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741B1 -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741B1
KR101526741B1 KR1020130156978A KR20130156978A KR101526741B1 KR 101526741 B1 KR101526741 B1 KR 101526741B1 KR 1020130156978 A KR1020130156978 A KR 1020130156978A KR 20130156978 A KR20130156978 A KR 20130156978A KR 101526741 B1 KR101526741 B1 KR 101526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 bar
bracket
hinge arm
trunk lid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선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6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렁크 리드의 개폐시 토션바의 1차 비틀림에 의한 개방성능뿐만 아니라 2차 비틀림의 발생에 의해 토션바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링크의 강성을 확보하여 토션바의 비틀림에 의한 회전력이 힌지암(200)에 원활히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트렁크 리드의 개폐 내구력을 확보하여 트렁크 리드의 팝업 및 작동력을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트렁크 리드의 초기 개방시 팝업량을 확보하여 상품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 {OPENING AND CLOSING EQUIPMENT FOR TRUNK LID}
본 발명은 트렁크 리드의 개폐 내구력을 확보하여, 트렁크 리드의 팝업 및 작동력이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트렁크 리드의 초기 개방시 팝업량을 확보할 수 있는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후면에는 화물을 실을 수 있는 트렁크가 구비되고, 트렁크의 사용을 위해 개폐되는 트렁크 리드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트렁크 리드는 힌지축을 지지점으로 회전되어 개폐작동되고, 트렁크 리드에 구비되는 래치 장치가 차체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에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트렁크 리드는 오픈 시 록킹을 해제하게 되면, 토션 바의 탄성력으로 일정높이만큼 트렁크 리드를 오픈시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트렁크 리드를 손쉽게 열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트렁크의 종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렁 크룸의 전방 상면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2)과, 일단이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트렁크 리드의 하면에 결합된 힌지암(4)과, 트렁크 리드(T)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토션바(6)가 마련된다.
상기의 토션바(6)는 일측이 링크롤 통해 힌지암(4)에 연결되고 타측이 브라켓(2)에 연결되어 있으며, 트렁크 리드(T)를 닫은 상태에서는 토션바(6)가 비틀어지고, 트렁크 리드(T)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트렁크 리드(T)의 오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는 링크 또는 토션바의 파손으로 인해 트렁크 리드의 팝업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리드의 개폐동작시 토션바(6)의 연장지점이 탄성적으로 비틀림으로써 힌지암을 회전시키는데, 힌지암(4)에 연결되는 작동지점에 비틀림이 발생되어 비틀림에 의한 피로 누적으로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아울러, 토션바의 작동지점에서 비틀림 발생으로 인해, 힌지암과 연결된 링크에 슬라이딩이 발생되어 링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시 트렁크 리드의 개폐 작동시 부하가 커짐에 따라 팝업량 감소 및 마모, 이음이 발생되어 원활한 트렁크 리드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기존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에 관한 기술은 대부분 트렁크 리드의 개폐동작이 원활한 작동을 위한 것이며,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내구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기술들이 부족한바, 트렁크 리드의 내구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0-0006751 A (2010.01.2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토션바의 1차 비틀림에 의한 트렁크 리드의 개방성능뿐만 아니라 2차 비틀림이 발생으로 인해 토션바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링크의 강성을 확보하여 토션바의 비틀림에 의한 회전력이 힌지암에 원활히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트렁크 리드의 개폐 내구력을 확보하여 트렁크 리드의 팝업 및 작동력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고, 초기 개방시 팝업량을 확보할 수 있는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는 트렁크룸 내측 패널에 양측으로 설치 고정된 브라켓; 일단이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트렁크 리드의 연결된 힌지암; 상기 브라켓에 걸리어 설치되고, 상기 힌지암에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비틀림으로써 힌지암을 회전시키는 토션바; 및 일단이 상기 힌지암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토션바가 걸리어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힌지암에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트렁크 리드의 열림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된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토션바는 일단부가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을 관통한 후 브라켓 내측에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브라켓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타측면을 관통된 장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션바는 타단부가 반대편 브라켓의 하측단에 걸리도록 배치되고, 반대편 브라켓의 타측면에 접촉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의 하측단에는 토션바의 타단부를 감싸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토션바의 절곡된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한 쌍으로 마주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힌지암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후방을 향해 연장된 힌지 연결부; 및 상기 한 쌍의 힌지 연결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힌지 연결부의 타단에는 상기 토션바가 걸리어 연결되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토션바를 2점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링크의 상단 연결부와 힌지암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마련되고, 탄성부재는 상단 연결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링크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절곡 형성되어 힌지암을 탄성적으로 밀어주도록 구성된 판스프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는 트렁크 리드의 개폐시 토션바의 1차 비틀림에 의한 개방성능뿐만 아니라 2차 비틀림의 발생에 의해 토션바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링크의 강성을 확보하여 토션바의 비틀림에 의한 회전력이 힌지암에 원활히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트렁크 리드의 개폐 내구력을 확보하여 트렁크 리드의 팝업 및 작동력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고, 초기 개방시 팝업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내지 2는 종래의 트렁크 리드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리드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장치의 토션바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장치의 링크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장치의 링크 및 탄성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10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토션바와 링크의 강성을 해석하고, 이를 비교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리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장치의 토션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장치의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장치의 링크 및 탄성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는 트렁크룸 내측 패널에 양측으로 설치 고정된 브라켓(100); 일단이 상기 브라켓(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트렁크 리드의 연결된 힌지암(200); 상기 브라켓(100)에 걸리어 설치되고, 상기 힌지암(200)에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비틀림으로써 힌지암(200)을 회전시키는 토션바(300); 및 일단이 상기 힌지암(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토션바(300)가 걸리어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힌지암(200)에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트렁크 리드의 열림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420)가 마련된 링크(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링크(400)에 마련된 탄성부재(420)를 이용하여 초기 팝업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초기 트렁크 리드의 폐쇄 상태에서는 링크(400) 내측에 마련된 탄성부재(420)가 힌지암(200)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가, 트렁크 리드의 개방시 탄성부재(420)가 힌지암(200)을 탄성적으로 지지해줌으로써 트렁크 리드의 초기 팝업량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토션바(300)와 링크(400)의 내구성능을 개선하여 토션바(300)가 비틀림에 의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링크(400)의 강성을 확보하여 토션바(300)의 비틀림에 의해 링크(400)가 틀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션바(300)는 일단부가 상기 브라켓(100)의 일측면(102)을 관통한 후 브라켓(100) 내측에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브라켓(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타측면(104)을 관통된 장력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토션바는 브라켓의 일측면을 관통 후 절곡형상되고, 다시 브라켓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장력부가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토션바는 트렁크 리드의 개방시 연장지점의 탄성적인 비틀림에 의해 힌지암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브라켓에 연결되는 절곡된 단부의 양측단이 일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브라켓에 걸림에 따라 편측으로 비틀림이 발생되어 힌지암에 연결된 링크가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 토션바(300)는 브라켓(100)의 일측면(102)을 관통 후 브라켓(100)의 내측에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후 브라켓(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 연결되도록 장력부(320)를 구성함으로써 장력부(320)의 양측단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브라켓의 걸림에 따라 트렁크 리드의 개방시 장력부(320)의 편측 비틀림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힌지암(200)과 토션바(300)를 연결하는 링크(400)가 토션바(300)의 편측 비틀림에 의해 틀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여기서, 토션바(300)의 경우 장력부(320)가 브라켓(100)의 내측에서 절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바, 장력부(320)의 폭을 기존의 장력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편측 비틀림의 발생량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상기의 토션바(300)는 타단부(340)가 반대편 브라켓의 하측단에 걸리도록 배치되고, 반대편 브라켓의 타측면에 접촉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100)의 하측단에는 토션바(300)의 타단부(340)를 감싸 지지하는 걸림턱(120)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토션바(300)의 절곡된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지지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트렁크룸 내측 패널에는 양측으로 브라켓이 설치되고, 양측의 브라켓에 설치된 힌지암을 회전시키기 위해 두 개의 토션바가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설명시에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한쪽 브라켓 만을 도시하였으며, 도면에 도시된 토션바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기 다른 토션바이다.
종래에는 토션바의 타단부가 절곡되어 브라켓의 타측면에 관통 연결되도록 "ㄷ"자로 형성됨에 따라 토션바의 타단부와 브라켓의 타측면이 유격이 발생되었고, 트렁크 리드의 개폐시 토션바가 비틀림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토션바(300)는 타단부(340)가 절곡되되 "ㄴ"자로 절곡 형성되어 브라켓(100)의 타측면(104)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브라켓(100)의 하측단에는 토션바(300)의 타단부가 걸리는 걸림턱(120)이 형성되고, 타측면(104)에는 토션바(300)의 절곡된 부분을 감싸는 지지부(140)가 형성되어 토션바(300)의 타단부(340)가 브라켓(100)에 접촉 지지되어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렇게, 토션바(300)가 길이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토션바(300)가 유동 후 비틀림에 의해 링크(400)가 뒤틀리는 문제를 해소하여 링크(400)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400)는 한 쌍으로 마주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힌지암(200)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후방을 향해 연장된 힌지 연결부(440); 및 상기 한 쌍의 힌지 연결부(44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 연결부(46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링크는 한 쌍의 힌지 연결부(440)로 구성하고, 이 힌지 연결부(440)의 상단을 상단 연결부(460)를 통해 결합해줌으로써 링크 자체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링크에(400)는 토션바(300)가 연결되고, 트렁크 리드의 개폐에 따른 토션바(300)의 비틀림 장력에 의해 트렁크 리드의 개방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는데, 이때 토션바의 길이방향으로도 장력이 발생되어 링크가 뒤틀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링크(400)는 힌지암(200)의 양측면에서 연장된 한 쌍의 힌지 연결부(440)와 이를 연결하는 상단 연결부(460)로 구성하여 링크 전체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의 한 쌍의 힌지 연결부(440)의 타단에는 상기 토션바(300)가 걸리어 연결되는 연결홈(442)을 형성하여 토션바(300)를 2점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힌지 연결부(440)에 형성된 연결홈(442)으로 "ㄷ"자로 절곡 형성된 토션바(300)의 장력부(320)가 삽입연결되고, 토션바(300)의 장력부(320)가 한 쌍의 힌지 연결부(440)에 2점 지지됨으로써 토션바(300)의 비틀림에 의한 링크(400)의 비틀림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렇게, 링크(400)와 토션바(300)의 지지부위를 증대시킴으로써 토션바(300)의 비틀림 장력이 링크(400)에 원활히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링크(400)의 내구성도 증대되어 토션바(300)의 비틀림 장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400)의 상단 연결부(460)와 힌지암(200) 사이에는 탄성부재(420)가 마련되고, 탄성부재(420)는 상단 연결부(46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성부재(420)는 링크(400)에 마련되어 트렁크 리드의 초기 개방시 팝업량을 일정량 유지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링크(400)의 상단 연결부(460)에 설치 고정되어 탄성적으로 상기 힌지암(200)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420)는 링크(40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절곡 형성되어 힌지암(200)을 탄성적으로 밀어주도록 구성된 판스프링일 수 있다. 즉, 탄성부재(420)는 일단이 상기 링크(400)의 상단 연결부(460) 내측에 고정되고, 탄성적으로 접혀져 타단이 힌지암(200)에 접촉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코일 스프링, 토션 스프링 등 다양한 탄성체의 적용이 가능하다.
도 9 내지 10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토션바와 링크의 강성을 해석하고, 이를 비교한 도면으로서, 종래의 트렁크 리드 개방시 토션바에 작용하는 비틀림에 의한 응력이 크게 발생되며, 링크의 경우에도 토션바의 비틀림에 의한 변위량 및 응력이 크게 발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토션바와 링크의 경우 종래의 토션바와 링크에 대비하여 응력의 발생 분포 및 비틀림에 의한 변화량이 현저히 감소된 것을 볼 수 있다.
위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는 트렁크 리드의 개폐시 토션바(300)의 1차 비틀림에 의한 개방성능뿐만 아니라 2차 비틀림의 발생에 의해 토션바(3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링크(400)의 강성을 확보하여 토션바(300)의 비틀림에 의한 회전력이 힌지암(200)에 원활히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트렁크 리드의 개폐 내구력을 확보하여 트렁크 리드의 팝업 및 작동력을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트렁크 리드의 초기 개방시 팝업량을 확보하여 상품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브라켓 120:걸림턱
140:지지부 200:힌지암
300:토션바 320:장력부
400:링크 420:탄성부재

Claims (8)

  1. 트렁크룸 내측 패널에 양측으로 설치 고정된 브라켓;
    일단이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트렁크 리드의 연결된 힌지암;
    상기 브라켓에 걸리어 설치되고, 상기 힌지암에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비틀림으로써 힌지암을 회전시키는 토션바; 및
    일단이 상기 힌지암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토션바가 걸리어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힌지암에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트렁크 리드의 열림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된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한 쌍으로 마주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힌지암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단이 후방을 향해 연장된 힌지 연결부; 및 상기 한 쌍의 힌지 연결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의 상단 연결부와 힌지암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마련되며, 탄성부재는 상단 연결부에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는 일단부가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을 관통한 후 브라켓 내측에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브라켓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타측면을 관통된 장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는 타단부가 반대편 브라켓의 하측단에 걸리도록 배치되고, 반대편 브라켓의 타측면에 접촉되도록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하측단에는 토션바의 타단부를 감싸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토션바의 절곡된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힌지 연결부의 타단에는 상기 토션바가 걸리어 연결되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토션바를 2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링크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절곡 형성되어 힌지암을 탄성적으로 밀어주도록 구성된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
KR1020130156978A 2013-12-17 2013-12-17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 KR101526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978A KR101526741B1 (ko) 2013-12-17 2013-12-17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978A KR101526741B1 (ko) 2013-12-17 2013-12-17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741B1 true KR101526741B1 (ko) 2015-06-05

Family

ID=5350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978A KR101526741B1 (ko) 2013-12-17 2013-12-17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7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792A (ko) * 2006-10-02 2008-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트렁크리드 지지구조
KR100869561B1 (ko) * 2008-06-04 2008-11-21 김홍건 팝업 기능을 가지는 트렁크 리드용 힌지 어셈블리
KR20100011731A (ko) * 2008-07-25 2010-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리드의 토션바 토크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792A (ko) * 2006-10-02 2008-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트렁크리드 지지구조
KR100869561B1 (ko) * 2008-06-04 2008-11-21 김홍건 팝업 기능을 가지는 트렁크 리드용 힌지 어셈블리
KR20100011731A (ko) * 2008-07-25 2010-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리드의 토션바 토크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726B1 (ko) 스프링 바이어스된 지지암을 갖는 일체형 힌지 어셈블리
US7735261B2 (en) Self-locking door assembly
US8251431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utomobile trunk lid
JP5364924B2 (ja) 車両のアームレストヒンジユニット
US20150337584A1 (en) Snap hinge with damped closing
WO2006127625A3 (en) Integrated torsion bar liftgate
JP5396067B2 (ja) トレイ装置
BRPI0909891B1 (pt) Dispositivo para uma fechadura de veículo automotor compreendendo uma entrada para um pino da trava
US20040177476A1 (en) Sprung hinge for closing compartment elements and the like
KR20210072996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링크식 유동 방지 구조
KR101198624B1 (ko) 단일화된 트렁크 리드 힌지 토션바
KR101526741B1 (ko)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
KR101518649B1 (ko)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100980615B1 (ko) 버스의 플랩도어 열림 고정구조
KR101416463B1 (ko) 트렁크 리드의 토션바 토크 조절장치
JP6488888B2 (ja) 車両用ドアのドアチェック機構
KR100879100B1 (ko) 차량용 도어체커
JP2014169000A (ja) トランクリッドの開閉構造
KR101526757B1 (ko) 트렁크 팝업 유지 장치
KR100896908B1 (ko) 차량용 트렁크의 토션바 조립구조
KR101997291B1 (ko) 트렁크 팝업 유지 장치
KR101484717B1 (ko) 도어 체커 일체형 도어 힌지장치
KR102131386B1 (ko) 트렁크리드의 토션바 홀더 장치
KR100680602B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토션바 토크 조절장치
KR101481313B1 (ko)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