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313B1 -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313B1
KR101481313B1 KR20130103318A KR20130103318A KR101481313B1 KR 101481313 B1 KR101481313 B1 KR 101481313B1 KR 20130103318 A KR20130103318 A KR 20130103318A KR 20130103318 A KR20130103318 A KR 20130103318A KR 101481313 B1 KR101481313 B1 KR 101481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torsion bar
bracket
slit groove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트렁크 내부 상면에 설치 고정되고, 트렁크 리드에 연결된 힌지암이 힌지 결합되며, 단면부에 슬릿홈이 형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측에 걸리도록 배치되고, 끝단부가 절곡되어 슬릿홈에 끼워지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트렁크의 폐쇄 상태시 탄성적으로 비틀어지도록 구성된 토션바; 및 상기 브라켓의 슬릿홈을 관통하여 돌출된 걸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된 가압부재 및 가압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조작레버로 구성된 조작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모듈의 조작레버에 의해 가압부재가 슬라이딩되면 걸림부가 슬릿홈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토션바의 비틀림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OPEN AND CLOSE TORQUE CONTROL DEVICE OF TRUNK}
본 발명은 트렁크의 개폐 조작시 오픈력을 조절하여 팝업 기능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후면에는 화물을 실을 수 있는 트렁크가 구비되고, 트렁크의 사용을 위해 개폐되는 트렁크 리드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트렁크 리드는 힌지축을 지지점으로 회전되어 개폐작동되고, 트렁크 리드에 구비되는 래치 장치가 차체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에 록킹 및 언록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트렁크 리드는 오픈 시 록킹을 해제하게 되면, 토션 바의 탄성력으로 일정높이만큼 트렁크 리드를 오픈시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트렁크 리드를 손쉽게 열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트렁크의 종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렁 크의 전방 상면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2)과, 일단이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트렁크 리드의 하면에 결합된 힌지암(4)과, 트렁크 리드(T)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토션바(6)가 마련된다.
상기의 토션바(6)는 일측이 힌지암(4)에 연결되고 타측이 브라켓(2)에 연결되어 있으며, 트렁크 리드(T)를 닫은 상태에서는 토션바(6)가 비틀어지고, 트렁크 리드(T)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트렁크 리드(T)의 오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트렁크를 개방하는 경우 트렁크의 중량감으로 인하여 과도한 힘이 요구되고, 특히 여성 운전자의 경우 또는 트렁크 리드의 무거운 중량을 지탱하기 힘든 사용자에게는 트렁크 리드의 개폐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KR10-2003-0081642A", "10-2005-0098550" 등의 트렁크 팝업 기능을 가지는 힌지 어셈블리 등에 대하여 제안이 되고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트렁크의 오픈력이 차량의 제작과정에서 미리 정해지는바, 토션바의 장착 후 토크값을 임의로 변경하지 못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10-2007-0042681A (2007.04.24)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토션바의 비틀림 토크를 조절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트렁크의 오픈력을 제공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만으로 트렁크 오픈력을 조절할 수 있는바,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구조의 복잡성을 개선할 수 있는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는 트렁크 내부 상면에 설치 고정되고, 트렁크 리드에 연결된 힌지암이 힌지 결합되며, 단면부에 슬릿홈이 형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측에 걸리도록 배치되고, 끝단부가 절곡되어 슬릿홈에 끼워지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트렁크의 폐쇄 상태시 탄성적으로 비틀어지도록 구성된 토션바; 및 상기 브라켓의 슬릿홈을 관통하여 돌출된 걸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된 가압부재 및 가압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조작레버로 구성된 조작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모듈의 조작레버에 의해 가압부재가 슬라이딩되면 걸림부가 슬릿홈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토션바의 비틀림 각도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내측 단면부에 슬릿홈이 형성되고, 상기 토션바의 걸림부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슬릿홈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의 슬릿홈은 트렁크의 열림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의 하단에는 토션바가 걸리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트렁크의 개폐조작시 토션바의 유동을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의 조작레버는 트렁크 내부 상면에서 브라켓의 후방 측에 고정부재를 통해 설치되고, 가압부재는 브라켓의 단면부에 형성된 지지부재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의 조작레버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된 머리부와 머리부에서 전방의 가압부재까지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몸통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골이 형성되어 조작레버의 몸통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에는 조작모듈의 슬라이딩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고정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의 가압부재는 전단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가압부재의 슬라이딩시 토션바의 걸림부가 가압부재의 경사면을 타고 슬릿홈에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슬릿홈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측단이 절곡되어 가압부재의 하부를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는 조작모듈을 통해 토션바의 비틀림 토크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트렁크의 오픈력을 제공하여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조만으로 트렁크 오픈력을 조절할 수 있는바,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구조의 복잡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렁크 개폐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6은 도 2에 도시된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의 조작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6은 도 2에 도시된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의 조작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는 트렁크 내부 상면에 설치 고정되고, 트렁크 리드(T)에 연결된 힌지암(120)이 힌지 결합되며, 단면부(140)에 슬릿홈(142)이 형성된 브라켓(100); 상기 브라켓(100)의 하측에 걸리도록 배치되고, 끝단부가 절곡되어 슬릿홈(142)에 끼워지는 걸림부(220)가 형성되며, 트렁크의 폐쇄 상태시 탄성적으로 비틀어지도록 구성된 토션바(200); 및 상기 브라켓(100)의 슬릿홈(142)을 관통하여 돌출된 걸림부(2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된 가압부재(320) 및 가압부재(320)를 슬라이딩시키는 조작레버(340)로 구성된 조작모듈(300);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상기 조작모듈(300)의 조작레버(340)에 의해 가압부재(320)가 슬라이딩되면 걸림부(220)가 슬릿홈(142)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토션바(200)의 비틀림 각도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토션바(200)의 회전 기점을 변경하여 비틀림시 토크를 조절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100)은 트렁크 내부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고, 트렁크 리드(T)에 연결된 힌지암(120)도 한 쌍을 이루어 상기 브라켓(10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토션바(200)는 두 개가 한 조로 이루어져 상호 엇갈리도록 구성되어 트렁크 내부 양측에 설치된 브라켓(100)의 슬릿홈(142) 또는 힌지암(12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암(120)에는 링크(160)가 구비되어 복수의 토션바(20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토션바, 브라켓, 조작모듈만을 도면에 도시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의 브라켓(100)의 단면부(140)에는 슬릿홈(142)이 형성되는데, 슬릿홈(142)은 하기 설명할 토션바(200)의 끝단부가 걸리어 토션바(200)를 트렁크 내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걸림부(220)의 고정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브라켓(100)의 슬릿홈(142)은 트렁크의 열림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굴곡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슬릿홈(142) 내에서 토션바(200)의 걸림부(220)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비틀림 각도가 일정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조작모듈(300)의 가압부재(320)에 의해 토션바(200)의 걸림부(220)가 밀릴시 걸림부(220)가 슬릿홈(142)을 타고 원활히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100)의 하측에는 토션바(200)가 마련되며, 토션바(200)의 끝단부는 절곡되어 브라켓의 슬릿홈(142)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토션바(200)는 트렁크의 폐쇄시 탄성적으로 비틀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트렁크의 개방시 탄성적으로 회전 복원됨에 따라 트렁크 리드(T)가 개방되도록 토크를 제공한다.
여기서, 토션바(200)의 끝단부인 걸림부(220)는 트렁크의 개폐시 비틀어지도록 하기 위한 고정점이 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토션바(200)는 일측이 힌지암(120)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고정됨으로써 트렁크의 개폐시 비틀어져 토크를 부여하도록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 걸림부(220)는 토션바(200)의 비틀림 동작시 고정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100)의 하단에 토션바(200)가 걸리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걸림턱(180)이 형성되어 트렁크의 개폐조작시 토션바(200)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토션바(200)의 걸림부(220)는 비틀림 동작시 고정점이 되는바, 트렁크 리드(T)의 개폐시 토션바(200)에 유동이 발생되면 토션바(200)의 원활한 비틀림이 수행되지 않아 토크가 올바르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최악의 경우 토션바(200)가 브라켓(100)에서 이탈되어 토션바(200)의 비틀림 동작이 전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브라켓(100)에서 토션바(200)의 걸림부(220)가 걸리는 하측으로 토션바(200)가 걸리도록 걸림턱(180)을 형성하여 트렁크의 개폐조작에도 토션바(200)가 브라켓(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토션바(200)의 유동을 제한하여 올바른 토크 전달이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토션바(200)의 비틀림 동작시 고정점이 되는 걸림부(220)의 위치가 슬릿홈(220)을 따라 변경됨으로써 토션바(200)의 비틀림 각도가 변화됨에 따른 토크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토션바(200)의 걸림부(220)가 슬릿홈(142)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조작모듈(300)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조작모듈(300)은 브라켓(100)의 슬릿홈(142)을 관통하여 돌출된 토션바(200)의 걸림부(220)와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된 가압부재(320) 및 가압부재(320)를 슬라이딩시키는 조작레버(34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작레버(340)를 임의로 조작함에 따라 가압부재(32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가압부재(320)의 이동에 의해 토션바(200)의 걸림부(220)가 밀리어 브라켓(100)의 슬릿홈(142)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토션바(200)의 고정점 위치 변경에 따른 비틀림 각도가 변경되어 토션바(200)의 토크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브라켓(100)의 슬릿홈(142)은 내측 단면부(140)에 형성되고, 상기 토션바(200)의 걸림부(220)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슬릿홈(142)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트렁크 내부 공간은 레이아웃 상 추가적인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며, 주변 구성부품의 간섭으로 인한 설치의 제약이 따른다. 특히, 브라켓(100)의 경우 트렁크 내부 공간의 양 사이드에 설치되는바, 브라켓(100)의 외측 방향으로는 추가적인 구조물을 설치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조작모듈(300)의 원활한 설치를 위해 브라켓(100)의 내측으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브라켓(100)의 슬릿홈(142)은 내측 단면부(140)에 형성하고, 상기 토션바(200)의 걸림부(220)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슬릿홈(142)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토션바(200)의 걸림부(220)가 내측을 향해 돌출됨에 따라 걸림부(220)와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가압부재(320)를 브라켓(100)의 내측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트렁크 내부의 레이아웃 상 설치위치의 제약됨을 해소할 수 있고, 힌지암(120)의 힌지 회전과 같은 기타 구조물의 동작에 방해되지 않도록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조작모듈(300)의 조작레버(340)는 트렁크 내부 상면에서 브라켓(100)의 후방 측에 고정부재(A)를 통해 설치되고, 가압부재(320)는 브라켓(100)의 단면부(140)에 형성된 지지부재(B)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작레버(340)는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하는바, 브라켓(100)의 후방 측에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방 및 후방을 지칭함은 차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통상적으로 트렁크는 차량의 후방에 위치되는바, 트렁크 내부를 전방이라 하겠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모듈(300)의 조작레버(34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된 머리부(342)와 머리부(342)에서 전방의 가압부재(320)까지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344)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조작레버(340)의 머리부(342)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편하도록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머리부(342)와 일체로 연결된 몸통부(344)가 머리부(342)의 조작됨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조작모듈(300)의 가압부재(320)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토션바(200)의 걸림부(220)를 밀어주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바, 조작레버(340)의 머리부(342)와 몸통부(344) 및 가압부재(320)는 전후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A)는 몸통부(342)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내주면에 나사골이 형성되어 조작레버(340)의 몸통부(342)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작모듈(300)에 의해 토션바(200)의 걸림부(220)가 슬릿홈(142)에서 위치가 변경되도록 한다. 여기서, 토션바(200)의 걸림부(22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토션바(200)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가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조작레버(340)의 몸통부(344)에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트렁크 내부 상면에 설치고정되어 몸통부(344)가 삽입되는 고정부재(A)의 내주면에는 나사골을 형성함으로써 몸통부(344)와 고정부재(A)가 상호 나사체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조작레버(300)의 머리부(342)를 회전조작시 몸통부(344)도 일체로 회전되어 고정부재(A)의 나사선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토션바(200)의 걸림부(220)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충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조작모듈(300)의 가압부재(320)를 밀어주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화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구조적 단순화를 꾀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 구조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A)에는 조작모듈(300)의 슬라이딩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고정기구(a)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토션바(200)의 걸림부(220)는 브라켓(100)의 슬릿홈(142)을 따라 위치가 변경되어 토션바(200)의 비틀림 각도 변경이 완료되면 그 위치가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고정부재(A)에는 고정기구(a)가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기구(a)는 조작레버(300)의 몸통부(344)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가압부재(320)의 움직임을 막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고정기구(a)는 고정부재(A)와 조작레버(300)의 몸통부(344) 간의 나사 이동을 제한하여 가압부재(320)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구 간의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은 다양한 기술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모듈(300)의 가압부재(320)는 전단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가압부재(320)의 슬라이딩시 토션바(200)의 걸림부(220)가 가압부재(320)의 경사면을 타고 슬릿홈(142)에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압부재(320)는 조작레버(340)의 조작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토션바(200)의 걸림부(220)가 슬릿홈(142)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가압부재(320)가 토션바(200)의 걸림부(220)를 밀어주는 동작을 수행시 전단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경우 토션바(200)의 걸림부(220)가 가압부재(320)의 경사면(322)을 타고 슬릿홈(142)을 따라 원활히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작레버(340)의 조작에 의해 토션바(200)의 걸림부(220) 위치를 변경시 요구하는 힘을 저감할 수 있으며, 부드러운 작동을 통해 사용자의 트렁크 오픈력의 조작감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B)는 슬릿홈(142)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단이 절곡되어 가압부재(320)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압부재(320)는 슬릿홈(142)을 관통하여 돌출된 토션바(200)의 걸림부(220)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가압부재(320)는 조작레버(340)의 조작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바, 브라켓(100)의 단면부(140)에 가압부재(32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B)를 설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부재(B)는 브라켓(100)의 단면부(140)에서 슬릿홈(142)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되도록 형성되며, 일측단이 절곡되어 가압부재(320)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B)는 브라켓(100)의 슬릿홈(142)을 관통하여 돌출된 토션바(200)의 걸림부(22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전후방향만으로 직선이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가압부재(320)의 하부를 감쌈으로써 전후방향 외의 유동을 제한하여 슬라이딩 동작에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장치의 작동상태에서 대해서 살펴보면, 초기 상태시 토션바(200)의 걸림부(220)가 브라켓(100)의 슬릿홈(142)을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조작모듈(300)의 가압부재(320)가 걸림부(2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의 토션바(200)의 비틀림에 의한 토크는 초기 공정시 트렁크 리드(T)의 중량에 따른 토크 설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여성 운전자의 사용 및 트렁크 오픈력을 증대시킴이 필요할 경우 조작모듈(300)의 조작레버(340)를 조작함으로써 가압부재(320)가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이렇게 가압부재(32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토션바(200)의 걸림부(220)를 밀어주게 되고, 걸림부(220)가 브라켓(100)의 슬릿홈(142)을 따라 이동된다. 이처럼 토션바(200)의 걸림부(220)가 슬릿홈(142)을 따라 이동되어 토션바(200)의 고정점이 변경시 토션바(200)의 비틀림 각이 증대되어 토크가 증대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즉, 초기 상태의 토션바(200)의 비틀림 각도에서 걸림부(220)가 슬릿홈(142)을 따라 상측 후방으로 이동되어 비틀림 각도가 증대됨으로써 토션바(200)의 토크가 증대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트렁크 리드(T)의 개방시 토션바(200)의 증대된 토크로 인해 팝업되는 힘이 증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는 조작모듈을 통해 토션바의 비틀림 토크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트렁크의 오픈력을 제공하여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조만으로 트렁크 오픈력을 조절할 수 있는바,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구조의 복잡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브라켓 120:힌지암
140:단면부 142:슬릿홈
160:링크 180:걸림턱
200:토션바 220:걸림부
300:조작모듈 320:가압부재
340:조작레버 A:고정부재
B:지지부재

Claims (9)

  1. 트렁크 내부 상면에 설치 고정되고, 트렁크 리드에 연결된 힌지암이 힌지 결합되며, 단면부에 슬릿홈이 형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측에 걸리도록 배치되고, 끝단부가 절곡되어 슬릿홈에 끼워지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트렁크의 폐쇄 상태시 탄성적으로 비틀어지도록 구성된 토션바; 및
    상기 브라켓의 슬릿홈을 관통하여 돌출된 걸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된 가압부재 및 가압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조작레버로 구성된 조작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모듈의 조작레버에 의해 가압부재가 슬라이딩되면 걸림부가 슬릿홈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토션바의 비틀림 각도가 변경되도록 하며,
    상기 조작모듈의 조작레버는 트렁크 내부 상면에서 브라켓의 후방 측에 고정부재를 통해 설치되고, 가압부재는 브라켓의 단면부에 형성된 지지부재에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슬릿홈은 내측 단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션바의 걸림부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슬릿홈을 관통하여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슬릿홈은 트렁크의 열림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하단에는 토션바가 걸리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트렁크의 개폐조작시 토션바의 유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모듈의 조작레버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된 머리부와 머리부에서 전방의 가압부재까지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몸통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내주면에 나사골이 형성되어 조작레버의 몸통부와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조작모듈의 슬라이딩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고정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모듈의 가압부재는 전단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가압부재의 슬라이딩시 토션바의 걸림부가 가압부재의 경사면을 타고 슬릿홈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슬릿홈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단이 절곡되어 가압부재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KR20130103318A 2013-08-29 2013-08-29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KR101481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318A KR101481313B1 (ko) 2013-08-29 2013-08-29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318A KR101481313B1 (ko) 2013-08-29 2013-08-29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313B1 true KR101481313B1 (ko) 2015-01-09

Family

ID=5258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3318A KR101481313B1 (ko) 2013-08-29 2013-08-29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3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236U (ko) * 1996-12-17 1998-09-15 양재신 자동차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
KR100307141B1 (ko) 1997-08-30 2001-11-30 이계안 트렁크리드토션바장력조정장치
KR20100011731A (ko) * 2008-07-25 2010-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리드의 토션바 토크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236U (ko) * 1996-12-17 1998-09-15 양재신 자동차 트렁크 리드용 토션바의 장력 조절 장치
KR100307141B1 (ko) 1997-08-30 2001-11-30 이계안 트렁크리드토션바장력조정장치
KR20100011731A (ko) * 2008-07-25 2010-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리드의 토션바 토크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95494B (zh) 用于机动车门的把手装置
EP2644808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vehicle door
US7644976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79555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락킹 장치
KR101886445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US11168502B2 (en) Door device
US9670701B2 (en) Motor-vehicle door latch device
US20110095560A1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a folding-top compartment lid
US20140237901A1 (en) Linear center rail link structure of sliding door for vehicle
EP2436854A2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US9534426B2 (en) Child protector mechanism
KR102474382B1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20140075371A (ko)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KR101704060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립 구조
KR101481313B1 (ko)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KR20160041189A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US20200199926A1 (en) Closing device for a storage compartment, storage compartment for a motor vehicle
JP4722261B2 (ja) 乗物用オープンルーフ構造
KR101519247B1 (ko) 슬라이드 도어 장치
KR101449987B1 (ko) 인사이드 핸들부 결합구조
KR101491318B1 (ko) 슬라이딩 도어 리모트 컨트롤
KR100825402B1 (ko) 글로브박스의 내입형 개폐장치
KR20150106293A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US11473348B2 (en) Integrated door latch assembly of sliding door
KR102417392B1 (ko)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