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043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043B1
KR101332043B1 KR1020120057542A KR20120057542A KR101332043B1 KR 101332043 B1 KR101332043 B1 KR 101332043B1 KR 1020120057542 A KR1020120057542 A KR 1020120057542A KR 20120057542 A KR20120057542 A KR 20120057542A KR 101332043 B1 KR101332043 B1 KR 101332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odule
magnet
optical axis
axis direction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재호
오원섭
허훈
이중석
이재혁
박용준
황정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7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043B1/ko
Priority to US13/801,031 priority patent/US9188762B2/en
Priority to DE102013102496A priority patent/DE102013102496A1/de
Priority to CN201310131586.0A priority patent/CN10345474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043B1/ko
Priority to US14/861,360 priority patent/US965851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작동하는 마그넷에 대한 이동을 제어하는 스프링이 없이도 마그넷과 요크 사이의 자력만으로 마그넷의 이동을 제어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 및 상기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은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및 상기 렌즈 모듈의 일측에 고정되는 마그넷(Magnet);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마그넷과 대면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의 일측에 고정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전기장을 발생하는 코일(Coil); 및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코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마그넷과 대면하여 상기 마그넷과의 인력에 의해 상기 렌즈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요크(Yoke);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상하로 작동하는 마그넷에 대한 이동을 제어하는 스프링이 없이도 마그넷과 요크 사이의 인력만으로 마그넷의 이동을 제어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 제작 기술의 발달로 인해 소형화 및 경량화된 카메라 모듈을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카메라는 초점 조절 및 줌 기능을 위하여 다수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는데, 다수의 렌즈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조절하여 초점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부는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미지 센서에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외부의 충격에도 견고하게 동작할 수 있어야 하는데, 최근 단말기의 다기능화 및 소형화로 인해 카메라 모듈의 크기는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은 외부 충격에 약해지게 된다.
종래에는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의 상하부에 스토퍼(Stopper)를 설치하고 상기 스토퍼에 완충 부채를 추가하는 방식이 있었으나, 추가적인 부품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와 카메라의 소형화가 어렵다는 문제가 남아 있었다. 또한, 예압에 의한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였으나, 렌즈의 구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항상 예압을 가하고 있어야 하므로 전력소모가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531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의 상하부에 스토퍼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마그넷과 요크 사이의 인력만으로 구동부의 속도를 줄임으로써 충격을 완화하여 추가적인 부품 사용을 배제하고 카메라의 소형화를 하며, 예압에 의한 탄성 부재를 배제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 및 상기 렌즈 모듈을 지지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은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및 상기 렌즈 모듈의 일측에 고정되는 마그넷(Magnet);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마그넷과 대면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의 일측에 고정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전기장을 발생하는 코일(Coil); 및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코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마그넷과 대면하여 상기 마그넷과의 인력에 의해 상기 렌즈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요크(Yoke);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모듈이 광축 방향의 최고점에 위치할 경우, 상기 요크의 최상단부는 상기 마그넷의 최상단부와 최하단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이 광축 방향의 상부로 구동하는 힘은 상기 마그넷과 상기 요크 사이의 인력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이 광축 방향의 최저점에 위치할 경우, 상기 요크의 최하단부는 상기 마그넷의 최상단부와 최하단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이 광축 방향의 하부로 구동하는 힘은 상기 마그넷과 상기 요크 사이의 인력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 외부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고정되어 광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V'자 또는 'U'자 형상을 갖는 지지 부재; 및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렌즈 모듈이 광축 방향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의 'V'자 또는 'U'자 형상을 수용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의 권선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마그넷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요크는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의 측면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 모듈이 구동할 수 있는 광축 방향에 대한 하단 임계점보다 낮은 지점에서 상기 렌즈 모듈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의 측면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 모듈이 구동할 수 있는 광축 방향에 대한 상단 임계점보다 높은 지점에서 상기 렌즈 모듈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 특히, 렌즈 모듈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스토퍼를 카메라 모듈의 상하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이 마그넷과 요크 사이의 인력만으로 렌즈 모듈의 이동 속도를 줄여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추가적인 부품의 사용을 배제하여 생산 단가를 낮추고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그넷과 요크 사이의 인력만으로 렌즈 모듈의 속도를 줄임으로써 충격을 완화하므로, 예압에 의한 탄성 부재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예압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상하 이동에 따른 마그넷과 요크 사이의 인력.
도 4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넷과 요크 사이의 인력 비교.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120); 및 상기 렌즈 모듈(120)을 지지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하는 메인 프레임(150);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120)은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122); 및 상기 렌즈 모듈(120)의 일측에 고정되는 마그넷(121, Magnet);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150)은 상기 마그넷(121)과 대면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150) 내부의 일측에 고정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전기장을 발생하는 코일(161, Coil); 및 상기 메인 프레임(150) 및 상기 코일(161)을 사이에 두고, 상기 마그넷(121)과 대면하여 상기 마그넷(121)과의 인력에 의해 상기 렌즈 모듈(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요크(160, Yoke);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그넷(121) 및 상기 요크(16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50)은 요크(16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코일(161)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 발생되는 전기장과 상기 마그넷(121)의 자기장을 상기 코일(161)과 상기 마그넷(121) 사이에 집중시키게 된다. 상기 코일(16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면 상기 마그넷(121)과 상기 요크(160) 사이에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코일(16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렌즈 모듈(120)이 광축 방향의 상부 또는 하부로 구동할 경우에 상기 렌즈 모듈(120)이 구동할 수 있는 광축 방향에 대한 상단 임계점 또는 하단 임계점에서 상기 마그넷(121)과 상기 요크(160) 사이에는 상기 렌즈 모듈(120)의 구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인력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렌즈 모듈(1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단 임계점 또는 하단 임계점이라 함은 상기 렌즈 모듈(120)이 광축 방향으로 정상적인 구동을 함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120)과 다른 부품들과의 충돌로 인해 최초의 충격을 받을 수 있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하기로 한다.
광축 방향에 대하여 보았을 때, 상기 메인 프레임(150)의 상부는 상기 렌즈 모듈(120)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 모듈(120)을 상부에서 본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개구부(11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인 프레임(150)의 하부는 상기 렌즈 모듈(120)에서 제어부(미도시)로 피사체의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개구부(111)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프레임(150)은 상기 렌즈 모듈(120)을 하우징(Housing)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 모듈(120) 외부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고정되어 광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V'자 또는 'U'자 형상을 갖는 지지 부재(125); 및 상기 메인 프레임(150)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렌즈 모듈(120)이 광축 방향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125)의 'V'자 또는 'U'자 형상을 수용하는 가이드 부재(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120)은 렌즈 조립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조립체(122)는 복수개의 포커싱 조절 렌즈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복수개의 렌즈들의 직경 및 곡률 등은 제품 성능을 위해 필요한 범위에서 각각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개의 렌즈들은 상기 렌즈 모듈(120)의 내부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코일(161)의 권선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마그넷(121)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 감지 센서(162)는 광축 방향에 대한 상기 마그넷(12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감지 센서(162)는 상기 마그넷(121)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렌즈 모듈(120)의 위치 변화를 감지 및 검출하여 초점 조절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161)은 상기 마그넷(121)과 상호 작용을 하여 전자기력에 의한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넷(121)에 대향하여 권선될 수 있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커버 글래스(171) 및 이미지 센서(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촬영 버튼을 누르면 상기 이미지 센서(172)가 작동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는 상기 렌즈 조립체(122)를 통과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172)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화될 수 있고,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카메라 모듈 내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만약, 피사체의 이미지가 흐리다면 상기 전기적 신호가 약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렌즈 조립체(122)의 포커싱에 에러(Error)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렌즈 모듈(12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류가 상기 코일(161)에 인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161)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전기장과 상기 마그넷(121)의 자기장은 상호 작용하여 상기 렌즈 모듈(120)을 광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렌즈 조립체(122)의 포커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 모듈(120)의 상단부를 덮는 커버(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10)는 광축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개구부(11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구부(111)는 상기 렌즈 모듈(120)에 대하여 촬영 경로를 제공하므로 상기 개구부(111)를 통하여 상기 렌즈 모듈(120)은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커버(110)는 결속편(11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인 프레임(150)은 상기 결속편(112)과 결합하기 위한 결속홈(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편(112)은 상기 커버(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대향하여 배치되고, 그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결속 후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결속 후크는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커버(110)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50)은 그 외측면에 결속홈(15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결속홈(152)에는 후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0)가 상기 메인 프레임(150)에 결합되면 상기 결속편(112)은 상기 결속홈(152)에 수용되고, 이 경우 상기 결속 후크는 상기 후크홈에 결합되어 결속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상하 이동에 따른 마그넷(121)과 요크(160) 사이의 인력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넷(121)과 요크(160) 사이의 인력 각각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물체의 충격량(I)는 I = F*t = m*v (m은 물체의 질량이고, v는 물체의 속도)로 표현될 수 있다. 즉, 물체의 충격에 의한 소음 및 파손 등은 충격량에 비례하고, 물체의 충격량에 대한 상기의 공식에 의하면 물체의 질량이 감소하거나 속도가 감소하면 물체의 충격량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렌즈 모듈(120)의 구동 속도를 줄임으로써 상기 렌즈 모듈(120)에 대한 충격량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종래의 완충 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이 상기 마그넷(121)과 상기 요크(160) 사이의 인력만으로 상기 렌즈 모듈(120)의 속도를 줄임으로써 상기 렌즈 모듈(120)에 대한 충격량을 줄이도록 하고자 함이다.
상기 렌즈 모듈(120)이 광축 방향의 최고점에 위치한다고 함은 앞서 설명한 상단 임계점과 같은 의미일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모듈(120)의 광축 방향의 최고점 또는 상단 임계점이라 함은 상기 렌즈 모듈(120)이 광축 방향으로 상향 구동을 함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120)과 다른 부품들과의 충돌로 인해 최초의 충격을 받을 수 있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렌즈 모듈(120)이 광축 방향의 최저점에 위치한다고 함은 앞서 설명한 하단 임계점과 같은 의미일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모듈(120)의 광축 방향의 최저점 또는 하단 임계점이라 함은 상기 렌즈 모듈(120)이 광축 방향으로 하향 구동을 함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120)과 다른 부품들과의 충돌로 인해 최초의 충격을 받을 수 있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 모듈(120)이 광축 방향의 최고점에 위치할 경우, 상기 요크(160)의 최상단부는 상기 마그넷(121)의 최상단부와 최하단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요크(160)의 최상단부가 상기 마그넷(121)의 최상단부와 최하단부의 사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요크(160)와 상기 마그넷(121) 사이의 인력은 광축 방향에 대하여 하부 방향(Fy) 및 수직 방향(Fx)으로 각각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방향의 인력과 상기 수직 방향의 인력에 대한 벡터합으로 도 3의 (a)에서와 같은 합력(F)이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렌즈 모듈(120)이 광축 방향의 상부로 구동하는 힘은 상기 마그넷(121)과 상기 요크(160) 사이의 인력(F)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 모듈(120)은 상단 임계점과 하단 임계점 사이를 자유로이 구동할 수 있는데, 상기 렌즈 모듈(120)에 대해 상단 임계점을 이탈시킬 정도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마그넷(121)과 상기 요크(160)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렌즈 모듈(120)은 상단 임계점을 이탈하지 않게 되어 외부 충격에도 손상을 입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3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 모듈(120)이 광축 방향의 최저점에 위치할 경우, 상기 요크(160)의 최하단부는 상기 마그넷(121)의 최상단부와 최하단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요크(160)의 최하단부가 상기 마그넷(121)의 최상단부와 최하단부의 사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요크(160)와 상기 마그넷(121) 사이의 인력은 광축 방향에 대하여 상부 방향(Fy) 및 수직 방향(Fx)으로 각각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방향의 인력과 상기 수직 방향의 인력에 대한 벡터합으로 도 3의 (b)에서와 같은 합력(F)이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렌즈 모듈(120)이 광축 방향의 하부로 구동하는 힘은 상기 마그넷(121)과 상기 요크(160) 사이의 인력(F)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 모듈(120)은 상단 임계점과 하단 임계점 사이를 자유로이 구동할 수 있는데, 상기 렌즈 모듈(120)에 대해 하단 임계점을 이탈시킬 정도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마그넷(121)과 상기 요크(160)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렌즈 모듈(120)은 하단 임계점을 이탈하지 않게 되어 외부 충격에도 손상을 입지 않을 수 있다.
도 4의 (a)는 종래의 카메라 모듈의 복원력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복원력에 대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복원력이라 함은 상기 렌즈 모듈(120)이 외부 충격에 의한 구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힘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원력은 앞서 설명한 상기 마그넷(121)과 상기 요크(160) 사이의 인력(F)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의 (b)에 나타난 점선 표시 부분을 보면 상기 렌즈 모듈(120)의 위치가 최고점으로 향할수록 복원력이 급격하게 커짐을 알 수 있다. 즉,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상기 렌즈 모듈(120)이 앞서 설명한 상단 임계점과 가까워질수록 상기 마그넷(121)과 상기 요크(160) 사이의 인력은 증가하게 되고, 결국 상단 임계점에서는 상기 인력과 외부 충격에 의한 힘의 크기에 대한 절대값은 서로 같아지게 되어 상기 렌즈 모듈(120)의 외부 충격에 의한 구동은 정지될 수 있다. 이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상기 렌즈 모듈(120)이 앞서 설명한 하단 임계점과 가까워지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메인 프레임(250) 내부의 측면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 모듈(220)이 구동할 수 있는 광축 방향에 대한 하단 임계점보다 낮은 지점에서 상기 렌즈 모듈(2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280)은 상기 렌즈 모듈(220)이 외부 충격에 의해 광축 방향에 대한 하부 방향으로 구동할 경우 상기 렌즈 모듈(220)이 하단 임계점을 이탈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판 스프링(280)은 앞서 설명한 상기 마그넷(221)과 상기 요크(260) 사이의 인력에 의한 인력과 더불어 상기 렌즈 모듈(220)의 하단 임계점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메인 프레임(350) 내부의 측면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 모듈(320)이 구동할 수 있는 광축 방향에 대한 상단 임계점보다 높은 지점에서 상기 렌즈 모듈(3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카메라 모듈 110 : 커버
111 : 개구부 112 : 결속편
120, 220, 320 : 렌즈 모듈
121, 221, 321 : 마그넷
122 : 렌즈 조립체 125 : 지지 부재
150, 250, 350 : 메인 프레임
152 : 결속홈 155 : 가이드 부재
160, 260, 360 : 요크
161, 261, 361 : 코일
162, 262, 362 : 위치 감지 센서
171 : 커버 글래스 172 : 이미지 센서
280, 380 : 판 스프링

Claims (10)

  1. 렌즈 모듈; 및
    상기 렌즈 모듈을 지지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은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및
    상기 렌즈 모듈의 일측에 고정되는 마그넷(Magnet);
    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마그넷과 대면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의 일측에 고정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전기장을 발생하는 코일(Coil); 및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코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마그넷과 대면하여 상기 마그넷과의 인력에 의해 상기 렌즈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요크(Yoke);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모듈이 광축 방향의 상부로 구동하는 힘은 상기 마그넷과 상기 요크 사이의 인력과 동일하고, 상기 렌즈 모듈이 광축 방향의 하부로 구동하는 힘은 상기 마그넷과 상기 요크 사이의 인력과 동일한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이 광축 방향의 최고점에 위치할 경우, 상기 요크의 최상단부는 상기 마그넷의 최상단부와 최하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이 광축 방향의 최저점에 위치할 경우, 상기 요크의 최하단부는 상기 마그넷의 최상단부와 최하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 외부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고정되어 광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V'자 또는 'U'자 형상을 갖는 지지 부재; 및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렌즈 모듈이 광축 방향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의 'V'자 또는 'U'자 형상을 수용하는 가이드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권선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마그넷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요크는 복수개인 카메라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의 측면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 모듈이 구동할 수 있는 광축 방향에 대한 하단 임계점보다 낮은 지점에서 상기 렌즈 모듈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의 측면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 모듈이 구동할 수 있는 광축 방향에 대한 상단 임계점보다 높은 지점에서 상기 렌즈 모듈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20057542A 2012-05-30 2012-05-30 카메라 모듈 KR101332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542A KR101332043B1 (ko) 2012-05-30 2012-05-30 카메라 모듈
US13/801,031 US9188762B2 (en) 2012-05-30 2013-03-13 Camera module
DE102013102496A DE102013102496A1 (de) 2012-05-30 2013-03-13 Kameramodul
CN201310131586.0A CN103454745B (zh) 2012-05-30 2013-04-16 相机模块
US14/861,360 US9658514B2 (en) 2012-05-30 2015-09-22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542A KR101332043B1 (ko) 2012-05-30 2012-05-30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043B1 true KR101332043B1 (ko) 2013-11-22

Family

ID=4957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542A KR101332043B1 (ko) 2012-05-30 2012-05-30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188762B2 (ko)
KR (1) KR101332043B1 (ko)
CN (1) CN103454745B (ko)
DE (1) DE10201310249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4477B2 (en) 2015-11-23 2017-10-3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241348B2 (en) 2015-12-07 2019-03-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830983B2 (en) 2016-09-08 2020-11-10 Samus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ctuator
KR20210107469A (ko) * 2020-02-24 2021-09-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163211B2 (en) 2016-10-04 2021-11-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ctu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1368B2 (ja) 2014-01-02 2018-12-19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US10962736B2 (en) 2017-07-06 2021-03-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20200044488A (ko) 2018-10-19 2020-04-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1641771B (zh) * 2020-06-30 2021-07-30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一种相机模块、具有拍摄功能的电子设备
CN111913265A (zh) * 2020-07-09 2020-11-10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一种变焦镜头组
KR102494325B1 (ko) 2020-09-16 2023-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6936A (ko) * 2010-01-25 2011-08-02 자화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정 장치
KR20110008478U (ko) * 2010-02-25 2011-08-31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카메라 모듈용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액츄에이터
KR20110008714U (ko) * 2010-03-05 2011-09-15 자화전자(주) 렌즈 초점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2233B2 (en) * 2003-12-19 2010-04-20 Hysonic Co., Ltd.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JP2008040188A (ja) 2006-08-08 2008-02-21 Seiko Instruments Inc 支持装置、支持駆動装置、レンズ駆動モジュール、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US7518812B2 (en) * 2007-02-05 2009-04-14 Nidec Sankyo Corporation Lens drive device
JP4642053B2 (ja) 2007-09-14 2011-03-02 三洋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KR100947966B1 (ko) 2008-07-07 2010-03-15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KR100949091B1 (ko) 2008-07-10 2010-03-22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마그네트 이동 타입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KR100920609B1 (ko) 2008-11-27 2009-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이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1105470A1 (ja) 2010-02-26 2011-09-01 三洋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20120057542A (ko) 2010-11-26 2012-06-05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에스. 오클루전 계층 확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6936A (ko) * 2010-01-25 2011-08-02 자화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정 장치
KR20110008478U (ko) * 2010-02-25 2011-08-31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카메라 모듈용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액츄에이터
KR20110008714U (ko) * 2010-03-05 2011-09-15 자화전자(주) 렌즈 초점 조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4477B2 (en) 2015-11-23 2017-10-3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241348B2 (en) 2015-12-07 2019-03-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ctuat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830983B2 (en) 2016-09-08 2020-11-10 Samus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ctuator
US11163211B2 (en) 2016-10-04 2021-11-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ctuator
KR20210107469A (ko) * 2020-02-24 2021-09-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306710B1 (ko) 2020-02-24 2021-09-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102496A1 (de) 2013-12-05
US9658514B2 (en) 2017-05-23
CN103454745B (zh) 2017-04-12
CN103454745A (zh) 2013-12-18
US20130321937A1 (en) 2013-12-05
US20160054641A1 (en) 2016-02-25
US9188762B2 (en) 201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043B1 (ko) 카메라 모듈
KR102542646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232029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CN105807538B (zh) 透镜驱动装置、摄影机模块及光学设备
KR101552969B1 (ko)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KR101825731B1 (ko)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KR102466568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940480B1 (ko) 카메라 모듈
KR20230031873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JP201119762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CN112034586A (zh) 透镜移动装置
KR102371759B1 (ko) 렌즈구동모터
JPWO2015174137A1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端末装置
KR102559023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333224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376814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417672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345956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438669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510574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077849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싱 방법
KR102103561B1 (ko) 카메라 모듈
KR102457819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167437B1 (ko) 카메라 모듈
KR102275740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