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382B1 -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382B1
KR102474382B1 KR1020180072637A KR20180072637A KR102474382B1 KR 102474382 B1 KR102474382 B1 KR 102474382B1 KR 1020180072637 A KR1020180072637 A KR 1020180072637A KR 20180072637 A KR20180072637 A KR 20180072637A KR 102474382 B1 KR102474382 B1 KR 102474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grip
vehicle
door
doo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613A (ko
Inventor
박후상
한정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2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3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93Weight arrangements in locks; gravity activated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차량의 도어 아웃터 패널에 장착되고, 도어에 장착된 래치와 연결되는 핸들 작동 케이블을 작동시켜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 아웃터 패널에 장착되는 핸들 베이스, 상기 핸들 베이스에 피벗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그립, 상기 핸들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핸들 그립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핸들 작동 케이블과 연결되는 밸런스 웨이트, 및 상기 핸들 그립의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핸들 그립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핸들 베이스에 장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DOOR OUTSIDE HANDL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 그립을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핸들 그립의 피봇 운동을 보조할 수 있는 슬라이더를 통해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품수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차량의 외부에서 도어를 열고 닫기 위해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아웃사이드 그립 핸들과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 조립체로 구성되어 도어 아웃터 패널의 외측 및 내측에 조립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도어 아웃터 패널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 조립체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도어 아웃터 패널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 조립체에 조립되는 아웃사이드 그립 핸들로 이루어 진다.
상기 그립 핸들에는 핸들 베이스 조립체에 장착되는 회전부와 레버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는 핸들 베이스 조립체의 레버축에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핸들 베이스 조립체의 핸들 레버 끝단부에 삽입된 후, 핸들 마운팅 스크류의 조임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그립 핸들을 잡고 차량 바깥쪽으로 당기면, 상기 레버부에 마운팅된 핸들 레버가 함께 당겨지고, 이때, 상기 핸들 레버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가 움직이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에 연결된 아웃사이드 핸들 작동 케이블이 당겨짐으로써 도어가 열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도어 열림을 위해 그립 핸들을 잡아당길 때,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레버부가 직접 동작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핸들 베이스 조립체에 상기 레버부의 당겨짐 시,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연동 회전시키게 되는 핸들 레버를 구성해야 하므로, 상기 핸들 베이스 조립체의 중량이 과다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 열림을 위한 핸들 그립을 지지함과 동시에, 작동 시의 위치를 규제해주는 슬라이더를 적용하여, 기존의 핸들 그립의 장착을 위한 핸들 레버와 그에 따른 핸들 레버 스크류를 삭제할 수 있어, 부품 수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도어 아웃터 패널에 장착되고, 도어에 장착된 래치와 연결되는 핸들 작동 케이블을 작동시켜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 아웃터 패널에 장착되는 핸들 베이스, 상기 핸들 베이스에 피벗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그립, 상기 핸들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핸들 그립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핸들 작동 케이블과 연결되는 밸런스 웨이트, 및 상기 핸들 그립의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핸들 그립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핸들 베이스에 장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그립은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내측 후방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핸들 베이스의 후방 측에 끼워지고, 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작동 시,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그립부의 내측 전방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핸들 베이스의 전방 측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회전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벗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측면상에 회전 진행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중앙에 형성된 장착홀을 통해 상기 핸들 베이스의 장착부에 끼워지고, 일측면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측면 돌기를 통해 상기 핸들 베이스에 형성된 슬롯에 끼워지며, 전면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전방 돌기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의 단부에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 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그립은 작동 시,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진 상기 전방 돌기를 따라 위치가 제어되면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상기 핸들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면에 리턴 스프링이 끼워지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 그립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레버부, 및 상기 레버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의 회전 시, 상기 레버부에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버부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핸들 작동 케이블을 작동시키는 밸런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핸들 그립의 장착을 위한 과다한 중량의 핸들 레버와, 그에 따른 핸들 레버 스크류를 삭제함으로써, 중량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핸들 그립을 지지함과 동시에, 작동 시의 위치를 규제해주는 슬라이더를 적용하여 부품 수 및 중량 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외측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내측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적용되는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적용되는 슬라이더의 조립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외측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내측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적용되는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차량의 도어의 개폐를 구현하는 도어 록킹기구의 일종으로, 도어의 외측 패널에 장착된다.
이러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핸들 베이스(10), 핸들 그립(20), 밸런스 웨이트(30), 및 슬라이더(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핸들 베이스(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무관한 상기 핸들 베이스(10) 상에 장착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은 생략한다.
상기 핸들 베이스(10)는 차량의 도어 패널(미도시)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핸들 베이스(10)의 외측으로는 핸들 그립(2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핸들 그립(20)은 상기 핸들 베이스(10)에 피벗 작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핸들 그립(20)은 그립부(21), 회전부(23), 및 피벗부(27)를 포함한다.
상기 그립부(21)는 도어 패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그립부(21)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23)는 상기 그립부(21)의 내측 후방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23)는 상기 핸들 베이스(10)의 후방 측에 끼워진다.
이러한 회전부(23)는 그 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상기 핸들 베이스(10)에 걸림 체결됨으로써, 빠지지 않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23)는 회전 작동 시, 이하에서 설명할, 밸런스 웨이트(3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23)는 측면 상에 회전 진행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슬라이드홈(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벗부(27)는 상기 그립부(21)의 내측 전방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피벗부(27)는 상기 핸들 베이스(10)의 전방 측에 끼워진다.
이러한 피벗부(27)는 상기 핸들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23)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런스 웨이트(30)는 상기 핸들 베이스(10)에 장착된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30)는 일측에 도어 록킹기구의 래치에 연결되는 핸들 작동 케이블(미도시)이 장착된다.
즉, 상기 밸런스 웨이트(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치가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밸런스 웨이트(30)는 고정부(31), 레버부(33), 및 밸런스부(35)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31)는 상기 핸들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면에 리턴 스프링(미도시)이 끼워진다.
또한, 상기 레버부(33)는 상기 고정부(31)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레버부(33)는 상기 핸들 그립(2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레버부(33)의 상측에는 밸런스부(35)가 형성된다.
상기 밸런스부(35)는 상기 고정부(3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33)의 회전 시, 상기 레버부(33)에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버부(33)와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밸런스 웨이트(30)는 조작력이 해제되면, 상기 리턴 스프링에 의해 복원된다.
마지막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더(40)는 중앙에 형성된 장착홀(41)을 통해 상기 핸들 베이스(10)의 장착부(15)에 끼워진다.
상기 슬라이더(40)는 일측면 상에 복수개의 측면 돌기(43)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돌기(43)는 2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측면 돌기(43)의 개수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돌기(43)는 원형의 단면을 가져 상기 핸들 베이스(10)에 형성된 슬롯(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면 돌기(43) 중, 전방 측에 형성된 측면 돌기(43)는 상기 슬롯(11)의 단부에 형성된 원형의 장착홈(13)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40)는 전면 상에 복수개의 전방 돌기(45)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 돌기(45)는 2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전방 돌기(45)의 개수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돌기(45)는 상기 핸들 그립(20)의 회전부(23) 상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5)에 끼워진다.
즉, 상기 슬라이드홈(25)과 전방 돌기(45)는 상호 대응되는 것으로,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라이더(40)는 상기 핸들 그립(20)을 상기 핸들 베이스(10)에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핸들 그립(20)의 회전부(23)와 연결되어 상기 핸들 그립(20)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슬라이더(40)의 조립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적용되는 슬라이더의 조립 공정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핸들 베이스(10)에 외측에서 핸들 그립(20)을 장착한다.
이때, 상기 핸들 그립(20)은 상기 그립부(21)가 외측을 향하도록 하고, 상기 회전부(23)가 핸들 베이스(10)의 후방부에, 상기 피벗부(27)가 상기 핸들 베이스(10)의 전방부에 위치하도록 장착한다.
상기 핸들 베이스(10)의 내측 후방에 슬라이더(40)를 장착한다.
상기 슬라이더(40)의 측면 돌기(43)가 하측을 향하도록 하고, 전방 돌기(45)가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측면 돌기(43)를 핸들 베이스(10)의 슬롯(11)에 삽입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시키며 장착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40)의 전방 돌기(45)는 상기 핸들 그립(20)의 회전부(23) 상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5)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슬라이더(40)가 상기 슬롯(11)에 삽입되어 일정량 삽입된 상태로, 상기 핸들 그립(20)을 조작하면 상기 슬라이드홈(25)의 단부에 상기 전방 돌기(45)가 걸려 상기 슬라이더(40)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전방 측의 측면 돌기(43)가 상기 슬롯(11)의 장착홈(13)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40)에 의해 상기 핸들 그립(20)이 장착되면서 상기 전방 돌기(45)와 슬라이드홈(25)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핸들 그립(20)의 작동에 간섭없이 설계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 핸들 그립(20)의 그립부(21)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 그립(20)을 당길 경우에, 상기 핸들 그립(20)은 피벗부(27)를 중심으로 피벗되고, 이에 회전부(23)가 회전되면서 밸런스 웨이트(30)의 레버부(33)를 회전시키며, 이러한 레버부(33)의 회전에 의해 핸들 작동 케이블이 당겨져 도어 록킹기구가 언록킹됨으로써 차량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 그립(20)은 전방 돌기(45)를 통해 슬라이드홈(25)을 따라 위치 규제가 이루어지면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핸들 그립(20)의 장착을 위한 과다한 중량의 핸들 레버와, 그에 따른 핸들 레버 스크류를 삭제함으로써, 중량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상기 핸들 그립(20)을 지지함과 동시에, 작동 시의 위치를 규제해주는 슬라이더(40)를 적용하여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10: 핸들 베이스
11: 슬롯 13: 장착홈
15: 장착부 20: 핸들 그립
21: 그립부 23: 회전부
25: 슬라이드홈 27: 피벗부
30: 밸런스 웨이트 31: 고정부
33: 레버부 35: 밸런스부
40: 슬라이더 41: 장착홀
43: 측면 돌기
45: 전방 돌기

Claims (7)

  1. 차량의 도어 아웃터 패널에 장착되고, 도어에 장착된 래치와 연결되는 핸들 작동 케이블을 작동시켜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 아웃터 패널에 장착되는 핸들 베이스;
    상기 핸들 베이스에 피벗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그립;
    상기 핸들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핸들 그립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핸들 작동 케이블과 연결되는 밸런스 웨이트; 및
    상기 핸들 그립의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핸들 그립을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핸들 베이스에 장착되는 슬라이더;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그립은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내측 후방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핸들 베이스의 후방 측에 끼워지고, 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작동 시,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그립부의 내측 전방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핸들 베이스의 전방 측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회전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벗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측면상에 회전 진행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중앙에 형성된 장착홀을 통해 상기 핸들 베이스의 장착부에 끼워지고, 일측면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측면 돌기를 통해 상기 핸들 베이스에 형성된 슬롯에 끼워지며, 전면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전방 돌기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단부에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 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끼워져 고정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그립은
    작동 시,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진 상기 전방 돌기를 따라 위치가 제어되면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상기 핸들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면에 리턴 스프링이 끼워지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 그립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레버부; 및
    상기 레버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의 회전 시, 상기 레버부에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버부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핸들 작동 케이블을 작동시키는 밸런스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1020180072637A 2018-06-25 2018-06-25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102474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637A KR102474382B1 (ko) 2018-06-25 2018-06-25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637A KR102474382B1 (ko) 2018-06-25 2018-06-25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613A KR20200000613A (ko) 2020-01-03
KR102474382B1 true KR102474382B1 (ko) 2022-12-05

Family

ID=6915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637A KR102474382B1 (ko) 2018-06-25 2018-06-25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406B1 (ko) * 2021-05-28 2023-12-06 주식회사 프라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102612677B1 (ko) * 2021-06-30 2023-12-13 주식회사 프라코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CN113829850A (zh) * 2021-08-24 2021-12-24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车门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253B1 (ko) 2006-08-17 2007-09-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장착구조
KR100764505B1 (ko) 2006-09-26 2007-10-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록 실린더의 마운팅장치
KR101481350B1 (ko) 2013-12-17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101827147B1 (ko) 2016-09-12 2018-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3987B2 (ja) * 2012-01-24 2014-07-09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のラッチ解除装置
KR20130136303A (ko) * 2012-06-04 2013-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JP6499827B2 (ja) * 2014-03-14 2019-04-10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ドアハンド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253B1 (ko) 2006-08-17 2007-09-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장착구조
KR100764505B1 (ko) 2006-09-26 2007-10-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록 실린더의 마운팅장치
KR101481350B1 (ko) 2013-12-17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101827147B1 (ko) 2016-09-12 2018-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613A (ko)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382B1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JPH0611345Y2 (ja) 開閉装置
US7155946B2 (en) Mortise lock having double locking function
JP6563613B2 (ja) 扉用装置
JP3935020B2 (ja) リッド開閉機構及び車両用収納装置
JP2002147069A (ja) スライドドアのインナハンドル組立体
KR20210075094A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101704060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립 구조
KR101575428B1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US11371715B2 (en)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lowerable door, which has a specific retaining spring for a bearing bush
JP3614012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2610406B1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JP2008240505A (ja) 回動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収納装置
KR100380370B1 (ko) 자동차 엔진후드의 다단계 개방구조
JP3025872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KR20210076350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1481313B1 (ko)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JP3472150B2 (ja) 自動車の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101631088B1 (ko) 로드 연동장치
KR0155656B1 (ko) 차량의 후드링크장치
KR100265879B1 (ko) 도어용 경첩
JPH09310553A (ja) 引き戸開閉用ダンパー
KR101125319B1 (ko) 차량의 인사이드 핸들 유닛
JP2824562B2 (ja) 合成樹脂製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KR101601054B1 (ko)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