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817A -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817A
KR20200017817A KR1020180093210A KR20180093210A KR20200017817A KR 20200017817 A KR20200017817 A KR 20200017817A KR 1020180093210 A KR1020180093210 A KR 1020180093210A KR 20180093210 A KR20180093210 A KR 20180093210A KR 20200017817 A KR20200017817 A KR 20200017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andle unit
auxiliary handle
handl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6534B1 (ko
Inventor
곽영호
이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80093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5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은 차실 내부에서,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양측 천정부에 구성되는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에 있어서, 천정부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루프레일의 양 단부에 고정되는 보강 브라켓, 상기 보강 브라켓의 일체로 연장된 힌지부 상의 관통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부재, 및 상기 손잡이부재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재와 상기 힌지부 사이에 구성되는 리턴부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ASSIST HANDLE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보조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종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보조 손잡이는 차량 주행 중, 탑승자가 신체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차량의 사이드 도어 위쪽 트림에 부착되는 루프 보조 손잡이와, 뒷좌석의 승객을 위하여 프런트 시트 뒷면에 부착되는 시트 백 보조 손잡이가 있다.
즉, 차량 내부의 조수석 및 리어 시트의 측면 상부 적소에는 주행 중, 돌발적인 상황이나 급작스런 차량 조작 시, 탑승자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손으로 잡아 지지하게 되는 보조 손잡이가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보조 손잡이는 단순히 손잡이부의 양단을 차량 천정부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 설치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보조 손잡이는 손잡이부가 차량 내측으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탑승자의 안전을 해칠 수도 있고, 또한 차량의 내부 공간을 잠식함으로써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보조 손잡이는 차량이 RV(Recreational Vehicle), SUV(Sport Utility vehicle), ?? 승합차 등일 경우, 차체 길이방향으로 측면 상부에만 장착되어 중간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가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실 내부의 천정부에서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차체 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차종에 상관없이 공용화가 가능한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미사용 시, 손잡이부재가 상측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차실 공간 확보가 용이하면서도, 필요 시,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행거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용성이 뛰어난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실 내부에서,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양측 천정부에 구성되는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에 있어서, 천정부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루프레일의 양 단부에 고정되는 보강 브라켓, 상기 보강 브라켓의 일체로 연장된 힌지부 상의 관통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부재, 및 상기 손잡이부재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재와 상기 힌지부 사이에 구성되는 상기 리턴부재을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루프레일의 양 단부에서, 상기 루프레일과 사이드 아웃터 패널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차체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일측 모서리에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 상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재는 상기 힌지부를 통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보강 브라켓에 대응하는 측면 내부에 스프링홈이 형성된 상태로, 전후방향의 마주보는 둘레면 일측에 상기 스프링홈과 연결되는 제1 스프링홀이 형성되는 양측 스프링 홀더, 및 상기 스프링 홀더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 홀더의 차고방향의 일측 둘레면에 장착되고, 작동 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손잡이 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봉은 상기 루프레일의 횡방향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턴부재는 상기 스프링홈에 장착된 상태로,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스프링홀에 끼워지고, 타측 단부가 상기 보강 브라켓의 힌지부 상에 형성된 제2 스프링홀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봉은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재는 외면을 감싸는 외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피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실 내부의 천정부에서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차체 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차종에 상관없이 공용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미사용 시, 손잡이부재가 상측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차실 공간 확보가 용이하면서도, 필요 시,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행거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용성이 뛰어난 장점도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의 적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의 결합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의 결합부분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의 적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의 결합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의 결합부분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의 설명에 앞서, 차량의 전,후방 측을 차체 길이방향으로 정의하고, 상,하부 측을 차고방향으로 정의하며, 좌,우 측을 차폭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은 차량의 주행 중, 탑승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운전석을 제외한 나머지 시트열의 개수에 대응하여 차폭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은 2열시트의 차량에서는 운전석을 제외한 나머지 하나의 열에 대하여 한 개 설치될 수 있고, 3열 시트의 차량에서는 운전석을 제외한 나머지 두개의 열에 대하여 각각 한 개씩, 총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은 차실 내부에서, 루프패널(미도시)을 통해 장착되는 박스형상의 상부 레일(미도시)과 하부 레일(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의 차실 내부 측에는 마감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루프패널에는 차폭방향으로 배치된 루프레일(1)이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루프레일(1)은 강성 보강을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루프레일(1)은 상기 루프패널의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루프패널의 횡방향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천정부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은 보강 브라켓(10), 손잡이부재(20), 리턴부재(30)를 포함하여 차실 내부에서,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양측 천정부에 구성된다.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 브라켓(10)은 상기 루프레일(1)의 양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보강 브라켓(10)은 상기 루프레일(1)을 따라 차폭방향을 향하여 설치되어 사이드 아웃터 패널(미도시)와 연결된다.
즉, 상기 보강 브라켓(10)은 상기 루프레일(1)과 사이드 아웃터 패널의 단면을 연결하여 결합 강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보강 브라켓(10)은 차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1)의 일측 모서리에는 평평하게 형성된 힌지부(13)가 형성된다.
이러한 힌지부(13)의 중앙에는 관통홀(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 브라켓(10)에는 상기 관통홀(15)의 인접한 일측에 제2 스프링홀(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재(20)는 상기 힌지부(13)에 안착되어 상기 관통홀(1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손잡이부재(20)는 스프링 홀더(21)와 손잡이 봉(27)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홀더(21)는 상기 힌지부(13)를 통해 힌지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 홀더(21)는 보강 브라켓(10)에 대응하는 측면 내부에 스프링홈(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홀더(21)는 전후방향의 마주보는 둘레면 일측에 상기 스프링홈(23)과 연결되는 제1 스프링홀(2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스프링홀(25)은 상기 스프링 홀더(21)의 마주보는 둘레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재(20)의 설치 방향에 상관없이, 이하에서 설명할 리턴부재(30)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 봉(27)은 양측 상기 스프링 홀더(21)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 홀더(21)의 차고방향의 일측 둘레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손잡이 봉(27)은 상기 루프레일(1)과 마찬가지로 상기 루프패널의 횡방향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 봉(27)은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손잡이 봉(27)은 탑승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손잡이부재(20)는 외피(미도시)가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피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리턴부재(30)는 상기 손잡이부재(20)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재(20)와 상기 보강 브라켓(10)의 힌지부(13) 사이에 구성된다.
상기 리턴부재(30)는 상기 스프링 홀더(21)의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홈(23)에 끼워진다.
이러한 리턴부재(3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스프링 홀더(21)에 형성된 제1 스프링홀(25)에 끼워지고, 타측 단부가 상기 연장부(11)에 형성된 제2 스프링홀(17)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로, 회전 후, 조작력을 제거하면 상기 손잡이부재(20)를 초기 위치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리턴부재(30)는 턴 오버 스프링(turn over spring)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은 상기 루프레일(1)의 전방에 손잡이부재(20)가 위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루프레일(1)과 손잡이부재(20)의 장착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은 작동 시, 즉, 탑승자가 파지한 상태로 회전 시, 상기 보강 브라켓(10)에 대하여 힌지 결합된 스프링 홀더(21)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 봉(27)이 상기 탑승자 측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어서, 상기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은 탑승자의 조작력이 제거되면, 상기 리턴부재(30)에 의해 손잡이부재(20)가 원위치로 복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은 차실 내부의 천정부에서,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차종에 상관없이 공용화가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은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차체 강성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은 미사용 시, 상기 손잡이 봉(27)이 상측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차실 공간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은 필요 시,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행거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용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루프레일
10: 보강 브라켓
11: 연장부
13: 힌지부
15: 관통홀
17: 제2 스프링홀
20: 손잡이부재
21: 스프링 홀더
23: 스프링홈
25: 제1 스프링홀
27: 손잡이 봉
30: 리턴부재

Claims (8)

  1. 차실 내부에서,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양측 천정부에 구성되는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에 있어서,
    천정부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루프레일의 양 단부에 고정되는 보강 브라켓;
    상기 보강 브라켓의 일체로 연장된 힌지부 상의 관통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부재; 및
    상기 손잡이부재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재와 상기 힌지부 사이에 구성되는 리턴부재;
    을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루프레일의 양 단부에서, 상기 루프레일과 사이드 아웃터 패널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차체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일측 모서리에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 상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는
    상기 힌지부를 통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보강 브라켓에 대응하는 측면 내부에 스프링홈이 형성된 상태로, 전후방향의 마주보는 둘레면 일측에 상기 스프링홈과 연결되는 제1 스프링홀이 형성되는 양측 스프링 홀더; 및
    상기 스프링 홀더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 홀더의 차고방향의 일측 둘레면에 장착되고, 작동 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손잡이 봉;
    을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봉은
    상기 루프레일의 횡방향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재는
    상기 스프링홈에 장착된 상태로,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스프링홀에 끼워지고, 타측 단부가 상기 보강 브라켓의 힌지부 상에 형성된 제2 스프링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봉은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는
    외면을 감싸는 외피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KR1020180093210A 2018-08-09 2018-08-09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KR102136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210A KR102136534B1 (ko) 2018-08-09 2018-08-09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210A KR102136534B1 (ko) 2018-08-09 2018-08-09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817A true KR20200017817A (ko) 2020-02-19
KR102136534B1 KR102136534B1 (ko) 2020-07-22

Family

ID=6967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210A KR102136534B1 (ko) 2018-08-09 2018-08-09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5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5625A (ja) * 2006-06-06 2007-12-20 Sgg Kenkyusho:Kk ゴルフカー
KR20120059890A (ko) * 2010-12-01 2012-06-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구조
KR101384770B1 (ko) * 2013-03-28 2014-04-14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5625A (ja) * 2006-06-06 2007-12-20 Sgg Kenkyusho:Kk ゴルフカー
KR20120059890A (ko) * 2010-12-01 2012-06-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구조
KR101384770B1 (ko) * 2013-03-28 2014-04-14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534B1 (ko)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1872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rear pillar of automobiles
US11648831B2 (en) Vehicle convertible top systems
US20130229026A1 (en) Decklid assembly for a vehicle
US9376080B1 (en) Vehicle interior trim panel
EP1073567B1 (en) Protective arrangement
KR102136534B1 (ko) 차량용 보조 손잡이 유닛
JP4703711B2 (ja) 自動車用フロアボード構造
WO2016152793A1 (ja) ステアリング支持部材構造
JP2001158300A (ja) シャトルコンソール機構
PT1738992E (pt) Elemento de carroçaria para a cobertura de um arco de bandeira e veículo automóvel que comporta tais elementos de carroçaria
JP5104371B2 (ja) 自動車の側部構造
JP4624225B2 (ja) サンシェード
JP4296942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の取付構造
US2614628A (en) Vehicle windshield visor
JP4918791B2 (ja) 車両の上部車体構造
JPH0341952Y2 (ko)
JP5921281B2 (ja) 車両のヘッドレスト取付け構造
KR100534938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시트백 마운팅구조
JP6359505B2 (ja) 車両用キャリア
KR100488794B1 (ko) 화물차량의 캐빈 틸팅장치
US1923466A (en) Vehicle body
WO2019229832A1 (ja) 自動車用ラゲッジボード装置
JP2020050242A (ja) ラゲージマット
KR20190142048A (ko) 차량용 스위블 시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2010105500A (ja) サイドバイザーを有する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