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260A -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260A
KR20110108260A KR1020110023670A KR20110023670A KR20110108260A KR 20110108260 A KR20110108260 A KR 20110108260A KR 1020110023670 A KR1020110023670 A KR 1020110023670A KR 20110023670 A KR20110023670 A KR 20110023670A KR 20110108260 A KR20110108260 A KR 20110108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interposition member
clutch
shaft holder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1139B1 (ko
Inventor
이쿠오 사카타
Original Assignee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8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서는 마모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샤프트 홀더(9)와 기어케이스(11) 사이에는 개재 부재(6)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는 미러 어셈블리(4)의 전동회전 범위가 규제되는 기구로, 개재 부재(6)와 샤프트 홀더(9)에 설치되어 있는 맞닿음면(33, 34, 43, 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완충 기구는, 미러 어셈블리(4)를 완충을 위해 회전시키는 기구이며, 개재 부재(6)와 기어케이스(11)에 설치되어 있는 맞물림부(38, 45)로 구성되어 있다.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와 완충 기구는 분리되어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은 개재 부재(6)와 샤프트 홀더(9) 사이 및 개재 부재(6)와 기어케이스(11) 사이에서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OUTSIDE MIRROR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미러 어셈블리가 전동 격납 유닛 및 베이스를 통하여 차체에 회전(경도(傾倒), 회동(回動)) 가능하게 부착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전동 격납형의 도어 미러 등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종래에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격납 기구가 케이스를 스탠드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케이스산과 스탠드산이 걸어맞추어짐으로써 미러를 기립위치와 격납위치에 위치시키고, 케이스가 전방 경도 가능 위치측으로 소정값 이상의 외력을 받은 경우에는 케이스산이 스탠드산을 올라타서 전방 경도 가능 위치로의 회전이 허가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미러를 기립위치와 격납위치에 위치시키는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와, 미러를 전방 경도 가능 위치로 회전시키는 완충 기구가, 케이스산과 스탠드산, 즉, 동일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고강성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케이스의 케이스산이 동일하게 고강성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스탠드의 스탠드산을 올라 탈 때에, 케이스산 및 스탠드산이 마모(깎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강성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깎임 방지 부재를 케이스산 및 스탠드산의 적어도 일방에 피복하는 것이다.
이 결과,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케이스산에 피복된 깎임 방지 부재와 스탠드산 사이, 또는, 스탠드산에 피복된 깎임 방지 부재와 케이스산 사이, 또는, 케이스산에 피복된 깎임 방지 부재와 스탠드산에 피복된 깎임 방지 부재 사이에서 마모가 발생한다. 즉, 깎임 방지 부재가 피복된 케이스산 및 스탠드산의 적어도 일방에서는 마모가 발생하지 않지만, 깎임 방지 부재가 피복되지 않은 케이스산 또는 스탠드산, 및, 케이스산 및 스탠드산의 적어도 일방에 피복된 깎임 방지 부재에서는 마모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1-287594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서는, 케이스산에 피복된 깎임 방지 부재와 스탠드산 사이, 또는, 스탠드산에 피복된 깎임 방지 부재와 케이스산 사이, 또는, 케이스산에 피복된 깎임 방지 부재와 스탠드산에 피복된 깎임 방지 부재 사이에서 마모가 발생한다고 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샤프트 홀더와 케이싱 사이에는 개재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가, 개재 부재와 샤프트 홀더에 설치되어 있는 맞닿음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개재 부재의 맞닿음면과 샤프트 홀더의 맞닿음면이 맞닿음으로써, 개재 부재가 샤프트 홀더에 고정되어 미러 어셈블리의 전동회전 범위가 규제되는 기구이며, 완충 기구가, 개재 부재와 케이싱에 설치되어 있는 맞물림부로 구성되어 있고, 전동회전력(미러 어셈블리를 샤프트에 대하여 전동회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는 힘이며, 전동 토크)에서는 개재 부재의 맞물림부와 케이싱의 맞물림부와의 맞물림이 벗겨지지 않고 개재 부재와 케이싱이 함께 전동회전 범위에서 샤프트 및 샤프트 홀더에 대하여 회전하고, 또한, 전동회전력 이상의 힘에서는 개재 부재의 맞물림부와 케이싱의 맞물림부의 맞물림이 벗겨지고 또한 클러치 기구가 벗겨져서 케이싱이 샤프트 및 샤프트 홀더에 대하여 회전하는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개재 부재가 저마찰이고 또한 내마모성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미러 어셈블리의 전동회전의 범위를 규제하는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와, 미러 어셈블리를 완충하기 위해 회전시키는 완충 기구가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는, 개재 부재와 샤프트 홀더에 구성되어 있고, 한편, 완충 기구는 개재 부재와 케이싱에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전동회전 범위에서는 개재 부재와 케이싱이 함께 샤프트 홀더에 대하여 회전하고, 전동회전력 이상의 힘이 작용했을 때에는 완충을 위해 케이싱이 개재 부재 및 샤프트 홀더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다. 이 결과,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개재 부재가 샤프트 홀더와 케이싱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샤프트 홀더에 대하여 또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므로, 개재 부재로서는 고강성의 부재로 구성할 필요가 없이, 저마찰이고 또한 내마모성의 부재이며 저렴한 부재로 구성할 수 있고, 한편, 샤프트 홀더 및 케이싱으로서는 고강성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개재 부재와 샤프트 홀더 사이에 있어서, 개재 부재가 샤프트 홀더에 대하여 회전하고, 또한, 개재 부재의 맞닿음면과 샤프트 홀더의 맞닿음면의 맞닿음(면 맞닿음)에 의해, 개재 부재가 샤프트 홀더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이므로, 상기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와 같이, 전방 경도 가능 위치로의 회전시에, 케이스산에 피복된 깎임 방지 부재가 스탠드산을 올라타는 일이 없다. 즉, 미러 어셈블리가 완충을 위해, 개재 부재가 샤프트 홀더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고, 완충회전력(개재 부재의 맞물림부와 케이싱의 맞물림부와의 맞물림을 벗기는 힘으로, 완충 토크)이 개재 부재와 샤프트 홀더 사이에서 작용하지 않아, 샤프트 홀더 및 샤프트의 재질이 완충시의 회전력의 내구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개재 부재와 샤프트 홀더 사이에서 마모되지 않으므로, 샤프트 홀더 및 샤프트로서는 고강성의 수지 부재, 또는, 금속 부재로 구성할 수 있고, 차종의 요구에 맞추어 재질을 선택하여 대응할 수 있다. 즉, 샤프트 홀더 및 샤프트로서는 소형차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경우에는 저비용의 고강성의 수지 부재를 선택하고, RV차 등의 대형차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경우에는 금속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샤프트 홀더 및 샤프트 이외의 부품 즉 개재 부재 및 케이싱을 공유화할 수 있다. 이 결과, 차종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미러 어셈블리의 전동회전 범위를,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의 샤프트 홀더의 맞닿음면의 개방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차종마다 조정 설정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샤프트 홀더 및 샤프트 이외의 부품 즉 개재 부재 및 케이싱을 공유화할 수 있으므로, 차종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완충 기구의 개재 부재의 맞물림부와 케이싱의 맞물림부가 서로 맞물리고, 또한,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의 개재 부재의 맞닿음면과 샤프트 홀더의 맞닿음면이 서로 맞닿으므로, 케이싱이 개재 부재를 통하여 샤프트 홀더에 흔들리지 않고 조립되고, 이것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의 미러의 셔터가 움직이는 일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개재 부재가 저마찰이고 또한 내마모성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재 부재와 샤프트 홀더 사이의 회전(미끄러짐, 슬라이드, 미끄럼운동), 및, 개재 부재와 케이싱 사이의 회전(미끄러짐, 슬라이드, 미끄럼운동)이 매끄러워(원활하게) 안정하다. 이 결과,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전동회전력, 및, 완충회전력의 편차가 적어지므로, 전동 격납 유닛의 각 부품의 설계강도를 낮출 수 있고, 예를 들면, 두께를 얇게 하거나, 재료의 등급을 낮출 수 있고, 그만큼, 전동 격납 유닛 전체의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개재 부재가 저마찰이고 또한 내마모성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재 부재의 맞물림부와 케이싱의 맞물림부에 있어서의 마모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완충회전력이 저하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완충회전력의 저하로, 미러 어셈블리가 사용위치보다도 전방으로 경도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개재 부재가 저마찰이고 또한 내마모성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재 부재 및 샤프트 홀더 및 케이싱에 내마모 대책으로서 도포한 그리스 등의 윤활 부재가 시간 경과로 사라져 갔을 때(그리스의 분실시)에도, 개재 부재 및 샤프트 홀더 및 케이싱의 마찰계수의 변화가 적으므로, 장기 사용 후에도, 완충회전력의 성능 열화가 적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용상태의 평면도.
도 2는 실시예 1의 전동 격납 유닛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실시예 1의 케이싱을 일부 파단한 전동 격납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실시예 1의 개재 부재를 샤프트 홀더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실시예 1의 개재 부재와 샤프트 홀더에 설치한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실시예 1의 개재 부재의 바닥면을 도시하는 도 2에 있어서의 VI 화살표 방향의 도면.
도 7은 실시예 1의 샤프트 홀더의 평면을 도시하는 도 2에 있어서의 VII 화살표 방향의 도면.
도 8은 실시예 1의 개재 부재와 샤프트 홀더에 설치한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
도 9는 실시예 1의 케이싱을 비스듬히 아래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실시예 1의 케이싱의 바닥면을 도시하는 도 2에 있어서의 X 화살표 방향의 도면.
도 11은 실시예 1의 개재 부재의 평면을 도시하는 도 2에 있어서의 XI 화살표 방향의 도면.
도 12는 실시예 1의 개재 부재와 샤프트 홀더에 설치한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의 작동 상태 및 개재 부재와 케이싱 사이에 설치한 완충 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
도 13은 실시예 1의 개재 부재와 샤프트 홀더에 설치한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의 작동 상태 및 개재 부재와 케이싱 사이에 설치한 완충 기구의 작동 상태 및 클러치 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4는 실시예 1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전동 격납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는 실시예 1의 전방 경도의 완충시에 있어서 완충 기구의 개재 부재의 맞물림부와 케이싱의 맞물림부와의 맞물림이 벗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
도 16은 실시예 1의 전방 경도의 완충시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
도 17은 실시예 1의 후방 경도의 완충시에 있어서 완충 기구의 개재 부재와 케이싱가 회전하려고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
도 18은 실시예 1의 후방 경도의 완충시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구성의 설명」
이하,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이며, 이 예에서는,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전동 격납형의 도어 미러)이다. 상기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자동차의 좌우의 도어(도시 생략)에 각각 장비된다. 또한, 이 실시예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자동차의 우측의 도어에 장비되는 것이며, 자동차의 좌측의 도어에 장비되는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는 이 실시예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와 거의 좌우가 반대로 된다.
상기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 어셈블리(4)가 전동 격납 유닛(3) 및 베이스(미러 베이스)(2)를 통하여 차체(자동차의 도어)(D)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2)는 상기 도어(D)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미러 어셈블리(4)는 미러 하우징(5)과, 부착 브래킷(도시 생략)과, 파워유닛(도시 생략)과, 도시하지 않은 미러(미러 유닛)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미러 하우징(5) 내에는 상기 부착 브래킷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부착 브래킷에는 상기 파워유닛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파워유닛에는 상기 미러가 상하좌우로 경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전동 격납 유닛(3)은 샤프트 홀더(9)와, 샤프트(10)와, 케이싱으로서의 기어케이스(11) 및 커버(12)와, 모터(13)와, 회전력 전달 기구로서의 감속 기구(14) 및 클러치 기구(15)와, 축받이 부재(16)와, 개재 부재(6)와,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와, 완충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샤프트 홀더(9)는 상기 베이스(2)에 고정된다. 상기 샤프트 홀더(9)의 일방의 면(상면)의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1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10)는, 중공 형상을 이루고 있고, 하니스(도시하지 않음)가 삽입통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10)에는, 상기 기어케이스(11) 및 상기 커버(12)가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기어케이스(11)에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4)의 상기 부착 브래킷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기어케이스(11) 및 상기 커버(12) 내에는, 상기 모터(13)와, 상기 회전력 전달 기구의 상기 감속 기구(14) 및 상기 클러치 기구(15)와, 상기 축받이 부재(16)와, 상기 개재 부재(6)와, 상기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와, 상기 완충 기구가 각각 수납되어 있다.
상기 기어케이스(11)는 도 2, 도 3,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하방)이 폐색되고, 또한, 타방(상방)이 개구된 단면 오목 형상을 이룬다. 즉, 상기 기어케이스(11)에는, 상기 샤프트 홀더(9)측이 폐색되고, 또한, 상기 커버(12)측이 개구된 단면 오목 형상을 이루는 수납부(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어케이스(11)의 폐색부에는 삽입구멍(1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멍(19)에는 상기 샤프트(10)가 삽입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기어케이스(11)는 상기 샤프트(10)에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게 된다.
도 2∼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 홀더(9)의 상면에는,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스토퍼 볼록부(2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볼록부(21)의 양단면에는, 스토퍼면(2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기어케이스(11)의 하면에는,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홈(2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24)의 양단면에는 스토퍼면(2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어케이스(11)의 상기 가이드홈(24)에는 상기 샤프트 홀더(9)의 상기 스토퍼 볼록부(21)가 걸어맞추어져 있다. 상기 스토퍼 볼록부(21)와 상기 가이드홈(24)은, 상기 기어케이스(11)가 상기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할 때, 즉,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미러 어셈블리(4)가 상기 베이스(2)에 대하여 사용위치(A)와 격납위치(B) 사이 및 사용위치(A)와 전방 경도위치(C) 사이를 후방(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 또는 전방(위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가이드가 되는 가이드 부재를 구성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E는 차량의 후방을 나타내고, 부호 F는 차량의 전방을 나타낸다.
또, 상기 스토퍼 볼록부(21)의 상기 스토퍼면(22)과 상기 가이드홈(24)의 상기 스토퍼면(25)은, 상기 미러 어셈블리(4)가 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 또는 위에서 보아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도어(D)에 부딪치기 전에, 상기 스토퍼 볼록부(21)의 상기 스토퍼면(22)과 상기 가이드홈(24)의 상기 스토퍼면(25)이 맞닿아, 상기 미러 어셈블리(4)의 회전이 규제되어 상기 미러 어셈블리(4)가 상기 도어(D)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되는 스토퍼 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커버(12)는,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상방)이 폐색되고, 또한, 타방(하방)이 개구된 단면 역오목 형상을 이룬다. 즉, 상기 커버(12)에는, 일방의 상기 기어케이스(11)측이 개구되고, 또한, 타방이 개구된 단면 역오목 형상을 이루는 수납부(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12)에는, 중공 형상의 상기 샤프트(10)와 연통하는 하니스 삽입통과 통부(26)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12)에는 소켓부(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켓부(7)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배터리)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8)가 전기적으로 단속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기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소켓부(7)에는 기판(27)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기판(27)은 상기 모터(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기판(27)에는 상기 모터(13)의 구동 정지를 제어하는 스위치 회로가 실장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모터(13)는 상기 기판(27) 및 상기 소켓부(7)를 통하여 상기 커넥터(8)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커버(12)는 상기 기어케이스(11)의 상기 수납부(18)의 개구 가장자리의 외측에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다. 상기 기어케이스(11) 및 상기 커버(12) 내의 수납부(18) 중에는, 상기 모터(13) 및 상기 감속 기구(14) 및 상기 클러치 기구(15) 및 상기 축받이 부재(16) 및 상기 개재 부재(6) 및 상기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 및 상기 완충 기구 및 상기 기판(27)이 스크루 등에 의해 고정 수납되어 있다.
또, 상기 커버(12)에는 삽입구멍(39)이 상기 하니스 삽입통과 통부(26)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멍(39)에는 상기 샤프트(10)가 삽입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커버(12)는 상기 기어케이스(11)와 함께 상기 샤프트(10)에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게 된다.
상기 회전력 전달 기구의 상기 감속 기구(14) 및 상기 클러치 기구(15)는,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기어케이스(11) 및 상기 커버(12)의 상기 수납부(18) 중에 수납되고, 또한, 상기 모터(13)의 출력축(도시 생략)과 상기 샤프트(1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13)의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10)에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모터(13) 및 상기 회전력 전달 기구의 상기 감속 기구(14) 및 상기 클러치 기구(15)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4)를 상기 샤프트(10)에 대하여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 주위로 전동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감속 기구(14)는 제1단째의 기어로서의 제 1 웜 기어(29)와, 상기 제 1 웜 기어(29)에 맞물리는 제 2 단째의 기어로서의 헬리컬 기어(30)와, 제3단째의 기어로서의 제 2 웜 기어(31)와, 상기 제 2 웜 기어(31)가 맞물리는 최종단째의 기어로서의 클러치 기어(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웜 기어(29)는 상기 기어케이스(11) 및 상기 축받이 부재(16)에 회전 가능하게 축받이되어 있다. 상기 제 1 웜 기어(29)는 조인트(17)를 통하여 상기 모터(13)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헬리컬 기어(30)는 상기 축받이 부재(16)에 회전 가능하게 축받이 되어 있다. 상기 제 2 웜 기어(31)는 상기 기어케이스(11) 및 상기 축받이 부재(16)에 회전 가능하게 축받이 되어 있다. 상기 헬리컬 기어(30)와 상기 제 2 웜 기어(31)는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기구(15)는 상기 클러치 기어(32)와, 클러치 홀더(35)와, 스프링(36)과, 푸시 너트(37)를 구비한다. 상기 클러치 기구(15)는 상기 샤프트(10)에 상기 클러치 기어(32), 상기 클러치 홀더(35), 상기 스프링(36)을 차례로 끼워 맞추어지게 하고, 상기 푸시 너트(37)를 상기 샤프트(10)에 고정하여, 상기 스프링(36)을 압축상태로 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기어(32)와 상기 클러치 홀더(35)는 단속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감속 기구(14)의 상기 제 2 웜 기어(31)와 상기 클러치 기구(15)의 상기 클러치 기어(32)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모터(13)의 회전력이 상기 샤프트(10)에 전달되게 된다.
상기 클러치 기어(32)와 상기 클러치 홀더(35)가 상기 클러치 기구(15)를 구성한다. 상기 클러치 기어(32)는 상기 샤프트(10)에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 주위를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홀더(35)는 상기 샤프트(10)를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도 2, 도 13, 도 15∼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 기어(32)와 상기 클러치 홀더(35)의 서로 대향하는 면, 즉, 상기 클러치 기어(32)의 일방의 면(상면)측과 상기 클러치 홀더(35)의 일방의 면(하면)측에는, 복수개 이 예에서는 3개의 산형 형상의 클러치 볼록부(40)와 계곡형 형상의 클러치 오목부(41)가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볼록부(40)와 상기 클러치 오목부(41)가 끼워맞춤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클러치 기어(32)와 상기 클러치 홀더(35)가 연결 상태(벗겨져 있지 않은 상태, 이어져 있는 상태)에 있고, 상기 클러치 볼록부(40)와 상기 클러치 오목부(41)가 끼워맞춤 해제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클러치 기어(32)와 상기 클러치 홀더(35)는 단절 상태(벗겨져 있는 상태, 끊어져 있는 상태)에 있다. 상기 클러치 기구(15)는 상기 모터(13) 및 상기 회전력 전달 기구(상기 감속 기구(14) 및 상기 클러치 기구(15))의 전동회전력으로는 벗겨지지 않고, 또한, 상기 전동회전력 이상의 힘으로 벗겨져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4)를 상기 샤프트(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클러치 부재 중 상기 클러치 기어(32) 타방의 면(하면)측은 상기 기어케이스(11)의 바닥부의 일면(상면)에 직접 혹은 와셔(도시 생략)를 통하여 맞닿는다. 한편, 상기 클러치 부재 중 상기 클러치 홀더(35)의 타방의 면(상면)측은 상기 스프링(36)에 직접 맞닿는다.
상기 개재 부재(6)는 상기 샤프트 홀더(9)와 상기 기어케이스(1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재 부재(6)는 저마찰이고 또한 내마모성의 부재이며 저렴한 수지 부재, 예를 들면, POM(폴리아세탈, 아세탈 수지), PPS(폴리페닐렌술피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재 부재(6)는 상기 샤프트(10)가 삽입되는 삽입구멍(20)을 갖고, 또한, 일단부(하단부)에 플랜지부(23)를 갖는 중공 형상의 원통 형상을 이룬다. 상기 개재 부재(6)는 상기 샤프트(10)에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6,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개재 부재(6)의 상기 플랜지부(23)의 일면(하면)에는,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을 중심으로 하는 2개의 원호 볼록부(28)가 동일한 간격으로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호 볼록부(28)의 양단면에는, 상기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의 맞닿음면(33, 3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재 부재(6)의 상기 플랜지부(23)의 타면(상면)에는, 상기 완충 기구의 맞물림부로서의 사다리꼴 형상의 맞물림 볼록부(38)가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위에, 복수개 이 예에서는 2개 동일한 간격으로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 홀더(9) 및 상기 샤프트(10)는 고강성의 부재, 예를 들면, 다이캐스트나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 홀더(9)의 상면에는,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을 중심으로 하는 2개의 원호 볼록부(42)기 상기 개재 부재(6)의 상기 원호 볼록부(28)에 대응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호 볼록부(42)의 양단면에는, 상기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의 맞닿음면(43, 44)이 상기 개재 부재(6)의 상기 맞닿음면(33, 34)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어케이스(11)는 고강성의 부재, 예를 들면, 나일론 혹은 유리 섬유나 카본 섬유 함유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케이스(11)의 바닥부의 타면(하면)에는, 상기 완충 기구의 맞물림부로서의 사다리꼴 형상의 맞물림 오목부(45)가,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위에, 복수개 이 예에서는 2개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개재 부재(6)의 상기 맞물림 볼록부(38)와 대응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는, 미러 어셈블리의 상기 전동회전의 범위를 규제하는 기구이다. 즉, 상기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는 상기 개재 부재(6)와 상기 샤프트 홀더(9)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맞닿음면(33, 34, 43, 44)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개재 부재(6)의 맞닿음면(33 또는 34)과 상기 샤프트 홀더(9)의 맞닿음면(43 또는 44)이 맞닿음으로써, 상기 개재 부재(6)가 상기 샤프트 홀더(9)에 고정되어 상기 미러 어셈블리(4)의 상기 전동회전 범위가 규제되는 기구이다. 상기 전동회전 범위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위치(A)와 격납위치(B) 사이의 범위이다. 이 결과, 상기 개재 부재(6)의 일방의 맞닿음면(33)과 상기 샤프트 홀더(9)의 일방의 맞닿음면(43)이 맞닿으면, 상기 미러 어셈블리(4)는 사용위치(A)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개재 부재(6)의 타방의 맞닿음면(34)과 상기 샤프트 홀더(9)의 타방의 맞닿음면(44)이 맞닿으면, 상기 미러 어셈블리(4)는 격납위치(B)에 위치한다.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4)를 완충을 위해 회전시키는 기구이다. 즉,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개재 부재(6)와 상기 기어케이스(11)에 설치되어 있는 맞물림부 볼록부(38)와 맞물림 오목부(45)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동회전력에서는 상기 개재 부재(6)의 맞물림 볼록부(38)와 상기 기어케이스(11)의 맞물림 오목부(45)와의 맞물림이 벗겨지지 않고 상기 개재 부재(6)와 상기 기어케이스(11)가 함께 상기 전동회전 범위(사용위치(A)와 격납위치(B) 사이의 범위)에서 상기 샤프트(10) 및 상기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하고, 또한, 상기 전동회전력 이상의 힘이 차량의 전방(F)방향에 걸렸을 때에는, 상기 개재 부재(6)의 맞물림 볼록부(38)와 상기 기어케이스(11)의 맞물림 오목부(45)와의 맞물림이 벗겨지고 또한 상기 클러치 기구(15)가 벗겨져서(상기 클러치 기어(32)의 클러치 볼록부(40)와 상기 클러치 홀더(35)의 클러치 오목부(41)와의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기어케이스(11)가 상기 샤프트(10) 및 상기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상기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 주위로 위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기구이다.
「작용의 설명」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위치(A)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를 격납위치(B)로 전동회전시켜 격납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러 어셈블리(4)가 사용위치(A)에 위치하는 상태(세트 상태, 사용 상태)일 때에는, 클러치 기구(15)가 도 13(A), 도 15, 도 17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고, 또한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가 도 5(A), 도 8(A), 도 12(A), 도 13(A)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고, 또한, 완충 기구가 도 12(A), 도 13(A)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다.
즉, 클러치 기구(15)는, 도 13(A), 도 15,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기어(32)의 클러치 볼록부(40)와 클러치 홀더(35)의 클러치 오목부(41)가 끼워맞춤 상태에 있으므로, 클러치 기어(32)와 클러치 홀더(35)가 연결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클러치 기어(32)는, 클러치 홀더(35)와 함께, 샤프트(1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의 상태에 있다.
또한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는, 도 5(A), 도 8(A), 도 12(A),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재 부재(6)의 일방의 맞닿음면(33)과 샤프트 홀더(9)의 일방의 맞닿음면(43)이 맞닿아 있는 상태에 있다. 이 결과, 개재 부재(6)는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또한, 완충 기구는, 도 12(A),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재 부재(6)의 맞물림 볼록부(38)와 기어케이스(11)의 맞물림 오목부(45)가 맞물려 있는 상태에 있다. 이 결과, 개재 부재(6)와 기어케이스(11)는 일체 상태에 있다.
이 세트 상태(사용 상태)에 있어서, 자동차의 실내의 스위치(도시 생략)를 조작하여, 커넥터(8), 소켓부(7), 기판(27)을 통하여 모터(13)에 급전하여 모터(13)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모터(13)의 회전력은 출력축, 감속 기구(14)를 통하여 샤프트(10)에 고정된 클러치 기어(32)에 전달된다. 이 때, 클러치 기어(32)는, 클러치 홀더(35)와 함께, 샤프트(1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의 상태에 있으므로, 감속 기구(14)의 제 2 웜 기어(31)가 클러치 기어(32)를 고정 기어로 하여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 주위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전동 격납 유닛(3)을 내장한 미러 어셈블리(4)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 주위로 사용위치(A)로부터 격납위치(B)로 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미러 어셈블리(4)가 사용위치(A)로부터 격납위치(B)로 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동 격납 유닛(3)의 기어케이스(11)가 샤프트(10)에 대하여 동일하게 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도 12 중의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따라, 기어케이스(11)의 맞물림 오목부(45)에 맞물림 볼록부(38)가 맞물려 있는 개재 부재(6)가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동일하게 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도 5, 도 8, 도 12 중의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개재 부재(6)의 볼록부(28)의 일면(하면)이 샤프트 홀더(9)의 상면 위를 회전(미끄러짐, 슬라이드, 미끄럼운동)한다. 이 결과, 도 5(B), 도 8(B),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재 부재(6)의 일방의 맞닿음면(33)이 샤프트 홀더(9)의 일방의 맞닿음면(43)으로부터 벗어난다.
미러 어셈블리(4)가 격납위치(B)에 위치하면, 도 5(C), 도 8(C),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재 부재(6)의 타방의 맞닿음면(34)이 샤프트 홀더(9)의 타방의 맞닿음면(44)에 맞닿는다. 이 결과, 개재 부재(6)가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고정되어, 개재 부재(6)의 회전이 정지한다. 또한 개재 부재(6)의 맞물림 볼록부(38)에 맞물림 오목부(45)가 맞물려 있는 기어케이스(11)의 회전도 마찬가지로 정지한다.
이것과 동시에, 모터(13)에 공급되는 전류(작동 전류)의 값이 상승하여 소정값에 달하고, 기판(27)의 스위치 회로가 작동하여 모터(13)로의 전류공급이 차단된다. 이 결과, 미러 어셈블리(4)가 도 1에 도시하는 소정의 위치의 격납위치(B)에 정지하여 위치한다.
다음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납위치(B)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를 사용위치(A)에 전동회전시켜 복귀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러 어셈블리(4)가 격납위치(B)에 위치하는 상태(격납 상태)일 때에는, 클러치 기구(15)가 도 13(A), 도 15, 도 17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고, 또한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가 도 5(C), 도 8(C), 도 12(C)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고, 또한, 완충 기구가 도 12(C)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다.
즉, 클러치 기구(15)는, 세트 상태와 동일하게, 이어져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클러치 기어(32)는, 클러치 홀더(35)와 함께, 샤프트(1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의 상태에 있다. 또한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는, 개재 부재(6)의 타방의 맞닿음면(34)과 샤프트 홀더(9)의 타방의 맞닿음면(44)이 맞닿아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개재 부재(6)는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또한, 완충 기구는 개재 부재(6)의 맞물림 볼록부(38)와 기어케이스(11)의 맞물림 오목부(45)가 맞물려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개재 부재(6)와 기어케이스(11)는 일체 상태에 있다.
이 격납 상태에 있어서, 자동차의 실내의 스위치(도시 생략)를 조작하여 모터(13)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모터(13)의 회전력이 감속 기구(14)를 통하여 회전 불가능의 상태에 있는 클러치 기어(32)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전동 격납 유닛(3)을 내장한 미러 어셈블리(4)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10)의 회전중심(O-O) 주위로 격납위치(B)로부터 사용위치(A)로 위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미러 어셈블리(4)가 격납위치(B)로부터 사용위치(A)로 위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동 격납 유닛(3)의 기어케이스(11)가 샤프트(10)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위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도 12 중의 실선 화살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기어케이스(11)의 맞물림 오목부(45)에 맞물림 볼록부(38)가 맞물려 있는 개재 부재(6)가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위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도 5, 도 8, 도 12 중의 실선 화살표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개재 부재(6)의 볼록부(28)의 하면이 샤프트 홀더(9)의 상면 위를 회전(미끄러짐, 슬라이드, 미끄럼운동)한다. 이 결과, 도 5(B), 도 8(B),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재 부재(6)의 타방의 맞닿음면(34)이 샤프트 홀더(9)의 타방의 맞닿음면(44)으로부터 떨어진다.
미러 어셈블리(4)이 사용위치(A)에 위치하면, 도 5(A), 도 8(A),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재 부재(6)의 일방의 맞닿음면(33)이 샤프트 홀더(9)의 일방의 맞닿음면(43)에 맞닿는다. 이 결과, 개재 부재(6)가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고정되어, 개재 부재(6)의 회전이 정지한다. 또한 개재 부재(6)의 맞물림 볼록부(38)에 맞물림 오목부(45)가 맞물려 있는 기어케이스(11)의 회전도 마찬가지로 정지한다.
이것과 동시에, 모터(13)에 공급되는 전류(작동 전류)의 값이 상승하여 소정값에 달하고, 기판(27)의 스위치 회로가 작동하여 모터(13)로의 전류공급이 차단된다. 이 결과, 미러 어셈블리(4)가 도 1에 도시하는 소정의 위치의 사용위치(A)에 정지하여 위치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위치(A)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를 완충하기 위하여 전방 경도위치(C)로 경도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러 어셈블리(4)가 사용위치(A)에 위치하는 상태(세트 상태, 사용 상태)일 때에는, 클러치 기구(15)가 도 13(A), 도 15, 도 17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고, 또,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가 도 5(A), 도 8(A), 도 12(A), 도 13(A)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고, 또한, 완충 기구가 도 12(A), 도 13(A)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다.
즉, 클러치 기구(15)는, 이어져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클러치 기어(32)는, 클러치 홀더(35)와 함께, 샤프트(1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의 상태에 있다. 또한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는, 개재 부재(6)의 일방의 맞닿음면(33)과 샤프트 홀더(9)의 일방의 맞닿음면(43)이 맞닿아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개재 부재(6)는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또한, 완충 기구는, 개재 부재(6)의 맞물림 볼록부(38)와 기어케이스(11)의 맞물림 오목부(45)가 맞물려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개재 부재(6)와 기어케이스(11)는 일체 상태에 있다.
이 세트 상태(사용 상태)에 있어서, 사용위치(A)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에 위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의 힘이며, 모터(13) 및 감속 기구(14)에 의한 전동회전력보다도 큰 힘(수동에 의한 힘, 무엇인가 미러 어셈블리(4)에 부딪쳤을 때의 힘)이 걸린다. 그러면, 미러 어셈블리(4)에 부착되어 있는 기어케이스(11)가 위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도 13, 도 15, 도 16 중의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 때, 도 13, 도 15,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재 부재(6)의 일방의 맞닿음면(33)이 샤프트 홀더(9)의 일방의 맞닿음면(43)에 맞닿아 있으므로, 개재 부재(6)가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어 위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도 13(B),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케이스(11)의 맞물림 오목부(45)가 개재 부재(6)의 맞물림 볼록부(38)를 올라타고, 개재 부재(6)의 맞물림 볼록부(38)와 기어케이스(11)의 맞물림 오목부(45)와의 맞물림이 최초로 벗겨진다. 이 때, 기어케이스(11)(커버(12), 모터(13), 감속 기구(14), 축받이 부재(16), 클러치 기어(32), 클러치 홀더(35)를 포함함)는 스프링(36)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이동(상승)한다.
그리고, 기어케이스(11)가 또한 위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그러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기어(32)와 제 2 웜 기어(31) 사이의 백래시가 막히고, 그 제 2 웜 기어(31)의 스러스트 방향의 간극이 막히고, 샤프트(10)와 클러치 홀더(35) 간의 끼워맞춤 간극이 막힌다.
클러치 홀더(35)는 샤프트(10)에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으므로, 도 13(C),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케이스(11)측의 클러치 기어(32)의 클러치 볼록부(40)가 샤프트(10)의 고정측의 클러치 홀더(35)의 클러치 오목부(41)를 올라타서, 클러치 기어(32)의 클러치 볼록부(40)와 클러치 홀더(35)의 클러치 오목부(41)와의 끼워맞춤 상태가 벗어난다. 이 때, 클러치 홀더(35)는 스프링(36)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이동(상승)한다.
이 결과, 기어케이스(11)(커버(12), 모터(13), 감속 기구(14), 축받이 부재(16), 클러치 기어(32)를 포함함)은, 위에서 보아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 어셈블리(4)는, 사용위치(A)로부터 전방 경도위치(C)에 위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샤프트 홀더(9)의 스토퍼 볼록부(21)의 일방의 스토퍼면(22)이 기어케이스(11)의 가이드홈(24)의 일방의 스토퍼면(25)에 맞닿은 시점에서, 전방 경도위치(C)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경도위치(C)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를 전동회전력보다도 큰 힘으로 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미러 어셈블리(4)에 부착되어 있는 기어케이스(11)(커버(12), 모터(13), 감속 기구(14), 축받이 부재(16), 클러치 기어(32)를 포함함)가 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도 13, 도 15, 도 16 중의 실선 화살표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 어셈블리(4)가 전방 경도위치(C)로부터 사용위치(A)로 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클러치 기어(32)의 클러치 볼록부(40)와 클러치 홀더(35)의 클러치 오목부(41)가 최초에 서로 끼워맞추어져 클러치 기구(15)가 이어진 상태로 된다. 그리고, 개재 부재(6)의 맞물림 볼록부(38)와 기어케이스(11)의 맞물림 오목부(45)가 서로 맞물려 개재 부재(6)와 기어케이스(11)가 일체 상태로 된다. 이 결과,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 어셈블리(4)는 사용위치(A)에 위치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위치(A)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를 완충을 위해 격납위치(B)에 경도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러 어셈블리(4)가 사용위치(A)에 위치하는 상태(세트 상태, 사용 상태)일 때에는, 클러치 기구(15)가 도 13(A), 도 15, 도 17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고, 또한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가 도 5(A), 도 8(A), 도 12(A), 도 13(A)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고, 또한, 완충 기구가 도 12(A), 도 13(A)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다.
즉, 클러치 기구(15)는, 연결되는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기어(32)는, 클러치 홀더(35)와 함께, 샤프트(1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의 상태에 있다. 또한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는, 개재 부재(6)의 일방의 맞닿음면(33)과 샤프트 홀더(9)의 일방의 맞닿음면(43)이 맞닿아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개재 부재(6)는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또한, 완충 기구는 개재 부재(6)의 맞물림 볼록부(38)와 기어케이스(11)의 맞물림 오목부(45)가 맞물려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개재 부재(6)와 기어케이스(11)는 일체 상태에 있다.
이 세트 상태(사용 상태)에 있어서, 사용위치(A)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에 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의 힘이며, 전동회전력보다도 큰 힘(수동에 의한 힘, 무엇인가가 미러 어셈블리(4)에 부딪쳤을 때의 힘)이 걸린다. 그러면, 미러 어셈블리(4)에 부착되어 있는 기어케이스(11)가 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도 17, 도 18 중의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 때, 도 17,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재 부재(6)의 일방의 맞닿음면(33)이 샤프트 홀더(9)의 일방의 맞닿음면(43)에 맞닿아 있고, 개재 부재(6)의 타방의 맞닿음면(34)이 샤프트 홀더(9)의 타방의 맞닿음면(44)에 맞닿아 있지 않으므로, 개재 부재(6)가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는 고정되어 있지 않아 이 방향(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재 부재(6)의 맞물림 볼록부(38)와 기어케이스(11)의 맞물림 오목부(45)가 맞물린 상태에서 개재 부재(6)와 기어케이스(11)는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때, 클러치 홀더(35)는 샤프트(10)에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으므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케이스(11)측의 클러치 기어(32)의 클러치 볼록부(40)가 샤프트(10)의 고정측의 클러치 홀더(35)의 클러치 오목부(41)를 올라타, 클러치 기어(32)의 클러치 볼록부(40)와 클러치 홀더(35)의 클러치 오목부(41)의 끼워맞춤 상태가 벗겨진다. 이 때, 클러치 홀더(35)는 스프링(36)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이동(상승)한다.
이 결과, 기어케이스(11)(커버(12), 모터(13), 감속 기구(14), 축받이 부재(16), 클러치 기어(32)를 포함함)은 위에서 보아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 어셈블리(4)는 사용위치(A)로부터 격납위치(B)로 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샤프트 홀더(9)의 스토퍼 볼록부(21)의 타방의 스토퍼면(22)이 기어케이스(11)의 가이드홈(24)의 타방의 스토퍼면(25)에 맞닿은 시점에서, 격납위치(B)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납위치(B)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를 전동회전력보다도 큰 힘으로 위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미러 어셈블리(4)에 부착되어 있는 기어케이스(11)(커버(12), 모터(13), 감속 기구(14), 축받이 부재(16), 클러치 기어(32)를 포함함)가 위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도 17, 도 18 중의 실선 화살표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 어셈블리(4)가 격납위치(B)로부터 사용위치(A)로 위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클러치 기어(32)의 클러치 볼록부(40)와 클러치 홀더(35)의 클러치 오목부(41)가 최초로 서로 끼워맞추어져 클러치 기구(15)가 이어진 상태로 된다. 이 결과,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 어셈블리(4)는 사용위치(A)에 위치한다.
「효과의 설명」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이상과 같은 구성 및 작용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미러 어셈블리(4)의 전동회전의 범위를 규제하는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와, 미러 어셈블리(4)를 완충하기 위해 회전시키는 완충 기구가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는 개재 부재(6)와 샤프트 홀더(9)에 구성되어 있고, 한편, 완충 기구는 개재 부재(6)와 기어케이스(11)에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전동회전 범위에서는 개재 부재(6)와 기어케이스(11)가 모두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회전하고, 전동회전력 이상의 힘이 작용했을 때에는 완충을 위해 기어케이스(11)가 개재 부재(6) 및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다. 이 결과,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개재 부재(6)가 샤프트 홀더(9)와 기어케이스(11)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또 기어케이스(11)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므로, 개재 부재(6)로서는 고강성의 부재로 구성할 필요가 없고, 저마찰이고 또한 내마모성의 부재이며 저렴한 부재로 구성할 수 있고, 한편, 샤프트 홀더(9) 및 기어케이스(11)로서는 고강성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개재 부재(6)와 샤프트 홀더(9) 사이에서, 개재 부재(6)가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회전하고, 또한, 개재 부재(6)의 맞닿음면(33, 34)과 샤프트 홀더(9)의 맞닿음면(43, 44)의 맞닿음(면 맞닿음)에 의해, 개재 부재(6)가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이므로, 상기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와 같이, 전방 경도 가능 위치로의 회전시에, 케이스산에 피복된 깎임 방지 부재가 스탠드산을 올라타는 일이 없다. 즉, 미러 어셈블리(4)가 완충을 위해 회전할 때, 개재 부재(6)가 샤프트 홀더(9)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고, 완충회전력(개재 부재(6)의 맞물림 볼록부와 기어케이스(11)의 맞물림 오목부(45)와의 맞물림을 벗겨내는 힘이며, 완충 토크)이 개재 부재(6)와 샤프트 홀더(9) 사이에서 작용하지 않아, 샤프트 홀더(9) 및 샤프트(10)의 재질이 완충시의 회전력의 내구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실시예에서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개재 부재(6)와 샤프트 홀더(9) 사이에서 마모되는 일이 없으므로, 샤프트 홀더(9) 및 샤프트(10)로서는 고강성의 수지 부재, 또는, 금속 부재(다이캐스트)로 구성할 수 있고, 차종의 요구에 따라 재질을 선택하여 대응할 수 있다. 즉, 샤프트 홀더(9) 및 샤프트(10)로서는 소형차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경우에는 저비용의 고강성의 수지 부재를 선택하고, RV차 등의 대형차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경우에는 금속 부재(다이캐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샤프트 홀더(9) 및 샤프트(10) 이외의 부품 즉 개재 부재(6) 및 기어케이스(11)(커버(12), 모터(13), 감속 기구(14), 축받이 부재(16), 클러치 기어(32), 클러치 홀더(35)를 포함함)을 공유화할 수 있다. 이 결과, 차종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미러 어셈블리(4)의 전동회전 범위를,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의 샤프트 홀더(9)의 맞닿음면(43, 44)의 개방 각도 및 스토퍼 볼록부(21)의 스토퍼면(22)의 개방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차종마다 조정 설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이 실시예에서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샤프트 홀더(9) 및 샤프트(10) 이외의 부품 즉 개재 부재(6) 및 기어케이스(11)(커버(12), 모터(13), 감속 기구(14), 축받이 부재(16), 클러치 기어(32), 클러치 홀더(35)를 포함함)을 공유화할 수 있으므로, 차종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완충 기구의 개재 부재(6)의 맞물림 볼록부(38)와 기어케이스(11)의 맞물림 오목부(45)가 서로 맞물리고, 또한,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의 개재 부재(6)의 맞닿음면(33, 34)과 샤프트 홀더(9)의 맞닿음면(43, 44)이 서로 맞닿으므로, 기어케이스(11)가 개재 부재(6)를 통하여 샤프트 홀더(9)에 흔들리지 않고 조립되고, 이것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4)의 미러의 흔들림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개재 부재(6)가 저마찰이고 또한 내마모성의 부재이며 저렴한 수지 부재, 예를 들면, POM(폴리아세탈, 아세탈 수지), PPS(폴리페닐렌술피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재 부재(6)와 샤프트 홀더(9) 사이의 회전(미끄러짐, 슬라이드, 미끄럼운동), 및, 개재 부재(6)와 기어케이스(11) 사이의 회전(미끄러짐, 슬라이드, 미끄럼운동)이 매끄러워(원활하여) 안정하다. 이 결과,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전동회전력, 및, 완충회전력의 편차(차이)가 적어지므로, 전동 격납 유닛(3)의 각 부품의 설계강도를 낮출 수 있어, 예를 들면, 두께를 얇게 하거나, 재료의 등급을 낮출 수 있어, 그만큼, 전동 격납 유닛(3) 전체의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개재 부재(6)가 저마찰이고 또한 내마모성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재 부재(6)의 맞물림 볼록부(38)와 기어케이스(11)의 맞물림 오목부(45)에 있어서의 마모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이 실시예에서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완충회전력이 저하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완충회전력의 저하로, 미러 어셈블리(4)가 사용위치(A)보다도 전방으로 경도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개재 부재(6)가 저마찰이고 또한 내마모성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재 부재(6) 및 샤프트 홀더(9) 및 기어케이스(11)에 내마모 대책으로서 도포한 그리스 등의 윤활 부재가 시간 경과로 사라졌을 때(그리스의 분실시)에도, 개재 부재(6) 및 샤프트 홀더(9) 및 기어케이스(11)의 마찰계수의 변화가 적으므로, 장기 사용 후에도, 완충회전력의 성능 열화가 적다.
「실시예 이외의 예의 설명」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전동 격납식의 도어 미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전동 격납식의 도어 미러 장치 이외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동 격납식의 차량용 펜더 미러 장치 등의 전동 격납식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기어(32)에 클러치 볼록부(40)를, 클러치 홀더(35)에 클러치 오목부(41)를, 설치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클러치 기어에 클러치 오목부를, 클러치 홀더에 클러치 볼록부를 설치해도 되고, 클러치 기어에 클러치 볼록부 및 클러치 오목부를, 클러치 홀더에 클러치 오목부 및 클러치 볼록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개재 부재(6)에 맞물림 볼록부(38)를 설치하고, 기어케이스(11)에 맞물림 오목부(45)를 설치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재 부재에 맞물림 오목부를 설치하고, 기어케이스에 맞물림 볼록부를 형성해도 되고, 개재 부재에 맞물림 볼록부 및 맞물림 오목부를 설치하고, 기어케이스에 맞물림 오목부 및 맞물림 볼록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개재 부재(6)의 하면에 2개의 원호 볼록부(28)를 설치하고, 샤프트 홀더(9)의 상면에 2개의 원호 볼록부(42)를 설치한 것으로, 이것에 의해, 강도가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원호 볼록부(28) 및 원호 볼록부(42)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1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2 베이스(미러 베이스)
3 전동 격납 유닛
4 미러 어셈블리
5 미러 하우징
6 개재 부재
7 소켓부
8 커넥터
9 샤프트 홀더
10 샤프트
11 기어케이스(케이싱)
12 커버(케이싱)
13 모터
14 감속 기구(회전력 전달 기구)
15 클러치 기구(회전력 전달 기구)
16 축받이 부재
17 조인트
18 수납부
19 삽입구멍
20 삽입구멍
21 스토퍼 볼록부
22 스토퍼면
23 플랜지부
24 가이드홈
25 스토퍼면
26 하니스 삽입통과 통부
27 기판
28 원호 볼록부
29 제 1 웜 기어
30 헬리컬 기어
31 제 2 웜 기어
32 클러치 기어
33 맞닿음면
34 맞닿음면
35 클러치 홀더
36 스프링
37 푸시 너트
38 맞물림 볼록부
39 삽입구멍
40 클러치 볼록부
41 클러치 오목부
42 원호 볼록부
43 맞닿음면
44 맞닿음면
45 맞물림 오목부
A 사용위치
B 격납위치
C 전방 경도 위치
D 도어(차체)
E 차량의 후방
F 차량의 전방
O-O 샤프트의 회전중심

Claims (2)

  1. 미러 어셈블리가 전동 격납 유닛 및 베이스를 통하여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 격납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샤프트 홀더와,
    상기 샤프트 홀더에 설치되어 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미러 어셈블리가 부착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수납되어 있고, 상기 미러 어셈블리를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전동회전시키는 모터 및 회전력 전달 기구와,
    상기 회전력 전달 기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터 및 상기 회전력 전달 기구의 전동회전력으로는 벗겨지지 않고, 또한, 상기 전동회전력 이상의 힘으로 벗겨져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를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기구와,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상기 전동회전의 범위를 규제하는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와,
    상기 미러 어셈블리를 완충하기 위해 회전시키는 완충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 홀더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는, 개재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동회전 범위 규제 기구는, 상기 개재 부재와 상기 샤프트 홀더에 설치되어 있는 맞닿음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개재 부재의 맞닿음면과 상기 샤프트 홀더의 맞닿음면이 맞닿음으로써, 상기 개재 부재가 상기 샤프트 홀더에 고정되어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상기 전동회전 범위가 규제되는 기구이고,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개재 부재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있는 맞물림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동회전력에서는 상기 개재 부재의 맞물림부와 상기 케이싱의 맞물림부와의 맞물림이 벗겨지지 않고, 상기 개재 부재와 상기 케이싱이 함께 상기 전동회전 범위에서 상기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 홀더에 대하여 회전하고, 또한, 상기 전동회전력 이상의 힘에서는 상기 개재 부재의 맞물림부와 상기 케이싱의 맞물림부와의 맞물림이 벗겨지고 또한 상기 클러치 기구가 벗겨져서 상기 케이싱이 상기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 홀더에 대하여 회전하는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 부재는 저마찰이고 또한 내마모성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KR1020110023670A 2010-03-26 2011-03-17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KR101761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71463 2010-03-26
JP2010071463A JP5418356B2 (ja) 2010-03-26 2010-03-26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260A true KR20110108260A (ko) 2011-10-05
KR101761139B1 KR101761139B1 (ko) 2017-07-25

Family

ID=4426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670A KR101761139B1 (ko) 2010-03-26 2011-03-17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23371B2 (ko)
EP (1) EP2368762B1 (ko)
JP (1) JP5418356B2 (ko)
KR (1) KR101761139B1 (ko)
CN (1) CN10219882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586A (ko) * 2021-04-14 2022-10-24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자동차 외부미러용 액츄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8429B2 (ja) 2010-11-26 2014-05-14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5556621B2 (ja) 2010-11-26 2014-07-23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5803356B2 (ja) * 2011-07-05 2015-11-04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13075618A (ja) * 2011-09-30 2013-04-25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5891869B2 (ja) * 2012-03-15 2016-03-23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6019664B2 (ja) * 2012-03-28 2016-11-02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5970911B2 (ja) * 2012-03-28 2016-08-1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DE102013201434B3 (de) 2013-01-29 2014-05-28 Mekra Lang Gmbh & Co. Kg Elektrisch rotatorische Verstelleinheit sowie indirektes Sichtsystem für Fahrzeuge mit einer solchen Verstelleinheit
JP6083274B2 (ja) * 2013-03-19 2017-02-22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ミラー
JP6195511B2 (ja) * 2013-11-28 2017-09-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ミラー装置
JP6195510B2 (ja) * 2013-11-28 2017-09-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ミラー装置
JP6482353B2 (ja) * 2015-03-31 2019-03-13 株式会社村上開明堂 車両用電動格納式視認装置
NL2015676B1 (nl) * 2015-10-28 2017-05-29 MCI (Mirror Controls International) Netherlands B V Verstelinstrument voor een buitenzichteenheid voor een voertuig.
JP2018069997A (ja) * 2016-10-31 2018-05-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視認装置
JP6827870B2 (ja) * 2017-03-31 2021-02-10 株式会社村上開明堂 車両用電動格納式視認装置の電動格納ユニット
JP7024242B2 (ja) * 2017-08-02 2022-02-24 市光工業株式会社 電動格納式車両用周辺視認装置
CN108545022B (zh) * 2018-05-04 2023-09-26 常州市凯凌车配有限公司 客车防撞电动折叠后视镜支架
KR102552165B1 (ko) * 2018-11-20 202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
CN112092733B (zh) * 2020-11-09 2021-02-23 宁波精成车业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外后视镜的电动折叠装置
CN116552383B (zh) * 2023-07-10 2023-09-19 宁波胜维德赫华翔汽车镜有限公司 一种执行器缓冲结构、后视镜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0597B2 (ja) * 1987-02-10 1995-11-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電動格納型ドアミラ−
JPH0653298U (ja) * 1992-12-25 1994-07-19 株式会社松山製作所 車両用ミラーのミラー角度調整装置
JP3795194B2 (ja) * 1997-08-20 2006-07-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ドアミラーの電動格納装置
JP2001287594A (ja) 2000-04-07 2001-10-16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JP3964627B2 (ja) * 2001-03-19 2007-08-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JP4020710B2 (ja) * 2002-06-25 2007-12-12 株式会社ミツバ ドアミラーセットプレート
JP2004082953A (ja) * 2002-08-28 2004-03-18 Ichikoh Ind Ltd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TWI232187B (en) * 2003-06-28 2005-05-11 Chaw Khong Co Ltd Electrical operable pivoting back-mirror device
JP2005193818A (ja) * 2004-01-08 2005-07-21 Ishizaki Honten:Kk 電動ミラー
DE602005003927T2 (de) * 2004-02-06 2008-12-18 Eaton Automotive B.V. Gelenkstellglied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von zwei teilen eines gelenks eines gelenkstellglieds bezüglich einander
JP2008087707A (ja) * 2006-10-04 2008-04-17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4807213B2 (ja) * 2006-10-04 2011-11-02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4847311B2 (ja) * 2006-12-25 2011-12-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ミラー装置
JP4985276B2 (ja) * 2007-09-27 2012-07-25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CN201136463Y (zh) * 2007-12-30 2008-10-22 宁波精成车业有限公司 单体镜面转向器
JP2010071463A (ja) 2008-08-18 2010-04-02 Nihon Univ ポリイミド薄膜のダイヤフラム製造方法
CN201371778Y (zh) * 2009-02-24 2009-12-30 宁波精成车业有限公司 汽车后视镜镜面角位置的调节机构
JP2013075618A (ja) * 2011-09-30 2013-04-25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586A (ko) * 2021-04-14 2022-10-24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자동차 외부미러용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139B1 (ko) 2017-07-25
EP2368762B1 (en) 2013-07-17
US20110235200A1 (en) 2011-09-29
US8523371B2 (en) 2013-09-03
JP5418356B2 (ja) 2014-02-19
EP2368762A1 (en) 2011-09-28
JP2011201447A (ja) 2011-10-13
CN102198820B (zh) 2014-12-31
CN102198820A (zh)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8260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JP5803356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20120057523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KR20120057530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US7883224B2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JP6019664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100909016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JP2013075618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5891869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20110115515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JP5970911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16020151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16020144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16020150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13063781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8296718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