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462A - 복합 편광판, 적층 광학 부재 및 그것들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편광판, 적층 광학 부재 및 그것들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462A
KR20100058462A KR1020107002787A KR20107002787A KR20100058462A KR 20100058462 A KR20100058462 A KR 20100058462A KR 1020107002787 A KR1020107002787 A KR 1020107002787A KR 20107002787 A KR20107002787 A KR 20107002787A KR 20100058462 A KR20100058462 A KR 20100058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adhesive layer
pressure
polarizing plate
composite pola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1794B1 (ko
Inventor
다카히토 가와무라
아츠시 구로카와
다다시 마타노
마모루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5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8Waveplates, i.e. plates with a retardation value of lambda/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편광자와 위상차판과 감압 접착제층을 구비하는 복합 편광판을 박형 경량화하는 동시에 그것이 적용된 화상 표시 장치의 밝기를 확보하여 표시상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발생하기 어렵게 하여 더욱 양호한 내구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자(1)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을 배치하고,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통하여 적어도 1매의 위상차판(5)을 적층하고, 편광자(1)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의 외측에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배치하여 복합 편광판(11)으로 한다. 제1 감압 접착제층(6)과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포함하여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 중 적어도 1층은 광 확산제를 함유하며, 23℃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구성한다. 이 복합 편광판(11)을 액정 셀(30) 등의 화상 표시 소자와 조합하여 화상 표시 장치로 한다.

Description

복합 편광판, 적층 광학 부재 및 그것들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COMPOSITE POLARIZING PLATE, LAMINATED OPTICAL MEMB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M}
본 발명은 편광자와 위상차판과 감압 접착제층을 구비하는 복합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그 복합 편광판을 다른 광학층에 적층한 적층 광학 부재 및 그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를 액정 셀 등의 화상 표시 소자와 조합한 화상 표시 장치에도 관계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종래부터 탁상계산기나 전자시계 등에 사용되어 왔지만, 근래 그 용도가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다. 즉, 휴대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대형 TV까지, 화면 크기를 불문하고 액정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또, 액정 표시 장치 이외에 유기 전계발광(유기 EL) 표시 장치도 모바일 용도를 중심으로 증가 경향에 있다. 이들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판도 수요가 증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용도에 적합한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널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의 양면에 액상 접착제를 통하여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으로 대표되는 투명 보호층을 적층한 구성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혹은 필요에 따라 접착제 또는 감압 접착제를 통하여 소정의 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차판이나 광학 보상판 등의 여러 가지의 광학층을 첩합(貼合)한 형태로 액정 셀이나 유기 EL 소자 등의 화상 표시 소자에 첩합하여 이용된다.
도 9에 이와 같은 종래의 편광판 및 거기에 위상차판을 적층한 복합 편광판의 일반적인 예를 단면 모식도로 나타내었다. 즉, 편광자(1)의 양면에 투명 보호층(2, 3)이 설치되어 편광판(40)이 구성되고 있다. 또, 그 한쪽의 투명 보호층(3) 측에 감압 접착제층(6)을 통하여 위상차판(5)이 첩합되고, 또한 그 외측에는 화상 표시 소자 등에 첩합하기 위한 감압 접착제층(7)이 설치되어 복합 편광판(41)이 구성되고 있다. 감압 접착제층(7)의 외측에는 화상 표시 소자 등에 첩합할 때까지 그 표면을 가착(假着) 보호하는 박리 필름(9)이 설치되는 것이 통례이다.
근래 휴대전화 등의 모바일 용도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디자인 면이나 휴대성 면에서 모듈 전체를 얇게 하여 슬림화하는 것이 진행되고 있다. 당연한 일이지만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에 대해서도 한층 더 박형경량화가 요망되고 있다. 또, 모바일화에 의해 사용 장소가 각종에 이르기 때문에 박형 경량 구성이면서 종래 이상의 내구성도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 및 경사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밝기가 확보되고, 또한 표시상(display image)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발생하기 어려운 박형 구성의 복합 편광판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은 편광자(1)의 양면에 투명 보호층(2, 3)을 설치하는 구성을 대신하여 위상차판(5) 등의 다른 광학 필름에 첩합되는 측의 투명 보호층(3)을 생략하고 편광자(1)에 접착제 또는 감압 접착제를 통하여 직접 위상차판(5) 등의 다른 광학 필름을 적층하여 편광판의 얇은 두께화를 도모하는 시도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특히 고온 환경하에 놓여졌을 때나 고온 환경과 저온 환경이 반복되었을 때에 편광자(1)의 신축에 수반되는 치수 변화가 커져서 충분한 내구성을 얻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투명 보호층으로서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다른 수지로 치환하는 제안도 종래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개 2000-199819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친수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그 필름을 용해하지 않는 용제에 의한 수지 용액을 도공(塗工)하고 투명 박막층 부착의 편광판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어 그 투명 박막층의 위에 투명 필름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배치하는 것도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개 2000-321430호 공보(특허 문헌 2)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와 2액형 접착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통하여 환상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보호막을 적층한 편광판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특개 2001-305345호 공보(특허 문헌 3)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시트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에 수성 고분자-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를 통하여 노르보넨계 수지로 이루어진 보호 필름을 적층한 편광판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 1~3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 내지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필름(노르보넨계 수지 필름도 거의 동의(同義))을 위상차판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하면 화상 표시 소자에 첩합되는 부재를 삭감하여 박형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그런데 편광자와 투명 고분자 필름의 적층에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그 접착제를 편광자에 도공하고 고분자 필름을 적층하여 경화시키는 방식이 되기 때문에 필름의 광학축을 편광자의 축에 대해 일정한 각도가 되도록 적층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특히 모바일 용도의 화상 표시 장치에 유용한 타원 또는 원편광 모드의 복합 편광판을 형성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또, 투명한 접착제를 통하여 편광자와 투명 고분자 필름을 첩합하는 것만으로는 그것을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투과형에서는 백라이트의 그림자나 화상 표시 소자의 얼룩짐이 발생하고, 반투과형에서는 반사판 표면의 요철에 의해 빛의 간섭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표시상에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시인성(視認性)을 높이는데도 한계가 있었다.
또한, 점착제(감압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노르보넨계 수지 필름을 편광자에 첩합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개 평6-51117호 공보(특허 문헌 4)에는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에 열가소성 포화 노르보르넨계 수지 필름을 보호층으로서 적층한 편광판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특개 평8-43812호 공보(특허 문헌 5)에는 편광자의 양측에 보호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에 있어서, 그 보호 필름의 적어도 한쪽을 동시에 위상차판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개시되고 있어 위상차판의 기능을 가지는 보호 필름의 예로서 열가소성 노르보넨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특허 문헌 4 및 5에는 편광자와 노르보넨계 수지 필름의 적층에 이용하는 점착제(감압 접착제)로서 천연 고무, 합성 고무·엘라스토머,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알킬에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표시상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을 없애고 시인성을 개량하기 위해 점착제에 광 확산제를 배합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을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점착제에 광 확산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에서는 베이스가 되는 점착제의 응집력 부족에서 기인하여 내구성에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구성 부재의 저감에 의한 박형화 및 경량화가 요망되는 모바일 용도의 편광판에 있어서는 얇고 양호한 내구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시인성도 뛰어난 편광판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광학 특성을 가지는 고분자 필름 또는 다른 광학층과의 적층 공정에 있어서도 그 제조 자유도가 높은 감압 접착제를 이용한 박형 편광판의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0-19981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0-321430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 2001-305345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개 평6-51117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개 평8-43812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편광자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을 배치하고, 다른 면에는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위상차판을 적층함으로써 부재의 저감에 의한 박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한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자와 위상차판을 접합하는 감압 접착제층으로부터 위상차판의 외측에 설치된 감압 접착제층에 이를 때까지(이것들을 포함함)의 사이에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 중 적어도 1층을 광 확산제가 배합된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그것이 적용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 및 경사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밝기를 확보하여, 표시상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생기기 어렵게 함과 아울러, 이러한 광 확산제가 배합된 감압 접착제층에 추가로 개량을 가함으로써 고온 환경하에 놓여졌을 때나 고온 환경과 저온 환경이 반복되었을 때에도 양호한 내구성을 발현할 수 있는 박형 구성의 복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이러한 복합 편광판을 다른 광학 기능을 나타내는 광학층과 조합하여 내구성 및 시인성이 뛰어난 적층 광학 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게다가 또, 본 발명의 또 하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를 액정 셀 등의 화상 표시 소자와 조합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이 배치되고, 편광자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적어도 1매의 위상차판이 적층되고, 편광자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의 외측에는 제2 감압 접착제층이 배치되어서 이루어지며, 제1 감압 접착제층 및 제2 감압 접착제층을 포함하여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의 중 적어도 1층은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23℃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편광자의 한쪽 면에 제1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위상차판을 적층함으로써 부재 매수의 저감에 의해 박형 경량화된 복합 편광판으로 하고 있다. 또, 제1 감압 접착제층 및 제2 감압 접착제층을 포함하여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 중 적어도 1층을 광 확산제가 배합된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그 복합 편광판이 적용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 및 경사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밝기를 확보하여 표시상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생기기 어렵게 하여 시인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해당 광 확산제가 배합된 감압 접착제층을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라고 하는 비교적 높은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구성함으로써 고온 환경하에 놓여졌을 때나 고온 환경과 저온 환경이 반복되었을 때에 감압 접착제층의 응집력 부족에 따른 내구성의 문제를 억제하고 있다.
상기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적어도 2층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은 그 중 적어도 1층이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구성되면 되며, 통상은 그 1층이 이 조건을 만족하면 된다. 또,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그 헤이즈값이 5% 이상이다. 헤이즈값이 5% 이상이면 시인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내구성 및 점착 물성의 점으로부터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헤이즈값은 20~9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0~7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그 두께가 1~4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1㎛ 미만이면 점착 물성이나 내구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또 40㎛를 넘으면 잔류 용제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의 두께는 3~25㎛가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자와 위상차판을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은 광 확산제의 유무에 관계없이 그 저장 탄성률이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사이의 값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3℃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15MPa 이상이면 편광자의 한쪽 면에밖에 투명 보호층을 가지지 않는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도 고온 환경하에서의 뛰어난 치수 안정성을 얻을 수 있으며, 또 23℃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10MPa 이하이면 편광자나 위상차판과의 충분한 접착성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위상차판이 1매인 경우 편광자와 위상차판 사이에 존재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 및 위상차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감압 접착제층 중 어느 한쪽이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면 되지만, 어느 쪽인가 하면 편광자와 위상차판을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에 광 확산제를 함유시키고, 또한 그 감압 접착제층이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위상차판을 2매 이용하는 경우 이들 2매의 위상차판은 제3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첩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편광자와 위상차판 사이에 존재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 편광자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감압 접착제층 및 2매의 위상차판을 접합하는 제3 감압 접착제층 중 어느 하나가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면 되지만, 어느 쪽인가 하면 편광자와 위상차판을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 또는 2매의 위상차판을 접합하는 제3 감압 접착제층에 광 확산제를 함유시키고, 또한 그 감압 접착제층이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자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감압 접착제층은 피착체에 첩합될 때까지 취급이 편리한 점에서 그 노출면에 실리콘계 등의 박리제로 처리되어 있는 박리 필름을 존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광학 부재는 위에서 특정한 복합 편광판의 어느 하나와 다른 광학 기능을 나타내는 광학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다른 광학 기능을 나타내는 광학층의 예로서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안티글래어층과 같은 표면 처리층, 또 반사층, 반투과 반사층, 휘도 향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자의 한쪽 면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층의 편광자와 접하는 면의 반대측에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안티글래어층 등의 표면 처리층을 설치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자의 한쪽 면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층의 편광자와 접하는 면의 반대측에 반사층 또는 반투과 반사층을 형성하여 반사형 또는 반투과 반사형 복합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자의 한쪽 면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층의 편광자와 접하는 면의 반대측에 접착제 또는 감압 접착제를 통하여 휘도 향상 필름을 첩합시켜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재이용이 가능한 복합 편광판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의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와, 액정 셀이나 유기 EL 소자와 같은 화상 표시 소자를 구비하는 것이다. 화상 표시 소자의 적어도 한측에, 상기한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가 배치된다. 통상은 상기한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에서의 편광자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의 외측에 배치된 제2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이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가 화상 표시 소자에 첩합된다.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편광자의 한쪽 면에 제1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위상차판을 적층하고 있기 때문에 부재 매수가 저감되어 박형 경량화되고 있다. 또, 이 제1 감압 접착제층 및 편광자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감압 접착제층을 포함하여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 중 적어도 1층에는 광 확산제를 함유시키고, 또한 그 광 확산제가 들어간 감압 접착제층을 23℃,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소정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높은 내구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시인성도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광학 부재는 상기의 복합 편광판에 다른 광학 기능을 나타내는 광학층을 적층한 것으로서 역시 박형 경량인 구성이며, 또한 내구성 및 시인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는 두께가 얇고 내구성 및 시인성도 뛰어난 화상 표시 장치를 공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에 대해 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에 대해 층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 및 적층 광학 부재를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실시예 4-11 및 비교예 4-5에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에서 (A)는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복합 편광판에 대해, 또 (B)는 비교예 2에서 얻어진 복합 편광판에 대해 각각 히트 쇼크 시험 후의 샘플을 편광자의 투명 보호층 측에서 본 확대 사진이다.
도 9는 종래의 복합 편광판에 대해 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적절히 첨부의 도면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복합 편광판]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에 대해 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1)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을 배치하고,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통하여 위상차판(5)을 적층하고, 또한 위상차판(5)의 외측에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배치하여 복합 편광판(11)으로 한다. 위상차판(5)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의 외측에는 화상 표시 소자 등에 첩합될 때까지 그 표면을 가착 보호하는 박리 필름(9)이 설치되는 것이 통례이다. 위상차판(5)을 복수 매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그런 경우에도 편광자(1)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의 외측에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배치한다.
그리고 편광자(1)와 위상차판(5)을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6) 및 위상차판(5)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포함하여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 중 적어도 1층은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구성한다. 저장 탄성률은 통상, 온도 상승에 수반하여 점감(漸減)되므로 23℃ 및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모두 상기 범위에 들어가 있으면 이 범위의 온도에 있어서 상기 범위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차판(5)이 1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 및 제2 감압 접착제층(7)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와 같이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면 된다. 이 경우 가장 광 확산 효율을 올려 시인성이 좋은 복합 편광판을 얻는 관점에서는 편광자(1)의 투명 보호층(2)과 접하는 면과 반대측 면에 배치되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에 광 확산제를 함유시키고, 그 감압 접착제층(6)이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도 접착제층 중에 발포가 생기는 일이 없고, 화상 표시 장치로 했을 경우에 휘도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밝기를 장시간 얻는 관점에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이 층 중의 광 확산제의 평균 입경을 0.1~20㎛로 하고, 이 층의 23℃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며, 또한 헤이즈값을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3℃ 및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상기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하는 것은 위상차판(5)을 통하여 설치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도 바람직하다. 즉, 액정 셀은 고가이기 때문에 복합 편광판을 붙여 손상시켰을 경우에는 박리하여 액정 셀을 재이용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있다. 이 경우에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하는 구성의 복합 편광판이면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재박리성의 감압 접착제층으로 할 수 있어 복합 편광판의 시인성과 재박리성을 양립할 수 있다. 또, 박형의 화상 표시 장치가 요망되고 있기 때문에 액정 셀의 유리 표면을 연삭하여 박형화를 도모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에는 유리 표면이 조면화된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조면화한 유리면에 첩부(貼付)하는 경우에도 제1 감압 접착제층(6)의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에 의해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을 방지하면서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조면(粗面)을 매입하는 것이 가능한 추종성이 높은 감압 접착제층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위상차판(5)의 외측에 배치되고 화상 표시 소자 등에 첩합되는 측의 제2 감압 접착제층(7)에 광 확산제를 함유시키고, 그 감압 접착제층(7)이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해당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을 가지는 복합 편광판은 첩합했을 경우에 양호한 내구성을 나타내어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도 접착제층 중에 발포가 생기는 일이 없으며, 또한 화상 표시 장치로 했을 경우에 휘도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밝기를 장시간 얻을 수 있는 관점에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이 층 중의 광 확산제의 평균 입경을 0.1~20㎛로 하고, 이 층의 23℃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며, 또한 헤이즈값을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23℃ 및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에 대해 층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위상차판(4)과 제2 위상차판(5)이 이용되고 있으며, 양 위상차판은 제3 감압 접착제층(8)을 통하여 적층되고 있다. 즉 이 예에서는, 편광자(1)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을 배치하고,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통하여 제1 위상차판(4)을 적층하고, 그 외 측에 제3 감압 접착제층(8) 및 제2 위상차판(5)을 순서대로 적층하며, 또한 제2 위상차판(5)의 외측에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배치하여, 복합 편광판(12)으로 하고 있다. 위상차판을 3매 이상 적층하는 경우도 각각의 위상차판은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첩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위상차판(5)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의 외측에는 통상 화상 표시 소자 등에 첩합시킬 때까지 그 표면을 가착 보호하는 박리 필름(9)이 설치되는 것은 도 1에 나타낸 예와 같다.
도 2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편광자(1)와 제1 위상차판(4)을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6), 제2 위상차판(5)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 및 제1 위상차판(4)과 제2 위상차판(5)을 접합하는 제3 감압 접착제층(8) 중 적어도 1층은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구성한다. 이 경우, 가장 광 확산 효율을 올려 시인성이 좋은 복합 편광판을 얻는 관점에서는 차례대로 투명 보호층(2), 편광자(1), 제1 감압 접착제층(6), 위상차판(4), 제3 감압 접착제층(8), 위상차판(5), 제2 감압 접착제층(7), 박리 필름(9)으로 적층된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에 있어서, 제1 감압 접착제층(6), 또는 제3 감압 접착제층(8) 중 어느 하나에 광 확산제를 함유시키고, 이 감압 접착제층이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도 접착제층 중에 발포가 생기는 일이 없고 화상 표시 장치로 했을 경우에 휘도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밝기를 장시간 얻는 관점에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이 층 중의 광 확산제의 평균 입경을 0.1~20㎛로 하고, 이 층의 23℃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며, 또한 헤이즈값을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3℃ 및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제1 감압 접착제층(6) 또는 제3 감압 접착제층(8)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하는 것은 액정 셀 등에 첩합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도 바람직하다. 즉, 액정 셀은 고가이기 때문에 복합 편광판을 붙여 손상시켰을 경우에는 박리하여 액정 셀을 재이용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있다. 이 경우에 제1 감압 접착제층(6) 또는 제3 감압 접착제층(8) 중 어느 하나를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하는 구성의 복합 편광판이면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재박리성의 감압 접착제층으로 할 수 있어 복합 편광판의 시인성과 재박리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 박형 화상 표시 장치가 요망되고 있는 것으로 인하여 액정 셀의 유리 표면을 연삭하여 박형화를 도모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에는 유리 표면이 조면화된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조면화한 유리면에 첩부하는 경우에도 제1 감압 접착제층(6) 또는 제3 감압 접착제층(8)의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에 의해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을 방지하면서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조면을 매입하는 것이 가능한 추종성이 높은 감압 접착제층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편광자(1)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5)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 또는 2매의 위상차판을 접합하는 제3 감압 접착제층(8)에 광 확산제를 함유시켜 그 감압 접착제층이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해당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을 가지는 복합 편광판은 첩합했을 경우에 양호한 내구성을 나타내어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도 접착제층 안에 발포가 생기는 일이 없고, 또한 화상 표시 장치로 했을 경우에 휘도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밝기를 장시간 얻는 관점에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이 층 중의 광 확산제의 평균 입경을 0.1~20㎛로 하고, 23℃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고, 또한 헤이즈값을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3℃ 및 8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편광자(1)의 한쪽 면에 배치되고, 위상차판(5 또는 4)과 접합하기 위한 제1 감압 접착제층(6) 및 편광자(1)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5)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포함하여 양 위상차판 사이에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 중 적어도 1층에는 광 확산제를 함유시키고 있다. 광 확산제를 함유하는 감압 접착제를 배치함으로써 그 복합 편광판이 적용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 및 경사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밝기가 확보되고 또한 표시상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 그 광 확산제가 들어간 감압 접착제층을,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라고 하는 비교적 높은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그 복합 편광판 혹은 그것을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가 고온 환경에 노출되거나 고온 환경과 저온 환경이 반복되거나 했을 때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해당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을 가지는 복합 편광판은 첩합했을 경우에 양호한 내구성을 나타내고,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도 접착제층 중으로부터의 발포가 생기는 일이 없으며, 또한 해당 복합 편광판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는 휘도 불균일이 없고, 균일한 밝기를 장시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이 층 중의 광 확산제를 평균 입경 0.1~20㎛인 것으로 하고, 23℃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며, 또한 이 층의 헤이즈값을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3℃ 및 8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1)의 한쪽 면에 직접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배치하고, 거기에 위상차판(5 또는 4)을 첩합한다. 그 때문에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보호층이 첩착되어 있는 종래의 편광판에 비해 고온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의 편광자(1)의 신축을 억제하는 힘이 작다. 따라서, 편광자(1)와 위상차판(5 또는 4)을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은 광 확산제의 유무에 관계없이 그 저장 탄성률이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사이의 값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감압 접착제층(6)을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하는 경우는 이 층의 광 확산제를 평균 입경 0.1~20㎛로 하고, 23℃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며, 또한 이 층의 헤이즈값을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3℃ 및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0.3~10MPa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편광자(1)와 위상차판(5 또는 4)을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저장 탄성률의 높은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복합 편광판 또는 그것을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가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의 혹은 고온 환경과 저온 환경이 반복되었을 때의 편광자(1)의 신축에 수반하는 치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편광자]
편광자(1)는 입사하는 자연광으로부터 직선편광을 꺼내는 기능을 가지는 필름이며,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편광자(1)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외, 아세트산 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아세트산 비닐에 공중합되는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암모늄기를 가지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100 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이다. 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추가로 변성되어 있어도 되며, 예를 들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500~5,000 정도이다.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한 것이 편광자(1)의 원반(原反) 필름으로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방법으로 제막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진 원반 필름의 막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150㎛ 정도이다. 연신의 용이함 등도 고려하면, 그 막 두께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1)는 이와 같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1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그 2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2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이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물 세정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2색성 색소로는 요오드나 2색성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투명 보호층]
편광자(1)의 한쪽 면에는 투명 보호층(2)이 배치된다. 이 투명 보호층(2)에는 적절한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명성이나 균일한 광학 특성, 기계 강도, 열 안정성 등이 뛰어난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나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나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필름, 폴리술폰계 수지 필름, 폴리이미드계 수지 필름,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노르보넨과 같은 환상 올레핀을 모노머로 하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1)와 투명 보호층(2)의 접착에는 접착제 또는 감압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투명 보호층(2)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방현층(防眩層) 등의 표면 처리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하드 코트층은 편광판 표면의 손상 방지를 위해서 형성되는 것이며 주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예를 들어 아크릴계나 실리콘계 등의 수지로부터 투명 보호층(2)과의 밀착성이나 경도가 뛰어난 것이 적절히 선정되어 투명 보호층(2)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은 편광판의 표면에서의 외광의 반사 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방현층은 편광판의 표면에 외광이 비쳐 발생하는 시인성의 저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샌드 블라스트 방식이나 엠보싱 가공 방식 등에 의한 조면화 방식이나,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투명 미립자를 혼합한 도공액을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방식 등에 의해 투명 보호층(4)의 표면에 요철 구성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상차판]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설치하고 거기에 적어도 1매의 위상차판(5 및/또는 4)를 첩착한다. 위상차판(4, 5)은 먼저 투명 보호층(2)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예시한 것과 같은 각종 투명 수지 필름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위상차판으로서 요구되는 특성, 즉 그 복굴절이 광학적으로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게 선택되어 편광자(1)의 보호 기능 및 액정 셀에 의한 위상차의 보상(시야각 보상의 의미도 포함함) 등을 목적으로 하여 사용된다. 그 예로서 종래부터 화상 표시 장치에 채용되어 온 것을 한정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각종 투명 수지의 연신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복굴절성 필름, 디스코틱(Discotic) 액정이나 네마틱(Nematic) 액정이 배향 고정된 필름, 기재 필름 상에 이와 같은 액정층이 형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 위에 액정층을 고정하는 경우, 배향 액정층을 지지하는 기재 필름으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복굴절성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폴리알릴레이트계, 폴리아미드계, 노르보넨과 같은 환상 올레핀을 모노머로 하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등을 들 수 있다. 연신 필름은 1축이나 2축 등의 적절한 방식으로 처리한 것이어도 된다. 또, 열수축성 필름과의 접착하에 수축력 및/또는 연신력을 가함으로써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제어한 복굴절성 필름도 이용할 수 있다.
위상차판으로는 특히 모바일 용도의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타원편광 또는 원편광 모드의 복합 편광판을 형성할 수 있는 파장판(λ/2판 또는λ/4판)이 유효하게 이용된다. 타원편광 또는 원편광 모드의 복합 편광판은 입사하는 편광이 직선편광인 경우는 타원편광 또는 원편광으로, 입사하는 편광이 타원편광 또는 원편광인 경우는 직선편광으로 바꾸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타원편광 또는 원편광을 직선편광으로, 직선편광을 타원편광 또는 원편광으로 바꿀 수 있는 위상차판으로서, 가시광의 어떤 파장 λ에 대해 1/4 파장의 면내 위상차를 부여하는 λ/4판으로 불리는 것이 사용된다. 또, 가시광의 어떤 파장 λ에 대해 1/2 파장의 면내 위상차를 부여하는 λ/2판은 직선편광의 방향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λ/4판으로는 예를 들어 면내 위상차가 90~160㎚ 정도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λ/2판으로는 예를 들어 면내 위상차가 200~300㎚ 정도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타원편광 모드의 복합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의 복굴절에 의해 생기는 착색 현상을 방지하는 경우 등에도 유효하고, 원편광 모드의 복합 편광판은 반사형 또는 반투과 반사형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휘도 향상의 목적 등에 유효하게 이용된다. 원편광 모드의 복합 편광판은 반사 방지 기능도 갖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차판을 1매로 구성하는 경우, 바람직한 위상차판(5)으로서 λ/4판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편광자(1)와 λ/4판(5)은 전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후자의 지상축(遲相軸)이 약 45° 또는 약 135°가 되도록 적층함으로써 이 복합 편광판(11)은 원편광판으로서 기능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차판을 2매로 구성하는 경우, 바람직한 위상차판의 조합으로서 편광자(1)측에 배치되는 제1 위상차판(4)이 λ/2판이며, 편광자(1)로부터 먼 측에 배치되는 제2 위상차판(5)이 λ/4판인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는 예를 들어, 편광자(1)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제1 위상차판인 λ/2판(4)의 지상축이 약 15°, 그리고 제2 위상차판인 λ/4판(5)의 지상축이 약 75°가 되도록, 혹은 제1 위상차판인 λ/2판(4)의 지상축이 약 75°, 그리고 제2 위상차판인 λ/4판(5)의 지상축이 약 195°가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이 복합 편광판(12)은 넓은 파장역에 걸쳐 원편광판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된다.
[감압 접착제층]
편광자(1)와 위상차판(5 또는 4)을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6), 편광자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5)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감압 접착제층(7), 또, 위상차판을 2매 이상 이용하는 경우에 각각을 접합하는 제3 감압 접착층(8)은 점착성 베이스 폴리머(점착성 수지라고도 함)를 가지는 점착성 재료에 의해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감압 접착제층 중 적어도 1층은 점착성 수지와 광 확산제를 함유하는 점착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다. 또한, 점착성 재료로 이루어진 층(이하, 점착성 재료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 그대로 감압 접착제층을 이루는 경우도 있으며, 점착성 재료층에 대해 열, 혹은 자외선, 전자선 등의 에너지선을 인가함으로써 감압 접착제층을 이루는 경우도 있다.
점착성 베이스 폴리머(점착성 수지)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 등의 베이스 폴리머를 들 수 있다. 또, 에너지선 경화형, 열경화형 등이라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뛰어난 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한 점착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점착성 수지로는 (A)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B)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A) 아크릴계 공중합체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메타)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양쪽 모두를 의미하며 다른 유사 용어도 이와 같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로는 각종 가교 방법에 따라 가교가 가능한 가교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와 같은 가교점을 가지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종래 점착제의 수지 성분으로서 관용되고 있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 중에서 임의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교점을 가지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로는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분자 내에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와, 원하는 바에 따라 이용되는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여기서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예로는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프로필, (메타)아크릴산부틸, (메타)아크릴산펜틸, (메타)아크릴산헥실, (메타)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데실, (메타)아크릴산도데실, (메타)아크릴산미리스틸, (메타)아크릴산팔미틸, (메타)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한편, 분자 내에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관능기로서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인 예로는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3-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등의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류; (메타)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모노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산모노에틸아미노프로필 등의 (메타)아크릴산모노알킬아미노에스테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시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해당 점착성 수지에 있어서, (A) 성분으로서 이용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그 공중합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랜덤, 블록, 그래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또, 분자량으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 50만 이상인 것이 통상 이용된다. 이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이면 피착체와의 밀착성이나 접착 내구성이 충분해져서 들뜸이나 벗겨짐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밀착성 및 접착 내구성 등을 고려하면 이 중량 평균 분자량은 60만~22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0만~20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 값이다.
또한, 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분자 내에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0.01~10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0.01 중량% 이상이면 후술하는 가교제와의 반응에 의해 가교가 충분해져서 내구성이 양호해진다. 한편, 10 중량% 이하이면 가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에 따른 액정 유리 셀이나 위상차판에 대한 첩합 적성의 저하가 없어 바람직하다. 내구성과 액정 유리 셀이나 위상차판에 대한 첩합 적성 등을 고려하면 이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 단위의 보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0.05~7.0 중량%이며, 특히 0.2~6.0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A) 성분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1종 이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해당 점착성 수지에 있어서, (B) 성분으로서 이용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는 분자량 1000 미만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 분자량 1000 미만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디시클로펜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히드로프탈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의 2관능형;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 관능형;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되지만 이들 중에서 골격 구조에 환상 구조를 가지는 것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상 구조는 탄소환식 구조라도 되고 복소환식 구조라도 되며, 또 단환식 구조라도 되며 다환식 구조라도 된다. 이와 같은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디(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것, 디메틸올디시클로펜탄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 디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또, (B) 성분으로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계, 폴리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아크릴레이트계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는 예를 들어 다가 카르복시산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양말단에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혹은 다가 카르복시산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올리고머의 말단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예를 들어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옥시란 환에 (메타)아크릴산을 반응하여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이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부분적으로 2염기성 카르복시산 무수물로 변성한 카르복실 변성형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도 이용할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법으로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 값으로 50,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5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40,000의 범위에서 선정된다. 이들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B) 성분으로서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기가 측쇄에 도입된 어덕트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어덕트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는 전술의 (A) 성분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에 있어서 설명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분자 내에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이용하고, 이 공중합체의 가교성 관능기의 일부에 (메타)아크릴로일기 및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하는 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어덕트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통상 50만~200만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B) 성분으로서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어덕트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중에서 적당히 1종을 선택하여 이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선택하여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A) 성분의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B) 성분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의 함유 비율은 얻어지는 감압 접착제층의 성능 면에서 중량비로 100:1~100:10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5~100: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10~100:40의 범위이다.
[광 확산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광 확산제는 감압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성 수지와는 굴절률이 상이한 미립자이면 되고,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미립자나 유기 화합물(폴리머)로 이루어진 미립자를 이용할 수 있다. 점착성 수지와 광 확산제와의 굴절률차는 통상 0.01 이상이며, 화상 표시 장치로 했을 경우의 밝기나 시인성을 고려하면 0.01 이상 0.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고려하면 점착성 수지의 굴절률이 통상 1.4 전후이기 때문에 광 확산제로서 사용되는 무기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미립자로서 하기의 것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산화알루미늄(굴절률 1.76), 산화규소(굴절률 1.45)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멜라민 비드(굴절률 1.57),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비드(굴절률 1.49),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비드(굴절률 1.50~1.59), 폴리카보네이트 비드(굴절률 1.55), 폴리에틸렌 비드(굴절률 1.53), 폴리스티렌 비드(굴절률 1.6), 폴리염화비닐 비드(굴절률 1.46), 에폭시 수지 비드(굴절률 1.5~1.6), 실리콘 수지 비드(굴절률 1.46)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점착성 수지의 (A) 성분으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선택했을 때는 에폭시 수지 비드,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비드, 실리콘 수지 비드가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대한 분산성이 뛰어나서 균일하고 양호한 광 확산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광 확산제로서 바람직하다. 또, 광 확산제로는 광 확산이 균일한 구상 또한 단분산성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광 확산제의 평균 입경은 0.1~20㎛의 범위이다. 평균 입경이 0.1㎛ 미만이면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했을 경우의 광 확산성이 저하되어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했을 경우에, 휘도 불균일이 없고 균일한 밝기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 한편, 평균 입경이 20㎛를 넘으면 화상의 콘트라스트에 악영향을 주며 또한 디스플레이의 화상 피치보다 커지는 경우에는 번쩍임이 발생한다. 이상의 점에서 이 광 확산제의 평균 입경은 0.5~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1~7㎛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광 확산제의 평균 입경은 원심침강 광투과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광 확산제의 배합량은 그것이 배합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에 필요하게 되는 헤이즈값나 그것이 적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밝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는 감압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성 수지에 대해 1~40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30 중량%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1 중량% 이상이면 휘도 불균일이 없고 균일한 밝기를 얻는다고 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한편 미립자의 함유량이 40 중량% 이하이면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을 필요 이상으로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의 점착성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C) 성분으로서 가교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 가교제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종래 아크릴계 점착성 수지에 있어서 가교제로서 관용되고 있는 것 중에서 임의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디알데히드류, 메틸올 폴리머, 아지리딘계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금속 알콕시드, 금속염 등을 들 수 있으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여기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 및 그들의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나아가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피마자유 등의 저분자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과의 반응물인 어덕트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 그 사용량은 가교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 (A) 성분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통상 0.01~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성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D) 성분으로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액정 유리 셀 등에 첩합하는 경우에 감압 접착제층과 유리 셀 사이의 밀착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이 실란 커플링제로는 분자 내에 알콕시시릴기를 적어도 1개 가지는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 감압 접착제 성분과의 상용성이 좋고, 또한 광 투과성을 가지는 것, 예를 들어 실질상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실란 커플링제의 첨가량은 상기 (A) 성분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0.001~10 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0.005~5 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구체예로는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가지는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성 재료에는 본 발명의 목적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아크릴계 점착성 수지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어 점착 부여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연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점착성 수지로서 상기 (B) 성분을 함유하는 점착성 재료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이루어진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을 이용하여 가교를 실시함으로써 이 감압 접착제층 전체를 일그러짐없이 순식간에 또한 균질하게 가교할 수 있으며 또, 본 발명의 저장 탄성률을 얻는데 있어서도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활성 에너지선으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은 고압 수은 램프, 무전극 램프, 크세논 램프 등에서 얻어지며, 한편 전자선은 전자선 가속기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활성 에너지선 중에서는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선을 사용하는 경우는 광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는 일 없이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를 형성할 수 있다.
해당 점착성 재료에 대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량으로는 후에 상술하는 저장 탄성률, 무알칼리 유리에 대한 점착력을 가지는 점착제를 얻을 수 있도록 적절히 선정되지만, 자외선의 경우는 조도 50~1000mW/㎠, 광량 50~1000mJ/㎠, 전자선의 경우는 10~1000krad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광 확산제가 배합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그 복합 편광판이 적용된 화상 표시 장치의 밝기를 확보하는 동시에 표시상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생기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그 헤이즈값이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90%의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75%이다. 헤이즈값은 JIS K7105에 규정되어(확산 투과율/전광선 투과율)×100(%)으로 나타나는 값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겔 분율이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기 용매로 추출될 정도의 저분자량 성분이 적은 경우는 가열하나 온열하의 환경에서 들뜸이나 벗겨짐, 피착체에 대한 오염이 적고, 겔 분율이 60% 이상인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내구성이나 안정성이 높다. 겔 분율은 또한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0~99.9%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은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을 가지는 복합 편광판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액정 유리 셀에 접착시킴으로써 제작한 화상 표시 장치는 고온 고습 환경하에서도 광 누출이 발생하기 어려운데다가 표시상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상당히 억제되고 있는 점에서도 뛰어나다. 또, 겔 분율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무알칼리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0.2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착력이 0.2N/25㎜ 이상이면 편광판 등의 광학 기능성 필름을 충분한 점착력으로 예를 들어 액정 유리 셀에 첩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점착력은 1.0~50N/25㎜이다.
또,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점착력이 5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착력이 5N/25㎜ 이상이면 예를 들어 편광판을 충분한 점착력으로 위상차판에 첩합할 수 있다. 또, 상기 점착력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80℃에서의 유지력이 70000초 후의 어긋남양(量)으로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어긋남양이 200㎛ 이하이면 편광판 등의 광학 기능성 필름을 예를 들어 액정 유리 셀에 첩합했을 경우에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한 첩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어긋남양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또한, 상기 어긋남양(유지력)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광 확산제가 배합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의 두께는 그 접착력 등에 따라 결정되지만 통상은 1~4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인 박형 복합 편광판으로 하기 위해서는 가공성이나 내구성 등의 특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얇게 바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의 두께는 3~25㎛로 하는 것이 양호한 가공성을 유지하고, 높은 내구성을 나타내며, 또 화상 표시 장치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나 경사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밝기를 유지하여 표시상의 흐릿함이나 선명하지 못함이 생기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또 본 발명에서는 광 확산제가 배합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23℃에 있어서 0.15~10MPa,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4~3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도록 한다. 또한, 이 감압 접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은 JIS K7244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통상의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그것용의 광학 필름에 이용되고 있는 감압 접착제층은 그 저장 탄성률이 23℃에 있어서 겨우 0.1MPa 정도이며, 그에 비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감압 접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0.15~10MPa는 높은 값이 된다. 이러한 높은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즉 딱딱한 감압 접착제층을 이용함으로써 고온 환경하에 놓여졌을 때나 고온 환경과 저온 환경이 반복되었을 때의 응집력 부족을 보충할 수 있어 그 때에 발생하는 편광자의 수축에 수반하는 치수 변화를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양호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23℃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MPa 이하이면 점착력의 관점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것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광 확산제가 배합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을 상기와 같이 높게 유지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높은 저장 탄성률로 하기 위해서는 베이스가 되는 점착성 수지를 이와 같은 높은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성하면 된다.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을 이와 같은 높은 값으로 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점착성 수지로서 (A)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B)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 이루어진 점착성 재료에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것이 높은 저장 탄성률을 나타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편광자(1)와 위상차판(5 또는 4)를 접합하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은 광 확산제의 유무에 관계없이 바람직하게는 23℃에 있어서 0.15~10MPa,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및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광 확산제없이 이와 같은 높은 저장 탄성률로 하는 경우도 상기와 같은 방법을 취할 수 있다.
[감압 접착제층의 형성과 복합 편광판의 제작]
감압 접착제층 또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을 편광자(1)의 표면이나 위상차판(5 또는 4)의 표면에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 용매에 점착성 재료를 용해 또는 분산시켜 10~40 중량%의 용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감압 접착제층이 형성되어야 할 편광자 또는 위상차판의 표면에 직접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실리콘계 등의 이형제에 의한 처리가 실시된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박리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이나 상기와 같은 박리 필름 위에 감압 접착제층을 형성한 후 편광자 또는 위상차판에 전사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감압 접착제층을 편광자 또는 위상차판의 표면에 형성할 때 필요에 따라서 편광자 또는 위상차판의 감압 접착제층 형성면 및 감압 접착제층의 편광자 또는 위상차판에 첩합되는 면 중 한쪽 또는 쌍방에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등을 실시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편광자(1)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이 배치되고,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통하여 위상차판(5)을 1매만 적층하며, 또한 그 위상차판(5)의 외측에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배치하는 경우는 편광자(1)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이 첩합되고,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이 설치된 감압 접착제 부착 편광판을 준비하며, 또, 위상차판(5)의 한쪽 면에 제2 감압 접착제층(7)이 설치된 감압 접착제 부착 위상차판을 준비하여 양자를 제1 감압 접착제층(6)과 위상차판(5)이 겹치도록 적층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 외에 예를 들어 위상차판(5)의 양면에 각각 제1 감압 접착제층(6) 및 제2 감압 접착제층(7)이 설치된 양면 감압 접착제 부착 위상차판을 준비하고, 이것과 편광자(1)의 한 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이 첩합된 편광판을 제1 감압 접착제층(6) 및 편광자(1)가 겹치도록 적층할 수도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편광자(1)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이 배치되고,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을 통하여 제1 위상차판(4), 제3 감압 접착제층(8), 제2 위상차판(5) 및 제2 감압 접착제층(7)을 차례차례 적층하는 경우는 편광자(1)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이 첩합되고,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이 설치된 감압 접착제 부착 편광판을 준비하며, 또 제1 위상차판(4)의 한쪽 면에 제3 감압 접착제층(8)이 설치된 제1 감압 접착제 부착 위상차판 및 제2 위상차판(5)의 한쪽 면에 제2 감압 접착제층(7)이 설치된 제2 감압 접착제 부착 위상차판을 준비하여 이것들을 차례차례 제1 감압 접착제층(6)과 제1 위상차판(4)이 겹치도록 또 제3 감압 접착제층(8)과 제2 위상차판(5)이 겹치도록 각각 적층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 외에 예를 들어 편광자(1)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2)이 첩합되고, 편광자(1)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6)이 설치된 감압 접착제 부착 편광판을 준비하며, 또 제2 위상차판(5)의 양면에 각각 제3 감압 접착제층(8) 및 제2 감압 접착제층(7)이 설치된 양면 감압 접착제 부착 위상차판을 준비하여, 감압 접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1 감압 접착제층(6)과 양면 감압 접착제 부착 위상차판의 제3 감압 접착제층(8) 사이에 제1 위상차판(4)을 사이에 두고 적층하는 등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편광자와 위상차판을 적층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기술에 의해 적층하면 된다. 그 예로는 첩합 롤 등을 이용하여 편광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위상차판의 지상축이 직교 또는 평행이 되도록 적층하는 방법이나 편광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위상차판의 지상축이 소정 각도가 되도록 적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편광자의 편광 투과축과 위상차판의 지상축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적층하여 원편광 또는 타원편광 모드로 하는데 유효하게 이용된다.
[적층 광학 부재]
또,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그 사용시에 다른 광학 기능을 나타내는 광학층을 1층 또는 2층 이상 적층하여 적층 광학 부재로 할 수 있다. 다른 광학층의 예로서 먼저 투명 보호층(2)의 표면에 설치할 수 있는 층으로서 예시한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방현층 등의 표면 처리층 외, 반사층, 반투과 반사층, 확산층, 휘도 향상 필름, 집광판 등을 들 수 있다.
반사형의 복합 편광판은 시인 측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어 백라이트 등의 광원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를 박형화하기 쉽다. 또 반투과 반사형의 복합 편광판은 밝은 곳에서는 반사형으로 하고 어두운 곳에서는 백라이트 등의 광원을 이용하는 투과형으로 하여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된다. 반사형 복합 편광판으로 하기 위한 반사층은 예를 들어 편광자(1) 위의 투명 보호층(2)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박(箔)이나 증착막을 부설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반투과 반사형의 복합 편광판으로 하기 위한 반투과 반사층은 상기의 반사층을 하프미러로 하는 방법이나 펄 안료 등을 함유하여 광 투과성을 나타내는 반사판을 투명 보호층(2)에 접착하는 방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확산형 복합 편광판은 입사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갖게 한 것이며, 예를 들어 투명 보호층(2)에 매트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 미립자 함유 수지를 도포하는 방법, 미립자 함유 필름을 접착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의 광 확산층을 형성한다.
또한 반사 확산 양용의 복합 편광판은 예를 들어 확산형 복합 편광판의 미세 요철 구조면에 그 요철 구조가 반영된 반사층을 설치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확산 반사층을 설치한 것이다.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은 입사광을 난반사에 의해 확산시켜 지향성이나 번쩍임을 방지하고 명암이 고르지 못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 등을 갖는다. 또, 미립자를 함유한 수지층이나 필름은 입사광 및 그 반사광이 그 층을 투과할 때에 확산되어 명암이 고르지 못하게 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는 등의 이점도 가지고 있다.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반영시킨 반사층은 예를 들어 진공 증착, 이온 플레이팅, 스퍼터링 등의 증착이나 도금 등의 방법에 의해 금속을 미세 요철 구조의 표면에 직접 부설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배합하는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0.1~30㎛인 실리카,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 등으로 이루어진 무기계 미립자, 가교 또는 미가교의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진 유기계 미립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은 입사하는 자연광의 일부를 직선편광 또는 원편광으로서 투과하고 나머지를 반사하여 재이용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있어서 휘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이용된다. 그 예로는 굴절률의 이방성이 서로 다른 박막 필름을 복수 매 적층하여 반사율에 이방성이 생기도록 설계된 반사형 직선편광 분리 시트, 콜레스테릭(cholesteric)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이나 그 배향 액정층을 기재 필름 위에 지지한 반사형 원편광 분리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집광판은 광로 제어 등을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프리즘 어레이 시트(prism array sheet)나 렌즈 어레이 시트(lens array sheet) 혹은 도트 부설 시트 등으로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각종 광학층의 일부는 도포나 증착 등에 의해 투명 보호층(2)의 표면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또, 필름상으로 준비되는 광학층은 접착제 또는 감압 접착제를 이용하여 복합 편광판과 일체화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 이용되는 접착제 또는 감압 접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당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접착 작업의 간편성이나 광학적 변형의 발생 방지 등의 관점에서는 감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 접착제의 예로는 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 등의 베이스 폴리머로 이루어진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감압 접착제층(6, 7, 8)에 이용하는 것으로서 예시한 것과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의 베이스 폴리머(점착성 수지)를 가지는 감압 접착제와 같이 광학적 투명성이 뛰어나고 적당한 습윤성이나 응집력을 유지하여 기재와의 접착성도 뛰어나며 나아가서는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을 가져, 가열이나 가습 조건하에서 들뜸이나 벗겨짐 등의 박리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는 각종 화상 표시 소자와 조합하여 화상 표시 장치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 셀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배치하여 액정 표시 장치로 할 수 있다. 이용되는 액정 셀은 임의이며,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형으로 대표되는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형인 것, 슈퍼 트위스티드 네마틱(Super Twisted Nematic)형으로 대표되는 단순 매트릭스 구동형인 것 등 여러 가지 액정 셀을 사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액정 셀의 양측에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는 양면에 같은 것을 배치해도 되고 다른 것을 배치해도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 및 적층 광학 부재를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이 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복합 편광판(11)으로부터 박리 필름(9)을 벗긴 상태의 것이 그 제2 감압 접착제층(7)측에서 액정 셀(30)의 한쪽 면(도면에서는 상측)에 첩착되고, 그리고 액정 셀(20)의 다른 면(도면의 하측)에는 제2 감압 접착제층(7)/위상차판(5)/제1 감압 접착제층(6)/편광자(1)/투명 보호층(2)의 순서로 적층되며(이 상태에서 도 1에 나타낸 복합 편광판(11)에 상당함), 또한 그 외측에 다른 광학층(18)이 적층된 적층 광학 부재(20)가 그 제2 감압 접착제층(7)측에서 첩착되어 있다. 이 예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도면의 상측이 시인 측이 되어 백라이트를 배치하는 경우는 도면의 하측에 백라이트가 설치된다. 이 경우의 다른 광학층(18)은 반사층, 반투과 반사층, 휘도 향상 필름, 집광판 등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복합 편광판(11)을 액정 셀(30)과 조합시키는 예를 나타냈지만 도 2에 나타낸 복합 편광판(12)을 액정 셀과 조합하여 액정 표시 장치로 하는 경우는 도 3에서의 복합 편광판(11)을 도 2에 나타낸 복합 편광판(12)으로 바꿔놓으면 되는 것이 위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 이외의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평면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반사 방지 기능을 가지는 원편광 또는 타원편광 모드에도 유효하게 이용된다. 물론,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가 적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는 여기에 예시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예에 있어서 위상차값은 589㎚의 파장에서 측정한 값이며, 저장 탄성률, 점착력, 헤이즈값, 겔 분율, 유지력, 복합 편광판의 평가, 평균 입경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1) 저장 탄성률의 측정 방법
감압 접착제층의 저장 탄성률(G')은 JIS K7244에 준거하여 8㎜φ×1㎜ 두께의 원기둥을 시험편으로 하고, REOMETRIC사제의 측정기 "DYNAMIC ANALYZER RDA Ⅱ"를 이용하여, 23℃ 및 80℃의 조건하에서 주파수 1Hz의 비틈 전단법으로 구하였다.
(2) 점착력(무알칼리 유리 및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점착력)
복합 편광판(13)으로부터 25㎜ 폭, 100㎜ 길이의 샘플을 2개 잘라내고 박리 필름(9)을 벗겨(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의 두께 25㎛), 무알칼리 유리[코닝사제 「1737」]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판[데이진카세이사제 「퓨어 에이스 C110-100(상품명)」]에 첩부한 후, 쿠리하라 제작소제 오토클레이브에서 0.5MPa, 50℃, 20분간의 조건으로 가압하였다. 그 후, 23℃, 상대습도 50%의 환경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동일 환경하에서 인장 시험기(오리엔텍사제 텐시론)를 이용하여 박리 속도 300㎜/min, 박리 각도 180°의 조건으로 측정한 값을 점착력으로 하였다.
(3)헤이즈값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단독)상의 박리 필름을 박리 제거하고, JIS K7105에 준거하고 적분구식 광선 투과율 측정 장치(일본전색공업제 「NDH-2000」)를 이용하여 확산 투과율(Hd%)과 전광선 투과율(Ht%)을 측정하여 하기 식으로 산출하였다.
헤이즈값(%) = Hd/Ht×100
(4) 겔 분율
두께 25㎛의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단독)을 80㎜×80㎜의 크기로 샘플링하여 박리 필름을 박리 제거한 후 폴리에스테르제 메쉬(메쉬 크기 200)에 싸서 이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만의 무게를 정밀 천칭으로 칭량하였다. 이 때의 무게를 M1로 한다. 속슬렛(추출기)을 이용하여 아세트산에틸 용제에 이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을 침지시키고 환류를 실시하여 16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 이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을 꺼내어 온도 23℃, 상대습도 50%의 환경하, 24시간 바람 건조시키고, 추가로 80℃의 오븐 중에서 12시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이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만의 무게를 정밀 천칭으로 칭량하였다. 이때의 무게를 M2로 한다. (M2/M1)×100(%)으로 표시되는 값을 겔 분율로 한다.
(5) 유지력
복합 편광판으로부터 25㎜ 폭, 150㎜ 길이의 샘플을 잘라내고 박리 필름을 벗겨 25㎜×25㎜(면적)가 시험판에 접하도록 첩부한 후 샘플의 위로부터 2㎏의 롤러를 속도 300㎜/min로 한번 왕복시키고 이 복합 편광판을 시험판에 압착하였다. 그 후 23℃, 상대습도 50%의 환경하에서 2시간 방치하고, 일본 특개 평11-23449호 공보에 기재된 유지력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하중을 1000g으로 하고 80℃의 환경하에서 70000초 후에서의 어긋남양을 측정하였다. 시험판으로는 JIS-G-4305에 규정한 두께 1.5~2.0㎜의 SUS-304 강판을, JIS-R-6253에 규정한 360번의 내수성 연마지로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연마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 유지력 측정 장치의 측정 센서로는 디지털 인디케이터(주식회사 미츠토요제 「DEGIMATIC INDICATOR」)를 사용하였다.
(6) 복합 편광판의 평가
복합 편광판을 재단 장치(오기노 정밀기계제작소사제 슈퍼 커터「PN1-600」)에 의해 233㎜×309㎜ 크기로 조정한 후 무알칼리 유리[코닝사제 「1737」]에 첩합 후 쿠리하라 제작소사제 오토클레이브에서 0.5MPa, 50℃, 20분간의 조건으로 가압하였다. 그 후, 하기의 각 내구 조건의 환경하에 투입하고 200 시간 후에 10배율 확대경을 이용하여 관찰을 하여 이하의 판정 기준으로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 4변에 있어서 외주 단부(端部)로부터 0.3㎜ 이상의 영역에 결점이 없는 것.
○: 4변에 있어서 외주 단부로부터 0.6㎜ 이상의 영역에 결점이 없는 것.
×: 4변 중 어느 한 변에 외주 단부로부터 0.6㎜ 이상의 영역에 들뜸, 벗겨짐, 발포, 줄무늬 등의 0.1㎜ 이상의 복합 편광판의 외관 이상 결점이 있는 것.
<내구 조건>
80℃, 90℃, 60℃·상대습도 90% 환경,
-40℃⇔85℃의 각 30분의 히트 쇼크 시험, 50 사이클
(7) 평균 입경의 측정
광 확산제 1.2g과 이소프로필알코올 98.8g으로 이루어진 액을 충분히 교반한 것을 측정용 시료로 하여 원심식 자동입도분포 측정장치(호리바 제작소제 「CAPA-700」)를 이용하여 원심침강 광투과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8)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
GPC 측정 장치: 토소(주)사제 HLC-8020
GPC 칼럼(이하의 순서로 통과): 토소(주)사제
TSK guard column HXL-H
TSK gel GMHXL(×2)
TSK gel G2000HXL
측정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측정 온도: 40℃
또 이하의 예에 있어서는 감압 접착제층으로서 다음의 것을 이용하였다.
감압 접착제층 A: 아크릴산부틸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배합되고, 추가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첨가된 유기용제 용액을 이형 처리가 실시된 두께 38㎛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박리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도공하고 건조하여, 25㎛의 두께로 형성된 시트상 점착제. 감압 접착제층 A의 저장 탄성률은 23℃에 있어서 0.41MPa, 80℃에 있어서 0.22MPa였다.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A: 감압 접착제층 A와 같은 조성의 유기 용제 용액에 평균 입경 4.5㎛의 실리콘 수지 입자가 배합된 것을 이형 처리가 실시된 두께 38㎛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박리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도공하고 건조하여, 25㎛의 두께로 형성된 시트상 점착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A의 저장 탄성률은 23℃에 있어서 0.41MPa, 80℃에 있어서 0.22MPa였다. 또, 헤이즈값은 45%였다.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 B: 이형 처리가 실시된 두께 38㎛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박리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A에 배합되어 있는 것과 같은 실리콘 수지 입자가 배합되고, 25㎛의 두께로 형성된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층이 설치되어 있는 시판의 시트상 점착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배합되어 있지 않다.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광 확산제를 함유한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감압 접착제층을 말함. 이하 동일) B의 저장 탄성률은 23℃에 있어서 0.05MPa, 80℃에 있어서 0.04MPa였다. 또, 헤이즈값은 45%였다.
[실시예 1]
(a) 감압 접착제층 부착 편광판
폴리비닐알코올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두께 25㎛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한쪽 면에 두께 4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으로 이루어진 투명 보호층이 에폭시계 접착제를 통하여 첩합된 편광판을 준비하였다. 그 편광자측에, 상기한 감압 접착제층 A를 첩합하여 투명 보호층/편광자/감압 접착제층 A/박리 필름의 구성인 감압 접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b)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
노르보넨계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40㎛이고 면내 위상차가 140㎚인 위상차판(세키스이 화학공업(주)제의“에스시나 필름")(λ/4판)의 한쪽 면에 상기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A를 첩합하여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을 제작하였다.
(c) 복합 편광판의 제작
상기 (a)에서 제작한 감압 접착제층 부착 편광판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한 후 그 감압 접착제층 측에, 상기 (b)에서 제작한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의 위상차판 측(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 설치되지 않은 측)을 그 위상차판의 지상축이 편광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45°가 되도록 첩합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도 4에 여기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을 단면 모식도로 나타낸다. 즉, 이 예에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13)은 이하의 층 구성을 가지고 있다.
투명 보호층(2)/편광자(1)/제1 감압 접착제층(6)(25㎛)/위상차판(λ/4판)(5)/제2 감압 접착제층(7a)(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25㎛)/박리 필름(9).
또한, 도 4에서는 적층 순서를 알 수 있도록 감압 접착제층(6)과 λ/4판(5) 사이를 이간시켜 표시하고 있지만 이것들은 실제로는 밀착해 있는 것이 위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도 5 및 도 6에서도 감압 접착제층과 거기에 첩합된 위창차판의 사이를 이간시켜 표시하고 있으나 도 4와 같은 취지이다.
(d) 복합 편광판의 평가
상기 (c)에서 얻어진 복합 편광판(13)으로부터 박리 필름(9)을 박리하고, 노출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7a)을 유리판에 첩부하고, 0.5MPa, 50℃에서 20분간의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실시하여 복합 편광판을 유리판에 밀착시켰다. 이 상태에서 -40℃의 분위기에 30분 두고, 이어서 +85℃의 분위기로 옮겨 30분 두는 것을 1 사이클로 하고, 이것을 50 사이클 반복하는 히트 쇼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후의 복합 편광판에 결함은 관찰되지 않고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실시예 2]
(a) 감압 접착제층 부착 편광판
실시예 1의 (a)와 동일하게 하여 투명 보호층/편광자/감압 접착제층 A/박리 필름의 구성인 감압 접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b)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
노르보넨계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빛의 파장 λ에 대해 λ/2인 270㎚의 면내 위상차를 가지며, 두께가 33㎛인 위상차판(세키스이 화학공업(주)제의“에스시나 필름")(λ/2판)의 한쪽 면에 두께 15㎛의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가 적층되어 있는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λ/2판)을 준비하였다. 또 노르보넨계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빛의 파장 λ에 대해 λ/4인 90㎚의 면내 위상차를 가지며, 두께가 28㎛인 위상차판(세키스이 화학공업(주)제의“에스시나 필름")(λ/4판)의 한쪽 면에 상기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A를 첩합하여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λ/4판)을 제작하였다.
(c) 복합 편광판의 제작
상기 (a)에서 제작한 감압 접착제층 부착 편광판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 한 후 그 감압 접착제층 측에 상기 (b)에서 준비한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λ/2판)의 λ/2판 측(감압 접착제층이 설치되지 않은 측)을 그 λ/2판의 지상축이 편광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15°가 되도록 첩합하고, 추가로 그 감압 접착제층 측에 상기 (b)에서 제작한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λ/4판)을 그 λ/4판 측(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 설치되지 않은 측)을 그 λ/4판의 지상축이 λ/2판의 지상축에 대해 60°(편광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75°)가 되도록 첩합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도 5에 여기에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을 단면 모식도로 나타낸다. 즉, 이 예로 제작한 복합 편광판(14)은 이하의 층 구성을 가지고 있다.
투명 보호층(2)/편광자(1)/제1 감압 접착제층(6)(25㎛)/위상차판(λ/2판)(4)/제3 감압 접착제층(8)(15㎛)/위상차판(λ/4판)5/제2 감압 접착제층(7a)(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25㎛)/박리 필름(9).
(d) 복합 편광판의 평가
상기 (c)에서 얻어진 복합 편광판에 대해 실시예 1의 (d)와 같은 히트 쇼크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예에서도 시험 후의 복합 편광판에 결함은 관찰되지 않고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실시예 3]
(a) 감압 접착제층 부착 편광판
실시예 1의 (a)와 동일하게 하여 투명 보호층/편광자/감압 접착제층 A/박리 필름의 구성인 감압 접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b)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
노르보넨계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빛의 파장 λ에 대해 λ/2인 270㎚의 면내 위상차를 가지며, 두께가 33㎛인 위상차판(세키스이 화학공업(주)제의“에스시나 필름")(λ/2판)의 한쪽 면에 상기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A를 첩합하여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λ/2판)을 제작하였다. 또, 노르보넨계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빛의 파장 λ에 대해 λ/4인 90㎚의 면내 위상차를 가지는 위상차판(세키스이 화학공업(주)제의“에스시나 필름")(λ/4판)의 한쪽 면에 두께 15㎛의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가 적층되어 있는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λ/4판)을 준비하였다.
(c) 복합 편광판의 제작
상기 (a)에서 제작한 감압 접착제 부착 편광판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 한 후 그 감압 접착제층 측에 상기 (b)에서 제작한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λ/2판)의 λ/2판 측(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 설치되지 않은 측)을 그 λ/2판의 지상축이 편광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15°가 되도록 첩합 하고, 또한 그 감압 접착제층 측에 상기 (b)에서 준비한 감압 접착제층 부착 위상차판(λ/4판)을 그 λ/4판 측(감압 접착제층이 설치되지 않은 측)을 그 λ/4판의 지상축이 λ/2판의 지상축에 대해 60°(편광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75°)가 되도록 첩합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도 6에 여기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을 단면 모식도로 나타낸다. 즉, 이 예에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15)은 이하의 층 구성을 가지고 있다.
투명 보호층(2)/편광자(1)/제1 감압 접착제층(6)(25㎛)/위상차판(λ/2판)(4)/제3 감압 접착제층(8a)(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25㎛)/위상차판(λ/4판)(5)/제2 감압 접착제층(8)(15㎛)/박리 필름(9).
(d) 복합 편광판의 평가
상기 (c)에서 얻어진 복합 편광판에 대해 실시예 1의 (d)와 같은 히트 쇼크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예에서도 시험 후의 복합 편광판에 결함은 관찰되지 않고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b)에 있어서, λ/4판의 한쪽 면에 첩합하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A를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 B로 변경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복합 편광판에 대해 실시예 1의 (d)와 같은 히트 쇼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후의 복합 편광판에는 기포가 관찰되었다.
[비교예 2]
실시예 2의 (b)에 있어서, λ/4판의 한쪽 면에 첩합하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 A를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 B로 변경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복합 편광판에 대해 실시예 1의 (d)와 같은 히트 쇼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후의 복합 편광판에는 기포가 관찰되었다.
[비교예 3]
실시예 3의 (b)에 있어서, λ/2판의 한쪽 면에 첩합하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 A를,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 B로 변경하고, 그 결과 λ/2판과 λ/4판 사이에 저장 탄성률이 작은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 B가 배치되도록 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복합 편광판에 대해 실시예 1의 (d)와 같은 히트 쇼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후의 복합 편광판에는 기포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주된 조건과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또,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히트 쇼크 시험 후의 샘플의 대표예로서 실시예 2의 샘플을 편광자의 투명 보호층 측에서 본 확대 사진을 도 8의 (A)에, 그리고 비교예 2의 샘플을 편광자의 투명 보호층 측에서 본 확대 사진을 도 8의 (B)에 각각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 (B)에 나타내는 비교예 2의 샘플에서는 타원 모양으로 비치고 있는 복수의 기포가 관찰되는데 비해 (A)에 나타난 실시예 2의 샘플에서는 이러한 기포가 관찰되지 않고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 C~L:
표 2에 나타낸 조성(고형분)의 점착성 재료의 아세트산에틸 용액(고형분 14 중량%)을 조제하고, 두께 38㎛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박리 필름[린텍사제 「SP-PET3811」]의 박리층 위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나이프식 도공기로 도포한 후 90℃에서 1분간 건조 처리하여 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 C~L을 형성하였다.
광 확산제 비함유 점착성 재료층 C~L:
표 2에 나타난 조성(고형분)으로부터 실리콘 비드를 제외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점착성 재료의 아세트산에틸 용액(고형분 14 중량%)을 조제하고, 두께 38㎛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박리 필름[린텍사제 「SP-PET3811」]의 박리층 위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나이프식 도공기로 도포한 후 90℃에서 1분간 건조 처리하여 광 확산제 비함유 점착성 재료층 C~L을 형성하였다.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C~J 및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 K~L:
상기 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 C~L에 대해 하기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단독) C~J 및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단독) K~L을 얻었다. 또한, 이들 감압 접착제층은 표 3의 저장 탄성률, 헤이즈값, 겔 분율의 값의 산출에 이용하였다.
<자외선 조사 조건>
· 퓨전사제 무전극 램픔 H 벌브 사용
· 조도 600mW/㎠, 광량 150mJ/㎠
자외선 조도·광량계는 아이그랙픽스사제 「UVPF-36」을 사용하였다.
(a') 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 부착 편광판
폴리비닐알코올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두께 25㎛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한쪽 면에 두께 4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으로 이루어진 투명 보호층이 에폭시계 접착제를 통하여 첩합된 편광판을 준비하였다. 그 편광자측에 표 3에 따라 상기 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을 첩합시켜 투명 보호층/편광자/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박리 필름의 구성인 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 부착 편광판을 작성하였다.
(b') 광 확산제 비함유 점착성 재료층 부착 위상차판
노르보넨계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40㎛이며 면내 위상차가 140㎚인 위상차판(세키스이 화학공업(주)제의 “에스시나 필름")(λ/4판)의 한쪽 면에 상기 광 확산제 비함유 점착성 재료층을 첩합시키고, 위상차판(λ/4판)/광 확산제 비함유 점착성 재료층/박리 필름의 구성인 광 확산제 비함유 점착성 재료층 부착 위상차판을 제작하였다.
(c') 복합 편광판의 제작
상기 (a')에서 제작한 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 부착 편광판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한 후 그 광 확산제 함유 점착성 재료층 측에 상기 (b')에서 제작한 광 확산제 비함유 점착성 재료층 부착 위상차판의 위상차판 측(광 확산제 비함유 점착성 재료층이 설치되지 않은 측)을 그 위상차판의 지상축이 편광판의 편광 투과축에 대해 45°가 되도록 첩합하였다.
다음으로 위상차판에 첩합되어 있는 박리 필름 측으로부터 하기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표 4의 실시예 4~11, 비교예 4~5에 대응하는 복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자외선 조사 조건>
· 퓨전사제 무전극 램프 H 벌브 사용
· 조도 600 mW/㎠, 광량 150mJ/㎠
자외선 조도·광량계는 아이그래픽스사제 「UVPF-36」을 사용하였다.
도 7에 여기서 제작한 복합 편광판의 층 구성을 단면 모식도로 나타낸다. 즉, 이 예로 제작한 복합 편광판(13)은 이하의 층 구성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 4~11
투명 보호층(2)/편광자(1)/제1 감압 접착제층(7a)(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25㎛)/위상차판(λ/4판)(5)/제2 감압 접착제층(6)(감압 접착제층, 25㎛)/박리 필름(9).
비교예 4~5
투명 보호층(2)/편광자(1)/제1 감압 접착제층(7a)(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 25㎛)/위상차판(λ/4판)(5)/제2 감압 접착제층(6)(감압 접착제층, 25㎛)/박리 필름(9).
(d') 복합 편광판의 평가 결과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는 실시예 4~11의 복합 편광판은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4~5의 복합 편광판에 비해 매우 내구성이 뛰어나는 결과가 되었다.
예 No. 층 구성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또는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
히트 쇼크
시험 결과
종류 저장 탄성률
23℃ 80℃
실시예 1 도 4 A 0.41 MPa 0.22 MPa
실시예 2 도 5 A 0.41 MPa 0.22 MPa
실시예 3 도 6 A 0.41 MPa 0.22 MPa
비교예 1 도 4 B 0.08 MPa 0.06 MPa ×
비교예 2 도 5 B 0.08 MPa 0.06 MPa ×
비교예 3 도 6 B 0.08 MPa 0.06 MPa ×
점착성 재료의 조성 (중량부)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또는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 아크릴계
공중합체1 )
(A)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2 )
(B)
광 중합
개시제3 )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4 )
(C)
실란 커플링제5 )
(D)
실리콘
비드6 )
C 100 15 1.5 0.3 0.2 4.7(3.86)
D 100 15 1.5 0.3 0.2 9.3(7.36)
E 100 15 1.5 0.3 0.2 14.0(10.7)
F 100 15 1.5 0.3 0.2 18.6(13.7)
G 100 15 1.5 0.3 0.2 37.3(24.2)
H 100 15 1.5 0.3 0.2 3.0(2.5)
I 100 15 1.5 0.3 0.2 7.0(5.65)
J 100 15 1.5 0.3 0.2 21.0(15.2)
K 100 0 0 0 0.2 3.0(2.90)
L 100 0 0 0 0.2 7.0(6.51)
(주)
1) 아크릴계 공중합체: 아크릴산부틸 및 아크릴산을 중량비 95:5의 비율로 이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중합하여 이루어진 중량 평균 분자량 180만의 공중합체
2)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분자량=423, 3 관능형(토아 합성사제, 상품명 「아로닉스 M-315」)
3) 광 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과의 중량비 1:1의 혼합물,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제 「이르가큐어 500」
4)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일본폴리우레탄사제 「콜로네이트 L」)
5) 실란 커플링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신에츠 화학공업사제 「KBM-403」)
6) 실리콘 비드: 진구상 실리콘 미립자(GE 토시바 실리콘사제 「토스펄 145」, 평균 입경 4.5㎛)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또는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 감압 접착제층의 성능
저장 탄성률(MPa) 점착력(N/25mm) 헤이즈값
(%)
겔 분율
(%)
유지력
(㎛)
23℃ 80℃ 대(對) 무알칼리 유리 대 폴리카보네이트
C 0.945 0.458 37.5 48.0 37.9 98.3 53.0
D 0.998 0.495 35.5 46.0 58.7 98.6 48.0
E 1.050 0.530 29.8 38.5 70.4 99.2 48.0
F 1.130 0.578 29.0 37.5 78.5 98.9 35.0
G 1.370 0.707 24.0 31.0 89.2 98.4 36.5
H 1.010 0.480 19.0 24.5 23.9 96.6 54.5
I 0.890 0.460 16.5 21.5 43.9 96.9 52.0
J 1.010 0.490 14.0 18.2 75.0 98.3 37.5
K 0.140 0.090 12.57) 16.0 25.8 0.4 >25000
L 0.140 0.090 13.07) 17.0 47.0 0.3 >25000
(주)
7) 접착제 잔류가 확인된다.
층 구성 광 확산성 또는 광 확산제 함유 감압 접착제층 감압 접착제층(광 확산제 비함유) 복합 편광판의 평가
내구성
90℃ 80℃ 60℃
90% RH
히트 쇼크
실시예 4 도 7 C C
실시예 5 도 7 D D
실시예 6 도 7 E E
실시예 7 도 7 F F
실시예 8 도 7 G G
실시예 9 도 7 H H
실시예 10 도 7 I I
실시예 11 도 7 J J
비교예 4 도 7 K K × ×
비교예 5 도 7 L L × ×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편광자와 위상차판과 감압 접착제층을 구비하는 복합 편광판은 다른 광학층에 적층한 적층 광학 부재 및 그 복합 편광판 또는 적층 광학 부재를 액정 셀 등의 화상 표시 소자와 조합한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편광자,
2, 3…투명 보호층,
4…위상차판(λ/2판일 수 있음),
5…위상차판(λ/4판일 수 있음),
6, 7, 8…감압 접착제층(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 되는 경우도 있음),
7a, 8a…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
9…박리 필름,
11~15…복합 편광판,
18…다른 광학 기능을 나타내는 광학층,
20…적층 광학 부재,
30…액정 셀,
40…편광판(종래),
41…복합 편광판(종래).

Claims (20)

  1.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한쪽 면에 투명 보호층이 배치되고, 편광자의 다른 면에는 제1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적어도 1매의 위상차판이 적층되고, 편광자로부터 가장 먼 측에 위치하는 위상차판의 외측에는 제2 감압 접착제층이 배치되어서 이루어진 복합 편광판으로서,
    제1 감압 접착제층 및 제2 감압 접착제층을 포함하여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감압 접착제층 중 적어도 1층은 광 확산제를 함유하며, 23℃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편광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 80℃에 있어서 0.15~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것인 복합 편광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위상차판이 1매이며, 편광자와 위상차판이 상기 제1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첩합되어 있는 복합 편광판.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위상차판이 2매이며, 양(兩) 위상차판이 제3 감압 접착제층을 통하여 첩합되어 있는 복합 편광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감압 접착제층이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인 복합 편광판.
  6.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 감압 접착제층 및 제3 감압 접착제층 중 적어도 1층이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으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인 복합 편광판.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 평균 입경 0.1~20㎛인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23℃에 있어서 0.3~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며, 또한 헤이즈값이 5% 이상인 복합 편광판.
  8. 청구항 7에 있어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 80℃에 있어서 0.3~1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편광판.
  9. 청구항 8에 있어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의 겔 분율이 60% 이상인 복합 편광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이 (A)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B)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 이루어진 점착성 수지에 광 확산제를 분산시킨 점착성 재료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이루어진 것인 복합 편광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B)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이 분자량 1000 미만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인 복합 편광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환상 구조를 가지는 것인 복합 편광판.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것인 복합 편광판.
  14.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B)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의 함유 비율이 중량비로 100:1~100:100인 복합 편광판.
  15.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성 재료가 (C)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복합 편광판.
  16.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성 재료가 (D)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복합 편광판.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그 헤이즈값이 20~90%인 복합 편광판.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확산성 감압 접착제층은 그 두께가 1~40㎛인 복합 편광판.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과 다른 광학 기능을 나타내는 광학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광학 부재.
  20. 화상 표시 소자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 또는 청구항 19에 기재된 적층 광학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07002787A 2007-08-22 2008-08-22 복합 편광판, 적층 광학 부재 및 그것들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1501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15731 2007-08-22
JPJP-P-2007-215731 2007-08-22
PCT/JP2008/065021 WO2009025360A1 (ja) 2007-08-22 2008-08-22 複合偏光板、積層光学部材及びそれら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462A true KR20100058462A (ko) 2010-06-03
KR101501794B1 KR101501794B1 (ko) 2015-03-11

Family

ID=4037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787A KR101501794B1 (ko) 2007-08-22 2008-08-22 복합 편광판, 적층 광학 부재 및 그것들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71953B2 (ko)
KR (1) KR101501794B1 (ko)
CN (1) CN101784923B (ko)
TW (1) TWI453472B (ko)
WO (1) WO2009025360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4811A (ko) * 2010-10-28 2012-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WO2012064144A2 (ko) *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WO2012064143A2 (ko) *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KR101240812B1 (ko) * 2010-11-10 2013-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KR20160102408A (ko) * 2013-12-26 2016-08-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편광 필름, 그 제조 방법, 적층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8017891A (ja) * 2016-07-28 2018-02-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23063807A1 (ko) * 2021-10-15 2023-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그의 용도
WO2023063806A1 (ko) * 2021-10-15 2023-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그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7942A1 (ja) * 2008-01-08 2009-07-1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偏光板
US20110165361A1 (en) * 2008-09-17 2011-07-07 Sherman Audrey A Optical adhesive with diffusive properties
JP5335483B2 (ja) * 2009-02-27 2013-11-0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偏光板の製造方法
JP5529665B2 (ja) * 2009-11-16 2014-06-25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604662B2 (ja) * 2009-12-18 2014-10-08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
JP5959799B2 (ja) * 2010-02-25 2016-08-0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10124717A (ko) * 2010-05-11 2011-11-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과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일체화된 복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5502023B2 (ja) 2010-09-03 2014-05-2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光学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の製造方法
JP5893256B2 (ja) * 2011-03-29 2016-03-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324651B2 (ja) * 2011-03-29 2018-05-16 住友化学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5682404B2 (ja) * 2011-03-29 2015-03-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粘着フィルタ及び画像表示装置
JP6318481B2 (ja) * 2013-06-25 2018-05-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217171B2 (ja) * 2013-06-25 2017-10-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5115501A1 (ja) * 2014-01-30 2015-08-0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偏光板
JP2016014827A (ja) * 2014-07-03 2016-01-28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学フィルム(film)用粘着剤、光学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JP2016122181A (ja) * 2014-12-24 2016-07-07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927432B1 (ko) * 2015-02-11 2018-12-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고내구성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JP6676325B2 (ja) * 2015-10-01 2020-04-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6908379B2 (ja) * 2016-12-27 2021-07-2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部材
JP6691091B2 (ja) * 2017-11-30 2020-04-28 住友化学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7238328B2 (ja) * 2018-01-11 2023-03-14 東洋紡株式会社 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7082022B2 (ja) * 2018-09-28 2022-06-07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30168536A1 (en) * 2020-10-16 2023-06-01 Lg Chem, Ltd. Polarizing Plat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13909051B (zh) * 2021-11-20 2022-07-22 深圳恩泽瑞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偏光片用加工设备及其偏光片
CN114089462B (zh) * 2021-12-10 2023-11-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偏光片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7511B2 (ja) * 1994-08-04 2006-08-09 Jsr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
JP3783971B2 (ja) * 1995-10-11 2006-06-0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0075132A (ja) * 1998-08-27 2000-03-14 Nitto Denko Corp 散乱型楕円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4177077B2 (ja) * 2002-10-25 2008-11-0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補償板、それを用いた光学補償層付偏光板、前記光学補償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3841306B2 (ja) * 2004-08-05 2006-11-01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6091836A (ja) * 2004-08-26 2006-04-06 Nitto Denko Corp 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位相差フィルム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3874200B2 (ja) * 2004-11-22 2007-01-3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補償層付偏光板、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および光学補償層付偏光板の製造方法
JP4515357B2 (ja) * 2005-01-27 2010-07-2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TW200641387A (en) * 2005-02-21 2006-12-01 Dainippon Printing Co Ltd Anti-glare optical multilayer body
JP4784972B2 (ja) * 2005-04-26 2011-10-0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622765B2 (ja) * 2005-09-15 2011-02-02 住友化学株式会社 複合位相差板及び複合光学部材の製造方法
JP4943696B2 (ja) * 2005-11-24 2012-05-30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4976075B2 (ja) * 2005-12-26 2012-07-1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953717B2 (ja) * 2006-05-19 2012-06-1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学機能性フィルム貼合用粘着剤、光学機能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082480B2 (ja) * 2007-02-13 2012-11-28 住友化学株式会社 薄型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4811A (ko) * 2010-10-28 2012-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WO2012064144A2 (ko) *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WO2012064143A2 (ko) *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WO2012064143A3 (ko) * 2010-11-10 2012-07-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WO2012064144A3 (ko) * 2010-11-10 2012-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KR101240812B1 (ko) * 2010-11-10 2013-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US8747966B2 (en) 2010-11-10 2014-06-10 Lg Chem, Ltd. Optical element
US8817222B2 (en) 2010-11-10 2014-08-26 Lg Chem, Ltd. Optical element
KR20160102408A (ko) * 2013-12-26 2016-08-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편광 필름, 그 제조 방법, 적층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8017891A (ja) * 2016-07-28 2018-02-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23063807A1 (ko) * 2021-10-15 2023-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그의 용도
WO2023063806A1 (ko) * 2021-10-15 2023-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그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71953B2 (ja) 2014-08-13
TW200928463A (en) 2009-07-01
CN101784923A (zh) 2010-07-21
TWI453472B (zh) 2014-09-21
WO2009025360A1 (ja) 2009-02-26
JPWO2009025360A1 (ja) 2010-11-25
CN101784923B (zh) 2012-03-07
KR101501794B1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794B1 (ko) 복합 편광판, 적층 광학 부재 및 그것들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5470048B2 (ja) 高弾性率粘着剤層を有する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5082480B2 (ja) 薄型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6893904B2 (ja) 偏光板
JP2010044211A (ja) 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1727871B1 (ko) 편광판의 셋트 및 전면판 일체형 액정 표시 패널
KR101496457B1 (ko) 광학 기능성 필름용 점착제, 점착제 부착 광학 기능성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27870B1 (ko) 편광판의 셋트 및 전면판 일체형 액정 표시 패널
JP2001042125A (ja) 偏光部材、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60002889A (ko) 광학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JP2010277018A (ja) 耐久性に優れた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2444987B1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점착 시트 및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KR20170003422A (ko) 편광판,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08197310A (ja) 薄型偏光板、複合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複合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70004875A (ko) 점착제, 점착 시트 및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JP2010122487A (ja) 高弾性率粘着剤層を有する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4240087A (ja) 積層偏光フィルム
KR102392232B1 (ko)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
JP2000199819A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90101763A (ko) 광제어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7302999B2 (ja)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2298392B1 (ko) 점착 시트
JP2004287347A (ja) 積層偏光フィルム
KR20160107114A (ko)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JP2017134135A (ja) 粘着剤層付き偏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