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728B1 - 자동차용 아암 레스트의 유동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아암 레스트의 유동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728B1
KR100867728B1 KR1020050119212A KR20050119212A KR100867728B1 KR 100867728 B1 KR100867728 B1 KR 100867728B1 KR 1020050119212 A KR1020050119212 A KR 1020050119212A KR 20050119212 A KR20050119212 A KR 20050119212A KR 100867728 B1 KR100867728 B1 KR 100867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arm rest
guide groove
hinge shaft
tor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0193A (ko
Inventor
이두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9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728B1/ko
Publication of KR20070060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 측면에 설치된 아암 레스트의 오픈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되는 현상을 단순한 구조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아암 레스트의 오픈시 노이즈가 발생되는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아암 레스트의 유동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아암 레스트에 결합되는 제 1 고정 브라켓(10)과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2 고정 브라켓(20)이 힌지축(30)에 의해 상호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축(30)에는 순차적으로 중공의 지지봉(40)과 토션 스프링(50)이 삽입되며, 상기 힌지축(30)의 양단에는 각각 힌지 와셔(80)와 고정 와셔(70)가 설치되어 상기 제 1,2 고정 브라켓(10)(20)을 상호 힌지결합시키기 위한 아암 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30)의 일단에 설치되는 힌지 와셔(80)에 가이드홈(82)이 형성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50)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홈(82)을 따라 이동하는 스프링캡(52)이 삽입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 아암 레스트, 힌지 와셔, 가이드홈, 스프링캡

Description

자동차용 아암 레스트의 유동 방지구조{Armrest shaking interruption structure for car}
도 1은 종래의 아암 레스트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고정 브라켓 20 ; 제 2 고정 브라켓
30 ; 힌지축 40 ; 지지봉
50 ; 토션 스프링 52 ; 스프링캡
60,80 ; 힌지 와셔 70 ; 고정 와셔
82 ; 가이드홈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아암 레스트의 유동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시트 측면에 설치된 아암 레스트의 오픈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되는 현상을 단순한 구조에 의해서 방지할 수 있으며, 아암 레스트의 오픈시 노이즈가 발생되는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 측면에는 아암 레스트가 설치되어 있는 데, 이러한 아암 레스트는 탑승자의 팔을 보다 편안하게 유지하여 주기 위하여 약 70~80㎝ 정도의 전후 길이와 약 8㎝의 좌우 폭을 갖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좌우 폭 및 전후 길이를 갖는 아암 레스트의 설계시에는 차량의 내부 공간차지 정도, 콘솔 박스 및 커버의 크기, 작동시 간섭 발생 여부 등을 고려해야 한다.
종래의 아암 레스트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 레스트에 결합되는 제 1 고정 브라켓(10)과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2 고정 브라켓(20)이 힌지축(30)에 의해 상호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축(30)에는 순차적으로 중공의 지지봉(40)과 토션 스프링(50)이 삽입되며, 상기 힌지축(30)의 양단에는 각각 힌지 와셔(60)와 고정 와셔(70)가 설치되어 상기 제 1,2 고정 브라켓(10)(20)을 상호 힌지결합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아암 레스트 장치는 유동을 잡아주기 위한 장치나 구조 등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아암 레스트의 오픈시(풀 오픈시)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고, 아암 레스트의 오픈 상태에서도 유동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며, 또한 상기 아암 레스트의 오픈 상태에서 차량의 움직임이 있을 경우 탑승자가 원하지 않게 닫혀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차량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시트 측면에 설치된 아암 레스트의 오픈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되는 현상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암 레스트의 오픈시 노이즈가 발생되는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아암 레스트의 유동 방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암 레스트에 결합되는 제 1 고정 브라켓과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2 고정 브라켓이 힌지축에 의해 상호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에는 순차적으로 중공의 지지봉과 토션 스프링이 삽입되며, 상기 힌지축의 양단에는 각각 힌지 와셔와 고정 와셔가 설치되어 상기 제 1,2 고정 브라켓을 상호 힌지결합시키기 위한 아암 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일단에 설치되는 힌지 와셔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스프링캡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암 레스트의 유동 방지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아암 레스트의 유동 방지구조는 아암 레스트에 결합되는 제 1 고정 브라켓(10)과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2 고정 브라켓(20)이 힌지축(30)에 의해 상호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축(30)에는 순차적으로 중공의 지지봉(40)과 토션 스프링(50)이 삽입되며, 상기 힌지축(30)의 양단에는 각각 힌지 와셔(80)와 고정 와셔(70)가 설치되어 상기 제 1,2 고정 브라켓(10)(20)을 상호 힌지결합시키기 위한 아암 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30)의 일단에 설치되는 힌지 와셔(80)에 가이드홈(82)이 형성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50)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홈(82)을 따라 이동하는 스프링캡(52)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 와셔(80)에 형성하는 가이드홈(82)은 힌지축(30)을 중심점으로 하여 대략 호형상을 그리도록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82)의 끝단부에 걸림턱(83)에 의한 걸림요홈(84)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시트 측면에 설치된 아암 레스트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힌지축(30)의 일단에 설치되는 힌지 와셔(80)에 가이드홈(82)이 형성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50)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홈(82)을 따라 이동하는 스프링캡(52)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아암 레스트 놉(도시는 생략함)의 랫치가 해제되어 토션 스프링(50)의 회동 탄성에 의해 아암 레스트가 회동하여 열리기 시작하면, 스프링캡(52)이 A의 위치에서 토션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홈(82)을 따라 걸림턱(83) 위치(B의 위치)까지 1차 이동하여 1차 개방되며, 그 상태에서 아암 레스트를 풀 오픈(완전 개방) 시키기 위해서 부드러운 손 동작으로 인위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걸림턱(83) 위치에 있던 스프링캡(52)이 걸림턱(83)을 타고 넘어가 걸림요홈(84) 위치(C의 위치)까지 2차 이동하여 풀 오픈되며, 이때 스프링캡(52)은 걸림요홈(84)에 걸려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캡(52)이 B의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가이드홈(82)의 걸림턱(83)에 의해 아암 레스트의 풀 오픈을 방지하므로써 아암 레스트의 오픈시 노이즈가 발생되는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삭제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캡(52)이 B의 위치에 있을 때는 부드러운 손동작으로 아암 레스트를 풀 오픈시킬 수 있는 데, 이는 상기 힌지 와셔(80)의 가이드홈(82)을 따라 상기 스프링캡(52)이 B의 위치에서 C의 위치까지 짧은 간극으로 부드럽게 이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캡(52)이 B,C 위치의 간극 사이에서만 짧게 유동하게 되므로 차량의 감성 품질이 향상되며, 고급감이 살아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아암 레스트가 풀 오픈(완전 개방)된 상태에서는 스프링캡(52)이 걸림요홈(84)에 갇혀 걸림턱(83)에 의해 지지되어지기 때문에 차량의 급출발, 급정거 등의 어떠한 경우에도 인위적인 이탈 조작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다시 닫히지 않게 되므로 인해 아암 레스트의 유동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 측면에 설치된 아암 레스트의 오픈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되는 현상을 단순한 구조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아암 레스트의 오픈시 노이즈가 발생되는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어서 차량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인해 자동차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아암 레스트에 결합되는 제 1 고정 브라켓(10)과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2 고정 브라켓(20)이 힌지축(30)에 의해 상호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축(30)에는 순차적으로 중공의 지지봉(40)과 토션 스프링(50)이 삽입되며, 상기 힌지축(30)의 양단에는 각각 힌지 와셔(80)와 고정 와셔(70)가 설치되어 상기 제 1,2 고정 브라켓(10)(20)을 상호 힌지결합시키기 위한 아암 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30)의 일단에 설치되는 힌지 와셔(80)에 가이드홈(82)이 형성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50)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홈(82)을 따라 이동하는 스프링캡(52)이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홈(82)은 힌지축(30)을 중심점으로 하여 호형상을 그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82)의 끝단부에 걸림턱(83)에 의한 걸림요홈(84)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캡(52)이 토션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홈(82)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걸림턱(83)에 걸려 걸림턱(83) 위치까지 1차 이동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인위적인 힘에 의해 걸림턱(83) 위치에 있던 스프링캡(52)이 걸림턱(83)을 타고 넘어가 걸림요홈(84) 위치까지 2차 이동하여 완전 개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암 레스트의 유동 방지구조.
KR1020050119212A 2005-12-08 2005-12-08 자동차용 아암 레스트의 유동 방지구조 KR100867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212A KR100867728B1 (ko) 2005-12-08 2005-12-08 자동차용 아암 레스트의 유동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212A KR100867728B1 (ko) 2005-12-08 2005-12-08 자동차용 아암 레스트의 유동 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193A KR20070060193A (ko) 2007-06-13
KR100867728B1 true KR100867728B1 (ko) 2008-11-10

Family

ID=38356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212A KR100867728B1 (ko) 2005-12-08 2005-12-08 자동차용 아암 레스트의 유동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45B1 (ko) * 2007-10-22 2009-02-1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구조
US7850236B2 (en) 2008-01-17 2010-12-14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Rotatable armrest assembly
KR20100042035A (ko) * 2008-10-15 2010-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암레스트 힌지유닛
DE102009013461B4 (de) * 2009-03-18 2011-07-28 F.S. Fehrer Automotive GmbH, 97318 Armlehne zur Anordnung an einem Sitz oder einer Sitzbank
KR101517144B1 (ko) * 2014-07-17 2015-05-06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
KR101533933B1 (ko) * 2014-07-22 2015-07-03 김명곤 암레스트용 힌지장치
KR101652772B1 (ko) * 2015-04-22 2016-09-01 대주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암레스트 힌지구조
US11135956B2 (en) 2019-08-22 2021-10-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nsole assembly with hing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51A (ko) * 1998-06-19 2000-01-15 박재범 자동차용 리어 와이퍼 및 와셔 스위치와 그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51A (ko) * 1998-06-19 2000-01-15 박재범 자동차용 리어 와이퍼 및 와셔 스위치와 그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193A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728B1 (ko) 자동차용 아암 레스트의 유동 방지구조
KR101163450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KR100785231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EP1810874B1 (en) Vehicle seats
US20060132007A1 (en) Storage bin assembly
JP2001180279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100805476B1 (ko) 자동차의 리어암레스트용 스위치커버 개폐구조
JP6629049B2 (ja) 車両用シェード装置
JP4808200B2 (ja) 戸の緩衝装置および戸構造
KR100802925B1 (ko) 차량용 도어 핸들 장치
KR100987904B1 (ko)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
KR100841801B1 (ko) 슬라이딩도어용 완충장치
KR20150011124A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00946481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핸들
JP2008162382A (ja) スライドドア装置
KR100412439B1 (ko) 듀얼 댐퍼를 갖는 힌지 구조
JP2011084903A (ja) シャッタ
JP2018127776A (ja) 引き戸用クローザ
KR20050037128A (ko) 슬라이드 도어의 홀드 오픈 록장치
KR100893078B1 (ko) 차량용 더블 폴딩 시트의 폴딩장치
KR100828600B1 (ko) 차량용 선바이저의 시야 확보 장치
JP2012240576A (ja) 遮光装置
JP2002264657A (ja) リトラクタブルルーフ
JP4848927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20070059376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012

Effective date: 2008080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