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350A -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350A
KR20210076350A KR1020190167418A KR20190167418A KR20210076350A KR 20210076350 A KR20210076350 A KR 20210076350A KR 1020190167418 A KR1020190167418 A KR 1020190167418A KR 20190167418 A KR20190167418 A KR 20190167418A KR 20210076350 A KR20210076350 A KR 20210076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andle assembly
door handle
grip body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찬
조정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삼보에이앤티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삼보에이앤티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7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6350A/ko
Priority to US16/844,190 priority patent/US11578509B2/en
Priority to CN202010310868.7A priority patent/CN112983155B/zh
Priority to DE102020207379.1A priority patent/DE102020207379A1/de
Publication of KR2021007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가 개시된다. 그립 커버; 차량용 도어의 아우터 패널에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그립 커버와 체결되는 그립 바디; 및 상기 그립 바디의 연장선 상에서 상기 그립 바디의 힌지 회동점을 중심으로 상기 그립 바디의 힌지 회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상기 그립 바디에 연결되는 밸런스 웨이트를 포함하여, 중량 및 부품수 축소와 외관미 향상을 도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아우터 패널에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도어 아우터 패널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을 파지한 상태로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당기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일측이 도어 아우터 패널에 지지된 상태로 타측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이에 연결된 도어 래치 로드 혹은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도어 래치가 해방되어, 차체에 록킹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도어 아우터 패널의 차량의 폭 방향 외측면에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과, 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을 도어 아우터 패널에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 구조물, 및 측면 충돌시에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충돌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에 연결되는 밸런스 웨이트 혹은 블로킹 레버 등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도어 아우터 패널에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을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베이스와 같은 구조물을 필요로 하여, 차량의 부품수와 중량 및 원가를 상승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아우터 패널에 형성한 조립홀에 장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별도의 베이스 구조물 없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에 베이스 구조물이 일체로 형성 혹은 결합된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도 제안되어 있지만,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에 파팅 라인이 형성되어 외관미가 저하되고, 커버 부와 기능 부품이 일원화 되어 도장/도금 면적이 외관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도장/도금용 재질만 사용할 수 있는 결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부품수와 중량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외관미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측면 충돌 사고 발생시에 차량용 도어의 개방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탑승객의 충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그립 커버; 차량용 도어의 아우터 패널에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그립 커버와 체결되는 그립 바디; 및 상기 그립 바디의 연장선 상에서 상기 그립 바디의 힌지 회동점을 중심으로 상기 그립 바디의 힌지 회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상기 그립 바디에 포함되는 밸런스 웨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는 힌지 브래킷이 결합되고; 상기 그립 바디의 일측이 상기 힌지 브래킷에 힌지핀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래킷은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을 관통해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핀; 및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 바디에는 상기 힌지 브래킷에 상기 힌지 핀으로 체결되는 힌지 아암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립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힌지 아암의 반대 편에는 삽입홀을 구비한 작동 아암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는 지지 브래킷이 고정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래킷에는 릴리즈 레버가 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릴리즈 레버를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릴리즈 레버는, 상기 작동 아암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 아암과 연결되는 제1아암; 및 도어 래치와 일측이 연결된 도어 래치 릴리즈 로드의 타측과 연결핀으로 연결되는 제2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래킷에는 관성력 받아 상기 릴리즈 레버 측으로 돌출해서 상기 릴리즈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는 상기 블로킹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레버에는 릴리즈 레버를 향해 돌출하는 걸림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릴리즈 레버에는 상기 블로킹 레버의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은 상기 릴리즈 레버의 상기 제2아암의 일측면에 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은 한쪽 벽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은 개방된 입구를 형성하는 제1측벽; 상기 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측벽의 맞은 편에 구비되고, 상기 입구를 확장하는 곡면 벽으로 형성된 제2측벽; 및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을 연결하고,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리며, 상기 입구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3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의하면, 도어 아우터 패널에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을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베이스 구조물이 불필요해져, 차량의 부품수와 중량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그립부에 파팅 라인이 없으므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고, 커버 부 부품과 기능 부품이 이원화되어 도장/도금 면적이 외관에 노출되어 있는 커버 부는 도장/도금용 재질을 사용하고, 기능 부품은 강성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차량의 측면 충돌 사고 발생시에 블로킹 레버 혹은 밸런스 웨이트의 안정적인 작동으로 차량용 도어의 개방을 확실하게 방지해서 차량의 충돌 사고에 대한 탑승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일측이 도어 아우터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타측이 도어 아우터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기 이전의 셋팅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블로킹 레버측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릴리즈 레버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형상으로 된 그립 커버(1)와, 상기 그립 커버(1)에 체결되어 그립 커버(1)를 지지하는 그립 바디(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 바디(2)의 일측에는 그립 바디(20)의 길이 방향으로 더 연장된 힌지 아암(21)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그립 바디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하는 작동 아암(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아암(22)에는 후술하는 릴리즈 레버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홀(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아암(21)은 힌지 브래킷(3)에 힌지핀(31)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힌지 브래킷(3)은 도어 아우터 패널에 직접 체결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래킷(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가이드 핀(32)과 2개의 후크(33)를 구비하여, 도어 아우터 패널(4)에는 상기 힌지 브래킷(3)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는 체결홀과, 이 체결홀의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3개의 가이드 핀(33)이 삽입되는 가이드 홀 및 상기 2개의 후크(33)가 걸리는 걸림홀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 바디(2)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힌지 브래킷(3)의 맞은 편에는 지지 브래킷(5)이 배치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아우터 패널(4)에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래킷(5)에는 인서트 너트가 구비되고, 인서트 너트에 볼트가 삽입되어서 도어 아우터 패널(4)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래킷(5)과 힌지 브래킷(3)은 각각 패드(6)를 개재하여 도어 아우터 패널(4)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래킷(5)에는 릴리즈 레버(7)가 핀(7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릴리즈 레버(7)를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72)이 핀(71)의 주위에 감겨진다.
상기 릴리즈 레버(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아암(22)의 삽입홀(23)에 삽입되어 작동 아암(22)과 연결되는 제1아암(73)과, 도어 래치와 일측이 연결된 도어 래치 릴리즈 로드(74)의 타측과 연결핀(75)으로 연결되는 제2아암(76)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의 그립 커버(1)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그립 커버(1)의 당김 조작에 의해 상기 그립 커버(1)와 그립 바디(2)가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그립 바디(2)의 삽입홀(23)에 삽입된 릴리즈 레버(7)의 제1아암(73)이 그립 바디(2)에 의해 핀(7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로 인해 제2아암(76)도 함께 회전하면서 도어 래치 릴리즈 로드(74)를 밀어서 도어 래치를 해방하게 되므로, 차체에 록킹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 브래킷(5)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킹 레버(8)가 핀(8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고, 상기 블로킹 레버(8)를 복귀시키기 위해 리턴 스프링(8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레버(8)에는 걸림 돌기(83)가 릴리즈 레버(7)를 향해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리즈 레버(7)에는 블로킹 레버(8)의 걸림 돌기(83)가 삽입되어 릴리즈 레버(7)의 회동을 저지하는 걸림홈(77)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홈(77)은 릴리즈 레버(7)의 제2아암(76)의 일측면에 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77)은 한쪽 벽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77)은 개방된 입구(77a)를 형성하는 제1측벽(77b)은 대체로 수직한 반면에 입구(77a)를 형성하는 맞은 편의 다른 쪽 제2측벽(77c)은 상기 입구(77a)를 확대하는 곡면 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측벽(77b)과 제2측벽(77c)을 연결하는 제3측벽(77d)은 입구(77a)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레버(8)가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해 관성력을 받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걸림 돌기(83)가 릴리즈 레버(7)의 회전 궤적 안으로 진입해서 상기 걸림홈(83)에 삽입되어 제3측벽(77d)에 걸림으로써, 릴리즈 레버(7)의 회동이 걸림 돌기(83)에 의해 방지되어, 도어의 개방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곡면 형상의 제2측벽(77c)은 스프링 산포 등으로 인해 릴리즈 레버(7)가 빨리 회전하더라도, 상기 블로킹 레버(8)가 걸림홈(77) 내부로 원활하게 진입하여 릴리즈 레버(7)를 블로킹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그립 바디(2)의 연장선상에서 밸런스 웨이트(9)가 그립 바디(2)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9)는 상기 힌지핀(31)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9)는 블로킹 레버(8)를 대신해서 구비될 수 있고, 혹은 블로킹 레버(9)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밸런스 웨이트(9)가 구비된 상태에서 측면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그 관성력에 의해 그립 바디(2)가 힌지핀(31)을 중심으로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돌출하려고 할 경우에, 상기 밸런스 웨이트(9)도 관성력을 받아 힌지핀(31)을 기준으로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그립 바디(2)의 회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측면 충돌 사고로 인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관성 회동에 따른 도어의 개방을 방지해서 탑승객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그립 커버
2: 그립 바디
3: 힌지 브래킷
4: 도어 아우터 패널
5: 지지 브래킷
6: 패드
7: 릴리즈 레버
8: 블로킹 레버
9: 밸런스 웨이트

Claims (13)

  1. 그립 커버;
    차량용 도어의 아우터 패널에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그립 커버와 체결되는 그립 바디; 및
    상기 그립 바디의 연장선 상에서 상기 그립 바디의 힌지 회동점을 중심으로 상기 그립 바디의 힌지 회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상기 그립 바디에 포함되는 밸런스 웨이트;
    를 포함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는 힌지 브래킷이 결합되고;
    상기 그립 바디의 일측이 상기 힌지 브래킷에 힌지핀으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래킷은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을 관통해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핀; 및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 체결되거나 혹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후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바디에는 상기 힌지 브래킷에 상기 힌지 핀으로 체결되는 힌지 아암을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힌지 아암의 반대 편에는 삽입홀을 구비한 작동 아암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는 지지 브래킷이 고정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래킷에는 릴리즈 레버가 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릴리즈 레버를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 레버는,
    상기 작동 아암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 아암과 연결되는 제1아암; 및
    도어 래치와 일측이 연결된 도어 래치 릴리즈 로드의 타측과 연결핀으로 연결되는 제2아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래킷에는 관성력 받아 상기 릴리즈 레버 측으로 돌출해서 상기 릴리즈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는 상기 블로킹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레버에는 릴리즈 레버를 향해 돌출하는 걸림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릴리즈 레버에는 상기 블로킹 레버의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릴리즈 레버의 상기 제2아암의 일측면에 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한쪽 벽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개방된 입구를 형성하는 제1측벽;
    상기 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측벽의 맞은 편에 구비되고, 상기 입구를 확장하는 곡면 벽으로 형성된 제2측벽; 및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을 연결하고,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리며, 상기 입구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3측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20190167418A 2019-12-16 2019-12-16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20210076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418A KR20210076350A (ko) 2019-12-16 2019-12-16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US16/844,190 US11578509B2 (en) 2019-12-16 2020-04-09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CN202010310868.7A CN112983155B (zh) 2019-12-16 2020-04-20 用于车辆的外侧门把手组件
DE102020207379.1A DE102020207379A1 (de) 2019-12-16 2020-06-15 AUßENTÜRGRIFF-ANORDNUNG FÜR FAHRZE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418A KR20210076350A (ko) 2019-12-16 2019-12-16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350A true KR20210076350A (ko) 2021-06-24

Family

ID=7608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418A KR20210076350A (ko) 2019-12-16 2019-12-16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78509B2 (ko)
KR (1) KR20210076350A (ko)
CN (1) CN112983155B (ko)
DE (1) DE10202020737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990A (ko) 2014-11-07 2016-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아웃사이드 핸들 장치
JP6467253B2 (ja) 2015-03-12 2019-02-06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ハンドル装置
CN104895428B (zh) 2015-04-28 2017-05-17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车门把手安全装置
JP6137761B2 (ja) * 2015-08-05 2017-05-31 サカエ理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US10738513B2 (en) * 2016-12-09 2020-08-1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lush power slide door handle
CN110073070B (zh) 2016-12-23 2021-07-09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具有模块化惯性锁定机构的无框门把手组件
US20200277811A1 (en) * 2017-04-14 2020-09-03 Kabushiki Kaisha Honda Lock Vehicle door exterior handle device
ES2765822T3 (es) * 2017-08-23 2020-06-11 U Shin Italia Spa Sistema de enclavamiento para batiente de vehículo automóvil que incluye una manija del tipo a ras
EP3447218B1 (fr) * 2017-08-23 2020-06-03 U-Shin Italia S.p.A. Système de verrouillage équipé d'une poignée et d'un système inertiel déporté
US10907388B2 (en) * 2017-08-31 2021-02-02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EP3556975A1 (en) * 2018-04-17 2019-10-23 U-Shin Italia S.p.A.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KR102144784B1 (ko) * 2019-01-22 2020-08-18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78509B2 (en) 2023-02-14
CN112983155A (zh) 2021-06-18
CN112983155B (zh) 2023-03-21
DE102020207379A1 (de) 2021-06-17
US20210180368A1 (en)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1405B2 (en) Inertia-activated mechanism
US7437806B2 (en) Safety hook
JP3935020B2 (ja) リッド開閉機構及び車両用収納装置
US7431357B2 (en) Exterior door handle with minimum surface intrusion
JPS62206178A (ja) 掛止装置
US5520431A (en) Fuel door/sliding door interlock mechanism
EP1997985B1 (en) Door with door opening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US20020171248A1 (en) Latching arrangement for a glove box
KR20210076350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20200000613A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JP2002166725A (ja) 自動車のドアチェッカ兼用ドアヒンジ
JP2500175Y2 (ja) 車両のスイングスライド式ドア構造
JP3472150B2 (ja) 自動車の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3573302B2 (ja) キャビネット
US2723872A (en) Remote control apparatus
JPH08193448A (ja) キャビネットの引き違い戸
KR0140681Y1 (ko) 자동차의 후드록 래치 구조
KR100820391B1 (ko) 차량의 후드 스테이 겸용 후드 래치
KR200150745Y1 (ko) 버스 선반의 도어잠금장치
KR20030050437A (ko) 트렁크 처짐 방지장치
JPH0460071A (ja) 自動車のドアハンドル構造
JP3749757B2 (ja) ラッチボルトの係止装置
KR0134712Y1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랫치
KR970006969Y1 (ko) 자동차의 후드 래치
KR20210051160A (ko)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