증가된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아래의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치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후방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선 II을 따라 해치 외피가 제거된 상태의 도 1에 따른 해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장치의 연관 방향 변경 레버와 연관 푸쉬 로드를 구비한 힌지를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조절 가능한 스포일러 구성 요소를 지탱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를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해치(1), 특히, 테일게이트(1)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 장치는, 따라서, 구동부(2)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2)는 단 하나의 구동부이다. 그러나, 또한, 복수 개의, 특히, 두 개의 구동부(2)가 제공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야기되는 해치(1)의 작동은 동력식 작동으로서, 해치(1)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동력 작동 방식으로 조절된다. 구동부(2)는, 특히, 전기식, 유압식, 또는 공압식 구동부(2) 등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해치(1)는 기하학적 힌지 축선(5)을 중심으로 힌지(3, 4)를 통해 회동됨으로써, 자동차 본체의 해치 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좌측 힌지(3)가 도 3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하학적 해치 축선(5)은 고정형 해치 축선으로서, 해치(1)의 조절 동안 해치 축선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해치(1)의 조절 동안 해치 축선(5)이 평행 변위 이동을 수행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치(1)가 복수 개의 이음부 운동학적 시스템을 통해 또는 외향 회전 힌지를 통해 자동차 본체에 관절 이음되어 있는 경우, 전술한 해치의 평행 변위 이동이 채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구동부(2)는 선형 구동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세장형의 선형 구동부로서 구성된다. 이를 위해, 구동부(2)는 구동부 연결부(6, 7)를 구비하며, 이들 구동부 연결부를 통해 구동 운동이 산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은 설치 상태에서, 세장형의 선형 구동부(2)는 해치 축선(5)을 따라 연장한다. 또한, 선형 구동부(2)는 선형 구동 운동의 관점에서 해치 축선(5)에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이러한 구성이 유리한 이유는, 구동부(2)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설치 공간이 해치 축선(5)을 따라 마련되는 것이 적당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상태에서, 구동부(2)는 해치 축선(5)의 구역 내에서 해치(1)의 공동(8)에 배치된다. 상기 공동(8)은 해치(1)의 내부에 마련되는 소정 유형의 설치 공간일 수 있다. 특히, 공동(8)이 외부에 대해 반드시 밀폐 처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2)의 구동 운동을 자동차 본체에 전달하기 위하여, 방향 변경 기어(9)가 마련되어 해치 축선(5)의 구역 내에 배치된다. 여기서, 구동부(2)는 해치(1)의 개구(10, 11)를 통하여 방향 변경 기어(9)에 의해 자동차 본체에 구동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개구(10, 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변경 기어(9)는 구동부(2)의 양측에 배치되며, 자동차의 종방향 축선(5a)과 관련하여 거울 대칭형 구성으로 형성된다. 도 3에는 좌측(구동 방향을 기준으로)의 방향 변경 기어(9)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변경 기어(9)는 방향 변경 축선(14, 15)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 가능한 두 개의 방향 변경 레버(12, 13)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해치(1)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방향 변경 축선(14, 15)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다. 도 2에는 해치(1)의 폐쇄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일 변형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변경 축선(14, 15)이 항상 해치 축선(5)과 기본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대부분의 용례에서, 방향 변경 축선(14, 15)이 이와 같이 정렬됨으로써 설치 공간의 최적의 활용이 가능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변경 레버(12, 13)는 두 개의 암 레버의 형태로 구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각각 구동부(2)에 할당되는 구동 레버(16)와, 자동차 본체에 할당되는 종동 레버(17)를 포함한다. 도 3에는 이들 레버(16, 17)가 각각 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2 및 도 3에 함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종동 레버(17)는 푸쉬 로드(push rod;18)를 통해 자동차 본체에 결합된다.
실제로, 종동 레버(17)가 각각 대응하는 푸쉬 로드(18)를 통해 자동차 본체에 직접 결합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종동 레버(17)가 대응하는 푸쉬 로드(18)를 통해 개개의 힌지(3, 4)의 고정부(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시 말해, 자동차 본체에 고정되는 부분)에 구동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그 결과, 구동 장치와 힌지(3, 4)를 포함하는 해치(1)가 조립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구동 레버(16)의 기하학적 레버 암(19)이 종동 레버(17)의 기하학적 레버 암(20)보다 긴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기하학적 레버 암(geometrical lever arm)"은 각각의 경우에 개개의 레버(16, 17)의 두 개의 관절 이음 지점 사이의 간격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변경 레버(12, 13)와, 푸쉬 로드(18) 그리고 힌지(6, 7)를 포함하는 구동 계열 부품이 기어를 형성하며, 이러한 기어의 기어 비는 실질적으로, 일차적으로는 개개의 방향 변경 레버(12, 13)에서의 그리고 이차적으로는 개개의 힌지(3, 4)에서의 레버 비의 함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기어의 기어 비는 해치(1)의 운동에 따라 변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달비의 프로파일은 중량으로 인해 해치(1)에 작용하는 토오크의 프로파일에 해당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중량으로 인해 토오크가 두 배가 되면 제 1 근사치의 전달비도 두 배가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상 작동 동안 구동부(2)에 의해 인가되는 구동력 변화는 단지 작은 범위 내로만 실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부(2)의 구성에, 특히, 구동부의 구동 모터의 구성에 유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기어의 전달비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해치(1)의 운동 동안 최대치를 통과한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의 용례에서, 중량으로 인한 전술한 토오크 프로파일에 대한 충분한 근사치가 사전에 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3, 4)는 각각의 경우 해치측 힌지부(21)와, 자동차 본체측의 전술한 고정 힌지부(22)를 구비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힌지(3, 4), 이 경우, 해치측 힌지부(21)는 외측으로부터 구동부(2)를 수용하는 공동(8)의 벽부에 체결된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3, 4)는 각각의 경우 브라켓 등과 같은 체결 요소(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외측으로부터 상기 벽부에 체결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변경 레버(12, 13)용의 대응 캐리어 구성 요소(23)가 내측으로부터 상기 벽부에 체결되어 각각의 방향 변경 레버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적당한 구성의 경우, 구동부(2)에 의해 인가되는 구동력이 전달됨으로 인해 해치(1)의 비틀림이 야기되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힌지(3, 4), 특히, 개개의 해치측 힌지부(21)는 전술한 벽부를 포함하여 개개의 캐리어 구성 요소(23)에 나사 체결된다. 원칙적으로, 해치측 힌지부(21)와 임의로 제공되는 체결 요소 및/또는 체결용 캐리어 구성 요소(23)는 또한, 플라스틱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특히,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중첩 성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특히 저렴한 비용으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3, 4)와 개개의 캐리어 구성 요소(23)는 단일 부품의 형태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부품 수의 감소 및 간단한 조립 과정의 덕택으로 비용 감소가 초래된다.
방향 변경 레버(12, 13)를 구비한 방향 변경 기어(9)의 실시예를 통해 구동부(2)의 조절 경로를 제한하기 위한 단부 정지부를 간단한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단부 정지부는, 바람직하게는, 개개의 방향 변경 레버(12, 13) 상의 무정형 성형부와, 개개의 캐리어 구성 요소(23) 상의 대응하는 무정형 성형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또는 변형예로서, 구동부(2) 자체에, 특히, 스핀들 구동부에 대응 단부 정지부를 제공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동부(2)에는 해치(1)에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는 하우징(24)이 마련되어 있다. 구동부(2)는 구동 연결부(6, 7)를 통해 단독으로 공동(8) 내에 유지된다. 수직 방향 가속력을 흡수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구동 연결부(6, 7)를 통해 단독으로 오목부 등을 통해 구동하는 경우, 구동부(2)에 구동부의 종방향 범위와 수직 방향으로 지지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지지부를 구동부(2)의 하우징(24)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지지부가 또한, 해치(1)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해치의 공동(8)을 구동부(2)를 지지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충전, 특히, 발포 성형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물론, 구동부(2)의 조절 능력은 보장되어야 한다. 정상 작동 시에, 따라서, 구동부(2)는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와 독립적이며, 수직 방향 가속력이 높아지기 전까지는 지지부와 결합되지 않는다.
구동 장치에 초래되는 소음 거동과 관련하여, 예정된 재료, 예를 들어, 부직포 등과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공동(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를 수용하는 공동(8)은 대응하는 소음 말소 재료를 이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 특히, 발포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2)는 스핀들 구동부로서 구성되며, 또한, 구동부(2)는 하우징(24)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즉,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에 후속하여 배치된 중간 기어, 그리고 중간 기어에 후속하여 배치된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스핀들 구동부의 구조적 구성의 세부 사항과 관련하여서는, 본 발명의 두 명의 출원인 중 한 명의 소유인 독일 실용 신안 제 DE 2005 007 154 U1 호를 다시 참조할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핀들 구동부(2)의 하우징(24)은 두 개의 기본적으로 관상형의 하우징부(24a, 24b)를 포함하며, 이들 하우징부는 절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여 서로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서로 체결된 상태로 회동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하우징부(24a)는 제 1 단면의 무정형 성형품이며 제 2 하우징부(24b)는 상보형의 제 2 단면의 무정형 성형품이다. 적당한 구성에 의해 결과적으로 형성되는 끼움 연결을 통해, 특히, 전술한 수직 방향 가속력과 관련하여, 구동부(2)의 강성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신장 위치에서의 스핀들 구동부(2)의 전체 길이는 최대 운동량의 배수이다. 도시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신장 위치에서의 스핀들 구동부(2)의 전체 길이는 최대 운동량의 대략 네 배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세장형의 스핀들 구동부(2)의 경우, 특히, 스핀들 구동부(2)가 두 개의 방향 변경 레버(12, 13)와 그 사이에 추가적인 동력 전달 구성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결합될 수 있어, 구성 요소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2)는 구동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구동부(2)를 수용하는 해치(1)의 공동(8)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해치 축선(5)의 구역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동(8)의 내부에서 구동부(2)에 제어 장치가 할당되는 구성은, 특히, 다시 말해, 해치(1)와 함께 제어 장치가 조립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립식 구성의 범위 내에서 제어 장치가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리하게는, 제어 장치를 구동부(2)에 연결하기 위해 단지 짧은 길이의 전선만이 필요하게 되어, EMC(전자기 호환성)와 관련하여 장치의 거동을 개선할 수 있다.
보다 고급 제어부 및/또는 자동차에 장착된 전기 시스템 등으로의 상기 제어 장치의 전기적 연결은 해치(1)의 개구를 통해 안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구는 종방향 축선(5a)과 관련하여 해치 축선(5) 부근으로 해치(1)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은 자동차의 테일게이트(1)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이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외에 엔진 후드, 사이드 도어 등의 용례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유사한 장점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포일러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대응하는 구동 장치의 방향 변경 기어(9)를 구성하기 위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유리한 일 변형예에 있어서, 기어 휠을 포함하는 방향 변경 기어(9)가 한편으로는 구동부(2)에 편심적으로 결합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자동차 본체에 편심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편심률은 기어 휠 축선을 기준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기어 휠의 기능은 전술한 방향 변경 레버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기어 휠과 구동부(2)의 사이의 결합 및/또는 기어 휠과 자동차 본체 사이의 결합이 각각 푸쉬 로드를 통해 실현될 수도 있다.
다른 유리한 변형예에 있어서, 가요성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반경 방향 기어(9)가 한편으로는 구동부(2)에 결합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자동차 본체에 결합된다. 상기 가요성 동력 전달 수단의 예로는, 푸쉬-풀 보든 케이블(push-pull bowden cable), 볼 체인(ball chain), 체인 구동부 등이 있다.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취지로 주어진 또 다른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해치(1)의 작동을 위한 구동 장치 및 전술한 바와 같은 해치(1)를 구비한 자동차의 해치 장치가 청구된다. 전술한 구동 장치의 유리한 개선점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에 관한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할 수도 있다.
해치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2)를 수용하는 공동(8)이 건조 구역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공동(8)은 살포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밀폐 처리된다. 전술한 내용과 관련하여, 푸쉬 로드(18)에 할당되어 있는 해치(1)의 개구(10, 11)가 각각, 절곡식 벨로우즈 등을 통해 자동차 본체에 대하여 밀폐 처리된다. 이러한 밀폐 처리를 통해 공동(8)이 해치(1)의 폐쇄 상태 및 해치(1)의 개방 상태 모두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살포 물로부터 보호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해치(1)가 폐쇄된 상태에서만 전술한 살포 물 유입 방지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본체측에 고정되어 해치(1)가 폐쇄되는 경우에만 해치(1)와 밀폐 결합하도록 접촉하는 시일(seal)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치(1)는 해치 내피(25)를 포함한다. 또한, 해치 내피(25)에 연결되는 해치 외피(26)가 제공되며, 해치 외피는 도 1에만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해치 내피(25)는 한 조각으로 형성되며, 해치 외피(26)는 복수 개의 조각으로 형성된다. 원칙적으로, 해치 내피(25)는 또한 복수 개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동부(2)를 수용하는 공동(8)은 필수적으로 해치 내피(25)와 해치 외피(26)에 의해 형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구동부(2)가 해치 내피(25)에 의해 자동차 내부와 분리된다. 따라서, 구동부(2)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는 부상 위험과 관련하여 충돌 안전 보장성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해치 외피(26)의 일부는 필수적으로 구동부(2)를 수용하는 공동(8)용의 커버를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커버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해치(1)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는 스포일러 구성 요소(27)이다.
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동(8)이 바람직하게는 해치 내피(25)에 나사 체결되는 커버에 의해 구성됨으로 인해, 구동부(2)는 특히 편안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유지 관리 작업 시 커버를 제거하면 바로 구동부(2)에 접근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커버의 실현에 있어서, 서로 다른 구성의 커버의 교환을 통해 이에 상응하는 서로 다른 해치 변형예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스포일러 구성 요소(27)를 해치 내피(25)에 나사 체결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충돌 안전 보장성과 관련하여, 적어도 해치 내피(25)가 금속 시트로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해당하는 구성에 있어서, 또한, 해치 내피(25)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열가소성 재료 또는 열경화성 재료로 형성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해치(1)를 일체형 발포체 등으로 형성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해치 내피(25)는 적어도 해치 축선(5)의 영역에 지지 구조체 및/또는 캐리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구조체 및/또는 캐리어 구성 요소는 각각, 체결을 위해, 플라스틱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특히,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해치 내피에 중첩 성형될 수 있다.
구동부(2)에 유리하게는 해치(1)의 중량을 상쇄시키는 일체형의 스프링 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참조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스핀들 구동부(2)의 바람직한 용례에 따르면, 스프링 장치는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의 스핀들에 대하여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스프링 장치의 구성 및 배치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두 출원인 중 한 명에게 소유권이 있으며 본 출원의 주제의 범위가 되는 독일 실용 신안 제 DE 20 2005 003 466 U1 호를 참조한다.
전술한 스프링 장치가 제공되는 경우, 추가적으로 가스 충전식 압축 댐퍼 등이 완전히 면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구성의 경우, 해치(1)의 지지부와 관련한 모든 구성 요소가 구동부(2)를 수용하는 공동(8)의 내부에 배치된다. 특히,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자식의, 바람직하게는 센서를 이용한 핀치 보호 수단이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가스 충전식 압축 댐퍼 등을 사용함으로써 더 이상 핀치 발생 위험이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해치(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센서, 특히, 용량성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는, 가스 충전식 압축 댐퍼가 없는 경우에, 핀치 발생과 관련하여 만족할만한 수준의 관측 안전 보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구동부(2)에 별개의 스프링 장치를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 장치 또한 마찬가지로 압축 코일 스프링 또는 그 밖의 가스 압력 스프링 등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2) 및 별개의 스프링 장치 모두 역시 해치(1)의 공동(8)의 내부에 배치된다.
바람직한 일 변형예(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조절 가능한 구성 요소인 스포일러 구성 요소(27)가 해치(1)에 배치되며, 또한 스포일러 구성 요소(27)는 구동부(2)에 의해 스포일러 구성 요소(27)가 철수 위치와 신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동부(2)에 구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이에 상응하는 구동부(2)와 해치(1)의 사이의 또한 구동부(2)와 스포일러 구성 요소(27)의 사이의 구동 가능한 결합의 경우에 고려되어야 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2)를 두 가지 용도로 사용할 경우 콤팩트한, 무엇보다도, 저렴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2)와 스포일러 구성 요소(27)의 사이의 구동 가능한 결합은 해치(1)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유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유형의 선택적인 결합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즉각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변형예들에 있어서, 구동력이 자동차의 종방향 축선에 대하여 자동차 본체의 양측에 작용함으로 인해, 방향 변경 기어(9)에는 항상 두 개의 방향 변경 레버(12, 13)와 이에 상응하여 두 개의 푸쉬 로드(18)가 장착된다. 따라서, 조절하고자 하는 해치(1)의 변형 감소를 보장할 수 있다.
소정의 용례에 있어서, 그러나, 특히 경량의 또는 스프링 지지 방식의 해치(1)의 경우, 특히, 자동차 본체의 일측에만 구동 장치를 설치하여도 충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향 변경 기어(9)에 하나의 방향 변경 레버(12)와 이에 상응하는 하나의 푸쉬 로드(18)가 제공된다. 하나의 방향 변경 레버(12)의 구동 레버(16)가 구동부(2)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2)의 타측 힘 출력 지점은 해치(1)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구동 장치의 비대칭 구성은, 특히, 재료 및 조립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치(1)의 작동을 위한 구동 장치는 원칙적으로 조절 가능한 스포일러 구성 요소(27)의 작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스포일러 장치는 참조 문자 "L"로 표시되어 있는 도 4의 직선을 따라 연장하는 세장형 스포일러 구성 요소(27)를 포함한다. 스포일러 구성 요소(27)는 테일게이트(1)에 의해 지지되며, 테일게이트(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특히, 테일게이트의 종방향 연장선(L)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도시된 철수 위치와 신장 위치(도시하지 않음)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조절은 선회 축선(27a)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모든 가능한 유형의 이동에 관한 변형예가 고려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변형예에 있어서, 스포일러 구성 요소(27)는 또한, 정지 상태의 자동차 본체 구성 요소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스포일러 구성 요소(27)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구동부(2)를 구비한 구동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동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동 장치와 결부하여 설명된 모든 변형예가 마찬가지로 스포일러 구성 요소(27)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청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구동부(2)는 필수적으로 선형 구동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세장형의 선형 구동부, 예를 들어, 스핀들 구동부의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며, 또한, 구동부(2)는 필수적으로 스포일러 구성 요소(27)를 따라 연장하는 한편 선형 구동 운동의 관점에서 스포일러 구성 요소(27)와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느 경우에나, 스포일러 구성 요소(27)를 따라 마련되는 설치 공간이 이러한 유형의 장치를 사용하여 최적의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2)는 설치 상태에서 스포일러 구성 요소(27)에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스포일러 구성 요소(27)의 작동을 위한 구동부(2)는 해치(1) 상에서의 위치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가압된다. 스포일러 구성 요소(27)가 해치(1)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고정된 자동차 본체 구성 요소에 배치된 경우, 구동부(2)는 이에 상응하여 자동차 본체 구성 요소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가압된다. 상기 자동차 본체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후방 루프 프레임일 수 있다.
원칙적으로, 그러나, 구동부(2)가 또한, 스포일러 구성 요소(27)와 별개로, 예를 들어, 자동차의 테일게이트(1) 상에 또는 후방 루프 프레임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동 장치에서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구동 장치 또한, 방향 변경 기어(9)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구동부(2)가 방향 변경 기어(9)를 통해 자동차의 해치(1)에 결합되며, 해치(1)에는 스포일러 구성 요소(27)가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구동부(2)의 배치에 따라, 구동부(2)가 방향 변경 기어(9)를 통해 자동차 본체에 구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구동부(2)가 스포일러 구성 요소(27) 내에 또는 그 위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에 상응하여, 구동부(2)가 방향 변경 기어(9)를 통해 스포일러 구성 요소(27)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방향 변경 기어(9)는 두 개의 방향 변경 레버(12, 13)를 구비하며, 각각의 방향 변경 레버는 방향 변경 축선(14, 1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방향 변경 축선(14, 15)은 각각, 기본적으로 구동부(2)의 종방향 범위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며, 추가적으로 또는 변형예로서, 스포일러 구성 요소(27)의 종방향 범위(L)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방향 변경 레버(12, 13)는 두 개의 암 레버 형태로 구동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방향 변경 레버(12, 13)는 각각, 구동부(2)에 할당되는 구동 레버(16)와, 바람직하게는 해치(1)에 할당되는 종동 레버(17)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동 개념에 의해 초래하는 개선점으로서, 도 4에 도시된 장치에서는 종동 레버(17)가 각각 푸쉬 로드(18)를 통해 테일게이트(1)에 구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포일러 구성 요소(27)의 조절을 위한 구동 장치는 또한, 대칭 구성으로 형성될 필요가 없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장치와 결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장치에 단 하나의 방향 변경 기어(9)만을 제공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포일러 구성 요소(27)가 단일 푸쉬 로드(18)를 통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동 장치의 운동학적 특성과 관련하여 다양한 변형예가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는, 스포일러 장치에 잘 적용될 수도 있는 해치 장치에 대한 세 개의 변형예가 설명된다. 이들 변형예는 서로, 구동 연결부(6)와, 푸쉬 로드 연결부(18a)(푸쉬 로드(18)와 방향 변경 레버(12, 13) 사이의 연결부) 그리고 방향 변경 축선(14)의 위치와 관련하여서만 차이가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개의 구동 연결부(6, 7)와 방향 변경 축선(14, 15)의 사이에 각각 푸쉬 로드 연결부(18a, 18b)가 배치된다. 용어 "사이(between)"는 구동 연결부(6, 7)와 개개의 방향 변경 축선(14, 15)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을 따라 전진하는 경우 개개의 푸쉬 로드 연결부(18a)가 통과하게 되는 사이의 확장된 의미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력은 구동부(2)를 신장시킴으로써 푸쉬 로드(18)를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대로, 이러한 가압력이 구동부(2)를 철수시키는 방법으로만 발생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모두, 방향 변경 기어(9)에 필요한 설치 공간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도 7에는 또 다른 흥미로운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방향 변경 축선(14, 15)은 개개의 푸쉬 로드 연결부(18a, 18b)와 개개의 구동 연결부(6, 7)의 사이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푸쉬 로드(18)를 통한 가압력의 전달은 구동부(2)를 철수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장치의 운동 역학 특성과 관련한 또 다른 다양한 수정예가 적용될 수도 있다.
1 : 해치 2 : 구동부
3, 4 : 힌지 5 : 해치 축선
8 : 공동 9 : 방향 변경 기어
12, 13 : 방향 변경 레버 16 : 구동 레버
17 : 종동 레버 18 : 푸쉬 로드

Claims (32)

  1. 구동부(2)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해치(1)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로서,
    상기 해치(1)는, 특히, 기하학적 해치 축선(5)을 중심으로 힌지(3, 4)를 통해 회동됨으로써 자동차 본체의 해치 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구동부(2)는 선형 구동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세장형의 선형 구동부로서 구성되고, 설치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는 해치 축선(5)을 따라 연장하며 선형 구동 운동의 관점에서 해치 축선(5)에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구동 장치에 있어서,
    설치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는 해치 축선(5)의 구역 내에서 해치(1)의 공동(8)에 배치되며, 방향 변경 기어(9)가 해치 축선(5)의 구역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2)는 해치(1)의 개구(10, 11)를 통과하여 방향 변경 기어(9)에 의해 자동차 본체에 구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변경 기어(9)는 방향 변경 축선(14, 15)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 가능한 두 개의 방향 변경 레버(12, 13)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 변경 축선(14, 15)은 해치(1)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기본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며, 및/또는 상기 방향 변경 축선(14, 15)은 항상 해치 축선(5)과 기본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변경 레버(12, 13)는 두 개의 암 레버로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각각, 상기 구동부(2)에 할당되는 구동 레버(16)와 자동차 본체에 할당되는 종동 레버(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레버(17)는 각각, 푸쉬 로드(18)를 통해 자동차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레버(17)는 각각, 특히, 푸쉬 로드(18)를 통해 개개의 힌지(3, 4)의 고정부에 구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레버(16)의 기하학적 레버 암(19)이 개개의 방향 변경 레버(12, 13)의 종동 레버(17)의 기하학적 레버 암(20)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변경 레버(12, 13)와, 푸쉬 로드(18)와 힌지(3, 4)를 포함하는 구동 계열 부품이 기어를 형성하며, 기어 비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해치(1)의 운동 동안 변경되어 바람직하게는 최대치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3, 4)는, 가능하다면 체결 요소를 통해, 구동부(2)를 수용하는 공동(8)의 벽부에 외측으로부터 체결되며, 상기 방향 변경 레버(12, 13)용 캐리어 구성 요소(23)가 각각 상기 벽부의 내측으로부터 체결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또는 상기 힌지(3, 4)와 캐리어 구성 요소(23)가 서로 쌍을 이루어 단일 부품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는 하우징(24)을 포함하며, 구동부(2)용의 지지부가 구동부의 종방향 범위와 수직 방향으로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해치(1)에 제공되며, 또는 상기 구동부(2)를 수용하는 공동(8)에는 구동부(2)를 지지하는 재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는 스핀들 구동부의 형태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2)의 하우징(24) 내부에는 구동 모터와, 이 구동 모터에 후속하여 배치되는 중간 기어, 그리고 이 중간 기어에 후속하여 배치되는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구동부는 절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두 개의 기본적으로 관상형의 하우징부(24a, 24b)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서로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체결된 상태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구동부(2)의 신장 위치에서의 전체 길이는 최대 운동량의 배수이며, 바람직하게는, 신장 위치에서의 상기 스핀들 구동부(2)의 전체 길이는 최대 운동량의 대략 네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구동부(2)는 방향 변경 레버(12, 13)의 사이에 연결되는 추가의 동력 전달 구성 요소 없이 방향 변경 레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는 구동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구동부(2)를 수용하는 해치(1)의 공동(8)에, 특히, 해치 축선(5)의 구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1)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tailgate), 리어 부트 리드(rear boot lid), 엔진 후드(engine hood), 사이드 도어(side door)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변경 기어(9)는 방향 변경 축선(1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단 하나의 방향 변경 레버(12)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 변경 축선(14)은 해치(1)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기본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고, 및/또는 상기 방향 변경 축선(14)은 항상 해치 축선(5)과 기본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 변경 레버(12)는 두 개의 암 레버로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2)에 할당되는 구동 레버(16)와 자동차 본체에 할당되는 종동 레버(17)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동 레버(17)는 푸쉬 로드(18)를 통해 자동차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변경 기어(9)는 기어 휠을 포함하며, 한편으로는 구동부(2)에 편심적으로 결합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자동차 본체에 편심적으로 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어 휠과 구동부(2)의 사이의 결합 및/또는 기어 휠과 자동차 본체 사이의 결합은 각각, 푸쉬 로드를 통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변경 기어는 한편으로는 구동부(2)에 결합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자동차 본체에 결합되는 가요성의 힘 전달 수단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요성 힘 전달 수단은 푸쉬-풀 보든 케이블(push-pull bowden cable), 볼 체인(ball chain), 체인 구동부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9. 특히, 기하학적 해치 축선(5)을 중심으로 힌지(3, 4)를 통해 회동됨으로써 자동차 본체의 해치 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해치(1)를 구비하며, 상기 해치(1)의 작동을 위해 구동부(2)를 구비한 구동 장치가 제공되는, 자동차의 해치 장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는 해치 축선(5)의 구역 내에서 해치(1)의 공동(8)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 장치.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는 선형 구동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세장형의 선형 구동부로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2)는 해치 축선(5)을 따라 연장하며 선형 구동 운동의 관점에서 해치 축선(5)에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 장치.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 변경 기어(9)가 상기 해치 축선(5)의 구역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2)는 해치(1)의 개구(10, 11)를 통과하여 방향 변경 기어(9)에 의해 자동차 본체에 구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 장치.
  23. 제 19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를 수용하는 공동(8)은 건조 구역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 장치.
  24. 제 19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1)는 해치 내피(25)와 해치 외피(26)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치 내피(25) 및/또는 해치 외피(26)는 복수 개의 조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를 수용하는 공동(8)은 해치 내피(25)와 해치 외피(26)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 장치.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는 해치 내피(25)에 의해 자동차 내부와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 장치.
  27.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 외피(26) 또는 내피 중 일부가 구동부(2)를 수용하는 공동(8)의 커버를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유지 관리 작업을 위해 구동부(2)에 접근 가능하도록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 장치.
  28. 제 19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 내피(2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열가소성 재료 또는 열경화성 재료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해치 축선(5)의 구역 내에서 상기 해치 내피(25)는 지지 구조체 및/또는 캐리어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 장치.
  29. 제 19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변경 기어(9)는 방향 변경 축선(1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단 하나의 방향 변경 레버(12)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 변경 축선(14)은 해치(1)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기본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고, 및/또는 상기 방향 변경 축선(14)은 항상 해치 축선(5)과 기본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 변경 레버(12)는 두 개의 암 레버로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2)에 할당되는 구동 레버(16)와 자동차 본체에 할당되는 종동 레버(17)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동 레버(17)는 푸쉬 로드(18)를 통해 자동차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 장치.
  30. 종방향 연장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철수 위치와 신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세장형의 스포일러 구성 요소(27)를 구비하며, 스포일러 구성 요소(27)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부(2)를 구비한 구동 장치가 제공되는, 스포일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는 선형 구동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세장형의 선형 구동부로서 구성되며, 또한, 상기 구동부(2)는 스포일러 구성 요소(27)를 따라 연장하며 선형 구동 운동의 관점에서 스포일러 구성 요소(27)에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일러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설치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는 스포일러 구성 요소(27)에 또는 그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일러 장치.
  32.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방향 변경 기어(9)가 제공되며, 상기 구동부(2)는, 그 설치 위치에 따라, 스포일러 구성 요소(27)를 지탱하는 또는 스포일러 구성 요소(27)를 구비한 자동차의 해치(1) 또는 자동차 본체에 구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일러 장치.
KR1020117022376A 2009-02-25 2010-02-25 자동차의 해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 KR101558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9002622.1 2009-02-25
DE202009002622U DE202009002622U1 (de) 2009-02-25 2009-02-25 Antriebsanordnung zur Betätigung einer Klappe eines Kraftfahrzeugs
DE102009034287.7 2009-07-21
DE102009034287.7A DE102009034287B4 (de) 2009-02-25 2009-07-21 Antriebsanordnung zur Betätigung einer Klappe eines Kraft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832A true KR20110119832A (ko) 2011-11-02
KR101558643B1 KR101558643B1 (ko) 2015-10-07

Family

ID=4235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376A KR101558643B1 (ko) 2009-02-25 2010-02-25 자동차의 해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03154B2 (ko)
EP (1) EP2401459A2 (ko)
JP (1) JP5865705B2 (ko)
KR (1) KR101558643B1 (ko)
CN (1) CN102414388B (ko)
DE (2) DE202009002622U1 (ko)
WO (1) WO20100972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18576B4 (de) * 2011-04-26 2013-12-12 Audi Ag Fahrzeugklappe mit verstellbarer Luftleiteinrichtung
DE102012000373B4 (de) * 2012-01-12 2019-02-21 Audi Ag Verfahren zum Einstellen der Position eines Spoilers sowie Kraftfahrzeug mit einem verstellbaren Spoiler
DE102012014135A1 (de) * 2012-07-18 2014-01-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Spindelantrieb
GB201215962D0 (en) * 2012-09-06 2012-10-24 Jaguar Cars Power tailgate system and method
WO2014130425A1 (en) * 2013-02-19 2014-08-28 Menicovich David Active modular aerodynamic drag reduction system
DE102013210824A1 (de) * 2013-06-10 2014-12-11 Robert Bosch Gmbh Verstellantrieb, insbesondere für eine Heckklappe
JP5986047B2 (ja) * 2013-08-22 2016-09-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空気抵抗低減装置
US9260899B2 (en) 2013-09-06 2016-02-1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Drive device for a hatch of a motor vehicle
DE202014100845U1 (de) * 2014-02-25 2014-04-09 Stabilus Gmbh Seitenklappenanordnung
DE102014105956B4 (de) * 2014-04-29 2023-11-09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Linearantrieb für ein Verstellelement eines Kraftfahrzeugs
JP6149837B2 (ja) * 2014-10-01 2017-06-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バックドアダンパステー格納構造
DE102015106356A1 (de) 2014-11-27 2016-06-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Spindelantrieb für ein Verschlusselement eines Kraftfahrzeugs
CN106930644A (zh) * 2015-12-30 2017-07-07 博世汽车部件(长沙)有限公司 伸缩机构以及包括该伸缩机构的设备
DE102016103759A1 (de) * 2016-03-02 2017-09-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Bamberg Antriebsanordnung für eine Klappe eines Kraftfahrzeugs
US20190119965A1 (en) * 2017-10-24 2019-04-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 Vehicle Closure Member from Closing in Response to Detected Obstruction
US11078689B2 (en) 2017-11-10 2021-08-03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Motor vehicle lock
US10801236B2 (en) * 2017-12-01 2020-10-13 Brose Schiless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tch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DE102018107920A1 (de) * 2017-12-13 2019-03-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eckklappenaktuator sowie Heckklappenanordnung mit den Heckklappenaktuator
WO2019130218A1 (en) * 2017-12-27 2019-07-04 Magna Exteriors Inc Applique with deployable aerodynamic surface
CN110271395B (zh) * 2018-03-15 2023-10-31 蔚来控股有限公司 尾门总成和车辆
US11680430B2 (en) * 2019-02-20 2023-06-20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uppertal Linear cinching spindle
US11536354B2 (en) 2021-03-30 2022-12-27 AISIN Technical Center of America, Inc. Power tailgate actuator assembly including bellows
DE102021133403A1 (de) 2021-12-16 2023-06-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triebssystem für eine schwenkbare Klappe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mit einem derartigen Antriebssystem
US20230219639A1 (en) * 2022-01-12 2023-07-13 Volvo Car Corporation Vehicle wing assembli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a vehicle wing assembly
DE102022117660A1 (de) 2022-07-14 2024-01-25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erstellanordnung zum Verstellen eines Verschlusselements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6420A (en) * 1979-11-29 1983-09-27 Allied Corporation Sliding door actuating mechanism
US4337596A (en) * 1979-11-29 1982-07-06 Eltra Corporation Sliding door actuating mechanism
JPS59192176A (ja) * 1983-04-14 1984-10-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DE3337642A1 (de) * 1983-10-17 1985-04-25 Kiekert GmbH & Co KG, 5628 Heiligenhaus Antriebsvorrichtung fuer eine fahrzeugschwing- oder -schwenktuer
JPH11170869A (ja) * 1997-12-11 1999-06-29 Nissan Motor Co Ltd バックドア開閉装置
FR2796097B1 (fr) 1999-07-08 2002-12-13 Peguform France Vehicule automobile a hayon arriere pivotant
US6814392B1 (en) * 2000-06-26 2004-11-09 Atoma International Corp. Lead screw drive for a power liftgate
DE10110057C2 (de) * 2001-03-02 2003-12-24 Daimler Chrysler Ag Dachrahmenanordnung von Kraftfahrzeugen
DE10225581A1 (de) * 2002-06-10 2003-12-18 Valeo Sicherheitssysteme Gmbh Vorrichtung zum Verschwenken einer Fahrzeugtür oder Fahrzeugklappe
DE10253268B4 (de) * 2002-11-15 2010-11-25 Volkswagen Ag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r nach oben schwenkbaren Heckklappe an Kraftfahrzeugen
US7127791B2 (en) * 2003-12-02 2006-10-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plit nut for use with a rod having dual directional screw threads about a common diameter
DE502004005128D1 (de) * 2004-04-10 2007-11-15 Fahrzeugtechnik Dessau Ag Rail Schwenkschiebetür für Schienenfahrzeuge
DE202005018050U1 (de) * 2004-11-17 2006-03-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Heckklapp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56153A1 (de) 2004-11-17 2006-06-0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Heckklappe für ein Kraftfahrzeug
AT501468B8 (de) * 2005-02-17 2007-02-15 Knorr Bremse Gmbh Schwenkschiebetür
DE202005003466U1 (de) 2005-03-01 2006-07-13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Verstellsystem eines Kraftfahrzeugs zur Verstellung eines Verschließteils zum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DE202005007154U1 (de) 2005-05-02 2006-09-21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Verstellsystem eines Kraftfahrzeugs zur Verstellung eines Schließteils zum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US7648189B2 (en) * 2005-10-03 2010-01-19 Magna Closures Inc. Powered actuating device for a closure panel of a vehicle
DE202005016953U1 (de) * 2005-10-27 2007-03-08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Antriebsanordnung zur motorischen Betätigung eines Funktionselements in einem Kraftfahrzeug
DE202005018584U1 (de) 2005-11-25 2007-03-08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Antriebsanordnung zur Betätigung einer Klappe eines Kraftfahrzeugs
DE102007003601A1 (de) * 2006-01-18 2007-07-26 Küster Automotive Control Systems GmbH 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s bewegbaren Karosserieteils
GB0602724D0 (en) * 2006-02-10 2006-03-22 Ford Global Tech Llc A Mechanism For Opening A Closure
DE102007053452A1 (de) * 2007-11-07 2009-05-14 Stabilus Gmbh Antriebseinrichtung
DE102007059995B3 (de) * 2007-12-13 2009-04-02 Webasto Ag Vorrichtung zum Verschwenken eines Fahrzeugteils
DE202009000907U1 (de) * 2009-01-23 2010-06-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Antriebsanordnung zur motorischen Verstellung eines Verstellelements eines Kraftfahrzeugs
ITVI20110124A1 (it) * 2011-05-19 2012-11-20 In & Tec Srl Dispositivo a pistone per la chiusura automatica controllatadi porte, ante o similar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7216A2 (en) 2010-09-02
JP2012518731A (ja) 2012-08-16
US20120066977A1 (en) 2012-03-22
WO2010097216A3 (en) 2010-12-16
EP2401459A2 (en) 2012-01-04
CN102414388A (zh) 2012-04-11
US9103154B2 (en) 2015-08-11
DE102009034287A1 (de) 2010-08-26
DE202009002622U1 (de) 2010-07-22
KR101558643B1 (ko) 2015-10-07
DE102009034287B4 (de) 2017-12-28
JP5865705B2 (ja) 2016-02-17
CN102414388B (zh)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9832A (ko) 자동차의 해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
CN102267359B (zh) 门边缘保护装置
CN102561878B (zh) 用于在具有进入口的车辆中促动多个部件的系统
US7841646B2 (en) Motor vehicle with an air-conducting device
CN101445082B (zh) 门边缘保护装置
CN101484330A (zh) 车辆卷帘
US20130062913A1 (en) Opening and/or closing device
JP3591215B2 (ja) 車体側面構造
US11634090B2 (en) Cover device for a side sill of a passenger vehicle
US10760320B2 (en) Door drive for a motor vehicle door
KR20130106790A (ko) 차실용 보호 장치
JP2004060376A (ja) ドアの開閉装置の構造
US8419063B2 (en) Convertible vehicle
CN208867840U (zh) 一种汽车侧门及汽车
CN218780190U (zh) 用于升高和降低车辆窗口的窗口调节器
CN218934202U (zh) 车门、车身总成及车辆
KR102080885B1 (ko) 포켓 형상의 강성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파워 리프트 게이트 구조체
JP2008254553A (ja) 車両用バンパの可動フレーム装置
JP3926179B2 (ja) 車両用リヤゲートの開閉装置
JP4229690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10120541A (ja) 車両用ドア
KR101400231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차광조립체
JP4105912B2 (ja) 車両用開閉装置の取付構造
KR20050035026A (ko) 자동차의 도어 임펙트바
KR19980077954A (ko) 자동차의 측면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