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766B1 - 개폐체의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의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766B1
KR101938766B1 KR1020147035086A KR20147035086A KR101938766B1 KR 101938766 B1 KR101938766 B1 KR 101938766B1 KR 1020147035086 A KR1020147035086 A KR 1020147035086A KR 20147035086 A KR20147035086 A KR 20147035086A KR 101938766 B1 KR101938766 B1 KR 101938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m
opening
rotary memb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3389A (ko
Inventor
히사시 나카소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ublication of KR20150023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1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rack and pinion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2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pins engaging sl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0969Spring projected
    • Y10T292/097Operating means
    • Y10T292/0977C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한 쌍의 링크 로드의 훅부의 잠금부로의 한쪽 걸림을 방지하고, 캠 경사면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잠금 장치(10)는 하우징(20)과 회전 부재(50)와, 훅부(92)를 마련한 한 쌍의 링크 로드(90,91)와, 회전 부재(50)을 회전 가압하는 스프링(95)과, 하우징(20)에 밀어넣기 가능하게 설치한 조작 부재(60)를 구비하고, 회전 부재(50)에 캠 돌기(55)가 형성되어 조작 부재(60)에 캠 돌기(55)가 맞닿은 캠 경사면(71)을 가진 벽부(70)가 형성되며, 조작 부재(60)를 밀어넣음으로써 회전 부재(50)가 스프링(95)의 가압력에 대항해 회전하고, 링크 로드(90,91)의 훅부(92)가 잠금부에 걸어 맞춰지지 않는 위치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개폐체의 잠금 장치{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본 발명은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체를 닫은 상태로 잠그기 위한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등의 고정체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리드 등의 개폐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개구부를 리드 등으로 닫은 상태로 잠금과 함께, 개구부에서 리드 등을 연 상태로 하기 위한 잠금 장치가 마련된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잠금 장치로서, 아래 기재된 특허 문헌 1에는, 개폐 부재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체의 개구부에 설치된 잠금 장치 본체와, 개폐 부재를 닫았을 때 잠금 장치 본체를 감싸듯 개폐 부재에 형성된 노치부를 구비하고, 잠금 장치 본체는, 지지체에 설치된 하우징과, 한 쌍의 잠금 핀과, 한 쌍의 잠금 핀 사이에 개재되어 각 잠금 핀을 양측 바깥쪽을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과, 한 쌍의 잠금 핀을 스프링에 대항해서 인입하는 조작 부재를 구비한 개폐 부재의 잠금 장치가 기재된다. 상기 조작 부재의 이면측으로부터는, 캠면을 가진 한 쌍의 누름 부재가 돌출설치되며, 한 쌍의 잠금 핀의 기단부에는 상기 캠면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체 개구부를 개폐 부재로 닫은 상태에서, 조작 부재를 누르면 한 쌍의 누름 부재의 각 캠면이 한 쌍의 잠금 핀의 각 경사면을 슬라이딩하여,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한 쌍의 잠금 핀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되어, 잠금 핀 선단의 걸림조가 개폐부재의 노치부 양측의 계합공으로 인입되어, 개폐 부재가 열리게 된다.
또한, 아래 기재된 특허 문헌 2에는, 리드 이면에 축 지지된 로터와, 이 로터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로드와, 리드 외측에 밀고당기기 가능하게 설치되고, 밀고당기기 조작에 의해 로터를 회동시키는 노브와, 로터를 회동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여, 노브를 밀고당기는 조작을 함으로써, 로터가 리턴 스프링에 대항하여 회동하고, 로드가 리드 안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된 사이드 잠금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는, 로터에 원호 형상의 슬릿이 형성되어, 그 둘레 방향 일단이 경사면을 이루고 있는 동시에, 노브는 밀어넣는 구조로 되어있고, 그의 이면에 경사 형상의 누름면을 갖는 누름자가 돌출형성된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노브를 누르면, 누름자의 누름면에 의해 로터의 경사면이 눌리고, 로터를 회전시켜 한 쌍의 로드를 리드 안쪽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특허 제417340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특개 2007-100343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의 잠금 장치의 경우, 조작 부재에 설치된 각 누름 부재에 대응하여, 각 잠금 핀이 각각 독립해서 슬라이드 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지체의 개구부가 열린 상태로 개폐 부재를 누르면, 노치부 양측에 각 잠금 핀의 선단부가 눌리고, 각 잠금 핀이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잠금 장치 본체 안쪽으로 각각 슬라이드하여, 각 잠금 핀의 선단부가 노치부 양측의 계합공에 위치하면 스프링 가압력에 의해 각 잠금 핀이 잠금 장치 본체 외측으로 밀려나와, 계합공에 각각 걸어맞춤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잠금 장치는 각 잠금 핀이 각각 독립해서 슬라이드 되게 하는 것으로, 개폐 부재에서 지지체 개구부를 닫을 때에, 일측의 잠금 핀만이 일측의 계합공에만 걸어맞춤되는, 이른바 한쪽 걸림(片掛)이 발생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의 사이드 잠금 장치에서는 노브를 눌렀을 때에, 이 누름자가 로터의 경사 면을 누르고, 로터를 회전시키는 구조가 있지만, 이 경사면은 원호 형상을 이룬 슬릿의 둘레 방향 한쪽 일단에 마련되어 있어, 경사면을 길게 형성하기 어려우며, 그 결과, 경사 면과 누름자와의 맞닿음 길이를 확보하기 어려워 로터를 회전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링크 로드의 훅부가 잠금부에 한쪽 걸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캠 경사면의 길이를 길게 확보하고, 조작 부재의 누름에 의해 회전 부재를 제대로 회전시킬 수 있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개폐체의 양측 또는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 양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잠금부와,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의 어느 다른 한편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연동하고 동기화되어 슬라이드 동작하고, 선단에 형성된 훅부가 상기 잠금부에서 결합이탈되는 한 쌍의 링크 로드와, 상기 링크 로드의 각 훅부를 상기 잠금부에 걸어 맞추는 방향으로, 상기 링크 로드를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밀어넣기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 또는 상기 조작 부재의 한쪽에 캠 경사면을 가진 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 또는 상기 조작 부재의 다른 쪽에 캠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 접촉부가 상기 캠 경사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의 밀어넣는 힘을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 부재를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하고, 상기 한 쌍의 링크 로드를 이들 훅부가 상기 잠금부에 걸어맞춤되지 않는 위치로 슬라이드 시키도록 구성된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서는, 상기 캠 접촉부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중심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적어도 2 개소에 배치돼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서는, 상기 벽부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축 방향에서 볼 때, 원호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벽부의 단면은 둘레 방향을 따라 점차 낮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캠 경사면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서는,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 면측에 밀어넣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이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서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회전 부재 중 한쪽에서 축부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축부의 선단부 외주에서 외경 측으로 향해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회전 부재의 다른 한쪽에, 상기 축부가 삽입 통과하는 축공과, 이 축공으로 연통하여 상기 돌기를 통과시키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 상기 돌기를 맞추고, 상기 축공에 상기 축부을 삽입하여, 상기 홈부에서 상기 돌기를 빼낸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를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축공의 주변에 상기 돌기가 걸어맞춤되어, 상기 회전 부재가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서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조작 부재를 이탈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축부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 홈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서는, 상기 회전 부재 또는 상기 조작 부재에 형성된 상기 캠 경사면을 가진 벽부의 내경측 또는 외경측에 원통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그 원통부는 상기 조작 부재가 밀어 넣어져, 상기 캠 접촉부가 상기 캠 경사면에 맞닿아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캠 접촉부의 가이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서는, 상기 회전 부재에 상기 캠 경사면을 가진 벽부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에 상기 캠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서는,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조작 부재 사이이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서는, 상기 조작 부재에 상기 캠 경사면을 가진 벽부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 부재에 상기 캠 접촉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서는, 상기 캠 접촉부는 원호 형상의 선단 면을 가지고, 그 원호 형상의 선단 면이 상기 캠 경사면에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서는, 상기 한 쌍의 링크 로드는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의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피봇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링크 로드의 훅부가 잠금부에 한쪽 걸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캠 경사면의 길이를 길게 확보하고, 조작 부재의 누름에 의해 회전 부재를 제대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잠금 장치의 제 1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 부재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조작 부재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사시도, (b)는 (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에 있어서, 조작 부재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에 있어서, 회전 부재와 조작 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를 이용하여 개폐체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에 의해 개폐체를 연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의 요부 확대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6의 E-E 화살 표시선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잠금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잠금 장치의 제 3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를 도 14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에 있어서, 조작 부재를 밀어넣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a)의 F-F 화살 표시선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 (a)의 G-G 화살 표시선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에 있어서, 조작 부재를 밀어넣기 전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의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에 있어서, 조작 부재를 밀어 넣은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a)의 H-H 화살 표시선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잠금 장치의 제 4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에 회전 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나타내며, 그 요부 확대 설명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제 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10; 이하,"잠금 장치 10")는 차량의 계기 패널에 마련된 글러브 박스(1; 본 발명의 "고정체")의 개구부(2)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리드(5; 본 발명의 "개폐체")를 개폐 잠금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0과 같이, 상기 글러브 박스(1)의 개구부(2)의 양측부 내면에는 홈 형상의 잠금부(3,3)가 설치된다. 또한, 도 1과 같이 상기 리드(5)는 장공 형상의 설치 공(6a)이 형성된 패널(6)과, 상기 패널(6)의 이면측 상방에 배치된 박스(7)를 구비하고, 그 하부 양측의 지지편(8)을 통해 글러브 박스(1)의 개구부(2)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패널(6)과 상기 박스(7) 사이의 내부 공간에 잠금 장치(10)가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박스(7)의 폭 방향 양측에서는 로드인출공(7a, 7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잠금 장치(10)은, 도 1과 같이 상기 리드(5)에 설치된 하우징(20)과, 이 하우징(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부재(50)와, 상기 회전 부재(50)에 연결된 한 쌍의 링크 로드(90,91)와, 이들 링크 로드(90,91)의 각 훅부(92)를 상기 잠금부(3,3)에 걸어 맞춰지는 방향이 되도록, 상기 회전 부재(50)를 회전가압하는 토션 스프링(95)과, 상기 회전 부재(50)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20)에 밀어넣기 가능하게 설치한 조작 부재(60)와, 상기 하우징(20)의 정면 측(외면측)에 장착된 베젤(80)과, 상기 하우징(20)에 대해 상기 조작 부재(60)를 이탈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97)으로 주로 구성된다. 또한, 회전 부재(50)는 하우징(20)과 조작 부재(60) 사이이며, 하우징(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3(a)와 같이, 상기 토션 스프링(95)은 코일부(95a)와, 이 코일부 (95a)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돌출된 일단부(95b)와, 상기 코일부(95a)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돌출된 타단부(95c)로 형성되어, 본 발명의 "스프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링크 로드(90,91)는 소정 길이로 늘어나는 봉 형상을 이루고, 본 실시 형태에선 링크 로드(91)의 길이가 링크 로드(90)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각 링크 로드(90,91)의 선단에는 외면이 경사진 형상을 이룬 훅부(92)가 형성되고, 기단측에는 홈 형상의 끼워맞춤 홈부(93)가 형성된다. 또한, 링크 로드(91)의 소정 위치에는 키 잠금 받이부(94)가 마련된다.
도 2(a),(b) 및 도 5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리드(5)의 설치 공(6a)에 적합하게 전체적으로 가로로 긴 상자 형상으로 이뤄지고, 그 둘레벽(21)의 내부가 칸막이 벽(23)으로 구획되고, 회전 부재(50)나 조작 부재(60) 등이 배치된 사각 테두리 형상의 배치 홈부(24)와, 키 실린더(85)가 배치된 원통형의 실린더 배치부(25)가 설치된다.
상기 배치 홈부(24)의 배면측(이면측)의 바닥부(27)의 중앙으로부터 원통형의 축부(29)가 정면 개구측(외면 개구측)으로 향해 돌출 설치되고, 회전 부재(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코일 스프링(97)의 일단부를 받아들여 지지하게 된다(도 3 (a), 도 5 및 도 12 참조). 또한, 축부(29)의 선단 측 외주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95)의 코일부(95a)가 배치된다(도 3(a) 및 도 12 참조).
상기 바닥부(27)의 축부(29) 외주에는 회전 부재(5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연장된 핀 이동공(31,32)이 축부(29)의 축심 'C1'(도 5 참조)를 중심으로 둘레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각 핀 이동공(31,32)의 둘레 방향 일단부(31a,32a)는 다른 부위에 비해 확장한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 일단부1a,32a)는 축부(29)의 축심 'C1'에 대해 회전 대칭이 된 위치에 배치된다.
도 5와 같이, 상기 핀 이동공(31)의 둘레 방향 일단부(31a)의 상기 칸막이 벽(23) 측의 내주면으로부터는 핀 이동공(31)의 내부 빈공간을 향해 돌출편 형상의 복귀 규제편(33)이 연장 설치된다. 또한 핀 이동공(32)의 칸막이 벽(23) 측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95)의 타단부(95c)가 걸리는 계단 형상의 스프링 걸림부(35)가 형성된다(도 2(a) 및 도 5 참조).
도 5와 같이, 상기 배치 홈부(24)의 폭 방향 양측으로 상기 축부(29)에 맞춤되는 위치에는 슬라이드공(37,37)이 형성된다. 또한 이 배치 홈부(24)의 사각부에는 가이드공(39)이 각각 형성되며, 소정의 가이드공(39)에는 가이드 홈(39a)이 형성된다. 또한 도 2(a)와 같이, 하우징(20)의 둘레벽(21)의 일측부(22) 및 칸막이 벽(23)에는 상기 슬라이드공(37,37)에 연통하는 슬릿(22a,23a)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도 2(a),(b)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둘레벽(21)의 외측 둘레로부터는 외측 방향을 향해 복수의 설치편(21a)이 연장 설치되며, 이들 설치편(21a)을 통해 리드(5)에 하우징(20)이 설치된다. 또한 이 둘레벽(21)의 외주에는 베젤(80)을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걸어맞춤조(21b)가 돌출 설치된다.
도 1과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정면측에 장착된 베젤(80)은 실린더 배치 공(82) 및 조작 부재 배치공(81)을 갖는 가로로 긴 판 형상을 이루고, 그 외측 둘레에는 복수의 걸어맞춤편(83)이 설치된다. 이 걸어맞춤편(83)을 하우징(20)의 상기 걸어맞춤조(21b)에 걸어맞춤으로써, 하우징(20)의 정면측(외면측)에 베젤(80)이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20)의 실린더 배치부(25)에는 도 5 및 도 11과 같이 키 실린더(85)가 배치된다. 이 키 실린더(85)의 열쇠공(85a)에 도시하지 않는 키를 넣고 회전시킴으로써, 키 실린더(85)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된 키 잠금 돌기(87)가 링크 로드(91)의 키 잠금 받이부(94)에 맞춤되는 위치로 회동하여 링크 로드 (91)의 인입이 규제된다(도 11 참조).
다음으로 도 3(a),(b)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하우징(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부재(50)에 대해 설명한다.
이 회전 부재(50)는 원통형을 이룬 회전체(51)를 가지며, 이 회전체(51) 내에 상기 하우징(20)의 축부(29)가 삽입됨으로써, 회전 부재(50)가 하우징(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이 회전 부재(50)의 회전 중심'C2'는 상기 축부(29)의 축심 'C1'과 일치한다(도 5 참조).
상기 회전체(51)의 외측 둘레의 대향하는 부분으로부터 외경방향을 향해 연장부(52,52)가 연장 설치된다. 또한 각 연장부(52)의 일단면이며, 회전 부재(50)의 회전 중심'C2'에 대해 점 대칭이 된 위치로부터는 회전 부재(50)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즉 회전 부재(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축 방향(이하 간단하게 "회전 부재; 50의 회전 축 방향"라 함)을 따라 핀(53,53)이 각각 돌출 설치된다. 각 핀(53)의 선단부(53a) 및 기단부(53b)는 중간 부분에 비해 확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53a)가 링크 로드(90,91)의 기단측의 끼워맞춤 홈부(93)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기단부(53b)가 상기 하우징(20)의 핀 이동공(31,32) 내에 각각 배치되고, 회전 부재(50)의 회전 시, 덜컹거림을 줄여 부드럽게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또한, 각 연장부(52)의 타단면에 이며, 회전 부재(50)의 회전 중심'C2'에 대해 점 대칭이 된 위치로부터는 회전 부재(50)의 회전 축 방향을 따라 전면 측에 캠 돌기(55,55)가 각각 돌출 설치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회전 부재(50)에는 그 회전 중심'C2'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두고, 2개의 캠 돌기(55,5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캠 돌기(55)의 개수는 특별히 국한되지 않고 1개라도 좋지만, 회전 중심'C2'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2개 이상 배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캠 돌기(55)가 본 발명의 "캠 접촉부"를 이룬다.
또한, 각 캠 돌기(55)는 그 선단 면(55a)이 원호 형상으로 돌출한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 선단 면(55a)을 비롯한 선단부 외주에는 윤활유를 담기 위한 윤활유 홈(57)이 형성된다. 또한, 각 캠 돌기(55)의 기단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우징(20)의 복귀 규제편(33; 도 5 참조)에 걸어맞춤하여, 핀(53,53)이 핀 이동공(31,32)의 일단부(31a,32a)로 돌아가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복귀 규제 돌출부 (56)가 돌출 설치된다. 또한 각 캠 돌기(55)의 기단부의, 상기 복귀 규제 돌출부(56)의 양측에는 토션 스프링(95)의 일단부(95b)가 걸리는 스프링 걸림홈(58,58)이 형성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95)은 그 코일부(95)a를 회전체(51)의 일단면 둘레 주변에 맞닿도록 배치하고, 이 회전체(51)의 선단 개구로부터 이탈되는 하우징(20)의 축부(29)의 선단 외주에 배치하는 동시에(도 3(a) 참조), 일단부(95b)를 캠 돌기(55)의 소정의 스프링 걸림홈(58)에 걸리게 하고, 타단부(95c)를 상기 하우징(20)의 스프링 걸림부(35; 도 5참조)에 걸리게 함으로써 장착된다. 상기 회전 부재(50)는 이 토션 스프링(95)에 따라 정해진 방향, 여기에서는 도 5의 화살표 'A1' 방향으로 회전가압된다.
또한, 링크 로드(90,91)의 기단측의 끼워맞춤 홈부(93,93)에 회전 부재(50)의 각 핀(53)의 선단부(53a, 53a)를 각각 끼워 맞춤으로써 한 쌍의 링크 로드(90,91)는 회전 부재(50)의 외측 둘레의 대향하는 위치에 그 기단측이 피봇 결합 된다(도 9(b), 도 10(b) 및 도 11 참조). 그리고 한 쌍의 링크 로드 (90,91)는 도 5의 화살표 'A1' 방향으로 회전 가압된 회전 부재(50)를 통해, 글러브 박스(1)의 잠금부(3,3)에 걸어 맞춰지는 방향이 되도록, 훅부(92),(92)가 서로 떨어지도록 가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션 스프링(95)을 이용해 회전 부재(50)를 회전 가압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링크 로드(90,91)를 슬라이드 가압시키는데, 예를 들면, 인장 용수철과 코일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링크 로드(90,91)의 일방 또는 쌍방을 훅부(92)가 잠금부(3)에 걸어 맞춰지는 방향이 되도록, 직접적으로 슬라이드 가압하거나, 마찬가지로 인장 용수철과 코일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회전 부재(50)를 회전 가압하여도 좋으나,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다. 그 경우에는, 인장 용수철과 코일 스프링 등이 본 발명의 "스프링"을 이룬다.
다음으로 도 4(a),(b), 도 7 및 도 8을 참조해, 상기 하우징(20)에 밀어넣기 가능하게 설치한 조작 부재(60)에 대해 설명한다.
이 조작 부재(60)는 상기 하우징(20)의 배치 홈부(24)에 적합한 가로로 긴 판 형상을 이룬 누름부(61)를 가지며, 이 누름부(61)의 이면측 중심으로부터는 상기 코일 스프링(97)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 돌출부(63)가 돌출 설치된다.
또한, 누름부(61) 이면의 폭 방향 양측의 중앙부로부터, 걸림편(65,65)이 연장 설치되며, 각 걸림편(65)에는'コ'자 형상의 슬릿을 통해 걸림조(65a)가 휨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들 걸림편(65,65)은 하우징(20)의 슬라이드공(37,37)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동시에, 그들 걸림조(65a)가 하우징(20)의 일측부(22)의 슬릿(22a)의 일단 주변, 및 칸막이 벽(23)의 슬릿(23a)의 일단 주변에 걸림 됨으로써 하우징(20)에 대해 조작 부재(6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도 12 참조).
상기 누름부(61)의 이면측의 사각부로부터는, 가이드편(67)이 각각 연장 설치되고, 소정의 가이드편(67)의 외주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리브(67a)가 돌출 설치된다. 각 가이드편(67)은 하우징(20)의 가이드공(39)에 삽입된 동시에 가이드공(39)에 형성된 가이드 홈(39a)에 상기 가이드 리브(67a)가 끼워져 조작 부재(60)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이드 되도록 한다(도 6 및 도 8 참조).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누름부(61)의 이면측에 상기 회전 부재(50)의 캠 돌기(55)가 맞닿는 캠 경사면(71)을 가진 한 쌍의 벽부(70,70)가 상기 하우징(20)에 대한 조작 부재(60)의 밀어넣는 방향을 따라 세워지게 설치된다.
도 8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한 쌍의 벽부(70,70)는, 회전 부재(50)의 회전 중심 'C2' 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동시에, 회전 부재(50)의 회전 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캠 돌기(55,55)의 회동 방향을 따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한 쌍의 벽부(70,70)의 원호의 중심 'C3'은 회전부재(50)의 회전 중심 'C2' 및 하우징(20)의 축부(29)의 축심 'C1'에 일치한다(도 8 및 11 참조).
또한, 도 4(b) 및 도 7과 같이, 한 쌍의 벽부(70,70)에는 상기 회전 부재(50)의 캠 돌기(55,55)가 각각 맞닿고, 조작 부재(60)의 밀어넣는 힘을 회전 부재(50)의 회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캠 경사면(71,71)이 각각 마련된다. 즉, 원호 형상의 벽부(70)의 단면이 둘레 방향을 따라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또한 둘레 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잘려 캠 경사면(71)을 이룬다.
또한 도 4(b) 및 도 8와 같이, 한 쌍 벽부(70,70)는 캠 경사면(71)의 가장 높이 돌출한 둘레 방향 일단부(71a,71a) 끼리 및 가장 낮은 둘레 방향 타단부(71b, 71b) 끼리가 조작 부재(60)의 중심 'C3'에 대해 점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있다.
또한, 각 벽부(70)의 캠 경사면(71)의 일단부(71a) 측의 외주에는 기둥부(73)가 각각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부는 캠 경사면(71)의 가장 높은 일단부(71a)보다 약간 높게 돌출한 형상을 이룬다. 이 기둥부(73)는 하우징(20)에 대해 조작 부재(60)를 밀어넣지 않은 상태에서, 캠 돌기(55,55)에 맞닿고, 회전 부재(50)의 회전을 규제하는 부분이다(도 7 참조). 더욱이 도 4(b) 및 도 8과 같이, 각 캠 경사면(71)의 둘레 방향 일단부(71a)에서 타단부(71b)에 이르는 범위에는 윤활유를 담기 위한 윤활유 홈(75)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 부재(60)는 코일 스프링(97)을 통해 하우징(20)에 밀어넣기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코일 스프링(97)의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20)의 축부(29) 내주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타단부가 조작 부재(60)의 스프링 지지 돌출부(63)에 지지되어, 이 코일 스프링(97)에 의해, 평상시는 조작 부재(60)가 하우징(20)의 전면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도 7 및 도 12 참조). 이때 조작 부재(60)는, 상술한 것처럼, 걸림편(65,65)의 걸림조(65a)가 하우징(20)의 슬릿(22a,23a)에 걸어맞춤되어 빠짐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상태에서는, 조작 부재(60)의 벽부(70,70)의 캠 경사면(71,71)의 둘레 방향 일단부(71a,71a)에 회전 부재(50)의 캠 돌기(55,55)의 원호 형상의 선단 면(55a, 55a)이 각각 맞닿은 위치에 유지되도록 한다(도 7과 도 9 참조).
그리고, 상기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97)의 가압력에 대항해서, 하우징(20)에 대해 조작 부재(60)를 밀어 넣으면, 벽부(70,70)의 캠 경사면(71,71)에 의해 캠 돌기(55,55)가 각각 눌러지고, 캠 돌기(55)가 캠 경사면(71)의 일단부(71a)에서 타단부(71b)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토션 스프링(95)의 회전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 부재(50)가 화살표 'A2' 방향(도 9(b) 참조)로 회전하고, 한 쌍의 링크 로드(90,91)의 훅부(92,92)가 글러브 박스(1)의 잠금부(3,3)에 걸어 맞춰지지 않는 위치로 슬라이드 된다(도 10 참조).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50)의 캠 돌기(55,55)에 대응해 한 쌍의 원호 형상의 벽부(70,70)를 마련했으나, 캠 돌기(55)의 개수에 따라 벽부(70)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50)의 회전 축 방향에서 볼 때 원통형을 이루도록 벽부를 설치하고, 그 단면에 소정 개수의 캠 경사면(71)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벽부를 동심 형상이 되도록 설치하여, 각각의 단면에 캠 경사면을 형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 부재로 구성된 잠금 장치(1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잠금 장치(10)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조립할 수 있다. 즉 회전 부재(50)의 핀(53,53)을 하우징(20)의 핀 이동공(31,32)의 둘레 방향 일단부(31a,32a)에 각각 삽입함과 동시에, 회전체(51) 내에 하우징(20)의 축부(29)를 삽입한다. 그 후에, 회전 부재(50)의 복귀 규제 돌출부(56)가 하우징(20)의 복귀 규제편(33)을 타고 넘을 때까지 축부(29)를 통해 회전 부재(50)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부재(50)의 핀(53,53)이 다시 핀 이동공(31,32)의 둘레 방향 일단부(31a,32a)로 복귀하여 빠져 떨어지지 않도록 하우징(20)의 축부(29)에 회전 부재(50)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도 5 참조).
이 상태에서, 토션 스프링(95)의 코일부(95a)를 회전체(51)에서 빠진 축부(29) 외주에 배치하고, 일단부(95b)를 캠 돌기(55)의 소정의 스프링 걸림홈(58)에 걸리게 하고, 타단부(95c)를 상기 하우징(20)의 스프링 걸림부(35)에 걸리게 함으로써 토션 스프링(95)이 장착된다.
그 이후, 축부(29) 내주로 코일 스프링(97)의 일단부를 삽입하고, 타단부를 조작 부재(60)의 스프링 지지 돌출부(63)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하우징(20)의 슬라이드공(37,37) 및 각 가이드공(39)에 조작 부재(60)의 걸림편(65,65) 및 각 가이드편(67)을 맞추고, 하우징(20)에 대해 조작 부재(60)를 누른다. 그 결과, 코일 스프링(97)에서 조작 부재(60)가 하우징(20) 전면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걸림편(65,65)의 각 걸림조(65a)가 하우징(20)의 슬릿(22a,23a)의 일단 주변에 걸려, 하우징(20)에 대해 조작 부재(60)가 밀어넣기 가능하게 장착된다(도 12 참조).
그 상태에서 베젤(80)의 걸어맞춤편(83)을 하우징(20)의 걸어맞춤조(21b)에 걸어 맞춰지게 함으로써, 하우징(20)에 베젤(80)이 장착된다. 그리고 하우징(20)을 설치편 (21a)을 통해 리드(5)의 설치 공(6a)에 설치하는 동시에, 회전 부재(50)의 각 핀 (53)의 선단부(53a, 53a)를 링크 로드(90,91)의 끼워맞춤 홈부(93,93)에 각각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한 쌍의 링크 로드(90,91)가 회전 부재(50)의 외측 둘레의 대향 위치에 피봇 결합되어 각 훅부(92,92)가 리드(5)의 로드 인출공(7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토션 스프링(95)에 의해 회전 부재(50)가 화살표 'A1' 방향(도 5 참조)으로 회전 가압되어, 이에 따라 한 쌍의 링크 로드(90,91)가 글러브 박스(1)의 잠금부(3,3)에 걸어 맞춰지는 방향으로 훅부(92,92)가 서로 떨어지도록 가압된다(도 9(a) 참조).
그리고, 글로브 박스(1)의 개구부(2)를 닫기 위해 리드(5)를 누르면 링크 로드(90,91)의 각 훅부(92)의 경사면이 개구부(2)의 양측 내면에 눌리고, 토션 스프링(95)의 회전 가압력에 대항해, 각 링크 로드(90,91)가 리드 내측 방향을 향해 인입되고, 각 훅부(92)가 개구부(2)의 홈 형상의 잠금부(3,3)에 이르면, 토션 스프링(95)에 의해 회전 부재(50)가 회전 가압되고, 링크 로드(90,91)가 다시 리드 외측 방향으로 눌려, 각 훅부(92,92)가 잠금부(3,3)에 각각 걸어맞춤되어 글러브 박스(1)의 개구부(2)를 리드(5)에서 닫은 상태로 잠글 수 있다(도 9 참조).
이때, 이 잠금 장치(10)에서는 한 쌍의 링크 로드(90,91)가 회전 부재(50)의 회전에 연동하여 동기화되어 슬라이드 동작하게 되므로 한 쌍의 링크 로드 (90,91)중 어느 한쪽의 링크 로드(90,91)의 훅부(92)만이 글로브 박스(1)의 잠금부(3,3)의 일방에 걸어 맞춰지는, 이른바 한쪽 걸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결과 글러브 박스(1)의 개구부(2)를 리드(5)에 의해 닫은 상태로 안정되게 잠글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도 11의 가상선과 같이, 키 실린더(85)의 열쇠 공(86)에 도시하지 않는 키를 꽂아 돌리면, 배면의 키 잠금 돌기(87)를 링크 로드 (91)의 키 잠금 받이부(94)에 맞춰지는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링크 로드(91)의 리드 내측 방향으로의 인입이 규제고, 상기 리드(5)에 의한 개구부(2)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글러브 박스(1)의 개구부(2)에서 리드(5)를 연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97)의 가압력에 대항해서 하우징(20)에 대해 조작 부재(60)을 밀어넣는다. 그러면, 조작 부재(60)의 벽부(70,70)의 캠 경사면(71),71에 의해 회전 부재(50)의 캠 돌기(55,55)가 각각 눌러지고, 도 7의 화살표 'A3'와 같이 캠 돌기(55)가 캠 경사면(71) 위를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높은 둘레 방향 일단부(71a)에서 낮은 타단부(71b)로 이동하는 동시에, 토션 스프링(95)의 회전 가압력에 대항하여, 하우징(20)의 축부(29)를 통해 회전 부재(50)가 화살표 A2 방향(도 9(b) 참조)으로 회전하고, 한 쌍의 링크 로드(90,91)의 훅부(92,92)가 글러브 박스(1)의 잠금부(3,3)에 걸어 맞춰지지 않는 위치로 슬라이드하고(도 10(a),(b)), 그 결과 글러브 박스(1)의 개구부(2)로부터 리드(5)를 이동시켜 개구부(2)를 열 수 있다.
그리고, 본 잠금 장치(10)에서는 회전 부재(50) 또는 조작 부재(60)의 일측에(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부재; 60), 캠 경사면(71)을 가진 벽부(70)를 설치하였으므로, 상기 특허 문헌 2의 사이드 잠금 장치처럼, 로터의 원호 형상 슬릿의 일단에 경사 면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캠 경사면(71)을 비교적 길게 형성할 수 있고, 캠 경사면(71) 상에서의 캠 돌기(55)의 슬라이드 접촉 거리를 길게 확보할 수 있고, 하우징(20)에 대한 조작 부재(60)의 밀어넣음에 따라, 회전 부재(50)를 비교적 큰 각도로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50)에 그 회전 중심 'C2'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한 쌍의 캠 돌기(55,55)가 설치되고, 조작 부재(60)에도 회전 부재(50)의 회전 중심'C2'에 일치하는 중심 'C3'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한 쌍의 벽부(70,70)가 설치되며, 캠 돌기(55)와 캠 경사면(71)을 가진 벽부(70)가 회전 부재(50)의 회전 중심'C2'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적어도 2개씩 형성되므로, 조작 부재(60)의 밀어넣는 힘이 회전 부재(50)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작용하고, 회전 부재(50)의 회전력에 의해 좀 더 쉽게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캠 경사면(71)을 가진 벽부(70)는 회전 부재(50)의 회전 축 방향에서 볼 때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어, 벽부(70)의 형상을 따라 캠 돌기(55)를 이동시키고, 캠 경사면(71)에서 캠 돌기(5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호 형상을 이룬 벽부(70)의 단면에 마련한 캠 경사면(71)이 둘레 방향을 따라 점차 낮아지게 형성되므로, 비교적 컴팩트한 형상으로, 회전 부재(50)가 회전해도 캠 돌기(55)와 캠 경사면(71)의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부재(60)에 캠 경사면(71)을 가진 벽부(70)가 설치되고, 회전 부재(50)에 캠 돌기(5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회전 부재(50) 측에 캠 돌기(55)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회전 부재(50)를 경량하고 소형화하기 쉽게 할 수 있어, 이 회전 부재(50)가 장착된 하우징(20)을 컴팩트화하기 쉽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회전 부재(50)를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캠 돌기(55)는 원호 형상의 선단 면(55a)을 가지고, 이 원호 형상의 선단면(55a)은 벽부(70)의 캠 경사면(71)에 맞닿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캠 돌기(55)의 캠 경사면(71)에 대한 접촉 면적을 작게 함과 동시에, 미끄러지기 쉽게 하여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고, 조작 부재(60)의 밀어넣는 힘을 보다 부드럽게 회전 부재(50)의 회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캠 돌기(55)의 형상을 박형화하여 회전 부재(50)를 보다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링크 로드(90,91)의 기단부 측이 회전 부재(50)의 외측 둘레의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피봇 결합되어 있으므로, 랙 피니언과 같은 기어 간의 백래시(backlash)가 없어, 한 쌍의 링크 로드(90,91)를 덜컹 거림없이 무난히 슬라이드시킬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50)는 하우징(20)과 조작 부재(60) 사이이며, 하우징(20)의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회전 부재(50)가 하우징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 응력 등으로부터 회전 부재(5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제2실시 형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10a; 이하, "잠금 장치 10a")는 상기 실시 형태와 비해 잠금부의 형성 부분과, 그 이외의 부재 배치 위치가 다르다. 즉, 본 잠금 장치(10a)에서는, 본 발명의 "개폐체"인 리드(5a)의 폭 방향 양측에 홈 형상의 잠금부(3a, 3a)가 형성되고, 본 발명의 "고정체"인 글로브 박스 쪽에 하우징(20)이 설치된 구조다.
또한 하우징(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부재(50)에 피봇 결합된 한 쌍의 링크 로드(90a,91a)는 그 정해진 곳에서 'L'자 형상으로 굴곡진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또한 그 선단부분이 리드 내측을 향해 되접히듯이 굴곡져, 이 부분이 훅부(92,92)를 이룬다. 또한, 한 쌍의 링크 로드(90a,91a)는 리드(5a)의 잠금부(3a,3a)에 걸어 맞춰지는 방향, 즉 훅부 (92,92)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화살표 A4 참조), 토션 스프링(95)에 의해 회전 가압된 회전 부재(50)를 통해 탄성지지된다.
그리고, 글로브 박스의 개구부가 리드(5a)에서 닫은 상태에서, 하우징(20)에 대해 조작 부재(60)를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캠 돌기(55)와 캠 경사면(71)의 상호 작용으로, 토션 스프링(95)의 회전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 부재(50)가 회전하고, 한 쌍의 링크 로드(90a,91a)의 훅부(92,92)가 글러브 박스(1)의 잠금부(3a,3a)에 걸어 맞춰지지 않는 위치로 슬라이드되어, 리드(5)a를 열 수 있도록 된다.
도 14 내지 2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제 3 실시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및 도 15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10b; 이하,"잠금 장치 10b")는 조작 부재와 회전 부재의 배치 위치, 및 캠 경사면을 가진 벽부와 캠 접촉부의 설치 부재가 상기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본 잠금 장치(10b)는 하우징(20b)의 외면측에 조작 부재(60b)가 밀어넣기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우징(20b)의 이면측에 회전 부재(50b)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 부재(50b) 측에 캠 경사면(71)을 가진 벽부(72)를 설치하고, 조작 부재(60b)측에 캠 접촉부(125)가 설치된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하우징의 외면"은 하우징이 설치된 개폐체 또는 고정체 의 배치된 외측면을 의미하며 "하우징의 이면"는 개폐체나 고정체의 이면측에 배치된 면을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의 하우징(20b)은 키 실린더 배치부가 없는 사각 테두리 형상을 이루고, 그 내측 둘레의 양측부에는, 조작 부재(60b)의 걸림편(65,65)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가이드공(39,39)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0b)의 바닥부(28)의 이면측 중앙으로부터는 축부(101)가 돌출 설치되며, 그 선단부 외주의 마주 놓인 위치로부터는 다른 형상의 돌기(102,103)가 외경측으로 향해 돌출 설치된다. 여기에서는 돌기(102)가 돌기(103)보다 길게 돌출 설치된 형상을 이룬다(도 19 참조). 또한 축부(101)의 외측으로부터는, 소정 깊이로 지지 홈부(105)가 형성된 동시에, 그 바닥면에 스프링 지지 돌출부(105a)가 돌출 설치되며(도 18 참조), 조작 부재(60b)를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97)이 수용되어 그 일단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바닥부(28)의 이면측 둘레 주변으로부터는 테두리형상 벽(107)이 세워지게 설치되며, 그 내주면에 토션 스프링(95)의 코일부(95a)가 맞닿어 지지된다(도 17(b) 및 도 18 참조). 도 15와 같이, 이 테두리형상 벽(107)의 둘레 방향 소정 위치에는 토션 스프링(95)의 타단부(95c)를 걸리게 하기 위한 스프링 걸림부(107a)가 형성되며, 이 테두리형상 벽(107)의 다른 위치에는 일단 부착한 회전 부재(50b)의 복귀를 규제하기 위한, 복귀 규제부(107b)가 설치된다.
도 18과 같이, 하우징(20b)의 바닥부(28)의 이면측에서 있어서, 상기 테두리형상 벽(107)의 내측 둘레에는 회전 부재(50b)의 선단부 측을 받아들여 회전 지지하기 위한 홈부(109)가 마련된다. 또한 하우징(20b)의 바닥부(28)이며, 상기 축부(101)의 양측에는 조작 부재(60b)의 기둥 형상의 캠 접촉부(125,125)를 슬라이드 가이드 하기 위한 슬라이드공(111,111)이 형성된다(도 14 및 도 17 참조).
또한, 하우징(20b)의 둘레벽(21)의 이면측으로부터는 로드 가이드 돌기(112,112)가 돌출 설치되며(도 15 참조), 이들이 링크 로드(90,91)의 슬라이드공(98,98)에 각각 삽입되어, 링크 로드(90,91)의 슬라이드 가이드를 이루게 된다(도 19 참조).
한편, 도 14, 도 15 및 도 20과 같이, 상기 하우징(20b)의 이면측에 장착된 회전 부재(50b)에는 상기 실시 형태의 조작 부재(60)의 벽부(70)와 비슷한 캠 경사면(71)을 가진 한 쌍의 벽부(72,72)가 회전체(51)의 외면측으로부터 세워 설치되고, 그 내경측에 원통부(113)가 일체적으로 돌출 설치된다.
또한 회전체(51) 및 원통부(113)에는 상기 하우징(20b)의 축부(101)가 삽입 통과하는 축공(115)이 형성되고, 축부(101)의 선단 외주의 돌기(102,103)를 통과시키는 홈부(116,117)가 둘레 방향으로 대향하여 축공(115)에 연통하게 형성되고, 홈부(116)가 홈부(117)보다 길게 형성되어 돌기(102)의 통과부분을 이루고, 홈부(117)은 돌기(103)의 통과부분을 이루어, 이에 따라 회전 부재(50b)의 설치 방향을 규정한다.
또한, 회전체(51)의 이면측이며, 상기 축공(115)의 주변에는, 원호 형상의 마찰 경감 리브(119,119)가 돌출 설치된다(도 20 참조). 또한 회전체(51)의 일측의 연장 돌출부(52)의 측면으로부터는 돌출편 형상의 복귀 규제 편(121)이 연장 설치되고, 또한 이 연장돌출부(52)의 외면으로부터는, 토션 스프링(95)의 일단부(95b)에 걸리는 스프링 걸림 돌출부(123)가 돌출 형성된다(도 14 및 도 20 참조).
도 14, 도 15 및 도 20과 같이, 하우징(20b)의 외면측에 배치된 조작 부재(60b)는 누름부(61)의 이면측이며, 스프링 지지 돌출부(63)의 양측에, 상기 회전 부재(50b)의 벽부(72)의 캠 경사면(71)에 맞닿는, 기둥 형상의 캠 접촉부 (125,125)가 세워 설치된다.
각 캠 접촉부(125)는 가늘고 긴 판 형상의 세로 리브(126)와 이 리브(126)의 양측에서 서로 비스듬하게 넓어지도록 연결 설치된 한 쌍의 홈 리브(127,127)로 이루어지고, 조작 부재(60b)를 이면측에서 볼 때, 대략 'コ' 자 형상을 이룬다. 또한 홈 리브(127)의 선단 외주면(127a; 도 20 참조)은, 원호 형상으로 둥근 형상을 이루며, 이는 상기 회전 부재(50b)의 벽부(72)의 캠 경사면(71)에 슬라이딩 접촉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잠금 장치(10b)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잠금 장치(10b)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해서 조립할 수 있다. 즉, 하우징(20b)의 지지 홈부(105) 내에 코일 스프링(97)을 수용하여 그 일단을 스프링 지지 돌출부(105a)에서 지지하는 동시에 코일 스프링(97)의 다른 한쪽의 일단을 조작 부재(60b)의 스프링 지지 돌출부(63)에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조작 부재(60b)를 하우징(20b)에 밀어 넣어, 조작 부재(60b)의 각 캠 접촉부(125) 및 각 걸림편(65)을 하우징(20b)의 각 슬라이드공(111) 및 가이드공(39)에 각각 삽입하는 동시에 걸림조(65a, 65a)를 하우징(20b)의 슬릿(22a,22a)의 일단 주변에 걸리게 한다. 이로 인해 도 17(b), 도 18 및 도 21과 같이, 코일 스프링(97)에 의해 조작 부재(60b)가 하우징(20b)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하우징(20b)에 대해 조작 부재(60)b를 밀어넣기가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 후에, 토션 스프링(95)의 코일부(95a)를 하우징(20b)의 테두리형상 벽 (107) 내에 배치하고, 이 내주면에 맞닿게 지지시키는 동시에, 타단부(95c)를 하우징(20b)의 스프링 걸림부(107a; 도 15 참조)에 걸리게 한다.
이어, 회전 부재(50b)의 홈부(116,117)에 축부(101)의 돌기(102,103)를 맞추고, 회전 부재(50b)의 축공(115)에 축부(101)를 삽입하고, 그 돌기(102,103)를 홈부(116,117)의 이면측으로부터 빼내는 것과 동시에 회전 부재(50b)의 선단부 측을 하우징(20b)의 홈부(109)에 삽입하고, 토션 스프링(95)의 일단부(95b)를 회전 부재(50b)의 스프링 걸림 돌출부(123)에 걸리게 하고, 이 상태에서 회전 부재(50b)를 소정 방향(여기에서는 도 15의 화살표 'A3'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편의상, 도 15에서의 회전 부재(50b)는 하우징(20b)에 장착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토션 스프링(95)의 일단부(95b)를 스프링 걸림 돌출부(123)에 당겨걸면서, 토션 스프링(9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 부재(50b)를 회전시켜, 테두리형상 벽(107)의 복귀 규제부(107b; 도 15 참조)로 복귀 규제 편(121)이 걸림 될 때 까지, 회전 부재(50b)를 회전시킴으로써 축부(101)의 돌기(102,103)가 회전 부재(50b)의 축공(115)의 이면측 주변의 마찰 경감 리브(119,119)에 각각 걸어 맞춰, 하우징(20b)의 이면측에 빠짐 방지된 상태로 회전 부재(50b)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홈부(116,117)부터 돌기(102,103)을 빼낸 후, 회전 부재(50b)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돌기(102,103)를 하우징(20b)의 이면측에 걸어 맞추는 것과 같은 간단한 작업으로 하우징(20b)에 대해 회전 부재(50b)를 빠짐 방지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어 하우징(20b)에 대한 회전 부재(50b)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7(b) 및 도 21과 같이, 축부(101)의 돌기 (102,103)는 회전체(51)의 이면측이고, 축공(115)의 둘레 주변에 돌출 설치된 원호 형상의 마찰 경감 리브(119,119)에 걸어 맞춰지기 때문에, 회전 부재(50b)의 회동 때의 마찰 저항을 덜게 된다.
또한, 상기 상태에서는, 토션 스프링(95)에 의해 회전 부재(50b)가 화살표 'A1'방향(도 19 참조)에 회전 가압되어, 이로부터 한 쌍의 링크 로드(90,91)가 글러브 박스(1)의 잠금부(3,3; 도 9 참조)에 걸어 맞춰지는 방향으로 훅부 (92,92)가 서로 떨어지도록 가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7(b), 도 18 및 도 21과 같이, 상기 축부(101)에 마련된 지지 홈부(105)에 코일 스프링(97)의 일단이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되므로서, 코일 스프링(97)의 길이를 확보하면서, 잠금 장치(10b)의 박형화를 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잠금 장치(10b)는 코일 스프링(97)의 가압력에 대항해서, 하우징(20)에 대해 조작 부재(60b)를 밀어 넣으면, 조작 부재(60b)의 캠 접촉부(125,125)에 의해 회전 부재(50b)의 각 벽부(72)의 캠 경사면(71,71)이 각각 눌려 캠 접촉부 (125)의 홈 리브(127)의 선단 외주 면(127a; 도 20 참조)이 캠 경사면(71) 위를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토션 스프링(95)의 회전 가압력에 대항해서 도 22(a),(b)와 같이, 회전 부재(50b)가 회전하여, 한 쌍의 링크 로드(90,91)의 훅부(92,92)가 글러브 박스(1)의 잠금부(3,3)에 걸어 맞춰지지 않는 위치에 슬라이딩하면 글로브 박스 (1)의 개구부(2)로부터 리드(5)를 열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50b)에 형성된 캠 경사면(71)을 가진 벽부(72,72)의 내경측에 원통부(113)가 일체적으로 설치됐으며, 이 원통부(113)가 조작 부재(60b)를 밀어 넣어서, 캠 접촉부(125)가 캠 경사면(71) 위를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이동할 때, 캠 접촉부(125)의 가이드가 되므로, 회전 부재를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도 17(b) 및 도 20 참조).
또한 도 17(b), 도 18 및 도 21과 같이, 하우징(20b)의 이면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테두리형상 벽(107)의 내주면에, 토션 스프링(95)의 코일부(95a)가 맞닿아 지지되어, 회전부재(50b)의 양 벽부(72,72)의 외측 둘레면에는 맞닿지 않기 때문에 회전 부재(50b)의 회전동작 시에, 코일부(95a)로부터의 스프링력(회전가압력) 또는 마찰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 부재(50b)를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60b)의 캠 접촉부(125)의 홈 리브(127)의 선단 외주면(127a)은 원호 형상으로 둥그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 부재(50b)의 캠 경사면(71) 위를 부드럽게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어 회전 부재(50b)의 회전 동작을 보다 매끄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잠금 장치(10b)에 있어서는, 하우징(20b)의 이면측에 회전 부재(50b)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하우징(20b)의 둘레벽(21)에 회전 부재(50b)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회전 부재(50b)의 외경을 키울 수 있다. 그 결과 회전 부재(50b)와 링크 로드(90,91)와의 연결부의 회전 반경을 크게 하고, 회전 부재(50b)의 회전각에 대한 링크 로드(90,91)의 슬라이드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조작 부재(60b)의 밀어넣는 양을 줄여도, 링크 로드(90,91)의 스트로크량을 확보할 수 있어 잠금 장치(10b) 전체의 평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50b)에 캠 접촉부를 두지 않고, 조작 부재(60b) 측에 캠 접촉부(125)를 설치함으로써, 하우징(20b)의 이면측의 벽부(바닥부; 28)에는, 캠 접촉부(125)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비교적 작은 슬라이드공(111)를 형성하면 좋고, 하우징(20b)의 이면측 벽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회전 부재 측에 캠 접촉부를 마련하는 경우는, 하우징의 이면측 벽부에 캠 접촉부를 회전 가능하게 받아들이기 위한 비교적 큰 구멍이 필요하다).
도 23 및 도 2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제 4 실시 형태가 나타나 있다. 덧붙여 상기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10c; 이하,"잠금 장치 10c")는 상기 제 3 실시 형태와 기본 구조는 마찬가지인데, 회전 부재(50c)측에 축부(101)가 배치되어, 하우징(20c) 측에 축부 삽입용 축공(115)이 형성된 점이 상기 제 3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회전 부재(50c)의 벽부(72,72) 및 원통부(113)의 내측으로 회전체(51)의 외 측 중심으로부터 축부(101)가 세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선단 외주의 마주 놓인 위치로부터 같은 형상의 돌기(102,102)가 돌출 설치된다.
한편, 하우징(20c)의 바닥부(28)의 중앙이며, 상기 슬라이드공(111,111) 사이에 상기 축부(101)가 삽입 통과되는 축공(115)이 형성되어, 이 축공(115)의 양측에는 상기 축부(101)의 돌기(102,102)를 통과시키기 위한 홈부(116,116)가 상기 슬라이드공(111)에 연통하게 형성된다. 또한 축공(115) 및 홈부(116,116)의 다른측 둘레 주변으로부터는 원호 형상의 지지 벽(129,129)이 각각 돌출 설치되며 축공(115)에 삽입된 축부(101)을 회전 지지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하우징(20c)의 홈부(116,116)에 축부(101)의 돌기(102,102)를 맞춤하고, 하우징(20c)의 축공(115)에 축부(101)를 삽입하여, 그 돌기(102,102)를 홈부 (116,116)의 외측에서 빼낸 뒤, 회전 부재(50c)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20c)의 이면측에 회전 부재(50c)를 빠짐 방지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도 24 참조).
또한 상기 제 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축부(101)의 선단 외주로부터 돌출 설치한 한 쌍의 돌기를 다른 형상으로 하고(예를 들면 한편의 돌기를 폭을 좁게 하는 등), 이에 맞춰지게 축공(115)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홈부를 형성해도 좋고, 이에 의해 조립 방향을 규정할 수 있다.
도 25에는 본 발명과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개폐체의 잠금 장치(10d; 이하,"잠금 장치 10d")는 고정체 또는 개폐체에, 소경기어(59a) 및 대경기어(59b)를 갖는 2단 기어 형상의 회전 부재(50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기단부에 랙 홈(93b)이 형성된 한 쌍의 링크로드 (90b,91b)가 이 랙 홈(93b,93b)을 상기 회전 부재(50a)의 대경 기어(59b)에 기어연결시켜 회전 부재(50a)의 회전 동작에 동기화하여 한 쌍의 링크로드(90b,91b)가 슬라이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조작 부재(60a)의 이면측에서 연장 돌출한 'U'자형 벽 부(70a)의 내면에 평기어(70b)가 형성되고, 이 벽 부(70a) 내에 회전 부재(50a)의 소경기어(59a)가 배치되고, 조작 부재(60a)가 도시 하지 않은 하우징에 밀어넣기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링크로드(90b,91b)의 일측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훅부가 잠금부에 걸어맞춤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압된다.
그리고 조작 부재(60a)를 도시하지 않는 하우징에 대해 밀어넣으면, 벽부(70a) 내의 평기어(70b)가 회전 부재(50a)의 소경기어(59a)에 기어연결하고, 회전 부재(50a)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부재(50a)의 대경기어(59b)에 랙 홈(93b)을 통해 기어연결된 한 쌍의 링크 로드(90b,91b)를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해 각 훅부를 잠금부에 걸어 맞춰지지 않은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게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가 글러브 박스(1)의 개구부(2)에 리드(5)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 적용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계기 패널 개구부에 글로브 박스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나(계기 패널이 "고정체", 글러브 박스가 "개폐체"를 이룸), 계기 패널 개구부에 리드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계기 패널이 "고정체", 리드가 "개폐체"를 이룸)등에 적용해도 좋고, 고정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각종의 개폐체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1 글러브 박스(고정체)
2 개구부
3,3a 잠금부
55,55a 리드(개폐체)
6 패널
10,10a, 10b, 10c 잠금 장치
20, 20b, 20c 하우징
50,50b, 50c 회전 부재
55 캠 돌기
55a 선단 면
60,60b 조작 부재
70,72 벽부
80 베젤
85 키 실린더
90,91 링크 로드
92 훅부
93 끼워맞춤 홈부
95 토션 스프링
97 코일 스프링
101 축부
102,103 돌기
115 축공
116,117 홈부
125 캠 접촉부

Claims (12)

  1.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개폐체의 양측 또는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 양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잠금부와,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의 어느 다른 한편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연동하고 동기화되어 슬라이드 동작하고, 선단에 형성된 훅부가 상기 잠금부에 결합이탈되는 한 쌍의 링크 로드와,
    상기 링크 로드의 각 훅부를 상기 잠금부에 걸어 맞추는 방향으로, 상기 링크 로드를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밀어넣기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 또는 상기 조작 부재의 한쪽에 캠 경사면을 가진 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 또는 상기 조작 부재의 다른 쪽에 캠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 접촉부가 상기 캠 경사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의 밀어넣는 힘을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 부재를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하고, 상기 한 쌍의 링크 로드를 이들 훅부가 상기 잠금부에 걸어맞춤되지 않는 위치로 슬라이드 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측에 밀어넣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이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이면측으로부터 관형상을 이루는 축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축부의 외주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조작 부재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안쪽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지지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조작 부재의 누름시 상기 축부의 내부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접촉부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중심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적어도 2 개소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축 방향에서 볼 때, 원호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부의 단면은 둘레 방향을 따라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캠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4.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개폐체의 양측 또는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 양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잠금부와,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의 어느 다른 한편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연동하고 동기화되어 슬라이드 동작하고, 선단에 형성된 훅부가 상기 잠금부에 결합이탈되는 한 쌍의 링크 로드와,
    상기 링크 로드의 각 훅부를 상기 잠금부에 걸어 맞추는 방향으로, 상기 링크 로드를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밀어넣기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 또는 상기 조작 부재의 한쪽에 캠 경사면을 가진 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 또는 상기 조작 부재의 다른 쪽에 캠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 접촉부가 상기 캠 경사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의 밀어넣는 힘을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 부재를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하고, 상기 한 쌍의 링크 로드를 이들 훅부가 상기 잠금부에 걸어맞춤되지 않는 위치로 슬라이드 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조작부재를 누르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벽부의 상단부가 상기 캠 접촉부에 맞닿아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5.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개폐체의 양측 또는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 양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잠금부와,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의 어느 다른 한편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연동하고 동기화되어 슬라이드 동작하고, 선단에 형성된 훅부가 상기 잠금부에 결합이탈되는 한 쌍의 링크 로드와,
    상기 링크 로드의 각 훅부를 상기 잠금부에 걸어 맞추는 방향으로, 상기 링크 로드를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밀어넣기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 또는 상기 조작 부재의 한쪽에 캠 경사면을 가진 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 또는 상기 조작 부재의 다른 쪽에 캠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 접촉부가 상기 캠 경사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의 밀어넣는 힘을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 부재를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하고, 상기 한 쌍의 링크 로드를 이들 훅부가 상기 잠금부에 걸어맞춤되지 않는 위치로 슬라이드 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측에 밀어넣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이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회전 부재 중 한쪽으로부터 축부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축부의 선단부 외주로부터 외경측으로 향해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회전 부재의 다른 한쪽에, 상기 축부가 삽입 통과하는 축공과, 이 축공에 연통하여 상기 돌기를 통과시키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 상기 돌기를 맞추고, 상기 축공에 상기 축부을 삽입하여, 상기 홈부로부터 상기 돌기를 빼낸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를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축공의 주변에 상기 돌기가 걸어맞춤되어, 상기 회전 부재가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조작 부재를 이탈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축부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 또는 상기 조작 부재에 형성된 상기 캠 경사면을 가진 벽부의 내경측 또는 외경측에 원통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원통부는 상기 조작 부재가 밀어 넣어져, 상기 캠 접촉부가 상기 캠 경사면에 맞닿아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캠 접촉부의 가이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8.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에 상기 캠 경사면을 가진 벽부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에 상기 캠 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9.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개폐체의 양측 또는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 양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잠금부와,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의 어느 다른 한편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연동하고 동기화되어 슬라이드 동작하고, 선단에 형성된 훅부가 상기 잠금부에 결합이탈되는 한 쌍의 링크 로드와,
    상기 링크 로드의 각 훅부를 상기 잠금부에 걸어 맞추는 방향으로, 상기 링크 로드를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밀어넣기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 또는 상기 조작 부재의 한쪽에 캠 경사면을 가진 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 또는 상기 조작 부재의 다른 쪽에 캠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 접촉부가 상기 캠 경사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의 밀어넣는 힘을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 부재를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하고, 상기 한 쌍의 링크 로드를 이들 훅부가 상기 잠금부에 걸어맞춤되지 않는 위치로 슬라이드 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조작 부재 사이에 있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배치 홈부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에 상기 캠 경사면을 가진 벽부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 부재에 상기 캠 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접촉부는 원호 형상의 선단면을 가지고, 이 원호 형상의 선단면이 상기 캠 경사면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링크 로드는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의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피봇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1020147035086A 2012-06-15 2013-06-11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101938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36219 2012-06-15
JPJP-P-2012-136219 2012-06-15
JP2013001326 2013-01-08
JPJP-P-2013-001326 2013-01-08
PCT/JP2013/066024 WO2013187388A1 (ja) 2012-06-15 2013-06-11 開閉体のロッ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389A KR20150023389A (ko) 2015-03-05
KR101938766B1 true KR101938766B1 (ko) 2019-01-16

Family

ID=4975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086A KR101938766B1 (ko) 2012-06-15 2013-06-11 개폐체의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50691B2 (ko)
JP (1) JP6038136B2 (ko)
KR (1) KR101938766B1 (ko)
CN (2) CN106837025B (ko)
GB (3) GB2568169B (ko)
WO (1) WO2013187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8169B (en) * 2012-06-15 2019-08-14 Piolax Inc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JP6125374B2 (ja) * 2013-08-23 2017-05-10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グローブボックス用操作装置
EP3111030A1 (en) * 2014-02-04 2017-01-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atch assembly for a vehicle compartment door
WO2015123442A1 (en) 2014-02-12 2015-08-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atch assembly for a vehicle compartment door
JP6317133B2 (ja) * 2014-02-25 2018-04-2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体のロック装置及び押し込み式操作装置
EP3145754A1 (en) 2014-05-21 2017-03-2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atch assembly for a vehicle
JP6420618B2 (ja) * 2014-10-01 2018-11-0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ロック解除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ロック装置
US9637061B2 (en) * 2014-11-26 2017-05-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ternal down stops for glove box
WO2016185973A1 (ja) 2015-05-19 2016-11-2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体の電動式ロック装置
JP6413936B2 (ja) * 2015-06-05 2018-10-31 豊田合成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リッド装置
JP6413937B2 (ja) * 2015-06-05 2018-10-31 豊田合成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リッド装置
WO2017086427A1 (ja) * 2015-11-20 2017-05-2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ロック装置
WO2017090545A1 (ja) * 2015-11-27 2017-06-0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体のロック装置
CN108291413B (zh) * 2015-11-30 2022-06-21 百乐仕株式会社 开闭体的锁止装置
CN106474712A (zh) * 2016-08-18 2017-03-08 郭周建 多功能电动弹跳式棒球、网球发球机
JP6599830B2 (ja) * 2016-09-08 2019-10-30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装置
GB2560957A (en) * 2017-03-30 2018-10-03 Ingenious Locks & Hardware Ltd A drive assembly for a locking device of a door or window
DE202017106921U1 (de) * 2017-11-15 2019-02-25 Smp Deutschland Gmbh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en Deckel eines Abdeckfachs, Deckel eines Ablagefachs mit einer derartigen Verschlussvorrichtung sowie Ablagefach mit einem solchen Deckel
US10669752B2 (en) * 2017-12-20 2020-06-02 Lear Corporation Armrest assembly with lid with latch release handle
CN107978208B (zh) * 2018-01-25 2019-12-03 杨曙铭 一种组装式电学模拟电路学习装置
US11492824B2 (en) * 2018-02-01 2022-11-08 Nifco America Corp. Latch assembly for glovebox
CN114856330A (zh) 2018-04-03 2022-08-05 索斯科公司 车辆手套箱及车辆手套箱闩锁
JP6992196B2 (ja) * 2018-10-18 2022-01-1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体のロック装置
DE102019206293A1 (de) * 2019-05-02 2020-11-05 Witte Automotive Gmbh Bewegungsanordnung und Türgriffanordnung
JP2022549497A (ja) * 2019-09-26 2022-11-25 サウスコ,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車両グローブボックスラッチ
DE112020004910T5 (de) * 2019-10-09 2022-09-01 Southco, Inc. Elektronisch betätigtes und verriegelbares handschuhfachsystem
JP7365508B2 (ja) 2020-06-24 2023-10-1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ロック装置
JP7423508B2 (ja) * 2020-12-25 2024-01-29 森六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開閉体のロック装置、及び、車両用収納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201A (ja) 2003-04-24 2004-11-18 Piolax Inc 開閉部材のロック装置
JP2007100343A (ja) * 2005-10-03 2007-04-19 Piolax Inc サイド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2812A (en) 1979-11-19 1981-06-17 Tokyo Electric Co Ltd Cooking device
JPS5746647A (en) 1980-08-29 1982-03-17 Hitachi Chem Co Ltd Manufacture of mold commutator
DE3610868A1 (de) 1986-04-01 1987-10-08 Camloc Gmbh Drehverschluss zur verbindung plattenfoermiger bauteile
JPS62280474A (ja) 1986-05-23 1987-12-05 テイトン・ハ−ドウエア・リミテツド ラツチ操作装置
JP3019713B2 (ja) 1994-02-21 2000-03-13 豊田合成株式会社 操作ノブの組付け構造
JPH11350816A (ja) 1998-06-08 1999-12-21 Hisayuki Horiguchi 把手を押しても引いてもラッチが引けるドア錠
US7182373B2 (en) * 2003-04-17 2007-02-27 Piolax, Inc. Side lock apparatus for storages
US7475929B2 (en) 2004-09-15 2009-01-13 Piolax Onc. Lid open-close apparatus
JP4734078B2 (ja) 2005-10-04 2011-07-2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手動解錠装置及びプラットホームスクリーンドア装置
US8403374B2 (en) * 2007-01-19 2013-03-26 Piolax, Inc. Lock system
DE112009002368T5 (de) * 2008-10-01 2011-09-29 Piolax Inc. Seitenschlossvorrichtung
JP5352374B2 (ja) 2009-08-04 2013-11-27 株式会社オートテクニカ 操作ペダルの支持構造
JP6076269B2 (ja) 2012-02-06 2017-02-08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装装置
GB2568169B (en) * 2012-06-15 2019-08-14 Piolax Inc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201A (ja) 2003-04-24 2004-11-18 Piolax Inc 開閉部材のロック装置
JP2007100343A (ja) * 2005-10-03 2007-04-19 Piolax Inc サイド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79860B (zh) 2017-02-22
JPWO2013187388A1 (ja) 2016-02-04
US9850691B2 (en) 2017-12-26
GB201820406D0 (en) 2019-01-30
CN106837025B (zh) 2019-06-28
JP6038136B2 (ja) 2016-12-07
GB2568607A (en) 2019-05-22
US20150152671A1 (en) 2015-06-04
GB2568169A (en) 2019-05-08
GB201820410D0 (en) 2019-01-30
CN106837025A (zh) 2017-06-13
WO2013187388A1 (ja) 2013-12-19
GB2516802A (en) 2015-02-04
GB2568169B (en) 2019-08-14
KR20150023389A (ko) 2015-03-05
GB2568607B (en) 2019-08-14
GB2516802B (en) 2019-02-13
CN104379860A (zh) 2015-02-25
GB201421425D0 (en)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766B1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101904983B1 (ko) 개폐 부재의 잠금 장치
KR101911531B1 (ko) 개폐부재의 잠금장치
KR102443073B1 (ko) 개폐체의 잠금장치
US7815267B1 (en) Drawer slide closure apparatus
CN108291413B (zh) 开闭体的锁止装置
JP6031523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US9752356B2 (en) Lock release apparatus and lock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7100343A (ja) サイドロック装置
JP6600104B2 (ja) プッシュリフター
JP2001311354A (ja) 移動体の案内構造
JP6985529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CN114761654B (zh) 解锁装置
KR20150111619A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GB2621611A (en) Lock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body
WO2023204188A1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6974629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2007326445A (ja) フック装置
WO2015194331A1 (ja) 張力付与装置、ドラム装置及び車両用開閉体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