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562B1 -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562B1
KR102132562B1 KR1020190090610A KR20190090610A KR102132562B1 KR 102132562 B1 KR102132562 B1 KR 102132562B1 KR 1020190090610 A KR1020190090610 A KR 1020190090610A KR 20190090610 A KR20190090610 A KR 20190090610A KR 102132562 B1 KR102132562 B1 KR 102132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feeder
unit
molding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민
Original Assignee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0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29C31/06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in measured doses, e.g. by weigh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6Apparatus for sealing, encapsulating, glassing, decapsulating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몰딩용 타블렛 공급속도가 빠르고, 별도의 적층 수단 없이도 원하는 개수만큼 몰딩용 타블렛을 적층하여 공급할 수 있는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a tablet for molding}
본 발명은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속도가 빠르고, 별도의 적층 수단 없이도 원하는 개수만큼 몰딩용 타블렛을 적층하여 공급할 수 있는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몰딩 공정은 반도체 패키지 제조공정에서 기판에 부착된 칩 및 그 연결 부분 등을 보호하기 위해 에폭시 성형수지(EMC, Epoxy molding compound)와 같은 소재로 몰딩(molding)하여 패키지 몸체를 형성시키는 공정을 말한다.
이때, 반도체 패키지의 몰딩을 위한 몰딩 소재는 정량 공급 및 빠른 용융 등을 위하여 일정한 크기와 무게를 가진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어 공급되며, 이렇게 원기둥 형상으로 성형된 몰딩 소재를 타블렛(Tablet)이라 한다.
타블렛을 사용하여 몰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타블렛 제조자 또는 공급자로부터 공급되는 타블렛이 호퍼에 투입되며, 호퍼에 투입된 타블렛은 진동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타블렛 공급유닛에 전달된다.
이렇게 타블렛 공급유닛으로 전달되는 타블렛은 몰딩 작업의 신뢰성 확보 및 반도체 패키지의 품질 확보를 위하여 몰딩 작업이 수행될 반도체 소자의 종류에 따라 그에 적합한 정량의 타블렛이 공급되도록 타블렛의 중량을 체크한 후 미달 또는 과중량의 불량 타블렛을 제거하면서 양품으로 선별된 타블렛만을 성형장치로 공급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는 일반적으로 타블렛을 일렬로 세워서 하나씩 공급하고, 하나의 로드셀에서 하나의 타블렛을 측정하기 때문에 타블렛의 공급량이 많은 경우에는 타블렛의 성형장치로의 공급 속도가 느려 부적합한 문제가 있었다.
참고로, 몰딩 처리될 기판의 크기가 큰 경우에 타블렛의 필요량이 많아질 수도 있고, 몰딩시 사용되는 타블렛의 크기 및 중량을 줄임으로써, 몰딩시 빠른 용융과, 고른 용융을 통해 몰딩 퀄리티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타블렛의 공급량이 많아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타블렛을 일렬로 세워서 공급하는 경우에는 타블렛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쓰러지게 되면 안내부 또는 슈트부에 쓰러진 타블렛이 끼임으로써 쨈잉재밍(jamming) 등이 발생하기 쉽고, 끼임, 쨈잉 등이 발생되는 경우 타블렛의 공급을 중단하고 장비를 점검해야 하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하며, 이송시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별도의 픽업부재 등 적층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타블렛을 홀딩한 상태에서 적층하는 추가 공정을 수행한 후 하나의 로드셀에서 복수 개의 타블렛의 중량을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타블렛을 적층하기 위한 홀딩 및 적층 공정에서 시간이 소요되어 타블렛 공급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기판의 몰딩에 필요로 하는 타블렛의 사용량이 많아지는 경우 타블렛의 공급량 또한 증가하게 되므로 타블렛의 공급속도가 느리면 장비 생산량이 저하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타블렛의 공급량이 많더라도 타블렛 공급속도를 향상시켜 장비 생산량(UPH)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타블렛의 공급량이 많은 경우에도 몰딩용 타블렛 공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적층 수단 없이도 간단한 동작으로 원하는 개수만큼 타블렛을 적층한 상태로 한번에 공급할 수 있는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안내로에 균등하게 타블렛을 공급할 수 있는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블렛을 눕혀진 상태로 공급하고 슈트부에 투입되는 과정에서 하방으로 만곡진 슈트부를 사용하여 타블렛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도, 눕혀진 타블렛을 세워진 상태로 공급할 수 있는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은 원하는 개수만큼 타블렛을 한번에 공급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타블렛의 중량 측정을 수행할 수 있어 타블렛의 공급 속도 향상 및 타블레의 검사 횟수 및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최단시간에 타블렛을 이동, 분배, 측정, 공급할 수 있는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로서, 몰딩용 타블렛을 눕혀진 상태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로부터 상기 타블렛이 안내되고, 복수열로 분기되는 분기 영역을 구비하는 안내로와 상기 분기 영역의 양측에서 상기 타블렛을 번갈아가며 밀어주는 푸시유닛을 구비하는 안내부; 상기 복수열의 안내로와 각각 연결되고,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로로부터 상기 타블렛이 투입되며, 상기 타블렛의 공급여부와 상기 타블렛의 공급개수를 제어하는 스토퍼유닛을 하단에 구비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타블렛을 하나 이상 수용하는 복수개의 수용부를 구비하여, 일측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더부; 상기 각각에 수용부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타블렛의 중량을 측정하여 상기 타블렛의 불량여부를 판정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불량 타블렛을 상기 수용부로부터 제거하는 불량제거부; 상기 피더부에 수용된 양품 타블렛이 저장되기 위하여 상기 피더부의 수용부와 대응되게 관통된 복수개의 수용부를 구비한 버퍼부; 및 상기 버퍼부의 하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피더부에 수용된 양품 타블렛을 승강시켜 상기 피더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상기 버퍼부의 수용부로 전달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로는 제1안내로 및 제2안내로로 분기되고, 상기 푸시유닛은 상기 분기 영역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한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푸시유닛에 의해 안내방향이 결정된 상기 타블렛의 분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안내로 및 상기 제2안내로로 분기되는 영역의 저면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푸시유닛은, 좌우측으로의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타블렛과 접촉하여 상기 타블렛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어주는 한 쌍의 피스톤; 상기 한 쌍의 피스톤 각각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한 쌍의 액츄에이터; 및 상기 피스톤과 상기 액츄에이터가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장착 베이스는 상기 안내부의 양측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타블렛의 크기에 따라 장착 베이스의 위치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기 슈트부의 일측 방향에 구비되되, “L”자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슈트부의 단부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타블렛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타블렛의 공급개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고정핀이 마련되는 조절블록; 상기 스토퍼와 상기 조절블록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스토퍼와 상기 조절블록을 전후방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블록은 상기 타블렛이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공급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고정핀 중에서 선택된 고정핀만 돌출 고정되도록 각각의 고정핀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가 상기 스토퍼와 상기 조절블록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돌출된 고정핀이 상기 슈트부에 공급되는 타블렛 중 특정 타블렛을 가압 고정하고 상기 스토퍼가 후퇴하여 상기 특정 타블렛의 하부에 배치된 타블렛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안내로는 제1안내로 및 제2안내로로 분기되고, 상기 피더부는 상기 제1안내로를 통해 상기 슈트부로 공급되는 상기 타블렛을 수용하는 제1 피더 및 상기 제2안내로를 통해 상기 슈트부로 공급되는 상기 타블렛을 수용하는 제2 피더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피더 및 상기 제2피더의 수용부는 각각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각각의 하단에는 수용된 타블렛의 하단을 지지하는 래치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피더 및 상기 제2 피더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상기 슈트부로부터 공급되는 하나 이상의 타블렛을 각각의 수용부에 연속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슈트부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고, 상기 검사부는, 상기 피더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피더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타블렛과 접촉하는 접촉핀을 구비하여 상기 타블렛의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을 승강시키는 로드셀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슈트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타블렛과 상기 검사부의 간격은 상기 피더부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들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도록, 상기 검사부는 상기 슈트부의 하단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검사부는 상기 피더부의 이동 경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슈트부로부터 상기 피더부의 수용부로 상기 타블렛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피더부의 수용부에 기수용된 상기 타블렛의 중량을 검사부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불량제거부는 상기 피더부의 이동 경로상에 구비되고, 상기 불량제거부는, 상기 불량 타블렛이 수용된 수용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래치부재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수용부의 하부를 개방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불량 타블렛이 낙하되어 상기 불량 타블렛을 회수하는 회수부; 및 상기 불량제거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불량 타블렛이 제거된 수용부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브러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피더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상기 버퍼부의 수용부에 전달하거나, 상기 버퍼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몰딩공정으로 공급하기 위한 타블렛 공급픽커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지지 및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핀이 마련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핀의 개수는 상기 피더부의 수용부의 개수 또는 상기 버퍼부의 수용부의 개수와 대응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고정핀과 제2고정핀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1 피더와 상기 제2 피더에는 상기 제2고정핀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되어 상기 승강부의 제2고정핀으로 상기 제1피더와 상기 제2피더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피더와 상기 제2 피더는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1고정핀이 관통되는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버퍼부에는 상기 제1고정핀이 수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핀을 통해 상기 승강부, 상기 제1 피더, 상기 제2피더 및 상기 버퍼부가 함께 체결되며 교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 상기 제1 피더, 상기 제2피더 및 상기 버퍼부의 교체시에, 상기 승강부의 플레이트는 상기 승강구동유닛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버퍼부는 상기 버퍼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승강부, 상기 제1 피더, 상기 제2피더 및 상기 버퍼부가 일체로 결합된 키트를 함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피더부는 상기 피더부를 이송할 수 있는 이송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더부의 양측면 각각에 걸림턱이 마련되고, 상기 이송부재에는 상기 걸림턱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피더부와 결합할 수 있는 돌기가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돌기가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이송부재로부터 상기 피더부를 분리 가능하고, 상기 돌기가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이송부재에 상기 피더부가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타블렛의 크기 또는 종류가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승강부와 상기 검사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 상기 제1 피더, 상기 제2피더 및 상기 버퍼부가 일체로 결합된 키트를 회수하고, 상기 타블렛의 크기 또는 종류에 적합한 교체하는 상기 승강부, 상기 제1 피더, 상기 제2피더 및 상기 버퍼부가 일체로 결합된 키트를 교체하는 키트 교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인 몰딩용 타블렛이 눕혀진 상태로 공급됨으로써 타블렛이 안내부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안정성을 향상시켜 이송 불량 및 이에 따른 공급속도 저하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타블렛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눕혀진 상태로 공급되는 타블렛이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슈트부를 통해 자유낙하 방식으로 타블렛들이 자연스럽게 세워지고 적층될 수 있어 타블렛을 적층하기 위한 별도의 적층 수단이 불필요하다.
특히, 본 발명의 슈트부 하단에 타블렛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스토퍼 유닛과 타블렛의 공급개수를 제어하는 조절블록을 구비하여 타블렛의 공급 개수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이송이 완료된 타블렛을 별도로 세우고 적층하는 공정이 생략되어 작업 공정이 단순화되고, 타블렛의 적층 공정에서의 작업 불량이 없어지며, 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한 개수만큼 타블렛이 적층된 상태로 피더부의 수용부에 한번에 공급하고, 다음 타블렛을 피더부의 수용부에 공급하는 동안 검사부로 타블렛의 중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타블렛의 공급량이 많더라도 빠른 속도로 타블렛을 공급 및 검사할 수 있어 타블렛의 공급시간 단축 및 검사시간 단축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한 개수만큼 타블렛을 한번에 공급한 후, 공급된 타블렛 무게의 합이 기설정된 중량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양품을 판정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타블렛 중 하나의 타블렛의 중량이 다소 미달되거나 초과하더라도 다른 타블렛으로부터 상쇄되기 때문에 기설정된 중량을 만족할 수 있게 되어 타블렛의 중량 부적합을 통한 불량으로 판정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어서, 타블렛의 낭비를 방지하고, 타블렛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은 타블렛을 공급함으로써 몰딩 성형시간을 단축시키고 몰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기점 영역의 초입에서 시작하여 말단까지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분기점 영역을 통과하는 타블렛은 상기 푸시유닛에 의한 약한 밀침(push)에 의해서도 제1안내로 또는 제2 안내로로 용이하게 분배될 수 있으며 푸시유닛의 구동이 안내로 상의 타블렛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호퍼에서 공급되는 타블렛의 정체를 방지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피더부, 버퍼부 및 승강부가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되어 타블렛의 사양에 따라 한번에 일괄적으로 교체될 수 있어 장치의 범용성이 향상될 수 있고,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교체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원기둥 형상인 몰딩용 타블렛이 눕혀진 상태로 공급됨으로써 안내로의 폭이 몰딩용 타블렛의 지름보다 크더라도 안정적으로 타블렛을 공급할 수 있어 안내유닛을 복수의 타블렛 사양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의 안내부 및 슈트부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의 안내부의 안내로의 분기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의 슈트부의 배출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에 도시된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의 타블렛, 피더부 및 버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1에 도시된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의 피더부 및 버퍼부의 래치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의 검사부의 작업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에 도시된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의 승강부의 작업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의 이송유닛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1에 도시된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의 피더부, 버퍼부 및 승강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에 도시된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의 피더부, 버퍼부 및 승강부의 교체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a 내지 도 12b, 13a 내지 도 13b는 도 1에 도시된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의 피더부, 버퍼부 및 승강부의 결합 및 분리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는 타블렛 제조자 또는 공급자로부터 공급되는 몰딩용 타블렛의 중량 측정을 통해 양품만을 선별하여 제공함으로써 몰딩성형장치에서 필요시 몰딩용 타블렛을 픽업해 갈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호퍼부(100), 안내부(200), 피더부(300), 검사부(400), 불량제거부(500), 버퍼부(600), 승강부(700) 및 이송유닛(8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의 작업 흐름 및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는 몰딩용 타블렛을 눕혀진 상태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로부터 상기 타블렛이 안내되고, 복수열로 분기되는 분기 영역을 구비하는 안내로와 상기 분기 영역의 양측에서 상기 타블렛을 번갈아가며 밀어주는 푸시유닛을 구비하는 안내부; 상기 복수열의 안내로와 각각 연결되고,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로로부터 상기 타블렛이 투입되며, 상기 타블렛의 공급여부와 상기 타블렛의 공급개수를 제어하는 스토퍼유닛을 하단에 구비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타블렛을 하나 이상 수용하는 복수개의 수용부를 구비하여, 일측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더부; 상기 각각에 수용부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타블렛의 중량을 측정하여 상기 타블렛의 불량여부를 판정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불량 타블렛을 상기 수용부로부터 제거하는 불량제거부; 상기 피더부에 수용된 양품 타블렛이 저장되기 위하여 상기 피더부의 수용부와 대응되게 관통된 복수개의 수용부를 구비한 버퍼부; 및 상기 버퍼부의 하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피더부에 수용된 양품 타블렛을 승강시켜 상기 피더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상기 버퍼부의 수용부로 전달하는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타블렛 제조자 또는 공급자로부터 공급되는 몰딩용 타블렛은 호퍼부(100)에 투입되며, 호퍼부(100)로부터 몰딩용 타블렛이 눕혀진 상태로 순차적으로 공급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의 양품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작업이 시작될 수 있다.
호퍼부(100)에는 선별 전의 몰딩용 타블렛이 투입되어 있으며, 작업이 시작되면 상기 호퍼부(100)로부터 몰딩용 타블렛이 눕혀진 상태로 안내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몰딩용 타블렛은 진동방식에 의해 안내부(200)로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안내부(200)는 이러한 몰딩용 타블렛을 공급받아 슈트부를 거쳐 피더부(300)로 인도하여 타블렛을 피더부의 수용부에 전달할 수 있다.
피더부(300)는 선별 전의 타블렛들이 순차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수용부를 구비하며, 피더부가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피더부의 수용부에 공급되는 하나 이상의 타블렛을 수용한 후, 상기 피더부(300)는 이송유닛(800)에 의해 검사부(400)가 구비된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검사부(400)는 피더부(300) 내에 수용된 타블렛들의 중량을 순차적으로 측정하여 불량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피더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들의 중량이 기설정된 중량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타블렛의 불량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불량 여부의 판정이 완료된 후 피더부(300)는 이송유닛(800)에 의해 불량제거부(500)가 구비된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불량제거부(500)는 검사부(400)로부터 불량으로 판정된 타블렛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타블렛(T)을 피더부(300)의 수용부로부터 제거시킬 수 있다.
여기서, 불량 타블렛이 발생하여 제거된 경우 상기 이송유닛(800)은 피더부(300)를 다시 슈트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이동시켜 불량 타블렛이 제거된 부분에만 타블렛을 추가로 수용시켜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게 함으로써 피더부(300)의 수용 공간에 타블렛이 비어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피더부(300)는 이송유닛(800)에 의해 버퍼부(600) 및 승강부(700)가 구비된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영역에서 승강부(700)에 의해 피더부(300)에 수용된 선별 후의 양품 타블렛들이 버퍼부(600)로 전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이후 타블렛 공급픽커(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버퍼부(600)에 수용된 선별 후의 양품 타블렛들을 픽업하여 몰딩성형장치로 가져갈 수 있으며, 이러한 흐름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는 선별 전 타블렛의 중량 측정을 통해 불량 및 양품 여부를 판정한 후 불량 타블렛은 제거하고 양품 타블렛만을 선별하여 이후의 몰딩성형공정으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 및 흐름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각 구성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의 안내부 및 슈트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 2는 안내부 및 슈트부의 측면도, 도 3은 안내로의 분기 영역을 도시하며, 도 4a 및 도 4b는 안내로에 연결되는 슈트부의 배출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호퍼부(100), 안내부(200) 및 슈트부를 설명하면, 호퍼부(100)에는 선별 전의 몰딩용 타블렛(T)이 투입되고, 작업이 시작되면 호퍼부(100)의 진동, 회전 등에 의해 상기 호퍼부(100)에 저장된 선별 전의 몰딩용 타블렛(T)을 안내부(200)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몰딩용 타블렛(T)은 반도체 패키지의 몰딩을 위한 소재로 EMC(Epoxy molding compound) 등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량 공급 및 빠른 용융을 위하여 일정한 크기와 중량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몰딩용 타블렛은 빠른 용융, 타블렛 전체에 걸쳐 고른 용융을 위하여 중량이 큰 하나의 타블렛을 사용하는 것보다 중량이 작은 타블렛을 여러 개 사용하는 것이 몰딩 성형시 유리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하나의 검사유닛(400)은 타블렛의 수용부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타블렛의 중량을 측정하게 된다. 즉, 검사유닛(400)이 타블렛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의 중량을 측정하여 이들 무게의 합이 기설정된 중량을 만족하는 경우 양품으로 판정하고, 중량의 합이 기설정된 중량을 초과하거나 미달될 경우 불량품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복수개의 타블렛의 무게의 합이 기설정된 중량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양품을 판정하면 복수개의 타블렛 중에서 어느 하나의 중량이 다소 미달될 경우가 생기더라도 불량으로 판정될 가능성을 줄이게 되어 타블렛의 불량처리로 인해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즉,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타블렛을 공급하면서도 성형을 위한 몰딩재의 요구 중량을 맞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타블렛의 공급량이 많더라도 본 발명에 따르면 타블렛을 한번에 여러 개씩 수용부로 공급할 수 있는데다가 타블렛의 크기가 작아 타블렛의 용융조건을 좋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성형품질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호퍼부(100)로부터 안내부(200)로 안내되는 타블렛(T)은 상기 안내부(200) 및 슈트부를 거쳐 피더부(300)로 전달되는데 이를 위해 안내부(200)는 일측은 상기 호퍼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슈트부와 연결된다. 상기 호퍼부(100)와 연결되는 일측에서 타블렛(T)이 안내되고 상기 슈트부와 연결되는 타측으로 안내된 타블렛(T)을 슈트부 내로 투입할 수 있도록 슈트부와 관통 형성되는 안내로(210)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안내로(210) 및 슈트부는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 전체의 공간 활용 측면에서 상기 피더부(300)와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블렛(T)은 상기 호퍼부(100)과 연결되는 일측에서는 눕혀진 상태로 안내부(200)의 안내로(210)로 순차적으로 안내될 수 있고, 눕혀진 상태로 타블렛이 이송되기 때문에 공급속도가 빠르고, 타블렛이 직립 상태로 이송되는 것보다 이송 안정성이 향상되어 재밍 등의 이송 불량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안내로(210)와 연결되는 슈트부는 상기 피더부(300)과 연결되는 타측으로 인접할수록 일정 구간에서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영역을 통해 이송되는 타블렛(T)은 자연스럽게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세워지게 되고, 이로써 별도의 적층 수단 없이도 복수개의 타블렛(T)이 적층된 상태로 상기 타측에 연결된 피더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안내로(210)와 연결되는 일측에서 타블렛이 눕혀진 상태로 공급이 되고,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슈트부의 형상으로 인해 눕혀진 타블렛이 직립된 상태로 피더부(300)에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안내로(210)는 호퍼부(100)로부터 공급되는 타블렛(T)을 슈트부로 인도하여 슈트부를 통해 전술한 피더부(300)로 타블렛을 전달시키는데, 공급 속도 향상을 위해 복수개의 열, 예를 들어 2개의 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내로(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내로(210a) 및 제2 안내로(210b)로 분기될 수 있고, 슈트부는 각각의 안내로와 연결되어 피더부(300)에 타블렛을 전달한다.
즉, 본 발명에서 안내로는 제1 안내로(210a)와 제2 안내로(210b)로 분기되고, 피더부(300)는 제1 안내로(210a)를 통해 슈트부로 공급되는 타블렛을 수용하는 제1 피더와, 제2안내로를 통해 슈트부로 공급되는 타블렛을 수용하는 제2 피더를 구비한다.
따라서, 타블렛(T)은 제1 안내로(210a) 또는 제2 안내로(210b)를 따라 상기 피더부(300)로 이송될 수 있고, 이송되는 타블렛(T)들이 상기 제1 안내로(210a) 및 상기 제2 안내로(210b)로 균등하게 분배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로(210)가 복수열로 분기되는 분기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분기 영역의 양측에서 타블렛을 번갈아가며 밀어주는 푸시유닛(220)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로(210)가 2개의 열로 분기될 수 있고, 분기되기 시작하는 분기 영역에서 상기 타블렛(T)을 상기 제1 안내로(210a) 또는 상기 제2 안내로(210b)로 번갈아가며 밀어주는 푸시유닛(2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푸시유닛(220)은 상기 안내로(210)가 2개의 열로 분기되는 분기영역에서 상기 안내로의 좌우측 각각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도 3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 영역에서 상기 타블렛(T)의 분배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각각의 안내로로 분기되는 영역의 저면, 즉 상기 제1 안내로(210a) 및 상기 제2 안내로(210b)로 분기되는 영역의 저면은 각각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분기 영역을 통과하는 타블렛(T)은 상기 푸시유닛(220)에 의한 약한 밀침(push)에 의해서도 제1 안내로(210a) 또는 제2 안내로(210b)로 용이하게 분배될 수 있다. 즉, 푸시유닛(220)이 없더라도 호버부(100)로부터 안내부(200)로 공급된 타블렛이 어느 하나의 안내로로 전달될 수 있지만, 푸시유닛(220)을 통해 각각의 안내로로 타블렛이 안내되도록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푸시유닛(220)은 좌우측으로의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타블렛(T)과 접촉하여 이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어주는 한 쌍의 피스톤(220a)과 상기 한 쌍의 피스톤(220a) 각각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한 쌍의 액츄에이터(220b)와 피스톤(220a)과 액츄에이터(220b)가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 베이스(221)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베이스(221)는 안내부(210)의 양측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타블렛의 크기에 따라 장착 베이스(221)에 설치된 액츄에이터(220b)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타블렛의 크기에 따라 액츄에이터(220b)의 위치를 조정하는 베이스(221)는 액츄에이터(220b)의 스트로크 조정이 불가능할 경우 사용하는 것으로 액츄에이터(220b)의 스트로크 조정이 가능한 경우 베이스(221)의 위치 조절 기능을 생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푸시유닛(220)은 피스톤(220a)과 액츄에이터(220b)를 구비하는 실린더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급되는 타블렛(T)은 몰딩 대상 등에 따라 크기나 중량 등의 사이즈가 변경될 수 있는데, 상기 타블렛(T)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220b)의 구동에 의한 상기 피스톤(220a)의 밀어주는 길이를 조정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장착 베이스(221)를 구성하는 각각의 장착 베이스(221)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고, 이로써 상기 각각의 장착 베이스(221)에 장착된 한 쌍의 피스톤(220a) 및 한 쌍의 액츄에이터(220b)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타블렛(T)의 사이즈에 따라 이를 제1 안내로(210a) 또는 제2 안내로(210b) 방향으로 밀어주는 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시유닛(220)은 후술하는 피더부(300), 버퍼부(600), 승강부(700) 등의 교체를 위해 타블렛(T)의 공급 공정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 상기 분기 영역에 배치된 타블렛(T)을 상기 한 쌍의 실린더(220a)가 함께 밀어줌으로써 상기 타블렛(T)의 이송을 중단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는 슈트부의 하단에 피더부(300)에 공급되는 하나 이상의 타블렛(T)의 공급 여부 및 공급되는 타블렛의 공급 개수를 제어하는 스토퍼 유닛(23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토퍼 유닛(230)은 타블렛(T)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스토퍼(232) 및 한 번에 공급되는 타블렛(T)의 개수를 제어하는 조절블록(2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32)는 타블렛(T)이 통과할 수 없도록 안내로(210)의 단부를 폐쇄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개방할 수 있으며, 조절블록(234)은 상기 스토퍼(232)와 연동되어 일체로 움직이면서 안내로(210)의 개방시 특정 타블렛(T)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특정 타블렛(T)이 하방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특정 타블렛(T) 하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타블렛(T)만이 피더부(300)에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피더부(300)에 공급되는 타블렛(T)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절블록(234)은 슈트부를 따라 구비된 복수개의 고정핀(234-1)을 가지며, 상기 고정핀(234-1)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되게 조정함으로써 이동 방향에 따라 돌출 조정된 고정핀이 특정 타블렛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방, 즉 상기 안내로(210) 방향으로 전진시에는 특정 타블렛(T)을 가압할 수 있고 후방으로 후진시에는 타블렛(T)에 접촉되지 않도록 특정 타블렛의 가압 해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토퍼유닛(230)은 복수열의 안내로(210)와 각각 연결되고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안내로(210)로부터 타블렛이 투입되며, 타블렛의 공급여부와 타블렛의 공급개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슈트부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스토퍼 유닛(230)은 스토퍼(232)와 조절블록(234)과 연결부재, 구동부로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232)는 슈트부의 일측 방향에 구비되되, “L”자형으로 마련되고, 슈트부의 단부를 개폐함으로써 타블렛의 공급여부를 제어한다.
조절블록(234)은 스토퍼(232)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타블렛의 공급개수를 제어하기 위해 복수개의 고정핀(234-1)이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타블렛이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공급되도록 복수개의 고정핀(234-1) 중에서 선택된 고정핀만 돌출 고정되도록 각각의 고정핀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고정핀(234-1)은 공급되는 타블렛의 피치에 대응되게 복수개 구비되게 설치함으로써 공급되는 타블렛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의 고정핀 중 해당 고정핀이 돌출되게 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타블렛의 피치에 대응되게 고정핀이 3개 구비되는 경우에 타블렛의 젤 위의 고정핀(234-1)이 타블렛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2개의 타블렛이 낙하될 수 있고, 2번째 위치된 고정핀이 타블렛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1개의 타블렛이 낙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타블렛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각각의 고정핀(234-1) 중 해당 고정핀이 타블렛을 고정 지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타블렛이 공급되는 경우 타블렛의 크기에 따라 젤 위에 위치한 고정핀이 타블렛을 고정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고, 2번째 위치한 고정핀이 타블렛을 고정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타블렛의 크기,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고정핀의 개수도 증감될 수 있다.
연결부재는 스토퍼와 조절블록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구동부는 일체로 연결된 스토퍼와 조절블록을 전후방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구동부가 스토퍼(232)와 조절블록(234)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돌출 고정된 고정핀(234-1)이 슈트부에 공급되는 타블렛 중 특정 타블렛을 가압 고정하고, 스토퍼는 후퇴하면서 특정 타블렛의 하부에 배치된 타블렛을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타블렛의 공급개수가 2개인 경우 상기 고정핀(234-1) 중 최상부에 배치된 고정핀(234-1)을 전방으로 위치시켜 고정하고 상기 최상부 고정핀(234-1)보다 하방에 위치한 고정핀(234-1)들은 후방에 위치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스토퍼(232)에 의해 상기 안내로(210)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최상부 고정핀에 의해 가압되는 특정 타블렛(T)의 하측에 위치한 타블렛(T)만을 이동시킬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특정 타블렛(T)의 하측에 위치한 타블렛(T)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피더부(300)에 투입되는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말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에 의해 조절블록(234)과 스토퍼(232)를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조절블록(234)과 연결되고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스토퍼(232)도 전방 방향, 즉, 슈트부에 투입된 타블렛을 기준으로 조절블록(234)이 구비된 방향 측으로 함께 이송하여, 타블렛(T)이 피더부(300)로 투입되지 못하도록 슈트부의 하단을 폐쇄할 수 있으며, 이때 슈트부를 따라 공급되는 후속 타블렛(T)이 최하단에 있는 타블렛(T)의 상단에 적층되며 함께 대기될 수 있다.
한편, 피더부(300)에 타블렛(T)을 투입하기 위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32)가 후방으로 이동되며 슈트부의 하단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232)와 연동되어 일체로 조절블록(234)도 후방, 즉 슈트에 투입된 타블렛을 기준으로 스토퍼가 구비된 방향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부가 스토퍼와 조절블록을 일방향 즉, 후방 방향(스토퍼가 구비된 방향) 측으로 이동시키면 미리 돌출되도록 조정부에 의해 조정된 고정핀이 슈트부에 공급되는 타블렛 중 특정 타블렛을 가압 고정하고, 동시에 스토퍼는 후퇴하도록 구비되어 가압 고정된 특정 타블렛의 하부에 배치된 타블렛을 배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b에서와 같이 조절블록(234)이 3개의 고정핀(234-1)을 갖도록 구성하고 그 중 최상단의 고정핀(234-1) 만을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특정 타블렛(T)만을 가압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상기 특정 타블렛(T)의 하부에 배치된 2개의 타블렛(T)만이 피더부(300)로 공급되어 2단으로 적층되며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최상단의 고정핀이 특정 타블렛을 가압하는 경우라도, 타블렛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특정 타블렛의 하부에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타블렛이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며, 그에 따라 피더부로 한번에 전달되는 타블렛의 개수는 가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 4a 및 도 4b에는 조절블록에 구비된 고정핀이 3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고정핀의 개수는 작업자 및 작업 환경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몰딩용 타블렛(T), 피더부(300) 및 버퍼부(600)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a는 몰딩용 타블렛(T)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에서 피더부(300)를 나타낸 것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에서 버퍼부(600)를 나타낸 것이다.
피더부(300)는 호퍼부, 안내부 및 슈트부를 통해 공급된 타블렛(T)을 수용하여 이동시키면서 수용된 타블렛의 중량을 검사하여 선별 및 불량제거작업을 수행하고, 양품의 타블렛을 버퍼부에 공급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측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타블렛(T)이 함께 적층되어 수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용부(315)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더부의 각각의 수용부에는 슈트로부터 한번에 배출되는 타블렛을 연속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타블렛의 공급과 이송이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상기 피더부(300)는 분기된 각각의 안내로와 연결되는 슈트부를 통해 각각의 타블렛을 독립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분기된 안내로와 동일한 개수의 피더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내로가 2열로 분기되고, 각각의 안내로로부터 전달받는 2개의 피더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3개 또는 그 이상의 안내로와 피더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내로가 2열로 분기된 것을 기준으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피더부는 제1안내로를 통해 슈트부로 공급되는 타블렛을 수용하는 제1 피더와, 제2안내로를 통해 슈트부로 공급되는 타블렛을 수용하는 제2 피더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피더와 제2 피더는 각각의 수용부(315)가 2개의 열로 구비되도록 각각의 열에 배치된 복수개의 수용부를 열 방향으로 구비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분리 배치되거나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안내부(200) 및 슈트부가 상기 피더부(300)에 직각으로 배치된 2개의 슈트부로부터 이송되는 타블렛(T)을 원활하게 공급받기 위함이다.
또한, 2열로 분기된 각각의 안내로를 통해 배출되는 타블렛을 각각의 피더가 전달받고 독립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부의 하단은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게 구비되며 제1피더와 제2피더도 상기 슈트부의 하단으로부터 타블렛을 순차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이웃하게 분리되어 구비되며, 이후 불량 제거 및 양품 타블렛의 전달을 위해 나란히 배치되어 함께 이송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피더에 구비된 수용부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타블렛의 중량을 측정하여 타블렛의 불량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는 검사부를 구비하며, 검사부는 피더부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고, 슈트부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검사부는 피더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피더부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검사부는 타블렛의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과 로드셀을 승강시키는 로드셀 승강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로드셀은 피더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수용부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수용부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타블렛과 접촉하는 접촉핀을 구비하여 타블렛의 중량을 감지할 수 있고, 이때 로드셀을 승강시킴으로써 접촉핀이 수용부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타블렛을 접촉하여 들어올리면서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타블렛의 공급과 중량 측정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검사부의 위치를 슈트부의 하단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시킨다.
즉, 슈트부를 통해 공급되는 타블렛과 검사부의 간격은 피더부에 형성된 수용부들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도록 슈트부의 하단으로부터 검사부가 이격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슈트부로부터 피더부의 수용부로 타블렛이 공급되는 동안에 피더부의 수용부에 기수용된 타블렛의 중량을 검사부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검사부는 타블렛의 종류, 크기가 변경됨으로써 그에 따라 피더부가 교체되고 교체된 피더부에 마련된 수용부 간의 간격이 변경되는 경우 수용부의 간격과 대응되게 검사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일측 방향, 즉 피더의 이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수용부(315)에 복수개의 타블렛(T)이 적층된 상태로 검사부(400)에 의해 중량이 측정됨으로써 빠른 중량 측정 및 공급이 가능할 수 있고, 동시에 중량이 측정되는 복수개의 타블렛(T) 중 기준 중량 미달 또는 초과로 불량인 타블렛(T)이 포함되는 경우에도 복수개의 타블렛(T)들의 총 중량이 기설정된 중량의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타블렛(T)들 전체로 몰딩성형장치에서 사용 가능하므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불량 판정 후 제거되는 타블렛(T)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타블렛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피더 및 제2 피더에 구비된 수용부(315)는 각각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이때 타블렛(T)이 하방으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각 수용부(315)의 하단 영역에는 수용되는 타블렛의 하단을 지지하거나 지지해제할 수 있는 래치부재(330)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래치부재(330)는 타블렛(T)의 하단을 지지하여 타블렛(T)의 수용부(315) 내에 타블렛을 수용할 수 있으며, 추후 타블렛의 중량이 기설정된 중량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불량 타블렛 발생시 해당 타블렛(T)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래치부재에 외력을 가하여 수용부의 하방을 개방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피더부(300)의 양 측면, 즉 제1 피더(310) 및 제2 피더(320) 각각의 바깥쪽 측면에는 각각 걸림턱(3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피더부(300)가 이송유닛(80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버퍼부(600)는 피더부(300)에 수용된 선별 후의 양품 타블렛(T)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타블렛을 몰딩 공정으로 공급하기 위한 타블렛 공급픽커에 공급되는 과정 간의 텀(term)을 줄일 수 있어 이를 위해 타블렛의 공급속도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버퍼부는 피더부(300)의 수용부(315)와 대응되게 관통되는 복수 개의 수용부(615)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버퍼부(600)의 수용부(615) 또한 피더부의 수용부와 동일하게 2개의 열로 구비될 수 있으며, 피더부(300)보다 많은 양의 타블렛(T)의 저장을 위하여 피더부(300)의 수용부 높이보다 타블렛이 수용되는 높이(적층 높이가 더 높은 수용부(615)를 가질 수 있고, 피더부에 의해 공급되는 타블렛이 임시로 연속적으로 거치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는 작업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피더부에 수용된 타블렛은 승강부를 통해 버퍼부의 수용부로 타블렛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승강부는 버퍼부의 하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피더부에 수용된 양품 타블렛을 승강시켜 피더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양품 타블렛을 버퍼부의 수용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승강부는 피더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버퍼부의 수용부에 전달할 때 사용할 수도 있지만, 버퍼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몰딩 공정으로 공급하기 위한 타블렛 공급픽커에 전달할 때 사용할 수도 있고, 타블렛의 종류가 바뀌는 경우에 버퍼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제거하기 위하여 타블렛 공급픽커로 전달할 때 사용할 수도 있다. 만약 버퍼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제거하게 되는 경우에는 타블렛 공급픽커가 버퍼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전달받은 후 별도 마련된 수거박스에 해당 타블렛을 임시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승강부는 복수개의 이송핀이 마련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를 승하강 시키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송핀은 플레이트에 마련되고 수용부의 관통홀과 대응되게 복수개 마련되며, 피더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버퍼부의 수용부에 전달하거나, 버퍼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몰딩공정으로 공급하기 위한 타블렛 공급픽커에 전달할 수 있도록 피더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 또는 버퍼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지지하고, 타블렛을 상부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이송핀의 상단부는 크로스 형태의 “+” 모양을 갖도록 구비되어 타블렛과 접촉할 때 틸팅(tilting)을 최소화한 상태로 타블렛을 들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고정핀과 제2고정핀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제1고정핀 및 제2고정핀의 설명은 이하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한편, 버퍼부(600)의 수용부(615) 또한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겠지만 피더부(300)가 버퍼부(600)의 하단부 및 승강부의 상단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승강부(700)가 피더부(300)의 하방에서 상기 피더부(300)의 수용부(315) 내의 타블렛(T)을 밀어올려 상기 버퍼부(600)의 수용부(615)의 하방으로 타블렛을 투입시킴으로써 상기 버퍼부(600)의 수용부에 수용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퍼부(600)의 수용부(615) 또한 복수개로 구비된 각각의 수용부의 하단영역에 래치부재(63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래치부재(630) 또한 피더부(300)의 래치부재(330)와 마찬가지로 수용부(615) 내부의 타블렛(T)의 하단을 지지하여 수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승강부의 이송핀이 관통된 수용부의 하단에 지지된 타블렛을 가압 상승시키는 방식으로 수용부(615)의 하방을 개방하여 피더부에 수용된 타블렛(T)을 버퍼부에 수용시키거나, 버퍼수에 수용된 타블렛을 타블렛 공급픽커에 전달되도록 관통된 수용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피더부(300) 및 버퍼부(600)의 래치부재(330,63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전술한 래치부재(330,63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더부(300) 및 버퍼부(600)의 수용부(315,615) 하부에 장착되는 래치부재(330,630)는 기본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즉, 삼각형 또는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수용부(315,615)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피더부(300) 및 버퍼부(600)의 래치부재(330,630)는 일측이 수용부(315,615)의 벽에 접촉 및 지지되어 더 이상의 회동이 제한된 상태로 유지되며, 예를 들어 래치부재(330,630)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수용부(315,615)의 외벽 즉, 피더유닛(300) 및 버퍼유닛(600)의 측면 외부 벽에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힌지(H)를 기준으로 수용부(315,615) 내부쪽에 래치부재(330,630)의 몸체가 있고 그 상면을 탄성부재(E)로 누르고 있으므로 항상 도 3a에 도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힌지(H)를 기준으로 수용부(315,615) 내부쪽에 래치부재(330,630)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반대 부분은 돌출부에 의해 측면 외부 벽에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315,615) 내부에 타블렛(T)이 수용될 수 있으며,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부(300) 및/또는 버퍼부(600)의 래치부재(330,630)가 타블렛(T)의 하단을 부분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타블렛(T)의 하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며 수용될 수 있다.
참고로, 피더부의 수용부에 타블렛을 수용시키는 것은 슈트부를 통해 낙하되는 타블렛이 회동이 제한된 래치부재에 의해 타블렛의 하면 중 일부가 지지 됨으로써 타블렛이 관통된 수용부 내에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불량 타블렛이 피더부의 수용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은 래치부재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래치부재가 상측으로 회동됨으로써 타블렛의 하면을 지지해제하므로 불량 타블렛이 관통된 수용부의 하부로 낙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버퍼부의 수용부에 타블렛을 수용시키는 것은 승강부의 이송핀이 래치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타블렛의 하면을 상승시키면서, 타블렛의 중량과 이송핀의 상승시키는 힘에 의해 래치부재가 상측으로 회동되어 피더부의 수용부와 버퍼부의 수용부가 관통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관통된 수용부 내로 타블렛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강핀의 이송핀이 하강하면 타블렛의 자중에 의해 래치부재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래치부재의 회동이 제한되는 상태가 되어 타블렛이 낙하되지 않고 수용부의 래치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피더부에 수용된 불량 타블렛의 제거를 예로 들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부(300)의 래치부재(330) 측면에서 실린더 등에 의한 별도의 외력(F)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외력(F)에 의해 래치부재(330)가 회동되어 관통된 수용부(315)의 하방이 개방되며 수용부(315) 내의 타블렛(T)이 하방으로 낙하됨으로써 피더부(300)로부터 해당 불량 타블렛(T)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외력은 후술할 불량제거부(500)에 별도 구비되는 실린더 등으로부터 가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린더 등은 피더부의 래치부재가 마련되는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더(310) 또는 제2 피더(3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래치부재(330)가 선택적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피더(310) 또는 제2 피더(320)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불량 타블렛(T)만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버퍼부(600)의 하방으로 타블렛(T)을 투입하는 경우 투입되는 타블렛(T)에 의해 래치부재(630)가 회동될 수 있고, 래치부재(630)의 회동으로 수용부(615)의 하방이 개방되어 타블렛(T)이 자연스럽게 통과될 수 있으며, 통과된 후에는 탄성부재(E) 및 타블렛(T)의 무게에 의해 래치부재(630)가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며 원복됨으로써,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부(600)의 수용부(615) 내부에 타블렛(T)이 수용될 수 있다.
도 7은 검사부(400)의 작업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검사부(400)에 대해 설명한다.
검사부(400)는 피더부(300)의 수용부(315)에 수용된 타블렛(T)의 중량을 측정하여 타블렛의 중량이 기설정된 중량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불량 또는 양품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데, 이때 기설정된 중량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오차범위를 만족하는지에 의해 상기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기설정된 중량은 타블렛의 종류 및 타블렛의 공급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사부(400)는 상기 피더부(300)의 하나의 수용부(315)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타블렛(T)을 상기 수용부(315)의 하방 개방부를 통해 타블렛과 접촉하여 타블렛을 아래로부터 들어올리는 접촉핀(410)을 포함할 수 있고, 접촉핀을 통해 타블렛의 중량을 로드셀로 감지할 수 있다. 참고로, 타블렛과 접촉하는 접촉핀의 상단부는 크로스 형태의 “+” 모양을 갖도록 구비되어 타블렛과 접촉할 때 틸팅(tilting)을 최소화한 상태로 타블렛을 들어올릴 수 있다.
접촉핀(410)을 구비하는 로드셀과, 로드셀을 승강시키는 로드셀 승강수단은 상기 제1 피더(310) 및 상기 제2 피더(320) 각각의 수용부(315)에 수용된 타블렛(T)의 중량을 각각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부(400)는 상기 피더부(300)를 구성하는 제1 피더(310) 및 제2 피더(320) 각각의 수용부(315)에 타블렛(T)이 순차적으로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수용부(315)에 수용된 타블렛(T)의 중량을 순차적으로 측정하게 되므로, 한 쌍의 검사부 각각은 타블렛(T)의 수용과 수용된 타블렛(T)의 중량 측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위치, 즉 제1 피더(310) 및 제2 피더(320) 각각에 구비된 수용부(315)들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만큼 슈트부를 통해 공급되는 타블렛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첫번째로 타블렛(T)이 수용되는 수용부(31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검사부가 배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타블렛의 공급과 타블렛의 중량측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나의 검사부에서 하나 이상 적층된 타블렛을 한번에 검사할 수 있으므로, 검사부가 하나의 타블렛을 각각 검사하는 것 대비 타블렛의 중량 측정을 위한 검사 횟수 및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로드셀을 슈트부의 하단에 배치하여 배출되는 타블렛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경우에 배출된 타블렛을 받고, 타블렛의 중량을 검사하는 데 각각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다음 타블렛을 공급받는 동안 앞서 받은 타블렛의 중량을 연속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이 절약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피더(310) 및 제2 피더(320) 각각에 구비된 수용부(315)들 사이의 간격은 타블렛(T)의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로드셀(410)은 변경된 간격에 따라 위치가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송유닛(800)의 이동 방향으로 전후진 할 수 있는 구동부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더부(300) 내의 하나의 수용부(315)에 타블렛(T)이 2단으로 적층된 상태로 선별작업이 진행되면 기본적으로 2개에 해당하는 타블렛(T)의 총 중량값을 기준값으로 하되, 향후 수행될 몰딩작업의 특성에 따라 기준값의 ±5% 또는 ±10% 이내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측정된 총 중량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의 오차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양품으로 판정하고, 상기 기준값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불량으로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피더부(300)의 하나의 수용부(315)에 복수 개의 타블렛(T)이 적층되는 경우, 이를 일시에 측정하여 타블렛의 적층 개수에 대응되는 중량을 기준으로 양품 또는 불량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타블렛의 중량 측정시간 및 측정 횟수를 단축시켜 타블렛의 공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타블렛(T)의 중량을 측정하여 타블렛의 양품 또는 불량 여부가 판정되며, 상기 판정 후에는 불량제거부(500)에 의해 불량으로 판정된 타블렛(T)이 피더부(300)의 수용부에서 낙하되어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량제거부(500)는 검사부(400)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타블렛(T)이 수용된 피더부(300)의 수용부(315) 하단에 구비된 래치부재(330)만을 측면에서 실린더(도시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래치부재(330)를 회동시켜 해당 수용부(315)의 하측을 개방시킬 수 있으며, 해당 수용부(315)에 수용된 불량 타블렛(T)을 하방으로 낙하시켜 상기 불량제거부(500)의 하부에 배치된 불량 타블렛(T) 회수부(도시하지 않음)에 수집시켜 재활용하고, 양품만을 선별하여 버퍼부(6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불량제거부(500)는 상기 불량 타블렛 제거작업 후 상기 타블렛(T)이 배출된 수용부(315)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브러시 부재(도면부호 없음)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브러시 부재는 각각의 피더에 동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고, 각각의 브러시는 독립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브러시 부재가 한 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2개의 피더에 모두 사용될 수 있도록 일측 방향으로 이동 및 승강하여 각각의 피더에 구비된 불량 타블렛을 제거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불량제거부(500)를 통해 불량 타블렛(T)이 제거된 피더부(300)는 다시 안내부(200)로 이동되어 불량 타블렛(T)이 제거되어 비워진 수용부(315)에 타블렛(T)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새롭게 공급된 타블렛(T) 또한 전술한 과정을 통해 양품만이 선별될 수 있다. 참고로, 버퍼부를 통해 작업될 양품 타블렛이 충분히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수용부(315)의 일부가 비워진 상태로 작업이 진행되어 피더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버퍼부의 수용부로 전달하도록 될 수도 있으며, 이는 선택 가능하다.
또한, 이송유닛(800)은 피더유닛(300)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1개씩 설치될 수 있고 각 이송유닛(800)은 상기 제1 피더(310) 및 제2 피더(320)에 고정되어 피더를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불량제거유닛(500)에 의해 제거되어 비워진 수용부(315)가 있는 피더만 다시 안내유닛(200)으로 이동되어 불량 타블렛(T)이 제거되어 비워진 수용부(315)에 타블렛(T)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피더부(300)에 수용된 중량 검사가 완료된 양품 타블렛(T)은 버퍼부(600)의 수용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승강부(7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a는 피더부가 버퍼부의 하부로 이동된 경우에 승강부(700)가 상승되기 위하여 대기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8b는 승강부(700)가 피더부(300) 및 버퍼부(600)로 진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승강부(700)를 설명하면, 승강부(700)는 중량 검사가 완료된 양품 타블렛(T)이 수용된 피더부(300)의 수용부(315)가 버퍼부(600)의 각 수용부(615)와 대응되도록 정렬된 후, 상기 피더부(300)의 수용부(315)의 하단으로 각각의 이송핀이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315) 내부에 수용된 타블렛(T)을 버퍼부(600)의 수용부(615)의 하측으로 투입함으로써 타블렛(T)을 피더부(300)로부터 버퍼부(600)로 전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승강부(700)는 승강구동유닛(900)에 연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 구동하는 플레이트(710), 상기 플레이트(710)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피더부(300)의 수용부(315) 각각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수용부(315) 각각에 수용된 타블렛(T)을 상기 버퍼부(600)의 수용부(615)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이송핀(7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송핀(720)의 상단부는 타블렛(T)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타블렛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십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의 이송핀(720)이 상승하면 이송핀이 피더부에 수용된 타블렛의 하면과 접촉되면서 상승할 수 있고, 더욱 상승하여 피더부(300)의 수용부를 거쳐 버퍼부(600)의 수용부(315,615)에 관통될 수 있도록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승강부(700)의 상승에 의해 타블렛(T)이 버퍼부(600)의 수용부(615)에 투입되는 경우 버퍼부(600)의 래치부재(630)의 하단이 수용부(615) 내부를 향해 회동되면서 타블렛(T)이 통과되어 버퍼부(600)의 수용부(615)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승강부(700)의 이송핀이 하강하면 래치부재(630)가 원복되며, 버퍼부(600)의 수용부(615)의 벽에 의해 래치부재(630)의 회동이 제한되며 타블렛(T)의 하단을 지지함으로써 타블렛(T)의 낙하를 방지하고 이동된 타블렛(T)이 버퍼부(600)의 수용부(615)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검사부(400)에 의해 선별된 양품 타블렛(T)만이 버퍼부(600)로 수용될 수 있으며, 이후 몰딩공정에서 몰딩용 타블렛(T)이 요구되는 경우 버퍼부(600)에 수용된 선별 후의 양품 타블렛(T)을 타블렛 공급픽커가 전달받음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는 필요로 하는 타블렛의 중량에 적합한 양품 타블렛만을 선별하여 이후의 몰딩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다.
참고로, 타블렛 공급픽커가 몰딩을 위해 버퍼부로부터 공급받는 타블렛은 피더부에서 1회에 공급받는 양만큼 전달받는다. 즉, 버퍼부는 타블렛 공급 속도가 지연되지 않도록 공급된 타블렛을 임시 거치하는 것으로, 피더부로부터 중량 검증이 완료된 정량의 타블렛을 공급받아 타블렛 공급픽커가 몰딩용 타블렛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각 작업이 수행될 수 있기 위하여 피더부(300)는 슈트부, 검사부(400), 불량제거부(500) 및 승강부(700)의 미리 결정된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는 피더부를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부재(84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송부재(840)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유닛(8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이송유닛(80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여기서 확대도는 이송부재와 피더부(30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이송부재(840)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더부(300)는 제1 피더(310) 및 제2 피더(320)로 분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송부재(840)는 제1 피더(310) 및 제2 피더(320) 각각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피더부(300)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각 이송 타이밍벨트(810), 타이밍풀리(820), 구동모터(83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타이밍벨트(810)를 따라 이송부재(840)가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이송부재(840)의 돌기(845)가 피더부(300)의 걸림턱(340)에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밍벨트(810)는 안내부(200), 검사부(400), 불량제거부(500) 및 승강부(700) 전체 영역에 걸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타이밍풀리(820)는 타이밍벨트(810)의 양단부 영역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830)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풀리(820)에 결합되어 해당 타이밍풀리(82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타이밍풀리(820)의 회전에 따라 타이밍벨트(810)가 이동됨으로써 상기 타이밍벨트(810)를 따라 이송부재(840)가 이동되고 제1 피더(310) 및/또는 제2 피더(320)의 걸림턱(340)이 이송부재(840)의 돌기(845)에 걸려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피더에는 이송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피더의 외측에는 각각 걸림턱이 마련된다. 이송부재(840)에는 걸림턱 각각에 삽입되어 피더부와 결합할 수 있는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때 돌기는 실린더 등에 의해 안쪽 또는 바깥쪽(예를 들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돌기를 안쪽(피더의 수용부 측,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이송부재로부터 피더부가 상측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고, 돌기를 바깥쪽(피더의 이송유닛 측,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이송부재로부터 피더부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벨트(810) 및 피더부(30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하여 피더부(300)의 이동방향으로 LM레일(850) 및 LM블록(860) 등이 추가로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이후 공정으로 수행될 몰딩 작업의 특성에 따라 공급되는 타블렛(T)의 사양, 즉 크기, 형상, 중량 등이 변경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는 이러한 사양 변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타블렛(T)의 사양에 따라 피더부(300), 버퍼부(600) 및 승강부(700)이 하나의 패키지로 결합되어 동시에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타블렛의 크기 차이가 별로 없는 경우에는 피더부, 버퍼부, 승강부 등을 교체할 필요 없이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타블렛의 크기 및 형태, 몰딩될 기판에 공급될 타블렛의 개수 등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피더부, 버퍼부, 승강부를 교체하여 하나의 장비로 다양한 타블렛을 수용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때는 안내부에 구비되는 푸시유닛의 베이스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양호하게 타블렛을 분배 및 슈트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피더부, 버퍼부, 승강부는 타블렛의 크기 또는 종류에 적합하게 변경된 타블렛을 취급할 수 있도록 새로운 피더부, 버퍼부, 승강부로 교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승강부, 1피더, 2피더 및 버퍼부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승강부 승강구동유닛으로부터 분리하고, 버퍼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부터 버퍼부를 분리함으로써 일체로 결합된 키트를 교체 가능하도록 취급할 수 있다.
도 10 내지 12는 피더부(300), 버퍼부(600) 및 승강부(700)의 교체를 위한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도 10a는 피더부(300), 버퍼부(600) 및 승강부(700)가 일체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b는 피더부(300), 버퍼부(600) 및 승강부(700)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a 내지 11c는 피더부(300), 버퍼부(600) 및 승강부(700)이 교체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 내지 13은 피더부(300), 버퍼부(600) 및 승강부(700)이 각각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이를 참조하여 피더부(300), 버퍼부(600) 및 승강부(700)의 교체를 위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피더부, 버퍼부, 승강부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를 '키트(kit)'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더부(300), 버퍼부(600) 및 승강부(700)는 각각 상이한 위치에서 교체될 수 있지만, 시간의 단축 및 작업의 용이성을 위하여 각 구성이 결합되어 하나의 키트로 결합되어 동시에 한 곳에서 교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타블렛(T)의 사양이 변경되면 그에 따라 피더부(300)의 수용부(315)의 크기, 모양, 배치 등이 변경될 수 있으며, 그에 대응되게 피더부, 버퍼부(600) 및 승강부(700) 또한 변경된 타블렛을 취급할 수 있도록 교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피더부, 버퍼부 및 승강부의 3개의 구성(제1피더, 제2피더, 버퍼부 및 승강부의 4개의 파트)을 하나의 키트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는데, 도 10a를 참조하면, 승강부(700)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고정핀(730) 및 제2 고정핀(740)을 가지고, 버퍼부(600)는 제1 고정핀(730)이 수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605)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핀(730)은 상기 고정부(605)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승강부(700)가 상기 버퍼부(6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 고정핀(740)은 상기 버퍼부(300)의 분리 가능한 제1 피더(310)와 제2 피더(320)가 함께 안정적으로 상기 버퍼부(6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이들을 정렬하도록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700), 피더부(300), 버퍼부(600)는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승강부(700)의 제1 고정핀(730)이 버퍼부(600)의 고정부(605) 내로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피더부(300), 버퍼부(600) 및 승강부(700)이 하나의 패키지로 일체화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교체가 가능한데,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여, 피더부(300), 버퍼부(600) 및 승강부(700)가 교체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면상 부호는 피더부(300), 버퍼부(600) 및 승강부(700)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의 구성을 하나의 키트 세트(S)로 표현한다.
최초 설치시 또는 교체시부터 설명하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700), 피더부(300), 버퍼부(600)가 하나의 패키지로 일체화된 키트 세트(S) 상태로 작업라인에 투입될 수 있다.
이때, 투입되는 모습을 보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700), 피더부(300) 및 버퍼부(600)이 일체화되어 있으며, 승강부(700), 피더부(300) 및 버퍼부(600)의 양 측면에는 작업라인을 구성하는 한 쌍의 벽면인 베이스(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패키지세트(S)가 상기 베이스(B) 사이에서 하방으로 투입시 피더부(300)의 걸림턱(340)의 하측으로 이송유닛(800)에 구비된 이송부재(840)의 돌기(845)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돌기(845)와 걸림턱(340)의 충돌에 의한 삽입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돌기(845)의 후방을 가압하여 돌기(845)을 전진시킴으로써 돌기(845)가 걸림턱(340)의 양 측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투입이 끝난 후,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845)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게 되며, 상기 돌기(845)의 일측에서 상기 돌기(845)를 후방으로 당기는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 등에 의해 돌기(845)가 후방으로 후진하면서 상기 돌기(845)가 상기 걸림턱(340)의 양 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피더부(300)를 이송부재(84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700), 피더부(300) 및 버퍼부(600)를 포함하는 키트 세트(S)를 상기 버퍼부(600) 및 상기 승강부(700) 각각이 배치되어야 할 영역으로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작업 영역으로 이동한 직후를 보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성은 서로 일체화된 상태이며, 승강부(700)는 승강구동유닛(900)에 연결되나 고정되지는 않은 분리가 가능한 상태이며, 버퍼부(600)와 승강부(700)는 서로 고정된 상태이나, 버퍼부(600) 자체는 미고정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승강부(700)의 하측에 위치한 실린더(C)가 전진상태이고, 래치부재(L)가 열려 있는 상태이며, 따라서 승강부(700)의 플레이트(710)는 승강구동유닛(900)에 고정되지 않는 상태이다. 또한, 승강부(700)의 고정핀(730)은 버퍼부(600)의 고정부(605)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이며, 버퍼부(600) 자체는 피더부(300)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700)의 하측에 위치한 실린더(C)를 후진시켜, 래치부재(L)가 닫힘으로써 승강부(700)의 플레이트(710)를 승강구동유닛(9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B)를 관통하는 고정부재(D)를 이용하여 버퍼부(600)의 측면을 가압하는 등 자체로 상기 베이스(B)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D)는 승강부(700)의 고정핀(730)이 버퍼부(600)의 고정부(605)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승강부(700)가 하강함으로써 패키지세트(S)의 3개의 구성, 즉 피더부(300), 버퍼부(600) 및 승각유닛(700)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700)는 하강하고, 버퍼부(600)는 그 자리에 고정되며, 피더부(300)는 안내부(200)의 영역으로 이동함으로써 초기 투입 작업이 끝날 수 있다.
이후, 타블렛(T)의 사양 변경에 따라 피더부(300), 버퍼부(600) 및 승강부(700)가 교체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술한 구성과 역순으로 각 작업이 수행됨으로써 피더부(300), 버퍼부(600) 및 승강부(700)이 일체로 한 곳에서 한번에 교체될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키트 컨버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교체 필요시 피더부(300), 버퍼부(600) 및 승강부(700)는, 도 11b에 도시된 상태로 위치된 후,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화되며, 이후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이동된 후,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유닛(8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변경된 사양의 키트 세트(S)를 교체 투입함으로써 교체 작업이 수행될 수 있으며, 키트 세트(S) 외 안내유닛(200)은 변경 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타블렛이 눕혀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으로 예를 들어, 2개의 열로 분기된 안내로(210a,210b)의 폭을 가장 큰 타블렛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부분도 큰 타블렛의 사양에 따라 형성함으로써 타블렛의 사양이 변경되더라도 안내유닛(200)은 교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안내유닛(200)에서 피더유닛(300)으로 공급할 때 타블렛(T)의 사양에 따라 타블렛(T)의 낙하 위치 및 자세가 바뀌어 걸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315)에서 타블렛(T)이 유입되는 입구에 사양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부를 형성하거나 같은 각도로 경사부를 형성할 경우 더 깊은 위치까지 경사부를 형성하여 수용부(315) 내부로 타블렛(T)를 안내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며 다만,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실시예가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0 : 호퍼부
200 : 안내부
300 : 피더부
400 : 검사부
500 : 불량제거부
600 : 버퍼부
700 : 승강부
800 : 이송유닛
900 : 승강구동유닛

Claims (14)

  1.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로서,
    몰딩용 타블렛을 눕혀진 상태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로부터 상기 타블렛이 안내되고, 복수열로 분기되는 분기 영역을 구비하는 안내로와 상기 분기 영역의 양측에서 상기 타블렛을 번갈아가며 밀어주는 푸시유닛을 구비하는 안내부;
    상기 복수열의 안내로와 각각 연결되고,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로로부터 상기 타블렛이 투입되며, 상기 타블렛의 공급여부와 상기 타블렛의 공급개수를 제어하는 스토퍼유닛을 하단에 구비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타블렛을 하나 이상 수용하는 복수개의 수용부를 구비하여, 일측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더부;
    상기 각각에 수용부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타블렛의 중량을 측정하여 상기 타블렛의 불량여부를 판정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불량 타블렛을 상기 수용부로부터 제거하는 불량제거부;
    상기 피더부에 수용된 양품 타블렛이 저장되기 위하여 상기 피더부의 수용부와 대응되게 관통된 복수개의 수용부를 구비한 버퍼부; 및
    상기 버퍼부의 하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피더부에 수용된 양품 타블렛을 승강시켜 상기 피더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상기 버퍼부의 수용부로 전달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는 제1안내로 및 제2안내로로 분기되고,
    상기 푸시유닛은 상기 분기 영역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한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푸시유닛에 의해 안내방향이 결정된 상기 타블렛의 분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안내로 및 상기 제2안내로로 분기되는 영역의 저면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유닛은,
    좌우측으로의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타블렛과 접촉하여 상기 타블렛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어주는 한 쌍의 피스톤;
    상기 한 쌍의 피스톤 각각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한 쌍의 액츄에이터; 및
    상기 피스톤과 상기 액츄에이터가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장착 베이스는 상기 안내부의 양측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타블렛의 크기에 따라 장착 베이스의 위치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기 슈트부의 일측 방향에 구비되되, “L”자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슈트부의 단부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타블렛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타블렛의 공급개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고정핀이 마련되는 조절블록;
    상기 스토퍼와 상기 조절블록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스토퍼와 상기 조절블록을 전후방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블록은 상기 타블렛이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공급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고정핀 중에서 선택된 고정핀만 돌출 고정되도록 각각의 고정핀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가 상기 스토퍼와 상기 조절블록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돌출된 고정핀이 상기 슈트부에 공급되는 타블렛 중 특정 타블렛을 가압 고정하고 상기 스토퍼가 후퇴하여 상기 특정 타블렛의 하부에 배치된 타블렛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는 제1안내로 및 제2안내로로 분기되고,
    상기 피더부는 상기 제1안내로를 통해 상기 슈트부로 공급되는 상기 타블렛을 수용하는 제1 피더 및 상기 제2안내로를 통해 상기 슈트부로 공급되는 상기 타블렛을 수용하는 제2 피더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피더 및 상기 제2피더의 수용부는 각각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각각의 하단에는 수용된 타블렛의 하단을 지지하는 래치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피더 및 상기 제2 피더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상기 슈트부로부터 공급되는 하나 이상의 타블렛을 각각의 수용부에 연속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슈트부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고,
    상기 검사부는,
    상기 피더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피더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타블렛과 접촉하는 접촉핀을 구비하여 상기 타블렛의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을 승강시키는 로드셀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타블렛과 상기 검사부의 간격은 상기 피더부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들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도록, 상기 검사부는 상기 슈트부의 하단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검사부는 상기 피더부의 이동 경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슈트부로부터 상기 피더부의 수용부로 상기 타블렛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피더부의 수용부에 기수용된 상기 타블렛의 중량을 검사부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제거부는 상기 피더부의 이동 경로상에 구비되고,
    상기 불량제거부는,
    상기 불량 타블렛이 수용된 수용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래치부재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수용부의 하부를 개방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불량 타블렛이 낙하되어 상기 불량 타블렛을 회수하는 회수부; 및
    상기 불량제거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불량 타블렛이 제거된 수용부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브러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피더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상기 버퍼부의 수용부에 전달하거나, 상기 버퍼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몰딩공정으로 공급하기 위한 타블렛 공급픽커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수용부에 수용된 타블렛을 지지 및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핀이 마련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핀의 개수는 상기 피더부의 수용부의 개수 또는 상기 버퍼부의 수용부의 개수와 대응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고정핀과 제2고정핀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1 피더와 상기 제2 피더에는 상기 제2고정핀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되어 상기 승강부의 제2고정핀으로 상기 제1피더와 상기 제2피더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피더와 상기 제2 피더는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1고정핀이 관통되는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버퍼부에는 상기 제1고정핀이 수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핀을 통해 상기 승강부, 상기 제1 피더, 상기 제2피더 및 상기 버퍼부가 함께 체결되며 교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 상기 제1 피더, 상기 제2피더 및 상기 버퍼부의 교체시에,
    상기 승강부의 플레이트는 상기 승강구동유닛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버퍼부는 상기 버퍼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승강부, 상기 제1 피더, 상기 제2피더 및 상기 버퍼부가 일체로 결합된 키트를 함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부는 상기 피더부를 이송할 수 있는 이송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더부의 양측면 각각에 걸림턱이 마련되고,
    상기 이송부재에는 상기 걸림턱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피더부와 결합할 수 있는 돌기가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돌기가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이송부재로부터 상기 피더부를 분리 가능하고, 상기 돌기가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이송부재에 상기 피더부가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블렛의 크기 또는 종류가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승강부와 상기 검사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 상기 제1 피더, 상기 제2피더 및 상기 버퍼부가 일체로 결합된 키트를 회수하고, 상기 타블렛의 크기 또는 종류에 적합한 교체하는 상기 승강부, 상기 제1 피더, 상기 제2피더 및 상기 버퍼부가 일체로 결합된 키트를 교체하는 키트 교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용 타블렛의 공급장치.
KR1020190090610A 2019-07-26 2019-07-26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 KR102132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610A KR102132562B1 (ko) 2019-07-26 2019-07-26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610A KR102132562B1 (ko) 2019-07-26 2019-07-26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562B1 true KR102132562B1 (ko) 2020-07-09

Family

ID=7160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610A KR102132562B1 (ko) 2019-07-26 2019-07-26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56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357U (ko) * 1998-08-19 1998-11-25 김진영 타정용 못의 코일링 장치
JP2001233445A (ja) * 2000-02-24 2001-08-28 Ishii Ind Co Ltd 物品整列供給装置
JP2005246709A (ja) * 2004-03-02 2005-09-15 Apic Yamada Corp 樹脂モールド装置及び樹脂タブレット供給装置
KR20100073552A (ko) * 2008-12-23 2010-07-01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KR101057642B1 (ko) * 2006-05-16 2011-08-18 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및 이 충전 방법을 사용한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KR20140063943A (ko) * 2012-11-19 2014-05-28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357U (ko) * 1998-08-19 1998-11-25 김진영 타정용 못의 코일링 장치
JP2001233445A (ja) * 2000-02-24 2001-08-28 Ishii Ind Co Ltd 物品整列供給装置
JP2005246709A (ja) * 2004-03-02 2005-09-15 Apic Yamada Corp 樹脂モールド装置及び樹脂タブレット供給装置
KR101057642B1 (ko) * 2006-05-16 2011-08-18 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캡슐 바디로의 정제 충전 방법 및 이 충전 방법을 사용한 캡슐로의 정제 충전 장치
KR20100073552A (ko) * 2008-12-23 2010-07-01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KR20140063943A (ko) * 2012-11-19 2014-05-28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667B1 (ko)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KR102039261B1 (ko) 배터리셀 선별수납장치
TWI601965B (zh) Component Processor
US20020054813A1 (en) Apparatus for handling integrated circuits and trays for integrated circuits
KR100401014B1 (ko) 테스트 핸들러
KR100876292B1 (ko) 에스에스디(ssd) 테스트 핸들러
KR102132562B1 (ko)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
NL195037C (nl) Inrichting voor het beladen en ontladen van kokers voor een testinrichitng voor halfgeleiderschakelingen.
KR101017698B1 (ko) 소자소팅장치
CN108572829B (zh) 烧录装置、管装芯片烧录机及其控制方法
KR101508507B1 (ko) 비전검사장비의 픽커 유니트
KR20110131486A (ko) Led용 테스트 핸들러
CN108453051A (zh) 分拣送料装置
KR100555066B1 (ko) 메모리 모듈 오토 로딩/언로딩 장치
KR101460962B1 (ko) 비전검사장비의 로더장치
KR20090029421A (ko) 테스트 핸들러용 트레이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레이이송방법
JP2861078B2 (ja) Icハンドラのデバイス供給装置
TW202144088A (zh) 置匣裝置及其應用之作業設備
US4645402A (en) Integrated circuit handler automatic unload apparatus
KR101436056B1 (ko) 몰딩용 타블렛 공급장치
KR101308050B1 (ko) 전자부품 검사 지원 장치의 로딩방법
KR102272469B1 (ko) 전지셀 분류장치
TWI442506B (zh) Automatic tray transfer machine
JP2850426B2 (ja) Icハンドラのマガジン供給装置
KR100247382B1 (ko) Bga 반도체패키지용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