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437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437B1
KR101167437B1 KR1020100100487A KR20100100487A KR101167437B1 KR 101167437 B1 KR101167437 B1 KR 101167437B1 KR 1020100100487 A KR1020100100487 A KR 1020100100487A KR 20100100487 A KR20100100487 A KR 20100100487A KR 101167437 B1 KR101167437 B1 KR 101167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housing
lens
camera modu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8820A (ko
Inventor
유타카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0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437B1/ko
Publication of KR20120038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외부 충격에 의해 렌즈 홀더와 하우징의 마찰에 의해 카메라 모듈 내부에 이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외부 이물질이 카메라 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의 탑재는 필수사항인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가 심미적인 디자인 형상에 의해 점점 소형화 및 집적화되어 감에 따라 이에 카메라 모듈 또한 점점 소형화 및 집적화되어 가는 흐름으로 진행되고 있다.
주로 휴대전화에 탑재되는 소형 카메라용 AF 액추에이터 모듈은 휴대전화를 높은 곳에서 낙하시켜도 파손 및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도록 내 충격성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최근 고화소화의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높은 곳에서 낙하하였을 경우에 그 충격에 의해 수십 미크론 단위의 미세한 외부 이물이 카메라 렌즈의 화상센서에 묻어 화상불량을 일으키는 현상이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낙하충격으로 인해 AF 액추에이터 모듈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 모듈의 렌즈 홀더와 하우징의 마찰로 인해 카메라 모듈 내부에 이물질이 발생하는 문제점 또한 있다.
본 발명은 낙하 충격에 의해서 카메라 모듈 내부에서 발생하고 있는 하우징과 렌즈 홀더 간의 마찰에 의한 이물질 발생 및 외부 이물질이 화상센서로의 유입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을 구동시키는 AF 액추에이터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상기 렌즈 홀더에 끼움 결합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렌즈 홀더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되는 렌즈이동규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을 구동시키는 AF 액추에이터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상기 렌즈 홀더에 끼움 결합하기 위한 하우징 돌기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렌즈 홀더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는 렌즈이동규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하부에는 복수 개의 하우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하우징 돌기와 끼움 결합하는 렌즈 홀더 홈 및 상기 하우징의 지지부와 맞닿는 렌즈 홀더 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돌기의 길이는 상기 렌즈이동규제부와 상기 렌즈 홀더의 간극 보다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렌즈 홀더에 렌즈 홀더 홈을 구비하고 하우징에 상기 렌즈 홀더 홈과 끼움 결합을 할 수 있는 하우징 돌기를 제공하여 상기 렌즈 홀더와 상기 하우징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낙하충격에 의해 상기 렌즈 홀더와 상기 하우징 간의 움직임에 의한 마찰을 방지하고 또한 마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내부 이물질이 상기 카메라 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돌기의 길이를 렌즈이동규제부와 상기 렌즈 홀더와의 간극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만약 상기 렌즈 홀더가 상기 렌즈이동규제부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상기 하우징 돌기가 차단막의 역할을 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센서측 개구부를 통하여 화상센서로 유입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상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홀더의 이동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모듈(110), 렌즈 홀더(120), AF 액추에이터 모듈(150), 하우징(130), 렌즈이동규제부(140) 및 화상센서(18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홀더(120)는 상기 렌즈 모듈(110)을 수용하도록 상기 렌즈 모듈(110)의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상하 직선 이동하기 위한 AF 액추에이터 모듈(150)은 코일(151), 마그넷(152), 스프링(153, 154)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151)은 상기 렌즈 홀더(120)의 외부둘레에 감기고 상기 마그넷(152)은 상기 렌즈 홀더(120)과 상기 하우징(130)의 사이에 결합 되며 상기 스프링(153, 154)은 상기 렌즈 홀더(12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 홀더(120)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코일(151)이 외부전원에 접속되어 상기 코일(151)에 전류를 흘리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력과 상기 마그넷(152)의 자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 모듈(120)은 광축방향으로 구동되는데 상기 스프링(153, 154)의 반작용과 전류량의 밸런스에 의해 상기 렌즈 모듈(120)은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30)은 상기 렌즈 홀더(120)를 지지하는 지지부(131)와 상기 렌즈 홀더(120)에 끼움 결합하기 위한 하우징 돌기(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 홀더(120)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에 상기 렌즈이동규제부(140)가 결합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홀더(120)의 하부에 상기 렌즈 홀더 홈(121)과 렌즈 홀더 리브(1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30)은 상기 렌즈 홀더(120)와 끼움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130)의 상부에 센서측 개구부(133)의 외부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하우징 돌기(1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30)에 형성된 상기 하우징 돌기(132)는 상기 렌즈 홀더 홈(121)에 끼움 결합을 하고 상기 렌즈 홀더 리브(122)는 상기 하우징(130)의 지지부(131)와 맞닿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 홀더(120)와 상기 하우징(130)은 끼움 결합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 모듈(100)에 작용하는 외부의 충격 또는 상기 렌즈 모듈(110)의 상하 직선 구동에 의해 상기 렌즈 홀더(120)가 수평 및 수직방향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홀더(120)와 상기 하우징(130)이 끼움 결합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100)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낙하충격에 의한 상기 렌즈 홀더(120)와 상기 하우징(130)의 마찰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렌즈 홀더(120)와 상기 하우징(130)의 마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내부 이물질이 상기 카메라 모듈(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내부 이물질에 의한 화상불량의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돌기(132)의 길이(h1)는 상기 렌즈이동규제부(140)와 상기 렌즈 홀더(120)의 간극(h2)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 홀더(120)의 이동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돌기(132)의 길이(h1)가 상기 간극(h2)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 만약 상기 렌즈 홀더(120)가 외부 충격 및 상기 렌즈 모듈(110)의 상하 직선 구동에 의해 상기 렌즈이동규제부(140)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상기 하우징 돌기(132)는 상기 렌즈 홀더 홈(120)에서 빠지지 않고 일정한 길이만큼 끼워진 채로 차단막 역할을 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센서측 개구부(133)를 통과하여 상기 화상센서(18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화상불량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100: 카메라 모듈 110: 렌즈 모듈
120: 렌즈 홀더 121: 렌즈 홀더 홈
122: 렌즈 홀더 리브 130: 하우징
131: 지지부 132: 하우징 돌기
133: 센서측 개구부 140: 렌즈이동규제부
150: AF 액추에이터 모듈 151: 코일
152: 마그넷 153, 154: 스프링
180: 화상센서 h2: 간극

Claims (4)

  1.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을 구동시키는 AF 액추에이터;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상기 렌즈 홀더에 끼움 결합하기 위한 하우징 돌기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렌즈 홀더가 상기 하우징 돌기와의 끼움 결합에서 벗어나는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되는 렌즈이동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돌기는
    상기 렌즈 홀더와 끼움 결합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하우징 돌기와 끼움 결합하는 렌즈 홀더 홈;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지지부와 맞닿는 렌즈 홀더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돌기의 길이는 상기 렌즈이동규제부와 상기 렌즈 홀더의 간극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00100487A 2010-10-14 2010-10-14 카메라 모듈 KR101167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487A KR101167437B1 (ko) 2010-10-14 2010-10-14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487A KR101167437B1 (ko) 2010-10-14 2010-10-14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820A KR20120038820A (ko) 2012-04-24
KR101167437B1 true KR101167437B1 (ko) 2012-07-19

Family

ID=4613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487A KR101167437B1 (ko) 2010-10-14 2010-10-14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4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8580A (ja) 2004-09-29 2006-04-13 Kyocera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用いた携帯端末
JP2006098587A (ja) 2004-09-29 2006-04-13 Nanomotion Ltd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用いた携帯端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8580A (ja) 2004-09-29 2006-04-13 Kyocera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用いた携帯端末
JP2006098587A (ja) 2004-09-29 2006-04-13 Nanomotion Ltd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用いた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820A (ko) 201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3236B2 (en)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camera-equipped mobile terminal
JP6138969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190049691A1 (en) Lens drive device,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with camera
US9733473B2 (en) Camera module comprising lens, image pickup element
KR102232029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TWI654460B (zh) 鏡頭驅動裝置、相機模組以及相機搭載裝置
KR101332043B1 (ko) 카메라 모듈
KR100954696B1 (ko) 소형 카메라 장치
KR102128502B1 (ko) 카메라 모듈
KR102636722B1 (ko) 렌즈구동모터
KR20130076287A (ko) 카메라 모듈
KR20140107903A (ko) 카메라 모듈
KR101230063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344454B1 (ko) 렌즈 구동장치
KR101167437B1 (ko) 카메라 모듈
KR101026195B1 (ko) 소형 카메라 모듈
KR102566042B1 (ko) 렌즈구동모터
KR20120110436A (ko) 카메라 모듈
CN213186233U (zh) 光学元件驱动机构
KR102323623B1 (ko) 카메라 모듈
KR102224317B1 (ko) 카메라 모듈
KR101332099B1 (ko)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
KR101848499B1 (ko) 카메라 모듈
KR101057907B1 (ko) Emi―인증 소형 렌즈 포커싱 메커니즘
KR20140061334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