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230B1 - 수확기 - Google Patents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230B1
KR102101230B1 KR1020190066519A KR20190066519A KR102101230B1 KR 102101230 B1 KR102101230 B1 KR 102101230B1 KR 1020190066519 A KR1020190066519 A KR 1020190066519A KR 20190066519 A KR20190066519 A KR 20190066519A KR 102101230 B1 KR102101230 B1 KR 102101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engine
seat
engine bonnet
ai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358A (ko
Inventor
다쯔야 기따노
미쯔루 다께나까
요시히로 다까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30563A external-priority patent/JP57749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30562A external-priority patent/JP56675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30561A external-priority patent/JP590822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9006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15Cutting mechanisms not covered by another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02M35/0204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for connecting or joining to other devices, e.g. pi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엔진 보닛의 상방에 배치된 운전 좌석을 가진 수확기에 있어서, 운전부를 대형화하지 않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와 운전 좌석의 기체 상하 방향에서의 겹침을 회피하면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엔진 보닛 내의 디젤 엔진의 상방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디젤 엔진(21)의 배기 가스를 도입하여 배기 가스의 정화 처리를 행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를,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전체가 운전 좌석(12)에 대해 예취부측으로 치우치고, 또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기체 횡방향에서의 일부가 운전부의 예취부측 횡벽(11c)으로부터 예취부측으로 돌출되는 배치로 엔진 보닛(22) 내에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엔진 보닛 내의 디젤 엔진의 상방에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하는 데 있어서, 운전 좌석의 상승을 방지나 억제하면서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디젤 엔진(21)의 배기 가스를 도입하여 배기 가스의 정화 처리를 행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를, 엔진 보닛 내의 디젤 엔진(21)의 상방에 운전 좌석(12)에 대해 기체 횡내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설치하고 있다. 엔진 보닛(22)에 있어서의 천장판부(30)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상방에 위치하는 정화 장치 상방부(32)가 엔진 보닛(22)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2)의 하방에 위치하는 좌석 하방부(31)보다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도록, 천장판부(30)의 형상을 단차 형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접속하는 배기관을 유리하게 얻거나 접속 작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디젤 엔진의 상방에 장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디젤 엔진(21)의 상방에 한 쌍의 지지부(61a, 62a)를 크랭크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있다. 디젤 엔진(21)의 배기 가스를 도입하여 배기 가스의 정화 처리를 행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를, 길이 방향이 크랭크축 방향과 교차하는 설치 자세로 한 쌍의 지지부(61a, 62a)에 연결하고 있다.

Description

수확기{HARVESTER}
본 발명은 디젤 엔진을 내장하는 엔진 보닛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 보닛의 상방에 배치된 운전 좌석을 가진 운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운전부의 횡측에서 주행 기체에 승강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 예취부를 구비한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젤 엔진을 내장하는 엔진 보닛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 보닛의 상방에 배치된 운전 좌석을 가진 운전부를 구비한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젤 엔진을 구비한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엔진을 내장하는 엔진 보닛을 구비하고, 이 엔진 보닛의 상방에 운전 좌석이 배치된 콤바인이 있었다.
종래,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운전 좌석의 하방에 엔진이 설치된 콤바인이 있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213605호 공보
디젤 엔진이 구비된 수확기에 있어서,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을 감소시키는 등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엔진 보닛 내에 설치하면,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온도 관리에 디젤 엔진의 방열을 이용하기 쉽다든지, 배기 가스 정화 장치와 디젤 엔진을 접속하는 배관을 짧게 할 수 있는 등 유리해진다. 그러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와 운전 좌석이 기체 상하 방향으로 겹치게 된 경우, 운전 좌석의 배치 높이가 높아지고, 이에 수반하여 운전 패널을 조작하기 쉬운 배치 높이로 배치 변경하는 등의 설계 변경이 필요해지는 경향으로 된다. 또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와 운전 좌석의 기체 상하 방향에서의 겹침을 회피하도록 운전 좌석을 기체 전방향이나 기체 횡방향으로 위치 변경한 경우, 운전 좌석의 이동을 위해 운전부의 기체 전후 방향이나 기체 횡방향에서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으로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부를 대형화하지 않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와 운전 좌석의 기체 상하 방향에서의 겹침을 회피하면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엔진 보닛 내에 설치할 수 있는 수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디젤 엔진이 구비된 수확기에 있어서,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디젤 미립자)을 감소시키는 등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는 데 있어서, 엔진 보닛 내에 디젤 엔진의 상방에 배치하여 설치하면,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온도 유지에 디젤 엔진의 방열을 이용하기 쉽다든지, 배기 가스 정화 장치와 디젤 엔진을 접속하는 배관을 짧게 할 수 있는 등 유리해진다. 이 경우, 배기 가스 정화 장치가 엔진 보닛 내에 위치하므로 엔진 보닛의 천장판부의 배치 높이가 높아진다. 이에 기인하여 운전 좌석의 배치 높이도 높아져, 예를 들어 운전부에 설치하는 운전 패널의 운전 좌석에 대한 높이가 레버 조작 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높이로 되도록 운전 패널의 배치 높이도 높게 할 필요가 발생한다. 또한, 운전 캐빈을 장비하는 것에서는, 운전 캐빈의 천장을 높게 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 좌석의 상승을 방지나 억제하면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엔진 보닛 내의 디젤 엔진의 상방에 설치할 수 있는 수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디젤 엔진이 구비된 수확기에 있어서,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을 감소시키는 등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는 데 있어서, 디젤 엔진의 상방에 배치하여 설치하면,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온도 관리에 디젤 엔진의 방열을 이용하기 쉽다든지, 배기 가스 정화 장치와 디젤 엔진을 접속하는 배관을 짧게 할 수 있는 등 유리해진다. 이 경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구비되는 배기 가스 도입구나 배기 가스 배출구가 디젤 엔진의 상방에 겹치는 상태로 된 경우, 엔진측으로부터 연장하여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 가스 도입구에 접속하는 배기관이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 가스 배출구로부터 기체측으로 연장하는 배기관을, 디젤 엔진을 우회하도록 배관할 필요가 발생하여, 배기관의 길이가 길어진다든지 배기관이 크게 굴곡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 가스 도입구나 배기 가스 배출구와 배기관의 접속을 디젤 엔진과 배기 가스 정화 장치 사이에서 행할 필요가 발생하여, 작업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기관의 구조를 간략화하거나, 접속의 작업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장비할 수 있는 수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제1 발명은, 디젤 엔진을 내장하는 엔진 보닛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 보닛의 상방에 배치된 운전 좌석을 가진 운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운전부의 횡측에서 주행 기체에 승강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 예취부를 구비한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를 도입하여 배기 가스의 정화 처리를 행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이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전체가 상기 운전 좌석에 대해 예취부측으로 치우치고, 또한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기체 횡방향에서의 일부가 상기 운전부의 예취부측 횡벽으로부터 상기 예취부측으로 돌출되는 배치로 상기 엔진 보닛 내에 설치하고 있다.
본 제1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기체 횡방향에서의 일부가 운전부의 예취부측 횡벽으로부터 예취부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전체가 운전 좌석에 대해 예취부측으로 치우치는 배치로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엔진 보닛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 좌석과 배기 가스 정화 장치가 기체 상하 방향으로 겹치는 것을 회피하면서, 운전 좌석의 기체 전방향이나 기체 횡방향으로의 위치 변경을 불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와 디젤 엔진을 접속하는 배관을 최대한 짧게 하는 등 유리한 상태에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하여 배기 가스의 정화를 행할 수 있는 수확기를, 운전 좌석과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기체 상하 방향에서의 겹침을 회피하여 운전 패널의 배치 높이를 높게 하는 등의 운전부의 설계 변경을 불필요나 억제하여 저렴하게, 또한 운전 좌석의 위치 변경에 의한 운전부의 대형화를 회피나 억제하여 콤팩트하게 얻을 수 있다.
본 제2 발명은, 본 제1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상기 디젤 엔진의 상방에 배치하고 있다.
본 제2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엔진 보닛 내의 보다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고, 엔진 보닛 내를 유동하는 엔진 냉각풍이 양호하게 접촉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표면적이 커져 엔진 냉각풍을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냉각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제3 발명은, 본 제1 또는 제2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엔진 보닛으로부터 상기 예취부측으로 유출된 엔진 냉각풍을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상기 예취부측으로 돌출되는 부위를 향하도록 유동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를 설치하고 있다.
본 제3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예취부측으로 돌출되어 엔진 냉각풍이 접촉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일부에, 엔진 보닛 내로부터 예취부측으로 유출되는 엔진 냉각풍을 유동 가이드에 의한 안내에 의해 유동시켜 양호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일부를 예취부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이면서, 유동 가이드를 설치하는 것뿐인 간단한 대책에 의해,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과열을 방지하는 등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온도 관리에 엔진 냉각풍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제4 발명은, 본 제1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제어를 위한 센서를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상기 예취부측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장비하고 있다.
본 제4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센서를 배기 가스 정화 장치보다 높은 배치 높이에 배치하는 경우라도,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예취부측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장비함으로써, 엔진 보닛의 천장판부의 배치 높이를 센서를 위해 높게 하는 일 없이, 센서를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장비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를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장비하여 센서와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연계 거리를 짧게 하면서, 천장판부의 배치 높이를 낮게 하여 원동부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제5 발명은, 본 제4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엔진 보닛을 상기 주행 기체에 요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상기 센서의 상방을 덮는 센서 커버를, 상기 엔진 보닛으로부터 예취부측을 향해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엔진 보닛에 고정된 고정 커버부와, 상기 고정 커버부의 연장 단부측에 하강 폐쇄 자세와 상승 개방 자세로 요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개폐 커버부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본 제5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개폐 커버부를 하강 폐쇄 자세로 전환함으로써, 엔진 보닛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개폐 커버부가 센서에 최대한 근접하여 센서를 덮기 때문에, 센서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엔진 보닛을 개방 조작할 때에는, 개폐 커버부를 상승 개방 자세로 전환함으로써, 개폐 커버부를 센서로부터 이격하고, 엔진 보닛의 요동 등에 기인하는 개폐 커버부의 센서에 대한 접촉을 회피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통상 시에는, 개폐 커버부를 센서에 최대한 근접시켜, 센서 커버에 의해 센서를 정확하게 보호하면서, 원동부의 점검 시 등 엔진 보닛을 개방 조작하는 경우, 개폐 커버부가 센서에 접촉하기 어려워 센서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제6 발명은, 디젤 엔진을 내장하는 엔진 보닛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 보닛의 상방에 배치된 운전 좌석을 가진 운전부를 구비한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를 도입하여 배기 가스의 정화 처리를 행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상기 엔진 보닛 내의 상기 디젤 엔진의 상방에 상기 운전 좌석에 대해 기체 횡내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설치하고,
상기 엔진 보닛에 있어서의 천장판부의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상방에 위치하는 정화 장치 상방부가 상기 엔진 보닛에 있어서의 상기 운전 좌석의 하방에 위치하는 좌석 하방부보다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천장판부의 형상을 단차 형상으로 하고 있다.
본 제6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엔진 보닛 내의 디젤 엔진의 상방에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하여, 엔진 보닛의 천장판부에 있어서의 정화 장치 상방부의 배치 높이가 배기 가스 정화 장치로 인해 높아져도, 천장판부의 형상을 상기 단차 형상으로 하고 있음으로써, 천장판부에 있어서의 좌석 하방부의 배치 높이를 낮게 억제하여,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장비에 기인하는 운전 좌석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와 디젤 엔진의 접속 등을 유리하게 행하면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하고, 배기 가스의 정화를 행하게 할 수 있는 수확기를, 운전 좌석의 배치 높이를 낮게 억제하여 운전 패널의 높이 변경 등을 불필요로 하여, 경제면 등에서 유리하게 얻을 수 있다.
본 제7 발명은, 본 제6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운전 좌석의 횡측에 배치하는 사이드 운전 패널을, 상기 엔진 보닛의 천장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정화 장치 상방부보다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는 패널 천장판과, 이 패널 천장판의 운전 좌석측의 횡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되는 횡종판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사이드 운전 패널의 횡종판을, 상기 엔진 보닛의 천장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정화 장치 상방부의 운전 좌석측의 횡단부에 대해 운전 좌석측과는 반대측으로 치우치게 하고 있다.
본 제7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운전 좌석측에 최대한 가깝게 하여 장비하고, 천장판부의 정화 장치 상방부가 운전 좌석에 가까워지게 되어도, 사이드 운전 패널의 횡종판이 천장판부에 있어서의 정화 장치 상방부의 운전 좌석측의 횡단부보다도 운전 좌석측과는 반대측으로 치우치고 있음으로써, 운전 좌석과 사이드 운전 패널의 횡종판의 간격을 최대한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운전 좌석측에 가깝게 하면서, 운전 좌석의 전방에서의 기체 횡방향에서의 공간이 넓어 조종하기 쉬운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제8 발명은, 본 제6 또는 제7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에, 엔진용 에어 클리너를 상기 엔진 보닛의 상방에 배치하여 설치하고,
상기 엔진 보닛의 천장판부의 상기 에어 클리너의 하방에 위치하는 에어 클리너 하방부를, 상기 좌석 하방부보다 높은 배치 높이이고 또한 상기 정화 장치 상방부보다 낮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 클리너를 지지하는 에어 클리너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제8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에어 클리너 지지부가 좌석 하방부보다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고, 또한 정화 장치 상방부보다 낮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는 천장판부의 단차 형상에 의해 천장판부에 있어서의 에어 클리너 지지부의 보형 강도를 높게 하여, 천장판부에 의한 에어 클리너의 지지를 견고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클리너를 천장판부에 지지시키는 것이면서, 또한 천장판부의 에어 클리너 지지부를 정화 장치 상방부보다 높게 배치하는 일 없이, 에어 클리너를 진동 등을 하기 어렵도록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본 제9 발명은, 본 제8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엔진 보닛의 천장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에어 클리너 하방부를, 상기 에어 클리너 지지부의 기체 횡외측 단부로부터 기체 횡외측 방향 및 기체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하는 경사 횡단부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에어 클리너의 기체 횡외측 단부로부터 기체 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오버플로우통을 상기 경사 횡단부 상에 배치하고 있다.
본 제9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에어 클리너의 오버플로우통을 기체 하방향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오버플로우통이 기체 횡외측으로 돌출되는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엔진 보닛 중 에어 클리너 하방의 천장판부를 경사 횡단부로서 비스듬히 형성함으로써, 에어 클리너를 적재할 때에, 오버플로우통을 상기 경사 횡단부에 근접 배치시킬 수 있어, 에어 클리너의 적재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클리너를 천장판부에 지지시키는 것이면서, 에어 클리너가 천장판부의 에어 클리너 하방부로부터 횡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나 억제한 상태에서, 또한 에어 클리너가 에어 클리너 지지부에 최대한 근접하고 낮은 설치 높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지지시킬 수 있다.
본 제10 발명은, 본 제8 또는 제9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엔진 보닛에 있어서의 천장판부에, 상기 정화 장치 상방부의 운전 좌석측의 횡단부와 상기 에어 클리너 지지부의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측의 횡단부를 연결하는 종판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종판부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 본 종단면 형상을, 상단부측일수록 정화 장치 상방부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경사 형상으로 하고 있다.
본 제10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엔진 보닛 내를 에어 클리너 지지부에 따라서 유동하여 정화 장치 상방부에 이른 엔진 냉각풍을, 종판부의 경사 형상에 의한 안내를 받고, 정화 장치 상방부의 에어 클리너 지지부측의 횡단부 부근에서 고이지 않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 상부를 따라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판부를 경사 형상으로 하여 구비하는 것뿐인 간단한 대책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엔진 냉각풍을 이용하여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제11 발명에 관한 디젤 엔진을 구비한 수확기에 있어서는,
상기 디젤 엔진의 상방에 한 쌍의 지지부를 크랭크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를 도입하여 배기 가스의 정화 처리를 행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길이 방향이 상기 크랭크축 방향과 교차하는 설치 자세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연결하고 있다.
본 제11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디젤 엔진의 상방에 크랭크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 한 쌍의 지지부에 연결하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 자세로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이 디젤 엔진의 크랭크축 방향과 교차하는 설치 자세를 채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 부근에 구비되는 배기 가스 도입구나 배기 가스 배출구가 디젤 엔진과 기체 상하 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디젤 엔진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난 개소에 위치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 각각을, 디젤 엔진에 크랭크축 방향을 따르는 조립 자세로 장비되는 흡기 매니폴드나 배기 매니폴드 등의 부속 장치에 대해 그 외측에 디젤 엔진 내외 방향으로 겹쳐서 위치하는 일이 없도록 크랭크축 방향을 따라서 위치하는 구조의 것으로 하기 쉽다.
따라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디젤 엔진의 상방에 배치하여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할 수 있는 수확기를, 엔진측으로부터 연장하여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 가스 도입구에 접속하는 배기관이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 가스 배출구로부터 연장하는 배기관을, 디젤 엔진의 우회를 필요로 하지 않는 짧은 것으로 하거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대한 접속을 디젤 엔진의 외측 개소에서 용이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디젤 엔진에 장비되는 부속 장치에 대해 그 외측에 디젤 엔진 내외 방향으로 겹치지 않고, 부속 장치의 점검 등의 장해가 되기 어려운 구조의 것으로 하여, 디젤 엔진의 부속 장치 등의 점검 작업을 행하기 쉬운 상태로 얻을 수 있다.
본 제12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길이 방향이 상기 디젤 엔진의 크랭크축 방향을 따르고 있다.
본 제12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한 쌍의 지지부가 크랭크축 방향을 따라서 위치하고, 각 지지부에 의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지지를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광범위에 걸쳐서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에 의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광범위에 걸치는 지지에 의해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다.
본 제13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형성하는 지지 부재가 상기 디젤 엔진에 고정되어 있다.
본 제13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배기 가스 정화 장치가 지지 부재를 통해 디젤 엔진에 지지되게 되고, 디젤 엔진의 진동과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진동에 진동 방향이나 진폭 등의 차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기 쉽다.
따라서, 엔진측으로부터 연장하여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접속되는 배기관 등의 진동에 의한 헐거움이나 파손을 회피하기 쉽다.
본 제14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본 제14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한 쌍의 지지 부재를 개별로 디젤 엔진에 연결할 수 있어, 한 쌍의 지지부를 적절한 개소에 배치하기 쉽다.
따라서, 한 쌍의 지지부를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적절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지지를 안정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제15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의 한쪽을, 상기 디젤 엔진측의 배기관과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 가스 도입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디젤 엔진측의 배기관에 설치한 연결 플랜지와, 상기 연결 플랜지로부터 연장하는 연장 지지부와, 상기 연장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지지부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본 제15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연결 플랜지를 디젤 엔진측의 연결 수단에 활용하여 지지 부재를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제16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의 다른 쪽을, 상기 디젤 엔진의 크랭크축 방향에서의 양 단부측에 연결된 한 쌍의 기체 상하 방향 다리부와, 상기 한 쌍의 기체 상하 방향 다리부의 상단부측에 연결된 상기 지지부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본 제16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지지 부재가 크랭크축 방향의 지지부와 한 쌍의 기체 상하 방향 다리부를 구비한 아치형으로 되고, 지지 부재를 배기 매니폴드 등과 디젤 엔진 내외 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하여 디젤 엔진에 설치하기 쉬운 것이면서, 한 쌍의 기체 상하 방향 다리부에 의해 지지부의 양 단부를 디젤 엔진에 연결함으로써, 디젤 엔진에 의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지지를 견고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수확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2는 수확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3은 수확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운전부 및 원동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5는 원동부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6은 운전부 및 원동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운전부 및 원동부의 엔진 보닛 종단면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 8은 원동부의 엔진 보닛 종단면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 9는 원동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원동부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11은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12는 엔진 보닛 및 사이드 운전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제1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원동부를 도시하는 종단 후방면도.
도 14는 제2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원동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는 제3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원동부의 센서 커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6은 제4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수확기를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수확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수확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수확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수확기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 1)에 의해 자주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운전 캐빈(11)이 장비된 승용형의 운전부(10) 및 운전 좌석(12)의 하방에 위치하는 디젤 엔진(21)이 장비된 원동부(20)를 기체 프레임(2)의 전단부의 횡일단부측에 설치된 주행 기체와,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2)에 운전부(10)의 횡측에서 연결된 예취부(3)와,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2)의 후방부측에 예취부(3)의 후방에 배치하여 설치된 탈곡 장치(4)와,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2)의 후방부측의 탈곡 장치(4)의 횡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곡립 탱크(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벼, 보리 등의 수확 작업을 행한다.
예취부(3)는 기체 프레임(2)으로부터 기체 전방향으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장된 예취부 프레임(3a)을 구비하고, 이 예취부 프레임(3a)이 승강 실린더(6)에 의해 요동 조작됨으로써, 예취부(3)의 전단부에 기체 횡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분초구(3b)가 지면 근처에 하강한 하강 작업 상태와, 분초구(3b)가 지면으로부터 높게 상승한 상승 비작업 상태로 승강 조작된다. 예취부(3)를 하강 작업 상태로 하여 주행 기체를 주행시킴으로써, 예취부(3)는 예취 대상의 직립 곡물대를 분초구(3b)에 의해 후방의 기립 장치(3c)에 도입하여 기립 처리하고, 기립 처리되는 직립 곡물대를 클리퍼형의 예취 장치(3d)에 의해 예취 처리하고, 예취 곡물대를 공급 장치(3e)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하여 탈곡 장치(4)의 탈곡 피드 체인(4a)에 공급한다. 탈곡 장치(4)는 공급 장치(3e)에 의해 공급된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탈곡 피드 체인(4a)에 의해 주행 기체 후방향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면서, 이삭 끝측을 급실에 공급하여 탈곡 처리한다. 곡립 탱크(5)는 탈곡 장치(4)로부터 이송되는 탈곡립을 저류하고, 저류한 탈곡립을 스크류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오거(7)에 의해 반출한다.
운전부(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2, 3, 4,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10)는 운전 캐빈(11)을 구비하는 것 외에, 운전 캐빈(11)의 내부에 그 전후로 나란히 설치한 운전 좌석(12)과 프론트 운전 패널(13), 운전 캐빈(11)의 내부에 운전 좌석(12)의 예취부측의 횡측에 배치하여 설치한 사이드 운전 패널(14)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도 4,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좌석(12)은 엔진 보닛(22)의 기체 전방측부의 상방 개소에 배치되고, 엔진 보닛(22)의 천장판부(30) 중 운전 좌석(12)의 하방에 위치하는 좌석 하방부(31)(도 12 참조)에 좌석 지지 기구(15)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좌석 지지 기구(15)는 천장판부(30)의 좌석 하방부(31)에 형성된 설치 볼트 구멍(31a)(도 12 참조)에 의해 좌석 하방부(31)에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지지 레일(15a, 15a)을 구비하고, 이 지지 레일(15a, 15a)에 의해 운전 좌석(12)을 기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고, 운전 좌석(12)은 기체 전후 방향에 설치하여 위치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운전 패널(14)은 엔진 보닛(22)에 있어서의 천장판부(30)의 기체 횡내측 단부의 상방 개소와 프론트 운전 패널(13)의 기체 횡내측 단부에 걸쳐서 위치하는 패널 천장판(14a)과, 이 패널 천장판(14a)의 운전 좌석측의 횡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되는 운전 좌석측의 횡종판(14b)과, 패널 천장판(14a)의 예취부측(운전 좌석측과는 반대측)의 횡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되는 예취부측의 횡종판(14c)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사이드 운전 패널(14)에는 주행용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변속 조작하는 변속 레버(16) 및 예취부(3)를 구동 및 정지 조작하는 예취 클러치 레버(17)가 요동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패널 천장판(14a) 및 운전 좌석측의 횡종판(14b)은 엔진 보닛(22)의 천장판부(30)에 있어서의 정화 장치 상방부(32)의 기체 전방측 부분의 상방 개소와 프론트 운전 패널(13)의 기체 횡내측 단부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운전 좌석측의 횡종판(14b)과 운전 좌석(12)의 기체 횡방향에서의 간격이 천장판부(30)에 있어서의 정화 장치 상방부(32)와 운전 좌석(12)의 기체 횡방향에서의 간격보다도 커지도록, 운전 좌석측의 횡종판(14b)은 천장판부(30)에 있어서의 정화 장치 상방부(32)의 운전 좌석측의 횡단부(32a)에 대해 운전 좌석측과 반대측으로 치우쳐 있다.
원동부(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8,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동부(20)에는 엔진 보닛(22)에 내장된 디젤 엔진(21)[이하, 엔진(21)이라고 약칭함]을 구비하고 있다.
엔진 보닛(22)은 엔진(21)의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 벽부(22a)(도 12 참조), 엔진(21)의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벽부 및 엔진(21)의 상방에 위치하는 천장판부(30)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도 1, 4, 5,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21)은 크랭크축 방향이 기체 횡방향으로 되는 탑재 자세로 기체 프레임(2)에 탑재되어 있다. 엔진(21)과 엔진 보닛(22)의 기체 횡외측 단부에 구비된 흡기벽(23) 사이에, 엔진(21)에 냉각수 순환 파이프(24a)를 통해 접속된 엔진 냉각용 라디에이터(24)를 기체 프레임(2)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설치하고, 라디에이터(24)와 엔진(21) 사이에, 냉각 팬(25)을 엔진(21)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설치하여, 엔진(21)의 냉각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흡기벽(23)은 엔진 보닛(22)의 전방 벽부(22a) 및 후방벽부의 기체 횡외측 단부에 지지되는 벽 프레임(23a)과, 이 벽 프레임(23a)에 돌출 설치된 제진체에 겸용의 흡기판(23b)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냉각 팬(25)이 엔진(21)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발휘하는 흡기 및 송풍 작용에 의해, 엔진 보닛(22)의 외부의 공기를 흡기판(23)에 형성된 다수의 흡기 구멍으로부터 엔진 보닛(22)의 내부에 흡인하여 엔진 냉각풍을 발생시키고, 이 엔진 냉각풍을 엔진 보닛(22)의 내부에 있어서 기체 횡외측으로부터 기체 횡내측을 향하는 기체 횡방향으로 유동시키고, 엔진 냉각풍을 라디에이터(24)에 공급하여 엔진 냉각풍과 엔진 냉각수의 열교환에 의한 엔진 냉각수의 냉각을 행하여, 라디에이터(24)를 빠져나간 엔진 냉각풍을 엔진(21)에 공급한다.
흡기벽(23)을 구성하는 벽 프레임(23a)은 엔진 보닛(22)의 전방 벽부(22a) 및 후방벽부의 기체 횡외측 단부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26)에 힌지(27)(도 1 참조)를 통해 지지되어 있고, 흡기벽(23)은 힌지(27)가 구비하는 기체 상하 방향 축심 둘레에 요동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고, 기체 횡외측으로 요동 개방됨으로써, 엔진 보닛(22)의 내부를 기체 횡외측 방향으로 개방한다.
도 4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캐빈(11)의 천장부(11a)의 후방 근처에 프레에어 클리너(40)를 천장부(11a)가 구비하는 지지부(11b)에 지지된 상태에서 설치하고, 운전 좌석(12)의 후방에 형성된 에어 클리너실(41)에 에어 클리너(42)를 설치하고, 엔진 보닛(22)의 내부의 엔진 상부의 기체 전방측 부근에 과급기(43)를 설치하고, 엔진 보닛(22)의 내부의 흡기벽(23)과 라디에이터(24) 사이에 인터쿨러(44)를 설치하여, 엔진(21)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프레에어 클리너(40)의 배기구와 에어 클리너(42)의 흡기구(42a)를, 에어 클리너실(41)을 형성하는 상부 구조체(41a)에 형성한 파이프 구멍을 통과하는 클리너 흡인 파이프(45)를 통해 접속하고 있다. 에어 클리너(42)의 배기구(42b)와 과급기(43)에 있어서의 압축부(43a)의 흡인구를, 에어 클리너실(41)을 형성하는 천장판부(30)에 설치한 접속통(46)에 연결된 과급기 흡인 파이프(47)를 통해 접속하고 있다. 과급기(43)에 있어서의 압축부(43a)의 토출구와 인터쿨러(44)의 도입구(44a)를 공급 파이프(48)를 통해 접속하고, 인터쿨러(44)의 송출구(44b)와 엔진(21)의 흡기 매니폴드(28)를 엔진 흡인 파이프(49)를 통해 접속하고 있다. 과급기(43)에 있어서의 터빈부(43b)의 흡인구(43c)를 엔진(21)의 배기 매니폴드(29)에 접속하고 있다.
즉, 과급기(43)를 엔진(21)이 배출하는 배기 가스에 의해 구동하고, 엔진 보닛(22)의 외부의 공기를 프레에어 클리너(40)에 흡인하여 제진을 행하고, 이 제진 후의 공기를 클리너 흡인 파이프(45)를 통해 에어 클리너(42)에 흡인하여 다시 제진을 행하고, 이 제진 후의 공기를 과급기 흡인 파이프(47)를 통해 과급기(43)에 흡인시켜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고, 이 압축 공기를 공급 파이프(48)를 통해 인터쿨러(44)로 이송하여 냉각 처리를 행하고, 냉각 후의 압축 공기를 엔진 흡인 파이프(49)를 통해 엔진(21)에 연소용 공기로서 공급한다.
도 4, 6,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실(41)은 엔진 보닛(22)의 운전 좌석(12)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기체 상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상부 구조체(41a)와 엔진 보닛(22)에 있어서의 천장판부(30) 중 에어 클리너(42)의 하방에 위치하는 에어 클리너 하방부(3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천장판부(30)의 에어 클리너 하방부(33)는 에어 클리너실(41)의 바닥체로 되어 있다. 상부 구조체(41a)는 엔진 보닛(22)의 흡기벽(23)에 일체 형성된 기체 횡외측벽(41b)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고, 기체 횡외측벽(41b)은 기체 상하 방향 축심 둘레에 엔진 보닛(22)의 흡기벽(23)과 일체로 요동 개폐되어 에어 클리너실(41)을 개폐한다.
도 4, 6, 8,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보닛(22)의 천장판부(30)에 있어서의 에어 클리너 하방부(33)를, 수평 또는 대략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된 에어 클리너 지지부(33a)와, 이 에어 클리너 지지부(33a)의 기체 횡외측 단부로부터 기체 횡외측 방향 및 기체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경사 횡단부(33b)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에어 클리너(22)의 기체 횡방향에서의 중앙부의 하측에 설치된 설치부(42c)를, 에어 클리너 지지부(33a)에 형성된 설치 구멍(33c)에 장착한 연결 볼트(42d)에 의해 에어 클리너 지지부(33a)에 체결하여 연결함으로써, 에어 클리너(42)를 에어 클리너 지지부(33a)에 지지시키고 있다. 에어 클리너(42)는 이것의 기체 횡외측 단부로부터 기체 하방향으로 연장된 오버플로우통(42e)을 구비하고, 유입된 공기에 엔진(21)의 연소용을 초과한 잉여분이 발생한 경우, 잉여분의 공기를 오버플로우통(42e)으로부터 유출시킨다. 에어 클리너(42)는 오버플로우통(42e)이 에어 클리너 하방부(33)에 있어서의 경사 횡단부(33b) 상에 이 경사 횡단부(33b)를 따라서 위치하는 설치 자세로 에어 클리너 지지부(33a)에 지지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 하방부(33)에 있어서의 경사 횡단부(33b)의 연장 단부가, 엔진 보닛(22)의 기체 횡외측 단부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26)이 구비하고 있는 기체 전후 방향 리브부(26a)에 연결되어 있다.
도 5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보닛(22)의 내부에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를 설치하여, 엔진(21)이 배출하는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한 후 기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도 5 내지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는 이것의 전체가 운전 좌석(12)에 대해 예취부측으로 치우치고, 또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기체 횡방향에서의 일부가 엔진 보닛(22)의 기체 내측 단부에 위치하는 개구(22b)로부터 예취부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운전부(10)의 예취부측 횡벽으로서의 운전 캐빈(11)의 예취부측 횡벽(11c)으로부터 예취부측으로 돌출되어 운전부(10)와 예취부(3)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기체 전방측 부분이 사이드 운전 패널(14)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엔진(21)의 기체 횡내측 부분의 상방에 배치하고 있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는 엔진(21)의 기체 전후측에 연결한 한 쌍의 지지 부재(61, 62)에 의해 엔진(21)의 상방에 엔진(21)의 크랭크축 방향 A(도 7, 11 참조)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61a, 62a)에 연결하여, 엔진(21)에 지지시키고 있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는 이것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 단부측에 형성된 배기 가스 도입구(51) 및 배기 가스 배출구(52)를 구비하고 있고, 배기 가스 도입구(51) 및 배기 가스 배출구(52)가 기체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엔진(21)으로부터 벗어난 개소에 위치하도록,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길이 방향이 엔진(21)의 크랭크축 방향과 교차하는 설치 자세로 한 쌍의 지지부(61a, 62a)에 연결하고 있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배기 가스 도입구(51)를, 과급기(43)에 있어서의 터빈부(43b)의 배기구로부터 연장된 배기관으로 이루어지는 엔진측의 배기관(53)에 접속하고 있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배기 가스 배출구(52)를, 이 배기 가스 배출구(52)로부터 연장되는 정화 장치측의 배기관(54)을 통해 기체측의 배기관(55)에 연통시키고 있다.
정화 장치측의 배기관(54)은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배기 가스 배출구(52)로부터 기체 횡내측(예취부측)을 향해 수평 또는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기단부 측부(54a)와, 이 기단부 측부(54a)의 연장 단부로부터 기체 횡외측 방향으로, 또한 기체 하방 후방향으로 굴곡하여 연장되고 연장 단부가 기체측의 배기관(55)을 구성하는 이젝터 배기관(56)의 입구측에 연통하고 있는 굴곡 선단측부(54b)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기체측의 배기관(55)은 정화 장치측의 배기관(55)의 연장 단부에 입구측이 외부 끼움하고 있는 기체 상하 방향의 이젝터 배기관(56)과, 이 이젝터 배기관(56)의 출구측에 입구측에 접속된 배기관 본체(57)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배기관 본체(57)는 이젝터 배기관(56)의 출구측에 연통하는 전단부측부가 기체 상하 방향으로 되고, 후단부측부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되도록 기체 측면에서 볼 때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기관 본체(57)는 기체 전후 방향의 후단부측부에 볏짚 부스러기 등이 적재되지 않도록 후단부측부의 상방을 덮는 커버(58) 및 배기관 본체(57)의 출구(57a)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기체 하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경사 가이드(59)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측의 배기관(55)은 배기관 본체(57)의 출구(57a)가 기체 프레임(2)의 하방의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 1)의 후단부에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관되어 있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는 배기 가스 도입구(51)로부터 도입한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디젤 미립자를 포집 필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감소시키도록 배기 가스의 정화 처리를 행하고, 정화 처리한 후의 배기 가스를 배기 가스 배출구(52)로부터 송출한다.
즉, 엔진(21)으로부터 배출되어 과급기(43)의 터보부(43b)를 통과한 배기 가스를, 배기 가스 도입구(51)로부터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로 도입하여 디젤 미립자를 감소시키는 정화 처리를 행하고, 정화 처리를 종료하여 배기 가스 배출구(52)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정화 장치측의 배기관(54)에 의해 기체측의 배기관(55)으로 유입시키고, 이 기체측의 배기관(55)에 의해 기체 후방측으로 안내하여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 1)의 후단부끼리의 사이에서 배기관(55)으로부터 배출한다. 이젝터 배기관(56)은 정화 장치측의 배기관(54)으로부터 이젝터 배기관(56)으로 배기 가스가 이송되는 것에 수반하여, 이젝터 배기관(56)의 외부의 공기를 이젝터 배기관(56)과 정화 장치측의 배기관(54)의 간극으로부터 내부로 흡인하여 정화 장치측의 배기관(55)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에 혼입시켜 배기 가스의 냉각을 행한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는 포집 필터가 막힘을 일으켜 정화 기능이 저하된 경우, 히터 등으로 연소 재생시키는 셀프 클리닝 기구(도시하지 않음), 셀프 클리닝 기구를 조작하는 클리닝 제어 수단(도시하지 않음),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예취부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위에 장비된 센서(60)(도 7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60)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상단부보다 높은 배치 높이에 배치하여 장비되어 있다. 센서(60)는 포집 필터보다 상류측을 유동하는 배기 가스와 포집 필터보다 하류측을 유동하는 배기 가스의 압력차를 기초로 포집 필터의 막힘 발생을 검출하고, 검출 상태로 되면 클링닝 제어 수단에 클리닝 지령을 출력하여 셀프 클리닝 기구를 작동시키는 제어를 클리닝 제어 수단에 실행시킨다.
도 8, 10,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를 엔진(21)에 지지시키는 한 쌍의 지지 부재(61, 62)는 한 쌍의 지지부(61a, 62a)를 엔진(21)의 크랭크축(21a)에 대해 기체 전후측으로 분산 배치하여 형성하고 있다. 한 쌍의 지지 부재(61, 62) 중, 크랭크축(21a)에 대해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지지부(61a)를 형성하는 지지 부재(61)는 과급기(43)에 있어서의 터빈부(43b)의 배기구로부터 연장된 배기관으로 이루어지는 엔진측의 배기관(53)에 구비된 연결 플랜지(63)와, 이 연결 플랜지(63)로부터 엔진측(기체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연결 플랜지(63)에 일체 형성된 연장 지지부(64)와, 이 연장 지지부(64)에 길이 방향에서의 중간부가 연결 볼트(65)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61a)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지지부(61a)는 엔진(21)의 크랭크축 방향 A를 따른 긴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기체 횡방향에서의 광범위에 걸쳐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부(61a)는 연장 지지부(64)에 연결 볼트(65)에 의해 연결되는 수평 또는 대략 수평 자세의 대판부(61b)와, 이 대판부(61b)로부터 기체 상방향으로 상승하여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플랜지부(50a)에 연결 볼트(66)에 의해 연결되는 종판부(61c)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한 쌍의 지지 부재(61, 62) 중, 크랭크축(21a)에 대해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지지부(62a)를 형성하는 지지 부재(62)는 엔진(21)의 크랭크축 방향 A에서의 일단부측(기체 횡내측)에 위치하는 벽부에 하단부가 연결 볼트(67)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평판형의 기체 상하 방향 다리부(68)와, 엔진(21)의 크랭크축 방향 A에서의 타단부측(기체 횡외측)에 위치하는 블록부(21c)에 하단부측이 연결 볼트(69)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둥근 파이프제의 기체 상하 방향 다리부(70)와, 양 다리부(68, 70)의 상단부측에 연결된 지지부(62a)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지지부(62a)는 한쪽의 기체 상하 방향 다리부(70)에 일체 형성된 둥근 파이프제의 베이스부(62b)와, 이 베이스부(62b)에 판금 부재를 부설하여 형성된 받침대(62c)에 연결된 판금재로 이루어지는 연결체(62d)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베이스부(62b)는, 기체 상하 방향 다리부(68)에는 연결 볼트(71)에 의해 연결된다. 지지부(62a)는 엔진(21)의 크랭크축 방향 A를 따른 긴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기체 횡방향에서의 광범위에 걸쳐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연결체(62d)에서는, 받침대(62c)에 연결되는 수평 또는 대략 수평 자세의 대판부(62e)와, 이 대판부(62e)로부터 기체 상방향으로 상승하여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플랜지부(50b)에 연결 볼트(66)에 의해 연결되는 종판부(62f)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평판형의 기체 상하 방향 다리부(68)는 엔진(21)의 매달아 올림 지지에 사용하도록 매달아 올림 구멍(68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조작 케이블(85)은 냉각 팬(25)의 날개 각도를 변경하여 냉각 팬(25)이 발생시키는 바람의 방향을 흡기 방향과 배기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냉각 팬(25)에 구비된 날개각 조작부(도시하지 않음)와, 이 날개각 조작부를 원격 조작하는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연동시키는 것이다. 이 조작 케이블(85)은 조작 케이블(85)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에 대한 접촉을 전달하는 지지 수단에 지지 부재(62)를 활용하도록 지지 부재(62)에 있어서의 지지부(62a)의 하측을 통해 배치하고 있다.
도 12는 엔진 보닛(22)의 천장판부(3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도 12 및 도 6,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판부(30) 중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상방에 위치하는 정화 장치 상방부(32)와 에어 클리너(42)의 하방에 위치하는 에어 클리너 하방부(33) 사이에, 정화 장치 상방부(32)의 배치 높이가 에어 클리너 하방부(33)의 배치 높이보다 높아지는 단차 H1이 형성되고, 정화 장치 상방부(32)와 운전 좌석(12)의 하방에 위치하는 좌석 하방부(31) 사이에, 정화 장치 상방부(32)의 배치 높이가 좌석 하방부(31)의 배치 높이보다 높아지는 단차 H2가 형성되고, 에어 클리너 하방부(33)와 좌석 하방부(31) 사이에, 에어 클리너 하방부(32)의 배치 높이가 좌석 하방부(31)의 배치 높이보다 높아지는 단차 H3이 형성되는 단차 형상으로 천장판부(30)를 형성하고 있다. 즉, 천장판부(30)의 단차 형상을, 정화 장치 상방부(32)의 배치 높이가 에어 클리너 하방부(33)의 배치 높이보다 높아지고, 에어 클리너 하방부(33)의 배치 높이가 좌석 하방부(31)의 배치 높이보다 높아지는 3단 형상으로 하고 있다.
정화 장치 상방부(32)의 운전 좌석측의 횡단부(32a)와 에어 클리너 하방부(33) 및 좌석 하방부(31)의 기체 횡내측(예취부측)의 횡단부를 연결하도록 천장판부(30)에 설치한 종판부(34) 및 에어 클리너 하방부(33)의 기체 전방측 단부와 좌석 하방부(31)의 기체 후방측 단부와 연결하도록 천장판부(30)에 설치한 종판부(35)는, 좌석 하방부(31)나 에어 클리너 하방부(33)에 대한 자세가 좌석 하방부(31)나 에어 클리너 하방부(33)에 대해 직각 또는 대략 직각으로 연결하는 종방향 자세로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사이드 운전 패널(14)과 엔진 보닛(22)의 천장판부(30)에 있어서의 정화 장치 상방부(32)의 배치 관계가, 사이드 운전 패널(14)의 패널 천장판(14a)이 정화 장치 상방부(32)의 배치 높이보다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고, 사이드 운전 패널(14)의 운전 좌석측의 횡종판(14b)이 정화 장치 상방부(32)의 운전 좌석측의 횡단부(32a)에 대해 운전 좌석측과는 반대측으로 치우치는 배치 관계로 되도록 천장판부(30)를 형성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보닛(22)은 엔진 보닛 후단부측의 기체 횡내측부에 장비된 힌지 수단(75)을 통해 주행 기체의 지지부(76)에 연결되어 있고, 힌지 수단(75)이 구비하는 기체 상하 방향 축심 P 둘레에 요동 개폐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도 3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엔진 보닛(22) 및 실선으로 나타내는 운전 캐빈(11)은 원동부(20) 및 예취부(3)의 운전부측의 횡측부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에서의 엔진 보닛(22) 및 운전 캐빈(11)을 도시하고, 도 3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엔진 보닛(22) 및 운전 캐빈(11)은 원동부(20)나 예취부(3)의 운전부측의 횡측부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에서의 엔진 보닛(22) 및 운전 캐빈(11)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보닛(22)은 기체 상하 방향 축심 P 둘레에 기체 횡외측으로 요동 조작됨으로써, 엔진 보닛(22)의 기체 횡내측 단부에 위치하는 개구(22b)에 의해 엔진(21) 및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 등의 설치 개소를 통과하고, 엔진 보닛(22)의 전단부측이 기체 횡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개방 상태로 된다. 이때, 곡립 탱크(5)를, 엔진 보닛(22)의 요동 개방의 장해물로 되지 않도록 오거(5)를 구성하는 종스크류 컨베이어(7a)의 축심 X 둘레에 기체 횡외측으로 요동 개방해 둔다. 또한, 에어 클리너(42)와 과급기(43)를 접속하는 과급기 흡인 파이프(47)를, 천장판부(30)의 에어 클리너 하방부(33)에 설치된 접속통(46)으로부터 제거해 둔다. 엔진 보닛(22)이 요동 개폐되는 경우, 운전부(10)를 구성하는 운전 캐빈(11), 프론트 운전 패널(13), 사이드 운전 패널(14) 및 에어 클리너실(41) 등이 엔진 보닛(22)과 일체로 요동 개폐한다.
도 13은 제1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수확기에 있어서의 원동부(20)를 도시하는 종단 후방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수확기에 있어서의 원동부(20)에서는, 천장판부(30)에 있어서의 정화 장치 상방부(32)의 운전 좌석측의 횡단부(32a)와 에어 클리너 하방부(33)의 기체 횡내측(예취부측)의 횡단부를 연결하는 종판부(34)를, 기체 전후 방향에서 본 종단면 형상이 상단부측일수록 정화 장치 상방부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경사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종판부(34)의 하방에, 종판부(34)와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경사 자세로 지지된 냉각풍 가이드판(77)을 설치하고 있다. 냉각풍 가이드판(77)은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를 지지하도록 엔진(21)에 설치된 지지 부재(78)에 지지되어 있다.
즉, 엔진 보닛(22)의 내부를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측을 향해 기체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엔진 냉각풍이, 냉각풍 가이드판(77) 및 종판부(34)의 경사에 의한 안내를 받고, 정화 장치 상방부(32)의 기체 횡방향에서의 단부에 있어서 고이지 않고 정화 장치 상방부(32)를 따라서 원활하게 유동하고, 또한 광범위로 분산되지 않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상부측에 모아서 유동하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상부에 양호하게 접촉하여 냉각 작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4는 제2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수확기에 있어서의 원동부(2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원동부(20)에서는, 엔진 보닛(22)으로부터 예취부측으로 돌출된 배기 가스 정화 장치부(50)의 일부의 기체 전방 개소에 유동 가이드(80)를 엔진 보닛(22)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하고 있다.
즉, 엔진 보닛(22)으로부터 예취부측으로 유출된 엔진 냉각풍을 유동 가이드(80)에 의한 안내를 받아 배기 가스 정화 장치부(50)를 향해 유동하여 냉각 작용하도록 구성하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의 과잉의 온도 상승의 방지에 엔진 냉각풍을 이용하고 있다.
도 15는 제3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수확기에 있어서의 원동부(20)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원동부(20)에서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에 장비된 센서(60)의 상방을 센서 커버(81)에 의해 덮도록 구성하고 있다.
센서 커버(81)는 엔진 보닛(22)으로부터 예취부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태에서 엔진 보닛(22)에 고정된 고정 커버부(81a)와, 이 고정 커버부(81a)의 연장 단부측에 형성한 지지점부(81b)에 기체 전후 방향 축심 Z 둘레에 하강 폐쇄 자세와 상승 개방 자세로 요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개폐 커버부(81c)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커버부(81c)를 개폐 조작하는 조작 가이드(82)를, 센서(60)에 대해 엔진 보닛(22)의 개방 이동 하측에 배치하여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에 지지시키고 있고, 개폐 커버부(81c)는 엔진 보닛(22)이 요동 개폐됨으로써 하강 폐쇄 자세와 상승 개방 자세로 자동적으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보닛(22)이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조작 가이드(82)가 개폐 커버부(81c)로부터 벗어나고, 개폐 커버부(81c)는 조작 가이드(82)에 의한 조작을 받지 않고, 지지점부(81b)에 설치된 폐쇄 가압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하강 조작되는 동시에 지지점부(81b)에 설치된 스토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받쳐서 지지되어 하강 폐쇄 자세로 되고, 센서(60)를 이것의 부근으로부터 덮어 보호한다.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보닛(22)이 개방측으로 요동해 가면, 개폐 커버부(81c)는 엔진 보닛(22)과 함께 이동하여 조작 가이드(82)의 경사 형상의 개방 조작 개시부(82a) 및 이것에 이어지는 수평 형상의 개방 유지 조작부(82b)에 접촉하여 조작 가이드(82)에 의한 밀어 올림 조작을 받아 폐쇄 가압 스프링에 저항하여 상승 개방 자세로 개방 조작되고, 센서(60)로부터 상방으로 크게 이격한 상태로 되어 이 이격 상태에서 센서(60)로부터 보닛 이동 방향으로 이격되어 간다.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보닛(22)이 개방측으로 더욱 요동하여 개폐 커버부(81c)의 전체가 센서(60)로부터 엔진 보닛 이동 방향으로 벗어난 개소에서 위치하면, 개폐 커버부(81c)는 조작 가이드(82)로부터 벗어나 조작 가이드(82)에 의한 밀어 올림 조작을 받지 않게 되어 지지점부(81b)에 위치하는 폐쇄 가압 스프링과 스토퍼에 의해 하강 폐쇄 자세로 되고, 이 후, 개폐 커버부(81b)는 하강 폐쇄 자세로 엔진 보닛(22)과 함께 이동해 간다.
도 15의 (d),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보닛(22)이 폐쇄측으로 요동해 가면, 개폐 커버부(81c)는 엔진 보닛(22)과 함께 이동하여 조작 가이드(82)의 경사 형상의 개방 조작 개시부(82c) 및 이것에 이어지는 수평 형상의 개방 유지 조작부(82b)로 미끄럼 이동하여 조작 가이드(82)에 의한 밀어 올림 조작을 받아 폐쇄 가압 스프링에 저항하여 상승 개방 자세로 개방 조작되고, 센서(60)로부터 상방으로 크게 이격한 상태로 되어 이 이격 상태에서 센서(60)의 상방을 이동해 간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보닛(22)이 폐쇄 상태로 되면, 개폐 커버부(81c)는 조작 가이드(82)로부터 벗어나 조작 가이드(82)에 의한 상승 조작을 받지 않게 되고, 지지점부(81b)에 위치하는 폐쇄 가압 스프링과 스토퍼에 의해 하강 폐쇄 자세로 된다.
도 16은 제4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수확기를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수확기에서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에 있어서 디젤 미립자를 감소시키도록 정화 처리된 후의 배기 가스를 질소산화물의 정화를 행하도록 정화 처리하는 요소 SCR 시스템을 구비하고, 이 요소 SCR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요소수 탱크 및 요소수 첨가 시스템을 구비한 장치부(83)를 곡립 탱크(5)의 경사 저부와 탈곡 장치(4) 사이의 빈 공간에 배치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
(1)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를 엔진 보닛 내의 디젤 엔진(21)의 상방에 위치하는 개소에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엔진 보닛 내이며, 디젤 엔진(21)에 대해 기체 횡측으로 벗어난 개소에 설치하여 실시해도 좋다.
(2)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배기 가스로부터 디젤 미립자를 감소시키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를 엔진 보닛(22) 내의 엔진 상방에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배기 가스의 질소산화물을 정화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하여 실시해도 좋다.
(3)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개폐 커버부(81c)가 조작 가이드(82)에 의해 개폐 조작되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개폐 커버부(81c)를 인위 조작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해도 좋다.
(4)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엔진 보닛(22)의 천장판부(30)를 단차 형상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정화 장치 상방부(32), 좌석 하방부(31) 및 에어 클리너 하방부(33)에 걸쳐서 평탄면으로 되도록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여 실시해도 좋다.
(5)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운전부(10)에 운전 캐빈(11)을 구비한 예를 나타냈지만, 운전 캐빈(11)을 구비하지 않은 운전부(10)를 설치하여 실시해도 좋다.
(6)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배기 가스로부터 디젤 미립자를 감소시키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를 엔진 보닛(22) 내의 엔진 상방에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배기 가스의 질소산화물을 정화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하여 실시해도 좋다.
(7)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를 길이 방향이 디젤 엔진(21)의 크랭크축 방향 A와 교차하는 설치 자세로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길이 방향이 디젤 엔진(21)의 크랭크축 방향 A를 따르는 설치 자세로 설치하여 실시해도 좋다.
(8)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천장판부(30)에 있어서의 에어 클리너 하방부(33)의 배치 높이가 정화 장치 상방부(32)의 배치 높이보다 낮아지고, 좌석 하방부(31)의 배치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천장판부(30)를 단차 형상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에어 클리너 하방부(33)의 배치 높이가 정화 장치 상방부(32) 혹은 좌석 하방부(31)의 배치 높이와 동일한 배치 높이로 되도록 천장판부(30)를 단차 형상으로 형성하여 실시해도 좋다.
(9)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운전부(10)에 운전 캐빈(11)을 구비한 예를 나타냈지만, 운전 캐빈(11)을 구비하지 않은 운전부(10)를 설치하여 실시해도 좋다.
(10)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지지부(61a, 62a)를 크랭크축(21a)에 대해 기체 전후측으로 나뉘어 치우치는 배치로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한쪽의 지지부가 크랭크축(21a)의 바로 위쪽에 위치하고, 다른 쪽의 지지부가 크랭크축(21a)에 대해 기체 전방측 혹은 기체 후방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하는 배치, 혹은 한 쌍의 지지부(61a, 62a)의 전체가 크랭크축(21a)에 대해 기체 전방측 혹은 기체 후방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하는 배치를 채용하여 실시해도 좋다.
(11)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지지부(61a, 62a)를 한 쌍의 지지체(61, 62)에 의해 각각 형성하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한 쌍의 지지부(61a, 62a)가 하나의 지지체의 본체로부터 2개로 나뉘어 연장하도록, 한 쌍의 지지부(61a, 62a)를 하나의 지지체로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해도 좋다.
(12)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배기 가스로부터 디젤 미립자를 감소시키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50)를 엔진 보닛(22) 내의 엔진 상방에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배기 가스의 질소산화물을 정화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하여 실시해도 좋다.
(13)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운전부(10)에 운전 캐빈(11)을 구비한 예를 나타냈지만, 운전 캐빈(11)을 구비하지 않은 운전부(10)를 설치하여 실시해도 좋다.
본 발명은 콤바인 외에, 양파나 인삼 등의 각종 작물을 수확 대상으로 하는 수확기에 이용할 수 있다.
3 : 예취부
10 : 운전부
11c : 예취부측 횡벽
12 : 운전 좌석
14 : 사이드 운전 패널
14a : 패널 천장판
14b : 횡종판
21 : 디젤 엔진
22 : 엔진 보닛
30 : 천장판부
31 : 좌석 하방부
32 : 정화 장치 하방부
32a : 횡단부
33 : 에어 클리너 하방부
33a : 에어 클리너 지지부
33b : 경사 횡단부
34 : 종판부
42 : 에어 클리너
42e : 오버플로우통
50 : 배기 가스 정화 장치
51 : 배기 가스 도입구
53 : 배기관
60 : 센서
61, 62 : 지지 부재
61a, 62a : 지지부
63 : 연결 플랜지
64 : 연장 지지부
68, 70 : 기체 상하 방향 다리부
80 : 유동 가이드
81 : 센서 커버
81a : 고정 커버부
81c : 개폐 커버부
A : 크랭크축 방향

Claims (6)

  1. 디젤 엔진을 내장하는 엔진 보닛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 보닛의 상방에 배치된 운전 좌석을 기체의 좌우 중심에 대해 기체 횡외측으로 치우치게 한 상태로 가진 운전부를 구비한 수확기이며,
    상기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를 도입하여 배기 가스의 정화 처리를 행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상기 엔진 보닛 내의 상기 디젤 엔진의 상방에 상기 운전 좌석에 대해 기체 횡내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설치하고,
    상기 엔진 보닛에 있어서의 천장판부의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상방에 위치하는 정화 장치 상방부가 상기 엔진 보닛에 있어서의 상기 운전 좌석의 하방에 위치하는 좌석 하방부보다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천장판부의 형상을 단차 형상으로 하고 있는, 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좌석의 횡측에 배치하는 사이드 운전 패널을, 상기 엔진 보닛의 천장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정화 장치 상방부보다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는 패널 천장판과, 이 패널 천장판의 운전 좌석측의 횡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되는 횡종판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사이드 운전 패널의 횡종판을, 상기 엔진 보닛의 천장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정화 장치 상방부의 운전 좌석측의 횡단부에 대해 운전 좌석측과는 반대측으로 치우치게 하고 있는, 수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에, 엔진용 에어 클리너를 상기 엔진 보닛의 상방에 배치하여 설치하고,
    상기 엔진 보닛의 천장판부의 상기 에어 클리너의 하방에 위치하는 에어 클리너 하방부를, 상기 좌석 하방부보다 높은 배치 높이이고 또한 상기 정화 장치 상방부보다 낮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 클리너를 지지하는 에어 클리너 지지부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는, 수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보닛의 천장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에어 클리너 하방부를, 상기 에어 클리너 지지부의 기체 횡외측 단부로부터 기체 횡외측 방향 및 기체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하는 경사 횡단부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에어 클리너의 기체 횡외측 단부로부터 기체 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오버플로우통을 상기 경사 횡단부 상에 배치하고 있는, 수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보닛에 있어서의 천장판부에, 상기 정화 장치 상방부의 운전 좌석측의 횡단부와 상기 에어 클리너 지지부의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측의 횡단부를 연결하는 종판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종판부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 본 종단면 형상을, 상단부측일수록 정화 장치 상방부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경사 형상으로 하고 있는, 수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보닛에 있어서의 천장판부에, 상기 정화 장치 상방부의 운전 좌석측의 횡단부와 상기 에어 클리너 지지부의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측의 횡단부를 연결하는 종판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종판부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 본 종단면 형상을, 상단부측일수록 정화 장치 상방부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경사 형상으로 하고 있는, 수확기.
KR1020190066519A 2011-06-10 2019-06-05 수확기 KR102101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30562 2011-06-10
JP2011130563A JP5774914B2 (ja) 2011-06-10 2011-06-10 収穫機
JP2011130562A JP5667523B2 (ja) 2011-06-10 2011-06-10 収穫機
JPJP-P-2011-130561 2011-06-10
JPJP-P-2011-130563 2011-06-10
JP2011130561A JP5908222B2 (ja) 2011-06-10 2011-06-10 収穫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610A Division KR101988412B1 (ko) 2011-06-10 2012-06-08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358A KR20190069358A (ko) 2019-06-19
KR102101230B1 true KR102101230B1 (ko) 2020-04-17

Family

ID=479044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610A KR101988412B1 (ko) 2011-06-10 2012-06-08 수확기
KR1020190066519A KR102101230B1 (ko) 2011-06-10 2019-06-05 수확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610A KR101988412B1 (ko) 2011-06-10 2012-06-08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9884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720B1 (ko) * 2013-05-30 2019-06-27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
KR101701888B1 (ko) * 2014-09-01 2017-02-02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수확기
KR101710083B1 (ko) * 2014-09-01 2017-02-24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수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3016A (ja) 2007-10-22 2009-05-14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
JP2010075118A (ja) 2008-09-26 2010-04-08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0090788A (ja) 2008-10-07 2010-04-22 Yanmar Co Ltd 野菜収穫機
JP2010216333A (ja) 2009-03-16 2010-09-30 Yanmar Co Ltd エンジ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3736B2 (ja) * 2008-08-08 2012-09-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10209813A (ja) 2009-03-11 2010-09-24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5275857B2 (ja) * 2009-03-16 2013-08-28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5421623B2 (ja) 2009-03-16 2014-02-1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運転部構造
JP2011087517A (ja) 2009-10-22 2011-05-06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1088607A (ja) * 2009-10-26 2011-05-06 Iseki & Co Ltd 作業車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3016A (ja) 2007-10-22 2009-05-14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
JP2010075118A (ja) 2008-09-26 2010-04-08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0090788A (ja) 2008-10-07 2010-04-22 Yanmar Co Ltd 野菜収穫機
JP2010216333A (ja) 2009-03-16 2010-09-30 Yanmar Co Ltd エンジ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358A (ko) 2019-06-19
KR20120137297A (ko) 2012-12-20
KR101988412B1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4914B2 (ja) 収穫機
JP5908222B2 (ja) 収穫機
JP5968764B2 (ja) コンバイン
KR102329366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KR102101230B1 (ko) 수확기
JP6343119B2 (ja)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装置
KR102095662B1 (ko) 콤바인
KR102656750B1 (ko) 콤바인
JP2016168975A (ja) コンバイン
JP2017012038A (ja) コンバイン
JP6367866B2 (ja) コンバイン
KR102218515B1 (ko) 콤바인
JP6625159B2 (ja) 収穫機
JP6226299B2 (ja) コンバイン
JP5667523B2 (ja) 収穫機
JP6353353B2 (ja) コンバイン
JP6226298B2 (ja) コンバイン
JP2018113992A5 (ko)
JP6459097B1 (ja) コンバイン
JP6505010B2 (ja) 収穫機
KR20160102155A (ko) 콤바인
JP6440648B2 (ja) 収穫機
JP6209137B2 (ja) コンバイン
JP5865474B2 (ja) 収穫機
JP5673967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