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403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403B1
KR102155403B1 KR1020167011975A KR20167011975A KR102155403B1 KR 102155403 B1 KR102155403 B1 KR 102155403B1 KR 1020167011975 A KR1020167011975 A KR 1020167011975A KR 20167011975 A KR20167011975 A KR 20167011975A KR 102155403 B1 KR102155403 B1 KR 102155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exhaust
engine
gas purification
purifica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2155A (ko
Inventor
히로유키 오고우
마사아키 나가사키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6584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11967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658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11967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6584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11968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65848A external-priority patent/JP6173207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2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40/00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 F01N2340/02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characterised by the distance of the apparatus to the engine, or the distance between two exhaust treating apparatu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40/00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 F01N2340/04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n exhaust pipe, manifold or apparatus in relation to vehicle frame or particular vehic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40/00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 F01N2340/06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exhaust apparatus relative to the turbine of a turbochar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18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the axis of inlet or outlet tubes being other than the longitudinal axis o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엔진(20)에 가능한 한 가까운 위치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배치하는 것이면서, 엔진(20) 및 그 주변 구조의 좌우 폭치수를 길게 하지 않고 컴팩트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원발명의 콤바인은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3)와, 상기 예취 장치(3)로 예취한 예취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5)와, 상기 예취 장치(3) 및 상기 탈곡 장치(5)를 탑재한 주행 기체(1)와, 상기 주행 기체(1) 상의 엔진룸(43) 내에 배치한 엔진(20)과, 상기 엔진(20)의 배기계에 배치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구비한다. 상기 엔진(20)의 상방에는 상기 엔진(20)으로의 공기를 청정화하는 에어클리너(49)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엔진(20)의 출력축(20a)의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예취 장치에 의해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예취면서, 탈곡 장치에 의해 그 예취 곡간을 탈곡해서 곡립을 수확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엔진의 배기가스를 정화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탑재한 콤바인 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콤바인은 주행 기체 전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한 예취 장치측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일부를 돌출시키고, 예취 장치 근처로 편의(偏倚)시켜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배치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엔진룸 천판부를 단이 있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운전 좌석 하방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배치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13-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3-2호 공보
그런데, 콤바인에서는 예취 장치나 탈곡 장치 등의 여러가지 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예취 장치의 우측방에 있는 운전부의 하방에 엔진룸을 형성하고, 상기 엔진룸 내에 엔진을 탑재하고 있다. 최근에는, 콤바인의 컴팩트화·경량화의 요청에 의해 엔진룸의 크기에 제약이 있는 경우가 많다(엔진 탑재 스페이스가 협소한 경우가 많다). 제약이 많은 엔진룸 내에는 엔진뿐만 아니라, 에어클리너나 라디에이터라고 하는 각종 부품을 배치하고 있다.
한편,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까지의 배기계의 배관 길이가 길어 질수록,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도달했을 때의 배기가스의 온도는 당연히 저하한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온도는 소정 온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엔진에 가능한 한 가까운 위치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배치하고 싶다고 하는 요청이 있다.
이들 점을 근거로 해서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엔진에 가능한 한 가까운 위치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배치할 목적에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일부를 예취 장치 근처에 편의시키고, 엔진룸으로부터 약간 돌출시키고 있다. 이 경우에는 엔진 자체도 예취 장치 근처에 배치하여, 엔진의 상면측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부착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 그러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및 엔진의 일부가 엔진룸으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엔진 및 그 주변 구조의 좌우 폭치수가 길어지고, 나아가서는 주행 기체의 좌우 폭치수를 용이하게 컴팩트화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엔진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엔진 진동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직접 전해질 우려가 있고,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는, 예를 들면 머플러와 달라서 상당한 중량물이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지지 구조를 강고한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접속한 배기 출구관 및 상기 배기 출구관에 접속한 테일 파이프에도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경유한 엔진 진동이 전해진다. 이 때문에, 테일 파이프나 배기 출구관의 지지 구조에 대해서도 배려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엔진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엔진룸 내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연통하는 배기 출구관, 라디에이터와 엔진을 연결하는 냉각수 공급관 및 냉각수 복귀관, 및 에어클리너로부터 연장되는 급기관을 엔진룸 내에 수용하게 되지만, 엔진,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및 배기 출구관은 구동에 의해 고온으로 된다. 이 때문에, 엔진 등의 고온부에 냉각수 공급관, 냉각수 복귀관 및 급기관 등의 각 배관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협소한 엔진룸 내에 있어서 각 배관의 배열에 배려가 필요하게 된다.
본원발명은 이들의 현재 상태를 검토해서 개선을 실시한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와, 상기 예취 장치에 의해 예취한 예취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예취 장치 및 상기 탈곡 장치를 탑재한 주행 기체와, 상기 주행 기체 상의 엔진룸 내에 배치한 엔진과, 상기 엔진의 배기계에 배치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상방에는 상기 엔진으로의 공기를 청정화하는 에어클리너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을 사이에 둔 양 측부에 흡기 매니폴드와 배기 매니폴드를 나누어 배치하고, 상기 배기 매니폴드의 상방에 상기 엔진으로의 공기를 과급하는 과급기를 배치하고, 상기 과급기의 상방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배치하는 한편, 상기 흡기 매니폴드의 상방에 상기 엔진의 흡기계로 배기가스를 환류시키는 EGR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EGR 장치의 상방에 상기 에어클리너를 배치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에 냉각팬을 배치하고,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와 반대측의 타측부에 플라이휠을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을 상기 플라이휠 근처에 위치시키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을 상기 냉각팬 근처에 위치시키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연통하는 배기 출구관과, 상기 배기 출구관에 연통하는 테일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상기 엔진에 지지시키는 지지 다리체에 상기 배기 출구관을 연결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상방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와 상기 배기 출구관을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대한 상기 배기 출구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다리체에 상기 배기 출구관을 체결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4 또는 5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에 냉각팬을 배치하고,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와 반대측의 타측부에 플라이휠을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에 상기 플라이휠 근처에 위치시키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을 상기 냉각팬 근처에 위치시키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에 상기 배기 출구관의 일단측을 연결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 다리체에 상기 배기 출구관의 타단측을 연결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연통하는 배기 출구관과 상기 배기 출구관에 연통하는 테일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 입구측의 직경을 상기 배기 출구관의 배기 출구측의 직경보다 대경으로 구성하고,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 입구측에 상기 배기 출구관의 배기 출구측을 느슨하게 삽입하고, 상기 엔진룸의 골조를 구성하는 엔진룸 지주에 상기 테일 파이프를 연결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상기 엔진에 지지시키는 지지 다리체에 상기 배기 출구관을 연결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대한 상기 배기 출구관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다리체에 상기 배기 출구관을 체결하는 한편, 상기 배기 출구관에 대한 상기 테일 파이프의 위치를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엔진룸 지주에 상기 테일 파이프를 체결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7 또는 8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상방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와 상기 배기 출구관을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은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은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에 상기 배기 출구관의 일단측을 연결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 다리체에 상기 배기 출구관의 타단측을 연결하고, 상기 배기 출구관의 타단측에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축선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테일 파이프를 연통시키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방에는 엔진 수냉용 라디에이터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연통하는 배기 출구관, 상기 라디에이터와 상기 엔진을 연결하는 냉각수 공급관 및 냉각수 복귀관, 및 상기 에어클리너로부터 연장되는 급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배기 출구관의 하방에 상기 급기관을 위치시키고, 상기 급기관의 하방에 상기 냉각수 복귀관을 위치시키고, 상기 배기 출구관과 상기 급기관 사이에 상기 냉각수 공급관이 통과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는 상기 엔진의 상방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엔진에 있어서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에 냉각팬을 배치하고,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와 반대측의 타측부에 플라이휠을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을 상기 플라이휠 근처에 위치시키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을 상기 냉각팬 근처에 위치시키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와, 상기 예취 장치에 의해 예취한 예취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예취 장치 및 상기 탈곡 장치를 탑재한 주행 기체와, 상기 주행 기체 상의 엔진룸 내에 배치한 엔진과, 상기 엔진의 배기계에 배치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상방에는 상기 엔진으로의 공기를 청정화하는 에어클리너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엔진룸 밖에 배치하는 외기 도입부에 상기 에어클리너의 흡기 도입측을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엔진 상방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와 상기 에어클리너를 상기 엔진의 평면에서 볼 때에 외형 내(전후폭 내 및 좌우폭 내)에서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을 사이에 둔 양 측부에 흡기 매니폴드와 배기 매니폴드를 나누어 배치하고, 상기 배기 매니폴드의 상방에 상기 엔진으로의 공기를 과급하는 과급기를 배치하고, 상기 과급기의 상방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배치하는 한편, 상기 흡기 매니폴드의 상방에 상기 엔진의 흡기계로 배기가스를 환류시키는 EGR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EGR 장치의 상방에 상기 에어클리너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계에 관련되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및 상기 과급기는 상기 배기 매니폴드측에 흡기계에 관련되는 상기 에어클리너 및 상기 EGR 장치는 상기 흡기 매니폴드측에, 각각 상하로 나란히 통합되게 된다. 따라서, 배기계 부재의 배치와 흡기계 부재의 배치를 파악하기 쉬워서 조립 작업성 향상이나 메인터넌스성 향상의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배기계 부재나 상기 흡기계 부재의 주위에 배기계 배관이나 흡기계 배관을 가능한 한 짧은 길이로 정연하게 배열하기 쉬워서, 흡배기계의 배관 구조 등을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에 냉각팬을 배치하고,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와 반대측의 타측부에 플라이휠을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을 상기 플라이휠 근처에 위치시키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을 상기 냉각팬 근처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냉각팬으로부터의 냉각풍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있어서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 출구측에 닿아서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 온도를 저하시킨다.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있어서 정화 처리 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 입구측은 상기 냉각팬으로부터 멀어서 냉각풍이 닿기 어렵다. 따라서, 정화 처리 전의 배기가스는 고온으로 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정화 성능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 온도를 저하시켜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포장의 짚 부스러기 등의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연통하는 배기 출구관과 상기 배기 출구관에 연통하는 테일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상기 엔진에 지지시키는 지지 다리체에 상기 배기 출구관을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지지용 상기 지지 다리체를 상기 배기 출구관의 지지 부재로 겸용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와 상기 배기 출구관을 일체로 지지할 수 있어서, 상기 배기 출구관의 지지 구조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배기 출구관의 지지 강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의 상방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와 상기 배기 출구관을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대한 상기 배기 출구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다리체에 상기 배기 출구관을 체결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엔진 상면측의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와 상기 배기 출구관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배기 출구관과 상기 지지 다리체의 체결 부분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를 간단하게 흡수할 수 있어서 조립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에 냉각팬을 배치하고,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와 반대측의 타측부에 플라이휠을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에 상기 플라이휠 근처에 위치시키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을 상기 냉각팬 근처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냉각팬으로부터의 냉각풍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있어서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 출구측에 닿아서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 온도를 저하시킨다.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있어서 정화 처리 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 입구측은 상기 냉각팬으로부터 멀어서 냉각풍이 닿기 어렵다. 따라서, 정화 처리 전의 배기가스는 고온으로 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정화 성능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 온도를 저하시켜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포장의 짚 부스러기 등의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에 상기 배기 출구관의 일단측을 연결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 다리체에 상기 배기 출구관의 타단측을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배기 출구관을 장척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기외로 배출할 때까지 저하시키거나 소음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연통하는 배기 출구관과 상기 배기 출구관에 연통하는 테일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 입구측의 직경을 상기 배기 출구관의 배기 출구측의 직경보다 대경으로 구성하고,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 입구측에 상기 배기 출구관의 배기 출구측을 느슨하게 삽입하고, 상기 엔진룸의 골조를 구성하는 엔진룸 지주에 상기 테일 파이프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엔진의 진동계로부터 상기 테일 파이프를 분리할 수 있어서, 상기 엔진측과 상기 주행 기체측의 진동 주파수의 상위에 기인해서 상기 테일 파이프가 파손될 우려를 각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룸 지주를 상기 테일 파이프의 지지 부재로 겸용하여, 상기 테일 파이프의 지지 구조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상기 엔진에 지지시키는 지지 다리체에 상기 배기 출구관을 연결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에 대한 상기 배기 출구관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다리체에 상기 배기 출구관을 체결하는 한편, 상기 배기 출구관에 대한 상기 테일 파이프의 위치를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엔진룸 지주에 상기 테일 파이프를 체결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엔진 상면측의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와 상기 배기 출구관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배기 출구관과 상기 지지 다리체의 체결 부분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 및 상기 배기 출구관과 상기 테일 파이프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를 간단하게 흡수할 수 있어서, 상기 배기 출구관 및 상기 테일 파이프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의 상방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와 상기 배기 출구관을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은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은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에 상기 배기 출구관의 일단측을 연결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 다리체에 상기 배기 출구관의 타단측을 연결하고, 상기 배기 출구관의 타단측에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축선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테일 파이프를 연통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배기 출구관을 장척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기외로 배출할 때까지 저하시키거나 소음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엔진의 상면측 스페이스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및 상기 배기 출구관을 배치한 후에, 상기 탈곡 장치의 측방 스페이스에 상기 테일 파이프를 배치할 수 있어서, 각 데드 스페이스에 대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상기 배기 출구관 및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방에는 엔진 수냉용 라디에이터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연통하는 배기 출구관, 상기 라디에이터와 상기 엔진을 연결하는 냉각수 공급관 및 냉각수 복귀관, 및 상기 에어클리너로부터 연장되는 급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배기 출구관의 하방에 상기 급기관을 위치시키고, 상기 급기관의 하방에 상기 냉각수 복귀관을 위치시키고, 상기 배기 출구관과 상기 급기관 사이에 상기 냉각수 공급관을 통과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배기 출구관과 상기 급기관과 상기 냉각수 복귀관을 측면에서 볼 때에 서로 교차시키지 않고 상하에 적절한 배치 간격으로 배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것들 배관 구조의 조립 작업성이나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상기 배기 출구관과 상기 급기관 간의 거리가 상기 냉각수 공급관을 통과시킬 수 있을 만큼 떨어지게 되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나 상기 배기 출구관의 배출열에 의한 상기 급기관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에어클리너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는 상기 엔진의 상방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엔진에 있어서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에 냉각팬을 배치하고,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와 반대측의 타측부에 플라이휠을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을 상기 플라이휠 근처에 위치시키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을 상기 냉각팬 근처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냉각팬으로부터의 냉각풍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있어서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 출구측에 닿아서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 온도를 저하시킨다.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있어서 정화 처리 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 입구측은 상기 냉각팬으로부터 멀어서 냉각풍이 닿기 어렵다. 따라서, 정화 처리 전의 배기가스는 고온으로 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정화 성능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 온도를 저하시켜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포장의 짚 부스러기 등의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4조 예취용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좌측 후방으로부터 본 운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운전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운전부의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7은 엔진룸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엔진룸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엔진룸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디젤엔진을 정면 비스듬히 우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디젤엔진을 배면 비스듬히 좌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디젤엔진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디젤엔진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의 콤바인에 있어서 운전부를 좌측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운전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16은 운전부의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엔진룸의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엔진룸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엔진룸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디젤엔진을 정면 비스듬히 우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디젤엔진을 배면 비스듬히 좌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2는 디젤엔진의 좌측면도이다.
도 23은 디젤엔진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디젤엔진의 우측면도이다.
도 25는 엔진룸의 배면도이다.
도 26은 참고예에 있어서의 테일 파이프의 좌측면도이다.
도 27은 테일 파이프의 배면 비스듬히 좌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에 따른 콤바인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 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측을 간단히 좌측이라고 칭하고, 마찬가지로 전진 방향을 향해서 우측을 간단히 우측이라고 칭한다. 도 1~도 4를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의 콤바인을 설명한다. 도 1~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주행 크롤러(2)(주행부)로 지지된 주행 기체(1)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1)의 앞부분에는 곡간을 예취하는 4조 예취용 예취 장치(3)가 단동식의 승강용 유압 실린더(4)에 의해 예취 회전 지점축(4a) 주위에 승강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주행 기체(1)에는 피드 체인(6)을 갖는 탈곡 장치(5)와 탈곡 후의 곡립을 저장하는 그레인 탱크(7)가 횡배열 형상으로 탑재되어 있다. 또한, 탈곡 장치(5)가 주행 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측에 배치되고, 그레인 탱크(7)가 주행 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3 참조).
그레인 탱크(7)의 후방으로부터 상방에 걸쳐서 그레인 탱크(7) 내의 곡립을 기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오거(8)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 오거(8)의 수직 오거(8a)를 중심으로 하여 그레인 탱크(8)의 앞부분을 기체 측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7)의 전방에서 주행 기체(1)의 우측 앞부분에는 운전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10)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스텝(10a)과, 운전 좌석(10b)과, 조향 핸들(10c)을 설치하는 핸들 컬럼(11)과, 주변속 레버(12) 또는 부변속 레버(13) 또는 작업 클러치 레버(14) 또는 스위치류 등을 구비한 사이드 컬럼(15)을 배치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1)에 있어서 운전 좌석(10b)의 하방측에는 각 구동부의 동력원으로서의 디젤엔진(2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주행 기체(1)의 하면측에 좌우의 트랙 프레임(21)을 배치하고 있다. 트랙 프레임(21)에는 주행 크롤러(2)에 엔진(20)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스프로킷(22)과, 주행 크롤러(2)의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롤러(23)와,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접지 상태로 유지하는 복수의 트랙 롤러(24)를 설치하고 있다. 구동 스프로킷(22)에 의해 주행 크롤러(2) 전측을 지지하고, 텐션 롤러(23)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후측을 지지하고, 트랙 롤러(24)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지지한다.
도 1~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취 장치(3)에는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일으켜 세우는 4조분의 곡간 일으켜 세움 장치(31)와, 포장의 미예취 곡간의 그루터기를 절단하는 바리캉식의 예취 블레이드 장치(32)와, 곡간 일으켜 세움 장치(31)로부터 피드 체인(6)의 전단부(반송 시단측)에 예취 곡간을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33)가 구비되어 있다. 곡간 일으켜세움 장치(31)에 의해 포장의 미예취 곡간이 일으켜 세워지고, 예취 블레이드 장치(32)에 의해 미예취 곡간의 그루터기가 절단되고, 곡간 일으켜세움 장치(31)에 의해 피드 체인(6)의 전단부로 예취 곡간이 반송된다.
탈곡 장치(5)에는 곡간 탈곡용 탈곡통(51)과, 탈곡통(51)의 하방으로 낙하하는 탈립물을 선별하는 요동 선별 기구로서의 요동 선별판(52)과, 요동 선별판(52)에 선별풍을 공급하는 풍구팬(53)과, 탈곡통(51)의 뒷부분으로부터 인출되는 탈곡 배출물을 재처리하는 처리통(54)과, 요동 선별판(52)의 뒷부분의 배기 먼지를 기외로 배출하는 배진팬(61)과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드 체인(6)의 후단측(반송 종단측)에는 배출짚 체인(62)이 배치되어 있다. 피드 체인(6)의 후단측으로부터 배출짚 체인(62)으로 계승된 배출짚(곡립이 탈립된 짚)은 길이가 긴 상태에서 주행 기체(1)의 후방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탈곡 장치(5)의 후방측에 설치한 배출짚 커터(63)에 의해 적당한 길이로 짧게 절단된 후, 주행 기체(1)의 후방 하측으로 배출된다.
요동 선별판(52)의 하방측에는 요동 선별판(52)에서 선별된 곡립(일번 선별 물)을 인출하는 일번 컨베이어(55)와, 곡립이나 짚 부스러기나 이삭가지가 있는 곡립 등이 혼합된 이번 선별물을 인출하는 이번 컨베이어(5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행 기체(1)의 진행 방향 전측으로부터 일번 컨베이어(55), 이번 컨베이어(56)의 순으로 측면에서 볼 때에 주행 크롤러(2)의 뒷부분 상방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요동 선별판(52)은 탈곡통(51)의 하방으로 낙하한 탈곡립을 요동 선별(비중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동 선별판(52)으로부터 낙하한 곡립(일번 선별물)은 그 곡립 중의 분진이 풍구팬(53)으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제거되고, 일번 컨베이어(55)로 낙하한다. 일번 컨베이어(55) 중 탈곡 장치(5)에 있어서의 그레인 탱크(7) 근처의 일측벽(실시형태에서는 우측벽)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한 종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번 그레인 리프팅 통(57)이 연통 접속되어 있다. 일번 컨베이어(55)로부터 인출된 곡립은 일번 그레인 리프팅 통(57)에 내설된 일번 그레인 리프팅 컨베이어(도시 생략)에 의해 그레인 탱크(7)로 반입되어, 그레인 탱크(7)의 내부에 수집된다.
요동 선별판(52)은 요동 선별(비중 선별)에 의해 이삭가지가 있는 곡립 등의 이번 선별물(곡립과 짚 부스러기 등이 혼재된 재선별용 환원 재처리물)을 이번 컨베이어(56)에 낙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번 컨베이어(56)에 의해 인출된 이번 선별물은 이번 환원통(58) 및 이번 처리부처리부 통해서 요동 선별판(52)의 상면측으로 되돌아가서 재선별된다. 또한, 탈곡통(51)으로부터의 탈립물 중의 짚 부스러기 및 분진 등은 풍구팬(53)으로부터의 선별풍과 배진팬(61)의 흡배진 작용에 의해서 주행 기체(1)의 뒷부분으로부터 포장을 향해서 배출된다.
다음에, 도 4∼도 9를 참조하여 디젤엔진(20)의 탑재 구조를 설명한다. 도 6∼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1)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0b)의 하방측에 엔진 베드(41)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을 방진 지지시킨다. 트랙 프레임(21) 앞부분의 주행 구동용 미션 케이스(42)나 탈곡 장치(5) 등의 각 부에 풀리·벨트 전동계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있다. 디젤엔진(20)의 전면측 및 상면측을 엔진룸 커버(44)에 의해 덮혀 있다. 부가하여, 사이드 컬럼(15)의 하방에 칸막이판체(16)를 장설하고, 칸막이판체(16)에 의해 디젤엔진(20)의 상면측의 일부를 덮고 있다. 엔진룸(43)의 전면측을 엔진룸 커버(44)에 의해 형성하고, 엔진룸(43)의 상면측을 엔진룸 커버(44)와 칸막이판체(16)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1)에 있어서의 운전부(10)의 우측 단부에 개폐 지점축(45)을 통해서 상자 형상의 풍동 케이스(46)를 세워서 설치하여 있다. 주행 기체(1) 상면측에 있어서의 풍동 케이스(46) 기내측에 수냉용 라디에이터(47)를 세워서 설치시키고, 디젤엔진(20)의 냉각팬(48)에 라디에이터(47)를 대치시키고 있다. 풍동 케이스(46) 상부의 기외측 개구(46a)로부터 풍동 케이스(46) 내로 외기(냉각풍)를 도입하고, 풍동 케이스(46) 하부의 기내측 개구(46b)로부터 라디에이터(47)를 통해서 냉각팬(48)의 회전에 의해 제진완료 냉각풍을 엔진룸(43) 내로 송풍하여, 제진완료 냉각풍에 의해 디젤엔진(20) 등을 냉각한다. 또한, 풍동 케이스(46) 상부의 기외측 개구(46a)에는 제진망을 장설하여 있다. 제진망의 존재에 의해, 풍동 케이스(46) 내부, 나아가서는 엔진룸(43) 내부로의 짚 부스러기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1) 상면에 있어서의 운전부(10) 후측에 좌우 한 쌍의 엔진룸 지주(71)를 세워서 설치시키고, 좌우의 엔진룸 지주(71) 사이에 배면판체(72)를 장설하여 있다. 즉, 칸막이판체(16), 엔진룸 커버(44), 풍동 케이스(46) 및 배면판체(72)에 의해 엔진룸(43)을 형성(구획)하고 있다.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크랭크축)을 좌우로 향한 상태에서, 엔진룸(43) 내에 디젤엔진(20)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디젤엔진(20)의 좌측방으로 출력축(20a)의 좌측 단부를 돌출시키고, 출력축(20a)의 좌측 단부(돌출끝부)에 주행 구동 벨트(73) 및 탈곡 구동 벨트(74)를 연결하고 있다. 출력축(20a)으로부터 주행 구동 벨트(73)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구동력을 주행 크롤러(2)를 향해서 출력하고, 출력축(20a)으로부터 탈곡 구동 벨트(74)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구동력을 탈곡 장치(5)를 향해서 출력하고 있다.
한편, 도 4∼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20)에 새로운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클리너(49)와, 디젤엔진(20)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구비한다. 엔진룸 커버(44)의 상면측을 계단 형상으로 다단으로 형성하고, 엔진룸 커버(44) 상면측 중 앞부분 상면(44a)을 낮게 형성하고, 뒷부분 상면(44b)을 높게 형성한다. 엔진룸 커버(44)의 뒷부분 상면(44b) 후단측과 좌우의 엔진룸 지주(71) 상단부 사이에 보조 커버체(44c)를 설치하고 있다. 보조 커버체(44c)의 하면에 에어클리너(49)를 고착함으로써, 엔진룸 커버(44)의 뒷부분 상면(44b) 및 보조 커버체(44c)의 하방에 에어클리너(49)를 위치시키고 있다.
보조 커버체(44c)의 상면측에는 소음 상자체(40)를 탑재하고 있다. 풍동 케이스(46)에 새로운 공기 도입 파이프체(39)를 통해서 소음 상자체(40) 내부를 연통시키고, 소음 상자체(40) 내부에 에어클리너(49)를 연통시킨다. 에어클리너(49)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흡기 매니폴드(19)로 풍동 케이스(46) 내의 공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풍동 케이스(46), 새로운 공기 도입 파이프체(39) 및 소음 상자체(40)는 엔진룸(43) 밖에 위치하는 외기 도입부에 상당한다. 또한, 소음 상자체(40)의 상면측에 전장 박스(38)를 설치하고 있다. 전장 박스(38)에 엔진 컨트롤러 등을 내장하고 있다.
한편, 엔진룸 커버(44)에 있어서의 앞부분 상면(44a)의 상면측에는 시트 지지 기구(10d)를 통해서 운전 좌석(10b)을 지지시키고 있다. 엔진룸 커버(44)의 앞부분 상면(44a) 및 칸막이판체(16)의 하방측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배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는 장척 원통상의 외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디젤엔진(20)의 상면측에 지지되어 있다. 환언하면,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 축선방향과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 내부의 배기가스 이동방향을 일치시키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길이방향은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과 평행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칸막이판체(16)의 하방측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도입측(배기 입구측)을 위치시키고, 엔진룸 커버(44)의 앞부분 상면(44a)의 하방측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인출측(배기 출구측)을 위치시키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도입측에 배기 입구관(81)을 설치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인출측에는 배기 출구관(82)을 설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 입구관(81)은 후술하는 터보 과급기(105)의 터빈 케이스(106)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배기 매니폴드(83)에 연결되고, 배기 입구관(81)과 배기 매니폴드(83)를 연통시키고 있다.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7) 사이에 테일 파이프(84)를 연장시키고, 테일 파이프(84)에 배기 출구관(82)을 연통시키고 있다. 디젤엔진(20)의 배기 매니폴드(83)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로부터 테일 파이프(84)를 통하여 기외로 배출된다.
도 6, 도 7 및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 출구관(82)은 주행 기체(1)의 좌우 중앙측을 향해서 L자 형상으로 구부려지고, 또한 칸막이판체(16)의 하방측(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7) 사이에의 입구 부근)에서 후방을 향해서 L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즉, 배기 출구관(82)은 평면으로 볼 때에 크랭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와 배기 출구관(82)의 길이 중도부란, 평면에서 볼 때에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이웃하여 있다. 배기 출구관(82)의 후단측과 테일 파이프(84)의 전단측이 연통하고 있다. 테일 파이프(84)는 전단측을 하향으로 구부리고, 중도부를 하향으로 연장시키고, 후단측을 주행 크롤러(2)의 뒷부분 상방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부려져 있다. 즉, 테일 파이프(84)는 측면에서 볼 때에 크랭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좌우의 주행 크롤러(2) 사이에 있어서 후방으로 비스듬한 하향으로 테일 파이프(84)의 후단측을 개구시키고 있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이드 컬럼(15)의 하방측이고 또한 칸막이판체(16)의 상방측에 작업 클러치 레버(14) 등을 지지하는 레버 지점축 기구(17)를 배치하고 있다. 칸막이판체(16)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좌측방에는 작업 클러치 레버(14) 조작 등에 연동해서 탈곡 구동 벨트(74) 등을 긴장시키거나 이완시키거나 하는 클러치 조작 링크 기구(18)를 배치하고 있다. 레버 지점축 기구(17) 및 클러치 조작 링크 기구(18) 등의 좌측을 덮는 사이드 칼럼 커버(15a)를 구비한다.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컬럼(15)의 좌측면 하부에 사이드 칼럼 커버(15a)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칸막이판체(16) 및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와 사이드 칼럼 커버(15a) 사이에, 클러치 조작 링크 기구(18)가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도 10∼도 13을 참조하면서, 디젤엔진(2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0∼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20)의 실린더 헤드(91)의 일측면 (후측면)에는 흡기 매니폴드(19)를 배치하고 있다. 실린더 헤드(91)는 출력축(20a)과 피스톤(도시 생략)을 내장한 실린더 블록(92)에 상재(上裁)하고 있다. 실린더 헤드(91)의 타측면(전측면)에 배기 매니폴드(83)를 배치하고 있다. 즉, 디젤엔진(20)에 있어서 출력축(20a)을 사이에 둔 양 측부에 흡기 매니폴드(19)와 배기 매니폴드(83)를 나누어 배치하고 있다. 실린더 블록(92)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출력축(20a)을 좌우 외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도 4∼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92)의 좌측면에 플라이휠 하우징(93)을 고착하고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93) 내에 플라이휠(94)을 설치한다. 플라이휠(94)을 축지지한 출력축(20a)의 좌단측으로부터 미션 케이스(42)를 향해서 디젤엔진(20)의 구동력을 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92)의 하면에 오일팬(95)을 배치하고 있다. 실린더 블록(92)의 우측방에 냉각팬(48)을 배치하고, 냉각팬(48)에 대향시켜서 라디에이터(47)를 설치하고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즉, 디젤엔진(20)에 있어서 출력축(20a)과 교차하는 일측부(실린더 블록(92)의 우측면측)에 냉각팬(48)을 배치하고, 출력축(20a)과 교차하는 일측부와 반대측의 타측부(실린더 블록(92)의 좌측면)에 플라이휠(94)을 배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도입측(배기 입구측)은 플라이휠(94) 근처에 위치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인출측(배기 출구측)은 냉각팬(48)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냉각팬(48)으로부터의 냉각풍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 있어서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가스 인출측(배기 출구측)에 닿아서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 온도를 저하시킨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 있어서 정화 처리 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가스 도입측(배기 입구측)은 냉각팬(48)으로부터 멀어서 냉각풍이 닿기 어렵다. 따라서, 정화 처리 전의 배기가스는 고온으로 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정화 성능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 온도를 저하시켜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포장의 짚 부스러기 등의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흡기 매니폴드(19)에는 재순환용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EGR 장치)(96)를 배치하고 있다. 에어클리너(49)는 후술하는 터보 과급기(105)의 컴프레서 케이스(107) 및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를 통해서 흡기 매니폴드(19)에 접속된다. 에어클리너(49)로 흡입되어 제진 및 정화된 새로운 공기(외부 공기)는 터보 과급기(105)의 컴프레서 케이스(107) 및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를 통해서 흡기 매니폴드(19)로 보내져서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으로 공급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디젤엔진(20)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83)로 배출한 배기가스의 일부는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 및 흡기 매니폴드(19)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으로 환류된다. 이 때문에, 디젤엔진(20)의 연소 온도가 내려가고, 디젤엔진(20)으로부터의 질소산화물(NOx)의 배출량이 저감되고, 또한 디젤엔진(20)의 연비가 향상된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20)의 4기통분의 각 인젝터(97)에 연료 탱크(도시 생략)에 접속하는 연료 펌프(98)와 커먼 레일(99)이 접속하여 있다. 실린더 헤드(91)의 흡기 매니폴드(19) 설치측에 커먼 레일(99) 및 연료 필터(100)를 배치하고, 실린더 블록(92)에 있어서 흡기 매니폴드(19)의 하방측에 연료 펌프(98)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각 인젝터(97)는 전자 개폐 제어형의 연료 분사 밸브(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연료 펌프(98)의 토출측에 커먼 레일(99)이 접속하고, 원통 형상의 커먼 레일(99)에 디젤엔진(20)의 각 인젝터(97)가 각각 접속하고 있다. 고압 연료는 커먼 레일(99) 내에 일시 저장되고, 커먼 레일(99)을 경유하여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실린더)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디젤엔진(20)의 연료는 연료 펌프(98)에 의해 커먼 레일(99)로 압송되어, 고압의 연료로서 커먼 레일(99)에 축적된다. 그리고, 각 인젝터(97)의 연료 분사 밸브를 각각 개폐 제어함으로써, 커먼 레일(99) 내의 고압 연료가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으로 분사된다. 즉, 각 인젝터(97)의 연료 분사 밸브를 전자 제어함으로써, 연료의 분사 압력, 분사 시기, 분사 기간(분사량)이 고정밀도로 컨트롤된다. 따라서, 디젤엔진(20)으로부터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5) 전측방이고 배기 매니폴드(83)의 상방에는 터보 과급기(105)를 배치하고 있다. 터보 과급기(105)는 터빈 휠 내장의 터빈 케이스(106)와, 블로어휠 내장의 컴프레서 케이스(107)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 매니폴드(83)에 터빈 케이스(106)의 배기가스 도입측을 연결하고 있다. 터빈 케이스(106)의 배기가스 인출측에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 입구관(81)이 접속하여 있다. 즉,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83)로 배출한 배기가스는 터보 과급기(105) 및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 등을 경유해서 기외로 배출된다.
컴프레서 케이스(107)의 급기 도입측은 급기관(108)을 통해서 에어클리너(49)의 급기 인출측에 접속하여 있다. 컴프레서 케이스(107)의 급기 인출측은 과급관(109) 및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를 통해서 흡기 매니폴드(19)에 접속하여 있다. 즉, 에어클리너(49)에 의해 제진 및 정화된 새로운 공기는 컴프레서 케이스(107)로부터 과급관(109)을 통해서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로 보내지고, 그 후에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으로 공급된다.
도 10∼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로서, 디젤엔진(20)의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DPF))를 구비한다.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는 산화 촉매(111)와 매연 필터(112)가 내설된다.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83)로 배출된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 등을 경유해서 기외로 방출된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 의해 디젤엔진(20)의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입자상 물질(PM) 및 질소산화 물질(NOx)을 저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는 평면에서 볼 때에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 (크랭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척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 있어서 플라이휠(94) 근처의 부위에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배기 입구관(81)을 설치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 있어서 냉각팬(48) 근처의 부위에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출구관(82)을 설치하고 있다. 실린더 헤드(91)의 좌우측면에 좌측 지지 다리체(113) 및 우측 지지 다리체(114)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이동방향 일단측과 동 타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즉, 좌측 지지 다리체(113) 및 우측 지지 다리체(114)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상면측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부착하고 있다. 디젤엔진(20)의 좌우방향으로 원통 형상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길이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배기 매니폴드(83)의 상방측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위치시키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 축선방향과,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 내부의 배기가스 이동방향(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길이방향)은 일치하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에어클리너(49)의 길이방향도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 축선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클리너(49)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는 평면에서 볼 때에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디젤엔진(2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에어클리너(49)는 엔진룸 커버(44)의 뒷부분 상면(44b) 및 보조 커버체(44c)의 하방이고 또한 흡기 매니폴드(19)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는 엔진룸 커버(44)의 앞부분 상면(44a) 및 칸막이판체(16)의 하방이고 또한 배기 매니폴드(83)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면 엔진룸(43) 밖에 배치하는 외기 도입부(풍동 케이스(46) 등)에 에어클리너(49)의 흡기 도입측을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으면서, 디젤엔진(20) 상방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와 에어클리너(49)를 디젤엔진(20)의 평면에서 볼 때에 외형 내(전후폭 내 및 좌우폭 내)에서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도 13 참조). 또한, 측면에서 볼 때, 에어클리너(49)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높이 위치는 에어클리너(49)를 상측,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하측이라고 하도록, 엔진룸 커버(44)의 계단형 형상을 따라 상하로 어긋나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83)의 상방에는 디젤엔진(20)으로의 공기를 과급하는 터보 과급기(105)를 배치하고 있다. 터보 과급기(105)의 상방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배치하고 있다. 즉,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와 터보 과급기(105)는 배기 매니폴드(83)의 상방에서 상하로 나란히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흡기 매니폴드(19)의 상방에는 디젤엔진(20)의 흡기계(흡기 매니폴드(19))에 배기가스를 환류시키는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EGR 장치)를 배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의 상방에 에어클리너(49)를 배치하고 있다. 즉, 에어클리너(49)와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는 흡기 매니폴드(19)의 상방에서 상하로 나란히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배기계에 관련되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 및 터보 과급기(105)는 배기 매니폴드(83)측에, 흡기계에 관련되는 에어클리너(49) 및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는 흡기 매니폴드(19)측에 각각 상하로 나란히 통합되게 된다. 따라서, 배기계 부재(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 및 터보 과급기(105))의 배치와 흡기계 부재(에어클리너(49) 및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의 배치를 파악하기 쉬워서, 조립 작업성 향상이나 메인터넌스성 향상의 도움이 된다. 또한, 배기계 부재나 흡기계 부재의 주위에 배기계 배관(배기 출구관(82) 등)이나 흡기계 배관(급기관(108) 등)을 가능한 한 짧은 길이로 정연하게 배열하기 쉬워서, 흡배기계의 배관 구조 등을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91)의 좌측면에 볼트 체결한 좌측 지지 다리체(113)에 배기 지지판(115)을 후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볼트 체결하는 한편, 배기 출구관(82)의 후단측에 평면으로 볼 때에 대략 L자 형상의 출구관 브래킷(116)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배기 지지판(115)의 후단측에 출구관 브래킷(116)을 부착 높이 조절 가능하게 볼트 체결하고 있다. 즉, 실린더 헤드(91) 좌측면측의 배기 지지판(115) 후단측에 출구관 브래킷(116)을 통해서 배기 출구관(82)을 상하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 대한 배기 출구관(82)의 상하 높이 위치가 조절된다. 이 경우, 출구관 브래킷(116) 전판부에 상하로 길고 전후로 정렬된 한 쌍의 슬릿(117)이 형성되어 있다. 출구관 브래킷(116)의 각 슬릿(117)에 삽입한 볼트를 배기 지지판(115)에 형성한 볼트 구멍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배기 지지판(115)의 후단측에 대하여 출구관 브래킷(116)을 부착 높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디젤엔진(20)에 지지시키는 좌측 지지 다리체(113)에 배기 출구관(82)을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 지지용 좌측 지지 다리체(113)를 배기 출구관(82)의 지지 부재로 겸용하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와 배기 출구관(82)을 일체로 지지할 수 있어서, 배기 출구관(82)의 지지 구조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배기 출구관(82)의 지지 강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 대한 배기 출구관(8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좌측 지지 다리체(113)에 배기 출구관(82)을 체결하고 있기 때문에, 디젤엔진(20) 상면측의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와 배기 출구관(82)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으면서, 배기 출구관(82)과 좌측 지지 다리체(113)의 체결 부분(배기 지지판(115) 및 출구관 브래킷(116))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를 간단하게 흡수할 수 있어서, 조립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인출측(배기 출구측)에 배기 출구관(82)의 일단측(전단측)을 연결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도입측(배기 입구측)을 지지하는 좌측 지지 다리체(113)에 배기 출구관(82)의 타단측(후단측)을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기 출구관(82)을 장척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기외로 배출할 때까지 저하시키거나 소음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 출구관(82) 후단측의 배기 출구 외경보다 테일 파이프(84) 전단측의 배기 입구 내경을 크게 형성하고 있다. 배기 출구관(82)의 배기 출구에 테일 파이프(84)의 배기 입구를 느슨하게 삽입하는 형상으로 피감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배기 출구관(82)의 배기 출구와 테일 파이프(84)의 배기 입구 간의 간격으로부터 테일 파이프(84) 내부로 외부 공기가 부압 흡인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에 크랭크 형상의 테일 파이프(84)의 전단측에는 전측 지지 브래킷(85)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좌측 엔진룸 지주(71)의 좌측면에는 파이프판(86)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파이프판(86)에 전측 지지 브래킷(85)을 설치해서 위치조절 가능하게 볼트 체결하고 있다. 즉, 좌측 엔진룸 지주(71)의 파이프판(86)에 전측 지지 브래킷(85)을 통해서 테일 파이프(84) 전단측을 좌우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또한, 주행 기체(1)의 상면측에 후측 지지 브래킷(87)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후방을 향해서 개구한 테일 파이프(84)의 후단측(배기 출구)을 후측 지지 브래킷(87)에 부착하고 있다. 후측 지지 브래킷(87)에 의해 주행 기체(1)의 수평 프레임 높이와 일치하도록 테일 파이프(84)의 배기 출구측을 지지시키고 있다.
즉, 디젤엔진(20) 상방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 높이와 대략 동일 높이에 테일 파이프(84)의 배기 입구측을 높게 지지함과 아울러, 탈곡 장치(5) 및 그레인 탱크(7)를 적재한 주행 기체(1)의 프레임 높이와 대략 동일 높이에 테일 파이프(84)의 배기 출구측을 낮게 지지시키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테일 파이프(84)의 길이 중도부에는 풀리 커버판체(88)의 후단 가장자리부를 근접시키고 있다. 탈곡 장치(5)에 디젤엔진(20) 구동력을 입력하는 풍구 풀리(89)의 외측을 테일 파이프(84) 및 풀리 커버판체(88)에 의해 둘러싸고 있다. 테일 파이프(84) 및 풀리 커버판체(88)에서의 차폐에 의해 테일 파이프(84)의 배출열에 의해 데워진 외기가 선별풍으로서 풍구팬(53)에 흡인된다.
다음에, 도 14∼도 27을 참조하면서, 본원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 2 실시형태 이후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성 및 작용이 제 1 실시형태와 다름이 없는 것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는, 제 2 실시형태 중 제 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도 16∼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1)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0b)의 하방측에 엔진 베드(41)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을 방진 지지시킨다. 트랙 프레임(21) 앞부분의 주행 구동용 미션 케이스(42)나 탈곡 장치(5) 등의 각 부에 풀리·벨트 전동계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있다. 디젤엔진(20)의 전면측 및 상면측을 엔진룸 커버(44)에 의해 덮고 있다. 부가하여, 사이드 컬럼(15)의 하방에 칸막이판체(16)를 장설하고, 칸막이판체(16)에 의해 디젤엔진(20)의 상면측의 일부를 덮고 있다. 엔진룸(43)의 전면측을 엔진룸 커버(44)에 의해 형성하고, 엔진룸(43)의 상면측을 엔진룸 커버(44)와 칸막이판체(16)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1)에 있어서의 운전부(10)의 우측 단부에 개폐 지점축(45)을 통해서 상자형의 풍동 케이스(46)를 세워서 설치시키고 있다. 주행 기체(1) 상면측에 있어서의 풍동 케이스(46) 기내측에 수냉용 라디에이터(47)를 세워서 설치시키고, 디젤엔진(20)의 냉각팬(48)에 라디에이터(47)를 대치시키고 있다. 풍동 케이스(46) 상부의 기외측 개구(46a)로부터 풍동 케이스(46) 내로 외기(냉각풍)를 도입하고, 풍동 케이스(46) 하부의 기내측 개구(46b)로부터 라디에이터(47)를 통해서 냉각팬(48)의 회전에 의해 제진완료 냉각풍을 엔진룸(43) 내로 보내고, 제진완료 냉각풍에 의해 디젤엔진(20) 등을 냉각한다. 또한, 풍동 케이스(46) 상부의 기외측 개구(46a)에는 제진망을 장설하고 있다. 제진망의 존재에 의해, 풍동 케이스(46) 내부, 나아가서는 엔진룸(43) 내부로의 짚 부스러기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1) 상면에 있어서의 운전부(10) 후측에 좌우 한 쌍의 엔진룸 지주(71)를 세워서 설치시키고, 좌우의 엔진룸 지주(71) 사이에 배면판체(72)를 장설하고 있다. 즉, 칸막이판체(16), 엔진룸 커버(44), 풍동 케이스(46) 및 배면판체(72)에 의해 엔진룸(43)을 형성(구획)하고 있다. 좌우의 엔진룸 지주(71)는 엔진룸(43)의 골조를 구성되어 있다.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크랭크축)을 좌우를 향한 상태에서, 엔진룸(43) 내에 디젤엔진(20)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디젤엔진(20)의 좌측방으로 출력축(20a)의 좌측 단부를 돌출시키고, 출력축(20a)의 좌측 단부(돌출 단부)에 주행 구동 벨트(73) 및 탈곡 구동 벨트(74)를 연결하고 있다. 출력축(20a)으로부터 주행 구동 벨트(73)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구동력을 주행 크롤러(2)를 향해서 출력하고, 출력축(20a)으로부터 탈곡 구동 벨트(74)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구동력을 탈곡 장치(5)를 향해서 출력하고 있다.
한편, 도 14∼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20)에 새로운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클리너(49)와, 디젤엔진(20)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구비한다. 엔진룸 커버(44)의 상면측을 계단 형상으로 다단으로 형성하고, 엔진룸 커버(44) 상면측 중 앞부분 상면(44a)을 낮게 형성하고, 뒷부분 상면(44b)을 높게 형성한다. 엔진룸 커버(44)의 뒷부분 상면(44b) 후단측과 좌우의 엔진룸 지주(71) 상단부 사이에 보조 커버체(44c)를 설치하고 있다. 보조 커버체(44c)의 하면에 에어클리너(49)를 고착함으로써, 엔진룸 커버(44)의 뒷부분 상면(44b) 및 보조 커버체(44c)의 하방에 에어클리너(49)를 위치시키고 있다.
보조 커버체(44c)의 상면측에는 소음 상자체(40)를 탑재하고 있다. 풍동 케이스(46)에 새로운 공기 도입 파이프체(39)를 통해서 소음 상자체(40) 내부를 연통시키고, 소음 상자체(40) 내부에 에어클리너(49)를 연통시킨다. 에어클리너(49)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흡기 매니폴드(19)에 풍동 케이스(46) 내의 공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풍동 케이스(46), 새로운 공기 도입 파이프체(39) 및 소음 상자체(40)는 엔진룸(43) 밖에 위치하는 외기 도입부에 상당한다. 또한, 소음 상자체(40)의 상면측에 전장 박스(38)를 설치하고 있다. 전장 박스(38)에 엔진 컨트롤러 등을 내장하고 있다.
한편, 엔진룸 커버(44)에 있어서의 앞부분 상면(44a)의 상면측에는 시트 지지 기구(10d)를 통해서 운전 좌석(10b)을 지지시키고 있다. 엔진룸 커버(44)의 앞부분 상면(44a) 및 칸막이판체(16)의 하방측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배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는 장척 원통 형상의 외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디젤엔진(20)의 상면측에 지지되어 있다. 환언하면,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 축선방향과,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 내부의 배기가스 이동방향을 일치시키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길이방향은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과 평행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칸막이판체(16)의 하방측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도입측(배기 입구측)을 위치시키고, 엔진룸 커버(44)의 앞부분 상면(44a)의 하방측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인출측(배기 출구측)을 위치시키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도입측에 배기 입구관(81)을 설치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인출측에는 배기 출구관(82)을 설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 입구관(81)은 후술하는 터보 과급기(105)의 터빈 케이스(106)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배기 매니폴드(83)에 연결되고, 배기 입구관(81)과 배기 매니폴드(83)를 연통시키고 있다.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7) 사이에 테일 파이프(84)를 이어서 설치시키고, 테일 파이프(84)에 배기 출구관(82)을 연통시키고 있다. 디젤엔진(20)의 배기 매니폴드(83)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로부터 테일 파이프(84)를 통해서 기외로 배출된다.
도 16, 도 17 및 도 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 출구관(82)은 주행 기체(1)의 좌우 중앙측을 향해서 L자 형상으로 구부러지고, 또한 칸막이판체(16)의 하방측(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7) 사이에의 입구 부근)에서 후방을 향해서 L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즉, 배기 출구관(82)은 평면에서 볼 때에 크랭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와 배기 출구관(82)의 길이 중도부는 평면에서 볼 때에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이웃하여 있다. 배기 출구관(82)의 후단측과 테일 파이프(84)의 전단측이 연통하여 있다. 이 경우, 배기 출구관(82)의 타단측에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 축선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테일 파이프(84)의 전단측을 연통시키고 있다. 테일 파이프(84)는 전단측을 하향으로 구부리고, 중도부를 하향으로 연장시키고, 후단측을 주행 크롤러(2)의 뒷부분 상방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부려져 있다. 즉, 테일 파이프(84)는 측면에서 볼 때에 크랭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좌우의 주행 크롤러(2) 사이에 있어서 후방으로 비스듬한 하향으로 테일 파이프(84)의 후단측을 개구시키고 있다.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이드 컬럼(15)의 하방측이고 또한 칸막이판체(16)의 상방측에 작업 클러치 레버(14) 등을 지지하는 레버 지점축 기구(17)를 배치하고 있다. 칸막이판체(16)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좌측방에는 작업 클러치 레버(14) 조작 등에 연동해서 탈곡 구동 벨트(74) 등을 긴장시키거나 이완시키거나 하는 클러치 조작 링크 기구(18)를 배치하고 있다. 레버 지점축 기구(17) 및 클러치 조작 링크 기구(18) 등의 좌측을 덮는 사이드 칼럼 커버(15a)를 구비한다.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컬럼(15)의 좌측면 하부에 사이드 칼럼 커버(15a)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칸막이판체(16) 및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와 사이드 칼럼 커버(15a) 사이에 클러치 조작 링크 기구(18)가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도 20∼도 25를 참조하면서, 디젤엔진(2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0∼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20)의 실린더 헤드(91)의 일측면 (후측면)에는 흡기 매니폴드(19)를 배치하고 있다. 실린더 헤드(91)는 출력축(20a)과 피스톤(도시 생략)을 내장한 실린더 블록(92)에 상재하여 있다. 실린더 헤드(91)의 타측면(전측면)에 배기 매니폴드(83)를 배치하고 있다. 즉, 디젤엔진(20)에 있어서 출력축(20a)을 사이에 둔 양 측부에 흡기 매니폴드(19)와 배기 매니폴드(83)를 나누어 배치하고 있다. 실린더 블록(92)의 좌우 양 측면으로부터 출력축(20a)을 좌우 외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도 14∼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92)의 좌측면에 플라이휠 하우징(93)을 고착하고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93) 내에 플라이휠(94)을 설치한다. 플라이휠(94)을 축지지한 출력축(20a)의 좌단측으로부터 미션 케이스(42)를 향해서 디젤엔진(20)의 구동력을 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92)의 하면에 오일팬(95)을 배치하고 있다. 실린더 블록(92)의 우측방에 냉각팬(48)을 배치하고, 냉각팬(48)에 대향시켜서 라디에이터(47)를 배치하고 있다(도 18 및 도 19 참조).
즉, 디젤엔진(20)에 있어서 출력축(20a)과 교차하는 일측부(실린더 블록(92)의 우측면측)에 냉각팬(48)을 배치하고, 출력축(20a)과 교차하는 일측부와 반대측의 타측부(실린더 블록(92)의 좌측면)에 플라이휠(94)을 배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도입측(배기 입구측)은 플라이휠(94) 근처에 위치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인출측(배기 출구측)은 냉각팬(48)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도입측(배기 입구측)은 주행 기체(1)의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인출측(배기 출구측)은 주행 기체(1)의 좌우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냉각팬(48)으로부터의 냉각풍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 있어서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가스 인출측(배기 출구측)에 닿아서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 온도를 저하시킨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 있어서 정화 처리 전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가스 도입측(배기 입구측)은 냉각팬(48)으로부터 멀어서 냉각풍이 닿기 어렵다. 따라서, 정화 처리 전의 배기가스는 고온으로 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정화 성능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 온도를 저하시켜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포장의 짚 부스러기 등의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흡기 매니폴드(19)에는 재순환용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EGR 장치)(96)를 배치하고 있다. 에어클리너(49)는 후술하는 터보 과급기(105)의 컴프레서 케이스(107) 및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를 통해서 흡기 매니폴드(19)에 접속된다. 에어클리너(49)에 흡입되어 제진 및 정화된 새로운 공기(외부 공기)는 터보 과급기(105)의 컴프레서 케이스(107) 및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를 통해서 흡기 매니폴드(19)로 보내져서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으로 공급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디젤엔진(20)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83)로 배출된 배기가스의 일부는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 및 흡기 매니폴드(19)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으로 환류된다. 이 때문에, 디젤엔진(20)의 연소 온도가 내려가고, 디젤엔진(20)으로부터의 질소산화물(NOx)의 배출량이 저감되고, 또한 디젤엔진(20)의 연비가 향상된다.
도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20)의 4기통분의 각 인젝터(97)에 연료 탱크(도시 생략)에 접속하는 연료 펌프(98)와 커먼 레일(99)이 접속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91)의 흡기 매니폴드(19) 설치측에 커먼 레일(99) 및 연료 필터(100)를 배치하고, 실린더 블록(92)에 있어서 흡기 매니폴드(19)의 하방측에 연료 펌프(98)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각 인젝터(97)는 전자 개폐 제어형의 연료 분사 밸브(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연료 펌프(98)의 토출측에 커먼 레일(99)을 접속하고, 원통 형상의 커먼 레일(99)에 디젤엔진(20)의 각 인젝터(97)가 각각 접속하고 있다. 고압 연료는 커먼 레일(99) 내에 일시 저장되고, 커먼 레일(99)을 경유하여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실린더)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디젤엔진(20)의 연료는 연료 펌프(98)에 의해 커먼 레일(99)로 압송되어, 고압의 연료로서 커먼 레일(99)에 축적된다. 그리고, 각 인젝터(97)의 연료 분사 밸브를 각각 개폐 제어함으로써, 커먼 레일(99) 내의 고압 연료가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으로 분사된다. 즉, 각 인젝터(97)의 연료 분사 밸브를 전자 제어함으로써, 연료의 분사 압력, 분사 시기, 분사 기간(분사량)이 고정밀도로 컨트롤된다. 따라서, 디젤엔진(20)으로부터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을 저감할 수 있다.
도 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5) 전측방에서 배기 매니폴드(83)의 상방에는 터보 과급기(105)를 배치하고 있다. 터보 과급기(105)는 터빈 휠 내장의 터빈 케이스(106)와, 블로어휠 내장의 컴프레서 케이스(107)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 매니폴드(83)에 터빈 케이스(106)의 배기가스 도입측을 연결하고 있다. 터빈 케이스(106)의 배기가스 인출측에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 입구관(81)이 접속하고 있다. 즉,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83)로 배출된 배기가스는 터보 과급기(105) 및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 등을 경유해서 기외로 배출된다.
컴프레서 케이스(107)의 급기 도입측은 급기관(108)을 통해서 에어클리너(49)의 급기 인출측에 접속되어 있다. 컴프레서 케이스(107)의 급기 인출측은 과급관(109) 및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를 통해서 흡기 매니폴드(19)에 접속되어 있다. 즉, 에어클리너(49)에 의해 제진 및 정화된 새로운 공기는 컴프레서 케이스(107)로부터 과급관(109)을 통해서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로 보내지고, 그 후에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으로 공급된다.
도 20∼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로서, 디젤엔진(20)의 배기가스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DPF))를 구비한다. 도 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는 산화 촉매(111)와 매연 필터(112)가 내설된다. 디젤엔진(20)의 각 기통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83)로 배출된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 등을 경유해서 기외로 방출된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 의해 디젤엔진(20)의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입자상 물질(PM) 및 질소산화 물질(NOx)을 저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는 평면에서 볼 때에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 (크랭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로로 긴 장척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 있어서 플라이휠(94) 근처의 부위에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배기 입구관(81)을 설치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 있어서 냉각팬(48) 근처 부위에 정화 처리 후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출구관(82)을 설치하고 있다. 실린더 헤드(91)의 좌우측면에 좌측 지지 다리체(113) 및 우측 지지 다리체(114)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이동방향 일단측과 동 타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즉, 좌측 지지 다리체(113) 및 우측 지지 다리체(114)를 통해서 디젤엔진(20)의 상면측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부착하고 있다. 디젤엔진(20)의 좌우방향으로 원통 형상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길이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배기 매니폴드(83)의 상방측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위치시키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 축선방향과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 내부의 배기가스 이동방향(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길이방향)은 일치하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에어클리너(49)의 길이방향도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 축선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클리너(49)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는 평면에서 볼 때에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디젤엔진(2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에어클리너(49)는 엔진룸 커버(44)의 뒷부분 상면(44b) 및 보조 커버체(44c)의 하방이고 또한 흡기 매니폴드(19)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는 엔진룸 커버(44)의 앞부분 상면(44a) 및 칸막이판체(16)의 하방이고 또한 배기 매니폴드(83)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면 엔진룸(43) 밖에 배치하는 외기 도입부(풍동 케이스(46) 등)에 에어클리너(49)의 흡기 도입측을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으면서, 디젤엔진(20) 상방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와 에어클리너(49)를 디젤엔진(20)의 평면에서 볼 때에 외형 내(전후폭 내 및 좌우폭 내)에서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도 23 참조). 또한, 측면에서 볼 때에 에어클리너(49)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높이 위치는 에어클리너(49)를 상측,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하측이라고 하도록 엔진룸 커버(44)의 계단형 형상을 따라서 상하로 어긋나게 하고 있다.
도 20 및 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83)의 상방에는 디젤엔진(20)으로의 공기를 과급하는 터보 과급기(105)를 배치하고 있다. 터보 과급기(105)의 상방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배치하고 있다. 즉,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와 터보 과급기(105)는 배기 매니폴드(83)의 상방에서 상하로 나란히 있다. 또한,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흡기 매니폴드(19)의 상방에는 디젤엔진(20)의 흡기계(흡기 매니폴드(19))로 배기가스를 환류시키는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EGR 장치)를 배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의 상방에 에어클리너(49)를 배치하고 있다. 즉, 에어클리너(49)와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는 흡기 매니폴드(19)의 상방에서 상하로 나란히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배기계에 관련되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 및 터보 과급기(105)는 배기 매니폴드(83)측에, 흡기계에 관련되는 에어클리너(49) 및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는 흡기 매니폴드(19)측에 각각 상하로 나란히 통합되게 된다. 따라서, 배기계 부재(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 및 터보 과급기(105))의 배치와 흡기계 부재(에어클리너(49) 및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96))의 배치를 파악하기 쉬워서, 조립 작업성 향상이나 메인터넌스성 향상의 도움이 된다. 또한, 배기계 부재나 흡기계 부재의 주위에 배기계 배관(배기 출구관(82) 등)이나 흡기계 배관(급기관(108) 등)을 가능한 한 짧은 길이로 정연하게 배열하기 쉬워서, 흡배기계의 배관 구조 등을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91)의 좌측면에 볼트 체결한 좌측 지지 다리체(113)에 배기 지지판(115)을 후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볼트 체결하는 한편, 배기 출구관(82)의 후단측에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L자 형상의 출구관 브래킷(116)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배기 지지판(115)의 후단측에 출구관 브래킷(116)을 부착 높이 조절 가능하게 볼트 체결하고 있다. 즉, 실린더 헤드(91) 좌측면측의 배기 지지판(115) 후단측에 출구관 브래킷(116)을 통해서 배기 출구관(82)을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 대한 배기 출구관(82)의 상하 높이 위치가 조절된다. 이 경우, 출구관 브래킷(116) 앞판부에 상하로 길고 전후로 정렬된 한 쌍의 슬릿(117)을 형성하고 있다. 출구관 브래킷(116)의 각 슬릿(117)에 삽입한 볼트를 배기 지지판(115)에 형성한 볼트 구멍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배기 지지판(115)의 후단측에 대하여 출구관 브래킷(116)을 부착 높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디젤엔진(20)에 지지시키는 좌측 지지 다리체(113)에 배기 출구관(82)을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지지용 좌측 지지 다리체(113)를 배기 출구관(82)의 지지 부재로 겸용하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와 배기 출구관(82)을 일체로 지지할 수 있어서 배기 출구관(82)의 지지 구조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배기 출구관(82)의 지지 강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 대한 배기 출구관(8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좌측 지지 다리체(113)에 배기 출구관(82)을 체결하고 있기 때문에, 디젤엔진(20) 상면측의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와 배기 출구관(82)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서, 배기 출구관(82)과 좌측 지지 다리체(113)의 체결 부분(배기 지지판(115) 및 출구관 브래킷(116))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를 간단하게 흡수할 수 있어서, 조립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인출측(배기 출구측)에 배기 출구관(82)의 일단측(전단측)을 연결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가스 도입측(배기 입구측)을 지지하는 좌측 지지 다리체(113)에 배기 출구관(82)의 타단측(후단측)을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기 출구관(82)을 장척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기외로 배출할 때까지 저하시키거나 소음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 출구관(82) 후단측의 배기 출구 외경보다 테일 파이프(84) 전단측의 배기 입구 내경을 크게 형성하고 있다. 배기 출구관(82)의 배기 출구에 테일 파이프(84)의 배기 입구를 느슨하게 삽입 형상으로 피감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배기 출구관(82)의 배기 출구와 테일 파이프(84)의 배기 입구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테일 파이프(84) 내부로 외부 공기가 부압흡인되게 된다. 또한, 디젤엔진(20)의 진동계로부터 테일 파이프(84)를 분리할 수 있어서, 디젤엔진(20)측과 주행 기체(1)측의 진동 주파수의 상위에 기인해서 테일 파이프(84)가 파손될 우려를 각별히 억제할 수 있다.
도 14, 도 15 및 도 2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에 크랭크 형상의 테일 파이프(84)의 전단측에는 전측 지지 브래킷(85)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좌측 엔진룸 지주(71)의 좌측면에는 파이프판(86)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파이프판(86)에 전측 지지 브래킷(85)을 설치위치 조절 가능하게 볼트 체결하여 있다. 즉, 좌측 엔진룸 지주(71)의 파이프판(86)에 전측 지지 브래킷(85)을 통해서 테일 파이프(84) 전단측을 좌우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이 경우, 전측 지지 브래킷(85)에 좌우로 길고 상하로 정렬된 한 쌍의 조절용 슬릿(118)을 형성하고 있다. 전측 지지 브래킷(85)의 각 조절용 슬릿(118)에 삽입한 볼트를 파이프판(86)에 형성한 볼트 구멍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파이프판(86)에 대하여 전측 지지 브래킷(85)을 좌우 위치조절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또한, 주행 기체(1)의 상면측에 후측 지지 브래킷(87)을 볼트 체결하여 있다. 후방을 향해서 개구된 테일 파이프(84)의 후단측(배기 출구)을 후측 지지 브래킷(87)에 부착하고 있다. 후측 지지 브래킷(87)에 의해 주행 기체(1)의 수평 프레임 높이와 일치하도록 테일 파이프(84)의 배기 출구측을 지지시키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좌측 엔진룸 지주(71)를 테일 파이프(84)의 지지 부재로 겸용할 수 있어서, 테일 파이프(84)의 지지 구조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디젤엔진(20) 상방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 높이와 대략 동일 높이로 테일 파이프(84)의 배기 입구측을 높게 지지함과 아울러, 탈곡 장치(5) 및 그레인 탱크(7)를 적재한 주행 기체(1)의 프레임 높이와 대략 동일 높이로 테일 파이프(84)의 배기 출구측을 낮게 지지시키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테일 파이프(84)의 길이 중도부에는 풀리 커버판체(88)의 후단 가장자리부를 근접시키고 있다. 탈곡 장치(5)에 디젤엔진(20) 구동력을 입력하는 풍구 풀리(89)의 외측을 테일 파이프(84) 및 풀리 커버판체(88)에 의해 둘러싸고 있다. 테일 파이프(84) 및 풀리 커버판체(88)에 의한 차폐에 의해 테일 파이프(84)의 배출열에 의해 데워진 외기가 선별풍으로서 풍구팬(53)으로 흡인된다.
상기 기재 및 도 14, 도 15 및 도 25로부터 명백해지듯이,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3)와, 상기 예취 장치(3)로 예취한 예취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5)와, 상기 예취 장치(3) 및 상기 탈곡 장치(5)를 탑재한 주행 기체(1)와, 상기 주행 기체(1) 상의 엔진룸(43) 내에 배치한 엔진(20)과, 상기 엔진(20)의 배기계에 배치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 연통하는 배기 출구관(82)과, 상기 배기 출구관(82)에 연통하는 테일 파이프(84)를 구비하고, 상기 테일 파이프(84)의 배기 입구측의 직경을 상기 배기 출구관(82)의 배기 출구측의 직경보다 대경으로 구성하고, 상기 테일 파이프(84)의 배기 입구측에 상기 배기 출구관(82)의 배기 출구측을 느슨하게 삽입하고, 상기 엔진룸(43)의 골조를 구성하는 엔진룸 지주(71)에 상기 테일 파이프(84)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엔진(20)의 진동계로부터 상기 테일 파이프(84)를 분리할 수 있어서, 상기 엔진(20)측과 상기 주행 기체(1)측의 진동 주파수의 상위에 기인해서 상기 테일 파이프(84)가 파손될 우려를 각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룸 지주(71)를 상기 테일 파이프(84)의 지지 부재로 겸용하여, 상기 테일 파이프(84)의 지지 구조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를 상기 엔진(20)에 지지시키는 지지 다리체(113)에 상기 배기 출구관(82)을 연결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 대한 상기 배기 출구관(82)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다리체(113)에 상기 배기 출구관(82)을 체결하는 한편, 상기 배기 출구관(82)에 대한 상기 테일 파이프(84)의 위치를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엔진룸 지주(71)에 상기 테일 파이프(84)를 체결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엔진(20) 상면측의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와 상기 배기 출구관(82)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배기 출구관(82)과 상기 지지 다리체(113)의 체결 부분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 및 상기 배기 출구관(82)과 상기 테일 파이프(84)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를 간단하게 흡수할 수 있어서, 상기 배기 출구관(82) 및 상기 테일 파이프(84)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20)의 상방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와 상기 배기 출구관(82)을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엔진(20)의 출력축(20a)의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 입구측은 상기 주행 기체(1)의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 출구측은 상기 주행 기체(1)의 좌우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 출구측에 상기 배기 출구관(82)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배기 입구측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 다리체(113)에 상기 배기 출구관(82)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배기 출구관(82)의 타단에 상기 엔진(20)의 출력축(20a)의 축선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테일 파이프(84)를 연통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배기 출구관(82)을 장척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기외로 배출할 때까지 저하시키거나 소음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엔진(20)의 상면측 스페이스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 및 상기 배기 출구관(82)을 배치한 후에, 상기 탈곡 장치(5)의 측방 스페이스에 상기 테일 파이프(84)를 배치할 수 있어서, 각 데드 스페이스에 대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 상기 배기 출구관(82) 및 상기 테일 파이프(84)의 배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92)의 좌측면 상부에는 냉각수 펌프(120)를 배치하고 있다. 냉각수 펌프(120)는 디젤엔진(20)의 출력축(20a)의 회전에 따른 벨트 전동에 의해 냉각팬(48)과 함께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풍동 케이스(46) 기내측에 배치한 디젤엔진(20) 수냉용 라디에이터(47)의 상부측과, 냉각수 펌프(120)의 상부에 설치한 서모스탯 케이스(121)는 냉각수 공급관(122)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냉각수 펌프(120)의 측부와 라디에이터(47)의 하부측은 냉각수 복귀관(123)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라디에이터(47) 내의 냉각수는 냉각수 공급관(122)으로부터 서모스탯 케이스(121)를 통해서 냉각수 펌프(120)로 공급된다. 냉각수는 냉각수 펌프(120)의 구동에 의해 실린더 헤드(91) 및 실린더 블록(92)에 형성한 수냉 재킷(도시 생략)으로 공급되어, 디젤엔진(20)을 냉각한다. 디젤엔진(20)의 냉각에 기여한 냉각수는 냉각수 펌프(120)로부터 냉각수 복귀관(123)을 경유해서 라디에이터(47)로 복귀한다.
실시형태예에서는 도 24에 나타내는 측면도에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에 연통하는 배기 출구관(82)의 배기 입구측의 하방에는 에어클리너(49)로부터 연장되는 급기관(108)을 흡기 매니폴드(19)측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83)측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위치시키고 있다. 급기관(108)의 하방에는 냉각수 복귀관(123)을 위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배기 출구관(82)의 배기 입구측과 급기관(108) 사이에 냉각수 공급관(122)이 통과하고 있다. 배출열을 발생하지 않는 급기관(108)과 냉각수 공급관(122)을 측면에서 볼 때에 교차시키고 있다. 배기 출구관(82), 급기관(108) 및 냉각수 복귀관(123)은 측면에서 볼 때에 서로 교차하지 않는 배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배기 출구관(82)과 급기관(108)과 냉각수 복귀관(123)을 측면에서 볼 때에 서로 교차시키지 않고 상하로 적절한 배치 간격으로 배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들 배관 구조의 조립 작업성이나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배기 출구관(82)과 급기관(108) 사이의 거리가 냉각수 공급관(122)을 통과시킬 수 있을 만큼 떨어지게 되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50)나 배기 출구관(82)의 배출열 등에 의한 급기관(108)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에는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7) 사이에 이어서 설치한 테일 파이프(184)의 참고예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의 테일 파이프(84)는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7) 사이(좌우의 주행 크롤러(2) 사이)로부터 후방 하측으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구조이었지만, 참고예의 테일 파이프(184)는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7) 사이로부터 후방 상측으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참고예의 테일 파이프(184)는 전단측을 상향으로 구부리고, 종방향 중도부를 상향으로 연장시키고, 후단측을 탈곡 장치(5)의 상면보다 상방측 또한 그레인 탱크(7)의 상면보다 하방측에 있어서 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부리고 있다. 즉, 테일 파이프(184)는 측면에서 볼 때에 크랭크 형상으로 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184)의 후단측은 후방으로 비스듬한 상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도 2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에 크랭크 형상의 테일 파이프(184)의 종방향 중도부에는 중도 지지 브래킷(185)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좌측 엔진룸 지주(71)의 좌측면에는 부착판(186)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좌측 엔진룸 지주(71)의 부착판(186)에 대략 L자 형상의 연결 브래킷(187)을 통해서 테일 파이프(184)의 중도 지지 브래킷(185)을 장착 위치 조절 가능하게 볼트 체결하고 있다. 이 경우, 도시는 생략하지만, 좌측 엔진룸 지주(71)의 부착판(186)에 상하 길이로 좌우로 정렬된 한 쌍의 조절 슬릿을 형성하고, 양 조절 슬릿을 통해서 연결 브래킷(187)의 종편부와 부착판(186)을 상하 위치조절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테일 파이프(184)의 중도 지지 브래킷(185)에 좌우 길이로 전후로 정렬된 한 쌍의 조절 슬릿을 형성하고, 양 조절 슬릿을 통해서 연결 브래킷(187)의 횡편부와 중도 지지 브래킷(185)을 좌우 위치조절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테일 파이프(184)의 후단측에는 대략 L자 형상의 수직 브래킷(188)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수직 브래킷(188)의 횡편부를 탈곡 장치의 상면 우측에 상방으로부터 볼트 체결하고 있다. 이 경우, 도시는 생략하지만, 수직 브래킷(188)의 횡편부에 좌우 길이로 전후로 정렬된 한 쌍의 조절 슬릿을 형성하고, 양 조절 슬릿에 의해 연결 브래킷(187)의 횡편부를 탈곡 장치(5)의 상면 우측에 좌우 위치조절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1: 주행 기체 3: 예취 장치
5: 탈곡 장치 20: 디젤엔진
20a: 출력축 43: 엔진룸
44: 엔진룸 커버 49: 에어클리너
50: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82: 배기 출구관
84: 테일 파이프 113, 114: 지지 다리체
120: 냉각수 펌프 122: 냉각수 공급관
123: 냉각수 복귀관

Claims (11)

  1.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와, 상기 예취 장치에 의해 예취한 예취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예취 장치 및 상기 탈곡 장치를 탑재한 주행 기체와, 상기 주행 기체 상의 엔진룸 내에 배치한 엔진과, 상기 엔진의 배기계에 배치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상방에는 상기 엔진으로의 공기를 청정화하는 에어클리너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있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에 배기 출구관을 연결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상기 엔진에 지지시키는 지지 다리체에, 상기 배기 출구관을,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대한 상기 배기 출구관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체결하고 있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을 사이에 둔 양 측부에 흡기 매니폴드와 배기 매니폴드를 나누어 배치하고,
    상기 배기 매니폴드의 상방에 상기 엔진으로의 공기를 과급하는 과급기를 배치하고, 상기 과급기의 상방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를 배치하는 한편,
    상기 흡기 매니폴드의 상방에 상기 엔진의 흡기계로 배기가스를 환류시키는 EGR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EGR 장치의 상방에 상기 에어클리너를 배치하고 있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에 냉각팬을 배치하고,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와 반대측의 타측부에 플라이휠을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을 상기 플라이휠 근처에 위치시키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을 상기 냉각팬 근처에 위치시키고 있는 콤바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연통하는 배기 출구관과 상기 배기 출구관에 연통하는 테일 파이프를 구비하는 콤바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상방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와 상기 배기 출구관을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는 콤바인.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에 냉각팬을 배치하고,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와 반대측의 타측부에 플라이휠을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에 상기 플라이휠 근처에 위치시키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을 상기 냉각팬 근처에 위치시키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에 상기 배기 출구관의 일단측을 연결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 다리체에 상기 배기 출구관의 타단측을 연결하고 있는 콤바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연통하는 배기 출구관과 상기 배기 출구관에 연통하는 테일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 입구측의 직경을 상기 배기 출구관의 배기 출구측의 직경보다 대경으로 구성하고,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기 입구측에 상기 배기 출구관의 배기 출구측을 느슨하게 삽입하고, 상기 엔진룸의 골조를 구성하는 엔진룸 지주에 상기 테일 파이프를 연결하고 있는 콤바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대한 상기 배기 출구관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다리체에 상기 배기 출구관을 체결하는 한편,
    상기 배기 출구관에 대한 상기 테일 파이프의 위치를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엔진룸 지주에 상기 테일 파이프를 체결하고 있는 콤바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상방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와 상기 배기 출구관을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은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은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에 상기 배기 출구관의 일단측을 연결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 다리체에 상기 배기 출구관의 타단측을 연결하고, 상기 배기 출구관의 타단측에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축선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테일 파이프를 연통시키고 있는 콤바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방에는 엔진 수냉용 라디에이터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에 연통하는 배기 출구관, 상기 라디에이터와 상기 엔진을 연결하는 냉각수 공급관 및 냉각수 복귀관, 및 상기 에어클리너로부터 연장되는 급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배기 출구관의 하방에 상기 급기관을 위치시키고, 상기 급기관의 하방에 상기 냉각수 복귀관을 위치시키고, 상기 배기 출구관과 상기 급기관 사이에 상기 냉각수 공급관이 통과하고 있는 콤바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는 상기 엔진의 상방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엔진의 출력축의 축선방향과 평행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엔진에 있어서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에 냉각팬을 배치하고, 상기 출력축과 교차하는 일측부와 반대측의 타측부에 플라이휠을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입구측을 상기 플라이휠 근처에 위치시키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의 배기 출구측을 상기 냉각팬 근처에 위치시키고 있는 콤바인.
KR1020167011975A 2013-12-24 2014-12-12 콤바인 KR102155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5846A JP2015119678A (ja) 2013-12-24 2013-12-24 コンバイン
JPJP-P-2013-265849 2013-12-24
JPJP-P-2013-265847 2013-12-24
JP2013265847A JP2015119679A (ja) 2013-12-24 2013-12-24 コンバイン
JPJP-P-2013-265848 2013-12-24
JP2013265849A JP2015119680A (ja) 2013-12-24 2013-12-24 コンバイン
JPJP-P-2013-265846 2013-12-24
JP2013265848A JP6173207B2 (ja) 2013-12-24 2013-12-24 コンバイン
PCT/JP2014/083032 WO2015098580A1 (ja) 2013-12-24 2014-12-12 コンバイン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506A Division KR20200106223A (ko) 2013-12-24 2014-12-12 콤바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155A KR20160102155A (ko) 2016-08-29
KR102155403B1 true KR102155403B1 (ko) 2020-09-11

Family

ID=534784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975A KR102155403B1 (ko) 2013-12-24 2014-12-12 콤바인
KR1020207025506A KR20200106223A (ko) 2013-12-24 2014-12-12 콤바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506A KR20200106223A (ko) 2013-12-24 2014-12-12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155403B1 (ko)
CN (1) CN105873431B (ko)
WO (1) WO20150985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2745B2 (ja) * 2015-11-06 2018-12-26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
JP2019076033A (ja) * 2017-10-25 2019-05-2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6335A (ja) * 2009-03-16 2010-09-30 Yanmar Co Ltd エンジン装置
JP2011147397A (ja) * 2010-01-22 2011-08-04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3188174A (ja) * 2012-03-14 2013-09-26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234A (ja) * 1994-07-07 1996-01-23 Mazda Motor Corp 車両の排気管支持装置
JP5274971B2 (ja) * 2008-10-07 2013-08-28 ヤンマー株式会社 野菜収穫機
JP5595687B2 (ja) * 2009-07-31 2014-09-24 ヤンマー株式会社 ディーゼル機関における排気ガス浄化装置
JP5774914B2 (ja) * 2011-06-10 2015-09-09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JP5908222B2 (ja) * 2011-06-10 2016-04-26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6335A (ja) * 2009-03-16 2010-09-30 Yanmar Co Ltd エンジン装置
JP2011147397A (ja) * 2010-01-22 2011-08-04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3188174A (ja) * 2012-03-14 2013-09-26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223A (ko) 2020-09-11
KR20160102155A (ko) 2016-08-29
CN105873431B (zh) 2018-11-02
WO2015098580A1 (ja) 2015-07-02
CN105873431A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662B1 (ko) 콤바인
JP5275857B2 (ja) エンジン装置
KR102218515B1 (ko) 콤바인
KR102155403B1 (ko) 콤바인
JP6226299B2 (ja) コンバイン
WO2015005389A1 (ja) コンバイン
JP6226298B2 (ja) コンバイン
JP2015119680A (ja) コンバイン
JP2015119678A (ja) コンバイン
JP5806709B2 (ja) コンバイン搭載用のエンジン装置
JP5806710B2 (ja) コンバイン搭載用のエンジン装置
JP2017074026A (ja) コンバイン
JP6173207B2 (ja) コンバイン
JP6209137B2 (ja) コンバイン
JP2015015937A (ja) コンバイン
JP2015119679A (ja) コンバイン
JP5537699B2 (ja) エンジン装置
JP6014690B2 (ja) コンバイン
JP2022134199A (ja) コンバイン
JP5828599B2 (ja) 作業車両搭載用のエンジ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