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083B1 - 수확기 - Google Patents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083B1
KR101710083B1 KR1020140115279A KR20140115279A KR101710083B1 KR 101710083 B1 KR101710083 B1 KR 101710083B1 KR 1020140115279 A KR1020140115279 A KR 1020140115279A KR 20140115279 A KR20140115279 A KR 20140115279A KR 101710083 B1 KR101710083 B1 KR 101710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moving block
axis
engine
tra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410A (ko
Inventor
권승귀
김재선
Original Assignee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5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083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선단에 예취부가 설치되고 상기 예취부의 후방으로 운전석이 구비된 주행기체와, 상기 주행기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예취부에서 베어낸 작물을 탈곡하고 선별하는 탈곡선별부와, 상기 주행기체에 구비된 운전석의 하부에 설치되는 엔진 및 상기 엔진의 후방에 설치되며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후처리장치는 배기가스가 후처리장치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이동경로와 주행기체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 엔진의 가동에 따라 발생하는 공해물질을 감소시키는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엔진룸에 설치함에 있어 엔진룸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 수확기의 구조 변경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제품의 생산원가 상승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확기{HARVESTER}
본 발명은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가동에 따라 발생하는 공해물질을 감소시키는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엔진룸에 설치함에 있어서 후처리장치를 주행기체의 주행방향과 배기가스가 후처리장치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이동경로와 평행하게 배치시켜 엔진룸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 수확기의 구조 변경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제품의 생산원가 상승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수확기(havester)는 농토 위를 주행하면서 벼, 보리, 밀, 목초종자(牧草種子) 등을 예취함과 동시에 탈곡 및 선별작업을 하는 농업용 기계이다. 이러한 수확기는 논밭 위를 주행하면서 벼, 보리 밀 등의 작물을 예취한 후에 탈곡을 하고 선별과 정선을 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수확기는 작업 특성상 강력한 견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디젤을 연료로 하는 디젤엔진이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디젤엔진은 이미 알려져 있듯이 다른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에 비해 유해가스 및 공해물질이 다량 배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환경문제로 인한 배기가스를 강하게 규제하는 추세에서 그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한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유럽이나 북미 등의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Tier 4 수준의 환경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해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시기를 지연하고, 배기가스 재순환장치를 사용하여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저감하며, 입자상 물질을 감소시키기 위해 연소성능을 개선하는 엔진의 개발 및 배기가스 오염도를 낮추기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개발 등이 있다.
그러나, 수확기는 다른 농작업 차량 예컨대, 트랙터(tractor) 등과 비교하여 수확장치(예취장치), 탈곡장치, 곡물탱크(grain tank)등의 다양한 장치를 가지기 때문에,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여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공간적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종래에는 탈곡장치의 상방이나 주행기체의 하방에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탈곡장치의 상방이나 주행기체의 하방측에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배치하는 경우 해당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은 물론, 정비성 측면에서 용이하지 못하다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수확기의 제한된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면서 정비성을 고려한 후처리장치의 효율적 배치가 요구된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처리를 위해 채택되는 디젤입자필터(DPF)는 처리 대상물인 PM을 고온 연소시켜 처리하기 때문에 일정의 고온환경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것과 같이 탈곡장치의 상방이나 주행기체의 하방에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배치하는 구성에서는,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온도를 고온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곤란하며, 이로 인해 정화처리 성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후처리장치를 엔진의 상부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이 후처리장치가 엔진의 상부에 설치되면 엔진의 상부에 마련되는 운전석의 위치가 높아짐으로써 수확기의 외형변경이 불가피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전장설계가 수반되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수확기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후처리장치가 엔진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 후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이 운전석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운전석과 후처리장치 사이에 단열수단이 마련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KR 10-2014-0014477 A (2014.02.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엔진의 가동에 따라 발생하는 공해물질을 감소시키는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엔진룸에 설치함에 있어 엔진룸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기존 수확기의 구조 변경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제품의 생산원가 상승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수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선단에 예취부가 설치되고 상기 예취부의 후방으로 운전석이 구비된 주행기체와, 상기 주행기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예취부에서 베어낸 작물을 탈곡하고 선별하는 탈곡선별부와, 상기 주행기체에 구비된 운전석의 하부에 설치되는 엔진 및 상기 엔진의 후방에 설치되며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후처리장치는 배기가스가 후처리장치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이동경로와 주행기체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처리장치는 배기가스가 후처리장치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이동경로와 주행기체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배치시키되 주행기체의 섀시로부터 상부로 이격시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처리장치는 그 표면이 단열재에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처리장치는 상기 주행기체의 섀시에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처리장치는 상기 주행기체의 섀시 상면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된 리프팅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리프팅 프레임은 하부가 상기 주행기체의 섀시에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후처리장치가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프팅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승강시켜 후처리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방진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방진부재의 상부에 상기 후처리장치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후처리장치의 하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후처리장치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처리장치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기체의 주행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X축 이동블록과, 상기 X축 이동블록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기체의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후처리장치의 하부에 고정되는 Y축 이동블록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X축 이동블록에 제각기 설치되어 각각 X축 이동블록과 Y축 이동블록의 이동을 단속하는 X축 스토퍼 및 Y축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면에 X축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X축 이동블록의 하면은 상기 X축 가이드 홈에 부합하는 X축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X축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에서 상기 X축 이동블록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X축 가이드 슬롯을 관통하여 X축 이동블록에 나사 체결되어 X축 스토퍼의 조임에 따라 X축 이동블록의 이동을 단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X축 이동블록은 상면에 Y축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Y축 이동블록의 하면은 상기 Y축 가이드 홈에 부합하는 Y축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Y축 스토퍼는 상기 X축 이동블록의 측면에서 상기 Y축 이동블록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Y축 가이드 슬롯을 관통하여 Y축 이동블록에 나사 체결되어 Y축 스토퍼의 조임에 따라 Y축 이동블록의 이동을 단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주행기체는 상기 후처리장치를 외부와 격리시키는 챔버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챔버는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방출되는 폐열을 상기 탈곡선별부로 전달하여 탈곡된 작물을 건조시키는 열전달 유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전달 유로 상에는 송풍기가 마련되어 탈곡선별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행기체는 상기 후처리장치와 엔진 사이에 설치되어 후처리장치 또는 엔진에서 방출되는 열 이동을 차단하는 격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에 의하면, 엔진의 후방에 후처리장치가 설치되어 운전석의 하부에 형성되는 엔진 룸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할 필요없이 후처리장치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 룸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처리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기존 수확기의 구조 변경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제품의 생산원가 상승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과 후처리장치 사이에 위치조절수단이 설치되어, 후처리장치를 설치할 때 엔진의 배기매니폴더로부터 인출된 배기배관과 후처리장치의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진 룸의 배치 상황에 따라 후처리장치를 X축과 Y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게 때문에 엔진 룸에 배치된 다른 기기와 후처리장치가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어 신속하게 후처리장치를 엔진의 후방에 설치할 수 있다.
특히, 후처리장치가 엔진의 후방에 설치될 때 후처리장치를 배기가스가 후처리장치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이동경로와 주행기체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엔진과 후처리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배기배관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처리장치를 통과한 정화된 배기가스를 수확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후처리장치와 연결되는 배기관을 짧게 형성할 수 있어 결국 엔진 룸 상에서 배기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전체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 시킬 수 있어 엔진 룸의 공간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는 엔진의 후방에 설치된 후처리장치에서 방출되는 열을 탈곡선별기로 안내하여 탈곡된 작물을 건조시킬 수 있어 탈곡선별부에 탈곡된 작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별도의 열원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수확기의 구조를 단순화 시킬 뿐만 아니라 폐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확기 중 엔진 룸에 탑재된 엔진과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엔진 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엔진 룸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확기 중 엔진 룸에 설치되는 후처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확기 중 엔진 룸에 설치되는 후처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확기 중 엔진 룸에 설치되는 위치조절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수단이 엔진 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수단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장치의 표면에 단열부재가 피복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확기 중 엔진 룸에 설치되는 챔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확기 중 엔진 룸에 설치되는 열전달 유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수확기 중 엔진 룸에 탑재된 엔진과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엔진 룸의 측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 중 격막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장치(101)에 의해 지지되는 주행기체(100)를 포함하고, 주행기체(100)의 선단에는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110)가 설치되며, 주행기체(100)의 일측면에는 예취부(110)에서 예취단 작물을 탈곡하여 선별 후 저장하는 탈곡선별부(200)가 설치된다.
부연하자면, 예취부(110)는 작물을 예취자세로 일으켜 세우는 걷어올림장치,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날, 예취날에 의해 예취된 작물을 후방으로 공급하는 작물 공급장치 등이 설치된다. 또한, 작물 공급장치는 예취된 작물의 이삭을 걸어 반송하는 상부 반송체인, 예취된 작물의 밑동을 반송하는 종반송체인, 상부 반송체인 및 종반송체인으로부터 작물을 받아 탈곡선별부(200)의 피드체인으로 반송하는 보조반송체인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작물 공급장치의 구성은 작업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탈곡선별부(200)는 예취부(110)에서 이송된 예취된 작물을 수취하여 탈곡하는 탈곡드럼과 탈곡된 작물을 선별하여 저장하는 저장탱크(210) 및 저장탱크(210)에 취부되어 저장된 작물을 배출하는 배출오거(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는 예취부(110)의 후방으로 운전석(120)이 마련되는데, 운전석(120)은 예취부(110)의 후방에서 주행기체(100)의 상방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
특히, 주행기체(100)로부터 상방을 향해 이격된 운전석(120)의 하부에는 크롤러 주행장치(101)와 예취부(110) 및 탈곡선별부(200)가 작동할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300)이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주행기체(100)와 운전석 사이에 엔진(300)이 설치되는 공간을 편의상 엔진 룸(E)이라 칭한다.
상기와 같이 엔진 룸(E)에 설치되는 엔진(300)은 디젤유의 연소에 의해 동력을 얻게 되는데, 디젤유는 그 특성상 유해가스 및 공해물질이 다량 배출된다. 따라서, 엔진(300)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 및 공해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후처리장치(400)가 엔진(300)의 후방에 설치된다.
이렇게 엔진 룸(E)에 설치된 엔진(300)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장치(400)는 바람직하게 배기가스에 포함된 일산화탄소(CO) 및 탄화수소(HC)를 제거하는 디젤 산화 촉매(DOC;Diesel Oxidation Catalyst, 이하 'DOC'라 한다)(410)와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PM;매연을 포함한 다양한 입자상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디젤 입자 필터(DPF;Diesel Particulate Filter, 이하 'DPF'라 한다)(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후처리장치는 앞서 설명한 DOC와 DPF의 구성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 DOC(410)와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의 구성에 의해 엔진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정화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는 운전석(120)의 하부에 마련된 엔진(300)의 후방에 후처리장치(400)가 설치될 때 배기가스가 후처리장치(400)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이동경로와 주행기체(100)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확기 중 엔진 룸에 탑재된 엔진과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엔진 룸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엔진 룸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확기 중 엔진 룸에 설치되는 후처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확기 중 엔진 룸에 설치되는 후처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엔진(3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처리장치(400)는 엔진(300)의 배기매니폴더로부터 인출된 배기배관(310)과 연결되어 배기배관(310)을 통해 배기가스가 엔진(300)에서 후처리장치(40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배기배관(310)과 후처리장치(400)가 연결될 때 배기배관(310) 상에는 엔진(300)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주름관이 마련된다.
그리고, 후처리장치(40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관의 형태를 이루는 DOC(410)와 DPF(420)를 따라 흐르면서 정화되며, 후처리장치(400)에서 정화된 배기가스는 소음기(미도시)를 거쳐 수확기의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소음기는 앞설 설명과 같이 후처리장치(400)에서 정화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도록 후처리장치(400)의 선단에 마련된 엔진(300)과 후처리장치(400)를 연결하는 배기배관(310)과 대응하도록 후처리장치(400)의 기단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엔진(300)과 후처리장치(400)를 연결하는 배기배관(310) 상에 소음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엔진(3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처리장치(400)는 주행기체(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부연하자면, 주행기체(100)는 격자형의 매트릭스 구조를 갖고 주행기체(100)의 뼈대를 이루는 섀시(130)와 섀시(130)의 하부에 설치되는 크롤러 주행장치(101)로 구성되어 크롤러 주행장치(101)의 작동에 따라 주행기체가 전진 및 후진 또는 선회하게 되는데, 후처리장치(400)는 주행기체(100)의 섀시(130)에 취부된다.
이때, 주행기체(100)의 섀시(130)에 후처리장치(400)가 취부되기 위해 후처리장치(400)의 하부에는 베이스 프레임(610)이 마련되어 베이스 프레임(610)이 섀시(130)에 고정된 상태에서 후처리장치(400)가 베이스 프레임(610)의 상부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주행기체(100)의 섀시(130)에 후처리장치(400)가 취부될 때 후처리장치(400)는 배기가스가 후처리장치(400)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이동경로와 주행기체(100)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엔진 룸(E)의 공간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즉, 후처리장치(4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의 형태를 갖는 DOC(410)와 DPF(420)가 연결된 형태를 갖기 때문에 후처리장치(400)의 너비에 비해 길이(배기가스가 후러치장치에서 이동하는 방향)가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후처리장치(400)가 엔진(300)의 후방에 설치될 때 후처리장치(400)를 배기가스가 후처리장치(400)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이동경로와 주행기체(100)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엔진(300)과 후처리장치(400)를 연결하기 위한 배기배관(310)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처리장치(400)를 통과한 정화된 배기가스를 수확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후처리장치(400)와 연결되는 배기관을 짧게 형성할 수 있어 결국 엔진 룸(E) 상에서 배기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전체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 시킬 수 있어 엔진 룸(E)의 공간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후처리장치(400)의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프레임(610)은 바람직하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장치(400)의 하면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610)이 후처리장치(400)의 하면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게 되면 베이스 프레임(610)과 후처리장치(400)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후처리장치(400)를 안정적으로 취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610)에 장착되는 후처리장치(400)는 클램프(611a)가 형성된 스트랩(611)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610)에 고정되는데, 스트랩(611)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띠의 형태를 갖고 스트랩(611)의 양단에 클램프(611a)가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610)의 상면에 후처리장치(400)가 안치되었을 때 스트랩(611)이 후처리장치(400)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게 된다.
이때, 스트랩(611)은 도 6과 같이 베이스 프레임(610)을 관통하여 후처리장치(400)를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스트랩(611)의 기단이 베이스 프레임(610)에 고정되고 스트랩(611)의 선단에 클램프(611a)가 형성되어 상대편 스트랩(611)의 클램프(611a)와 결속됨으로써 후처리장치(400)를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610)이 주행기체(100)의 섀시(130)에 고정될 때 방진부재(140)가 구비되어 주행기체(100)가 주행할 때 발생하는 진동 또는 엔진(300)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이 후처리장치(400)로 전달되지 않도록 감쇄하게 된다.
이러한, 방진부재(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610)의 상면에 후처리장치(400)의 하면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형 방진부재(140a)이거나 또는 주행기체(100)의 섀시(130)와 베이스 프레임(610)을 고정하기 위한 섀시(130)와 베이스 프레임(61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에 개재되는 원통의 형상을 갖는 방진부재(140b)일 수 있다.
특히, 섀시(130)와 베이스 프레임(61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에 원통형 방진부재(140b)가 마련되는 경우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부분의 베이스 프레임(610) 상면과 하면에 각각 원통형 방진부재(140b)가 구비되어 체결볼트에 의해 섀시(130)와 베이스 프레임(610)이 고정될 때 섀시(130)와 베이스 프레임(610)의 사이 및 체결볼트의 헤드에 원통형 방진부재(140b)가 위치하여 섀시(130)를 통해 진동이 후처리장치(4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후처리장치(4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진동이 후처리장치(4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부재(140)는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엔진(300)의 후방에 후처리장치(400)가 설치되면 운전석(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엔진 룸(E)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할 필요없이 후처리장치(400)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 룸(E)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처리장치(400)를 설치함에 있어 기존 수확기의 구조 변경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제품의 생산원가 상승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
한편, 엔진(3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처리장치(400)는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주행기체(100)의 섀시(130)에 베이스 프레임(610)이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610)의 상부에 후처리장치(400)가 설치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주행기체(100)의 섀시(130)와 후처리장치(400) 사이에 위치조절수단이 설치되어 후처리장치가 엔진 룸에 설치될 때 또는 엔진 룸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 공간이 필요할 때 후처리장치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도 8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확기 중 엔진 룸에 설치되는 위치조절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수단이 엔진 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수단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위치조절수단(6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6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기체(100)의 주행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X축 이동블록(620)과, 상기 X축 이동블록(6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기체(100)의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후처리장치(400)의 하부에 고정되는 Y축 이동블록(63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610)과 X축 이동블록(620)에 제각기 설치되어 각각 X축 이동블록(620)과 Y축 이동블록(630)의 이동을 단속하는 X축 스토퍼(640) 및 Y축 스토퍼(650)로 구성되어 Y축 이동블록(630)의 상면에 DOC(410)와 DPF(420)로 이루어진 후처리장치(400)가 설치된다.
이렇게, 위치조절수단(600)의 Y축 이동블록(630) 상면에 후처리장치(400)가 설치될 후처리장치(4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스트랩(611)이 Y축 이동블록(630)의 상면에 마련되어 스트랩(611)이 후처리장치(400)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게 된다.
한편, 베이스 프레임(610)의 상부에 설치되는 X축 이동블록(620)은 하면에 X축 가이드 레일(622)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610)의 상면은 X축 가이드 레일(622)에 부합하는 X축 가이드 홈(612)이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610)의 상부에 X축 이동블록(620)이 안치된다. 이에 따라서, X축 이동블록(620)은 베이스 프레임(610)의 상면에서 X축 방향(주행기체의 주행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610)의 상부에서 X축 이동블록(620)이 슬라이딩할 때 X축 이동블록(620)의 슬라이딩을 구속하는 X축 스토퍼(640)가 베이스 프레임(610)에 마련되는데, X축 스토퍼(640)는 베이스 프레임(610)의 측면에서 X축 이동블록(62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된 X축 가이드 슬롯(614)을 관통하여 X축 이동블록(620)에 나사 체결되어 X축 스토퍼(640)의 조임에 따라 X축 이동블록(620)의 슬라이딩을 구속하게 된다.
그리고, X축 이동블록(620)의 상면에 설치되는 Y축 이동블록(630)은 하면에 Y축 가이드 레일(632)이 형성되며, X축 이동블록(620)의 상면에는 Y축 가이드 레일(632)에 부합하는 Y축 가이드 홈(624)이 형성되어 X축 이동블록(620)의 상면에 Y축 이동블록(630)이 안치된다.
이에 따라서, Y축 이동블록(630)은 X축 이동블록(620)의 상면에서 Y축 방향(X축 이동블록이 슬라이딩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X축 이동블록(620)의 상부에서 Y축 이동블록(630)이 슬라이딩할 때 Y축 이동블록(630)의 슬라이딩을 구속하는 Y축 스토퍼(650)가 X축 이동블록(620)에 마련되는데, Y축 스토퍼(650)는 X축 이동블록(620)의 측면에서 Y축 이동블록(63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된 Y축 가이드 슬롯(626)을 관통하여 Y축 이동블록(630)에 나사 체결되어 Y축 스토퍼(650)의 조임에 따라 Y축 이동블록(630)의 슬라이딩을 구속하게 된다.
이렇게, 위치조절수단(600)이 주행기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610)과 후처리장치(400) 사이에 설치되면, 후처리장치(400)를 엔진 룸(E)에 설치된 엔진(300)의 후방에 설치할 때 엔진(300)의 배기매니폴더로부터 인출된 배기배관(310)과 후처리장치(400)의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엔진 룸(E)의 기타 장치들의 배치상황에 따라 후처리장치(400)를 X축 및 Y축으로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기기들과 후처리장치(400)가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어 신속하게 후처리장치(400)를 엔진(300)의 후방에 설치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한편, 주행기체(100)의 섀시(130) 상부에 설치되는 후처리장치(400)는 그 표면이 단열재(500)에 피복되어 후처리장치(400)가 작동할 때 발생하는 열이 엔진(300)으로 전달되거나 또는 엔진(300)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열이 후처리장치(4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장치의 표면에 단열부재가 피복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처리장치(400)는 그 표면이 단열재(500)에 피복되어 후처리장치(400)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엔진(300)에서 방출되는 열이 후처리장치(4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단열재(500)는 DOC(410) 또는 DPF(420) 중 열 방출이 많은 곳에 선택적으로 피복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DOC(410)와 DPF(420) 각각에 단열재(500)가 피복될 수도 있다.
이때, 후처리장치(400)가 DOC와 SCR로 구성되는 경우 DOC 또는 SCR 중 열 방출이 많은 곳에 단열재(500)가 선택적으로 피복되거나 DOC와 SCR 각각에 단열재(500)가 피복될 수 있다.
이렇게, 후처리장치(400)의 표면을 피복하는 단열재(500)는 경질우레탄, 내화성 고무발포재, 유리섬유, 암연 등이 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
한편, 후처리장치(400)와 엔진(300) 간의 열간섭을 차단하도록 앞선 설명에서는 후처리장치(400)의 표면이 단열재(500)로 피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엔진 룸(E)에 설치된 후처리장치(400)를 엔진 룸(E) 상에서 격리시키도록 챔버(70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확기 중 엔진 룸에 설치되는 챔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처리장치(400)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열이 엔진 룸(E) 상에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주행기체(100)는 후처리장치(400)를 엔진 룸(E) 상에서 격리시키는 챔버(700)가 마련된다.
이러한 챔버(700)는 주행기체(100)의 섀시(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후처리장치(400)의 둘레를 감싸 차폐시키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되 챔버(700)의 일측에 후처리장치(400)가 출입할 수 있는 도어(미도시)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챔버(700)의 도어를 개방하여 후처리장치(400)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통로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700)에 설치되는 도어는 힌지를 매개체로 챔버(7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여닫을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주행기체(100)에 마련되는 챔버(700)는 단열을 위해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경질우레탄, 내화성 고무발포재, 유리섬유, 암연을 포함한 판넬의 형태를 갖고 후처리장치(400)의 둘레에 마련됨으로써, 후처리장치(400)에서 발생하는 열이 엔진 룸(E)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챔버(700)는 주행기체(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주행기체(100)의 섀시(130)와 볼트 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필요에 따라 챔버(700)를 분리하여 후처리장치(400)를 엔진 룸(E) 상에 노출시켜 후처리장치(400)를 유지보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 5 실시예
한편, 제 4 실시예와 같이 엔진(3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처리장치(400)를 격리시키는 챔버(700)는 후처리장치(400)에서 방출되는 열을 탈곡선별부(200)로 전달하여 탈곡된 작물을 건조시키는 열전달 유로(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확기 중 엔진 룸에 설치되는 열전달 유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챔버(700)에 의해 엔진 룸(E) 상에서 격리된 후처리장치(400)는 작동 중 발생하는 열이 챔버(700)의 내부에 갇힌 상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챔버(700) 내부의 열을 탈곡선별부(200)로 전달하기 위해 챔버(700)와 탈곡선별부(200)는 열전달 유로(710)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열전달 유로(710)는 챔버(700) 내부의 열이 탈곡선별부(2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덕트의 형태가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열전달 유로(710)는 챔버(700)와 탈곡선별부(200)가 서로 마주하는 부분을 연결하여 열전달 유로(710)가 최단거리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챔버(700) 내부의 열이 열전달 유로(710)를 통해 탈곡선별부(200)로 전달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열전달 유로(710)는 그 내부가 중공된 덕트의 형태로 이루어져 후처리장치(400)에 의해 가열된 챔버(700) 내부의 공기가 덕트를 통해 탈곡선별부(200)로 공급되어 작물을 열풍건조시키거나 또는 챔버(700)와 탈곡선별부(200)가 히트 파이프(미도시)에 의해 연결되고, 탈곡선별부(200) 중 탈곡된 작물이 모이는 부분의 바닥면은 히트 파이프와 연결되는 방열판(미도시)이 설치되어 가열된 방열판에 의해 작물이 건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열전달 유로(710)가 가열된 공기를 챔버(700)에서 탈곡선별부(200)로 전달하도록 덕트의 형태로 구현될 때 덕트에는 챔버(700) 내부의 가열된 공기가 탈곡선별부(200)를 향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후처리장치(400)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열은 챔버(700) 내부로 방출되어 챔버(700) 내부를 승온시켜 챔버(70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가열된 챔버(700) 내부의 공기는 송풍기에 의해 탈곡선별부(200)로 유입되어 탈곡된 작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제 6 실시예
한편, 엔진(3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처리장치(400)는 주행기체(100)의 섀시(130)로부터 상부를 향해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이를 도 14 및 도 1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수확기 중 엔진 룸에 탑재된 엔진과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엔진 룸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처리장치(400)는 주행기체(100)의 섀시(130)로부터 상부를 향해 이격 배치되어 후처리장치(400)의 상단과 엔진(300)의 상단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거나 근소한 차이를 두고 인접하게 된다.
이때, 주행기체(100)의 섀시(130)로부터 후처리장치(400)가 이격 배치되기 위해 후처리장치(400)의 하부에는 베이스 프레임(610)이 마련되어 베이스 프레임(610)에 후처리장치(400)가 고정된다.
이렇게 후처리장치(400)가 취부되는 베이스 프레임(610)은 엔진 룸(E) 상의 구조물에 의해 고정되는데, 베이스 프레임(610)은 예를 들어 주행기체(100)의 일측면에 설치된 탈곡선별부(200)로부터 연장된 서포터(미도시)에 의해 고정되거나 또는 주행기체(100)의 섀시(130) 상면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된 리프팅 프레임(8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610)을 고정하게 되는 리프팅 프레임(800)은 하부가 주행기체(100)의 섀시(130)에 고정되는 기둥의 형상을 갖게 되는데, 리프팅 프레임(800)은 예를 들어 다수의 철재 빔이 원형틀의 기둥, 사각틀의 기둥, 다각틀의 기둥 중 어느 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후처리장치(400)가 주행기체(100)의 섀시(130)로부터 상부를 향해 이격 배치되어 엔진(300)의 상단과 후처리장치(400)의 상단이 비슷한 높이를 갖게 되면 후처리장치(400)와 주행기체의 섀시(130)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렇게 형성된 후처리장치(400)의 하부 공간은 다른 기기들이 설치될 수 있어 엔진 룸(E)의 공간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후처리장치(400)가 엔진(300)의 후방에서 엔진(300)의 상단과 비슷한 높이를 갖도록 주행기체(100)의 섀시(130)로부터 상부를 향해 이격 배치되면 엔진(300)과 후처리장치(400)를 연결하기 위한 배기배관(310)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처리장치(400)를 통과한 정화된 배기가스를 수확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후처리장치(400)와 연결되는 배기관을 짧게 형성할 수 있어 결국 엔진 룸(E) 상에서 배기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전체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 시킬 수 있어 엔진 룸(E)의 공간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 7 실시예
한편, 엔진(3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처리장치(400)는 제 6 실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프팅 프레임(800)의 상부에 마련된 베이스 프레임(610)에 장착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리프팅 프레임(800)에 베이스 프레임(610)을 승강시켜 후처리장치(4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900)과 베이스 프레임(610)을 주행기체의 주행방향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수단(600)이 설치되어 후처리장치(400)가 엔진 룸(E)에 설치될 때 또는 엔진 룸(E)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 공간이 필요할 때 후처리장치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도 16 및 도 1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리프팅 프레임(800)은 베이스 프레임(610)을 승강시켜 후처리장치(4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900)이 마련된다.
이러한 높이조절수단(900)은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리프팅 프레임(800)의 상면에 유압 실린더의 몸체(910)가 고정되고 유압 실린더의 로드(920)가 베이스 프레임(610)의 하면에 고정되어 유압 실린더의 로드(920)가 유압 실린더의 몸체(910)로부터 인출되는 것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610)을 승강시켜 후처리장치(40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높이조절수단(900)의 상단에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610)의 상부에는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위치조절수단(600)이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후처리장치(400)의 위치를 X축 및 Y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후처리장치(400)를 엔진 룸(E) 상에서 다른 기기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어 신속하게 후처리장치(400)를 엔진(300)의 후방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제 4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처리장치(400)를 외부와 격리시키는 챔버(700)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후처리장치(400)와 엔진(300) 사이에 격막(700a)이 설치되어 엔진(300) 작동 시 또는 후처리장치(400)에서 방출되는 열이 엔진(300) 또는 후처리장치(4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도 18 및 도 1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 중 격막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행기체(100)는 후처리장치(400)와 엔진(300) 사이에 설치되어 후처리장치(400) 또는 엔진(300)에서 방출되는 열 이동을 차단하는 격막(700a)이 마련된다.
이러한 격막(700a)은 후처리장치(400)와 엔진(30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격막(700a)의 하단은 주행기체(100)에 고정되며 상단은 엔진(300)의 상단과 유사하거나 이보다 높게 형성된 판넬의 형태로 이루어져 후처리장치(400)와 엔진(300) 간에 열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격막(700a)은 단열을 위해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경질우레탄, 내화성 고무발포재, 유리섬유, 암연을 포함한 판넬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100 : 주행기체 101 : 크롤러 주행장치
110 : 예취부 120 : 운전석
130 : 섀시 140 : 방진부재
200 : 탈곡선별부 300 : 엔진
310 : 배기배관 400 : 후처리장치
410 : DOC 420 : DPF
500 : 단열재 600 : 위치조절수단
610 : 베이스 프레임 611 : 스트랩
611a : 클램프 612 : X축 가이드 홈
614 : X축 가이드 슬롯 620 : X축 이동블록
622 : X축 가이드 레일 624 : Y축 가이드 홈
626 : Y축 가이드 슬롯 630 : Y축 이동블록
632 : Y축 가이드 레일 640 : X축 스토퍼
650 : Y축 스토퍼 700 : 챔버
700a : 격막 710 : 열전달 유로
800 : 리프팅 프레임 900 : 높이조절수단
910 : 몸체 920 : 로드
E : 엔진 룸

Claims (21)

  1. 선단에 예취부가 설치되고 상기 예취부의 후방으로 운전석이 구비된 주행기체;
    상기 주행기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예취부에서 베어낸 작물을 탈곡하고 선별하는 탈곡선별부;
    상기 주행기체에 구비된 운전석의 하부에 설치되는 엔진; 및
    상기 엔진의 후방에 설치되며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후처리장치는 배기가스가 후처리장치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이동경로와 주행기체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배치시키되 주행기체의 섀시로부터 상부로 이격시켜 배치되고,
    상기 후처리장치는 상기 주행기체의 섀시 상면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된 리프팅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리프팅 프레임은 하부가 상기 주행기체의 섀시에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후처리장치가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리프팅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승강시켜 후처리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처리장치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기체의 주행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X축 이동블록;
    상기 X축 이동블록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기체의 주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후처리장치의 하부에 고정되는 Y축 이동블록;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X축 이동블록에 제각기 설치되어 각각 X축 이동블록과 Y축 이동블록의 이동을 단속하는 X축 스토퍼 및 Y축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면에 X축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X축 이동블록의 하면은 상기 X축 가이드 홈에 부합하는 X축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X축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에서 상기 X축 이동블록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X축 가이드 슬롯을 관통하여 X축 이동블록에 나사 체결되어 X축 스토퍼의 조임에 따라 X축 이동블록의 이동을 단속하고,
    상기 X축 이동블록은 상면에 Y축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Y축 이동블록의 하면은 상기 Y축 가이드 홈에 부합하는 Y축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Y축 스토퍼는
    상기 X축 이동블록의 측면에서 상기 Y축 이동블록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Y축 가이드 슬롯을 관통하여 Y축 이동블록에 나사 체결되어 Y축 스토퍼의 조임에 따라 Y축 이동블록의 이동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장치는 그 표면이 단열재에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방진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방진부재의 상부에 상기 후처리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후처리장치의 하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후처리장치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체는 상기 후처리장치를 외부와 격리시키는 챔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방출되는 폐열을 상기 탈곡선별부로 전달하여 탈곡된 작물을 건조시키는 열전달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유로 상에는 송풍기가 마련되어 탈곡선별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체는 상기 후처리장치와 엔진 사이에 설치되어 후처리장치 또는 엔진에서 방출되는 열 이동을 차단하는 격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
KR1020140115279A 2014-09-01 2014-09-01 수확기 KR101710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279A KR101710083B1 (ko) 2014-09-01 2014-09-01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279A KR101710083B1 (ko) 2014-09-01 2014-09-01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410A KR20160026410A (ko) 2016-03-09
KR101710083B1 true KR101710083B1 (ko) 2017-02-24

Family

ID=5553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279A KR101710083B1 (ko) 2014-09-01 2014-09-01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0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4339A (ja) * 2012-10-02 2014-04-24 Komatsu Ltd エンジン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412B1 (ko) * 2011-06-10 2019-06-1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수확기
KR20140014477A (ko) 2012-07-24 2014-02-06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
KR101969969B1 (ko) * 2012-08-23 2019-08-13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4339A (ja) * 2012-10-02 2014-04-24 Komatsu Ltd エンジン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410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794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KR102095662B1 (ko) 콤바인
CN104093912B (zh) 推土机
KR101917966B1 (ko) 엔진 장치
KR102326721B1 (ko) 콤바인
KR101993720B1 (ko) 콤바인
KR20220084210A (ko) 콤바인
KR20190069358A (ko) 수확기
KR101701888B1 (ko) 수확기
KR101710083B1 (ko) 수확기
KR20150083671A (ko) 콤바인
WO2015005389A1 (ja) コンバイン
KR101770709B1 (ko) 수확기
KR20140014477A (ko) 콤바인
KR20150111174A (ko) 콤바인
KR101969969B1 (ko) 콤바인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KR101439120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KR20170135566A (ko) 콤바인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배치구조
KR20170052310A (ko) 콤바인
JP2017074026A (ja) コンバイン
JP2015119680A (ja) コンバイン
KR102155403B1 (ko) 콤바인
JP5698420B1 (ja) ブルドー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