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662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662B1
KR102095662B1 KR1020187005587A KR20187005587A KR102095662B1 KR 102095662 B1 KR102095662 B1 KR 102095662B1 KR 1020187005587 A KR1020187005587 A KR 1020187005587A KR 20187005587 A KR20187005587 A KR 20187005587A KR 102095662 B1 KR102095662 B1 KR 102095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exhaust
engine
engine room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574A (ko
Inventor
요시오 쿠스노세
신스케 오카다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4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air, e.g. by mixing exhaust with air
    • F01N3/05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air, e.g. by mixing exhaust with air without contact between air and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콤바인은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장치(3)와, 예취장치(3)로 예취한 예취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장치(5)와, 예취장치(3) 및 탈곡장치(5)를 탑재한 주행기체(1)와, 주행기체(1) 상의 엔진룸(43) 내에 배치한 엔진(20)을 구비한다. 예취장치(3)가 탈곡장치(5) 앞부의 급구에 연통한 피더하우스(31)를 구비하고, 엔진(20)이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50)를 구비한다. 운전부(10)에 설치한 운전 조작부(15)가 피더하우스(31)에 인접시켜서 배치된다. 그리고, 엔진룸(43)으로부터 피더하우스(31)를 향해서 연통하는 공동부(65a)가 운전 조작부(15)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공동부(65a)의 일부가 피더하우스(31)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
본 발명은 예취장치에 의해 포장(圃場)의 미예취 곡간(穀稈)을 예취하면서 탈곡장치에 의해 그 예취 곡간을 탈곡해서 곡립을 수확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는, 포장용의 농작업기로서의 콤바인(작업차량)은 엔진을 탑재한 주행기체를 구비하고, 주행기체에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주행부)를 장착 설치하고,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를 구동 제어해서 포장 등을 이동하는 한편, 포장에 식립한 미예취 곡간의 밑둥을 예취날 장치에 의해 절단하고, 곡간 반송장치에 의해서 탈곡장치에 그 곡간을 반송하고, 탈곡장치에 의해서 그 곡간을 탈곡하여 곡립을 수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콤바인에 있어서 엔진으로의 신선공기 도입을 위한 프리클리너를 기체 상방에 설치함과 아울러,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테일 파이프를 기체 하방에 설치하는 것이 제공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테일 파이프를 포함하는 배기장치가 기체 하방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주행 중에 포장으로부터의 진흙 등이 걸림으로써 배기 저항의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짚부스러기 등의 진입에 의한 발화 등의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프리클리너와 같이 테일 파이프를 기체 상방에 배치하는 콤바인을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최근에는 환경 정화의 목적으로부터,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설치한 콤바인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15-13218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4-042477호 공보
또한, 콤바인에서는 예취장치나 탈곡장치 등의 다양한 장치를 구비하기 위해서, 예취장치의 우측방에 있는 운전부의 하방에 엔진룸을 형성하고, 해당 엔진룸 내에 엔진을 탑재하고 있다. 최근은 콤바인의 컴팩트화·경량화의 요청으로 엔진룸의 크기에 제약이 있는 경우가 많다(엔진 탑재 스페이스가 협소한 경우가 많다). 제약이 많은 엔진룸 내에는 엔진 뿐만 아니라, 에어클리너나 라디에이터와 같은 다양한 부품을 배치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콤바인과 같이, 특허문헌 2에 있어서의 콤바인에 설치한 사일렌서 대신에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설치했을 경우, 배기가스 정화장치가 사일렌서에 비해서 중량물이며 용량도 커진다. 그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탑재한 엔진을 콤바인에 설치할 경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배치 위치에 의해 엔진룸 내의 다른 부품의 배치가 영향받을 뿐만 아니라, 흡기 경로 및 배기 경로의 장척화를 초래한다.
또한, 프리클리너와 테일 파이프를 탈곡장치 상방에서 고정시켰을 경우, 곡물 배출 컨베이어(배출 오거)나 양곡(揚穀) 컨베이어 등의 설치 위치에 영향받기 때문에, 프리클리너와 테일 파이프를 후방에 배치하여 배기 경로 및 흡기 경로가 장척화한다. 한편, 배기 경로 및 흡기 경로를 단척화시킨 경우에는, 엔진이나 배기 경로로부터의 배출열이 운전 좌석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특히, 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콤바인과 같이, 고온에서 재생 처리를 행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탑재했을 경우, 배기 경로의 배출열이 흡기 경로나 운전 좌석에 열적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출열에 의한 열적 영향도 적지 않다.
본원 발명은 이것들의 현재의 상태를 검토해서 개선을 실시한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본원 발명은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장치와, 상기 예취장치에서 예취한 예취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장치와, 상기 예취장치 및 상기 탈곡장치를 장착 설치하는 주행기체와, 상기 주행기체 상의 엔진룸에 내설시키는 엔진과, 상기 엔진룸 상방에 배치된 운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장치가 상기 탈곡장치 앞부의 급구(扱口)에 연통한 피더하우스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이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운전부에 설치한 운전 조작부가 상기 피더하우스에 인접시켜서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엔진룸으로부터 상기 피더하우스를 향해서 연통하는 공동부가 상기 운전 조작부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동부의 일부가 상기 피더하우스 상방에서 개구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예취장치는 승강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포장에서의 예취작업 중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는 상기 피더하우스 상방의 개구 부분이 넓게 된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운전 조작부는 상면에 조작구가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공동부의 상방 및 전방을 덮는 측면에서 볼 때 L자 형상의 칸막이판을 갖고 있고, 상기 칸막이판 상방 및 전방의 공간에 상기 조작구와 연결시킨 링크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판은 상기 피더하우스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공동을 덮는 면에 단열재가 첩부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배기가스 입구측을 상기 운전 조작부로부터 상기 피더하우스측으로 돌출시켜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앞면 및 상면이 상기 칸막이판에 덮여지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은 상기 공동부 상방을 덮는 저판과 상기 공동부 전방을 덮는 배면판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저판은 상기 예취장치를 향해서 하측으로 사행함과 동시에 후방을 향해서 상측으로 사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실린더 헤드에 일단이 연결되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지지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지지 브래킷과,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지지 브래킷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방으로 연장 설치되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배기 출구관을 지지하는 배기관 지지 브래킷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기관 지지 브래킷이 상기 칸막이판에 있어서의 상기 배면판과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흡기 경로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 에어클리너와 감쇠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감쇠기가 상기 에어클리너 하방이며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기관 지지 브래킷이 상기 감쇠기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장치와, 상기 예취장치에서 예취한 예취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장치와, 상기 탈곡장치에서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와, 상기 예취장치, 상기 탈곡장치, 상기 그레인 탱크를 장착 설치하는 주행기체와, 상기 주행기체 상의 엔진룸에 내설시키는 엔진을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흡기 경로 및 배기 경로가 상기 그레인 탱크와 상기 탈곡장치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흡기 경로의 신선공기 도입부가 되는 프리클리너와, 상기 배기 경로의 배기가스 배출부가 되는 테일 파이프가 기체 상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기 경로가 상기 배기 경로보다 운전 좌석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흡기 경로 중 상기 배기 경로에 가까운 개소의 흡기관이 배치된다고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운전 좌석과 배기 경로 사이에 흡기 경로가 배치되기 때문에, 운전 좌석 후방에 있어서 흡기 경로를, 배기 경로로부터의 배출열을 차단하는 차열 부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전 좌석에 오르는 오퍼레이터에게 테일 파이프 등의 배기 경로로부터의 열기가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 경로에 가까운 개소의 흡기관을 금속관으로 구성함으로써 배기 경로로부터의 열 영향에 의한 변형 등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흡기 경로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을 내포하는 엔진룸을 구성하는 엔진룸 프레임이 상기 주행기체로부터 세워서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엔진룸 상측에 상기 운전 좌석을 갖는 운전부가 설치되고, 상기 흡기관 및 상기 테일 파이프가 상기 운전부 후방의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다고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엔진룸 프레임에 흡기관 및 테일 파이프를 집중적으로 지지시킴으로써 지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고, 엔진의 흡배기 경로의 조립성 및 메인터넌스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룸 내까지 연장 설치된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 입구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배기 출구관의 배기 출구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배기관 및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가 제 1 지지 브래킷을 개재해서 상기 엔진에 지지되는 한편, 상기 테일 파이프가 제 2 지지 브래킷을 개재해서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지지된다고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분리 접속한 배기 출구관 및 테일 파이프 각각을, 배기 출구관 및 테일 파이프 각각과 동일 진동계로 되는 엔진 및 주행기체 각각에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기 출구관 및 테일 파이프가 다른 진동계로부터의 영향을 받을 일이 없어 파손 또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의 진동계로부터 테일 파이프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디젤엔진측과 주행기체측의 진동 주파수의 차이에 기인해서 테일 파이프를 파손시킬 우려를 현격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테일 파이프가 내측관과 외측관에 의한 이중관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내측관에 상기 배기 출구관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 2 지지 브래킷이 상기 내측관 및 상기 외측관 각각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테일 파이프의 내측관 및 외측관 각각을 제 2 지지 브래킷으로 고정함으로써 외측관에 대한 내측관의 상대 위치를 유지시켜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 브래킷은 상하로 연장 설치시킨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1 연결 부재 하단으로부터의 전방으로 연장 설치시킨 제 2 연결부를 구비한 L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연결부 상단에 상기 외측관 중도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연결부 중도부가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결부 전단에 내측관 전단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 2 지지 브래킷을 L자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테일 파이프를 엔진룸 내에 배기 입구가 신장되도록 고정할 수 있고, 배기 출구관으로부터 배기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테일 파이프에서 충분하게 냉각해서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이 제 3 지지 브래킷을 개재해서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연결되어서 상기 테일 파이프 측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3 지지 브래킷은 상기 흡기관과의 연결 부분을 상기 엔진룸 프레임과의 연결 부분보다 전방에 배치시키는 형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 3 지지 브래킷에 있어서 흡기관과의 연결 부분을 상기 엔진룸 프레임과의 연결 부분보다 전방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흡기 경로와 배기 경로 사이에 적절한 간극을 형성해서 설치할 수 있어, 흡배기에 있어서의 상호의 열적 영향을 용이하게 완화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원 발명에 의하면, 엔진룸의 일부이며 운전 조작부 하측이 칸막이판으로 덮여진다. 따라서, 발열체로 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나 엔진에 의한 운전부에의 열적 영향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엔진룸 내를 흐르는 냉각 공기를 피더하우스측의 개구 부분에 유도하고, 엔진룸 내에 있어서의 배출열 공기의 체류를 방지하여 엔진룸 내의 냉각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배기가스 정화장치가 운전 조작부 좌측면으로부터 피더하우스를 향해서 돌출시켜서 배치되어 있고, 배기가스 정화장치가 칸막이판에 의해 덮여져 있다. 그 때문에, 엔진 및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의한 배출열에 의해 가온 된 공기가 운전부에 돌아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열체로 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등의 고온 부품에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출구관 지지 브래킷이 칸막이판체의 배면판과 같은 좌우 방향(엔진의 출력축과 동일 방향)으로 폭이 넓게 구성되기 때문에, 엔진룸 내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를 피더하우스측으로 유도하고, 엔진룸 내에서의 냉각 공기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장치와 감쇠기 사이에는 출구관 지지 브래킷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감쇠기가 배기가스 정화장치로부터의 방사열을 받기 어려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통형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동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동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동 콤바인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운전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좌측 전방으로부터 본 운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우측 후방으로부터 본 운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콤바인의 주행기체 상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엔진룸 프레임과 엔진의 관계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운전부 주변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운전부 주변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운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운전부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4는 좌측 전방으로부터 본 운전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사이드 칼럼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 전방으로부터 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디젤엔진을 정면 비스듬히 우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디젤엔진을 배면 비스듬히 좌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디젤엔진을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디젤엔진을 좌측면도이다.
도 20은 디젤엔진을 평면도이다.
도 21은 좌측 전방으로부터 본 엔진룸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테일 파이프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흡기계통 및 배기계통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가 되는 보통형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5는 동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26은 동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원 발명에 따른 콤바인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측을 단지 좌측이라고 칭하고, 마찬가지로 전진 방향을 향해서 우측을 단지 우측이라고 칭한다. 도 1∼도 7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의 콤바인을 설명한다. 도 1∼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2)(주행부)로 지지된 주행기체(1)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기체(1)의 앞부에는 곡간을 예취하면서 거두어들이는 예취장치(3)가, 단동식의 승강용 유압 실린더(4)에 의해 예취 회동 지점축(4a) 둘레로 승강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주행기체(1)에는 급동(51)을 갖는 탈곡장치(5)와, 탈곡 후의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7)가 횡배열 형상으로 탑재되어 있다. 또한, 탈곡장치(5)가 주행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측에 배치되고, 그레인 탱크(7)가 주행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7)의 후방으로부터 상방에 걸쳐서 그레인 탱크(7) 내의 곡립을 기체 외부로 배출하는 종반송 컨베이어(8)가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종반송 컨베이어(8) 상방의 승계 반송부(8a)와 연결하는 곡물 배출 컨베이어(9)가 전단의 곡물 배출구(9a)를 기체 측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곡물 배출 컨베이어(9)는 그레인 탱크(7) 후방에서 종반송 컨베이어(8)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된 곡립을 승계 반송부(8a)로부터 받으면, 곡물 배출구(9a)를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 곡립을 반송하여 기체 밖의 컨테이너나 트럭에 곡립을 배출한다. 또한, 탈곡장치(5)의 상면에 오거 스탠드(125)를 세워서 설치시키고 있고, 오거 스탠드(125)를 통해서 주행기체(1) 상방의 수납 위치에 곡물 배출 컨베이어(9)를 지지하고 있다. 곡물 배출 컨베이어(9)는 오거 스탠드(125)에 의해 대략 수평 자세로 지지된다.
그레인 탱크(7)의 전방이고 주행기체(1)의 우측 앞부에는 운전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10)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스텝(10a)과, 운전 좌석(10b)과, 조향 핸들(10c)을 설치하는 핸들 칼럼(11)과, 주변속 레버(12) 또는 부변속 레버(13) 또는 작업 클러치 레버(14a, 14b) 또는 스위치류 등의 조작구를 구비한 사이드 칼럼(15)과, 레버 스위치(16) 등의 조작구를 구비한 조작구 케이스(17)와, 엔진 컨트롤러 등을 내장한 전장박스(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클러치 레버(14a, 14b)로서 예취장치(3) 및 탈곡장치(5) 각각으로의 동력전달을 접속/차단시키는 예취 클러치 레버 및 탈곡 클러치 레버를 예시하고, 레버 스위치(16)로서 곡물 배출 컨베이어(9)를 조작하기 위한 컨베이어 위치 조작 레버를 예시하고 있다.
핸들 칼럼(11)이 운전 좌석(10b) 전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사이드 칼럼(15)이 운전 좌석(10b) 좌측방에 배치되고, 운전 좌석(10b) 우측방을 개방하도록 핸들 칼럼(11) 및 사이드 칼럼(15)이 평면으로 볼 때 L자 형상으로 주행기체(1)로부터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조작구 케이스(17)가 사이드 칼럼(15) 후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전장박스(18)가 운전 좌석(10b) 후방에 배치되고, 좌우 이웃하게 배치한 조작구 케이스(17)와 전장박스(18)의 상면을 운전 좌석(10b)의 등받이보다 상방에 위치시키고, 조작구 케이스(17)와 전장박스(18)가 운전부(10) 후방을 덮도록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주행기체(1)에 있어서 운전 좌석(10b)의 하방측에는 각 구동부의 동력원으로서의 디젤엔진(2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주행기체(1)의 하면측에 좌우의 트랙 프레임(21)을 배치하고 있다. 트랙 프레임(21)에는 주행 크롤러(2)에 엔진(20)의 동력을 전해주는 구동 스프로킷(22)과, 주행 크롤러(2)의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롤러(23)와,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접지 상태로 유지하는 복수의 트랙 롤러(24)를 설치하고 있다. 구동 스프로킷(22)에 의해 주행 크롤러(2) 앞측을 지지하고, 텐션 롤러(23)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뒷측을 지지하고, 트랙 롤러(24)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지지한다.
예취장치(3)는 탈곡장치(5) 앞부의 급구(5a)에 연통한 피더하우스(31)와, 피더하우스(31)의 전단에 연결 설치된 가로로 긴 버킷 형상의 곡물 헤더(32)를 구비한다. 곡물 헤더(32) 내에 레이킹 오거(33)(플랫폼 오거)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레이킹 오거(33)의 앞부 상방에 타인바가 부착된 레이킹 릴(34)을 배치한다. 곡물 헤더(32)의 앞부에 바리깡 형상의 예취날(35)을 배치한다. 곡물 헤더(32) 앞부의 좌우 양측에 좌우의 분초체(36)를 돌출시킨다. 또한, 피더하우스(31)에 공급 컨베이어(37)를 내설한다. 또한, 피더하우스(31)의 하면부와 주행기체(1)의 전단부가 승강용 유압 실린더(4)를 통해서 연결되고, 예취 회동 지점축(4a)(예취 입력축인 피더하우스 컨베이어축)을 승강 지점으로 해서 예취장치(3)가 승강용 유압 실린더(4)에 의해 승강 이동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좌우의 분초체(36)간의 미예취 곡간의 이삭끝측이 레이킹 릴(34)로 긁어넣어지고, 미예취 곡간의 짚측이 예취날(35)로 예취되고, 레이킹 오거(33)의 회전 구동에 의해서 곡물 헤더(32)의 좌우 폭의 중앙부 근처의 피더하우스(31) 입구 부근에 예취 곡간이 모아진다. 곡물 헤더(32)의 예취 곡간의 전량은 공급 컨베이어(37)에 의해 반송되어, 탈곡장치(5)의 급구(5a)에 투입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피더하우스(31)의 앞부에 좌우 경사 조절 지점축(38)을 통해서 곡물 헤더(32)를 좌우 경사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곡물 헤더(32)를 좌우 경사 조절 지점축(38) 주위로 회동시키는 좌우 경사 조절용 유압 롤링 실린더(39)를 구비하고, 곡물 헤더(32)의 좌우 방향의 경사각도를 롤링 실린더(39)에서 조절하여 곡물 헤더(32), 예취날(35), 및 레이킹 릴(34)을 포장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지지한다.
또한, 탈곡장치(5)의 급실 내에 급동(51)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주행기체(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시킨 급동축(52)에 급동(51)을 축지지한다. 급동(51)의 하방측에는 곡립을 누하시키는 받침망(54)을 장설(張設)한다. 또한, 급동(51) 앞부의 외주면에는 나선 형상의 스크류 날개 형상의 취입 날개가 반경 방향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급구(5a)로부터 투입된 예취 곡간은 급동(51)의 회전으로 주행기체(1)의 후방을 향해서 반송되면서, 급동(51)과 받침망(54) 사이 등에서 혼련되어서 탈곡된다. 받침망(54)의 그물코보다 작은 곡립 등의 탈곡물은 받침망(54)으로부터 누하한다. 받침망(54)으로부터 누하되지 않는 짚부스러기 등은 급동(51)의 반송 작용에 의해서 탈곡장치(5) 뒷부의 배진구(排塵口)로부터 포장에 배출된다.
또한, 급동(51)의 상방측에는 급실 내의 탈곡물의 반송 속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송진밸브(도시생략)를 회동 가능하게 피봇 부착한다. 상기 송진밸브의 각도 조정에 의해서 급실 내의 탈곡물의 반송 속도(체류시간)를 예취 곡간의 품종이나 성상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탈곡장치(5)의 하방에 배치된 곡립 선별 기구(55)로서 그레인 팬, 채프 시브, 그레인 시브, 및 스트로 랙 등을 갖는 비중 선별용의 요동 선별반(56)을 구비한다.
또한, 곡립 선별 기구(55)로서 요동 선별반(56)에 선별풍을 공급하는 풍구 팬(57) 등을 구비한다. 급동(51)에서 탈곡되어서 받침망(54)으로부터 누하한 탈곡물은 요동 선별반(56)의 비중 선별 작용과 풍구 팬(57)의 바람 선별 작용에 의하여 곡립(정립 등의 1번물), 곡립과 짚의 혼합물(지경 부착 곡립 등의 2번물), 및 짚부스러기 등으로 선별되어서 인출되도록 구성한다.
요동 선별반(56)의 하측방에는 곡립 선별 기구(55)로서 1번 컨베이어 기구(58) 및 2번 컨베이어 기구(59)를 구비한다. 요동 선별반(56) 및 풍구 팬(57)의 선별에 의해서 요동 선별반(56)으로부터 낙하한 곡립(1번물)은 1번 컨베이어 기구(58) 및 양곡 컨베이어(60)에 의해서 그레인 탱크(7)에 수집된다. 곡립과 짚의 혼합물(2번물)은 2번 컨베이어 기구(59) 및 2번 환원 컨베이어(61) 등을 통해서 급동(51)의 탈곡 선단측으로 되돌려져 급동(51)에 의해 재탈곡된다. 짚부스러기 등은 주행기체(1) 뒷부의 배진구로부터 포장에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이어서, 도 7∼도 13을 참조하여 디젤엔진(20)의 탑재 구조를 설명한다. 주행기체(1)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0b)의 하방측에 엔진 베드(41)를 개재해서 디젤엔진(20)을 방진 지지시킨다. 트랙 프레임(21) 앞부의 주행구동용 미션케이스(42)나 탈곡장치(5) 등의 각 부에, 풀리·벨트 전동계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있다. 디젤엔진(20)의 앞면측 및 상면측을 엔진룸 커버(44)에 의해서 덮고 있다. 또한, 사이드 칼럼(15)의 하방에 단열판체인 칸막이판체(65)를 장설하고, 칸막이판체(65)에 의해 디젤엔진(20)의 상면측의 일부를 덮고 있다. 엔진룸(43)의 앞면측을 엔진룸 커버(44)에 의해서 형성하고, 엔진룸(43)의 상면측을 엔진룸 커버(44)와 칸막이판체(65)에 의하여 형성하고 있다.
또한, 주행기체(1)에 있어서의 운전부(10)의 우측 단부에 개폐 지점축을 통해서 상자 형상의 풍동 케이스(46)를 세워서 설치시키고 있다. 주행기체(1) 상면측에 있어서의 풍동 케이스(46) 기체 내측에 수냉용 라디에이터(47)를 세워서 설치시키고, 디젤엔진(20)의 냉각 팬(48)에 라디에이터(47)를 대치시키고 있다. 풍동 케이스(46) 우측면의 기체 외측 개구로부터 풍동 케이스(46) 내로 외기(냉각풍)를 받아 들여, 풍동 케이스(46) 좌측면의 기체 내측 개구로부터 라디에이터(47)를 통해서 냉각 팬(48)의 회전에 의해서 제진 완료의 냉각풍을 엔진룸(43) 내에 보내주고, 제진 완료의 냉각풍에 의해서 디젤엔진(20) 등을 냉각한다.
또한, 풍동 케이스(46) 우측면의 기체 외측 개구에는 제진망을 장설하고 있다. 제진망의 존재에 의해서 풍동 케이스(46) 내부 나아가서는 엔진룸(43) 내부로의 짚부스러기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47)의 통기범위부의 전체를 덮는 형태의 슈라우드(481)가 고정되어 있고, 이 슈라우드(481)에 형성한 개구에 냉각 팬(48)을 배치시킨다. 즉, 라디에이터(47)의 좌측방에 냉각 팬(48)이 배치되고, 상기 냉각 팬(48)과 라디에이터(47)의 사이는 팬 슈라우드(481)를 배치해서 냉각풍을 안내하고 있다.
또한, 주행기체(1) 상면에 있어서의 운전부(10) 뒷측에 엔진룸 프레임을 구성하는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71)을 세워서 설치시키고, 좌우의 지주 프레임(71) 사이에 배면판체(72)를 장설하고 있다. 즉, 칸막이판체(65), 엔진룸 커버(44), 풍동 케이스(46) 및 배면판체(72)에 의해서 엔진룸(43)을 형성(구획)하고 있다.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크랭크축)을 좌우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엔진룸(43) 내에 디젤엔진(20)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디젤엔진(20)의 좌측방에 출력축(20a)의 좌측 단부를 돌출시키고, 출력축(20a)의 좌측 단부(돌출단부)에 주행 구동 벨트 및 탈곡 구동 벨트를 연결하고 있다. 출력축(20a)으로부터 주행 구동 벨트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구동력을 주행 크롤러(2)를 향해서 출력하고, 출력축(20a)으로부터 탈곡 구동 벨트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구동력을 탈곡장치(5)를 향해서 출력하고 있다.
엔진룸 커버(44)는 스텝(10a) 뒤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된 앞면 부분(441)과, 앞면 부분(441)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설치된 상면 부분(442)을 구비하고, 측면에서 볼 때 역L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엔진룸 커버(44)의 상면 부분(442)에 시트 지지 기구를 개재해서 운전 좌석(10b)이 탑재된다. 엔진룸 커버(44)는 이중구조에 의해 내부에 공간을 갖고 있고, 그 좌측면이 풍동 케이스(46)와 연결됨으로써 엔진룸 커버(44) 내의 공간이 풍동 케이스(46) 내의 공간과 연통한다. 또한, 엔진룸 커버(44)의 앞면 부분(441) 및 상면 부분(442) 각각에, 공기 도입용의 개구부(443)를 형성하고 있다.
외기로부터 엔진룸 커버(44) 내에 개구부(443)를 통해서 공기가 도입되면, 운전 좌석(10b) 하측의 엔진룸 커버(44)의 상면 부분(442)을 통과해서 풍동 케이스(46) 내에 유입된다. 따라서, 엔진룸 커버(44) 내에 공기가 흐름으로써 운전부(10)와 엔진룸(43) 사이에서 단열 효과를 작용시켜, 엔진(20)이나 배기가스 정화장치(50)로부터의 배출열에 의한 운전부(10)에의 열적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풍동 케이스(46)에 있어서 엔진룸 커버(44)로부터의 공기가 풍동 케이스(46)에서 받아들인 공기와 합류하여 엔진룸(43) 내로 흘러 들어오고, 예취장치(3)의 피더하우스(31)를 향해서 엔진룸(43) 내를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 엔진룸(43) 내를 풍동 케이스(46)로부터 피더하우스(31)를 향해서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엔진룸(43) 내의 냉각 공기로서 작용시킨다.
도 9∼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 조작부의 일부로 되는 사이드 칼럼(15)이 엔진룸 커버(44)의 좌측방에 고정되어 운전 좌석(10b)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칼럼(15)을 지지하는 칼럼 지지빔 프레임(66)의 일단이 좌측 지주 프레임(71)의 중도부에 연결되어 있다. 사이드 칼럼(15)은 후방 하측을 잘라낸 공동부(65a)를 구비한 측면에서 볼 때 L자 형상을 갖고 있고, 공동부(65a)에 엔진 상방에 설치한 배기가스 정화장치(50)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칼럼(15)의 공동부(65a)의 일부가 예취장치(3)의 피더하우스(31) 상방에서 개구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취장치(3)는 승강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포장에서의 예취작업 중 등에 있어서 공동부(65a)의 일부가 피더하우스(31) 상방에서 크게 개구된다. 즉, 예취장치(3)가 승강용 유압 실린더(4)에 의해 예취 회동 지점축(4a) 둘레로 하강하고, 곡물 헤더(32)를 곡간 예취 위치에 배치시켰을 때, 칸막이판체(65)의 저판(65b)과 이간된 위치에 피더하우스(31) 상면이 위치한다. 그 때문에, 공동부(65a)는 칸막이판체(65)와 피더하우스(31) 사이의 개구부(443)가 넓어지고, 엔진룸(43) 내를 흐르는 냉각 공기가 토출되기 쉬워져, 엔진룸(43) 내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킨다.
사이드 칼럼(15)은 상면에 조작 레버(12, 13, 14a, 14b)나 조작 스위치 등 조작구가 배치됨과 아울러, 공동부(65a)의 상방 및 전방을 덮는 측면에서 볼 때 L자 형상의 칸막이판체(65)를 칼럼 지지빔 프레임(66) 하측에 갖고 있다. 사이드 칼럼(15)은 사이드 칼럼 커버(67)에 의해 칸막이판체(65) 상방 및 전방을 덮는 구조를 갖고 있고, 칸막이판체(65) 상방 및 전방의 공간에 조작 레버(12, 13, 14a, 14b)와 연결시킨 링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판체(65)는 예취장치(3)의 피더하우스(31)측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공동부(65a)를 덮는 면에 단열재가 첩부된 단열판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운전부(10)의 사이드 칼럼(15) 하면측에 좌우 방향 터널 형상 공간으로 되는 공동부(65a)를 형성하고 있고, 엔진(20) 상면에 설치된 배기가스 정화장치(50)의 일부를 공동부(65a)에 배치하고 있다. 예취장치(3)의 피더하우스(31) 상면측으로부터 엔진룸(43) 내의 배기가스 정화장치(50)를 육안 확인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공동부(65a)의 상면과 앞면에 단열 시트를 부착한 칸막이판체(65)를 설치하고 있다. 피더하우스(31) 설치부와 반대측으로 되는 엔진룸(43) 측부에 냉각 팬(48)을 배치하고, 냉각 팬(48)의 냉각풍이 엔진룸(43)으로부터 피더하우스(31) 상면측으로 배출되도록, 좌우 방향 터널 형상 공간으로 되는 공동부(65a)를 형성했다.
배기가스 정화장치(50)는 배기가스 입구측을 좌측(피더하우스(31)측)으로 해서 엔진(20) 상에서 길이 방향이 좌우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엔진룸 커버(44)와 칸막이판체(65)를 좌우로 배열하여 엔진룸(43)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장치(50)의 앞면 및 상면이 엔진룸 커버(44) 및 칸막이판체(65)에 의해 덮여진다. 배기가스 정화장치(50)의 배기가스 출구측(우측)이 엔진룸 커버(44)에 의해 덮여짐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장치(50)의 배기가스 입구측(좌측)이 칸막이판체(65)로 덮여진다. 따라서, 발열체가 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50)에 의한 운전부(10)에의 열적 영향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엔진룸(43) 내를 흐르는 냉각 공기를 피더하우스(31)측의 개구 부분에 유도하여, 엔진룸(43) 내에 있어서의 배출열 공기의 체류를 방지하고, 엔진룸(43) 내의 냉각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장치(50)의 배기가스 입구측은 사이드 칼럼(15)의 좌측면으로부터 예취장치(3)의 피더하우스(31)를 향해서 돌출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기가스 정화장치(50)에 있어서의 사이드 칼럼(15)으로부터의 돌출 부분이 사이드 칼럼(15) 좌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칸막이판체(65)에 의해 덮여지기 때문에, 엔진(20) 및 배기가스 정화장치(50)에 의한 배출열에 의해 가온된 공기가 운전부(10)로 돌아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열체가 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50) 등의 고온 부품에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칸막이판체(65)은 공동부(65a) 상방을 덮는 저판(65b)과, 공동부(65a) 전방을 덮는 배면판(65c)을 구비하고 있고, 저판(65b)은 피더하우스(31)(좌측)를 향해서 하측으로 사행함과 동시에 후방을 향해서 상측으로 사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10)의 스텝(10a)이 주행기체(1)로부터 세워서 설치시킨 운전부 지지 프레임(70)에 장설되어 있다. 칼럼 지지빔 프레임(66)은 일단(후단)이 좌측 지주 프레임(71)에 연결되는 한편, 타단(전단)이 칼럼 지지기둥 프레임(68)을 개재해서 운전부 지지 프레임(70)과 연결된다. 또한, 칼럼 지지빔 프레임(66)의 중도부가 미션 연결 프레임(69)을 개재해서 미션케이스(42)와 연결된다.
도 10 및 도 1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장박스(18)는 엔진룸 프레임의 일부인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71) 상부에서 저면이 지지되어서 엔진룸 커버(44) 후방으로 되는 위치에 고정된다. 지주 프레임(71)에 의해 지지되는 에어클리너(49)가 전장박스(18)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71)은 각각, 중도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 설치시킨 빔 프레임(71a, 71b)을 캔틸레버 지지하고 있고, 빔 프레임(71a, 71b)을 연결한다. 즉,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71)의 빔 프레임(71a, 71b)이 지주 프레임(71)간의 빔으로서 구성됨과 아울러, 빔 프레임(71a, 71b)의 한쪽(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 빔 프레임(71b))에 의해 에어클리너(49)가 지지되어 있다.
전장박스(18)는 엔진룸(43) 후방에 설치되는 에어클리너(49) 상방에 배치됨으로써 엔진(20) 및 배기가스 정화장치(50)로부터의 배출열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을 일이 없다. 즉, 전장박스(18)와 엔진(20) 사이에 에어클리너(49)가 배치되기 때문에 엔진룸(43) 내의 배출열에 의한 전장박스(18)의 가온이 방지되어, 전장박스(18)에 내장된 각 전자부품이 보호된다.
운전 조작부의 일부로 되는 조작구 케이스(17)가 전장박스(18)의 좌측(탈곡장치(5)측)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좌우로 인접해서 배치된 전장박스(18) 및 조작구 케이스(17)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조작구 케이스(17)는 좌측 지주 프레임(71) 상단과 탈곡장치(5) 우측면과 연결되어서 지지되고, 사이드 칼럼(15) 후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탈곡장치(5)의 우측면 전방과 좌측 지주 프레임(71)을 연결하는 전방 지지 프레임(127)을 구비하고 있고, 전방 지지 프레임(127)에 있어서의 탈곡장치(5)와의 연결부에 조작구 케이스(17)의 좌측방 하단이 연결되어 있다.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룸(43) 내에 있어서 디젤엔진(20)은 엔진 출력축(20a)을 좌우 방향을 따르게 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엔진 베드(41)에 의해 주행기체(1)에 방진 지지되어 있다. 도 11∼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20)의 실린더 헤드(91)의 일측면(뒷측면)에는 흡기 매니폴드(19)를 배치하고 있다. 실린더 헤드(91)는 출력축(20a)과 피스톤(도시생략)을 내장한 실린더 블록(92) 상에 놓여 있다. 실린더 헤드(91)의 타측면(앞측면)에 배기 매니폴드(83)를 배치하고 있다. 즉, 디젤엔진(20)에 있어서 출력축(20a)을 사이에 둔 양 측부에 흡기 매니폴드(19)와 배기 매니폴드(83)를 분배하여 배치하고 있다. 실린더 블록(92)의 좌우 양 측면으로부터 출력축(20a)을 좌우 바깥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실린더 블록(92)의 좌측면에 플라이휠 하우징(93)을 고착하고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93) 내에 플라이휠(94)을 설치한다. 플라이휠(94)을 축지지한 출력축(20a)의 좌단측에서 미션케이스(42)를 향해서 디젤엔진(20)의 구동력을 인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92)의 하면에 오일 팬(95)을 배치하고 있다. 실린더 블록(92)의 우측방에 냉각 팬(48)을 배치하고, 냉각 팬(48)에 대향시켜서 라디에이터(47)를 설치하고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즉, 디젤엔진(20)에 있어서 출력축(20a)과 교차하는 일측부(실린더 블록(92)의 우측면측)에 냉각 팬(48)을 배치하고, 출력축(20a)과 교차하는 일측부와 반대측의 타측부(실린더 블록(92)의 좌측면)에 플라이휠(94)을 배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장치(50)의 배기가스 도입측(배기 입구측)은 플라이휠(94) 근처에 위치하고, 배기가스 정화장치(50)의 배기가스 인출측(배기 출구측)은 냉각 팬(48)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냉각 팬(48)으로부터의 냉각풍은 배기가스 정화장치(50)에 있어서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가스 인출측(배기 출구측)에 닿아서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 온도를 저하시킨다. 배기가스 정화장치(50)에 있어서 정화 처리 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가스 도입측(배기 입구측)은, 냉각 팬(48)으로부터 멀어 냉각풍이 닿기 어렵다. 따라서, 정화 처리 전의 배기가스는 고온으로 해서 배기가스 정화장치(50)의 정화 성능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 온도를 저하시켜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예를 들면 포장의 짚부스러기 등의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흡기 매니폴드(19)에는 재순환용의 배기가스를 받아들이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장치)(96)를 배치하고 있다. 에어클리너(49)는 후술하는 터보 과급기(105)의 컴프레서 케이스(107) 및 배기가스 재순환장치(96)를 개재해서 흡기 매니폴드(19)에 접속된다. 에어클리너(49)에 빨아 들여져서 제진 및 정화된 신선공기(외부공기)는 터보 과급기(105)의 컴프레서 케이스(107) 및 배기가스 재순환장치(96)를 통해서 흡기 매니폴드(19)에 보내져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에 공급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디젤엔진(20)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83)로 배출한 배기가스의 일부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96) 및 흡기 매니폴드(19)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에 환류된다. 이 때문에, 디젤엔진(20)의 연소 온도가 내려가고, 디젤엔진(20)으로부터의 질소산화물(NOx)의 배출량이 저감되고, 또한 디젤엔진(20)의 연비가 향상된다.
디젤엔진(20)의 각 인젝터(97)에 연료 탱크(도시생략)에 접속하는 연료 펌프(98)와 커먼 레일(99)을 접속하고 있다. 실린더 헤드(91)의 흡기 매니폴드(19) 설치측에 커먼 레일(99) 및 연료 필터(100)를 배치하고, 실린더 블록(92)에 있어서 흡기 매니폴드(19)의 하방측에 연료 펌프(98)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각 인젝터(97)는 전자개폐 제어형의 연료 분사 밸브(도시생략)를 갖고 있다. 연료 펌프(98)의 토출측에 커먼 레일(99)을 접속하고, 원통 형상의 커먼 레일(99)에 디젤엔진(20)의 각 인젝터(97)를 각각 접속하고 있다. 고압연료는 커먼 레일(99) 내에 일시 저류되어, 커먼 레일(99) 경유로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실린더) 내부에 공급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디젤엔진(20)의 연료는 연료 펌프(98)에 의해 커먼 레일(99)에 압송되고, 고압의 연료로서 커먼 레일(99)에 축적된다. 그리고, 각 인젝터(97)의 연료 분사 밸브를 각각 개폐 제어함으로써 커먼 레일(99) 내의 고압연료가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에 분사된다. 즉, 각 인젝터(97)의 연료 분사 밸브를 전자 제어함으로써 연료의 분사 압력, 분사 시기, 분사 기간(분사량)이 고정밀도로 컨트롤된다. 따라서, 디젤엔진(20)으로부터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을 저감할 수 있다.
실린더 헤드(91)의 앞측방이고 배기 매니폴드(83)의 상방에는 터보 과급기(105)를 배치하고 있다. 터보 과급기(105)는 터빈 휠 내장의 터빈 케이스(106)와, 블로어 휠 내장의 컴프레서 케이스(107)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 매니폴드(83)에 터빈 케이스(106)의 배기가스 도입측을 연결하고 있다. 터빈 케이스(106)의 배기가스 인출측에는 배기가스 정화장치(50)의 배기 입구관(81)을 접속하고 있다. 즉,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83)에 배출한 배기가스는 터보 과급기(105) 및 배기가스 정화장치(50) 등을 경유해서 기체 밖으로 배출된다.
컴프레서 케이스(107)의 급기 도입측은 급기관(108)을 개재해서 에어클리너(49)의 급기 인출측에 접속하고 있다. 컴프레서 케이스(107)의 급기 인출측은 과급관 및 배기가스 재순환장치(96)를 개재해서 흡기 매니폴드(19)에 접속하고 있다. 즉, 에어클리너(49)에 의해 제진 및 정화된 신선공기는 컴프레서 케이스(107)로부터 과급관을 통해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96)에 보내지고, 그 후에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에 공급된다.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해 디젤엔진(20)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50)(디젤 파티큘레이터 필터(DPF))를 구비한다. 배기가스 정화장치(50)에는 산화촉매(111)와, 매연 필터(112)가 내설된다.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83)에 배출된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정화장치(50) 등을 경유해서 기체 밖으로 방출된다. 배기가스 정화장치(50)에 의해서 디젤엔진(20)의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입자상 물질(PM) 및 질소산화물질(NOx)을 저감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장치(50)는 평면에서 볼 때에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크랭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횡장의 장척 원통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장치(50)에 있어서 플라이휠(94) 근처의 부위에 배기가스를 받아들이는 배기 입구관(81)을 설치하고, 배기가스 정화장치(50)에 있어서 냉각 팬(48) 근처의 부위에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출구관(82)을 설치하고 있다. 실린더 헤드(91)의 좌우 측면에 좌측 지지 다리체(113) 및 우측 지지 다리체(114)를 개재하여 배기가스 정화장치(50)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 일단측과 동 타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즉, 좌측 지지 다리체(113) 및 우측 지지 다리체(114)를 개재하여 디젤엔진(20)의 상면측에 배기가스 정화장치(50)를 부착하고 있다. 디젤엔진(20)의 좌우 방향으로 원통 형상의 배기가스 정화장치(50)의 길이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배기 매니폴드(83)의 상방측에 배기가스 정화장치(50)를 위치시키고 있다.
도 13∼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칸막이판체(65)의 하방측에 배기가스 정화장치(50)의 배기가스 도입측(배기 입구측)을 위치시키고, 엔진룸 커버(44)의 하방측에 배기가스 정화장치(50)의 배기가스 인출측(배기 출구측)을 위치시키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장치(50)의 배기가스 도입측에 배기 입구관(81)을 설치하고, 배기가스 정화장치(50)의 배기가스 인출측에는 배기 출구관(82)을 설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장치(50)의 배기 입구관(81)은 터보 과급기(105)의 터빈 케이스(106)를 개재하여 디젤엔진(20)의 배기 매니폴드(83)에 연결하고, 배기 입구관(81)과 배기 매니폴드(83)를 연통시키고 있다. 탈곡장치(5)와 그레인 탱크(7)의 사이에 테일 파이프(84)를 연장 설치시키고, 테일 파이프(84)에 배기 출구관(82)을 연통시키고 있다. 디젤엔진(20)의 배기 매니폴드(83)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정화장치(50)로부터 테일 파이프(84)를 통하여 기체 밖으로 배출된다.
배기가스 정화장치(50)가 사이드 칼럼(15) 하방으로부터 피더하우스(31)를 향해서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고, 사이드 칼럼(15) 하방에 칸막이판체(차열판체)(65)를 장설하고 있다. 그리고, 칸막이판체(65)를 엔진룸 커버(44)의 이중구조부 근방이 되는 높이 위치에 배치한다. 그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장치(50) 등의 가열에 대하여 사이드 칼럼(15)측의 와이어 또는 하니스를 차열판체인 칸막이판체(65)로 간단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칼럼(15) 상면의 조작판체에 개구되는 각 레버(12, 13, 14a, 14b)의 가이드홈 등으로부터 운전 좌석(10b)의 오퍼레이터를 향해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출구관(82)은 주행기체(1)의 좌우 중앙측을 향해서 절곡되고, 또한 칸막이판체(65)의 하방측(탈곡장치(5)와 그레인 탱크(7) 사이로의 입구 부근)에서 후방을 향해서 절곡되어 있다. 즉, 배기 출구관(82)은 평면으로 볼 때 S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장치(50)와 배기 출구관(82)의 길이 중도부는, 평면으로 볼 때에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 축선 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인접하고 있다. 배기 출구관(82)의 후단측과 테일 파이프(84)의 전단측이 연통하고 있다.
배기 출구관(82)은 출구관 지지 브래킷(115)을 개재해서 배기가스 정화장치(50) 지지용의 좌측 지지 다리체(113)에 지지된다. 출구관 지지 브래킷(115)은 좌측 지지 다리체(113) 후방 중도부에서 상방으로 연장 설치된 중계 브래킷(116)과, 중계 브래킷(116) 상단으로부터 엔진룸(43) 내를 향해서(우측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연결 브래킷(117)으로 구성된다. 출구관 지지 브래킷(115)은 연결 브래킷(117)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배기 출구관(82)의 굴곡 부분과 연결되고, 배기 출구관(82)을 지지한다.
도 5∼도 1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일 파이프(84)는 탈곡장치(5)와 그레인 탱크(7)의 사이로부터 후방 상측으로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테일 파이프(84)는 전단측을 하향으로 절곡하고, 중도부를 상향으로 연장시키며, 후단측을 주행 크롤러(2)의 뒷부 상방측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도록 절곡하고 있다. 즉, 테일 파이프(84)는 측면에서 볼 때 크랭크 형상으로 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84)의 후단측은 후방 비스듬히 하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테일 파이프(84)의 후단측은 후단 개구부가 탈곡장치(5)측을 향하도록, 후방 비스듬히 좌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배기 출구관(82) 후단측의 배기 출구 외경보다 테일 파이프(84) 전단측의 배기 입구 내경을 크게 형성하고 있다. 배기 출구관(82)의 배기 출구에 테일 파이프(84)의 배기 입구를 느슨하게 끼우는 형상으로 피감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배기 출구관(82)의 배기 출구와 테일 파이프(84)의 배기 입구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테일 파이프(84) 내부로 외부공기가 부압 흡인되게 된다.
도 15∼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일 파이프(84)가 내측관(84a)과 외측관(84b)에 의한 이중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측관(84a) 외측과 외측관(84b) 내측을 복수의 스페이서(84c)로 접속하고, 외측관(84b) 내측에 내측관(84a)이 고정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84) 선단(배기 입구)에 있어서 내측관(84a)이 외측관(84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배기 출구관(82)의 후단(배기 출구)이 테일 파이프(84)의 내측관(84a) 선단(배기 입구)에 삽입된다. 내측관(84a)은 배기가스 이동 방향을 따라서 외측관(84b)의 중도부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배기 출구관(82)으로부터 테일 파이프(84)로 배기 가스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배기 출구관(82)으로부터 테일 파이프(84)와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테일 파이프(84) 내를 흐르는 배기가스를 외부공기로 냉각시킨다.
테일 파이프(84)는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을 개재하여 좌측 지주 프레임(71)에 지지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은 테일 파이프(84)의 내측관(84a) 및 외측관(84b) 각각과 연결됨과 아울러, 좌측 지주 프레임(71)으로부터 분기된 흡배기 경로 지지 프레임(122)과 연결함으로써 테일 파이프(84)가 좌측 지주 프레임(71)에 지지된다. 흡배기 경로 지지 프레임(122)은 좌측 지주 프레임(71) 후방 좌측에 위치하고, 좌측 지주 프레임(71) 중도부에서 윗 방향으로 좌측 지주 프레임(71)과 평행하게 되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은 상하로 연장 설치시킨 연결 플레이트(제 1 연결부)(119)와, 연결 플레이트(119) 하단으로부터의 전방으로 연장 설치시킨 연결 파이프(제 2 연결부)(120)를 구비한 L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플레이트(119)의 상단에 테일 파이프(84)의 외측관(84b)의 중도부가 용접 고정됨과 아울러, 연결 플레이트(119)의 중도부가 중계 플레이트(121)를 개재해서 흡배기 경로 지지 프레임(122)과 연결되어 있다. 연결 파이프(120) 전단에 내측관(84a) 전단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84)의 내측관(84a) 및 외측관(84b) 각각의 전단이 복수의 스페이서(84c)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고, 스페이서(84c)의 하나와 연결 파이프(120)가 연결됨으로써 내측관(84a)이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에 고정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84)가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을 개재해서 지주 프레임(71)에 고정되는 한편, 배기 출구관(82)이 출구관 지지 브래킷(115)을 개재해서 엔진(20)에 고정된다. 즉, 분리 접속한 배기 출구관(82) 및 테일 파이프(84) 각각을 배기 출구관(82) 및 테일 파이프(84) 각각과 동일 진동계로 되는 엔진(20) 및 주행기체(1) 각각에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기 출구관(82) 및 테일 파이프(84)가 다른 진동계로부터의 영향을 받을 일이 없어, 파손 또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젤엔진(20)의 진동계로부터 테일 파이프(84)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디젤엔진(20)측과 주행기체(1)측의 진동 주파수의 차이에 기인해서 테일 파이프(84)를 파손시킬 우려를 현격하게 억제할 수 있다.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을 L자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테일 파이프(84)를 엔진룸(43) 내에 배기 입구가 신장되도록 고정할 수 있고, 배기 출구관(82)으로부터 배기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테일 파이프(84)에서 충분하게 냉각해서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내측관(84a) 및 외측관(84b) 각각을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으로 고정함으로써 외측관(84b)에 대한 내측관(84a)의 상대 위치를 유지시켜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의 양단 위치에서 내측관(84a)과 외측관(84b)을 분배해서 고정하기 때문에 테일 파이프(84)의 이중관 구조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다. 내측관(84a)의 배기 출구 부분에 마주 대하는 위치에서 외측관(84b)이 연결 플레이트(119)와 연결됨으로써 내측관(84a)의 배기 출구 부분이 스페이서(84c)를 개재해서 연결 플레이트(119)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외측관(84b) 내 중도부까지 신장된 형상의 내측관(84a)의 양단을,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에 의해 지지하게 되어 내측관(84a)과 외측관(84b)을 단면 동축에 고정할 수 있다.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은 중계 플레이트(121)를 개재하여 흡배기 경로 지지 프레임(122)의 배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의 연결 플레이트(119)는 상하 길이로 상하로 늘어서는 조절 장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이 중계 플레이트(121)에 대하여 상하 부착위치 조절 가능하게 볼트 체결된다. 또한, 중계 플레이트(121)는 좌우 길이로 상하로 늘어서는 조절 장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중계 플레이트(121)가 흡배기 경로 지지 프레임(122)에 대하여 좌우 부착위치 조절 가능하게 볼트 체결된다. 따라서,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 및 중계 플레이트(121)의 체결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테일 파이프(84)의 지지 위치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고, 가공 오차나 장착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119)에 좌우 길이의 조절 장구멍을 형성하는 한편, 중계 플레이트(121)에 상하 길이의 조절 장구멍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에어클리너(49)는 외기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이는 신선공기 도입부가 되는 프리클리너(85)와 연통하고 있다. 프리클리너(85)는 테일 파이프(84)와 같이, 탈곡장치(5) 및 그레인 탱크(7)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탈곡장치(5) 및 그레인 탱크(7) 상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프리클리너(85)는 프리클리너 지지 브래킷(126)을 개재해서 양곡 컨베이어(60) 앞면에 고정되고, 양곡 컨베이어(60)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프리클리너(85)의 하단(흡기 출구)이 벨로즈관(86)을 개재해서 금속관(철관)으로 구성된 흡기관(87)의 상단(흡기 입구)과 연결되어 있다.
흡기관(87)은 테일 파이프(84)보다 우측(운전부(10)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탈곡장치(5) 상방에 배치된 프리클리너(85)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벨로즈관(86)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즉, 디젤엔진(20)의 흡기 경로가 배기 경로보다 운전 좌석(10b)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흡기 경로 중 배기 경로에 가까운 개소의 흡기관(87)이 금속관으로 구성된다. 흡기관(87)은 사이드 칼럼(15) 후방의 조작구 케이스(17)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테일 파이프(84)와 함께 좌측 지주 프레임(7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즉, 조작구 케이스(17)는 사이드 칼럼(15) 후방이며 테일 파이프(84) 및 흡기관(87)의 전방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운전 좌석(10b)과 테일 파이프(84) 사이에 조작구 케이스(17) 및 흡기관(87)이 늘어서서 배치된다. 그 때문에, 운전 좌석(10b) 후방에 있어서 조작구 케이스(17) 및 흡기관(87)을, 테일 파이프(84)로부터의 배출열을 차단하는 차열 부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전 좌석(10b)에 오르는 오퍼레이터에게 테일 파이프(84)로부터의 열기가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기관(87)이 금속관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테일 파이프(84)로부터의 열영향에 의한 변형 등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흡기 경로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흡기관(87)은 흡기관 지지 브래킷(123)을 개재하여 좌측 지주 프레임(71)에 고정되어 있고, 테일 파이프(84)와 대략 동일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기관(87)의 하단(흡기 출구)이 테일 파이프(84)의 전단(배기 입구)과 거의 동일 높이에 위치하고, 흡기관(87)의 상단(흡기 입구)이 테일 파이프(84)의 후단(배기 출구)과 거의 동일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흡기관(87)의 설치 영역은 테일 파이프(84)의 설치 영역보다 넓게 해도 관계없다.
흡기관 지지 브래킷(123)은 흡기관(87) 중도부와 연결됨과 아울러, 좌측 지주 프레임(71)으로부터 분기된 흡배기 경로 지지 프레임(122)과 연결됨으로써 흡기관(87)이 좌측 지주 프레임(71)에 지지된다. 흡기관 지지 브래킷(123)은 흡기관(87) 중도부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됨과 아울러, 배면에 볼트 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흡배기 경로 지지 프레임(122)에 고정된 중계 플레이트(124)에 볼트 체결된다. 중계 플레이트(124)는 흡배기 경로 지지 프레임(122) 상단에 용접 고정되어 있고, 흡기관 지지 브래킷(123)과의 연결 부분을 흡배기 경로 지지 프레임(122) 전방으로 연장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흡기관 지지 브래킷(123)은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보다 전방에서 흡배기 경로 지지 프레임(122)에 고정되게 된다.
중계 플레이트(124)는 평면으로 볼 때에 크랭크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방에 흡기관 지지 브래킷(123)과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한편, 후방에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과 연결한 중계 플레이트(121)의 연결부를 구비한다. 즉, 중계 플레이트(124)를 평면으로 보아 크랭크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흡기관 지지 브래킷(123)과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을 중계 플레이트(124)의 전후에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중계 플레이트(124)에 있어서 흡기관 지지 브래킷(123)과의 연결 부분은 흡배기 경로 지지 프레임(122)보다 좌측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탈곡장치(5)의 우측면 전방에 일단이 접속된 전방 지지 프레임(127)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중계 플레이트(124)의 배면측에는 탈곡장치(5)의 우측면 후방에 일단이 접속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후방 지지 프레임(128)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다.
흡배기 경로 지지 프레임(122)에 흡기관(87) 및 테일 파이프(84)를 집중적으로 지지시킴으로써 지지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고, 엔진(20)의 흡배기 경로의 조립성 및 메인터넌스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중계 플레이트(124)에 의해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과 흡기관 지지 브래킷(123)의 상대 위치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흡기 경로와 배기 경로에 적절한 간극을 형성해서 배치할 수 있고, 흡배기에 있어서의 상호의 열적 영향을 용이하게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흡기관 지지 브래킷(123) 및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118)과 연결하는 중계 플레이트(124)가 탈곡장치(5)의 전후 각각에 연결한 전방 및 후방 지지 프레임(127, 128)에 의하여 전후에서 협지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탈곡장치(5)에 의해 흡배기 경로 지지 프레임(122)의 강성이 확보되게 되고, 엔진(20)의 흡배기 경로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엔진(20)의 흡기 경로에 있어서 에어클리너(49)와 흡기관(87) 사이에 프리클리너(85)로부터의 흡기음을 감쇠시키는 감쇠기(88)를 개재시키고 있다. 감쇠기(88)는 흡기관(87)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흡기관(87)의 하단(배기 출구)과 상류측 흡기 중계관(89)을 개재해서 연통하고 있다. 상류측 흡기 중계관(89)은 평면으로 보아 U자 형상을 갖고 있고, 흡기관(87)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감쇠기(88)의 좌측면의 흡기 입구와 연결되어 있다.
도 16∼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쇠기(88)는 흡기관 지지 브래킷(123) 하방에서 좌측 지주 프레임(71)과 연결한 감쇠기 지지 브래킷(129)에 의하여 캔틸레버 지지되어 있고, 배기가스 정화장치(50) 후방이며 측면에서 볼 때 엔진(20)의 EGR장치(96)와 테일 파이프(84) 사이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류측 흡기 중계관(89)은 테일 파이프(84)의 하방을 우회해서 굴곡하고, 감쇠기(88)와 연결되어 있다.
감쇠기(88)는 에어클리너(49) 하방 좌측에 배치되어 있고, 감쇠기(88)의 흡기 출구가 하류측 흡기 중계관(90)에 의해 에어클리너(49)의 흡기 입구와 연통하고 있다. 흡기 중계관(90)은 에어클리너(49) 하측이며 감쇠기(88) 우측에 위치하고 있고, 정면으로 볼 때 L자 형상으로 구성하고, 배기 입구측을 감쇠기(88)의 우측면과 연결하는 한편, 배기 출구측을 에어클리너(49) 하면과 연결하고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장치(50)와 감쇠기(88) 사이에는 배기 출구관(82)을 지지하는 출구관 지지 브래킷(115)이 배치되어 있다. 출구관 지지 브래킷(115)의 연결 브래킷(117)이 감쇠기(88)와 동일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감쇠기(88) 앞면이 출구관 지지 브래킷(115)의 연결 브래킷(117)에 의해 덮여진다. 이것에 의해, 감쇠기(88)가 배기가스 정화장치(50)로부터의 방사열을 받기 어려워진다. 출구관 지지 브래킷(115)의 연결 브래킷(117)이 칸막이판체(65)의 배면판(65c)과 같은 좌우 방향(엔진(20)의 출력축(20a)과 동일 방향)으로 폭이 넓게 구성되기 때문에, 엔진룸(43) 내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를 예취장치(3)의 피더하우스(31)측으로 유도하여 엔진룸(43) 내에서의 냉각 공기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엔진룸(43) 내에 있어서 에어클리너(49)와 감쇠기(88)가 평면에서 볼 때에 좌우로 배치되는 한편, 흡기관(87)과 감쇠기(88)가 평면에서 볼 때에 전후로 배치된다. 따라서, 엔진(20)의 흡기 경로의 각 부품을 효율적으로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흡기 경로를 단척화 할 수 있다. 또한, 엔진룸(43) 내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장치(50) 후방에서 배기 출구관(82)을 사이에 두고 에어클리너(49)와 감쇠기(88)가 좌우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룸(43) 내에 있어서 엔진(20)의 흡기 경로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고온의 발열체로 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50)로부터의 열적 영향을 억제하면서도, 엔진(20)의 흡배기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배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운전부(10)를 천장 개방형의 콤바인을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도 24∼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 좌석(10b)을 내장한 캐빈(10x)을 운전부(10)로서 탑재하는 콤바인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24∼도 26에 나타내는 콤바인은 캐빈(10x) 하방에 엔진룸(43)을 구성하고 있고, 엔진룸(43) 내의 배기가스 정화장치(50)가 피더하우스(31) 상면측으로부터 육안 확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와 같이 캐빈(10x) 후방에 엔진(20)의 흡기 경로 및 배기 경로가 배치되고, 캐빈(10x)을 지지하는 엔진 프레임에 테일 파이프(84) 및 흡기관(87)이 집중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본원 발명에 따른 콤바인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측을 단지 좌측이라고 칭하고, 마찬가지로 전진 방향을 향해서 우측을 단지 우측이라고 칭한다. 도 1∼도 4를 참조하여 실시형태의 콤바인을 설명한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2)(주행부)에서 지지된 주행기체(1)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기체(1)의 앞부에는 곡간을 예취하면서 거두어 들이는 예취장치(3)가 단동식의 승강용 유압 실린더(4)에 의해 예취 회동 지점축(4a) 둘레로 승강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주행기체(1)에는 급동(51)을 갖는 탈곡장치(5)와, 탈곡 후의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7)가 횡배열 형상으로 탑재되어 있다. 또한, 탈곡장치(5)가 주행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측에 배치되고, 그레인 탱크(7)가 주행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3 참조).
1 : 주행기체 3 : 예취장치
5 : 탈곡장치 7 : 그레인 탱크
15 : 사이드 칼럼 16 : 레버 스위치
17 : 조작구 케이스 18 : 전장박스
20 : 디젤엔진 31 : 피더하우스
43 : 엔진룸 44 : 엔진룸 커버
49 : 에어클리너 50 :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65 : 칸막이판체(차열판체) 65a : 공동부
65b : 저판 65c : 배면판
66 : 칼럼 지지빔 프레임 82 : 배기 출구관
84 : 테일 파이프 84a : 내측관
84b : 외측관 84c : 스페이서
85 : 프리클리너 86 : 벨로즈관
87 : 흡기관 88 : 감쇠기
113, 114 : 지지다리체 115 : 출구관 지지 브래킷
116 : 중계 브래킷 117 : 연결 브래킷
118 : 테일 파이프 지지 브래킷 119 : 연결 플레이트
120 : 연결 파이프 121 : 중계 플레이트
122 : 흡배기 경로 지지 프레임 123 : 흡기관 지지 브래킷
124 : 중계 플레이트 125 : 오거 스탠드
126 : 프리클리너 지지 브래킷 127 : 전방 지지 프레임
128 : 후방 지지 프레임 129 : 감쇠기 지지 브래킷

Claims (6)

  1.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장치와, 상기 예취장치에서 예취한 예취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장치와, 상기 예취장치 및 상기 탈곡장치를 장착 설치하는 주행기체와, 상기 주행기체 상의 엔진룸에 내설시키는 엔진과, 상기 엔진룸 상방에 배치된 운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장치가 상기 탈곡장치 앞부의 급구에 연통한 피더하우스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이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운전부에 설치한 운전 조작부가 상기 피더하우스에 인접시켜서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엔진룸으로부터 상기 피더하우스를 향해서 연통하는 공동부가 상기 운전 조작부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동부의 일부가 상기 피더하우스 상방에서 개구되어 있고,
    상기 운전 조작부는 상면에 조작구가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공동부의 상방 및 전방을 덮는 측면에서 볼 때 L자 형상의 칸막이판을 갖고 있고, 상기 칸막이판 상방 및 전방의 공간에 상기 조작구와 연결시킨 링크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판은 상기 피더하우스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배기가스 입구측을 상기 운전 조작부로부터 상기 피더하우스측으로 돌출시켜서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앞면 및 상면을 상기 칸막이판으로 덮음과 아울러,
    상기 칸막이판의 하방측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배기가스 도입측 (배기 입구측) 을 위치시키고, 상기 엔진룸 커버의 하방측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배기가스 인출측 (배기 출구측) 을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은 상기 공동부 상방을 덮는 저판과, 상기 공동부 전방을 덮는 배면판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저판은 상기 예취장치를 향해서 하측으로 사행함과 동시에 후방을 향해서 상측으로 사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실린더 헤드에 일단이 연결되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지지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지지 브래킷과,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지지 브래킷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방으로 연장 설치되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배기 출구관을 지지하는 배기관 지지 브래킷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기관 지지 브래킷이 상기 칸막이판에 있어서의 상기 배면판과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흡기 경로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 에어클리너와 감쇠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감쇠기가 상기 에어클리너 하방이며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기관 지지 브래킷이 상기 감쇠기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87005587A 2015-10-16 2016-10-07 콤바인 KR102095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04987 2015-10-16
JP2015204987A JP6484158B2 (ja) 2015-10-16 2015-10-16 コンバイン
PCT/JP2016/080029 WO2017065117A1 (ja) 2015-10-16 2016-10-07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574A KR20180034574A (ko) 2018-04-04
KR102095662B1 true KR102095662B1 (ko) 2020-03-31

Family

ID=5851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587A KR102095662B1 (ko) 2015-10-16 2016-10-07 콤바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84158B2 (ko)
KR (1) KR102095662B1 (ko)
CN (3) CN112425351A (ko)
WO (1) WO20170651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351A (ko) * 2001-03-13 2001-07-25 정영선 보안, 안전장치를 가능케하는 축을 이용하는상,하덮개구조의 유골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00079A (ja) * 2017-06-19 2019-01-1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7080021B2 (ja) * 2017-06-21 2022-06-03 株式会社クボタ 農用作業機
WO2019053738A1 (en) * 2017-09-14 2019-03-21 Tirth Agro Technology Pvt. Ltd. SELF-PROPELLED AXIAL FLOWER HARVESTER
WO2019189196A1 (ja) * 2018-03-28 2019-10-03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および作業機
JP7101581B2 (ja) * 2018-09-28 2022-07-15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CN110617138B (zh) * 2018-06-19 2022-08-23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半喂入联合收割机、收割机
JP7370839B2 (ja) * 2019-12-09 2023-10-30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7404189B2 (ja) * 2020-06-30 2023-12-25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12492967A (zh) * 2020-11-03 2021-03-16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用于高茎秆作物的收获机及其方法
JP7484880B2 (ja) 2021-12-28 2024-05-16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23184167A (ja) * 2022-06-17 2023-12-28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224A (ja) * 1998-10-08 2000-04-25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08072927A (ja) * 2006-09-20 2008-04-03 Yanmar Co Ltd エンジン吸気構造
JP2011135846A (ja) * 2009-12-29 2011-07-14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コンバイン
JP2015015938A (ja) * 2013-07-12 2015-01-29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5150975A (ja) 2014-02-13 2015-08-24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61966Y (zh) * 2002-07-30 2003-07-23 梁少明 空气压缩机进气滤清消声器
CN2875885Y (zh) * 2006-01-25 2007-03-0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具有消音隔热作用的汽车前壁板结构
JP5908222B2 (ja) * 2011-06-10 2016-04-26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JP5945475B2 (ja) 2012-08-24 2016-07-05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968764B2 (ja) * 2012-11-15 2016-08-1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MY171022A (en) * 2012-12-19 2019-09-23 Iseki Agricult Mach Combine
JP5995708B2 (ja) * 2012-12-27 2016-09-21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292888B2 (ja) 2014-01-10 2018-03-1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2015142514A (ja) * 2014-01-31 2015-08-06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224A (ja) * 1998-10-08 2000-04-25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08072927A (ja) * 2006-09-20 2008-04-03 Yanmar Co Ltd エンジン吸気構造
JP2011135846A (ja) * 2009-12-29 2011-07-14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コンバイン
JP2015015938A (ja) * 2013-07-12 2015-01-29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5150975A (ja) 2014-02-13 2015-08-24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351A (ko) * 2001-03-13 2001-07-25 정영선 보안, 안전장치를 가능케하는 축을 이용하는상,하덮개구조의 유골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5117A1 (ja) 2017-04-20
CN115643892A (zh) 2023-01-31
CN112425351A (zh) 2021-03-02
KR20180034574A (ko) 2018-04-04
JP2017074027A (ja) 2017-04-20
CN108135130B (zh) 2020-12-15
CN108135130A (zh) 2018-06-08
JP6484158B2 (ja)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662B1 (ko) 콤바인
JP5968764B2 (ja) コンバイン
KR20240063201A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JP2016158591A (ja) コンバイン
JP2016029895A (ja) コンバイン
JP6226299B2 (ja) コンバイン
JP6245758B2 (ja) コンバイン
JP6542098B2 (ja) コンバイン
JP5945220B2 (ja) コンバイン
JP6226298B2 (ja) コンバイン
JP6353353B2 (ja) コンバイン
JP2015119680A (ja) コンバイン
JP2015119678A (ja) コンバイン
WO2015098580A1 (ja) コンバイン
JP6158113B2 (ja) 作業車両
JP6209137B2 (ja) コンバイン
JP6173207B2 (ja) コンバイン
JP5945219B2 (ja) コンバイン
JP2016029894A (ja) コンバイン
JP2015119679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