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274A -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또는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또는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1274A
KR20100111274A KR1020107015241A KR20107015241A KR20100111274A KR 20100111274 A KR20100111274 A KR 20100111274A KR 1020107015241 A KR1020107015241 A KR 1020107015241A KR 20107015241 A KR20107015241 A KR 20107015241A KR 20100111274 A KR20100111274 A KR 20100111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adhesive
resin composition
ethylene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4820B1 (ko
Inventor
마사타카 아오야마
요시타카 히로나카
히사오 고노헤
Original Assignee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1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J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0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protecting painted surfaces, e.g. of ca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3/00Presence of block co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초기 점착력이 적정하고, 또한, 점착력의 경시적 앙진이 충분히 억제되어, 약간의 열이력을 받거나 장기간 저장하여도, 적절한 점착력을 적정한 범위로 유지할 수 있고, 또, 박리속도의존성이 아주 작고, 게다가 소망에 의하여 점착 필름 또는 시트에 고도의 투명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점착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물품의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 또는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착성 수지 조성물은, (A)성분과 (B)성분과 (C)성분의 합계량을 100 중량부라 하였을 때, (A) 올레핀 중합체(A성분), 5∼80 중량부, (B)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B성분), 5∼80 중량부 및 (C)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및/또는, 올레핀계 일래스토머(C성분), 1∼60 중량부를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또는 시트{TACKY RESIN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OR SHEET}
본 발명은,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해당 조성물을 사용한 점착 필름 또는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절한 초기 점착력을 가지고, 또한 그 점착력의 경시 앙진이 한층 억제되어, 적정한 일정 점착력의 장기 지속성이 우수하고, 또, 박리속도의존성이 작은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해당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필름 또는 시트, 특히, 물품의 표면 보호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점착 필름 또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
점착 필름 또는 시트는, 종래부터, 합성 수지판, 화장판, 금속판 및 도장 강판 등의 제품의 표면을, 티끌의 부착, 오염 및 상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용 필름으로서, 또, 창유리 표면의 보호용 필름으로서, 자동차의 베이킹 도장 시나 프린트 기판의 땜납 침지 시의 표면 보호용 필름으로서, 나아가서는, 액정 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나 유기박막 EL장치의 구성부재인 액정 패널판, 반사판, 위상차판, 프리즘 시트, 도광판, 편광판, 플라즈마 표시 패널판, 유기형광체 박막, 투명전극 등의 정밀 전자부품의 표면 보호용 필름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점착 필름 또는 시트에는, 기재층과 점착층 사이의 접착은 강하게, 한편, 피착체 표면과 점착층의 사이에서는, 자연스럽게 자기박리하거나 또는 아주 가벼운 진동이나 충격으로 탈락하거나 하는 일이 없고, 또한 개봉 박리 시에는 피착체 표면에 점착물질을 남기지 않고, 원활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해당 표면과의 사이에서는 적절한 점착 강도를 보유하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 이와 같은 필름, 시트의 점착층에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의 한쪽 면에, 아세트산 비닐 함유량이 18∼26%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적층한 표면 보호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피착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양호한 초기 점착력(접착력)을 가진다.
그러나, 경시적으로 점착력이 앙진되는 결점이 있고, 특히, 상온에서 피착체와 점착된 상태로 운반, 보관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여러가지 열이력을 받은 경우 등에는, 점착력의 앙진이 현저하게 진행되고, 점착력이 지나치게 강해지는 것에 기인하여 사용 박리 시 자주 문제가 생겼다.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의 이와 같은 접착력의 경시적 앙진을 억제하기 위한 대책도 이미 제안되어,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에 실질적으로 비결정성의 프로필렌계 수지를 배합한 수지 조성물을 점착성 수지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종래품에 비하면 점착력의 경시적 앙진을 상당한 정도억제할 수 있어, 어느 정도 효과는 볼 수 있으나, 아직 그 개선효과는 충분치 않고, 당업계에서는 더 한층의 개선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해당 수지 조성물의 초기 접착력은 약간 높고, 게다가 경시적 앙진을 완전하게는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서는 접착력이 지나치게 강하여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최근, 표면 보호용 등의 점착 필름, 시트에는 투명성이 요구되는 경우도 많아, 이 요건을 충족시키는 점착 필름, 시트가 요구되는 경향도 강해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8-17005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2-226814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상기 초기 점착력이 적정하고, 또한, 점착력의 경시적 앙진이 충분히 억제되어, 약간의 열이력을 받거나 장기간 저장하여도, 적절한 점착력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게다가, 소망에 의해 점착 필름 또는 시트에 고도의 투명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착성 조성물을 얻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의외로도,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에, 결정성의 올레핀중합체와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및/또는 올레핀계 일래스토머를 조합하여 특정 비율배합한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찾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점착력(초기 접착력)이 적정한 범위에 있고, 또한, 접착력 점착력(접착력)의 경시적 앙진이 충분히 억제된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용성이 우수한 점착 필름 또는 시트를 얻을 수 있는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점착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점착 필름 또는 시트, 특히, 물품의 표면 보호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점착 필름 또는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부터의 점착성 필름 또는 시트가 제공된다.
(1) (A)성분과 (B)성분과 (C)성분의 합계량을 100 중량부라 하였을 때, (A) 올레핀 중합체(A성분), 5∼80 중량부, (B)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B성분), 5∼80 중량부 및 (C)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및/또는, 올레핀계 일래스토머(C성분), 1∼60 중량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성 수지 조성물.
(2) (A)성분과 (B)성분과 (C)성분의 합계량을 100 중량부라 하였을 때, (A) 올레핀 중합체(A성분)의 함유량이 7.5∼75 중량부, (B)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B성분)의 함유량이 7.5∼75 중량부, (C)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및/또는 올레핀계 일래스토머(C성분)의 함유량이 1∼49 중량부인 상기 (1)에 기재된 점착성 수지 조성물.
(3) A성분이, 융점 130℃ 이상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점착성 수지 조성물.
(4) A성분이 밀도 896∼965 kg/㎥의 에틸렌계 (공)중합체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점착성 수지 조성물.
(5) C성분이 스티렌계 일래스토머인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성 수지 조성물.
(6) 스티렌계 일래스토머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의 수소 첨가물인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의 수소 첨가물인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인 상기 (5)에 기재된 점착성 수지 조성물.
(7) 점착 부여제가 더 함유되어 있는 상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성 수지 조성물.
(8)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성 수지 조성물의 점착제로서의 사용.
(9)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점착층으로 하는 점착 필름 또는 시트.
(10) 상기 (1)∼(7)에 기재된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점착층으로 하는 점착 박리강도의 박리속도의존성이 작은 점착 필름 또는 시트.
(11)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필름 또는 시트.
(12) 상기 기재가 에틸렌계 폴리머, 또는 프로필렌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필름 또는 시트인 상기 (11)에 기재된 점착 필름 또는 시트.
(13)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된 필름 또는 시트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 또는 시트.
(14) 상기 (9)∼(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 필름 또는 시트의, 물품의 표면 보호를 위한 사용.
본 발명의 점착성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에, 특정 비율량의 폴리올레핀 중합체와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및/또는, 올레핀계 일래스토머를 조합하여 배합함으로써, 해당 점착성 수지 조성물의 필름의 초기 점착력(접착력)이 적정한 범위(구체적으로는 초기 점착력이 0.5∼500 g/25 mm의 범위)에 있고, 또한 점착력(접착력)의 경시적 앙진이 충분히 억제되어(바람직하게는 점착 앙진율이 50% 이하), 약간의 열이력을 받거나 장기간 저장하여도, 그 적절한 점착력을 적정한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은 피착체로부터 떼어낼 때의 박리속도를 올린 경우에도 그 점착력의 앙진은 충분히 억제된다.
또한, 소망에 의해 점착 필름 또는 시트에 고도의 투명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점착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점착 필름 또는 시트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판, 화장판, 금속판 및 도장 강판 등의 제품 표면 보호용, 또한, 창유리 표면 보호용, 자동차의 베이킹 도장 시나 프린트 기판의 땜납 침지 시의 표면 보호용, 나아가서는, 액정 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나 유기박막 EL장치의 구성부재인 액정 패널판, 반사판, 위상차판, 프리즘 시트, 도광판, 편광판, 플라즈마 표시 패널판, 유기형광체 박막, 투명전극 등의 정밀 전자부품의 표면 보호용 필름 또는 시트로서 특히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 또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성 수지 조성물은, 올레핀 중합체(A성분),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B성분), 및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및/또는 올레핀계 일래스토머(C성분)를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이들 각 성분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A성분(올레핀 중합체)」
본 발명에서, A성분인 올레핀 중합체(또한 본 발명에서 올레핀 중합체란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또는 올레핀 공중합체를 의미한다)로서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결정성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 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촉매로 중합된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과 같은 에틸렌계 (공)중합체, 폴리부텐, 폴리4-메틸-1-펜텐, 폴리헥센, 폴리옥텐 등의 탄소수 1 내지 12의 폴리올레핀이 예시되나, 본 발명에서는, 이들 중에서 결정성의 올레핀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특히 프로필렌계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란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프로필렌 호모 폴리머) 또는 프로필렌 성분을 50 몰% 이상 포함하는 프로필렌과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이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로서, 본 발명에서는 융점 130℃ 이상의 고융점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특히 융점 130℃ 이상의 고융점의 결정성을 가지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융점의 결정성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의 전형예로서, 고결정성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등의 입체 특이성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로서는 융점(JIS K 7121에 준거 융해 피크 온도)이 130℃ 이상인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폴리프로필렌 호모 폴리머), 프로필렌을 주체로 하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더욱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 성분을 5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몰% 이상 포함하고, 프로필렌 이외의 다른 단량체 성분을 50 몰% 미만, 특히 20 몰% 이하의 비율로 포함하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옥타데센 등의 탄소 원자수 2, 4∼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4∼8의 α-올레핀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중에서도, 특히 시차주사열량계(DSC)로 측정한 융점에서의 흡열피크로부터 얻어지는 잠열량(융해열량)(JIS K 7122에 준거하여 측정)이 10∼120 J/g, 특히 30∼110 J/g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가 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경우, 랜덤 공중합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JIS K7210에 준거, 230℃ 2160 g 하중)는 1∼60 g/10분, 특히 2∼30 g/10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다른 적합한 A성분은 에틸렌계 (공)중합체이다. 에틸렌계 (공)중합체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밀도가 896∼965kg/㎥의 범위에 있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특히 밀도가 896∼965 kg/㎥의 범위에 있는 결정성을 가지는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에틸렌계 (공)중합체란, 에틸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 성분을 50 몰% 이상 포함하는 에틸렌과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단 뒤에서 설명하는 (B)성분을 제외한다]를 의미한다. 다른 단량체로서는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고, 특히 탄소수 3∼12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계 (공)중합체의 밀도는, 대략, 그 중합법에 의해 지배되고, 상기 에틸렌계 (공)중합체는, 주로 고압법(1500∼3000기압), 중압법(30∼70기압, Phillips법, Standard법 등), 저압법(상압 또는 약간의 가압 ; Ziegler법 등), 또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는 중, 저압법 등의 제법으로 제조된다.
에틸렌계 (공)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JIS K7210 준거 190℃ 2160 g 하중)는 0.5∼20 g/10분, 특히 1∼15 g/10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A성분으로서는, 상기 결정성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에틸렌계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나, 전자[결정성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의 쪽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양자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B성분)」
본 발명에서 또 한쪽의 필수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B성분)로서는,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과 같은 비닐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무수말레인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무수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카르본산의 탄소수 20 정도까지의 알킬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과,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이소프로필, 아크릴산n프로필,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글리시딜, 말레인산디메틸, 말레인산디에틸 등의 불포화카르본산 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원계 공중합체 외에, 에틸렌에 상기 불포화 에스테르를 2종 이상 공중합시킨 다원계 공중합체이어도 되고, 또한, 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가 원래 가지는, 예를 들면, 유연성, 탄력성, 히트 시일성 등의 여러가지 특성을 실질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한에서, 다른 극성 모노머,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무수말레인산, 무수이타콘산이나 일산화탄소 등을, 더욱 소량 공중합시킨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B성분으로서, 이들 중에서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부틸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특히,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및 튜블러 중합법으로 제조된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B성분) 중에서도 불포화 에스테르 단위 함량이 3∼46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33 중량%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포화 에스테르 단위 함량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와의 상용성(相溶性)이 좋고, 또한 얻어지는 점착성 조성물의 기계 물성, 내열성, 유연성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얻어지는 조성물의 점착 시일강도, 나아가서는, 가공성 등의 관점에서, 그 멜트 플로우 레이트(190℃, 2160 g 하중 : JIS K7210-99 준거, 190℃, 2160 g 하중)가 1∼50 g/10분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20 g/10분이다.
상기와 같은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불포화 에스테르를 고온, 고압 하에서 라디칼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의 오토클레이브법에 의한 고압 라디칼 중합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되는 랜덤성 양호한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한 에틸렌·불포화카르본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경우는, 튜블러법에 의한 고압 라디칼 중합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되는 공중합체가 특히 적합하게 사용된다.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및/또는 올레핀계 일래스토머(C성분)」
본 발명의 또 다른 필수성분으로서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및/또는 올레핀계 일래스토머(C성분)가 사용된다. 여기서는 스티렌계 일래스토머를 C-1성분, 올레핀계 일래스토머를 C-2성분이라 부른다.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1성분)는, 디엔 블록(디엔 중합체부)으로 이루어지는 소프트세그먼트와 스티렌 블록(스티렌 중합체)으로 이루어지는 하드세그먼트를 가지는 블록 공중합체이며, 소위 에틸렌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로서 제조·판매되고 있는 블록 공중합체의 일종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B),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SI) 및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또는 그들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소 첨가물은,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의 모두가 수소 첨가된 블록 공중합체이어도, 디엔 블록만 수소 첨가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의 일부가 수소 첨가된 블록 공중합체 등의 부분 수소 첨가물이어도 된다.
이들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을 점착성 수지 조성물로서 사용할 때에는, 단독으로도 2종 이상 사용하여도 된다.
이들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도,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B)의 수소 첨가물,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의 수소 첨가물,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의 수소 첨가물,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SI)의 수소 첨가물 등의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B)의 수소 첨가물인 스티렌-에틸렌·부텐 블록 공중합체(SEB),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의 수소 첨가물인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의 수소 첨가물인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가 압출성형 시의 열안정성이 우수하고, 가공 시의 안정성이나, 열화물의 발생 및 냄새의 발생을 억제하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1성분)은 MFR(멜트 플로우 레이트; ASTM D-1238 하중 5 kg, 온도 20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0.1∼100 g/10분, 바람직하게는 0.5∼50 g/10분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에서 또 한쪽의 C-2성분으로서 올레핀계 일래스토머가 사용된다.
올레핀계 일래스토머(C-2성분)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올레핀을 구성 성분으로 하는 일래스토머 형상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세그먼트와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고무 세그먼트의 블록 공중합체라 간주되는 것, 예를 들면, 1,2-비닐 결합이 적은 폴리부타디엔 세그먼트와 1,2-비닐 결합이 많은 폴리부타디엔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의 부타디엔 중합 단위를 수소 첨가하여 얻어지는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즉, 올레핀계 일래스토머(C-2성분)로서는, 폴리에틸렌 세그먼트와 에틸렌·부텐 공중합 고무 세그먼트의 블록 공중합체(이하, CEBC 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1,2-비닐 결합이 적은 폴리부타디엔 세그먼트와 1,2-비닐 결합이 많은 폴리부타디엔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의 부타디엔 중합 단위를 수소 첨가하여 얻어지는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올레핀계 일래스토머(C-2성분)로서는, 예를 들면, 1,2-비닐 결합함량이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의 폴리부타디엔 세그먼트(X)와, 1,2-비닐 결합 함량이 25∼95%, 바람직하게는 25∼75%, 더욱 바람직하게는 25∼55%의 폴리부타디엔 세그먼트(Y)로 이루어지고, 블록구조가 X-(Y-X)n 또는 (X-Y)m(단, 식에서 n은 1 이상, m은 2 이상의 정수이다.)로 나타내는 직쇄 형상 또는 분기 형상의 블록 공중합체의 부타디엔 중합 단위가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5∼100% 수소 첨가된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소 첨가 공중합체로서는 또, 230℃, 2160 g 하중에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1∼100 g/10분, 특히 0.5∼50 g/10분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올레핀계 일래스토머(C-2성분)로서는, 구체적으로는, 결정성 올레핀(결정성 에틸렌 중합체부)-에틸렌·부텐(비결정성 올레핀 중합체부)-결정성 올레핀(결정성 에틸렌 중합체부) 블록 공중합체(CEBC), 스티렌-에틸렌·부텐(비결정성 올레핀 중합체부)-결정성 올레핀(결정성 에틸렌 중합체부) 블록 공중합체(SEBC)를 들 수 있고, JSR 주식회사로부터 상품명 : DYNARON으로서, DR6100P, DR6200P(CEBC), DR4600P, DR4630P(SEBC)의 각종 상품이 시판되고 있다.
(C) 성분의 다른 예로서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소량의 에틸렌 또는 1-부텐 등의 다른 α-올레핀과의 프로필렌을 주체로 한 결정성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리빙 중합하여 결정성 올레핀 중합체를 얻고, 이어서 프로필렌과 에틸렌, 1-부텐 등의 다른 α-올레핀을 공중합하여 비결정성의 올레핀 중합체부를 얻어 이루어지는 프로필렌-프로필렌·α-올레핀-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C)성분의 다른 예로서는, 밀도가 0.850∼0.895 g/㎥이고, X선에 의한 결정화도가 40% 이하(0∼40%)의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그 조성물,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함량이 40∼95 몰%의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α-올레핀으로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등의 탄소수 3∼12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으나 특히 프로필렌, 1-부텐이 바람직하다. 이들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그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미츠이화학(주)에서 상품명 타프머 또는 노티오로서, 스미토모화학(주)로부터 상품명 타프세렌이 시판되고 있다.
「점착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점착성 수지 조성물은, (A)성분과 (B)성분과 (C)성분의 합계량을 100 중량부라 하였을 때, (A)결정성의 올레핀 중합체(A성분) 5∼80 중량부, (B)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B성분) 5∼80 중량부 및 (C)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및/또는 올레핀계 일래스토머(C성분) 1∼60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각 성분의 배합 비율이 상기 범위에 있을 때, 비로소 적절한 초기 점착력을 가지고, 또한, 그 점착력의 경시 앙진이 한층 억제되어, 적정한 일정 점착력의 장기 지속성이 우수하고, 또, 박리속도의존성이 작은 점착성 수지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면 (A성분)의 배합량이 (A)성분과 (B)성분과 (C)성분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점착력의 경시 앙진이나 박리속도의존성이 크고, 또, (A성분)의 배합량이 (A)성분과 (B)성분과 (C)성분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중량부를 넘는 경우에는 초기 점착이 낮기 때문에 어느 것이나 바람직하지 않다. 또 (C성분)의 배합량이 (A)성분과 (B)성분과 (C)성분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이어도 점착력의 경시 앙진성이 적은 조성물이 얻어지나, (C성분)을 1 중량부 이상 배합한 경우, 더욱 우수한 초기 점착력이나 점착력의 경시 앙진 억제 효과가 얻어지고, 특히 고온 에이징 시의 앙진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한편 (C성분)의 배합량이 (A)성분과 (B)성분과 (C)성분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이 현저하게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필름의 외관이 중시되는 경우, 일래스토머는 피쉬아이(FE)가 비교적 많기 때문에 일래스토머의 배합비가 적은 쪽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특히 바람직한 배합 비율은, (A)성분과 (B)성분과 (C)성분의 합계량을 100 중량부라 하였을 때, (A)결정성의 올레핀 중합체(A성분)의 함유량이 15∼75 중량부이고, (B)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B성분)의 함유량이 15∼60 중량부이고, (C)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및/또는 올레핀계 일래스토머 (C)성분의 함유량이 1∼49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점착성 수지 조성물에는, 또한, 그 초기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점착 부여제를 배합하여도 되고, 그 배합량은 (A),(B) 및 (C)의 각 성분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30 중량부, 특히 0.5∼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성 수지 조성물에 첨가되는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계나 방향족계, 지방족·방향족 공중합체계나 지환식계 등의 석유계 수지, 피넨수지, 쿠마론 인덴계 수지나 테르펜계 수지, 테르펜 페놀계 수지나 중합 로진계 수지, (알킬)페놀계 수지나 크실렌계 수지, 또는 그것들의 수소 첨가계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점착 부여제와 올레핀 수지의 블렌드물(物)도 시판되고 있고, 이들을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점착성 수지 조성물에는, 해당 조성물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한도에서, 타종(他種) 수지를 더 배합하여도 지장이 없다.
이와 같은 수지로서, 예를 들면, 에틸렌과 (메타)아크릴산, 에타크릴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말레인산 모노메틸, 무수말레인산 등의 불포화 카르본산과의 공중합체인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메타크릴산 이소부틸 등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또 이들 수지는 2종 이상 배합되어도 된다.
이들 타종 수지는, 상기 점착 조성물의 물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 예를 들면 상기 (A), (B) 및 (C)의 각 성분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99 중량부 정도까지 가할 수 있으나, 특히 0∼49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성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나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안료 등의 적당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A), (B) 및 (C)의 수지성분 및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 등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드라이 블렌드 또는 멜트 블렌드함으로써 얻어진다. 드라이 블렌드에는 헨셀 믹서, 텀블러 믹서 등의 각종 믹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멜트 블렌드하는 경우는 1축, 또는 2축 압출기, 벤버리 믹서, 롤, 니더 등의 혼련장치를 사용하여, 140∼230℃ 정도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하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성 수지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초기 점착력인 0.5∼500 g/2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350 g/mm의 초기 점착력을 가지고, 또 점착 앙진의 비율이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하로 아주 작고, 경시에서 안정된 점착력(접착력)을 얻을 수 있다.
「점착 필름 또는 시트」
다음에, 상기 본 발명의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필름 또는 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점착 필름 또는 시트는, 상기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필름 또는 시트형상으로 성형하여, 단층 필름 또는 시트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통상은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즉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이 형성된 다층 필름 또는 시트 형태가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층을 형성하는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연신 또는 미연신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이나 에틸렌성분을 공중합성분으로 하는 블록계, 랜덤계 등의 프로필렌계 폴리머,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나 선형상 저밀도,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에틸렌계 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각종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시트, 종이, 금속박,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이들 기재 중에서는 특히 가공성, 투명성, 필름의 인성이나 비용의 점에서 폴리프로필렌계 폴리머, 폴리에틸렌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필름이 바람직하다.
기재에 열가소성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화방지 등을 목적으로,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나 자외선흡수제, 힌다드아민 광안정제 등의 광안정제나 대전방지제, 그 외, 예를 들면 카본블랙,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실리카, 산화아연, 산화 티탄과 같은 충전제나 안료 등의 적절한 첨가제도 배합할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는 1∼200 ㎛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0∼100 ㎛ 이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제층의 형성은, 예를 들면, 점착제의 용제에 의한 용액이나 열용융액을 기재에 도포하는 용액 코트법이나, 그것에 준하여 세퍼레이터 기재 상에 도포, 형성한 점착제층을 이착 전사하는 방법, 점착제층 형성재를 지지기재 상에 압출하여 형성 도포하는 핫멜트 코팅법, 기재와 점착제층을 2층 또는 3층 이상의 다층으로 공압출하여, 필름화하는 방법, 기재 상에 점착제층을 단층으로 압출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또는, 접착층과 점착제층을 2층으로 압출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점착제층과 필름이나 라미네이트층 등의 지지기재 형성재를 서멀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등의, 공지의 점착 시트의 제조방법에 준하여 행할 수 있다.
이들 제조방법 중에서도,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함께 점착제층을, 인플레이션법이나 T 다이법에 의한 2층 또는 3층 이상의 다층에 의한 공압출하여 성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형성하는 점착제층의 두께는 접착력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나, 일반적으로는 1∼200 ㎛, 또한 5∼10O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 또는 시트의 주된 용도로서는, 합성 수지판, 화장판, 금속판, 도장 강판의 표면 보호, 창유리 표면 보호, 자동차의 베이킹 도장 시나 프린트 기판의 땜납 침지 시의 표면 보호, 액정 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나 유기박막 EL 장치의 구성부재인 액정 패널판, 반사판, 위상차판, 프리즘 시트, 도광판, 편광판, 플라즈마 표시 패널판, 유기형광체 박막층, 투명 전극층이나 반도체칩이나 프린트 회로기판 등의 정밀 전자부품의 표면 보호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1. 조성물 원료 수지
(A)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1) : mp;139℃, DSC 측정 흡열 피크로부터 얻어지는 잠열량(흡열량)(JISK7122에 준거) ; 86J/g, MFR(230℃) ; 7.3 g/10분의 결정성의 랜덤 공중합 프로필렌 수지 ; 상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F327(프라임 폴리머사 제)
(A2) : 에틸렌계 공중합체(A2) : 밀도 ; 924 kg/㎥ MFR ; 3.8 g/10분의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상품명 에볼류(EVOLUE)SP2540(프라임 폴리머사 제)
(A3) : 에틸렌계 공중합체(A3) : 밀도 ; 902 kg/㎥ MFR ; 3 g/10분의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상품명 어피니티(AFFINITY) PL1850G(다우·케미컬사 제)
(B)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1) : 아세트산 비닐 함량 ; 24 중량%(JIS K7192-1999) ; MFR 4g/10분(JIS K7210-1999, 190℃, 2.16 kg 하중)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2) : 아세트산 비닐 함량 ; 10 중량%(JIS K7192-1999) ; MFR 9 g/10분(JIS K7210-1999, 190℃, 2.16 kg 하중)
(C1)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의 수소 첨가물(SEPS) : 스티렌 함유량 ; 13 중량%, MFR(230℃) ; 7 g/10분
상품명 ; 셉톤 S2063(주식회사 쿠라레 제)
(C2)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의 수소 첨가물(SEBS) :
스티렌 함유량 ; 29 중량%, MFR(230℃) ; 1g/10분
상품명 ; 셉톤 S8007(주식회사 쿠라레 제)
(C3) CEBC(에틸렌-에틸렌·부틸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상품명 ; 다이나론(DYNARON)6200P(JSR 주식회사 제)
(D) 점착 부여제
알콘 AM1[수소 첨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 환구법 연화점 115℃ 아라카와화학(주) 제(이하 점착 부여제 AM-1)]
2. 평가 항목 및 방법
·점착특성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성
JIS Z0237에 준거하여, 점착성 조성물의 시료 필름과 아크릴판을 2 kg의 수동식 롤러로 2왕복 압착에 의해 맞붙이고, 테이크업 속도 : 300 mm/min 에서의 180도 박리 점착력에 의해 이하와 같이 하여 초기 점착력, 경시 점착력 및 점착 앙진의 평가를 행하였다.
·초기 점착력 ; 접합시킨 시험판을 항온 항습 내(23℃ × 50% RH)에 30분 방치 후 측정하였다.
·경시 점착력(에이징 후의 점착력)
점착 특성 평가용으로 작성한 시험편을, 오븐에 넣고, 하기 소정의 시간, 온도로 에이징을 행하였다. 오븐으로부터 인출한 샘플을 항온 항습 내(23℃ × 50% RH)에 방치하고, 30분 후에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에이징 조건 - 1 : 오븐 온도 40 ℃ × 24 h
에이징 조건 - 2 : 오븐 온도 60℃ × 3 h
에이징 조건 - 3 : 오븐 온도 70℃ × 3 h
에이징 조건 - 4 : 오븐 온도 80℃ × 3 h
에이징 조건 - 5 : 오븐 온도 60℃ × 24 h
·점착 앙진
앙진율(%)=[(경시 점착력 - 초기 점착력)/초기 점착력]× 100
실시예 1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1) 52.2 중량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1)37.8 중량부 및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1;SEPS) 10 중량부를, 65 mmφ 단축 압출기로, 200℃에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이 수지 조성물을 압출 캐스트 성형장치(65 mmφ)를 사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제의 이형 필름 상으로 압출하고, 이것을 소정 크기의 필름형상으로 재단하고, 이형 필름을 벗겨 시료 필름을 얻었다(총두께 ; 9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항목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1) 57 중량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1) 38 중량부 및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2:SEBS) 5 중량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이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고, 소정 크기의 필름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두께;9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성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1) 57 중량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1) 38 중량부 및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1:SEPS) 5 중량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이 수지 조성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압출하고, 소정 크기의 필름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두께;9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성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시료 필름은 육안으로 피쉬아이(FE) 등의 겔이 적고,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광학특성(헤이즈 = JIS K7136에 준거, 전광선 투과율 = JIS K7361에 준거)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헤이즈가 1.3%이고 전광선 투과율이 94.3%로서, 투명성이 우수한 필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1) 57 중량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1) 38 중량부 및 올레핀계 일래스토머(C3;CEBC) 5 중량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이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고, 소정 크기의 필름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두께;9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성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2)를 압출 캐스트 성형장치를 사용하여 압출하고, 소정 크기의 필름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두께;9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성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1;SEPS) 97.5 중량부 및 점착성 부여제(AM-1) 2.5 중량부를 혼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이 수지 조성물을 압출 캐스트 성형장치를 사용하여 압출하고, 소정 크기의 필름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두께;9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성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초기 점착력(g/25mm) 2.6 1.5 2.8 3 8.2 3.6
경시 점착력(g/25mm)
(에이징 조건-1)
앙진율(%)
2.7

4
1.7

13
3

7
2.6

-13
15

83
6.9

92
경시 점착력(g/25mm)
(에이징 조건-2)
앙진율(%)
3.0

15
2.0

33
3.1

11
2.9

-3
21

156
8.7

142
실시예 5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1) 52.2 중량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B1) 37.8 중량부,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1;SEPS) 10 중량부 및 점착 부여제(AM-1) 3 중량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이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고, 소정 크기의 필름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두께;9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성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1) 46.4 중량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1) 33.6 중량부,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1;SEPS) 20 중량부 및 점착 부여제(AM-1) 3 중량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이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고, 소정 크기의 필름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두께;9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성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1) 38 중량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1) 42 중량부,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1;SEPS) 20 중량부 및 점착 부여제(AM-1) 3 중량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이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고, 소정 크기의 필름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두께;9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성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초기 점착력(g/25mm) 4.9 10 16
경시 점착력(g/25mm)
(에이징 조건 - 1)
앙진율(%)
5.2

6
11

10
17

6
경시 점착력(g/25mm)
(에이징 조건 - 2)
앙진율(%)
5.5

12
10

0
16

0
경시 점착력(g/25mm)
(에이징 조건 - 3)
앙진율(%)
5.8

18
10

0
16

0
경시 점착력(g/25mm)
(에이징 조건 - 4)
앙진율(%)
6.1

24
10

0
15

-6
실시예 8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1) 20 중량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1) 60 중량부 및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1;SEPS) 20 중량부 및 점착 부여제(AM-1) 10 중량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이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고, 소정 크기의 필름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두께;9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성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1) 30 중량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1) 60 중량부 및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1;SEPS) 10 중량부 및 점착 부여제(AM-1) 10 중량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이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고, 소정 크기의 필름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두께;9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성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1) 50 중량부,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1;SEPS) 50 중량부 및 점착 부여제(AM-1) 10 중량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이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고, 소정 크기의 필름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두께;9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성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비교예)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3
초기 점착력(g/25mm) 280 85 77
경시 점착력(g/25mm)
(에이징 조건 - 1)
앙진율(%)
310

11
86

1
164

113
경시 점착력(g/25mm)
(에이징 조건 - 2)
앙진율(%)
280

0
79

-7
131

70
실시예 10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1) 38 중량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1) 42 중량부 및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1;SEPS) 20 중량부 및 점착 부여제(AM-1) 3 중량부를, 65 mmφ 단축 압출기로 200℃에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이 수지 조성물을 압출 캐스트 성형장치(65 mmφ)를 사용하여 압출하고, 이것을 소정 크기의 필름 형상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두께;9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테이크업 속도 : 300 mm/min, 2100 mm/min 에서의 아크릴판에 대한 180도 점착 박리강도(초기 점착력)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테이크업 속도 : 300 mm/min 에서의 점착 박리강도는 16 g/25 mm, 테이크업 속도 : 2100 mm/min에서 점착 박리강도는 19 g/25 mm 이었다.
실시예 11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1) 46.4 중량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1) 33.6 중량부 및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1:SEPS) 20 중량부 및 점착 부여제(AM-1) 3 중량부를, 65 mmφ 단축 압출기로 200℃에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이 수지 조성물을 압출 캐스트 성형장치(65 mmφ)를 사용하여 압출하고, 이것을 소정 크기의 필름 형상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두께;9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테이크업 속도 : 300 mm/min, 2100 mm/min 에서의 아크릴판에 대한 180도 점착 박리강도(초기 점착력)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테이크업 속도 : 300 mm/min 에서의 점착 박리강도는 10 g/25 mm, 테이크업 속도 : 2100 mm/min에서 점착 박리강도는 14 g/25 mm 이었다.
상기 조성물은 박리속도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안정된 점착 박리강도를 가진다.
비교예 4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2) 90 중량부와 점착 부여제로서 알콘M90(지환족 포화탄화수소 수지 : 환구법 연화점 90℃ 아라카와화학화학 제) 13 중량%를 함유하는 마스터 배치(희석 수지 ;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아세트산 비닐 함유량 14 중량%) 10 중량부를, 65 mmφ 단축 압출기로 200℃에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이 수지 조성물을 압출 캐스트 성형장치(65 mmφ)를 사용하여 압출하고, 이것을 소정 크기의 필름 형상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두께;9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테이크업 속도 : 300 mm/min, 2100 mm/min 에서의 아크릴판에 대한 180도 점착 박리강도(초기 점착력)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테이크업 속도 : 300 mm/min 에서의 점착 박리강도는 11 g/25 mm, 테이크업 속도 : 2100 mm/min에서는 41 g/25 mm 이고, 박리속도가 빨라지면 급격하게 점착 박리강도가 올라간다.
비교예 5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아세트산 비닐 함량 ; 10 중량%(JIS K7192-1999); MFR 3 g/10분(JIS K7210-1999, 190℃, 2.16 kg 하중)]을 압출 캐스트 성형장치(65 mmφ)를 사용하여 압출하고, 이것을 소정 크기의 필름 형상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두께;9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테이크업 속도 : 300 mm/min, 2100 mm/min 에서의 아크릴판에 대한 180도 점착 박리강도(초기 점착력)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테이크업 속도 : 300 mm/min 에서의 박리강도는 5.3 g/25 mm, 테이크업 속도 : 2100 mm/min에서는 16 g/25 mm 이며, 박리속도가 빨라지면 급격하게 점착 박리강도가 올라간다.
실시예 12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1) 20 중량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1) 60 중량부 및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1;SEPS) 20 중량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다층 압출 캐스트 성형장치(40 mmφ × 3)를 사용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 상품명 미라손 16SPO 프라임 폴리머사 제)을 기재층, 상기 조성물을 점착층으로 하여, 압출 성형을 행하고, 이것을 소정 크기의 필름 형상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필름 구성 : LDPE/LDPE/점착수지 조성물 = 20/20/20 ㎛ 토탈 두께 ; 6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성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1) 30 중량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1) 30 중량부 및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1;SEPS) 40 중량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다층 압출 캐스트 성형장치(40 mmφ × 3)를 사용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상품명 : 미라손 16SPO 프라임 폴리머사 제)을 기재층, 상기 조성물을 점착층으로 하여, 압출성형을 행하고, 이것을 소정 크기의 필름 형상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필름 구성 : LDPE/LDPE/점착 수지 조성물 = 20/20/20 ㎛ 토탈 두께 ; 6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성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다층 압출 캐스트 성형장치(40 mmφ × 3)를 사용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 상품명 미라손 16SPO 프라임 폴리머사 제)을 기재층, 실시예 12에서 사용한 점착성 수지 조성물 대신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2)를 점착층으로 하여, 압출성형을 행하고, 이것을 소정 크기의 필름 형상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필름 구성 : LDPE/LDPE/점착 수지 조성물 = 20/20/20 ㎛ 토탈 두께 ; 60㎛).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성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비교예) 실시예 12 실시예 13 비교예 6
초기 점착력(g/25mm) 47 24 11
경시 점착력(g/25mm)
(에이징 조건 - 5)
앙진율(%)
54

15
20

-17
34

209
실시예 14
폴리에틸렌계 공중합체(A2) 45 중량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1) 45 중량부 및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1;SEPS) 10 중량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다층 압출 캐스트 성형장치(40 mmφ × 3)를 사용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상품명 : 미라손 16SPO 프라임 폴리머사 제)을 기재층, 상기 조성물을 점착층으로 하여, 압출성형을 행하고, 이것을 소정 크기의 필름 형상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필름 구성 : LDPE/LDPE/점착 수지 조성물 = 20/20/20 ㎛ 토탈 두께 ; 6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성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에틸렌계 공중합체(A3) 40 중량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B1) 40중량부 및 스티렌계 일래스토머(C1;SEPS) 20 중량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다층 압출 캐스트 성형장치(40 mmφ × 3)를 사용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상품명 : 미라손 16SPO 프라임 폴리머사 제)을 기재층, 상기 조성물을 점착층으로 하여, 압출성형을 행하고, 이것을 소정 크기의 필름 형상으로 재단하여 시료 필름을 얻었다(필름 구성 : LDPE/LDPE/점착 수지 조성물 = 20/20/20 ㎛ 토탈 두께 ; 60 ㎛).
이 시료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성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비교예) 실시예 14 실시예 15
초기 점착력(g/25mm) 13 46
경시 점착력(g/25mm)
(에이징 조건 - 2)
앙진율(%)
15

15
50

9

Claims (14)

  1. (A)성분과 (B)성분과 (C)성분의 합계량을 100 중량부라 하였을 때, (A) 올레핀 중합체(A성분), 5∼80 중량부, (B)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B성분), 5∼80 중량부 및 (C)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및/또는, 올레핀계 일래스토머(C성분), 1∼60 중량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A)성분과 (B)성분과 (C)성분의 합계량을 100 중량부라 하였을 때, (A) 올레핀 중합체(A성분)의 함유량이 7.5∼75 중량부, (B) 에틸렌·불포화 에스테르 공중합체(B성분)의 함유량이 7.5∼75 중량부, (C)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및/또는 올레핀계 일래스토머(C성분)의 함유량이 1∼49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수지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A성분이, 융점 130℃ 이상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수지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A성분이 밀도 896∼965 kg/㎥의 에틸렌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수지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성분이 스티렌계 일래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수지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스티렌계 일래스토머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의 수소 첨가물인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의 수소 첨가물인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수지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 부여제가 더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수지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성 수지 조성물의 점착제로서의 사용.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점착층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또는 시트.
  10. 제 1항 내지 제 7항에 기재된 점착성 수지 조성물을 점착층으로 하는 점착 박리강도의 박리속도의존성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또는 시트.
  11.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또는 시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에틸렌계 폴리머, 또는 프로필렌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필름 또는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또는 시트.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기재된 필름 또는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또는 시트.
  14. 제 9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 필름 또는 시트의, 물품의 표면 보호를 위한 사용.
KR1020107015241A 2008-02-05 2009-01-28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또는 시트 KR101614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5191 2008-02-05
JP2008025191 2008-02-05
JPJP-P-2008-193520 2008-07-28
JP2008193520 2008-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274A true KR20100111274A (ko) 2010-10-14
KR101614820B1 KR101614820B1 (ko) 2016-04-22

Family

ID=4095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241A KR101614820B1 (ko) 2008-02-05 2009-01-28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또는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97321B2 (ko)
EP (1) EP2241603A4 (ko)
JP (1) JP4699557B2 (ko)
KR (1) KR101614820B1 (ko)
CN (1) CN101896567B (ko)
TW (1) TW200942591A (ko)
WO (1) WO200909897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6068A1 (en) * 2011-12-22 2013-06-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lefin block copolymer 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KR101363415B1 (ko) * 2013-02-08 2014-02-17 주식회사 유상 광학시트 표면 보호용 점착필름
KR20140101343A (ko) * 2011-11-15 2014-08-19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감압형 점착 필름 또는 시트, 표면 보호 필름 또는 시트, 및 감압형 점착 필름 또는 시트를 물품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KR20180042233A (ko) * 2015-08-21 2018-04-25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KR102627775B1 (ko) * 2022-10-24 2024-01-24 일진테이프(주) 절취선이 형성된 다용도 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6760B1 (en) * 2007-10-31 2012-12-19 Du Pont-Mitsui Polychemicals Co.,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or sheet
JP5443893B2 (ja) * 2009-08-18 2014-03-19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5432853B2 (ja) * 2010-07-30 2014-03-05 日東電工株式会社 ダイシングテープ一体型半導体裏面用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877856B2 (en) * 2011-01-18 2014-11-04 Mitsui Chemicals, Inc. Adhesive resin composition and hot melt adhesive obtained therefrom
MX352925B (es) * 2011-03-11 2017-12-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 Papel de lija de grano grueso con capa de recubrimiento no deslizante.
EP2683526A4 (en) * 2011-03-11 2014-08-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AND PAPER WITH HITCH LAYER
US8920692B2 (en) 2011-03-22 2014-12-30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recycling relief image elements
US9577158B2 (en) 2011-07-05 2017-02-21 Dexerials Corporation Phosphor sheet-forming resin composition
JP5755092B2 (ja) * 2011-09-15 2015-07-29 日東電工株式会社 樹脂成形品用補強シート、樹脂成形品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US20140065397A1 (en) * 2012-08-28 2014-03-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extruded polymer film configured for successive irreversible delamination
TWI575042B (zh) * 2013-05-15 2017-03-21 三井 杜邦聚合化學股份有限公司 感壓型黏著薄膜或片、表面保護薄膜或片、以及將感壓型黏著薄膜或片使用於保護物品表面之方法
CN103740305B (zh) * 2014-01-16 2015-12-09 日邦树脂(无锡)有限公司 医用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4497415B (zh) * 2014-11-28 2017-07-21 湖北恒泰橡塑有限公司 输液袋用热塑性弹性体及其制备方法
CN104788774B (zh) * 2015-03-24 2017-05-03 昆山金华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拉丝铝板专用保护膜配方
CN104789141A (zh) * 2015-03-24 2015-07-22 昆山金华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增光片专用聚丙烯保护膜
KR20180014155A (ko) * 2015-06-05 2018-02-07 트레데가르 필름 프로덕츠 코포레이션 저마이크로겔 표면 보호 필름
WO2017096048A1 (en) * 2015-12-01 2017-06-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nd protective composition containing an elastomeric copolymer
JP2018145365A (ja) * 2017-03-09 2018-09-20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MY175621A (en) * 2017-10-13 2020-07-02 Kong Wai Ming Bryan Composition of polymeric bonding material
CN107880345A (zh) * 2017-12-15 2018-04-06 重庆友拓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表面保护膜
JP7077105B2 (ja) 2018-03-30 2022-05-30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9198823A1 (ja) * 2018-04-13 2019-10-17 株式会社クラレ 多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備える成形体
JP7340597B2 (ja) * 2019-03-28 2023-09-07 三井・ダウ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積層体、包装材及び包装容器
CN111675973A (zh) * 2020-05-18 2020-09-18 嘉好(太仓)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布胶带用浅颜色热熔压敏胶及其制备方法
JP6994640B2 (ja) * 2020-06-22 2022-01-14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接着性樹脂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シート、蓋材、部材セット及び容器
TWI764187B (zh) * 2020-07-02 2022-05-11 台灣龍盟複合材料股份有限公司 複合防水瓦楞紙及其製造方法
TWI819446B (zh) * 2021-12-28 2023-10-21 許滄益 單層半導體研磨膠帶及其製造方法
WO2023176620A1 (ja) * 2022-03-14 2023-09-21 三井・ダウ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バックグラインドフィルム基材用樹脂組成物、バックグラインドフィルム基材およびバックグラインドフィルム
KR102595222B1 (ko) * 2023-04-17 2023-10-31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논슬립 필름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디스플레이 패널 운반용 간지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0823A (en) * 1971-11-24 1976-06-01 Nippon Zeon Co., Ltd. Hydrocarbon resins and compositions thereof
JPS58134172A (ja) * 1982-02-03 1983-08-10 Toppan Printing Co Ltd 粘着性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S62103141A (ja) * 1985-10-30 1987-05-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イルム
JPS63216737A (ja) * 1987-03-06 1988-09-09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材
JPS6448842A (en) * 1987-08-17 1989-02-23 Showa Denko Kk Olefin polymer composition
DE4211125C2 (de) * 1992-04-03 1994-12-08 Henkel Kgaa Schmelzklebstoff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JPH07278383A (ja) * 1994-04-07 1995-10-24 Nippon Shokubai Co Ltd 水性樹脂組成物
JPH08170056A (ja) 1994-12-20 1996-07-02 Sumitomo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該フィルムで表面保護されたアクリル樹脂板
JP2000344989A (ja) * 1999-06-02 2000-12-12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アイオノマー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CA2383728A1 (en) * 1999-09-03 2001-03-1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activation temperature adhesive composition with high peel strength and cohesive failure
JP4781541B2 (ja) 2001-02-05 2011-09-2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KR101092747B1 (ko) * 2003-09-05 2011-12-09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열 안정성 및 향상된 결합 강도를 갖는 연신성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US20050054779A1 (en) * 2003-09-05 2005-03-10 Peiguang Zhou Stretchable hot-melt adhesive composition with temperature resistance
JP2005281328A (ja) * 2004-03-26 2005-10-13 Hitachi Chemical Filtec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US7618705B2 (en) * 2004-08-17 2009-11-17 Lintec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092215B2 (ja) * 2005-04-11 2012-12-05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
JP5611501B2 (ja) * 2006-05-30 2014-10-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自己粘着性積層体
JP5371206B2 (ja) * 2007-05-30 2013-12-18 アキレス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1343A (ko) * 2011-11-15 2014-08-19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감압형 점착 필름 또는 시트, 표면 보호 필름 또는 시트, 및 감압형 점착 필름 또는 시트를 물품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WO2013096068A1 (en) * 2011-12-22 2013-06-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lefin block copolymer 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KR20140113957A (ko) * 2011-12-22 2014-09-2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계 감압 접착제
KR101363415B1 (ko) * 2013-02-08 2014-02-17 주식회사 유상 광학시트 표면 보호용 점착필름
KR20180042233A (ko) * 2015-08-21 2018-04-25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KR102627775B1 (ko) * 2022-10-24 2024-01-24 일진테이프(주) 절취선이 형성된 다용도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99557B2 (ja) 2011-06-15
TW200942591A (en) 2009-10-16
TWI358435B (ko) 2012-02-21
EP2241603A4 (en) 2011-07-20
CN101896567B (zh) 2014-04-30
US20100317802A1 (en) 2010-12-16
WO2009098976A1 (ja) 2009-08-13
US8497321B2 (en) 2013-07-30
JPWO2009098976A1 (ja) 2011-05-26
KR101614820B1 (ko) 2016-04-22
EP2241603A1 (en) 2010-10-20
CN101896567A (zh)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820B1 (ko)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또는 시트
KR100985152B1 (ko) 적층 필름 또는 시트 및 표면 보호 필름 또는 시트
JP527949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多層積層体、該熱可塑性樹脂組成物を粘着させてなる物品、ならびに物品の表面保護方法
JP2006257247A (ja) 粘着フィルム
JP4680728B2 (ja) 粘着フィルム
WO2010084832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494337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6188646A (ja) 粘着フィルム
JP5420211B2 (ja) 保護フィルム
JP2012087164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5465810B2 (ja) 感圧型粘着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表面保護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および物品の表面を保護するために使用する方法
KR102603770B1 (ko)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적층체, 포장재 및 포장 용기
WO2013011561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4112097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006365B1 (ko) 감압형 점착 필름 또는 시트, 표면 보호 필름 또는 시트, 및 감압형 점착 필름 또는 시트를 물품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JP2023082949A (ja) 複層フィルム、粘着フィルム、および半導体製造工程用粘着フィルム
JP2023053783A (ja) バックグラインド工程用フィルム及び粘着層付バックグラインド工程用フィルム
JP568702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22167401A (ja) バックグラインド工程用フィルム
JP2023146177A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粘着フィルム、および半導体製造工程用粘着フィルム
JP2023091946A (ja) 複層フィルム、粘着フィルム、半導体製造工程用粘着フィルム、および保護用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