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035A -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035A
KR20100042035A KR1020080101144A KR20080101144A KR20100042035A KR 20100042035 A KR20100042035 A KR 20100042035A KR 1020080101144 A KR1020080101144 A KR 1020080101144A KR 20080101144 A KR20080101144 A KR 20080101144A KR 20100042035 A KR20100042035 A KR 20100042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bracket
lower bracket
upper bracke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1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2035A/ko
Priority to JP2009045561A priority patent/JP5364924B2/ja
Priority to US12/478,938 priority patent/US8047592B2/en
Priority to CN200910150478.1A priority patent/CN101722899B/zh
Publication of KR20100042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2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radial friction, e.g. cylindrical friction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암레스트 수납함(10)의 개구부(12) 일측에 고정되며, 내측으로 만입된 회동공간(150)이 형성되도록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된 로워브라켓(100); 로워브라켓(100)의 회동공간(150)에 고정되며 고무부재(320)가 돌출 형성된 마찰부(300); 및 로워브라켓(100)의 회동공간(150)에 힌지핀(700)을 매개로 설치되며 암레스트 덮개(30)가 고정되고 마찰부(300)가 수용되는 수용홈(522)이 형성되며 수용홈(522)의 내측면이 고무부재(320)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받도록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된 어퍼브라켓(500);을 포함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이 소개된다. 그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에 따르면, 강재가 아닌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되어 중량이 가벼워지고, 구조를 개선하여 힌지유닛의 비틀림 변형이 저하된다. 또한, 고무부재를 사용하여 마찰력이 유지됨으로써 암레스트 덮개의 개방시 다양한 각도에서 덮개의 위치가 고정되며 개폐감이 향상된다.
암레스트 힌지, 암레스트 브라켓

Description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ARMREST HINGE UNIT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마련되어 물건의 수납이 가능하고 팔을 기대어 쉴 수도 있는 암레스트에서 그 암레스트의 수납함과 수납함을 개폐할 수 있는 암레스트 덮개를 연결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는 암레스트가 마련된다. 암레스트는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그 내부공간에 물건의 수납이 가능하고, 그 상단에 팔을 걸쳐 쉴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암레스트의 기능과 내구성 및 디자인 역시 차량의 실내구성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암레스트는 크게 수납함과 덮개 및 양자를 연결하는 힌지유닛으로 구성된다. 수납함의 내부공간에는 사용자의 물건을 수납하고, 그 수납함의 상단 개구부에는 덮개를 힌지유닛을 통해 설치하여 수납함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암레스트의 힌지유닛은 우선 힌지의 작동 메커니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잦은 개폐시에도 그 내구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가벼운 무게로 제작되고 개폐감이 우수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차량제조의 원가절감 차원에서 낮은 원가의 부품을 이용하여 동등한 성능을 발휘함도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종래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은 우선, 힌지유닛의 구조가 충격에 약한 구조여서 그 재질을 강재로 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힌지유닛의 부품을 강재로 할 경우 중량의 증가와 원가의 증대 문제가 발생하였고, 특히, 암레스트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그 덮개에 측 방향 하중을 가한 경우 힌지유닛이 뒤틀리고, 영구적인 변형으로 인해 내구성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하여 경량화가 이루어지고, 구조를 개선하여 강도가 향상되며 적당한 마찰력을 유지하여 개폐감이 향상된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은, 암레스트 수납부의 개구부 일측에 고정되며, 내측으로 만입된 회동공간이 형성되도록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된 로워브라켓; 상기 로워브라켓의 회동공간 하부에 고정되며 양 측면에 고무부재가 돌출 형성된 마찰부; 및 상기 로워브라켓의 회동공간에 힌지핀을 매개로 설치되어 수납되며 상단부에 암레스트 덮개가 고정되고, 이 암레스트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마찰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이 수용홈의 내측면이 고무부재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받도록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된 어퍼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브라켓은 회동공간에 수납되는 수납부와 암레스트 덮개가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수납부의 양 측면이 회동공간의 내측면에 맞닿아 어퍼브라켓의 측방 유동이 저지될 수 있다.
상기 어퍼브라켓은 힌지핀을 중심으로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이 형성되며, 로워브라켓의 회동공간에는 어퍼브라켓 곡면의 슬라이딩 가이드를 위해 대응되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와 양 측면의 고무부재는 그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태이며, 마찰부의 하단에는 로워브라켓의 회동공간에 끼움 결합되는 클립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브라켓과 로워브라켓은 그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격자형의 리브가 연장되어 내부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고무부재의 측면에는 복수의 길이방향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에는 양 측면에서 로워브라켓까지 연장된 봉 형상의 중심부가 형성되고, 로워브라켓과 중심부의 사이에는 어퍼브라켓의 양 측단에서 연장된 힌지부가 형성되어 로워브라켓 및 중심부와 함께 힌지핀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어퍼브라켓의 하단 양측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로워브라켓 회동공간의 양측에는 가이드돌기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가이드홈에는 가이드돌기의 상방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스토퍼돌기가 형성되고 가이드돌기의 하단에는 스토퍼돌기와의 충돌을 완화하는 탄성체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에 따르면, 강재가 아닌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되어 중량이 가벼워지고, 구조를 개선하여 힌지유닛의 비틀림 변형이 저하된다. 또한, 고무부재를 사용하여 마찰력이 유지됨으로써 암레스트 덮개의 개방시 다양한 각도에서 덮개의 위치가 고정되며 개폐감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분해 사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은, 암레스트 수납함(10)의 개구부(12) 일측에 고정되며, 내측으로 만입된 회동공간(150)이 형성되도록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된 로워브라켓(100); 상기 로워브라켓(100)의 회동공간(150) 하부에 고정되며 양 측면에 고무부재(320)가 돌출 형성된 마찰부(300); 및 상기 로워브라켓(100)의 회동공간(150)에 힌지핀(700)을 매개로 설치되어 수납되며 상단부에 암레스트 덮개(30)가 고정되고, 이 암레스트 덮개(3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마찰부(300)가 수용되는 수용홈(522)이 형성되며 이 수용홈(522)의 내측면이 고무부재(320)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받도록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된 어퍼브라켓(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은 크게 어퍼브라켓(500), 로워브라켓(100) 및 마찰부(300)로 구성된다. 마찰부(300)는 로워브라켓(100)의 내측에 내장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어퍼브라켓(500)의 경우 종래와 달리 브라켓 자체를 외부로 노출하고 그 양 측면이 로워브라켓(100)의 회동공간(150) 내측면에 접하여 면 접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힌지구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강도가 보강되는 것이다.
도 1은 암레스트 덮개를 개방한 경우로써, 암레스트 수납함(10)의 개구 부(12) 일측에는 로워브라켓(100)이 설치되고, 그 로워브라켓(100)은 박스형태로 구성한다. 그 로워브라켓(100)에는 어퍼브라켓(500)이 설치되는데, 어퍼브라켓(500)은 로워브라켓(100)의 내측에서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수납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에 따르면, 외부로 노출되는 힌지유닛의 부분이 로워브라켓(100)과 어퍼브라켓(500) 뿐이고, 이러한 브라켓들은 모두 박스형태로 이루어져 디자인적 미관이 향상되고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고하여 각 구성을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로워브라켓(100)을 살펴본다. 로워브라켓(100)은 박스형태의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된다. 그 로워브라켓(100)에는 내부로 만입된 회동공간(150)이 형성된다. 회동공간(150)은 후술할 어퍼브라켓(500)의 곡면(521)과 대응되는 곡면(110)으로 형성한다. 로워브라켓(100)의 상면과 후면은 개방되어 그 상면을 통하여 어퍼브라켓(500)이 수납되도록 한다. 로워브라켓(100)의 양 측면에는 힌지핀(700)이 관통하는 힌지홀(130)이 형성된다.
그러한 로워브라켓(100)에는 마찰부(300)가 설치된다. 마찰부(300)는 반원형상인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한다. 그 마찰부(300)는 하우징(330)과 하우징(330)에 삽입되는 고무부재(320)로 구성된다. 하우징(330)은 반원형상으로 성형되며 중앙에 반원의 통공이 형성된다. 그 통공의 내측면에는 결합돌기(334)가 형성된다. 하우징(330)에는 그 반원형의 통공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무부재(320)가 삽입된다. 고무부재(320)에는 결합돌기(334)에 대응되는 홀(324)이 형성되어 결합돌기(334)에 끼워지며 하우징(330)의 통공에 결합된다. 마찰부(300)의 하단에는 로워브라켓(100)에 결합되는 클립부(332)가 형성된다. 클립부(332)는 로워브라켓(10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고, 그 클립부(332)와 로워브라켓(100)의 사이에는 충격흡수재(336)가 설치된다. 마찰부(300)는 반원형상인데, 그 반원의 원의 중심에는 중심부(350)가 형성된다. 중심부(350)는 힌지핀(700)이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마찰부(300)의 양 측단에서 로워브라켓(100) 측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이다.
마지막으로 로워브라켓(100)에는 어퍼브라켓(500)이 설치된다. 어퍼브라켓(500)은 로워브라켓(100)의 회동공간(150)에 수납되는 수납부(520)와 암레스트 덮개(30)가 고정되는 고정부(540)로 구성되며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된다. 어퍼브라켓(500)은 그 수납부(520)가 로워브라켓(100)의 회동공간에서 힌지핀(700)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고정부(540)에 고정된 암레스트 덮개(30)가 개폐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어퍼브라켓(500) 역시 로워브라켓(100)과 마찬가지로 박스형으로 성형된다. 다만 어퍼브라켓(500)은 로워브라켓(100)의 회동공간(150) 내측에 위치해야되므로 그 크기는 회동공간(150)과 같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어퍼브라켓(500)의 폭은 회동공간(150)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여 수납부(520)의 양 측면이 회동공간(150)의 내측면에 맞닿아 어퍼브라켓(500)의 측방 유동이 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암레스트 덮개를 개방한 경우에도 측 방향의 하중에 대해 어퍼브라켓(500)과 로워브라켓(100)이 상호 지지하여 굽힌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한 어퍼브라켓(500)에는 양 측으로 힌지부(523)가 형성되고, 그 힌지부(523)는 마찰부(300)의 중심부(350)와 로워브라켓(100)의 사이에 개재되어 힌지핀(700)에 함께 통공된다. 어퍼브라켓(500)은 힌지핀(700)을 중심으로 로워브라켓(100)의 내측에서 회동되며 로워브라켓(100)에 의해 지지되고 마찰부(300)의 마찰력을 전달받는 것이다.
또한, 어퍼브라켓(500)에는 마찰부(300)가 삽입되는 수용홈(522)이 형성된다. 수용홈(522)과 마찰부(300)의 개수는 제한이 없으나, 중앙에 한 쌍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수용홈(522)에는 마찰부(300)가 삽입되고, 그 마찰부(300)의 고무부재(320)는 양 측면이 수용홈(522)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한다. 고무부재(320)와 수용홈(522)이 가압된 상태로 맞닿아 있으므로 암레스트 덮개를 개방할 경우 어떠한 각도에서도 덮개가 개방을 멈추고 고정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이러한 마찰력의 제공이 없었고, 따라서 암레스트 덮개를 개방하는 도중 덮개를 놓을 경우 덮개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며 암레스트가 닫히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이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등 안전에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적당한 개폐감을 위하여는 고무부재(320)의 마찰력이 암레스트 덮개의 자중을 견딜 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무부재(320)의 재질이나 폭, 그리고 수용홈(522)의 폭 등을 고려하여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살핀 바와 같이 마찰부(300)의 단면은 반원형상이므로 수용홈(522)의 형상 역시 반원 형상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찰부(300)의 고무부재(320)에는 그 반원형상을 따라 측면에 홈(322)을 형성한다. 고무부재(320)에 홈(322)이 형성되어 고무부재(320)와 수용홈(522)의 압착시에도 홈(322)을 중심으로 고무부재(320)가 찌그러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고무부재(320)의 과도한 밀착에 의한 찢김을 방지하고 그 고무부재(320)의 내구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어퍼브라켓(500)의 원활한 수납을 위하여 어퍼브라켓(500)에는 힌지핀(700)을 중심으로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521)이 형성되며, 로워브라켓(100)의 회동공간(150)에는 그 어퍼브라켓 곡면(521)의 슬라이딩 가이드를 위해 대응되는 곡면(110)이 형성되도록 한다. 어퍼브라켓(500)과 로워브라켓(100)이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매칭되어 어퍼브라켓(500)이 로워브라켓(100)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히 회동되는 것이다. 또한, 어퍼브라켓(500)의 하단 양측에는 가이드돌기(525)가 형성되고 로워브라켓(100) 회동공간(150)의 양측에는 가이드돌기(525)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40)이 형성되며, 가이드홈(140)에는 가이드돌기(525)의 상방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스토퍼돌기(142)가 형성되도록 한다. 암레스트 덮개의 개방시 가이드돌기(525)는 가이드홈(140)을 따라 상방으로 슬라이딩 되고, 완전 개방상태에서 가이드돌기(525)는 스토퍼돌기(142)에 저지되는 것이다. 그러한 가이드돌기(525)에는 충돌시 소음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완충제(526)를 끼움 결합한다.
한편, 어퍼브라켓(500)과 로워브라켓(100)은 그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격자형의 리브(524,120)가 연장되어 내부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는 중량의 감소라는 결과를 가져오는데, 어퍼브라켓(500)과 로워브라켓(100)의 내부를 비워 두고, 각각 그 내부에 격자형의 리브(524,120)를 형성하여 내부 구조를 유지하며 상호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경량화를 함과 동시에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로워브라켓(100)의 회동공간(150)에는 어퍼브라켓(500)의 곡면(521)과 매칭되도록 리브(120)의 형상을 성형하는 것이고, 연속된 리브(120)들에 의해 로워브라켓(100)의 곡면(110)이 형성되며 어퍼브라켓(500)이 지지되는 것이다. 물론, 리브(524,120)의 형상은 플라스틱 수지의 사출시 함께 성형함이 가능하다.
도 3은 그러한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의 조립 사시도이다. 어퍼브라 켓(500)의 수용홈에 마찰부(300)를 삽입한다. 이 경우 수용홈과 마찰부의 고무부재(320) 간에는 마찰력이 작용하므로 가압에 의해 조립한다. 마찰부(300)가 결합된 어퍼브라켓(500)은 로워브라켓(100)의 회동공간(150)에 삽입된다. 그 후 일측에서 힌지핀(700)이 로워브라켓(100), 어퍼브라켓의 힌지부(523), 마찰부(300)의 중심부(350)를 차례로 관통하여 타측의 로워브라켓(100) 외측으로 나온다. 힌지핀(700)의 양단에는 고정클립(720)을 결합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경우 로워브라켓(100)은 암레스트의 수납함 일측에 설치되고, 어퍼브라켓(500)의 고정부(540)에 암레스트 덮개가 설치되는 것이다.
도 4는 상기 살핀 마찰부의 사시도이다. 마찰부(300)는 하우징(330)과 고무부재(320)로 구성되고, 모두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고무부재(320)의 측면에는 홈(322)이 형성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로써, 마찰부(300)의 고무부재(320)는 양 측단이 어퍼브라켓(500)의 수용홈(522)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하고, 그러한 어퍼브라켓(500)은 전단과 양 측단이 모두 로워브라켓(100)에 지지 및 가이드되어 측 방향의 하중에도 변형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6은 이러한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의(a)는 암레스트 덮개가 닫힌 상태이다. 도 6의(b)는 암레스트 덮개가 개방된 상태이다. 암레스트 덮개는 어퍼브라켓(500)의 고정부에 고정된 것이고, 그 덮개를 열어 젖힐 경우 어퍼브라켓(500)이 로워브라켓(100)의 내측에서 힌지핀(70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어퍼브라켓(500)과 로워브라켓(100)은 측면이 면 접촉을 이 루며 회전되고 어퍼브라켓(500) 내부의 수용홈은 마찰부(300)의 고무부재와 밀착되어 꾸준히 마찰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암레스트 덮개를 열기 위해 손으로 덮개를 잡아당겨야 하는 것이고, 덮개가 개방되는 상태 또는 완전개방된 상태에서는 손을 놓아도 덮개가 자중에 의해 닫히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어퍼브라켓(500)이 상승되어도 마찰부(300)는 그 하단의 클립부에 의해 로워브라켓(1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자리에서 어퍼브라켓(500)에 마찰력만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의 설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의 마찰부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의 작동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로워브라켓 110 : 곡면
120 : 리브 140 : 가이드홈
150 : 회동공간 300 : 마찰부
320 : 고무부재 322 : 홈
330 : 하우징 350 : 중심부
500 : 어퍼브라켓 520 : 수납부
521 : 곡면 522 : 수용홈
523 : 힌지부 524 : 리브
525 : 가이드돌기 700 : 힌지핀

Claims (8)

  1. 암레스트 수납함(10)의 개구부(12) 일측에 고정되며, 내측으로 만입된 회동공간(150)이 형성되도록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된 로워브라켓(100);
    상기 로워브라켓(100)의 회동공간(150) 하부에 고정되며 양 측면에 고무부재(320)가 돌출 형성된 마찰부(300); 및
    상기 로워브라켓(100)의 회동공간(150)에 힌지핀(700)을 매개로 설치되어 수납되며 상단부에 암레스트 덮개(30)가 고정되고, 이 암레스트 덮개(3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마찰부(300)가 수용되는 수용홈(522)이 형성되며 이 수용홈(522)의 내측면이 고무부재(320)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받도록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된 어퍼브라켓(500);을 포함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브라켓(500)은 회동공간(150)에 수납되는 수납부(520)와 암레스트 덮개(30)가 고정되는 고정부(540)로 구성되고, 수납부(520)의 양 측면이 회동공간(150)의 내측면에 맞닿아 어퍼브라켓(500)의 측방 유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브라켓(500)은 힌지핀(700)을 중심으로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 면(521)이 형성되며, 로워브라켓(100)의 회동공간(150)에는 어퍼브라켓 곡면(110)의 슬라이딩 가이드를 위해 대응되는 곡면(1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300)와 양 측면의 고무부재(320)는 그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태이며, 마찰부(300)의 하단에는 로워브라켓(100)의 회동공간(150)에 끼움 결합되는 클립부(3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브라켓(500)과 로워브라켓(100)은 그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격자형의 리브(524,120)가 연장되어 내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522)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고무부재(320)의 측면에는 복수의 길이방향 홈(3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300)에는 양 측면에서 로워브라켓(100)까지 연장된 봉 형상의 중심부(350)가 형성되고, 로워브라켓(100)과 중심부(350)의 사이에는 어퍼브라켓(500)의 양 측단에서 연장된 힌지부(523)가 삽입되어 로워브라켓(100) 및 중심부(350)와 함께 힌지핀(700)에 의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브라켓(500)의 하단 양측에는 가이드돌기(525)가 형성되고 로워브라켓(100) 회동공간(150)의 양측에는 가이드돌기(525)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40)이 형성되며, 가이드홈(140)에는 가이드돌기(525)의 상방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스토퍼돌기(1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KR1020080101144A 2008-10-15 2008-10-15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KR20100042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144A KR20100042035A (ko) 2008-10-15 2008-10-15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JP2009045561A JP5364924B2 (ja) 2008-10-15 2009-02-27 車両のアームレストヒンジユニット
US12/478,938 US8047592B2 (en) 2008-10-15 2009-06-05 Armrest hinge unit for vehicle
CN200910150478.1A CN101722899B (zh) 2008-10-15 2009-06-23 用于车辆的扶手铰链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144A KR20100042035A (ko) 2008-10-15 2008-10-15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035A true KR20100042035A (ko) 2010-04-23

Family

ID=42098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144A KR20100042035A (ko) 2008-10-15 2008-10-15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47592B2 (ko)
JP (1) JP5364924B2 (ko)
KR (1) KR20100042035A (ko)
CN (1) CN1017228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D20080253A1 (it) * 2008-08-20 2010-02-21 Clerprem Spa Bracciolo regolabile in inclinazione, in particolare per autoveicoli
DE102011014620B4 (de) * 2011-03-21 2020-02-06 Grammer Aktiengesellschaft Schwenkklappenvorrichtung für Fahrzeuginnenräume
EP2789752B1 (en) * 2013-04-11 2018-06-06 Yanmar Co., Ltd. Attaching structure for door of working vehicle
DE102014206030B4 (de) * 2013-11-27 2023-11-09 Adient Us Llc System mit einer schwenkbaren Armlehne und einer Arretierhilfe, Rückenlehne und Fahrzeugsitz
DE102015207380B4 (de) * 2015-04-22 2024-03-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bindungssystem zum Herstellen einer benutzungsabhängigen Anbindung einer Funktionseinrichtung an eine Fahrzeuginterieur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15014723A1 (de) * 2015-11-17 2017-05-18 Grammer Ag Fahrzeugausstattungsvorrichtung sowie Armlehne
FR3052205B1 (fr) * 2016-03-04 2019-12-27 Faurecia Interior Systems India Pvt. Ltd. Ensemble d'articulation
FR3054983B1 (fr) * 2016-08-11 2018-08-2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onsole convertible en table pour vehicule automobile a securite optimisee
KR101905486B1 (ko) * 2016-10-10 2018-10-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 유닛
CN206581758U (zh) * 2017-01-25 2017-10-24 福特环球技术公司 锁定装置和扶手控制台
CN106891786A (zh) * 2017-02-23 2017-06-27 宁波继峰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后排扶手的阻尼转动结构
JP7052581B2 (ja) * 2018-06-13 2022-04-12 豊田合成株式会社 収容装置
KR102100987B1 (ko) * 2018-10-26 2020-04-14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WO2020198242A1 (en) * 2019-03-25 2020-10-01 Consolidated Metco, Inc. Baggage doo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8029U (ko) * 1985-12-27 1987-07-10
JP2650012B2 (ja) * 1992-09-30 1997-09-03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車輌用収納装置
US5452501A (en) * 1993-09-28 1995-09-26 Itt Corporation Hinge and check assembly
US5697125A (en) * 1995-11-27 1997-12-16 Reell Precision Manufacturing Corporation Clip friction hinge
US5653001A (en) * 1996-01-03 1997-08-05 Lane; Bert Frictional lock hinge
JPH09267852A (ja) * 1996-03-29 1997-10-14 Toyoda Gosei Co Ltd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リッド枢支構造
US6018847A (en) * 1998-07-02 2000-02-01 Lu; Sheng-Nan Hinge axle device for a LCD monitor
CA2320103A1 (en) * 1998-12-07 2000-06-15 Multimatic Inc. Vehicle door prop clip
WO2001014671A1 (en) * 1999-08-25 2001-03-01 Southco, Inc. Friction hinge
JP2001097128A (ja) * 1999-09-29 2001-04-10 Toyoda Gosei Co Ltd コンソールボックス
CN2499532Y (zh) * 2001-08-06 2002-07-10 昂承股份有限公司 自由定位式铰链
US6616206B2 (en) * 2002-01-04 2003-09-0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enter console assembly
KR100482442B1 (ko) * 2002-05-07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US6843528B2 (en) * 2002-11-05 2005-01-18 Intier Automotive Inc. Latch lockout for a vehicular trim component
TW570260U (en) * 2003-05-16 2004-01-01 Tatung Co Tilt-angle rotating shaft structure of display
KR100867728B1 (ko) * 2005-12-08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아암 레스트의 유동 방지구조
KR100785231B1 (ko) * 2006-03-21 2007-12-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JP4973090B2 (ja) * 2006-09-25 2012-07-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ンソールボックス構造
KR100775367B1 (ko) * 2006-10-18 2007-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95241A (ja) 2010-04-30
JP5364924B2 (ja) 2013-12-11
US20100090485A1 (en) 2010-04-15
US8047592B2 (en) 2011-11-01
CN101722899A (zh) 2010-06-09
CN101722899B (zh)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2035A (ko)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KR100785231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WO2012046287A1 (ja) アシストグリップ
US10137840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KR100883745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KR100789644B1 (ko) 가이드 댐퍼를 이용한 맵포켓
KR101326825B1 (ko)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JP5224138B2 (ja) 収納ボックス
KR100956480B1 (ko) 링크를 이용한 컵홀더의 커버 개폐구조
KR200340543Y1 (ko) 도어프레임과 도어간 간극커버장치
JP6658468B2 (ja) フューエルリッド構造
JP6187524B2 (ja) 車両のフィラーリッド部構造
JP4394636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4034302B2 (ja) 車両用天井設置型収納装置
KR102419217B1 (ko) 암레스트 힌지구조
KR101143989B1 (ko) 차량용 선글라스 케이스
KR100850985B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용 댐퍼 장치
KR20090052197A (ko) 차량용 시트백포켓
KR101526741B1 (ko)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
KR100588889B1 (ko) 트레이 구조
KR101566704B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KR200377588Y1 (ko) 자동차용 어퍼트레이
JP2004190431A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JP5982866B2 (ja) 車両用収納部のドア構造
JP6217331B2 (ja) 車両用サイドドアの開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