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664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664A
KR20110106664A KR1020100025848A KR20100025848A KR20110106664A KR 20110106664 A KR20110106664 A KR 20110106664A KR 1020100025848 A KR1020100025848 A KR 1020100025848A KR 20100025848 A KR20100025848 A KR 20100025848A KR 20110106664 A KR20110106664 A KR 20110106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driving
camera module
housing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5108B1 (ko
Inventor
강성호
이명진
백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65660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10666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5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108B1/ko
Priority to JP2010166783A priority patent/JP2011197626A/ja
Priority to US12/849,734 priority patent/US20110236008A1/en
Publication of KR20110106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108B1/ko
Priority to JP2012248720A priority patent/JP2013061666A/ja
Priority to US13/740,056 priority patent/US20160088201A9/en
Priority to JP2014180236A priority patent/JP2015007804A/ja
Priority to JP2015084339A priority patent/JP2015180937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23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tilting or inclin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외부이미지를 모으기 위한 렌즈가 내장된 렌즈베럴, 상기 렌즈베럴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마그넷과 코일로 구성되며, 이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상기 렌즈베럴을 상부로 구동시키는 제1 구동력과 상기 렌즈베럴을 하부로 구동시키는 제2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렌즈베럴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베럴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볼, 및 상기 렌즈베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동부가 렌즈베럴을 상하로 구동시킴으로써 렌즈베럴을 초기위치로 복원시키는 프리로드를 제공하는 프리로드부가 필요없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나 휴대폰, PDA 등과 같은 개인휴대폰단말기에는 메인 기능 이외에 부가적인 기능들이 추가되는데, 요즘에 많은 전자기기에는 카메라 기능이 추가되어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따라서, 이에 실장 되는 카메라 모듈들의 시장도 더욱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따라, 카메라 모듈도 고정 초점만이 아니라 가능한 단순한 기능에서 점차 오토 포커스나 광학 줌,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등의 부가기능이 탑재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이 오토 포커스나 광학줌, OIS 등의 부가가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렌즈를 구동시킬 수 있는 엑츄에이터를 이용한 렌즈구동모듈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VCM(Voice coil motor) 방식의 렌즈구동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고 있으며,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사용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대한 렌즈베럴의 변위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다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군(22)을 장착하여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렌즈베럴(20), 상기 렌즈베럴(20)이 수용되는 고정부(30), 상기 고정부(30)에 지지가 되어 렌즈베럴(20)을 광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판 스프링(프리로드부)(40), 마그네트(52)와 코일(54)로 구성되어 렌즈베럴(20)을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힘(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마그네트(52)는 요크(56)를 매개로 고정부(30)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코일(54)은 렌즈베럴(20)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카메라 모듈(10)에서는, 코일(54)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을 때 렌즈베럴(20)은 초기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코일(54)에 전류가 인가될 때 코일(54)과 마그네트(52)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승됨으로써 오토 포커스 기능이 수행되게 된다(도 2 참조). 다음, 전류공급을 차단하면, 상승된 렌즈베럴(20)은 판스프링(40)의 복원력(프리로드)에 의해 초기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동원리를 채용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서는 렌즈베럴(20)을 초기위치로 복원시키는 판스프링(40)으로 인해 전력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코일(54)에 전류를 인가한 후, 렌즈베럴(20)의 하중(M)과 프리로드(K)의 합보다 큰 힘이 렌즈베럴(20)에 인가되는 경우에만 렌즈베럴(20)이 상승구동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프리로드(K)로 인해 렌즈베럴(20)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코일(54)에 많은 전류량이 인가될 수밖에 없어 전력소모가 많았다.
뿐만 아니라, 판스프링(40)을 채용함으로써 구조 및 제작공정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판스프링(40)의 프리로드(K)는 렌즈베럴(20)의 위치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코일(54)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해야 하고, 이로 인해 구동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렌즈베럴(20)과 판스프링(40)의 결합상태에 따라 렌즈베럴(20)이 광축 방향으로부터 틸트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그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렌즈베럴(20)의 상부 및 하부 구동시 외부충격에 의한 흔들림이나, 자체 진동의 경감을 위한 구조가 부재함으로써 렌즈베럴의 작동성능 향상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로드부를 제거하여 소모전력 및 렌즈베럴의 틸트현상을 최소화하고, 구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댐핑부재의 결합으로 렌즈베럴 구동시의 자체진동을 경감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외부이미지를 모으기 위한 렌즈가 내장된 렌즈베럴, 상기 렌즈베럴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마그넷과 코일로 구성되며, 이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상기 렌즈베럴을 상부로 구동시키는 제1 구동력과 상기 렌즈베럴을 하부로 구동시키는 제2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렌즈베럴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베럴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볼, 및 상기 렌즈베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베럴의 진동겸감을 위한 댐핑부재가 렌즈배럴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댐핑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베럴 외주면에 댐핑결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베럴은 상기 하우징 수용공간 내부에 임의의 지점에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부와 하부로 구동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력이 상기 렌즈베럴의 하중보다 클 때, 상기 렌즈베럴은 상부로 구동되고, 상기 제1구동력보다 작은 구동력인 제2구동력으로 상기 렌즈베럴 하부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력은 상기 제2 구동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전류 인가시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마주하도록 상기 렌즈베럴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전기장과 상호 작용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베럴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검출부는 상기 마그넷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이 상면에 부착고정되는 회로기판에 실장된 이미지센서의 화상 신호로부터 상기 렌즈베럴의 포커싱 목표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포커싱 목표 위치와 상기 위치감출부로부터 감지된 렌즈베럴의 구동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렌즈베럴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가 렌즈베럴을 상하 구동시키는 제1 및 제2 구동력을 제공하여 렌즈베럴을 상하로 구동시켜 정확한 렌즈베럴의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렌즈베럴을 초기위치로 복원시키는 프리로드(렌즈베럴을 하강시키는 구동력)를 제공하는 프리로드부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소모전력 및 렌즈베럴의 틸트현상을 최소화하고, 구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로드부를 제거함으로써 구조 및 제작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댐핑부재가 렌즈베럴에 결합되므로써 렌즈베럴의 상부 또는 하부로 작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대한 렌즈베럴의 변위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절개 사시도;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와 렌즈베럴의 변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및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댐핑부재가 렌즈베럴 상부에 결합된 도면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댐핑부재가 렌즈베럴 하부에 결합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베럴(110), 하우징(120), 구동부(130), 가이드볼(140), 및 위치검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렌즈베럴(110)의 진동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도 8a 및 도 8b에서와 같이 댐핑부재(170a, 170b)의 댐핑결합부(17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렌즈베럴(110)은 렌즈(L)를 통해 외부의 이미지를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모아주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L)가 광축을 따라 배열되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중공 원통형의 렌즈 수용체로 구성되며, 광축 방향으로 상하 구동하면서 초점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렌즈베럴(110)은 렌즈베럴(110)을 수용지지하는 하우징(120)의 수용공간 내부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한다. 이러한 임의의 지점에 위치한 렌즈베럴(110)은 구동부(130)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로 구동을 시작하면서 초점거리를 맞추게 된다. 구동부(130)는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렌즈베럴(110)은 그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 사이에 일정크기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스페이서(미도시)를 구비하며, 상부에 렌즈의 중심과 일치하는 일정크기의 입사공(도면부호 미도시)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렌즈베럴(110)의 외주면 일측에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132)이 구비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구동부(130)에 대한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렌즈베럴(110)의 외주면 타측에는 가이드 볼(14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1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참조) 이때, 제1 수용홈(112)은 마그넷(132)이 구비되지 아니한 렌즈베럴(110)의 외주면에 가이드 볼(140)의 개수 및 배치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댐핑부재(170a,170b)는 렌즈베럴(110)이 광축 방향의 상부와 하부로 구동될 때, 렌즈베럴(11)의 자체진동 또는 주변충격에 의한 진동을 감쇠시킨다. 댐핑부재(170a, 170b)는 렌즈베럴(110)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댐핑부재(170a), 하부댐핑부재(170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와 하부에 모두 댐핑부재(170a, 170b)가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댐핑결합부(170)는 댐핑부재(170a, 170b)를 지지할 수 있도록 렌즈베럴(110) 외주면에 댐핑부재(170a, 170b)의 형상에 맞도록 형성된다. 댐핑결합부(170)에 의해 댐핑부재(170a, 170b)가 지지 고정됨으로써, 렌즈베럴(110)의 자체진동이나 주위 충격에 따른 진동이 댐핑부재(170a, 170b)에 의해 경감될 수 있는 것이다.
하우징(120)은 렌즈베럴(110)을 수용지지하는 어셈블리 수용체로서, 전체적으로 정사각 박스형태를 가지며 몸체 중앙에 렌즈베럴(11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의 내부공이 관통 형성되고, 이 내부공간에 렌즈베럴(110)이 수용된다.
여기서, 하우징(120)은 UV 경화제와 같은 접착제를 통해 중앙에 이미지센서(126)가 실장된 회로기판(125)에 상면에 접착고정된다. 또한, 하우징(120)의 내부공간에는 렌즈베럴(110)의 하강시 하부 이탈 방지를 위한 스토퍼(stopper) 역할을 수행하는 단턱부(124)가 구비된다. 이때, 단턱부(124)의 하부면에는 렌즈베럴(110)을 통해 입사되는 광에 포함된 적외선을 필터링하거나 렌즈베럴(110)로부터 분리된 이물이 이미지센서(126) 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IR 필터(128)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20)의 내주면에는 렌즈베럴(110)의 외주면에 구비된 마그넷(132)과 마주보도록 코일(134)이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120)의 내주면에는 렌즈베럴(110)과 하우징(120)의 마찰력을 저감시켜 렌즈베럴(110)의 수직이송을 돕기 위한 가이드 볼(1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 수용홈(1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수용홈(122)은 코일(134)이 구비되지 아니한 하우징(120)의 내주면에 제1 수용홈(112)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구동부(130)는 렌즈베럴(110)을 상하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마그넷(132)과 코일(134)의 전자기력(로렌츠힘)에 의해 렌즈베럴(110)을 상하 구동시킨다.
여기서, 구동부(130)는 렌즈베럴(110)을 상부로 구동시키는 제1 구동력(F1)과 렌즈베럴(110)을 하부로 구동시키는 제2 구동력(F2)을 발생시킨다(도 6 참조). 즉,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의 판 스프링과 같은 프리로드부를 사용하지 않고, 구동부(130)를 통해 렌즈베럴(110)을 상하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프리로드부에 의해 프리로드부(복원력)가 없기 때문에, 렌즈베럴(110)을 상부로 구동시키는 제1 구동력(F1)이 렌즈베럴(110)의 하중보다 클 때 렌즈베럴(110)은 상부로 구동하게 되고, 종래기술에 비해 소모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렌즈베럴(110)을 하부로 구동시키는 제2 구동력(F2)은 렌즈베럴(110)의 하중만큼 하부로 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1 구동력(F1)에 비해 작아도 렌즈베럴(110)의 하부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구동부(130)는 예를 들어, 렌즈베럴(11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마그넷(132)과 이와 마주하도록 하우징(12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코일(1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하우징(120)의 내주면에는 코일(134)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장이 마그넷(132)이 있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요크(136)가 구비되고, 이 요크(136)에 코일(13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그넷(132)과 코일(134)은 그 위치가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가이드 볼(140)은 하우징(120)에 대한 렌즈베럴(110)의 상하 구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베럴(110)과 하우징(120)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운동에 의해 렌즈베럴(110)을 안내한다. 이때, 가이드 볼(140)은 렌즈베럴(110)과 하우징(120)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마찰력을 저감시켜 렌즈베럴(110)의 상하 구동을 돕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 볼(140)은 일부분이 렌즈베럴(110)의 제1 수용홈(112)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가 되고, 다른 부분이 하우징(120)의 제2 수용홈(122)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 된다. 이때, 가이드 볼(140)은 하우징(120)에 접촉 지지되기 때문에, 렌즈베럴(110)이 기울어지지(tilt) 않고 일직선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이때, 가이드 볼(140)은 마그넷(132) 또는 코일(134)이 구비되지 아니한 렌즈베럴(110)과 하우징(120)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 볼(140)은 필요에 따라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볼(140)은 회전운동에 의해 마찰력을 저감시키면서 렌즈베럴(110)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위치검출부(150)는 렌즈베럴(110)의 구동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마그넷(132)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렌즈베럴(110)의 구동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위치검출부(150)는, 예를 들어, 하우징(120)의 내주면에 개재된 코일(134)의 내부, 즉 코일(134)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와 렌즈베럴의 변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구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검출부(150)로부터 감지된 렌즈베럴(110)의 구동위치는 이미지센서(126)의 화상 신호로부터 산출된 렌즈베럴(110)의 포커싱 목표 위치와 제어부(160)에서 비교되고, 제어부(160)는 이로부터 포커싱 목표 위치에 렌즈베럴(110)이 도달하기 위한 구동변위를 산출하게 되고, 이 구동변위를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원(전류)량을 제어하여 코일(134)에 공급함으로써 렌즈베럴(110)의 구동변위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과 같이 프리로드부가 없기 때문에, 렌즈베럴(110)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렌즈베럴(110)의 하중(M)보다 큰 제1 구동력(F1)을 인가함으로써 렌즈베럴(110)을 상승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3에서의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 인가되는 전류에 대한 렌즈베럴(110)의 변위 그래프에서 초기 구동시 필요한 전류값 M+K 보다,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초기 구동에 필요한 전류값 M이 더 작으므로, 렌즈베럴(110)의 초기구동에 따른 전류소비가 절감된다. 또한, 프리로드부가 없으므로 렌즈베럴(110)이 하우징(120)의 수용공간 내부 임의의 지점에 위치하여 구동부(130)에 의해 구동을 시작하게 된다. 렌즈베럴(110)의 초기 구동 후에는 코일(134)에 공급되는 전류량과 렌즈베럴(110)의 구동변위가 비례하기 때문에, 코일(134)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함으로써 렌즈베럴(110)을 상승시키는 제1 구동력(F1)과 제2 구동력(F2)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구동력(F1)과 제2 구동력(F2)을 통해 렌즈베럴(110)의 구동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서 렌즈베럴(110)의 오토 포커스 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렌즈베럴 112: 제1 수용홈
120: 하우징 122: 제2 수용홈
124: 단턱부 125: 회로기판
126: 이미지센서 128: IR 필터
130: 구동부 132: 마그넷
134: 코일 136: 요크
140: 가이드볼 150: 위치검출부
160: 제어부 170: 댐핑결합부
170a: 상부댐핑부재 170b: 하부댐핑부재

Claims (10)

  1. 외부이미지를 모으기 위한 렌즈가 내장된 렌즈베럴;
    상기 렌즈베럴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마그넷과 코일로 구성되며, 이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상기 렌즈베럴을 상부로 구동시키는 제1 구동력과 상기 렌즈베럴을 하부로 구동시키는 제2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렌즈베럴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베럴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볼; 및
    상기 렌즈베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검출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베럴의 진동경감을 위한 댐핑부재가 렌즈베럴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베럴 외주면에 댐핑결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베럴은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임의의 지점에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하부로 구동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력이 상기 렌즈베럴의 하중보다 클 때, 상기 렌즈베럴은 상부로 구동되고, 상기 제1 구동력보다 작은 구동력인 제2 구동력에 의해 상기 렌즈베럴 하부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력은 상기 제2 구동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전류 인가시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마주하도록 상기 렌즈베럴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전기장과 상호 작용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베럴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부는 상기 마그넷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면에 부착고정되는 회로기판에 실장된 이미지센서의 화상 신호로부터 상기 렌즈베럴의 포커싱 목표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포커싱 목표 위치와 상기 위치감출부로부터 감지된 렌즈베럴의 구동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렌즈베럴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00025848A 2010-03-23 2010-03-23 카메라 모듈 KR101095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848A KR101095108B1 (ko) 2010-03-23 2010-03-23 카메라 모듈
JP2010166783A JP2011197626A (ja) 2010-03-23 2010-07-26 カメラモジュール
US12/849,734 US20110236008A1 (en) 2010-03-23 2010-08-03 Camera module
JP2012248720A JP2013061666A (ja) 2010-03-23 2012-11-12 カメラモジュール
US13/740,056 US20160088201A9 (en) 2010-03-23 2013-01-11 Camera module
JP2014180236A JP2015007804A (ja) 2010-03-23 2014-09-04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5084339A JP2015180937A (ja) 2010-03-23 2015-04-16 カメラ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848A KR101095108B1 (ko) 2010-03-23 2010-03-23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664A true KR20110106664A (ko) 2011-09-29
KR101095108B1 KR101095108B1 (ko) 2011-12-16

Family

ID=44656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848A KR101095108B1 (ko) 2010-03-23 2010-03-23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110236008A1 (ko)
JP (4) JP2011197626A (ko)
KR (1) KR101095108B1 (ko)

Cited B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5288A (ko) * 2011-11-18 2013-05-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30060535A (ko) * 2011-11-30 2013-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30077215A (ko) * 2011-12-29 2013-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30077218A (ko) * 2011-12-29 2013-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WO2014003281A1 (en) * 2012-06-29 2014-01-03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101440807B1 (ko) * 2013-08-20 2014-09-17 (주)옵티스 렌즈 구동장치
KR101479637B1 (ko) * 2014-03-12 2015-01-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50085305A (ko) * 2014-01-15 2015-07-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US9151965B2 (en) 2013-08-23 2015-10-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50128265A (ko) * 2014-05-09 2015-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KR20150128264A (ko) * 2014-05-09 2015-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KR20150128262A (ko) * 2014-05-09 2015-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KR20160080640A (ko) * 2014-12-30 2016-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60094780A (ko) 2015-02-02 2016-08-10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
US9429734B2 (en) 2010-11-02 2016-08-30 Lg Innotek Co., Ltd. Voice coil mo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531953B2 (en) 2013-10-11 2016-12-2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57028A (ko) * 2019-05-14 2019-05-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90086649A (ko) * 2019-07-12 2019-07-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19168342A1 (ko) * 2018-02-28 2019-09-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WO2019199130A1 (ko) * 2018-04-12 2019-10-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90128144A (ko) * 2019-11-08 2019-11-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010547A (ko) * 2020-01-20 2020-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20027588A1 (ko) * 2018-08-02 2020-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00039655A (ko) * 2020-04-09 2020-04-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00118779A (ko) * 2019-11-08 2020-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118777A (ko) * 2013-12-23 2020-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KR20200136352A (ko) * 2020-04-09 202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10025548A (ko) * 2014-02-27 2021-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KR20210028623A (ko) * 2019-05-14 2021-03-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10114362A (ko) * 2020-09-28 2021-09-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KR20220000870A (ko) * 2021-02-22 2022-0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KR20220035898A (ko) * 2021-04-06 2022-03-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US11294142B2 (en) 2013-12-23 2022-04-05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KR20230070836A (ko) * 2021-11-15 2023-05-23 삼성전기주식회사 센서 시프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72934A (ko) * 2021-11-18 2023-05-25 삼성전기주식회사 센서 시프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4102B2 (en) * 2011-06-29 2015-02-24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Self-calibrated ringing compensation for an autofocus actuator in a camera module
US9294661B2 (en) * 2011-11-18 2016-03-22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101845089B1 (ko) * 2011-11-23 2018-04-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285412B1 (ko) * 2011-12-21 2013-07-19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동 장치
JP2015084003A (ja) * 2012-02-10 2015-04-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JP5955609B2 (ja) * 2012-03-30 2016-07-20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9568805B2 (en) 2012-05-17 2017-02-14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 same
KR101780856B1 (ko) * 2012-06-07 2017-10-10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위치 검출 장치
KR101349524B1 (ko) 2012-06-29 2014-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500034B1 (ko) 2012-06-29 2015-03-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EP3483652B1 (en) * 2012-07-09 2020-05-27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JP2014160195A (ja) * 2013-02-20 2014-09-04 Alps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EP2785044B1 (en) 2013-03-26 2017-10-1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EP3620853B1 (en) * 2013-07-29 2021-09-01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102166329B1 (ko) * 2013-08-19 2020-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616602B1 (ko) * 2013-08-27 2016-04-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5593758A (zh) * 2013-09-27 2016-05-18 夏普株式会社 摄像模块
KR20150042681A (ko) * 2013-10-11 2015-04-2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JP6158043B2 (ja) * 2013-10-31 2017-07-05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並びに撮像レンズの位置決め方法
US20150188476A1 (en) * 2013-12-30 2015-07-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otor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and voice coil motor system using the same
KR101725442B1 (ko) * 2014-03-07 2017-04-11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모듈
US9618770B2 (en) 2014-04-11 2017-04-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and image stabilize
KR20160092341A (ko) * 2015-01-27 2016-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토 포커싱 모듈,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및 오토 포커싱 모듈의 제조방법
JP3200481U (ja) 2015-02-26 2015-10-22 株式会社Est レンズ駆動装置
KR102494346B1 (ko) * 2015-04-10 2023-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21807B1 (ko) * 2017-04-10 2022-07-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라이다
CN107479165A (zh) * 2017-09-11 2017-12-15 重庆睿恩光电子有限责任公司 相机及其镜头驱动装置
TWI653523B (zh) * 2017-12-04 2019-03-11 宏碁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
KR102163416B1 (ko) * 2018-08-13 2020-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6821881B1 (ja) * 2019-07-24 2021-01-27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制御装置、撮像システム、移動体、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06710B1 (ko) * 2020-02-24 2021-09-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7372563B2 (ja) * 2022-03-24 2023-11-0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6949A (ja) * 1994-09-20 1996-04-02 Canon Inc 光学機器
JP4388203B2 (ja) * 2000-05-23 2009-12-24 ミネベア株式会社 複合型電磁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2004109690A (ja) * 2002-09-19 2004-04-08 Canon Inc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
JP3725118B2 (ja) * 2002-11-21 2005-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3909066B2 (ja) * 2004-06-25 2007-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7285879B2 (en) * 2004-08-09 2007-10-23 Mitsumi Electric Co., Ltd. Autofocus actuator
JP2006058662A (ja) * 2004-08-20 2006-03-02 Shicoh E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及び小型カメラ
JP2006138954A (ja) * 2004-11-10 2006-06-01 Nidec Sankyo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06227062A (ja) * 2005-02-15 2006-08-31 Tamron Co Ltd 進退動駆動装置
TWI302629B (en) * 2005-08-25 2008-11-01 Powergate Optical Inc A vcm auto-focusing device having position feedback and an auto-focusing method
JP4710589B2 (ja) * 2005-12-21 2011-06-2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752712B1 (ko) 2005-12-26 2007-08-29 삼성전기주식회사 위치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07187747A (ja) 2006-01-11 2007-07-26 Seiko Instruments Inc レンズ駆動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TW200709536A (en) * 2006-03-02 2007-03-01 Magtronics Technology Inc A voice coil motor and method of using magnetic restoring force achieving displacement control
KR100770866B1 (ko) * 2006-06-01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초점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JP4262769B1 (ja) * 2007-01-31 2009-05-13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撮像機器、及び電子機器
KR100849580B1 (ko) * 2007-04-10 2008-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N101038361A (zh) * 2007-04-27 2007-09-19 金仁召 透镜驱动装置
TWI347062B (en) * 2007-05-15 2011-08-11 Ind Tech Res Inst Voice coil motor and pre-compression generation device
KR100880672B1 (ko) * 2007-07-18 2009-02-02 자화전자 주식회사 자동초점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WO2009016949A1 (ja) * 2007-07-27 2010-10-14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0884962B1 (ko) * 2007-07-30 2009-02-23 자화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JP4642053B2 (ja) * 2007-09-14 2011-03-02 三洋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FR2922695A1 (fr) * 2007-10-22 2009-04-24 St Microelectronics Grenoble Circuit de commande de moteur a bobine mobile
TWI343164B (en) * 2007-12-04 2011-06-01 Ind Tech Res Inst Voice coil motor
JP2009169010A (ja) * 2008-01-15 2009-07-30 Panasonic Corp 撮像装置、携帯端末及びaf制御方法
WO2009096664A1 (en) * 2008-01-29 2009-08-06 Hysonic. Co., Ltd. Image photographing device
WO2009113326A1 (ja) * 2008-03-11 2009-09-17 三洋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1571659B (zh) * 2008-04-28 2014-01-15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自动对焦结构
JP2009282375A (ja) * 2008-05-23 2009-12-03 Konica Minolta Opto Inc レンズ駆動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携帯端末
KR101434203B1 (ko) * 2008-05-29 201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73979B1 (ko) * 2008-08-22 2010-08-05 한국과학기술원 전자기력을 이용한 다축 구동기
KR100961127B1 (ko) * 2008-09-01 2010-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8363149B2 (en) * 2008-09-10 2013-01-29 Panasonic Corporatio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JP5287070B2 (ja) * 2008-09-17 2013-09-11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WO2010055718A1 (ja) * 2008-11-11 2010-05-20 三洋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のレンズ駆動装置を搭載したカメラモジュール
CN201322820Y (zh) * 2008-12-12 2009-10-07 三星高新电机(天津)有限公司 设有滚珠轴承的音圈马达手机摄像头
JP5369725B2 (ja) * 2009-01-30 2013-12-18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JP2011039481A (ja) * 2009-03-26 2011-02-24 Sanyo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US8254045B1 (en) * 2009-06-05 2012-08-28 Benner Jr William R High-speed Z-axis focus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JP2011059274A (ja) * 2009-09-08 2011-03-24 Micro Uintekku Kk レンズ駆動装置

Cited B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4504B2 (en) 2010-11-02 2019-04-09 Lg Innotek Co., Ltd. Voice coil mo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448383B2 (en) 2010-11-02 2016-09-20 Lg Innotek Co., Ltd. Voice coil mo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429734B2 (en) 2010-11-02 2016-08-30 Lg Innotek Co., Ltd. Voice coil mo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30055288A (ko) * 2011-11-18 2013-05-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30060535A (ko) * 2011-11-30 2013-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30077215A (ko) * 2011-12-29 2013-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30077218A (ko) * 2011-12-29 2013-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US9380212B2 (en) 2012-06-29 2016-06-28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WO2014003281A1 (en) * 2012-06-29 2014-01-03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101440807B1 (ko) * 2013-08-20 2014-09-17 (주)옵티스 렌즈 구동장치
US9151965B2 (en) 2013-08-23 2015-10-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9372352B2 (en) 2013-08-23 2016-06-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9531953B2 (en) 2013-10-11 2016-12-2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74523B2 (en) 2013-12-23 2024-01-16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KR20200118777A (ko) * 2013-12-23 2020-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US11294142B2 (en) 2013-12-23 2022-04-05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KR20150085305A (ko) * 2014-01-15 2015-07-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KR20210025548A (ko) * 2014-02-27 2021-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US9086613B1 (en) 2014-03-12 2015-07-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autofocus method thereof
KR101479637B1 (ko) * 2014-03-12 2015-01-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50128262A (ko) * 2014-05-09 2015-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KR20150128264A (ko) * 2014-05-09 2015-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KR20150128265A (ko) * 2014-05-09 2015-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KR20160080640A (ko) * 2014-12-30 2016-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60094780A (ko) 2015-02-02 2016-08-10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
CN111788519B (zh) * 2018-02-28 2022-05-13 Lg伊诺特有限公司 镜头致动器
US11988888B2 (en) 2018-02-28 2024-05-21 Lg Innotek Co., Ltd. Lens actuator
CN111788519A (zh) * 2018-02-28 2020-10-16 Lg伊诺特有限公司 镜头致动器
WO2019168342A1 (ko) * 2018-02-28 2019-09-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US11994741B2 (en) 2018-04-12 2024-05-28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CN111971619A (zh) * 2018-04-12 2020-11-20 Lg伊诺特有限公司 镜头驱动装置及包括镜头驱动装置的相机模块
WO2019199130A1 (ko) * 2018-04-12 2019-10-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0027588A1 (ko) * 2018-08-02 2020-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2534348A (zh) * 2018-08-02 2021-03-19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和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
KR20190057028A (ko) * 2019-05-14 2019-05-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10028623A (ko) * 2019-05-14 2021-03-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90086649A (ko) * 2019-07-12 2019-07-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90128144A (ko) * 2019-11-08 2019-11-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118779A (ko) * 2019-11-08 2020-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010547A (ko) * 2020-01-20 2020-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039655A (ko) * 2020-04-09 2020-04-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00136352A (ko) * 2020-04-09 202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10114362A (ko) * 2020-09-28 2021-09-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KR20210087418A (ko) * 2020-10-05 2021-07-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20140455A (ko) * 2020-10-05 2022-10-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10097090A (ko) * 2020-11-27 2021-08-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20076448A (ko) * 2020-11-27 2022-06-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20000870A (ko) * 2021-02-22 2022-0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KR20210135178A (ko) * 2021-03-03 2021-1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220035898A (ko) * 2021-04-06 2022-03-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30070836A (ko) * 2021-11-15 2023-05-23 삼성전기주식회사 센서 시프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72934A (ko) * 2021-11-18 2023-05-25 삼성전기주식회사 센서 시프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80937A (ja) 2015-10-15
US20160088201A9 (en) 2016-03-24
KR101095108B1 (ko) 2011-12-16
JP2013061666A (ja) 2013-04-04
US20110236008A1 (en) 2011-09-29
US20140028904A1 (en) 2014-01-30
JP2015007804A (ja) 2015-01-15
JP2011197626A (ja)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108B1 (ko) 카메라 모듈
JP5627991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8995068B2 (en) Image photographing device
KR100935312B1 (ko) 초소형 카메라 모듈용 손떨림 보정장치
JP5453220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モジュールの手ブレ防止傾斜補正構造
KR101751132B1 (ko) 카메라 모듈
JPWO2016067731A1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332043B1 (ko) 카메라 모듈
US20080292296A1 (en) Vibration compensation for image capturing device
JP7108676B2 (ja) 撮像装置用防振機構、光学系、カメラ及び電子機器
JP7137610B2 (ja) 撮像装置用防振機構、光学系、カメラ及び電子機器
KR20130077573A (ko) 카메라 모듈
JP2022097994A (ja) 撮像装置用防振機構、光学系、カメラ及び電子機器
JP2022097995A (ja) 撮像装置用防振機構、光学系、カメラ及び電子機器
CN114994857A (zh) 摄像装置、相机及电子设备
KR20220045276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동장치
CN115185057A (zh) 驱动机构、摄像装置及便携式电子设备
KR100942666B1 (ko) 카메라 모듈
JP4765472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端末
JP2007047684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端末
KR102103561B1 (ko) 카메라 모듈
KR20140089780A (ko) 카메라 모듈
KR102347938B1 (ko) 렌즈베럴 파킹 기능을 가진 카메라 장치
KR102315448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싱 방법
KR101610324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316

Effective date: 201305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30723

Effective date: 201401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628

Effective date: 201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