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619A - 개폐체의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의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619A
KR20150111619A KR1020140035171A KR20140035171A KR20150111619A KR 20150111619 A KR20150111619 A KR 20150111619A KR 1020140035171 A KR1020140035171 A KR 1020140035171A KR 20140035171 A KR20140035171 A KR 20140035171A KR 20150111619 A KR20150111619 A KR 20150111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perating member
opening
accommodat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철
Original Assignee
파이오락스(주 )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락스(주 ) filed Critical 파이오락스(주 )
Priority to KR1020140035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1619A/ko
Publication of KR20150111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조작 부재의 압입력을 증대시키지 않고, 가동 잠금 부재의 슬라이드량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잠금 장치(10)는, 하우징(20)과, 하우징 이면에 장착된 회전 부재(40)와, 하우징 표면에 누름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50)를 구비하고, 회전 부재(50)에 캠 경사면(47)을 갖는 벽부(43)가 형성되며, 조작 부재(50)는 누름부(51)와, 측벽 (53)과, 측벽(53)에서 외경방향으로 향해 연장되는 암부(55,55)를 가지며, 조작 부재(50)의 누름부(51) 및 측벽(53)은, 회전 부재(40)의 벽부(43)보다 내경 측에 위치하여, 암부(55)가 하우징 표면으로 연장하여 나오고, 캠 경사면(47)에 맞닿게 배치된다.

Description

개폐체의 잠금 장치{LOCK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BODY}
본 발명은,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개폐체를 닫은 상태로 록킹할 수 있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등의 고정체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리드(lid) 등의 개폐체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를 리드 등으로 닫은 상태로 록킹하는 것과 동시에, 개구부로부터 리드 등을 열린 상태로 하기 위한 잠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잠금 장치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개폐체에 장착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부재와, 이 회전 부재에 동기화하여 슬라이드 동작하는 한 쌍의 링크 로드와, 링크 로드 선단의 각 후크부를 고정체의 잠금부에 걸어 맞춤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하우징에 누름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조작 부재 측에 캠 경사면을 가진 벽부가 형성되고, 회전 부재에 캠 당접부가 형성되고, 조작 부재를 누름으로써, 캠 경사면 및 캠 당접부를 통해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고, 링크 로드의 후크부가 잠금부에 걸어 맞춤되지 않는 위치로 슬라이드 시키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국제공개 WO2013/187388호 공보
그러나, 잠금 장치의 경우에는, 설치 장소(리드 등)의 크기와 디자인, 장착 장소에 대한 레이아웃 등의 관점에서, 잠금 장치의 깊이 방향의 크기를 되도록 얇게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잠금 장치에서는, 조작 부재의 이면에서 돌출 설치된 벽부에 캠 경사면이 설치되고, 조작 부재의 이면에 겹치도록 배치된 회전 부재에, 상기 캠 경사면에 맞닿은 캠 돌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잠금 장치의 두께 방향으로, 조작 부재의 누름면과, 캠 경사면을 가진 벽부와, 회전 부재의 캠 돌기와, 회전 부재가 나란히 배치되므로, 잠금 장치의 깊이 방향의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박형화하기 힘든 구조였다.
이 경우, 캠 경사면의 각도를 바꿈으로써, 조작 부재의 스트로크가 짧아도, 회전 부재를 크게 회전하도록 하여,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데, 조작 부재의 압입력이 증대하거나, 부드러운 회전을 해치게 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캠 경사면의 각도를 충분히 취하고, 조작 부재의 압입 스트로크를 짧게 하면, 회전 부재의 회전량이 부족하여, 링크 로드의 슬라이드량을 충분히 취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 부재의 압입력을 증대시키지 않고, 가동 잠금 부재의 슬라이드량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의 어느 일측에 설치된 잠금부와,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의 어느 타측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이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잠금부에 이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동 잠금 부재와, 상기 가동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누름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하우징 측의 면에, 캠 경사면을 가진 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 부재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외주면에서 외경 방향으로 향해 연장되는 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부재의 버튼부의 외주면은,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캠 경사면을 갖는 벽부보다, 회전 부재의 회전 중심측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 부재를 누름으로써, 상기 암부가 상기 회전 부재의 캠 경사면을 눌러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가동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부에서 이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서는, 상기 회전 부재의 벽부는 원호 형상을 이루고,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는, 상기 조작 부재의 버튼부를 수용하는 조작 부재 수용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이면에는, 상기 조작 부재 수용부의 외주측에 상기 회전 부재의 벽부를 수용하는 회전 부재 수용부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의 버튼부의 외주면 및 상기 하우징의 조작 부재 수용부는 원형상을 이루고 있는 동시에, 상기 가압수단은 권취부을 갖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부재의 벽부의 외경측에, 상기 토션 스프링의 권취부가 배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의 버튼부의 외주면, 상기 하우징의 조작 부재 수용부의 외주면, 상기 회전 부재의 벽부, 상기 토션 스프링의 권취부는, 동심 형상으로 외주방향을 향해 나란히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서는, 상기 하우징은, 그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 부재의 버튼부를 수용하는 조작 부재 수용부와, 하우징 이면이며 상기 조작 부재 수용부의 외주 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벽부를 수용하는 회전 부재 수용부와, 상기 조작 부재 수용부 및 상기 회전 부재 수용부를 연통하는 노치부를 가지고, 상기 암부는, 상기 노치부를 통해 상기 회전 부재의 캠 경사면에 맞닿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치부의 둘레에는, 상기 조작 부재를 누를 때의 슬라이드 가이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체의 개구부에 대해 개폐체를 닫음으로써,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된 가동 잠금 부재가 잠금부에 결합하여, 고정체의 개구부를 개폐체로 닫은 상태로 잠글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 부재의 버튼부를 누름으로써, 암부가 캠 경사면을 누르고 회전 부재를 회전시켜, 가동 잠금 부재를 잠금부로부터 이탈시켜, 개폐체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므로, 고정체의 개구부를 열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조작 부재의 버튼부의 외주면은, 회전 부재의 캠 경사면을 갖는 벽부보다, 회전 부재의 회전 중심측에 위치하고 있어, 버튼부를, 회전 부재의 캠 경사면을 갖는 벽부 선단보다 깊숙하게 파고들도록 누를 수 있고, 그 결과 조작 부재의 압입 스트로크를 확보하고, 비교적 작은 압입력으로 조작 부재를 누르는 것이 가능하고, 가동 잠금 부재의 슬라이드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 부재를 얇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잠금 장치 전체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나타내고, (a)는 이의 사시도, (b)는 (a)와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 부재를 나타내고, (a)는 이의 사시도, (b)는 (a)와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조작 부재를 나타내고, (a)는 그의 사시도, (b)는 (a)와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하우징, 회전 부재 및 가압 수단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단면 사시도, (b)는 (a)와는 다른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조작 부재를 누르기 전의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조작 부재를 누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고정체의 개구부를 개폐체로 닫은 상태로 록킹하는 경우의 설명도, (b)는 고정체의 개구부에서 개폐체가 열린 상태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 1 ~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10; 이하, '잠금 장치'; 10)는, 차량의 계기 패널에 마련된 글러브 박스(1; 본 발명의 '고정체')의 개구부(2)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덮개(5; 본 발명의 '개폐체')를 개폐 잠금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는, 예를 들어, 계기 패널의 개구부에 상자 형상의 글러브 박스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 적용하거나(이 경우, 계기 패널이 '고정체', 글러브 박스가 '개폐체'를 이룬다), 또는, 계기 패널의 개구부에 리드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이 경우, 계기 패널이 '고정체', 리드가 '개폐체'를 이룬다)에 적용해도 좋고, 고정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각종의 개폐체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글러브 박스(1)의 개구부(2)의 양측부 내부면에는, 홈 형상의 잠금부(3,3)가 설치된다. 또한, 잠금부(3)는, 홈 형상이 아니더라도, 구멍이나 돌기 형상 등이라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과 같이, 상기 리드(5)는, 소정위치에 형성된 구형상의 설치공(6a)이 형성된 패널(6)과, 이 패널(6)의 이면 위쪽으로 배치된 박스(7)를 가지고, 리드(5)의 하부 양측이 도시하지 않은 지축을 통해, 글러브 박스(1)의 개구부(2)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패널(6)과 상기 박스(7)와의 사이의 내부 공간에, 잠금 장치(10)가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박스(7)의 폭 방향 양측에서는, 로드 삽출공(7a,7a)이 각각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의 잠금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 상기 리드(5)에 장착할 수 있는 하우징(20)과, 이 하우징(20)의 이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부재(40)와, 이 회전 부재(40)에 연결된 한 쌍의 로드 (60,70)와, 이들의 로드(60,70)의 각 결합공(61,71)을, 상기 잠금부(3,3)에 걸어 맞춤하는 방향이 되도록, 이 로드(60,70)을 가압하는 토션 스프링(15)과, 상기 하우징(20)의 표면에 누름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50)로 주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토션 스프링(15)는, 권취부(16)와, 이 권취부(16)의 원주방향의 일단에서 권취부 내경 측으로 향하여 굴곡진 일단부(17)와, 상기 권취부(16)의 원주방향의 타단으로부터 권취부 내경 측으로 향하여 굴곡진 타단부 (18)로 구성된다.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5)은, 본 발명의 '가압 수단'을 이룬다.
또한, 한 쌍의 로드(60,70)는, 로드(70) 쪽이 로드(60)보다 길게 형성되어, 각 로드(60,70)의 선단 측에 외면이 테이퍼 형상를 이루는 계합부(61,71)가 형성되고, 기단측에는, 홈 형상의 가이드 홈부(63,73)가 형성된다(도 1 참조).
도 3(a),(b)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테두리 형상을 이룬다. 도 8(a),(b)를 아울러 참조하면, 이 하우징(20)은, 대략 원형 형상을 이룬 저벽(21)과, 이 저벽(21)의 둘레로부터 세워 설치된 대략 관형상의 격벽(23)과, 이 격벽(23)의 둘레에서 외경 방향으로 향해 연장 설치된 대략 고리 형상의 플랜지형 벽부(24)와, 이 플랜지형 벽부(24)의 둘레로부터 상기 저벽(21) 측으로 향하여 연장 설치된 대략 관형의 주벽(25)을 갖는다.
그리고,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표면에는, 상기 격벽(23)을 통해 그 내경 측으로, 조작 부재(50)의, 누름부(51) 및 측벽(53)으로 이루어진 버튼부(54; 도 5 및 도 7 참조)를 수용하는 대략 원형 홈 형상을 이룬 조작 부재 수용부(27)가 설치된다.
한편,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이면에는, 상기 조작 부재 수용부(27)의 외주을 이루는 격벽(23)을 통하여, 그 외주 측으로 회전 부재(40)를 수용하는 대략 환형 홈 형상을 이룬 회전 부재 수용부(28)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하우징의 표면'이란, 하우징이 장착된 개폐체 또는 고정체의 표면에 배치되는 면을 의미하며 '하우징의 이면'이란, 개폐체와 고정체의 이면에 배치되는 면을 의미한다.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저벽(21)의 중앙부는, 하우징(20)의 표면이 약간 융기한 형상을 이루고, 그 이면에 중앙 홈부(21a)가 설치되어 있으며(도 3의 (b) 참조), 그 중앙 홈부(21a)에, 회전 부재(40)의 저벽(41)의 융기부 (41a; 도 4의 (a) 참조)가 인입하게 된다(도 8의 (a) 참조). 또한, 이 저벽(21)의 표면 둘레에는, 고리 형상을 이룬 외주 홈부(21b)가 형성되며(도 3의 (a) 및 도 8 참조), 조작 부재(50)의 누름 시에, 그 측벽(53)의 선단부가 인입되면서, 조작부재(50)의 압입량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주벽(25)의 외주로부터 한 쌍의 장착부(25a,25a)가 연장 설치되며, 이 장착부(25a,25a)를 통해, 상기 리드(5)의 패널(6)에 하우징(20)이 설치된다. 더욱이 주벽(25)의 외주에서는, 가이드 돌출부(26a)를 가진 한 쌍의 가이드부 (26,26)가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도 3의 (b) 참조), 각 가이드 돌출부(26a)가 상기 로드(60,70)의 가이드 홈부(63,73; 도 1 참조)에 인입되어서, 각 로드(60,70)의 슬라이드 가이드를 이룬다.
도 3의 (b)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저벽(21)의 이면 중앙에서는 , 회전 부재(40)의 축 삽입 통공(42; 도 4의 (a) 참조)에 삽입 통과하여, 이 회전 부재(40)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대략 관 형상을 이룬 회전축(30)이 돌출 설치된다. 이 회전축(30)의 선단 외주의 대향하는 곳에서는, 서로 형상 및 크기가 다른 한 쌍의 이탈방지돌기(31,32)가 돌출 설치되어, 이 이탈방지돌기(31,32)가 회전 부재(40)의 저벽(41)의, 축 삽입 통공(42)의 이면 둘레에 걸어맞춤하여(도 11의 (a) 참조), 하우징(20)의 이면에 회전 부재(40)가 이탈방지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도 8 ~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30)의 기단측은 개구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 조작 부재(50)을 탄성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9)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 홈부(30a)가 형성되고, 그 저부에는 코일 스프링(19)의 일단부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 돌출부(30b)가 돌출 설치된다.
또한, 도 3 및 도 8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원주 방향에 대향하는 소정 장소에는, 노치부(33,33)가 각각 형성된다. 이 실시 형태의 각 노치부(33)는, 그 일단부가 상기 저벽(21)의 외주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격벽(23)의 세워 설치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타단부가 상기 플랜지형 벽부(24)의 내주에 이르도록 노치형성되며, 상기 조작 부재 수용부(27) 및 상기 회전 부재 수용부(28)을 서로 연통하게 된다.
이들 한쌍의 노치부(33,33)는, 그 내측에, 하우징(20)의 표면에 배치되는 조작 부재(50), 한 쌍의 암부(55,55; 도 5 참조)가 각각 배치되어, 이 노치부(33,33)을 통해, 한 쌍의 암부(55,55)를 하우징(20)의 이면으로 연장 돌출시켜, 상기 회전 부재 수용부(28) 내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각 노치부(33)의 둘레가, 조작 부재(50)의 누름 시에는, 각 암부(55)의 슬라이드 가이드를 이루게 된다(도 8의 (b) 및 도 9 참조).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격벽(23)의 원주방향으로 대향한 곳이며, 상기 한 쌍의 노치부(33,33)에 직교하는 위치에는, 슬롯(23a,23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 부재(50)의 걸림편(57)에 설치된 걸림돌기(57b; 도 5 참조)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도 8(a) 참조).
또한 도 3의 (a)와 같이, 상기 플랜지형 벽부(24)의 대향하는 곳에는, 원호형상을 이룬 슬릿(24a,24a)이 형성되고, 회전 부재(40)의 이탈방지조(43a, 43a; 도 4의 (a) 참조)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다(도 8의 (b)참조). 또한 도 3의 (b)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형 벽부(24)의 이면 둘레의 소정 장소에는, 토션 스프링(15)의 일단부(17)을 걸기 위한, 걸기조(24b)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4,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하우징(20)의 이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부재(40)에 대해 설명한다.
이 회전 부재(40)는, 대략 원형 형상을 이룬 저벽(41)을 구비하고, 그 중앙부에, 다소 융기한 융기부(41a)가 구비된다. 이 융기부(41a)가, 상기 하우징(20)의 저벽(21)의 중앙 홈부(21a) 내에 인입된다(도 8의 (a) 참조).
또한, 저벽(41)에는 축 삽입 통공(42)이 형성되며, 이 축 삽입 통공(42)에 하우징(20)의 회전축(30)이 삽입 통과됨으로써, 하우징(20)에 대해 회전 부재(40)가, 도 8에 나타낸 회전 중심(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축 지지된다. 이 축 삽입 통공(42)의 내주에는, 상기 회전축(30)의 이탈방지돌기(31)가 통과 가능한 홈 (42a)과, 이 회전축(30)의 이탈방지돌기(32)가 통과 가능한 홈(42b)이 형성된다.
또한 저벽(41)의 둘레의 소정 장소에는, 한 쌍의 원호 형상 홈부(41b,41b)가 형성되어 있으며(도 4의 (a) 참조), 조작 부재(50)의 누름 시, 그 걸림편(57; 도 5 참조)의 선단부가 인입되어, 조작 부재(50)의 압입량이 확보되도록 한다(도 8의 (a) 참조).
상기 저벽(41)의 둘레에서는, 대략 관 형상을 이룬 벽부(43)가 세워 설치되고, 이 벽부(43)는, 상기 하우징(20)의 회전 부재 수용부(28) 내에 수용되고, 상기 격벽(23)의 바깥 측에 배치된다(도 8 참조).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관 형상을 이룬 벽부(43)가, 원주 방향으로 대향하는 2 곳에서 분리되어 있으며, 그 분리부(46,46)의 하우징(20) 측의 내측 둘레에, 캠 경사면(47,47)이 각각 설치된다. 각 캠 경사면(47)은, 벽부(43)의 원주방향에 따라 점차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고, 또한 한 쌍의 캠 경사면(47,47)은, 가장 높게 돌출한 원주 방향 단부 끼리와, 가장 낮은 원주 방향 단부 끼리가, 회전 부재(40)의 중심에 대해, 점 대칭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캠 경사면(47,47)은, 조작 부재(50)의 한 쌍의 암부(55,55; 도 5 참조)가 맞닿아 눌리고, 조작 부재 (50)의 압입력을, 회전 부재(40)의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a)와 같이, 각 분리부(46)의 저부에는, 홈부(46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 부재(50)의 누름시, 그의 암부(55)를 받아들여, 조작 부재(50)의 압입량이 확보되도록 한다.
또한, 벽부(43)의 하우징(20) 측의 단면이며, 상기 한 쌍의 분리부(46,46)에 근접한 위치에는, 슬릿을 통해 휨 가능한 회전방지조(43a,43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4의 (a)참조). 이들 회전방지조(43a,43a)가, 상기 하우징(20)의 슬릿(24a, 24a)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동시에, 그 슬릿(24a)의 내 둘레에 결합하여, 하우징(20)에 대한 회전 부재(40)의 회전 방지를 하게 된다(도 7 및 도 8의 (b)참조).
또한, 도 4의 (a)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부(43)의 외주의 소정 장소에는, 토션 스프링(15)의 선단부(18)을 걸기 위한, 걸기조(43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15)은, 그 권취부(16)가 상기 벽부(43)의 외경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전술한 것처럼, 그 일단부(17)가 상기 하우징(20)의 걸기조(24b)에 걸림으로써, 하우징(20) 및 회전 부재(40) 사이에 장착되고, 회전 부재(40)는, 이 토션 스프링(15)에 의해, 소정방향으로 회전 가압된다(도 11의 (a)의 화살표 A1 참조).
또한, 상기 벽부(43)의 외주이며 저벽(41)에 가까운 부분에서는, 외경 방향으로 향해 고리 형상을 이룬 플랜지부(44)가 연장 설치된다. 이 플랜지부(44)의 이면이며, 원주 방향에 대향한 곳에서는, 연결 돌출부(45,45)가 돌출 설치되고, 로드(60,70)의 기단부가 각각 연결된다(도 7 참조). 그 결과, 한 쌍의 로드(60,70)는, 도 11의 (a)의 화살표 A1방향으로 회전 가압되는 회전 부재(40)을 통해, 글러브 박스(1)의 잠금부(3,3)에 결합하는 방향이 되도록, 계합부(61,71)가 서로 떨어지게 가압된다(도 11의 (a) 참조).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 부재(40)가 토션 스프링(15)에 의한 회전 가압되어, 한 쌍의 로드(60,70)의 계합부(61,71)가, 글러브 박스(1)의 잠금부(3,3)에 걸어 맞춤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회전 부재(40)의 한 쌍의 캠 경사면(47,47)은, 하우징(20)에 설치된 한 쌍의 노치부(33,33)에 일치하도록 배치된다(도 8의 (b) 및 도 9 참조).
아울러,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션 스프링(15)를 이용해 회전 부재(40)을 회전 가압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로드(60,70)을 슬라이드 가압시켰는데, 예를 들면, 인장 용수철과 코일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로드(60,70)의 일방 또는 양방을, 계합부가 잠금부에 결합하는 방향이 되도록, 직접적으로 슬라이드 가압하거나, 동일하게 인장 용수철이나 코일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회전 부재(40)을 회전 가압해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에는, 인장 용수철과 코일 스프링 등이, 본 발명의 '가압 수단'이 된다.
다음으로,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하우징(20)의 표면에 누름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50)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의 조작 부재(50)은, 버튼부(54)와, 이 버튼부(54)의 외주면으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암부(55,55)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부(54)는, 상기 하우징(20)의 대략 원형 홈 형상의 조작 부재 수용부(27)에 적합하게 대략 원형판 형상을 이루고, 조작자가 누를 부분이 되는 누름부 (51)와, 그 누름부(51)의 둘레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측벽(53)으로 구성되고, 대략 바닥이 있는 원형 관 형상을 이룬다.
이 버튼부(54)의 누름부(51) 및 측벽(53)은, 상기 하우징(20)의 조작 부재 수용부(27) 내에 배치되어, 이 조작 부재 수용부(27)의 외주를 이루는 격벽(23)보다 내경측에 위치하고, 또한, 회전 부재(40)의 캠 경사면(47)을 갖는 벽부(43)보다, 회전 부재(40)의 회전 중심(C) 측에 위치하게 된다(도 9 참조).
또한,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부(51)의 이면 중앙에는, 스프링 지지 돌출부(51a)가 돌출 설치된다. 이 스프링 지지 돌출부(51a)가, 상기 하우징 (20)의 스프링 지지 홈부(30a)에 일단부가 지지된, 코일 스프링(19)의 타단부 내에 삽입됨으로써,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0)과 조작 부재(50)의 사이에서 코일 스프링(19)이 압축 상태로 끼워 장착되어, 상시에는 조작 부재(50)의 누름부(51)를, 하우징(20)의 저벽(2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이 되도록 탄성지지하게 된다.
상기 측벽(53)의 선단부이자, 그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서는, 외경 방향으로 향해 암부(55,55)가 각각 뻗어 있다. 이 암부(55)는 상기 하우징(20)의 노치부(33)에 적합하게, 대략 각형(角形)의 핀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의 연장 돌출 방향의 선단부이며, 상기 하우징(20) 측의 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 설치된 누름 돌출부(55a)가 각각 설치된다(도 5의 (b) 참조).
이들 한 쌍의 암부(55,55)는, 하우징(20)에 설치된 상기 노치부(33,33)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이 노치부(33,33)을 통해 하우징(20)의 이면 측에 연장 돌출하게 되며, 각 암부(55)의 누름 돌출부(55a,55a)가, 상기 회전 부재(40)의 한 쌍의 캠 경사면(47,47)에 맞닿게 된다(도 8의 (b) 및 도 9 참조). 또한 상기 암부(55)는 원형기둥 형상 등이라도 좋고, 노치부(33)을 통해 캠 경사면(47)에 맞닿음이 가능하다면, 특별한 한정은 없다. 또한, 암부(55)에 누름 돌출부(55a)를 설치하지 않고, 캠 경사면(47)에 직접 맞닿아도 좋다.
그리고, 도 8의 (b)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9)에 의해, 조작 부재(50)의 누름부(51)가 하우징(20)의 저벽(21)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는, 한 쌍의 암부(55,55)의 누름 돌출부(55a,55a)가, 회전 부재(40)의 한 쌍의 캠 경사면(47,47)의 상단면에 맞닿고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9)의 탄성 가압력에 대항해서, 하우징(20)에 대해 조작 부재(50)를 누름으로써, 각 캠 경사면(47)이 각 암부(55)의 누름 돌출부(55a)에 의해 눌리고, 캠 경사면(47) 위을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슬라이딩하여, 그 결과, 토션 스프링 (15)의 회전 가압력에 대항해서, 회전 부재(40)이 도 11의 (b)의 화살표(A2)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계합부(61,71)이 잠금부(3,3)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로드(60,70)가 슬라이드하도록 된다.
또한, 측벽(53)의 선단부이며, 상기 한 쌍의 암부(55,55)에 직교하는 위치에서는, 한 쌍의 걸림편(57,57)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각 걸림편(57)에는, 'コ' 자 형상 슬릿(57a)을 통해, 휨 가능한 걸림돌기(57b)가 형성된다. 각 걸림돌기(57b)는, 상기 하우징(20)의 슬롯(23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하우징 표면의 둘레에 걸림으로써, 하우징(20)에 대해 조작 부재(50)가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도 8의 (a) 참조).
또한, 이 실시 형태의 버튼부(54)는, 상술한 것처럼, 누름부(51) 및 측벽(53)으로 이루어진 바닥을 갖는 원형 관 형상을 이루는데, 예를 들면, 측벽(53)을 설치하지 않고, 누름부(51)을 두꺼운 판 형상으로 하여, 그의 외주로부터 암부(55)를 연장 돌출해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잠금 장치(10)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50)의 측벽(53)의 외경측에, 하우징(20)의 격벽(23)이 배치되고, 이 격벽(23)의 외주 측에 회전 부재(40)의 벽부(43)이 배치되고, 이 벽부(43)의 외경측에 토션 스프링(15)의 권취부(16)가 배치된다. 그 결과, 조작 부재(50)의 버튼부(54)의 외주(여기서는 측벽(53)의 외주), 하우징(20)의 조작 부재 수용부 (27; 즉 격벽 23), 회전 부재(40)의 벽부(43), 토션 스프링(15)의 권취부(16)가 동심 형상이면서 외경방향으로 향해 나란히 배치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20)에 한 쌍의 노치부(33,33)을 설치하고, 회전 부재(40)에 한 쌍의 캠 경사면(47,47)을 설치하며, 조작 부재(50)에 한 쌍의 암부(55,55)를 설치하였으나, 노치부(33)나 캠 경사면(47), 암부(55)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 1개씩 설치하거나 혹은 3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로드(70) 및 로드(80)가 본 발명의 '가동 잠금 부재'를 이룬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로드(60,70)의 계합부(61,71)가 잠금부(3,3)에 연결 이탈되게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일측 로드의 선단부에 자석을 매설하고, 고정체의 개구부 측에 상기 자석에 흡착하는 부재를 설치하여, 로드를 맞닿도록 서로 접합해도 좋다. 즉, 본 발명에서, 가동 잠금 부재가 '잠금부에 이탈 가능하게 결합하다' 라는 것은, 상기처럼, 잠금부에 가동 잠금 부재가 연결 이탈되거나, 자석 흡착 부재에 가동 잠금 부재가 맞닿게 접합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 부재로 구성된 잠금 장치(1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즉, 글러브 박스(1)의 개구부(2)를 닫도록, 리드(5)를 누르면, 로드(60,70)의 각 계합부(61,71)의 테이퍼면이, 개구부(2)의 양측 내면으로 눌러지고, 토션 스프링(15)의 회전 가압력에 대항하여, 각 로드(60,70)가 리드 내측 방향을 향해 인입된다. 그리고, 각 계합부(61,71)가 잠금부(3,3)에 이르면, 토션 스프링(15)에 의해 회전 부재(40)가 회전 가압되고, 링크 로드(60,70)가 다시 리드 외측 방향을 향해 밀려나오고, 각 계합부(61,71)가 잠금부(3,3)에 각각 결합되어, 글러브 박스(1)의 개구부(2)를 리드(5)로 닫은 상태로 잠글 수 있다(도 11의 (a) 참조).
한편, 글러브 박스(1)의 개구부(2)로부터 리드(5)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조작 부재(50)의 누름부(51)를 손가락 등으로 누름으로써, 코일 스프링(19)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하우징(20)에 대해 조작 부재(50)를 누른다. 하우징(20)의 조작 부재 수용부(27) 내에 조작 부재(50)의 누름부(51) 및 측벽(53)이 깊숙히 눌러짐과 동시에, 한 쌍의 노치부(33,33)의 둘레에 의해 한 쌍의 암부(55,55)가 안내되면서 하우징 깊이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그리고, 각 암부(55)의 누름 돌출부(55a,55a)가 한 쌍의 캠 경사면(47,47)을 누르고, 그의 면 위를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슬라이딩함으로써, 토션 스프링(15)의 회전 가압력에 대항해서, 회전 부재(40)를 도 11의 (b)의 화살표(A2) 방향으로 회전시켜, 계합부(61,71)가 잠금부(3,3)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로드(60,70)가 슬라이딩하여, 글러브 박스(1)의 개구부(2)부터 리드(5)를 이동시켜, 그 개구부(2)를 개방할 수 있다(도 11의 (b) 참조).
그리고, 이 잠금 장치(10)에서는, 조작 부재(50)의 버튼부(54)를 구성하는 누름부(51) 및 측벽(53)의 외주면은, 회전 부재(40)의 캠 경사면(47)을 갖는 벽부 (43)보다, 회전 부재(40)의 회전 중심(C) 측에 위치하고 있어, 버튼부(54)를, 회전 부재(40)의 벽부(43)의 선단(하우징; 20의 표면의 상단)보다 깊게 인입시키도록 압입할 수 있다(도 10 참조). 그 결과, 조작 부재(50)의 압입 스트로크를 충분히 확보하고, 비교적 작은 압입력으로 조작 부재(50)를 누름 가능하고, 로드(60,70)의 계합부(61,71)을, 잠금부(3,3)에서 이탈 가능할 정도로 충분한 슬라이드량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 부재(50)를 얇게 형성할 수 있어, 잠금 장치(10) 전체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부재(50)에 설치되어, 회전 부재(40)의 캠 경사면(47,47)에 맞닿아 압입력을 부여하는 암부(55,55)가, 하우징(20)에 대해 조작 부재(50)을 누르면, 하우징(20)에 형성된 노치부(33,33)의 둘레로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암부(55)가 회전 부재(40)로의 압입력을 부여하고, 조작 부재(50)의 슬라이드 가이드를 겸하게 되어, 잠금 장치(10)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청구항 3의 효과).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8과 도 9와 같이, 조작 부재(50)의 측벽(53)의 외경측에 하우징(20)의 격벽(23)이 배치되어, 이 격벽(23)의 외경측에 회전 부재(40)의 벽부(43)가 배치되고, 또한 이 벽부(43)의 외경측에 토션 스프링(15)의 권취부(16)가 배치되어, 조작 부재(50)의 버튼부(54)의 외주(여기서는 측벽; 53), 하우징(20)의 조작 부재 수용부(27; 격벽; 23), 회전 부재(40)의 벽부(43), 토션 스프링(15)의 권취부(16)가, 동심 형상이면서 외경방향으로 향해 나란히 배치되도록 한다. 그 결과, 각 부재가 동심 형상으로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잠금 장치(10)의 폭 방향을 줄여 소형화할 수 있으며, 각 부재가 동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 잠금 장치(10)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나아가 잠금 장치(10)의 깊이 방향을 작게 형성하기 쉬워져, 잠금 장치(10)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청구항 2의 효과).
1 글러브 박스(고정체)
2 개구부
3 잠금부
5 리드(개폐체)
10 개폐체의 잠금 장치(잠금 장치)
15 토션 스프링(가압 수단)
20 하우징
23 격벽
27 조작 부재 수용부
28 회전 부재 수용부
40 회전 부재
43 벽부
47 캠 경사면
50 조작 부재
51 누름부
53 측벽
55 암부
60,70 로드(가동 잠금 부재)

Claims (3)

  1.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의 어느 일측에 설치된 잠금부와,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의 어느 타측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이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잠금부에 이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동 잠금 부재와,
    상기 가동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부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누름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하우징 측의 면에, 캠 경사면을 가진 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 부재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외주면에서 외경 방향으로 향해 연장되는 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부재의 버튼부의 외주면은,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캠 경사면을 갖는 벽부보다, 회전 부재의 회전 중심측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 부재를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암부가 상기 회전 부재의 캠 경사면을 눌러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가동 잠금 부재를 상기 잠금부에서 이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벽부는 원호 형상을 이루고,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는, 상기 조작 부재의 버튼부를 수용하는 조작 부재 수용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이면에는, 상기 조작 부재 수용부의 외주측에 상기 회전 부재의 벽부를 수용하는 회전 부재 수용부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의 버튼부의 외주면 및 상기 하우징의 조작 부재 수용부는 원형상을 이루고 있는 동시에, 상기 가압수단은 권취부을 갖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부재의 벽부의 외경측에, 상기 토션 스프링의 권취부가 배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의 버튼부의 외주면, 상기 하우징의 조작 부재 수용부의 외주면, 상기 회전 부재의 벽부, 상기 토션 스프링의 권취부는, 동심 형상으로 외주방향을 향해 나란히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의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 부재의 버튼부를 수용하는 조작 부재 수용부와, 하우징 이면이며 상기 조작 부재 수용부의 외주 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벽부를 수용하는 회전 부재 수용부와, 상기 조작 부재 수용부 및 상기 회전 부재 수용부를 연통하는 노치부를 가지고,
    상기 암부는, 상기 노치부를 통해 상기 회전 부재의 캠 경사면에 맞닿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치부의 둘레에는, 상기 조작 부재를 누를 때의 슬라이드 가이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장치.
KR1020140035171A 2014-03-26 2014-03-26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20150111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171A KR20150111619A (ko) 2014-03-26 2014-03-26 개폐체의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171A KR20150111619A (ko) 2014-03-26 2014-03-26 개폐체의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619A true KR20150111619A (ko) 2015-10-06

Family

ID=54344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171A KR20150111619A (ko) 2014-03-26 2014-03-26 개폐체의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16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17690A1 (en) * 2018-10-18 2021-10-14 Piolax, Inc.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17690A1 (en) * 2018-10-18 2021-10-14 Piolax, Inc.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US11821244B2 (en) * 2018-10-18 2023-11-21 Piolax, Inc.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766B1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JP5627055B2 (ja) 開閉部材のロック装置
JP5828888B2 (ja) 開閉部材のロック装置
CN108291413B (zh) 开闭体的锁止装置
US10119307B2 (en) Vehicle handle device
JP6420618B2 (ja) ロック解除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ロック装置
JP6992196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US8733262B2 (en) Needle thread passing device
KR101690042B1 (ko) 차량 시트의 펌핑 디바이스 및 그 조작기구
US20170009496A1 (en) Locking device and locking device mounting method
KR20150111619A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CN113039337B (zh) 开闭体的锁定装置
JP2018060779A (ja) 回転コネクタ
JP6634630B2 (ja) 車両用ボードのハンドル装置
CN111954745B (zh) 阻尼器装置
US20230003060A1 (en) Unlocking device
JP5450770B1 (ja) 複合操作スイッチ並びにこの複合操作スイッチを用いた操作盤
JP6317133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及び押し込み式操作装置
US10017961B2 (en) Key cylinder device
JP2016011074A (ja) 車両用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