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203A - 전동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203A
KR20230057203A KR1020210141377A KR20210141377A KR20230057203A KR 20230057203 A KR20230057203 A KR 20230057203A KR 1020210141377 A KR1020210141377 A KR 1020210141377A KR 20210141377 A KR20210141377 A KR 20210141377A KR 20230057203 A KR20230057203 A KR 20230057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dy
housing
electric compressor
inverter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김민규
배상우
안혜림
안휴남
오성택
윤제수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1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7203A/ko
Priority to JP2023542975A priority patent/JP2024504955A/ja
Priority to CN202280024580.0A priority patent/CN117120725A/zh
Priority to PCT/KR2022/015433 priority patent/WO2023068643A1/ko
Publication of KR20230057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압축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부를 구동하는 모터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결합되는 서포트 바디 및 상기 서포트 바디의 일 측에 결합되는 인버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바디는, 회로 기판이 안착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CM 초크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 압축기{ELECTRIC COMPRESSOR}
본 발명은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M 초크(common mode choke)가 인버터부 회로 기판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고전압 커넥터, CM 초크 및 저전압 커넥터가 서포트 바디 상에 일체화됨으로써 인버터부의 패키지 축소 및 경량화가 가능한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시스템이 구비된다. 이러한 공조시스템은 증발기로부터 인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시켜 응축기로 보내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에 적용되는 압축기에는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기계식 압축기와 전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를 이용한 전동식 압축기가 있으며, 최근에는 자동차 내에 전장화가 가속화되면서 전동식 압축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한편, 압축기에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전달방식에 따라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등이 있고,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 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또한, 전동식 압축기에서는 모터의 운전 속도를 가변할 수 있는 인버터 방식의 압축기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인버터 방식의 전동식 압축기는 인버터가 케이싱의 외주면 또는 일측면에 장착되고, 그 케이싱을 관통하는 터미널과 버스바 등을 이용하여 인버터를 케이싱 내부에 구비된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때, 종래의 전동식 압축기에서는 고주파 노이즈 저감을 위한 CM 초크가 인버터의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115215호에 개시된 전동 압축기를 살펴보면, 인버터의 회로 기판(29)에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34)이 실장되고 있으며, 이는 차량 측의 PCU(39)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노이즈가 압축기 측의 인버터 회로(31)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CM 초크가 회로 기판(29) 상에서 인버터 커버 부재(25)의 내부에 배치됨에 따라, 회로 기판(29)의 넓이가 커지고, 이로 인해 인버터 커버 부재(25)의 넓이 및 높이 또한 높아져야 하므로 인버터부의 패키지 축소 및 경량화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커넥터(27)가 인버터 커버 부재(25)의 외측에 마련되어 모터와 반대방향을 향해 돌출하고 있으므로, 전동 압축기의 전체 길이 또한 증대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115215호(2020.10.07.공개)
본 발명은 CM 초크(common mode choke)가 인버터부 회로 기판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고전압 커넥터, CM 초크 및 저전압 커넥터가 서포트 바디 상에 일체화됨으로써 인버터부의 패키지 축소 및 경량화가 가능한 전동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압축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부를 구동하는 모터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결합되는 서포트 바디; 및 상기 서포트 바디의 일 측에 결합되는 인버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바디는, 회로 기판이 안착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CM 초크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포트 바디는, 상기 제1 수용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고전압 커넥터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포트 바디는, 상기 중심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저전압 커넥터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3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3 수용부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동일한 방향을 향해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인버터 커버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1 수용부를 덮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포트 바디를 둘러싸는 금속의 전자파 차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인버터 커버와 상기 서포트 바디 사이, 및 상기 서포트 바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각각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스피드 리벳이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서포트 바디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볼트가 상기 스피드 리벳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까지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체결부재가 상기 인버터 커버, 상기 서포트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까지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지능형 전력 모듈(IPM)은 상기 하우징에 접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지능형 전력 모듈(IPM)이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 바디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고전압 커넥터는 제1 버스바를 통해 상기 CM 초크에 연결되고, 상기 CM 초크는 제2 버스바를 통해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CM 초크는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에 각각 용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CM 초크가 회로 기판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서포트 바디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회로 기판의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며, 인버터 커버의 길이 또한 축소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인버터부의 패키지 축소, 경량화, 원가 절감 및 설계자유도 상승의 효과가 있으며, 전동 압축기의 전체적인 길이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커넥터 및 저전압 커넥터가 서포트 바디에 일체형으로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볼트 및 가공이 불필요하므로 부품수와 무게 감소가 가능하고, 비용 절감 및 생산성 증대의 효과가 있다.
또한, 원가 절감 및 경량화를 위해 서포트 바디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더라도 전자파 차폐부재에 의해 전자파 차폐가 가능하다.
또한, 지능형 전력 모듈(IPM)이 하우징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동 압축기 일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측면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서포트 바디를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회로 기판과 서포트 바디의 결합관계롤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지능형 전력 모듈(IPM)과 프론트 하우징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동 압축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도 1 내지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1)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전동 압축기는 크게 하우징(10), 모터부, 압축부, 인버터부(20) 및 모터부와 인버터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유닛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전동 압축기(1)의 외관을 형성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프론트 하우징(12)과 리어 하우징(14)으로 이루어진다.
모터부는 프론트 하우징(12) 내에 구비되며, 압축부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모터부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프론트 하우징(12)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자와, 프론트 하우징(12)에 고정되어 회전자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고정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는 고정자 코어와, 고정자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는 리어 하우징(14) 내에 구비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전축에 편심 부시를 통해 결합되는 선회스크롤과, 프론트 하우징(12)과 리어 하우징(14) 사이에 고정되어 선회스크롤과 함께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는 압축실을 형성하는 고정스크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부가 회전축을 통해 모터부와 연결됨으로써, 모터부에서 생성된 회전력이 회전축에 의해 압축부의 선회스크롤에 전달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의 압축부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인버터부(20)는 하우징(10)의 일 측에 결합되되, 모터부를 기준으로 압축부와 반대측에 결합된다. 인버터부(20)는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및 제어신호를 통해 모터부에 전원을 인가하고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고정자는 인버터부(20)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자기장을 형성하고, 고정자가 형성한 전자기장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함에 따라 압축부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력이 생성된다.
이때, 모터부와 인버터부(20)는 터미널 유닛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3상(3-phase) 모터가 사용되므로, 3상의 전원을 인버터부(20)로부터 모터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3상과 각각 연결되는 3개의 연결핀 및 3개의 터미널(30)이 구비될 수 있다. 3개의 연결핀은 고정자의 3상 코일에 각각 연결되고 프론트 하우징(12)을 관통하여 인버터부(20)의 내측까지 돌출된다. 인버터부(20)의 내측으로 돌출된 연결핀 각각은 인버터부의 회로 기판(200)을 관통하여 각각의 터미널(30)을 통해 회로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프론트 하우징(12)의 일측과 서포트 바디(100), 그리고 회로 기판(200)에는 연결핀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12a, 102, 20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5를 참고하여 인버터부(20)를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인버터부(20)는 크게, 서포트 바디(100), 회로 기판(200), 인버터 커버(300), CM 초크(400), 고전압 커넥터(500), 저전압 커넥터(600) 및 전자파 차폐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바디(100)는 프론트 하우징(12)의 일 측에 배치되며, 스위칭 소자들이 접속되는 회로 기판(200)이 서포트 바디(100)에 안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서포트 바디(100)는 회로 기판(200)이 안착되기 위한 원형의 중심부(120)를 포함한다. 서포트 바디(100)는 원가 절감 및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 바디(100)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더라도 전자파 차폐가 가능하도록, 금속의 전자파 차폐부재(700)가 서포트 바디(100)를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파 차폐부재(700)는 서포트 바디(1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도 있다.
서포트 바디(100)와 회로 기판(200)에는 각각 서포트 바디(100)와 회로 기판(200)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104, 204)이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드 리벳(820)이 서포트 바디(100)와 회로 기판(200)을 동시에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트 바디(10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볼트(840)가 스피드 리벳(820)을 관통하여 프론트 하우징(12)까지 설치됨으로써 접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서포트 바디(100)의 중심부(120)에는 스위칭 소자들을 위한 슬롯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4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회로 기판(200)에 접속되는 지능형 전력 모듈(IPM, 220)은 슬롯(106)을 통해 프론트 하우징(12)에 접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론트 하우징(12)의 일측에는 지능형 전력 모듈(220)이 접촉될 수 있도록 서포트 바디(100)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2b)가 구비되고 있다. 이와 같이, 지능형 전력 모듈(220)이 프론트 하우징(12)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지능형 전력 모듈(220)은 캐리어를 이용하지 않고 프론트 하우징(12)에 볼트를 이용하여 직접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CM 초크(400)는 서포트 바디(100)에 설치되되, 회로 기판(20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서포트 바디(100)는 중심부(12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CM 초크(400)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수용부(140)를 포함한다. 중심부(120)와 제1 수용부(1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CM 초크(400)가 회로 기판(20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특히 서포트 바디(100)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전동 압축기를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 바디(100)는 제1 수용부(140)의 반경방향 외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고전압 커넥터(500)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수용부(16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수용부(160)는 고전압 커넥터 자체의 하우징일 수도 있다. 고전압 커넥터(500)가 CM 초크(400)의 반경방향 외측에 나란하게 배치됨에 따라, 고전압 커넥터(500)와 CM 초크(400)의 연결이 용이하며,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커넥터(500)는 제1 버스바(520)를 통해 CM 초크(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CM 초크(400)는 제2 버스바(420)를 통해 회로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CM 초크(400)는 제1 버스바(520)와 제2 버스바(420)에 각각 용접됨으로써 서포트 바디(100)에 용이하게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 바디(100)는 중심부(120)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저전압 커넥터(600)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3 수용부(18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3 수용부(180)는 저전압 커넥터 자체의 하우징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저전압 커넥터(600) 또한 서포트 바디(100)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전동 압축기를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수용부(140)와 제3 수용부(180)는 중심부(120)로부터 동일한 방향을 향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압 커넥터(600)는 회로 기판(200)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버터 커버(300)는 서포트 바디(100)의 일 측에 결합되되, 본 실시 예에서는 서포트 바디의 중심부(120)와 제1 수용부(140)를 덮는다. 즉, 인버터 커버(300)의 내부에 고전압 커넥터(500) 및 저전압 커넥터(600)는 배치되지 않는다. 체결부재(860)가 인버터 커버(300) 및 서포트 바디(100)를 관통하여 프론트 하우징(12)까지 설치됨으로써, 인버터 커버(300)와 서포트 바디(100)가 프론트 하우징(12)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인버터 커버(300)와 서포트 바디(100) 사이, 그리고 서포트 바디(100)와 프론트 하우징(12) 사이에는 각각 실링부재(900)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 커버(300)와 프론트 하우징(12)에서 각각 서포트 바디(100)를 마주보는 측에 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원형의 돌출부가 서포트 바디(100)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결합됨으로써, 서로 맞닿는 면 사이에 각각 실링부재(900)로서 O-ring이 구비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CM 초크(400)가 회로 기판(20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서포트 바디(100)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회로 기판(200)의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며, 인버터 커버(300)의 길이 또한 축소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인버터부(20)의 패키지 축소, 경량화, 원가 절감 및 설계자유도 상승의 효과가 있으며, 전동 압축기(1)의 전체적인 길이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커넥터(500) 및 저전압 커넥터(600)가 서포트 바디(100)에 일체형으로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볼트 및 가공이 불필요하므로 부품수와 무게 감소가 가능하고, 비용 절감 및 생산성 증대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전동 압축기 10: 하우징
12: 프론트 하우징 12a:관통홀
12b: 돌출부 14: 리어 하우징
20: 인버터부 30: 터미널
100: 서포트 바디 102: 관통홀
104: 체결홀 106: 슬롯
120: 중심부 140: 제1 수용부
160: 제2 수용부 180: 제3 수용부
200: 회로 기판 202: 관통홀
204: 체결홀 220: 지능형 전력 모듈(IPM)
300: 인버터 커버 400: CM 초크
420: 제2 버스바 500: 고전압 커넥터
520: 제1 버스바 600: 저전압 커넥터
700: 전자파 차폐부재 820: 스피드 리벳
840: 볼트 860: 체결부재
900: 실링부재

Claims (13)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압축부;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부를 구동하는 모터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결합되는 서포트 바디; 및
    상기 서포트 바디의 일 측에 결합되는 인버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바디는,
    회로 기판이 안착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CM 초크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디는,
    상기 제1 수용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고전압 커넥터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디는,
    상기 중심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저전압 커넥터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3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3 수용부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동일한 방향을 향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커버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1 수용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디를 둘러싸는 금속의 전자파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커버와 상기 서포트 바디 사이, 및 상기 서포트 바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각각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8. 제1항에 있어서,
    스피드 리벳이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서포트 바디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볼트가 상기 스피드 리벳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까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9. 제1항에 있어서,
    체결부재가 상기 인버터 커버, 상기 서포트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까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지능형 전력 모듈(IPM)은 상기 하우징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지능형 전력 모듈(IPM)이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 바디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커넥터는 제1 버스바를 통해 상기 CM 초크에 연결되고, 상기 CM 초크는 제2 버스바를 통해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M 초크는 상기 제1 버스바와 상기 제2 버스바에 각각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KR1020210141377A 2021-10-21 2021-10-21 전동 압축기 KR2023005720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377A KR20230057203A (ko) 2021-10-21 2021-10-21 전동 압축기
JP2023542975A JP2024504955A (ja) 2021-10-21 2022-10-12 電動圧縮機
CN202280024580.0A CN117120725A (zh) 2021-10-21 2022-10-12 电动压缩机
PCT/KR2022/015433 WO2023068643A1 (ko) 2021-10-21 2022-10-12 전동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377A KR20230057203A (ko) 2021-10-21 2021-10-21 전동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203A true KR20230057203A (ko) 2023-04-28

Family

ID=8605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377A KR20230057203A (ko) 2021-10-21 2021-10-21 전동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504955A (ko)
KR (1) KR20230057203A (ko)
CN (1) CN117120725A (ko)
WO (1) WO202306864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215A (ko) 2019-03-29 2020-10-07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동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4761B2 (ja) * 2012-09-18 2016-08-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載用電動圧縮機
KR102372021B1 (ko) * 2015-10-02 2022-03-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WO2017170817A1 (ja) * 2016-03-31 2017-10-05 株式会社 豊田自動織機 車載用電動圧縮機
KR102379078B1 (ko) * 2019-06-27 2022-03-28 두원중공업(주) 전동식 압축기
JP7306282B2 (ja) * 2020-01-30 2023-07-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215A (ko) 2019-03-29 2020-10-07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동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8643A1 (ko) 2023-04-27
JP2024504955A (ja) 2024-02-02
CN117120725A (zh) 202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563B1 (en) Motor-driven compressor
US8152490B2 (en) Motor driven compressor
KR101745729B1 (ko) 전동 압축기
US20010022939A1 (en) Electric compressor
CN107407279B (zh) 电动压缩机
WO2006129448A1 (ja) 電動圧縮機
US6737773B2 (en) Wiring structure of motor in hybrid compressor
US7112045B2 (en) Electric compressor
JP7306282B2 (ja) 電動圧縮機
KR20230057203A (ko) 전동 압축기
KR20230097747A (ko) 전동 압축기
KR20140021343A (ko) 전동 압축기의 인버터 커버
US20040247458A1 (en) Fluid machine
US20240097535A1 (en) Electric compressor
JP2008082279A (ja) 電動コンプレッサ
JP4225101B2 (ja) 電動圧縮機
KR20120016833A (ko) 차량용 전동식압축기
WO2022113974A1 (en) An electric machine
KR20220157178A (ko)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KR20200140967A (ko) 전동식 압축기
KR20240083279A (ko) 전동 압축기
WO2023017828A1 (en) An electric machine
KR20230102656A (ko)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KR20240054492A (ko) 전동 압축기
CN117955404A (zh) 电动压缩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