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094A - 개폐체의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의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094A
KR20210075094A KR1020217011124A KR20217011124A KR20210075094A KR 20210075094 A KR20210075094 A KR 20210075094A KR 1020217011124 A KR1020217011124 A KR 1020217011124A KR 20217011124 A KR20217011124 A KR 20217011124A KR 20210075094 A KR20210075094 A KR 20210075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opening
closing body
pair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시 나카소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ublication of KR20210075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3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crank pins and connecting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8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a rotary bar for actuating the faste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7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comprising key-operated locks, e.g. a lock cylinder to drive auxiliary deadbolts or latch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부품갯수를 줄일 수 있고, 잠금 부재의 슬라이드 방향을 조정하기 쉬운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잠금 장치(10)는, 잠금부와, 잠금 부재(50)와, 개폐체에 회전 부재 장착부(9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부재(60)을 갖고, 회전 부재(60)는 회전축(62)와 잠금 부재 연결부(64)를 가지고 있으며, 회전 부재 장착부(90)는, 잠금 부재 배치면(7)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입벽(91)과, 잠금 부재 배치면(7)에 대해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회전지지벽(92)을 갖는 틀형상을 이루어 개폐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회전지지벽(92)에는 베어링공(95)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개폐체의 잠금 장치
본 발명은,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체를 닫힌 상태로 잠금하기 위한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등의 고정체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뚜껑 등의 개폐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 및 개폐체와의 사이에는 개폐체를 닫을 때 잠금과 동시에 개폐체를 열 때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잠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잠금 장치로서, 다음 특허 문헌 1에는, 계기판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글로브 박스를 개폐 잠금하는 것으로서, 글로브 박스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자(로터)와 로터의 회전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작동하고 계기판 측의 계합부에 계합 또는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핀과, 토션 스프링과, 회전자를 회동시키는 핸들을 갖춘 잠금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글로브 박스의 잠금 핀 배치면으로부터는, 보스 형상을 이루는 로터 회동축이, 글러브 박스와 일체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로터 회동축을 로터의 지지공에 삽입하여, 나사로 나사결합함으로써, 로터 회동축에 로터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잠금 장치에 있어서는, 글로브 박스의 잠금핀 배치면으로부터 돌출된 로터 회동축에, 로터가 직접 나사 고정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로터를 브라켓 등의 다른 부재를 통해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갯수가 적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5698387호 공보
그런데, 상기 잠금 핀의 슬라이드 방향은, 글로브 박스의 잠금핀 배치면에 대하여 평행인 것이 많지만, 잠금부의 위치 등에 의해서는, 잠금 핀의 슬라이드 방향을 잠금핀 배치면에 대해 기울이고 싶은 경우도 있다.
이 점, 특허 문헌 1의 잠금 장치에서는, 로터 회동축에 로터가 나사 고정되어 있으며, 이 로터 회동축은 글로브 박스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로터 회동축의, 잠금핀 배치면에 대한 돌출 방향은, 글로브 박스의, 성형시의 탈형 방향에 의해 결정되며, 그에 따라 잠금핀의 슬라이드 방향이 규제되기 때문에, 계기판이나 글로브 박스의 형상에 따라, 잠금핀의 슬라이드 방향을 바꾸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갯수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잠금부재의 슬라이드 방향을 조정하기 쉬운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 또는 상기 개폐체에 설치된 잠금부와,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잠금부에 계합 또는 이탈하는 잠금 부재와,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에 회전 부재 장착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회전 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잠금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잠금 부재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 부재 장착부는,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의 상기 잠금 부재에 대향하는 면이며, 잠금 부재 배치면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입벽과 상기 입벽에 연속 설치되고, 상기 잠금 부재 배치면에 대해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회전지지벽을 갖고,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지지벽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베어링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공과 상기 회전축 사이에는 상기 베어링공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을 빠짐 방지하는 빠짐 방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부재 장착부는, 개폐체 또는 고정체의 잠금 부재 배치면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입벽과, 입벽에 연속 설치되고, 잠금 부재 배치면에 대해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회전지지벽을 갖고, 개폐체 또는 고정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부재 장착부가 개폐체나 고정체에 나사 고정되는 경우에 비해 부품갯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잠금 부재 배치면에 대해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회전지지벽으로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성형틀(成形型)의 탈형 상에서, 잠금 부재 배치면에 대한 회전지지벽이 이루는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맞추기 쉬워져, 회전 부재의 잠금 부재 연결부에 연결되는 잠금 부재의 슬라이드 방향(스트로크 방향)을 조정하기 쉬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나 조작 부재 등을 조립 이전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베이스 부재의 확대 사시도, (b)는 (a)와는 다른 방향에서 베이스 부재를 보는 경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조작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나 조작 부재 등을 조립한 상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수용홈부에 베이스 부재나 조작 부재를 배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조작 부재의 회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회전 부재나 잠금 부재 등을 조립 이전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 부재를 나타내며, (a)는 그의 확대 사시도, (b)는 (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회전 부재나 잠금 부재 등을 조립한 상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에서 지시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a)가 도 10의 B-B 지시선에서의 단면도, (b)가 (a)에 대해 회전지지벽을 잠금 부재 배치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개폐체를 닫은 상태로 잠근 경우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개폐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 경우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개폐체를 닫은 상태로 잠근 경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개폐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 경우의 정면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이나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10; 이하 "잠금 장치(10)"라 함)는 예를 들어, 차량의 계기판 등의 고정체 (1)의 개구부(1a)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글러브 박스 등의 개폐체(2)를 개폐 잠금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잠금 장치(10)는, 개폐체(2)에 형성된 장착공(6)과, 고정체(1)의 개구부(1a)에 설치된 한 쌍의 잠금부(1b, 1b)와, 장착공(6)의 앞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20)와, 개폐체(2)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잠금부(1b, 1b)에 계합 또는 이탈하는 한 쌍의 잠금 부재(50,50)와, 개폐체(2)에 회전 부재 장착부(90; 도 8 참조)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잠금 부재(50,50)의 슬라이드 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한 회전 부재(60)와, 각 잠금 부재(50)를 잠금부(1b)에 계합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 탄성지지 수단(70)와, 기단부(41)가 회동 지지부(29)를 통해 베이스 부재(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파지부(42)를 베이스 부재(20)에 대해 근접하거나 이반하여, 잠금 부재(50)를 슬라이드 조작하는 조작 부재(40)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장착공(6)은 개폐체(2)에 형성되어 있고, 잠금 부재(50)는 개폐체(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지만, 장착공을 고정체에 형성함과 동시에, 잠금 부재를 고정체 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40)에는 키 실린더(80)가 배치되어 있어, 잠금 부재(50, 50)의 잠금부(1b, 1b)에 대한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의 상기 제1 탄성지지 수단(70)은, 토션 스프링으로 되어 있고, 권취부(71)와, 이 권취부(71)로부터 연장한 한 쌍의 암부(72,72)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탄성지지 수단(70)이 본 발명의 "탄성지지 수단 "을 이루고 있다. 이 제1 탄성지지 수단(70)은, 회전 부재(60)에 장착되어 회전 탄성지지함으로써, 회전 부재(60)에 연결되는 잠금 부재(50)를 잠금부(1b)에 계합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지만(도 15 참조), 제1 탄성지지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잠금 부재의 한쪽을 잠금부 측으로 향해 인장하는 인장 스프링 등이면 좋고, 잠금 부재를 잠금부에 계합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 가능하면 좋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술 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계기판의 개구부에 상자 모양의 글러브 박스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구조에 적용되어 있지만(이 경우, 계기판이 "고정체", 글로브 박스가 "개폐체"를 이룸), 계기판의 개구부에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구조(이 경우, 계기판이 "고정체", 뚜껑이 "개폐체"를 이룸)에 적용하여도 좋아서, 고정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각종 개폐체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도 1이나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체(1)의 개구부(1a)의 폭 방향의 양측 내면에 구멍 형상을 이루는 잠금부(1b, 1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체(1)의 개구부(1a)의 양측부에는, 가이드 홈(c, 1c)이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잠금부는, 구멍 형상이 아니더라도, 오목 형상이나 돌기형상, 틀형상 등 이어도 좋고, 또한 고정체의 개구부가 아니라, 개폐체에 설치해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폐체(2)는, 차량 실내 쪽 측에 배치되는 외부 부재(3)와, 그 뒤쪽에 배치되는 내부 부재(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체로서는 외부 부재(3)와 내부 부재(4)의 2부재 구성이 아니고, 한 장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외부 부재(3)의 폭 방향 일측으로서, 그 상방에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 형상을 이룬 수용홈부(5)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이나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수용홈부(5)에 조작 부재(40)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용홈부(5)의 길이 방향의 일측부에, 개폐체(2)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하는 장공 형상을 이루는 장착공(6)이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장착공은 장공 형상을 이루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어, 대략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는 구멍이나, 대략 타원형을 이룬 구멍, 대략 엽전 모양을 이룬 구멍 등 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장착공(6)의 앞측으로부터 베이스 부재(20)가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되어 있지만, 여기서 말하는 "앞측" 또는 "표면측"이라 함은, 차량 등의 고정체의 개구부로부터, 개폐체가 열리는 방향에 위치하는 면을 의미한다. 또한 고정체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량의 차내 공간 측을 "앞측" 또는 "표면측"이라 해도 좋다. 또한 "뒷측" 또는 "뒷면측"은, 상기 "앞측" 또는 "표면측"과는 반대측의 면, 즉, 개폐체가 닫히는 방향에 위치하는 면을 의미한다. 또한 "앞측", "표면 측", "뒷측", "뒷면측"은 장착공뿐만 아니라, 다음에서 설명하는 다른 부재(조작 부재(40) 등)에서도 같은 의미이다.
한편, 내부 부재(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위쪽이 개구 된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내부 부재(4)의, 외부 부재(3) 측에 대향 배치되는 표면측(정면측)으로서, 그 상방 부분에는, 상기 한 쌍의 잠금 부재(50,5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하는, 가로로 긴 오목 형상을 이룬 잠금 배치 오목부(4a)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나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잠금 배치 오목부(4a)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잠금 삽출공(4b, 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부재(4)의 안쪽의 양측부 외면으로부터는, 스토퍼(4c, 4c)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토퍼(4c, 4c)가 고정체(1)의 가이드홈(1c, 1c)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체(1)의 개구부(1a)에 대한 개폐체(2)의 개폐 각도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의 한 쌍의 잠금 부재(50,50)는, 양자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기단부(51) 측이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함과 동시에, 선단측으로 향해 직선형상으로 뻗어 있으며, 선단부(52)가 잠금부(1b) 계합 또는 이탈하도록 되어 있다(도 14 ~ 17 참조).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부재(50)의 기단부(51)에는 오목형상을 이룬 감합홈부(5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감합홈부(51a)에 회전 부재(60)의 후술하는 잠금 부재 연결부(64)가 감합(嵌合)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잠금 부재(50)의 선단 측에는, 사각 틀형상을 이룬 틀형상부(5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잠금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곧게 뻗은 형상으로 해도 좋고, 잠금부에 계합하는 부분을 갖는 것이 있다면, 그 형상이나 구조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장착공(6)의 앞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20)는, 이 실시 예의 경우, 도 2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방향으로 긴 장척(長尺)의 판형을 이룬 저벽(21)과, 이 저벽(21)의 긴 변에 따른 양측변의 둘레로부터 세워 설치한 한 쌍의 측벽(22,22)과, 저벽(21)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에 배치되어 한 쌍의 측벽(22,22)끼리 연결하는 일단벽(23)과, 저벽(21)의 길이 방향의 타단측에 배치되어, 한 쌍의 측벽(22,22)끼리 연결하는 타단벽(24)으로 이루어지고, 저벽(21)과는 반대의 상방측이 개구하고, 내부에 내부 공간(25)이 조성된 대략 장척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저벽(21)에는, 조작 부재(40)의 후술하는 작동 레버(45)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받아 들이는 슬라이드 홈(21a)이 상기 내부 공간(25)에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단 벽(23)에는, 상기 내부 공간(25)에 연통하는 개구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벽(21)의 길이 방향의 일단은, 전술한 장착공(6)의 길이 방향 일단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고, 저벽(21)의 길이 방향의 타단은, 장착공(6)의 길이 방향 타단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일단벽(23)의 저벽(21) 측으로서, 그 폭 방향(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양측으로부터는, 장착공(6)의 길이 방향 일단의 뒷측 가장자리에 계합하는 한 쌍의 후크(26,26)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20)의 타단벽(24)의 외주의 소정 높이 위치로부터는, 장착공(6)의 타단측에 대향 배치되는 얇은 플랜지 형상의 벽 부(27)가 베이스 부재 바깥 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벽(22,22)의 상방이며 타단벽(24) 쪽의 외면에는, 조작 부재(40)의 기단부(41)를 회동지지하는 대략 원호 돌기 형상을 이룬 회동 지지부(29)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타단벽(24)의 폭 방향 양측에는, 장착공(6)의 뒷측 둘레에 계합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탄성 계합조(30,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단벽(24) 측의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는, 스프링 지지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 지지부(33)의 앞면(조작 부재(40)의 대향면)으로부터는, 제2 탄성지지 수단(75)의 타단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 돌기부(33a)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탄성지지 수단(75)의 타단이 베이스 부재(20) 측의 스프링 지지 돌기부(33a)에서 지지되는 동시에, 제2 탄성지지 수단(75)의 일단이, 조작 부재(40) 측의 후술하는 스프링 지지 돌기부(46)에서 지지되어, 양 부재 사이에서 압축 상태로 유지되게 되고, 조작 부재(40)의 기단부(41) 측이, 베이스 부재(20)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회동 탄성지지된다. 그 때문에, 도 7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40)의 파지부(42)를 베이스 부재(20)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회동한 후, 손을 파지부(42)로부터 놓으면, 파지부(42)를 베이스 부재(2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여, 수용홈부(5)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 (a)나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0)의 측벽(22,22)의 외면이며, 회동 지지부(29,29)보다도 일단벽(23) 측에는, コ자 형상의 슬릿(35a)을 통해, 휨가능한 탄성 계합편(35,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 (22,22)의 일단벽(23) 쪽의 외면이며, 상기 탄성 계합편(35,35)에 인접한 위치에는, 리브(36,36)가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장착공(6)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부의 뒷측 주변에, 한 쌍의 탄성 계합편(35,35)이 계합됨과 동시에, 이 장착공(6)의 양측부의 앞측 둘레에, 한 쌍의 리브(36,36)가 계합하게 되어 있다.
또한 그림 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0)의 일단 측의 모서리부에는, 댐퍼 장착공(38)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댐퍼 장착공(38)에는, 고무재질의 댐퍼(39)가 장착되어, 작동 부재(40)의 회동시의 타음 감소를 도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동 지지부(29,29)를 통해, 베이스 부재(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부재(40)는, 이 실시 예의 경우, 도 4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한 방향으로 긴 장척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조작 부재(40)는, 기단부(41)가 베이스 부재(20)의 회동 지지부(29)에 의해 회동지지되고, 길이 방향의 선단부에는, 조작 부재(40)를 회동 조작할 때, 작업자가 파지하는 부분이 되는 파지부(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단부(41)의 양측(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 양측)에는, 대략 원호 형상의 홈 형상을 이룬 홈부(43,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홈부(43,43)에 베이스 부재(20)의 원호 돌기 형상을 이룬 회동 지지부(29,29)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조작 부재(40)의 기단부(41)가, 회동 지지부(29)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40)는, 베이스 부재(20)의 회동 지지부(29)에 의해 회동지지된 기단부(41)를 기점으로 하여, 선단부 측의 파지부(42)를 베이스 부재(20)로부터 이반하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40)의 기단부(41) 쪽의 위치에는, 원형상의 실린더 삽입공(41a)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뒷면 둘레로부터 원통 형상을 이룬 실린더 배치관(44)이 돌출되어 있으며, 주지의 키 실린더(8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40)의 기단부(41) 측의 뒷면이며, 상기 실린더 배치관(44)에 인접한 위치로부터는, 조작 부재(40)의 파지부(42)가 베이스 부재(20)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에, 잠금 부재(50)의 선단부(52)를 고정체(1)의 잠금부(1b)에 계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작동 레버(45)가 돌출되어 있다. 이 작동 레버(45)는, 횡단면이 대략 コ자 틀형상을 이루고, 소정 길이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이 작동 레버(45)는 베이스 부재(20)의 내부 공간(25) 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저벽(21)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21a)에 삽통되어, 같은 슬라이드 홈(21a) 내를 베이스 부재(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작동 레버(45)의 연장 돌출 방향 선단부는, 슬라이드 홈(21a)으로부터 삽출되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방의 잠금 부재(50)의 틀형상부(53) 내에 들어 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40)의 기단부(41)의 뒷면측의 가장 기단으로부터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제2 탄성지지 수단(75)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 돌기부(46)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 배치관(44)의 작동 레버(45)와는 반대측의 개구 둘레부에는, 스토퍼 돌기부(47)가 돌출되어 있다. 이 스토퍼 돌기부(47)는, 조작 부재(40)의 파지부(42)를 베이스부재(20)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베이스 부재(20)의 일단벽(23)에 설치한 개구부(23a; 도 3 (b) 참조)에 맞닿아, 그 회동 각도를 규제한다.
또한, 조작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개폐체나 고정체의 면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노브나 회전 핸들, 또는, 면 방향에 대해 밀어 넣는 푸시 방식의 것으로 해도 좋고, 잠금부로부터 잠금 부재를 계합 또는 이탈 조작 가능하다면,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조작 부재는, 고정체 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으로, 회전 부재(6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회전 부재 장착부 (90)에 대해 설명한다.
도 8나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회전 부재 장착부(90) (이하 "장착부(90)"라고 함)는 개폐체(2)의 잠금 부재(50)에 대향하는 면인, 잠금 부재 배치면(7; 이하 간단히 "배치면(7)"라고 함)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입벽(91)과, 이 입벽(91)의 세워 설치한 방향 선단 측에 연속 설치되고, 상기 배치면(7)에 대해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상기 회전 부재(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 벽(92)을 갖는 틀형상을 이루고, 개폐체(2)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배치면(7)은, 평탄한 수평면 형상을 이루고 있지만(도 11 참조), 완만하게 굽은 오목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체(2)를 구성하는 내부 부재(4)의 잠금 배치홈부(4a)의 상기 배치면(7)으로부터 한 쌍의 입벽(91,91)이 세워 설치한 방향 선단을 향해 점차 근접하도록 경사지면서 세워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입벽(91,91)의 폭 방향(배치면(7)에 따른 방향)의 일측부끼리는, 배면벽(93)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한 쌍의 입벽(91, 91) 및 배면벽(93)의 세워 설치한 방향 선단부끼리가, 회전지지벽(9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배면벽(93)과는 반대측의 정면측이 개구된 이른바 도그 하우스(dog house) 같은 상자 형의 틀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벽(92)은, 상기 배치면(7)의 면 방향에 대해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11 참조).
또한, 상기 회전지지벽(92)에는 원형공 형상을 이룬 베어링공(9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베어링공(95)의 개구 방향은, 상기 배치면(7)의 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베어링공(95)에 회전 부재(60)의 후술하는 회전축(62)이 삽입되어, 이 회전 부재(6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회전지지벽(92)의 상기 배치면(7)과는 반대쪽면이, 회전 부재(60)에 맞닿아, 이 회전 부재(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시트면(96)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벽(92)의 뒷면(시트면(96)과는 반대측이며, 배치면(7)으로 향하는 면)과, 상기 배치면(7)과의 거리는, 베어링공(95)에 회전축(62)이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축(62)의 돌출 방향 선단이, 배치면(7)에 맞닿지 않는 크기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잠금 장치(10)에서는, 상기 베어링공(95)과 상기 회전축(62) 사이에는, 베어링공(95)에 삽입된 회전축(62)을 빠짐 방지하는 빠짐 방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부재 장착부로서는, 상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배치면(7)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하나의 입벽과, 이 입벽의 선단에 굴곡 형성된 회전지지 벽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L 자형 틀형상을 이루고 있거나, 한 쌍의 입벽과 그 선단을 서로 연결하는 회전지지벽으로 이루어지고, 정면측과 배면측이 개구한 대략 コ자 틀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좋고, 입벽과 잠금 부재 배치면에 대해 소정 거리를 둘 수 있는 회전지지벽을 가진 구조이면 좋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 부재 장착부(90)에 인접한 위치로서, 상기 잠금 부재 배치면(7)으로부터는, 스프링 계지벽(98)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 계지벽(98)에는, 계지구(9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계지구(98a)에 제1 탄성지지 수단(70)의 한쪽의 암부(72)가 계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장착부(9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면(7)에 대해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회전지지 벽(92)을 갖는 도그 하우스와 같은 틀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도 12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90)의 외주 형상을 성형 할 때의, 성형형의 탈형 방향(K1)이, 배치면(7)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어, 개폐체(2)의 내부 부재(4)의 일체 성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장착부(90)의 내주 형상을 성형할 때의, 성형형의 탈형 방향(K2)은, 배치면(7)의 면 방향에 따른 방향이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개폐체(2)에 회전 부재 장착부(90)나 스프링 계지벽(98)을 설치했지만, 고정체(1) 측에 회전 부재 장착부나 스프링 계지벽을 설치해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부(9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부재(60)에 대해 설명한다.
이 회전 부재(60)는, 회전축(62)와, 회전축(62)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잠금 부재(5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잠금 부재 연결부(64)를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회전 부재(60)는, 도 8~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로 긴 대략 마름모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본체(61)의 길이 방향 중앙의 뒷측(배치면(7)을 향하는 측)으로부터는 대략 원통형을 이루는 상기 회전축(62)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62)이 상기 회전지지벽(92)의 베어링공(95)의 시트면(96) 측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61)가, 상기 장착부(90)의 회전지지 벽(92)의 시트면(96) 상에 배치되어 회전 부재(60)가 베어링공(9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61)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와 같이, 회전축(62)이 베어링공(95)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90)의 한 쌍의 입벽(91,91)의 외면보다도, 본체 (61)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돌출되는 길이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62)의 둘레 방향의 대향하는 개소에는,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룬 슬릿(63a, 63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62a, 62a)을 통해, 한 쌍의 계합부(63,63)이 휨 변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계합부(63)의 선단측의 계합면(63b)이, 베어링공(95) 내에 삽입된 회전축(62)의 회전 동작을 유지하면서, 이 베어링공(95)의 뒷측(잠금 부재 배치면(7)을 향하는 측) 둘레에 계합하여, 베어링공(95)으로부터의 회전축(62)의 빠짐 방지를 도모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즉, 이 실시 예에서는, 장착부(90) 측의 베어링공(95)과, 회전 부재(60) 측의 계합부(63)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베어링공(95)과 회전축(62)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베어링공(95)에 삽입된 회전축(62)을 빠짐 방지하는 "빠짐 방지 수단"을 이루고 있다.
또한, 본체(61)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뒷측으로부터는, 구형상을 이룬 잠금 부재 연결부(64,64; 이하, 간단히 "연결부(64)"라고 함)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64,64)는, 상기 회전축(62)의 돌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결부(64)가 각 잠금 부재(50)의 감합홈부(51a)에 감합함으로써, 본체 (61)의 길이 방향 양단에, 한 쌍의 잠금 부재(50,50)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도 10 참조).
또한, 회전 부재(60)에는, 회전축(62)의 연장 돌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제1 탄성지지 수단(70)의 권취부(71)를 외장(外裝)하는 스프링 지지부(65)가 돌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61)의 길이 방향 중앙의 앞측(상기 회전축(62)과는 반대측)으로부터는, 제1 탄성지지 수단(70)의 권취부(71)를 외장하는 대략 원통형을 이룬 스프링 지지부(65)가, 회전축(62)의 연장 돌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축(62)과 동축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스프링 지지부(65)의 둘레 방향에 대향하는 개소에는, 세로 홈 형상의 한쌍의 슬릿(66a, 66a)을 통해, 한 쌍의 스프링 계합조(66,66)가 휨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 계합조(66,66)는, 스프링 지지부(65)에 외장된 제1 탄성지지 수단(70)의 권취부(71)의 빠짐 방지를 유지한다(도 10 참조).
또한, 본체(61)의 길이 방향 양단의 앞측으로부터는, 스트립 편 형상을 이루는 스프링 계지편(67,6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스프링 계지편(67)의 한측에, 제1 탄성지지 수단(70)의 다른측 암부(72)가 계지하여, 그 회전 탄성지지력이 회전부(60)에 작용하게 되어 있다.
또한 그림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61)의 뒷측이며, 상기 회전축 (62)의 양측 둘레부에는, 대략 원호 돌기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슬라이딩 접촉 돌기부(68,68)가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접촉 돌기부(68,68)는, 회전축(62)이 베어링공(95)에 삽입되어 한 쌍의 결합부(63,63)의 계합면(63b, 63b)이 베어링공(95)의 뒷측 둘레에 계합된 상태에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면(96)에 맞닿는다. 그 결과, 회전 부재(60)의 회전시에, 한 쌍의 슬라이딩 접촉 돌기부(68,68)가 시트면(96)에 슬라이딩 접촉하기 때문에, 본체(61)의 뒷측과 시트면(96)의 접촉 면적을 줄여서, 회전 부재(60)가 회전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원반 형상이나 타원 형상, 엽전 형상 등을 하지 않아도 좋고, 적어도 베어링공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잠금 부재를 연결하는 잠금 부재 연결부를 갖는 구조이면 좋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개폐체에 회전 부재 장착부가 배치되어 있는 관계로, 개폐체 측에 회전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만, 회전 부재로서는 고정체 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을 이룬 회전 부재(60)를 통해, 한 쌍의 잠금 부재(50,50)를 장착부(90)에 설치한 경우에는, 먼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60)의 한 쌍의 연결부(64,64)를 한 쌍의 잠금 부재(50,50)의 감합홈부(51a, 51a)에 감합시켜, 회전 부재(60)에 한 쌍의 잠금 부재(50,50)의 기단부(51,51) 측을 연결한다. 그 상태에서, 회전 부재(60)의 회전축(62)을, 장착부(90)의 베어링공(95)에 시트면(96) 측으로부터 삽입하여, 한 쌍의 결합부(63,63)의 계합면(63b, 63b)을 베어링공(95)의 뒷측 둘레에 계합시킨다. 이에 의해, 장착부(90)의 시트면(96) 상에, 슬라이딩 접촉 돌기부(68,68)를 통해, 회전 부재(60)의 본체(6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베어링공(95)으로부터 회전축(62)이 빠지지 않도록 빠짐 방지가 유지된다.
위 상태에서는, 장착부(90)의 한 쌍의 입벽(91,91)의 외측에, 한 쌍의 잠금 부재(50,50)의 기단부(51,51) 측이 배치된다(도 10 및 도 11 참조). 또한 한 쌍의 잠금 부재(50,50)는, 회전 부재(60)의 한 쌍의 연결부(64,64)에, 그 기단부(51,51) 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장착부(90)의 회전지지벽(92)(여기에서는 회전 지지벽(92)의 시트면(96))보다도, 잠금 부재 배치면(7) 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도 10 및 도 11 참조). 또한, 회전 부재(60)의 한 쌍의 계합부(63,63)의 베어링공(95)의 뒷측 둘레와의 계합면(63b, 63b)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6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즉, 도 8 및 도 10의 지시선 Z에 표시한 것과 같이, 시트면(96)의 면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부터 볼 때), 한 쌍의 잠금 부재(50,50)와 겹치는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해서, 각 연결부(64)를 각 잠금 부재(50)의 감합홈부(51a)에 감합시켜 연결함으로써, 회전 부재(6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한 쌍의 잠금 부재(50,50)의 기단부(51)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도 11과 도 12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62)을 베어링공(95)에 삽입함으로써, 계합부(63,63)의 계합면(63b, 63b)이, 베어링공(95)의 뒷측 둘레에 계합하여, 장착부(90)에 대하여 회전 부재(60)가 회전 가능하게 빠짐 방지가 유지된다. 따라서, 회전 부재(60)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부재(60)를 통해, 한 쌍의 잠금 부재(50,50)가 동기하여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 부재(60)의 스프링 지지부(65)를 제1 탄성지지 수단(70)의 권취부(71) 내에 삽입하면, 도 10이나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부(65)의 외주에 제1 탄성지지 수단(70)의 권취부(71)가 외장됨과 동시에, 한 쌍의 스프링 계합조(66,66)가, 권취부(71)의 축 방향 일단에 계합하여, 이 권취부(71)가 스프링 지지부(65)에 빠짐 방지되는 것이 유지된다. 그리고, 제1 탄성지지 수단(70)의 한 쪽 암부(72)를 스프링 계지벽(98)의 계지구(98a)에 삽입하여 계지시킴과 동시에, 제1 탄성지지 수단(70)의 다른 쪽 암부(72)를, 한쪽 스프링 걸림편(67)에 계지시킨다. 이에 따라, 도 15의 지시선(E1) 방향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60)가 회전 탄성지지됨으로써, 이 회전 부재(60)에 연결된 한 쌍의 잠금 부재(50,50)의 선단부(52,52)가 한 쌍의 잠금부(1b, 1b)에 계합하는 방향(도 15의 지시선 E2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잠금 부재(50,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체(2)를 구성하는 내부 부재(4)의 잠금 배치홈부(4a)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그 선단부(52,52)는 잠금 배치홈부(4a)에 설치된 잠금 삽출공(4b, 4b)으로부터 삽출한다.
그리고, 도 7의 이점 쇄선이나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40)의 파지부(42)를 베이스 부재(20)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그 작동 레버(45)가 한쪽의 잠금 부재(50)의 틀형상부(53) 내면을 탄성지지하여,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탄성지지 수단(70)에 기인하는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한쪽의 잠금 부재(50)의 선단부(52)를 잠금부(1b)로부터 계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끌어 들이는 동시에, 그것과 연동(동기)하여, 회전 부재(60)를 통해, 다른쪽 잠금 부재(50)의 선단부(52)를 잠금부(1b)로부터 계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끌어 들일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고정체(1)의 개구부(1a)를 닫는 개폐체(2)의 잠금 상태를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잠금 부재(50,50)의 슬라이드 방향(S)은, 도 12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면(7)의 면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40)를 회동 조작하면, 한 쪽의 잠금 부재(50)를 슬라이드시키고, 회전 부재(60)를 통해 다른쪽 잠금 부재(50)를 슬라이드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조작 부재(40)의 회동 조작에 의해 회전 부재(60)를 회전시키고, 그것에 의해 잠금 부재(50)를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잠금 장치(1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이 잠금 장치(10)에 있어서는, 회전 부재(6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장착부(90)는, 도 8이나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체(2)의 배치면(7)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한 쌍의 입벽(91,91)과, 이 입벽(91)에 연속 설치하여, 상기 배치면(7)에 대해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회전지지벽(92)을 갖고, 개폐체(2)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잠금 부재(50,50)의 기단부(51,51)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의 회전 부재(60)의 회전축(62)을 장착부(90)의 베어링공(95)에 삽입하여, 계합부(63,63)의 계합면(63b, 63b)을 베어링공(95)의 뒷측 둘레에 계합시킴으로써, 장착부(90)에 대해 회전 부재(6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회전 부재(60)를 개폐체(2)에 설치한 보스 등에 대해 나사 고정되는 경우 등과 비교하여, 부품갯수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벽(92)은, 입벽(91)을 통해 연속 설치되고, 상기 배치면(7)에 대하여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체(2)나 설치부(9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의, 성형형의 탈형 상에서, 도 12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면(7)에 대한 시트면(96)의 이루는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쉽게 할 수 있다.
즉, 도 12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면(7)에 대해 회전지지벽(92)을 소정 각도로 기울여서도, 장착부(90)의 외주 형상을 형성할 때의, 성형형의 탈형 방향(K1)을, 도 12 (a)에 나타낸 경우의 탈형 방향(K1)과 같은 방향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형의 캐비티 형상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회전지지벽(92)의 경사에 대응할 수 있다(또한, 배치면(7)으로부터 세워 설치하는 원통형의 보스 같은 경우, 보스의 각도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성형형의 탈형 방향 자체를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어, 대규모로 변경된다). 그 결과, 회전 부재(60)의 연결부(64)에 연결되는 잠금 부재(50)의 슬라이드 방향(S; 스트로크 방향)을 도 12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면(7)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할 수 있으며, 잠금 부재(50)의 슬라이드 방향을 조정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이 잠금 장치(10)에 있어서는, 고정체(1)의 개구부(1a)로부터 개폐체(2)가 열린 상태로부터 개폐체(2)를 닫고, 한 쌍의 잠금 부재(50,50)의 선단부 (52,52)가 고정체(1)의 잠금부(1b, 1b)에 계합함으로써 개폐체(2)가 닫힌 상태로 고정된다(도 13 및 도 15 참조).
이 상태로부터, 도 7의 이점 쇄선이나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 (40)의 파지부(42)를 베이스 부재(20)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잠금 부재(50)의 선단부(52)를 회전 부재(60)의 회전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잠금부(1b)에서 계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끌어 들이는 동시에, 그것과 연동하여 회전 부재(60)를 통해, 다른 쪽의 잠금 부재(50)의 선단부(52)를 잠금부(1b)로부터 계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끌어 들이기 때문에, 개폐체(2)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고정체(1)의 개구부(1a)로부터 개폐체(2)를 열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 예에 있어서는, 도 8이나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부재(5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연결부(64)는 회전 부재(60)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잠금 부재(50,50)은, 장착부(9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연결부(64,64)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잠금 부재(50,50)는, 장착 부(90)의 양측(여기에서는 한 쌍의 입벽(91,9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연결부(64,64)에 연결되므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잠금 부재(50,50)를 장착부(90)의 높이 방향으로 겹쳐서(중첩시켜) 배치면(7)에 가깝게 위치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잠금 장치(10)의 잠금 부재(50)나 회전 부재(60)가 배치되는 부분을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있어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잠금 부재(50,50)는, 회전 부재(60)의 한 쌍의 연결부(64,64)에, 그 기단부(51,51) 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설치부(90)의 회전지지벽(92)보다도 배치면(7) 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장착부(90)의 베어링공(95)에 삽입된 회전 부재(60)의 회전축(62)의 배치면(7)부터의 거리, 및 회전 부재(6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잠금 부재(50)의 기단부(51)의 배치면(7)부터의 거리를 각각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회전축(62)에 걸리는 축 방향의 편하중을 줄일 수 있고, 회전 부재(60)의 회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베어링공(95)에 삽입된 회전축(62)을 빠짐 방지하는 빠짐 방지 수단은, 베어링공(95)과, 회전축(62)에 설치되어 회전축(62)의 회전 동작을 유지하면서, 베어링공(95) 뒷측 둘레에 계합하는 계합부(63)로 이루어지고, 또한 계합부(63)의 베어링공(95) 뒷측 둘레와의 계합면(63b)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6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잠금 부재(50)와 겹치는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62)의 계합부(63)가 베어링공(95)의 뒷측 둘레에서 계합하는 계합면(63b)과, 잠금 부재(50)가, 회전축(6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겹치는 위치에 있으므로, 회전축(62)에 걸리는 축 방향의 편하중을 더욱 줄일 수 있으며, 회전 부재(60)의 회동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제1 탄성지지 수단(70)은 권취부(71) 및 이 권취부(71)에서 연장한 한 쌍의 암부(72,72)을 갖는 토션 스프링이며(도 8 참조), 또한 도 8이나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60)에는, 회전축(62)의 연장 돌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권취부(71)를 외장하는 스프링 지지부(65)가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60)에 대해 토션 스프링의 장착측과는 반대측에 있어서, 한 쌍의 잠금 부재(50,50)의 기단부(51,51)끼리를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잠금 장치(10)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각종의 변형 실시 형태가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고정체
1a 개구부
1b 잠금부
2 개폐체
7 잠금 부재 배치면(배치면)
10 개폐체의 잠금 장치(잠금 장치)
20 베이스 부재
40 조작 부재
50 잠금 부재
60 회전 부재
62 회전축
63 계합부
63b 계합면
63 잠금 부재 연결부(연결부)
65 스프링 지지부
70 제 1 탄성지지 수단(탄성지지수단)
71 권취부
72 암부
75 제 2 탄성지지 수단
80 키 실린더
90 회전 부재 장착부(장착부)
91,91 입벽
92 회전지지벽
95 베어링공

Claims (5)

  1.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 또는 상기 개폐체에 설치된 잠금부와,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잠금 부에 계합 또는 이탈하는 잠금 부재와,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에 회전 부재 장착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회전 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잠금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잠금 부재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 부재 장착부는,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의 상기 잠금 부재에 대향하는 면인, 잠금 부재 배치면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입벽과 상기 입벽에 연속 설치되고, 상기 잠금 부재 배치면에 대해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회전지지벽을 갖고,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지지벽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베어링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공과 상기 회전축 사이에는 상기 베어링공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을 빠짐 방지하는 빠짐 방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 부재 연결부는 상기 회전 부재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잠금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 장착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잠금 부재 연결부에 연결된 개폐체의 잠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잠금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잠금 부재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지지벽보다도 상기 잠금 부재 배치면 측에 배치된 개폐체의 잠금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 수단은, 상기 베어링공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동작을 유지하면서, 상기 베어링공의 뒷측 둘레에 계합하는 계합부로 되어 있고,
    상기 계합부의 상기 베어링공의 뒷측 둘레와의 계합면은, 상기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잠금 부재와 겹치는 위치로 되어 있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부에 계합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탄성지지수단은, 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암부를 가지는 토션 스프링이며,
    상기 회전 부재에는,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권 취부를 외장하는 스프링지지부가 돌출되어 있는 개폐체 잠금 장치.
KR1020217011124A 2018-10-18 2019-10-15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202100750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96680 2018-10-18
JPJP-P-2018-196680 2018-10-18
PCT/JP2019/040410 WO2020080342A1 (ja) 2018-10-18 2019-10-15 開閉体のロック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094A true KR20210075094A (ko) 2021-06-22

Family

ID=70284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124A KR20210075094A (ko) 2018-10-18 2019-10-15 개폐체의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21244B2 (ko)
JP (1) JP6992196B2 (ko)
KR (1) KR20210075094A (ko)
CN (1) CN112912579B (ko)
DE (1) DE112019005217T5 (ko)
WO (1) WO2020080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4881B2 (en) * 2018-04-03 2023-11-14 Southco, Inc. Vehicle glove box latch
KR102578483B1 (ko) * 2020-11-18 2023-09-13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개폐구조
JP7373534B2 (ja) * 2021-09-30 2023-11-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収納ボックスのロック機構
WO2024095894A1 (ja) * 2022-11-04 2024-05-1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回転付勢装置
WO2024095893A1 (ja) * 2022-11-04 2024-05-1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体の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48610A1 (fr) * 1979-02-09 1980-09-05 Citroen Sa Dispositif de verrouillage a bouton-poussoir
DE3301442A1 (de) * 1983-01-18 1984-07-26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Anordnung von betaetigungsgliedern fuer einen um eine achse schwenkbaren deckel eines handschuhkastens eines kraftwagens
US6370733B2 (en) * 1998-08-07 2002-04-16 Ventra Group Inc. Door check device
US6669243B2 (en) * 2001-07-03 2003-12-30 Piolax Inc. Side lock assembly for storage bin
US6722718B2 (en) * 2002-09-16 2004-04-20 Intier Automotive Inc. Latch mechanism for an automotive storage compartment
KR100451068B1 (ko) * 2002-09-30 2004-10-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박스의 체결구조
JP4148883B2 (ja) * 2002-12-18 2008-09-1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グローブボックス用リッドロック装置
KR100535763B1 (ko) * 2003-11-19 2005-1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박스의 로드 작동장치
US7475929B2 (en) * 2004-09-15 2009-01-13 Piolax Onc. Lid open-close apparatus
JP4518900B2 (ja) * 2004-10-05 2010-08-0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リッド開閉装置
JP4699160B2 (ja) * 2005-10-03 2011-06-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サイドロック装置
DE112009002368T5 (de) * 2008-10-01 2011-09-29 Piolax Inc. Seitenschlossvorrichtung
JP5292370B2 (ja) * 2010-09-01 2013-09-18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グローブボックス装置
WO2012132546A1 (ja) * 2011-03-31 2012-10-0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部材のロック装置
KR101212440B1 (ko) * 2011-07-25 2012-12-13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CN103703200A (zh) * 2011-08-02 2014-04-02 百乐仕株式会社 开闭部件的锁止装置
CN104011308B (zh) * 2011-12-26 2016-12-14 百乐仕株式会社 开闭体的锁止装置
JP5698387B2 (ja) * 2012-01-13 2015-04-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ロック装置
WO2013129100A1 (ja) * 2012-03-02 2013-09-0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体のロック装置
CN104379860B (zh) * 2012-06-15 2017-02-22 百乐仕株式会社 开闭体的锁止装置
JP6079885B2 (ja) * 2013-08-09 2017-02-15 豊田合成株式会社 グラブボックス
JP6204564B2 (ja) * 2014-02-20 2017-09-2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体のロック装置
WO2015125774A1 (ja) * 2014-02-21 2015-08-2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ロック装置
KR20150111619A (ko) * 2014-03-26 2015-10-06 파이오락스(주 ) 개폐체의 잠금 장치
JP6220057B2 (ja) * 2014-04-24 2017-10-2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部材のロック装置
JP2019023379A (ja) * 2015-11-04 2019-02-1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ロック装置
GB2559300B (en) * 2015-11-27 2021-03-10 Piolax Inc Locking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KR102443072B1 (ko) * 2015-11-30 2022-09-14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개폐체의 잠금장치
CN105370115B (zh) * 2015-12-01 2017-08-2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按扭式手套箱锁结构
KR20180049406A (ko) * 2016-11-01 2018-05-11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링크절을 이용한 글로브 박스 락 장치
JP6787818B2 (ja) * 2017-03-02 2020-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収納部のドア構造
US11492824B2 (en) * 2018-02-01 2022-11-08 Nifco America Corp. Latch assembly for glovebox
CN114450461B (zh) * 2019-09-26 2024-05-24 索斯科公司 车辆手套箱闩锁
FR3107295B1 (fr) * 2020-02-17 2022-02-25 Faurecia Interieur Ind Dispositif de verrouillage pour une pièce mobile d’un véhicule
JP7265105B2 (ja) * 2020-03-30 2023-04-26 豊田合成株式会社 リッドロックユニットの取付構造
CN112814501A (zh) * 2021-01-06 2021-05-18 恒大新能源汽车投资控股集团有限公司 手套箱锁具结构及汽车
CN113585893B (zh) * 2021-08-31 2024-04-09 成都航天模塑有限责任公司 一种仪表板手套箱锁舌总成机构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17690A1 (en) 2021-10-14
WO2020080342A1 (ja) 2020-04-23
CN112912579A (zh) 2021-06-04
JP6992196B2 (ja) 2022-01-13
US11821244B2 (en) 2023-11-21
CN112912579B (zh) 2022-06-14
DE112019005217T5 (de) 2021-07-29
JPWO2020080342A1 (ja)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75094A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100535763B1 (ko) 글로브박스의 로드 작동장치
JPH0611345Y2 (ja) 開閉装置
US9121206B2 (en) Locking device for closing-opening member
KR102443073B1 (ko) 개폐체의 잠금장치
KR20040012443A (ko) 덮개체 개폐기구 및 차량용 수납장치
WO2018216564A1 (ja) 扉用装置
US9752356B2 (en) Lock release apparatus and lock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001612B2 (ja) 配電盤
JP6985529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KR102474382B1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JP4297493B2 (ja) 蓋開閉機構及びその装置
JP6672009B2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US11964631B2 (en) Damper device
JP5527656B2 (ja) 空調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4214243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開閉構造
JP6974629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KR101631088B1 (ko) 로드 연동장치
JPS6310361Y2 (ko)
JPH0338856Y2 (ko)
JP5950846B2 (ja) リモコン収納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22046441A (ja) ドアラッチ装置の防水構造
JPH06188574A (ja) 把手装置
KR20050117918A (ko) 글로브 박스의 락 장치
KR20180002166U (ko) 양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