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692A - 비산방지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산방지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692A
KR20100134692A KR1020107023703A KR20107023703A KR20100134692A KR 20100134692 A KR20100134692 A KR 20100134692A KR 1020107023703 A KR1020107023703 A KR 1020107023703A KR 20107023703 A KR20107023703 A KR 20107023703A KR 20100134692 A KR20100134692 A KR 20100134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ard coat
coat layer
lay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4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基材)필름(W)의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을 가지며, 다른 쪽 면에 점착제층 및 박리시트가 순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며, 상기 하드코트층 표면의 전체면에, 복수의 독립된 볼록부가 일정한 피치로 존재하는 비산방지용 필름; 하드코트층 형성재료(C)를 어플리케이터롤(11)에 의해 도포해서, 도포층을 형성한 후, 복수의 독립된 오목부(3)가 일정한 피치로 존재하는 직경 5~15㎜의 조각 로드(5)를 상기 도포층에 접촉시키면서, 기재필름의 흐름방향에 대해서 정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도포층의 표면에, 상기 오목부(3)에 실질상 대응하는 복수의 독립된 볼록부를 일정한 피치로 형성하고, 다음에 상기 도포층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한 상기 필름의 제조방법. 상기 필름을 건축물의 지진대책용으로서 창 유리에 부착한 경우, 간섭 무늬의 발생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산방지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FILM FOR SCATTERING PREVEN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산방지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건축물의 창 유리 등에 지진대책으로서 첩부되는, 하드코트층을 가지며, 또한 간섭 무늬의 발생이 억제된 비산방지용 필름, 및 그 효과적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창 유리에는, 지진 등의 재해로 파손된 경우에, 유리파편이 비산하는 것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비산방지용 필름을 첩부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비산방지용 필름의 표면에는, 첩부 시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O.5~5㎛정도의 하드코트층이 형성된다. 이 하드코트층은, 박막 도포에 적합한 도포방법으로서, 로드에 와이어를 나선형상으로 감은 것을 이용하는 로드 코터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오피스 등의 조명에 이용하는 형광등으로서, 인간 눈의 감도가 높은 청, 녹, 적의 파장에 피크를 가지는 3파장형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져서, 하드코트층의 두께 불균일에 기인하는 간섭 무늬가, 이제껏 이상으로 인식되게 되었다.
로드 코터에 의한 두께 불균일은, 일반적으로 기재(基材)의 폭방향으로 발생하고, 기재의 흐름을 따라서 연속해서 발생한다.
두께 불균일이 있는 하드코트 표면에, 청, 녹, 적의 광이 조사되면, 하드코트층의 표면에서 반사된 것과, 하드코트층을 투과해서, 기재와의 계면에서 반사된 광이 간섭해서, 두께에 대응하는 청, 녹, 적의 광이 서로 강화함으로써, 청, 녹, 적의 간섭 무늬가 형성되어서 인식된다.
3파장형이 아닌 종래의 조명은, 연속되는 파장을 포함하는 것으로부터, 각각의 색의 경계가 애매해지기 때문에, 그다지 인식되고 있지 않았다.
이와 같은 간섭 무늬를 억제하기 위해서, 하드코트층과 기재필름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난반사시키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하드코트층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난반사시키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방법에서는, 필름이 희게 보인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 하드코트층과 기재필름의 굴절률을 동일하게 해서, 해당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저감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 방법에서는 고가의 수지를 이용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하드코트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건조공정에서의 희석용매의 급격한 휘발에 의한 두께 불균일을 억제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참조)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 방법에서는, 도포정밀도에 의한 두께 불균일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다.
그런데, 상기의 로드 코터에 의한 두께 불균일은, 이하에 표기한 3종류가 있다.
(1) 하드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의 레벨링이 나쁜 경우, 로드에 감은 와이어의 자국이 나고, 그 결과, 폭 수백 ㎛정도의 간섭 무늬가, 흐름방향을 따라서 전체면에 발생한다.
(2) 기재필름의 이완에 의해, 로드와 기재필름 사이의 갭에 불균일이 생기는 경우에는, 폭 수 ㎝정도의 간섭 무늬가, 흐름방향을 따라서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3) 로드의 휨에 의해, 기재필름과 로드 사이의 갭에 불균일이 생기는 경우에는, 폭 수십 ㎝정도의 간섭 무늬가, 흐름방향을 따라서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상기 (1)는, 도포액의 레벨링을 개선함으로서, 간섭 무늬의 발생을, 거의 완전히 억제할 수 있지만, (2) 및 (3)은, 간섭 무늬의 발생을 완전히는 억제할 수가 없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8-19767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10-28231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2003-213023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개2005-290090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 하에서, 건축물의 창 유리 등에 지진대책으로서 첩부되는, 하드코트층을 가지며, 또한 간섭 무늬의 발생이 억제된 비산방지용 필름, 및 그 효과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이하에 표기한 식견을 얻었다.
하드코트층을 가지는 비산방지용 필름의 상기 하드코트층 표면의 전체면에, 에너지 경화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독립된 볼록부, 바람직하게는 특정형상의 미소 볼록부를 일정한 피치로 형성시킴으로써, 간섭 무늬를 볼록부의 외주부에 발생하는 미소한 것으로 분산시키고, 육안으로 인식 불가능한 사이즈로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또,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를 어플리케이터롤에 의해 도포해서, 도포층을 형성한 후, 특정의 작은 직경을 가지며, 또한 표면에 복수의 독립된 오목부가 일정한 피치로 형성된 조각 로드를 상기 도포층에 접촉시키면서, 기재필름에 대해서 정회전(순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도포층의 표면에,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일정한 피치로 형성하고, 다음에, 상기 도포층을 경화시킴으로써, 간섭 무늬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된 비산방지용 필름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식견에 의거해서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을 가지며, 다른 쪽 면에 점착제층 및 박리시트가 순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비산방지용 필름으로서, 상기 하드코트층 표면의 전체면에, 에너지 경화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독립된 볼록부가 일정한 피치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용 필름,
[2] 각 볼록부의 높이가 0.1~10㎛이며, 인접한 볼록부간의 피치(정상부 중심점과 정상부 중심점과의 간격)가 100~500㎛인 상기 [1]항에 기재된 비산방지용 필름,
[3] 볼록부형상이, 다각뿔대 또는 원뿔대인 상기 [1] 또는 [2]항에 기재된 비산방지용 필름,
[4] 각 볼록부의 저면부 면적이 O.001~O.25㎟인 상기 [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산방지용 필름,
[5] 직경 5~15㎜의 조각 로드를 이용해서, 복수의 독립된 볼록부를 일정한 피치로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상기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산방지용 필름,
[6] 하드코트층이, 에너지 경화형 재료를 이용해서 형성된 도포층에 에너지를 인가하고,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인 상기 [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산방지용 필름,
[7]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를 어플리케이터롤에 의해 도포해서, 도포층을 형성한 후, 복수의 독립된 오목부가 일정한 피치로 존재하는 직경 5~15㎜의 조각 로드를 상기 도포층에 접촉시키면서, 기재필름의 흐름방향에 대해서 정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도포층의 표면에, 상기 오목부에, 실질상 대응하는 복수의 독립된 볼록부를 일정한 피치로 형성하고, 다음에 상기 도포층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산방지용 필름의 제조방법,
[8] 조각 로드에 형성된 오목부가, 상기 로드의 외주방향에 대해서, 30~60도 경사져서 등간격으로 정렬해 이루어지는 상기 [7]항에 기재된 비산방지용 필름의 제조방법, 및
[9] 하드코트층 형성재료가, 에너지 경화형 재료로서, 도포층에 에너지를 인가해서, 상기 도포층을 경화시키는 상기 [7] 또는 [8]항에 기재된 비산방지용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창 유리 등에 지진대책으로서 첩부되는, 하드코트층을 가지며, 또한 간섭 무늬의 발생이 억제된 비산방지용 필름, 및 그 효과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조각 로드의 일예를 예시한 정면도, 도 1(b)는 외주부면을 평면적으로 전개해서 도시한 확대도, 및 도 1(c)는 그 A-A단면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비산방지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드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경화 전 도포층을 형성하는 장치의 일예를 예시한 설명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비산방지용 필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비산방지용 필름]
본 발명의 비산방지용 필름은,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을 가지며, 다른 쪽 면에 점착제층 및 박리시트가 순서로 적층된 구조의 적층필름으로서, 상기 하드코트층 표면의 전체면에, 에너지 경화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독립된 미소 볼록부가 일정한 피치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필름)
본 발명의 비산방지용 필름에 있어서의 기재필름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종래 비산방지용 필름의 기재로서 이용되고 있는 공지된 필름 중에서 임의의 것을 적절히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 기재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1, 폴리부텐-1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설폰계 수지, 폴리에틸렌설파이드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스타이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또는 이들의 적층필름을 들 수 있다.
이 기재필름은 무연신의 것이어도 되고, 1축연신 처리 또는 2축 연신 처리된 것이어도 되며, 그 두께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사용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하면 되지만, 통상은 5~200㎛, 바람직하게는 10~100㎛의 범위이다.
또, 이 기재필름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고, 소망에 따라서 착색 또는 증착되어 있어도 되며, 또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산화방지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해당 표면에 형성되는 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소망에 따라서 편면 또는 양면에, 산화법이나 요철화법 등에 의해 표면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산화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방전처리, 플라스마처리, 크롬산처리(습식), 화염처리, 열풍처리, 오존ㆍ자외선조사처리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요철화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샌드블라스트법, 용제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표면처리법은 기재필름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코로나방전처리법이 효과 및 조작성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하드코트층)
본 발명의 비산방지용 필름에 있어서는, 상기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이 형성된다. 이 하드코트층의 형성재료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종래 비산방지용 필름의 하드코트층의 형성에 이용되고 있는 재료 중에서, 임의의 것을 적절히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하드코트층 형성재료>
본 발명에서는,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로서, 에너지 경화형 재료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에너지 경화형 재료는, 열에너지의 인가 또는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가교하는 재료를 가리킨다. 여기서, 에너지선은, 전자파 또는 하전입자선 중에서 에너지 양자를 가지는 것, 즉, 자외선 또는 전자선 등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에너지 경화형 재료는, (1) 에너지선 경화형 재료와 (2) 열경화형 재료로 분류할 수 있다.
(1) 에너지선 경화형 재료
이 에너지선 경화형 재료로서는, 에너지 경화형 화합물과 소망에 따라서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한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에너지 경화형 화합물로서는, 에너지 경화형 올리고머, 에너지 경화형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에너지 경화형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계, 폴리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아크릴레이트계, 에너지 경화형 액상 실리콘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스터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면 다가 카르복시산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양말단부에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에스터올리고머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터화함으로써, 혹은, 다가 카르복시산에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해서 얻어지는 올리고머의 말단부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터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예를 들면,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스페놀형 에폭시수지나 노볼락형 에폭시수지의 옥시란 고리에, (메타)아크릴산을 반응해서 에스터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이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부분적으로 2염기성 카르복시산무수물로 변성한 카르복실 변성형의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도 이용할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터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나토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올리고머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터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터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GPC법에 의해 측정된 표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환산의 값으로, 바람직하게는 500~1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70,00O,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3,000~40,000의 범위에서 선정된다.
이 올리고머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에너지 경화형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타)아크릴산 1,4-부탄디올에스터, 디(메타)아크릴산 1,6-헥산디올에스터, 디(메타)아크릴산네오펜틸글리콜에스터, 디(메타)아크릴산폴리에틸렌글리콜에스터, 디(메타)아크릴산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에스터, 디(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피바린산네오펜틸글리콜에스터, 디(메타)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디(메타)아크릴산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산에틸렌옥시드 변성 인산에스터, 디(메타)아크릴산알릴화 시클로헥실, 디(메타)아크릴산이소시아누레이트, 디메틸올트리시클로데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산트리메틸올프로판에스터, 트리(메타)아크릴산디펜타에리트리톨에스터, 트리(메타)아크릴산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에스터, 트리(메타)아크릴산펜타에리트리톨에스터, 트리(메타)아크릴산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에스터, 이소시아눌산트리스(아크릴록시에틸), 펜타(메타)아크릴산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에스터, 헥사(메타)아크릴산디펜타에리트리톨에스터, 헥사(메타)아크릴산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모노머는 1종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또, 에너지선으로서, 통상 자외선 또는 전자선이 조사되지만, 자외선을 조사할 때에는, 광중합개시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터샤리-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옥산톤, 2-에틸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4-디메틸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에스터,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프로페닐)페닐]프로판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배합량은, 상술한 에너지 경화형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해서, 통상 0.1~10질량부이다.
(2) 열경화형 재료
한편, 열경화형 재료로서는, 상술한 에너지선 경화형 재료에 있어서, 광중합개시제 대신에, 소망에 따라서 열중합개시제를 함유시킨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열중합개시제로서는, 유기과산화물이나 아조계 화합물이 이용된다. 유기과산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t-부틸퍼옥사이드, t-부틸크밀퍼옥사이드, 디크밀퍼옥사이드 등의 디알킬퍼옥사이드류, 아세틸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의 디아실퍼옥사이드류,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3,3,5-트리메틸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메틸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등의 케톤퍼옥사이드류,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등의 퍼옥시케탈류, t-ㅂ부틸히드로퍼옥사이드, 쿠멘히드로퍼옥사이드, 1,1,3,3-테트라메틸부틸히드로퍼옥사이드, p-멘탄히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히드로퍼옥사이드, 2,5-디메틸헥산-2,5-디히드로퍼옥사이드 등의 히드로퍼옥사이드류,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등의 퍼옥시에스터류 등을 들 수 있다.
또, 아조계 화합물로서는,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시클로프로필프로피오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카르바모일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2-페닐아조-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중합개시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그 배합량은, 사용되는 에너지 경화형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해서, 통상 0.1~10질량부이다.
(3) 하드코트층 형성재료의 조제
적당한 용제 중에, 상술한 에너지 경화형 화합물과, 소망에 따라서 광중합개시제, 나아가서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광증감제, 중합금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레벨링제, 소포제 등을 적절히 첨가해서 균일 용액을 조제함으로써, 에너지선 경화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를 얻을 수 있다.
또, 마찬가지로, 적당한 용제 중에, 상술한 에너지 경화형 화합물과, 소망에 따라서 열중합개시제, 나아가서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중합금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레벨링제, 소포제 등을 첨가해서 균일 용액을 조제함으로써, 열경화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를 얻을 수 있다.
하드코트층 형성재료의 조제에 이용하는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헥산,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염화메틸렌, 염화에틸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2-펜탄온, 이소포론,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터, 에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용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조제된 하드코트층 형성재료(에너지선 경화형 재료, 열경화형 재료)의 고형분농도는, 도포성 및 이후에 설명하는 소정의 미소 볼록부형상 부형성 등의 관점에서 20~6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0~50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의 형성>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해서 얻어진 하드코트층 형성재료(에너지선 경화형 재료, 열경화형 재료)를 이용하고, 후술하는 비산방지용 필름의 제조방법에서 상세히 서술한 바와 같이, 직경 5~15㎜의 조각 로드를 이용해서, 상술한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소정형상의 복수의 독립된 미소 볼록부를 일정한 피치로 형성시켜서 이루어지는 도포층을 형성하고, 이 도포층을 가열 건조한 후, 에너지를 인가해서 경화시킴으로써, 표면 전체면에, 소정형상의 복수의 독립된 미소 볼록부가 일정한 피치로 존재하는 하드코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에너지의 인가에 의한 도포층의 경화에, 에너지로서 에너지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로서 상술한 에너지선 경화형 재료가 이용되고, 그리고 에너지선으로서는, 통상 자외선 또는 전자선이 이용된다. 자외선은, 고압 수은램프, 무전극램프[예를 들면 퓨전 UV시스템 회사 제품], 크세논램프 등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한편, 전자선은 전자선가속기 등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이 에너지선 중에서는, 특히 자외선이 매우 적합하다. 이 에너지선의 조사량으로서는, 적절히 선택되지만, 예를 들면 자외선의 경우에는, 광량으로 100~500mJ/㎠가 바람직하고, 전자선의 경우에는, 10~1,000krad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에너지로서 열에너지를 인가하는 경우에는,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로 해서 상술한 열경화형 재료가 이용되고, 그리고 100~140℃정도의 온도에서 1~5분간 정도 가열처리한다.
이와 같이 해서, 소정형상으로 부형된 하드코트층을 얻을 수 있다.
<하드코트층의 형상>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드코트층에는, 해당 표면 전체면에, 에너지 경화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독립된 미소 볼록부가 일정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각 볼록부는, 이하에 나타낸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간섭 무늬를 미소한 것으로 분산시켜서, 육안으로 인식 불가능한 사이즈로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각 볼록부의 높이(볼록부의 정상점에서 저면부까지의 거리)는, 0.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0.5~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8~5㎛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인접한 볼록부간의 피치(정상부 중심점과 정상부 중심점과의 간격)는, 100~500㎛으로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고, 130~3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0~250㎛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각 볼록부의 형상으로서는, 다각뿔대 또는 원뿔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각뿔대로서는, 삼각뿔대, 사각뿔대 및 육각뿔대가 바람직하다. 또, 횡단면형상에 있어서, 각 변이 동일한 치수이어도 되고(정다각뿔대), 다른 치수의 것이어도 된다. 한편, 원뿔대는, 횡단면형상이 원형형상, 타원형상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이들의 형상 중에서는, 상기 형상으로 부형하는 데에 이용되는, 이후에 설명하는 조각 로드의 제작상의 용이함 등의 점에서, 정삼각뿔대 및 정사각뿔대가 적합하다.
또, 상기 다각뿔대 또는 원뿔대의 저면부에 대한 각도는, 30~60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각 볼록부의 저면부 면적은 O.001~0.25㎟인 것이 바람직하고, O.002~0.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O.003~O.15㎟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볼록부가 에지부를 가지는 경우, 상기 에지부가 하드코트층 형성 시에서, 불가피하게 둥그스름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따라서, 상기 에지부가 둥그스름해진 것도, 그 형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하드코트층 형성재료의 도포점도가 낮은 경우에는, 볼록부가 레벨링되어서 저면부 면적을 특정할 수는 없지만, 볼록부의 높이가 상기의 범위이면 간섭 무늬를 볼록부의 둘레가장자리부분으로 분산시켜서 육안으로는 인식 불가능한 사이즈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드코트층의 부형에 관해서는, 이후에 서술하는 비산방지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설명한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비산방지용 필름에 있어서, 기재필름의 상기 하드코트층과는 반대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종래 비산방지용 필름의 점착제층에 관용되고 있는 것 중에서, 임의의 것을 적절히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및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점착제는, 에멀션형, 용제형, 무용제형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1~300㎛, 바람직하게는 5~100㎛정도이다.
상기 각종의 점착제 중에서는, 내후성 등의 면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이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해서 형성된 점착제층은, 중량평균분자량 50만~200만 정도, 바람직하게는 70만~170만의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고, 또한 가교 처리된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인 것이 적합하다.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점착력 및 유지력이 안정된 비산방지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측정된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값이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에 함유되는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터계 공중합체가 이용된다. 이 (메타)아크릴산에스터계 공중합체로서는, 에스터 부분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의 (메타)아크릴산에스터와, 활성수소를 가진 작용기를 가지는 단량체와, 소망에 따라서 이용되는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여기서, 에스터 부분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의 (메타)아크릴산에스터의 예로서는,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프로필, (메타)아크릴산부틸, (메타)아크릴산펜틸, (메타)아크릴산헥실, (메타)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데실, (메타)아크릴산도데실, (메타)아크릴산미리스틸, (메타)아크릴산팔미틸, (메타)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한편 활성수소를 가진 작용기를 가지는 단량체의 예로서는,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 3-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등의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터;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류; (메타)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프로필 등의 (메타)아크릴산모노알킬아미노알킬;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카르복시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단량체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또, 소망에 따라서 이용되는 다른 단량체의 예로서는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터류;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류; 염화비닐, 비닐리덴클로라이드 등의 할로겐화 올레핀류;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등의 스타이렌계 단량체; 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등의 디엔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단량체;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등의 N,N-디알킬 치환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에 있어서, 수지성분으로서 이용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는, 이 공중합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어서, 랜덤, 블록,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 (메타)아크릴산에스터계 공중합체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으로서는, 가교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 가교 처리에 이용되는 가교제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종래 아크릴계 점착제에 있어서 가교제로서 관용되고 있는 것 중에서, 임의의 것을 적절히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에폭시화합물, 멜라민수지, 요소수지, 디알데히드류, 메틸올폴리머, 금속킬레이트화합물, 금속알콕시드, 금속염 등을 들 수 있지만,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이나 에폭시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또, 그 사용량은, 가교제의 종류에도 의하지만,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터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통상 0.01~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O.1~10질량부의 범위에서 선정된다.
또, 이 아크릴계 점착제에는, 소망에 따라서 점착부여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연화제, 실란커플링제, 충전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점착제를, 종래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바코트법, 나이프코트법, 롤코트법, 블레이드코트법, 다이코트법, 그라비아코트법 등을 이용하고, 기재필름의 하드코트층측과는 반대면에 직접 도포해서, 30~100℃정도의 온도에서 30초~5분간 정도 가열 건조 처리해서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이것에 박리시트를 부착해도 된다.
또, 상기 박리시트의 박리제층 면에, 점착제를 상기와 동일하게 해서 도포, 건조해서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이것을, 기재필름의 하드코트층과는 반대면에 부착하고, 상기 점착제층을 전사해서, 박리시트는 그대로 첩부한 상태로 해 두어도 된다.
상기 박리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그라신지, 코트지, 상질지 등의 종이기재, 이들의 종이기재에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래미네이트한 래미네이트지, 혹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필름,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필름 등의 플라스틱필름에, 박리제를 도포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박리제로서는,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알킬계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 염가로 안정된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실리콘계가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시트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통상 20~250㎛정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비산방지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비산방지용 필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비산방지용 필름의 제조방법(이하, 간단히 본 발명의 제조방법이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음)은, 상술한 본 발명의 비산방지용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를 어플리케이터롤에 의해 도포해서, 도포층을 형성한 후, 복수의 독립된 오목부가 일정한 피치로 존재하는 직경 5~15㎜의 조각 로드를 상기 도포층에 접촉시키면서, 기재필름의 흐름방향에 대해서 정회전(순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도포층의 표면에, 상기 오목부에 실질상 대응하는 복수의 독립된 미소 볼록부를 일정한 피치로 형성하고, 다음에 상기 도포층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각 로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를 어플리케이터롤에 의해 도포해서 형성된 도포층에, 상술한 소정의 형상을 부여하기 위해서, 직경 5~15㎜의 조각 로드가 이용된다. 직경이 5㎜미만에서는 로드가 휘어지기 때문에 도포가 곤란하며, 조각 로드의 직경이 15㎜를 초과하면, 조각 로드가 상기 도포층 표면으로부터 작은 각도로 떨어지기 때문에, 도포층의 표면장력의 영향에 의해 오목부의 형성이 곤란해진다.
이 조각 로드를 상기 도포층에 접촉시키면서, 기재필름의 흐름방향에 대해서 정회전(순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도포층 표면의 전체면에,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독립된 미소 볼록부를 일정한 피치로 형성시킨다. 조각 로드의 회전속도는, 기재필름의 흐름속도에 일치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조각 로드의 직경이 15㎜이하이면, 조각 로드가 도포층 표면에 접촉되어 있는 시간이 짧고, 또한 큰 각도로 떨어지기 때문에, 도포층의 표면장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므로, 회전속도가 기재필름의 흐름에 일치되어 있지 않아도 미소 볼록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볼록부의 형상으로부터, 해당 조각 로드 표면에는, 복수의 독립된 오목부가 일정한 피치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오목부의 형상은, 상술한 볼록부형상으로부터, 실질상, 하기 형상의 것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각 오목부의 깊이는, 10~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9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0~80㎛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인접한 오목부간의 피치(저면부 중심점과 저면부 중심점과의 간격)는, 100~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3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0~25O㎛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각 오목부의 형상으로서는, 역다각뿔대 또는 역원뿔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역다각뿔대로서는, 역삼각뿔대, 역사각뿔대 및 역육각뿔대가 바람직하다. 또, 횡단면형상에 있어서, 각 변이 동일한 치수이어도 되고(역정다각뿔대), 다른 치수의 것이어도 된다. 한편, 역원뿔대는, 횡단면형상이 원형형상, 타원형상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이들의 형상 중에서는, 조각 로드의 제작상의 용이함 등의 점에서, 역정삼각뿔대 및 역정사각뿔대가 적합하다.
또, 상기의 역다각뿔대 및 역원뿔대의 저면부에 대한 각도는, 120~150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각 오목부의 개구부 면적은, O.01~O.25㎟인 것이 바람직하고, O.015~0.09㎟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O.02~0.06㎟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조각 로드에 형성되는 오목부는, 해당 로드의 외주방향(회전방향)에 대해서, 30~60도 정도 경사져서 등간격으로 정렬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방향에 일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재필름의 흐름방향에 대해서, 독립되어 있지 않은 선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조각 로드를 이용해서, 하드코트층 표면의 전체면에, 해당 조각 로드의 오목부에 실질상 대응하는, 독립된 일정한 피치의 미소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간섭 무늬를 미소한 것으로 분산시키고, 육안으로 인식 불가능한 사이즈로 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조각 로드의 일예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1(a)는 축심(0)과 직각인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1(b)는 조각 로드의 외주부면을 평면적으로 전개해서 도시한 확대도, 도 1(c)는 상기 도 1(b)에 있어서의 A-A단면의 확대도이다. 이 조각 로드(5)의 요철(6)은, 원주형상의 로드 소재(7)의 외주부면에 각각 등간격으로 평행인 다수의 직선형상의 제1 볼록선(1), 제2 볼록선(2)이 격자형상으로 교차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에 의해, 이것 등의 제1 볼록선(1), 제2 볼록선(2)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다수의 각형의 오목부(3)가 조각 로드(5)의 축방향 및 둘레방향에 있어서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독립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다수의 제1 볼록선(1)에 의해서 제1 볼록선군이 구성되고, 다수의 제2 볼록선(2)에 의해서 제2 볼록선군이 구성되어 있으며, 도 1(b)에서 우측 하향의 1점쇄선으로 나타낸 직선은 제1 볼록선(1)의 중심선이고, 우측 상향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직선은 제2 볼록선(2)의 중심선이다.
제1 볼록선(1)은, 로드 소재(7)의 축심(0)에 대해서 우측방향으로 꼬임각도(α1)로 꼬인 다수 선의 나사 산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2 볼록선(2)은, 제1 볼록선(1)의 꼬임방향과 반대방향(좌측방향)으로 꼬임각도(α2)로 꼬인 다수 선의 나사 산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예에서는 꼬임각도(α1 = 45°, α2 = -45°)로, 제1 볼록선(1) 및 제2 볼록선(2)은 직각으로 교차되어 있다. 또, 제1 볼록선(1) 및 제2 볼록선(2)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고, 오목부(3)의 개구형상은 정방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목부(3)는, 개구부의 한 변의 길이(L)에 대해서 깊이(d)가 0.5L이하이고, 평탄한 저면부(3a)를 가지는 정사각형 접시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예에서는, 한 변의 길이(L)가 약 0.2㎜이고, 깊이(d)는 약 O.06㎜이며, d = O.3L이다. 또, 오목부(3)의 가장 큰 개구폭(w)은, 정방형의 대각선의 길이로, w = 2L/(
Figure pct00001
) ≒ 0.28㎜이며, d ≒ 0.21w이다. 상기 저면부(3a)는, 대략 평면이다.
또, 정방형의 오목부(3)의 4개의 측벽면(3b)은, 모두 저면부(3a)를 향함에 따라서 30°~60°의 범위 내에서 결정된 경사각도(
Figure pct00002
)로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예에서는
Figure pct00003
= 45°로 경사져 있다. 즉, 이 예의 오목부(3)는, 횡단면이 정방형의 역정사각뿔대를 이루고 있으며, 각 측벽면(3b)과 저면부(3a)가 교차하는 코너부분의 내각(內角)은 135°의 둔각이 된다.
한편, 상기 제1 볼록선(1) 및 제2 볼록선(2)은 동일한 폭치수(t)를 가지며, 이 예에서는 t ≒ 0.04㎜ = O.2L이다. 또, 인접한 오목부간의 피치(저면부 중심점과 저면부 중심점과의 간격)는, 본 예에서는 L + t ≒ 0.24㎜가 되며, 또한, 오목부의 개구부 면적은, 이 예에서는 약 0.04㎟가 된다.
(하드코트층의 형성)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하드코트층의 형성은, 하기와 같이 해서 실행된다.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를 어플리케이터롤에 의해 도포해서, 도포층을 형성한 후, 상술한 조각 로드를, 상기 도포층에 접촉시키면서, 기재필름의 흐름방향에 대해서 정회전(순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도포층 표면에, 해당 조각 로드의 오목부에, 실질상 대응하는 복수의 독립된 미소 볼록부를 일정한 피치로 형성하고, 다음에 상기 도포층을 경화시킴으로써, 하드코트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산방지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드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경화 전 도포층을 형성하는 장치의 일예를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2 중, 좌측에서 우측으로 통과하도록 수평으로 반송되는 기재필름(W)의 바로 아래에는, 도시하지 않은 롤러구동모터에 의해 도 2 중, 우측방향으로 구동 회전하는 어플리케이터롤(11)이 배치되고, 해당 상단부가 기재필름(W)의 전체폭에 걸쳐서 해당 이면에 접촉된 상태로 되어 있다. 어플리케이터롤(11)의 하단부는, 하드코트층 형성재료(C)가 공급되는 공급팬(12) 내에 위치되고, 이 공급팬(12)에 저류된 하드코트층 형성재료(C)에 침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기재필름(W)의 반송에 동기해서 어플리케이터롤(11)이 구동 회전됨으로써, 공급팬(12)에 저류된 하드코트층 형성재료(C)가 기재필름(W)의 이면 전체에 과잉되게 도포되게 되어 있다.
공급팬(12)과, 이 공급팬(12)에 보급되는 하드코트층 형성재료(C)를 저류하는 하드코트층 형성재료 저류탱크(13)는, 보급관로(14)를 개재해서 연통상태에 있으며, 이 보급관로(14)에는, 하드코트층 형성재료 저류탱크(13) 내의 상기 재료를 공급팬(12)에 보급하기 위한 보급펌프(15)가 개재 장치되어 있다. 또, 공급팬(12)에 저류되는 하드코트층 형성재료(C)의 액면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재료(C)의 액면에 부유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서, 공급팬(12)에는, 하드코트층 형성재료 저류탱크(13)에 연통하는 일류관(21)이 배치되어 있다. 보급펌프(15)는, 어플리케이터롤(11)에 의한 공급팬(12)으로부터 기재필름(W)으로의 하드코트층 형성재료(C)의 공급에 따라서 작동되고, 일류관(21)으로부터 여분의 하드코트층 형성재료(C)가 하드코트층 형성재료 저류탱크(13)로 되돌려지도록 하고, 이에 의해 공급팬(12)에 저류되는 하드코트층 형성재료(C)의 액면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어플리케이터롤(11)도, 기재필름(W)의 반송방향 하류측에는, 로드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 2 중, 우측방향으로 구동 회전하는 조각 로드(17)가 배치되고, 또한 기재필름(W)을 사이에 두고, 조각 로드(17)의 반대측에, 한 쌍의 안내롤(22)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안내롤(22)은, 조각 로드(17)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위치하고, 이들 한 쌍의 안내롤(22)에 의해서 조각 로드(17)의 상단부가 기재필름(W)의 전반에 걸쳐서 해당 이면에 안정적으로 접촉된 상태가 된다.
어플리케이터롤(11)에 의해, 기재필름(W)의 이면에 과잉되게 도포된 하드코트층 형성재료(C)를 소정의 막두께로 규정하는 동시에, 도포층 표면의 전체면에 소정의 독립된 일정한 피치의 미소 볼록부를 형성하기 위한 조각 로드(17)는, 해당 아래쪽에 형성된 하드코트층 형성재료 회수팬(18)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V블록형상 단면을 가지는 로드형상 홀더(19)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하드코트층 형성재료 회수팬(18)과 상기 하드코트층 형성재료 저류탱크(13)는, 회수관로(20)를 개재해서 연통하고 있으며, 따라서 조각 로드(17)에 의해 기재필름(W)의 이면으로부터 제거된 하드코트층 형성재료(C)는,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하드코트층 형성재료 회수팬(18) 내에 흘러들어가서, 회수관로(20)로부터 하드코트층 형성재료 저류탱크(13)로 되돌려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된 미경화 도포층은, 가열 건조한 후, 에너지선을 조사해서 경화시킴으로써, 혹은 열경화시킴으로써, 표면의 전체면에, 복수의 독립된 미소 볼록부가 일정한 피치로 존재하는 하드코트층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하드코트층을 가지는 비산방지용 필름은, 상기 하드코트층 표면의 전체면에, 복수의 독립된 미소 볼록부를 일정한 피치로 형성함으로써, 간섭 무늬를 미소한 것으로 분산시키고, 육안으로 인식 불가능한 사이즈로 할 수 있어서, 간섭 무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미소 볼록부가 굴절률이 다른 필러나 비상용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내부 헤이즈치를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혼탁되어서 부옇게 보이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하드코트층 형성재료 및, 로드 코터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예에 의해서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산방지용 필름의 간섭 무늬에 대해서는,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간섭 무늬의 평가>
시료의 하드코트층을 위로 해서, 흑색 아크릴수지판의 위에 포개고, 3파장형 형광등을 이용해서, 간섭 무늬를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 간섭 무늬가 보이지 않는다.
×: 폭 수 ㎝이상의 간섭 무늬가 보인다.
(실시예 1)
(1)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5질량%, 아세트산비닐 23질량% 및 아크릴산 2질량%를 라디칼 중합함으로써, 카르복실기 함유 아크릴산에스터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60만)를 33질량% 농도로 함유한 아세트산에틸용액을 얻었다. 다음에, 이 아세트산에틸용액 100질량부에, 알루미늄킬레이트화합물[소켄 카가쿠(주) 제품, 「M-5A」, 알루미늄트리스아세틸아세트네이트, 고형분 4.95질량%] 0.5질량부 및 자외선흡수제[시바ㆍ스페셜티ㆍ케미칼스 회사 제품, 「CGL777MPAD」, 트리스(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화합물, 고형분 80질량%] 4.0질량부를 첨가해서,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2) 하드코트층 형성재료의 조제
톨루엔 150질량부와, 에너지선 경화형 모노머로서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사토머(SARTOMER)ㆍ재팬 회사 제품, 상품명 「사토머 SR399E」] 100질량부와, 광중합개시제[시바ㆍ스페셜티ㆍ케미칼스 회사 제품, 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5질량부를 균질하게 혼합해서,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도포액을 조제했다.
(3) 비산방지용 필름의 제작
조각 로드로서, 표면에, 도 1에 도시한 형상의 깊이 60㎛이고 한 변이 200㎛인 역정사각뿔대(개구부 면적: 0.04㎟, 측면부와 저면부와의 각도: 45도)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오목부를 피치 240㎛로 가지는, 직경 6㎜의 로드를 이용하고, 도 2에 도시한 도포장치를 이용해서,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상기 (2)에서 얻은 도포액을, 하기에 표기한 바와 같이 도포했다. 또한, 기재필름으로서,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미츠비시 카가쿠 폴리에스터필름 회사 제품, 상품명 「T600E」]을 사용했다.
즉, 속도 30m/분으로 흐르는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선 수 120개/인치, 직경 200㎜의 어플리케이터롤을 이용해서 도포액을 전사한 후, 상기 조각 로드를 도포층 면에 접촉시키면서, 기재필름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순회전이 되도록 회전속도 50회전/분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도포층 면에 조각 로드의 오목부를 전사해서, 상기 오목부에 실질상 대응하는 볼록부를 형성했다.
그 후, 70℃에서 1분간 건조 처리한 후, 상기 도포층 면에 고압 수은램프에 의해, 조도 400mW/㎠, 광량 125mJ/㎠의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해서, 상기 도포층을 경화시켜서 하드코트층을 형성했다. 이 하드코트층의 두께(볼록부의 저면부에서 기재필름 표면까지의 거리)는 1.7㎛, 볼록부의 높이(볼록부의 정상부에서 저면부까지의 거리)는 1.2㎛였다.
한편, 두께 38㎛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의 표면에, 실리콘수지의 박리제층을 형성해서 이루어진 박리필름의 상기 박리제층 면에, 상기 (1)에서 얻은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하고, 100℃에서 1분간 건조해서 박리필름 부착 점착제층을 제작했다.
다음에, 이 박리필름 부착 점착제층을, 상기 기재필름의 하드코트층과는 반대면에 접합해서, 비산방지용 필름을 제작했다.
이 비산방지용 필름의 성능평가결과를 표 1에 표기한다.
(비교예 1)
실시예 1(3)에서, 조각 로드 대신에, 직경 0.2㎜의 와이어를 감은 직경 6㎜의 로드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비산방지용 필름을 제작했다.
이 비산방지용 필름의 성능평가결과를 표 1에 표기한다.
간섭 무늬의 평가
실시예 1
비교예 1 ×
와이어를 감은 로드를 이용해서 하드코트층을 형성한 비교예 1의 비산방지용 필름은, 폭 수 ㎝의 간섭 무늬가 보이지만, 조각 로드를 이용해서 하드코트층을 형성한 본 발명의 비산방지용 필름은, 간섭 무늬는 보이지 않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비산방지용 필름은, 하드코트층 표면의 전체면에, 복수의 독립된 특정형상의 미소 볼록부를 일정한 피치로 형성시킴으로써, 간섭 무늬를 미소한 것으로 분산시키고, 육안으로 인식 불가능한 사이즈로 할 수 있어서, 간섭 무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O: 축심 1: 제1 볼록선
2: 제2 볼록선 3: 오목부
3a: 저면부 3b: 측벽면
5: 조각 로드 6: 요철
7: 로드소재 11: 어플리케이터롤
12: 공급팬 13: 저류 탱크
14: 보급관로 15: 보급펌프
17: 조각 로드 18: 회수팬
19: 로드형상 홀더 20: 회수관로
21: 일류관 22: 안내롤
W: 기재필름 C: 하드코트층 형성재료

Claims (9)

  1.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을 가지며, 다른 쪽 면에 점착제층 및 박리시트가 순서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비산방지용 필름으로서, 상기 하드코트층 표면의 전체면에, 에너지 경화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독립된 볼록부가 일정한 피치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각 볼록부의 높이가 0.1~10㎛이며, 인접한 볼록부간의 피치(정상부 중심점과 정상부 중심점과의 간격)가 100~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용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볼록부 형상이, 다각뿔대 또는 원뿔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용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볼록부의 저면부 면적이 0.001~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용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경 5~15㎜의 조각 로드를 이용해서, 복수의 독립된 볼록부를 일정한 피치로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용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드코트층이, 에너지 경화형 재료를 이용해서 형성된 도포층에 에너지를 인가하고,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용 필름.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를 어플리케이터롤에 의해 도포해서, 도포층을 형성한 후, 복수의 독립된 오목부가 일정한 피치로 존재하는 직경 5~15㎜의 조각 로드를 상기 도포층에 접촉시키면서, 기재필름의 흐름방향에 대해서 정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도포층의 표면에, 상기 오목부에, 실질상 대응하는 복수의 독립된 볼록부를 일정한 피치로 형성하고, 다음에 상기 도포층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용 필름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조각 로드에 형성된 오목부가, 상기 로드의 외주방향에 대해서, 30~60도 경사져서 등간격으로 정렬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용 필름의 제조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하드코트층 형성재료가, 에너지 경화형 재료로서, 도포층에 에너지를 인가해서, 상기 도포층을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용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07023703A 2008-04-15 2009-04-13 비산방지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346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05959A JP5214311B2 (ja) 2008-04-15 2008-04-15 飛散防止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JP-P-2008-105959 2008-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692A true KR20100134692A (ko) 2010-12-23

Family

ID=4119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703A KR20100134692A (ko) 2008-04-15 2009-04-13 비산방지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027514A1 (ko)
EP (1) EP2266790B1 (ko)
JP (1) JP5214311B2 (ko)
KR (1) KR20100134692A (ko)
CN (1) CN102015280B (ko)
TW (1) TWI458632B (ko)
WO (1) WO2009128551A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402A (ko) 2015-02-05 2016-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96401A (ko) 2015-02-05 2016-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96403A (ko) 2015-02-05 2016-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27531A (ko) 2015-04-27 2016-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27533A (ko) 2015-04-27 2016-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50499A (ko) 2015-06-22 2016-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전성 필름
KR20160150498A (ko) 2015-06-22 2016-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전성 필름
KR20170014222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전성 필름용 조성물
KR20170014224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전성 필름용 조성물
KR20170034043A (ko) 2015-09-18 2017-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KR20170034045A (ko) 2015-09-18 2017-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KR20170034042A (ko) 2015-09-18 2017-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KR20170034044A (ko) 2015-09-18 2017-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KR20180053446A (ko) * 2016-11-11 2018-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867B1 (ko) * 2010-12-20 2013-06-07 (주)엘지하우시스 전기적 특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글래스 비산 방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302916B1 (ko) * 2010-12-20 2013-09-06 (주)엘지하우시스 광학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글래스 비산 방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6666685B2 (ja) * 2015-10-21 2020-03-1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ウインドーフィルム
JP6781092B2 (ja) * 2017-03-29 2020-11-04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基材
WO2021107000A1 (ja) * 2019-11-29 2021-06-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用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
CN118103467A (zh) * 2021-10-15 2024-05-28 3M创新有限公司 用于车辆内部的装饰膜和防散射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8036A (en) * 1953-07-27 1956-08-07 Allen Ind Method for double face coating and embossing rug cushions
US5330799A (en) * 1992-09-15 1994-07-19 The Phscologram Venture, Inc. Press polymerization of lenticular images
KR100314563B1 (ko) * 1993-10-29 2002-04-24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세구조표면을갖는압감접착제
GB0011849D0 (en) * 2000-05-17 2000-07-05 Standex International Limited Embossing rollers
JP4013557B2 (ja) 2002-01-18 2007-11-28 日本製紙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4116347B2 (ja) * 2002-07-08 2008-07-09 日東電工株式会社 被膜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4045988A (ja) * 2002-07-15 2004-02-12 Fuji Photo Film Co Ltd 干渉縞防止ハードコート処理物品
CA2522218A1 (en) * 2003-04-14 2004-10-28 National Graphics, Inc. Lenticular images formed on selected images portions
US20060132945A1 (en) * 2003-06-06 2006-06-22 Koichi Sano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JP2005290090A (ja) 2004-03-31 2005-10-20 Nitto Denko Corp 透明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4674074B2 (ja) * 2004-10-12 2011-04-20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反射防止フィルム
JP2006127841A (ja) * 2004-10-27 2006-05-18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表示媒体用ガスバリア膜
US7601290B2 (en) * 2005-05-04 2009-10-13 Bridgestone Sports Co., Ltd. Method for producing golf ball
US20090090462A1 (en) * 2005-06-02 2009-04-09 Shigemoto Kato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min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4888392B2 (ja) * 2005-09-20 2012-02-29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の形成方法及び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
JP4776448B2 (ja) * 2006-06-12 2011-09-21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402A (ko) 2015-02-05 2016-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96401A (ko) 2015-02-05 2016-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96403A (ko) 2015-02-05 2016-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27531A (ko) 2015-04-27 2016-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27533A (ko) 2015-04-27 2016-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50499A (ko) 2015-06-22 2016-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전성 필름
KR20160150498A (ko) 2015-06-22 2016-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전성 필름
KR20170014222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전성 필름용 조성물
KR20170014224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전성 필름용 조성물
KR20170034043A (ko) 2015-09-18 2017-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KR20170034045A (ko) 2015-09-18 2017-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KR20170034042A (ko) 2015-09-18 2017-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KR20170034044A (ko) 2015-09-18 2017-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KR20180053446A (ko) * 2016-11-11 2018-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15280A (zh) 2011-04-13
EP2266790A4 (en) 2012-10-17
JP5214311B2 (ja) 2013-06-19
EP2266790B1 (en) 2016-11-23
CN102015280B (zh) 2014-10-01
WO2009128551A1 (ja) 2009-10-22
EP2266790A1 (en) 2010-12-29
JP2009255351A (ja) 2009-11-05
TWI458632B (zh) 2014-11-01
US20110027514A1 (en) 2011-02-03
TW201002525A (en) 201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4692A (ko) 비산방지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162558B1 (ko)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이 적층체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JP5356612B2 (ja) 保護フィルム付き微細凹凸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04479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필름과 필름의 제조 방법
CN108676519B (zh) 压敏粘合片
JP2009037204A (ja) シート状光学部材、光学シート用樹脂組成物、光学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061676A (ja) 接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530985A (ja) 環境保護光学シート
JP7427359B2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及びその評価方法
KR100785889B1 (ko) 확산 보호필름, 확산보호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드 유닛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0481A (ko) 다이 코터 및 이를 이용하는 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
JP2008003525A (ja) 光学機能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192542B2 (ja) 貫通孔・凹凸パターンを有するシートの製造方法
JP6194361B6 (ja) 耐熱積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5029666A6 (ja) 耐熱積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57865B2 (ja) 賦型シートの製造方法、樹脂被覆賦型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JP6089541B2 (ja) プリズム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透過型画像表示装置
WO2018101421A1 (ja) 接着剤組成物、該接着剤組成物を用いた積層体、該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該接着剤組成物の使用
KR101167975B1 (ko) 확산기능이 내재된 헤이즈 광학필름 제조방법
JP2005324346A (ja) 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0152186A (ja) 構造化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JP7164980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防眩性シート
JP2016194579A (ja) 採光部材、光制御機能付き窓材、採光部材の設計方法および採光部材の製造方法
KR20160070482A (ko) 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4069500A (ja) 機能性有機ガラス及び機能性有機ガラ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079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216

Effective date: 2016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