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6399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6399A
KR20100136399A KR1020100025646A KR20100025646A KR20100136399A KR 20100136399 A KR20100136399 A KR 20100136399A KR 1020100025646 A KR1020100025646 A KR 1020100025646A KR 20100025646 A KR20100025646 A KR 20100025646A KR 20100136399 A KR20100136399 A KR 20100136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auger
combine
support
sh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580B1 (ko
Inventor
신 히라따
마사유끼 다까기
다까유끼 오오노
테쯔지 나가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45065A external-priority patent/JP52711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55407A external-priority patent/JP527117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00136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30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 A01F12/32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with shaker screens or sieves

Abstract

본 발명은 그레인 시브로부터 누하하는 1급 알곡의 양에 관계없이, 1급 알곡으로서의 곡립을 볏짚 부스러기의 혼입이 적어 적절하게 누하 회수할 수 있는 콤바인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오거를 지지 위치에 적절하게 선회 조작할 수 있고, 오거를 지지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탈곡실에서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는 탈곡부와, 탈곡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에서 요동 선별하는 선별부를 구비하고, 요동 선별 장치에, 1급 알곡으로서의 곡립을 종횡으로 다수 형성한 누하 구멍(25)으로부터 누하시키는 그레인 시브(10)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에 있어서, 그레인 시브(10)의 적어도 상측 부분에, 그레인 시브(10)에 접촉 내지 초근접하는 상태에서, 간격을 두고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가늘고 긴 부재(34)를 병설하고 있다.
또한, 그레인 탱크 및 오거를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하고, 운전부 및 수용부를 기체의 전방부에 구비하고, 오거의 선회 조작 범위를, 수용부의 상방의 지지 위치(100P1)와 횡방향의 배출 위치(100P2) 사이이고 또한 운전부의 상방을 통과하지 않는 범위로 설정하고, 오거 또는 지지부(10058)의 한쪽에 피검출체(10066)를 설치하고, 오거 또는 지지부(10058)의 다른 쪽에 검출체(10068)를 설치하고, 오거가 지지 위치(100P1)에 위치한 것을 검출하는 정지 위치 검출 수단(10094)을 구성하고, 피검출체(10066) 또는 검출체(10068)의 위치를 오거의 선회 방향을 따라서 조절 가능한 정지 위치 조절 기구(10070)를 설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곡물대를 탈곡부에서 탈곡 처리하고, 탈곡 처리물을 선별부에서 선별 처리하고, 그레인 시브를(grain sieve) 누하(漏下)한 곡립을 1급 알곡(first grade grain)으로서 회수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1급 알곡이란, 벼가 급동을 통과함으로써 곡립만 선별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2급 알곡이란, 벼가 급동을 통과한 것만으로는 곡립만이 선별되지 않아, 이삭이 달린 곡립(벼의 선단이 잘려져 거기에 곡립이 몇 개정도 붙어 있는 것)이나 가지나 줄기가 달린 곡립(곡립에 가지가 남아 있는 것)이 섞여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레인 탱크 및 그 그레인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거를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하는 동시에, 운전부 및 그 운전부의 횡측에 설치되어 상기 오거를 수용 지지하는 수용부를 기체의 전방부에 구비하고, 기체에 고정된 지지부에 의해 오거를 상하 축심 주위로 선회 조작 가능하고 또한 횡축심 주위에서 기복 조작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콤바인으로서 탈곡실(2)에서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는 탈곡부와, 탈곡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5)에서 요동 선별하는 선별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 선별 장치(5)에, 1급 알곡으로서의 곡립을 종횡으로 다수 형성한 누하 구멍[펀칭 구멍(19)]으로부터 누하시키는 그레인 시브(11)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도 비슷한 그레인 시브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요동 선별 장치의 그레인 시브는 판에 형성한 다수의 누하 구멍으로부터 1급 알곡으로서의 곡립을 누하시킨다. 밑동을 끼움 지지시키면서 탈곡하는 자탈형의 콤바인에 있어서는, 곡물대가 탈곡실 내로 반송된 탈곡 초기에 다량의 곡립이 탈곡립하므로, 탈곡되어 수망을 누하하고, 요동 선별 장치의 그레인 시브의 누하 구멍을 누하하여 1급 알곡이 회수되지만, 그레인 시브의 상측 부분에서 다량의 곡립이 1급 알곡으로서 회수되고, 그레인 시브의 후반으로 되면 선별 처리물이 줄어, 바람 선별이 행해지기 쉬워져 볏짚 부스러기의 혼입이 없는 양호한 1급 알곡이 회수되기 쉽다.
그레인 시브의 상측 부분에서는 다량의 곡립 및 볏짚 부스러기(선별 처리물)가 존재하므로, 상측 부분에서 곡립이 그레인 시브의 누하 구멍을 누하할 때에, 볏짚 부스러기가 분리되기 어려워 곡립과 함께 누하되기 쉽다.
또한, 종래, 이러한 종류의 콤바인으로서, 오거(특허 문헌 3의 도 1 및 도 2의 번호 17)의 저장용 수용부(특허 문헌 3의 도 1 및 도 2의 번호 34)를, 운전부(특허 문헌 3의 도 1 및 도 2의 번호 6)의 횡측에 설치하고, 수용부를 기점으로 하여 수용부로부터 우측으로 또는 수용부로부터 좌측으로 약 360도의 범위에서, 오거를 선회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 특허 문헌 3에서는, 저장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저장 지령이 지령되면, 우선 기립 한계 위치까지 오거를 기립 조작하고, 다음에 로터리 인코더 등의 변위량 검출 기구에 의해 검출되는 임의의 선회 위치가 제어 수단에 기억된 수용부의 상방의 지지 위치와 일치할 때까지 오거를 선회 조작하고, 그 후, 수용부에 장비된 저장 검출 스위치에 의해 오거를 수용 지지한 것을 검출할 때까지 오거를 도복 조작하도록 구성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기립 한계 위치까지 오거를 기립한 상태에서 오거를 선회 조작함으로써, 오거를 지지 위치에 선회 조작할 때에, 오거가 운전부로부터 충분히 높은 위치를 통과한다.
이와 같은 기능은 저장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는 통상의 오거의 선회 조작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작용하고 있어, 운전부의 상방을 통과하는 오거의 선회 조작을 행하면, 오거가 자동적으로 기립 한계 위치까지 기립 조작된다.
일본특허출원공개평6-276842호공보 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8-263913호공보 일본특허출원공개평10-108536호공보
본 발명은 그레인 시브의 상측 부분에서의 곡립 및 볏짚 부스러기의 양에 관계없이, 1급 알곡으로서의 곡립을 볏짚 부스러기의 혼입이 적어 적절하게 누하 회수할 수 있는 콤바인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오거가 운전부의 상방을 통과할 때에 오거를 자동적으로 기립 한계 위치까지 기립 조작하는 기능을 장비하면, 오거의 위치를 검출하는 각종 위치 센서나, 오거를 자동적으로 기립 한계 위치까지 기립 조작하는 제어 수단이 필요해지므로, 구조의 복잡화 및 생산 비용의 상승을 수반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오거를 수용부의 상방의 지지 위치에 적절하게 선회 조작할 수 있고, 오거를 수용부의 상방의 지지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 발명의 구성〕
제1 발명은, 탈곡실에서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는 탈곡부와, 탈곡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에서 요동 선별하는 선별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 선별 장치에, 1급 알곡으로서의 곡립을 종횡으로 다수 형성한 누하 구멍으로부터 누하시키는 그레인 시브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시브의 적어도 상측 부분에, 상기 그레인 시브에 접촉 내지 초근접하는 상태로, 간격을 두고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가늘고 긴 부재를 병설하고 있다.
〔제1 발명의 작용〕
제1 발명에 따르면, 그레인 시브의 반송 방향 시단부 부근에서는 반송되어 오는 선별 처리물의 양이 많지만, 그레인 시브 전반에 상당하는 그레인 시브의 상측 부분에는 그레인 시브면에 접촉 내지 초근접하는 상태로, 간격을 두고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가늘고 긴 부재를 병설하고 있으므로, 그레인 시브의 상측 부분에서는 다수의 가늘고 긴 부재의 존재에 의해, 1급 알곡의 누하 회수가 억제된다. 이에 의해, 그레인 시브의 상측 부분에 있어서, 볏짚 부스러기도 누하되기 어려워져, 1급 알곡에 볏짚 부스러기가 혼입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그레인 시브의 반송 중간부를 지나도 비교적 많은 선별 처리물이 남아, 그레인 시브의 하측 부분에서도 많은 선별 처리물이 선별 처리되게 된다. 그러나, 그레인 시브의 하측 부분에서는 많은 선별 처리물이 남아있다고 해도 상측 부분의 선별 처리량보다도 처리되어야 할 양이 감소되어 있으므로, 그레인 시브의 하측 부분에 있어서 선별 처리가 행해지기 쉬워져, 선별 처리물 중의 볏짚 부스러기는 바람 선별 등의 협동 작용으로 곡립과 분리되기 쉬워져, 그레인 시브의 하측 부분에 있어서 볏짚 부스러기의 혼입의 적은 양호한 1급 알곡의 회수가 행해지기 쉽다.
즉, 그레인 시브의 상측 부분에서는, 병설된 가늘고 긴 부재로 선별 처리물의 누하를 억제하여 많은 선별 처리물이 반송 하측으로 이송되고, 선별 처리물의 1급 알곡의 회수 처리가 그레인 시브의 반송 방향 전체 길이에 대해 평균화되어, 그레인 시브에 의한 누하량이 최적화되는 동시에, 볏짚 부스러기가 선별 작용을 받지 않고 누하하여 1급 알곡에 다량으로 혼입된다고 하는 문제를 양호하게 회피할 수 있다.
그레인 시브에 설치된 가요성의 가늘고 긴 부재가, 요동 선별 장치의 요동 작용에 의해 상하 및 좌우(횡)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가늘고 긴 부재가 상하 및 좌우(횡)로 요동함으로써, 가늘고 긴 부재가 그레인 시브의 누하 구멍을 좁히거나 넓히거나 하여, 혹은 처리량의 부하(무게)에 따라서 가늘고 긴 부재가 하향으로 변위되어, 그레인 시브의 누하 구멍을 넓히거나, 혹은 완전 개방으로 하여 누하 구멍의 크기를 변화시키도록 기능한다. 이에 의해, 그레인 시브에 있어서 선별 처리물이 많을 때에, 대량으로 볏짚 부스러기가 혼입된 곡립을 누하 구멍으로부터 누하시키지 않아, 1급 알곡의 누하를 억제하여 전체적으로 양호한 선별 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되었다.
〔제1 발명의 효과〕
따라서, 제1 발명에 따르면, 품질이 좋은 1급 알곡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게 되었다.
〔제2 발명의 구성〕
제2 발명은, 제1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부재의 일단부측을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부분에 접속하는 지지부에 지지하고 있다.
〔제2 발명의 작용 효과〕
제2 발명에 따르면, 가늘고 긴 부재의 일단부측에서는 가늘고 긴 부재가 병설된 상태로 구속되어 있으므로, 볏짚 부스러기를 포함하는 곡립의 누하가 억제되기 쉽지만, 가늘고 긴 부재는 자유단부측에서는 불규칙하게 움직이게 되어, 그레인 시브에 있어서 선별 처리물이 많아도, 볏짚 부스러기 등을 튀겨 올리면서 비중이 큰 곡립을 양호하게 누하시킬 수 있다.
〔제3 발명의 구성〕
제3 발명은, 제2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부재를, 상기 지지부가 상기 그레인 시브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늘고 긴 부재의 자유단부가 상기 그레인 시브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제3 발명의 작용 효과〕
제3 발명에 따르면, 병설된 가늘고 긴 부재의 길이 방향이 선별 처리물의 이송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그레인 시브에 있어서 선별 처리물의 이동이 원활하여, 선별 처리물을 정체시키지 않고 양호하게 선별 처리할 수 있다.
〔제4 발명의 구성〕
제4 발명은, 제1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부재의 적어도 양단부를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부분에 접속하고 있다.
〔제4 발명의 작용 효과〕
제4 발명에 따르면, 병설된 가요성의 가늘고 긴 부재에는 자유단부가 없으므로, 자유단부가 서로 얽히는 것이 전무하므로, 가늘고 긴 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누하가 대략 균등화되어, 고정밀도로 1급 알곡을 회수할 수 있다.
〔제5 발명의 구성〕
제5 발명은, 제4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부재를, 상기 그레인 시브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는 방향과 평행 또는 직교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제5 발명의 작용 효과〕
제5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늘고 긴 부재를, 그레인 시브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는, 그레인 시브에서의 선별 처리물의 흐름이 원활해져, 선별 처리물을 정체시키지 않고 양호하게 선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가늘고 긴 부재를, 그레인 시브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는 방향과 직행하도록 배치한 경우에는, 가늘고 긴 부재가 요동 선별 장치에서 요동될 때마다 가늘고 긴 부재가 요동 선별 장치의 요동 방향으로 요동하므로, 그레인 시브에 형성한 누하 구멍이 항상 대소로 변화되도록 기능하여, 선별 처리물을 누하 구멍에 막히지 않고 양호하게 선별 처리할 수 있다.
〔제6 발명의 구성〕
제6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5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부재를, 상기 그레인 시브에 형성한 누하 구멍열과 누하 구멍열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제6 발명의 작용 효과〕
제6 발명에 따르면, 가늘고 긴 부재가 그레인 시브에 형성한 누하 구멍을 막지 않고, 그레인 시브와 가늘고 긴 부재로 그레인 시브에 형성한 누하 구멍의 크기가 변경(조정)되게 되므로, 선별 처리물을 정체시키지 않고 양호하게 선별 처리할 수 있다.
〔제7 발명의 구성〕
제7 발명은 제6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부재는 박육이고, 그 폭이 상기 그레인 시브에 형성한 누하 구멍열과 누하 구멍열 사이의 구획 폭보다도 넓고 또한 상기 누하 구멍의 안측 치수보다도 좁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제7 발명의 작용 효과〕
제7 발명에 따르면, 그레인 시브에 형성한 누하 구멍이 막히지 않고, 적합한 누하 구멍을 확보하면서 1급 알곡을 누하시킬 수 있고, 선별 처리물의 양호한 선별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콤바인의 제1 특징 구성은, 그레인 탱크 및 그 그레인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거를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하는 동시에, 운전부 및 그 운전부의 횡측에 설치되어 상기 오거를 수용 지지하는 수용부를 기체의 전방부에 구비하고, 상기 기체에 고정된 지지부에 의해 상기 오거를 상하 축심 주위로 선회 조작 가능하고 또한 횡축심 주위에서 기복 조작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오거의 선회 조작 범위를, 상기 수용부의 상방의 지지 위치와 횡방향의 배출 위치 사이이고 또한 운전부의 상방을 통과하지 않는 범위로 설정하고, 상기 오거 또는 지지부의 한쪽에 피검출체를 설치하고, 상기 오거 또는 지지부의 다른 쪽에 상기 피검출체를 검출하는 검출체를 설치하고, 상기 오거가 지지 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출하는 정지 위치 검출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정지 위치 검출 수단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오거의 선회를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피검출체 또는 검출체의 위치를 상기 오거의 선회 방향을 따라서 조절 가능한 정지 위치 조절 기구를 설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오거의 선회 조작 범위를 상기 수용부의 상방의 지지 위치와 횡방향의 배출 위치 사이이고 또한 운전부의 상방을 통과하지 않는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오거를 배출 위치로부터 지지 위치로 선회 조작할 때에, 오거가 운전부의 상방을 통과하는 경우는 없어진다. 따라서, 오거가 운전부의 상방을 통과할 때에 오거를 자동적으로 기립 한계 위치까지 기립 조작하는 기능을 장비할 필요가 없어져, 구조의 간소화 및 생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오거를 수용부의 상방의 지지 위치에 적절하게 선회 조작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오거 또는 기체에 고정된 지지부의 한쪽에 피검출체를 설치하고, 오거 또는 지지부의 다른 쪽에 검출체를 설치하고, 오거가 지지 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출하는 정지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오거를 배출 위치로부터 지지 위치로 선회 조작했을 때에, 오거가 지지 위치에 도달하면, 정지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한 지지 위치의 검출 및 정지 수단에 의해, 오거가 지지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정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장기간에 걸치는 사용에 의해, 피검출체를 검출할 때의 검출체의 검출 자세가 변화되었다고 해도, 정지 위치 조절 기구에 의해 피검출체 또는 검출체의 위치를 오거의 선회 방향을 따라서 조절함으로써, 오거를 배출 위치로부터 지지 위치로 선회 조작했을 때에, 오거를 수용부의 상방의 지지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거를 수용부의 상방의 지지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오거를 도복 조작함으로써, 수용부에 의해 오거를 적절하게 수용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은, 상기 오거에 접촉체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에 피접촉체를 설치하고, 상기 접촉체가 상기 피접촉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오거가 지지 위치로부터 운전부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저지하는 선회 저지 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접촉체 또는 피접촉체의 위치를 상기 오거의 선회 방향을 따라서 조절하는 접촉 위치 조절 기구를 설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접촉체가 피접촉체에 접촉함으로써, 오거가 지지 위치로부터 운전부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저지한다. 따라서, 정지 위치 검출 수단이나 정지 수단이 고장난 경우라도, 오거가 지지 위치로부터 운전부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지 위치 조절 기구에 의해 피검출체 또는 검출체의 위치를 오거의 선회 방향을 따라서 조절할 때에, 피검출체 또는 검출체의 위치 조절에 맞추어 접촉 위치 조절 기구에 의해 접촉체 또는 피접촉체의 위치를 오거의 선회 방향을 따라서 조절한다. 이에 의해, 정지 위치 검출 수단이나 정지 수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을 때에는, 접촉체가 피접촉체에 접촉하지 않고, 정지 위치 검출 수단이나 정지 수단이 고장나면, 접촉체가 피접촉체에 접촉하여, 오거의 운전부측으로의 선회를 기계적으로 저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정지 위치 검출 수단이나 정지 수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을 때에, 접촉체가 피접촉체에 빈번히 접촉하여, 소음이나 충격을 일으키거나, 접촉체 또는 피접촉체가 변형이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품질이 좋은 1급 알곡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콤바인에 있어서의 콤바인의 종단 좌측면도.
도 2는 요동 선별 장치의 부분 종단 측면도.
도 3은 요동 선별 장치의 그레인 시브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4는 요동 선별 장치의 그레인 시브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 정면도.
도 5는 요동 선별 장치의 그레인 시브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그레인 시브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의 그레인 시브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8은 콤바인의 수망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전개도.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의 요동 선별 장치의 그레인 시브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10은 콤바인을 도시하는 전체 측면도.
도 11은 콤바인을 도시하는 전체 평면도.
도 12는 운전석의 주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정지 위치 검출 수단 및 정지 위치 조절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정지 위치 검출 수단 및 정지 위치 조절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는 선회 저지 기구 및 접촉 위치 조절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6은 선회 저지 기구 및 접촉 위치 조절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7은 선회 저지 기구 및 접촉 위치 조절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8은 그레인 탱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9의 (a)는 그레인 탱크에 개폐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b)는 그레인 탱크에 개폐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0은 크롤러식 주행 장치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도 21은 크롤러식 주행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2는 배출 오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제어 블록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콤바인에 있어서의 콤바인의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하는 콤바인의 콤바인(1)는 탈곡 피드 체인(2)에 끼움 지지되어 탈곡실(3) 내로 반송되어 오는 예취 반송 곡물대에 대해 탈곡 처리(treshing treatment)를 가하는 급동(threshing drum)(4) 및 급동(4)에서 처리된 처리물을 하방으로 누하시키는 수망(5) 등을 구비한 탈곡부(6)와, 탈곡부(6)의 하방에 선별부(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예취 반송 곡물대는 탈곡 피드 체인(2)으로 끼움 지지 반송되면서 급동(4)과 수망(5) 사이에서 탈곡된다. 선별부(7)는 수망(5)으로부터 누하되는 곡립을 포함하는 처리물을 수용하여 후방으로 보내면서 비중 선별을 행하는 그레인 팬(8)과, 이 그레인 팬(8)으로부터 보내지는 처리물과 탈곡실(3)의 후반부로부터 수망(5)을 통해 누하하는 처리물을 수용하여 곡립을 낙하시키는 채프 시브(chaff sieve)(9)와, 채프 시브(9)의 하방에 곡립을 주로 선별하여 하방으로 누하시키는 그레인 시브(10)를 구비한 요동 선별 장치(11)와, 요동 선별 장치(11)의 채프 시브(9)나 그레인 시브(10)로 낙하하는 처리물에 대해 선별풍을 작용시키는 풍구(12)를 설치하고, 요동 선별 작용에 더하여 바람 선별 작용을 추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망(5)은 판금의 펀칭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수망(5)에 형성하고 있는 각 그물코(13) 중, 길이 방향[급동(4)의 축심 방향](도 8의 종이면 좌우 방향)의 그물코(13)는 각각 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급동(4)의 둘레 방향[급동(4)의 회전 방향](도 8의 종이면 상하 방향)을 따르는 그물코(13)는 지그재그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그물코(13)를 급동(4)의 둘레 방향을 향해 지그재그로 형성하면, 그물코(13)를 바둑판의 눈과 같이 종횡으로 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보다도, 각 그물코(13)를 형성하고 있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구획부(14)[전후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는 구획부(14)]의 각 그물코(13)의 중앙부(15)가, 당해 그물코(13)와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고 있는 그물코(13)를 둘레 방향으로 신장하여 전후 방향에서 구획하고 있는 구획부(16)와 접합된다. 이에 의해, 중앙부(15)의 구획 면적이 크게 되어 있고 또한 각 그물코(13)의 구획부(14)의 중앙부(15)가 구획부(16)에 의해 보강되어 있음으로써, 수망(5)의 교환 수명이 길어진다.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선별부(7)에는 그레인 시브(10)로부터 누하하는 곡립을 회수하는 제1 회수부(17)와, 제1 회수부(17)의 기체 후방측에서 선별풍에 의해 보내지는 이삭이 떨어진 곡립(ear-broken grains)과 가지가 붙어 있는 곡립(rachis branch-attached grains)이 혼재한 2급 알곡(second grade grain)을 회수하는 제2 회수부(18)와, 기체 후단부에 볏짚 부스러기 등을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배진 팬(19)이 배치 구성되어 있다.
제1 회수부(17)에는 좌우 횡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제1 횡이송 스크류(2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회수부(17)의 우측에는 제1 횡이송 스크류(20)에서 횡이송된 1급 알곡을 수취하고, 도시하지 않은 그레인 탱크의 상부를 향해 이송하는 제1 이송 장치(21)가 접속되어 있다.
제2 회수부(18)에는 좌우 횡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제2 횡이송 스크류(22)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회수부(18)의 우측에는 제2 횡이송 스크류(22)에 의해 횡이송된 2급 알곡을 수취하고, 선별부(7)의 전방 근처의 요동 선별 장치(11)로 환원시키는 제2 환원 이송 장치(23)가 접속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그레인 시브(10)는, 종횡으로 배치된 선재(24)를 사용하여 곡립이 여유를 갖고 통과할 수 있는 누하 구멍(25)을 구비한 그물체로 형성되어 있고, 요동 선별 장치(11)의 좌우의 측판(26)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한 절곡편(27, 27)에 걸쳐서 돌출 설치하고 있다. 도 2,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인 시브(10)의 상측 부분인 후방부 그레인 팬(28)의 후단부(29)의 하면에, 험프(35)와 그레인 시브(10)를 끼운 상태에서, 그 하부로부터 끼움 지지판(30)을 눌러 볼트(31)로 고정하였다. 그레인 시브(10)의 후방부는 좌우 절곡편(27, 27)의 하면에 그레인 시브(10)를 누른 상태에서 그 하부로부터 끼움 지지판(32)을 눌러 볼트(33)로 고정하고 있다.
상기 험프(35)는 평면에서 볼 때 빗 형상으로 다수의 가늘고 긴 부재(34)를 간격을 두고 병설한 형상이고, 박육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것에 커버 수지로서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갠 탄성을 갖는 가요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험프(35)는 그레인 시브(10)의 상측 부분(전반 부분)의 상면에, 그레인 시브(10)와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가늘고 긴 부재(34)의 횡폭(도 3의 종이면 상하 방향의 폭)이, 선재(24)의 외경[그레인 시브(10)의 누하 구멍(25)의 열과 인접하는 누하 구멍(25)의 열 사이의 구획 폭에 상당]보다도 넓은 것으로 되고, 그레인 시브(10)의 누하 구멍(25)의 안측 치수(횡폭)보다도 좁은 것으로 되어 있다. 가늘고 긴 부재(34)의 빗 형상 기부(36)는 그레인 시브(10)의 상측에 위치하고, 후방부 그레인 팬(28)의 후단부(29)(지지부에 상당)와 그레인 시브(10)의 전단부 사이에서 강압된 상태로 볼트(31)로 고정되어 있고, 가늘고 긴 부재(34)의 자유단부는 그레인 시브(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험프(35)를 구성하는 가요성의 가늘고 긴 부재(34)에 의해, 그레인 시브(10)의 누하 구멍(25)이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있지만, 탈곡 작업 중에는 요동 선별 장치(11)에 의한 선별 요동에 의해, 그레인 시브(10) 상의 가늘고 긴 부재(34)는 1사이클의 요동마다 부상하는 동시에, 좌우로 요동하므로, 누하 구멍(25)의 완전 개방 상태가 빈번히 출현한다. 또한, 험프(35)의 각 가늘고 긴 부재(34)에 의해 그레인 시브(10)의 누하 구멍(25)이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있으므로, 곡립의 그레인 시브(10)의 누하 구멍(25)의 통과가 억제되지만, 가늘고 긴 부재(34)는 대판 형상의 얇은 가요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량의 곡립이 험프(35) 상에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늘고 긴 부재(34)가 휘어 곡립이 누하 구멍(25)을 통과한다. 따라서, 그레인 시브(10)의 누하 구멍(25)이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제한됨으로써, 곡립의 그레인 시브(10)의 누하 구멍(25)의 통과가, 험프(35)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보다도 억제되면서도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고, 누하 구멍(25)의 통과가 제한된 곡립은 그레인 시브(10)의 후방부에서 회수할 수 있다.
특히, 가늘고 긴 부재(34)에 있어서의 그레인 시브(10)의 상측의 부분을 고정하고, 가늘고 긴 부재(34)를 선별 처리물의 이송 방향 하측을 향해 배치하고, 가늘고 긴 부재(34)의 이송 방향 하측을 고정하지 않는 자유단부로 하고 있으므로, 가늘고 긴 부재(34)의 배열 자세가 크게 흐트러지는 일이 없는 것이면서, 가늘고 긴 부재(34)가 선별 처리물의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늘고 긴 부재(34)의 자유단부는 빗 형상 기부(35) 부근보다도 크게 요동하므로, 가늘고 긴 부재(34)의 자유단부측일수록 누하 구멍(25)이 완전 개방 상태로 될 확률이 높아, 가늘고 긴 부재(34)의 상측에서 1급 알곡의 누하의 억제가 크고, 가늘고 긴 부재(34)의 자유단부일수록 1급 알곡의 누하의 억제가 작아져, 양호한 선별을 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빗 형상으로 병설한 가늘고 긴 부재(34)를 그레인 시브(10)의 상측 부분(전반 부분)에만 설치하였지만, 곡립의 이송 방향(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그레인 시브(1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가늘고 긴 부재(34)를 설치해도 좋다. 즉, 가늘고 긴 부재(34)는 그레인 시브(10)의 적어도 상측 부분에 설치하면 되며, 그레인 시브(10)의 곡립 반송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해도 좋은 것이다.
상기한 실시 형태 및 이 (1)의 구성에 있어서, 가늘고 긴 부재(34)의 하측의 단부를 그레인 시브(10)에 고정하고, 가늘고 긴 부재(34)의 상측을 자유단부로 해도 좋다.
(2) 가늘고 긴 부재(34)를 형성하고 있는 험프(35)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것이라도 좋다. 도 7에 도시하는 험프(35)는 시트 형상 부재에 다수의 긴 구멍을 형성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단부에 빗 형상 기부에 상당하는 기부(37)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측의 기부(37)는 상기 실시 형태의 설치 수단과 동일하고, 후방부 그레인 팬(28)의 후단부(29)와 그레인 시브(10)의 전단부 사이에서 끼움 지지되어 있다. 후방측의 기부(37)는 하측의 끼움 지지판(30)과 동일한 길이로 그레인 시브(10)의 횡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고, 험프(35)의 전체 폭에 걸쳐서 상부로부터 누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험프(35)가 그레인 시브(10)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완만하게 돌출 설치하도록 해도 좋고, 양단부를 조금 띄워서 길이 방향 중간부를 그레인 시브(10)에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적어도 정지 상태에 있어서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그레인 시브(10)에 대해 비접촉으로 초근접하는 상태로 띄워서 지지해도 좋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험프(35)를 그레인 시브(10)의 하면에 접하도록 또는 조금 간극을 두고 설치해도 좋다.
(3) 험프(35)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그레인 시브(10)의 상측 부분에만 설치하였지만, 그레인 시브(10)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하측 부분의 중간 정도, 또는 그레인 시브(1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해도 좋다. 요컨대, 그레인 시브(10)의 적어도 상측 부분에,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가늘고 긴 부재(34)를 병설하면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험프(35)의 일단부측을, 그레인 시브(10)의 전단부에 설치하고 있지만, 험프(35)의 설치 방법으로서는, 그레인 시브(10)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가늘고 긴 부재(34)의 빗 형상 기부(36)를 그레인 시브(10)보다도 전방의 후방부 그레인 팬(28)의 부분에 설치하거나, 빗 형상 기부(36)를 요동 선별 장치(11)의 좌우의 측판(26)에 설치해도 좋다. 즉, 가늘고 긴 부재(34)를, 그레인 시브(10)와는 다른 요동 선별 장치(11)의 부분의 지지부에 지지하면 된다.
(5) 전항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부재(34)의 양단부를 그레인 시브(10)의 전후 단부 혹은 좌우 단부 또는 요동 선별 장치(11)의 그 밖의 부분에 접속한 경우, 가늘고 긴 부재(34)의 길이 방향 중간부를 도시하지 않은 보유 지지부에서 보유 지지하고, 가늘고 긴 부재(34)를, 가늘고 긴 부재(34)의 전후 양단부와 그 중간부의 3군데에서 보유 지지해도 좋고, 요컨대, 가늘고 긴 부재(34)의 적어도 양단부를 요동 선별 장치(11)의 부분에 접속하고 있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늘고 긴 부재(34)를 그레인 시브(1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후방향)을 향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였지만, 가늘고 긴 부재(34)를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해도 좋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험프(35)의 각 가늘고 긴 부재(34)는 그레인 시브(10)의 횡방향의 누하 구멍(25)의 피치보다도 조금 긴 피치로 형성하였지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가늘고 긴 부재(34)가 누하 구멍(25)을 형성하는 각 선재(24)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선재(24)와 동일 피치로 형성해도 좋다. 도 9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가늘고 긴 부재(34)가 그레인 시브(10)의 누하 구멍(25)의 열과 인접하는 누하 구멍(25)의 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가늘고 긴 부재(34)의 횡폭(도 9의 종이면 상하 방향의 폭)이, 선재(24)의 외경[그레인 시브(10)의 누하 구멍(25)의 열과 인접하는 누하 구멍(25)의 열 사이의 구획폭에 상당]보다도 넓은 것으로 되고, 그레인 시브(10)의 누하 구멍(25)의 안측 치수(횡폭)보다도 좁은 것으로 되어 있다.
(8) 그레인 시브(10)는 종횡의 선재(24)로 누하 구멍(25)을 형성하는 대신에, 판금의 펀칭 구멍을 형성한 것, 또는 다수의 곡립을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한 수지제의 것이라도 좋다.
(9) 상기 가늘고 긴 부재(34)는 박육 평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가늘고 긴 부재(34)를, 가요성을 갖는 단면 원형 또는 단면 사각 형상의 가늘고 긴 부재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가늘고 긴 부재(34)의 재질로서는, 수지로 한정되지 않고 가요성을 갖는 금속재, 예를 들어 강판, 동판, 막대 강, 피아노 선 등이라도 좋다.
한편,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자탈형의 콤바인에 대해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00A)를 장비한 기체 프레임(100B)(기체의 일례)의 전방부에, 곡물대를 예취하는 예취부(100C), 작업자가 운전하는 운전부(100D)를 장비하는 동시에, 그 기체 프레임(100B)의 후방부에, 예취한 곡물대를 탈곡하는 탈곡부(100E), 탈곡한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100F), 저류한 곡물대를 배출하는 곡립 배출부(100G)를 장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크롤러식 주행 장치)
우측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00A)는 좌측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00A)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우측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00A)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우측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00A)는 기체 프레임(100B)에 고정된 지지 프레임(1001)과, 그 지지 프레임(1001)에 전방 요동 링크(1002) 및 후방 요동 링크(1003)를 통해 연결하는 트랙 프레임(1004)과, 그 트랙 프레임(1004)에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어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6개의 접지륜(1005)과, 지지 프레임(1001)의 전방부에 구동 가능하게 지지된 크롤러 구동륜(1006)과, 트랙 프레임(1004)의 후단부에 장력 조정 기구(1007)를 통해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긴장용 회전륜(tension turning wheel)(1008)과, 지지 프레임(1001)의 중간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회전륜(1009)과, 크롤러 벨트(100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트랙 프레임(1004)의 전방측 부분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는 3개의 지지축(10011)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되고, 그들 지지축(10011)에는 각각 3개의 전방측의 접지륜(1005a)이 공회전 가능하게 외팔보 지지되어 있다.
상기 트랙 프레임(1004)의 후방측 부분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는 2개의 지지축(10011)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되고, 그들 지지축(10011)에는 각각 2개의 후방측의 접지륜(1005b)이 공회전 가능하게 외팔보 지지되어 있다.
상기 트랙 프레임(1004)의 중간 부분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약간 상측 근처의 부분에는 1개의 지지축(10011)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고정되고, 그 지지축(10011)에는 1개의 중간의 접지륜(1005c)이 공회전 가능하게 외팔보 지지되어 있다.
*전방측의 접지륜(1005a) 및 후방측의 접지륜(1005b)은 크롤러 벨트(10010)의 한 쌍의 안내 돌기(10010b)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회전륜으로 구성하고, 중간의 접지륜(1005c)은 전방측의 접지륜(1005a) 및 후방측의 접지륜(1005b)보다도 소경이고 또한 크롤러 벨트(10010)의 한 쌍의 안내 돌기(10010b)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회전륜으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중간의 접지륜(1005c)을 지지하는 지지축(10011)을, 전방측의 접지륜(1005a) 및 후방측의 접지륜(1005b)을 지지하는 지지축(10011)보다도 상측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중간의 접지륜(1005c)을 전방측의 접지륜(1005a) 및 후방측의 접지륜(1005b)보다도 소경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이 주행할 때에, 중간의 접지륜(1005c)과 크롤러 벨트(1001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이 논둑을 넘을 때에, 크롤러 벨트(10010)의 접지면의 중간부(10010a)가 오목해지도록 변형된다. 이에 의해, 콤바인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의 무게 중심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콤바인의 상방향 경사 자세로부터 수평 자세로의 자세 변경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콤바인의 논둑 넘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중간의 접지륜(1005c)을 내부 회전륜으로 구성함으로써, 크롤러 벨트(10010)의 좌우 안내 돌기(10010b)에 의해 중간의 접지륜(1005c)이 끼워 넣어진다. 따라서, 크롤러 벨트(10010)가 중간의 접지륜(1005c)으로부터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그레인 탱크)
도 10, 도 11,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100F)는 기체 프레임(100B)의 후방부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100F)는 단면 형상이 대략 V자 형상인 저면부(10021)와, 측면부(10022)와, 천장면부(10023)를 구비하고 있다. 측면부(10022)는 전방벽(10022a)과 후방벽(10022b)과 좌우의 횡벽(10022c)으로 이루어진다. 좌우의 횡벽(10022c) 중 우측(기체 외측)의 횡벽(10022c)의 하부에는 직사각 형상의 개구부(10022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10022d)에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개폐 가능한 개폐 부재(100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0022d)의 주연부 중 전방측의 테두리부를 제외한 부분에는, 탱크 내측으로 돌출되는 리브(10022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10022d)의 주연부 중 전방측의 테두리부를 제외한 부분에는, 개폐 부재(10024)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10025)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 부재(10025)는 개구부(10022d)에 설치되는 설치부(10025a)와, 개구부(10022d) 사이에 개폐 부재(10024)를 안내하기 위한 간극을 갖는 안내부(10025b)를 구비하고 있다.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부재(10024)의 주연부 중 전방측의 테두리부를 제외한 부분에는 단면 형상이 L자 형상인 긴 형상의 제1 보강 부재(1002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보강 부재(10026)는 개폐 부재(10024)에 설치되는 설치부(10026a)와, 탱크 내측으로 돌출되는 리브(10026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개폐 부재(10024)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형상의 제2 보강 부재(10027)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보강 부재(10027)는 개폐 부재(10024)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부(10027a)와, 탱크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면 형상이 V자 형상인 볼록부(10027b)를 구비하고 있다.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부재(10024)의 전방측의 테두리부에는 전방벽(10022a)에 접촉하는 제1 접촉 부재(10028)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접촉 부재(10028)에는 대략 ㄷ자 형상의 손잡이(10029)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손잡이(10029)를 파지한 상태에서 개폐 부재(10024)를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개구부(10022d)가 개방된다. 이에 의해, 그레인 탱크(100F)의 내부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고, 또한 비어 있는 그레인 탱크(100F)의 내부 공간에 예비의 부품 등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부재(10024)를 전방측으로 더욱 슬라이드 이동시켜 개폐 부재(10024)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도 있다.
작업자가 손잡이(10029)를 파지한 상태에서 개폐 부재(10024)를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개구부(10022d)가 폐색되어, 제1 접촉 부재(10028)가 전방벽(10022a)에 접촉한다. 이때, 제1 접촉 부재(10028)가 전방벽(10022a)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1 접촉 부재(10028)와 전방벽(10022a)을 볼트(10030)에 의해 연결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콤바인이 주행할 때에, 개폐 부재(10024)가 갑자기 슬라이드 이동하여 수납한 예비의 부품 등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곡립 배출부)
도 10, 도 11,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배출부(100G)는 그레인 탱크(100F)의 저면부(10021)에 전후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배치된 저부 스크류 컨베이어(10041)와, 저부 스크류 컨베이어(10041)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 설치된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와,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상부에 횡축심(100X1) 주위로 기복 요동 가능하고 또한 종축심(100X2) 주위로 선회 요동 가능하게 장비된 배출 오거(10043)와, 배출 오거(10043)를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에 대해 횡축심(100X1) 주위로 기복 구동하는 기복 구동 수단(10044)과, 배출 오거(10043)를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에 대해 종축심(100X2) 주위로 선회 구동하는 선회 구동 수단(10045)을 구비하고 있다.
(저부 스크류 컨베이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부 스크류 컨베이어(10041)는 컨베이어 스크류(10041a)를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 스크류(10041a)의 반송 시단부측의 단부는 그레인 탱크(100F)의 전방벽(10022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컨베이어 스크류(10041a)의 반송 시단부측의 단부에는 출력 풀리(10046a)가 장착되어 있다. 배출 클러치(10046)는 출력 풀리(10046a)와 다른 한쪽의 풀리(도시하지 않음)에 걸쳐서 벨트(도시하지 않음)를 감아 걸어, 벨트 텐션 클러치로 구성하고 있다. 배출 클러치(10046)는 배출 클러치 레버(10046b)에 연계되어 있어, 배출 클러치 레버(10046b)를 온오프 조작함으로써, 엔진(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저부 스크류 컨베이어(10041)로의 전동을 단속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 스크류(10041a)의 반송 종단부측의 단부는 그레인 탱크(100F)의 후방벽(10022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100F)의 후방벽(10022b)에는 컨베이어 스크류(10041a)의 반송 종단부측의 단부를 둘러싸는 동시에 그레인 탱크(100F)에 연통 접속하는 로어 케이스(10047)(지지부의 일례)가 고정되어 있다. 로어 케이스(10047)는 기체 프레임(100B)의 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는 저부 스크류 컨베이어(10041)의 컨베이어 스크류(10041a)에 베벨 기어식 연동 기구(10050)를 통해 연동 연결된 컨베이어 스크류(10042a)와, 그 컨베이어 스크류(10042a)를 둘러싸는 동시에 로어 케이스(10047)에 연통 접속하는 원통 케이스(10042b)를 구비하고 있다.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는 로어 케이스(1004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배출 오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 오거(10043)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컨베이어 스크류(10042a)에 베벨 기어식 연동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연동 연결된 컨베이어 스크류(10043a)와, 그 컨베이어 스크류(10043a)를 둘러싸는 동시에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에 연통 접속하는 원통 케이스(10043b)와, 그 원통 케이스(10043b)의 선단부에 형성된 곡립 배출용 배출구(10043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와 배출 오거(10043)의 원통 케이스(10043b) 사이에는 회전 케이스(10051)가 개재되어 있다. 회전 케이스(10051)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에 접속되는 동시에, 배출 오거(10043)의 원통 케이스(10043b)에 횡축심(100X1) 주위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엔진의 구동에 의해, 저부 스크류 컨베이어(10041),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 및 배출 오거(10043)를 구동하여, 그레인 탱크(100F)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 오거(10043)의 배출구(10043c)로부터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보유 지지 부재)
도 10,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체 프레임(100B)의 후단부에는 지주(10053)가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를 따라서 세워 설치되어 있다. 그 지주(10053)의 상단부에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의 중앙의 약간 상측 근처 부분을 보유 지지하는 제1 보유 지지 부재(10054)가 고정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유 지지 부재(10054)는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형상인 제1 보유 지지부(10054a)와, 단면 형상이 대략 M자 형상인 제1 압박부(10054b)를 구비하고 있다.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를 제1 보유 지지부(10054a)의 내측에 끼워 넣고, 제1 압박부(10054b)를 제1 보유 지지부(10054a)의 내측에 삽입하여, 제1 보유 지지부(10054a)와 제1 압박부(10054b)를 볼트 연결한다. 이때, 제1 보유 지지부(10054a) 및 제1 압박부(10054b)로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100F)의 후방벽(10022b)의 상부에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의 상측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제2 보유 지지 부재(10056)가 설치 금속 부재(10057)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 보유 지지 부재(10056)도 제1 보유 지지 부재(10054)와 동일한 구조로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와 같이, 이들 제1 및 제2 보유 지지 부재(10054, 10056)가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의 중앙의 약간 상측 근처 부분 및 상측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로어 케이스(10047)가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의 하측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에 의해,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를 회전축으로 하여 그레인 탱크(100F)를 기체 외측으로 요동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부(100E) 등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브래킷 및 설치 부재)
도 10, 도 13,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유 지지 부재(10054)의 제1 보유 지지부(10054a)에는 브래킷(10058)(지지부의 일례), 설치 부재(10060)가 고착되어 있다. 브래킷(10058)은 육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치 부재(10060)는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치 부재(10060)와 제1 보유 지지부(10054a)를 접속하는 제1 보강판(10061)을 설치하고, 브래킷(10058)의 하면의 일측과 제1 보유 지지부(10054a)를 접속하는 제2 보강판(10062)을 설치하고, 브래킷(10058)의 하면의 타측과 제2 보강판(10062)을 접속하는 제3 보강판(10063)을 설치하고 있다.
(선회 구동 수단)
도 10, 도 13,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회 구동 수단(10045)은 전동 모터(100M)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에는 링 기어(10055)가 고착되어 있다. 전동 모터(100M)는 브래킷(10058)의 하면의 중간에 지지 고정되고, 링 기어(10055)에 맞물리는 피니언(10059)을 갖고 있다. 피니언(10059)은 브래킷(10058)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브래킷(10058)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동 모터(100M)의 회전 구동에 의해, 피니언(10059), 링 기어(10055) 및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를 구동하여 배출 오거(10043)를 선회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기복 구동 수단)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복 구동 수단(10044)은 회전 케이스(10051)와 배출 오거(10043)의 원통 케이스(10043b)에 걸쳐서 가설된 유압 실린더(10052)를 구비하고 있다. 유압 실린더(10052)의 신축 작동에 의해, 배출 오거(10043)를 기복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수용부)
기체 프레임(100B)(기체의 일례)의 전방부에는 배출 오거(10043)를 수용 지지하는 수용부(10084)가 장비되어 있다. 수용부(10084)는 운전부(100D)의 횡측에 설치되어 있고, 기체 프레임(100B)의 중심부에 세워 설치된 지주(10081)와, 그 지주(1008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배출 오거(10043)를 수용 지지하는 오거 지지부(10082)를 구비하고 있다. 오거 지지부(10082)에는 수용 검출 스위치(10083)(수용 검출 수단의 일례)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거 지지부(10082)에 의해 배출 오거(10043)가 수용 지지되면, 수용 검출 스위치(10083)는 배출 오거(10043)를 수용한 것을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를 제어 수단(10097)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물대를 예취할 때에는 수용부(10084)에 의해 배출 오거(10043)를 수용 지지시키고 있다. 이때, 배출 오거(10043)는 수용부(10084)의 상방에서 전방향의 우측 엔드 위치(100P1)(지지 위치, 도 22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한다. 곡립을 트럭의 짐받이(100BC) 등의 외부로 배출할 때에는, 배출 오거(10043)를 우측 엔드 위치(100P1)로부터 수용부(10084)에 대해 운전부(100D)와는 반대측(도 22의 종이면 반시계 방향)이고, 또한 운전부(100D)의 상방을 통과하지 않는 방향으로 선회시켜, 횡방향의 좌측 엔드 위치(100P2)(배출 위치, 도 22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선회 조작한다. 곡립을 트럭의 짐받이(100BC) 등에 배출한 후에는, 배출 오거(10043)를 좌측 엔드 위치(100P2)로부터 운전부(100D)와는 반대측(도 22의 종이면 시계 방향)이고, 또한 운전부(100D)의 상방을 통과하지 않는 방향으로 선회시켜 우측 엔드 위치(100P1)까지 선회 조작한다.
이와 같이, 배출 오거(10043)의 선회 조작 범위(θ)를, 후술하는 정지 위치 검출 수단(10094) 및 정지 수단(100H) 및 선회 저지 기구(10078)에 의해 설정되는 우측 엔드 위치(100P1)와 좌측 엔드 위치(100P2) 사이의 범위이고, 또한 평면에서 볼 때 운전부(100D)가 존재하지 않는 측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배출 오거(10043)를 우측 엔드 위치(100P1)와 좌측 엔드 위치(100P2) 사이에서 선회 조작할 때에 배출 오거(10043)가 운전부(100D)의 상방을 통과하는 경우는 없어진다.
(정지 위치 검출 수단)
상기 브래킷(10058)의 상면의 일측(도 14의 종이면 좌측 하방)에는 제1 센서 설치 부재(10064)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링 기어(10055)의 상면에는 핀(10066)(피검출체의 일례)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제1 센서 설치 부재(10064)의 선단에는 제1 리미트 스위치(10065)(좌측 엔드 위치 검출체의 일례)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리미트 스위치(10065)는 요동 가능한 레버(10065a)를 갖고 있다.
상기 배출 오거(10043)가 우측 엔드 위치(100P1)로부터 좌측 엔드 위치(100P2)로 선회하면, 핀(10066)도 우측 엔드 위치(100a1)(도 14의 실선의 해칭 부분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좌측 엔드 위치(100b1)(도 14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배출 오거(10043)의 선회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때, 핀(10066)이 제1 리미트 스위치(10065)의 레버(10065a)에 접촉하여 레버(10065a)가 요동된다. 이에 의해, 제1 리미트 스위치(10065)는 핀(10066)의 좌측 엔드 위치(100b1)[배출 오거(10043)의 좌측 엔드 위치(100P2)]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를 제어 수단(10097)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핀(10066), 제1 리미트 스위치(10065)가, 배출 오거(10043)의 좌측 엔드 위치(100P2)를 검출하는 좌측 엔드 위치 검출 수단(10095)을 구성한다.
상기 브래킷(10058)의 상면의 타측(도 14의 종이면 우측 상부)에는 제2 센서 설치 부재(10067)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제2 센서 설치 부재(10067)는 브래킷(10058)에 설치되는 설치부(10067a)와, 그 설치부(10067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센서 지지부(10067b)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 지지부(10067b)의 선단에는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우측 엔드 위치 검출체, 검출체의 일례)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는 요동 가능한 레버(10068a)를 갖고 있다.
배출 오거(10043)가 좌측 엔드 위치(100P2)로부터 우측 엔드 위치(100P1)로 선회하면, 핀(10066)도 좌측 엔드 위치(100b1)로부터 우측 엔드 위치(100a1)로 배출 오거(10043)의 선회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때, 핀(10066)이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의 레버(10068a)에 접촉하여 레버(10068a)가 요동된다. 이에 의해,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는 핀(10066)의 우측 엔드 위치(100a1)[배출 오거(10043)의 우측 엔드 위치(100P1)]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핀(10066),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가, 배출 오거(10043)의 우측 엔드 위치(100P1)를 검출하는 우측 엔드 위치 검출 수단(10094)(정지 위치 검출 수단의 일례)을 구성한다.
(정지 위치 조절 기구)
상기 브래킷(10058)의 상면의 타측에는 한 쌍의 둥근 구멍(10058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센서 설치 부재(10067)의 설치부(10067a)에는 한 쌍의 긴 구멍(10067c)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10067b)의 길이 방향은 핀(10066)이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의 레버(10068a)에 접촉할 때에 있어서의 핀(10066)의 이동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한 쌍의 볼트(10069)가, 그들 둥근 구멍(10058a) 및 긴 구멍(10067c)을 관통하는 상태로 체결되어 있다.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10069)를 약간 풀어 제2 센서 설치 부재(10067)를 긴 구멍(10067b)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의 위치를 조정한 후, 상기 볼트(10069)를 다시 체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브래킷(10058)에 제2 센서 설치 부재(10067)의 설치부(10067a)를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긴 구멍(10067c), 한 쌍의 둥근 구멍(10058a), 한 쌍의 볼트(10069)가,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의 위치를 배출 오거(10043)의 선회 방향을 따라서 조절 가능한 정지 위치 조절 기구(1007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정지 위치 조절 기구(10070)를 설치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레버(10068a)가 소정 각도 이상 요동되면,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에 내장된 레버측 단자(도시하지 않음) 및 스위치 본체측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콘택트하여 핀(10066)을 검출한다.
그러나,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의 장기간에 걸치는 사용에 의해, 레버(10068a)가 소정 각도 이상 요동해도, 레버측 단자 및 스위치 본체측 단자가 콘택트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핀(10066)을 검출할 때의 레버(10068a)의 요동각이 변화되어,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가 배출 오거(10043)의 우측 엔드 위치(100P1)를 적절하게 검출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의 위치를 조절 가능한 정지 위치 조절 기구(10070)를 설치한다. 이에 의해, 장기간에 걸치는 사용에 의해, 핀(10066)을 검출할 때의 레버(10068a)의 요동각이 변화되어도, 정지 위치 조절 기구(10070)에 의해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의 위치를 배출 오거(10043)의 선회 방향을 따라서 조절함으로써,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가 배출 오거(10043)의 우측 엔드 위치(100P1)를 적절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오거(10043)를 수용부(10084)의 상방의 지지 위치(100P1)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배출 오거(10043)를 도복 조작함으로써, 수용부(10084)에 의해 배출 오거(10043)를 적절하게 수용 지지할 수 있다.
주행 중에 배출 오거(10043)가 부딪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배출 오거(10043)의 우측 엔드 위치(100P1)를 운전부(100D)측에 근접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우측 엔드 위치(100P1)와 운전부(100D) 사이에 그다지 공간이 없는 상태에 있어서도, 배출 오거(10043)를 수용부(10084)의 상방의 지지 위치(100P1)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선회 저지 기구 및 접촉 위치 조절 기구)
도 10,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의 하측 부분에는 링 형상의 플랜지부(10071)가 고착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10071)는 로어 케이스(10047)의 상단부면에 적재 지지되어 있다. 플랜지부(10071)의 하면에는 섹터 형상의 제2 접촉 부재(10072)(접촉체의 일례)가 고착되어 있다. 로어 케이스(10047)의 상단부에는 단면 형상이 8자 형상인 제1 지지 부재(10073)가 고착되어 있다. 제2 접촉 부재(10072)가 접촉하는 제2 피접촉 부재(10074)(피접촉체의 일례) 및 제2 피접촉 부재(10074)를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10075)를, 제1 지지 부재(10073)에 고정하고 있다.
상기 제2 피접촉 부재(10074)는 제2 접촉 부재(10072)가 접촉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피접촉부(10074a)와, 그 피접촉부(10074a)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판 형상부(10074b)를 구비하고 있다. 피접촉부(10074a)에는 절결부(10074c)가 형성되어 있다(도 17을 참조). 절결부(10074c)와 플랜지부(10071)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랜지부(10071)가 피접촉부(10074a)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판 형상부(10074b)에는 한 쌍의 긴 구멍(10074d)이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들 긴 구멍(10074d)의 길이 방향은 배출 오거(10043)의 선회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다.
상기 제2 지지 부재(10075)는 피접촉부(10074a)에 대향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지지부(10075a)와, 지지부(10075a)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판 형상부(10075b)와, 지지부(10075a)와 판 형상부(10075b)를 접속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보강부(10075c)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10075a)의 제2 피접촉 부재(10074)와는 반대측의 측면에는 한 쌍의 너트(10075d)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착되어 있다. 그들 너트(10075d)에는 각각 위치 조정용 볼트(10075e)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판 형상부(10075b)에는 한 쌍의 둥근 구멍(10075f)이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이격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고정용 볼트(10076)가, 그들 둥근 구멍(10075f) 및 긴 구멍(10074d)을 관통하는 상태로 제1 지지 부재(10073)에 체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피접촉 부재(10074) 및 제2 지지 부재(10075)를 제1 지지 부재(10073)에 고정하고 있다.
상기 배출 오거(10043)가 우측 엔드 위치(100P1)로부터 좌측 엔드 위치(100P2)로 선회하면, 제2 접촉 부재(10072)도 우측 엔드 위치(100a2)(도 15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좌측 엔드 위치(100b2)(도 15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배출 오거(10043)의 선회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제2 접촉 부재(10072)의 타단부측의 단부면이 제2 지지 부재(10075)의 판 형상부(10075b)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이동을 저지한다.
상기 배출 오거(10043)가 좌측 엔드 위치(100P2)로부터 우측 엔드 위치(100P1)까지 선회하면, 제2 접촉 부재(10072)도 좌측 엔드 위치(100b2)로부터 우측 엔드 위치(100a2)로 배출 오거(10043)의 선회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제2 접촉 부재(10072)의 일단부측의 단부면이 제2 피접촉 부재(10074)의 피접촉부(10074a)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이동을 저지한다.
따라서, 제2 접촉 부재(10072) 및 피접촉부(10074a)가, 배출 오거(10043)가 우측 엔드 위치(100P1)로부터 운전부(100D)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저지하는 선회 저지 기구(10078)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선회 저지 기구(10078)를 설치하는 것은, 정지 위치 검출 수단(10094)이 고장났을 때 등에, 배출 오거(10043)가 우측 엔드 위치(100P1)로부터 운전부(100D)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로 인해, 정지 위치 검출 수단(10094)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을 때에는, 제2 접촉 부재(10072)의 일단부측의 단부면이 제2 피접촉 부재(10074)의 피접촉부(10074a)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2 피접촉 부재(10074)의 피접촉부(10074a)의 접촉 위치는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가 핀(10066)의 우측 엔드 위치(100a1)를 검출할 때의 레버(10068a)의 검출 위치보다도 배출 오거(10043)의 선회 방향에서 운전부(100D)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좌측 엔드 위치 검출 수단(10095)이 고장났을 때 등에, 배출 오거(10043)가 좌측 엔드 위치(100P2)로부터 운전부(100D)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2 지지 부재(10075)의 판 형상부(10075b)의 접촉 위치는, 제1 리미트 스위치(10065)가 핀(10066)의 좌측 엔드 위치(100b1)를 검출할 때의 레버(10065a)의 검출 위치보다도 배출 오거(10043)의 선회 방향에서 운전부(100D)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2 피접촉부(10074a)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위치 조정용 볼트(10075e)를 회전 조작하여 도 16의 종이면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판 형상부(10074b)를 긴 구멍(10074d)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또는, 위치 조정용 볼트(10075e)를 회전 조작하여 도 16의 종이면 좌측으로 이동시킨 후, 제2 피접촉부(10074a)를 위치 조정용 볼트(10075e)의 선단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시킨다.
따라서, 한 쌍의 고정용 볼트(10076), 한 쌍의 긴 구멍(10074d), 한 쌍의 너트(10075d), 한 쌍의 위치 조정용 볼트(10075e)가, 제2 피접촉 부재(10074)의 위치를 조절하는 접촉 위치 조절 기구(10079)를 구성한다.
이에 의해, 정지 위치 조절 기구(10070)에 의해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의 위치를 배출 오거(10043)의 선회 방향을 따라서 조절할 때에,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의 위치 조절에 맞추어 접촉 위치 조절 기구(10079)에 의해 제2 피접촉 부재(10074)의 위치를 배출 오거(10043)의 선회 방향을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
정지 위치 조절 기구(10070)에 의해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좌측 엔드 위치(100P2)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는 없으므로, 제1 리미트 스위치(10065)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좌측 엔드 위치 검출 수단(10095)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을 때에는, 제1 리미트 스위치(10065)의 장기간에 걸치는 사용에 의해, 핀(10066)을 검출할 때의 레버(10065a)의 요동각이 변화되었다고 해도, 제2 접촉 부재(10072)의 타단부측의 단부면이 제2 지지 부재(10075)의 판 형상부(10075b)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2 지지 부재(10075)의 판 형상부(10075b)의 접촉 위치와, 제1 리미트 스위치(10065)가 핀(10066)의 좌측 엔드 위치(100b1)를 검출할 때의 레버(10065a)의 검출 위치 사이에 여유를 갖게 해 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구성에서는 제2 피접촉 부재(10074)의 피접촉부(10074a)의 접촉 위치와,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가 핀(10066)의 우측 엔드 위치(100a1)를 검출할 때의 레버(10068a)의 검출 위치의 차에 비교하여, 제2 지지 부재(10075)의 판 형상부(10075b)의 접촉 위치와, 제1 리미트 스위치(10065)가 핀(10066)의 좌측 엔드 위치(100b1)를 검출할 때의 레버(10065a)의 검출 위치의 차를 크게 하고 있다.
〔제어 구성〕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H)는 배출 오거(10043)를 선회 조작하는 선회 조작 수단(10098)과, 배출 오거(10043)를 기복 조작하는 기복 조작 수단(10099)과, 배출 오거(10043)의 우측 엔드 위치(100P1)를 검출하는 우측 엔드 위치 검출 수단(10094)과, 배출 오거(10043)의 좌측 엔드 위치(100P2)를 검출하는 좌측 엔드 위치 검출 수단(10095)과, 수용부(10084)에 의해 배출 오거(10043)가 수용 지지된 것을 검출하는 수용 검출 수단(10083)과, 그들 각 조작 수단의 지령 정보 및 각 검출 수단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기복 구동 수단(10044), 선회 구동 수단(10045)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10097)을 구비하고 있다.
(각 조작 수단)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운전부(100D)는 운전석(100101)을 갖고 있다. 운전석(100101)의 후방측에는 엔진의 흡기를 청정하게 하는 프리 클리너(100102), 에어 클리너(100103), 배출 클러치 레버(10046b), 선회 스위치(10098)(선회 조작 수단의 일례), 기복 스위치(10099)(기복 조작 수단의 일례) 등이 장비되어 있다. 선회 스위치(10098)는 우측 선회 위치, 중립 위치, 좌측 선회 위치의 3위치로 절환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복 스위치(10099)는 기립 위치, 중립 위치, 도복 위치의 3위치로 절환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수동 선회 제어)
배출 오거(10043)의 수동 선회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가 선회 스위치(10098)를 우측 선회 위치로 절환 조작하면, 배출 오거(10043)의 우측 선회 조작을 제어 수단(10097)에 지령한다. 제어 수단(10097)은 선회 스위치(10098)로부터 우측 선회 조작이 지령되고 있는 동안, 배출 오거(10043)를 우측 선회시키도록, 선회 구동 수단(10045)을 구동한다. 작업자가 선회 스위치(10098)를 중립 위치로 절환 조작하면, 배출 오거(10043)의 중립 조작을 제어 수단(10097)에 지령한다. 제어 수단(10097)은 선회 스위치(10098)로부터 중립 조작이 지령되고 있는 동안, 선회 구동 수단(10045)을 정지한다. 작업자가 선회 스위치(10098)를 좌측 선회 위치로 절환 조작하면, 배출 오거(10043)의 좌측 선회 조작을 제어 수단(10097)에 지령한다. 제어 수단(10097)은 기복 스위치(10099)로부터 좌측 선회 조작이 지령되고 있는 동안, 배출 오거(10043)를 좌측 선회시키도록, 선회 구동 수단(10045)을 구동한다. 이때, 제어 수단(10097)은 우측 엔드 위치 검출 수단(10094)에 의해 배출 오거(10043)의 우측 엔드 위치(100P1)가 검출되거나, 혹은 좌측 엔드 위치 검출 수단(10095)에 의해 배출 오거(10043)의 좌측 엔드 위치(100P2)가 검출되면, 선회 구동 수단(10045)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이 제어 수단(10097)은 우측 엔드 위치 검출 수단(10094)에 의한 배출 오거(10043)의 우측 엔드 위치(100P1)의 검출, 혹은 좌측 엔드 위치 검출 수단(10095)에 의한 배출 오거(10043)의 좌측 엔드 위치(100P2)의 검출에 기초하여, 배출 오거(10043)의 선회를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수동 기복 제어)
배출 오거(10043)의 수동 기복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가 기복 스위치(10099)를 기립 위치로 절환 조작하면, 배출 오거(10043)의 기립 조작을 제어 수단(10097)에 지령한다. 제어 수단(10097)은 기복 스위치(10099)로부터 배출 오거(10043)의 기립 조작이 지령되면, 기복 스위치(10099)로부터 기립 조작이 지령되고 있는 동안, 배출 오거(10043)를 기립시키도록, 기복 구동 수단(10044)을 구동한다. 작업자가 기복 스위치(10099)를 중립 위치로 절환 조작하면, 배출 오거(10043)의 중립 조작을 제어 수단(10097)에 지령한다. 제어 수단(10097)은 기복 스위치(10099)로부터 배출 오거(10043)의 중립 조작이 지령되면, 기복 스위치(10099)로부터 중립 조작이 지령되고 있는 동안, 기복 구동 수단(10044)을 정지한다. 작업자가 기복 스위치(10099)를 도복 위치로 절환 조작하면, 배출 오거(10043)의 도복 조작을 제어 수단(10097)에 지령한다. 제어 수단(10097)은 기복 스위치(10099)로부터 배출 오거(10043)의 도복 조작이 지령되면, 기복 스위치(10099)로부터 도복 조작이 지령되고 있는 동안, 배출 오거(10043)를 도복시키도록, 기복 구동 수단(10044)을 구동한다. 이때, 제어 수단(10097)은 수용 검출 스위치(10083)에 의해 배출 오거(10043)를 수용 지지한 것을 검출하면, 기복 구동 수단(10044)을 정지한다.
〔다른 실시 형태〕
(1)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구성 대신에, 핀(10066)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이 구성에 추가하여, 제1 리미트 스위치(10065)의 위치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 오거(10043)에 핀(10066)을 설치하고, 브래킷(10058)에 핀(10066)을 검출하는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를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브래킷(10058)에 핀(10066)을 설치하고, 배출 오거(10043)에 핀(10066)을 검출하는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때, 제2 리미트 스위치(10068)의 위치 또는 핀(10066)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해도 좋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 오거(10043)에 핀(10066)을 설치하고, 브래킷(10058)에 핀(10066)을 검출하는 제1 리미트 스위치(10065)를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브래킷(10058)에 핀(10066)을 설치하고, 배출 오거(10043)에 핀(10066)을 검출하는 제1 리미트 스위치(10065)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때, 제1 리미트 스위치(10065)의 위치 또는 핀(10066)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해도 좋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는 로어 케이스(1004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와 배출 오거(10043)의 원통 케이스(10043b) 사이에는 회전 케이스(10051)가 개재 장착되고, 회전 케이스(10051)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에 접속되는 동시에, 배출 오거(10043)의 원통 케이스(10043b)에 횡축심(100X1) 주위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전동 모터(100M)의 구동에 의해,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를 종축심(100X2) 주위로 회전시키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는 로어 케이스(10047)에 고정 지지되고,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와 배출 오거(10043)의 원통 케이스(10043b) 사이에는 회전 케이스(10051)가 개재 장착되고, 회전 케이스(10051)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10042)의 원통 케이스(10042b)에 종축심(100X2) 주위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동시에, 배출 오거(10043)의 원통 케이스(10043b)에 횡축심(100X1) 주위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전동 모터(100M)의 구동에 의해, 회전 케이스(10051)를 종축심(100X2) 주위로 회전시켜도 좋다.
본 발명은 정치형의 콤바인나 예취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이동식 수확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탈형의 콤바인뿐만 아니라, 보통형의 콤바인에도 적용 가능하다.
3 : 탈곡실
6 : 탈곡부
7 : 선별부
10 : 그레인 시브
11 : 요동 선별 장치
25 : 누하 구멍
29 : 상측 부분(지지부)(후방부 그레인 팬의 후단부)
34 : 가늘고 긴 부재
10043 : 오거
10047, 10058 : 지지부
10066 : 피검출체
10068 : 검출체
10070 : 정지 위치 조절 기구
10072 : 접촉체
10074 : 피접촉체
10078 : 선회 저지 기구
10079 : 접촉 위치 조절 기구
10084 : 수용부
10094 : 정지 위치 검출 수단
100B : 기체
100BC : 외부
100D : 운전부
100F : 그레인 탱크
100P1 : 지지 위치
100P2 : 배출 위치

Claims (9)

  1. 탈곡실에서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는 탈곡부와, 탈곡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에서 요동 선별하는 선별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 선별 장치에, 1급 알곡으로서의 곡립을 종횡으로 다수 형성한 누하 구멍으로부터 누하시키는 그레인 시브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시브의 적어도 상측 부분에, 상기 그레인 시브에 접촉 내지 초근접하는 상태에서, 간격을 두고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가늘고 긴 부재를 병설하고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부재의 일단부측을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부분에 접속하는 지지부에 지지하고 있는,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부재를, 상기 지지부가 상기 그레인 시브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늘고 긴 부재의 자유단부가 상기 그레인 시브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는, 콤바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부재의 적어도 양단부를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부분에 접속하고 있는, 콤바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부재를, 상기 그레인 시브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는 방향과 평행 또는 직교하도록 배치하고 있는, 콤바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부재를, 상기 그레인 시브에 형성한 누하 구멍열과 누하 구멍열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는, 콤바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부재는 박육이고, 그 폭이 상기 그레인 시브에 형성한 누하 구멍열과 누하 구멍열 사이의 구획 폭보다도 넓고 또한 상기 누하 구멍의 안측 치수보다도 좁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는, 콤바인.
  8. 그레인 탱크 및 그 그레인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거를 기체의 후방부에 구비하는 동시에, 운전부 및 그 운전부의 횡측에 설치되어 상기 오거를 수용 지지하는 수용부를 기체의 전방부에 구비하고,
    상기 기체에 고정된 지지부에 의해 상기 오거를 상하 축심 주위로 선회 조작 가능하고 또한 횡축심 주위에서 기복 조작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오거의 선회 조작 범위를, 상기 수용부의 상방의 지지 위치와 횡방향의 배출 위치 사이이고 또한 운전부의 상방을 통과하지 않는 범위로 설정하고,
    상기 오거 또는 지지부의 한쪽에 피검출체를 설치하고, 상기 오거 또는 지지부의 다른 쪽에 상기 피검출체를 검출하는 검출체를 설치하고, 상기 오거가 지지 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출하는 정지 위치 검출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정지 위치 검출 수단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오거의 선회를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피검출체 또는 검출체의 위치를 상기 오거의 선회 방향을 따라서 조절 가능한 정지 위치 조절 기구를 설치하고 있는, 콤바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에 접촉체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에 피접촉체를 설치하고, 상기 접촉체가 상기 피접촉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오거가 지지 위치로부터 운전부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저지하는 선회 저지 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접촉체 또는 피접촉체의 위치를 상기 오거의 선회 방향을 따라서 조절하는 접촉 위치 조절 기구를 설치하고 있는, 콤바인.
KR1020100025646A 2009-06-18 2010-03-23 콤바인 KR101722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45065A JP5271167B2 (ja) 2009-06-18 2009-06-18 脱穀機
JPJP-P-2009-145065 2009-06-18
JP2009155407A JP5271175B2 (ja) 2009-06-30 2009-06-30 コンバイン
JPJP-P-2009-155407 2009-06-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122A Division KR101820266B1 (ko) 2009-06-18 2017-03-28 콤바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399A true KR20100136399A (ko) 2010-12-28
KR101722580B1 KR101722580B1 (ko) 2017-04-03

Family

ID=433659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646A KR101722580B1 (ko) 2009-06-18 2010-03-23 콤바인
KR1020170039122A KR101820266B1 (ko) 2009-06-18 2017-03-28 콤바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122A KR101820266B1 (ko) 2009-06-18 2017-03-28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722580B1 (ko)
CN (1) CN10192625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695B1 (ko) * 2011-06-29 2013-09-25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1146B (zh) * 2013-02-22 2018-08-31 株式会社久保田 脱粒装置
CN106472022A (zh) * 2015-08-25 2017-03-08 柯再立 仓口除杂机
CN108496583B (zh) * 2017-02-24 2023-09-12 中国农业机械化科学研究院呼和浩特分院有限公司 圆捆卷捆机
CN112690107A (zh) * 2020-12-30 2021-04-23 江苏沃得农业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筛选系统及联合收割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6842A (ja) 1993-03-23 1994-10-04 Kubota Corp 脱穀装置の選別部構造
JPH10108536A (ja) 1996-10-07 1998-04-28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装置
JP2006246717A (ja) * 2005-03-08 2006-09-21 Kubota Corp 脱穀装置
JP2008043264A (ja) * 2006-08-17 2008-02-28 Kubota Corp 脱穀装置の選別部構造
JP2008263913A (ja) 2007-04-24 2008-11-06 Kubota Corp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5272U (ko) * 1974-06-13 1975-12-23
JPH09252635A (ja) * 1996-03-21 1997-09-30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選別装置
CN2549717Y (zh) * 2002-07-11 2003-05-14 冯仰庆 开放式可调下筛装置
JP4894555B2 (ja) * 2007-02-27 2012-03-14 井関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
CN201238488Y (zh) * 2008-06-19 2009-05-20 福田雷沃国际重工股份有限公司 水稻联合收割机的脱粒清选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6842A (ja) 1993-03-23 1994-10-04 Kubota Corp 脱穀装置の選別部構造
JPH10108536A (ja) 1996-10-07 1998-04-28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装置
JP2006246717A (ja) * 2005-03-08 2006-09-21 Kubota Corp 脱穀装置
JP2008043264A (ja) * 2006-08-17 2008-02-28 Kubota Corp 脱穀装置の選別部構造
JP2008263913A (ja) 2007-04-24 2008-11-06 Kubota Corp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695B1 (ko) * 2011-06-29 2013-09-25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26255B (zh) 2014-12-24
KR101820266B1 (ko) 2018-01-19
CN101926255A (zh) 2010-12-29
KR101722580B1 (ko) 2017-04-03
KR20170038185A (ko)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266B1 (ko) 콤바인
KR101961602B1 (ko) 콤바인
WO2012077370A1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5139927B2 (ja) コンバイン
KR101428554B1 (ko) 콤바인
JP2019047776A5 (ko)
KR101300922B1 (ko) 탈곡 장치
KR20150001860A (ko) 콤바인
JP4861108B2 (ja) 刈取作業機
KR102545558B1 (ko) 전간 투입형 콤바인의 탈곡 장치 및 콤바인
JP5788169B2 (ja) 作業車両
CN1859839B (zh) 联合收割机
WO2012077496A1 (ja) コンバイン
CN111918546B (zh) 收割机及作业机
JP5975633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5374125B2 (ja) コンバイン
JP5808113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2009000036A (ja) コンバインの作業クラッチレバー
WO2012108370A1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5780628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4315846B2 (ja) コンバイン
JP7313225B2 (ja) 脱穀装置
JP6342729B2 (ja) 脱穀装置
JP2001190143A (ja) コンバインの伸縮穀粒移送装置
JP2022097216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