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821A - 전동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821A
KR20110084821A KR1020100108655A KR20100108655A KR20110084821A KR 20110084821 A KR20110084821 A KR 20110084821A KR 1020100108655 A KR1020100108655 A KR 1020100108655A KR 20100108655 A KR20100108655 A KR 20100108655A KR 20110084821 A KR20110084821 A KR 20110084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bus bar
substrate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8753B1 (ko
Inventor
유스케 기노시타
신고 에나미
겐 스이토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10084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3Electric connectors or cable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8Electronic circuits (e.g. inverters) installed inside th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커넥터 접속부가 전동 모터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기판을 소형화시킬 수 있고, 또한 시일 부재의 시일 범위를 작게 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인버터 하우징 (14) 의 일단에는, 커넥터 접속부 (42) 내와, 수용 공간 (17) 내의 일부를 연통시키는 삽입구 (43)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버스 바 (52) 는, 그 일단부 (52a) 및 타단부 (52b) 가 전동 모터 (19) 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커넥터 (51) 가 삽입구 (43) 에 삽입되고, 버스 바 (52) 의 일단부 (52a) 가 커넥터 접속부 (42) 내에 삽입됨과 함께, 타단부 (52b) 가 수용 공간 (l7) 내에 삽입되어 기판 (31) 에 접속되고, 삽입구 (43) 가 그로밋 (48) 을 통하여 인버터 하우징 (14) 에 고정된 덮개 부재 (54) 에 의하여 폐쇄된다.

Description

전동 압축기{ELECTRIC COMPRESSOR}
본 발명은,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압축부, 전동 모터 및 모터 구동 회로가 나열되어 형성된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되는 압축부,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 및 전동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회로가,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도록 하우징 내에 수용된 전동 압축기가 알려져 있다. 모터 구동 회로는, 평판 형상의 기판에 스위칭 소자 등의 전기 부품이 실장된 인버터를 구비하고 있다. 또, 하우징에 있어서, 인버터를 수용한 부위에는,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통 형상의 커넥터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 접속부 내에는 내부 커넥터가 형성됨과 함께, 이 내부 커넥터는,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버스 바와, 이 버스 바를 유지하는 절연 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커넥터 접속부가 회전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이하, 「하우징의 직경 방향」이라고 함) 으로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면, 전동 압축기 전체의 체격이 하우징의 직경 방향으로 대형화되어 버린다. 또한 커넥터 접속부가 인버터를 수용한 위치로부터 하우징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후,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전동 모터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전동 압축기 전체의 체격이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대형화되어 버린다. 그래서,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전동 압축기와 같이, 커넥터 접속부를 인버터를 수용한 위치로부터 하우징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한 후,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서 전동 모터측으로 연장하도록 함으로써, 전동 압축기 전체의 체격이 가능한 한 대형화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74517호
그런데, 특허문헌 1 의 전동 압축기와 같이, 커넥터 접속부가 인버터를 수용한 위치로부터 하우징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후,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서 전동 모터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 내부 커넥터는, 커넥터 접속부 내에 있어서,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고, 버스 바도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 버스 바를 기판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기판의 일부가 하우징의 외면보다 초과하는 커넥터 접속부 내에 위치하도록, 기판을 커넥터 접속부 내까지 연장시켜야만 되어 기판이 대형화되어 버린다.
기판이 하우징의 외면보다 초과하여 커넥터 접속부 내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그 기판과 버스 바를 접속하기 위하여 하우징에 형성되는 삽입구가 커져 버리고, 또, 이 삽입구를 덮기 위한 덮개 부재도 대형화되어 버린다. 그 결과, 덮개 부재와 하우징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의 시일 범위가 커져 버린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커넥터 접속부가 전동 모터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기판을 소형화할 수 있고, 또한 시일 부재의 시일 범위를 작게 할 수 있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은, 하우징 내에 압축부, 전동 모터 및 모터 구동 회로가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모터 구동 회로의 기판이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축방향 일단측에 구획된 수용 공간에 배치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일단측에는, 상기 전동 모터를 향하여 연장되는 커넥터 접속부가 형성됨과 함께, 그 커넥터 접속부 내에 버스 바를 갖는 내부 커넥터가 형성되는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커넥터 접속부 내와, 상기 수용 공간 내의 일부를 연통시키는 삽입구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버스 바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상기 전동 모터측을 향하도록 상기 버스 바가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커넥터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고, 상기 버스 바의 일단부가 상기 커넥터 접속부 내에 삽입됨과 함께, 타단부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기판에 접속되고, 추가로 상기 삽입구가 시일 부재를 통하여 하우징에 고정된 덮개부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일단에는, 커넥터 접속부 내와, 수용 공간 내의 일부를 연통시키는 삽입구가 형성됨과 함께, 버스 바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전동 모터측을 향하도록 버스 바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 커넥터가 삽입구에 삽입되면, 버스 바의 일단부가 커넥터 접속부 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되어 타단부와 기판을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판을 하우징 내의 범위 내에서 수용 공간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이 하우징의 외주면을 넘어서까지 연장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판을 소형화시킬 수 있다. 추가로 덮개부가 하우징에 고정되어 삽입구가 덮개부에 의하여 폐쇄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삽입구를, 수용 공간 내의 기판 전체를 외부에 면할 수 있는 크기로 할 필요가 없고, 삽입구를, 수용 공간 내의 기판의 일부를 외부에 면하게 함과 함께 커넥터 접속부 내를 외부에 면하게 할 만큼의 크기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구 자체를 작게 형성할 수 있고, 이 삽입구를 폐쇄하는 덮개부, 나아가서는, 삽입구의 개구 가장자리와 덮개부 사이에 개재하여 장착되는 시일 부재도 작게 할 수 있고, 시일 부재의 시일 범위를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접속부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하우징에 커넥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우징 외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부를 연장 형성함과 함께, 연장부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삽입구로부터 관통공에 하우징과는 별체인 커넥터 접속부 형성 부재를 삽입하여, 그 커넥터 접속부 형성 부재에 의하여 커넥터 접속부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관통공과 커넥터 접속부 형성 부재 사이를 시일 수단으로 시일할 필요가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에 커넥터 접속부가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시일 수단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넥터는, 상기 버스 바와, 그 버스 바의 일단부를 상기 커넥터 접속부 내에 유지함과 함께 타단부를 상기 기판에 접속한 상태로 유지하는 절연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절연 부재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덮개부를 하우징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내부 커넥터를 커넥터 접속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덮개부가 하우징에 고정되면 덮개부가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덮개부에 노이즈가 흘러도, 그 노이즈를 하우징에 흘릴 수 있다. 따라서, 버스 바 및 기판에 노이즈가 흘러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 접속부가 전동 모터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기판을 소형화시킬 수 있고, 또한 시일 부재의 시일 범위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동 압축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 는 인버터 하우징에 내부 커넥터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3 은 덮개 부재 및 전동 압축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 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버터 하우징에 내부 커넥터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5 는 인버터 하우징에 내부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6 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버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은 내부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은 인버터 하우징에 내부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탑재됨과 함께 차량 공조 장치에 사용되는 전동 압축기에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 1 ~ 도 3 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압축기 (10) 의 하우징은 도전성을 갖는 알루미늄에 의하여 형성됨과 함께, 하우징의 중간 부분을 구성하는 유저 (有底) 원통형의 중간 하우징 (12) 과, 중간 하우징 (12) 의 개구단에 접합된 토출 하우징 (13) 과, 중간 하우징 (12) 의 바닥측 단면 (端面) 에 접합된 인버터 하우징 (14) 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 하우징 (12) 과 토출 하우징 (13) 은, 개스킷 (G) 을 통하여 볼트 (B1) 에 의해 일체 체결되어 있다. 또, 중간 하우징 (12) 과 인버터 하우징 (14) 은 볼트 (B2) 에 의하여 일체 체결됨과 함께, 중간 하우징 (12) 과 인버터 하우징 (14) 사이에는, 수용 공간 (17) 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중간 하우징 (12) 과 토출 하우징 (13) 사이에는, 토출실 (15) 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토출 하우징 (13) 의 단면에는 토출 포트 (16) 가 형성됨과 함께, 토출실 (15) 에는, 토출 포트 (16) 를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외부 냉매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 하우징 (12) 에 있어서의 인버터 하우징 (14) 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흡입 포트가 형성됨과 함께, 중간 하우징 (12) 내에는, 흡입 포트를 통하여 외부 냉매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 하우징 (12) 내에는 회전축 (23) 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중간 하우징 (12) 내에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부 (18) 와, 압축부 (18) 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 모터 (19) 가 수용됨과 함께, 수용 공간 (17) 내에는, 전동 모터 (19) 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구동 회로로서의 인버터 (30) 가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압축부 (18), 전동 모터 (19) 및 인버터 (30) 는, 회전축 (23) 의 축방향을 따라, 이 순서대로 나열되도록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다.
먼저, 압축부 (18) 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축부 (18) 는, 중간 하우징 (12) 내에 고정된 고정 스크롤 (20) 과 고정 스크롤 (20) 에 대향 배치된 가동 스크롤 (21) 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 (20) 과 가동 스크롤 (21) 사이에는, 용적 변경 가능한 압축실 (22) 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 (20) 에는, 압축실 (22) 과 토출실 (15) 을 연통시키는 토출 통로 (28) 가 형성됨과 함께, 고정 스크롤 (20) 의 단면에는 토출 밸브 (29) 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전동 모터 (19) 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동 모터 (19) 는, 회전축 (23) 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로터 (24) (회전자) 와, 로터 (24) 를 둘러싸듯이 중간 하우징 (12) 의 내주면에 고정된 스테이터 (25) (고정자) 로 이루어진다. 로터 (24) 는, 회전축 (23) 과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 (23) 에 고정 장착된 로터 코어 (24a) 와, 로터 코어 (24a) 의 주위면에 형성된 복수의 영구자석 (24b) 으로 이루어진다. 스테이터 (25) 는, 대략 링 형상을 이룸과 함께, 중간 하우징 (12) 의 내주면에 고정된 스테이터 코어 (25a) 의 티스 (도시 생략) 에 코일 (25b) 이 감겨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인버터 (30) 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버터 (30) 는, 수용 공간 (l7) 내에 있어서, 인버터 하우징 (14) 의 내면에 고정되는 평판 형상의 기판 (31) 과, 기판 (31) 에 실장된 복수 종류의 전기 부품 (32a ~ 32d)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판 (31) 은, 인버터 하우징 (14) 내에 있어서, 회전축 (23) 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인버터 (30) 는, 도시되지 않은 에어콘 (ECU) 으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 (19) 의 스테이터 (25) 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전동 압축기 (10) 에서는, 인버터 (30) 로부터 전동 모터 (19) 에 전력이 공급되면, 로터 (24) 가 회전함과 함께, 이 로터 (24) 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축 (23) 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 (23) 이 회전하면, 압축부 (18) 에 있어서, 가동 스크롤 (21) 과 고정 스크롤 (20) 사이의 압축실 (22) 이 용적 감소된다. 그리고, 외부 냉매 회로로부터 흡입 포트를 통하여 중간 하우징 (12) 내에 냉매가 흡입됨과 함께, 중간 하우징 (12) 내로 흡입된 냉매가 중간 하우징 (12) 내에 형성된 흡입 통로 (27) 을 통하여 압축실 (22) 내로 흡입되고, 압축실 (22) 에서 압축된다. 압축실 (22) 에서 압축된 냉매는, 토출 통로 (28) 를 통하여 토출 밸브 (29) 를 밀어내어 토출실 (15) 에 토출된다. 그리고, 토출실 (l5) 에 토출된 냉매는, 토출 포트 (16) 를 통하여 외부 냉매 회로로 유출되어, 중간 하우징 (12) 내로 환류된다.
인버터 하우징 (14) 의 외주면에는 커넥터 접속부 (4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 접속부 (42) 는, 인버터 하우징 (14) 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인버터 하우징 (14) 의 단면측으로부터 회전축 (23) 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외방으로 돌출되는 유저 (有底) 통 형상의 연장부 (42a) 를 구비함과 함께, 연장부 (42a) 로부터 회전축 (23) 의 축방향을 따라 전동 모터 (19) 를 향하여 연장되는 통 형상의 접속부 (42b)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커넥터 접속부 (42) 는, 인버터 하우징 (14) 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 하우징의 일단에는, 연장부 (42a) 로부터 인버터 하우징 (14) 의 단면 일부에 걸쳐 삽입구 (4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구 (43) 에는, 연장부 (42a) 안쪽이 연통되어 있다. 또, 삽입구 (43) 는, 인버터 하우징 (14) 의 단면에 있어서의 커넥터 접속부 (42) 쪽에 형성된 관통공 (14a) 을 통하여 수용 공간 (17) 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구 (43) 는, 커넥터 접속부 (42) 내와, 수용 공간 (17) 내의 일부를 연통시킴과 함께, 커넥터 접속부 (42) 내와, 수용 공간 (17) 내의 기판 (31) 의 일부를 외부에 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수용 공간 (17) 은, 인버터 하우징 (14) 의 단면에 의하여 그 대부분이 폐쇄되어 있고, 수용 공간 (l7) 은 관통공 (14a) 을 통한 일부만이 외부에 면하도록 되어 있다. 추가로, 삽입구 (43) 에는, 내부 커넥터 (51) 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내부 커넥터 (51) 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커넥터 (51) 는, 기판 (31)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버스 바 (52) 와, 이 버스 바 (52) 를 유지하는 절연 부재 (53) 를 구비하고 있다. 버스 바 (52) 는, 금속제의 선재를 コ 자 형상이 되도록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버스 바 (52) 는, 일단부 (52a) 와, 그 일단부 (52a) 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52c) 와, 연결부 (52c) 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단부 (52b) 로 형성되어 있다. 버스 바 (52) 는, 그 일단부 (52a) 및 타단부 (52b) 가 전동 모터 (19) 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 (52c) 는, 절연 부재 (53) 에 의하여 덮힘과 함께, 일단부 (52a) 와 타단부 (52b) 가 절연 부재 (53) 의 일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 절연 부재 (53) 의 타단면에는 외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 (53a) 가 2 개 형성되어 있다.
절연 부재 (53) 의 타단면에는 삽입구 (43) 를 폐쇄하기 위한 덮개부로서의 덮개 부재 (54) 가 일체화되어 있다. 덮개 부재 (54) 는 도전성을 갖는 알루미늄 (금속 부재) 에 의하여 평판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덮개 부재 (54) 의 일면에는, 절연 부재 (53) 의 볼록부 (53a) 와 끼워 맞출 수 있는 오목부 (54a)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 부재 (53) 의 볼록부 (53a) 와 덮개 부재 (54) 의 오목부 (54a) 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덮개 부재 (54) 는, 절연 부재 (53) 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연 부재 (53) 의 볼록부 (53a) 와 덮개 부재 (54) 의 오목부 (54a) 가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는, 덮개 부재 (54) 의 가장자리부 전체가 절연 부재 (53) 의 외면보다 외방으로 튀어나와 있다. 추가로, 절연 부재 (53) 의 주위에는, 시일 부재로서의 그로밋 (48) 이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버스 바 (52) 와 절연 부재 (53) 로 이루어지는 내부 커넥터 (51) 에, 덮개 부재 (54) 와 그로밋 (48) 이 미리 일체화되어 있다.
다음으로, 버스 바 (52) 를 기판 (31) 에 접속할 때까지의 순서를 설명한다. 또한, 인버터 하우징 (14) 은 중간 하우징 (12) 에 대하여 접합되어 있지 않고, 또, 인버터 하우징 (14) 의 내면의 일부분에 기판 (31) 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절연 부재 (53) 의 외면에 그로밋 (48) 을 장착한 상태에서, 내부 커넥터 (51) 를 삽입구 (43) 내에 삽입하고, 버스 바 (52) 의 일단부 (52a) 를 연장부 (42a) 내에 삽입함과 함께, 버스 바 (52) 의 타단부 (52b) 를 관통공 (14a) 내에 삽입한다. 이렇게 하면 버스 바 (52) 의 일단부 (52a) 측이 접속부 (42b) 내로 연장되고, 버스 바 (52) 의 일단부 (52a) 가 커넥터 접속부 (42) 내에 위치함과 함께, 버스 바 (52) 의 타단부 (52b) 가 관통공 (14a) 을 통하여 수용 공간 (17) 내로 연장되고, 버스 바 (52) 의 타단부 (52b) 가 기판 (31) 에 관통 접속된다. 또, 덮개 부재 (54) 에 의하여 삽입구 (43) 가 폐쇄됨과 함께, 덮개 부재 (54) 와 삽입구 (43) 의 개구 가장자리 사이는 그로밋 (48) 에 의하여 시일된다.
다음으로, 버스 바 (52) 의 타단부 (52b) 와 기판 (31) 을, 인버터 하우징 (14) 에 있어서의 전동 모터 (19) 측의 개구로부터 납땜한다. 이로써, 버스 바 (52) 와 기판 (31) 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추가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 (54) 의 가장자리와 인버터 하우징 (14) 을 볼트 (47) 에 의하여 일체 체결시킨다. 이렇게 하면, 덮개 부재 (54) 가 인버터 하우징 (14) 에 고정됨과 동시에, 내부 커넥터 (51) 가 커넥터 접속부 (42) 에 고정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인버터 하우징 (14) 의 일단에는, 커넥터 접속부 (42) 내와, 수용 공간 (17) 내의 일부를 연통시키는 삽입구 (43) 가 형성됨과 함께, 버스 바 (52) 의 일단부 (52a) 및 타단부 (52b) 가 전동 모터 (19) 측을 향하도록 버스 바 (52) 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 커넥터 (51) 가 삽입구 (43) 에 삽입되면, 버스 바 (52) 의 일단부 (52a) 가 커넥터 접속부 (42) 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타단부 (52b) 가 수용 공간 (17) 내에 삽입되어 타단부 (52b) 와 기판 (31) 을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판 (31) 을 인버터 하우징 (14) 내의 범위 내에서 수용 공간 (17) 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 (31) 이 인버터 하우징 (14) 의 외주면을 넘어서까지 연장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판 (31) 을 소형화할 수 있다. 추가로, 덮개 부재 (54) 가 인버터 하우징 (14) 에 고정되어 삽입구 (43) 가 덮개 부재 (54) 에 의해 폐쇄되기 전의 상태에서, 삽입구 (43) 를, 수용 공간 (17) 내의 기판 (31) 전체를 외부에 면하게 할 수 있는 크기로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삽입구 (43) 를, 수용 공간 (17) 내의 기판 (31) 의 일부를 외부에 면하게 함과 함께 커넥터 접속부 (42) 내를 외부에 면하게 할 만큼의 크기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삽입구 (43) 자체를 작게 형성할 수 있고, 이 삽입구 (43) 를 폐쇄하는 덮개 부재 (54), 나아가서는, 삽입구 (43) 의 개구 가장자리와 덮개 부재 (54) 사이에 개재하여 장착되는 그로밋 (48) 도 작게 할 수 있고, 그로밋 (48) 의 시일 범위를 작게 할 수 있다.
(2) 하우징에 커넥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우징 외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부를 연장 형성함과 함께, 연장부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삽입구로부터 관통공에 하우징과는 별체인 커넥터 접속부 형성 부재를 삽입하고, 그 커넥터 접속부 형성 부재에 의하여 커넥터 접속부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관통공과 커넥터 접속부 형성 부재 사이를 시일 수단으로 시일할 필요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접속부 (42) 는 인버터 하우징 (14) 과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시일 수단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다.
(3) 덮개 부재 (54) 는, 내부 커넥터 (51) 의 절연 부재 (53) 에 대하여, 볼록부 (53a) 와 오목부 (54a) 와의 끼워 맞춤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 부재 (54) 의 가장자리부와 인버터 하우징 (14) 을 볼트 (47) 에 의하여 일체 체결시킴으로써, 덮개 부재 (54) 가 인버터 하우징 (l4) 에 고정됨과 동시에, 내부 커넥터 (51) 를 커넥터 접속부 (42) 에 고정시킬 수 있다.
(4) 덮개 부재 (54) 는 도전성을 갖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 부재 (54) 가 인버터 하우징 (14) 에 고정되면 덮개 부재 (54) 가 인버터 하우징 (14) 과 전기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덮개 부재 (54) 에 노이즈가 흘러도, 그 노이즈를 인버터 하우징 (14) 에 흘릴 수 있다. 그 결과, 버스 바 (52) 및 기판 (31) 에 노이즈가 흘러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아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넥터 접속부 (42) 는 인버터 하우징 (14) 에 일체 성형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커넥터 (51) 에 있어서, 버스 바 (52) 의 일단부 (52a) 를 둘러싸도록 절연 부재 (53) 의 일부를 통 형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그 통 형상으로 형성된 부위에 의하여 커넥터 접속부 (61) 를 형성한다. 한편, 인버터 하우징 (14) 의 외주면에는 돌설부 (62) 가 형성됨과 함께, 돌설부 (62) 에는 커넥터 접속부 (61) 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공 (63)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커넥터 (51) 가 삽입구 (43) 에 삽입됨과 함께, 돌설부 (62) 의 관통공 (63) 에 커넥터 접속부 (61) 가 삽입되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접속부 (61) 가, 전동 모터 (19) 측으로 연장되도록 돌설부 (62) 로부터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 접속부 (61) 가, 인버터 하우징 (14) 에 일체 성형되지 않고, 인버터 하우징 (14) 과 별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커넥터 접속부 (61) 와 관통공 (63)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 (64) 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버터 하우징 (14) 의 외주면에는, 인버터 하우징 (14) 과 일체 성형된 커넥터 접속부 (42) 가 하나 형성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일단에는, 연장부 (42a) 로부터 인버터 하우징 (14) 의 단면 일부에 걸쳐 제 1 삽입구 (71) 및 제 2 삽입구 (72)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삽입구 (71) 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을 따른 길이는, 제 2 삽입구 (72) 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커넥터 (81) 는, 제 1 버스 바 (82) 를 유지함과 함께 제 1 삽입구 (71) 에 삽입할 수 있는 제 1 절연 부재 (83) 와, 제 2 버스 바 (84) 를 유지함과 함께, 제 2 삽입구 (72) 에 삽입할 수 있는 제 2 절연 부재 (85)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버스 바 (82) 는, 그 일단부 (82a) 및 타단부 (82b) 가 전동 모터 (19) 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제 1 절연 부재 (83) 의 일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 제 2 버스 바 (84) 는, 그 일단부 (도시하지 않음) 및 타단부 (84b) 가 전동 모터 (19) 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제 2 절연 부재 (85) 의 일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추가로, 제 1 절연 부재 (83) 의 타단면 및 제 2 절연 부재 (85) 의 타단면에는, 제 1 삽입구 (71) 및 제 2 삽입구 (72) 를 폐쇄하기 위한 덮개 부재 (86) 가 일체화되어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부 (42a) 에 있어서의 제 1 삽입구 (71) 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회전축 (23) 의 축방향을 따라서 전동 모터 (19) 를 향하여 연장되는 통 형상의 제 1 커넥터 접속부 (87)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 커넥터 접속부 (87) 는 인버터 하우징 (14) 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절연 부재 (85) 의 일단면에 있어서의 일부는, 제 2 버스 바 (84) 의 일단부를 둘러싸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그 통 형상으로 형성된 부위에 의하여 제 2 커넥터 접속부 (88) 가 형성되어 있다. 추가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부 (42a) 에 있어서의 제 2 삽입구 (72) 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제 2 커넥터 접속부 (88) 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공 (89)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내부 커넥터 (81) 에 있어서, 제 1 절연 부재 (83) 가 제 1 삽입구 (71) 에 삽입됨과 함께, 제 2 절연 부재 (85) 가 제 2 삽입구 (72) 에 삽입된다. 이렇게 하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버스 바 (82) 의 일단부 (82a) 가 제 1 커넥터 접속부 (87) 내에 위치함과 함께, 타단부 (82b) 가 수용 공간 (17) 내로 연장되고, 제 2 커넥터 접속부 (88) 가 관통공 (89) 을 통하여 전동 모터 (19) 측으로 연장되도록 연장부 (42a) 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제 2 버스 바 (84) 의 타단부 (84b) 가 수용 공간 (17) 내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버터 하우징 (14) 의 외주면에는, 인버터 하우징 (14) 과 일체 성형된 제 1 커넥터 접속부 (87), 및 인버터 하우징 (14) 과 별체로 형성된 제 2 커넥터 접속부 (88) 의 쌍방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 실시형태에 있어서, 버스 바 (52) 의 타단부 (52b) 를, 기판 (31) 에 있어서의 커넥터 접속부 (42) 측에 관통 접속시키고, 그 접속 부위를 인버터 하우징 (14) 에 있어서의 전동 모터 (19) 측의 개구로부터 납땜함으로써, 버스 바 (52) 와 기판 (31) 을 전기적으로 접속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버스 바 (52) 의 타단부 (52b) 를, 기판 (31) 의 중앙부에 관통 접속시키고, 그 접속 부위를 인버터 하우징 (14) 에 있어서의 전동 모터 (19) 측의 개구로부터 납땜함으로써, 버스 바 (52) 와 기판 (31) 을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버스 바 (52) 의 타단부 (52b) 와 기판 (31) 의 접속 부위가 커넥터 접속부 (42) 측인 경우에 인버터 하우징 (14) 의 내주면이 방해가 되어 접속 부위를 납땜하기 어려운 점이 없어지고, 전동 모터 (19) 측으로부터 납땜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넥터 접속부 (42) 의 접속부 (42b) 는, 회전축 (23) 의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커넥터 접속부 (42) 의 접속부 (42b) 가 전동 모터 (19) 측이고, 또한 회전축 (23) 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연 부재 (53) 의 타단면에는 덮개 부재 (54) 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절연 부재 (53) 의 타단면에 덮개 부재 (54) 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절연 부재 (53) 의 타단면 자체가 삽입구 (43) 를 폐쇄하는 덮개부로서 기능한다.
○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연 부재 (53) 의 타단면에는 외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 (53a) 가 형성됨과 함께, 덮개 부재 (54) 의 일면에는 절연 부재 (53) 의 볼록부 (53a) 와 끼워 맞출 수 있는 오목부 (54a) 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절연 부재 (53) 의 타단면에 오목부를 형성함과 함께, 덮개 부재 (54) 의 일면에 절연 부재 (53) 의 오목부와 끼워 맞출 수 있는 볼록부를 형성하여 오목부와 볼록부를 끼워 맞춤으로써, 덮개 부재 (54) 와 절연 부재 (53) 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연 부재 (53) 와 덮개 부재 (54) 는 볼록부 (53a) 와 오목부 (54a) 의 끼워 맞춤에 의하여 서로가 일체화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절연 부재 (53) 와 덮개 부재 (54) 를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시킴으로써 서로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판 (31) 은, 수용 공간 (17) 내에 있어서, 회전축 (23) 의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수용 공간 (17) 내에 있어서, 회전축 (23) 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축부 (18), 전동 모터 (19) 및 인버터 (30) 는, 회전축 (23) 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 순서대로 나열되도록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회전축 (23) 의 축방향을 따라서 전동 모터 (19), 압축부 (18) 및 인버터 (30) 의 순서대로 나열되도록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축부 (18) 는, 고정 스크롤 (20) 과 가동 스크롤 (21) 로 구성되는 타입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피스톤 타입이나 베인 타입 등으로 변경해도 된다.
○ 본 발명을, 차량 공조 장치에 사용되는 것이 아닌 그 밖의 공조 장치에 사용되는 것에 적용할 수도 있다.
○ 본 발명을,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탑재됨과 함께 차량 공조 장치에 사용되는 전동 압축기 (10) 로 구체화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아니고, 엔진만으로 구동되는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에 탑재됨과 함께 차량 공조 장치에 사용되는 전동 압축기로 구체화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 및 별도의 예에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아래에 추기한다.
(가) 상기 절연 부재 및 상기 덮개부 중의 일방에 볼록부가 형성됨과 함께, 타방에 상기 볼록부와 끼워 맞출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절연 부재와 상기 덮개부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에 기재된 전동 압축기.
(나) 상기 커넥터 접속부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 청구항 4 및 상기 기술적 사상 (가) 의 어느 1 항에 기재된 전동 압축기.
(다) 상기 압축부, 상기 전동 모터 및 상기 모터 구동 회로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 순서대로 나열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 청구항 4 및 상기 기술적 사상 (가), (나) 의 어느 1 항에 기재된 전동 압축기.
10 : 전동 압축기
12 : 하우징을 형성하는 중간 하우징
13 : 하우징을 형성하는 토출 하우징
14 : 하우징을 형성하는 인버터 하우징
17 : 수용 공간 18 : 압축부
19 : 전동 모터 23 : 회전축
30 : 모터 구동 회로로서의 인버터 31 : 기판
42, 61 : 커넥터 접속부 43 : 삽입구
48 : 시일 부재로서의 그로밋 51, 81 : 내부 커넥터
52 : 버스 바 52a : 일단부
52b : 타단부 53 : 절연 부재
54 : 덮개부로서의 덮개 부재 71 : 제 1 삽입구
72 : 제 2 삽입구 82 : 제 1 버스 바
82a : 일단부 82b : 타단부
83 : 제 1 절연 부재 84 : 제 2 버스 바
84b : 타단부 85 : 제 2 절연 부재
87 : 제 1 커넥터 접속부 88 : 제 2 커넥터 접속부

Claims (5)

  1. 하우징 내에 압축부, 전동 모터 및 모터 구동 회로가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모터 구동 회로의 기판이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축방향 일단측에 구획된 수용 공간에 배치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일단측에는, 상기 전동 모터를 향하여 연장되는 커넥터 접속부가 형성됨과 함께, 그 커넥터 접속부 내에 버스 바를 갖는 내부 커넥터가 형성되는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커넥터 접속부 내와, 상기 수용 공간 내의 일부를 연통시키는 삽입구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버스 바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상기 전동 모터측을 향하도록 상기 버스 바가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커넥터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고, 상기 버스 바의 일단부가 상기 커넥터 접속부 내에 삽입됨과 함께, 타단부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기판에 접속되고, 추가로 상기 삽입구가 시일 부재를 통하여 하우징에 고정된 덮개부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접속부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넥터는, 상기 버스 바와, 그 버스 바의 일단부를 상기 커넥터 접속부 내에 유지함과 함께 타단부를 상기 기판에 접속한 상태로 유지하는 절연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절연 부재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금속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금속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KR1020100108655A 2010-01-18 2010-11-03 전동 압축기 KR101178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08406A JP2011144788A (ja) 2010-01-18 2010-01-18 電動圧縮機
JPJP-P-2010-008406 2010-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821A true KR20110084821A (ko) 2011-07-26
KR101178753B1 KR101178753B1 (ko) 2012-09-07

Family

ID=4426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655A KR101178753B1 (ko) 2010-01-18 2010-11-03 전동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18703B2 (ko)
JP (1) JP2011144788A (ko)
KR (1) KR101178753B1 (ko)
CN (1) CN102128159B (ko)
DE (1) DE102011000179B4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515A (ko) * 2012-09-17 2014-03-2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KR20200049581A (ko) * 2018-10-30 2020-05-08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동 압축기
CN111287967A (zh) * 2018-12-07 2020-06-16 广东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7580B2 (ja) * 2010-09-16 2016-08-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一体型電動圧縮機
JP5387632B2 (ja) * 2011-08-01 2014-01-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回路基板と外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JP5692003B2 (ja) * 2011-10-31 2015-04-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バータとモータ内蔵ドライブトレインとの電気的接続構造
JP5621798B2 (ja) * 2012-02-02 2014-11-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720593B2 (ja) * 2012-02-02 2015-05-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609900B2 (ja) * 2012-02-02 2014-10-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915384B2 (ja) * 2012-05-30 2016-05-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683536B2 (ja) 2012-06-08 2015-03-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6091792B2 (ja) * 2012-07-26 2017-03-08 株式会社ミクニ 電動ポンプ
JP5708592B2 (ja) 2012-08-03 2015-04-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CN104769814B (zh) * 2012-10-15 2017-03-15 三菱电机株式会社 接线板的固定构造、固定方法及旋转电机
JP6134127B2 (ja) * 2012-11-21 2017-05-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ヒートシンクを有する機器
JP6083294B2 (ja) * 2013-03-28 2017-02-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5821109B2 (ja) * 2013-06-17 2015-11-24 株式会社安川電機 エンコーダ付きモータ
US10003233B2 (en) * 2013-12-13 2018-06-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integrated rotary electric machine
JP6320813B2 (ja) * 2014-03-20 2018-05-09 三菱重工オートモーティブ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6265072B2 (ja) * 2014-07-11 2018-01-2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6337749B2 (ja) * 2014-11-18 2018-06-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6278206B2 (ja) * 2015-06-29 2018-02-1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電動機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925303A (zh) * 2015-08-27 2018-04-17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
US20200235630A1 (en) * 2017-08-31 2020-07-23 Nidec Tosok Corporation Circuit board assembly and electric oil pump provided with same
WO2019131423A1 (ja) * 2017-12-28 2019-07-04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ユニット
CN112075013B (zh) * 2018-04-25 2023-08-18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单元以及马达单元的制造方法
JP7035999B2 (ja) 2018-12-27 2022-03-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DE102019111691B4 (de) 2019-01-11 2020-10-15 Hanon Systems Anordnung zum Steckverbinden elektrischer Anschlüsse und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Verdichters mit der Anordnung
DE102019101713B4 (de) * 2019-01-24 2024-03-28 Nidec Gpm Gmbh Pumpe aufweisend einen Elektromotor mit Steckeranbindung in Form eines Zwischensteckers
CN113366739B (zh) * 2019-02-08 2024-03-08 Gkn汽车有限公司 连接器组件、驱动单元以及电连接方法
DE102019130582A1 (de) * 2019-11-13 2021-05-20 Hanon Systems Dichtanordnung einer Steckverbindung zum Steckverbinden elektrischer Anschlüsse und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Verdichters mit der Dichtanordnung
DE102019131791B8 (de) * 2019-11-25 2022-12-15 Hanon Systems Anordnungen zum Verbinden elektrischer Anschlüsse für eine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Verdichters sowie Verfahren zum Montieren der Anordnungen und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Verdichters sowie Verwendung der Vorrichtung
JP7342766B2 (ja) 2020-03-31 2023-09-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2022137909A (ja) * 2021-03-09 2022-09-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DE102021129376A1 (de) 2021-03-17 2022-09-22 Hanon Systems Gehäuseeinheit für ein elektronisches Bauteil eines elektrischen Kältemittelverdichters
KR20230037381A (ko) * 2021-09-09 2023-03-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4465A (ja) 1990-10-05 1992-05-18 Nec Corp 交換台の夜間サービス自動起動解除装置
JP2000291557A (ja) 1999-04-07 2000-10-17 Sanden Corp 電動式圧縮機
JP2002070743A (ja) * 2000-08-29 2002-03-08 Sanden Corp 冷媒圧縮用電動式圧縮機
JP3976512B2 (ja) * 2000-09-29 2007-09-19 サンデン株式会社 冷媒圧縮用電動式圧縮機
FR2817300B1 (fr) * 2000-11-24 2005-09-23 Valeo Climatisation Compresseur pour un systeme de climatisation de l'habitacle d'un vehicule automobile
CN2468212Y (zh) 2000-12-28 2001-12-26 科西亚数码电气(深圳)有限公司 一种高效节能制冷压缩机
JP2003148343A (ja) * 2001-11-08 2003-05-21 Sanden Corp 電動圧縮機
JP2004190547A (ja) 2002-12-10 2004-07-08 Denso Corp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コンプレッサ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4144465B2 (ja) * 2003-07-18 2008-09-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コンプレッサ
JP2005146862A (ja) 2003-11-11 2005-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圧縮機
ES2518965T3 (es) * 2003-12-30 2014-11-0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istema de protección y diagnóstico de compresor
JP4829521B2 (ja) 2005-04-14 2011-12-07 サンデン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DE102006016405A1 (de) * 2006-04-07 2007-10-11 Pfeiffer Vacuum Gmbh Vakuumpumpe mit Antriebsgerät
JP2007315183A (ja) 2006-05-23 2007-12-06 Sanden Corp 電動圧縮機
JP4992395B2 (ja) 2006-11-27 2012-08-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コンプレッサ
JP5209259B2 (ja) 2007-09-25 2013-06-12 サンデン株式会社 駆動回路一体型電動圧縮機
JP2009097473A (ja) * 2007-10-18 2009-05-07 Calsonic Kansei Corp 電動コンプレッサの製造方法及び電動コンプレッ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515A (ko) * 2012-09-17 2014-03-2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KR20200049581A (ko) * 2018-10-30 2020-05-08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동 압축기
CN111287967A (zh) * 2018-12-07 2020-06-16 广东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753B1 (ko) 2012-09-07
DE102011000179A8 (de) 2011-11-10
JP2011144788A (ja) 2011-07-28
US20110175470A1 (en) 2011-07-21
DE102011000179B4 (de) 2014-02-13
CN102128159B (zh) 2013-11-20
CN102128159A (zh) 2011-07-20
US8618703B2 (en) 2013-12-31
DE102011000179A1 (de)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753B1 (ko) 전동 압축기
EP2133571B1 (en) Motor-driven compressor
JP5708592B2 (ja) 電動圧縮機
EP2072754A3 (en) Motor-driven compressor with multi-part casing
JP5416388B2 (ja)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5007169B2 (ja) 電動コンプレッサ
JP6601246B2 (ja) 電動圧縮機
JP2006042409A (ja) モータ一体型コンプレッサ
CN111120249B (zh) 电动压缩机
US20140377095A1 (en) Motor-driven compressor
JP4649157B2 (ja) モータ内蔵圧縮機の端子接続部構造
KR101718634B1 (ko) 전동 압축기
EP2623788A1 (en) Motor-driven compressor
WO2021210528A1 (ja) 気密端子、これを用いた電動圧縮機および接続方法
EP2623786B1 (en) Motor-driven compressor
JP2005056806A (ja) シールドケーブル及び該シールドケーブルの組立方法並びに該シールドケーブルを用いたコンプレッサユニット
KR102625341B1 (ko) 전동 압축기
JP2004176682A (ja) 冷媒用電動圧縮機
JP2004003516A (ja) コンプレッサユニット
KR102003638B1 (ko) 전동 압축기
CN111756189B (zh) 电动压缩机
JP2004019586A (ja) 電動圧縮機
JP5726101B2 (ja) 電動圧縮機のコンデンサ、電動圧縮機
KR20200142859A (ko) 개별 기밀 단자 구조를 갖는 스크롤 압축기
JP2008232096A (ja) 電動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