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695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695B1
KR101310695B1 KR1020110068356A KR20110068356A KR101310695B1 KR 101310695 B1 KR101310695 B1 KR 101310695B1 KR 1020110068356 A KR1020110068356 A KR 1020110068356A KR 20110068356 A KR20110068356 A KR 20110068356A KR 101310695 B1 KR101310695 B1 KR 101310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grain tank
tank
discharge
convey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909A (ko
Inventor
토시로 나가이
마사이치 히로세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2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Abstract

(과제) 곡립 배출 작업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고, 그레인 탱크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기 과제는 그레인 탱크(6)의 저부에 구비하는 배출 나선(42)의 축심 위치를 우측의 크롤러(2a)의 외측단보다 기체 외측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배치한다. 또한, 그레인 탱크(6) 하부의 깔때기부(40)의 저부에 개폐 가능한 셔터(45)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그레인 탱크와 프리클리너(Pre-Cleaner)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탈곡 장치로부터 그레인 탱크에 곡립을 이송하는 양곡(揚穀) 장치를 설치하고, 그레인 탱크 내의 곡립을 외부로 이송하는 배출 나선을 구비하는 콤바인은 이미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60-14724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그레인 탱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출하는 것이 곤란하고, 두렁이나 용수로 등을 사이에 둔 운반 차량에 곡립을 배출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에 있고, 다른 과제는 그레인 탱크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콤바인을 구현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포장에 식립되는 곡간(穀桿)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4)와, 상기 예취 장치(4)로 예취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5)와, 상기 탈곡 장치(5)로 탈곡한 곡립을 저장하는 그레인 탱크(6)와, 상기 그레인 탱크(6)에 저장된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오거(8)와, 주행 장치(3)와, 엔진(E)을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6)의 저부에 배출 나선(42)을 배치하고, 그레인 탱크(6)의 후방측에는 상기 배출 오거(8)의 종 이송부(50)를 배치하고, 상기 종 이송부(50)의 이송 시단부를 배출 나선(42)의 이송 종단부에 연통시키며, 종 이송부(50)의 상단부에 중간 이송부(53)의 일단부를 연통시키고, 상기 중간 이송부(53)의 타단부에 횡 이송부(56)의 기부를 연통시키고, 배출 나선(42)의 축심 위치를 우측의 크롤러(2a)의 외측단보다 기체 외측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6) 하부의 깔때기부(40)의 저부에 개폐 가능한 셔터(4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6) 전방벽(21a)의 상부에 점검창(2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6)의 후방측 상부에 노치부(23)를 형성하고, 평면으로 보아서 상기 배출 오거(8)를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켰을 경우에 배출 오거(8)의 횡 이송부(56)가 상기 노치부(23)에 들어가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6)의 후방측 상부에 노치부(23)를 형성하고, 평면으로 보아서 상기 배출 오거(8)를 종 이송부(50)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켰을 때에 상기 중간 이송부(53) 및 횡 이송부(56)의 일부가 노치부(23)에 진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중간 이송부(53) 및 횡 이송부(56)의 일부가 노치부(23)에 진입한 상태에 있어서 횡 이송부(56)의 반송 종단부가 횡 이송부(56)의 반송 시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엔진(E)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여과하는 프리클리너(70)를 수납시의 배출 오거(8)보다 높고, 그레인 탱크(6)의 상면보다 낮거나 또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리클리너(70)를 평면으로 보아서 그레인 탱크(6)의 기체 내측의 좌벽(22a)과 수납시의 배출 오거(8)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5)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그레인 탱크(6)로 이송하는 양곡 장치(10)를 설치하고, 상기 프리클리너(70)를 양곡 장치(10)의 상부(12)에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에 양곡 나선(10b)을 내장하는 양곡 장치(10)를 설치하고, 상기 양곡 장치(10)의 상단부를 그레인 탱크(6)의 상부에 연통시키고, 상기 그레인 탱크(6)의 천장벽(21d)에 형성된 천장 구멍(27)에 개폐 가능한 뚜껑(28)을 설치하고, 상기 뚜껑(28)의 내측에 크림프망 또는 펀칭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부(2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이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에 양곡 나선(10b)을 내장하는 양곡 장치(10)를 설치하고, 상기 양곡 장치(10)의 상단부를 그레인 탱크(6)의 상부에 연통시키고, 상기 그레인 탱크(6)의 천장벽(21d)에 형성된 천장 구멍(27)에 개폐 가능한 뚜껑(28)을 설치하고, 상기 뚜껑(28)의 내측에 크림프망 또는 펀칭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부(2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그레인 탱크(6)의 저부에 설치한 배출 나선(42)의 축심 위치를 우측의 크롤러(2a) 외측단보다 기체 외측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배출 나선(42)에 연통하는 종 이송부(50)도 기체 외측으로 치우치기 때문에 기체 우측방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이 가능한 범위가 확대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하여, 그레인 탱크(6) 하부의 깔때기부(40)의 저부에 설치한 셔터(45)를 개폐함으로써 깔때기부(40)의 보수·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깔때기부(40)에 잔존한 곡립의 배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하여, 그레인 탱크(6)의 전방벽(21a) 상부에 점검창(24)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그레인 탱크(6)에 저장된 곡립의 저장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하여, 평면으로 보아서 상기 배출 오거(8)를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켰을 경우에 배출 오거(8)의 횡 이송부(56)가 상기 노치부(23)에 들어가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배출 오거(8)의 넓은 가동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배출 오거(8)의 중간 이송부(53) 및 횡 이송부(56)의 일부가 그레인 탱크(6)의 후방측 상부에 형성된 노치부(23)에 진입한 상태에 있어서 횡 이송부(56)의 이송 종단부가 횡 이송부(56)의 반송 시단부보다 전방측으로 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배출 오거(8)의 선회 범위가 넓어져서 곡립의 배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프리클리너(70)를 수납시의 배출 오거(8)보다 높게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프리클리너(70)로부터 고위치의 청정한 공기를 받아들여서 엔진(E)에 공급할 수 있고, 프리클리너(70)가 막히기 어렵게 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리클리너(70)를 그레인 탱크(6)의 상면보다 낮거나 또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프리클리너(70)가 기체 상방의 장해물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쉬워진다.
또한, 그레인 탱크(6)의 상면이 수납시의 배출 오거(8) 및 프리클리너(7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레인 탱크(6)의 곡립 저장 용량을 확대할 수 있고, 곡립의 기기 밖으로의 배출 횟수가 줄어들어 콤바인에 의한 수확 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프리클리너(70)를 그레인 탱크(6)와 수납시의 배출 오거(8)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프리클리너(70)에 의해 배출 오거(8)의 선회가 방해받기 어려워진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프리클리너(70)를 양곡 장치(10)의 상부(12)에 지지함으로써 이 프리클리너(70)를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프리클리너(70)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그레인 탱크(6)의 천장벽(21d)에 형성된 천장 구멍(27)의 내측에 크림프망 또는 펀칭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부(29)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잘못하여 조작자가 양곡 나선(10b)에 봉 등을 삽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양곡 장치(10)나 그레인 탱크(6)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부(29)를 개폐 가능한 뚜껑(28)에 의해 덮고 있으므로 빗방울이나 이물의 그레인 탱크(6) 내로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그레인 탱크(6)의 천장벽(21d)에 형성된 천장 구멍(27)의 내측에 크림프망 또는 펀칭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부(29)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잘못하여 조작자가 양곡 나선(10b)에 봉 등을 삽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양곡 장치(10)나 그레인 탱크(6)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부(29)를 개폐 가능한 뚜껑(28)에 의해 덮고 있으므로 빗방울이나 이물의 그레인 탱크(6) 내로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배출 오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5는 그레인 탱크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그레인 탱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그레인 탱크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그레인 탱크의 배면도이다.
도 9는 그레인 탱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보호부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변형예 1의 보호부 설명도이다.
도 12는 변형예 2의 보호부 설명도이다.
도 13의 (a)는 그레인 탱크의 깔때기부의 확대 우측면도이며, (b)는 (a)의 A-A 단면도이다.
도 14는 프리클리너의 설치 설명도이다.
도 15는 연료탱크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편의적으로 방향을 나타내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들에 의해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1)은 포장(圃場)을 주행하는 좌우 한쌍의 크롤러(2a, 2b)로 이루어지는 주행 장치(3)와, 기체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포장으로부터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4)와, 예취 장치(4)의 후방에 배치되어 곡간의 탈곡·선별을 행하는 탈곡 장치(5)와, 이 탈곡 장치(5)의 우측에 병설되어 탈곡·선별된 곡립을 저장하는 그레인 탱크(6)를 구비하고, 그레인 탱크(6) 전방측에서 예취 장치(4)의 배면에 임하는 부위에 조작자가 탑승하는 조종부(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조종부(7)에 있어서의 좌석의 하측에는 주행 장치(3), 예취 장치(4), 탈곡 장치(5)를 구동하는 엔진(E)을 설치한다.
또한, 그레인 탱크(6)의 후방측에는 저장된 곡립을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 오거(8)를 구비하고, 그레인 탱크(6)와 수납시의 배출 오거(8)에 의해 끼워진 공간에는 엔진(E)에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는 프리클리너(70)를 구비하고 있다.
(탈곡 장치)
예취 장치(4)에 의해 예취된 곡간은 탈곡 장치(5)에 들어올려 반송되고, 탈곡 장치(5)에 의해 탈곡·선별된다. 탈곡 장치(5)는 상부에 곡간의 탈곡을 행하는 급실과, 하부에 곡간의 선별을 행하는 선별실을 구비하고 있다.
탈곡 장치(5)에 의해 탈곡·선별된 곡립은 탈곡 장치(5)의 우측에 설치된 양곡 장치(10)에 의해 그레인 탱크(6)에 투입된다.
즉, 양곡 장치(10)는 원통 강재로 이루어지는 양곡통(10a)과, 곡립을 들어올려 이송하는 양곡 나선(10b)으로 구성되고, 양곡통(10a)의 기부(11)는 탈곡 장치(5)의 우측 하부에 형성된 1번 나선의 배출구에 연통하고, 양곡 장치(10)의 상부(12)는 그레인 탱크(6)의 투입구(35)에 연통하고 있다.
(그레인 탱크)
도 5∼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곡 장치(10)에 의해 들어올려 이송된 곡립은 그레인 탱크(6)에 저장된다. 그레인 탱크(6)는 상부에 투입구(35)가 형성된 탱크부(20)와, 배출 오거(8)에 곡립을 이송하는 배출 나선(42)을 내설하는 깔때기부(40)로 구성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6) 내의 점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탱크부(20)는 우측부(21)와, 좌측부(22)를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접합한 접합 구조로 되어 있다.
우측부(21)는 전방벽(21a)과, 후방벽(21b)과, 우벽(21c)과, 천장벽(21d)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우측부(21)의 주변부 내측에는 좌측부(22)를 통해서 삽입되는 볼트 등을 고정하기 위한 너트 등의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부(22)의 주변부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배출 오거(8)의 중간 이송부(만곡 이송부)(53)의 넓은 회전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서 탱크부(20)의 후방측 상부에는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는 수평 노치부(수평면)(23a)와, 수평 노치부(23a)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완경사 노치부(완경사면)(23b)와, 완경사 노치부(23b)의 전단부로부터 탱크부(20)의 천장벽(21d)의 후단부에 이르는 급경사 노치부(급경사면)(23c)로 이루어지는 노치부(23)가 형성되어 있다.
탱크부(20)와 깔때기부(40)의 접합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전방벽(21a)과 후방벽(21b)의 하단부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서 상방 경사져 있고, 깔때기부(40)의 전방벽(41a)와 후방벽(41b)의 상단부도 마찬가지로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서 상방 경사져 있다. 또한, 탱크부(20)의 하단부 주변부의 내측에는 깔때기부(40)를 통해서 삽입되는 볼트 등을 고정하는 너트 등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깔때기부(40)의 상단부 주변부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벽(21a)의 우측 상부에는 조작자가 그레인 탱크(6)에 저장된 곡립의 양을 확인하는 점검창(24)이 설치되고, 전방벽(21a)의 대략 중심부에는 조작자가 그레인 탱크(6)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 레버(25)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레버(25)의 상부는 전방벽(21a)의 좌단측 중심부에 지지된 축(25a)에 축지지되고, 개폐 레버(25)의 하부는 전방벽(21a)의 좌단측 중심부로부터 대략 우측 하부로 연신되고, 개폐 레버(25)의 상단부에는 훅부(25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훅부(25b)는 탈곡 장치(5)의 우측에 설치된 훅 수용부에 록킹되고, 그레인 탱크(6)는 후술하는 배출 오거(8)의 연통부(61)의 전방에 개폐축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우벽(21c)의 내측에는 그레인 탱크(6)에 저장된 곡립의 내압에 의해 발생되는 우벽(21c)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상하 2개의 보강재(26)가 설치되어 있다.
천장벽(21d)에는 그레인 탱크(6) 내에 저장된 곡립의 막힘을 제거하기 위해서, 목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는 봉을 삽입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천장 구멍(27)이 형성되고, 천장 구멍(27)로부터의 비와 이슬이나 이물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천장 구멍(27)의 상측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28)이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의 손끝이 양곡 나선(10b)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천장 구멍(27)과 뚜껑(28) 사이에는 전체면에 가는 봉을 삽입 가능한 구멍(30)이 형성된 펀칭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부(29)가 설치되고, 보호부(29)는 천장 구멍(27)의 주변부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보호부(29)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펀칭 강판 대신에 크림프망을 채용할 수도 있고, 보호부(29)에 경첩을 설치해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보호부(29)의 형태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러가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변형예 1>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1은 양곡 장치(10)측의 대략 절반분의 천장 구멍(27)에 구멍(30)이 형성된 펀칭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부(29a)가 설치되어 있다.
변형예 1에 있어서는 그레인 탱크(6) 내에 저장된 곡립이 막혔을 경우에 양곡 장치(10)와 반대측의 보호부(29a)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천장 구멍(27)으로부터 가는 봉을 삽입하여 곡립의 막힘를 제거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2는 양곡 장치(10)측에 가는 봉을 삽입가능한 소경 구멍(30a)이 형성되고, 양곡 장치(10)의 반대측에 대경 구멍(30b), 대략 직사각형 구멍(30c)이 형성된 펀칭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부(29b)가 설치되어 있다.
변형예 2에 있어서는 변형예 1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보호부(29b)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좌벽(22a)에는 전방측 상부에 양곡통(10a)과 연통하는 삽입구(35)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35)는 후방 상승 경사로 형성되어 있고, 삽입구(35)의 중심으로부터 그은 가상선(L1)은 좌벽(22a)의 하단변의 좌우 방향의 대략 중심부와 교차한다. 또한, 삽입구(35)로부터 그레인 탱크(6) 내로 이송되는 곡립과 완경사 노치부(23b)의 충돌에 의해 곡립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서, 완경사 노치부(23b)를 따라 그은 가상선(L2)보다 삽입구(35)의 중심은 좌측 방향으로 치우쳐서 형성되어 있다.
깔때기부(40)의 프레임체(41)는 전방벽(41a)과, 후방벽(41b)과, 우벽(41c)과, 좌벽(41d)으로 구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대략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깔때기부(40)의 하부에는 그레인 탱크(6)에 저장된 곡립을 배출 오거(8)에 반송하는 배출 나선(42)이 설치되어 있다. 배출 나선(42)의 전방측 단부(42a)는 전방벽(41a)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고, 전방측 단부(42a)에는 풀리(43)가 축지지되고, 벨트(도시생략)에 의해 엔진의 회전이 전동(傳動)되고 있다. 배출 나선(42)의 후방측 단부(42b)는 후방벽(41b)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후방측 단부(42b)는 그레인 탱크(6)의 수납시에 배출 오거(8)의 종 이송부(50)의 종 이송 나선(50b)과 연접한다. 또한, 배출 나선(42)은 깔때기부(40)의 우측에 치우쳐서 설치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6), 특히 배출 나선(42)의 주변에 잔존한 곡립을 배출하기 위해서 프레임체(41)의 우벽(41c)의 하부에는 우벽(41c)측의 단부를 맞물림 부재(44a)에 의해 록킹하고, 타단을 경첩(44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셔터(45)가 설치되어 있고, 맞물림 부재(44a)의 맞물림을 해제함으로써 배출 나선(42)의 하방을 개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체(41)의 전방부와 후방부에는 각각 그레인 탱크(6)에 잔존한 곡립을 수납하는 벼포대를 록킹하는 훅(4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출 나선(42)의 주변에 잔존한 곡립을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해서 배출 나선(42)은 주행 장치(3)를 이루는 우측의 크롤러(2a)의 우측단보다 더욱 우측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에게 그레인 탱크(6)에 저장된 곡립의 가득찬 상태를 알리기 위해서 삽입구(35)보다 하방의 그레인 탱크(6) 내측에 곡립의 양을 검지하는 벼 센서(36)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야간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그레인 탱크(6)의 우측 후방부에 방향 지시기(3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 오거)
그레인 탱크(6)에 저장된 곡립은 배출 오거(8)에 의하여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배출 오거(8)는 그레인 탱크(6)에 연통하는 종 이송부(50)와, 중간 이송부(53)와, 횡 이송부(5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종 이송부(50)는 원통 강재로 이루어지는 종 이송통(50a)과, 종 이송통(50a)에 내설된 곡립을 들어올려 이송하는 종 이송 나선(50b)으로 구성된다. 종 이송통(50a)의 기부(51)는 그레인 탱크(6) 후방부의 우측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통되고, 종 이송 나선(50b)은 베벨 기어를 통해서 배출 나선(4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종 이송통(50a)은 상하 종축(P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연통부(61)에 지지되어 있고, 전동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상하 종축(P1)의 둘레로 회전한다.
중간 이송부(53)는 원통 강재로 이루어지는 만곡 이송통(53a)과, 만곡 이송통(53a)에 내설된 곡립을 만곡으로 들어올려 이송하는 만곡 이송 나선(53b)으로 구성된다. 만곡 이송통(53a)의 우단부(54)는 종 이송통(50a)의 상단부(52)에 연통되고, 만곡 이송 나선(53b)은 베벨 기어를 통해서 종 이송 나선(50b)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만곡 이송통(53a)의 우단부(54)는 종 이송통(50a)의 상단부(52)에 좌우 횡축(P2)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유압 실린더(도시생략)에 의해 좌우 횡축(P2) 둘레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한다.
횡 이송부(56)는 원통 강재로 이루어지는 횡 이송통(56a)과, 횡 이송통(56a)에 내설된 곡립을 횡 이송하는 횡 이송 나선(56b)으로 구성된다. 횡 이송통(56a)의 후단부(57)는 만곡 이송통(53a)의 좌단부(55)에 연통되고, 횡 이송 나선(56b)은 베벨 기어를 통해서 만곡 이송 나선(53b)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횡 이송통(56a)의 후단부(57)는 만곡 이송통(53a)의 좌단부(55)에 전후 횡축(P3)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전동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전후 횡축(P3) 둘레로 회전한다.
횡 이송부(56)의 전단부(58)에는 이송된 곡립을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부(59)가 설치되어 있고, 배출부(59)는 전후 횡축(P3)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또, 횡 이송통(56a)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서 횡 이송통(56a)의 외주 하부에는 강재로 이루어지는 보강판(6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조작자가 잘못하여 손끝을 배출부(59)에 삽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출부(59)의 내부로 돌출하는 방지 가이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배출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서 기기 밖으로 배출된 곡립에 의해 배출부(59)로부터의 배출 영역이 확보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벼 센서를 배출부(59)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클리너)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클리너(70)는 분진을 제거한 청정한 공기를 엔진에 공급하기 위해서 엔진(E)측의 에어클리너의 전단에서 공기를 여과하는 장치이다. 프리클리너(70)는 흡기한 공기에 선회류를 발생시키고, 이 선회류에 의한 원심력으로 큰 진애를 공기로부터 분리하는 원심 분리 장치와 금속 섬유를 편물체로 한 방진 네트 등을 갖는 상부 케이스(71)와, 상부 케이스(71)에 연통해서 청정한 공기를 엔진(E)측의 에어클리너에 안내하는 흡기 배관(72)으로 구성된다.
흡기 배관(72)의 기부는 엔진(E)의 흡기구에 연통하고, 흡기 배관(72)은 그레인 탱크(6)와 수납시의 배출 오거(8)에 의해 끼워진 공간에 세워서 설치하고, 흡기 배관(72)의 상부는 양곡통(10a)의 전방부에 도달한다. 또, 흡기 배관(72)의 상부는 양곡통(10a)의 상단부가 설치된 강재로 이루어지는 브래킷(7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1,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1)의 주행시에 프리클리너(70)가 기기 밖의 장해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레인 탱크(6)의 천장벽(21d)을 프리클리너(70)의 상부 케이스(71)보다 동등 또는 약간 상방에 설치하고 있다.
또, 콤바인(1)의 주행시에 배출 오거(8)가 기기 밖의 장해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출 오거(8)의 수납시에 그레인 탱크(6)의 천장벽(21d) 및 프리클리너(70)의 상부 케이스(71)를 배출 오거(8)의 횡 이송부(56)의 정상부보다 상방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다량의 청정한 공기를 프리클리너(70)에 도입하기 위해서 프리클리너(70)의 상부 케이스(71)는 그레인 탱크(6) 전방벽(21a)의 전방 우측에 설치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 오거(8)가 그레인 탱크(6) 및 프리클리너(7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출 오거(8)는 상하 종축(P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R방향)으로 선회하고, 곡립의 기기 밖으로의 배출 작업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서 배출 오거(8)의 중간 이송부(53)는 그레인 탱크(6)의 노치부(23) 상에 진입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한계 각도까지 선회한 상태에서는 횡 이송부(56)의 이송 종단부가 횡 이송부(56)의 반송 시단부보다 약 10도(θ각도)만큼 기체의 전방에 치우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1)을 장시간에 걸쳐 주행시키기 위해서 배출 오거(8)의 좌측에 형성된 공간(S)에 배출 오거(8)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주 연료탱크(80)와, 부 연료탱크(81)를 설치하고 있다. 또, 수납시에 있어서 배출 오거(8)의 횡 이송부(56)는 중간 이송부(53)의 좌단부(55)로부터 기체의 좌측 전방부에 이르고, 중간 이송부(53)의 횡 이송통(56a)은 기체 내에 수납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연료탱크(80)와 부 연료탱크(81)를 상하의 배관(82)으로 연통시키고, 연료가 소량이 된 것을 조작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주 연료탱크(80) 내에 플로트 형식의 연료 게이지(83)를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연료가 소량이 된 경보가 있은 후에도 장기간에 걸쳐서 콤바인(1)을 주행시킬 수 있다. 또, 연료 게이지(83)의 설치 위치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부 연료탱크(81) 내에 설치할 수 있다.
1 : 콤바인 2a : 크롤러
2b : 크롤러 3 : 주행 장치
4 : 예취 장치 5 : 탈곡 장치
6 : 그레인 탱크 8 : 배출 오거
10 : 양곡 장치 11 : 기부
12 : 상부 20 : 탱크부
21a :전방벽 21b : 후방벽
21c : 우벽 21d : 천장벽
22a : 좌벽 23 : 노치부
35 : 삽입구 40 : 깔때기부
41a : 전방벽 41b : 후방벽
41c : 우벽 41d : 좌벽
42 : 배출 나선 45 : 셔터
50 : 종 이송부 50a : 종 이송통
50b : 종 이송 나선 53 : 중간 이송부
53a : 만곡 이송통 53b : 만곡 이송 나선
56 : 횡 이송부 56a : 횡 이송통
56b : 횡 이송 나선 59 : 배출부
70 : 프리클리너 73 : 브래킷
E : 엔진 S : 공간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포장에 식립되는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4)와, 상기 예취 장치(4)로 예취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5)와, 상기 탈곡 장치(5)로 탈곡한 곡립을 저장하는 그레인 탱크(6)와, 상기 그레인 탱크(6)에 저장한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오거(8)와, 주행 장치(3)와, 엔진(E)을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6)의 저부에 배출 나선(42)을 배치하고,
    상기 그레인 탱크(6)의 후방측에는 상기 배출 오거(8)의 종 이송부(50)를 배치하고,
    상기 종 이송부(50)의 이송 시단부를 상기 배출 나선(42)의 이송 종단부에 연통시키며,
    상기 종 이송부(50)의 상단부에 중간 이송부(53)의 일단부를 연통시키고, 상기 중간 이송부(53)의 타단부에 횡 이송부(56)의 기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배출 나선(42)의 축심 위치를 우측 크롤러(2a)의 외측단보다 기체 외측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배치하며,
    상기 그레인 탱크(6)의 후방측 상부에 노치부(23)를 형성하고,
    평면으로 보아서 상기 배출 오거(8)를 상기 종 이송부(50)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켰을 때에 상기 중간 이송부(53) 및 횡 이송부(56)의 일부가 노치부(23)에 진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중간 이송부(53) 및 횡 이송부(56)의 일부가 노치부(23)에 진입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횡 이송부(56)의 반송 종단부가 상기 횡 이송부(56)의 반송 시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E)에 공급되는 연소용의 공기를 여과하는 프리클리너(70)를 수납시의 배출 오거(8)보다 높고, 그레인 탱크(6)의 상면보다 낮거나 또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클리너(70)를 평면으로 보아서 그레인 탱크(6)의 기체 내측의 좌벽(22a)과 수납시의 배출 오거(8)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5)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그레인 탱크(6)로 이송하는 양곡 장치(10)를 설치하고, 상기 프리클리너(70)를 상기 양곡 장치(10)의 상부(12)에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에 양곡 나선(10b)을 내장하는 양곡 장치(10)를 설치하고, 상기 양곡 장치(10)의 상단부를 그레인 탱크(6)의 상부에 연통시키며,
    상기 그레인 탱크(6)의 천장벽(21d)에 형성된 천장 구멍(27)에 개폐 가능한 뚜껑(28)을 설치하고, 상기 뚜껑(28)의 내측에 크림프망 또는 펀칭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부(2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에 양곡 나선(10b)을 내장하는 양곡 장치(10)를 설치하고, 상기 양곡 장치(10)의 상단부를 그레인 탱크(6)의 상부에 연통시키며,
    상기 그레인 탱크(6)의 천장벽(21d)에 형성된 천장 구멍(27)에 개폐 가능한 뚜껑(28)을 설치하고, 상기 뚜껑(28)의 내측에 크림프망 또는 펀칭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부(2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10068356A 2011-06-29 2011-07-11 콤바인 KR101310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44537 2011-06-29
JP2011144537A JP5772298B2 (ja) 2011-06-29 2011-06-29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909A KR20130002909A (ko) 2013-01-08
KR101310695B1 true KR101310695B1 (ko) 2013-09-25

Family

ID=4591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356A KR101310695B1 (ko) 2011-06-29 2011-07-11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72298B2 (ko)
KR (1) KR101310695B1 (ko)
CN (2) CN20218397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7221A (ja) * 2014-09-26 2016-05-09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801997B2 (ja) * 2016-08-02 2020-12-16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804399B2 (ja) * 2017-06-29 2020-12-2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KR20200001508A (ko) * 2018-06-27 2020-01-0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53Y2 (ja) * 1985-10-12 1994-08-17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籾タンクの籾回収装置
JP2003310040A (ja) * 2002-04-26 2003-11-05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穀粒移送装置
JP2008035717A (ja) * 2006-08-01 2008-02-21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KR20100136399A (ko) * 2009-06-18 2010-12-2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247U (ko) * 1984-10-01 1986-05-01
JP4391658B2 (ja) * 2000-02-29 2009-12-24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装置
JP2001245528A (ja) * 2000-03-09 2001-09-11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01299075A (ja) * 2000-04-24 2001-10-30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装置
JP2002095331A (ja) * 2000-09-22 2002-04-02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3986450B2 (ja) * 2003-03-03 2007-10-0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穀粒タンク
CN1321557C (zh) * 2004-03-31 2007-06-20 井关农机株式会社 谷物排出装置
JP4715332B2 (ja) * 2005-06-23 2011-07-06 井関農機株式会社 汎用コンバイン
JP4924099B2 (ja) * 2007-02-28 2012-04-2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146687B2 (ja) * 2009-04-27 2013-02-2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1036222A (ja) * 2009-08-18 2011-02-24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JP2011087517A (ja) * 2009-10-22 2011-05-06 Kubota Corp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53Y2 (ja) * 1985-10-12 1994-08-17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籾タンクの籾回収装置
JP2003310040A (ja) * 2002-04-26 2003-11-05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穀粒移送装置
JP2008035717A (ja) * 2006-08-01 2008-02-21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KR20100136399A (ko) * 2009-06-18 2010-12-2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183979U (zh) 2012-04-11
JP5772298B2 (ja) 2015-09-02
CN102845177A (zh) 2013-01-02
KR20130002909A (ko) 2013-01-08
JP2013009633A (ja) 2013-01-17
CN102845177B (zh) 201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4677B2 (en) Structure of air cleaner box
JP4381913B2 (ja) 燃料タンク装置
JP5968764B2 (ja) コンバイン
JP6877259B2 (ja) 収穫機
CN203167581U (zh) 联合收割机
KR101310695B1 (ko) 콤바인
CN106062344A (zh) 发动机装置
JP6879714B2 (ja) 収穫機
JP5507769B1 (ja) ホイールローダ
JP5843030B2 (ja) コンバイン
CN105849377A (zh) 发动机装置
KR102101230B1 (ko) 수확기
JP2015208242A (ja) コンバイン
JP6430879B2 (ja) コンバイン
CN106465605B (zh) 联合收割机
JP2012249528A (ja) コンバイン
JP4893111B2 (ja) コンバイン
CN203884247U (zh) 联合收割机的谷粒回收装置
CN110892820B (zh) 联合收割机
JP2014183817A5 (ko)
JP6862048B2 (ja) 吸引車
JP7392708B2 (ja) コンバイン
JP6911807B2 (ja) コンバイン
JP2012249529A (ja) コンバイン
JP2014075993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