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178A -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 Google Patents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178A
KR20220157178A KR1020210064930A KR20210064930A KR20220157178A KR 20220157178 A KR20220157178 A KR 20220157178A KR 1020210064930 A KR1020210064930 A KR 1020210064930A KR 20210064930 A KR20210064930 A KR 20210064930A KR 20220157178 A KR20220157178 A KR 20220157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in
unit
pin contact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김민규
배상우
안혜림
오성택
윤제수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4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7178A/ko
Publication of KR20220157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이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 개의 핀접촉부를 통해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회로 기판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연결핀과 회로 기판의 연결 구조가 간소화 및 소형화될 수 있는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TERMINAL UNIT AND ELECTRIC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미널이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 개의 핀접촉부를 통해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회로 기판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연결핀과 회로 기판의 연결 구조가 간소화 및 소형화될 수 있는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시스템이 구비된다. 이러한 공조시스템은 증발기로부터 인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시켜 응축기로 보내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에 적용되는 압축기에는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기계식 압축기와 전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를 이용한 전동식 압축기가 있으며, 최근에는 자동차 내에 전장화가 가속화되면서 전동식 압축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한편, 압축기에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전달방식에 따라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등이 있고,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 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또한, 전동식 압축기에서는 모터의 운전 속도를 가변할 수 있는 인버터 방식의 압축기의 개발이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인버터 방식의 전동식 압축기는 인버터가 케이싱의 외주면 또는 일측면에 장착되고, 그 케이싱을 관통하는 터미널과 버스바 등을 이용하여 인버터를 케이싱 내부에 구비된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버터 일체형 전동식 압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인버터 일체형 전동식 압축기는 메인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부(20)와 압축부(30)를 포함하고, 메인 하우징(1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인버터 하우징(40) 내부에 배치되는 인버터 유닛(50)을 포함한다. 구동부(20)는 회전자(22)와 고정자(24)를 포함하고, 압축부(30)는 선회스크롤(32)과 고정스크롤(34)을 포함한다.
여기서, 인버터 유닛(50) 측에 버스바(Bus Bar, 60)가 구비되고, 구동부(20) 측에 연결핀(72)을 포함한 터미널 유닛(70)이 구비되어, 구동부(20)와 인버터 유닛(50)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즉, 터미널 유닛(70)은 버스바(60)를 매개로 인버터 유닛(5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인버터 일체형 전동식 압축기는 버스바(60)로 인하여 인버터 유닛(50)의 사체적이 증가하며, 버스바(60)와 터미널 유닛(70)을 모두 사용함으로써 부품 수와 증량이 증가하고, 조립 공정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인버터 일체형 전동식 압축기는 인버터 유닛(50)을 인버터 하우징(40)에 장착한 후, 인버터 하우징(40)을 프론트 커버(12)에 결합함에 따라, 인버터 유닛(50)과 연결핀(72)의 결합을 위한 납땜 공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스바(60)가 연결핀(72)과 연결되는 부분 외적으로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 인버터 유닛(50)의 회로 기판 상에 다른 부품을 배치할 자리가 적어 패키지 측면에서 불리하며, 버스바(60)가 인버터 유닛(50)에서 구동부(2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높이 축소에도 불리하다.
또한, 종래의 인버터 일체형 전동식 압축기는 프론트 커버(12)의 수축, 팽창 및 진동 등으로 인한 터미널 유닛(70)과 버스바(60) 사이의 접점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전류 불평형으로 인한 접점부 탄화가 비교적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60478호(2019.12.23.등록)
본 발명은, 터미널이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 개의 핀접촉부를 통해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회로 기판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연결핀과 회로 기판의 연결 구조가 간소화 및 소형화될 수 있는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연결핀; 및 상기 연결핀을 축 방향으로 수용하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핀을 접촉하여 지지하고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핀접촉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유닛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되 상기 회로 기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의 단부가 이루는 원형의 최소직경은 상기 연결핀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의 단부는 핀접촉부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미널은,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를 연결하는 링 형상의 몸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미널은,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가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통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몸통부는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가 상기 회로 기판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로 기판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연결핀이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결핀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납땜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모터부와 상기 인버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유닛은, 상기 모터부의 고정자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연결핀; 및 상기 연결핀을 축 방향으로 수용하며, 상기 인버터부의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핀을 접촉하여 지지하고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핀접촉부;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미널이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 개의 핀접촉부를 통해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회로 기판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연결핀과 회로 기판의 연결 구조가 간소화 및 소형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품 수가 감소함에 따라 중량 및 비용이 감소하고, 조립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또한, 인버터부의 회로 기판에서 터미널이 차지하는 면적이 작고, 터미널이 회로 기판에서 모터부를 향하는 측과 반대측에 배치됨에 따라, 인버터부의 패키지 축소가 가능하다.
또한, 터미널의 고정부는 회로 기판에서 모터부를 향하는 측에 고정됨으로써 고정을 위한 납땜 또는 볼트결합 공정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이 연결핀을 축 방향으로 수용하되, 복수 개의 핀접촉부가 탄성 변형하면서 연결핀과 접촉됨에 따라, 진동, 공차 등으로 인한 접점 불량이 나타나지 않고 모터부와 인버터부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인버터 일체형 전동식 압축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터미널 유닛이 인버터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회로 기판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회로 기판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터미널 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터미널 유닛에서 터미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터미널 유닛 및 전동 압축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전동 압축기는 크게 하우징(100), 모터부(200), 압축부(300), 인버터부(400) 및 모터부(200)와 인버터부(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유닛(5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전동 압축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프론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20)으로 이루어진다.
모터부(200)는 프론트 하우징(110) 내에 구비되며, 압축부(300)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모터부(200)는, 프론트 하우징(110)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20)에 결합되는 회전자(240)와, 프론트 하우징(110)에 고정되어 회전자(24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고정자(260)를 포함한다. 또한, 고정자(260)는 고정자 코어(262)와, 고정자 코어(262)에 권선되는 코일(264)을 포함한다.
압축부(300)는 리어 하우징(120) 내에 구비되며, 회전축(220)에 편심 부시를 통해 결합되는 선회스크롤(320)과, 프론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20) 사이에 고정되어 선회스크롤(320)과 함께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는 압축실을 형성하는 고정스크롤(34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압축부(300)가 회전축(220)을 통해 모터부(200)와 연결됨으로써, 모터부(200)에서 생성된 회전력이 회전축(220)에 의해 압축부의 선회스크롤(320)에 전달될 수 있다.
인버터부(400)는 하우징(100)의 외측에 구비되되 모터부(200)를 기준으로 압축부(300)와 반대편에 결합된다. 인버터부(400)는 모터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및 제어신호를 통해 모터부(200)에 전원을 인가하고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고정자(260)는 인버터부(400)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자기장을 형성하고, 고정자(260)가 형성한 전자기장에 의해 회전자(240)가 회전함에 따라 압축부(300)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력이 생성된다. 인버터부(400)는 스위칭 소자(440)들이 구비되는 회로 기판(420)과, 회로 기판(420)을 둘러싸도록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인버터 케이스(460)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7을 참고하여 모터부(200)와 인버터부(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유닛(500) 구조에 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터미널 유닛(500)은 크게, 전기 전도성 연결핀(520), 터미널(540) 및 지지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본 실시 예에서는 3상(3-phase) 모터가 사용되므로, 3상의 전원을 인버터부(400)로부터 모터부(200)로 공급하기 위하여, 3상과 각각 연결되는 3개의 연결핀(520) 및 3개의 터미널(540)이 구비되고 있다.
3개의 연결핀(520)은 모터부의 고정자(260), 정확하게는 고정자의 3상 코일(264)에 각각 연결되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인버터부(400)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연결핀(520)은 지지부(560)의 내부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지지부(560)는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560)에 형성된 3개의 홀을 3개의 연결핀(520)이 각각 관통함에 따라 3개의 연결핀(520)이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핀(520)과 지지부(560) 사이에는 절연부재(562)가 개재됨에 따라 지지부(560)가 연결핀(520)으로부터 절연될 수 있다.
인버터부(400)의 내측으로 돌출된 연결핀(520) 각각은 인버터부의 회로 기판(420)을 관통하여 터미널(540)을 통해 회로 기판(4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터미널(540)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터미널(540)은 연결핀(520)을 축 방향으로 수용하며, 인버터부의 회로 기판(4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3개의 연결핀(520)에 대응하여 3개의 터미널(540)이 구비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터미널(5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핀접촉부(542), 몸통부(544) 및 고정부(546)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544)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복수 개의 핀접촉부(542)를 연결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몸통부(544)는 회로 기판(420)을 관통하고, 연결핀(520)이 몸통부(544)의 중공을 통하여 회로 기판(420)을 관통한다.
복수 개의 핀접촉부(542)는 몸통부(544)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6개의 핀접촉부(54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핀접촉부(542)는 일단이 몸통부(544)에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핀(520)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회로 기판(4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복수 개의 핀접촉부(542)가 몸통부(544)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더 가까워지도록 안쪽으로 모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각의 핀접촉부(542)는 몸통부(544)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핀접촉부(542)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진동, 공차 등을 흡수하면서 연결핀(520)과의 접촉이 유지될 수 있어, 접점 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모터부(200)와 인버터부(400) 사이에 지속적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핀접촉부(542)의 단부가 이루는 원형의 최소직경은 연결핀(520)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핀(520)이 터미널(540) 내부에 수용될 때 복수 개의 핀접촉부(542)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연결핀(520)과 보다 확실한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핀접촉부(542)의 단부는 핀접촉부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각각의 핀접촉부(542)가 몸통부(544)로부터 안쪽으로 연장하다가 끝부분에서는 바깥쪽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접촉부(542)의 휘어지는 부분에서 연결핀(520)과의 전기적 접점이 보다 확실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544)에서 복수 개의 핀접촉부(542)가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546)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6개의 고정부(546)가 몸통부(544)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있다. 터미널(540)은 고정부(546)를 통해 회로 기판(420)에 고정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부(546)가 회로 기판(420)의 일면에 납땜(soldering)되고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가 회로 기판의 일면에 볼트 결합 등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546)는 몸통부(544)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546)가 회로 기판(42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면을 형성하면서도, 터미널(540)을 회로 기판(420)에 삽입할 시 터미널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몸통부(544)가 복수 개의 핀접촉부(542)가 회로 기판(42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회로 기판(420)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할 때, 고정부(546)가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후 고정부(546)가 회로 기판(420)의 일면에 납땜됨에 따라 터미널(540)이 회로 기판(42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544)와 복수 개의 핀접촉부(542)는 회로 기판(420)에서 모터부(200)를 향하는 측과 반대측으로 돌출되고 있으며, 고정부(546)는 회로 기판(420)에서 모터부(200)를 향하는 측에 고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버터부(400)의 패키지 축소가 가능하고, 터미널(540)의 고정을 위한 납땜 공정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터미널(540)은 회로 기판(420)에서 연결핀(520)을 수용하기 위한 최소한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스위칭 소자(440)가 배치될 수 있는 회로 기판(420)의 영역이 종래에 비해 보다 넓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가 회로 기판(420)에서 모터부(200)를 향하는 측과 반대측에서 회로 기판(420)에 고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미널(540)이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 개의 핀접촉부(542)를 통해 연결핀(5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회로 기판(420)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연결핀(520)과 회로 기판(420)의 연결 구조가 간소화 및 소형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품 수가 감소함에 따라 중량 및 비용이 감소하고, 조립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하우징 110: 프론트 하우징
120: 리어 하우징 200: 모터부
220: 회전축 240: 회전자
260: 고정자 262: 고정자 코어
264: 코일 300: 압축부
320: 선회스크롤 340: 고정스크롤
400: 인버터부 420: 회로 기판
440: 스위칭 소자 460: 인버터 케이스
500: 터미널 유닛 520: 연결핀
540: 터미널 542: 핀접촉부
544: 몸통부 546: 고정부
560: 지지부 562: 절연부재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연결핀; 및
    상기 연결핀을 축 방향으로 수용하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핀을 접촉하여 지지하고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핀접촉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되 상기 회로 기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의 단부가 이루는 원형의 최소직경은 상기 연결핀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의 단부는 핀접촉부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유닛.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를 연결하는 링 형상의 몸통부;를 더 포함하는, 터미널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가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터미널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통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가 상기 회로 기판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로 기판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이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결핀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납땜 또는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유닛.
  1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모터부와 상기 인버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유닛은,
    상기 모터부의 고정자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연결핀; 및
    상기 연결핀을 축 방향으로 수용하며, 상기 인버터부의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핀을 접촉하여 지지하고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핀접촉부;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되 상기 회로 기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의 단부가 이루는 원형의 최소직경은 상기 연결핀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의 단부는 핀접촉부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를 연결하는 링 형상의 몸통부;를 더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가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통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복수 개의 핀접촉부가 상기 회로 기판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로 기판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핀이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결핀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납땜 또는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KR1020210064930A 2021-05-20 2021-05-20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KR20220157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930A KR20220157178A (ko) 2021-05-20 2021-05-20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930A KR20220157178A (ko) 2021-05-20 2021-05-20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178A true KR20220157178A (ko) 2022-11-29

Family

ID=8423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930A KR20220157178A (ko) 2021-05-20 2021-05-20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71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478B1 (ko) 2019-03-25 201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미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478B1 (ko) 2019-03-25 201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미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3934B1 (ko) 압축기
JP5669586B2 (ja) 圧縮機用モ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動圧縮機
KR101745729B1 (ko) 전동 압축기
CA2610060C (en) Electric compressor
JP5831484B2 (ja) 電動圧縮機
US10396621B2 (en) Electric compressor
JP2007177718A (ja) 電動圧縮機
WO2008007542A1 (fr) Compresseur électrique
KR20220157178A (ko)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US20040247458A1 (en) Fluid machine
US11888359B2 (en) Motor-driven compressor
US20200386230A1 (en) Motor-operated compressor
JP2008019767A (ja) 電動圧縮機
JP2006177231A (ja) 電動圧縮機
KR20230037381A (ko) 전동 압축기
KR20230102656A (ko)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JP5053523B2 (ja) 電動圧縮機
KR102165501B1 (ko) 인버터 일체형 전동식 압축기
KR20230097747A (ko) 전동 압축기
KR20160104398A (ko) 전동식 스크롤 압축기
KR20230057203A (ko) 전동 압축기
JP2012021473A (ja) 電動圧縮機
JP2018168832A (ja) 電動圧縮機
JP2018168831A (ja) 電動圧縮機
KR102500648B1 (ko) 압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