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658A -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 Google Patents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658A
KR20100095658A KR1020107017238A KR20107017238A KR20100095658A KR 20100095658 A KR20100095658 A KR 20100095658A KR 1020107017238 A KR1020107017238 A KR 1020107017238A KR 20107017238 A KR20107017238 A KR 20107017238A KR 20100095658 A KR20100095658 A KR 20100095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coat
coat layer
layer
adhesive
flexible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토 마키노
아키토 호쿠라
하지메 이나즈미
Original Assignee
닛코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코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코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5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65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8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 H05K3/388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by the use of a metallic or inorganic thin film adhesion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2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05K1/032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one material
    • H05K1/0346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one material containing 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54Polyimi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9Treatments involving charged particles
    • H05K2203/095Plasma, e.g. for treating a substrate to improve adhesion with a conductor or for cleaning ho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8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 H05K3/381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by special treatment of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535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with additional, spatially distinct nonmetal component
    • Y10T428/12556Organic component
    • Y10T428/12569Synthetic resin

Abstract

적어도 일방의 면이 플라즈마 처리된 폴리이미드 필름과, 플라즈마 처리된 면에 형성한 타이 코트층과, 타이 코트층 상에 형성한 금속 시드층, 또한 금속 시드층 상에 형성한 금속 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로서, 타이 코트층의 실측 밀도 (ρp) 와 이론 밀도 (ρt) 의 비 (ρpt) 가, ρpt > 0.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특히, 2 층 메탈라이징 적층체) 의 금속층과 폴리이미드 필름의 밀착력을 높이는 것을 과제로 한다.

Description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ADHESIVE-FREE FLEXIBLE LAMINATE}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TAB, COF 등의 전자 부품의 실장 소재로서 사용되는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폴리이미드 필름에, 주로 구리로 이루어지는 금속 도체층을 적층시킨 FCCL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 은 전자 산업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의 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미드 필름과 금속층 사이에 접착제층을 갖지 않는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특히, 2 층 메탈라이징 적층체) 는, 회로 배선폭의 파인 피치화에 수반하여 주목받고 있는 재료이다.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특히 파인 피치에 대응한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의 제조시에, 폴리이미드 필름 상에 스퍼터링, CVD, 증착 등의 건식법에 의해, 폴리이미드와의 접착이 양호한 재료로 구성되는 타이 코트층, 및 다음 공정의 전기 도금에 있어서의 캐소드겸 전류의 도전체로서 기능하는 금속 시드층을 미리 형성하고, 이어서 전기 도금에 의해 회로 기판의 도체층이 되는 금속층을 제막하는, 이른바 메탈라이징법이 주로 실시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이 메탈라이징법에 있어서는, 금속층과 폴리이미드 필름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금속층을 형성하기에 앞서, 폴리이미드 필름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표면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그리고 표면 거칠기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개질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 참조).
이 메탈라이징법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폴리이미드 필름 상에 스퍼터링 등의 건식 도금법에 의해 금속층을 미리 형성할 때에, 중간층의 재료 선택에 의해 밀착성이나 에칭성을 개량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특허문헌 4 참조), 회로 형성시의 열처리나 사용 환경에서의 장기 신뢰성 등의 관점에서 더욱 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충분한 개량이 이루어지기까지는 이르지 못한 것이 현상황이다.
일본 특허공보 제3258296호 일본 특허공보 제3173511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3-5199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20630호
본원 발명은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특히, 2 층 메탈라이징 적층체) 의 금속층과 폴리이미드 필름의 밀착력을 높이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적어도 일방의 면이 플라즈마 처리된 폴리이미드 필름과, 플라즈마 처리된 면에 형성한 타이 코트층과, 타이 코트층 상에 형성한 금속 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로서, 타이 코트층의 실측 밀도 (ρp) 와 이론 밀도 (ρt) 의 비 (ρpt) 가, ρpt > 0.6, 더욱 바람직하게는 ρpt >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를 제공한다.
타이 코트층으로는 니켈, 크롬, 코발트, 니켈 합금, 크롬 합금, 코발트 합금 중 어느 1 종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폴리이미드 필름층과 금속 도체층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는 재료이며, 또한 회로 설계시에 에칭할 수 있다. 이들 재료는,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의 제조시에 유용하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주목적은 타이 코트층의 밀도, 나아가서는 타이 코트층과 폴리이미드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으로 인한 밀착력 향상으로, 재료 고유의 특성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이외의 재료의 선택은, 본원 발명에 있어서 부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해될 것이다.
금속 시드층 및 금속 도체층으로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도 동일하게 다른 재료의 선택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타이 코트층의 실측 밀도 (ρp) 와 이론 밀도 (ρt) 의 비, ρpt > 0.6, 더욱 바람직하게는 ρpt > 0.7 로 하는 것이다. 이로써,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은 적어도 일방의 면이 플라즈마 처리된 폴리이미드 필름과, 플라즈마 처리된 면에 형성한 타이 코트층과, 타이 코트층 상에 형성한 금속 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로서, 타이 코트층의 실측 밀도 (ρp) 와 이론 밀도 (ρt) 의 비, ρpt 를 ρpt > 0.6 으로 함으로써, 폴리이미드 필름과 금속층 사이의 적층 후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원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설명에 발명의 본질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속하는 다른 양태 또는 변형을 포함하는 것이다.
폴리이미드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타이 코트층을, 또한 그 표면에 금속 도체층을 형성함으로써,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여기서, 폴리이미드 필름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함으로써, 표면 오염 물질의 제거와 표면의 개질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개질한 폴리이미드 표면에 타이 코트층과, 그 위에 금속 시드층을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한다. 이어서 전기 도금에 의해 회로 기판의 도체층이 되는 금속층을 제막한다. 그 때, 본원 발명자는, 스퍼터링 조건을 여러 가지로 변경함으로써, 타이 코트층의 실측 밀도 (ρp) 와 이론 밀도 (ρt) 의 비, ρpt 가 상이한 것을 알아내어, 그들의 샘플의 밀착 강도를 측정한 결과, ρpt 가 밀착력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타이 코트층의 실측 밀도 (ρp) 와 이론 밀도 (ρt) 의 비, ρpt 가 1 이면, 타이 코트층은 완벽하게 형성되어 전혀 간극이 없기 때문에, 폴리이미드와 타이 코트층은 전체면에서 접촉하여, 이론적인 최밀 접촉 면적이 되어 있다.
한편, ρpt < 1 이라고 함은, 타이 코트층 중에 공극이 생기게 되고, 그 공극이 타이 코트층 중이 아니라 타이 코트층이 폴리이미드와 접하는 영역에 형성된 경우에는, 타이 코트층과 폴리이미드의 실효적인 접촉 면적이 저하된다.
타이 코트층과 폴리이미드의 밀착 강도는, 접촉 부분의 결합 강도 × 접촉 면적이기 때문에, 접촉 면적의 감소는 즉 밀착 강도의 감소이다. 따라서 ρpt = 1 이 최적의 타이 코트층임은 자명하지만, 현실의 공업적인 스퍼터링 기술을 감안할 때 ρpt = 1 인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
또, ρpt = 1 이 아니라고 해서, 그것이 곧 실효적인 접촉 면적의 저하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그 첫번째 이유는 ρpt = 1 이 아니라고 해서, 생긴 공극이 전부 타이 코트층과 폴리이미드의 계면에 생기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두번째 이유는, 폴리이미드는 고분자 사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1 분자는 수 10 ㎚ 에 이르므로, 타이 코트층과 폴리이미드의 계면에 공극이 생겼다고 해도 그 공극이 폴리이미드의 분자 사슬보다 작은 것이면, 실효적인 접촉 면적은 저하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원 발명자는 ρpt 와 밀착력의 관계를 예의 검토한 결과, ρpt < 0.6 에서는 밀착력이 저하되었다. 이 경우, 접착력에 영향을 주는 레벨의 공극이 타이 코트층과 폴리이미드의 계면에 생긴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관계를 알아낸 것이,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큰 요인이 되었다.
폴리이미드 필름을 플라즈마 처리한 면에 타이 코트층 및 금속 도체층을 형성한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의 폴리이미드 필름과 금속층 사이의 적층 후의 밀착력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필 강도」로서 측정하는데, 이 필 강도는 ρpt = 0.6 을 경계로, 그 이상일 때에 상승한다.
필 강도가 충분히 강한 경우, 박리는 폴리이미드 내부에서 발생한다. 이것을, 통상 응집 파괴라고 칭한다. 이는, 금속/폴리이미드 계면의 밀착력이 폴리이미드 자체의 강도보다 강하기 때문이다. 한편, 타이 코트층과 폴리이미드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면, 비접촉 영역은 그 부위 (계면) 에서 간단하게 박리되므로, 금속/폴리이미드 계면 근방의 박리 (계면 파괴) 와 폴리이미드 내부에서의 박리 (응집 파괴) 의 혼재 모드가 되어 상태 (常態) 필이 저하된다.
본원 발명은 플라즈마 처리된 폴리이미드 필름과, 플라즈마 처리된 면에 형성한 타이 코트층과, 타이 코트층 상에 형성한 금속 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에 있어서의 타이 코트층의 실측 밀도 (ρp) 와 이론 밀도 (ρt) 의 비 (ρpt) 를, ρpt > 0.6 으로 함으로써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한 막의 밀도에 관해서는, Ar 압력, 기판 온도가 영향을 미침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스퍼터링에 있어서의 타겟 형상, 탑재 방법, 플라즈마 방전의 전압, 주파수, 자장의 강도 및 그 분포 형상 등,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여러 종류의 조건 및 그 상호 작용이 막 밀도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조건으로부터 바람직한 조건을 선택하여, ρpt > 0.6 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조건이다.
실시예 1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이 예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속하는 다른 양태 또는 변형을 포함하는 것이다.
폴리이미드 필름에 사용하는 재료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우베 흥산 제조 유피렉스, DuPont/토오레·듀퐁 제조 카프톤, 가네카 제조 아피칼 등이 출시되어 있는데, 어느 폴리이미드 필름에 있어서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한 품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폴리이미드 필름으로서 우베 흥산 제조 유피렉스-SGA 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폴리이미드 필름을 진공 장치 내에 세트하여 진공 배기 후, 산소를 사용한 폴리이미드의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였다.
계속해서 타이 코트층 및 금속 시드층을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하였다. 타이 코트층은 Ni-20 wt% Cr : 이론 밀도로 25 ㎚ 상당, 금속 시드층은 Cu : 300 ㎚ 로 하였다.
타이 코트층의 스퍼터링은, 타겟-스퍼터간 거리 : 80 ㎜ 의 DC 마그네트론 방식, 전력 밀도 0.95 W/㎠, Ar 가스 압력 0.24 Pa 에서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상기한 금속 시드층 상에 전기 도금에 의해 구리로 이루어지는 금속 도체층 (두께 8 ㎛) 을 형성함으로써, 2 층 메탈라이징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시료에 대하여,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밀착력의 측정은 JIS C 6471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동장 (銅張) 적층판 시험 방법) 에 의해 실시하였다. 또, 제조한 2 층 메탈라이징 적층체의, 정확하게 면적이 측정된 샘플의 구리층을 에칭 제거한 후, 타이 코트층을 에칭 용해하여 그 용액을 습식 분석하고, 타이 코트층을 정량하여 이론 밀도의 경우의 두께 (tt) 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제조한 2 층 메탈라이징 적층체의 일부를 에칭액으로부터 보호한 상태에서, 잔부를 금속이 완전히 제거되어 폴리이미드 표면이 벗겨져 나올 때까지 에칭하였다. 다음으로, 보호용 막을 제거하고, 질산계의 에칭액으로 남아 있던 구리층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폴리이미드 필름 상의 일부 영역에 타이 코트층만이 남아 있는 샘플을 제조하고, 타이 코트층 부분과 폴리이미드 부분의 단차를 측정함으로써, 타이 코트층의 실제 두께 (tp) 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하기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장치 : 시마즈 제작소 제조 주사형 프로브 현미경 SPM-9600
조건 : 다이나믹 모드
주사 범위 : 100 ㎛ × 100 ㎛
화소 수 : 512 × 512
이렇게 하여 얻어진 실제의 타이 코트층의 두께 (tp) 와, 습식 분석에 의해 구한 이론 밀도에 있어서의 두께 (tt) 의 비 (tp/tt) 는, 타이 코트층의 실측 밀도 (ρp) 와 이론 밀도 (ρt) 의 비 (ρpt) 와 동등하다.
표 1 에 측정, 산출한 ρpt 와 그 샘플의 필 강도를 나타낸다. 즉, 이 표 1 은, 타이 코트층의 실측 밀도 (ρp) 와 이론 밀도 (ρt) 의 비, ρpt 와 필 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또한, 이론 밀도에 대해서는, 타이 코트층을 구성하는 각 성분 원소 단체 (單體) 의 밀도와 각 성분 원소의 비로부터 산출한 것으로서, Ni 밀도 (8.9 ㎎/㎥) × 0.8 + Cr 밀도 (7.2 ㎎/㎥) × 0.2 = 8.56 ㎎/㎥ 를 사용하였다.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 에서는 ρpt 는 0.73 이며, 이 때의 필 강도는 0.76 kN/m 가 되어, 필 강도는 크게 향상되었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2
타이 코트층의 스퍼터링의 전력 밀도 1.9 W/㎠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을 제조하여, 2 층 메탈라이징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샘플의 ρpt, 및 그 샘플의 필 강도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마찬가지로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2 에서는 ρpt 는 0.80 이며, 이 때의 필 강도는 0.74 kN/m 가 되어, 필 강도는 크게 향상되었다.
실시예 3
타이 코트층의 스퍼터링의 전력 밀도 2.9 W/㎠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을 제조하여, 2 층 메탈라이징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샘플의 ρpt, 및 그 샘플의 필 강도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마찬가지로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3 에서는 ρpt 는 0.90 이며, 이 때의 필 강도는 0.76 kN/m 가 되어, 필 강도는 크게 향상되었다.
(비교예)
먼저, 최초로 폴리이미드 필름을 진공 장치 내에 세트하여 진공 배기 후, 산소를 사용한 폴리이미드의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였다. 계속해서 타이 코트층 및 금속 시드층을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하였다.
타이 코트층은 Ni-20 wt% Cr : 25 ㎚, 금속 시드층은 Cu : 300 ㎚ 로 하였다. 타이 코트층의 스퍼터링은 타겟-스퍼터간 거리 : 50 ㎜ 의 DC 마그네트론 방식, 전력 밀도를 2.3 W/㎠, Ar 가스 압력 0.24 Pa 로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상기한 금속 시드층 상에 전기 도금에 의해 구리로 이루어지는 금속 도체층 (두께 8 ㎛) 을 형성함으로써, 2 층 메탈라이징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샘플의 ρpt, 및 그 샘플의 필 강도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마찬가지로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에서는, ρpt 는 0.55 이며, 필 강도 0.69 kN/m 이며, 실시예 1 ∼ 3 에 비해 필 강도가 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ρpt > 0.6 에서 필 강도가 향상되어, 필 강도 0.70 kN/m 이상을 달성할 수 있었다. 또,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ρpt > 0.7 에서, 필 강도가 0.70 kN/m 를 초과하여 거의 안정적인 필 강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타이 코트층의 밀도 향상이 필 강도를 높이는 큰 인자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타이 코트층의 밀도를 실측하여 (ρp), 이론 밀도 (ρt) 와의 비를 취하고, 이 ρpt 를 지표로 함으로써, 확실하게 필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필 강도가 높은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를 제조하여, 동일한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은 적어도 일방의 면이 플라즈마 처리된 폴리이미드 필름과, 플라즈마 처리된 면에 형성한 타이 코트층과, 타이 코트층 상에 형성한 금속 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로서, 타이 코트층의 실측 밀도 (ρp) 와 이론 밀도 (ρt) 의 비 (ρpt) 를, ρpt > 0.6 으로 함으로써, 나아가서는 ρpt > 0.7 로 함으로써, 폴리이미드 필름과 금속층 사이의 적층 후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로부터 본원 발명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원 발명은 적어도 일방의 면이 플라즈마 처리된 폴리이미드 필름과, 플라즈마 처리된 면에 형성한 타이 코트층과, 타이 코트층 상에 형성한 금속 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로서, 타이 코트층의 실측 밀도 (ρp) 와 이론 밀도 (ρt) 의 비, ρpt > 0.6 으로 함으로써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기 때문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TAB, COF 등의 전자 부품의 실장 소재로서 사용되는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로서 유용하다.

Claims (4)

  1. 적어도 일방의 면이 플라즈마 처리된 폴리이미드 필름과, 플라즈마 처리된 면에 형성한 타이 코트층과, 타이 코트층 상에 형성한 금속 시드층, 또한 금속 시드층 상에 형성한 금속 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로서, 타이 코트층의 실측 밀도 (ρp) 와 이론 밀도 (ρt) 의 비 (ρpt) 가, ρpt > 0.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타이 코트층의 실측 밀도 (ρp) 와 이론 밀도 (ρt) 의 비 (ρpt) 가, ρpt >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타이 코트층이 니켈, 크롬, 코발트, 니켈 합금, 크롬 합금, 코발트 합금 중 어느 1 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시드층 및 금속 도체층이, 구리 또는 구리 합금 중 어느 1 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KR1020107017238A 2008-02-04 2008-12-25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KR201000956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4019 2008-02-04
JP2008024019 2008-02-0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037A Division KR20130012592A (ko) 2008-02-04 2008-12-25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658A true KR20100095658A (ko) 2010-08-31

Family

ID=409519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037A KR20130012592A (ko) 2008-02-04 2008-12-25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KR1020107017238A KR20100095658A (ko) 2008-02-04 2008-12-25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037A KR20130012592A (ko) 2008-02-04 2008-12-25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03169A1 (ko)
EP (1) EP2241436A4 (ko)
JP (1) JP5345955B2 (ko)
KR (2) KR20130012592A (ko)
TW (1) TW200934657A (ko)
WO (1) WO20090988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9630A (ko) * 2011-11-29 2013-06-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641B1 (ko) 2008-11-25 2013-07-22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인쇄 회로용 동박
EP2366469A1 (en) * 2008-11-25 2011-09-21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oration Method of winding up copper foil or copper-clad laminate
JP2009143234A (ja) 2008-12-24 2009-07-02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キャリア付金属箔
EP2371535A4 (en) 2008-12-26 2012-05-09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FLEXIBLE COATING AND A FLEXIBLE SUBSTRATE FOR ELECTRONIC CIRCUITS SHAPED WITH THEIR HELP
JP2011177899A (ja) * 2010-02-26 2011-09-15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無接着剤フレキシブルラミネ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167731B (zh) * 2011-12-08 2015-09-09 祝琼 一种无胶软板基材及其制备方法
JP5555749B2 (ja) * 2012-01-20 2014-07-23 エル エス エムトロン リミテッド 軟性回路銅張積層板及びそれを用いた印刷回路基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0630A (ja) 1992-10-07 1994-04-28 Ulvac Japan Ltd プリント配線基板用の銅箔
US5543222A (en) * 1994-04-29 1996-08-0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allized polyimide film containing a hydrocarbyl tin compound
DE69623495T2 (de) * 1995-02-01 2003-04-24 Asahi Glass Co Ltd Formteil aus kunststoff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6651381B2 (en) * 1995-02-01 2003-11-25 Asahi Glass Company Ltd. Synthetic resin molded material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US6171714B1 (en) * 1996-04-18 2001-01-09 Gould Electronics Inc. Adhesiveless flexible laminate and process for making adhesiveless flexible laminate
JP3463979B2 (ja) * 1997-07-08 2003-11-05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221381B2 (ja) * 1997-11-21 2001-10-22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944317B2 (ja) * 1998-06-09 2007-07-1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Cu成膜方法
US6146480A (en) * 1999-03-12 2000-11-14 Ga-Tek Inc. Flexible laminate for flexible circuit
JP3258296B2 (ja) 1999-08-06 2002-02-18 ジーエイ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非金属の電気絶縁性基板上に金属を電着させ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る金属コートされたポリマーフィルム、非導電性材料のストリップ上にプリント配線回路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プリント配線回路基板
JP3258308B2 (ja) * 2000-02-03 2002-02-18 株式会社日鉱マテリアルズ レーザー穴開け性に優れた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TWI299699B (en) * 2000-02-14 2008-08-11 Kaneka Corp Laminate comprising polyimide and conductor layer, wiring board with the use of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639795B2 (ja) * 2000-03-13 2005-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薄膜の製造方法
EP1134303B1 (en) * 2000-03-13 2010-06-09 Canon Kabushiki Kaisha Thin film production process
US20020182432A1 (en) * 2000-04-05 2002-12-05 Masaru Sakamoto Laser hole drilling copper foil
JP3628585B2 (ja) * 2000-04-05 2005-03-16 株式会社日鉱マテリアルズ 銅張り積層板及び銅張り積層板のレーザーによる穴開け方法
JP2002280684A (ja) * 2001-03-16 2002-09-27 Sumitomo Electric Printed Circuit Inc フレキシブル銅張回路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3051673A (ja) * 2001-08-06 2003-02-21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プリント配線板用銅箔及びそのプリント配線板用銅箔を用いた銅張積層板
JP4006618B2 (ja) * 2001-09-26 2007-11-14 日鉱金属株式会社 キャリア付銅箔の製法及びキャリア付銅箔を使用したプリント基板
JP4298943B2 (ja) * 2001-10-18 2009-07-22 日鉱金属株式会社 銅箔表面処理剤
JP4379854B2 (ja) * 2001-10-30 2009-12-09 日鉱金属株式会社 表面処理銅箔
CN1301046C (zh) * 2002-05-13 2007-02-14 三井金属鉱业株式会社 膜上芯片用软性印刷线路板
JP4397702B2 (ja) * 2004-02-04 2010-01-13 三菱伸銅株式会社 金属化ポリイミ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0515167C (zh) * 2004-02-17 2009-07-15 日矿金属株式会社 具有黑化处理表面或层的铜箔
US7655333B2 (en) * 2004-06-30 2010-02-0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ub-micron solid oxide electrolyte membrane in a fuel cell
JP4266360B2 (ja) * 2004-07-26 2009-05-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半導体装置のCu系配線形成方法
TW200626364A (en) * 2004-09-29 2006-08-01 Ube Industries Polyimide film and polyimide composite sheet
JP4581650B2 (ja) * 2004-11-26 2010-11-17 旭硝子株式会社 合成樹脂成形物の製造方法
JP2006253185A (ja) * 2005-03-08 2006-09-21 Toray Ind Inc ポリイミド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耐熱性樹脂積層フィルム、金属層付き積層フィルム
US7402770B2 (en) * 2005-06-10 2008-07-22 Lsi Logic Corporation Nano structure electrode design
WO2006137240A1 (ja) * 2005-06-23 2006-12-28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プリント配線板用銅箔
WO2007145164A1 (ja) * 2006-06-12 2007-12-21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粗化処理面を備えた圧延銅又は銅合金箔及び圧延銅又は銅合金箔の粗化方法
KR20090080978A (ko) * 2006-11-29 2009-07-27 닛코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2 층 구리 피복 적층판
US7976687B2 (en) * 2006-12-28 2011-07-12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oration Roll unit dipped in surface treatment liquid
CN101573477B (zh) * 2006-12-28 2011-01-19 日矿金属株式会社 用于铜箔的表面处理的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9630A (ko) * 2011-11-29 2013-06-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41436A1 (en) 2010-10-20
TW200934657A (en) 2009-08-16
EP2241436A4 (en) 2012-06-06
KR20130012592A (ko) 2013-02-04
JP5345955B2 (ja) 2013-11-20
US20110003169A1 (en) 2011-01-06
JPWO2009098832A1 (ja) 2011-05-26
WO2009098832A1 (ja)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488B1 (ko)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95658A (ko) 무접착제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JP5706386B2 (ja) 2層フレキシブル基板、並びに2層フレキシブル基板を基材としたプリント配線板
JP2005219259A (ja) 金属化ポリイミドフィルム
JP2008162245A (ja) メッキ法2層銅ポリイミド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118362A (ko) 2 층 구리 피복 적층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3771B1 (ko) 2층 플렉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00333A (ko)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기판에 대한 회로 형성 방법
JP5346040B2 (ja) フレキシブルラミネート及び該ラミネートを用いて形成したフレキシブル電子回路基板
JP5223325B2 (ja) 金属被覆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基板とその製造方法
KR101343729B1 (ko) 플렉시블 라미네이트 기판에 대한 회로 형성 방법
JP2005262707A (ja) 銅張り積層フィルムおよび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用材料
KR20060122591A (ko) 금속층과의 접착력 향상을 위한 연성필름 및 이를 이용한연성금속 적층판
WO2010098236A1 (ja) 耐熱エージング特性に優れた金属被覆ポリイミド樹脂基板
JP2007036098A (ja) 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18105A (ja) イオンガン処理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て作製された銅張積層板およびプリント配線基板
JP2003011272A (ja) 金属化ポリイミドフィルム
JP2011177899A (ja) 無接着剤フレキシブルラミネ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16493A (ja) 配線基板、プリント配線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製造方法
JP2007081275A (ja) フレキシブル回路用基板
JP2011061080A (ja) 積層板の製造方法
JP2010228173A (ja) 金属張積層体及び金属張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0030304A (ja) 金属化ポリイミド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227

Effective date: 201311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101095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227

Effective date: 2013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