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4251A -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와 그의 제조방법,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와 그의 제조방법,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4251A
KR20100074251A KR1020107009918A KR20107009918A KR20100074251A KR 20100074251 A KR20100074251 A KR 20100074251A KR 1020107009918 A KR1020107009918 A KR 1020107009918A KR 20107009918 A KR20107009918 A KR 20107009918A KR 20100074251 A KR20100074251 A KR 20100074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resin
processing aid
polyolefin
powdery processing
alkyl meth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4232B1 (ko
Inventor
요우코 하타에
마사아키 기우라
히데오 아오키
오사무 오쿠나카
도시히로 가사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4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6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or containing aids for mould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6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고, 질량평균 분자량이 15만 내지 2000만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함유하고, 분체로서의 취급성이 양호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의 분산성이 양호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성형 가공성을 개량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성형 가공성이 개량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와 그의 제조방법,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POWDERY PROCESSING AID FOR POLYOLEFIN-BASED RESINS,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와 그의 제조방법,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7년 11월 7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7-289140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의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저렴하고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각종 성형품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은 성형 가공시의 용융 장력이 작기 때문에, 진공 성형, 블로우 성형, 발포 성형, 압출 성형, 캘린더 성형에 있어서, 여러가지 성형 불량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성형 가공성의 개량을 목적으로 하여, 폴리프로필렌을 고분자량화 하여 용융 장력을 높이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지만, 고분자량화 함으로써 성형 가공성의 하나의 지표인 용융 유동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용융 장력과 용융 유동성의 바람직한 밸런스를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성형 가공성을 개량하는 방법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장쇄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첨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및 2).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로서, 특허문헌 1에서는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의 중합체가 사용되고 있고, 특허문헌 2에서는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장쇄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낮기 때문에, 분체로서 회수하기가 어려워서, 첨가제로서의 취급성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키기가 어려워서, 균일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함유하는 가공 조제를 첨가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그러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용도에 따라서는 탈할로젠화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할로젠을 포함하지 않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1997-25581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1996-30209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1999-124478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분체로서의 취급성이 양호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의 분산성이 양호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성형 가공성을 개량하는 가공 조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6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고, 질량평균 분자량이 15만 내지 2000만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성형품의 표면 외관을 손상하지 않고, 성형 가공성을 개량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6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고, 질량평균 분자량이 15만 내지 2000만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B),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 폴리올레핀계 수지(B)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의 제조방법은,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6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고, 질량평균 분자량이 15만 내지 2000만이며, 질량평균 입자 직경이 50 내지 250nm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라텍스로부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회수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는, 분체로서의 취급성이 양호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의 분산성이 양호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성형 가공성을 개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여, 얻어지는 성형품의 표면 외관을 손상하는 경우가 없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표면 외관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분체로서의 취급성이 양호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의 분산성이 양호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성형 가공성을 개량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6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고, 질량평균 분자량이 15만 내지 2000만이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6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6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성분을, 래디컬 중합 또는 이온 중합 등으로 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특히, 래디컬 중합이 바람직하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6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면,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n-뷰틸 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 메타크릴레이트, sec-뷰틸 메타크릴레이트, t-뷰틸 메타크릴레이트, 2-메틸뷰틸 메타크릴레이트, 3-메틸뷰틸 메타크릴레이트, 3-펜틸 메타크릴레이트, n-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알킬의 탄소수가 2 이상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의 분산성이 양호해지고, 알킬기의 탄소수가 6 이하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의 분체로서의 취급성이 양호해진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의 분산성 및 분체로서의 취급성이 양호해지는 점에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알킬기의 탄소수는 4가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한 성형 가공성의 개량 효과도 우수한 점에서, n-뷰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이소뷰틸 메타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의 분산성 및 분체로서의 취급성의 밸런스가 양호한 점에서, 아이소뷰틸 메타크릴레이트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량체 성분은, 필요에 따라 다른 단량체를 포함할 수도 좋다.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클로로스타이렌 등의 방향족 바이닐 단량체; 메틸 아크릴레이트, 뷰틸 아크릴레이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7 이상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 나이트릴, 메타크릴로 나이트릴 등의 사이안화 바이닐 단량체; 바이닐 메틸 에터, 바이닐 에틸 에터 등의 바이닐 에터 단량체; 아세트산 바이닐, 뷰티르산 바이닐 등의 카복실산 바이닐 단량체; 에틸렌, 프로필렌, 아이소뷰틸렌 등의 올레핀계 단량체; 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다이메틸뷰타다이엔 등의 다이엔계 단량체; 4-(메트)아크릴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메트)아크릴로일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등의 광안정화 작용기 함유 단량체를 들 수 있다. 다른 단량체는 1종을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로일」은,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나타낸다.
단량체 성분(100질량%) 중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6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함유율은, 5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80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단량체 성분(100질량%) 중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6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함유율이 50질량% 이상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의 분산성이 양호해진다.
단량체 성분의 중합 방법으로는, 공지된 중합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분체상 또는 과립상의 형태로 얻을 수 있는 점에서, 유화 중합이 바람직하다. 유화 중합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유화 중합에는, 공지된 각종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유화제로는, 설폰산계 염 화합물, 황산계 염 화합물, 인산에스터계 염 화합물 등의 음이온계 유화제가 바람직하다. 유화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개시제는, 공지된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개시제로는, 예를 들면,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등의 과황산염; t-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 나이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 상기한 과황산염 또는 유기 과산화물과 환원제를 조합한 레독스계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중합 온도는, 개시제의 종류에 의하지만, 보통 40 내지80℃이다.
유화 중합으로 얻어지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라텍스를 분체화하는 방법으로는, 응석(凝析)법 및 스프레이드라이법을 들 수 있다.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질량평균 분자량은 15만 내지 2000만이다.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질량평균 분자량이 15만 이상이면, 성형 가공성의 개량 효과가 우수하고, 질량평균 분자량이 2000만 이하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에의 분산성이 양호해진다.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질량평균 분자량은 50만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만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60만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질량평균 분자량은, 1500만 이하가 바람직하고, 700만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라텍스 중에서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질량평균 입자 직경은, 50 내지 250nm이다. 라텍스 중에서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질량평균 입자 직경이 50nm 이상이면, 유화 중합에서 사용한 유화제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주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질량평균 입자 직경이 250nm 이하이면,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중합시의 정지 반응이 일어나기 어려워, 예를 들면 질량평균 분자량이 160만 이상인 고분자량에서의 분자량 제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는, 본 발명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함유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 이외에,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로서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윤활제, 안정제, 난연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B)는, 올레핀계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우위(優位)량의 올레핀계 단량체와 열위(劣位)량의 바이닐 단량체의 공중합체, 또는 올레핀계 단량체와 다이엔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올레핀계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뷰텐, 1-헥센, 1-데센, 1-옥텐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B)로는,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초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뷰텐,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으로는, 예를 들면, 상품명 「노바텍 HD HJ360」, 「노바텍 HD HJ362N」, 「노바텍 HD HJ560」, 「노바텍 HD HJ580」, 「노바텍 HD HJ490」, 「노바텍 HD HJ590N」, 「노바텍 HD HY420」, 「노바텍 HD HY530」, 「노바텍 HD HY430」, 「노바텍 HD HY331」, 「노바텍 HD HY540」, 「노바텍 HD HE421」, 「노바텍 HD HE321E」, 「노바텍 HD HF313」, 「노바텍 HD HF111」, 「노바텍 HD HF133」, 「노바텍 HD HF560」(이상, 니폰폴리에틸렌(주)제), 상품명 「하이젝스」((주)프라임폴리머제), 상품명 「미넬론」, 「미네에스」, 「미네판」(이상, 산쿄폴리에틸렌(주)제), 상품명 「에바플렉스」, 「엘바로이 AC」, 「뉴크렐」(이상, 미쓰이듀퐁폴리케미컬(주)제)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으로는, 예를 들면, 상품명 「노바텍 PP FY4」, 「노바텍 PP EA9」, 「노바텍 PP MA3」, 「노바텍 PP MA3H」, 「노바텍 PP MA1B」, 「노바텍 PP BC03C」, 「노바텍 PP BC03B」, 「노바텍 PP BC05B」, 「노바텍 PP BC06C」, 「윈텍」, 「뉴콘」, 「뉴스트렌」, 「뉴포머」, 「펑크스타」(이상, 니폰폴리프로(주)제), 상품명 「프라임폴리프로 J105G」, 「프라임폴리프로 J106G」, 「프라임폴리프로 J106MG」,「프라임폴리프로 J108M」, 「프라임폴리프로 BJS-MU」, 「프라임폴리프로 J704LB」, 「프라임폴리프로 J704MG」, 「프라임폴리프로 J705MG」, 「프라임폴리프로 J715M」, 「프라임폴리프로 J717ZG」, 「프라임폴리프로 111G」, 「프라임폴리프로 B221WA」, 「프라임폴리프로 J232WA」, 「프라임폴리프로 B241」, 「프라임폴리프로 F113G」, 「프라임폴리프로 F109V」, 「프라임폴리프로 F227D」, 「프라임폴리프로 F219DA」, 「프라임폴리프로 F329RA」(이상, (주)프라임폴리머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로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마이드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의 각종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천연고무, 폴리아이소뷰틸렌, 폴리아이소프렌, 클로로프렌 고무, 뷰틸 고무, 나이트릴 뷰틸 고무 등의 천연 또는 합성 고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및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R),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공중합체(EPDM),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등의 비결정성 또는 미결정성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폴리뷰텐,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EPDM, 및 필요에 따라 폴리에틸렌을 가교한 부분 가교물 또는 완전 가교물을 들 수 있다.
또한, EPR로는, 예를 들면, 상품명 「JSR EP11」, 「JSR EP21」, 「JSR EP22」, 「JSR EP24」, 「JSR EP25」, 「JSR EP103AF」, 「JSR EP107」, 「JSR EP33」, 「JSR EP35」, 「JSR EP37F」, 「JSR EP65」(이상, JSR(주)제)를 들 수 있다.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면,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SBS),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공중합체(SIS), 스타이렌-아이소프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SIBS) 등의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틸렌·뷰텐-스타이렌 공중합체(SEBS), 수첨 SEBS,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 공중합체(SEPS), 스타이렌-뷰타다이엔·뷰틸렌-스타이렌 공중합체(부분 수소 첨가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 등의 블록 공중합체의 부분 또는 완전 수첨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첨 SEBS로는, 예를 들면, 상품명 「터프텍 H1031」, 「터프텍 H1041」, 「터프텍 H1043」, 「터프텍 H1051」, 「터프텍 H1052」, 「터프텍 H1053」, 「터프텍 H1062」, 「터프텍 1141」, 「터프텍 1221」, 「터프텍 1272」(이상, 아사히화성케미컬즈(주)제), 상품명 「다이날론 8601P」, 「다이날론 9901P」(이상, JSR(주)제)를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혼합물로는, 예를 들면, 상품명 「미라스토머 5030N」, 「미라스토머 6030N」, 「미라스토머 7030N」, 「미라스토머 8032N」, 「미라스토머 8030N」, 「미라스토머 9020N」, 「미라스토머 9070N」, 「미라스토머 M2400B」, 「미라스토머 2600B」(이상, 미쓰이화학(주)제), 상품명 「써모란 5800B」, 「써모란 5850N」, 「써모란 3655B」, 「써모란 3855B」(이상, 미쓰비시화학(주)제), 상품명 「에스포렉스 3785」, 「에스포렉스 3885」, 「에스포렉스 901」, 「에스포렉스 907」, 「에스포렉스 4785」, 「에스포렉스 820」, 「에스포렉스 822」, 「에스포렉스 817」(이상, 스미토모화학(주)제), 상품명 「센토프렌 101-55」, 「센토프렌 103-40」, 「센토프렌 121-68W228」, 「센토프렌 121-50M100」(이상, 엑손모바일(유)제)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 폴리올레핀계 수지(B), 및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를 함유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중에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비율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종류나, 얻어지는 성형품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지만, B와 C의 합계를 100질량%로 했을 때에, B가 25 내지 100질량%, C가 0 내지 75질량%인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B) 100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를,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질량부 함유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를 함유하는 경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를,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질량부 함유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B) 100질량부(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B와 C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의 배합량이 0.5질량부 이상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한 성형 가공성의 개량 효과가 충분히 발현되고, 20질량부 이하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갖는 특성을 손상하는 경우가 없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성형 가공시의 용융 장력이 향상하기 때문에, 캘린더 가공시의 인취성, 열 성형시 또는 블로우 성형시의 용융 수지의 드로우 다운, 발포 성형시의 셀의 연포화(連泡化) 등이 개량되어, 캘린더 가공, 열 성형, 블로우 성형, 발포 성형 등의 성형 가공성이 개량된다. 또한, 압출 성형시의 토출량, 시트 및 필름 등의 압출 성형체의 표면 외관이 개량되어, 압출 성형시의 성형 가공성도 개량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는, 그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한에서, 필요에 따라, 충전제, 안정제, 윤활제, 난연제, 발포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충전제로는, 예를 들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황산바륨,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탈크, 마이카, 카올린, 타이타늄 화이트, 화이트 카본, 카본 블랙, 유리 섬유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충전제 중에서는, 탄산칼슘 및 탈크가 바람직하다. 충전제의 배합에 의해, 수지 조성물의 강성이나 내열성이 향상하여, 캘린더 가공 등에 있어서의 롤 면에의 점착 방지 등의 성형 가공성이 개량되고, 또한 저비용화가 달성될 수 있다.
충전제의 배합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B) 100질량부(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B와 C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4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제의 배합량이 0.1질량부 이상이면, 강성의 개량 효과가 충분히 발현되고, 400질량부 이하이면, 성형품의 표면 외관이 저하되지 않는다.
안정제로는, 예를 들면,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키스[3-(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비스[3-(3-t-뷰틸-5-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페놀계 안정제; 트리스(모노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다이-t-뷰틸페닐)포스파이트 등의 인계 안정제; 다이라우릴싸이오다이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황계 안정제를 들 수 있다.
윤활제로는, 예를 들면, 라우릴산, 팔미트산, 또는 올레산의 나트륨, 칼슘 또는 마그네슘염을 들 수 있다.
난연제로는, 예를 들면, 트라이메틸 포스페이트, 트라이에틸 포스페이트, 트라이뷰틸 포스페이트, 트라이옥틸 포스페이트, 트라이뷰톡시에틸 포스페이트, 트라이페닐 포스페이트, 트라이크레질 포스페이트, 크레질페닐 포스페이트, 옥틸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다이아이소프로필페닐 포스페이트, 트리스(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 알콕시 치환 비스페놀 A 비스포스페이트, 하이드로퀴논 비스포스페이트, 레조르신 비스포스페이트, 트라이옥시벤젠 트라이포스페이트 등의 인산 에스터 화합물;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데카브로모다이페닐옥사이드, 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케인, 옥타브로모다이페닐에터, 비스트라이브로모페녹시에테인,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프타일이미드, 트라이브로모페놀, 할로젠화 에폭시 올리고머, 할로젠화 카보네이트올리고머, 할로젠화 폴리스타이렌, 염소화 폴리올레핀 등의 할로젠 함유 화합물; 금속 수산화물; 금속 산화물; 설팜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난연제의 배합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B) 100질량부(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B와 C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2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제로는,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공기, 질소 등의 무기 발포제; 프로페인, n-뷰테인, 아이소뷰테인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등, 트라이클로로플루오로메테인, 메틸클로라이드, 에틸클로라이드, 메틸렌클로라이드 등의 할로젠화 탄화수소 등의 휘발성 발포제; 아조다이카본 아마이드, 다이나이트로소펜타메틸렌 테트라민, 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 나이트릴, 중탄산나트륨 등의 분해형 발포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발포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발포제의 배합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B) 100질량부(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B와 C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5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 폴리올레핀계 수지(B), 및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 각종 첨가제를 배합한 후, 압출 혼련, 롤 혼련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용융 혼련함으로써 조제된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 폴리올레핀계 수지(B), 및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일부를 혼합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작한 후, 잔부인 폴리올레핀계 수지(B) 및/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를 배합하는 다단층의 배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성형하여 얻어진다. 성형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캘린더 성형, 열 성형, 압출 블로우 성형, 발포 성형, 압출 성형, 사출 성형, 용융 방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품으로는, 예를 들면, 압출 성형에 의한 시트, 필름 및 이형 성형품; 압출 블로우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한 중공 성형품, 사출 성형품, 발포 성형품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중의 「부」 및 「%」는, 각각 「질량부」 및 「질량%」를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의 제 물성의 측정은, 이하의 (1) 내지 (6)의 방법에 의한다.
(1) 질량평균 분자량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질량평균 분자량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가용분을 시료로 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HLC-8220: 도소(주)제), 컬럼(TSK-GEL SUPER HZM-M: 도소(주)제)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질량평균 분자량은, 표준 폴리스타이렌에 의한 검량선으로부터 구했다.
(2) 질량평균 입자 직경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라텍스를 탈이온수로 희석한 것을 시료로 하여, 입도 분포계(CHDF 2000형: 마텍(MATEC)사제)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측정 조건은, 마텍사가 권하는 표준 조건으로 행했다. 즉, 전용의 입자 분리용 캐피러리식 카트리지 및 캐리어 액을 사용하여, 액성: 거의 중성, 유속: 1.4㎖/분, 압력: 약 4000psi(2600KPa), 온도: 35℃를 유지한 상태에서, 라텍스를 농도 약 3%로 희석한 시료 0.1㎖를 측정에 사용했다.
표준 입자 직경 물질로서는, 입자 직경이 알려진 단분산 폴리스타이렌을 20 내지 800nm의 범위에서 합계 12점 사용했다.
(3) 분체로서의 취급성
분체상 가공 조제를, 8메쉬의 체를 통과시켰다. 이하의 기준에 의해, 분체로서의 취급성을 평가했다.
a: 메쉬를 통과한 양이 90% 이상
b: 메쉬를 통과한 양이 10% 이상 내지 90% 미만
c: 메쉬를 통과한 양이 10% 미만
(4) 용융 장력
성형 가공성의 지표로서, 용융 장력을 평가했다. 용융 장력은 열 성형성, 블로우 성형성, 발포 성형성 등의 지표이며, 용융 장력의 향상은 성형 가공성의 향상으로 볼 수 있다.
용융 장력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캐피러리식 레오미터(트윈캐피러리 레오미터 RH-7: 로센드(ROSAND)사제)를 사용하여, 일정량(0.54cm3/분)으로 압출하고, 스트랜드를 일정 속도(3m/분)로 인취했다. 다이스의 L/D는 16.0mm×ø1.0mm, 온도는 190℃로 했다.
(5) 용융 점도
용융 점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캐피러리식 레오미터(트윈캐피러리 레오미터 RH-7: 로센드(ROSAND)사제)를 사용하여, 전단 속도 268/초로 측정했다. 다이스의 L/D는 16.0mm×ø1.0mm, 온도는 190℃로 했다.
(6) 외관 평가
성형품의 표면 외관의 지표로서, 스트랜드의 외관을 평가했다.
스트랜드의 외관은 이하와 같이 하여 평가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캐피러리식 레오미터(트윈캐피러리 레오미터 RH-7: 로센드(ROSAND)사제)를 사용하여, 전단 속도 1000/초로 측정했다. 다이스의 L/D는 16.0mm×ø1.0mm, 온도는 190℃에서 압출했다. 얻어진 스트랜드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에 의해 스트랜드의 외관을 평가했다.
a: 표면에 거칠함이 없다
b: 표면에 부분적으로 거칠함이 있다
c: 표면에 거칠함이 있다
(제조예 1)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1)의 제조
하기의 단량체 혼합물을, 호모 믹서를 사용하여 10000rpm으로 6분간 교반하여 유화 혼합물을 얻었다.
단량체 혼합물:
아이소뷰틸 메타크릴레이트 100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1부
탈이온수 300부
온도계, 질소 도입관, 냉각관 및 교반 장치를 갖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의 유화 혼합물을 투입하고, 용기 내를 질소로 치환했다. 이어서, 내부 온도를 60℃까지 승온시키고, 과황산칼륨 0.15부를 가했다. 그 후, 가열 교반을 2시간 계속하고 중합을 종료하여,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1)의 라텍스를 얻었다.
얻어진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1)의 라텍스를, 아세트산칼슘 5부를 포함하는 열수 100부중에 적하하여 라텍스의 응석을 행했다. 응석물을 분리 세정 후, 65℃에서 16시간 건조하여,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1)를 얻었다. 얻어진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1)의 질량평균 분자량 및 질량평균 입자 직경을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13)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2) 내지 (13)의 제조
단량체 성분의 조성, 개시제 양 및 연쇄 이동제 양을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2) 내지 (13)을 얻었다. 여기서, 개시제에는 과황산칼륨, 연쇄 이동제에는 n-옥틸머캅탄을 사용했다.
(제조예 14)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14)의 제조
하기의 단량체 혼합물을, 호모 믹서를 사용하여 10000rpm으로 6분간 교반한 후,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압력 200kg/cm로 강제 유화하여, 유화 혼합물을 얻었다.
단량체 혼합물: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100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1부
탈이온수 300부
온도계, 질소 도입관, 냉각관 및 교반 장치를 갖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의 유화 혼합물을 투입하고, 용기 내를 질소로 치환했다. 이어서, 내부 온도를 60℃까지 승온시키고, 하기의 환원제 수용액을 투입했다.
환원제 수용액:
황산제일철 0.0003부
에틸렌다이아민4아세트산나트륨 염 0.0009부
론갈리트(Rongalite) 0.1부
탈이온수 5부
이어서, t-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5부를 가했다. 그 후, 가열 교반을 2시간 계속하고 중합을 종료하여,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14)의 라텍스를 얻었다.
얻어진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14)의 라텍스를, 아세트산칼슘 5부를 포함하는 냉수 100부 중에 적하하여 라텍스의 응석을 행했다. 응석물을 분리 세정 후, 65℃에서 16시간 건조하여,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14)를 얻었다. 얻어진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14)의 질량평균 분자량 및 질량평균 입자 직경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10, 비교예 1 내지 4)
얻어진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1) 내지 (14)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1) 내지 (A14)로 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1) 내지 (A14)의 분체로서의 취급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중의 약호는 하기와 같다.
iBMA: 아이소뷰틸 메타크릴레이트
nBMA: n-뷰틸 메타크릴레이트
2EHMA: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MMA: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BA: n-뷰틸 아크릴레이트
(실시예 11 내지 20, 비교예 5 내지 9)
폴리올레핀계 수지(B)로서 폴리프로필렌(노바텍 FY4: 니폰폴리프로(주)제)을 사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1) 내지 (A14)와, 표 2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했다. 그 후, 단축 압출기(써모플라스틱스(주)제)를 사용하여, 바렐 온도 190℃, 스크류 회전수 50rpm으로 용융 혼련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얻었다. 얻어진 펠렛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질량평균 분자량 300만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체상 가공 조제(A12)를 사용한 비교예 7에서는, 분체상 가공 조제(A12)와 폴리프로필렌의 상용성이 낮아, 스트랜드를 인취할 수 없었다.
Figure pct00002
표 중의 약호는 하기와 같다.
PP: 폴리프로필렌
(실시예 21 내지 24, 비교예 10 내지 13)
폴리올레핀계 수지(B)로서 폴리에틸렌(하이젝스 5305E: (주)프라임폴리머제)을 사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와, 표 3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하여,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용융 혼련하여 펠렛을 얻었다. 얻어진 펠렛의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표 중의 약호는 하기와 같다.
PE: 폴리에틸렌
(실시예 25 내지 28, 비교예 14 내지 17)
폴리올레핀계 수지(B)로서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 수지(에바프렉스 V5274: 미쓰이·듀퐁폴리케미컬(주)제)를 사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와, 표 4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하여,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용융 혼련하여 펠렛을 얻었다. 얻어진 펠렛의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표 중의 약호는 하기와 같다.
EVA: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 수지
(실시예 29 내지 32, 비교예 18 내지 21)
폴리올레핀계 수지(B)로서 폴리프로필렌(노바텍 FY4: 니폰폴리프로(주)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로서 수첨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터프텍 H1062: 아사히화성케미컬즈(주)제)를 사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와, 표 5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하여,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용융 혼련하여 펠렛을 얻었다. 얻어진 펠렛의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표 중의 약호는 하기와 같다.
PP: 폴리프로필렌
수첨 SEBS: 수첨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실시예 33 내지 36, 비교예 22 내지 25)
폴리올레핀계 수지(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혼합물로서 미라스토머 6030N(미쓰이화학(주)제)를 사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와, 표 6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하여,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용융 혼련하여 펠렛을 얻었다. 얻어진 펠렛의 평가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한편, 질량평균 분자량 300만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체상 가공 조제(A12)를 사용한 비교예 24에서는, 분체상 가공 조제(A12)와 미라스토머 6030N의 상용성이 낮아, 스트랜드를 인취할 수 없었다.
Figure pct00006
표 중의 약호는 하기와 같다.
TPO: 미라스토머 6030N(폴리올레핀계 수지(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혼합물)
(실시예 37 내지 39, 비교예 26, 27)
폴리올레핀계 수지(B)로서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 수지(에바프렉스 V5274: 미쓰이·듀퐁폴리케미컬(주)제), 충전제로서 수산화마그네슘(마그시즈 W-H5: 고우노시마화학공업(주)제)을 사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와, 표 7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했다.
이어서, 같은 방향 2축 압출기((주)플라스틱공학연구소제)를 사용하여, 바벨 온도 180℃, 스크류 회전수 150rpm으로 용융 혼련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얻었다. 얻어진 펠렛의 평가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표 중의 약호는 하기와 같다.
EVA: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 수지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분체상 가공 조제는 분체로서의 취급성이 양호했다. 이에 비해, 비교예 4의 가공 조제는 분체로서의 취급성이 불량했다.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분체상 가공 조제는, 핸드블렌드 했을 때에 매트릭스 수지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혼합되기 쉽고, 또한 피더(feeder)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균일하게 혼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분체상 가공 조제(A1) 내지 (A10)을 첨가한 실시예 11 내지 20은, 분체상 가공 조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5에 비해, 현저한 용융 장력의 향상이 보였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의 성형에 있어서, 용융 장력이 0.055(N) 이상인 경우는, 이형 압출 성형이나 발포 성형시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비교예 6은, 분체상 가공 조제의 분자량이 본 발명의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서, 용융 장력의 향상 효과가 낮다. 비교예 7은, 분체상 가공 조제의 조성이 본 발명의 범위 밖이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과의 상용성이 낮아, 압출시에 스트랜드 조각이 발생했다. 이 때문에, 용융 장력 및 용융 점도의 측정을 단념했다.
표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체상 가공 조제를 첨가한 실시예 21 내지 24는, 분체상 가공 조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0에 비해, 현저한 용융 장력의 향상이 보였다.
한편, 비교예 11은, 분체상 가공 조제의 분자량이 본 발명의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서, 용융 장력의 향상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비교예 12는, 분체상 가공 조제의 조성이 본 발명의 범위 밖이기 때문에, 폴리에틸렌과의 상용성이 낮아, 용융 장력의 향상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표 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체상 가공 조제를 첨가한 실시예 25 내지 28은, 분체상 가공 조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4에 비해, 현저한 용융 장력의 향상이 보였다.
한편, 비교예 15는, 분체상 가공 조제의 분자량이 본 발명의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서, 용융 장력의 향상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비교예 16은, 분체상 가공 조제의 조성이 본 발명의 범위 밖이기 때문에,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 수지와의 상용성이 낮아, 용융 장력의 향상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표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체상 가공 조제를 첨가한 실시예 29 내지 32는, 분체상 가공 조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8에 비해, 현저한 용융 장력의 향상이 보였다.
한편, 비교예 19는, 분체상 가공 조제의 분자량이 본 발명의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서, 용융 장력의 향상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비교예 20은, 분체상 가공 조제의 조성이 본 발명의 범위 밖이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과의 상용성이 낮아, 용융 장력의 향상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표 6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체상 가공 조제를 첨가한 실시예 33 내지 36은, 분체상 가공 조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22에 비해, 현저한 용융 장력의 향상이 보였다.
한편, 비교예 23은, 분체상 가공 조제의 분자량이 본 발명의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서, 용융 장력의 향상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비교예 24는, 분체상 가공 조제의 조성이 본 발명의 범위 밖이기 때문에, 미라스토머 6030N과의 상용성이 낮아, 압출시에 스트랜드 조각이 발생했다. 이 때문에, 용융 장력 및 용융 점도의 측정을 단념했다.
표 7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체상 가공 조제를 첨가한 실시예 37 내지 39는, 분체상 가공 조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26에 비해, 스트랜드의 표면 외관의 향상 효과가 보였다.
한편, 비교예 27은, 분체상 가공 조제의 조성이 본 발명의 범위 밖이기 때문에,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 수지와의 상용성이 낮아, 스트랜드의 표면 외관의 향상 효과는 낮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는, 분체로서의 취급성이 양호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의 분산성이 양호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성형 가공성을 개량할 수 있는 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성형 가공성을 개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를 폴리올레핀계 수지(B)에 배합함으로써, 캘린더 성형시의 인취성, 열 성형성, 블로우 성형성, 발포 성형성 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시트 및 필름 등의 압출 성형체의 표면 상태가 개량되어, 압출 가공성이 양호하다. 또한, 충전제를 혼합한 것은, 캘린더 성형 또는 압출 성형으로 얻어지는 시트 또는 필름의 표면 외관이 개량되어, 강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를, 폴리올레핀계 수지 폐기물의 재생시에 배합함으로써, 성형 가공시의 용융 장력의 저하를 막을 수 있어, 캘린더 성형시의 인취성, 열 성형성, 블로우 성형성, 발포 성형성 등의 성형 가공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의 분산성이 매우 양호하기 때문에, 재생품의 표면 외관도 양호한 것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6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고, 질량평균 분자량이 15만 내지 2000만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
  2. 제 1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B)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 폴리올레핀계 수지(B)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품.
  5.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6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고, 질량평균 분자량이 15만 내지 2000만이며, 질량평균 입자 직경이 50 내지 250nm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라텍스로부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회수하는 제 1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A)의 제조방법.
KR1020107009918A 2007-11-07 2008-11-07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와 그의 제조방법,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1544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89140 2007-11-07
JPJP-P-2007-289140 2007-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251A true KR20100074251A (ko) 2010-07-01
KR101544232B1 KR101544232B1 (ko) 2015-08-12

Family

ID=4062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918A KR101544232B1 (ko) 2007-11-07 2008-11-07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와 그의 제조방법,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36896B2 (ko)
EP (1) EP2206743B1 (ko)
JP (1) JP5394072B2 (ko)
KR (1) KR101544232B1 (ko)
CN (1) CN101848967B (ko)
TW (1) TWI439502B (ko)
WO (1) WO20090609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8207B2 (ja) * 2008-04-09 2013-10-09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異形押出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異形押出成形品
KR101419618B1 (ko) * 2009-11-26 2014-07-14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EP2565230B1 (en) * 2010-04-27 2015-09-09 Mitsubishi Rayon Co., Ltd. Dispersant for additive for polyolefin resi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JP5551656B2 (ja) * 2010-07-20 2014-07-16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カンパニー オレフィン/アクリルポリマーブレンド
US9758663B2 (en) 2013-01-07 2017-09-12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powd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315207B2 (ja) * 2013-09-25 2018-04-25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軟質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成形体、電線被覆材及び被覆された電線
WO2015044785A2 (en) * 2013-09-27 2015-04-02 Basf Se Polyolefin compositions for building materials
JP6260480B2 (ja) * 2014-07-14 2018-01-1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アクリル系エラストマー樹脂用加工助剤、アクリル系エラストマー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CN104497213A (zh) * 2014-12-16 2015-04-08 上海邦中新材料有限公司 一种肠衣膜用粘结树脂
CN106096270B (zh) * 2016-06-13 2020-09-04 郑州金合设备制造有限公司 用混合指数在混合前量化说明粉体间混合难易程度的方法
RU2685204C2 (ru) * 2017-10-02 2019-04-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Байка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риродополь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ое отделение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БИП СО РАН) Состав композиционной резино-полимерной смеси триботехниче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CN114369197B (zh) * 2022-01-18 2022-10-11 熵能创新材料(珠海)有限公司 一种聚丙烯酸烷烃酯类加工助剂以及包含该加工助剂的可熔融加工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30703B1 (en) * 1986-01-22 1993-03-17 ARCO Chemical Technology, L.P. Impact modified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molding compositions
DE3612791C2 (de) * 1986-04-16 1997-01-16 Roehm Gmbh Polymethacrylatformmasse mit hoher Wärmeformbeständigkeit und hoher thermischer Stabilitä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JPS6399263A (ja) 1986-10-16 1988-04-30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樹脂用加工助剤
JP2887478B2 (ja) 1988-03-29 1999-04-26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用加工助剤及びそれ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4100841A (ja) 1990-08-17 1992-04-02 Mitsubishi Kasei Corp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US5506307A (en) 1995-04-25 1996-04-09 Rohm And Haas Company Modifier for polypropylene imparting improved melt strength
JPH09255816A (ja) 1996-03-21 1997-09-30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942888B2 (ja) 1997-08-22 1999-08-30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樹脂用溶融張力向上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20075B2 (ja) * 1998-12-02 2008-07-16 東ソー株式会社 高発泡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4100841B2 (ja) 1999-10-07 2008-06-11 株式会社超高温材料研究所 接触熱抵抗の測定法
US6337374B1 (en) * 1999-12-01 2002-01-0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olymer blend having low compression set
US6555245B2 (en) * 2000-12-20 2003-04-29 Kaneka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for capstock
JP2002249668A (ja) * 2001-02-27 2002-09-06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成形品、およびこれに用いる混合体
EP1234841B1 (en) * 2001-02-27 2007-11-21 Rohm And Haas Company Processes for preparing non-gelling high polymer compositions and thermoplastic blends thereof
US20040143068A1 (en) * 2001-05-08 2004-07-22 Souichiro Honda Modifier for thermoplastic resin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DE60234595D1 (de) 2001-05-08 2010-01-14 Mitsubishi Rayon Co Modifikator für thermoplastisches harz und diesen enthaltende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JP2003113322A (ja) * 2001-10-02 2003-04-18 Mitsubishi Rayon Co Ltd 発泡成形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発泡体及びこれに用いる樹脂混合体
JP4851045B2 (ja) * 2002-04-04 2012-01-1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水酸基含有アクリル系重合体、熱可塑性樹脂組成物、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積層体、建築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060936A1 (ja) 2011-03-24
WO2009060936A1 (ja) 2009-05-14
US20100234530A1 (en) 2010-09-16
TWI439502B (zh) 2014-06-01
CN101848967B (zh) 2014-05-14
EP2206743B1 (en) 2013-08-14
TW200927815A (en) 2009-07-01
JP5394072B2 (ja) 2014-01-22
CN101848967A (zh) 2010-09-29
US8236896B2 (en) 2012-08-07
EP2206743A1 (en) 2010-07-14
KR101544232B1 (ko) 2015-08-12
EP2206743A4 (en)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232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분체상 가공 조제와 그의 제조방법,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EP0822226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polytetrafluoroethylene powder mixture
KR101419618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가공 조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0526961B1 (ko) 폴리올레핀 수지용 용융 장력 향상제 및 그 제조방법
JPH06345828A (ja) 改質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KR101385375B1 (ko) 열가소성 수지용 첨가제 및 그의 제조 방법,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JP2006307015A (ja) 耐傷付性樹脂組成物、耐傷付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成形品
JPH11124478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用溶融張力向上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63775B2 (ja) ポリオレフィン用樹脂組成物
JP3340771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5221439B2 (ja) 発泡成形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発泡成形体
JP2000230083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3202803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の製法
JP2003277571A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およびその成形体
JP2009249408A (ja) ブロー成形用ノンハロゲン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ブロー成形品
JPH07207109A (ja) 改質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それを含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523718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H06299006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ならびに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2010120981A (ja) カレンダー成形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を得る方法
JP2006274117A (ja) 安定化されたオレフィンポリ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79851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H0853582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2001139736A (ja) ポリオレフィンを主成分とする樹脂組成物、ポリオレフィン用溶融張力改良材および成形体の製造方法
JPH07138444A (ja) 改質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の製法およびそれからえられた改質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含有してな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