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770B1 -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 Google Patents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770B1
KR101384770B1 KR1020130033764A KR20130033764A KR101384770B1 KR 101384770 B1 KR101384770 B1 KR 101384770B1 KR 1020130033764 A KR1020130033764 A KR 1020130033764A KR 20130033764 A KR20130033764 A KR 20130033764A KR 101384770 B1 KR101384770 B1 KR 101384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elastic member
mount
coupl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섭
Original Assignee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3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은 핸들, 제1마운트, 탄성부재 그리고 제2마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마운트는 핸들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핸들의 회전을 지지한다. 탄성부재는 핸들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가지며, 제1결합부를 통해 핸들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2마운트는 핸들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핸들의 회전을 지지하며, 제2마운트의 상부에는 탄성부재가 직접 마련되고, 제1결합구가 결합되는 설치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ASSIST HAND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성이 개선되고, 가격 경쟁력도 높은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석이 마련되는 차량 내부의 양측 상단의 헤드 라이닝(head lining)에는 차량이 급출발하거나, 급정차하는 경우 또는 주행 중 급선회시 등과 같은 경우에 탑승자가 손으로 잡아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어시스트 핸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어시스트 핸들은 탑승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핸들을 가지는데, 탑승자의 안전 및 편의성을 위해, 평상시에는 핸들이 접혀지고, 사용시에 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에서 마운트와 스프링을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에서는 하우징(10)에 스프링(20)이 먼저 결합되어 서브 조립체(30)를 이루고, 이렇게 조립된 서브 조립체(30)가 마운트(40)에 최종 결합된다.
여기서, 하우징(10)의 일측면에는 결합키(11)가 형성되며, 결합키(11)는 마운트(40)에 형성된 키홈(41)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하우징(10)은 마운트(4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핸들이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20)이 꼬이면서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스프링(20)과 하우징(10)이 결합된 서브 조립체(30)를 먼저 조립하고, 이렇게 조립된 서브 조립체(30)를 마운트(40)에 최종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 시간이 오래 걸렸다. 또한, 서브 조립체(30)를 마운트(40)에 최종 결합하는 최종 조립시에는, 하우징(10)의 결합키(11)를 마운트(40)의 키홈(41)에 결합할 때, 스프링(20)의 꼬임 상태를 고려하여 조립하여야 하였다. 즉, 마운트(40)에 서브 조립체(30)가 최종 결합된 상태에서, 스프링(20)은 핸들(미도시)이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켜야 하기 때문에, 최종 조립 시에는, 결합키(11)와 키홈(41)의 결합 방향을 고려함과 함께, 스프링(20)이 한 번 더 꼬이도록 하는 작업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조립 시간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공정 효율이 낮아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부품 수가 많기 때문에 원가 절감의 측면에서도 부정적일 수밖에 없어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데 한계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립성이 개선되고, 가격 경쟁력도 높은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핸들; 상기 핸들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마운트; 상기 핸들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를 통해 상기 핸들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핸들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마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마운트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직접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부가 결합되는 설치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수평 방향으로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며, 내측으로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부는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설치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핸들이 회전 시,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핸들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슬릿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탄성부재가 축 방향으로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가 유입되도록 일단부는 외측으로 개방되고, 유입된 제1결합부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1안내부와, 상기 제1안내부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축 방향으로 수축됨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가 수평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2안내부와, 상기 제2안내부와 연결되고, 상기 핸들이 회전 시, 상기 핸들에 결합된 상기 제1결합부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3안내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부 및 상기 제3안내부의 연결 지점에는 상기 제3안내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제2안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마운트에 설치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설치부에 탄성부재가 직접 조립되기 때문에, 부품 수가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의 제2결합부를 삽입홈에 삽입 고정한 후, 제1결합부를 슬릿에 결합 시에, 설치부가 탄성부재의 하측 및 양측을 감싸 지지하기 때문에, 별도의 조립 지그가 없이도 제1결합부를 슬릿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를 제1안내부에 삽입하면, 탄성부재가 수축하면서 제1결합부가 자동적으로 걸림홈에 위치되기 때문에, 탄성부재의 조립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성도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에서 마운트와 스프링을 중심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의 제2마운트와 스프링을 중심으로 나타낸 결합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의 제2마운트와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의 제2마운트와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은 핸들(100), 제1마운트(300), 탄성부재(500) 그리고 제2마운트(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핸들(20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 핸들(200)의 일단부에는 제1연결부(210)가 형성되고, 핸들(200)의 타단부에는 제2연결부(220)가 형성되며, 제1연결부(210) 및 제2연결부(220)에는 결합공(230)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제1마운트(300) 및 제2마운트(400)는 결합공(23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310,410)이 형성된 지지부(320,420)를 가지며, 결합공(230) 및 관통공(310,410)으로는 핀(600)이 각각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핀(600)에 의해 제1마운트(300)는 제1연결부(210)에 힌지 결합되고, 제2마운트(400)는 제2연결부(220)에 힌지 결합된다. 제1마운트(300) 및 제2마운트(400)는 차량의 헤드 라이닝(미도시)에 결합되어 핸들(200)의 회전을 지지하게 되며, 핸들(200)은 제1마운트(300) 및 제2마운트(400)의 핀(60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2마운트(400)에는 탄성부재(500)가 마련된다. 탄성부재(500)는 제2마운트(400)에 형성되는 설치부(450)에 직접 마련되며, 설치부(450)는 제2마운트(4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450)에 마련된 탄성부재(500)의 일단부는 핸들(200)의 제2연결부(220)에 결합되고, 탄성부재(500)의 타단부는 제2마운트(400)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핸들(200)이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설치되며, 따라서, 핸들(200)의 제2연결부(220)에 결합된 탄성부재(500)의 일단부는 핸들(200)이 일방향으로, 즉, 핸들(200)이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처럼, 탄성부재(500)는 별도의 다른 부품과의 결합 없이 단독으로 제2마운트(400)에 구비될 수 있어 부품 수가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부품 수의 감소는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마운트(400)의 설치부(450)는 탄성부재(500)가 별도의 다른 부품과의 결합 없이도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조립성도 개선될 수 있다.
제1마운트(300) 및 제2마운트(400)에는 커버(7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마운트(300) 및 제2마운트(400)의 내측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의 제2마운트와 스프링을 중심으로 나타낸 결합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의 제2마운트와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의 제2마운트와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마운트(400)에는 설치부(450)가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450)는 지지부(42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부(450)는 제2마운트(4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설치부(450)의 강도 향상을 위해서, 설치부(450)는 지지부(4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설치부(450)의 내측에는 탄성부재(500)가 직접 구비될 수 있으며, 설치부(450)는 탄성부재(50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450)의 내측면, 보다 자세하게는, 탄성부재(500)가 안착되는 설치부(450)의 바닥면 및 측면은 탄성부재(500)의 외측 지름에 대응되는 내측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부(450)는 탄성부재(500)의 하측 및 양측을 밀착 지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탄성부재(500)는 변형, 특히, 수평 방향으로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는, 핸들(200)의 회전 시에 탄성부재(500)의 틀어짐을 최소화하여 탄성부재(500)의 탄성력이 안정적으로 발생되도록 도울 수 있으며, 설치부(450)에 탄성부재(500)가 보다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설치부(450)의 상부는 탄성부재(500)가 삽입 가능하도록 개방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500)는 설치부(45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설치부(450)로 삽입되거나, 설치부(450)에서 탈거될 수 있다.
한편, 설치부(450)의 일측면에는 슬릿(46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슬릿(460)은 탄성부재(500)의 제1결합부(510)가 설치부(45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슬릿(460)은 제1결합부(51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핸들(200)이 회전 시, 핸들(200)과 연동하여 탄성부재(500)의 제1결합부(510)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설치부(450)에 안착된 탄성부재(500)의 제2결합부(520)는 제2마운트(4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삽입홈(43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슬릿(460)은 제1안내부(461), 제2안내부(462) 및 제3안내부(463)를 가질 수 있다.
제1안내부(461)는 설치부(450)의 일측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안내부(461)의 일단부는 설치부(450)의 일측면 상부를 통해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안내부(461)는 탄성부재(500)의 초기 길이, 즉, 탄성부재(500)가 인장 또는 수축되지 않는 상태일 때의 길이보다 먼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500)의 제2결합부(520)가 삽입홈(430)에 삽입 결합된 후에는, 제1결합부(510)는 탄성부재(500)가 축 방향으로 인장된 상태에서만 제1안내부(461)에 유입될 수 있다. 제1안내부(461)로 유입된 제1결합부(510)는 제1안내부(461)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안내부(462)는 제1안내부(461)와 연결되고, 탄성부재(500)의 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500)의 초기 길이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안내부(461)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동된 제1결합부(510)가 제1안내부(461)의 일단부에 도달하면, 제1결합부(510)에 대한 구속력이 제거되어 탄성부재(500)는 축 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500)가 축 방향으로 수축됨에 따라 제1결합부(510)는 제2안내부(462)를 따라 수평 이동하게 되고, 탄성부재(500)가 초기 길이로 되면서 제1결합부(510)도 이동 없이 안정적인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렇게 위치된 제1결합부(510)는, 제1결합부(510)에 특정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제2안내부(462) 및 제1안내부(461)를 거쳐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제2안내부(462)에 위치된 제1결합부(510)는 핸들(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3안내부(463)는 제2안내부(462)와 연결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부(510)는 핸들(200)이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제3안내부(463)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안내부(462) 및 제3안내부(463)의 연결 지점에 위치된 제1결합부(510)와 연결된 핸들(200)은 접힌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핸들(200)이 펴지도록 회전하게 되면, 핸들(200)과 함께 제1결합부(510)는 제3안내부(463)를 따라 하향(시계 방향)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탄성부재(500)에는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이 발생하므로, 핸들(200)이 초기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기 위한 회전력, 즉, 핸들(200)이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력이 제공되게 된다. 따라서, 핸들(20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예를 들면, 사용자가 핸들(200)을 놓게 되면, 탄성부재(5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결합부(510)는 제3안내부(463)를 따라 상향(반시계 방향) 이동하게 되고, 핸들(200)은 회전하여 접히게 된다.
한편, 제2안내부(462) 및 제3안내부(463)의 연결 지점에는 제3안내부(463)의 길이 방향으로 걸림홈(465)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핸들(2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 탄성부재(5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결합부(510)는 걸림홈(465)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결합부(510)가 제2안내부(462)로 이동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510)가 걸림홈(465)에 걸려 고정되기 때문에, 탄성부재(500)가 강한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상태로 조립되더라도, 제1결합부(510)가 제2안내부(462)로 유입되어 제1안내부(461)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탄성부재(500)가 분리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처럼, 제2마운트(400)에 설치부(450)가 일체로 형성되고, 설치부(450)에 탄성부재(500)가 직접 조립되기 때문에, 종래의 어시스트 핸들에서와 같이 스프링과 마운트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하우징이 불필요하여 부품 수가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500)의 제2결합부(520)를 삽입홈(430)에 삽입 고정한 후, 제1결합부(510)를 슬릿(460)에 결합 시에, 설치부(450)가 탄성부재(500)의 하측 및 양측을 감싸 지지하기 때문에 별도의 조립용 지그(jig)가 없이도 제1결합부(510)를 슬릿(460)에 삽입하는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510)를 제1안내부(461)에 삽입하면, 탄성부재(500)가 수축하면서 제1결합부(510)가 자동적으로 걸림홈(465)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500)의 조립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성도 개선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200: 핸들
300: 제1마운트
400: 제2마운트
450: 설치부
460: 슬릿
461: 제1안내부
462: 제2안내부
463: 제3안내부
465: 걸림홈
500: 탄성부재

Claims (5)

  1. 핸들;
    상기 핸들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마운트;
    상기 핸들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를 통해 상기 핸들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핸들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마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마운트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직접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부가 결합되는 설치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설치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핸들이 회전 시,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핸들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슬릿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탄성부재가 축 방향으로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가 유입되도록 일단부는 외측으로 개방되고, 유입된 상기 제1결합부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1안내부와,
    상기 제1안내부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축 방향으로 수축됨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가 수평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2안내부와,
    상기 제2안내부와 연결되고, 상기 핸들이 회전 시, 상기 핸들에 결합된 상기 제1결합부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3안내부를 가지는 것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수평 방향으로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며, 내측으로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부는 개방 형성되는 것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부 및 상기 제3안내부의 연결 지점에는, 상기 제3안내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제2안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KR1020130033764A 2013-03-28 2013-03-28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KR101384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764A KR101384770B1 (ko) 2013-03-28 2013-03-28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764A KR101384770B1 (ko) 2013-03-28 2013-03-28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770B1 true KR101384770B1 (ko) 2014-04-14

Family

ID=5065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764A KR101384770B1 (ko) 2013-03-28 2013-03-28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7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817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2974B2 (ja) * 2001-12-14 2005-11-02 西川化成株式会社 格納式アシストグリッ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2974B2 (ja) * 2001-12-14 2005-11-02 西川化成株式会社 格納式アシストグリ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817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KR102136534B1 (ko) * 2018-08-09 2020-07-2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503092B (en) Child safety seat
JP5969754B2 (ja) 可動部材の組付け構造
JP5019662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2009296697A (ja) 保持部材および分岐プロテクタ
WO2012137808A1 (ja) アクチュエータ
JP5224404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KR101648503B1 (ko)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장치
KR101384770B1 (ko)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JP5330965B2 (ja) 回動体の制動構造
JP2015201982A (ja) ケーブルクランプ
JP6754256B2 (ja) ヒンジ
JP6020927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JP2008221873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2005014685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668406B1 (ko)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KR20120083537A (ko) 랙바의 지지구조체
JP2010083241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KR101517530B1 (ko)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JP2006256492A (ja) ロールコネクタ
JP7206877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構造
KR100888173B1 (ko)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CN210390869U (zh) 一种汽车车厢内的配件插孔盒
KR20220040031A (ko)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힌지 장치
KR20170090191A (ko)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장치
KR100405490B1 (ko) 접이식 자동차용 실내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