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217B1 - 암레스트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암레스트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217B1
KR102419217B1 KR1020190105966A KR20190105966A KR102419217B1 KR 102419217 B1 KR102419217 B1 KR 102419217B1 KR 1020190105966 A KR1020190105966 A KR 1020190105966A KR 20190105966 A KR20190105966 A KR 20190105966A KR 102419217 B1 KR102419217 B1 KR 102419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racket
armrest
hinge bracke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582A (ko
Inventor
박동진
이태수
박철진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5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21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07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positive 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4Tor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솔박스의 바디부에 암레스트를 개폐 가능하게 장착하는 힌지 구조물에 대해 완전 열림상태에서 힌지부위의 내측부와 외측부에 대해 각각 구현되는 이중 걸림구조를 적용하여 암레스트의 개방상태에서 외력에 대해 버틸 수 있는 하중의 크기를 증대시킴으로써, 힌지 구조물의 강성 설계시 소재의 기본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강성이 우수한 원재료로 소재를 대체함에 따라 수반되는 경제적인 문제들을 전부 해소할 수 있는 암레스트 힌지구조를 개시한다.
전술한 암레스트 힌지구조는 콘솔박스의 바디부에 대해 힌지구조물을 매개로 암레스트를 선회 가능하게 하는 암레스트 힌지구조로서, 상기 힌지구조물(30)은 상기 바디부(12) 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1힌지브라켓트(130), 상기 암레스트(20) 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130)와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브라켓트(230),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130)와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230) 사이의 힌지부위에 설치되는 힌지샤프트(330), 및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130)에 대한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230)의 완전 열림상태에서 힌지부위의 내측부와 외측부에 대해 선회한계를 부여하는 이중 걸림구조물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암레스트 힌지구조{ARMREST HINGE STRUCTURE}
본 발명은 암레스트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솔박스의 바디부에 암레스트를 개폐 가능하게 장착하는 힌지 구조물에 대해 완전 열림상태에서 힌지부위의 내측부와 외측부에 대해 각각 구현되는 이중 걸림구조를 적용하여 암레스트의 개방상태에서 외력에 대해 버틸 수 있는 하중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는 암레스트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실내의 중앙부위에는 부피가 작은 용품의 수납을 위해 콘솔박스가 구비되는 데, 이러한 콘솔박스는 내부에 소정 용적의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바디부, 바디부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조립되어 내부의 수용공간을 개방 가능하게 덮어주는 암레스트, 및 바디부에 대해 암레스트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힌지 구조물을 갖추도록 구성된다.
즉, 콘솔박스는 수용공간의 개폐를 위해 바디부에 대해 암레스트가 힌지 구조물을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바디부의 내부 수용공간은 각종 물품의 수납용도로 활용될 수 있고, 암레스트의 상부면은 탑승자가 팔이나 손부위를 편하게 올려놓을 수 있는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콘솔박스의 개폐를 위한 암레스트에서는 힌지 구조물의 설계시 디자인과 열림 각도에 따라 힌지의 구조와 크기 및 형상 등의 설계 사양이 결정되어야 하는 데, 특히 힌지 구조물이 충족해야 하는 기능적 스펙 중 하나로서 암레스트를 열고 닫는 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 특정 하중에 도달하기까지 충분히 버틸 수 있는 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항목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물에 대한 적정 강성의 확보를 위해 힌지를 구성하는 소재의 두께나 폭, 형상, 및 재질 등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계하고 있다. 이 경우, 소재의 중량 및 원가의 증대없이 힌지 구조물에 대한 구조적인 강성의 증대가 가장 바람직한 것이나, 암레스트에 대한 디자인의 고려 또는 주변 부품들과의 간섭 등에 의해 원하는 바대로 제작할 수 없는 제약 요건이 수반된다.
부연하자면, 종래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물을 설계하고 제작할 때에는 강성이 우수한 소재를 채택하거나, 소재의 기본 두께를 증대시켜 필요한 강성 요건을 확보하게 되는 데, 이 경우 부품의 중량 증대와 그에 따른 원재료 비용의 상승이 수반되는 문제가 야기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10-08677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솔박스의 바디부에 암레스트를 개폐 가능하게 장착하는 힌지 구조물에 대해 완전 열림상태에서 힌지부위의 내측부와 외측부에 대해 각각 구현되는 이중 걸림구조를 적용하여 암레스트의 개방상태에서 외력에 대해 버틸 수 있는 하중의 크기를 증대시킴으로써, 힌지 구조물의 강성 설계시 소재의 기본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강성이 우수한 원재료로 소재를 대체함에 따라 수반되는 경제적인 문제들을 전부 해소할 수 있는 암레스트 힌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솔박스의 바디부에 대해 힌지구조물을 매개로 암레스트를 선회 가능하게 하는 암레스트 힌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힌지구조물은 상기 바디부 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1힌지브라켓트, 상기 암레스트 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와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브라켓트, 및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와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 사이의 힌지부위에 설치되는 힌지샤프트, 및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에 대한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의 완전 열림상태에서 힌지부위의 내측부와 외측부에 대해 각각 선회한계를 부여하는 이중 걸림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이중 걸림구조물은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에 구비되고 제1힌지아암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바디부에 대한 상기 힌지구조물의 완전 열림상태에서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의 제2힌지아암과 접촉하는 제1걸림구조물, 및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에 구비되고 제2힌지아암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바디부에 대한 상기 힌지구조물의 완전 열림상태에서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의 제1힌지아암과 접촉하는 제2걸림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걸림구조물과 상기 제2걸림구조물에 각각 결합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2힌지아암과 상기 제1힌지아암에 대한 접촉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완충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구조물은 상기 제1걸림구조물에 결합되어 상기 제2힌지아암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제1완충구조물, 및 상기 제2걸림구조물에 결합되어 상기 제1힌지아암의 외측면과 접촉하여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제2완충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힌지구조물은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에 대한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의 닫힘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리턴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턴스프링은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의 제1힌지아암과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의 제2힌지아암 사이의 힌지부위에 설치되는 상기 힌지샤프트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리턴스프링은 상기 힌지샤프트에 끼워지는 중공의 권선형 몸체부, 및 상기 권선형 몸체부의 양단부에서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의 제2힌지아암에 고정되는 삽입 조립부, 및 상기 권선형 몸체부의 중앙부위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되는 탄성조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는 상기 탄성조립부에 대한 비틀림방향 구속을 위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의 제2힌지아암은 상기 리턴스프링의 삽입 조립부와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는 상기 힌지구조물의 완전 열림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구조물과의 결합을 위한 안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힌지구조는 콘솔박스의 바디부에 대해 암레스트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힌지 구조물에 대해 복수의 걸림 구조물을 매개로 완전 열림상태에서 힌지부위의 내측부와 외측부에 대해 각각의 선회한계를 부여할 수 있는 이중 걸림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바디부의 상부에서 암레스트가 선회방식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힌지의 기능적 스펙 중 하나인 힌지 구조물의 강성 설계시 소재의 기본 두께를 증대시키거나 강성이 우수한 원재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중량의 증대에 따른 문제의 해소와 함께 원가 상승의 배제를 통한 경제성 확보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량용 콘솔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솔박스에서 힌지구조물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암레스트가 닫힘상태일 때 힌지구조물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힌지구조물의 열림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림상태의 힌지구조물을 배면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힌지구조물의 각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힌지구조는 차실내의 구비되는 콘솔박스에 구비되는 암레스트의 개폐용 힌지부위에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량용 콘솔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콘솔박스(10)의 바디부(12)는 내부의 소정의 적재공간을 구비하는 중공 형상의 몸체로서, 상부에 설치되는 힌지구조물(30)을 매개로 암레스트(20)의 일단부를 선회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솔박스에서 힌지구조물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암레스트가 닫힘상태일 때 힌지구조물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힌지구조물의 열림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림상태의 힌지구조물을 배면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힌지구조물의 각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힌지구조물(30)은 상기 콘솔박스(10)의 바디부(12) 측에 대해 부재의 일부분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1힌지브라켓트(130), 상기 암레스트(20) 측에 대해 부재의 일부분이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130)와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브라켓트(230),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130)와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230) 사이의 힌지부위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이들 사이를 축지지 하는 힌지샤프트(330), 및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130)에 대한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230)의 완전 열림상태에서 힌지부위의 내측부와 외측부에 대해 각각 선회한계를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이중 걸림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130)와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230)는 힌지샤프트(330)를 이용한 힌지 결합을 위해 각각의 부재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힌지아암(132)과 제2힌지아암(232)을 개별적으로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중 걸림구조물은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130)의 제1힌지아암(132)에서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230)의 제2힌지아암(232)의 내측면을 향해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디부(12)에 대한 상기 힌지구조물(30)의 완전 열림상태에서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230)의 제2힌지아암(232)의 내측면과 긴밀하게 접촉하여 이를 지지하는 제1걸림구조물(134), 및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230)의 제2힌지아암(232)에서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130)의 제1힌지아암(132)의 외측면을 향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디부(12)에 대한 상기 힌지구조물(30)의 완전 열림상태에서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130)의 제1힌지아암(132)의 외측면과 긴밀하게 접촉하여 이를 지지하는 제2걸림구조물(234)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제1걸림구조물(134)의 절곡방향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구조물(30)의 선회방향에 대해 대체로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2걸림구조물(234)의 절곡방향도 상기 제1걸림구조물(134)과 동일한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이중 걸림구조물은 도 3과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구조물(134)과 상기 제2걸림구조물(234)에 각각 결합되는 완충구조물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데, 상기 완충구조물은 상기 제1걸림구조물(134)에 결합되어 상기 제2힌지아암(232)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제1완충구조물(136), 및 상기 제2걸림구조물(234)에 결합되어 상기 제1힌지아암(132)의 외측면과 접촉하여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제2완충구조물(236)을 구비한다.
상기 제1,제2완충구조물(136,236)은 상기 바디부(12)에 대해 힌지구조물(30)의 완전 열림상태로의 선회 이동시 대응되는 상기 제2힌지아암(232)과 상기 제1힌지아암(132)과의 개별적인 접촉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제2완충구조물(136,236)은 유연성이 있는 완충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구조물(30)은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130)에 대한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230)의 닫힘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리턴스프링(430)을 더 포함하는 바, 상기 리턴스프링(430)은 도 2와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130)의 제1힌지아암(132)과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230)의 제2힌지아암(232) 사이의 힌지부위에 걸쳐 설치되면서 상기 힌지샤프트(330)의 외주면에 끼워져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조립된다.
이 경우, 상기 리턴스프링(4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샤프트(33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중공의 권선형 몸체부(432), 및 상기 권선형 몸체부(432)의 양단부에서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230)의 제2힌지아암(232)에 고정되어 결합되도록 절곡되는 자유단측 삽입 조립부(434), 및 상기 권선형 몸체부(432)의 중앙부위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지지되는 탄성조립부(436)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130)와 상기 리턴스프링(430) 사이의 탄력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조립부(436)에 대한 비틀림방향 구속을 위해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되는 걸림지지부(138)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130)는 도 3과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230)의 제2힌지아암(232)에 구비된 제2걸림구조물(234)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힌지구조물(30)의 완전 열림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구조물(234)에 설치된 제2완충구조물(236)에 대한 안착 지지를 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홈(139)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230)의 제2힌지아암(23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턴스프링(430)의 삽입조립부(434)와의 결합을 위해 소재를 관통하는 형태의 관통구멍(232a)을 구비한다.
이 결과, 상기 리턴스프링(430)은 상기 힌지구조물(30)의 완전 열림상태에서 상기 삽입조립부(434)가 상기 제2힌지아암(232)의 관통구멍(232a) 내에 삽입되어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조립부(436)가 상기 걸림지지부(138)에 의해 위치를 규제받음에 따라 비틀림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암레스트(20)가 닫힘방향으로 동작할 때 비틀림 회전방향으로의 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힌지구조는 도 2와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박스(10)의 바디부(12)에 대해 암레스트(20)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 힌지구조물(30)에 대해 복수의 걸림 구조물을 매개로 완전 열림상태에서 힌지부위의 내측부와 외측부에 대해 각각 선회한계를 부여할 수 있는 이중 걸림구조를 제공하여 외부 하중에 대한 지지를 두 군데의 걸림부위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바디부(12)의 상부에서 암레스트(20)가 선회방식으로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힌지의 기능적 스펙 중 하나인 힌지구조물(30)의 강성 설계시 소재의 기본 두께를 증대시키거나 강성이 우수한 별도의 원재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중량의 증대에 따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음과 더불어 원가의 상승 문제를 원천적으로 배제하는 경제성의 확보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콘솔박스(10)의 바디부(12)에 대해 암레스트(20)를 선회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는 힌지구조물(30)에 대해 완전 열림상태에서 힌지부위의 내측부와 외측부에 대해 각각 선회한계 지점을 부여할 수 있는 걸림 구조물을 마련함으로써 외력에 대해 보다 안정적인 완전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콘솔박스 12-바디부
20-암레스트 30-힌지구조물
130-제1힌지브라켓트 132-제1힌지아암
134-제1걸림구조물 136-제1완충구조물
138-걸림지지부 139-안착홈
230-제2힌지브라켓트 232-제2힌지아암
234-제2걸림구조물 236-제2완충구조물
330-힌지샤프트 430-리턴스프링
432-권선형 몸체부 434-삽입조립부
436-탄성조립부

Claims (7)

  1. 콘솔박스의 바디부에 대해 힌지구조물을 매개로 암레스트를 선회 가능하게 하는 암레스트 힌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힌지구조물은,
    상기 바디부 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1힌지브라켓트;
    상기 암레스트 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와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브라켓트;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의 제1힌지아암과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의 제2힌지아암 사이의 힌지부위에 설치되는 힌지샤프트; 및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의 제1힌지아암에 대한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의 제2힌지아암의 완전 열림상태에서 힌지부위의 내측부와 외측부에 대해 각각 선회한계를 부여하는 이중 걸림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이중 걸림구조물은,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의 제1힌지아암에서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의 제2힌지아암의 내측면을 향해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디부에 대한 상기 힌지구조물의 완전 열림상태에서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의 제2힌지아암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1걸림구조물;
    상기 제1걸림구조물에 결합되어 상기 제2힌지아암의 내측면과의 접촉을 완화시켜 주는 제1완충구조물;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의 제2힌지아암에서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의 제1힌지아암의 외측면을 향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디부에 대한 상기 힌지구조물의 완전 열림상태에서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의 제1힌지아암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2걸림구조물; 및
    상기 제2걸림구조물에 결합되어 상기 제1힌지아암의 외측면과의 접촉을 완화시켜 주는 제2완충구조물을 구비하며,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의 제1힌지아암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완충구조물에 대한 안착 지지를 위한 안착홈이 구비되어, 상기 힌지구조물의 완전 열림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구조물이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의 제2힌지아암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2걸림구조물에 결합되는 상기 제2완충구조물이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의 제1힌지아암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안착홈과 동시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구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구조물은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에 대한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의 닫힘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리턴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의 제1힌지아암과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의 제2힌지아암 사이의 힌지부위에 설치되는 상기 힌지샤프트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턴스프링은,
    상기 힌지샤프트에 끼워지는 중공의 권선형 몸체부; 및
    상기 권선형 몸체부의 양단부에서 상기 제2힌지브라켓트의 제2힌지아암에 고정되는 삽입 조립부; 및
    상기 권선형 몸체부의 중앙부위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되는 탄성조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브라켓트는 상기 탄성조립부에 대한 비틀림방향 구속을 위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구조.
  7. 삭제
KR1020190105966A 2019-08-28 2019-08-28 암레스트 힌지구조 KR102419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966A KR102419217B1 (ko) 2019-08-28 2019-08-28 암레스트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966A KR102419217B1 (ko) 2019-08-28 2019-08-28 암레스트 힌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582A KR20210027582A (ko) 2021-03-11
KR102419217B1 true KR102419217B1 (ko) 2022-07-12

Family

ID=7514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966A KR102419217B1 (ko) 2019-08-28 2019-08-28 암레스트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21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231B1 (ko) * 2006-03-21 2007-12-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KR100867707B1 (ko) 2007-11-13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힌지유닛
KR101905486B1 (ko) * 2016-10-10 2018-10-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582A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1578B1 (en) Stay for opening and closing of door
JP5364924B2 (ja) 車両のアームレストヒンジユニット
AU2015202678B2 (en) Snap hinge with damped closing
JP5342500B2 (ja) リアパーセルシェルフのヒンジ構造
JP2013117157A (ja) ヒンジアッセンブリの摩擦制御
CN205713588U (zh) 一种阻尼式汽车铰链
JP7030628B2 (ja) トランクリッド用ヒンジ組立体
KR102419217B1 (ko) 암레스트 힌지구조
US10137840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US20070199864A1 (en) Storage structure for vehicle cabin interior
US6000572A (en) Console box
CN103908190A (zh) 用于坐便器座圈的减振器锁定机构
ITMI20112012A1 (it) Dispositivo ammortizzatore per cerniere per mobili, in particolare per cerniere del tipo a ginocchiera, e cerniera per mobili, in particolare cerniera del tipo a ginocchiera,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ammortizzatore
CN109311429B (zh) 带有凹箱的运输工具座椅的靠背
CN220180638U (zh) 一种车辆
US11834883B2 (en) Actuating arm drive with spring guide
CN219339288U (zh) 杯托总成和车辆
JP6023896B2 (ja) ツイストロック
KR100844416B1 (ko) 차량용 힌지의 댐퍼 어셈블리
KR20240001772A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102032239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힌지
JP7383663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2419153B1 (ko) 차량의 콘솔 암레스트 마찰 힌지 구조
CN111406142A (zh) 具有可偏置平面涡卷弹簧的铰接件
KR101384770B1 (ko)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