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552A -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552A
KR20100073552A KR1020080132262A KR20080132262A KR20100073552A KR 20100073552 A KR20100073552 A KR 20100073552A KR 1020080132262 A KR1020080132262 A KR 1020080132262A KR 20080132262 A KR20080132262 A KR 20080132262A KR 20100073552 A KR20100073552 A KR 20100073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receiving groove
rotary block
bl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1667B1 (ko
Inventor
윤성규
Original Assignee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2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667B1/ko
Priority to CN2009801522538A priority patent/CN102264616B/zh
Priority to JP2011543410A priority patent/JP5291805B2/ja
Priority to MYPI2011002624A priority patent/MY154102A/en
Priority to PCT/KR2009/007152 priority patent/WO2010074416A2/ko
Priority to TW098142809A priority patent/TWI478803B/zh
Publication of KR20100073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8Capsules; Tab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6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layers, coatings
    • H01L21/565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장치에서 몰딩용 타블렛을 선별하여 프리사이저로 공급하는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는, 타블렛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복수개의 수용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회동수단에 의해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하면서 수용홈 내에 삽입된 타블렛의 위치를 일정 각도씩 가변시키는 회전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의 수용홈 내측으로 타블렛을 공급하는 타블렛 공급유닛과; 상기 회전블록의 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있는 타블렛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유닛과; 상기 회전블록의 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있는 양품으로 판정된 타블렛을 상측의 프리사이저로 반송하는 타블렛 반송유닛과; 상기 회전블록의 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있는 불량품으로 판정된 타블렛을 수용홈에서 인출하여 제거하는 불량제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량 타블렛을 프리사이저로 공급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타블렛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작업과 타블렛을 프리사이저로 공급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타블렛 공급 속도와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성형장치, 몰드, 타블렛, 불량 제거

Description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Apparatus for Sorting and Supplying Tablet for Molding}
본 발명은 성형장치에서 타블렛(tablet)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장치에서 몰딩용 타블렛을 선별하여 정상적인 타블렛만을 공급하고, 불량 타블렛은 배제할 수 있도록 한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반도체 패키지 제조 공정은 반도체 칩을 부착하는 다이어태치 (die attach) 공정과, 반도체 칩과 리드프레임을 본딩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와이어본딩(wire bonding) 공정과, 와이어본딩이 완료된 반도체 칩과 본딩와이어 및 그 접합 부분들을 봉지하여 물리적 및 화학적인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에폭시 성형 수지(epoxy molding compound)와 같은 열경화성 합성 수지로 패키지 몸체를 형성하는 몰딩(molding) 공정 등을 포함한다.
반도체 패키지 제조 공정에서 몰딩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장치로서 자동 성형장치(auto molder)가 사용된다. 자동 성형장치는 와이어본딩이 완료된 반제품 상태의 리드프레임을 공급하는 로더부와, 투입된 리드프레임을 에폭시 성형 수지로 성형하는 몰드프레스(mold press), 성형이 완료된 자재를 꺼내는 언로더부, 및 몰드프레스에 에폭시 성형 수지의 타블렛(tablet)을 공급하는 타블렛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블렛 공급부에서는 호퍼를 통해 공급된 원통형의 타블렛을 타블렛 진동장치를 이용하여 타블렛 공급장치로 점진적으로 이동시킨 다음, 타블렛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프리사이저(preciser)로 공급한다. 상기 프리사이저로 공급된 타블렛은 타블렛 반송용 픽커에 픽업되어 몰드프레스로 반송된다.
그런데, 자동 성형장치의 타블렛 공급부에 구성되는 종래의 타블렛 공급장치는 파손되거나 크기가 작은 불량 타블렛을 감지하는 수단은 구비하고 있지만 자체적으로 불량 타블렛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타블렛이 불량으로 감지되더라도 일단 프라사이저로 공급한 다음 타블렛 반송용 픽커로 프리사이저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타블렛들을 픽업하여 타블렛 수거박스로 반송하여 제거하고, 다시 타블렛 공급장치로 프리사이저에 타블렛을 공급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불량 타블렛 발생시 타블렛을 프리사이저로 공급하는 과정이 반복되므로 작업이 지연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타블렛 공급장치는 타블렛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작업을 수행한 다음 타블렛을 프리사이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타블렛 불량 감지와 타블렛을 프리사이저로 공급하는 작업이 동시에 구현되지 못하므로 타블렛 공급 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불량 타블렛을 프리사이저로 공급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타블렛 공급 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블렛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작업과 타블렛을 프리사이저로 공급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타블렛 공급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는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타블렛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복수개의 수용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회동수단에 의해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하면서 수용홈 내에 삽입된 타블렛의 위치를 일정 각도씩 가변시키는 회전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의 수용홈 내측으로 타블렛을 공급하는 타블렛 공급유닛과; 상기 회전블록의 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있는 타블렛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유닛과; 상기 회전블록의 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있는 양품으로 판정된 타블렛을 상측의 프리사이저로 반송하는 타블렛 반송유닛과; 상기 회전블록의 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있는 불량품으로 판정된 타블렛을 수용홈에서 인출하여 제거하는 불량제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타블렛이 회전블록의 각 수용홈 내측으로 공급되어 일정 각도씩 회전하면서 검사유닛에 불량 여부가 검사되고, 양품의 타블렛은 타블렛 반송유닛에 의해 프리사이저로 반송되며, 불량품의 타블렛은 프리사이저로 공급되지 않고 불량제거유닛에 의해 자체적으로 제거된다. 따라서, 프리사이저로 불량 타블렛이 공급되지 않고 항상 양품의 타블렛만 프리사이저로 공급되므로 타블렛 공급 작업의 속도 및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수용홈에 타블렛을 공급하는 작업과, 각 수용홈에서 타블렛을 검사하는 작업, 양품의 타블렛을 프리사이저로 공급하는 작업, 불량 타블렛을 제거하는 작업이 개별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작업 속도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의 첫번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는 원통형의 몰딩용 타블렛(T)을 공급하는 타블렛 공급유닛(20)과, 상기 타블렛 공급유닛(20)으로부터 공급된 타블렛(T)이 수용되는 복수개(이 실시예에서 4개)의 수용홈(13)이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블록(10)과, 상기 회전블록(10)의 수용홈(13) 내측에 수용된 타블렛(T)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유닛(30)과, 상기 회전블록(10)의 수용홈(13) 내에 수용되어 있는 양품으로 판정된 타블렛(T)을 상측의 프리사이저(60)로 반송하는 타블렛 반송유닛(40)과, 상기 회전블록(10)의 수용홈(13) 내에 수용되어 있는 불량품으로 판정된 불량 타블렛(Tr)을 수용홈(13)에서 인출하여 제거하는 불량제거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타블렛 공급유닛(20)과 검사유닛(30), 타블렛 반송유닛(40), 불량제거유닛(50)은 회전블록(10)의 각각의 수용홈(13)들과 대응하도록 회전블록(10)을 중심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타블렛 공급유닛(20)은 타블렛 공급 호퍼(미도시)를 통해서 공급된 타블렛(T)이 1렬로 안내되는 타블렛 가이드레일(21)과, 상기 타블렛 가이드레일(21)을 진동시켜 타블렛(T)들이 타블렛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일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진동장치(22)로 구성된다. 상기 타블렛 가이드레일(21)의 일단부는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블록(10)의 외주부와 연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블록(10)은 원반형의 베이스블록(11)과, 상기 베이스블록(11)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원반형의 가이드블록(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블록(11)과 가이드블록(12)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지만, 이와 다르게 2개의 원반형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베이스블록(11)의 중앙부는 모터(14)의 축에 결합되어 90도씩 회전한다. 상기 가이드블록(12)의 외주연부에는 상기 수용홈(13)들이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3)은 타블렛(T)을 수용할 수 있도록 타블렛(T)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3) 내측에는 타블렛(T)이 상측의 프리사이저(60)로 공급될 때 타블렛(T)의 상승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핀(1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핀(15)은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블록(11)에 고정된다. 물론, 이 실시예에서는 타블렛(T)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분진 발생이나 스크래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타블렛(T)의 상승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가이드핀(15)을 사용하고 있으나, 가이드핀(15) 외에 다른 가이드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블록(10)의 수용홈(13)의 상단부 높이가 충분히 높다면 가이드핀(15)을 설치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블록(11)에는 상기 각각의 수용홈(13)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16)이 형성된다.
상기 검사유닛(30)은 상기 타블렛 공급유닛(20)과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타블렛(T)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타블렛(T)에 파손이 발생하는 등의 불량 여부를 검사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검사유닛(30)은 회전블록(10)의 하측에서 공압실린더(33)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회전블록(10)의 수용홈(13) 내측에 수용된 타블렛(T)과 접촉하면서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31)로 구성된다. 상기 로드셀(31)에는 상단부가 상기 회전블록(10)의 관통공(16)을 통해 수용홈(13)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타블렛(T)의 하단부와 접촉하는 접촉핀(32)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타블렛 반송유닛(40)은 상기 검사유닛(30)과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블록(10)의 하측에 상하로 승강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단부 가 상기 회전블록(10)의 관통공(16)을 통해 수용홈(13)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타블렛(T)을 상승시켜 프리사이저(60)로 공급하는 푸셔(41)와, 상기 푸셔(41)를 상하로 승강 운동시키는 푸셔 승강용 공압실린더(42)를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프리사이저(60)는 하부면에 타블렛(T)이 인입되는 복수개의 개구부(62)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61)과, 상기 프레임(61)의 각 개구부(62)의 외주부를 따라 설치되어 타블렛(T)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서포트핀(65)과, 상기 각 개구부(62)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블렛(T)이 개구부(62)의 아래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랫치(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랫치(63)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토션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미도시)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랫치(63)는 일측면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측에서부터 타블렛(T)이 반송될 때 타블렛(T)과 접촉하여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개구부(62)를 개방시킨다.
한편, 상기 불량제거유닛(50)은 상기 타블렛 반송유닛(40)과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블록(10)의 수용홈(13) 상측에 수용홈(13)의 내외측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드래그핀(51)(drag pin)과, 상기 드래그핀(51)을 수평 이동시키는 핀 구동용 공압실린더(52)와, 상기 회전블록(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드래그핀(51)에 의해 수용홈에서 인출된 불량 타블렛(Tr)이 수거되는 타블렛수거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래그핀(51)은 수용홈(13)의 상측에서 수평 이동하면서 수용홈(13) 내에 수용되어 있는 불량 타블렛(Tr)과 접촉하여 불량 타블렛(Tr)을 수용홈(13)에서 끌어내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성형장치의 타블렛 공급부의 호퍼(미도시)를 통해 공급된 타블렛(T)들은 타블렛 가이드레일(21) 내측로 1열로 진입하고, 진동장치(22)의 진동에 의해 타블렛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점진적으로 이동한다.
타블렛 가이드레일(21)의 끝단부로 이동한 타블렛(T)은 타블렛 가이드레일(21)의 개방된 끝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회전블록(10)의 수용홈(13) 내측에 인입된다. 이 때, 상기 수용홈(13) 내측으로 인입된 타블렛(T)은 회전블록(10)의 베이스블록(11)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타블렛 가이드레일(21)을 통해 회전블록(10)의 수용홈(13) 내측으로 타블렛(T)이 인입될 때, 회전블록(10)의 가이드블록(12)의 외주면이 타블렛 가이드레일(21)의 끝단부와 연접하게 되므로 타블렛(T)이 회전블록(10)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정확하게 수용홈(13)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블록(10)의 수용홈(13) 내측에 타블렛(T)이 공급되면, 회전블록(10)이 모터(14)의 작동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방향(도 3의 화살표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상기 타블렛(T)이 수용된 첫번째 수용홈(13)이 검사유닛(3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그 다음의 빈 수용홈(13)이 상기 타블렛 가이드레일(21)의 끝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오게 된다.
이어서, 상기 검사유닛(30)에서는 공압실린더(33)의 작용에 의해 로드셀(31) 이 일정 거리 상승하여, 로드셀(31)의 접촉핀(32) 상단부가 회전블록(10)의 관통공(16)을 통해 수용홈(13) 내측으로 인입되어 타블렛(T) 하부면과 접촉하게 되고, 로드셀(31)이 타블렛(T)의 무게를 측정하여 불량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도 6과 도 7참조).
이와 동시에, 상기 타블렛 공급유닛(20) 위치에서는 타블렛 가이드레일(21)을 통해 수용홈(13) 내측으로 새로운 타블렛(T)이 공급된다.
상기 검사유닛(30)에서의 타블렛 검사 작업과 타블렛 공급유닛(20)에서의 새로운 타블렛 공급 작업이 완료되면, 회전블록(10)이 다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첫번째 수용홈(13)이 타블렛 반송유닛(40)과 대응하는 위치에 오고, 나머지 수용홈(13)들이 각각 검사유닛(30)과 타블렛 공급유닛(20), 불량제거유닛(50)과 대응하는 위치에 오게 된다.
이 때, 상기 타블렛 반송유닛(40) 상에 정렬된 수용홈(13) 내측에 수용된 타블렛(T)이 양품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블렛 반송유닛(40)의 푸셔 승강용 공압실린더(42)에 공압이 인가되면서 푸셔(41)가 일정 거리 상승하게 되고, 수용홈(13) 내측에 수용되어 있던 타블렛(T)이 푸셔(41)에 의해 상승하여 프리사이저(60)로 공급된다. 상기 푸셔(41)에 의해 상승하는 타블렛(T)은 프리사이저(60)의 랫치(63)를 강제 회전시키면서 개구부(62)의 상측으로 인입된 다음, 랫치(63)에 의해 프리사이저(60)에 지지된다.
타블렛(T)이 프리사이저(60) 내측에 지지되면, 상기 푸셔(41)는 하강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타블렛 반송유닛(40)에 의해 타블렛(T)이 프리사이저(60)로 공급되는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검사유닛(30)에서는 전술한 것과 동일한 과정으로 타블렛(T)의 검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타블렛 공급유닛(20)에서는 새로운 타블렛(T)이 회전블록(10)의 수용홈(13) 내측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타블렛 반송유닛(40) 상으로 이동한 타블렛(T)이 불량을 판정된 경우, 타블렛 반송유닛(40)은 동작하지 않고 불량 타블렛(Tr)이 수용홈(13) 내측에 수용된 채로 불량제거유닛(50)으로 보내지도록 그대로 둔다.
이 후, 다시 회전블록(10)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고, 각각의 수용홈(13)들은 불량제거유닛(50)과, 타블렛 반송유닛(40), 검사유닛(30), 타블렛 공급유닛(20)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이전 단계에서 상기 수용홈(13) 내측에 인입되어 있는 타블렛(T)이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 불량 타블렛(Tr)은 타블렛 반송유닛(40)에 의해 프리사이저(60)로 공급되지 않고 불량제거유닛(50) 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불량제거유닛(50)은 드래그핀(51)이 핀 구동용 공압실린더(52)의 작동에 의해 수평 이동하면서 수용홈(13) 내측의 불량 타블렛(Tr)의 상단부와 접촉하여 불량 타블렛(Tr)을 수용홈(13) 외부로 끌어낸다. 상기 드래그핀(51)에 의해 수용홈(13) 외부로 인출된 불량 타블렛(Tr)은 타블렛수거부(53)에 의해 수거된다(도 4 및 도 5 참조).
한편, 상기 불량제거유닛(50)에 의해 불량 타블렛(Tr)이 제거되는 동안,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상기 타블렛 공급유닛(20)은 새로운 타블렛(T)을 수용홈(13) 내측으로 공급하며, 검사유닛(30)은 수용홈(13) 내측의 타블렛(T)의 무게를 측정하여 검사를 수행하고, 타블렛 반송유닛(40)은 양품으로 판정된 타블렛(T)을 프리사이저(60)로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 후, 다시 회전블록(10)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는 회전블록(10)이 일정 각도(90도)로 회전하면서 수용홈(13)들이 타블렛 공급유닛(20) → 검사유닛(30) → 타블렛 반송유닛(40) → 불량제거유닛(50)의 작업 위치들을 연속 반복적으로 순환하게 되고, 각각의 작업 위치에서 지정된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프리사이저(60)에 양품의 타블렛(T)만을 공급하고, 불량 타블렛(Tr)을 제거하여 수거한다.
따라서, 타블렛을 공급 속도 및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는 검사유닛(30)에서 타블렛(T)의 불량을 무게를 측정하여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데, 이 경우 광센서 등을 이용하여 타블렛(T)의 파손 등을 검출하는 것보다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의 실시예에서는 회전블록(10)이 베이스블록(11)과 가이드블록(12)으로 이루어지며, 검사유닛(30)에서 로드셀(31)을 승강시키기 위한 로드셀 승강수단(이 실시예에서 공압실린더)(33)과 타블렛 반송유닛(40)의 푸셔(41)를 승강시키기 위한 푸셔 승강수단(이 실시예에서 공압실린더)(42)이 각각 개별체로 구성되어 로드셀(31)과 푸셔(41)가 개별적으로 승강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블록(110)의 복수개(4개)의 수용홈(113)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단일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검사유닛(130)의 로드셀(131)과 타블렛 반송유닛(140)의 푸셔(141)가 연결블록(170)에 의해 하나의 공압실린더(171)에 함께 연결되어 동시에 승강 운동하면서 타블렛(T)의 검사와 프리사이저(60)로의 반송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회전블록(110)의 각 수용홈(113)은 외측단부가 개방된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수용홈(113)의 하부면에는 상기 로드셀(131)의 접촉핀(132)과 푸셔(141)의 승강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관통공(116)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타블렛 공급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의 타블렛 공급장치는 타블렛 공급유닛(20)에서부터 불량제거유닛(50)까지 회전블록(10)의 외주면을 따라 이탈방지블록(80)이 인접하게 배치된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상기 이탈방지블록(80)은 회전블록(10)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타블렛(T)이 수용홈(13)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불량제거유닛(50)에서부터 타블렛 공급유닛(20) 까지의 구간에는 타블렛(T)이 없는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탈방지블록(80)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회전블록(10, 110)에 수용홈(13, 113)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타블렛(T)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회전블록(10, 110)에 복수개의 수직핀이 수용홈(13, 113)과 상응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수용홈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의 타블렛 공급장치는 회전블록(10, 110)에 4개의 수 용홈(13, 113)들이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회전블록(10, 110)이 일방향으로 90도씩 회전하면서 타블렛(T)을 각각의 유닛의 작업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와 다르게 회전블록(10, 110)에 3개의 수용홈(13, 113)을 120도 간격으로 배치하고, 하나의 수용홈(13, 113)과 대응하는 위치에 타블렛 공급유닛(20)을 배치하고, 다른 하나의 수용홈(13, 113)과 대응하는 위치에 검사유닛(30, 130)과 타블렛 반송유닛(40, 140)을 함께 배치하여 검사유닛(30, 130)에 의한 검사 후 타블렛 반송유닛(40, 140)이 양품의 타블렛을 프리사이저(60)로 공급하도록 하고, 나머지 하나의 수용홈(13, 113)과 대응하는 위치에 불량제거유닛(50)을 배치하여 불량 타블렛(Tr)을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블렛 선별 및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타블렛 선별 및 공급장치에서 불량제거유닛에 의해 불량 타블렛이 제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타블렛 선별 및 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1의 타블렛 선별 및 공급장치의 측면에서 본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블렛 선별 및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타블렛 선별 및 공급장치의 측면에서 본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회전블록 11 : 베이스블록
12 : 가이드블록 13 : 수용홈
14 : 모터 15 : 가이드핀
16 : 관통공 20 : 타블렛 공급유닛
21 : 타블렛 가이드레일 30 : 검사유닛
31 : 로드셀 32 : 접촉핀
33 : 공압실린더 40 : 타블렛 반송유닛
41 : 푸셔 42 : 푸셔 승강용 공압실린더
50 : 불량제거유닛 51 : 드래그핀
52 : 핀 구동용 공압실린더 53 : 타블렛수거부
60 : 프리사이저 63 : 랫치
T : 타블렛 Tr : 불량 타블렛

Claims (9)

  1. 타블렛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복수개의 수용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회동수단에 의해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하면서 수용홈 내에 삽입된 타블렛의 위치를 일정 각도씩 가변시키는 회전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의 수용홈 내측으로 타블렛을 공급하는 타블렛 공급유닛과;
    상기 회전블록의 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있는 타블렛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유닛과;
    상기 회전블록의 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있는 양품으로 판정된 타블렛을 상측의 프리사이저로 반송하는 타블렛 반송유닛과;
    상기 회전블록의 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있는 불량품으로 판정된 타블렛을 수용홈에서 인출하여 제거하는 불량제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의 수용홈에는 타블렛의 상승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은,
    상기 회동수단에 결합되어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부면에 타블렛 이 안착되는 베이스블록과;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수용홈이 외주연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가이드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은, 중심부가 상기 회동수단과 결합되어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수용홈이 외주연부를 따라 소정의 깊이로 개방되게 형성된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회전블록의 하측에 상하로 승강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단부가 상기 회전블록의 수용홈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수용홈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타블렛의 무게를 측정하여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을 상하로 승강 운동시키는 로드셀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블렛 반송유닛은, 상기 회전블록의 하측에 상하로 승강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단부가 상기 회전블록의 수용홈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수용홈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타블렛을 수용홈 외측으로 상승시키는 푸셔와, 상기 푸셔를 상하로 승강 운동시키는 푸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제거유닛은, 상기 회전블록의 수용홈 일측에 수용홈의 내외측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용홈 내에 수용되어 있는 불량 타블렛과 접촉하여 불량 타블렛을 수용홈에서 끌어내는 드래그핀과, 상기 드래그핀을 수평 이동시키는 핀 액츄에이터와, 상기 회전블록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드래그핀에 의해 수용홈에서 인출된 불량 타블렛이 수거되는 타블렛수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의 수용홈은 복수개의 수직한 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의 외주부 외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회전블록의 회전시 타블렛이 수용홈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블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KR1020080132262A 2008-12-23 2008-12-23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KR101511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262A KR101511667B1 (ko) 2008-12-23 2008-12-23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CN2009801522538A CN102264616B (zh) 2008-12-23 2009-12-02 分类与供给用于成型的药片的装置
JP2011543410A JP5291805B2 (ja) 2008-12-23 2009-12-02 モールド用タブレット選別及び供給装置
MYPI2011002624A MY154102A (en) 2008-12-23 2009-12-02 Selecting and supplying apparatus for molding tablet
PCT/KR2009/007152 WO2010074416A2 (ko) 2008-12-23 2009-12-02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TW098142809A TWI478803B (zh) 2008-12-23 2009-12-15 分類與供給模造錠片之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262A KR101511667B1 (ko) 2008-12-23 2008-12-23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552A true KR20100073552A (ko) 2010-07-01
KR101511667B1 KR101511667B1 (ko) 2015-04-16

Family

ID=4228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262A KR101511667B1 (ko) 2008-12-23 2008-12-23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291805B2 (ko)
KR (1) KR101511667B1 (ko)
CN (1) CN102264616B (ko)
MY (1) MY154102A (ko)
TW (1) TWI478803B (ko)
WO (1) WO2010074416A2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974B1 (ko) * 2010-12-22 2011-04-20 금성산기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용 로터리식 수지 태블릿 성형장치
KR101362667B1 (ko) * 2012-10-31 2014-02-13 세메스 주식회사 수지 공급 유닛 및 이를 갖는 기판 성형 장치
KR101436056B1 (ko) * 2012-11-19 2014-09-02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
KR101441439B1 (ko) * 2013-01-30 2014-09-17 니탄 밸브 가부시키가이샤 워크의 검사 설비
EP3162740A1 (fr) * 2015-10-29 2017-05-03 C.E.R.M.E.X. Constructions Etudes Et Recherches De Materiels Pour L'emballage D'expedition Dispositif et méthode de superposition
KR20170090680A (ko) * 2016-01-29 2017-08-08 이석정 이형 제품 중량별 분류장치
CN110587893A (zh) * 2019-09-11 2019-12-20 四川洪芯微科技有限公司 半导体塑封料上料装置及其工作方法
KR102132562B1 (ko) * 2019-07-26 2020-07-09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
CN114131830A (zh) * 2021-11-26 2022-03-04 乐清昌德成电子有限公司 插头半自动加工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94631B (zh) * 2011-01-26 2015-08-01 Hon Hai Prec Ind Co Ltd 間隔環自動供給裝置
JP5808135B2 (ja) * 2011-04-21 2015-11-10 エムテックスマツムラ株式会社 自動モールド装置におけるサブポットブロックのサブポット
WO2014087491A1 (ja) * 2012-12-04 2014-06-12 上野精機株式会社 移載装置
CN103921548B (zh) * 2013-01-15 2016-10-26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自动检测双片装置
CN104972379B (zh) * 2015-07-24 2017-04-12 烟台大学 一种盘类工件自动线任意角度自动转位机构
CN105329657A (zh) * 2015-11-02 2016-02-17 天奇自动化工程股份有限公司 全封闭式旋转台
CN106697908A (zh) * 2017-03-01 2017-05-24 广州明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卡转移装置
KR102007721B1 (ko) * 2017-10-27 2019-08-07 서한산업(주) 휠지지체 반출장치
KR101923095B1 (ko) * 2018-03-19 2019-02-27 박민홍 캡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캡 조립공정
JP6569921B1 (ja) * 2018-05-22 2019-09-04 第一精工株式会社 樹脂材料供給機構及び樹脂材料供給方法
CN109205263B (zh) * 2018-10-23 2020-05-12 黄娜 一种工件传送机构
CN109287548B (zh) * 2018-10-30 2023-10-03 苏州市阳澄湖现代农业发展有限公司 河蟹体重自动分级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523954B (zh) * 2019-09-28 2021-12-24 杭州永腾橡塑实业有限公司 一种上料机构及其压铸机
JP2024025255A (ja) * 2022-08-11 2024-02-26 Towa株式会社 樹脂材料供給機構、樹脂成形装置およ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2024044401A (ja) * 2022-09-21 2024-04-02 Towa株式会社 樹脂供給装置、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402581U1 (de) * 1984-01-30 1984-06-28 Erweka GmbH, 6056 Heusenstamm Transporteinrichtung fuer tabletten
JPH062688U (ja) * 1992-06-10 1994-01-1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封止用樹脂供給ユニット
JP3047687B2 (ja) * 1993-07-29 2000-05-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タブレットの供給装置
IT1285463B1 (it) * 1996-02-21 1998-06-08 Ima Spa Apparato per la pesatura automatica, continua, rapida e precisa di prodotti di piccole dimensioni, particolarmente di capsule di gelatina
JP2974620B2 (ja) * 1996-09-12 1999-11-1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Ic用タブレットのシャトル収納装置
JP2001233445A (ja) * 2000-02-24 2001-08-28 Ishii Ind Co Ltd 物品整列供給装置
CN2832744Y (zh) * 2005-06-20 2006-11-01 欣端机电股份有限公司 送料装置的改进结构
KR100615904B1 (ko) * 2005-07-27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타블렛 무게 측정부를 구비하는 몰딩수지 타블렛 공급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974B1 (ko) * 2010-12-22 2011-04-20 금성산기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용 로터리식 수지 태블릿 성형장치
KR101362667B1 (ko) * 2012-10-31 2014-02-13 세메스 주식회사 수지 공급 유닛 및 이를 갖는 기판 성형 장치
KR101436056B1 (ko) * 2012-11-19 2014-09-02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
KR101441439B1 (ko) * 2013-01-30 2014-09-17 니탄 밸브 가부시키가이샤 워크의 검사 설비
EP3162740A1 (fr) * 2015-10-29 2017-05-03 C.E.R.M.E.X. Constructions Etudes Et Recherches De Materiels Pour L'emballage D'expedition Dispositif et méthode de superposition
FR3043077A1 (fr) * 2015-10-29 2017-05-05 C E R M E X Constructions Etudes Et Rech De Materiels Pour L'emballage D'expedition Dispositif et methode de superposition
KR20170090680A (ko) * 2016-01-29 2017-08-08 이석정 이형 제품 중량별 분류장치
KR102132562B1 (ko) * 2019-07-26 2020-07-09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
CN110587893A (zh) * 2019-09-11 2019-12-20 四川洪芯微科技有限公司 半导体塑封料上料装置及其工作方法
CN114131830A (zh) * 2021-11-26 2022-03-04 乐清昌德成电子有限公司 插头半自动加工设备
CN114131830B (zh) * 2021-11-26 2023-10-31 乐清昌德成电子有限公司 插头半自动加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91805B2 (ja) 2013-09-18
KR101511667B1 (ko) 2015-04-16
CN102264616A (zh) 2011-11-30
TWI478803B (zh) 2015-04-01
WO2010074416A3 (ko) 2010-08-26
TW201024190A (en) 2010-07-01
JP2012513324A (ja) 2012-06-14
MY154102A (en) 2015-04-30
WO2010074416A2 (ko) 2010-07-01
CN102264616B (zh)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3552A (ko)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CN109848678A (zh) 一种自动装配铜套设备
CN115083941B (zh) 一种塑封芯片引脚检测设备
KR101266662B1 (ko) 반도체 칩 검사시스템
CN100394572C (zh) 用于处理电子器件的系统
KR20190137022A (ko) 진공흡착 방식을 이용한 채혈관의 캡과 고무마개의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KR101489373B1 (ko) 반도체 장치용 테스트 핸들러의 트레이 이물질 제거장치
KR100792679B1 (ko) 안티록브레이크시스템 센서 내장 베어링의 검사 장치
KR100833282B1 (ko) 소잉소터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제조방법
KR100291105B1 (ko) 타블렛 자동공급장치
KR101491955B1 (ko) 사출품 제조 장치
KR101210551B1 (ko) 턴테이블식 싱귤레이션장치
CN115646825A (zh) 自动裁切检测组装设备和组装方法
KR101266650B1 (ko) 반도체 칩 검사장치
KR20090053303A (ko) 테스트 핸들러용 트레이 공급회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트레이 이송방법
KR100314572B1 (ko) 반도체 팩키지 튜브적재 시스템
TW201827832A (zh) 多轉塔式測試設備
CN209822605U (zh) 一种半导体双轨dd马达高速自动测试打码编带分选机
KR101020669B1 (ko) 반도체 칩의 픽업 및 플레이스 장치
KR100799208B1 (ko) 반도체 팩키지의 검사 및, 분류 방법과 장치
CN110733689A (zh) 一种器件包装设备
CN205599539U (zh) Ic外观检验装置
KR102507065B1 (ko) 반도체칩 본딩장치
CN216026314U (zh) 一种摆盘式并用于螺纹检测的设备
KR100799210B1 (ko) 반도체 팩키지의 검사 및, 분류 방법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