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882A -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 Google Patents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882A
KR20110060882A KR1020117001492A KR20117001492A KR20110060882A KR 20110060882 A KR20110060882 A KR 20110060882A KR 1020117001492 A KR1020117001492 A KR 1020117001492A KR 20117001492 A KR20117001492 A KR 20117001492A KR 20110060882 A KR20110060882 A KR 20110060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glass
interlayer film
polyvinyl acetal
weight part
plastic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1393B1 (ko
Inventor
쇼우타 마츠다
고조 나카무라
미치오 시마모토
신율 양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07356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6088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0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3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1Esters; Ether-esters of acyclic poly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27Next to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27Next to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10T428/3163Next to acetal of polymerized unsaturated alcohol [e.g., formal butyral,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42Of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42Of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 Y10T428/31946Next to second aldehyde or ketone condensation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0 ℃ 이하의 환경하에 있어서 고체음의 차음성이 우수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한다. 또, 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합판 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파수 1 Hz 에서의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1 이 -30 ℃∼0 ℃ 의 범위 내인 차음층을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다.

Description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본 발명은, 0 ℃ 이하의 환경하에 있어서 고체음의 차음성이 우수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관한 것이다. 또, 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합판 유리에 관한 것이다.
합판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 파손해도 유리의 파편이 비산하는 것이 적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다. 그 때문에, 자동차 등의 차량, 항공기, 건축물 등의 창유리 등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합판 유리로서, 적어도 1 쌍의 유리판 사이에, 예를 들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등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개재시키고, 적층하여 일체화시킨 합판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합판 유리를 경량화하기 위해서, 합판 유리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합판 유리의 두께를 얇게 하면, 차음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합판 유리를 자동차 등의 프론트 유리로서 사용한 경우, 풍절음이나 와이퍼의 구동음 등의 5000 Hz 정도 음역의 차음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복수 장의 유리판과, 그 복수 장의 유리판 사이에 개재된 중간막을 구비한 합판 유리로서, 중간막은, 아세탈화도가 60∼85 mol% 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과, 가소제를 함유하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이 30 질량부를 초과하고,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의 함유량이 0.001∼1.0 질량부인 차음층을 갖는 합판 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합판 유리는 차음성이 우수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차의 소음이나 경적 소리 등의 공기음과, 차의 엔진 진동에 의한 소리 등의 고체음이 있지만,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합판 유리는, 0 ℃ 이하의 환경하에 있어서 고체음의 차음성이 열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70200호
본 발명은, 0 ℃ 이하의 환경하에 있어서 고체음의 차음성이 우수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합판 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파수 1 Hz 에서의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1 이 -30 ℃∼0 ℃ 의 범위 내인 차음층을 갖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tanδ 란,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손실 정접의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tanδ 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하여, 시험 시트 (직경 8 ㎜) 를 제조한다. 이 시험 시트의 동적 점탄성을, 전단법으로, 변형량 1.0 % 및 주파수 1 Hz 의 조건하에 있어서, 승온 속도 3 ℃/분으로 동적 점탄성의 온도 분산을 측정함으로써, tanδ 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란, 얻어진 손실 정접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는, 예를 들어, 점탄성 측정 장치 (레오메트릭스사 제조 「ARES」) 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주파수 1 Hz 에서의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1 이 -30 ℃∼0 ℃ 의 범위 내인 차음층을 갖는다. 차음층의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1 이 -30 ℃ 미만이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강도가 저하되고, 0 ℃ 을 초과하면, 0 ℃ 이하의 환경하에 있어서, 고체음의 차음성이 저하된다. 차음층의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1 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5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 ℃ 이고,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2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6 ℃ 이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18 ℃,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10 ℃ 이다.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1 이 상기 범위에 있는 차음층은, 예를 들어, 이하의 2 개의 양태가 있다.
제 1 양태는,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또는 4 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를 71 중량부 이상 함유하는 차음층이다.
제 2 양태는,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5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를 50 중량부 이상 함유하는 차음층이다.
이하에 이들 양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양태의 차음층은,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또는 4 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라고도 한다)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를 71 중량부 이상 함유한다. 본 발명자들은, 대량의 가소제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함유하는 차음층은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낮고, 주파수 1 Hz 에서의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1 을 -30 ℃∼0 ℃ 의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제 1 양태의 차음층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대해 대량의 가소제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0 ℃ 이하의 환경하라도, 고체음의 차음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에 함유되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3 또는 4 이다. 즉,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하는 알데히드는, 탄소수가 3 또는 4 의 알데히드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에 함유되는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미만이면,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저하되지 않고, 0 ℃ 이하의 환경하에 있어서, 고체음의 차음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탄소수가 3 또는 4 의 알데히드는, 예를 들어,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n-부틸알데히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의 아세틸기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15 mol%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의 아세틸기량이 15 mol% 미만이면, 가소제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의 상용성이 낮아, 가소제가 블리드 아웃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의 아세틸기량의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실질적인 상한은 30 mol%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의 아세틸기량이 30 mol% 를 초과하면,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과 알데히드의 반응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므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제조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아세틸기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7 mol%,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5 mol% 이고,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7.5 mol%,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2 mol%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의 수산기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21.5 mol%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의 수산기량이 21.5 mol% 를 초과하면, 가소제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의 상용성이 낮아, 가소제가 블리드 아웃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의 수산기량의 하한은 특별히 없지만, 실질적인 하한은 10 mol% 이다. 상기 수산기량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 mol%,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8.5 mol%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의 평균 중합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500, 바람직한 상한은 5000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의 평균 중합도가 500 미만이면,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의 평균 중합도가 5000 을 초과하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성형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의 평균 중합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8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500 이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3000 이다.
또, 얻어지는 합판 유리의 판 어긋남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의 평균 중합도가 26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7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판 어긋남이란, 합판 유리를 기대어 세운 상태에서 고온 환경하에 보관했을 때에, 유리판의 무게에 의해 일방의 유리판에 대해 타방의 유리판이 어긋나 버리는 현상을 의미한다.
상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 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유기 인산 가소제,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1 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과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페라르곤산(n-노닐산), 데실산 등의 1 염기성 유기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콜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디프산, 세바스산, 아젤라인산 등의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8 의 직사슬 또는 분기 구조를 갖는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1,4-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1,2-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헵타노에이트, 디헥실아디페이트,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헵틸노닐, 세바스산디부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트리부톡시에틸 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디헥실아디페이트 (DHA),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4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3GH),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4GH),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4G7)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3G7)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4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3GH),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4GH),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4G7),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3G7) 등의 디에스테르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양태의 차음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해 하한이 71 중량부이다. 제 1 양태의 차음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이 71 중량부 미만이면, 주파수 1 Hz 에서의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1 이 -30 ℃∼0 ℃ 을 범위 내로 할 수 없고, 0 ℃ 이하의 환경하에 있어서 고체음의 차음성이 저하된다. 제 1 양태의 차음층에 있어서의 가소제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8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0 중량부이다.
제 1 양태의 차음층에 있어서의 가소제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상한은 160 중량부이다. 제 1 양태의 차음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이 16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가 블리드 아웃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얻어지는 합판 유리를 기대어 세운 상태에서 고온 환경하에 보관했을 때에 판 어긋남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제 1 양태의 차음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50 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40 중량부이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120 중량부이다.
제 2 양태의 차음층은,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5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라고도 한다)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를 50 중량부 이상 함유한다. 본 발명자들은,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특정의 범위에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는,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낮고, 일정 이상의 가소제를 배합함으로써, 주파수 1 Hz 에서의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1 을 -30 ℃∼0 ℃ 의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제 2 양태의 차음층은,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5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0 ℃ 이하의 환경하에서도 고체음의 차음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아세트산 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에 함유되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5 이상이다. 즉,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하는 알데히드는, 탄소수가 5 이상의 알데히드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에 함유되는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5 미만이면,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저하되지 않아, 대량의 가소제를 이용하지 않으면, 0 ℃ 이하의 환경하에 있어서, 차음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없지만, 실질적으로는 12 가 상한이다. 탄소수가 12 를 초과하는 알데히드를 사용하여 공업적으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합성하는 것은 곤란하고, 현시점에 있어서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12 를 초과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시판품도 없다. 상기 아세탈기의 탄소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6,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1 이다.
상기 탄소수가 5 이상의 알데히드는, 예를 들어, n-발레르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2-에틸헥실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헵틸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신남알데히드, n-운데실알데히드, n-도데실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n-헥실알데히드, 2-에틸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의 아세틸기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5 mol%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의 아세틸기량이 5 mol% 미만이면, 가소제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의 상용성이 낮아, 가소제가 블리드 아웃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의 아세틸기량의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실질적인 상한은 30 mol% 이다. 상기 아세틸기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8 mol%,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0 mol%,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12 mol%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의 수산기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39 mol%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의 수산기량이 39 mol% 를 초과하면, 가소제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의 상용성이 낮아, 가소제가 블리드 아웃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의 수산기량의 하한은 특별히 없지만, 실질적인 하한은 10 mol% 이다. 상기 수산기량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5 mol%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의 평균 중합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2600, 바람직한 상한은 5000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의 평균 중합도가 2600 미만이면,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이 저하되거나, 얻어지는 합판 유리를 기대어 세운 상태에서 고온 환경하에 보관했을 때에 판 어긋남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의 평균 중합도가 5000 을 초과하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성형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의 평균 중합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7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200 이다.
상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 1 양태의 차음층에서 사용하는 가소제와 동일한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제 2 양태의 차음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100 중량부에 대한 하한이 50 중량부이다. 제 2 양태의 차음층에서는,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5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를 사용함으로써, 제 1 양태의 차음층에 비해 소량의 가소제의 배합이어도 주파수 1 Hz 에서의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1 을 -30 ℃∼0 ℃ 의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어, 0 ℃ 이하의 환경하에서의 고체음의 차음성을 실현할 수 있다. 제 2 양태의 차음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60 중량부이다.
제 2 양태의 차음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상한은 80 중량부이다. 제 2 양태의 차음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가 블리드 아웃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얻어지는 합판 유리를 기대어 세운 상태에서 고온 환경하에 보관했을 때에 판 어긋남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제 2 양태의 차음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75 중량부이다.
상기 차음층의 두께의 바람직한 하한은 20 ㎛, 바람직한 상한은 1800 ㎛ 이다. 상기 차음층의 두께가 20 ㎛ 미만이면, 충분한 차음성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차음층의 두께가 1800 ㎛ 를 초과하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져 실용적이지 않은 경우가 있다. 상기 차음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00 ㎛ 이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차음층이 2 장의 보호층 사이에 협지되어 있고, 보호층, 차음층, 보호층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차음층과 조합함으로써, 0 ℃ 이하의 환경하뿐만 아니라, 0 ℃ 을 초과하는 환경하에 있어서의 고체음의 차음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갖는다. 상기 보호층은, 제 1 양태의 차음층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차음층으로부터의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을 방지하는 역할도 갖는다.
상기 보호층은, 주파수 1 Hz 에서의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2 가 상기 T1 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0 ℃ ∼4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층의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2 가 상기 T1 보다 높음으로써, 0 ℃ 이하의 환경하뿐만 아니라, 0 ℃ 을 초과하는 환경하에 있어서의 고체음의 차음성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T2 를 0 ℃ ∼40 ℃ 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상온역에 있어서의 고체음의 차음성이 얻어진다. 또한, 상온역이란, 5 ℃ ∼ 35 ℃ 의 범위 내를 의미한다. 상기 T2 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9 ℃ 이다.
상기 보호층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라고도 한다) 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 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아세트산 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80 mol%, 바람직한 상한은 99.8 mol%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 에 함유되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 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하는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에 사용하는 알데히드와 동일한 알데히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 에 함유되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3 또는 4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 의 아세틸기량은 10 mo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세틸기량이 10 mol% 를 초과하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강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제 1 양태의 차음층과 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 의 아세틸기량은 3 mo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세틸기량이 3 mol% 이하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낮다.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낮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 를 함유하는 보호층을 사용함으로써, 제 1 양태의 차음층에 함유되는 대량의 가소제가 블리드 아웃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 의 아세틸기량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5 mol%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 의 아세탈화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60 mol%, 바람직한 상한은 75 mol% 이다. 이와 같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 를 함유하는 보호층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제 1 양태의 차음층에 함유되는 대량의 가소제가 블리드 아웃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 의 아세탈화도가 60 mol% 미만이면, 보호층의 내습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 의 아세탈화도가 75 mol% 를 초과하면, 아세탈화 반응이 잘 진행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보호층에 사용하는 가소제는, 상기 서술한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에 사용하는 가소제는, 상기 차음층에 사용하는 가소제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보호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한 하한이 25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50 중량부이다. 상기 보호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이 25 중량부 미만이면,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보호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보호층으로부터 가소제가 블리드 아웃함으로써,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보호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30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은 45 중량부이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의 바람직한 하한은 100 ㎛, 바람직한 상한은 1000 ㎛ 이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가 100 ㎛ 미만이면, 상온역에 있어서의 고체음의 차음성이 저하되거나, 상기 차음층으로부터 가소제가 블리드 아웃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가 1000 ㎛ 를 초과하면,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져 실용적이지 않은 경우가 있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0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00 ㎛ 이다.
상기 차음층 및 상기 보호층은, 필요에 따라 분산 보조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접착력 조정제, 내습제, 열선 반사제, 열선 흡수제, 형광 증백제, 청색 안료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상기 차음층 및 상기 보호층을 갖는 것인 경우,
상기 차음층은, 상기 주파수 1 Hz 에서의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1 이 -30 ℃∼0 ℃ 의 범위 내인 영역 (1) 과, 상기 보호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영역 (2) 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차음층을 이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판 어긋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영역 (1) 과 영역 (2) 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영역 (1) 과 영역 (2) 이 스트라이프상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영역 (1) 이 중앙부에, 그 영역 (1) 을 둘러싸도록 상기 영역 (2) 이 주변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필요에 따라 추가로 다른 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다른 층으로서, 열선 흡수 입자를 함유하는 층을 갖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차열성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의 바람직한 하한은 300 ㎛, 바람직한 상한은 2000 ㎛ 이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가 300 ㎛ 미만이면, 충분한 고체음의 차음성이나 내관통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가 2000 ㎛ 를 초과하면, 실용화되어 있는 합판 유리의 두께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40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200 ㎛ 이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차음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 및, 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을 각각 조제한 후, 공압출하는 방법이나, 각각을 압출이나 프레스 성형에 의해 시트화한 후에 적층하고, 일체화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2 장의 투명판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합판 유리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합판 유리를 페어 유리의 일부로서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에 사용되는 투명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투명 판유리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로트 판유리, 마판 유리, 형판 유리, 망입 판유리, 선입 판유리, 착색된 판유리, 열선 흡수 판유리, 열선 반사 판유리, 그린 유리 등의 무기 유리를 들 수 있다. 또,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유기 플라스틱스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판유리로서, 2 종류 이상의 판유리를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투명 플로트 판유리와 그린 유리와 같은 착색된 판유리 사이에,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협지함으로써 얻어진 합판 유리를 들 수 있다. 또, 상기 무기 유리와, 상기 유기 플라스틱스판 사이에, 본 발명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협지함으로써 얻어진 합판 유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합판 유리는, 자동차용 유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론트 유리,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루프 유리, 파노라마 유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합판 유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0 ℃ 이하의 환경하에 있어서 고체음의 차음성이 우수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할 수 있다. 또, 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합판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1) 수지 조성물 A 의 조제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4, 아세틸기량이 13 mol%, 수산기량이 22.5 mol%, 평균 중합도가 2300 인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71 중량부를 첨가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함으로써, 차음층용의 수지 조성물 A 를 조제하였다.
또한, n-부틸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되어 있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사용하였다.
(2) 수지 조성물 C 의 조제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4, 아세틸기량이 1 mol%, 부티랄화도가 65 mol% 인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30.5 중량부를 첨가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함으로써, 보호층용의 수지 조성물 C 를 조제하였다.
또한, n-부틸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되어 있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사용하였다.
(3)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수지 조성물 A 를 2 장의 테플론 (등록상표) 시트 사이에 0.1 ㎜ 의 클리어런스판을 개재하여 협지하고, 150 ℃ 에서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 0.1 ㎜ 의 수지 조성물 시트 A 를 얻었다.
수지 조성물 C 를 2 장의 테플론 (등록상표) 시트 사이에 0.35 ㎜ 의 클리어런스판을 개재하여 협지하고, 150 ℃ 에서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 0.35 ㎜ 의 수지 조성물 시트 C 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 시트 A, C 를 C/A/C 의 순서로 적층하였다. 그 적층체를 2 장의 테플론 (등록상표) 시트 사이에 0.8 ㎜ 의 클리어런스판을 개재하여 협지하고, 150 ℃ 에서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 0.8 ㎜ 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었다.
(실시예 2∼27, 비교예 1)
수지 조성물 A 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종류 및 가소제의 배합량을 표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었다.
또한, 실시예 20 에서는, 실시예 2 의 수지 조성물 A 의 조제에 있어서,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대신에, 프로피온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되어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8)
수지 조성물 A 및 수지 조성물 C 의 조제에 있어서,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3GH)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었다.
(실시예 29)
수지 조성물 A 및 수지 조성물 C 의 조제에 있어서,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3G7)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었다.
(실시예 30)
수지 조성물 A 및 수지 조성물 C 의 조제에 있어서, 가소제로서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4GO)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었다.
(실시예 31)
수지 조성물 A 및 수지 조성물 C 의 조제에 있어서, 가소제로서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4GH)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었다.
(실시예 32)
수지 조성물 A 및 수지 조성물 C 의 조제에 있어서, 가소제로서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4G7)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었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4 에 나타내었다.
(1) 주파수 1 Hz 에서의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1 및 T2 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 A, B 및 C 를 각각 150 ℃ 에서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 0.8 ㎜ 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시트를 직경 8 ㎜ 의 원형으로 오려내어, 시험 시트를 제조하였다. 시험 시트의 동적 점탄성을, 점탄성 측정 장치 (레오메트릭스사 제조 「ARES」) 를 사용하고, 전단법으로, 변형량 1.0 % 및 주파수 1 Hz 의 조건하에 있어서, 승온 속도 3 ℃/분으로 동적 점탄성의 온도 분산을 측정함으로써, tanδ 를 측정하고, 주파수 1 Hz 에서의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1 및 T2 를 측정하였다.
(2) 손실 계수 (Loss factor) 평가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세로 30 ㎜×가로 320 ㎜ 로 잘라내고, 2 장의 투명한 플로트 유리 (세로 25 ㎜×가로 305 ㎜×두께 2.0 ㎜) 로 협지하고, 진공 라미네이터로 90 ℃ 에서 30 분 유지하여 진공 프레스하였다. 유리에서 튀어 나온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잘라내어, 평가용 샘플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에 대해, 측정 장치 「SA-01」(리온사 제조) 을 사용하여 0 ℃ 의 조건하에서 중앙 가진법에 의해 손실 계수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손실 계수의 공진 주파수의 1 차 모드 (100 Hz 근방) 의 손실 계수를 평가하였다.
(3) 판 어긋남의 평가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 (15×30 ㎝) 을 2 장의 투명한 플로트 유리 (세로 15 ㎝×가로 30 ㎝×두께 2.0 ㎜) 에 의해 협지하고, 진공 라미네이터로 90 ℃ 에서 30 분 유지하고, 진공 프레스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의 일방의 면을 수직면에 고정시키고, 타방의 면에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플로트 유리 (15×30 ㎝×두께 15 ㎜) 를 접착하였다. 합판 유리의 측면에 어긋남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선을 긋고, 80 ℃ 의 환경하에서 30 일간 방치하였다. 30 일 경과한 후, 평가용 샘플의 2 장의 유리의 어긋남량을 측정하였다.
(4) 블리드 아웃 평가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세로 100 ㎜×가로 100 ㎜ 로 잘라내고, 이형 처리된 두께 100 ㎛ 의 PET 필름 (세로 100 ㎜×가로 100 ㎜) 과 투명한 플로트 유리 (세로 100 ㎜×가로 100 ㎜) 를, 유리/PET 필름/합판 유리용 중간막/PET 필름/유리의 순서로 적층하고, 진공 라미네이터로 90 ℃ 에서 30 분 유지하고, 진공 프레스하였다. 그 후, 유리 및 PET 필름을 제거하고,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꺼내어, 23 ℃ 의 환경하에서, 유성 매직을 사용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표면에 길이 8 ㎝ 의 선을 5 개 그었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23 ℃ 에서 4 주간 보관하였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4 주간 보관해도 모든 선이 번지지 않은 경우를 「◎」, 3 주간 보관 후에는 모든 선이 번지지 않았지만, 4 주간 보관 후에는 적어도 1 개의 선이 번진 경우를 「○」, 2 주간 보관 후에는 모든 선이 번지지 않았지만, 3 주간 보관 후에는 적어도 1 개의 선이 번진 경우를 「△」로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실시예 33)
(1) 수지 조성물 B 의 조제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5, 아세틸기량이 13 mol%, 수산기량이 22.5 mol%, 평균 중합도가 2300 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60 중량부를 첨가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함으로써, 차음층용의 수지 조성물 A 를 조제하였다.
또한, n-발레르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되어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하였다.
(2) 수지 조성물 C 의 조제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4, 아세틸기량이 1 mol%, 부티랄화도가 65 mol% 인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30.5 중량부를 첨가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함으로써, 보호층용의 수지 조성물 C 를 조제하였다. 또한, n-부틸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되어 있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사용하였다.
(3)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수지 조성물 B 를 2 장의 테플론 (등록상표) 시트 사이에 0.1 ㎜ 의 클리어런스판을 개재하여 협지하고, 150 ℃ 에서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 0.1 ㎜ 의 수지 조성물 시트 B 를 얻었다.
수지 조성물 C 를 2 장의 테플론 (등록상표) 시트 사이에 0.35 ㎜ 의 클리어런스판을 개재하여 협지하고, 150 ℃ 에서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 0.35 ㎜ 의 수지 조성물 시트 C 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 시트 B, C 를 C/B/C 의 순서로 적층하였다. 그 적층체를 2 장의 테플론 (등록상표) 시트 사이에 0.8 ㎜ 의 클리어런스판을 개재하여 협지하고, 150 ℃ 에서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 0.8 ㎜ 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었다.
(실시예 34∼51, 비교예 2, 3)
수지 조성물 B 에 함유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종류 및 가소제의 배합량을 표 4∼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어,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5∼7 에 나타내었다.
또한,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5 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n-발레르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되어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하였다.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6 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n-헥실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되어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하였다.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7 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n-헵틸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되어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하였다.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8 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n-옥틸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되어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하였다.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9 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n-노닐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되어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하였다.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10 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n-데실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되어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하였다.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11 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n-운데실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되어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하였다.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12 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n-도데실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되어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0 ℃ 이하의 환경하에 있어서 고체음의 차음성이 우수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할 수 있다. 또, 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합판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주파수 1 Hz 에서의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1 이 -30 ℃∼0 ℃ 의 범위 내인 차음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차음층은,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또는 4 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를 71 중량부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3. 제 2 항에 있어서,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또는 4 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이 160 중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4. 제 2 항에 있어서,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또는 4 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평균 중합도가 26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5. 제 2 항에 있어서,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또는 4 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수산기량이 2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6. 제 2 항에 있어서,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또는 4 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아세틸기 양이 1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7. 제 1 항에 있어서,
    차음층은,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5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를 50 중량부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8. 제 7 항에 있어서,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5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가소제의 함유량이 80 중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9. 제 7 항에 있어서,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5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평균 중합도가 26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10. 제 7 항에 있어서,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5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수산기량이 3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11. 제 7 항에 있어서,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5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아세틸기량이 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12. 제 1 항에 있어서,
    차음층이 2 장의 보호층 사이에 협지되어 있고, 상기 보호층의 주파수 1 Hz 에서의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2 가 T1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13. 제 8 항에 있어서,
    보호층의 주파수 1 Hz 에서의 tanδ 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온도 T2 가 0 ℃∼40 ℃ 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14. 제 8 항에 있어서,
    보호층은,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또는 4, 아세탈화도가 60∼75 ㏖%, 아세틸기량이 10 ㏖% 이하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를 25∼5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15. 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항 또는 제 14 항에 기재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2 장의 투명판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유리.
KR1020117001492A 2008-09-30 2009-09-30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KR101641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54700 2008-09-30
JP2008254700 2008-09-30
JP2008324518 2008-12-19
JPJP-P-2008-324518 2008-12-19
JP2009163995 2009-07-10
JPJP-P-2009-163995 2009-07-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884A Division KR101777536B1 (ko) 2008-09-30 2009-09-30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882A true KR20110060882A (ko) 2011-06-08
KR101641393B1 KR101641393B1 (ko) 2016-07-20

Family

ID=420735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884A KR101777536B1 (ko) 2008-09-30 2009-09-30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KR1020117001492A KR101641393B1 (ko) 2008-09-30 2009-09-30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884A KR101777536B1 (ko) 2008-09-30 2009-09-30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8551621B2 (ko)
EP (1) EP2330090B2 (ko)
JP (4) JP5616637B2 (ko)
KR (2) KR101777536B1 (ko)
CN (2) CN102164872B (ko)
RU (1) RU2510723C2 (ko)
WO (1) WO20100388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0090B2 (en) * 2008-09-30 2019-10-23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5244243B2 (ja) * 2010-07-16 2013-07-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3299349A1 (en) * 2010-09-30 2018-03-28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WO2012043819A1 (ja) 2010-09-30 2012-04-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2674406B1 (en) * 2011-02-10 2020-08-19 Sekisui Chemical Co., Ltd. Laminated glass intermediate film and laminated glass
JP5717522B2 (ja) * 2011-04-19 2015-05-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多層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160013935A (ko) 2013-05-22 2016-02-05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적층체
US20140363651A1 (en) 2013-06-10 2014-12-11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having improved optical properties
MX2016003839A (es) * 2013-09-30 2016-08-19 Sekisui Chemical Co Ltd Pelicula intermedia para vidrio laminado y vidrio laminado.
EP3067336B1 (en) * 2014-01-15 2019-10-09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KR102338561B1 (ko) 2014-02-20 2021-12-14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6577456B2 (ja) * 2014-03-14 2019-09-18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ウインドシールド
JP5946964B2 (ja) 2014-03-28 2016-07-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RU2693108C2 (ru) * 2014-09-30 2019-07-01 Секисуй Кемикал Ко., Лтд. Промежуточная пленка дл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стекла и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US10252500B2 (en) 2014-10-02 2019-04-09 Solutia Inc. Multiple layer interlayer resisting defect formation
US9809010B2 (en) 2014-10-15 2017-11-07 Solutia Inc. Multilayer interlayer having sound damping properties over a broad temperature range
US9355631B2 (en) 2014-10-15 2016-05-31 Solutia Inc. Multilayer interlayer having sound damping properties over a broad temperature range
US10427384B2 (en) * 2014-11-10 2019-10-01 Kuraray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US9586386B2 (en) 2014-12-08 2017-03-07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815976B2 (en) 2014-12-08 2017-11-14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884957B2 (en) 2014-12-08 2018-02-06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586387B2 (en) 2014-12-08 2017-03-07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809006B2 (en) 2014-12-08 2017-11-07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having improved sound insulation properties
US9724899B2 (en) 2014-12-08 2017-08-08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properties
US9573329B2 (en) 2014-12-08 2017-02-21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975315B2 (en) 2014-12-08 2018-05-22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809009B2 (en) 2014-12-08 2017-11-07 Solutia Inc. Multiple layer interlayer having improved optical and sound insulation properties
WO2016094216A1 (en) * 2014-12-08 2016-06-16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properties
US10354636B2 (en) 2014-12-08 2019-07-16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having improved sound insulation properties
US9809695B2 (en) 2014-12-08 2017-11-07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9925746B2 (en) 2014-12-08 2018-03-27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10553193B2 (en) 2014-12-08 2020-02-04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having improved sound insulation properties
US9522517B2 (en) 2014-12-08 2016-12-20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20180104931A1 (en) * 2015-03-27 2018-04-19 Kuraray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U2016242392A1 (en) * 2015-03-31 2017-06-08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CA2981859A1 (en) * 2015-03-31 2016-10-06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US10270337B2 (en) * 2015-05-25 2019-04-23 Apple Inc. Dynamic integration based current limiting for power converters
JP6485309B2 (ja) * 2015-09-30 2019-03-20 Agc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US11325354B2 (en) 2016-03-28 2022-05-10 Kuraray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US10538063B2 (en) 2016-05-09 2020-01-21 Kuraray America, Inc. Multilayer interlayer and glass laminate
US10668691B2 (en) 2016-06-21 2020-06-02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US10589495B2 (en) 2016-06-21 2020-03-17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US10926516B2 (en) 2016-06-21 2021-02-23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US10737470B2 (en) 2016-06-21 2020-08-11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US10611906B2 (en) 2016-06-21 2020-04-07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KR20190060784A (ko) * 2016-10-11 2019-06-03 쿠라라이 유럽 게엠베하 높은 가소제 함량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을 기반으로 한 다층 필름
JP6286007B2 (ja) * 2016-10-27 2018-02-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3532290B1 (en) 2016-10-28 2022-01-05 Kuraray Europe GmbH Wedge-shaped multilayer interlayer and glass laminate
US10438575B2 (en) 2017-11-20 2019-10-08 Chang Chun Petrochemical Co., Ltd. Multilayer film, interlayer film comprising the multilayer film and laminated glass and sound-insulating glass laminate comprising the interlayer fil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0864A (ja) * 1992-05-27 1993-12-14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2007070200A (ja) 2005-09-09 2007-03-22 Asahi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0878A (en) * 1973-06-18 1975-11-18 Monsanto Co Plasticized polyvinyl butyral interlayers
JPH05229049A (ja) * 1992-02-25 1993-09-07 Sekisui Chem Co Ltd 遮音性中間膜
JP2703471B2 (ja) 1992-04-23 1998-01-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US5340654A (en) * 1992-04-23 1994-08-23 Sekisu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JPH06115980A (ja) 1992-10-06 1994-04-26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3333013B2 (ja) * 1993-09-13 2002-10-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3377848B2 (ja) 1994-01-07 2003-02-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それを用いた合わせガラス
JPH08109048A (ja) * 1994-10-11 1996-04-30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JP3290573B2 (ja) 1994-11-07 2002-06-1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CA2162243A1 (en) * 1994-11-07 1996-05-08 Jiro Miyai Interlayer film and laminated glass using the same
JP3995125B2 (ja) * 1998-01-26 2007-10-24 三菱樹脂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4986312B2 (ja) 1999-03-25 2012-07-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1226152A (ja) * 2000-02-15 2001-08-21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TW574161B (en) 2000-03-02 2004-02-01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4076730B2 (ja) * 2000-03-02 2008-04-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DE10100681B4 (de) * 2001-01-09 2005-11-24 Kuraray Specialities Europe Gmbh Weichmacherhaltige Polyvinylbutyral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insbesondere zur Herstellung von Folien zum Einsatz in Verbundsicherheitsgläsern
JP2004002108A (ja) * 2002-05-31 2004-01-08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4075501A (ja) 2002-08-22 2004-03-11 Asahi Glass Co Ltd 湾曲合わせガラス
US7060358B2 (en) * 2003-06-09 2006-06-13 Solutia, Incorporated Polyvinyl butyral sheet with bifunctional surface modifying agent
BR122014016215B1 (pt) 2003-12-26 2016-07-26 Sekisui Chemical Co Ltd filme intercamadas para vidro laminado e vidro laminado
JP4364005B2 (ja) * 2004-02-16 2009-11-11 ロンシール工業株式会社 折板屋根用制振遮音シート、制振遮音材及び折板屋根
EP1845070B1 (en) 2005-02-03 2012-10-24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CN101124176A (zh) 2005-02-03 2008-02-13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和夹层玻璃
JP2006240893A (ja) * 2005-02-28 2006-09-14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着色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JP4636904B2 (ja) 2005-03-09 2011-02-2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シ−ト及び積層体
US7510771B2 (en) * 2005-03-17 2009-03-31 Solutia Incorporated Sound reducing polymer interlayers
US20060216485A1 (en) * 2005-03-24 2006-09-28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comprising skin layers
US20070036956A1 (en) * 2005-08-15 2007-02-15 Solutia, Inc. Interlayers comprising an ultraviolet curable layer
JP5047517B2 (ja) * 2006-03-23 2012-10-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積層体
JP4966583B2 (ja) * 2006-05-08 2012-07-0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透明積層体用中間膜及び透明積層体
JP5317696B2 (ja) * 2006-05-31 2013-10-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4465333B2 (ja) 2006-06-12 2010-05-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4465334B2 (ja) 2006-06-13 2010-05-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7842395B2 (en) * 2006-11-01 2010-11-30 Solutia Inc. Multiple layer interlayers having a gradient region
EP1977885A1 (en) * 2007-04-05 2008-10-08 Kuraray Europe GmbH Interlayer films for laminated glazing containing silica with specific refractive index
JP4472780B2 (ja) * 2008-04-23 2010-06-0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0235432A (ja) * 2008-07-01 2010-10-21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2330090B2 (en) * 2008-09-30 2019-10-23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5330864B2 (ja) * 2009-03-05 2013-10-30 大阪瓦斯株式会社 水素含有ガス生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0864A (ja) * 1992-05-27 1993-12-14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2007070200A (ja) 2005-09-09 2007-03-22 Asahi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393B1 (ko) 2016-07-20
JP2015071532A (ja) 2015-04-16
JP6666934B2 (ja) 2020-03-18
US20140349123A1 (en) 2014-11-27
KR20160087920A (ko) 2016-07-22
JP6279628B2 (ja) 2018-02-14
CN103880301A (zh) 2014-06-25
JP2018087135A (ja) 2018-06-07
KR101777536B1 (ko) 2017-09-11
US8551621B2 (en) 2013-10-08
RU2510723C2 (ru) 2014-04-10
EP2330090A1 (en) 2011-06-08
JP5882428B2 (ja) 2016-03-09
US8828549B2 (en) 2014-09-09
JPWO2010038801A1 (ja) 2012-03-01
RU2011107940A (ru) 2012-11-10
EP2330090B1 (en) 2016-09-21
EP2330090A4 (en) 2012-04-04
JP5616637B2 (ja) 2014-10-29
WO2010038801A1 (ja) 2010-04-08
US20110192678A1 (en) 2011-08-11
CN103880301B (zh) 2017-04-12
US20140000977A1 (en) 2014-01-02
US9789668B2 (en) 2017-10-17
JP2016128379A (ja) 2016-07-14
US20180001601A1 (en) 2018-01-04
CN102164872B (zh) 2014-04-02
EP2330090B2 (en) 2019-10-23
CN102164872A (zh)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6934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11141957B2 (en)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EP2399875B1 (en)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US8795821B2 (en)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2019069899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7124969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649740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20160279905A1 (en)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WO2014069593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1225432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533599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