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381A - 전동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381A
KR20230037381A KR1020210120612A KR20210120612A KR20230037381A KR 20230037381 A KR20230037381 A KR 20230037381A KR 1020210120612 A KR1020210120612 A KR 1020210120612A KR 20210120612 A KR20210120612 A KR 20210120612A KR 20230037381 A KR20230037381 A KR 20230037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dy
housing
circuit board
disposed
ch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김민규
배상우
안혜림
오성택
윤제수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0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7381A/ko
Priority to US18/261,179 priority patent/US20240097535A1/en
Priority to CN202280024570.7A priority patent/CN117098916A/zh
Priority to PCT/KR2022/013334 priority patent/WO2023038393A1/ko
Priority to JP2023545325A priority patent/JP2024503934A/ja
Publication of KR20230037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2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 F25B31/026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with compressor of rotary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2017/0093Common mode choke coi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M 초크(common mode choke)가 인버터부 회로 기판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고전압 커넥터, CM 초크 및 저전압 커넥터가 서포트 바디 상에 일체화됨으로써 인버터부의 패키지 축소 및 경량화가 가능한 전동 압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 압축기{ELECTRIC COMPRESSOR}
본 발명은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M 초크(common mode choke)가 인버터부 회로 기판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고전압 커넥터, CM 초크 및 저전압 커넥터가 서포트 바디 상에 일체화됨으로써 인버터부의 패키지 축소 및 경량화가 가능한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시스템이 구비된다. 이러한 공조시스템은 증발기로부터 인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시켜 응축기로 보내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에 적용되는 압축기에는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기계식 압축기와 전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를 이용한 전동식 압축기가 있으며, 최근에는 자동차 내에 전장화가 가속화되면서 전동식 압축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한편, 압축기에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전달방식에 따라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등이 있고,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 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또한, 전동식 압축기에서는 모터의 운전 속도를 가변할 수 있는 인버터 방식의 압축기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인버터 방식의 전동식 압축기는 인버터가 케이싱의 외주면 또는 일측면에 장착되고, 그 케이싱을 관통하는 터미널과 버스바 등을 이용하여 인버터를 케이싱 내부에 구비된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때, 종래의 전동식 압축기에서는 고주파 노이즈 저감을 위한 CM 초크가 인버터의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115215호에 개시된 전동 압축기를 살펴보면, 인버터의 회로 기판(29)에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34)이 실장되고 있으며, 이는 차량 측의 PCU(39)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노이즈가 압축기 측의 인버터 회로(31)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CM 초크가 회로 기판(29) 상에서 인버터 커버 부재(25)의 내부에 배치됨에 따라, 회로 기판(29)의 넓이가 커지고, 이로 인해 인버터 커버 부재(25)의 넓이 및 높이 또한 높아져야 하므로 인버터부의 패키지 축소 및 경량화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커넥터(27)가 인버터 커버 부재(25)의 외측에 마련되어 모터와 반대방향을 향해 돌출하고 있으므로, 전동 압축기의 전체 길이 또한 증대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115215호(2020.10.07.공개)
본 발명은 CM 초크(common mode choke)가 인버터부 회로 기판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고전압 커넥터, CM 초크 및 저전압 커넥터가 서포트 바디 상에 일체화됨으로써 인버터부의 패키지 축소 및 경량화가 가능한 전동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압축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부를 구동하는 모터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는 서포트 바디;와, 상기 서포트 바디에 안착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이 안착된 상기 서포트 바디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인버터 커버; 및 상기 서포트 바디에 설치되되, 상기 회로 기판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CM 초크;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인버터 커버는 상기 CM 초크를 덮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포트 바디는, 상기 회로 기판이 안착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 측으로 또는 상기 하우징 반대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CM 초크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포트 바디는, 상기 중심부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1 수용부와 반대측으로 연장되며, 고전압 커넥터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중심부의 원주방향 상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고전압 커넥터의 고전압 라인은 상기 서포트 바디의 내부를 통해 상기 CM 초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CM 초크는 상기 서포트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버스 바(busbar)를 통해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포트 바디는, 상기 중심부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2 수용부와 동일한 측으로 연장되며, 저전압 커넥터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3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저전압 커넥터의 저전압 라인은 상기 서포트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버스 바를 통해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수용부와 상기 제3 수용부는 상기 중심부의 원주방향 상 30° 이상 180° 이하의 각도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포트 바디의 중심부와 상기 인버터 커버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버터 커버는 상기 중심부를 덮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포트 바디에는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서포트 바디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포트 바디의 외측에는 상기 인버터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체결을 위한 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CM 초크가 회로 기판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됨에 따라 회로 기판의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며, 인버터 커버의 내부에 CM 초크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인버터 커버의 넓이 및 길이 또한 축소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인버터부의 패키지 축소, 경량화, 원가 절감 및 설계자유도 상승의 효과가 있으며, 전동 압축기의 전체적인 길이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커넥터 및 저전압 커넥터가 서포트 바디에 일체형으로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볼트 및 가공이 불필요하므로 부품수와 무게 감소가 가능하고, 비용 절감 및 생산성 증대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동 압축기 일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회로 기판이 장착된 서포트 바디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동 압축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도 1 내지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1)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전동 압축기는 크게 하우징(10), 모터부, 압축부, 인버터부(20) 및 모터부와 인버터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유닛(3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전동 압축기(1)의 외관을 형성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프론트 하우징(12)과 리어 하우징(14)으로 이루어진다.
모터부는 프론트 하우징(12) 내에 구비되며, 압축부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모터부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프론트 하우징(12)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자와, 프론트 하우징(12)에 고정되어 회전자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고정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는 고정자 코어와, 고정자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는 리어 하우징(14) 내에 구비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전축에 편심 부시를 통해 결합되는 선회스크롤과, 프론트 하우징(12)과 리어 하우징(14) 사이에 고정되어 선회스크롤과 함께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는 압축실을 형성하는 고정스크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부가 회전축을 통해 모터부와 연결됨으로써, 모터부에서 생성된 회전력이 회전축에 의해 압축부의 선회스크롤에 전달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의 압축부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인버터부(20)는 하우징(10)의 일 측에 결합되되, 모터부를 기준으로 압축부와 반대측에 결합된다. 인버터부(20)는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및 제어신호를 통해 모터부에 전원을 인가하고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고정자는 인버터부(20)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자기장을 형성하고, 고정자가 형성한 전자기장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함에 따라 압축부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력이 생성된다.
이때, 모터부와 인버터부(20)는 터미널 유닛(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본 실시 예에서는 3상(3-phase) 모터가 사용되므로, 3상의 전원을 인버터부(20)로부터 모터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3상과 각각 연결되는 3개의 연결핀(32) 및 3개의 터미널(34)이 구비되고 있다. 3개의 연결핀(32)은 고정자의 3상 코일에 각각 연결되고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인버터부(20)의 내측까지 돌출된다. 인버터부(20)의 내측으로 돌출된 연결핀(32) 각각은 인버터부의 회로 기판(200)을 관통하여 각각의 터미널(34)을 통해 회로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 도 2 내지 5를 참고하여 인버터부(20)를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인버터부(20)는 크게, 서포트 바디(100), 회로 기판(200), 인버터 커버(300), CM 초크(400), 고전압 커넥터(500) 및 저전압 커넥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바디(100)는 프론트 하우징(12)의 일 측에 배치되며, 스위칭 소자(220)들이 구비되는 회로 기판(200)이 서포트 바디(100)에 안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서포트 바디(100)는 회로 기판(200)이 안착되기 위한 원형의 중심부(120)를 포함한다. 서포트 바디(100)는 수지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 바디(100), 정확하게는 서포트 바디의 중심부(120)에는 회로 기판(200)과 서포트 바디(100)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122)이 구비된다. 이로 인해 볼트 등의 체결부가 회로 기판(200)과 서포트 바디(100)의 체결홀(122)을 통과하여 프론트 하우징(12)에 체결됨으로써, 회로 기판(200)이 서포트 바디의 중심부(120) 상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서포트 바디의 중심부(120)에는 터미널 유닛(30)의 연결핀(32)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124)이 구비된다. 이 밖에, 서포트 바디의 중심부(120)에는 스위칭 소자(220)들이 안착하기 위한 슬롯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CM 초크(400)는 서포트 바디(100)에 설치되되, 회로 기판(20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서포트 바디(100)는 중심부(120)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하우징(10) 측으로 연장되며, CM 초크(400)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수용부(1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서포트 바디의 중심부(120)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제1 돌출부(130)가 돌출되며, 제1 돌출부(130) 상에서 제1 수용부(140)가 하우징(10)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수용부(140)는 하우징(10) 반대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서포트 바디(100)는, 중심부(120)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제1 수용부(140)와 반대측으로 연장되며, 고전압 커넥터(500)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수용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수용부(140)와 제2 수용부(160)는 중심부(120)의 원주방향 상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수용부(160)는 제1 수용부(1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2 수용부(160)는 제1 돌출부(130) 상에서 하우징(10) 반대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전압 커넥터(500)의 고전압 라인은 서포트 바디(100)의 내부를 통해 CM 초크(4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커넥터(500)의 고전압 라인이 서포트 바디(100)의 제1 돌출부(130) 내부로 연장되어 CM 초크(400)의 코일(420)의 일단부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CM 초크(400)는 서포트 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버스 바(busbar; 240)를 통해 회로 기판(2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M 초크(400)의 코일(420)의 타단부가 제1 버스 바(240)에 연결되고, 제1 버스 바(240)는 서포트 바디(100)의 내부에서 회로 기판(200)까지 연장되어 회로 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버스 바(240)는 서포트 바디의 제1 돌출부(130)에서 중심부(120)로 일자로 연장되다가 단부가 대략 90°로 꺾여 서포트 바디의 중심부(120)와 회로 기판(200)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서포트 바디(100)는, 중심부(120)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제2 수용부(160)와 동일한 측으로 연장되며, 저전압 커넥터(600)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3 수용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포트 바디의 중심부(120)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제2 돌출부(170)가 돌출되며, 제2 돌출부(170) 상에서 제3 수용부(180)가 하우징(10) 반대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있다. 이때, 제2 수용부(160)와 제3 수용부(180)는 중심부(120)의 원주방향 상 30° 이상 180° 이하의 각도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저전압 커넥터(600)의 저전압 라인은 서포트 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버스 바(260)를 통해 회로 기판(2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압 커넥터(600)의 저전압 라인이 제2 버스 바(260)에 연결되고, 제2 버스 바(260)는 서포트 바디(100)의 내부에서 회로 기판(200)까지 연장되어 회로 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제2 버스 바(260)는 서포트 바디의 제2 돌출부(170)에서 중심부(120)로 일자로 연장되다가 단부가 대략 90°로 꺾여 서포트 바디의 중심부(120)와 회로 기판(200)을 관통하고 있다.
인버터 커버(300)는 회로 기판(200)이 안착된 서포트 바디(100)의 일부를 덮도록 프론트 하우징(12)에 결합되되, CM 초크(400)는 덮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인버터 커버(300)는 서포트 바디의 중심부(120)와 마찬가지로 원형으로 형성되며, 인버터 커버(300)는 중심부(120)를 둘러싸도록 프론트 하우징(12)에 결합된다. 즉, 인버터 커버(300)의 내부에는 회로 기판(200)만 배치될 뿐, CM 초크(400), 고전압 커넥터(500) 및 저전압 커넥터(600)는 배치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인버터 커버(300)에는 제1 돌출부(130)와 제2 돌출부(170)가 통과하기 위한 2개의 슬롯(3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 바디(100)의 외측, 정확하게는 서포트 바디의 중심부(120)의 외측에는 인버터 커버(300)와 하우징(10)의 체결을 위한 홈부(12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체결부가 인버터 커버(300)로부터 서포트 바디의 홈부(126)를 지나 프론트 하우징(12)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서포트 바디(100)가 프론트 하우징(12)과 인버터 커버(30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인버터 커버(300)가 프론트 하우징(12)에 체결될 수 있으며, 서포트 바디(10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 바디(100)와 프론트 하우징(12) 사이에는 실링을 위해 O-ring(4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CM 초크(400)가 회로 기판(20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됨에 따라 회로 기판(200)의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며, 인버터 커버(300)의 내부에 CM 초크(400)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인버터 커버(300)의 넓이 및 길이 또한 축소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인버터부의 패키지 축소, 경량화, 원가 절감 및 설계자유도 상승의 효과가 있으며, 전동 압축기의 전체적인 길이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커넥터(500) 및 저전압 커넥터(600)가 CM 초크(400)와 함께 서포트 바디(100)에 일체형으로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볼트 및 가공이 불필요하므로 부품수와 무게 감소가 가능하고, 비용 절감 및 생산성 증대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전동 압축기 10: 하우징
12: 프론트 하우징 14: 리어 하우징
20: 인버터부 30: 터미널 유닛
32: 연결핀 34: 터미널
40: O-ring
100: 서포트 바디 120: 중심부
122: 체결홀 124: 관통홀
126: 홈부 130: 제1 돌출부
140: 제1 수용부 160: 제2 수용부
170: 제2 돌출부 180: 제3 수용부
200: 회로 기판 220: 스위칭 소자
240: 제1 버스 바 260: 제2 버스 바
300: 인버터 커버 320: 슬롯
400: CM 초크 420: 코일
500: 고전압 커넥터 600: 저전압 커넥터

Claims (13)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압축부;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부를 구동하는 모터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는 서포트 바디;
    상기 서포트 바디에 안착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이 안착된 상기 서포트 바디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인버터 커버; 및
    상기 서포트 바디에 설치되되, 상기 회로 기판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CM 초크;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커버는 상기 CM 초크를 덮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디는,
    상기 회로 기판이 안착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 측으로 또는 상기 하우징 반대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CM 초크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디는,
    상기 중심부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1 수용부와 반대측으로 연장되며, 고전압 커넥터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중심부의 원주방향 상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커넥터의 고전압 라인은 상기 서포트 바디의 내부를 통해 상기 CM 초크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M 초크는 상기 서포트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버스 바(busbar)를 통해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디는,
    상기 중심부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2 수용부와 동일한 측으로 연장되며, 저전압 커넥터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3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커넥터의 저전압 라인은 상기 서포트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버스 바를 통해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와 상기 제3 수용부는 상기 중심부의 원주방향 상 30° 이상 180° 이하의 각도를 가지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디의 중심부와 상기 인버터 커버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버터 커버는 상기 중심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디에는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서포트 바디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디의 외측에는 상기 인버터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체결을 위한 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KR1020210120612A 2021-09-09 2021-09-09 전동 압축기 KR20230037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612A KR20230037381A (ko) 2021-09-09 2021-09-09 전동 압축기
US18/261,179 US20240097535A1 (en) 2021-09-09 2022-09-06 Electric compressor
CN202280024570.7A CN117098916A (zh) 2021-09-09 2022-09-06 电动压缩机
PCT/KR2022/013334 WO2023038393A1 (ko) 2021-09-09 2022-09-06 전동 압축기
JP2023545325A JP2024503934A (ja) 2021-09-09 2022-09-06 電動圧縮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612A KR20230037381A (ko) 2021-09-09 2021-09-09 전동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381A true KR20230037381A (ko) 2023-03-16

Family

ID=8550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612A KR20230037381A (ko) 2021-09-09 2021-09-09 전동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97535A1 (ko)
JP (1) JP2024503934A (ko)
KR (1) KR20230037381A (ko)
CN (1) CN117098916A (ko)
WO (1) WO202303839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215A (ko) 2019-03-29 2020-10-07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동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4788A (ja) * 2010-01-18 2011-07-28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圧縮機
KR101745729B1 (ko) * 2011-09-05 2017-06-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KR102372021B1 (ko) * 2015-10-02 2022-03-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JP2020045895A (ja) * 2018-09-21 2020-03-26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動圧縮機
JP7172769B2 (ja) * 2019-03-18 2022-11-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215A (ko) 2019-03-29 2020-10-07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동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97535A1 (en) 2024-03-21
CN117098916A (zh) 2023-11-21
WO2023038393A1 (ko) 2023-03-16
JP2024503934A (ja) 202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9586B2 (ja) 圧縮機用モ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動圧縮機
US6564576B2 (en) Motor-driven compressors
KR101745729B1 (ko) 전동 압축기
US20090151389A1 (en) Motor-driven compressor
WO2006129448A1 (ja) 電動圧縮機
US6737773B2 (en) Wiring structure of motor in hybrid compressor
JP4259126B2 (ja) 回転式圧縮機
JP5131032B2 (ja) 電動圧縮機
US20040247458A1 (en) Fluid machine
KR20230037381A (ko) 전동 압축기
US11888359B2 (en) Motor-driven compressor
KR20140021343A (ko) 전동 압축기의 인버터 커버
KR20230097747A (ko) 전동 압축기
KR20230057203A (ko) 전동 압축기
JP2010090855A (ja) 電動圧縮機
KR20220157178A (ko)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JP4924296B2 (ja) 電動コンプレッサ
WO2023013433A1 (ja) 電動圧縮機
KR20230101528A (ko) 전동 압축기
KR20230102656A (ko)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KR20240054492A (ko) 전동 압축기
KR20230103331A (ko) 클러스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JP2023553306A (ja) 電気機械
KR20200140967A (ko) 전동식 압축기
KR20210080889A (ko) 인버터 일체형 전동 압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