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6186A -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6186A
KR20100046186A KR1020107002941A KR20107002941A KR20100046186A KR 20100046186 A KR20100046186 A KR 20100046186A KR 1020107002941 A KR1020107002941 A KR 1020107002941A KR 20107002941 A KR20107002941 A KR 20107002941A KR 20100046186 A KR20100046186 A KR 20100046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tate
vehicle
multimedia system
star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8373B1 (ko
Inventor
에르브 코난
르미 리믈랭제르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0004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Naviga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인터페이스(30, 40, 50, 60, 80, 100)에 작용하여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상태를 가지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1)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시스템(1)은 사용자에 의한 그 어떤 작용도 필요로 하지 않는 모듈(3, 4, 5, 6, 8)의 적어도 하나의 정해진 과제가 개시되는 시작전 상태를 포함하고, 검출 수단은 차량의 개방 이벤트 또는 잠김 해제 이벤트의 발생을 모니터하고, 모듈(3, 4, 5, 6, 8)은 상기 이벤트의 검출에 뒤이어 시작전 상태로 일시적으로 설정되고, 시작전 상태에서 모듈(3, 4, 5, 6, 8)은 사용자가 인터페이스(30, 40, 50, 60, 80, 100)에 작용할 때 작동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a multimedia system on a vehicle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용 분야는, 예를 들면, GPS 타입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은 자동차용 탑재형 멀티미디어 시스템들이다.
멀티미디어 네비게이션 시스템들은, 시각 및 음향 시스템의 시동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기반(software layer)과 함께 점점 정교해지는 인간-기계의 인터페이스를 가지는데, 소프트웨어 기반은 점점 느려진다.
네비게이션 기능들은 시동이 매우 느리며, 예를 들면, 지도 및 여정의 디스플레이는 10 초가 걸리고, 교통 정보의 디스플레이는 1 분 이후에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느린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것에 더하여,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예를 들어 장애물이 가까이 있다는 것을 경고하기 위한 후방 카메라로부터의 디스플레이와 같이 차량의 완전성에 관련된 기능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특히 해로운 것이다.
점점 많은 수의 기능들이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시작 속도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기다리는 시간은 점점 길어진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탑재형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시작을 빠르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주제는 인터페이스상에서의 사용자 작용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상태를 가지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방법으로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상기 제어된 작동 상태에 추가하여 시작전 상태(prestart state)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그 어떤 작용도 필요로 하지 않는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정해진 과제(task)가 개시되고,
검출 수단은 차량의 개방 이벤트(opening event) 또는 잠김 해제 이벤트(unlocking event)의 발생을 모니터하고,
모듈은 상기 이벤트에 뒤이어 일시적으로 시작전 상태로 설정되고,
시작전 상태에 있는 경우에, 모듈은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상에 작용할 때 상기 작동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인터페이스에 작용하지 않거나 또는 차량 엔진이 시작되지 않은 시작전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정해진 최대 지속 기간 이후에,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스위치가 꺼지는 다른 상태로 전환된다.
시작전 상태에서의 정해진 최대 타이머 지속 기간은 30 분 이하의 값을 가지고, 바람직스럽게는 5 분보다 짧다.
스크린을 포함하는 모듈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는 스크린을 대기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이동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연결(local wireless link)을 포함하는 모듈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는 연결의 동기화(the synchronization of the link)를 포함하고,
음성 인식 장치를 포함하는 모듈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는 음소 파일(phonemes file)을 저장하는 메모리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음성 인식 음소를 시스템의 RAM 메모리에 로딩(loading)하는 것을 포함하고,
도로 교통 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모듈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는 모듈이 꺼졌던 마지막 시간에 저장된 교통 정보로서, 미리 결정된 지속 기간 보다 짧은 지속 기간으로부터 기산(起算)된 도로 교통 정보를 회수하는 것을 포함하고,
라디오 스테이션 수신 튜너 모듈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는 수신된 라디오 스테이션의 스캐닝 및 수신된 라디오 스테이션들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선택을 포함하고,
차량 후진 보조 카메라를 포함하는 모듈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는 차량 후진 보조 카메라의 켜짐 및, 카메라의 원본 이미지(raw image)로부터 이미지(평가된 궤적 등)를 구성할 수 있는 모듈의 켜짐을 포함할 수 있고,
차량 후진 보조 카메라를 포함하는 모듈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는 카메라의 켜짐 및,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듈의 켜짐을 포함할 수 있고,
오디오 매체 재생 모듈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는 매체내에 포함된 파일 유형 및 그와 관련된 데이터의 검출을 포함하고,
스크린을 포함하는 모듈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는 스크린의 사전 재작동(pre-awakening)을 포함하고,
오디오 증폭 부분을 포함하는 모듈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는 오디오 증폭 부분의 사전 재작동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서 인지될 수 있는 형태로 정보를 시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고, 여기에는 정보가 사용자에게 시현될 수 있도록 정보를 모듈로부터 상기 장치로 전송시키는 모듈의 작동 상태가 제공되며, 시작전 상태는 모듈로부터 오는 정보를 시현시키지 않도록 정보 시현 장치의 비활성화와 함께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과제(task)를 포함한다.
시작전 상태는 모듈의 독립적인 개시(initialization)를 포함한다.
시작전 상태는 시스템의 무선 수신부에 의한 외부 데이터의 자동 수신을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가 모듈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시작전 상태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대용량 메모리로부터 RAM 메모리로의 자동적인 로딩(automatic loading)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서 인지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를 시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모듈은 비사용 상태(state of non-use)에 대응하는 제 1 작동 상태 및, 제 2 작동 상태를 포함하고, 제 1 작동 상태에서 모듈은 정보가 시현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정보 시현 장치로 송신하지 않고, 제 2 작동 상태에서 모듈은 정보가 시현될 수 있도록 정보를 상기 시현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모듈을 제 2 작동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각각의 모듈과 각각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및, 차량 엔진의 시작 및 정지를 제어하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차량 엔진이 마지막으로 정지되었을 때 모듈이 가졌던 사용 상태 또는 비사용 상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비사용 상태가 메모리내에 마지막 상태로서 저장되어 있으면서 다른 제어 인터페이스가 엔진을 시동시키도록 작동되었을 때, 모듈은 시작전 상태로부터 제 1 작동 상태로 전환되고,
사용 상태가 메모리내에 마지막 상태로서 저장되어 있으면서 다른 제어 인터페이스가 엔진을 시동시키도록 작동되거나 또는 관련 인터페이스가 작동되었을 때, 모듈은 시작전 상태로부터 제 2 작동 상태로 전환되고,
관련 인터페이스가 작동되었을 때 모듈은 제 1 작동 상태와 제 2 작동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주제는 위에서 설명된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장치로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상태를 가지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고,
차량의 개방 이벤트 또는 잠김 해제 이벤트를 검출하는 수단,
검출 수단이 개방 이벤트 또는 잠김 해제 이벤트를 검출하고, 사용자에 의한 임의의 작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모듈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정해진 과제의 수행을 제어하는 수단이 개시되었을 때, 일시적으로 시작전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모듈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검출 수단에 연결된,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제어 유닛 및,
인터페이스에 대한 작용에 의해 시작전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모듈을 전환시키도록 제공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에 탑재된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신속하게 시작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순수하게 비 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다음의 설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읽음으로써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다양한 요소들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현존하는 해법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상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의 상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장치의 모듈 블록의 개략도이다.
도 1 에서, 자동차(V)는 멀티미디어 시스템(1)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예를 들면 대쉬보드(대쉬보드는 속도계를 가진 계기 패널을 포함한다)상에 다음의 모듈들을 구비한다:
대쉬보드상의 이미지 디스플레이용 스크린(2)으로서, 예를 들면 GPS-유형의 내비게이션 시스템(8)으로부터 도로 지도 및 여정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2);
라디오를 청취하기 위한 튜너 모듈(3)로서, 라디오를 켜고 끄는 인터페이스(30)를 구비하는 튜너 모듈(3);
예를 들면 CD 및/또는 카세트와 같은 제거 가능한 오디오 매체를 위한 구동부(4)로서, 그것을 끄고 켜는 인터페이스(40)를 포함하는 구동부(4);
자동차의 후진을 보조하도록 자동차(V)의 후미에 위치된 카메라(5)로서, 주차 카메라로 호칭되고, 카메라(5)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를 스크린(2)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꺼질 수 있도록 대쉬보드상에서 인터페이스(50)와 결합되는, 카메라(5);
근거리 무선 연결(예를 들면, 블루투스(등록상표) 유형)을 가진 휴대 전화 수신용 베이스를 구비하는 모듈(6)로서, 그 모듈은 예를 들면 그것을 켜고 끄는 인터페이스(6)를 가지는, 모듈(6);
승객 구획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확성기(7);
GPS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켜고 끄기 위한 인터페이스(80)가 제공될 수 있는, GPS 네비게이션 시스템(8); 및
헤드-업 비젼 시스템(head-up vision system, 미도시);을 포함한다.
스위치를 켜고 끄기 위한 인터페이스들은, 예를 들면 모든 오디오(라디오, CD, AUX 등)에 대하여 단지 하나로 공유된다. 결과적으로, 인터페이스(30, 40, 50, 60, 80)들은 사용자에 의해서 그들의 관련 모듈(3,4,5,6,8)의 작용을 제어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들은 수동적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노브(knob), 단추 또는 레버를 포함하며, 그러나 음성 명령에 의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확성기 또는 확성기(7)들과 스크린(2)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현하기 위한 장치를 형성하며, 그 장치는 모듈이 이용중일 때 모듈(3, 4, 5, 6, 8)에 의해서 보내진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현재, 일부 공급자들은 계획된 개시 시간(staged startup)을 제공하는데, 예를 들면, 음향은 2 초 이내에, 시작 동영상은 4 초 이내에, 지도는 8 초 이내에, 교통 정보 및 여정의 계산은 10 초 이내에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법은 최적이 아니며, 이는 여전히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현재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개시는 시스템의 기능들이 작동될 수 있도록 완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도 2 에 도시된 개략도는 공지 해법에 따라서 시스템을 활성화시키고 끄는데 필요한 이행을 나타낸다.
도 2 에서, 멀티미디어 시스템(1)은 다음의 상이한 작동 상태들을 포함한다:
차량 배터리(200)에 의한 에너지 전력 공급의 결여 상태(E1);
차량(V) 배터리(200)로부터의 에너지 전력 공급을 가지지만 정지된 상태(E2);
대기 상태(E3);
모듈의 비사용 상태에 해당하는, 전체 제어 인터페이스(100)에서 사용자의 작용에 의해 간접적으로 제어되는 제 1 작동 상태(E4);
모듈의 사용 상태에 해당하는, 제어되는 제 2 작동 상태(E5)를 포함한다.
차량의 배터리가 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시스템에 연결되었을 때 시스템(1)은 상태(E1)로부터 상태(E2)로 스위치된다.
도 1 에서 도면 번호 100 으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차량(V)을 시동시키기 위한 시스템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도록 차량에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100)는 예를 들면 시동 및 정지 버튼(START/STOP)에 의해서, 또는 시동 시스템에 있는 키이를 회전시킴으로써, 또는 그 어떤 다른 시스템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형성된다.
대기 상태(E3)에서, 시스템(1)의 제어 유닛(110)은, 사용자가 차량을 시동시키기 위해 혹은 모듈(3, 4, 5, 6, 8)과 결합된 인터페이스(30, 40, 50, 60, 80)들중 하나를 시동시키기 위해 인터페이스(100)를 작동시키는지 여부를 모니터하며, 상기 인터페이스(30, 40, 50, 50, 80)들은 제어 유닛(110)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모듈(3, 4, 5, 6, 8)과 각각 결합된 인터페이스(30, 40, 50, 60, 80)들중 하나를 작동시킬 때, 모듈은 대기 상태(E3)로부터 작동 상태(E5)로 스위치된다.
시스템(1)은 메모리(90)를 구비하며, 메모리는 유닛(110)에 연결되고, 차량 엔진이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정지되었을 때 모듈 유효성의 사용 상태 또는 비사용 상태를 저장한다. 사용 상태는 모듈(3, 4, 5, 6, 8)로부터의 스크린(2) 상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및/또는 확성기 또는 확성기들(7)상의 음향 방출에 해당한다. 다른 한편으로, 비사용 상태는, 이전에 사용 상태에 있었던 모듈을 사용자가 관련 인터페이스에 작용하여 그 스위치를 끄고, 더 이상 정보를 스크린(2) 또는 확성기(7)로 보내지 않는 사실에 해당한다.
시스템(1)의 메모리(90)에 저장된 마지막 상태가 모듈의 비사용 상태이고 차량의 전체 제어 인터페이스(100)가 작동되었을 때, 모듈은 상태(E3)로부터 상태(E4)로 스위치된다.
또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100)를 작동시키고 메모리(90)에 저장된 마지막 상태가 모듈의 사용 상태였을 때, 모듈은 상태(E3)로부터 상태(E5)로 스위치된다.
상태(E4) 또는 상태(E5)에서, 모듈(3, 4, 5, 6, 8)과 결합된 인터페이스(30, 40, 50, 60, 80)가 작동되었을 때, 모듈은 상태(E5 또는 E4)로 스위치된다.
따라서 상태(E3, E4, E5)는 시스템(1)의 전체적인 스위치-켜짐 상태(E6)에 대응한다. 이러한 상태(E6)로부터, 시스템(1)은 그 어떤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라도 상태(E2)로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 에서, 멀티미디어 시스템(1)의 시작전 상태(E7)가 제공되는데, 그러한 상태를 통해서 모듈은 상태(E2)로부터 상태(E6)로, 즉, 상태(E3, E4 또는 E5)로 스위치되도록 통과될 수 있다.
차량의 개방 또는 잠김 해제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91)이 차량에 제공된다. 차량의 잠김 해제는, 예를 들면 트랜스폰더(transponder, 93)를 원격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도어를 핸들(92)로 열 수 있게 하는 것과 유사하게 잠김 해제시키는 것에 해당한다. 잠김 해제는 또한 키이(95)를 도어 안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도어들중 하나에 기계적으로 작용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잠김 해제는 핸들(92)을 작동시켜서 도어들중 임의의 하나가 열릴 수 있게 한다. 차량의 개방은 차량이 잠겨있지 않다면 핸들(92)을 작동시킴으로써 도어를 개방하는 것에 해당한다. 잠김 해제는 도 4 에서 도면 번호 94 로 표시된 핸즈 프리(hands free) 카드 시스템을 통해서 발생될 수 있으며, 핸즈 프리 카드 시스템은 도어들 및 트렁크의 핸들(92)들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제공되며, 그에 의해서 차량의 도어 또는 도어들이 손을 핸들(92)에 대는 것에 의해 잠김 해제된다. 이러한 시스템(91)은 예를 들면,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도어 자물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작용을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부분적인 개방은 잠김 해제 또는 릴리즈 작용(releasing)에 해당하며, 전체 개방은 도어의 개방에 대응한다.
시작전(prestart) 상태(E7)에서, 유닛(100)은 모듈에 의해 미리 정해진 과제(task)들의 수행을 제어한다.
차량 도어가 개방되었거나 또는 차량이 잠김 해제되었다는 것을 검출 시스템(91)이 표시할 때, 중간의 시작전 상태(E7)는 자동적으로 제어 유닛(110)에 의해 활성화된다.
시작전 상태(E7)는 미리 정해진 최대 지속 기간(T)에 따라서 타이머 장치(timer device)와 관련되는데, 상기 최대 지속 기간 동안에 멀티미디어 시스템(1)은 차량의 개방 또는 잠김 해제 이벤트의 검출 이후에 시작전 상태(E7)에 있을 수 있다.
만약, 시작전 상태(E7)에서 미리 정해진 최대 지속 기간(T) 이후에, 모듈(3, 4, 5, 6, 8)의 인터페이스(30, 40, 50, 60, 80)가 사용자에 의해서 작동되지 않았다면, 그리고 차량의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100)가 사용자에 의해서 작동되지 않았다면, 멀티미디어 시스템(1)은 상태(E2)로 복귀된다.
시스템(1)이 시작전 상태(E7)에 있고, 인터페이스(100) 또는 모듈(3, 4, 5, 6, 8)들과 각각 관련된 인터페이스(30, 40, 50, 60, 80)들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서 작동되었을 때, 시스템(1) 및 관련 모듈들은 상기의 시작전 상태(E7)로부터 작동 상태(E6)로 스위치되며, 즉,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 상태(E3, E4 또는 E5)로 스위치된다. 결국, 시스템(1)은 정지 상태(E2)로부터 제어된 작동 상태(E4 또는 E5)로 오직 시작전 상태(E7)를 통해서만 스위치될 수 있다.
시작전 상태(E7)에서 미리 정해진 최대 타이머 지속 기간(T)은 예를 들면 수 분이며, 대략 2 분이다. 타이머를 상태(E7)로부터 상태(E2)로 스위치시키도록 이용하는 경우들중 하나는 사용자가 엔진을 시동시키지 않으면서 차량을 개방하고 이후에 닫는 것일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시작시키지 않거나 또는 차량을 시동시키지 않으면서 차량을 개방하고 차량에 타는 것일 수 있다.
멀티미디어 시스템(1)은 유닛(100)의 제어하에, 예를 들면 특정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시작하는 것과 같은 특정 과제들을 수행하도록 시작전 상태(E7)를 이용한다. 시작전 상태(E7)에서, 멀티미디어 시스템(1)으로부터 나오는 음향은 확성기(7)들에서 들리지 않고 스크린(2)은 꺼져 있게 되는데, 이는 전기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메모리가 설치된 멀티미디어 시스템(1)에 대하여, 대용량 메모리는 예를 들면 그러한 상태(E7)에서 켜지게 된다.
일 구현예에서, 스크린(2)에서 디스플레이되어야 하거나 또는 확성기(7)에서 들려야 하는 구성의 읽기(reading) 및 쓰기(writing), 프로세서, 메모리는 시작전 상태(E7) 동안에 활성화된다. 이러한 시작전 상태(E7) 동안에, 예를 들면 라디오 튜너(3), GPS-유형 네비게이션 시스템(8)의 튜너, 후진 카메라(5)상에 있는 시스템 외부의 데이터 수신을 빠르게 하는 과제들도 수행될 수 있다.
시작전 상태를 이용하는 경우는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제 1 경우에, 사용자는 휴대 전화를 이용하여 통신중이고, 차량에 들어가서다음에 인터페이스(60)를 누른다. 사용자의 전화기는 시작전 상태(E7) 동안에 페어링(pairing)에 의해서 모듈(6)과 이미 동기화되었기 때문에, 전화기로부터의 음성은 거의 즉각적으로 차량의 확성기(7)에서 수신되고, 인터페이스(60)를 누른 후에는 통화의 차단 없이 스크린(2)에 통화(call)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되며, 이것은 모듈(6)을 지원하는 베이스가 제공되었을 때 사용자가 그러한 베이스에 휴대 전화를 놓을 수 있게 한다.
제 2 경우에, 차량은 예를 들면 후방에 매우 근접한 다른 차량 또는 기둥과 같이 후방의 장애물이 있는 장소에 주차되어 있다. 차량의 정지시에 시스템이 시작전 상태(E7)에 있다면, 시스템을 시작할 때 확성기(7) 및 스크린(7)에 항상 나오는 환영 동영상(welcoming film)은 어느 때라도 차단될 수 있어서 후진 카메라(5)에 의해 촬상된 장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예를 들면, 후방의 장애물 존재를 경고하도록 발생될 수 있는 귀에 들리는 경고가 보다 잘 이해되도록 하기 위하여 차단될 수 있다.
제 3 경우에, 시스템이 예를 들면 DAB+, SDARS, DRM, 텔레매틱스(telmatics) 유형의, 예를 들어 하이 비트 비율 디지털 채널(high bit rate digital channel)을 통하여, 10 초 이내에 교통 정보를 신속하게 회수하기 위한 모드를 가진다면, 이전의 행선지 또는 주소록에 있는 행선지에 대한 여정(itinerary)의 계산은 새로운 여정을 계산함으로써 교통 정보를 고려하여 조직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차량의 위치는 시작전 상태(E7)의 네비게이션 모듈(8)에 의해 다시 계산된다.
예를 들면, 전기 에너지 소비 문제들에 대하여, 시작전 상태(E7)는 5 분 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시간 지연을 가진다.
시작전 상태(E7)에서 수행되는 과제들은 예를 들면 다음의 것들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한다:
음성 명령을 시스템에 어드레스(address)시킬 수 있는 마이크 및 음성 인식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음성 인식에 필요한 음소 파일(phonmes file)들이 대용량 메모리로부터 RAM 메모리로 로딩된다.
근거리 무선 연결(예를 들어 블루투스(등록 상표) 유형)을 가지는 휴대 전화를 수신하도록 모듈(6)이 이용되는 경우에, 전화기와 모듈(6) 사이의 연결은 전화기가 이전에 신고되고 스위치가 켜지면 동기화된다.
도로 교통 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모듈(8)의 경우에, 스위치가 꺼졌던 마지막 시간에 저장되었던 교통 정보로서, 시간 스탬핑(time stamping) 정보에 따라서, 예를 들면 수분 정도의, 특히 대략 15 분 정도의 미리 결정된 지속 기간보다 짧은 지속 기간으로부터 기산(起算)된 교통 정보는 모듈(8)에 의해 회수됨으로써, 상태(E4 또는 E5)들중 하나, 또는 전체적으로는 상태(E6)로 스위치되었을 때, 스크린(2)에 신속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거나, 또는 확성기(7)에서 나올 수 있다. 이러한 과제는 차량의 짧은 정지의 경우에 매우 유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주유소에서 유용할 수 있다.
라디오 튜너 모듈(3)의 경우에, 수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라디오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이미 저장되었던 스테이션을 사전 선택(preselection)하도록 스캐닝된다. 이러한 스캐닝 및 사전 선택은, 예를 들면 교통 정보 방송을 위한 RDS-TMC 유형의 정보와 같은, 특정 기술 유형의 정보를 방송하는 라디오 스테이션에서 그러한 교통 정보의 수신을 시작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TMC-유형 정보의 전송 속도는 대략 1 초당 하나의 이벤트(event)로서 저속일 수 있다. 스테이션들에 대한 라디오 채널은 정교해질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DAB+, DRM, SDARS, DMB 또는 그와 유사한 유형이다.
근접 카메라 또는 카메라들(5)의 경우에, 가능한 관련 디스플레이 모듈이 그러한 것처럼 상기 카메라들이 작동된다.
확성기 오디오 시스템(7)의 경우에, 오디오 파라미터(audio parameter)들이 로딩된다.
예를 들면, CD (MP3, WMA 등)와 같은 오디오 매체의 재생의 경우에, 콘텐트 파일 유형 및 관련 데이터를 검출하도록, 그리고 상태(E6)로의 스위치시에 즉각적인 음향 출력이 가능하도록 재생이 제어된다.
특히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스크린의 사전 재작동(pre-reawakening)이 이루어진다.
오디오 증폭 부분의 사전 재작동(pre-reawakening)이 이루어진다.
시스템이 시작전 상태(E7)를 떠나서 작동 상태(E4 또는 E5)로, 전체적으로는 상태(E6)로 스위치되었을 때, 시작전 상태(E7) 동안 이미 수행되었던 과제(task)들은,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들중 하나를 작동시키는 순간과 작동된 모듈 또는 모듈들이 사용자를 위한 작동 상태에 있는 순간 사이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할 것이며, 즉, 작동되었던 모듈 또는 모듈들에 의해서 부과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그리고 작동되었던 모듈 또는 모듈들에 의해 부과된 음향을 방송하기 위하여, 오디오 증폭 부분과 함께 스크린이 재작동(re-awaken)할 때까지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시각 및 청각에서 거의 즉각적인 시작이 이루어지는 인상을 받을 것이다.
1. 멀티미디어 시스템 2. 스크린
3. 튜너 모듈 5. 카메라
7. 확성기 8. 네비게이션 시스템

Claims (10)

  1. 인터페이스(30, 40, 50, 60, 80, 100)상에서의 사용자 작용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상태(E4, E5)를 가지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듈(3, 4, 5, 6, 8)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1) 제어 방법으로서,
    멀티미디어 시스템(1)은 상기 제어된 작동 상태(E4, E5)에 추가하여 시작전 상태(prestart state; E7)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그 어떤 작용도 필요로 하지 않는 모듈(3, 4, 5, 6, 8)의 적어도 하나의 정해진 과제(task)가 시작되고,
    검출 수단(91)은 차량의 개방 이벤트(opening event) 또는 잠김 해제 이벤트(unlocking event)의 발생을 모니터하고,
    모듈(3, 4, 5, 6, 8)은 상기 이벤트에 뒤이어 일시적으로 시작전 상태(E7)로 설정되고,
    시작전 상태(E7)에 있는 경우에, 모듈(3, 4, 5, 6, 8)은 사용자가 인터페이스(30, 40, 50, 60, 80, 100)에 작용할 때 상기 작동 상태(E4, E5)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30, 40, 50, 60, 80, 100)에 작용하지 않거나 또는 차량 엔진이 시작되지 않은 시작전 상태(E7)에서 멀티미디어 시스템(1)의 정해진 최대 지속 기간(T) 이후에, 멀티미디어 시스템(1)은 스위치가 꺼지는 다른 상태(E2)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시작전 상태(E7)에서의 정해진 최대 타이머 지속 기간(T)은 30 분 이하의 값을 가지고, 바람직스럽게는 5 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방법.
  4.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린(2)을 포함하는 모듈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E7)는 스크린(2)을 대기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이동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연결(local wireless link)을 포함하는 모듈(6)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E7)는 연결의 동기화를 포함하고,
    음성 인식 장치를 포함하는 모듈(8)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E7)는 음소 파일(phonemes file)을 저장하는 메모리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음성 인식 음소를 시스템의 RAM 메모리에 로딩(loading)하는 것을 포함하고,
    도로 교통 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모듈(8)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E7)는 모듈(8)이 꺼졌던 마지막 시간에 저장된 교통 정보로서 미리 결정된 지속 기간 보다 작은 지속 기간으로부터 기산(起算)된 도로 교통 정보를 회수하는 것을 포함하고,
    라디오 스테이션 수신 튜너 모듈(3)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7)는 수신된 라디오 스테이션의 스캐닝(scanning) 및 수신된 라디오 스테이션들중 적어도 하나의 사전 선택을 포함하고,
    차량 후진 보조 카메라를 포함하는 모듈(5)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E7)는 후진 보조 카메라(5)의 켜짐을 포함하고,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듈의 켜짐을 포함할 수 있고,
    오디오 매체 재생 모듈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E7)는 매체내에 포함된 파일 유형 및 그와 관련된 데이터의 검출을 포함하고,
    스크린(2)을 포함하는 모듈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E7)는 스크린의 사전 재작동(pre-awakening)을 포함하고,
    오디오 증폭 부분을 포함하는 모듈의 경우에, 시작전 상태(E7)는 오디오 증폭 부분의 사전 재작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방법.
  5.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서 인지될 수 있는 형태로 정보를 시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2,7)를 포함하고, 여기에는 정보가 사용자에게 시현될 수 있도록 정보를 모듈로부터 상기 장치(2,7)로 전송시키는 모듈의 작동 상태(E5)가 제공되며, 시작전 상태(E7)는 모듈로부터 오는 정보를 시현시키지 않도록 정보 시현 장치(2,7)의 비활성화와 함께 모듈(3, 4, 5, 6, 8)을 활성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과제(tas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방법.
  6.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작전 상태(E7)는 모듈(3, 4, 5, 6, 8)의 독립적인 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방법.
  7.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작전 상태(E7)는 시스템(1)의 무선 수신부에 의한 외부 데이터의 자동 수신을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가 모듈(3, 4, 5, 6, 8)에 의해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방법.
  8.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작전 상태(E7)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대용량 메모리로부터 RAM 메모리로의 자동적인 로딩(automatic load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방법.
  9.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서 인지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를 시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2,7)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모듈(3, 4, 5, 6, 8)은 비사용 상태(state of non-use)에 대응하는 제 1 작동 상태(E4) 및, 제 2 작동 상태(E5)를 포함하고, 제 1 작동 상태(E4)에서 모듈(3, 4, 5, 6, 8)은 정보가 시현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정보 시현 장치(2,7)로 송신하지 않고, 제 2 작동 상태(E5)에서 모듈(3, 4, 5, 6, 8)은 정보가 시현될 수 있도록 정보를 상기 시현 장치(2,7)로 송신하고,
    상기 모듈을 제 2 작동 상태(E5)로 전환시키도록 각각의 모듈(3, 4, 5, 6, 8)과 각각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30, 40, 50, 60, 80) 및, 차량 엔진의 시작 및 정지를 제어하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100)가 제공되고, 차량 엔진이 마지막으로 정지되었을 때 모듈(3, 4, 5, 6, 8)이 가졌던 사용 상태 또는 비사용 상태는 메모리(90)에 저장되고,
    비사용 상태가 메모리(90)내에 마지막 상태로서 저장되어 있으면서 다른 제어 인터페이스(100)가 엔진을 시동시키도록 작동되었을 때, 모듈(3, 4, 5, 6, 8)은 시작전 상태(E7)로부터 제 1 작동 상태(E4)로 전환되고,
    사용 상태가 메모리(90)내에 마지막 상태로서 저장되어 있으면서 다른 제어 인터페이스(100)가 엔진을 시동시키도록 작동되거나 또는 관련 인터페이스(30, 40, 50, 60, 80)가 작동되었을 때, 모듈(3, 4, 5, 6, 8)은 시작전 상태(E7)로부터 제 2 작동 상태(E5)로 전환되고,
    관련 인터페이스(30, 40, 50, 60, 80)가 작동되었을 때 모듈은 제 1 작동 상태(E4)와 제 2 작동 상태(E5)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방법.
  10.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1) 제어 장치로서, 멀티미디어 시스템(1)은, 인터페이스(30, 40, 50, 60, 80, 100)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상태(E4, E5)를 가지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듈(3, 4, 5, 6, 8)을 포함하고,
    차량의 개방 이벤트 또는 잠김 해제 이벤트를 검출하는 수단(91),
    검출 수단(91)이 개방 이벤트 또는 잠김 해제 이벤트를 검출하고, 사용자에 의한 임의의 작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모듈(3, 4, 5, 6, 8)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정해진 과제의 수행을 제어하는 수단이 개시되었을 때, 일시적으로 시작전 상태(E7)로 전환시키도록 모듈(3, 4, 5, 6, 8)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검출 수단(90)에 연결된, 멀티미디어 시스템(1)의 제어 유닛(110) 및,
    인터페이스(30, 40, 50, 60, 80, 100)에 대한 작용에 의해 시작전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E4, E5)로 모듈(3, 4, 5, 6, 8)을 전환시키도록 제공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장치.
KR1020107002941A 2007-08-10 2008-07-30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장치 KR101378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05825A FR2919837B1 (fr) 2007-08-10 2007-08-10 Procede de commande d'un systeme multimedia sur vehicule,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FR0705825 2007-08-10
PCT/FR2008/051429 WO2009024711A1 (fr) 2007-08-10 2008-07-30 Procede de commande d'un systeme multimedia sur un vehicule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186A true KR20100046186A (ko) 2010-05-06
KR101378373B1 KR101378373B1 (ko) 2014-03-27

Family

ID=39144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941A KR101378373B1 (ko) 2007-08-10 2008-07-30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38222B2 (ko)
EP (1) EP2176770B1 (ko)
JP (2) JP5905197B2 (ko)
KR (1) KR101378373B1 (ko)
CN (1) CN101772762B (ko)
AT (1) ATE539406T1 (ko)
ES (1) ES2379908T3 (ko)
FR (1) FR2919837B1 (ko)
WO (1) WO20090247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517B1 (ko) 2015-09-07 201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5441B2 (en) * 2007-07-27 2011-11-08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Supplemental powered information receiver
JP4864997B2 (ja) * 2009-03-10 2012-0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5648207B2 (ja) * 2009-09-04 2015-01-07 現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CN102207843A (zh) * 2010-03-31 2011-10-05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车载系统语音朗读方法和装置
CN102541415B (zh) * 2010-12-30 2015-02-11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车载电子系统的模式切换方法
DE102011113202A1 (de) 2011-09-10 2013-03-14 Volkswag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atenempfängers und Datenempfänger, insbesondere in einem Fahrzeug
CN103129394A (zh) * 2011-11-29 2013-06-05 成都天兴仪表(集团)有限公司 一种具备gps功能的车用组合仪表
DE102012206275A1 (de) * 2012-04-17 2013-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ieb eines Kraftfahrzeug-Multimediasystems
US9865364B2 (en) * 2013-03-15 2018-01-09 Bwxt Mpower, Inc. CRDM with separate SCRAM latch engagement and locking
JP2016091257A (ja) * 2014-11-04 2016-05-2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機器
CN104460451A (zh) * 2014-11-29 2015-03-2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车载信息服务终端产品的系统启动控制方法
DE102014019435A1 (de) * 2014-12-22 2016-06-23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Infotainmentsystems, Infotainmentsystem und Fahrzeug
JP6104311B2 (ja) * 2015-05-13 2017-03-29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情報表示装置
DE102016109576A1 (de) * 2015-06-04 2016-12-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ahrzeugsicherheits-Strommanagement
JP2018114888A (ja) * 2017-01-19 2018-07-26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電源制御装置、電源制御システム、電源制御方法および電源制御プログラム
DE102017208895A1 (de) 2017-05-26 2018-11-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elektrischen Ladesteuer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mit einer elektrischen Ladesteuervorrichtung
CN108382333A (zh) * 2018-02-28 2018-08-10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车载语音播报系统及汽车
US10931390B2 (en) * 2018-08-03 2021-02-23 Gracenote, Inc. Vehicle-based media system with audio ad and visual content synchronization feature
CN110928409B (zh) * 2019-11-12 2023-05-09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车载场景模式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JP7075389B2 (ja) * 2019-11-20 2022-05-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
CN114816608A (zh) * 2021-01-29 2022-07-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媒体文件的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794725B (zh) * 2023-01-28 2023-05-16 南京芯驰半导体科技有限公司 获得播放决策的方法、决策系统、相关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8062U (zh) * 1991-05-03 1991-11-06 孙则张 汽车用中央控制锁全自动开关安全装置
JPH07134041A (ja) * 1993-11-11 1995-05-23 Aqueous Res:Kk ナビゲーション装置付車両およびそのリモコンキー
JPH0948281A (ja) * 1995-08-11 1997-02-18 Denso Corp 自動車用照明機器の予熱装置
US5656868A (en) * 1995-10-12 1997-08-12 Designtech International Inc. Remote vehicle starter for a standard transmission vehicle
JPH10122106A (ja) * 1996-10-16 1998-05-12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車載用電力供給制御装置
US6009355A (en) * 1997-01-28 1999-12-28 American Calcar Inc. Multimedia information and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s
US6052646A (en) * 1998-04-15 2000-04-18 Magellan Dis, Inc. Vehicle navigation system with improved powerup performance
US6147418A (en) * 1998-10-20 2000-11-14 Wilson; Bobby Remote vehicle starting apparatus with timer
US6393573B1 (en) 1999-07-14 2002-05-2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ower management for automotive multimedia system
US6374169B1 (en) * 1999-09-23 2002-04-16 Caterpilla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erving power on an earth moving machine having a mobile communicator
JP2002187523A (ja) * 2000-12-21 2002-07-02 Toyota Motor Corp 車載端末装置
DE10296400B4 (de) * 2001-03-08 2007-07-05 Siemens Vdo Automotive Corp., Auburn Hills Aufwecksystem für auf einem Fahrzeug unterstützte elektronische Komponenten
US20050261816A1 (en) * 2004-05-21 2005-11-24 Audiovox Corporation Remote programmer for a vehicle control system
US20030074590A1 (en) * 2001-10-12 2003-04-17 Fogle Steven L. Computer system with improved entry into powersave and lock modes and method of use therefor
US6791202B2 (en) * 2001-11-01 2004-09-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remote starting system shutoff
JP2003278418A (ja) * 2002-03-22 2003-10-02 Denso Corp 車載無線機装置
JP3602843B2 (ja) * 2002-06-12 2004-12-1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7548491B2 (en) * 2002-06-13 2009-06-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Personalized key system for a mobile vehicle
WO2004018249A1 (en) * 2002-08-08 2004-03-04 Sauro Bianchelli Motor vehicle equipped with a deception-proof safety control system
US20040100148A1 (en) * 2002-10-23 2004-05-27 Tsuyoshi Kindo Power control unit and vehicle-installed apparatus
JP3852697B2 (ja) * 2003-03-31 2006-12-06 ソニー株式会社 車両への情報提供装置、車両及び車両への情報提供方法
DE10330451B3 (de) * 2003-07-05 2004-09-30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zum Wecken eines Steuergerätes
JP4239735B2 (ja) * 2003-07-14 2009-03-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用表示装置
US7258092B2 (en) * 2003-09-30 2007-08-21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pre-cycle warm-up via wireless communication
JP2005112091A (ja) * 2003-10-06 2005-04-28 Sumitomo Electric Ind Ltd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車載機器制御装置
DE10347836A1 (de) * 2003-10-10 2005-05-04 Daimler Chrysler Ag Fahrzeugdatenbussystem
JP4206921B2 (ja) * 2003-12-25 2009-01-14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050277438A1 (en) * 2004-05-21 2005-12-15 Tilk Jason G Integrated key artifact
US7301442B2 (en) * 2004-09-07 2007-11-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Multi-functional fob
US7542827B2 (en) * 2004-10-12 2009-06-02 Temic Automotive Of North America, Inc. Scheduling remote starting of vehicle
US7504931B2 (en) * 2005-03-16 2009-03-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Remote feedback for vehicle key fob functions
US8046714B2 (en) * 2005-03-17 2011-10-25 Clarion Co., Ltd. Method, program and device for displaying menu
US7176833B2 (en) * 2005-04-26 2007-02-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electronic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ing activity-triggered GPS updates
US8077011B2 (en) * 2006-02-24 2011-12-1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nitiating sequence of vehicle functions
US7650864B2 (en) * 2006-11-17 2010-01-26 Magna Electronics Inc. Remote starter for vehicle
US8294558B2 (en) * 2006-12-04 2012-10-23 Fujitsu Ten Limited Starting control apparatus and tuner device
US20090177677A1 (en) * 2008-01-07 2009-07-09 Lubos Mikusiak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US8209093B2 (en) * 2008-08-28 2012-06-26 Nissan North America, Inc. Adaptive instruction system for a vehicle
US8096482B2 (en) * 2008-09-22 2012-0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limate control system with remote start operation
JP4864997B2 (ja) * 2009-03-10 2012-0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517B1 (ko) 2015-09-07 201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72762B (zh) 2013-06-19
JP5905197B2 (ja) 2016-04-20
FR2919837B1 (fr) 2010-01-15
EP2176770B1 (fr) 2011-12-28
FR2919837A1 (fr) 2009-02-13
ATE539406T1 (de) 2012-01-15
JP2015179520A (ja) 2015-10-08
CN101772762A (zh) 2010-07-07
US8738222B2 (en) 2014-05-27
JP2010535672A (ja) 2010-11-25
ES2379908T3 (es) 2012-05-04
EP2176770A1 (fr) 2010-04-21
KR101378373B1 (ko) 2014-03-27
US20110022264A1 (en) 2011-01-27
WO2009024711A1 (fr)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373B1 (ko)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 제어 장치
US6055478A (en) Integrated vehicle navigation, communications and entertainment system
JP4404390B2 (ja) 自動車用付帯装置の自動制御システム
US6344793B1 (en) Process for assisting a user of a motor vehicle when operating components of the motor vehicle as well as a pertaining system
EP16792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itializing a telematics terminal
EP2211310A2 (en) Dual purpose wireless device
JP4842785B2 (ja) 車載用電子システム及び車載電子装置
JP2009035024A (ja) 車載用電子システム及び車載用電子装置
CN102056766B (zh) 电子装置和电子系统
JP2001061129A (ja) ドライブレコーダシステム
TW200901837A (en) In-vehicle electronic apparatus and in-vehicle electronic system
CN106696870A (zh) 汽车用多功能智能pad监控系统
JP4178651B2 (ja) 車両位置確認システム
CN201333976Y (zh) 车载式警务用语警报器
CN101554860A (zh) 车载式警务用语警报器
EP1909072B1 (en) Vehicle electronic system coupling a mobile navigation module to a vehicle audio module
JP3113531U (ja) コンピュータバックミラー
CN114900380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JP4632974B2 (ja) 車載オーディオシステム
CN112654017A (zh) 一种车辆通信的方法、装置及汽车
JP2005522370A (ja) 車両通信装置、プロセッサを備えた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出し可能な記憶媒体
CN214028510U (zh) 一种氢能汽车音响娱乐系统
JP5169523B2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JP2008210221A (ja) 車室内音響状態調整システム
JP2008094218A (ja) 車両の音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