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691A - Eu (2+) -도핑된 규산염 발광체를 갖는 발광 물질 - Google Patents

Eu (2+) -도핑된 규산염 발광체를 갖는 발광 물질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8691A
KR20100138691A KR1020090080263A KR20090080263A KR20100138691A KR 20100138691 A KR20100138691 A KR 20100138691A KR 1020090080263 A KR1020090080263 A KR 1020090080263A KR 20090080263 A KR20090080263 A KR 20090080263A KR 20100138691 A KR20100138691 A KR 20100138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metal
sio
rare earth
luminescent material
doped silic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1717B1 (ko
Inventor
이정훈
월터 튜스
로스 군둘라
스타릭 데트레프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리텍-엘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리텍-엘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773,514 priority Critical patent/US8703014B2/en
Priority to RU2012102270/05A priority patent/RU2543196C2/ru
Priority to CN201080028841.3A priority patent/CN102803438B/zh
Priority to JP2012517368A priority patent/JP2012531488A/ja
Priority to PCT/KR2010/003285 priority patent/WO2010150981A2/en
Priority to EP10792263.5A priority patent/EP2445989B1/en
Priority to TW099120090A priority patent/TWI519626B/zh
Publication of KR2010013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83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two or more rare earth metals one of which being europium
    • C09K11/77922Silic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Abstract

본 발명은 Eu2+-도핑된 규산염 발광체를 구비하는 무기 발광물질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서 알칼리토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및 희토류 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 사이의 혼합상의 형태의 고용체가 발광을 일으키는 Eu2+ 활성에 대한 기저 격자로서 사용된다. 이들 발광체들은 일반식 (1-x)MII 3SiO5 · x SE2SiO5:Eu 로 표시되며, 여기에서 MII 는 바람직하게는 스트론튬의 알칼리토금속 이온을 나타내거나 다른 알칼리토금속 이온 또는 마그네슘, 칼슘, 바륨, 구리, 아연 및 망간 원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다른 2가 금속 이온을 나타내며, 이들 이온들은 대체로 스트론튬에 부가하여 또한 서로의 혼합물로서 정량이 사용되고, SE는 희토류 금속을 나타낸다.
발광 물질은 예를 들어 자외선 방사 또는 청색광과 같은 더 높은 에너지의 주 방사를 긴 파장의 가시 방사로 변환시키기 위한 방사 변환체로서 사용되고,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색이 있는 또는 백색의 광을 방출하는 LED 같은 상응하는 발광 배열체에 채택된다.

Description

Eu (2+) -도핑된 규산염 발광체를 갖는 발광 물질{LUMINESCENT SUBSTANCES HAVING Eu (2+) -DOPED SILICATE LUMINOPHORES}
본 발명은 무기 규산염에 기초한 발광 물질에 관한 것인데, 이 발광 물질은 예를 들어 자외선 방사 또는 청색광과 같은 더 높은 에너지의 초기 방사를 긴 파장의 가시 방사로 변환시키는 방사 변환체로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색이 있는 또는 백색의 광을 방출하는 LED 같은 상응하는 발광 배열체(arrangements)에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변환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배열체는 특히 개선된 온도-의존 발광 효율 또는 양자효율에 의해 그리고 생성된 광의 방출에 기여하는 발광 물질의 더 긴 수명에 의해 구별된다. 특히, 발생하는 방사 부하 및 대기 습도와 다른 환경적 요인에 대한 발광체의 높은 안정성이 성취된다.
Sr3SiO5:Eu의 일반적 형태를 갖는 유로퓸-활성 알칼리토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는 색이 있는 또는 백색의 광을 방출하는 LED에서 사용되는 것이 알려져 왔고, 이러한 화합물에서 스트론튬 원소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다른 알칼리토금속 이온 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외선을 방출하는 LED에서 장파장용의 스트론튬 규산염 기반 발광 물질이 Sr3-XSiO5:Eu2+ 의 구조로 국제특허 공개번호 WO 2004/085570 A1에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x = 0 < x ≤ 1 이다. 상기 발광 물질은 높은 발광 효율을 갖는 것으로 언급된다. 국제특허 공개번호 WO 2006/081803 A1은 (Sr, Ba, Ca)3SiO5:Eu 의 구조를 갖는 오소실리케이트로 구성된 클래스의 발광 물질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공지된 발광체는 황색에서 오렌지색 범위의 가시 스펙트럼에서 방출하고, 자외 방사 또는 청색광의 여기하에서, 관련된 기술적 어플리케션에 요구되는 높은 발광 효율을 갖는다. 또한, 이 발광체들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유리한 방출 스펙트럼의 작은 반치폭에 의해 그리고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 소광에 의해 구별되는 것으로 언급된다.
미국특허 공개번호 2006-261309 A1은 형광 혼합물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들은 황색광을 방출하고 두 개의 규산염 기반 상들을 갖고, 220 nm 내지 530 nm 범위의 파장을 갖는 방사원에 의하여 여기되면 555 nm 내지 580 nm 범위의 파장에서 주방출 강도를 갖는다. 제1 상은 실질적으로 결정구조 (M1)2SiO4 를 갖고 제2 상은 실질적으로 결정구조 (M2)3SiO5 를 갖는데, 여기에서 M1 및 M2는 각각 Sr, Ba, Mg, Ca 및 Zn으로부터 선택된다. 혼합물의 적어도 하나의 상은 0.0001중량%와 같거나 그보다 더 많은 Mg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은 2가 유로퓸 (Eu2+)으로 활성화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은 도펀트 D를 포함하는데, 이는 F, Cl, Br, S 및 N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적어도 하나의 도펀트 원자는 발광 물질의 규산염 결정 호스트의 산소 원자의 격자 자리(site)에 정렬된다.
국제특허 공개번호 2007/035026 A1은 장파장 여기를 갖는 자외선용 규산염 발광 물질을 개시하는데, 이는 x = 0.50 내지 0.64 및 y = 0.38 내지 0.51의 색좌표를 갖는다. 이것은 화학식 (Sr1-x-y-zAxBanZny)3SiO5 : Rez 로 대표되는데, 여기에서 A는 Ca 및 Mg 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알칼리토금속이고, R은 희토류 금속을 나타내고, 0 ≤ x ≤ 0.5; 0 < y ≤ 0.5; 0 < z < 0.2 및 0 < n ≤ 1 이다. 상기 발광 물질은 기재 성분으로 스트론튬, 바륨, 아연 및 이산화규소와 활성 물질 성분으로 희토류 금속의 화학양론적 혼합물로부터 제조된다. 이로부터 생성된 혼합물이 발광 물질 제조를 위하여 100 내지 150 ℃ 에서 건조된다. 질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혼합 가스 분위기하 800 내지 1500 ℃ 에서 발광물질의 열처리가 이어진다. 스트론튬 1몰당 알칼리토금속 0.001 내지 0.5 몰 및 아연 0.001 내지 0.5 몰이 그 후에 기재 성분에 첨가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의 발광 물질의 단점은 이들이 사용 조건하에서 비교적 짧은 수명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특히 유로퓸-도핑된 알칼리토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의 높은 습도 민감성 때문이다. 이러한 치명적인 단점은 개시된 발광체의 기술적 적용을 완전히 방해하거나 적어도 상당한 정도로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성질, 특히 대기 습도에 상당히 증가된 안정성을 갖는 화학적으로 변형된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발광 물질을 제공하는 것인데, 이것은 효율적인 방사 변환체(converter)로서 다양한 기술적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상기 목적은, 발광을 일으키는 Eu2+ 활성에 대한 기저 격자로서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발광 물질인 경우에, 알칼리토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및 희토류 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 사이의 고용체, 소위 혼합상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고용체 형성은 고체 상태 기재의 안정성과, 대기 습도 및 다른 환경적 요인에 대한 해당 발광체의 실질적으로 개선된 내성을 가져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발광 물질의 수명 및 그것으로부터 생산된 발광 배열체의 수명이 영구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물질은 일반식 (1-x)MII 3SiO5 · x SE2SiO5:Eu 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물질의 군은 Eu2+-도핑된 규산염 발광체를 포함하는데, 그를 위하여 알칼리토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및 희토류 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 사이의 고용체, 소위 혼합상이 기저 격자로 사용된다. 두 개의 상이한 옥시오소실리케이트 유형들 사이의 고용체 형성체는 특정 농도 한계내에서 가능하며 검출된 특징에 의하면 (1-x)MII 3SiO5 · x SE2SiO5 로 표기된다.
상기 일반 구조식에서, MII 는 바람직하게는 Sr의 알칼리토금속 이온을 나타내거나 다른 알칼리토금속 이온 또는 마그네슘, 칼슘, 바륨, 구리, 아연 및 망간 원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다른 2가 금속 이온을 나타내는데, 이들 이온들은 보통 스트론튬에 부가하여 또한 서로 정량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바륨의 경우에는, 스트론튬에 대한 완전한 대체가 가능하다. 스트론튬에 부가하여 함유되는 다른 2가 금속 이온들의 분율은 최대 0.5 일 수 있다.
일반식에 사용된 기호 SE는 희토류 금속을 나타내고, 이트륨, 란타늄 및 소위 란탄족 원소 즉, 58 내지 71의 원자 번호를 갖는 원소의 3가 금속 이온을 나타내나, 바람직하게는 이트륨, 란타늄, 가돌리늄 및 루테튬의 상응하는 이온들을 나타낸다. 이들 이온들은 개별적 성분 또는 서로의 혼합물로 기재 내로 함유될 수 있다.
유로퓸과 별도로 그리고 이 도핑 원소에 더하여, 원리적으로 예를 들어, 사마륨의 또는 이테르븀과 같은 2가 희토류 금속 이온 또는 예를 들어, 세륨 이온 (Ce3+) 과 같은 특정 3가 희토류 금속 이온이 또한 부활제(activator)로서 사용된다.
발광 성질 및 안정성 거동(stability behaviour)을 최적화하는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물질의 조성물의 경우에 추가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실리콘이 필요하다면 게르마늄에 의해 및/또는 알루미늄, 갈륨, 붕소 또는 인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나, 마지막으로 언급된 경우에서는 전하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리튬, 나트륨 또는 칼륨과 같은 1가 양이온 또는 플루오린,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와 같은 음이온을 본 발명에 따른 기저 격자 내로 추가로 함유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물질은 화학식 (1-x)(Sr3-a-b-zBaaCabMII cEuz)SiO5 · x SE2SiO5 을 갖는데,
여기에서 MII = Mg, Cu, Zn 및/또는 Mn 이고,
SE = Y, La, Gd 및/또는 Lu 및/또는 원자 번호 58 내지 71의 란탄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다른 원소이고,
x ≤ 0.2, 특히 x ≤ 0.1이고,
0 ≤ a ≤ 3, 0 ≤ b ≤ 0.05, 0 ≤ c ≤ 0.05 및
z ≤ 0.25의 몰 분율이다.
알칼리토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및 희토류 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는 각자의 양이온의 성질과 전하에 관련하여 서로 다를 뿐 아니라 실질적으로 상이한 결정구조를 갖는다. 이에 대한 이유는 알칼리토금속 화합물이 공간군 P4/ncc 를 갖는 정방정계 격자를 형성하는 반면 희토류 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는 공간군 P2/c 및 B2/b를 갖는 단사정계로 결정화되기 때문이다.
화합물의 두 클래스는 희토류 금속 부활제(activator)로 도핑하는데 적합한 호스트 격자로 알려져 있다. 알칼리토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는, 기재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2가 이온, 즉 예를 들어 Eu2+ 이온으로 도핑되는 반면 3가 희토류 금속 이온들, 즉 예를 들어 Eu3+ 또는 Ce3+ 부활제가 당연히 희토류 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 기저 격자 내로 포함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발광 물질 Y2SiO5 : Ce 는 발광 물질의 이 클래스의 특별히 알려진 대표적인 예로서 언급되고, 이온화 또는 자외선으로 여기될 때 효과적인 방식으로 가시 스펙트럼의 청색 영역에서 방출하며, 따라서 특히 X-레이 탐지기, 전자 빔 튜브 또는 PDP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칼리토금속 및 희토류 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들은, 특정 농도 제한 내에서, 고용체, 즉 서로의 결정 혼합상을 형성하고, 이러한 기저 격자의 Eu2+ 활성이 상당히 향상된 습도 안정성을 갖는 효율적 발광 물질이 되게 한다. 고용체 형성을 위한 농도 범위는 최대 15 몰%의 희토류 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에 이를 수 있다.
고에너지 방사로 여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물질은 그들의 특정 화학적 조성에 따라 스펙트럼의 가시 부분, 바람직하게는 560 내지 620nm 범위 내에서 방 사한다. Eu2+ 발광에 대한 여기는 220nm의 자외선 범위에서 550nm의 가시 범위까지 연장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발광체가 녹색 여기 방사로도 여기되어 효율적인 황색 내지 오렌지 또는 적색 발광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기술적으로 사용가능하고 강도가 높은 발광 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물질을 전자 빔, X-레이 빔 또는 감마 방사로 조사할 때도 발생한다. 그들의 발광 성질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물질은 이온화화는 감마 방사 또는 X-레이 또는 전자 빔, 자외선, 청색 또는 녹색 방사를 바람직하게는 황색, 오렌지 또는 적색 스펨트럼 범위에서 방출되는 장파장의 가시 광선으로 변환시키는 방사 변환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들은 기술 장치들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방사 변환체로서 예를 들어 음극선관 및 다른 영상 생성 시스템(스캐닝 레이저 빔 시스템), X-레이 영상 변환기, 형광램프, 색이 있는 및 백색의 광을 방출하는 LED, 태양전지 또는 온실 시트 및 유리에서 단독 또는 청색, 녹색, 황색 및/또는 적색광을 방출하는 다른 발광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선된 온도-의존 발광 효율 또는 양자효율 및 장수명의 발광 물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발생하는 방사 부하 및 대기 습도와 다른 환경적 요인에 대해 높은 안정성을 갖는 발광 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도면 및 표와 실험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된 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물질의 제조는 바람직하게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알칼리토금속 및 희토류 금속 탄산염 또는 상응하는 산화물과 콜로이달(colloidal) SiO2 사이의 다단계 고온 고상 반응에 기초하여 수행되는데, 반응을 촉진하고 생성된 발광체의 입자 크기 분포를 조절하기 위하여 일정 양의 플럭스 또는 예를 들어, NH4Cl과 같은 미네랄화 첨가제, 또는 특정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플루오르화물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또한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출발물질들은 철저히 혼합된 후 비활성 또는 환원 분위기에서 1300 내지 1700℃의 온도에서 1 내지 48 시간동안 소성된다. 선택적으로, 발광 물질의 성질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목적의 이 주 소성 공정은 또한 상이한 온도 범위에서 복수의 소성 단계들을 가질 수 있다. 소성 공정이 끝난 후, 샘플은 상온으로 냉각되고, 예를 들어, 플럭스 잔류물 제거, 표면 결함의 최소화 또는 입자 크기 분포의 정밀한 조정을 목적으로 하는 적절한 후처리 공정을 하게 된다.
콜로이달 실리카 대신에, 질화규소(Si3N4)가 또한 사용되는 알칼리토금속 및 희토류 금속 화합물의 반응을 위한 반응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우선 각각의 개별적인 알칼리토금속 또는 희토류 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 성분들을 서로 분리하여 제조한 후 목적에 적합한 온도 범위에서 반복된 열처리에 의해 고용체 형성을 확실하게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물질의 제조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복수의 실험예를 참 조하여 아래에 기재되어 있다.
실험예 1
실험예 1은 먼저 본 발명의 발광 물질의 장점을 평가하는 기준 물질로 간주될 (Sr2.95Ba0.01Eu0.04)SiO5 조성을 갖는 스트론튬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발광 물질의 제조를 설명한다.
상기 발광 물질의 제조를 위하여, SrCO3 217.75g, BaCO3 0.99g, Eu2O3 3.52g, SiO2 31.54 g 및 NH4Cl 2.68g이 철저하게 혼합되고, 그 후, 형성 가스 분위기에서 1350℃에서 4시간 동안 소성된다. 소성 공정이 끝난 후, 소성된 물질은 밀링으로 균질화되고, 그 후, 다시 적어도 5%의 수소 농도를 갖는 환원 N2/H2 분위기에서 두 시간 동안 1350℃에서 열처리 시킨다. 상기 냉각된 소성 물질의 후처리는 밀링, 세척 공정의 수행 및 최종 생성물의 건조 및 체질을 포함한다.
실험예 2
실험예 2는 0.99·(Sr2.95Ba0.01Eu0.04)SiO5·0.01·Y2SiO5 조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물질의 제조를 설명하고 있다. 이 발광 물질은 실험예 1에 기재된 소성 조건을 유지하면서, 다음의 출발 물질 및 양이 사용되어 제조된다: SrCO3 215.58g, BaCO3 0.98g, Y2O3 1.13g, Eu2O3 3.47g, SiO2 31.54g 및 NH4Cl 2.68g.
실험예 3
0.95·(Sr2.8875Ba0.01Cu0.0025Eu0.10)SiO5·0.05·Gd2SiO5 조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물질의 제조에서, SrCO3 202.48g, BaCO3 0.94g, CuO 0.094g, Gd2O3 9.06g, Eu2O3 8.36g 및 SiO2 30.94g이 실험예 3에서 출발물질로서 사용되고, 여기에 NH4Cl 4.0g이 플럭스로서 첨가된다. 철저히 균질화한 후에, 상기 출발 혼합물이 고온 로(furnace)에 위치한 코런덤(corundum) 도가니로 옮겨진다. 여기에서, 고체 혼합물은 1200℃에서 10 시간 유지하는 제1 단계, 1550℃에서 5시간 유지하는 제2 단계 및 1350℃에서 유지하는 제3 단계를 갖는 소성 형태로 실행되고, 마지막 단계에서 체재 시간은 2시간이다. 소성은, 1550℃가 도달할 때까지는 순수 질소내에서, 1550℃ 단계 동안은 20% 수소를 갖는 N2/H2 혼합 가스에서, 그 후에는 형성 가스(5% 수소)에서 수행되고, 1350℃ 소성 단계가 끝난 후에 최대한 빠른 속도록 냉각이 수행된다. 상기 발광 물질 샘플의 후처리는 실험예 1에 기재된 방식으로 수행된다.
실험예 4
실험예 4에 따른 변형체 제조는 우선 변형된 스트론튬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및 희토류 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를 서로 별도로 제조하고, 그 후, 별도의 생성 단계에서 고용체 형성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생성된 발광 물질은 0.995·(Sr2.498Ba0.45Ca0.002Eu0.05)SiO5·0.005·La2SiO5 조성을 갖는다.
(Sr2.498Ba0.45Ca0.002Eu0.05)SiO5 성분의 합성은 다음 양을 사용하여 실험예 1과 유사하게 수행된다: SrCO3 184.39g, BaCO3 44.40g, CaF2 0.078g, Eu2O3 3.96g 및 SiO2 31.54g. 한편, 필요한 란탄 옥시오소실리케이트 La2SiO5 는 La2O3 325.81g, SiO2 55.2g 및 NH4Cl 2.68g을 사용하여 일 단계 소성 공정으로 제조되는데, 철저히 혼합된 출발물질은 형성 가스에서 138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소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물질의 생성을 위하여, 조성에서, 상기 제조된 (Sr2.498Ba0.45Ca0.002Eu0.05)SiO5 성분 197.23g 및 La2SiO5 0.96g이 철저한 혼합 공정을 거치고, 그 후, 질소-수소(5%) 기류에서 1150 ℃ 6시간 동안 가열된다.
도 1은 실험예 1 내지 4에서 그 제조 과정이 설명된 발광 물질의 X-선 회절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그것들은 원칙적으로 선행 문헌에서 공지된 Sr3SiO5 의 반사를 공통으로 갖는데, 회절 각도는 수행된 격자 치환 때문에 순수 Sr3SiO5 상과 비교하여 약간 이동하였다. 단사정계 SE2SiO5 상에 할당될 수 있는 반사의 존재에 대한 지시는 어느 다이어그램에서도 검출되지 않는다. 그러한 반사는 실제로 스트론튬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및 상응하는 희토류 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 사이에서 고 용체 형성에 대해 언급된 농도 제한의 외부에서만 발생한다.
물질 격자 상수
a = b c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Sr3SiO5 : Eu 6.962 10.771
(Sr2.95Ba0.01Eu0.04)SiO5 - 기준 6.957 10.770
0.99 (Sr2.95Ba0.01Eu0.04)SiO5 - 0.01 Y2SiO5 6.955 10.769
0.975 (Sr2.95Ba0.01Eu0.04)SiO5 - 0.025 Y2SiO5 6.958 10.770
0.95 (Sr2.95Ba0.01Eu0.04)SiO5 - 0.05 Y2SiO5 6.954 10.766
0.98 (Sr2.95Ba0.01Eu0.04)SiO5 - 0.02 Gd2SiO5 6.957 10.770
0.95 (Sr2.95Ba0.01Eu0.04)SiO5 - 0.05 Gd2SiO5 6.958 10.773
0.925 (Sr2.95Ba0.01Eu0.04)SiO5 - 0.075 Gd2SiO5 6.956 10.769
0.995 (Sr2.95Ba0.01Eu0.04)SiO5 - 0.005 La2SiO5 6.954 10.767
0.99 (Sr2.95Ba0.01Eu0.04)SiO5 - 0.01 La2SiO5 6.957 10.768
0.975 (Sr2.95Ba0.01Eu0.04)SiO5 - 0.025 La2SiO5 6.957 10.769
표 1은 실험예 2에 기술한 제조 방법과 유사하게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 발광 물질의 격자 상수를 나열한다. 발광체의 격자 상수는 서로 매우 유사하다. 발광 물질의 기저 격자로서 사용된 옥시오소실리케이트 고용체에서 SE2SiO5 의 비교적 적은 비율에 비추어, 격자 상수의 편차에 대해 명백한 경향을 검출할 수는 없다.
표 2에서, 상이한 옥시오소실리케이트 격자들 간의 고용체 형성의 지시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물질의 열거된 발광 파라미터들로부터 분명하다. 특히, SE2SiO5 의 비율 증가로 표시될 수 있는 방출 스펙트럼의 색 좌표 및 반치폭의 체계적 이동은 고용체 형성의 안전한 지시이다. 한편에서는 이트륨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또는 가돌리늄 옥시오소실리케이트의 함유에서 다른 한편에서는 란탄 옥시오소실리케이트의 함유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이것은 각 희토류 원소의 이온 반경이 상이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발광 물질의 발광 효율 및 그것의 온도 의존성은 공지의 Sr3SiO5 : Eu 발광 물질과 비교하여 개선된 것을 보여준다.
물질 분말 강도
450nm 여기
색 좌표 FWHM 강도
150℃
% x 값 y 값 nm %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Sr3SiO5 : Eu
98.3 91.3
(Sr2.95Ba0.01Eu0.04)SiO5 - 기준 100 0.5373 0.4604 68.4 91.5
0.99 (Sr2.95Ba0.01Eu0.04)SiO5 -
0.01 Y2SiO5
99.6 0.5371 0.4604 69.5 91.4
0.975 (Sr2.95Ba0.01Eu0.04)SiO5 -
0.025 Y2SiO5
100.8 0.5362 0.4611 70.5 92.5
0.95 (Sr2.95Ba0.01Eu0.04)SiO5 -
0.05 Y2SiO5
98.7 0.5343 0.4629 70.9 92.1
0.98 (Sr2.95Ba0.01Eu0.04)SiO5 -
0.02 Gd2SiO5
101.3 0.5361 0.4614 70.1 93.2
0.95 (Sr2.95Ba0.01Eu0.04)SiO5 -
0.05 Gd2SiO5
100.2 0.5358 0.4615 71.3 91.4
0.925 (Sr2.95Ba0.01Eu0.04)SiO5 -
0.075 Gd2SiO5
97.9 0.5346 0.4625 72.7 92.0
0.995 (Sr2.95Ba0.01Eu0.04)SiO5 -
0.005 La2SiO5
102.0 0.5377 0.4602 68.5 87.6
0.99 (Sr2.95Ba0.01Eu0.04)SiO5 -
0.01 La2SiO5
102.5 0.5382 0.4596 68 87.2
0.975 (Sr2.95Ba0.01Eu0.04)SiO5 -
0.025 La2SiO5
99.2 0.5352 0.4624 67.9 87
표 2에 기록된 결과들은, 그들의 제조 방법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물질이 비교적 또는 약간 높은 발광 효율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실험예 1 내지 4에 따른 발광 물질의 방출 스펙트럼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물질의 습도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발광 물질의 해당 샘플들이 조건화 된 챔버에서 온도 85℃ 및 상대 습도 85%에서 7일의 기간 동안 저장된다. 그 후, 상기 발광체들이 150 ℃에서 건조되고, 그 후, 발광 효율의 비교 측정이 수행된다. 그러한 검사의 전형적인 결과가 표 3에 열거되어 있다.
물질 분말 강도 450nm 여기 강도
150 ℃
강도
가습테스트 후
% % %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Sr3SiO5 : Eu 98.3 91.3 69.3
(Sr2.95Ba0.01Eu0.04)SiO5 - 기준 100 91.6 72.0
0.99 (Sr2.95Ba0.01Eu0.04)SiO5 - 0.01 Y2SiO5 99.6 91.4 93.6
0.975 (Sr2.95Ba0.01Eu0.04)SiO5 - 0.025 Y2SiO5 100.8 92.5 95.1
0.95 (Sr2.95Ba0.01Eu0.04)SiO5 - 0.05 Y2SiO5 98.7 92.1 91.3
0.98 (Sr2.95Ba0.01Eu0.04)SiO5 - 0.02 Gd2SiO5 101.3 93.2 89.7
0.95 (Sr2.95Ba0.01Eu0.04)SiO5 - 0.05 Gd2SiO5 100.2 91.4 94.2
0.925 (Sr2.95Ba0.01Eu0.04)SiO5 - 0.075 Gd2SiO5 97.9 92.0 95.3
0.995 (Sr2.95Ba0.01Eu0.04)SiO5 - 0.005 La2SiO5 102.0 87.6 90.3
0.99 (Sr2.95Ba0.01Eu0.04)SiO5 - 0.01 La2SiO5 102.5 87.2 88.8
0.975 (Sr2.95Ba0.01Eu0.04)SiO5 - 0.025 La2SiO5 99.2 87 86.4
데이터에서 보듯이, Sr3SiO5 : Eu 구조의 공지의 발광 물질 및 기준 목적으로 제조된 (Sr2.95Ba0.01Eu0.04)SiO5 발광 물질은 모두 가습 과정의 완료후에는 원래 발광 효율의 약 70%만을 갖는다. 이에 비해, 알칼리토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및 희토류 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혼합상 기저 격자를 갖는 본 발명의 유로퓸-도핑된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발광 물질은 상당히 향상된 습도 내성을 갖는다. 85℃/85% 가습 분위기에서 7일 동안 저장한 후에, 90%보다 큰 발광 효율, 최적화된 샘플의 경우에는 95%보다 큰 발광 효율이 여전히 발견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발광 물질의 X-선 회절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상이한 조성의 본 발명의 발광 물질의 방출 스펙트럼이다.
표 1은 Eu2+-활성 (1-x)MII 3SiO5 · x SE2SiO5 : Eu 발광 물질의 격자 상수에 대한 데이터이다.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발광 물질의 광학 및 성능 파라미터이다.
표 3은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발광 물질의 습도 안정성 조사 결과이다.

Claims (6)

  1. 알칼리토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및 희토류 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 사이의 혼합상 형태의 고용체가 발광을 일으키는 Eu2+ 활성에 대한 기저 격자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u2+-도핑된 규산염 발광체를 갖는 발광 물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알칼리토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및 희토류 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 사이의 혼합상 형태의 고용체가 기저 격자로서 사용되는 상기 Eu2+-도핑된 규산염 발광체는 일반식 (1-x)MII 3SiO5 · x SE2SiO5:Eu 로 표시되며,
    여기에서 MII 는 스트론튬의 알칼리토금속 이온을 나타내거나 다른 알칼리토금속 이온 또는 마그네슘, 칼슘, 바륨, 구리, 아연 및 망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다른 2가 금속 이온을 나타내며, 이들 이온들은 스트론튬에 부가하여 그리고 서로의 혼합물로서 정량이 사용되고, SE는 희토류 금속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u2+-도핑된 규산염 발광체를 갖는 발광 물질.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바륨의 경우에는 스트론튬의 완전한 대체가 가능하고, 스트론튬에 부가하여 함유되는 상기 다른 2가 금속 이온의 분율은 최대 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u2+-도핑된 규산염 발광체를 갖는 발광 물질.
  4. 청구항 1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희토류 금속은 이트륨, 란타늄 및 58 내지 71의 원자 번호를 갖는 란탄족의 3가 금속 이온, 바람직하게는 이트륨, 란타늄, 가돌리늄 및 루테튬 원소의 상응하는 이온으로서 개별적 성분 또는 서로의 혼합물로서 기재 내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u2+-도핑된 규산염 발광체를 갖는 발광 물질.
  5.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로퓸과 별도로, 부활제로서의 이 도핑 원소에 더하여, 원칙적으로 예를 들어, 사마륨 또는 이테르븀의 이온과 같은 2가 희토류 금속 이온 또는 예를 들어, 세륨 이온 (Ce3+) 과 같은 특정 3가 희토류 금속 이온이 또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u2+-도핑된 규산염 발광체를 갖는 발광 물질.
  6. 청구항 1 내지 5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토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및 희토류 금속 옥시오소실리케이트 사이의 혼합상 형태의 고용체의 배열체가 LED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u2+-도핑된 규산염 발광체를 갖는 발광 물질.
KR1020090080263A 2009-06-24 2009-08-28 Eu(2+)-도핑된 규산염 발광체를 갖는 발광물질 KR10112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73,514 US8703014B2 (en) 2009-06-24 2010-05-04 Luminescent substances having Eu2+-doped silicate luminophores
RU2012102270/05A RU2543196C2 (ru) 2009-06-24 2010-05-26 Люминесцентные вещества, содержащие силикатные люминофоры, легированные eu2+
CN201080028841.3A CN102803438B (zh) 2009-06-24 2010-05-26 具有掺杂Eu2+的硅酸盐发光体的发光物质
JP2012517368A JP2012531488A (ja) 2009-06-24 2010-05-26 Eu2+―ドーピングケイ酸塩発光体を有する発光物質
PCT/KR2010/003285 WO2010150981A2 (en) 2009-06-24 2010-05-26 Luminescent substances having eu2+-doped silicate luminophores
EP10792263.5A EP2445989B1 (en) 2009-06-24 2010-05-26 Luminescent substances having eu2+-doped silicate luminophores
TW099120090A TWI519626B (zh) 2009-06-24 2010-06-21 具有Eu+摻雜矽酸鹽發光體的發光基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30205.0 2009-06-24
DE102009030205A DE102009030205A1 (de) 2009-06-24 2009-06-24 Leuchtstoffe mit Eu(II)-dotierten silikatischen Luminopho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691A true KR20100138691A (ko) 2010-12-31
KR101121717B1 KR101121717B1 (ko) 2012-03-09

Family

ID=43217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263A KR101121717B1 (ko) 2009-06-24 2009-08-28 Eu(2+)-도핑된 규산염 발광체를 갖는 발광물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03014B2 (ko)
EP (1) EP2445989B1 (ko)
JP (1) JP2012531488A (ko)
KR (1) KR101121717B1 (ko)
CN (1) CN102803438B (ko)
DE (1) DE102009030205A1 (ko)
RU (1) RU2543196C2 (ko)
TW (1) TWI519626B (ko)
WO (1) WO201015098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9036B (zh) * 2012-10-25 2014-11-12 江苏博睿光电有限公司 Led用橙红色荧光粉的制备方法
CN103013503A (zh) * 2012-12-22 2013-04-03 广州有色金属研究院 一种硅酸盐荧光材料
DE202014103052U1 (de) * 2014-03-27 2015-07-03 Tridonic Jennersdorf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weißem Licht
DE102018125754A1 (de) * 2018-10-17 2020-04-23 Leuchtstoffwerk Breitungen Gmbh Erdalkalimetallsilikat-Leuchtstoff und Verfahren zum Verbessern der Langzeitstabilität eines Erdalkalimetallsilikat-Leuchtstoffes
KR102225843B1 (ko) 2019-08-20 2021-03-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하향변환 발광 조합체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
RU2744539C1 (ru) * 2020-06-08 2021-03-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Физико-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 А.Ф. Иоффе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Люминесцирующее стекло

Family Cites Families (1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0162A (en) * 1938-03-08 Luminescent material
US2402760A (en) * 1942-06-27 1946-06-25 Rca Corp Luminescent material
US2617773A (en) * 1948-09-10 1952-11-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Lead activated calcium tungstate phosphor
US2570136A (en) * 1949-12-22 1951-10-02 Du Pont Infrared phosphors
US2719128A (en) * 1950-06-21 1955-09-27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Luminescent material
US2780600A (en) * 1955-01-24 1957-02-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Lead-and manganese-activated cadmium-sodium fluorophosphate phosphor
US3143510A (en) * 1959-06-12 1964-08-04 Philips Corp Copper and tin activated orthophosphate phosphors
US3598752A (en) * 1967-04-14 1971-08-10 Itt Ultraviolet emitting cathodoluminescent material
NL7013516A (ko) 1970-09-12 1972-03-14
US3644212A (en) * 1971-02-18 1972-02-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Zinc-magnesium silico-germanate phosphor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US3893939A (en) * 1973-01-04 1975-07-08 Us Energy Activated phosphors having matrices of yttrium-transition metal compound
US3905911A (en) * 1974-09-25 1975-09-16 Gte Sylvania Inc Copper activated hafnium phosphate phosphors and method of making
NL7807274A (nl) 1978-03-10 1979-09-12 Philips Nv Luminescerende stof, luminescerend scherm voorzien van een dergelijke stof en lagedrukkwikdampontladingslamp voorzien van een dergelijk scherm.
NL8201943A (nl) 1982-05-12 1983-12-01 Philips Nv Luminescerend scherm.
JPS62218476A (ja) * 1986-03-18 1987-09-25 Murata Mfg Co Ltd 薄膜el素子
JPH07110941B2 (ja) * 1987-10-19 1995-11-29 化成オプトニクス株式会社 発光組成物
US4972086A (en) * 1989-02-03 1990-11-20 Eastman Kodak Company X-ray intensifying screen including a titanium activated hafnium dioxide phosphor containing erbium to reduce afterglow
EP0382295B1 (en) 1989-02-07 1993-08-04 Agfa-Gevaert N.V. Reproduction of x-ray images with photostimulable phosphor
US5518808A (en) * 1992-12-18 1996-05-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uminescent materials prepared by coating luminescent compositions onto substrate particles
KR940019586A (ko) * 1993-02-04 1994-09-14 휴고 라이히무트, 한스 블뢰흐레 엘리베이터용 표시소자
US5472636A (en) * 1994-09-14 1995-12-05 Osram Sylvania Inc. Method of preparing manganese and lead coactivated calcium silicate phosphor
US5770111A (en) * 1995-04-14 1998-06-23 Kabushiki Kaisha Tokyo Kagaku Kenkyusho Phosphor with afterglow characteristic
DE19528758C1 (de) 1995-08-04 1996-12-05 Siemens Ag Leuchtstoffkeramik,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19539315A1 (de) * 1995-10-23 1997-04-24 Hoechst Ag UV-aktive Regeneratcellulosefasern
DE19638667C2 (de) 1996-09-20 2001-05-17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Mischfarbiges Licht abstrahlendes Halbleiterbauelement mit Lumineszenzkonversionselement
TW383508B (en) * 1996-07-29 2000-03-01 Nichia Kagaku Kogyo Kk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US5965192A (en) * 1996-09-03 1999-10-12 Advanced Vision Technologies, Inc. Processes for oxide based phosphors
DE69627334T2 (de) * 1996-10-10 2003-12-11 Agfa Gevaert Nv Neuer Photostimulierbarer Leuchtstoff
US5853614A (en) * 1996-12-17 1998-12-29 Beijing Hongye Coating Materials Company Long decay luminescent material
WO1998039805A1 (de) * 1997-03-03 1998-09-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eisse lumineszenzdiode
JP2992254B2 (ja) 1997-08-11 1999-12-20 北京市豊台区宏業塗装輔料廠 高速励起・高輝度低減衰性発光材料の製造方法
CN1085719C (zh) 1997-11-21 2002-05-29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镝、铅共掺高压汞灯用荧光粉的制备方法
US5952681A (en) * 1997-11-24 1999-09-14 Chen; Hsing Light emitting diode emitting red, green and blue light
US6278832B1 (en) * 1998-01-12 2001-08-21 Tasr Limited Scintillating substance and scintillating wave-guide element
JP2907286B1 (ja) * 1998-06-26 1999-06-21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蛍光カバーを有する樹脂封止型半導体発光装置
CN1227749C (zh) 1998-09-28 2005-11-16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照明系统
KR100355456B1 (ko) * 1999-07-30 2002-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형광 디스플레이용 적색 형광체와 그것의 제조방법
JP2001144331A (ja) * 1999-09-02 2001-05-25 Toyoda Gosei Co Ltd 発光装置
US6686691B1 (en) * 1999-09-27 2004-02-03 Lumileds Lighting, U.S., Llc Tri-color, white light LED lamps
TWI272299B (en) * 1999-10-06 2007-02-01 Sumitomo Chemical Co A process for producing aluminate-based phosphor
JP2001115157A (ja) 1999-10-15 2001-04-24 Nippon Sheet Glass Co Ltd 蛍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09760B2 (ja) 2000-02-18 2006-08-1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
GB0012377D0 (en) * 2000-05-22 2000-07-12 Isis Innovation Oxide based phosphors
JP2002057376A (ja) 2000-05-31 2002-0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edランプ
US6737801B2 (en) * 2000-06-28 2004-05-18 The Fox Group, Inc. Integrated color LED chip
JP4432275B2 (ja) 2000-07-13 2010-03-1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光源装置
TW459403B (en) * 2000-07-28 2001-10-11 Lee Jeong Hoon White light-emitting diode
DE10036940A1 (de) 2000-07-28 2002-02-07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Lumineszenz-Konversions-LED
WO2002032809A1 (fr) * 2000-10-17 2002-04-25 Sharp Kabushiki Kaisha Compose oxyde, procede de preparation d'une couche mince d'oxyde et element comprenant ce compose
JP2002173677A (ja) 2000-12-04 2002-06-21 Tokin Corp 真空紫外線励起蛍光体及びそれを用いた蛍光体ペースト
KR100392363B1 (ko) 2000-12-26 2003-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
AT410266B (de) * 2000-12-28 2003-03-25 Tridonic Optoelectronics Gmbh Lichtquelle mit einem lichtemittierenden element
CN1187428C (zh) 2001-02-12 2005-02-02 湖南师范大学 单基双能转光剂及其制造方法和应用方法
JP2002254273A (ja) * 2001-02-23 2002-09-10 Mori Seiki Co Ltd 切削工機の制御装置、切削工機及びその切削方法
JP3783572B2 (ja) 2001-03-05 2006-06-0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JP4101468B2 (ja) 2001-04-09 2008-06-18 豊田合成株式会社 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7019335B2 (en) * 2001-04-17 2006-03-28 Nichia Corporation Light-emitting apparatus
KR100419611B1 (ko) * 2001-05-24 2004-02-25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이용한 발광장치와 그 제조방법
JP4055373B2 (ja) 2001-05-31 2008-03-0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2002368277A (ja) 2001-06-05 2002-12-20 Rohm Co Ltd チップ型半導体発光装置
US6737681B2 (en) * 2001-08-22 2004-05-18 Nichia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with fluorescent member excited by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US7189340B2 (en) * 2004-02-12 2007-03-13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hosphor, light emitting device using phosphor, and display and lighting system using light emitting device
JP4032682B2 (ja) 2001-08-28 2008-01-16 三菱化学株式会社 蛍光体
CN101335322B (zh) * 2001-09-03 2010-12-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荧光体层、半导体发光装置及半导体发光元件的制造方法
US6770398B1 (en) * 2001-09-11 2004-08-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Potassium stabilized manganese dioxide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ATE525755T1 (de) * 2001-10-12 2011-10-15 Nichia Corp Lichtemittierend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152114C (zh) 2001-10-26 2004-06-02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蓝紫色、绿色硅铝锌体系长余辉发光材料的制备方法
JP2003152229A (ja) 2001-11-16 2003-05-23 Rohm Co Ltd 半導体発光装置
JP4092911B2 (ja) 2001-12-21 2008-05-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CN1266776C (zh) 2002-01-21 2006-07-26 诠兴开发科技股份有限公司 白色发光二极管的制造方法
TWI243339B (en) * 2002-03-19 2005-11-11 Casio Computer Co Ltd Image reading apparatus and drive control method
JP4280038B2 (ja) 2002-08-05 2009-06-1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JP2003321675A (ja) 2002-04-26 2003-11-14 Nichia Chem Ind Ltd 窒化物蛍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430456C (zh) * 2002-03-22 2008-11-05 日亚化学工业株式会社 氮化物荧光体,其制造方法及发光装置
JP4868685B2 (ja) 2002-06-07 2012-02-0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蛍光体
JP3822545B2 (ja) 2002-04-12 2006-09-20 士郎 酒井 発光装置
JP2003306674A (ja) * 2002-04-15 2003-10-31 Sumitomo Chem Co Ltd 白色led用蛍光体とそれを用いた白色led
DE10233050B4 (de) 2002-07-19 2012-06-14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ichtquelle auf LED-Basis für die Erzeugung von Licht unter Ausnutzung des Farbmischprinzips
US7224000B2 (en) * 2002-08-30 2007-05-29 Lumination, Llc Light emitting diode component
US7244965B2 (en) * 2002-09-04 2007-07-17 Cree Inc, Power surface mount light emitting die package
JP4263453B2 (ja) * 2002-09-25 2009-05-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機酸化物及びこれを用いた発光装置
JP2004127988A (ja) 2002-09-30 2004-04-22 Toyoda Gosei Co Ltd 白色発光装置
JP2004134699A (ja) 2002-10-15 2004-04-30 Toyoda Gosei Co Ltd 発光装置
MY149573A (en) * 2002-10-16 2013-09-13 Nichia Corp Oxynitride phosphor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and light-emitting device using oxynitride phosphor
JP3929885B2 (ja) 2002-12-06 2007-06-13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Led照明装置、led照明装置の製造装置、及び、led照明装置の製造方法
DE10259946A1 (de) 2002-12-20 2004-07-15 Tews, Walter, Dipl.-Chem. Dr.rer.nat.habil. Leuchtstoffe zur Konversion der ultravioletten oder blauen Emission eines lichtemittierenden Elementes in sichtbare weiße Strahlung mit sehr hoher Farbwiedergabe
KR100499079B1 (ko) * 2003-02-10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녹색 산화물 형광체
US7320531B2 (en) * 2003-03-28 2008-01-22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Multi-colored LED array with improved brightness profile and color uniformity
KR100574546B1 (ko) 2003-03-28 2006-04-27 한국화학연구원 스트론튬실리케이트계 형광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발광다이오드
US20040206970A1 (en) * 2003-04-16 2004-10-21 Martin Paul S. Alternating current light emitting device
TW200501456A (en) * 2003-04-23 2005-01-01 Hoya Corp Light-emitting diode
US6982045B2 (en) 2003-05-17 2006-01-03 Phosphortech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silicate fluorescent phosphor
US6987353B2 (en) * 2003-08-02 2006-01-17 Phosphortech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sulfoselenide fluorescent phosphor
US7026755B2 (en) * 2003-08-07 2006-04-11 General Electric Company Deep red phosphor for general illumination applications
RU2242545C1 (ru) * 2003-11-04 2004-12-20 Загуменный Александр Иосифович Сцинтиляционное вещество (варианты)
TWI263356B (en) * 2003-11-27 2006-10-01 Kuen-Juei Li Light-emitting device
US7066623B2 (en) * 2003-12-19 2006-06-27 Soo Ghee Le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untainted white light using off-white light emitting diodes
KR100586944B1 (ko) * 2003-12-26 2006-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및 제조방법
EP1715023B1 (en) 2004-01-16 2012-10-24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hosphor and including the same, light emitting apparatus, illuminat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KR100655894B1 (ko) 2004-05-06 2006-12-08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색온도 및 연색성이 우수한 파장변환 발광장치
KR100658700B1 (ko) 2004-05-13 2006-12-15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Rgb 발광소자와 형광체를 조합한 발광장치
JP2006012770A (ja) * 2004-05-27 2006-01-12 Hitachi Ltd 発光装置及び該発光装置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US8318044B2 (en) * 2004-06-10 2012-11-27 Seoul Semiconductor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KR100665298B1 (ko) * 2004-06-10 2007-01-04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장치
KR100665299B1 (ko) * 2004-06-10 2007-01-04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물질
US7601276B2 (en) 2004-08-04 2009-10-13 Intematix Corporation Two-phase silicate-based yellow phosphor
US7267787B2 (en) * 2004-08-04 2007-09-11 Intematix Corporation Phosphor systems for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LED)
JP5081370B2 (ja) 2004-08-31 2012-11-28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US20070247051A1 (en) * 2004-09-07 2007-10-2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hosphor, Phosphor Paste and Light-Emitting Device
JP4836429B2 (ja) * 2004-10-18 2011-12-14 株式会社東芝 蛍光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発光装置
JP4880892B2 (ja) 2004-10-18 2012-02-22 株式会社東芝 蛍光体,蛍光体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発光装置
JP2006173433A (ja) 2004-12-17 2006-06-29 Ube Ind Ltd 光変換用セラミック複合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
RU2359362C2 (ru) 2004-12-22 2009-06-20 Сеул Семикондактор Ко., Лтд.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7138770B2 (en) * 2004-12-27 2006-11-21 Top Union Globaltek Inc. LED driving circuit
US7541728B2 (en) * 2005-01-14 2009-06-02 Intematix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aluminate-based green phosphors
DE102005005263A1 (de) 2005-02-04 2006-08-10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Gelb emittierender Leuchtstoff und Lichtquelle mit derartigem Leuchtstoff
JP4868499B2 (ja) 2005-04-08 2012-02-01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応力発光体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む複合材料、並びに応力発光体の母体構造
JP4938994B2 (ja) 2005-04-22 2012-05-23 ペンタックス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シリカエアロゲル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27154B1 (ko) * 2005-08-03 2009-11-18 인터매틱스 코포레이션 실리케이트계 오렌지 형광체
TWI403570B (zh) * 2005-08-10 2013-08-01 Mitsubishi Chem Corp 螢光體與其製造方法,含螢光體組成物,發光裝置及其用途
JP2008038081A (ja) * 2006-08-09 2008-02-21 Mitsubishi Chemicals Corp 蛍光体及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
US20070035026A1 (en) * 2005-08-15 2007-02-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Via in semiconductor device
KR100666211B1 (ko) 2005-09-22 2007-01-09 한국화학연구원 자외선 및 장파장 여기용 규산염계 형광체
KR101258397B1 (ko) * 2005-11-11 2013-04-30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구리 알칼리토 실리케이트 혼성 결정 형광체
KR101055772B1 (ko) * 2005-12-15 2011-08-11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장치
KR100626272B1 (ko) 2006-01-20 2006-09-20 씨엠에스테크놀로지(주) 바륨실리케이트계 형광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백색 발광소자 및 발광필름
KR100875443B1 (ko) 2006-03-31 2008-12-23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장치
RU2319728C1 (ru) * 2006-06-13 2008-03-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еверо-Кавказ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атериал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света 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его получения
JP5134788B2 (ja) * 2006-07-19 2013-01-30 株式会社東芝 蛍光体の製造方法
US7820075B2 (en) * 2006-08-10 2010-10-26 Intematix Corporation Phosphor composition with self-adjusting chromaticity
JP3964449B1 (ja) * 2006-10-06 2007-08-22 根本特殊化学株式会社 橙色発光蛍光体
US7648650B2 (en) * 2006-11-10 2010-01-19 Intematix Corporation Aluminum-silicate based orange-red phosphors with mixed divalent and trivalent cations
KR101396588B1 (ko) * 2007-03-19 2014-05-20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다양한 색온도를 갖는 발광 장치
JP5521273B2 (ja) * 2007-06-01 2014-06-11 日立化成株式会社 シンチレータ用単結晶、シンチレータ用単結晶を製造するための熱処理方法、及びシンチレータ用単結晶の製造方法
CN101784636B (zh) 2007-08-22 2013-06-12 首尔半导体株式会社 非化学计量四方铜碱土硅酸盐磷光体及其制备方法
KR101055769B1 (ko) * 2007-08-28 2011-08-11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비화학양론적 정방정계 알칼리 토류 실리케이트 형광체를채택한 발광 장치
WO2009028818A2 (en) * 2007-08-28 2009-03-05 Seoul Semiconductor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employing non-stoichiometric tetragonal alkaline earth silicate phosphors
CN101271950B (zh) * 2008-04-18 2010-09-22 罗维鸿 蓝-绿色发光半导体及其荧光粉
US8329060B2 (en) * 2008-10-22 2012-12-11 General Electric Company Blue-green and green phosphors for lighting applications
JP5624616B2 (ja) * 2009-06-24 2014-11-12 ソウ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オキシオルトシリケート発光体を有する発光物質を用いる発光装置
KR101055762B1 (ko) * 2009-09-01 2011-08-11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발광체를 갖는 발광 물질을 채택한 발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03438A (zh) 2012-11-28
RU2543196C2 (ru) 2015-02-27
US20100327229A1 (en) 2010-12-30
TW201100524A (en) 2011-01-01
CN102803438B (zh) 2015-04-15
WO2010150981A3 (en) 2011-03-24
EP2445989B1 (en) 2016-07-13
DE102009030205A1 (de) 2010-12-30
KR101121717B1 (ko) 2012-03-09
US8703014B2 (en) 2014-04-22
EP2445989A4 (en) 2014-03-05
WO2010150981A2 (en) 2010-12-29
TWI519626B (zh) 2016-02-01
JP2012531488A (ja) 2012-12-10
EP2445989A2 (en) 2012-05-02
RU2012102270A (ru) 201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301B1 (ko) 산질화물 형광체 및 발광기구
KR101802996B1 (ko) 스트론튬 옥시오소실리케이트 형광체 유형에서 방사 부하에 대한 안정성 및 대기 습도의 영향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
KR101121717B1 (ko) Eu(2+)-도핑된 규산염 발광체를 갖는 발광물질
KR20080003435A (ko) 발광에 사용되는 신규 물질
KR101055762B1 (ko)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발광체를 갖는 발광 물질을 채택한 발광 장치
JP6600575B2 (ja) 赤色発光を示すハロ燐酸塩蛍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826210B2 (ja) 希土類複合酸化物蛍光体
JP2015025077A (ja) 蛍光体
KR101531123B1 (ko) 형광체의 제조 방법
JPWO2007034609A1 (ja) 紫外発光長残光蛍光体
KR20160111463A (ko) 형광체 및 발광장치
KR101599808B1 (ko) 비가시 발광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7648B1 (ko) 비가시 발광체 및 그 제조방법
JP2014109005A (ja) アルカリ土類金属シリケート系蛍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白色led
KR20160055216A (ko) 규산염 형광체의 제조 방법
JP2016084465A (ja) 蛍光体材料及び発光装置
JPH07119415B2 (ja) テルビウム−テルル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84486A (ja) 真空紫外線励起蛍光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