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386A - 복합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화장료 - Google Patents

복합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386A
KR20100137386A KR1020100058599A KR20100058599A KR20100137386A KR 20100137386 A KR20100137386 A KR 20100137386A KR 1020100058599 A KR1020100058599 A KR 1020100058599A KR 20100058599 A KR20100058599 A KR 20100058599A KR 20100137386 A KR20100137386 A KR 20100137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owder
acid
silicone
silicone ela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8997B1 (ko
Inventor
요시노리 이노꾸찌
류이찌 이나바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61Q3/02Nail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2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09C1/021Calcium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2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09C1/027Bar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8Compounds of silicon
    • C09C1/30Silicic acid
    • C09C1/3081Treatment with organo-silic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0Compounds of aluminium
    • C09C1/405Compounds of aluminium containing combined silica, e.g. m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12Treatment with 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14By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1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one dimension, e.g. needle-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2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wo dimensions, e.g. plate-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01P2004/32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핵 분체의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복합 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펴짐, 부드러움, 부착, 혼합 상태가 양호하고,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가 우수한 복합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이 복합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화장료 {COMPOSITE PARTICL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COSMETIC MATERIALS}
본 발명은 핵 분체의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복합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이 복합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는 피부의 주름, 모공, 피부결의 거칠음 등의 형태 트러블이나 피부의 기미, 주근깨 등의 색조 트러블을 숨기고, 피부를 매끈하고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것이고, 최근에는 인공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운 완성감(맨살 느낌)이 중시되고 있다. 또한, 화장료의 자연스러운 완성감은 부자연스러운 광택(윤기)이 없고, 화장막의 부착 균일성이 우수하고, 높은 투명성을 갖는 경우로 평가된다. 종래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의 효과를 답습시키면서도 자연스러운 완성감을 얻기 위해서 많은 신소재나 신기술이 제안되었다. 특히 형태 트러블을 숨기는 방법으로서는, 각종 확산 반사형 분체를 배합한 화장료가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6-128122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점착성 물질을 함유하는 제1층용 메이크업 바탕료와, 광을 확산 반사하는 분체를 함유하는 제2층용 메이크업 완성료를 조합한 주름 숨김용 중층 화장료가 제안되어 있다. 이 주름 숨김용 중층 화장료에는, 예를 들면 탈크 입자를 아크릴계 중합체로 피복한 광 확산 반사형 복합 분체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화장료에서는, 피부 상에서 화장막을 장시간 유지한 경우, 피지가 점착성 물질과 혼합됨으로써 분체와 점착성 물질과의 적정 혼합 범위에서 벗어나서 그 효과가 감소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국제 공개 제92/03119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천연 운모 등의 박편상 물질의 표면에 구상의 미립자 실리카가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박편상 미분말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박편상 미분말은, 광의 표면 확산 산란 효과가 큰 구상 미립자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박편상 미분말을 화장료 배합제로서 이용하면, 「기질 운모의 각(角) 광택을 억제함과 동시에, 잔주름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등의 이른바 소프트 포커스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시의 슬립성이나 감촉 등도 한층 더 개선된 화장품을 얻을 수 있다.」라는 기술적 효과가 발휘된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박편상 미분말의 슬립성이 매우 우수하므로, 이것을 배합한 화장료는 도포시에 엉킴이 생기기 쉬워 화장료를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곤란하고, 자연스러운 마무리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피복제로서 사용되는 미립자 실리카는 상기 복합 분체의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부착성을 저하시키고, 의복에 의한 마찰 등의 물리적 충격에 의해 상기 복합 분체가 피부 상으로부터 벗겨져 떨어지기 쉬워 화장료 효과의 지속성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박편상 미분말 중의 미립자 실리카의 비율을 저하시켜 상기 복합 분체의 피부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면, 형태 트러블에 대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 외에, 형태 트러블의 회피 또는 자연스러운 완성감을 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이들과 유사한 기술로서는, 박편상 체질 안료를 코어로 하여 이것을 유색 안료 함유 이산화티탄으로 피복하고, 추가로 이것을, 광을 확산시키는 분체로 피복한 코어쉘 구조의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일본 특허 공개 (평)8-188723호 공보: 특허문헌 3), 점토 광물의 표면을 수산화알루미늄과 같은 무기 금속 수산화물에 의해 피복한 복합 분체를 화장료에 배합하는 기술(일본 특허 공개 (평)9-20609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46238호 공보: 특허문헌 5), 황산바륨 등의 굴절률 1.6 내지 1.7의 분체 표면에 고굴절률의 금속 산화물로 피복된 층을 가지고, 또한 그 위에 황산화철, 흑산화철 및 적산화철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피복된 층을 갖는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일본 특허 공개 제2003-40737호 공보: 특허문헌 6), 실리카 졸과 아연 산화물 등의 복합화에 의해 얻어진 실리카/산화아연 복합체를 화장료에 배합하는 화장료(일본 특허 제3702072호 공보: 특허문헌 7)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복합 분체는 그의 광 확산 효과에 의해 어느 정도의 소프트 포커스 효과를 발현하지만, 무기 금속 산화물 또는 무기 금속 수산화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화장료의 사용감이라는 점에 주목한 경우, 그 복합 분체 자체의 경도 때문에 부드러움, 촉촉함, 매끄러움 등에서 충분히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었다. 한편, 화장료 분체의 사용감 개선, 즉 뽀송뽀송함, 매끄러움 등의 사용감, 신전성(伸展性), 부착성 등을 부여할 목적으로, 일본 특허 공개 제2002-69329호 공보(특허문헌 8)에는 인편(鱗片)상 무기 입자의 입자 표면을 폴리우레탄,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실리콘계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 피복한 입자가 제안되어 있고, 부드러우며 촉촉한 감촉이 얻어진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실리콘계 엘라스토머로 피복한 입자는 구체적으로는 예시되어 있지 않다. 다른 문헌에서는, 입자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 피복한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8-3451호 공보(특허문헌 9)에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실리콘 엘라스토머와 실리카를 분쇄 혼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모입자가 되는 실리카 입자는 분쇄되기 때문에 초기의 형상, 입경을 유지한 입자를 얻을 수 없다. 즉, 구상, 판상, 막대상 등 특정 형상을 이룬 입자를 얻을 수는 없고, 또한 입경을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결점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3-294357호 공보(특허문헌 10)에는, 모입자와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되는 경화성 실리콘을 혼합한 후에 실리콘을 경화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얻어지는 입자는 입자 중에 모입자가 다수 존재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2-232263호 공보(특허문헌 11)에는, 모입자가 되는 실리카 입자와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되는 경화성 실리콘의 혼합물을 물에 유화 분산시킨 후, 실리콘을 경화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고, 일본 특허 공개 (평)3-281536호 공보(특허문헌 12)에는, 실리카 입자 수분산액과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되는 경화성 실리콘의 혼합물을 물에 유화 분산시킨 후, 실리콘을 경화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입자 중에 모입자가 다수 존재하게 되거나, 모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입자가 생기거나 한다.
일본 특허 공개 (평)6-128122호 공보 국제 공개 제92/031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18872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20609호 공보 5)일본 특허 공개 제2002-14623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40737호 공보 일본 특허 제370207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6932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345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3-29435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2-23226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3-281536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제안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화장료의 자연스러운 완성감과 양호한 사용감을 모두 만족시키는 분체를 얻을 수 없었다. 즉, 펴짐, 부드러움, 부착, 혼합 상태가 양호하고,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가 우수한 복합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이 복합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임의의 핵 분체 표면에 광 확산성을 갖는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킴으로써, 피부의 형태 트러블 개선 효과를 시각적으로 발현할 수 있고, 실리콘 엘라스토머 특유의 뽀송뽀송함과, 부드러우며 촉촉한 사용감을 가지고, 펴짐, 부드러움, 부착, 혼합 상태가 양호하고,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를 부여할 수 있어, 이것을 배합한 화장료도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킬 때에 실리콘 레진을 결합제로 함으로써 상기 효과를 보다더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복합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이 복합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1]. 핵 분체의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복합 입자.
[2]. 상기 핵 분체가 무기 분체, 유기 분체 또는 무기ㆍ유기 복합 분체인 [1]에 기재된 복합 입자.
[3]. 실리콘 레진을 결합제로 하여 핵 분체의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1] 또는 [2]에 기재된 복합 입자.
[4]. 핵 분체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분산된 혼합 수분산액에 산성 물질 또는 알칼리성 물질과,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및 이들의 부분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첨가하고, 이 화합물을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시킴으로써 핵 분체의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킨 [3]에 기재된 복합 입자.
[5]. 상기 혼합 수분산액이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에 기재된 복합 입자.
[6]. 핵 분체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분산된 혼합 수분산액에 산성 물질 또는 알칼리성 물질과,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및 이들의 부분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첨가하고, 이 화합물을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 분체의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복합 입자의 제조 방법.
[7]. 상기 혼합 수분산액이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에 기재된 복합 입자의 제조 방법.
[8].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본 발명에 따르면, 펴짐, 부드러움, 부착, 혼합 상태가 양호하고,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가 우수한 복합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이 복합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복합 입자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복합 입자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I. 복합 입자, II. 복합 입자의 제조법, III. 복합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순서로 상세히 설명한다.
I. 복합 입자
본 발명의 복합 입자는 핵 분체의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고, 적합하게는 실리콘 레진을 결합제로 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입자이다.
[핵 분체]
핵 분체는 무기 입자, 유기 입자 또는 무기ㆍ유기 복합 입자 중 어느 것일 수도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고, 화장료에 실질적으로 사용 가능한 분체 및 전체 범위의 입경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그의 기하학적 양태가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이용되는 것이면, 구상, 다면체상, 방추상, 침상, 판상 등 어떤 형상이어도 좋고, 또한 무공질, 다공질 중 어떤 것이어도 좋다.
평균 입경은 0.5 내지 50 μ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μm이다. 입경이 0.5 μm보다 작으면 뽀송뽀송함, 매끄러움 등의 사용감이나 신전성 부여의 효과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50 μm보다 크면 거칠거칠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평균 입경은 각 형상에 따라서 현미경법, 광 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액상 침강법, 전기 저항법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측정한다.
무기 분체로서는, 산화티탄, 운모 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탈크, 벽개(劈開) 탈크, 마이커, 카올린, 견운모, 백운모, 합성 운모, 금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lithia) 운모, 규산, 이산화규소, 함수 이산화규소,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바륨,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히드록시인회석, 버미큘라이트, 하이질라이트(higilite),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제올라이트, 세라믹, 제2 인산칼슘,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보론, 유리 등의 입자를 들 수 있다.
또한, 무기계 안료를 들 수 있고, 구체예로서는 산화철, 수산화철, 티탄산철 등의 무기 적색계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 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 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카본 블랙 등의 무기 흑색계 안료; 망간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의 무기 자색계 안료, 수산화크롬, 산화크롬, 산화코발트,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 녹색계 안료; 감청, 군청 등의 무기 청색계 안료; 타르계 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천연 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등의 유색 안료; 산화티탄 피복 운모, 산화티탄 피복 마이커, 옥시염화비스무스, 산화티탄 피복 옥시염화비스무스, 산화티탄 피복 탈크, 어린박(魚鱗箔), 산화티탄 피복 착색 운모 등의 펄 안료; 알루미늄 파우더, 카파 파우더, 스테인리스 파우더 등의 금속 분말 안료를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산ㆍ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스티렌ㆍ아크릴산 공중합체,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비닐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나민, 폴리메틸벤조구아나민,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셀룰로오스, 실크, 나일론,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 금속염 분체(금속 비누)를 들 수 있고, 구체예로서는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미리스트산아연, 미리스트산마그네슘, 세틸인산아연, 세틸인산칼슘, 세틸인산아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계 색소를 들 수 있고, 구체예로서는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적색 228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황색 204호, 황색 401호, 청색 1호, 청색 2호, 청색 201호, 청색 404호, 녹색 3호, 녹색 201호, 녹색 204호, 녹색 205호, 오렌지색 201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오렌지색 206호, 오렌지색 207호 등의 타르 색소; 카르민산, 라카인산(Laccic acid), 카르사민, 브라질린(brazilin), 크로신(crocin) 등의 천연 색소를 들 수 있다.
무기ㆍ유기 복합 분체로서는, 화장품에 범용되는 무기 분체 표면이 공지 공용된 방법에 의해 유기 분체로 피복된 복합 분체일 수도 있다.
상기 핵 분체가 금속 비누, 실란, 실리콘, 실리콘 수지, 불소 화합물, 아미노산, 산화철, 산화티탄, 산화철산화티탄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에 의해 표면 처리될 수도 있다. 특히 다른 화장품용 분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광 확산 효과를 발현하는 분체를 채용한 경우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광 확산 효과와 함께 상기 복합 입자 표면 또는 내부에서 광을 확산시키고, 피부의 언덕(丘)부와 홈부의 명도차를 작게 하여 주름 등의 형태 트러블을 숨기는 효과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분체로서, 예를 들면 황산바륨,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처리 황산바륨, 산화티탄 처리 황산바륨, 산화철 산화티탄 처리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처리 마이커, 산화티탄, 산화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얇고 균일하며 부드럽고 매끄럽게 펴지는 점에서 마이커, 견운모, 탈크, 벽개 탈크, 운모 티탄, 산화철 처리 운모 티탄 등도 바람직하다.
[실리콘 엘라스토머]
본 발명에 있어서, 핵 분체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어떤 형상으로 부착되어도 좋다. 또한, 분체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밀도도, 본 발명이 달성하는 바의 효과를 발현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입자상의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분체 표면에 드문드문 부착, 입자상의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분체 표면을 간극없이 피복 부착, 입자 형상을 갖지 않는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망상으로 분체 표면에 부착,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피막 형상으로 분체 표면을 간극없이 피복 부착할 수도 있고, 이들이 조합된 상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경화성 액상 실리콘 조성물을 유화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서 제조되지만, 그렇기 때문에 형상은 구상인 경우가 많다. 반응 조건에 의해서는, 대략 구상이라도 부분적 응집 입자이라도 효과를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입경은, 엘라스토머의 사용감을 효과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엘라스토머를 부착시키는 핵 분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핵 분체보다 크면, 분체의 뽀송뽀송함, 매끄러움 등의 사용감, 신전성, 부착성 등의 특성이 발현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입경이 작은 것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액상 실리콘을 유화시키는 방법으로 얻어지는 최소 입경이 하한이 된다.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선상 오르가노실록산 블록을 갖는 고무 탄성체이다. 여기서, 식 중의 R1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노나데실기, 에이코실기, 헤니코실기, 도코실기, 트리코실기, 테트라실기, 트리아코틸기 등의 알킬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톨릴기,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페네틸기, β-페닐프로필기 등의 아르알킬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알케닐기; 및 이들 기의 탄소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할로겐 원자(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원자 및/또는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에폭시기, 글리시독시기, 아미노기, 머캅토기, 카르복실기 등의 치환기로 치환된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n은 5 내지 5,000의 양수이다.)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고무 경도는, 부드러운 것은 JIS K 6253에 규정되어 있는 타입 E 듀로미터에 의한 측정에서 10 이상, 딱딱한 것은 타입 A 듀로미터에 의한 측정에서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타입 E 듀로미터로 20 이상, 타입 A 듀로미터로 80 이하의 범위이다. 타입 E 듀로미터로 10 미만이면, 응집성이 높아지고, 뽀송뽀송함, 매끄러움 등의 사용감, 신전성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타입 A 듀로미터에서 90을 초과하면 유연한 감촉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다. 뽀송뽀송함, 매끄러움 등의 사용감, 신전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는다면,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끈적임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그 입자 중에 실리콘 오일, 오르가노실란, 실리콘 레진, 무기 입자, 유기 입자, 탄화수소계 액체유 등, 화장품에 허용되는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경화성 액상 실리콘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지만, 그의 경화는 메톡시실릴기(≡SiOCH3)와 히드록시실릴기(≡SiOH), 히드로실릴기(≡SiH)와 히드록시실릴기(≡SiOH) 등과의 축합 반응, 머캅토프로필실릴기(≡Si-C3H6SH)와 비닐실릴기(≡SiCH=CH2)와의 라디칼 반응, 비닐실릴기(≡SiCH=CH2)와 히드로실릴기(≡SiH)와의 부가 반응에 의한 것 등이 예시되지만, 반응성의 점에서 축합 반응 또는 부가 반응에 의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부가 반응에 의한 경화로 실리콘 엘라스토머로 하는 경우, 하기 평균 조성식 2로 표시되는 1 분자 중에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적어도 2개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하기 평균 조성식 3으로 표시되는 1 분자 중에 규소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를 적어도 3개 갖는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이,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 1개에 대하여 히드로실릴기가 0.5 내지 2개가 된 비율로 배합된 경화성 액상 실리콘 조성물을 백금계 촉매의 존재하에서 부가 중합시킬 수 있다.
<조성식 2>
Figure pat00002
<조성식 3>
Figure pat00003
식 중, R2는 지방족 불포화기를 제외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R3은 탄소수 2 내지 6의 1가 올레핀성 불포화기이다. a, b는 0<a<3, 0<b≤3, 0.1≤a+b≤3으로 표시되는 양수이고, 바람직하게는 0<a≤2.295, 0.005≤b≤2.3, 0.5≤a+b≤2.3이다.
식 중, R4는 지방족 불포화기를 제외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이다. c, d는 0<c<3, 0<d≤3, 0.1≤c+d≤3으로 표시되는 양수이고, 바람직하게는 0<c≤2.295, 0.005≤d≤2.3, 0.5≤c+d≤2.3이다.
R2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노나데실기, 에이코실기, 헤니코실기, 도코실기, 트리코실기, 테트라실기, 트리아코틸기 등의 알킬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톨릴기,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페네틸기, β-페닐프로필기 등의 아르알킬기; 및 이들 기의 탄소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할로겐 원자(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원자 및/또는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에폭시기, 글리시독시기, 카르복실기 등의 치환기로 치환된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R2는 8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이 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시클로알킬기 등의 반응성이 없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3으로서는, 비닐기, 알릴기, 부테닐기, 펜테닐기, 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지만, 공업적으로는 비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4로서는, R2와 동일한 것이 예시된다.
상기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의 25 ℃에서의 점도는, 1,000,000 mm2/s를 초과하면 후술하는 제조로 입경이 작은 입자를 얻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1,000,000 mm2/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0 mm2/s 이하이다. 또한,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의 구조로서는, 직쇄상, 환상, 분지상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이 점도는 모관 점도계에 의한 측정값이다.
백금계 촉매는, 예를 들면 백금(백금흑을 포함함), 로듐, 팔라듐 등의 백금족 금속 단체; H2PtCl4ㆍkH2O, H2PtCl6ㆍkH2O, NaHPtCl6ㆍkH2O, KHPtCl6ㆍkH2O, Na2PtCl6ㆍkH2O, K2PtCl4ㆍkH2O, PtCl4ㆍkH2O, PtCl2, Na2HPtCl4ㆍkH2O(단, 식 중, k는 0 내지 6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0 또는 6임) 등의 염화백금, 염화백금산 및 염화백금산염; 알코올 변성 염화백금산(미국 특허 제3,220,972호 명세서 참조); 염화백금산과 올레핀과의 착체(미국 특허 제3,159,601호 명세서, 동 제3,159,662호 명세서, 동 제3,775,452호 명세서 참조); 백금흑, 팔라듐 등의 백금족 금속을 알루미나, 실리카, 카본 등의 담체에 담지시킨 것; 로듐-올레핀 착체; 클로로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로듐(윌킨슨 촉매); 염화백금, 염화백금산 또는 염화백금산염과 비닐기 함유 실록산, 특히 비닐기 함유 실록산과의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축합 반응에 의한 경화로 실리콘 엘라스토머로 만드는 경우, 1 분자 중에 규소 원자에 결합한 히드록실기를 적어도 2개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1 분자 중에 규소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를 적어도 3개 갖는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액상 실리콘 조성물을 축합 촉매의 존재하에서 축합 중합시킬 수 있다.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양은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효과를 발현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보다 현저한 소프트 포커스 효과, 뽀송뽀송함, 매끄러움, 신연성(伸延性), 촉촉함, 부드러움 등 양호한 사용감을 원하는 경우에는, 핵 분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0.5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이상이다.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많아지면, 응집성이 높아져서 뽀송뽀송함, 매끄러움 등의 사용감, 신전성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분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하이다.
[실리콘 레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리콘 레진을 핵 분체와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결합제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레진을 결합제로 하여 핵 분체의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복합 입자로 함으로써,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핵 분체 표면에 고착되어 분체 표면으로부터 탈락되기 어려워지고,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부착 균일성이 높아지며, 보다 양호한 사용감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리콘 레진은 핵 분체 표면 및/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표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 레진은 [R5SiO3/2], [R5 2SiO2/2], [R5 3SiO1/2] 및 [SiO4/2]로부터 선택되고, 적어도 [R5SiO3/2] 또는 [SiO4/2]를 포함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구조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이다. 여기서,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1가 유기기이다.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서,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및 이들의 부분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의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에 의해 실리콘 레진을 제조하지만, 일부 축합 반응하지 않고 실라놀기가 잔존하기 때문에, 정확하게는 하기 실라놀기를 함유하는 구조 단위로부터 선택되는 것도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다.
Figure pat00004
[R5SiO3/2] 또는 [SiO4/2]를 포함하는 구조체가 아니면 레진상의 고체물이 될 수 없다. 적어도 [R5SiO3/2] 또는 [SiO4/2]를 포함하고, 상온에서 레진상의 고체물이며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장료에 이용되는 오일제에 불용이라면, 상기 구조 단위의 비율, 중합도 및 경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융점이 낮으면, 기온이 높은 분위기에서의 보관시, 또한 건조 공정에서 복합 입자끼리 융착되기 때문에, 융점은 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이다. [SiO4/2] 단위가 많으면 슬립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R5SiO3/2], [R5 2SiO2/2] 및 [R5 3SiO1/2]로부터 선택되고, [R5SiO3/2]를 포함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구조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50 몰% 이상이 [R5SiO3/2] 단위인 구조가 더욱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상이다.
상기 식 중의 R5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노나데실기, 에이코실기 등의 알킬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톨릴기,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페네틸기, β-페닐프로필기 등의 아르알킬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알케닐기; 및 이들 기의 탄소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할로겐 원자(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원자 및/또는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에폭시기, 글리시독시기, 아미노기, 머캅토기, 카르복실기 등의 치환기로 치환한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서,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및 이들의 부분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의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에 의해 레진상 실리콘을 제조하지만, 그의 축합 반응성의 점에서 R5는 50 몰% 이상이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상이다.
결합제로서 실리콘 레진을 이용하는 경우, 그 양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리콘 엘라스토머에 의한 부착 균일성을 더욱 높인다는 점에서, 실리콘 엘라스토머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부 이상이다. 또한, 실리콘 레진이 많아지면,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유연한 감촉이 발현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실리콘 엘라스토머 100 질량부에 대하여, 5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질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의 복합 입자는 핵 분체의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고, 적합하게는 실리콘 레진을 결합제로 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입자이지만, 발수성의 부여, 향상이나 오일제에의 분산성 향상을 위해서 입자 표면을 실릴화제, 실리콘 오일, 왁스류, 파라핀류, 유기 불소 화합물, 계면활성제 등으로 처리되어 있어도 문제가 없다.
핵 분체의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킨 상태는 전자 현미경으로 확인할 수 있다. 부착된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입경은 50 nm 내지 1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800 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입경은 전자 현미경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II. 복합 입자의 제조법
실리콘 레진을 결합제로 하여 핵 분체의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복합 입자는, 예를 들면 핵 분체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분산된 혼합 수분산액에,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및 이들의 부분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첨가하고, 이들 화합물을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핵 분체는 배합되는 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5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5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3 질량부 미만이면 효율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150 질량부를 초과하면 혼합 수분산액의 점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핵 입자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키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핵 분체는, 미리 수분산액으로 제조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제조 방법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분산액을 제조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경화성 액상 실리콘 조성물을,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물 중에 유화시킨 후에 경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가 반응에 의한 경화로 실리콘 엘라스토머로 하는 경우, 상기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경화성 액상 실리콘 조성물에 계면활성제와 물을 첨가하여 유화를 행하고, 에멀전으로 만든 후에 백금계 촉매를 첨가하여 부가 중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유화 중합으로 제조한 경화성 액상 실리콘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축합 반응에 의한 경화로 실리콘 엘라스토머로 하는 경우, 화학식[R6 2SiO]m(R6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 m은 3 내지 7의 수)으로 표시되는 시클로폴리실록산에, 계면활성제와 물을 첨가하여 유화를 행하고, 이어서 산을 첨가하여 중합 반응시킨 후, 알칼리를 첨가하여 중화시키고, 직쇄상 분자의 양쪽 말단에 규소 원자에 결합한 히드록실기가 함유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에멀전을 제조한다. 이것에 오르가노트리알콕시실란 및 축합 촉매를 첨가하여 축합 중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액상 실리콘 조성물의 유화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타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타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알킬알칸올아미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메틸글루코시드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시드,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ㆍ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ㆍ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글리세린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글리세린ㆍ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지방산 알킬올아미드의 황산에스테르염, 알킬벤젠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술폰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α-술포지방산 에스테르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염, 알칸술폰산염, N-아실타우린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모노알킬술포숙신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술포숙신산염, 지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N-아실아미노산염, 모노알킬인산에스테르염, 디알킬인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염, 폴리스티렌술폰산염, 나프탈렌술폰산염포르말린 축합물, 방향족 술폰산염포르말린 축합물,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스티렌옥시알킬렌산무수물 공중합체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디메틸암모늄염, 디폴리옥시에틸렌알킬메틸암모늄염, 트리폴리옥시에틸렌알킬암모늄염,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염, 알킬피리디늄염, 모노알킬아민염, 디알킬아민염, 트리알킬아민염, 모노알킬아미드아민염,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 알킬디메틸카르복시베타인, 알킬아미드프로필디메틸카르복시베타인, 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 알킬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경화성 액상 실리콘 조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질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를 행할 때에는, 일반적인 유화 분산기를 이용할 수 있고, 그의 예로서는, 호모디스퍼 등의 고속 회전 원심 방사형 교반기; 호모 믹서 등의 고속 회전 전단형 교반기; 균질기 등의 고압 분사식 유화 분산기; 콜로이드 밀; 초음파 유화기 등을 들 수 있다.
얻어진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은 고액 분리시키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핵 분체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분산된 혼합 수분산액은, 예를 들면 핵 분체,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분산액, 필요에 따라서 물을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핵 분체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분산된 혼합 수분산액 중에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경우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 중에 이미 계면활성제는 포함되어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핵 분체 분산성 향상이나 핵 분체 표면에 피복시키는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더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추가하는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한 경화성 액상 실리콘의 유화에 이용하는 계면활성제가 예시되고,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 중에 배합되어 있는 것과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으며, 2종 이상을 추가할 수도 있다. 핵 분체와 실리콘 엘라스토머와의 혼합 수분산액 중에 함유하는 계면활성제의 양은 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성 물질 또는 알칼리성 물질은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이들의 부분 축합물의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을 위한 촉매이다. 산성 물질 또는 알칼리성 물질은 적어도 핵 분체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분산된 혼합 수분산액에 첨가한다. 첨가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먼저 산성 물질 또는 알칼리성 물질을 투입하고 나서 그 밖의 성분을 첨가할 수도 있고, 다른 성분의 일부를 투입하고 나서 산성 물질 또는 알칼리성 물질을 첨가하고, 나머지 성분을 축차 첨가할 수도 있다.
산성 물질의 첨가량은, 적어도 상기 산성 물질, 핵 분체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분산된 혼합 수분산액의 pH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의 범위가 되는 양이다. 상기 pH가 1.0 내지 4.0이 되는 양의 산성 물질을 첨가하면,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및 이들의 부분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의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이 충분해진다.
알칼리성 물질의 첨가량은, 적어도 상기 알칼리성 물질, 핵 분체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분산된 혼합 수분산액의 pH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2.5의 범위가 되는 양이다. 상기 pH가 10.0 내지 13.0이 되는 양의 알칼리성 물질을 첨가하면,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및 이들의 부분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의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이 충분해진다.
산성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알킬황산, 알킬벤젠술폰산 등의 산(酸)형 계면활성제; 포름산, 옥살산, 말론산, 락트산, 말산 등의 카르복실산, 염산; 인산; 황산; 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성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 수산화물;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탄산염; 암모니아;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테트라에틸암모늄히드록시드 등의 테트라알킬암모늄히드록시드; 또는 모노메틸아민, 모노에틸아민, 모노프로필아민, 모노부틸아민, 모노펜틸아민,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등의 아민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휘발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실리콘 미립자 분말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암모니아가 가장 적합하다. 암모니아로서는, 시판되고 있는 암모니아수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이들의 부분 축합물은 상기 산성 물질 또는 알칼리성 물질의 촉매 작용에 의해 가수분해ㆍ축합 반응하여 본 발명의 레진상 실리콘이 된다.
알콕시실란은 화학식 R5Si(OR7)3, R5 2Si(OR7)2, R5 3SiOR7 및 Si(OR7)4로 표시된다. 식 중의 R5는 상기와 동일하고, R7은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R7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를 들 수 있지만, 반응성의 점에서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콕시실란 R5Si(OR7)3, R5 2Si(OR7)2, R5 3SiOR7, Si(OR7)4는 각각 레진상 실리콘의 구조 단위[R5SiO3/2], [R5 2SiO2/2], [R5 3SiO1/2], [SiO4/2]의 단위원이 된다. 따라서, R5Si(OR7)3, R5 2Si(OR7)2, R5 3SiOR7, Si(OR7)4의 배합비는 목적으로 하는 레진상 실리콘의 구조가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즉, 몰비로, 목적으로 하는 구조 단위[R5SiO3/2]:[R5 2SiO2/2]:[R5 3SiO1/2]:[SiO4/2]=R5Si(OR7)3, R5 2Si(OR7)2, R5 3SiOR7, Si(OR7)4로 할 수 있다.
실라놀기 함유 실란은 상기 알콕시실란의 화학식의 R7이 수소인 화합물이다.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이들의 축합물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구조 단위가 되도록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적어도 핵 분체, 실리콘 엘라스토머, 산성 물질 또는 알칼리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분산액을 교반하면서,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및 이들의 부분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첨가하여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시킨다.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및 이들의 부분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은 서서히 적하하여 첨가할 수도 있고, 물에 용해시킨 형태 또는 물에 분산시킨 형태로 첨가할 수도 있고, 알코올 등의 수용성 유기 용제를 배합한 것을 첨가할 수도 있다.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에 의해, 실리콘 레진이 핵 분체의 표면 및/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표면 상에 형성되고, 그와 함께 핵 분체와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부착이 발생하고, 핵 분체 표면에, 레진상 실리콘을 결합제로 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킨 복합 입자가 형성된다.
교반은 강한 교반으로 하면 상기 입자끼리의 응집이 발생하기 때문에, 퍼들 날개, 프로펠라 날개, 후퇴 날개, 닻형 날개 등을 이용하는 느슨한 교반으로 하는 것이 좋지만, 핵 분체,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및 이들의 부분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 수분산액 중에 분산되는 교반 강도는 필요로 한다.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및 이들의 부분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혼합 수분산액에 첨가할 때의 온도는, 0 내지 6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9 ℃이다. 이 온도가 0 ℃보다 낮으면 수분산액이 응고될 우려가 있고, 60 ℃보다 높게 하면 얻어진 입자가 응집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분체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균일하게 부착시킬 목적으로, 수분산액에 알코올 등의 수용성 유기 용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실릴화제에 의해 표면 처리한 입자로 하는 경우에는, 마무리된 복합 입자에 처리할 수도 있지만, 상기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및 이들의 부분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혼합 수분산액에 첨가한 후에, 실릴화제를 첨가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실릴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디클로로실란, 트리메틸클로로실란, 트리메틸메톡시실란, 트리메틸실라놀기 함유 실란, 헥사메틸디실라잔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및 이들의 부분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첨가 종료 후,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이 종료될 때까지 잠시 교반을 계속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40 내지 100 ℃에서 가열할 수도 있고, 산성 물질 또는 알칼리성 물질을 추가할 수도 있다. 그 후 필요하다면 산성 물질 또는 알칼리성 물질을 투입하여 중화시킬 수도 있다.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후, 수분을 제거한다. 수분의 제거는, 예를 들면 반응 후의 수분산액을 상압하 또는 감압하에서 가열함으로써 행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분산액을 가열하에서 정치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 분산액을 가열하에서 교반 유동시키면서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 스프레이 드라이어와 같이 열풍 기류 중에 분산액을 분무, 분산시키는 방법, 유동 가열 매체체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조작의 전처리로서, 가열 탈수, 가압 여과 등의 여과 분리, 원심 분리, 데칸데이션 등의 방법으로 분산액을 농축시킬 수도 있고, 필요하다면 분산액을 물이나 알코올 등으로 세정할 수도 있다.
반응 후의 수분산액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얻어진 분체가 응집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트 밀, 볼 밀, 햄머 밀 등의 분쇄기로 해쇄 또는 분급할 수 있다.
III. 복합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본 발명의 복합 입자(이하 (A)라 함)는 각종 화장료에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스킨 케어 제품, 메이크업 제품, 두발 제품, 제한제(制汗劑) 제품, 자외선 방어 제품 등의, 특히 피부나 모발에 외용되는 화장료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복합 입자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 제제를 합하여 화장료 전체에 대하여 0.1 내지 95.0 질량%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정된다. 상기 화장료는 통상적인 화장료에 사용되는 각종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B) 오일제, (C) 물, (D)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E)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 화합물, (F) 본 발명의 복합 입자 이외의 입자, (G) 계면활성제, (H)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실온에서 액상인 오일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I) 실리콘 수지, (J) 실리콘 왁스, 그 밖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하게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B) 오일제는 고체, 반고체, 액상, 어떤 상태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지, 탄화수소유, 고급 알코올,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및 불소계 유제를 사용할 수 있다.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마인유, 아몬드유, 백랍, 들깨유, 올리브유, 카카오지, 카폭납, 비자(榧)유, 카르나우바 왁스, 간유, 칸데릴라 왁스, 정제 칸데릴라 왁스, 우지, 우각지, 우골지, 경화 우지, 살구씨유, 경랍(鯨蠟), 경화유, 밀배아유, 호마유, 쌀배아유, 미강유, 사탕수수납, 산다화(山茶花)유, 홍화유, 시어버터, 시나기리유, 시나몬유, 호호바 왁스, 스쿠알란, 스쿠알렌, 쉘락 왁스, 터틀(turtle)유, 대두유, 다실유, 동백유, 달맞이꽃유, 옥수수유, 돈지, 유채씨유, 일본 동유(tung oil), 강랍(糠蠟), 배아유, 마지, 퍼식유(persic oil). 팜유, 팜핵유, 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해바라기유, 포도유, 베이베리 왁스(bayberry wax), 호호바유, 마카다미아넛유, 밀랍, 밍크유, 메도우폼유(meadowfoam oil), 면실유, 면랍, 목랍, 목랍 핵유, 몬탄 왁스, 야자유, 경화 야자유, 야자유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양지, 낙화생유, 라놀린, 액상 라놀린, 환원 라놀린, 라놀린알코올, 경질 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알코올,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알코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수소 첨가 라놀린알코올에테르, 난황유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직쇄상, 분지상, 또한 휘발성 탄화수소유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오조케라이트, α-올레핀 올리고머, 경질 이소파라핀,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스쿠알란, 합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스쿠알렌, 세레신, 파라핀,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에틸렌ㆍ폴리프로필렌 왁스,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부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유동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프리스탄, 폴리이소부틸렌,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미소 결정질 왁스, 바셀린 등;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운데실렌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이소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로서는,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팔미틸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알코올, 헥사데실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헥실도데카놀, 옥틸도데카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롤에테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코올), 모노올레일글리세릴에테르(세라킬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유로서는,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아디프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2-에틸헥산산세틸,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옥탄산세틸, 옥틸도데실검에스테르, 올레산올레일, 올레산옥틸도데실, 올레산데실,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시트르산트리에틸, 숙신산 2-에틸헥실, 아세트산아밀,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세박산디이소프로필, 세박산디-2-에틸헥실,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 2-에틸헥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팔미트산 2-헵틸운데실, 12-히드록시스테아릴산콜레스테릴, 디펜타에리트리톨지방산 에스테르,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라우르산에틸, 라우르산헥실, N-라우로일-L-글루탐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라우로일사르코신이소프로필에스테르,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등; 아세토글리세릴,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릴, 트리베헨산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릴, 미리스트산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등의 글리세라이드유를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란, 카프리릴메티콘, 페닐트리메티콘, 테트라키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헥실폴리실록산, 메틸히드로겐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저점도로부터 고점도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히드로겐시클로테트라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환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아미노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피롤리돈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고중합도의 검상 디메틸폴리실록산, 검상 아미노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검상의 디메틸실록산ㆍ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실리콘 고무, 및 실리콘 검이나 고무의 환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용액, 트리메틸실록시규산, 트리메틸실록시규산의 환상 실록산 용액, 스테아록실리콘 등의 고급 알콕시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장쇄 알킬 변성 실리콘, 아미노산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실리콘 수지 및 실리콘 레진의 용해물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제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칼린, 퍼플루오로옥탄 등을 들 수 있다. (B) 오일제의 배합량은 제형에 의존하고, 화장료 전체의 1 내지 98 질량%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정된다.
(C) 물의 배합량은 제형에 의존하지만, 화장료 전체의 1 내지 95 질량%로부터 적절하게 선정된다.
(D)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코올; 소르비톨, 말토스 등의 당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피토스테롤, 라노스테롤 등의 스테롤;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 전체의 0.1 내지 98 질량%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정된다.
(E)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아라비아 고무, 트래거캔쓰, 갈락탄, 캬로브검, 구아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 시드(quince seed)(마르멜로), 전분(쌀, 옥수수, 감자, 소맥 등), 알게콜로이드, 트란트검, 로커스트 빈 검 등의 식물계 고분자 화합물; 크산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풀룰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화합물;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화합물;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화합물;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말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화합물;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등의 비닐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염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중합체 등 다른 합성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벤토나이트,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몬모릴로나이트, 베이델라이트, 논트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무수 규산 등의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에는, 폴리비닐알코올이나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피막 형성제도 포함된다.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 전체의 0.1 내지 25 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F) 본 발명의 복합 입자 이외의 입자로서는, 무기 입자, 유기 입자, 무기ㆍ유기 복합 분체, 실리콘 수지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입자, 수지 입자, 무기ㆍ유기 복합 분체로서는,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기 입자, 수지 입자, 무기ㆍ유기 복합 분체와 동일한 것이 예시된다. 실리콘 수지 입자로서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입자,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실리콘 엘라스토머 입자 표면을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으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체는 입자 표면을 실릴화제, 실리콘 오일, 왁스류, 파라핀류, 유기 불소 화합물, 계면활성제 등으로 처리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G) 계면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성 활성제가 있지만, 상기 본 발명의 복합 입자의 제조에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이 예시된다. 이들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ㆍ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ㆍ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글리세린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글리세린ㆍ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계면활성제에 있어서, 친수성 폴리옥시에틸렌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기 또는 폴리글리세린 잔기의 함유량이 분자 중의 10 내지 70 질량%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 전체의 0.1 내지 20 질량%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질량%의 범위이다. 계면활성제의 HLB는 한정되지 않지만 2 내지 14.5가 바람직하다.
(H)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실온에서 액상인 오일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액상유에 대하여 자체 중량 이상의 상기 액상유를 포함하고, 팽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유로서는, (B) 성분 중의 액상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천연 동식물유, 반합성유 등, 불소계유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0.65 mm2/s(25 ℃) 내지 100.0 mm2/s(25 ℃)의 저점도 실리콘유,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등의 탄화수소유나 트리옥타노인 등의 글리세라이드유,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N-아실글루탐산에스테르, 라우로일사르코신산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유, 마카다미아넛유 등의 천연 동식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이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가교제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비닐성 반응 부위를 가지며, 규소 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 원자 사이에서 반응함으로써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비닐성 반응 부위를 갖는 것으로서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비닐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알릴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알릴기를 갖는 폴리글리세린, α,ω-알케닐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폴리글리세린 부분, 장쇄 알킬 부분, 알케닐 부분, 아릴 부분 및 플루오로알킬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가교 분자 중에 함유하는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실온에서 액상인 오일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 전체의 0.1 내지 80 질량%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질량%이다.
(I) 실리콘 수지는 아크릴/실리콘 그래프트 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아크릴 실리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롤리돈 부분, 장쇄 알킬 부분,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및 플루오로알킬 부분, 카르복실산 등의 음이온 부분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아크릴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리콘 수지는 R8 3SiO0.5 단위와 SiO2 단위로 구성되는 수지, R8 3SiO0.5 단위와 R8 2SiO 단위 및 SiO2 단위로 구성되는 수지, R8 3SiO0.5 단위와 R8SiO1.5 단위로 구성되는 수지, R8 3SiO0.5 단위와 R8 2SiO 단위 및 R8SiO1.5 단위로 구성되는 수지, R8 3SiO0.5 단위, R8 2SiO 단위, R8SiO1.5 단위 및 SiO2 단위로 구성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실리콘 메쉬형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중의 R8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이다. 또한, 피롤리돈 부분, 장쇄 알킬 부분,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폴리글리세린 부분, 플루오로알킬 부분, 아미노 부분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실리콘 메쉬형 화합물 사용할 수도 있다. 아크릴 실리콘 수지나 실리콘 메쉬형 화합물 등의 실리콘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 전체의 0.1 내지 20 질량%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질량%이다.
(J) 실리콘 왁스는 아크릴/실리콘 그래프트 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아크릴 실리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롤리돈 부분, 장쇄 알킬 부분,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및 플루오로알킬 부분, 카르복실산 등의 음이온 부분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아크릴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리콘 왁스는 5원환 이상의 락톤 화합물이 개환 중합물인 폴리락톤을 결합시킨 폴리락톤 변성 폴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리콘 왁스는 α-올레핀과 디엔으로 이루어지는 불포화기를 갖는 올레핀 왁스와 1 분자 1개 이상의 SiH 결합을 갖는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을 부가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실리콘 변성 올레핀 왁스이다. 올레핀 왁스의 α-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4-메틸 1-펜텐 등의 탄소 원자수 2 내지 12가 바람직하고, 디엔으로서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1.4-헥사디엔, 비닐노르보르넨, 에틸리덴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등이 바람직하다. SiH 결합을 갖는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은 직쇄상이나 실록산 분지형 등의 구조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의 첨가제로서는, 유용성 겔화제, 제한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 산란제, 보습제, 항균 방부제, 향료, 염류,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킬레이트제, 청량제, 항염증제, 피부 미용 성분(미백제, 세포 부활제, 피부 거칠음 개선제, 혈행 촉진제, 피부 수렴제, 항지루제 등),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핵산, 호르몬, 포접 화합물, 모발용 고형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유용성 겔화제로서는,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아연미리스테이트 등의 금속 비누; N-라우로일-L-글루탐산, α,γ-디-n-부틸아민 등의 아미노산 유도체; 덱스트린팔미트산에스테르, 덱스트린스테아르산에스테르, 덱스트린 2-에틸헥산산팔미트산에스테르 등의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팔미트산에스테르, 자당스테아르산에스테르 등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프럭토올리고당 스테아르산에스테르, 프럭토올리고당 2-에틸헥산산에스테르 등의 프럭토올리고당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벤질리덴소르비톨, 디벤질리덴소르비톨 등의 소르비톨의 벤질리덴 유도체; 디메틸벤질도데실암모늄몬모릴로나이트 점토,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몬모리나이트 점토 등의 유기 변성 점토 광물 등을 들 수 있다.
제한제로서는, 알루미늄클로로히드레이트, 염화알루미늄, 알루미늄세스퀴클로로히드레이트, 지르코닐히드록시클로라이드, 알루미늄지르코늄히드록시클로라이드, 알루미늄지르코늄글리신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등의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안트라닐산메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옥틸, 살리실산트리메틸시클로헥실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 등의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우로칸산에틸 등의 우로칸산계 자외선 흡수제;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의 디벤조일메탄계 자외선 흡수제;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트리아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고, 자외선 흡수 산란제로서는 미립자 산화티탄, 미립자 철 함유 산화티탄, 미립자 산화아연, 미립자 산화세륨 및 이들의 복합체 등, 자외선을 흡수 산란시키는 입자를 들 수 있고, 이들 자외선을 흡수 산란시키는 입자를 미리 오일제에 분산시킨 분산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글루코오스, 자일리톨, 말티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스핑고 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항균 방부제로서는,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소르브산, 소르브산칼륨, 페녹시에탄올 등, 항균제로서는, 벤조산, 살리실산, 석탄산, 소르브산,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파라클로로메타크레졸, 헥사클로로펜, 염화벤즈알코늄, 염화클로로헥시딘,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감광소,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염류로서는 무기염, 유기산염, 아민염 및 아미노산염을 들 수 있다. 무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황산, 탄산, 질산 등의 무기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알루미늄염, 지르코늄염, 아연염 등; 유기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데히드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산, 숙신산, 아스코르브산, 스테아르산 등의 유기산류의 염; 아민염 및 아미노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민류의 염, 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류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밖에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등의 염, 알루미늄지르코늄글리신 착체 등이나, 또한 화장품 처방 중에서 사용되는 산-알칼리의 중화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토코페롤, p-t-부틸페놀,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피틴산 등을 들 수 있고, pH 조정제로서는, 락트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dl-말산,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등을 들 수 있고, 킬레이트제로서는, 알라닌, 에데트산나트륨염,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인산 등들 수 있고, 청량제로서는, L-멘톨, 캄포 등, 항염증제로서는,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염, 글리시르레틴산 및 글리시르레틴산스테아릴, 트라넥삼산, 아줄렌 등을 들 수 있다.
피부 미용 성분으로서는, 태반 추출액, 알부틴, 글루타티온, 유키노시타 추출물 등의 미백제; 로얄 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송아지 혈액 추출액 등의 세포 부활제; 피부 거칠음 개선제; 노닐산바레닐아미드,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캅사이신, 진게론, 칸타리스틴크, 이크타몰, 카페인, 탄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cepharanthine), γ-오리자놀 등의 혈행 촉진제; 산화아연, 탄닌산 등의 피부 수렴제; 황, 티안트롤 등의 항지루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비타민 A유, 레티놀, 아세트산레티놀, 팔미트산레티놀 등의 비타민 A류; 리보플라빈, 부티르산리보플라빈, 플라빈아데닌뉴클레오티드 등의 비타민 B2류, 피리독신염산염, 피리독신디옥타노에이트, 피리독신트리팔미테이트 등의 비타민 B6류, 비타민 B12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B15 및 그의 유도체 등의 비타민 B류; L-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디팔미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2-황산나트륨, L-아스코르브산인산디에스테르디칼륨 등의 비타민 C류; 에르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 D류;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니코틴산 dl-α-토코페롤, 숙신산 dl-α-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류; 니코틴산, 니코틴산벤질, 니코틴산아미드 등의 니코틴산류; 비타민 H, 비타민 P, 판토텐산칼슘,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아세틸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의 판토텐산류,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류로서는, 글리신,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아르기닌, 리신,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트립토판 등을 들 수 있고, 핵산으로서는, 데옥시리보핵산 등, 호르몬으로서는, 에스트라디올, 에테닐에스트라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모발용 고정화제로서는, 양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의 각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고,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계 고분자 화합물,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산알킬 하프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산성 비닐에테르계 고분자 화합물, 아세트산비닐/크로톤산 공중합체 등의 산성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고분자 화합물, (메트)아크릴산/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산성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 N-메타크릴로일에틸-N,N-디메틸암모늄ㆍ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산옥틸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양쪽성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 또는 그의 유도체, 케라틴 및 콜라겐 또는 그의 유도체 등의 천연 유래 고분자 화합물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분체, 유성, 유중수형 에멀전, 수중유형 에멀전, 비수 에멀전, W/O/W나 O/W/O 등의 멀티에멀전 등의 형태로 할 수도 있고, 또한 액상, 유액상, 크림상, 고형상, 페이스트상, 겔상, 분말상, 프레스상, 다층상, 무스상, 스프레이상, 스틱상, 펜슬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의 예로서는, 화장수, 유액, 크림, 클렌징, 팩, 오일 리퀴드, 마시지료, 미용액, 미용 오일, 세정제, 탈취제, 핸드 크림, 립 크림, 주름 가림 등의 스킨 케어 화장료, 메이크업 바탕료, 컨실러, 백분, 파우더 파운데이션,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유성 파운데이션, 볼터치, 아이새도우,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블로우, 립스틱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셋팅제 등의 모발 화장료, 제한제, 일소 방지 오일이나 일소 방지 유액, 일소 방지 크림 등의 자외선 방어 화장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화장료의 형상으로서는, 액상, 유액상, 크림상, 고형상, 페이스트상, 겔상, 분말상, 프레스상, 다층상, 무스상, 스프레이상, 스틱상, 펜슬상 등 각종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예 중, 점도는 25 ℃에서 측정한 값이고, 농도 및 함유율을 나타내는 「%」는 「질량%」를 나타내었다.
[제조예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점도가 580 mm2/s인 메틸비닐폴리실록산 450 g과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점도가 30 mm2/s인 메틸히드로겐폴리실록산 18 g(비닐기 1개에 대하여 히드로실릴기가 1.1개가 되는 배합량)을 용량 1 리터의 유리 비이커에 투입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 용해시켰다.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상품명: 에말겐 109P, 카오(주) 제조) 22 g과 물 45 g을 첨가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교반한 결과, 교반할 수 없는 상태까지 증점되었다. 증점물을 호모디스퍼를 이용하여 15 분간 혼련하였다. 이어서 물 463 g을 첨가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한 결과, 균일한 백색 에멀전이 얻어졌다. 이 에멀전을 닻형 교반 날개에 의한 교반 장치가 부속된 용량 1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로 옮기고, 15 내지 20 ℃로 온도 조정한 후, 교반하에서 염화백금산-올레핀 착체의 톨루엔 용액(백금 함유량 0.5 %) 0.7 g,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상품명: 에말겐 109P, 카오(주) 제조) 1.4 g의 혼합 용해물을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4 시간 교반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을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1이라 하였다.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부피 평균 입경을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LA-920」((주)호리바 세이사꾸쇼 제조)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460 nm였다.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점도가 580 mm2/s인 메틸비닐폴리실록산,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점도가 30 mm2/s인 메틸히드로겐폴리실록산, 및 염화백금산-올레핀 착체의 톨루엔 용액(백금 함유량 0.5 %)을 상기 배합 비율로 혼합하고, 두께가 10 mm가 되도록 알루미늄 페트리 접시에 유입시켜 25 ℃에서 6 시간 방치 후, 또한 50 ℃의 항온조 내에서 1 시간 가열하였다. 얻어진 경화물은 끈적임이 없는 고무 탄성체이고, 경도를 듀로미터 A 경도계로 측정한 결과, 29였다.
Figure pat00005
[제조예 2]
(제조예 2: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의 제조)
하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점도가 4,900 mm2/s인 메틸비닐폴리실록산 400 g과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점도가 30 mm2/s인 메틸히드로겐폴리실록산 7 g(비닐기 1개에 대하여 히드로실릴기가 1.1개가 되는 배합량)을 용량 1 리터의 유리 비이커에 투입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 용해시켰다.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상품명: 에말겐 109P, 카오(주) 제조) 62 g과 물 35 g을 첨가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교반한 결과, 교반할 수 없는 상태까지 증점되었다. 증점물을 호모디스퍼를 이용하여 15 분간 혼련하였다. 이어서 물 494 g을 첨가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한 결과, 균일한 백색 에멀전이 얻어졌다. 이 에멀전을 닻형 교반 날개에 의한 교반 장치가 부속된 용량 1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로 옮기고, 15 내지 20 ℃로 온도 조정한 후, 교반하에서 염화백금산-올레핀 착체의 톨루엔 용액(백금 함유량 0.5 %) 0.6 g,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상품명: 에말겐 109P, 카오(주) 제조) 1.2 g의 혼합 용해물을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4 시간 교반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을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2라 하였다.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부피 평균 입경을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LA-920」((주)호리바 세이사꾸쇼 제조)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190 nm였다. 하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점도가 4,900 mm2/s인 메틸비닐폴리실록산,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점도가 30 mm2/s인 메틸히드로겐폴리실록산, 및 염화백금산-올레핀 착체의 톨루엔 용액(백금 함유량 0.5 %)을 상기 배합 비율로 혼합하고, 두께가 10 mm가 되도록 알루미늄 페트리 접시에 유입시켜 25 ℃에서 6 시간 방치 후, 또한 50 ℃의 항온조 내에서 1 시간 가열하였다. 얻어진 경화물은 끈적임이 없는 고무 탄성체이고, 경도를 듀로미터 A 경도계로 측정한 결과, 20이었다.
Figure pat00006
[제조예 3]
(제조예 3: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의 제조)
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점도가 4,900 mm2/s인 메틸비닐폴리실록산 340 g과 하기 화학식(4)로 표시되는, 점도가 410 mm2/s인 메틸히드로겐폴리실록산 68 g(비닐기 1개에 대하여 히드로실릴기가 1.1개가 되는 배합량)을 용량 1 리터의 유리 비이커에 투입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 용해시켰다.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상품명: 에말겐 109P, 카오(주) 제조) 62 g과 물 35 g을 첨가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교반한 결과, 교반할 수 없는 상태까지 증점되었다. 증점물을 호모디스퍼를 이용하여 15 분간 혼련하였다. 이어서 물 493 g을 첨가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한 결과, 균일한 백색 에멀전이 얻어졌다. 이 에멀전을 닻형 교반 날개에 의한 교반 장치가 부속된 용량 1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로 옮기고, 15 내지 20 ℃로 온도 조정한 후, 교반하에서 염화백금산-올레핀 착체의 톨루엔 용액(백금 함유량 0.5 %) 0.6 g,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상품명: 에말겐 109P, 카오(주) 제조) 1.2 g의 혼합 용해물을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4 시간 교반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을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3이라 하였다.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부피 평균 입경을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LA-920」((주)호리바 세이사꾸쇼 제조)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200 nm였다. 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점도가 4,900 mm2/s인 메틸비닐폴리실록산, 하기 화학식(4)로 표시되는, 점도가 410 mm2/s인 메틸히드로겐폴리실록산, 및 염화백금산-올레핀 착체의 톨루엔 용액(백금 함유량 0.5 %)을 상기 배합 비율로 혼합하고, 두께가 10 mm가 되도록 알루미늄 페트리 접시에 유입시켜 25 ℃에서 6 시간 방치 후, 또한 50 ℃의 항온조 내에서 1 시간 가열하였다. 얻어진 경화물은 약간 끈적임이 있는 고무 탄성체이고, 경도를 듀로미터 A 경도계로 측정한 결과, 12였다.
Figure pat00007
[제조예 4]
(제조예 4: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의 제조)
하기 화학식(5)로 표시되는, 점도가 10 mm2/s인 메틸비닐폴리실록산 94 g과 하기 화학식(6)으로 표시되는, 점도가 110 mm2/s인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 360 g(비닐기 1개에 대하여 히드로실릴기가 1.1개가 되는 배합량)을 용량 1 리터의 유리 비이커에 투입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 용해시켰다.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상품명: 에말겐 109P, 카오(주) 제조) 45 g과 물 100 g을 첨가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교반한 결과, 증점이 확인되고, 15 분간 더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 398 g을 첨가하여 균일한 액으로 만든 후, 30 MPa의 압력으로 균질기에 통과시켜 백색 에멀전을 얻었다. 이 에멀전을 닻형 교반 날개에 의한 교반 장치가 부속된 용량 1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로 옮기고, 15 내지 20 ℃로 온도 조정한 후, 교반하에서 염화백금산-올레핀 착체의 톨루엔 용액(백금 함유량 0.5 %) 1.4 g,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상품명: 에말겐 109P, 카오(주) 제조) 1.4 g의 혼합 용해물을 첨가하고, 35 내지 45 ℃에서 5 시간 교반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을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4라 하였다.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부피 평균 입경을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LA-920」((주)호리바 세이사꾸쇼 제조)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190 nm였다. 상기 화학식(5)로 표시되는, 점도가 10 mm2/s인 메틸비닐폴리실록산, 하기 화학식(6)으로 표시되는, 점도가 110 mm2/s인 오르가노히드로겐폴리실록산, 및 염화백금산-올레핀 착체의 톨루엔 용액(백금 함유량 0.5 %)을 상기 배합 비율로 혼합하고, 두께가 10 mm가 되도록 알루미늄 페트리 접시에 유입시켜 25 ℃에서 6 시간 방치 후, 또한 50 ℃의 항온조 내에서 1 시간 가열하였다. 얻어진 경화물은 끈적임이 없는 고무 탄성체이고, 경도를 듀로미터 E 경도계로 측정한 결과, 44였다.
Figure pat00008
[실시예 1]
닻형 교반 날개에 의한 교반 장치가 부속된 용량 3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에, 황산바륨 입자(상품명: 판상 황산바륨 HL, 사카이 가가꾸 고교(주) 제조, 형상=판상, 평균 입경=15 μm) 180 g,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1 26 g(황산바륨 입자 100 질량부에 대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6.8 질량부가 되는 양), 30 %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수용액(상품명: 양이온 BB, 닛본 유시(주) 제조) 5 g, 28 % 암모니아수 29 g 및 물 1,233 g을 투입하였다. 이 때 액의 pH는 11.3이었다. 5 내지 10 ℃로 온도 조정한 후, 메틸트리메톡시실란 27 g(실리콘 엘라스토머 100 질량부에 대하여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후의 실리콘 레진이 109 질량부가 되는 양)을 20 분에 걸쳐 적하하고, 그 사이의 액체 온도를 5 내지 10 ℃로 유지하고, 1 시간 더 교반하였다. 이어서, 55 내지 60 ℃까지 가열하고, 그 온도를 유지한 채로 1 시간 교반하여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의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을 완결시켰다. 얻어진 현탁액을 가압 여과기를 이용하여 탈수시켰다. 탈수물을 닻형 교반 날개에 의한 교반 장치가 부속된 용량 3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로 옮기고, 물 1,000 g을 첨가하고, 30 분간 교반한 후, 가압 여과기를 이용하여 탈수시켰다. 재차 탈수물을 유리 플라스크로 옮기고, 110 ℃의 유욕에 플라스크를 침지시켜 교반하면서, 건조를 행하여 유동성이 있는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입자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판상의 입자 표면에 약 500 nm의 구상 입자가 부착되어 있고, 황산바륨 입자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복합 입자로 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레진상 실리콘이 결합제가 되어, 황산바륨 입자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황산바륨 입자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키는 결합제가 없으면, 황산바륨 입자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부착되었다고 해도, 상기 물 세정이나 건조의 조작으로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황산바륨 입자 표면으로부터 탈락된다고 생각된다.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탈락되면,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응집성이 높기 때문에 입자끼리의 응집이 발생한다고 생각되지만, 전자 현미경으로 그와 같은 형상의 입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100 mL 유리병에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상품명: 에말겐 109P, 카오((주) 제조) 0.2 g, 물 50 g 및 복합 입자 2.5 g을 칭량하고, 30 분 진탕한 후, 24 시간 정치시켜 입자의 뜨고 가라앉음(浮沈)을 관찰하였다.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황산바륨 입자 표면으로부터 탈락되면,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비중이 물보다 작기 때문에 부유되지만, 전량 침강되었다. 이 결과도, 실리콘 레진이 결합제가 되어, 황산바륨 입자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켰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실시예 2]
닻형 교반 날개에 의한 교반 장치가 부속된 용량 3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에, 견운모(상품명: 산신 마이커 FSE, (주)산신 고꼬 제조, 형상=판상, 평균 입경=10 μm) 150 g,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2 41 g(견운모 100 질량부에 대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11.1 질량부가 되는 양), 28 % 암모니아수 30 g 및 물 1,238 g을 투입하였다. 이 때 액의 pH는 11.3이었다. 5 내지 10 ℃로 온도 조정한 후,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0 g 및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 g의 혼합 용해물(실리콘 엘라스토머 100 질량부에 대하여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후의 실리콘 레진이 122 질량부가 되는 양)을 25 분에 걸쳐 적하하고, 그 사이의 액체 온도를 5 내지 10 ℃로 유지하고, 1 시간 더 교반하였다. 이어서, 55 내지 60 ℃까지 가열하고, 그 온도를 유지한 채로 1 시간 교반하여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및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을 완결시켰다. 얻어진 현탁액을 가압 여과기를 이용하여 탈수시켰다. 탈수물을 닻형 교반 날개에 의한 교반 장치가 부속된 용량 3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로 옮기고, 물 1,000 g을 첨가하고, 30 분간 교반한 후, 가압 여과기를 이용하여 탈수시켰다. 재차 탈수물을 유리 플라스크로 옮기고, 110 ℃의 유욕에 플라스크를 침지시켜 교반하면서, 건조를 행하여 유동성이 있는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입자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판상의 입자 표면에 약 200 nm의 구상 입자가 부착되어 있고, 견운모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복합 입자로 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리콘 레진이 결합제가 되어, 견운모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00 mL 유리병에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상품명: 에말겐 109P, 카오(주) 제조) 0.2 g, 물 50 g 및 복합 입자 2.5 g을 칭량하고, 30 분 진탕한 후, 24 시간 정치하여 입자의 뜨고 가라앉음을 관찰하였다.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황산 견운모로부터 탈락하면,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비중이 물보다 작기 때문에 부유되지만, 전량 침강되어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실리콘 레진이 결합제가 되어, 견운모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켰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실시예 3]
닻형 교반 날개에 의한 교반 장치가 부속된 용량 3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에, 함수 이산화규소 입자(상품명: 실리프, 미즈사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형상=판상, 평균 입경=6 μm, 함수량=8 %) 163 g,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2 33 g(이산화규소 입자 100 질량부에 대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9.0 질량부가 되는 양), 30 %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수용액(상품명: 양이온 BB, 닛본 유시(주) 제조) 4 g, 28 % 암모니아수 30 g 및 물 1,241 g을 투입하였다. 이 때 액의 pH는 11.3이었다. 5 내지 10 ℃로 온도를 조정한 후, 메틸트리메톡시실란 24 g 및 디메틸디메톡시실란 5 g의 혼합 용해물(실리콘 엘라스토머 100 질량부에 대하여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후의 실리콘 레진이 111 질량부가 되는 양)을 20 분에 걸쳐 적하하고, 그 사이의 액체 온도를 5 내지 10 ℃로 유지하고, 1 시간 더 교반하였다. 이어서, 55 내지 60 ℃까지 가열하고, 그 온도를 유지한 채로 1 시간 교반하여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및 디메틸디메톡시실란의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을 완결시켰다. 얻어진 현탁액을 가압 여과기를 이용하여 탈수시켰다. 탈수물을 닻형 교반 날개에 의한 교반 장치가 부속된 용량 3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로 옮기고, 물 1,000 g을 첨가하고, 30 분간 교반한 후, 가압 여과기를 이용하여 탈수시켰다. 재차 탈수물을 유리 플라스크로 옮기고, 110 ℃의 유욕에 플라스크를 침지시켜 교반하면서, 건조를 행하여 유동성이 있는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입자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판상의 입자 표면에 약 200 nm의 구상 입자가 부착되어 있고, 이산화규소 입자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복합 입자로 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리콘 레진이 결합제가 되어, 이산화규소 입자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00 mL 유리병에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상품명: 에말겐 109P, 카오(주) 제조) 0.2 g, 물 50 g 및 복합 입자 2.5 g을 칭량하고, 30 분 진탕한 후, 24 시간 정치하여 입자의 뜨고 가라앉음을 관찰하였다.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이산화규소 입자 표면으로부터 탈락되면,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비중이 물보다 작기 때문에 부유되지만, 전량 침강되어 있었다. 이 결과도, 실리콘 레진이 결합제가 되어, 이산화규소 입자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켰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실시예 4]
닻형 교반 날개에 의한 교반 장치가 부속된 용량 3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에, 탄산칼슘 입자(상품명: 위스칼 A, 마루오칼슘(주) 제조, 형상=침상, 평균 입경(장경)=25 μm) 225 g,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3 24 g(탄산칼슘 입자 100 질량부에 대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4.4 질량부가 되는 양), 라우릴황산나트륨(상품명: 닛콜 SLS, 닛코 케미칼즈(주) 제조) 1 g, 28 % 암모니아수 29 g 및 물 1,241 g을 투입하였다. 이 때 액의 pH는 11.3이었다. 5 내지 10 ℃로 온도 조정한 후, 메틸트리메톡시실란 27 g(실리콘 엘라스토머 100 질량부에 대하여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후의 레진상 실리콘이 136 질량부가 되는 양)을 20 분에 걸쳐 적하하고, 그 사이의 액체 온도를 5 내지 10 ℃로 유지하고, 1 시간 더 교반하였다. 이어서, 55 내지 60 ℃까지 가열하고, 그 온도를 유지한 채로 1 시간 교반하여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의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을 완결시켰다. 얻어진 현탁액을 가압 여과기를 이용하여 탈수시켰다. 탈수물을 닻형 교반 날개에 의한 교반 장치가 부속된 용량 3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로 옮기고, 물 1,000 g을 첨가하고, 30 분간 교반한 후, 가압 여과기를 이용하여 탈수시켰다. 재차 탈수물을 유리 플라스크로 옮기고, 110 ℃의 유욕에 플라스크를 침지시켜 교반하면서, 건조를 행하여 유동성이 있는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입자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침상의 입자 표면에 약 200 nm의 구상 입자가 부착되어 있고, 탄산칼슘 입자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복합 입자로 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리콘 레진이 결합제가 되어, 탄산칼슘 입자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00 mL 유리병에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상품명: 에말겐 109P, 카오(주) 제조) 0.2 g, 물 50 g 및 복합 입자 2.5 g을 칭량하고, 30 분 진탕한 후, 24 시간 정치하여 입자의 뜨고 가라앉음을 관찰하였다.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탄산칼슘 입자 표면으로부터 탈락되면,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비중이 물보다 작기 때문에 부유되지만, 전량 침강되어 있었다. 이 결과도, 실리콘 레진이 결합제가 되어, 탄산칼슘 입자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켰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실시예 5]
닻형 교반 날개에 의한 교반 장치가 부속된 용량 3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에, 가교형 구상 폴리메타크릴산메틸(상품명: 간츠펄 GMX-0810, 간츠 가세이(주) 제조, 형상=구상, 평균 입경=8 μm) 120 g, 실리콘 엘라스토머 수분산액-4 30 g(가교형 구상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입자 100 질량부에 대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11.4 질량부가 되는 양), 28 % 암모니아수 30 g 및 물 1,282 g을 투입하였다. 이 때 액의 pH는 11.3이었다. 5 내지 10 ℃로 온도 조정한 후, 메틸트리메톡시실란 37 g 및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 g의 혼합 용해물(실리콘 엘라스토머 100 질량부에 대하여 가수분해ㆍ축합 반응 후의 실리콘 레진이 138 질량부가 되는 양)을 25 분에 걸쳐 적하하고, 그 사이의 액체 온도를 5 내지 10 ℃로 유지하고, 1 시간 더 교반하였다. 이어서, 55 내지 60 ℃까지 가열하고, 그 온도를 유지한 채로 1 시간 교반하여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및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을 완결시켰다. 얻어진 현탁액을 가압 여과기를 이용하여 탈수시켰다. 탈수물을 닻형 교반 날개에 의한 교반 장치가 부속된 용량 3 리터의 유리 플라스크로 옮기고, 물 1,000 g을 첨가하고, 30 분간 교반한 후, 가압 여과기를 이용하여 탈수시켰다. 재차 탈수물을 유리 플라스크로 옮기고, 110 ℃의 유욕에 플라스크를 침지시켜 교반하면서, 건조를 행하여 유동성이 있는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입자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구상의 입자 표면에 약 200 nm의 구상 입자가 부착되어 있고, 가교형 구상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입자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복합 입자로 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리콘 레진이 결합제가 되어, 가교형 구상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입자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00 mL 유리병에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상품명: 에말겐 109P, 카오(주) 제조) 0.2 g, 물 50 g 및 복합 입자 2.5 g을 칭량하고, 30 분 진탕한 후, 24 시간 정치하여 입자의 뜨고 가라앉음을 관찰하였다.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가교형 구상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입자 표면으로부터 탈락되면,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비중이 물보다 작기 때문에 부유되지만, 전량 침강되어 있었다. 이 결과도, 실리콘 레진이 결합제가 되어, 가교형 구상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입자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켰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비교예 1]
황산바륨 입자: 실시예 1에서 이용한 황산바륨 입자를 그대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2]
금속 비누 처리 분체: 실시예 2에서 이용한 견운모 98 질량부를 물 400 질량부에 현탁시키고, 스테아르산나트륨 3.5 질량부를 첨가하여 60 ℃에서 충분히 교반하였다. 이것에, 황산 Al의 20 % 용액을 10 분으로 적하하고, 계속해서 10 분간 교반하였다. 이것을 흡인 여과기로 탈수 후, 110 ℃에서 12 시간 건조시켜 금속 비누 처리 견운모를 얻었다.
[비교예 3]
메틸히드로겐실록산 처리 분체: 실시예 3에서 이용한 함수 이산화규소 입자 95 부를 반응기에 투입하고, 이것에 메틸히드로겐폴리실록산 5 부를 톨루엔으로 희석한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교반하였다. 또한, 승온하여 톨루엔을 증류 제거하고, 150 ℃에서 3 시간 교반함으로써 소부(燒付) 처리하여 메틸히드로겐폴리실록산 처리 이산화규소를 얻었다.
[비교예 4]
탄산칼슘 입자: 실시예 4에서 이용한 탄산칼슘 입자를 그대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5]
가교형 구상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실시예 5에서 이용한 가교형 구상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입자를 그대로 이용하였다.
[복합 입자 평가]
실시예에서 얻어진 복합 입자 및 비교예의 분체에 대하여, 10명의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해 하기에 처방되는 분체 단순 혼합물 도포시의 펴짐(전연성(展延性)), 부드러움(감촉), 부착(부착성ㆍ균질성), 분체의 분산성,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소프트 포커스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처방)
Figure pat00009
※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입자
(제조 방법)
분체 단순 혼합물의 처방 중, 분체부를 각각 칭량하고, 고속 블렌더에 의해 1 분간 교반하였다. 거기에 유상부를 첨가하고, 또한 6 분간 교반한 후, 100 메쉬의 필터를 통해서 분체 단순 혼합물을 얻었다.
(평가)
분체 단순 혼합물 도포시의 펴짐(전연성), 부드러움(감촉), 부착(부착성ㆍ균질성), 분체의 혼합 상태(분산성),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소프트 포커스 효과)에 대하여, 표 1에 나타내어지는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10명의 평균점에 기초하여 하기 판정 기준에 따라서 판정하였다.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표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입자는 비교예의 분체에 비해 펴짐(전연성), 부드러움(감촉), 부착(부착성ㆍ균질성) 등의 사용성이 양호하고, 분체가 혼합 상태(분산성)도 양호하며,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소프트 포커스 효과)가 우수한 것이 실증되었다.
[실시예 6, 7, 비교예 6, 7]
파우더 파운데이션
실시예에서 얻어진 복합 입자 및 비교예의 분체를 이용하여, 표 3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비로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12
(제조 방법)
성분(1) 내지 (13)을 헨쉘 믹서에 투입하여 교반ㆍ혼합하였다. 이것에 별도로 균일하게 용해시킨 성분(14) 내지 (18)을 첨가하고, 또한 교반ㆍ혼합을 계속하였다. 또한, 이것에 (19)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햄머 밀로 분쇄하고, 소정의 알루미늄 팬에 프레스 성형하여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얻어진 파우더 파운데이션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얻어진 파우더 파운데이션에 대하여, 50명의 여성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해 화장료 시험품 도포시의 펴짐(전연성), 부드러움(감촉), 부착(부착성ㆍ균질성), 화장료의 마무리의 자연스러움(맨살 느낌), 화장 유지(지속성)에 대하여, 표 4에 나타내어지는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50명의 평균점에 기초하여, 하기 판정 기준에 따라서 판정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표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6, 7은 비교예 6, 7에 비해 사용성이 양호하고, 자연스러운 마무리가 되며, 화장 유지도 양호하고, 우수한 파우더 파운데이션인 것이 실증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복합 입자를 배합한 화장료의 예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수중유형 크림
Figure pat00015
(주 1)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과 실리콘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SG-16(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메틸셀룰로오스; 메트로오즈 SM-4000(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3)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유화제; 세피겔 305(SEPIC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4 내지 10을 혼합하였다.
B: 성분 1 내지 3을 혼합하고, 이것을 A에 첨가하여 교반 유화시켰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수중유형 크림은 피부결이 미세하고, 펴짐이 가벼우며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을 뿐 아니라 유연한 사용감과 함께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도 있고, 화장 유지도 매우 양호할 뿐 아니라 온도 변화나 경시에 의한 변화가 없어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9] 유중수형 크림
Figure pat00016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2(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5를 혼합하고, 성분 6, 7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성분 8 내지 9 및 11을 혼합 용해시켰다.
C: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시킨 후, 성분 10을 첨가하여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유중수형 크림은 피부결이 미세하고, 펴짐이 가벼우며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을 뿐 아니라 유연한 사용감과 함께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도 있고, 화장 유지도 매우 양호할 뿐 아니라 온도 변화나 경시에 의한 변화가 없어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0] 유중수형 크림
Figure pat00017
(주 1) 알킬 변성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과 유동 파라핀을 포함하는 조성물; KSG-310(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알킬ㆍ폴리에테르 공변성 실리콘; KF-6038(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3) 실리콘 엘라스토머 입자 표면을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으로 피복한 입자; KSP-100(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6을 혼합하였다.
B: 성분 7 내지 12를 혼합 용해시키고, A에 첨가하여 교반 유화시켰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유중수형 크림은 피부결이 미세하고, 펴짐이 가벼워며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을 뿐 아니라 유연한 사용감과 함께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도 있으며, 화장 유지도 매우 양호할 뿐 아니라 온도 변화나 경시에 의한 변화가 없어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1] 유중수형 크림
Figure pat00018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7(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오우곤 엑기스; 50 % 1,3-부틸렌글리콜수로 추출한 것
(주 3) 겐티아나 엑기스; 20 % 에탄올수로 추출한 것
(제조 방법)
A: 성분 6 내지 9를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켰다.
B: 성분 1 내지 5를 혼합하고, A를 첨가하였다.
C: 성분 10 내지 14 및 16을 혼합한 후, B를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D: C에 성분 15를 첨가하여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유중수형 크림은 피부결이 미세하고, 끈적임이 없을 뿐만 아니라 펴짐이 가벼우며, 밀착감이 우수하고, 유연한 사용감과 함께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도 있고, 화장 유지도 매우 우수하였다. 또한, 온도 변화나 경시에 의해서 변화되지 않아 안정성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2] 아이라이너
Figure pat00019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7(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유기 실리콘 수지; KF-7312J(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4를 혼합하고, 성분 5 및 6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켰다.
B: 성분 7 내지 10을 혼합하였다.
C: B를 A에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시키고, 아이라이너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라이너는 펴짐이 가벼워서 그리기 쉽고, 청량감이 있어 산뜻하고, 또한 끈적임이 없는 사용감이었다. 또한, 온도 변화나 경시에 의한 변화도 없어 사용성도 안정성도 매우 우수하고, 내수성, 내한성이 우수한 것은 물론, 화장 유지도 매우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3] 파운데이션
Figure pat00020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7(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티콘: KF-9909(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4를 가열 혼합하고, 성분 5 내지 7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B: 성분 8 내지 9 및 11을 용해시켰다.
C: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시키고, 냉각시킨 후 성분 10을 첨가하여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파운데이션은 피부결이 미세할 뿐 아니라 펴짐이 가벼우며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고, 유연한 사용감과 함께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도 있으며, 화장 유지도 양호하고, 온도 변화나 경시에 의한 변화가 없어 안정성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4] 아이새도우
Figure pat00021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분지상 실리콘; KF-6028(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4를 혼합하고, 성분 5 내지 8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B: 성분 9 내지 11 및 13을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C: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시키고, 성분 12를 첨가하여 아이새도우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새도우는 펴짐이 가벼울 뿐 아니라 유분감이나 분말감이 없고, 유연한 사용감의 것이었다. 또한, 내수성이나 발수성, 내한성이 양호하며 화장 유지도 양호하고, 화장이 잘 지워지지 않을 뿐 아니라 온도 변화나 경시에 의한 변화가 없어 안정성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5] 립스틱
Figure pat00022
(주 1) 장쇄 알킬 함유 아크릴 실리콘 수지; KP-561P(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메틸페닐폴리실록산; KF-54(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6 및 7의 일부를 가열 혼합, 용해시켰다.
B: 성분 8 내지 10 및 7의 나머지를 균일 혼합하고, A에 첨가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C: B에 성분 12를 첨가하여 립스틱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립스틱은, 펴짐이 가볍고 유분감이나 분말감이 없을 뿐 아니라 유연한 사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내수성이나 발수성이 양호하며 화장 가짐도 양호하고, 안정성도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6] 아이라이너
Figure pat00023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7(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알킬ㆍ폴리에테르 공변성 실리콘; KF-6038(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3) 아크릴 실리콘 수지; KP-545(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6을 교반 혼합하고, 이것에 7, 8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B: 성분 9 내지 11을 교반 용해시켰다.
C: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시켜서, 아이라이너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라이너는 펴짐이 가볍고 유분감이나 분말감이 없을 뿐 아니라 유연한 사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내수성이나 발수성, 내한성이 양호하며 화장 유지도 양호하고, 화장이 잘 지워지지 않는 것이었다. 또한, 온도 변화나 경시에 의한 변화가 없어 안정성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7] 액상 유화 파운데이션
Figure pat00024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7(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알킬ㆍ폴리에테르 공변성 실리콘; KF-6038(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9를 가열 혼합하고, 성분 10 내지 12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B: 성분 13 내지 14 및 16을 가열 용해시켰다.
C: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시키고, 냉각시키고 성분 15를 첨가하여 액상 유화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액상 유화 파운데이션은 점도가 낮으며 피부결이 미세하고, 펴짐이 가볍고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을 뿐 아니라 유연한 사용감과 함께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도 있으며, 화장 유지가 양호할 뿐 아니라 온도 변화나 경시에 의한 변화가 없어 안정성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8] 액상 파운데이션
Figure pat00025
(주 1) 불소 변성 실리콘; FL-50(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불소알킬ㆍ폴리에테르 공변성 실리콘; FPD-4694(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3) 구상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분체; KMP-590(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7 내지 10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성분 1 내지 6을 70 ℃에서 가열 혼합하고, A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 혼합하였다.
C: 성분 11 내지 14 및 16을 40 ℃에서 가온, B에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시키고, 냉각시켜 성분 15를 첨가하고, 액상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액상 파운데이션은 끈적임이 없고, 펴짐도 가벼울 뿐 아니라 유연한 사용감과 함께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도 있으며, 온도 변화나 경시에 의한 변화가 없어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9] 아이라이너
Figure pat00026
(주 1) 유기 실리콘 수지; KF-7312J(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7(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2, 5 내지 9를 혼합하고, 성분 3, 4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켰다.
B: 성분 10 내지 13을 혼합하였다.
C: B를 A에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시켜서, 아이라이너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라이너는 펴짐이 가벼워 그리기 쉬울 뿐 아니라, 청량감이 있어 산뜻하고, 달라붙지 않으며 유연한 사용감이고, 온도 변화나 경시에 의해서 변화되지 않고, 내수성, 내한성에도 모두 우수하며, 화장 유지도 매우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0] 파운데이션
Figure pat00027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7(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5를 혼합 용해시키고, 성분 6 내지 10을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B: 성분 11 내지 13 및 15를 혼합한 후, A에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C: B에 성분 14를 첨가하여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파운데이션은 끈적임이 없고, 펴짐도 가벼울 뿐 아니라 밀착감이 우수하고, 유연한 사용감과 함께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도 있으며, 화장 유지도 매우 우수하고, 또한 온도 변화나 경시에 의해서 변화되지 않아 안정성도 우수한 것을 알았다.
[실시예 21] 브러싱제 스프레이
Figure pat00028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5를 혼합하였다.
B: A를 에어졸용 캔에 채운 후, 성분 6을 충전시켜 브러싱제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브러싱제 스프레이는 매우 매끄러운 사용감이고, 지속성도 우수할 뿐 아니라 사용시 분말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빗질이 양호하며 윤기가 있는 매우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2] 린스
Figure pat00029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9를 교반 혼합하였다.
B: 성분 10 내지 11 및 13을 가열 혼합하였다.
C: A에 B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냉각시키고, 성분 12를 첨가하여 린스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린스는 사용시에 끈적임이나 무거움이 없고, 모발에 우수한 윤기를 주고, 뽀송뽀송함, 매끄러움, 볼륨감을 부여하며 빗질이 양호하고, 사용성도 지속성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3] 린스 함유 샴푸
Figure pat00030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5, 9 및 11을 가열, 혼합하였다.
B: 성분 6 내지 8을 혼합, 분산시켰다.
C: A에 B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냉각시키고, 성분 10을 첨가하여 린스 함유 샴푸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린스 함유 샴푸는 사용시에 끈적임이나 무거움이 없고, 모발에 우수한 윤기를 주고, 뽀송뽀송함, 매끄러움, 볼륨감을 부여하며 빗질이 양호하고, 사용성도 지속성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4] 트리트먼트
Figure pat00031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9를 가열, 혼합하였다.
B: 성분 10 내지 11 및 13을 혼합, 분산시켰다.
C: A에 B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냉각시키고, 성분 12를 첨가하여 트리트먼트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트리트먼트는 사용시에 끈적임이나 무거움이 없고, 모발에 우수한 윤기를 주며, 뽀송뽀송함, 매끄러움, 볼륨감을 부여하고, 빗질이 양호하며, 사용성도 지속성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5] 유중수형 타입 제한제
Figure pat00032
(주 1)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과 실리콘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SG-210(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실리콘 엘라스토머 입자 표면을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으로 피복한 입자; KSP-300(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3을 혼합하였다.
B: 성분 4 내지 10을 혼합하였다.
C: B를 A에 첨가하여 혼합 유화시켰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유중수형 타입의 제한제는 펴짐이 가볍고,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으며, 온도나 경시에 의한 변화도 없고, 사용성도 안정성도 매우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6] 롤온 타입 제한제
Figure pat00033
(주 1)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과 실리콘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SG-210(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과 실리콘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SG-15(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4를 혼합하였다.
B: A에 성분 5 내지 7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롤온 타입의 제한제는 펴짐이 가볍고,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없으며, 온도나 경시에 의한 변화도 없고, 사용성도 안정성도 매우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7] 일소 방지 유액
Figure pat00034
(주 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KF-6015(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트리메틸실록시규산; X-21-5250(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 내지 6을 가열 혼합하고, 성분 7, 8을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B: 성분 9 내지 11 및 13을 가열 혼합하였다.
C: 교반하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시키고, 냉각시키고, 성분 12를 첨가하여, 일소 방지 유액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일소 방지 유액은 피부결이 미세하고, 펴짐이 가볍고, 끈적임이 없을 뿐 아니라 유연한 사용감과 함께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도 있었다. 또한, 화장 유지가 양호하기 때문에 자외선 방지 효과도 지속할 뿐 아니라 온도 변화나 경시에 의한 변화가 없어 안정성도 매우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8] 선 블럭 크림
Figure pat00035
(주 1) 아크릴 실리콘 수지; KP-545(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과 실리콘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SG-210(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3) 알킬ㆍ폴리에테르 공변성 실리콘; KF-6038(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1의 일부에 성분 2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하고, 성분 8을 첨가하여 비드 밀로 분산시켰다.
B: 성분 1의 나머지 및 3 내지 7을 혼합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C: 성분 9 내지 11 및 13을 혼합, 용해시켰다.
D: B에 C를 첨가하여 유화시키고, A를 분산시키고, 또한 성분 12를 첨가하여 선 블럭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선 블럭 크림은 끈적임이 없고, 펴짐도 가벼울 뿐 아니라 밀착감이 우수하고, 유연한 사용감과 함께 피부의 형태 보정 효과도 있고, 화장 유지도 매우 우수하였다. 또한, 온도 변화나 경시에 대해서도 매우 안정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9] 네일 에나멜
Figure pat00036
(주 1) 아크릴 실리콘 수지; KP-549(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주 2) 메틸트리메티콘; TMF-1.5(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조 방법)
A: 성분 7 내지 9를 혼합하고, 이것에 성분 4 내지 6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B: A에 성분 1 내지 3을 첨가하여 혼합한다.
C: B에 성분 10을 첨가 혼합하고, 네일 에나멜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네일 에나멜은 펴짐이 가볍고, 시각적으로 매끄러움을 주고, 내수성, 내유성이 있으며 화장 유지도 양호하고, 또한 손톱에의 압박감이나 손톱의 황변이나 온도나 경시에 의한 화장막의 변화도 없으며 안정성도 매우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8)

  1. 핵 분체의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복합 입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 분체가 무기 분체, 유기 분체 또는 무기ㆍ유기 복합 분체인 복합 입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리콘 레진을 결합제로 하여 핵 분체의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복합 입자.
  4. 제3항에 있어서, 핵 분체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분산된 혼합 수분산액에 산성 물질 또는 알칼리성 물질과,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및 이들의 부분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첨가하고, 이 화합물을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시킴으로써 핵 분체의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킨 복합 입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수분산액이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
  6. 핵 분체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분산된 혼합 수분산액에 산성 물질 또는 알칼리성 물질과, 알콕시실란, 실라놀기 함유 실란 및 이들의 부분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첨가하고, 이 화합물을 가수분해ㆍ축합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 분체의 표면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복합 입자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수분산액이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복합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KR1020100058599A 2009-06-22 2010-06-21 복합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화장료 KR101718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47553 2009-06-22
JP2009147553A JP5359593B2 (ja) 2009-06-22 2009-06-22 複合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386A true KR20100137386A (ko) 2010-12-30
KR101718997B1 KR101718997B1 (ko) 2017-03-22

Family

ID=4294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599A KR101718997B1 (ko) 2009-06-22 2010-06-21 복합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66532B1 (ko)
JP (1) JP5359593B2 (ko)
KR (1) KR101718997B1 (ko)
CN (1) CN102028636B (ko)
TW (1) TWI515017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250A (ko) * 2012-12-26 2015-10-01 미요시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표면처리한 화장료용 판상 분체 및 이를 배합한 고형분말 화장료
KR20150109249A (ko) * 2012-12-26 2015-10-01 미요시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표면처리 분체 및 이를 배합한 화장료
WO2019194560A1 (ko) * 2018-04-03 2019-10-10 선진뷰티사이언스 주식회사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8480B2 (ja) * 2011-03-30 2015-11-18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薄膜形成用組成物、塗布液、及び薄膜形成方法
JP2012211111A (ja) * 2011-03-31 2012-11-01 Mikimoto Pharmaceut Co Ltd 化粧品用粉体およ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品
JP5491540B2 (ja) * 2012-01-24 2014-05-1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の製造方法
WO2013018356A1 (en) * 2011-08-04 2013-02-07 Shin-Etsu Chemical Co.,Ltd.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particle, method for producing cosmetic, and cosmetic
JP5363540B2 (ja) * 2011-08-04 2013-12-1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複合粒子の製造方法
JP5894434B2 (ja) * 2011-12-28 2016-03-30 花王株式会社 表面処理粉体及び化粧料の製造方法
JP2013216602A (ja) * 2012-04-06 2013-10-24 Shiseido Co Ltd 化粧料
FR2991581B1 (fr) * 2012-06-12 2014-09-05 Oreal Composition a rincer comprenant un compose adhesif sensible a la pression sous forme de billes
WO2015045167A1 (ja) * 2013-09-30 2015-04-02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
JP5754866B2 (ja) * 2014-01-17 2015-07-2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JP6410269B2 (ja) * 2014-04-25 2018-10-24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複合粒子の製造方法
FR3022777B1 (fr) * 2014-06-30 2017-12-01 Oreal Utilisation cosmetique comme actif matifiant d'un materiau silicie cationique ou amphiphile.
CN104490635A (zh) * 2014-12-10 2015-04-08 唯美度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全身按摩油及其制备方法
JP2016216423A (ja) * 2015-05-25 2016-12-22 三好化成株式会社 表面処理した化粧料用粉体及び顔料級酸化チタンを配合した、白浮きのない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16216424A (ja) * 2015-05-25 2016-12-22 三好化成株式会社 表面処理した化粧用粉体及び該表面処理粉体を配合したメーキャップ化粧料
CN105754212A (zh) * 2016-03-07 2016-07-13 北京聚菱燕塑料有限公司 一种低voc共混材料及其制备方法
JP6845065B2 (ja) * 2016-03-31 2021-03-17 株式会社コーセー 粉体化粧料
JP2017193529A (ja) * 2016-04-14 2017-10-26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品
TWI617533B (zh) 2016-12-09 2018-03-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表面改質陶瓷粉體及其應用
JP6845724B2 (ja) * 2017-03-31 2021-03-24 株式会社コーセー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7358375B2 (ja) * 2018-10-09 2023-10-10 大阪ガスケミカル株式会社 化粧料添加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620756B (zh) * 2018-12-10 2021-12-17 广州市晶硅新材料有限公司 一种化妆品用有机硅复合粉末及其制备方法
DE102018221404A1 (de) 2018-12-11 2020-06-18 Henkel Ag & Co. Kgaa Stylingcreme zur temporären Verformung von Haaren
JP2021169421A (ja) * 2020-04-15 2021-10-2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複合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EP4230191A1 (en) * 2020-10-15 2023-08-23 Kao Corporation Emulsion composition
KR20230088695A (ko) * 2020-10-15 2023-06-20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유중 수형 유화 조성물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2263A (ja) 1989-01-19 1990-09-14 Rhone Poulenc Chim 重付加反応によって架橋した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を基とする非粘着性粒子を製造する方法
JPH03281536A (ja) 1990-02-23 1991-12-12 Toshiba Silicone Co Ltd エマルジョン型シリコーン組成物およびシリコーン微粒子の製造方法
JPH03294357A (ja) 1990-04-11 1991-12-25 Toshiba Silicone Co Ltd 硬化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担持粉末、その製造方法、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弾性体微粉末の製造方法および合成樹脂組成物
WO1992003119A1 (en) 1990-08-16 1992-03-05 Catalysts & Chemicals Industries Co., Ltd. Flaky fine powder, production thereof, and cosmetic
JPH06128122A (ja) 1992-10-20 1994-05-10 Pola Chem Ind Inc シワ隠し用重層化粧料
JPH08188723A (ja) 1995-01-09 1996-07-23 Pola Chem Ind Inc コアシェル顔料及びこれを含有する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H0920609A (ja) 1995-07-05 1997-01-21 Miyoshi Kasei:Kk 無機金属水酸化物−粘土鉱物の被覆粉体及び該被覆粉体を配合した化粧料
KR20010007568A (ko) * 1999-06-30 2001-01-26 카나가와 치히로 신규한 실리콘 분체 처리제, 이를 사용하여 표면 처리된분체 및 이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JP2002047138A (ja) * 2000-08-04 2002-02-12 Shiseido Co Ltd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02068937A (ja) * 2000-08-23 2002-03-08 Pola Chem Ind Inc 粉体含有皮膚外用剤
JP2002069329A (ja) 2000-08-29 2002-03-08 Catalysts & Chem Ind Co Ltd 樹脂被覆鱗片状無機粒子およ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2002146238A (ja) 2000-08-31 2002-05-22 Miyoshi Kasei Kk 新規複合粉体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2003040737A (ja) 2001-07-26 2003-02-13 Nippon Koken Kogyo Kk 化粧品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00272A (ko) * 2005-01-05 2007-10-10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복합 실리콘 고무 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0972A (en) 1962-07-02 1965-11-30 Gen Electric Organosilicon process using a chloroplatinic acid reaction product as the catalyst
US3159601A (en) 1962-07-02 1964-12-01 Gen Electric Platinum-olefin complex catalyzed addition of hydrogen- and alkenyl-substituted siloxanes
US3159662A (en) 1962-07-02 1964-12-01 Gen Electric Addition reaction
US3775452A (en) 1971-04-28 1973-11-27 Gen Electric Platinum complexes of unsaturated siloxanes and platinum containing organopolysiloxanes
JPH05171055A (ja) * 1991-12-25 1993-07-09 Mori Sadayoshi 着色雲母
JP3421134B2 (ja) 1994-06-16 2003-06-30 株式会社龍森 シリカとシリコーンゴムを含む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3702072B2 (ja) 1997-06-10 2005-10-05 株式会社資生堂 シリカ/酸化亜鉛複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EP0958805A3 (en) * 1998-05-20 2003-07-09 Shin-Etsu Chemical Co., Ltd. Makeup cosmetic composition
FR2789311B1 (fr) * 1999-02-08 2003-09-26 Oreal Utilisation de particules d'un organopolysiloxane hydrophile dans une composition de maquillage ou de soin resistante a l'eau
JP3503814B2 (ja) * 1999-04-30 2004-03-08 冨士色素株式会社 変性シリカ被覆金属酸化物、その製法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JP3723891B2 (ja) * 1999-09-17 2005-12-07 グンゼ株式会社 表面硬質透明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2154929A (ja) * 2000-11-15 2002-05-28 Shiseido Co Ltd メーキャップ化粧料
DE102004029074A1 (de) * 2004-06-16 2005-12-29 Degussa Ag Lackformulierung zur Verbesserung der Oberflächeneigenschaften
US20090155586A1 (en) * 2007-12-12 2009-06-18 Avon Products, Inc. Method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Using Treated Macroscopic Particles
JP2010163375A (ja) * 2009-01-14 2010-07-29 Kao Corp 表面処理粉体及び化粧料
JP2010163373A (ja) * 2009-01-14 2010-07-29 Kao Corp 複合処理粉体及び化粧料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2263A (ja) 1989-01-19 1990-09-14 Rhone Poulenc Chim 重付加反応によって架橋した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を基とする非粘着性粒子を製造する方法
JPH03281536A (ja) 1990-02-23 1991-12-12 Toshiba Silicone Co Ltd エマルジョン型シリコーン組成物およびシリコーン微粒子の製造方法
JPH03294357A (ja) 1990-04-11 1991-12-25 Toshiba Silicone Co Ltd 硬化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担持粉末、その製造方法、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弾性体微粉末の製造方法および合成樹脂組成物
WO1992003119A1 (en) 1990-08-16 1992-03-05 Catalysts & Chemicals Industries Co., Ltd. Flaky fine powder, production thereof, and cosmetic
JPH06128122A (ja) 1992-10-20 1994-05-10 Pola Chem Ind Inc シワ隠し用重層化粧料
JPH08188723A (ja) 1995-01-09 1996-07-23 Pola Chem Ind Inc コアシェル顔料及びこれを含有する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H0920609A (ja) 1995-07-05 1997-01-21 Miyoshi Kasei:Kk 無機金属水酸化物−粘土鉱物の被覆粉体及び該被覆粉体を配合した化粧料
KR20010007568A (ko) * 1999-06-30 2001-01-26 카나가와 치히로 신규한 실리콘 분체 처리제, 이를 사용하여 표면 처리된분체 및 이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JP2002047138A (ja) * 2000-08-04 2002-02-12 Shiseido Co Ltd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02068937A (ja) * 2000-08-23 2002-03-08 Pola Chem Ind Inc 粉体含有皮膚外用剤
JP2002069329A (ja) 2000-08-29 2002-03-08 Catalysts & Chem Ind Co Ltd 樹脂被覆鱗片状無機粒子およ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2002146238A (ja) 2000-08-31 2002-05-22 Miyoshi Kasei Kk 新規複合粉体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2003040737A (ja) 2001-07-26 2003-02-13 Nippon Koken Kogyo Kk 化粧品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00272A (ko) * 2005-01-05 2007-10-10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복합 실리콘 고무 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 공개 (평)8-3451호 공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250A (ko) * 2012-12-26 2015-10-01 미요시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표면처리한 화장료용 판상 분체 및 이를 배합한 고형분말 화장료
KR20150109249A (ko) * 2012-12-26 2015-10-01 미요시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표면처리 분체 및 이를 배합한 화장료
WO2019194560A1 (ko) * 2018-04-03 2019-10-10 선진뷰티사이언스 주식회사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의 제조방법
US11833235B2 (en) 2018-04-03 2023-12-05 Sunjin Beauty Science Co., Ltd. Cosmetic agent comprising insoluble sub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66532A2 (en) 2010-12-29
EP2266532B1 (en) 2017-09-06
EP2266532A3 (en) 2014-07-02
TW201113047A (en) 2011-04-16
TWI515017B (zh) 2016-01-01
CN102028636B (zh) 2014-06-11
JP2011001332A (ja) 2011-01-06
KR101718997B1 (ko) 2017-03-22
JP5359593B2 (ja) 2013-12-04
CN102028636A (zh)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997B1 (ko) 복합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화장료
KR101706780B1 (ko) 실리콘 복합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화장료
KR102048752B1 (ko) 표면처리 분체 및 이를 배합한 화장료
KR101699551B1 (ko) 화장료
KR101699552B1 (ko) 화장료
KR101078077B1 (ko) 유기폴리실록산과 그 제법 및 상기 유기폴리실록산을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0053A (ko)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
CN102946852A (zh) 包含糖醇改性的有机聚硅氧烷的粉末处理剂
JP5491540B2 (ja) 化粧料の製造方法
JP5985772B2 (ja) 表面処理粉体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US9205031B2 (en) Composite particles,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JP5682662B2 (ja) 複合粒子の製造方法
JP5754866B2 (ja) 化粧料
WO2013018356A1 (en)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particle, method for producing cosmetic, and cosmetic
KR20230157366A (ko) 실리콘 고무 입자의 수분산물 및 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