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899A -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 - Google Patents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899A
KR20110044899A KR1020117005771A KR20117005771A KR20110044899A KR 20110044899 A KR20110044899 A KR 20110044899A KR 1020117005771 A KR1020117005771 A KR 1020117005771A KR 20117005771 A KR20117005771 A KR 20117005771A KR 20110044899 A KR20110044899 A KR 20110044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pper tape
base
seal
strip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이치 다나카
도모히코 다마오키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16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 B65D33/25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located between the fastener and the product compartmen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10Slide fasteners with a one-piece interlocking member on each stringer tape
    • A44B19/16Interlocking member having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stri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7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the slide fastener providing access to the bag through a bag wall, e.g. intended to be cut open by the consumer
    • B65D33/2583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the slide fastener providing access to the bag through a bag wall, e.g. intended to be cut open by the consumer the slide fastener being attached to one wall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32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having interlocking surface with continuous cross section
    • Y10T24/2534Opposed interlocking surface having dissimilar cross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지퍼 테이프 (20) 의 일방의 띠 형상 기부 (22) 에, 후육부 (224A) 보다 얇게 형성되고, 또한 수납 공간 (15) 과 외부를 가로막는 띠 형상의 절단부 (32) 를 개재하여, 후육부 (224A) 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또한 주머니체 (10) 의 내면 (10A) 에 접착시킬 수 있는 시일 기부 (33) 를 연접하였다. 그리고, 절단부 (32) 의 절단 외부면 (321) 과 시일 기부 (33) 의 시일 외부 연속면 (333) 에 의해 제 1 모서리부 (a) 를 갖는 제 1 연접부 (30) 를 형성함과 함께, 절단부 (32) 의 절단 수납면 (322) 과 시일 기부 (33) 의 시일 수납 연속면 (334) 에 의해 제 2 모서리부 (b) 를 갖는 제 2 연접부 (31) 를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ZIPPER TAPE AND PACKAGING BAG WITH ZIPPER TAPE}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머니체의 내면에 지퍼 테이프가 접착된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 (이하, 「포장백」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포장백에 내용물로서 분체나 액체를 충전한 경우, 수송 중에 지퍼보다 톱 시일측으로 내용물이 새어 나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지퍼 테이프와 내용물 사이에 격리 구조를 가진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 3 참조).
지퍼 테이프에 형성되는 격리 구조로는, 예를 들어 지퍼 테이프의 일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절단부, 혹은 주머니체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시일이 알려져 있다. 포장백을 개봉할 때에 절단부를 절단 혹은 박리하여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수부재의 띠 형상 기부의 내용물측에 폭이 넓은 시일 기부가 형성되고, 이 시일 기부에 선 형상의 절단부가 형성된 포장백이 개시되어 있다. 포장백은 선 형상의 절단부가 암부재의 띠 형상 기부의 단부 (端部) 에 접착됨으로써 밀봉된다. 그리고, 포장백은 척 테이프를 열 때의 힘에 의해 선 형상의 절단부가 절단되어 개봉된다.
특허문헌 2 의 도 10 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수부재의 띠 형상 기부의 내용물측에 얇고 선 형상인 절단부가 형성되고, 이 절단부가 절단됨으로써 포장백이 개봉되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에는 끼워맞춤구(具)의 수형측과 암형측의 비개봉측 플랜지 부분의 선단부가 접합된 접합 부분이 절단부로서 형성되고, 이 접합 부분을 잘라냄으로써 포장용 주머니체가 개봉되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 또, 수형측 및 암형측의 선단부에 단면이 삼각 형상인 돌기물이 형성되어, 절단부로 응력이 집중되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4324호 국제 공개공보 2004/05048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51987호
그러나, 특허문헌 1, 2 에서는 절단부가 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부재 및 암부재의 띠 형상 기부 혹은 시일 기부를 주머니체 내면에 시일할 때, 시일 기부와 절단부의 위치를 맞추기가 어려워, 절단부가 직접 주머니체 내면에 접착되거나 띠 형상 기부와 시일 기부가 접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절단부의 절단성이 저해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서는 적어도 돌기 형상물의 일방이 주머니 본체 필름에 고착되어 있지 않으면, 절단부에 개봉하기에 충분한 응력이 주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절단부가 잘 절단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절단부의 절단성이 우수하고, 개봉이 용이한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퍼 테이프는, 채우거나 풀 수 있게 걸어맞춰서 주머니체의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맞물림부와, 이 맞물림부에 연접되어 상기 주머니체의 내면에 접착시킬 수 있는 띠 형상 기부를 갖는 1 쌍의 수부재 및 암부재를 구비한 지퍼 테이프로서, 상기 일방의 띠 형상 기부는, 그 수납 공간측의 단부에, 상기 일방의 띠 형상 기부보다 얇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납 공간과 외부를 가로막는 띠 형상의 절단부를 개재하여, 상기 일방의 띠 형상 기부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주머니체의 내면에 접착시킬 수 있는 시일 기부가 연접되고, 상기 절단부 및 상기 시일 기부의 상기 수납 공간측 연접부와, 상기 절단부 및 상기 시일 기부의 상기 외부측 연접부는 각각 모서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절단부를 띠 형상 기부보다 얇은 띠 형상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절단부를 선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지퍼 테이프의 시일 기부와 띠 형상 기부를 주머니체의 내면 (이하, 「주머니체 내면」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에 접착시킬 때, 절단부는 주머니체 내면이나 대향하는 다른 띠 형상 기부에 접착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절단부의 절단성이 저해되는 경우가 없다. 또, 절단부에는 주머니체 내면에 접착되는 시일 기부가 연접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부를 절단할 때, 절단부는 충분한 응력을 받는다. 그 때문에, 절단부는 용이하게 절단된다.
그리고, 지퍼 테이프의 수납 공간측 연접부 및 외부측 연접부는 각각 모서리부를 갖기 때문에, 절단부를 띠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라 하더라도, 개봉시에, 시일 기부로부터 절단부로 수지가 공급되어 절단부가 신장되어 끊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컨대, 개봉할 때, 모서리부를 갖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각각의 연접부로 응력이 집중되기 쉬워져 절단부가 신장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절단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 수납 공간측 연접부 및 외부측 연접부에 각각 모서리부를 형성함으로써, 절단부는 주머니체 내면이나 대향하는 다른 띠 형상 기부와 접촉하기 어려워져, 시일 기부를 시일할 때, 절단부가 주머니체 내면이나 대향하는 다른 띠 형상 기부에 시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단부를 개재하여 시일 기부가 형성되는 일방의 띠 형상 기부는, 수부재의 띠 형상 기부여도 되고, 암부재의 띠 형상 기부여도 된다.
또, 절단부를 개재하여 시일 기부가 형성되는 일방의 띠 형상 기부는, 맞물림부부터 수납 공간측의 단면 (端面) 까지의 폭을, 타방의 띠 형상 기부와 동일 폭으로 형성해도 되고, 타방의 띠 형상 기부와 상이한 폭으로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지퍼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는 각각 110 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는, 각각의 모서리부가 특정 각도를 갖기 때문에, 절단부가 주머니체 내면과 접착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모서리부는 동일한 각도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상이한 각도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지퍼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시일 기부, 상기 수부재의 상기 띠 형상 기부, 상기 암부재의 상기 띠 형상 기부의 각 두께 치수가 A, B1, B2 일 때, A
Figure pct00001
(B1 + B2)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띠 형상 기부의 두께 치수는, 수부재와 암부재를 동일한 치수로 해도 되고, 상이한 치수로 해도 된다.
이 발명에서는, 시일 기부는, 암수 부재 각각의 띠 형상 기부의 합계 두께 치수보다 두껍기 때문에, 시일 기부가 확실하게 주머니체 내면에 접착된다. 그 때문에, 개봉시에 절단부가 응력을 받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지퍼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띠 형상 기부의 수납 공간측 단부에는, 상기 일방의 띠 형상 기부보다 두껍게 형성된 후육(厚肉)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는, 절단부는 비교적 두꺼운 후육부 및 시일 기부에 연접하고 있기 때문에, 개봉시의 응력이 더욱 절단부로 집중되기 쉬워져 절단부의 절단이 더욱 용이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퍼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띠 형상 기부의 수납 공간측 단부에는, 맞물림부 형성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는, 돌기부는, 지퍼 테이프를 주머니체 내면에 시일할 때, 일방의 띠 형상 기부와 타방의 띠 형상 기부가 시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는 복수여도 되고 단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가진 주머니체의 내면에 본 발명의 지퍼 테이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이다.
이 발명에서는, 상기 서술한 지퍼 테이프를 갖기 때문에, 내용물이 맞물림부보다 톱 시일측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한 포장백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지퍼 테이프를 갖기 때문에, 개봉이 용이한 포장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기부는, 모두 맞물림부 형성면과는 반대면이 상기 주머니체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발명에서는, 띠 형상 기부의 특정 면이 주머니체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백을 개봉할 때의 응력이 절단부로 더욱 집중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더욱 용이하게 절단부를 절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기부 중 일방은, 맞물림부 형성면이 상기 주머니체의 내면에 접착되고, 타방은 맞물림부 형성면과는 반대면이 상기 주머니체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발명에서는, 일방의 띠 형상 기부에 있어서의 맞물림부 형성면과 반대측의 면은, 주머니체 내면과 소정의 간격을 갖는다. 그 때문에, 수납 공간이 넓어져, 이른바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다. 또, 포장백의 내압이 절단부에 잘 가해지지 않게 되어, 주머니의 낙하 충격에 의한 절단부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일 기부는, 상기 절단부를 따라 직선 형상으로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는, 시일 기부는, 절단부를 따라 직선 형상으로 접착되기 때문에, 개봉할 때의 응력이 절단부 전체적으로 가해지기 쉬워져 개봉하기 쉬워진다.
또, 상기 시일 기부는, 그 상기 절단부와의 단면이 직선 형상 또는 파선 형상으로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는, 절단부측의 단면이 직선 형상 또는 파선 형상으로 접착됨으로써, 절단부에 대해 응력 집중 지점을 만들 수 있어 개봉하기 쉬워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Ⅱ-Ⅱ 단면도로서, 수부재와 암부재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있어서, 지퍼 테이프의 시일 기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있어서, 수부재와 암부재의 맞물림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에 있어서, 절단부를 절단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의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의 제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상기 제조 장치 중 시일 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상기 시일 바로 시일 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의 지퍼 테이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제 3 실시형태의 지퍼 테이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제 4 실시형태의 지퍼 테이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는 제 5 실시형태의 지퍼 테이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은 제 6 실시형태의 지퍼 테이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 도 3 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 (이하, 간단히 「포장백」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을 설명한다.
도 1 은 지퍼 테이프를 주머니체에 히트 시일한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 도 2 는 도 1 의 Ⅱ-Ⅱ 단면도로서, 지퍼 테이프를 맞물림부가 맞물은 상태에서, 포장백을 구성하는 주머니체에 대해 히트 시일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시일 기부를 확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백은, 내용물로서 액체를 충전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지만, 분말이나 고체를 충전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백 (1) 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재 (包材) 가 되는 기재 필름 (11) 을 중첩시키고, 그 둘레 가장자리에 사이드 시일 기부 (12) 및 톱 시일 기부 (13) 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주머니체 (10) 를 구비하고 있다. 주머니체 (10) 의 개구부 (14) 의 주머니체 내면 (10A) 에는, 맞물림부 (23) 와, 당해 맞물림부 (23) 와 연접하는 띠 형상 기부 (211, 221) 로 구성되는 1 쌍의 수부재 (21) 및 암부재 (22) 를 구비한 지퍼 테이프 (20) 가 부착되어 있다. 이 지퍼 테이프 (20) 는, 일방의 사이드 시일 기부 (12) 부터 타방의 사이드 시일 기부 (12) 에 걸쳐 띠 형상으로 주머니체 (10) 에 시일되어 있다. 또, 지퍼 테이프 (20) 의 맞물림부 (23) 는, 포장백 (1) 내부에 수납 공간 (15) 을 구획 형성한다.
또한, 이 포장백 (1) 은, 도 1 ∼ 3 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내용물이 주머니체 (10) 의 하 방향으로부터 수납된 후, 주머니체 (10) 의 하변을 시일함으로써 밀봉 상태가 된다.
또, 사용자는 개봉시에는 개구부 (14) 를 잘라 개봉하고, 지퍼 테이프 (20) 로 재봉 (再封) 하도록 한다.
또, 지퍼 테이프 (20) 는, 도 2 에 그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일방의 띠 형상의 수부재 (21) 와, 이 수부재 (21) 와 맞물리는 타방의 암부재 (22) 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수부재 (21) 는, 주머니체 (10) 에 대해 시일되는 띠 형상 기부 (211) 와, 단면이 대략 화살촉 형상인 헤드부 (212), 및 이 띠 형상 기부 (211) 와 헤드부 (212) 를 연결하는 연결부 (213) 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암부재 (22) 는, 상기한 수부재 (21) 와 마찬가지로, 주머니체 (10) 에 대해 시일되는 띠 형상 기부 (221) 와, 당해 띠 형상 기부 (221) 와 연결하여 형성되는 단면이 원호 형상인 제 1 훅부 (222) 및 제 2 훅부 (223) 로 이루어지고, 이 제 1 훅부 (222) 와 제 2 훅부 (223) 는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수부재 (21) 의 띠 형상 기부 (211) 는, 주머니체 내면 (10A) 에 거의 대향하여 시일되는 기부 대향면 (211A) 과, 기부 대향면 (211A) 과 반대측에서 맞물림부 (23) 측의 맞물림부 형성면 (211B) 을 갖는다. 또, 암부재 (22) 의 띠 형상 기부 (221) 는, 주머니체 내면 (10A) 에 거의 대향하여 시일되는 기부 대향면 (221A) 과, 이 기부 대향면 (221A) 과 반대측에서 맞물림부 (23) 측의 맞물림부 형성면 (221B) 을 갖는다.
그리고, 지퍼 테이프 (20) 는, 수부재 (21) 의 헤드부 (212) 와 암부재 (22) 의 제 1 훅부 (222) 및 제 2 훅부 (223) 가 맞물림부 (23) 를 형성하고 있어, 이들이 맞물리거나 또는 떨어짐으로써 개봉 또는 재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암부재 (22) 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띠 형상 기부 (221) 는, 주머니체 (10) 의 수납 공간 (15) 측의 단부 (224) 에 띠 형상 기부 (221) 보다 두껍게 된 후육부 (224A) 를 갖는다. 이 후육부 (224A) 의 수납 공간 (15) 측 단부에는, 후육부 (224A) 보다 얇게 형성되고 또한 수납 공간 (15) 과 외부를 가로막는 띠 형상의 절단부 (32) 를 개재하여, 띠 형상 기부 (221) 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또한 주머니체 (10) 의 내면 (10A) 에 시일된 시일 기부 (33) 가 연접되어 있다.
후육부 (224A) 는 일방의 사이드 시일 기부 (12) 부터 타방의 사이드 시일 기부 (12) 에 걸쳐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육부 (224A) 의 두께 치수는 200 ㎛ 이상 5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300 ㎛ 이상 40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후육부 (224A) 의 두께 치수가 200 ㎛ 미만인 경우, 포장백 (1) 을 개봉할 때의 응력이 절단부 (32) 에 집중되기 어려워진다. 한편, 후육부 (224A) 의 두께 치수가 500 ㎛ 를 초과하면, 사이드 시일 기부 (12) 를 형성하기 어려워진다.
또, 후육부 (224A) 는 외부측의 후육 외부면 (224A1) 과, 수납 공간 (15) 측의 후육 수납면 (224A2) 을 갖는다. 후육 외부면 (224A1) 에는 돌기부 (224B) 가 복수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암수 부재 (21, 22) 의 띠 형상 기부 (211, 221) 끼리가 시일되지 않으면 돌기부 (224B) 의 수나 형태는 한정되지 않지만, 높이 치수가 5 ㎛ 미만에서는 시일될 우려가 있고, 300 ㎛ 를 초과하면 포장백 (1) 에 사이드 시일 기부 (12) 를 형성하기 어려워진다.
절단부 (32) 는 일방의 사이드 시일 기부 (12) 부터 타방의 사이드 시일 기부 (12) 에 걸쳐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단부 (32) 의 두께 치수는 10 ㎛ 이상 8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 6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절단부 (32) 의 두께 치수가 10 ㎛ 미만인 경우, 포장백 (1) 이 낙하했을 때의 충격으로 절단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절단부 (32) 의 두께 치수가 80 ㎛ 를 초과하면, 손의 힘으로 절단부 (32) 를 절단시키기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 절단부 (32) 의 폭 치수, 즉 지퍼 테이프 (20) 의 길이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 (도 3 의 상하 방향) 의 치수가 0.5 ㎜ 이상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 이상 1.2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절단부 (32) 의 폭 치수가 0.5 ㎜ 미만인 경우, 지퍼 테이프 (20) 를 주머니체 (10) 에 시일할 때, 절단부 (32) 가 수부재 (21) 의 띠 형상 기부 (211) 나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접착되지 않도록 위치를 맞추기 어려워져, 절단부 (32) 에 연접하는 띠 형상 기부 (221) 의 수납 공간 (15) 측 단부 (224) 가, 수부재 (21) 의 띠 형상 기부 (211) 나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시일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절단부 (32) 의 폭 치수가 1.5 ㎜ 를 초과하면, 절단부 (32) 를 절단할 때, 절단부 (32) 가 신장되어 절단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 절단부 (32) 는, 외부측의 절단 외부면 (321) 과, 수납 공간 (15) 측의 절단 수납면 (322) 을 갖는다.
또, 시일 기부 (33) 는 수부재 (21) 의 띠 형상 기부 (211) 의 단부 근방에 위치하는 시일 대향면 (331) 과, 시일 대향면 (331) 과 반대측이고, 수납 공간 (15) 측의 시일 수납면 (332) 을 갖는다. 그리고, 시일 대향면 (331) 에는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시일되는 시일면 (331A)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일면 (331A)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부 (32) 의 길이 방향 (도 1 의 좌우 방향) 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시일되는 직선 시일면 (331A1) 과, 이 직선 시일면 (331A1) 에 연속해서, 시일 기부 (33) 의 단면 (端面) 이 파선 형상으로 시일되는 복수의 단부 시일면 (331A2) 으로 이루어지는 빗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직선 시일면 (331A1) 에 의해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고, 복수의 단부 시일면 (331A2) 에 의해 절단부 (32) 로 응력이 집중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절단 외부면 (321) 및 후육 외부면 (224A1) 은, 주머니체 내면 (10A) 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있어,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시일되어 있지 않다. 또, 시일 수납면 (332), 절단 수납면 (322) 및 후육 수납면 (224A2) 도 주머니체 내면 (10A) 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있어,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시일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시일 기부 (33) 는, 시일 대향면 (331) 및 절단 외부면 (321) 에 연속하는 시일 외부 연속면 (333) 과, 시일 수납면 (332) 및 절단 수납면 (322) 에 연속하는 시일 수납 연속면 (334) 을 갖는다. 절단 외부면 (321) 과 시일 외부 연속면 (333) 에 의해 제 1 연접부 (30) 가 형성되고, 절단 수납면 (322) 과 시일 수납 연속면 (334) 에 의해 제 2 연접부 (31)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연접부 (30, 31) 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모서리부 (a, b) 는 110 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모서리부 (a, b) 는 110 도를 초과하면, 개봉할 때, 시일 기부 (33) 로부터 절단부 (32) 로의 수지의 공급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 절단부 (32) 의 절단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제 1 및 제 2 모서리부 (a, b) 의 각각의 각도가 110 도 이하이기 때문에, 개봉할 때의 시일 기부 (33) 로부터 절단부 (32) 로의 수지의 공급 방지가 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제 1 및 제 2 모서리부 (a, b) 의 각도는 각각 상이해도 된다. 또, 제 1 및 제 2 모서리부 (a, b) 는, 스웰에 의해 생길 정도로 기울어져 있어도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지퍼 테이프 (20) 를 구성하는 수부재 (21) 는, 띠 형상 기부 (211) 와 연속하는 헤드부 (212) 및 연결부 (213) 를 공압출 성형법에 의해 일체화해서 얻을 수 있고, 마찬가지로 암부재 (22) 도 띠 형상 기부 (221) 와 연속하는 제 1 훅부 (222) 및 제 2 훅부 (223) 를 공압출 성형법에 의해 일체화해서 얻을 수 있다. 지퍼 테이프 (20) 를 이와 같은 공압출법에 의해 성형하면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낮게 할 수 있어, 지퍼 테이프 (20) 를 연속적으로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퍼 테이프 (20) 의 수부재 (21), 암부재 (22) 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이면 되지만, 신장되기 어려운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호모폴리프로필렌, 블록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RPP), 프로필렌-에틸렌-부텐 1 랜덤 3 원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계 특수 연질 수지 (TPO 수지. 예를 들어 프라임 폴리머 TPO)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이들 수지를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퍼 테이프 (20) 를 구성하는 수지로서 랜덤 폴리프로필렌 (RPP) 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 RPP 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 는 0.5 ∼ 20 g/10 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15 g/10 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랜덤 폴리프로필렌의 MFR 이 0.5 g/10 분보다 작으면, 띠 형상 기부 (211, 221) 와 연속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맞물림부 (23) 의 압출 성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한편 MFR 이 20 g/10 분보다 크면, 암부재 (22) 의 제 1 훅부 (222), 제 2 훅부 (223) 의 선단이 닫히기 쉬워지거나, 수부재 (21) 의 연결부 (213) 가 넘어지기 쉬워지거나 하기 때문에, 재개폐할 수 있는 소정 형상으로 압출하기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지퍼 테이프 (20) 를 주머니체 (10) 를 형성하는 기재 필름 (11) 에 시일시켜, 당해 기재 필름 (11) 을 제대 (製袋) 함으로써,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포장백 (1) 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주머니체 (10) 를 형성하는 포재인 기재 필름 (11) 으로는, 기재층 (112) 에 실란트층 (111) 을 적층한 구성의 적층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기재층 (112) 과 실란트층 (111) 사이에, 중간층으로서 도시되지 않은 가스 배리어층, 차광층, 강도 향상층 등을 적층한 구성의 적층 필름 층을 사용해도 된다.
기재층 (112) 에는, 2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OPP 필름) 외에, 2 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PET 필름), 2 축 연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2 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나일론 6, 나일론 66, MXD6 (폴리메타자일릴렌아디파미드) 등의 2 축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각종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복수를 조합하여 적층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중간층을 가스 배리어층으로 하는 경우, 중간층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EVOH),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AN) 등의 필름 외에, 알루미늄박, 혹은 실리카, 알루미나, 알루미늄 등의 증착층이나 PVDC 의 도막층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실리카, 알루미나, 알루미늄 등의 증착층이나 PVDC 의 도막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재층 (112) 의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증착 또는 도포해서 형성해도 되고, 또, 다른 2 축 연신 나일론 필름 (ONy 필름), 2 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PET 필름), 2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OPP 필름) 등에 증착 또는 도포하여 형성해 두고, 그 필름을 중간층에 적층해도 된다.
이들 중, 알루미늄박과 알루미늄 증착층은 불투명하기 때문에 차광층을 겸할 수도 있다.
기재층 (112) 과 중간층의 필름의 적층에는 공지된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또는 압출 라미네이션법 (샌드위치 라미네이션법) 을 사용할 수 있다.
최내층인 실란트층 (111) 에는 폴리프로필렌 (CP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란트층 (111) 의 적층은, 상기 수지를 필름 형상으로 제막하고, 드라이 라미네이션법 또는 압출 라미네이션법으로 적층해도 되고, 또 상기 수지를 압출 코트하여 적층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백 (1) 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지퍼 테이프 (20) 부착 3 방 시일 제대기 등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시일 조건 (온도, 압력 등) 은, 지퍼 테이프 (20), 및 주머니체 (10) 를 형성하는 기재 필름 (11) 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4, 5 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포장백 (1) 의 개봉 상태를 설명한다.
도 2 의 상태에서는, 지퍼 테이프 (20) 의 수부재 (21) 와 암부재 (22) 는 맞물려 있는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는 도 2 에 있어서의 맞물림부 (23) 의 하측 (수납 공간 (15) 측) 에 있어서는 시일 기부 (33) 에 있어서의 시일면 (331A) 과, 주머니체 내면 (10A) 이 시일되어 있기 때문에, 기밀성, 수밀성이 유지되어, 예를 들어 반송 도중 등에 있어서 지퍼 테이프 (20) 의 맞물림부 (23) 의 간극으로 액상의 내용물이 비집고 들어갈 수도 없다.
다음으로, 포장백 (1) 으로부터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에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14) 를 절단하여 지퍼 테이프 (20) 를 열어 맞물림부 (23) 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고, 더욱 주머니체 (10) 의 상측 (수납 공간 (15) 측과 반대측) 을 열도록 하면, 그 힘에 의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부 (32) 가 절단됨으로써 후육부 (224A) 와 시일 기부 (33) 가 떨어지게 된다. 이로써, 포장백 (1) 의 내부로부터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의 제조 장치]
다음으로, 도 6 ∼ 8 을 이용하여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의 제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포장백 (1) 의 제조에 이용되는 제조 장치는 제대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6 은 제대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 에 있어서, 제대부는, 도시되지 않은 포재 송출(送出)부로부터 송출된 1 쌍의 기재 필름 (11)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테이프 송출부로부터 송출된 지퍼 테이프 (20) 를 위치하게 하여, 테이프 첩부(貼付)부에서 지퍼 테이프 (20) 를 기재 필름 (11) 에 각각 히트 시일시키는 테이프 접착부 (도시 생략) 와, 반송되는 기재 필름 (11) 을, 기재 필름 (11) 의 반송 방향에 대해 소정 간격, 즉 포장백 (1) 의 폭 방향의 치수에 대응한 간격으로 시일 및 용단하여 포장백 (1) 을 형성하는 밀봉부를 구비한다.
밀봉부는, 내용물 (P) 이 충전되어 지퍼 테이프 (20) 가 닫힌 포장백 (1) 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된 1 쌍의 시일 바 (60) 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시일 바 (60) 는 서로 근접 이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서로 이반되어 있을 때에 내용물 (P) 이 수납된 포장백 (1) 이 소정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시일 바 (60) 가 서로 근접하면, 일방의 시일 바 (60) 가 기재 필름 (11) 을 개재하여 시일 기부 (33) 에 가압하게 되어, 이 시일 기부 (33) 에 시일면 (331A) 이 형성된다. 여기서, 일방의 시일 바 (60)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면 (331A) 과 동일한 연속된 빗살 형상의 가압 돌기 (60A) 를 구비하고 있다. 시일 기부 (33) 의 시일면 (331A) 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폭으로 주머니체 (10) 의 폭 방향으로 형성됨과 함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의 빗살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압 돌기 (60A) 의 선단이 절단부 (32) 를 넘어 후육부 (224A) 에 걸리도록 시일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퍼 테이프 (20) 의 수납 공간 (15) 측을 시일하여 밀봉할 때, 시일면 (331A) 과 동일한 형상의 가압 돌기 (60A) 를 갖는 시일 바 (60) 를 사용함으로써 시일면 (331A) 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지퍼 테이프 (20) 를 개봉한 힘으로 용이하게 절단부 (32) 를 절단할 수 있는 포장백 (1) 을 제작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은 포장백 (1) 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지퍼 테이프 (20) 를 구성하는 암부재 (22) 의 띠 형상 기부 (221) 에 있어서, 그 수납 공간 (15) 측 단부에, 띠 형상 기부 (221) 보다 얇게 형성되고 또한 수납 공간 (15) 과 외부를 가로막는 띠 형상의 절단부 (32) 를 개재하여, 띠 형상 기부 (221) 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또한 주머니체 (10) 의 내면 (10A) 에 접착할 수 있는 시일 기부 (33) 를 연접하였다. 그리고, 절단부 (32) 의 절단 외부면 (321) 과 시일 기부 (33) 의 시일 외부 연속면 (333) 에 의해 제 1 모서리부 (a) 를 갖는 제 1 연접부 (30) 를 형성함과 함께, 절단부 (32) 의 절단 수납면 (322) 과 시일 기부 (33) 의 시일 수납 연속면 (334) 에 의해 제 2 모서리부 (b) 를 갖는 제 2 연접부 (31) 를 형성하였다.
띠 형상 기부 (221) 보다 얇은 절단부 (32) 를 띠 형상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시일 기부 (33) 를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시일할 때, 절단부 (32) 가 수부재 (21) 의 띠 형상 기부 (211) 나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접착되지 않게 위치를 맞추기 쉬워진다. 따라서, 절단부 (32) 는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시일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절단부 (32) 의 절단성이 저해되는 경우가 없다. 또, 절단부 (32) 에는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시일된 시일 기부 (33) 가 연접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부 (32) 를 절단할 때, 절단부 (32) 는 충분한 응력을 받는다. 그 때문에, 절단부 (32) 는 용이하게 절단된다.
또, 지퍼 테이프 (20) 는, 제 1 및 제 2 모서리부 (a, b) 를 갖기 때문에, 개봉시에, 시일 기부 (33) 로부터 절단부 (32) 로 수지가 공급되어 절단부 (32) 가 신장되어 끊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컨대, 개봉할 때, 제 1 및 제 2 모서리부 (a, b) 를 갖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및 제 2 연접부 (30, 31) 로 응력이 집중되기 쉬워져, 절단부 (32) 가 신장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절단부 (32) 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연접부 (30, 31) 에 2 개의 모서리부 (a, b) 를 형성함으로써, 절단부 (32) 는 주머니체 내면 (10A) 과 접촉하기 어려워져, 시일 기부 (33) 를 시일할 때, 절단부 (32) 가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시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절단부 (32) 의 절단 외부면 (321) 을 일방의 사이드 시일 기부 (12) 부터 타방의 사이드 시일 기부 (12) 에 걸쳐 띠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그 때문에, 절단부 (32) 에 연접하는 띠 형상 기부 (221) 의 수납 공간 (15) 측 단부 (224) 가 주머니체의 내면 (10A) 에 시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향하는 띠 형상 기부 (211) 의 단부를 절단부 (32) 에 맞추기 용이해진다.
또한, 제 1 및 제 2 모서리부 (a, b) 의 각도를 110 도 이하로 설정하였다.
그 때문에, 제 1 및 제 2 모서리부 (a, b) 가 특정 각도를 갖기 때문에, 절단부 (32) 가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시일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단부 (32) 가 연접된 띠 형상 기부 (221) 의 수납 공간 (15) 측 단부 (224) 에는, 띠 형상 기부 (221) 보다 두껍게 형성된 후육부 (224A) 를 형성하였다.
그 때문에, 절단부 (32) 는 비교적 두꺼운 후육부 (224A) 및 시일 기부 (33) 에 연접하고 있기 때문에, 개봉시의 응력이 더욱 절단부 (32) 로 집중되기 쉬워져, 절단부 (32) 의 절단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 후육부 (224A) 의 후육 외부면 (224A1) 에 돌기부 (224B) 를 복수 형성하였다.
그 때문에, 시일 기부 (33) 를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시일할 때, 수부재 (21) 의 띠 형상 기부 (211) 와 암부재 (22) 의 띠 형상 기부 (221) 가 시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포장백 (1) 에 수납 공간 (15) 을 형성하는 개구부 (14) 를 가진 주머니체 (10) 의 내면 (10A) 에 상기 서술한 지퍼 테이프 (20) 를 형성하였다.
그 때문에, 상기 서술한 지퍼 테이프 (20) 를 갖기 때문에, 내용물이 맞물림부 (23) 보다 톱 시일 기부 (13) 측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한 포장백 (1) 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지퍼 테이프 (20) 를 갖기 때문에, 개봉이 용이한 포장백 (1) 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수부재 (21) 및 암부재 (22) 의 띠 형상 기부 (211, 221) 를 모두 맞물림부 형성면 (211B, 221B) 과는 반대측의 기부 대향면 (211A) 을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접착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포장백 (1) 을 개봉할 때의 응력이 절단부 (32) 로 더욱 가해지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더욱 용이하게 절단부 (32) 를 절단하여 개봉할 수 있다.
또, 시일 기부 (33) 에 절단부 (32) 를 따라 직선 형상으로 접착되는 직선 시일면 (331A1) 을 형성하였다.
그 때문에, 개봉할 때의 응력이, 일방의 사이드 시일 기부 (12) 부터 타방의 사이드 시일 기부 (12) 에 걸쳐 절단부 (32) 로 집중되어 개봉하기 쉬워짐과 함께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시일 기부 (33) 의 절단부 (32) 와의 단면에, 복수의 단부 시일면 (331A2) 을 파선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그 때문에, 절단부 (32) 에 대해 응력 집중 지점을 만들 수 있어 개봉하기 쉬워진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9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백의 절단부 근방의 단면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후육부 (224A) 는, 추가로 후육 외부면 (224A1) 및 절단 외부면 (321) 에 연속하는 후육 외부 연속면 (313)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육 외부 연속면 (313) 및 절단 외부면 (321) 에 의해 제 3 연접부 (34) 가 형성되고, 제 3 연접부 (34) 는 제 3 모서리부 (c) 를 갖는다. 이 제 3 모서리부 (c) 의 크기는 110 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추가하여, 후육 외부 연속면 (313) 및 절단 외부면 (321) 에 의해 형성되는 제 3 모서리부 (c) 를 갖는 제 3 연접부 (34) 를 형성하였다.
제 3 모서리부 (c) 가 특정 각도를 갖기 때문에, 개봉시에, 후육부 (224A) 로부터 절단부 (32) 로 수지가 공급되어 절단부 (32) 가 신장되어 끊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용이하게 절단부 (32) 를 절단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10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백의 절단부 근방의 단면도이다.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백은, 제 2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후육부 (224A) 는, 추가로 후육 수납면 (224A2) 및 절단 수납면 (322) 에 연속하는 후육 수납 연속면 (314) 을 갖는다. 그리고, 후육 수납 연속면 (314) 및 절단 수납면 (322) 에 의해 제 4 모서리부 (d) 를 갖는 제 4 연접부 (35) 가 형성되어 있다. 제 4 모서리부 (d) 의 크기는 110 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실시형태의 효과]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지퍼 테이프 (20) 에, 제 2 실시형태에 추가하여 제 4 모서리부 (d) 를 갖는 제 4 연접부 (35) 를 형성하였다.
제 3 및 제 4 모서리부 (c, d) 가 각각 특정 각도를 갖기 때문에, 개봉할 때, 후육부 (224A) 로부터 절단부 (32) 로 수지가 공급되어 절단부 (32) 가 신장되어 끊어지지 않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절단부 (32) 를 더욱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 제 4 연접부 (35) 를 갖기 때문에, 시일 기부 (33) 를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시일할 때, 절단부 (32) 가 주머니체 내면 (10A) 이나 대향하는 수부재 (21) 의 띠 형상 기부 (211) 에 시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도 11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백의 절단부 근방의 단면도이다.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백은,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후육 외부면 (224A1) 에는 돌기부 (224B) 가 형성되어 있지만,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돌기부 (224B) 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후육 외부면 (224A1) 은, 대향하는 수부재 (21) 의 띠 형상 기부 (211) 와 소정의 간극을 갖는다.
시일 기부 (33), 암부재 (22) 의 띠 형상 기부 (221) 에 형성된 후육부 (224A), 수부재 (21) 의 띠 형상 기부 (211) 의 각 두께 치수가 A, B1, B2 일 때, A
Figure pct00002
(B1 + B2) 이다.
[제 4 실시형태의 효과]
제 4 실시형태에서는 후육 외부면 (224A1) 과, 대향하는 수부재 (21) 의 띠 형상 기부 (211) 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였다.
그 때문에,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시일 기부 (33) 를 시일할 때, 후육부 (224A) 가 수부재 (21) 의 띠 형상 기부 (211) 에 시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시일 기부 (33) 의 두께가, 암부재 (22) 의 띠 형상 기부 (221) 에 형성된 후육부 (224A) 및 수부재 (21) 의 띠 형상 기부 (211) 의 합계 두께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시일 기부 (33) 가 확실하게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접착된다. 그 때문에, 개봉시에 절단부 (32) 가 응력을 받기 쉬워져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도 12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백의 지퍼 테이프 근방의 단면도이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암부재 (22) 의 띠 형상 기부 (221) 는, 개구부 (14) 측의 선단부에 시일 기부 (24) 를 갖는다. 암부재 (22) 의 띠 형상 기부 (221) 는, 이 시일 기부 (24) 를 개재하여, 그 맞물림부 형성면 (221B) 이 수부재 (21) 측의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접착되어 있다. 또, 시일 기부 (24) 와 수부재 (21) 의 띠 형상 기부 (211) 사이에는 개봉 테이프 (40) 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 (22) 의 띠 형상 기부 (221) 는, 맞물림부 형성면 (221B) 과 반대측의 기부 대향면 (221A) 이 주머니체 내면 (10A) 과 소정의 간극을 가지고 있어,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시일되어 있지 않다.
[제 5 실시형태의 효과]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수부재 (21) 의 띠 형상 기부 (211) 는, 그 맞물림부 형성면 (211B) 과는 반대측의 기부 대향면 (211A) 을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접착시키고, 암부재 (22) 의 띠 형상 기부 (221) 는, 맞물림부 형성면 (221B) 을 주머니체 내면 (10A) 에 접착시켰다.
따라서, 기부 대향면 (221A) 은, 주머니체 내면 (10A) 과 소정의 간격을 갖는다. 그 때문에, 수납 공간이 넓어져, 이른바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어, 포장백 (1) 은 보다 많이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다. 또, 포장백 (1) 의 내압이 절단부 (32) 에 가해지기 어려워져, 주머니의 낙하 충격에 의한 절단부 (32) 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를 도 1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백의 절단부 근방의 단면도이다.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빗살 형상의 시일면 (331A) 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시일면 (331A) 은 일방의 사이드 시일 기부 (12) 부터 타방의 사이드 시일 기부 (12) 에 걸쳐 절단부 (32)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시일되는 직선 시일면 (331A1) 과, 이 직선 시일면 (331A1) 과는 연속되지 않고, 시일 기부 (33) 의 절단부 (32) 와의 단면을 파선 형상으로 시일되는 복수의 단부 시일면 (331A2) 으로 형성하였다. 여기서, 직선 시일면 (331A1) 에 의해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어, 복수의 단부 시일면 (331A2) 에 의해 절단부 (32) 로 응력이 집중하게 되어 있다.
[제 6 실시형태의 효과]
제 6 실시형태의 시일면 (331A) 은, 제 1 실시형태의 시일면 (331A) 보다 면적이 작지만, 제 1 실시형태의 시일면 (331A) 과 마찬가지로, 시일 기부 (33) 의 절단부 (32) 와의 단면을 시일하는 단(端)시일면 (331A2) 이 부분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절단부 (32) 에 대해 응력 집중 지점을 만들 수 있어 개봉하기 쉬워진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 등의 내용으로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MFR7, 융점 140 ℃ 의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도 2 의 형상의 지퍼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또한, 도 2 에서는 후육부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실시예 1 에서는 돌기부를 형성하지 않았다.
[지퍼 테이프의 구성]
후육부의 두께 치수 : 300 ㎛
절단부의 두께 치수 : 40 ㎛
절단부의 폭 치수 : 0.5 ㎜
제 1 및 제 2 모서리부 각각의 각도 : 110 도
수부재의 띠 형상 기부의 두께 치수 : 150 ㎛
암부재의 띠 형상 기부의 두께 치수 : 200 ㎛
시일 기부의 두께 치수 : 400 ㎛
또한, 두께 치수란 도 2 의 좌우 방향의 치수이고, 폭 치수란 도 2 의 상하 방향의 치수이다.
[주머니체의 구성]
또, 주머니체를 구성하는 기재 필름은, 2 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 2 축 연신 나일론 필름 (15 ㎛), 캐스트 폴리프로필렌 필름 (60 ㎛) 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한 필름으로, 도 2 와 같은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시일 기부의 시일은, 도 8 과 같이, 1 ㎜ 폭이고 주머니의 폭 방향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으로 시일함과 함께, 지퍼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1 ㎜ 폭, 10 ㎜ 간격의 빗살 형상의 시일 바로, 빗살의 선단이 절단부를 넘어 후육부에 걸리는 길이로 시일하였다.
시일 기부의 시일부터 수납 공간측 (바닥측) 의 주머니 내부 치수를 폭 180 ㎜, 깊이 200 ㎜ 로 하였다.
[실시예 2]
도 10 의 형상의 지퍼 테이프를 사용하여 제 3 및 제 4 모서리부의 각도 (c, d) 를 110 도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백을 제작하였다. 또한, 도 10 에서는 후육부에 돌기부를 형성하였지만, 실시예 2 에서는 돌기부를 형성하지 않았다.
[실시예 3]
도 2 의 형상의 지퍼 테이프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포장백을 제작하였다. 또한, 암부재의 후육부의 돌기부는 높이 0.07 ㎛ 의 단면을 삼각 형상으로 한 것을 3 개로 하였다.
[실시예 4]
MFR7, 융점 140 ℃ 의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지퍼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지퍼 테이프의 구성]
후육부의 두께 치수 : 300 ㎛
절단부의 두께 치수 : 40 ㎛
절단부의 폭 치수 : 0.5 ㎜
제 1 ∼ 제 4 모서리부 각각의 각도 (a, b, c, d) : 110 도
수부재의 띠 형상 기부의 두께 치수 : 150 ㎛
암부재의 띠 형상 기부의 두께 치수 : 200 ㎛
시일 기부의 두께 치수 : 400 ㎛
또한, 두께 치수란 도 12 의 상하 방향의 치수이고, 폭 치수란 도 12 의 좌우 방향의 치수이다.
필름은 2 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 2 축 연신 나일론 필름 (15 ㎛), 캐스트 폴리프로필렌 필름 (60 ㎛) 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한 필름으로, 도 12 와 같은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시일 기부의 시일은, 도 8 과 같이, 1 ㎜ 폭이고 주머니의 폭 방향으로 시일함과 함께, 직교 방향으로 1 ㎜ 폭, 10 ㎜ 간격의 빗살 형상의 시일 바로, 빗살의 선단이 절단부를 넘어 띠 형상 기부에 걸리는 길이로 시일하였다.
시일 기부의 시일부터 바닥측의 주머니 내부 치수를 폭 180 ㎜, 깊이 치수 200 ㎜ 로 하였다.
[비교예 1]
MFR7, 융점 140 ℃ 의 랜덤 폴리프로필렌으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4324호 (도 4) 의 형상의 지퍼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4324호 (도 4) 의 수부재 및 암부재의 각 띠 형상 기부 (321, 331) 의 두께 치수 : 150 ㎛
시일 기부 (36) : 150 ㎛
절단부 (선 형상부 (35)) 의 두께 치수 : 40 ㎛
절단부 (선 형상부 (35)) 의 폭 치수 : 0.1 ㎜
기재 필름은 2 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 2 축 연신 나일론 필름 (15 ㎛), 캐스트 폴리프로필렌 필름 (60 ㎛) 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한 필름으로, 도 2 와 같은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시일 기부의 시일은, 도 8 과 같이, 1 ㎜ 폭이고 주머니의 폭 방향으로 시일함과 함께, 직교 방향으로 1 ㎜ 폭, 10 ㎜ 간격의 빗살 형상의 시일 바로, 빗살의 선단이 절단부를 넘어 띠 형상 기부에 걸리는 길이로 시일하였다.
시일 기부의 시일 단면부터 바닥측의 주머니 내부 치수를 폭 180 ㎜, 깊이 200 ㎜ 로 하였다.
[비교예 2]
도 2 의 형상의 지퍼 테이프를 사용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조건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백을 제작하였다.
제 1 및 제 2 모서리부의 각도 : 130 도
[비교예 3]
도 2 의 형상의 지퍼 테이프로 하기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백을 제작하였다.
절단부의 두께 치수 : 90 ㎛
실시예 1 ∼ 4, 비교예 1 ∼ 3 에서 제작한 포장백을 하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평가방법]
(1) 제대 후, 절단부가 주머니체의 기재 필름에 융착되어 있지 않은지를 확인하였다.
B : 융착 없음.
C : 의(擬)접착 있음.
D : 융착 있음.
(2) 제대 후, 암수 띠 형상 기부끼리가 융착되어 있지 않은지를 확인하였다.
A : 융착 없음.
B : 약한 의접착 있음.
C : 강한 의접착 있음.
D : 융착 있음.
(3) 제대품에 물을 400 ㎖ 봉함하고, 1.2 m 의 높이에서 N10 으로 낙하시켜 절단부가 끊어지는지를 확인하였다. 이것을 전부 50 개의 주머니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B : 끊어진 것 없음.
C : 1, 2 개의 주머니가 끊어졌다.
D : 3 주머니 이상 끊어졌다.
(4) 절단부를 손으로 개봉하였다.
B : 용이하게 개봉 가능.
C : 저항이 있지만, 개봉은 가능.
D : 개봉 곤란.
(5) 종합 평가
A : 모든 평가에서 A 나 B.
B : C 1 개. 그 밖은 A 나 B.
C : C 가 2 개 이상. 그 밖은 A 나 B.
D : D 가 1 개 이상
Figure pct00003
표 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4 에서는, 절단부와 주머니체의 기재 필름과의 융착, 암수 띠 형상 기부끼리의 융착이 거의 없고 제대 특성이 양호하였다. 특히, 실시예 3 과 같이, 후육부에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수부재 및 암부재의 띠 형상 기부끼리의 융착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에서는 암부재의 띠 형상 기부의 일방의 단부에 절단부를 개재하여 시일 기부를 연접하고, 타방의 단부에 시일 기부를 형성하고, 이 시일 기부를 개재하여 띠 형상 기부의 맞물림부 형성면측을 주머니체 내면에 접착시킴으로써, 낙하시의 충격에 의해 절단부가 절단되지 않고, 또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에서는 제대시에 절단부가 기재 필름에 융착되어, 수부재 및 암부재의 띠 형상 기부끼리가 융착되었다. 또, 비교예 2 에서는, 절단부와 시일 기부 사이의 연접부에 형성되는 모서리부의 각도를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 (110 도 이하) 보다 크게 했기 때문에 개봉감이 불량이었다. 또한, 비교예 3 에서는, 절단부의 두께를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 (30 ∼ 60 ㎛) 보다 크게 했기 때문에 개봉감이 불량이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식품, 약품, 의료품, 잡화 등의 각종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1…포장백
10…주머니체
10A…주머니체 내면
20…지퍼 테이프
21…수부재
22…암부재
23…맞물림부
30…제 1 연접부
31…제 2 연접부
32…절단부
33…시일 기부
34…제 3 연접부
35…제 4 연접부
211, 221…띠 형상 기부
211B, 221B…맞물림부 형성면
224…띠 형상 기부의 수납 공간측 단부
224A…후육부
224B…돌기부
211A…기부 대향면
221A…기부 대향면
331A…시일면
331A1…직선 시일면
331A2…단시일면

Claims (10)

  1. 채우거나 풀 수 있게 걸어맞춰서 주머니체의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맞물림부와, 이 맞물림부에 연접되어 상기 주머니체의 내면에 접착시킬 수 있는 띠 형상 기부를 갖는 1 쌍의 수부재 및 암부재를 구비한 지퍼 테이프로서,
    상기 일방의 띠 형상 기부는, 그 수납 공간측의 단부에, 상기 일방의 띠 형상 기부보다 얇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납 공간과 외부를 가로막는 띠 형상의 절단부를 개재하여, 상기 일방의 띠 형상 기부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주머니체의 내면에 접착시킬 수 있는 시일 기부가 연접되고,
    상기 절단부 및 상기 시일 기부의 상기 수납 공간측 연접부와, 상기 절단부 및 상기 시일 기부의 상기 외부측 연접부는 각각 모서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는 각각 110 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테이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기부, 상기 수부재의 상기 띠 형상 기부, 상기 암부재의 상기 띠 형상 기부의 각 두께 치수가 A, B1, B2 일 때, A
    Figure pct00004
    (B1 + B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테이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띠 형상 기부의 수납 공간측 단부에는, 상기 일방의 띠 형상 기부보다 두껍게 형성된 후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테이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띠 형상 기부의 수납 공간측 단부에는, 맞물림부 형성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테이프.
  6.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가진 주머니체의 내면에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기부는, 모두 맞물림부 형성면과는 반대면이 상기 주머니체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기부 중 일방은, 맞물림부 형성면이 상기 주머니체의 내면에 접착되고, 타방은 맞물림부 형성면과는 반대면이 상기 주머니체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기부는, 상기 절단부를 따라 직선 형상으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기부는, 그 상기 절단부와의 단면(端面)이 직선 형상 또는 파선 형상으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
KR1020117005771A 2008-08-26 2009-08-25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 KR201100448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16880A JP5319987B2 (ja) 2008-08-26 2008-08-26 ジッパーテープ及びジッパーテープ付包装袋
JPJP-P-2008-216880 2008-08-26
PCT/JP2009/064772 WO2010024241A1 (ja) 2008-08-26 2009-08-25 ジッパーテープ及びジッパーテープ付包装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899A true KR20110044899A (ko) 2011-05-02

Family

ID=4172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771A KR20110044899A (ko) 2008-08-26 2009-08-25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46972B2 (ko)
EP (1) EP2330047B1 (ko)
JP (1) JP5319987B2 (ko)
KR (1) KR20110044899A (ko)
CN (1) CN102131711B (ko)
PL (1) PL2330047T3 (ko)
TW (1) TWI468323B (ko)
WO (1) WO20100242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64068A1 (en) * 2006-09-22 2008-03-27 Idemitsu Unitech Co., Ltd. Easily tearable fastener tape, method of producing the fastener tape, packaging bag with easily tearable fastener tape, and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ackaging bag
JP5638278B2 (ja) * 2009-10-19 2014-12-10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裂き性ジッパーテープ、及び、易裂き性ジッパーテープ付き包装袋
KR20120135900A (ko) * 2010-02-12 2012-12-17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가 달린 포장 백
JP5651851B1 (ja) * 2013-12-26 2015-01-14 日本竹菱株式会社 カットテープ付きチャックテープ、及びカットテープ付きチャックテープを具備した包装袋
JP5651850B1 (ja) * 2013-12-26 2015-01-14 日本竹菱株式会社 カットテープ付きチャックテープ、及びカットテープ付きチャックテープを具備した包装袋
FR3023835B1 (fr) * 2014-07-21 2017-11-10 Coveris Flexibles France Sac d'emballage equipe au niveau de son ouverture de deux rubans presentant chacun des moyens complementaires d'accouplement du type hermaphrodite.
JP6367146B2 (ja) * 2015-05-19 2018-08-01 ウツオ化工株式会社 ファスナ及び収納体並びに収納体用連続シート
JP2017013886A (ja) * 2015-07-06 2017-01-19 凸版印刷株式会社 パウチおよび内容物封入パウチ
JP6815208B2 (ja) * 2016-01-29 2021-01-20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袋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ならびに袋体
CN106136482A (zh) * 2016-08-15 2016-11-23 浙江水利水电学院 一种联动式拉链头及具有该联动式拉链头的拉链
CN108552638A (zh) * 2016-08-30 2018-09-21 黄珍珍 一种吸湿片以及具有该吸湿片的裤子
PL242136B1 (pl) 2019-02-08 2023-01-23 Elplast Europe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Zamknięcie strunowe z zabezpieczeniem przed otwarciem oraz opakowanie z zamknięciem strunowym z zabezpieczeniem przed otwarci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5272A1 (de) * 1984-12-12 1986-07-03 Karl-Heinz Dr. 4802 Halle Sengewald Beutel aus thermoplastischer kunststoffolie
JPH0726209Y2 (ja) * 1988-12-29 1995-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カバー
US5647671A (en) * 1994-04-11 1997-07-15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Closure arrangement having a peelable seal
JPH08268442A (ja) * 1995-03-30 1996-10-15 Toshiichi Yamada 易開封性包装袋及び開封誘導フィルム付きジッパー
US5664303A (en) * 1995-11-06 1997-09-09 Illinois Tool Works Inc. Differential flange header package
US5660479A (en) * 1996-02-16 1997-08-26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Easy open package header
JP4090830B2 (ja) * 2001-12-20 2008-05-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チャックテープ付き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40131283A1 (en) * 2002-12-03 2004-07-08 Sprague Paul A. Autoclavable reclosable package
JP4330503B2 (ja) * 2004-08-12 2009-09-16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嵌合具及び嵌合具付包装用袋体
JP2007269362A (ja) 2006-03-31 2007-10-18 Fujimori Kogyo Co Ltd 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4805742B2 (ja) * 2006-07-19 2011-11-02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
JP4874742B2 (ja) 2006-08-21 2012-02-15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カットテープ付きチャックテープ、その製造方法、および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
CA2664068A1 (en) * 2006-09-22 2008-03-27 Idemitsu Unitech Co., Ltd. Easily tearable fastener tape, method of producing the fastener tape, packaging bag with easily tearable fastener tape, and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ackaging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31711B (zh) 2012-07-18
EP2330047A4 (en) 2012-05-02
PL2330047T3 (pl) 2013-06-28
WO2010024241A1 (ja) 2010-03-04
JP2010052741A (ja) 2010-03-11
US8646972B2 (en) 2014-02-11
EP2330047B1 (en) 2013-03-06
TW201026571A (en) 2010-07-16
TWI468323B (zh) 2015-01-11
US20110150370A1 (en) 2011-06-23
CN102131711A (zh) 2011-07-20
EP2330047A1 (en) 2011-06-08
JP5319987B2 (ja)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4899A (ko)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
JP4874742B2 (ja) カットテープ付きチャックテープ、その製造方法、および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
US8789247B2 (en) Interlock tool, bag making use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m
JP5377858B2 (ja) チャックテープ、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および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の製造装置
JP4805742B2 (ja) 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
KR101286914B1 (ko) 척 테이프 및 척 테이프 부착 포장 백
JP4898817B2 (ja) 易裂き性チャックテープ、その製造方法、易裂き性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そ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1504382B1 (ko) 컷 테이프 및 컷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 주머니
JP5639091B2 (ja) ジッパーテープ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包装袋
KR20090059150A (ko) 개봉 용이성 척 테이프, 개봉 용이성 척 테이프 부착 포장 주머니 및 개봉 용이성 척 테이프의 제조 방법
WO2006041057A1 (ja) 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
JP2011121615A (ja) ジッパーテープ、及び、ジッパーテープ付き包装袋
KR20110115135A (ko) 찢음이 용이한 지퍼 테이프, 및 찢음이 용이한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 백
US20100226599A1 (en) Fastener Tape and Packaging Bag with Fastener Tape
JP2014196145A (ja) ジッパーテープ、及び、包装袋
JP2006176196A (ja) 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