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189A -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 Google Patents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189A
KR20160041189A KR1020140134681A KR20140134681A KR20160041189A KR 20160041189 A KR20160041189 A KR 20160041189A KR 1020140134681 A KR1020140134681 A KR 1020140134681A KR 20140134681 A KR20140134681 A KR 20140134681A KR 20160041189 A KR20160041189 A KR 20160041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foul
gear
release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468B1 (ko
Inventor
김성국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4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46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5/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65D15/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 B65D15/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with curved, or partially curved, walls made of metal
    • B65D15/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with curved, or partially curved, walls made of metal with end walls made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는: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며 복수 개의 걸림부를 구비하는 래치기어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며 외측에 걸림기어를 구비하는 파울과, 파울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작동케이블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해제부 및 해제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걸림기어에 걸린 상태에서 해제부와 함께 이동하며 파울을 회전시키는 걸림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본 발명은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자의 조작만으로 자동차의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룸을 보호하면서 엔진소음에 대한 차음기능도 겸하도록 된 후드가 구비되며, 후드는 차체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후드는 차내에 있는 버튼 또는 레버에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되며, 버튼 또는 레버의 조작에 따라 와이어가 당겨짐으로써 후드의 록킹이 해제되는 구조를 갖는다.
후드는 후드래치 및 안전후크에 의하여 2단으로 록킹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록킹된 후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후드래치를 먼저 록킹 해제시키고 다음에 수동으로 안전후크를 작동시켜야 비로소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다. 후드가 2단 잠김구조를 갖는 것은 혹시라도 후드래치가 완전히 록킹되지 않은 상태로 주행을 하다가 주행풍에 의해 후드가 갑자기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래치장치는, 이동홈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운팅홈부가 형성된 래치기어와, 래치기어의 걸림단을 구속하는 파울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파울은 손잡이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래치기어의 구속을 해제하여 후드의 개방을 행한다.
래치기어에는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가 형성되어 스트라이커를 구속한 래치기어가 파울에 의해 2단 구속상태를 형성한다. 스트라이커가 래치기어의 마운팅홈부에 진입하면 래치기어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파울은 래치기어의 제1걸림부에 걸리므로 1단 구속상태를 형성한다.
스트라이커에 밀려서 래치기어가 완전히 회전되면, 파울은 래치기어의 제2걸림부에 걸리므로 2단 구속상태를 형성한다. 래치기어를 2단 구속상태에 있는 완전잠금위치에서 후드열림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파울에 해제력을 전달하므로, 래치기어에서 파울을 분리시킨다. 파울이 래치기어에서 분리되면, 개방력이 래치기어에 인가될 때 래치기어가 분리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라이커가 래치기어에서 분리된다.
종래에는 후드래치에서 스트라이커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운전석의 전방에 구비된 레버를 조작하여 파울에 해제력을 1차 전달한 후, 운전자가 직접 차량의 밖으로 나가서 후드래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으로 후드래치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운전자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62304호(2007.06.15 공개,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후드래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자의 조작만으로 자동차의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는: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며 복수 개의 걸림부를 구비하는 래치기어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며 외측에 걸림기어를 구비하는 파울과, 파울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작동케이블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해제부 및 해제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걸림기어에 걸린 상태에서 해제부와 함께 이동하며 파울을 회전시키는 걸림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래치기어는,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마운팅홈부를 구비하는 래치몸체와, 래치몸체에서 돌출되어 마운팅홈부로 삽입되는 스트라이커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걸림부와, 마운팅홈부를 사이에 두고 제1걸림부와 이격되며 래치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완전잠금위치에서 파울에 걸리는 제2걸림부 및 제2걸림부와 단차를 이루며 중간잠금위치에서 파울에 걸리는 제3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울은, 이동홈부를 사이에 두고 래치기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울몸체 및 파울몸체에서 돌출되어 제2걸림부 또는 제3걸림부에 걸려서 래치몸체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걸림기어는 걸림레버부와 마주하는 파울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기어는 톱니나사 형상으로 형성되며, 파울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제부는, 파울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와 마주하는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몸체 및 해제몸체에서 연장되어 작동케이블에 걸리는 해제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레버부는, 해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레버몸체 및 걸림레버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걸림기어에 걸리는 연장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래치기어와 걸림레버부는 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파울과 해제부는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해제부는 작동케이블의 이동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는 작동케이블의 이동으로 해제부가 회전되며, 해제부와 함께 이동되는 걸림레버부가 파울을 회전시켜 래치기어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자의 조작만으로도 자동차의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에서 해제부와 걸림레버부와 커버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요부구성이 완전잠금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케이블의 1차 동작으로 해제부와 함께 걸림레버부가 이동되면서 파울을 회전시켜 래치기어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이 제3걸림부에 걸려서 스트라이커가 중간잠금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케이블의 2차 동작으로 걸림레버부가 파울을 회전시켜 래치기어의 구속이 해제되어 후드열림위치로 래치기어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승용차에 설치된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에서 해제부와 걸림레버부와 커버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요부구성이 완전잠금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케이블의 1차 동작으로 해제부와 함께 걸림레버부가 이동되면서 파울을 회전시켜 래치기어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이 제3걸림부에 걸려서 스트라이커가 중간잠금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케이블의 2차 동작으로 걸림레버부가 파울을 회전시켜 래치기어의 구속이 해제되어 후드열림위치로 래치기어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1)는, 스트라이커(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12)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홈부(12)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110)를 구속하며 복수 개의 걸림부를 구비하는 래치기어(20)와,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20)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며 외측에 걸림기어(36)를 구비하는 파울(30)과, 파울(30)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작동케이블(12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해제부(50)와, 해제부(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걸림기어(36)에 걸린 상태에서 해제부(50)와 함께 이동하며 파울(30)을 회전시키는 걸림레버부(60)를 포함한다.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10)는 스트라이커(110)가 상하(이하 도 3기준)로 이동되기 위한 이동홈부(12)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트라이커(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1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동홈부(12)의 상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하측은 막혀있다.
베이스(10)의 우측에는 래치기어(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10)의 좌측에는 파울(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지지축(90)은 커버부(40)와 래치기어(20)의 래치몸체(21)를 관통하여 베이스(10)의 제1연결공(14)에 삽입되며, 제2지지축(92)은 해제부(50)와 커버부(40)와 파울(30)의 파울몸체(32)를 관통하여 베이스(10)의 제2연결공(16)에 삽입된다.
래치기어(20)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홈부(12)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110)를 구속하며, 복수 개의 걸림부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20)는 래치몸체(21), 제1걸림부(22), 마운팅홈부(23), 제2걸림부(24), 제3걸림부(25) 및 래치연장편(27)을 포함한다.
래치몸체(21)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110)가 삽입되는 마운팅홈부(23)를 구비한다. 제1지지축(90)은 커버부(40)와 래치몸체(21)와 베이스(10)를 차례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몸체(21)는 이동홈부(12)의 우측에 위치하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걸림부(22)는 래치몸체(21)에서 돌출되어 마운팅홈부(23)로 삽입되는 스트라이커(110)의 상측에 위치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걸림부(22)는 스트라이커(110)를 구속하는 완전잠금위치에서 래치몸체(21)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걸림부(22)는 완전잠금위치에서 파울(30)을 향하여 연장되며, 이동홈부(12)의 내측에 있는 스트라이커(110)가 이동홈부(12)의 상측으로 이동됨을 구속한다.
마운팅홈부(23)는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24)의 사이에 위치하며, 베이스(10)의 이동홈부(12)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는 스트라이커(110)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한다.
제2걸림부(24)는 스트라이커(110)가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1)에 완전히 잠김 상태로 있는 완전잠금위치에서, 파울(30)에 걸려서 래치기어(20)의 회전이 구속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걸림부(24)는 마운팅홈부(23)를 사이에 두고 제1걸림부(22)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래치몸체(21)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완전잠금위치에서 파울(30)에 걸린다. 제2걸림부(24)는 이동홈부(12)에 위치하는 스트라이커(1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스트라이커(110)에 밀려서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스트라이커(110)를 밀면서 상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제2걸림부(24)는 래치몸체(21)와 함께 회전되며, 파울(30)의 위치에 따라 파울(30)에 접하여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파울(30)을 통과하여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3걸림부(25)는 제2걸림부(24)와 단차를 이루며 중간잠금위치에서 파울(30)에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걸림부(24)의 일측(도 3기준 상측)에는 마운팅홈부(23)가 위치하며, 제2걸림부(24)의 타측(도 3기준 하측)은 원호 형상으로 연장된다. 제2걸림부(24)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3걸림부(25)는 제2걸림부(24)와 단차를 이루며 래치몸체(21)의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파울(30)의 걸림돌기(34)는 제2걸림부(24)나 제3걸림부(25)에 걸려서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래치연장편(27)은 래치몸체(21)에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100)에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연장편(27)은 래치몸체(21)의 상측(이하 도 3기준)으로 연장되어 제1탄성부재(100)의 타측에 연결된다.
래치기어(20)는, 제1지지축(90)이 관통되는 래치몸체(2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걸림부(22), 마운팅홈부(23), 제2걸림부(24) 및 제3걸림부(25)가 반시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파울(30)은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20)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30)은, 파울몸체(32), 걸림돌기(34), 걸림기어(36) 및 파울지지편(38)을 포함한다.
파울몸체(32)는 이동홈부(12)를 사이에 두고 래치기어(20)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파울몸체(32)는 이동홈부(12)를 사이에 두고 래치기어(20)와 대향되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몸체(32)는 이동홈부(12)의 좌측에 위치하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지지축(92)의 일측은 파울몸체(32)와 베이스(10)의 제2연결공(16)을 차례로 통과하여 설치된다. 또한 제2지지축(92)의 타측에는 커버부(40)와 해제부(50)와 파울(30)을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102)가 설치된다.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1)가 완전잠금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파울몸체(32)의 중간에 제2지지축(92)이 관통하며, 제2지지축(92)의 상측에 걸림기어(36)가 위치한다.
걸림돌기(34)는 파울몸체(32)에서 래치기어(20)가 설치된 베이스(10)의 우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걸림돌기(34)에 래치기어(20)의 제2걸림부(24) 또는 제3걸림부(25)가 걸리므로 래치몸체(21)의 회전이 구속된다. 걸림돌기(34)는 파울몸체(32)에서 돌출되어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34)는 래치기어(20)와 마주하는 측면에서 래치기어(2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제2걸림부(24)와 제3걸림부(25)에 접촉되어 밀리거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제2걸림부(24)와 제3걸림부(25)의 이동을 구속한다.
걸림기어(36)는 걸림레버부(60)와 마주하는 파울몸체(32)의 상측에 구비되며 톱니나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기어(36)는 파울몸체(32)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걸림기어(36)의 나사산에서 좌측에 위치한 부분은 경사가 급하고 우측에 위치한 부분은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기어(36)에 걸리는 걸림레버부(60)가 걸림기어(36)에 걸려서 파울(3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원위치로 이동되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지지축(92)이 연결된 파울몸체(32)의 근처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파울지지편(38)이 구비된다. 파울지지편(38)에 제2탄성부재(102)의 일측이 걸리므로 파울몸체(32)를 반시계방향(도 2기준)으로 탄성 지지한다.
커버부(40)는 래치기어(20)와 파울(30)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10)와 마주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해제부(50)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을 구속하는 스토퍼(48)를 구비한다.
베이스(10)의 이동홈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부(40)의 안내홈부(44)가 형성되며, 스토퍼(48)는 커버부(40)에서 해제부(50)를 향한 전방으로 돌출되어 해제몸체(52)의 이동경로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40)는, 커버몸체(42), 안내홈부(44), 스토퍼(48), 받침편(46)을 포함한다. 받침편(46)은 커버몸체(4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제1지지축(90)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된 제1탄성부재(100)의 일측이 받침편(46)에 걸린다.
해제부(50)는 파울(30)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작동케이블(120)에 연결되어 회전되므로 걸림레버부(60)를 동작시켜 파울(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부(50)는 해제몸체(52)와 해제연결편(54)을 포함한다.
해제몸체(52)는 파울(30)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10)와 마주하는 커버부(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해제몸체(52)의 하부와 커버부(40)의 받침편(46)에 양측이 연결된 제4탄성부재(106)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따라서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해제몸체(52)는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해제몸체(52)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해제연결편(54)에는 작동케이블(120)이 연결된다. 베이스(10)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연장된 작동케이블(120)은 해제부(50)의 해제연결편(54)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된다. 따라서 작동케이블(120)의 좌측 이동으로 해제몸체(52)는 제2지지축(9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해제몸체(52)의 중앙부를 제2지지축(92)이 관통하므로 해제몸체(52)는 제2지지축(9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2지지축(92)과 연결된 해제몸체(52)의 상측에는 걸림레버부(60)의 걸림레버몸체(6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걸림레버부(60)는 해제부(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걸림기어(36)에 걸린 상태에서 해제부(50)와 함께 이동하며 파울(30)을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레버부(60)는 해제부(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레버몸체(62)와 걸림레버몸체(6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걸림기어(36)에 걸리는 연장돌기(64)를 포함한다.
걸림레버몸체(62)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지지축(92)의 상측에서 제2지지축(92)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걸림레버몸체(62)의 일측은 해제몸체(52)에 연결되며, 걸림레버몸체(62)의 타측은 연장돌기(64)에 연결된다.
연장돌기(64)는 파울(30)의 걸림기어(36)에 걸리기 용이하도록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걸림레버몸체(62)와 연장돌기(64)는 일체로 회전된다. 걸림레버부(60)는 제4탄성부재(106)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작동케이블(120)이 당겨져서 해제부(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해제부(50)와 함께 걸림레버부(60)도 회전되면서 걸림기어(3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걸림레버부(60)는 해제부(50)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파울(30)의 걸림기어(3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파울(30)이 래치기어(20)에 걸려서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제4탄성부재(106)의 탄성력에 의해 해제부(50)와 걸림레버부(60)가 원위치로 이동할 때 연장돌기(64)는 톱니나사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기어(36)를 타고 넘어서 다른 나사산에 걸린다.
제1탄성부재(100)는 제1지지축(90)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1탄성부재(100)의 일측은 받침편(46)에 설치되며 타측은 래치연장편(27)에 연결되어 래치몸체(21)를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제2탄성부재(102)는 제2지지축(92)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2탄성부재(102)의 일측은 베이스(10)에 설치되며 타측은 파울지지편(38)에 연결되어 파울몸체(32)를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제3탄성부재(104)는 걸림레버부(60)의 걸림레버몸체(62)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3탄성부재(104)의 일측은 커버부(40)의 커버몸체(42)에 고정되며, 제3탄성부재(104)의 타측은 연장돌기(64)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걸림레버부(60)를 시계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제4탄성부재(106)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제4탄성부재(106)의 일측은 커버부(40)의 받침편(46)에 연결되며, 제4탄성부재(106)의 타측은 해제몸체(52)의 하측에 연결되므로, 해제부(50)를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즉, 래치기어(20)와 걸림레버부(60)는 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파울(30)과 해제부(50)는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해제부(50)는 작동케이블(120)의 이동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는, 베이스(10)의 좌측에 파울(30)이 설치되며 베이스(10)의 우측에 래치기어(20)가 설치되며, 래치기어(20)와 걸림레버부(60)는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파울(30)과 해제부(50)는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기 위한 탄성력을 공급받고 있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베이스(10)의 좌측에 래치기어(20)가 설치되고 베이스(10)의 우측에 파울(30)이 설치되며, 래치기어(20)와 걸림레버부(60)는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파울(30)과 해제부(50)는 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기 위한 탄성력을 공급받는 후드래치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1)의 잠금해제에 따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10)가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24)의 사이에 위치하며 래치기어(20)의 회전이 구속된 완전잠금위치에서는 파울(30)의 걸림돌기(34)에 래치거어의 제2걸림부(24)가 걸린다. 이때 걸림레버부(60)의 연장돌기(64)는 파울(30)의 걸림기어(36)에 걸린 상태이다. 한편 해제몸체(52)는 커버부(40)의 스토퍼(48)에 걸려서 반시계 방향을 향한 추가 회전이 구속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케이블(120)이 좌측방향으로 당겨지면, 작동케이블(120)에 연결된 해제부(50)의 해제연결편(54)도 좌측으로 당겨지면서 해제부(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해제부(50)에 연결된 걸림레버부(60)의 연장돌기(64)는 해제부(50)와 함께 회전되면서 걸림기어(36)를 구비한 파울(3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파울(30)의 걸림돌기(34)는 래치기어(20)의 제2걸림부(24)를 하측으로 밀어내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걸림부(24)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파울(30)의 걸림돌기(34)가 제2걸림부(24)와 이격되므로, 래치기어(20)는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케이블(120)을 통한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해제부(50)는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해제부(50)에 연결된 걸림레버부(60)의 연장돌기(64)는 걸림기어(36)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면서 해제부(50)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파울(30)의 걸림돌기(34)는 래치기어(20)의 제3걸림부(25)에 걸려서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므로 중간잠금위치를 유지한다. 스트라이커(110)는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24)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걸림부(22)의 구속으로 스트라이커(110)의 상측 이동이 구속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케이블(120)이 다시 좌측방향으로 당겨지면, 작동케이블(120)에 연결된 해제부(50)의 해제연결편(54)도 좌측으로 당겨지면서 해제부(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해제부(50)에 연결된 걸림레버부(60)의 연장돌기(64)는 해제부(50)와 함께 회전되면서 걸림기어(36)를 구비한 파울(3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파울(30)의 걸림돌기(34)는 래치기어(20)의 제3걸림부(25)를 하측으로 밀어내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3걸림부(25)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파울(30)의 걸림돌기(34)가 제3걸림부(25)와 이격되므로, 래치기어(20)는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한다.
래치기어(20)의 제3걸림부(25)가 파울(30)의 걸림돌기(34)와 이격되므로 래치기어(20)는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마운팅홈부(23)가 베이스(10)의 상측에 위치한 공간과 연통되는 후드열림위치를 유지한다. 래치기어(20)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트라이커(110)는 마운팅홈부(23)에서 래치기어(20)의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스트라이커(110)의 잠금이 해제된다.
한편, 작동케이블(120)을 통한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해제부(50)와 파울(30)은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케이블(120)의 이동으로 해제부(50)가 회전되며, 해제부(50)와 함께 이동되는 걸림레버부(60)가 파울(30)을 회전시켜 래치기어(20)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자의 조작만으로도 자동차의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승용차에 설치된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상용차를 포함하여 후드의 개폐가 요구되는 다른 기계장치에도 본 발명에 의한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10: 베이스 12: 이동홈부 14: 제1연결공 16: 제2연결공
20: 래치기어 21: 래치몸체 22: 제1걸림부 23: 마운팅홈부 24: 제2걸림부 25: 제3걸림부 27: 래치연장편
30: 파울 32: 파울몸체 34: 걸림돌기 36: 걸림기어 38: 파울지지편
40: 커버부 42: 커버몸체 44: 안내홈부 46: 받침편 48: 스토퍼
50: 해제부 52: 해제몸체 54: 해제연결편
60: 걸림레버부 62: 걸림레버몸체 64: 연장돌기
90: 제1지지축 92: 제2지지축
100: 제1탄성부재 102: 제2탄성부재 104: 제3탄성부재 106: 제4탄성부재
110: 스트라이커 120: 작동케이블

Claims (7)

  1.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며, 복수 개의 걸림부를 구비하는 래치기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상기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며, 외측에 걸림기어를 구비하는 파울;
    상기 파울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작동케이블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해제부; 및
    상기 해제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걸림기어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해제부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파울을 회전시키는 걸림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마운팅홈부를 구비하는 래치몸체;
    상기 래치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마운팅홈부로 삽입되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걸림부;
    상기 마운팅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걸림부와 이격되며, 상기 래치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완전잠금위치에서 상기 파울에 걸리는 제2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와 단차를 이루며 중간잠금위치에서 상기 파울에 걸리는 제3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울은, 상기 이동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래치기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울몸체; 및
    상기 파울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걸림부 또는 상기 제3걸림부에 걸려서 상기 래치몸체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기어는 상기 걸림레버부와 마주하는 상기 파울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어는 톱니나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울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파울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와 마주하는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몸체; 및
    상기 해제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동케이블에 걸리는 해제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레버부는, 상기 해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레버몸체; 및
    상기 걸림레버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기어에 걸리는 연장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와 상기 걸림레버부는 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파울과 상기 해제부는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해제부는 상기 작동케이블의 이동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20140134681A 2014-10-07 2014-10-07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1643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681A KR101643468B1 (ko) 2014-10-07 2014-10-07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681A KR101643468B1 (ko) 2014-10-07 2014-10-07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189A true KR20160041189A (ko) 2016-04-18
KR101643468B1 KR101643468B1 (ko) 2016-07-27

Family

ID=5591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681A KR101643468B1 (ko) 2014-10-07 2014-10-07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4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9106A (zh) * 2018-02-14 2019-08-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发动机罩锁止装置
US10619384B2 (en) 2016-05-11 2020-04-14 Hyundai Motor Company Trunk latch module for vehicle
KR20210011004A (ko) * 2018-07-02 2021-01-29 미츠이 긴조쿠 액트 가부시키가이샤 보닛 래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17280A1 (de) * 2016-09-14 2018-03-15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7196A (en) * 1947-04-25 1950-05-09 Houdaille Hershey Corp Hood latch
JP2013014938A (ja) * 2011-07-04 2013-01-24 Suzuki Motor Corp 車両用ラッチ装置
US20140062098A1 (en) * 2012-09-05 2014-03-06 Kia Motors Corporation Two step link hood latch apparatus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7196A (en) * 1947-04-25 1950-05-09 Houdaille Hershey Corp Hood latch
JP2013014938A (ja) * 2011-07-04 2013-01-24 Suzuki Motor Corp 車両用ラッチ装置
US20140062098A1 (en) * 2012-09-05 2014-03-06 Kia Motors Corporation Two step link hood latch apparatus for vehic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9384B2 (en) 2016-05-11 2020-04-14 Hyundai Motor Company Trunk latch module for vehicle
CN110159106A (zh) * 2018-02-14 2019-08-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发动机罩锁止装置
US11180937B2 (en) 2018-02-14 2021-11-23 Hyundai Motor Company Hood latch device for vehicle
CN110159106B (zh) * 2018-02-14 2022-04-0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发动机罩锁止装置
KR20210011004A (ko) * 2018-07-02 2021-01-29 미츠이 긴조쿠 액트 가부시키가이샤 보닛 래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468B1 (ko)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979B1 (ko) 2단 해제용 후드래치
US8684425B2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KR101643468B1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1662900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2287273B1 (ko) 차량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KR101560969B1 (ko) 후드래치장치
KR101603836B1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1542689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장치
KR101541251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KR101774525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KR101573144B1 (ko) 더블풀 후드래치
KR101613018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20160034506A (ko) 2단 해제용 후드래치
KR101882745B1 (ko) 후드래치 장치
KR101662903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825391B1 (ko) 후드래치 장치
KR20160041465A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1585766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장치
KR101542692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595332B1 (ko)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KR101585771B1 (ko) 차량용 후드래치
JP6716095B2 (ja) 作業車両
JP6634236B2 (ja) インサイドドアハンドル装置
KR20160041464A (ko) 자동해제용 후드래치
KR101596572B1 (ko) 자동차용 래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