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8674A - 복합분체 및 이를 배합시킨 피부외용제 - Google Patents

복합분체 및 이를 배합시킨 피부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8674A
KR20100028674A KR1020107004153A KR20107004153A KR20100028674A KR 20100028674 A KR20100028674 A KR 20100028674A KR 1020107004153 A KR1020107004153 A KR 1020107004153A KR 20107004153 A KR20107004153 A KR 20107004153A KR 20100028674 A KR20100028674 A KR 20100028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zinc oxide
site
powder
composit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노부 요시카와
겐이치 사쿠마
가츠키 오가와
사토시 도모마사
에리코 가와이
히로유키 요코야마
유키미츠 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00028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9Urokinase;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4Specific forms not provided for by any of groups A61K8/0208 - A61K8/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12By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분체는 특정효소를 흡인 또는 흡착하는 흡착부위와, 상기 효소의 저해 또는 활성화 특성을 갖는 작용부위가 각각 표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분체에서, 사용하는 pH에 있어서 흡착부위의 ζ전위가 음의 값이고, ζ전위가 양의 값인 특정효소를 흡인 또는 흡착하고, 저해 또는 활성화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상기 흡착부위는 pH 7.5에서 ζ전위가 -10mV 이하의 부위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복합분체에 있어서, 특정효소는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이고, 상기 작용부위는 플라스미노겐활성제 저해작용을 갖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복합분체는 피부 거칠음 개선제 및 민감성 피부 손질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피부 거칠음 개선용 피부외용제 또는 민감성 피부용 피부외용제는 상기 복합분체를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분체 및 이를 배합시킨 피부외용제{COMPOSITE POWDERS AND SKIN PREPARATIONS FOR EXTERNAL USE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분체 및 이를 배합시킨 피부외용제, 특히 생체에 대한 기능성을 갖는 분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부질환이나 피부 거칠음, 여드름 등에 대해 개선·예방효과를 갖는 것으로서 다양한 치료약, 피부외용제, 화장료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종래의 약제나 화장료 등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는 소염제나 항염증 작용을 갖고 있는 동식물의 추출엑기스, 또는 보습·보수(保水)작용이 높은 아미노산이나 다당, 지질, 천연고분자 등이 피부(환부)의 염증이나 각질층의 수분 소실을 방지하는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용되어 왔다.
한편, 예를 들면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중증 여드름피부 등, 병적 피부염인 경우는 물론, 병적이라 할 수 없지만, 환경변화에 과민한 반응을 나타내는 소위 민감성 피부도 문제가 되고 있다. 이들 피부는 염증이나 장벽(barrier)기능의 저하를 수반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각종 성분에 대해 과민증상이나 자극감 등이 나오는 경우가 있어 특히 신중한 유효성분의 선택이 요구된다.
그러나, 피부 거칠음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유효성분으로 종래 검토되어 온 약제는 피부에 대한 침투성을 전제로 하여 피부 내부에까지 경피흡수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피부에 다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 동시에 자극 등이 없는, 보다 안전성이 높은 약효제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경피흡수를 전제로 하지 않고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를 발휘하는 분체 및 이를 배합시킨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예의검토를 실행한 바, 특정 피부상 효소가 피부 거칠음 등에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고, 또 특정 복합분체에 이들 피부상 효소를 흡착하지 않고 저해하는 것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분체는 특정 효소를 흡인 또는 흡착하는 흡착부위와, 상기 효소의 저해 또는 활성화 특성을 갖는 작용부위가 각각 표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분체에서 사용하는 pH에 있어서 흡착부위의 ζ전위가 음의 값이고, ζ전위가 양의 값인 특정효소를 흡인 또는 흡착하고, 저해 또는 활성화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복합분체에서, 상기 흡착부위는 pH 7.5에 있어서 ζ전위가 -10㎷ 이하의 부위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복합분체에서, 상기 흡착부위는 pH 7.5에 있어서 ζ전위가 -20㎷ 이하의 부위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복합분체에서, 특정효소는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이고, 상기 작용부위는 플라스미노겐활성제 저해작용을 갖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복합분체에서,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의 저해율이 40%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복합분체에서,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의 저해율이 45%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복합분체에서,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의 저해율이 50%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또,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의 저해율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의 활성저해작용의 측정
0.1%의 피검시료와 이중나선 우로키나아제(UK)형 플라스미노겐활성제(30U/mL )를 포함하는 완충액의 합성기질 분해활성에 의해 평가했다.
상기 복합분체에서, 제 1 형태는 흡착부위의 표면에 작용부위를 줄무늬형상 또는 반점형상으로 형성하는 복합분체이다.
상기 제 1 형태의 복합분체에서, 흡착부위에 대한 작용부위의 피복량이 1~70질량%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제 1 형태의 복합분체에서, 흡착부위에 대한 작용부위의 피복률이 1~90%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제 1 형태의 복합분체에서, 흡착부위에 대한 작용부위의 피복률이 2~70%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제 1 형태의 복합분체에서, 흡착부위에 대한 작용부위의 피복률이 4~50%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복합분체에서, 제 2 형태는 효소에 대하여 작용성을 갖는 부위의 표면에 흡착부위를 줄무늬형상 또는 반점형상으로 형성하는 복합분체이다.
상기 복합분체에서, 제 3 형태는 효소에 대하여 작용성을 갖는 부위의 표면에 흡착부위를 그물눈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분체이다.
상기 제 2, 3 형태의 복합분체에서, 작용부위에 대한 흡착부위의 피복량이 0.1~75질량%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제 2, 3 형태의 복합분체에서, 작용부위에 대한 흡착부위의 피복량이 3~50질량%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제 2, 3 형태의 복합분체에서, 사용시의 금속이온 용출량이 0.7~40ppm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제 2, 3 형태의 복합분체에서, 사용시의 금속이온 용출량이 1.2~30ppm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복합분체에서, 제 4 형태는 기분체(基粉體)에 대해 작용부위 및 흡착부위를 줄무늬형상 또는 반점형상으로 형성하는 복합분체이다.
또, 상기 복합분체에서, 작용부위는 아연이온을 방출가능한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이고, 흡착부위는 실리카, 탈크, 또는 운모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복합분체에서, 작용부위는 아연이온을 방출가능한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이고, 흡착부위는 폴리아미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실리콘수지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복합분체에서, 사용시의 아연이온 용출량이 40ppm 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복합분체에서, ζ전위와 아연이온 용출량과의 관계가 하기 수학식 1의 관계로 나타내는 것이 적합하다.
Figure pat00001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피부 거칠음 개선용 피부외용제는 상기 복합분체를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민감성 피부용 피부외용제는 상기 복합분체를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부 거칠음 개선용 피부외용제에서, 산화아연 피복실리카, 산화아연피복 탈크, 산화아연피복 운모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민감성 피부용 피부외용제에서, 산화아연 피복실리카, 산화아연피복 탈크, 산화아연피복 운모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복합분체는 피부 거칠음 개선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합분체는 민감성 피부 손질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복합분체의 구성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분체의 UK활성 저해작용의 설명도,
도 3은 복합분체의 아연이온 용출량과 UK저해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된 복합분체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현미경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된 복합분체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현미경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련된 복합분체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현미경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련된 복합분체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현미경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련된 복합분체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현미경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관련된 복합분체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현미경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련된 복합분체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현미경사진,
도 11은 다양한 산화아연 피복량의 산화아연피복 탈크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현미경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복합분체인 산화아연피복 탈크에 있어서 산화아연 피복률과 UK저해율, ζ전위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복합분체인 산화아연 피복유기분체의 ζ전위와 아연이온 용출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복합분체인 산화아연 피복폴리아미드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현미경사진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복합분체인 실리카 피복 산화아연에 있어서 실리카 피복량과 UK저해율, ζ전위, 아연이온 용출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분체 및 이를 배합시킨 피부외용제는 이하와 같은 경위에 의해 발견된 것이다.
즉, 근래 피부 거칠음이나 각화(角化)이상을 수반하는 다양한 피부질환의 병상 형성에는 프로테아제, 특히 플라스민이나 플라스미노겐활성제 등의 선용계(線溶系) 효소(플라스미노겐활성제 효소)의 활성변화가 깊이 관여되어 있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실험적으로 피부 거칠음을 일으킨 표피 세포층에서는 플라스민의 분포에 변화가 인지되고, 피부 거칠음의 개선·예방에 항플라스민제가 유효한 것이 보고되고 있다(Kenji kitamura: J.Soc.Cosmet.Chem.Jpn;29(2), 1995). 또, 아토피성 피부염에 있어서도 표피 중에 높은 선용활성이 인지되고 있다(T.Lotti: Department of Dermatology; 28(7), 1989). 또, 염증성 이상 각화성 질환의 대표인 건선은 그 환부표피의 착각화(錯角化) 부위에 강한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의 활성이 존재하는 것(Haustein:Arch.Klin.Exp.Dermatol; 234, 1969)이나, 건선 인설(鱗屑)에서 고농도의 염용액을 이용하여 플라스미노겐활성제를 추출했다는 보고(Fraki, Hopsu-Havu:Arch.Dermatol.Res;256, 1976)가 이루어지고 있다.
플라스미노겐활성제는 플라스민의 전구체인 플라스미노겐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이를 활성 플라스민으로 변환하는 프로테아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현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약효제의 개발시에, 피부상의 각종 효소의 거동에 주목했다. 예를 들면, 경피흡수되지 않고 피부표면에서 플라스미노겐활성제를 흡착하여, 이를 불활성화시킨 물질은 안전성이 높고, 플라스미노겐 활성화계 효소의 활성변화를 수반하는 다양한 피부질환, 피부 거칠음 등에 대해 개선·예방효과를 나타내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여, 널리 다양한 분체에 대해 당해 작용을 조사했다.
그 결과, 특정 복합분체에 플라스미노겐활성제에 대한 흡착작용 또는 저해작용이 인지되는 것을 발견했다.
복합분체구조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분체(10)는 전형적으로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효소흡착성을 갖는 분체(흡착부위)(12)에 줄무늬형상 또는 반점형상으로 작용부위(14)를 형성한다.
또, 상기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효소의 저해 또는 활성화 특성을 갖는 분체(작용부위)(14)에 줄무늬형상, 반점형상으로 효소를 흡인 또는 흡착하는 흡착부위(12)를 형성한다. 또는 상기 도 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활성화 특성을 갖는 분체(작용부위)(14)의 표면 전체에 그물눈 형상으로 흡착부위(12)를 형성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분체(10)로서는 작용부위(14) 및 흡착부위(12)를 기분체에 담지, 피복, 내포, 흡착, 혼합시킨 복합분체(10)(도 1의 (D)), 층형상 점토광물 등의 흡착부위(12)의 층간에 아연이온 등의 작용부위(14)를 담지시킨 복합분체(10)(도 1의 (E)), 다공성 판형상 산화규소의 흡착부위(12) 중에 산화아연 등의 작용부위(14)를 내포시킨 복합분체(10)(도 1의 (F))(내지 작용부위 중에 흡착부위를 내포시킨 복합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 1의 (A)의 경우, 작용부위에 있어서 작용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흡착부위에 있어서 흡착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작용부위를 형성하도록 피복량, 피복률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작용부위의 피복량은 흡착부위에 대해 1~70질량%이고, 바람직한 작용부위의 피복률은 흡착부위의 표면적의 1~90%, 보다 바람직하게는 2~70%,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이다.
상기 도 1의 (B), 도 1의 (C)의 경우, 흡착부위에 있어서 흡착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작용부위에 있어서 작용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흡착부위를 형성하도록 피복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흡착부위의 피복량은 작용부위에 대해 0.1~75질량%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도 1의 (D), 도 1의 (E), 도 1의 (F)의 경우도 작용부위에 있어서 작용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흡착부위에 있어서 흡착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의 (D)에 나타낸 복합분체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분체와, 실리카, 산화아연을 예비혼합하고, 메카노퓨전 처리에 의해 폴리에틸렌 분체에 실리카와 산화아연을 피복하여 제조된다. 메카노퓨전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흡착부위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분체에서, 흡착부위는 흡착대상이 되는 효소와의 관계에서 결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대상효소의 ζ전위와의 상관에서 평가된다.
액체 중에서 분체가 전하를 가질 때, 이 전하를 해소하기 위해 반대 전하의 이온이 정전력으로 분체에 끌어당겨져 전기 이중층이 만들어진다. 이중층의 가장 바깥쪽 전위가 ζ전위이다. 따라서, ζ전위는 대상물의 표면하전상태의 평가에 적합하게 이용되고, 효소를 전기적으로 흡착하는 능력의 평가를 실행할 수 있다.
ζ전위는 스몰루초프스키의 공식 ζ전위=4πηU/ε(η: 용매의 점도 U: 전기영동 이동도(易動度) ε:용매의 유전율)에서 구할 수 있다.
ζ전위를 구하기 위해서는 전기영동법에 의해 콜로이드 입자의 속도(V) 및 전기영동 이동도(U)를 구한다. 대전된 콜로이드 입자에 전장(電場)(E)을 가하면 입자가 이동한다. V=L/t(L: 이동거리 t: 시간), U=V/E에서 얻을 수 있다.
대상효소가 ζ전위가 양의 값인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인 경우, 흡착부위를 구성하는 물질의 ζ전위는 사용하는 pH에 있어서 음의 값을 나타내는 것이 적합하다. 또, 흡착부위를 구성하는 물질의 ζ전위는 pH 7.5에 있어서, -10㎷ 이하의 값을 나타내는 것이 적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또, ζ전위측정방법은 후술한다.
pH 7.5에 있어서 주된 물질의 ζ전위와, 농도 100ppm에 있어서 UK의 흡착률과의 관계를 표 1에 나타낸다.
시료 ζ전위(㎷) UK흡착률(%)
무기분체
실리카(산스페아L™) -20.0 82
운모(에이트펄300S™) -18.9 79
탈크(탈크JA-68R™) -19.3 78
산화아연(세이도가가쿠고교(주)제 산화아연) +5.5 29
알루미나(막스라이트A100™) +17.3 0
유기분체
폴리아미드(나일론SP500™) -32.0 34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간츠펄™) -18.0 42
실리콘수지(토스펄145A™) -14.0 30
카르바미드산에틸(플라스틱파우더™) -13.0 27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스트라머 구형상 분체(토레필E506S™) -12.0 18
셀룰로스(셀프로C-25™) -2.0 21
폴리에틸렌(프로센UF™) +1.0 10
또, UK흡착률의 측정방법은 상세하게 후술한다.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드시 비례관계는 되지 않지만, 각 유기분체 또는 각 무기분체 사이에서는 ζ전위가 낮을수록 UK흡착률이 높은 경향이 있고, ζ전위와 UK흡착률에는 관련성이 있는 것이 나타났다.
흡착부위에 적합한 물질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무기분체로서 실리카, 운모, 탈크 등, 유기분체로서 폴리아미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작용부위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분체에 있어서, 작용부위도 작용대상이 되는 효소와의 관계에서 결정된다.
대상효소가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인 경우, 4족, 9족, 10족, 11족, 12족 원소의 이온을 용출하는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금속이온으로서는 아연이온을 들 수 있다.
또, 금속이온을 용출하는 금속화합물로서는 산화물, 수산화물, 질산염, 염화물, 수화물, 탄산염, 중탄산염, 황산염, 붕산염, 과황산염 및 이들을 분자 내에 함유하는 무기화합물을 포함하는 형태(착체(錯體)) 등의 무기화합물,
글리세로인산염, 초산염, 수산화물 및 α-히드록시산(구연산염, 주석산염, 젖산염, 사과산염) 또는 과일산염, 아미노산염(아스파라긴산염, 알긴산염, 글리콜산염, 푸말산염) 또는 지방산염(팔미틴산염, 올레인산염, 카제인산염, 베헤닐산염) 등의 유기산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분체를 피부외용제 등에 이용할 때, 특히 바람직한 금속화합물로서는 산화아연을 들 수 있다.
다음에 이온농도 100ppm에 있어서 각종 이온의 UK저해율을 나타낸다.
시료 UK활성 저해율(%)
Zn2 + 52
Zr4 + 45
Cu2 + 36
Ni2 + 30
Co2 + 27
Al3 + 16
Ce3 + 5
Na+, Li+, K+, Mn2 +, Ba2 +, Mg2 +, Ba2 +, Ca2 + 0
또, UK활성 저해율의 측정방법은 상세하게 후술한다.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연이온에는 가장 우수한 UK저해작용이 인지되었다. 지르코늄이온에도 그것에 준하는 UK저해작용이 인지되는 것도 있었지만, 나트륨이온, 칼슘이온 등, 실질적으로 저해작용이 인지되지 않는 것이었다. 이것에서 각 이온의 효소로의 작용에는 높은 특이성이 있는 것이 인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적합한 아연이온을 용출하는 산화아연은 주로 화장료 등의 외용제에 자외선 산란제 또는 백색안료로서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그 자외선 방지효과는 반드시 충분하지 않고, 또 촉매활성을 갖고 있는 점에서 배합한 제제계(製劑系)의 안정성을 손상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품고 있다. 그래서 자외선 방지효과나 투명성의 향상, 또는 자외선 산란제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제제계에서의 안정성이나 사용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보다 입자가 세밀한 산화아연(일본 특공소 60-33766, 특공평 5-77644)이나, 다른 무기 또는 유기화합물과의 복합체 등이 다수 개발되어 왔다(일본 특개평 1-190625, 특개평 3-183620, 특개평 7-277914, 특개평 10-87434, 특개평 10-87467, 특개평 10-87468).
한편, 산화아연은 일본약국방에도 기재되어 있고, 그 약리작용으로서 피부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피막을 형성하고, 수렴, 소염, 보호작용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약리작용에 기초하여 산화아연은 아연화연고(산화아연과 라놀린과 백색연고의 혼합물)나, 탈크, 전분, 활석 등과 혼합시킨 분말제로서 오래 전부터 피부질환이나 기저귀 발진 등에 이용되어 왔다. 또, 약효를 높이거나, 다른 물질에 산화아연의 약효를 부가할 목적으로 산화아연과 다른 소염제나 항균제(일본 특공평 4-63046, 특공평 6-76330, 특개평 2-23361, 특개평 6-157277, 특개평 8-217616, 특개소 57-62220), 항산화제(일본 특개평 7-304665), 프로테아제 저해제(일본 특개평 3-169822) 등을 혼합시키거나, 또는 복합체를 작성하여 피부에 적용하는 예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약리효과를 목적으로 하여 이용하는데 적합한 산화아연의 특징에 관한 보고, 기술은 거의 없고, 유일하게 일본 특개평 6-239728에 초미립자 산화아연이 종래의 산화아연에 비해 수렴작용 등의 약제효과가 크다고 하는 기술이 있을 뿐인데, 그곳에 구체예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기분체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분체는 기분체에 작용부위 및 흡착부위를 줄무늬형상 또는 반점형상으로 형성한 구조여도 좋다. 기분체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무기질 기분체, 유기질 기분체, 무기안료 기분체, 유기안료 기분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복합화 효과
본 발명의 복합분체는 작용부위의 특정효소에 대한 작용효과가 해당 효소의 흡착부위의 존재로 더욱 향상된다.
도 2에 이중나선 우로키나아제(UK)형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의 저해에 관한 설명도를 나타낸다.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용부위만이 존재하는 경우, UK를 충분히 저해하기 위해서는 고농도의 아연이온이 필요하게 되어 피부외용제 등에 배합하는데 있어서는 제제 구축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그러나, 작용부위로서 산화아연, 흡착부위로서 실리카를 이용하고, 작용부위의 표면에 그물눈형상으로 흡착부위를 형성하는 경우(도 2의 (B)), 또는 흡착부위에 반점형상으로 작용부위를 형성하는 경우(도 2의 (C)) 등, 작용부위와 흡착부위를 아울러 가진 복합분체인 경우는 흡착부위가 UK를 흡착하기 때문에, 작용부위가 UK에 작용하기 쉽고, 아연이온이 저농도여도 효과적으로 UK활성 저해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복합분체의 각 부위를 구성하는 분체를 단지 혼합한 경우에도 조건에 따라서 각 분체단독보다도 높은 효과를 발휘하는 일이 있다. 그러나, 이들 특정 효소에 대한 저해작용을 갖는 부위 및 흡착하는 부위가 각각 표출되어 있는 복합분체에 매우 높은 효소작용성, 예를 들면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의 저해효과가 인지된다.
또, 참고로서 플라스미노겐활성제와 같은 세린 프로테아제로 분류되는 트립신에 대해서도 검토한 바, 트립신은 복합분체에 흡착되지만, 활성은 거의 잃지 않았다. 즉 복합분체는 반드시 비특이적으로 효소활성을 저해하는 것은 아니다.
복합화에 관해, 종래 산화아연에 대해서는 주로 자외선 방지효과나 안전성, 안정성, 사용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산화아연 이외의 무기 또는 유기화합물, 예를 들면 탄산염, 황산염(일본 특개평 10-87468),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일본 특개평 1-308819), 실리카, 알루미나(일본 특개평 3-183620, 특개평 10-87467), 불소변성 실리콘(일본 특개평 7-277914),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셀룰로스 등(일본 특허 제 2628058 호)에서 산화아연을 피복, 또는 산화아연으로 이들을 피복한 복합분말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알고 있는 한, 피부상 효소를 흡착하고, 또한 그 활성에 작용하는 것을 나타낸 보고는 없다. 즉, 산화아연을 H2, CO와 같은 환원분위기에서 소성하면 형광을 발하는 산화아연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일본 특개평 5-117127), 이들 형광 산화아연에는 어떤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어도,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의 흡착·활성저해작용 및 피부개선작용은 그다지 인지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병적 피부염 등이 생기는 피부, 또는 소위 민감성 피부에 대한 자극성도 저감하는 것에서 본 복합분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 본 발명의 복합분체를 피부외용제에 배합하는데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실리콘 처리 등으로 소수화된 후 배합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복합분체를 1종 또는 2종 이상 배합하는 것에 의해, 플라스미노겐활성제 등의 피부상 효소를 흡착하고, 또한 활성저해작용이 우수하며, 또 피부개선작용이 우수한 안전성이 매우 높은 피부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다.
플라스미노겐활성제에는 우로키나아제와 조직형 플라스미노겐활성제라 불리는 2종류가 있고, 전자는 보통의 표피이고, 후자는 주로 병적인 표피에 있어서 그 존재가 인지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분체는 이 양쪽 플라스미노겐활성제에 대해 흡착·저해작용을 갖는 것으로 대표된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 복합분체의 배합량은 전체 양 중, 0.1~50.0질량%, 바람직하게는 2.0~20.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20.0질량%이다. 0.1질량% 미만이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50.0질량%를 넘으면 제제화가 곤란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분체를 배합한 피부외용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이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보습제, 산화방지제, 유성성분, 자외선 흡수제, 유화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알콜류, 분말성분, 색재, 수성성분, 물, 각종 피부영양제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또,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구연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사과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베라파밀,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감초, 모과, 노루발풀 등의 각종 생약추출물, 초산토코페롤, 글리틸레진산, 글리틸리틴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 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빈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빈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등의 미백제, 알기닌, 라이신 등의 아미노산 및 그 유도체, 과당, 만노스,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스, 크실리톨 등의 당류 등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예를 들면, 연고, 크림, 유액, 로션, 팩, 파운데이션, 분, 볼터치, 아이섀도우, 선스크린, 립스틱, 입욕제, 기름종이, 종이분 등의 종래 피부외용제에 이용하는 것이면 어느 형태나 적용할 수 있고, 제형은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분체는 특히 민감성 피부 등의 종래 화장료의 사용이 곤란한 피부로의 적용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민감성 피부란, 간행물 등에 의하면 이하와 같이 언급되고 있다. 「보통 의약품 외용제, 화장품, 식물, 자외선, 금속 등, 많은 사람에게는 아무 것도 아닌 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고, 피부트러블을 일으키기 쉬운 피부, 장벽기능이 저하되어 있어 알레르기성 물질(꽃가루, 향료 등)이나 자극성 물질(알콜 등)에 체질적으로 민감함 피부」 및 「수면부족, 과로, 생리, 환절기, 정신적인 스트레스 등에 의해 피부 본래의 저항력 또는 피부의 생리기능이 약해질 때, 자극물에 대해 일시적으로 피부 트러블이 일어나기 쉬워지는 피부. 보통 사용되고 있는 화장품의 사용에 불안을 느낀 적이 있는 피부.」
이와 같이 피부상태가 민감하게 되는 요인으로서는 피부 장벽 기능의 저하, 피부자극 임계값의 저하, 피부의 건조, 접촉피부염의 기염(起炎) 물질, 물리화학적 자극, 스트레스, 몸상태, 계절변화, 자외선, 생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잘못된 스킨케어에 의해 스스로 피부를 민감하게 하거나, 단지 본인 생각으로 민감하게 되어 버리는 일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민감성 피부 대상자란 하기 ①~⑤ 중 어느 하나의 처리에 있어서 이상감각을 느끼는 자로 정의했다.
① 5% 구연산 수용액 100㎕를 볼에 도포하고, 10분간 둔다.
② 5% 젖산 수용액 100㎕를 볼에 도포하고, 10분간 둔다.
③ 50% 에탄올 용액 100㎕를 볼에 도포하고, 10분간 둔다.
④ 0.2% 메틸파라벤 수용액 100㎕를 2×2cm 부직포에 함침하고, 볼에 10분간 정치(靜置)한다.
⑤ 5% SDS수용액 100㎕를 2×2cm 부직포에 함침하고, 볼에 30분간 정치한다.
또, 이상감각이란, 피부영역에서 감지되는 비교적 고통을 수반하는 감각, 예를 들면 따끔따끔한 통증, 근질근질한 감, 가려움, 열감, 불쾌감, 찌르는 것 같은 아픔 등을 의미한다.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들 실시예에 의해 어떻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배합량은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모두 질량%이다.
실시예에 앞서, 본 실시예의 평가에 이용되는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의 흡착작용,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의 활성저해작용 및 피부개선작용에 관한 구체적 시험방법 등에 대해 설명한다.
1.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의 흡착·저해작용시험(in vitro)
(1) 시료의 조제
탈크, 운모, 실리카, 실시예에 관련된 복합분체 및 비교예에 관련된 산화아연을 시료로 하여, 각 0.1% 현탁수를 제조하여, 우로키나아제(UK)에 대한 흡착작용 및 활성저해작용을 평가했다.
(2)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의 흡착작용의 측정(UK흡착률의 측정방법)
시료현탁수 20㎕에 Tris-HCl 완충액(pH 7.5)을 첨가하여 전체 양을 180㎕로 하고, 여기에 10㎍/mL의 전구체형 UK 20㎕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5분간 방치했다. 그 후 시료분말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회수했다. 또 일정량의 Tris-HCl 완충액으로 분말을 충분히 세정하고, 여과액과 세정액을 합하여 이를 미흡착 UK용액으로 했다. TintEliza uPA(biopool)를 이용하여 ELISA법으로 미흡착 UK용액 중의 UK농도를 구하고, 그 값에서 시료분말에 흡착된 UK양을 산출하여 UK흡착률을 구했다.
(3)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의 활성저해작용의 측정(UK활성저해율의 측정방법)
시료현탁수 20㎕에 Tris-HCl 완충액(pH 7.5)을 첨가하여 전체 양을 180㎕로 하고, 여기에 300U/mL의 활성형 UK 20㎕를 첨가하여 실온에 방치했다. 30분 후, UK의 특이적인 합성기질인 S2444(CHROMOGENIX)를 20㎕ 첨가하고, 또 37℃ 항온기에 30분 방치했다. 그 후 12%의 트리클로로초산수용액 20㎕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나서, 시료분말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405㎚ 흡광도로 측정하여 평가계 중의 UK활성을 구하고, 또 시료에 의한 UK활성저해율을 산출했다.
2. 피부 거칠음 방지효과 시험(in vivo)
(1) 시료의 조제
in vitro에서의 시험과 같이, 탈크, 운모, 실리카, 실시예에 관련된 복합분체 및 비교예에 관련된 산화아연을 시료로 하고, 각 3% 현탁수를 제조하여 활성제에 의해 야기된 피부 거칠음에 대한 방지효과를 평가했다.
(2) 피부 거칠음 방지효과의 판정
54명의 남성 패널의 전완내측부(前腕內側部) 2군데에 5% SDS수용액을 적신 탈지면(2×2cm)을 대고 15분간 고정하고, 활성제를 씻어낸 후 그곳에 패널마다 할당된 시료현탁수와, 대조로서 물을 0.5mL씩 도포했다(n=3). 이 조작을 7일간 반복하고, 8일째에 피험부위를 충분히 세정하여 60분 방치한 후 SDS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 거칠음의 정도를 관찰하여 이하의 판정기준에 기초하여 평점을 매겼다. 또 패널마다 대조부위와 시료도포부위의 평점차를 구하고, 이를 각 시료마다 합계하여 이하의 피부 거칠음 방지효과기준에 기초하여 각 시료의 효과를 판정했다.
<피부 거칠음 평점기준>
평점 4: 명백한 홍반 및/또는 액설(液屑, liquid-chip)이 인지된다.
평점 3: 중등도의 홍반 및/또는 약간 액설이 인지된다.
평점 2: 약간의 홍반 및/또는 각층(角層)에 균열이 인지된다.
평점 1: 각층 표면이 뽀얗고, 또는 일어나는 것같이 보인다.
평점 0: 증상 없음.
<피부 거칠음 방지효과 판정기준>
◎=명백하게 효과 있음: 평점차 6 이상
○=약간 효과 있음 : 평점차 4 또는 5
△=방지경향 있음 : 평점차 2 또는 3
×=무효 : 평점차 1 이하
3. ζ전위의 측정방법
pH 7.5의 Tris-HCl 완충액 중에 시료를 분산·초음파 처리한 후, 측정에 이용했다. ζ전위는 오즈카덴시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전기영동 광산란 광도계 LEZA-600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측정은 3회 실행하고, 결과는 그 평균값으로 나타냈다.
산화아연농도와 UK 활성저해율
처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의 활성저해작용을 나타내는 아연이온의 농도와 UK활성저해율의 관계를 조사했다. UK활성저해율은 상기 방법으로 측정했다.
아연이온농도(ppm) UK활성저해율(%)
0.1 3
1 4
10 21
40 30
45 40
50 50
100 52
1000 74
표 3에서 아연이온농도가 높을수록, 저해율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UK저해율 40% 이상으로 하려면 아연이온농도가 45ppm이상인 것이 필요하고, 50% 이상으로 하려면 아연이온농도가 50ppm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고농도의 아연이온이 존재하면, 피부외용제 등에 배합하는데 있어서는 제제 구축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어, 아연이온농도는 40pp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연이온용출량과 UK 활성저해율
다음에 각종 시판 산화아연 및 본 발명의 복합분체인 실리카피복 산화아연(실리카피복량 20질량%)에서의 아연이온 용출량을 조사하고, UK활성저해율과의 관계를 검토했다.
각 시료의 0.01% Tris-HCl 완충액 분산액(pH 7.5)을 교반하고, 원심분리하여 여과액을 ICP분석하고, 각 시료에서의 아연이온 용출량을 측정했다. 또, 상기 UK활성저해율의 측정방법에 따라 각 시료현탁수의 UK활성저해율을 산출했다.
시료 아연이온 용출량(ppm) UK활성저해율(%)
실리카피복 산화아연 8.9 49
시판 산화아연 A 42.5 37
시판 산화아연 B 47.9 30
시판 산화아연 C 47.1 33
시판 산화아연 D 43.5 26
시판 산화아연 E 50.5 45
시판 산화아연 F 47.9 41
표 4에서 각종 시판 산화아연의 분산액에 있어서 아연이온 용출량에는 거의 차가 없이 45ppm 전후였다.
그 때문에 각종 산화아연의 UK저해율에는 거의 차가 보이지 않고, 40% 전후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 이 결과는 표 3의 아연이온농도와 UK활성저해율과의 관계에도 모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산화아연 단독에 의한 활성저해는 용출한 아연이온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복합분체인 실리카피복 산화아연의 분산액은 아연이온 용출량이 8.9ppm임에도 불구하고, UK저해율이 49%여서 표 3의 아연이온농도와 UK활성저해율과의 관계에서는 설명을 할 수 없다. 이것에서 실리카피복 산화아연에 의한 UK활성저해는 단지 용출한 아연이온에 의한 것만은 아닌 것이 시사된다.
그래서, 산화아연, 실리카피복 산화아연, 알루미나피복 산화아연을 이용하여 상기 방법으로 아연이온 용출량과 UK활성 저해율을 측정하고, 그 관계를 조사했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실리카(ζ전위: -20.0mV, UK흡착률: 82%)
알루미나(ζ전위: +17.3mV, UK흡착률: 0%)
ζ전위가 +17.3mV인 알루미나를 이용한 알루미나피복 산화아연은 산화아연과 비교하여 UK저해율이 낮아져 버리는데 대해, ζ전위가 -20mV인 실리카를 이용한 실리카피복 산화아연은 산화아연과 비교하여 아연용출량이 낮아도 UK저해율이 높은 결과가 되었다.
이는 실리카의 ζ전위가 음이기때문에, 아연이온과 UK가 실리카 표면에 흡착되어 효과적으로 아연이온이 UK활성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실리카피복 산화아연에 있어서, 용액 중의 아연이온이 저농도임에도 불구하고, UK활성 저해율이 높은 것은 실리카피복 산화아연에 의한 UK활성저해가 단지 용출된 아연이온에 의한 것만이 아니라, 실리카의 UK흡착작용에 의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고농도의 아연이온이 존재하면, 피부외용제 등에 배합하는데 있어서는 제제 구축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복합분체는 아연이온농도가 낮아도 UK저해효과가 발휘되기 때문에 적합하다.
(A) 흡착부위에 작용부위를 형성시킨 복합분체(산화아연 피복분체 )
실시예 1 10질량% 산화아연피복 탈크(반점형상 피복): 도 4
3L의 분리가능 반응용기에 1000mL의 이온교환수와 100g의 탈크(ζ전위: -26.5mV, 평균입자지름: 16㎛)를 넣고, 2대의 마이크로튜브 펌프를 접속한 pH조절기 및 교반장치를 세팅했다. 한쪽 마이크로튜브 펌프를 150mL의 이온교환수에 16.75g의 염화아연과 2.4mL의 5M 염산수용액을 용해한 염화아연용액에, 다른 쪽 마이크로튜브 펌프를 150mL의 이온교환수에 12g의 수산화나트륨을 용해한 알칼리 용액에 각각 접속하고, pH를 조절하면서 반응용기에 적하할 수 있도록 튜브를 고정했다.
실온에서 교반을 실행하면서, pH 10으로 일정하게 되도록 유지하면서 2개의 수용액의 적하량을 조정하여 반응을 실행했다. 적하시간은 약 30분이었다. 얻은 침전물은 수세(水洗)·여과를 5회씩 반복하여 오븐에서 120℃, 15분간 건조한 후, 퍼스널 밀로 분쇄했다. 이 분말을 분쇄후 100메시의 체를 통과시켜 목적물을 얻었다.
실시예 2 10질량% 산화아연피복 운모(반점형상 피복): 도 5
실시예 1에 있어서 탈크 대신에 운모(ζ전위: -36.1mV, 평균입자지름: 18㎛)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같은 조작을 실행하여 목적물을 얻었다.
실시예 3 10질량% 산화아연피복 구형상 실리카(반점형상 피복): 도 6
실시예 1에 있어서 탈크대신에 구형상 실리카(ζ전위: -25.1mV, 평균입자지름: 5㎛)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같은 조작을 실행하여 목적물을 얻었다.
실시예 4 10질량% 산화아연피복 판형상 실리카(반점형상 피복): 도 7
실시예 1에 있어서 탈크 대신에 판형상 실리카(ζ전위: -24.7mV, 평균입자지름: 4.5㎛)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같은 조작을 실행하여 목적물을 얻었다.
실시예 5 10질량% 산화아연피복 탈크(줄무늬형상 피복): 도 8
3L의 분리가능 반응용기에 1000mL의 이온교환수와 100g의 탈크(ζ전위: -26.5mV, 평균입자지름: 16㎛)를 넣고, 2대의 마이크로튜브 펌프를 접속한 pH조절기 및 교반장치를 세팅했다. 한쪽 마이크로튜브 펌프를 150mL의 이온교환수에 16.75g의 염화아연과 2.4mL의 5M 염산수용액을 용해한 염화아연용액에 다른쪽 마이크로튜브 펌프를 150mL의 이온교환수에 6.52g의 탄산나트륨(무수)과 7.95g의 수산화나트륨을 용해한 알칼리 용액에 각각 접속하고, pH를 조절하면서 반응용기에 적하할 수 있도록 튜브를 고정했다.
실온에서 교반을 실행하면서, pH 8로 일정하게 되도록 유지하면서 2개 수용액의 적하량을 조정하여 반응을 실행했다. 적하시간은 약 30분이었다. 얻은 침전물을 수세·여과를 5회씩 반복하여 오븐에서 80℃, 15시간 건조한 후, 퍼스널 밀로 분쇄했다. 이 분말을 300℃에서 1시간 소성하여 100메시의 체를 통과시켜 목적물을 얻었다.
실시예 6 10질량% 산화아연피복 운모(줄무늬형상 피복): 도 9
실시예 5에 있어서 탈크 대신에 운모(ζ전위: -36.1mV, 평균입자지름: 18㎛)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같은 조적을 실행하여 목적물을 얻었다.
실시예 7 50질량% 산화아연피복 구형상 실리카(줄무늬형상 전면피복): 도 10
실시예 5에 있어서, 적하하는 각각의 혼합용액을 증량하여 산화아연의 피복량을 10%에서 50%로 한 것 이외에는 같은 조작을 실행하여 목적물을 얻었다.
비교예 1 시판 탈크
비교예 2 시판 운모
비교예 3 시판 실리카
비교예 4 산화아연(반점형상 합성법)
1L의 분리가능 반응용기에 300mL의 이온 교환수를 넣고, 2대의 마이크로튜브 펌프를 접속한 pH조절기 및 교반장치를 세팅했다. 한쪽 마이크로튜브 펌프를 150mL의 이온교환수에 16.75g의 염화아연과 2.4mL의 5M 염산수용액을 용해한 염화아연용액에, 다른쪽 마이크로튜브 펌프를 150mL의 이온교환수에 12g의 수산화나트륨을 용해한 알칼리 용액에 각각 접속하고, pH를 조절하면서 반응용기에 적하할 수 있도록 튜브를 고정했다.
실온에서 교반을 실행하면서 pH 10으로 일정하게 되도록 유지하면서 2개 수용액의 적하량을 조정하여 반응을 실행했다. 적하시간은 약 30분이었다. 얻은 침전물을 수세·여과를 5회씩 반복하여 오븐에서 120℃, 15시간 건조한 후, 퍼스널 밀로 분쇄했다. 이 분말을 분쇄 후 100메시의 체를 통과시켜 목적물을 얻었다.
시료 흡착 부위 흡착부위의 형상 작용부위 작용부위의 형상 피복량 (질량%) ζ전위 (mV) 흡착률 (%) 저해율 (%) 방지효과
실시예1 탈크 판형상 산화아연 반점형상 10 -1.4 65 60
실시예2 운모 판형상 산화아연 반점형상 10 -1.2 58 50
실시예3 실리카 구형상 산화아연 반점형상 10 -20.6 64 50
실시예4 실리카 판형상 산화아연 반점형상 10 -9.3 60 51
실시예5 탈크 판형상 산화아연 줄무늬형상 10 +4.0 52 49
실시예6 운모 판형상 산화아연 줄무늬형상 10 +3.6 56 47
실시예7 실리카 부정형 산화아연 줄무늬형상 50 +5.0 50 43
비교예1 탈크 판형상 ---- ---- ---- -26.5 68 15 ×
비교예2 운모 판형상 ---- ---- ---- -36.1 68 10 ×
비교예3 실리카 부정형 ---- ---- ---- -25.1 82 5 ×
비교예4 ---- ---- 산화아연 반점형상 ---- +11.7 45 38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부 거칠음에 대한 효과는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의 저해율에 거의 비례하고 있다. 또, 저해율이 40% 이상인 것은 높은 피부 거칠음 방지효과를 갖고, 특히 50% 이상인 것은 특효를 갖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분체는 모두 비교적 높은 흡착률, 저해율을 나타내고 있고, 피부 거칠음에 대한 효과도 높았다.
탈크, 실리카, 운모는 ζ전위가 -10mV 이하의 값이기 때문에, 우수한 UK흡착률을 나타냈는데, 단독으로는 UK저해효과가 거의 없어 피부 거칠음에 대한 효과를 볼 수 없었다(비교예 1~3).
또, 산화아연의 피복량이 50질량%인 경우(실시예 7)보다 산화아연의 피복량이 10질량%인 경우(실시예 1)인 편이 피부 거칠음 방지효과가 우수했다. 이는 산화아연의 피복량이 너무 많아지면, 탈크의 흡착 사이트를 덮어 버려 UK를 흡착하기 어려워져 UK활성 저해능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 실시예 5~7에서는 복합분체 전체로서의 ζ전위는 양의 값이 되고 있지만, 산화아연이 피복되지 않은 흡착부위에 있어서는 ζ전위가 음의 값이기 때문에, UK를 흡착가능하게 하여 피부 거칠음 방지효과가 발휘되었다.
산화아연 피복량과 UK 활성 저해율
다음에 산화아연피복 탈크를 이용하여 산화아연 피복량과 UK활성저해율과의 관계를 조사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다양한 산화아연 피복량의 산화아연피복 탈크를 얻었다(도 11).
ZnO 피복량(질량%) UK활성 저해율(%) ζ전위(mV)
0 26 -19.3 (도 11A)
5 53 -7.5 (도 11B)
10 58 -2.1 (도 11C)
30 56 +9.1 (도 11D)
산화아연피복 탈크에 있어서는 탈크의 표면에 UK가 흡착되어 아연이온이 UK활성을 저해한다.
피복량 10질량%까지는 산화아연 피복량이 늘어남에 따라 UK저해율은 높아졌지만, 피복량 30질량%에서는 반대로 UK저해율이 저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산화아연의 피복량이 과잉이 되면, ζ전위가 너무 높아져서 UK를 흡착하기 어렵고, 아연이온에 의한 UK활성저해가 실행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다시 조사한 바, 피복량 1~70질량%에서 UK저해효과가 있는(UK저해율 40% 이상)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흡착부위에 작용부위를 형성한 복합분체에 있어서는 작용부위의 피복량은 1~70질량%인 것이 적합하다.
산화아연 피복률과 UK 활성 저해율
다음에 산화아연 피복률(표면적)과 UK활성 저해율과의 관계를 조사했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다양한 산화아연 피복률의 산화아연피복 탈크를 얻었다. 결과를 표 7 및 도 12에 나타낸다.
산화아연 피복률(%) UK활성 저해율(%) ζ전위(mV)
0 26 -19
0.5 36 -17
1 40 -15
5 56 -6
10 60 -3
20 60 -1
30 57 +1
50 50 +4
70 45 +6
90 41 +8
95 39 +9
100 38 +10
피복률 20%까지는 산화아연 피복률이 늘어남에 따라, UK저해율은 높아졌지만, 피복률 20%를 넘으면, 반대로 산화아연 피복률이 늘어남에 따라 UK저해율이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산화아연의 피복률이 과잉이 되면, 실리카의 흡착 사이트를 덮어 버리기 때문에, 또 산화아연의 피복에 의해 ζ전위가 올라가기 때문에, UK흡착능이 저하되어 아연이온에 의한 UK활성 저해가 실행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도 12에서 저해율 40% 이상일 때 피복률은 1~90%, 저해율 45%이상일 때 피복률은 2~70%, 저해율 50%이상일 때 피복률은 4~50%인 것이 확인된다.
따라서, 흡착부위의 표면에 작용부위를 형성한 본 발명의 복합분체에 있어서는 작용부위 피복률은 1~9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70%,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인 것이 적합하다.
또, 산화아연 피복률 25% 이상에서는 복합분체 전체로서의 ζ전위는 양의 값이 되었는데, 산화아연이 피복되지 않은 흡착부위에 있어서는 ζ전위가 음의 값이기 때문에, UK를 흡착가능하고 UK활성저해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ζ전위와 아연이온 용출량
산화아연피복 유기분체에 있어서는 유기분체의 표면에 UK가 흡착되어 아연이온이 UK활성을 저해한다.
각종 산화아연피복 유기분체에서의 아연 이온용출량을 조사하고, UK활성 저해율과의 관계를 검토했다.
산화아연과 유기분체와의 복합화
하기의 유기분체와 산화아연(아연화정동(亞鉛華正同))을 예비 혼합하고, 메카노퓨전 처리에 의해 유기분체에 산화아연을 피복하고, 하기 표 8의 복합화 분체를 제조했다. 메카노퓨전처리란, 혼합한 분체를 고속 회전시켜 분체가 좁은 극간을 통과할 때 서로 충돌하여 복합화되는 처리이다.
유기분체
폴리아미드(나일론 SP 500™: ζ전위-32mV)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간츠펄™: ζ전위-18mV)
실리콘수지 미립자(토스펄 145A™: ζ전위-14mV)
UK 저해율이 40% 이상인 것을 ○, 40% 미만인 것을 ×로 하여, 아연이온 용출량과 UK활성 저해율과의 관계를 도 13에 나타낸다.
분체 산화아연피복량 (질량%) ζ전위(mV) 아연이온농도 (ppm) UK저해율(%)
폴리아미드 (나일론 SP500™) 10 -25 2.3 50
20 -24 4.3 50
30 -23 5.4 59
40 -22 7.1 51
50 -20 8.1 49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간츠펄™) 10 -17 4.7 31
20 -14 6.8 34
30 -14 9.5 47
40 -15 10.2 47
50 -15 10.3 46
실리콘수지미립자 (토스펄145A™) 10 -14 2.5 36
20 -13 4.8 35
40 -11 7.5 36
*도 13에서 ζ전위가 도면 중의 사선 이하인 때, UK저해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ζ전위≤아연이온 용출량×1.5-25인 것이 적합하다.
또, 나일론 SP500™과 산화아연과의 복합분체는 피부 거칠음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도 확인되었다.
또, 산화아연 30질량% 피복 폴리아미드의 현미경 사진을 도 14에 나타냈다.
실시예 8
탈크를 하기 아미노산으로 피복한 분체에 산화아연(아연화정동)을 피복하고(메카노퓨전처리), 복합분체를 제조했다(피복량 30질량%). UK활성 저해율은 어느 분체나 약 40%로, 충분한 저해능을 가진 것이 확인되었다.
Ne-라우로일-L-라이신(양성)
Figure pat00002
N-스테아로일-L-글루타민산이나트륨(음이온성)
Figure pat00003
폴리아스파라긴산나트륨(음이온성)
Figure pat00004
(B) 작용부위에 흡착부위를 형성한 복합분체(실리카피복 산화아연)
실시예 9 1.2% 실리카피복 산화아연(그물눈 형상 피복)
산화아연 분말 20㎏을 반응장치에 충전하여 감압 후, 질소 퍼지를 실행하여 내온을 60℃까지 상승시킨다. 1,3,5,7-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을 공급속도 40~50g/hr로 장치 내에 들여보내고, 산화아연 표면과 반응시킨다. 실리콘 부착율이 0.5% 이상 10% 이하의 최적값에 도달한 후, 내온을 105℃까지 상승시켜 2시간 소성시킨다. 질소치환한 후, 실온까지 방냉시킨다. 합성한 시료를 뽑아내고, 분쇄 및 해쇄(解碎)시킨 후, 100메시의 체를 통과시켜 전기로에서 실리콘이 실리카로 변화하는 400~700℃의 최적온도로 수시간 소성하고, 해쇄하여 목적물을 얻었다.
실시예 10 1.6% 실리카피복 산화아연(그물눈 형상 피복)
산화아연 분말 20㎏을 헨쉘 믹서에 충전하고, 여기에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신에츠 가가쿠제) 또는 실란커플링제(옥틸트리메톡시실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헥사메틸디실라잔(신에츠 가가쿠제) 200~600g을 용매(헥산) 400g 중에 용해시키고,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균일하게 실리콘이 분산된 분말에 대해 150℃에서 실리콘을 분말 표면에 반응시키면서 용매를 휘산시킨다. 분말을 뽑아내고, 전기로에서 실리콘이 실리카로 변화하는 400℃~700℃의 최적온도에서 수시간 소성하여 분쇄, 해쇄하여 목적물을 얻었다.
비교예 5 시판 실리카 전면피복 산화아연
시료 작용부위 흡착부위 흡착부위의 형상 피복률(%) ζ전위(mV) 저해율(%) 방지효과
실시예 9 산화아연 실리카 그물눈 형상 1.2 -12.6 52
실시예 10 산화아연 실리카 그물눈 형상 1.6 -13.2 53
비교예 5 산화아연 실리카 전면피복 100 -18.5 37
표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리카 전면피복 산화아연(비교예 5)의 경우에는 실리카 그물눈 형상 피복산화아연(실시예 9, 10)의 경우보다도 효과는 떨어졌다. 이는 실리카가 산화아연의 전면을 덮어 버리면, UK활성을 저해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리카 피복량과 UK 활성 저해율, 아연이온용출량
다음에 실리카피복 산화아연을 이용하여 실리카 피복량과 UK활성 저해율, 아연이온 용출량과의 관계를 조사했다.
실시예 9와 같은 방법으로 다양한 실리카 피복량의 실리카피복 산화아연을 얻었다.
결과를 표 10 및 도 15에 나타낸다.
실리카 피복량(질량%) UK활성 저해율(%) ζ전위(mV) 아연이온 용출량(ppm)
0 36 5.2 42.5
0.5 44 -0.2 38.5
1 49 -3.8 35.2
10 54 -10.0 17.6
20 57 -11.3 8.9
30 56 -12.6 4.4
50 50 -12.8 1.2
70 42 -12.7 0.87
80 39 -13.0 0.45
실리카피복 산화아연에 있어서는 실리카의 표면에 아연이온, UK가 흡착되어 아연이온이 UK활성을 저해한다.
피복량 20질량%까지는 실리카 피복량이 늘어남에 따라 UK저해율은 높아졌지만, 피복량 20질량%를 넘으면, 반대로 실리카 피복률이 늘어남에 따라 UK저해율이 저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실리카의 피복량이 과잉이 되면, 아연이온이 용출되기 어려워져 UK활성 저해가 실행되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도 15에서 저해율 40% 이상일 때 피복량은 0.1~75질량%, 저해율 50% 이상일 때 피복량은 3~50질량%인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작용부위의 표면에 흡착부위를 형성한 본 발명의 복합분체에 있어서는 흡착부위 피복량은 0.1~7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50질량%인 것이 적합하다.
또, 고농도의 아연이온의 존재는 피부외용제 등에 배합하는데 있어서, 제제 구축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복합분체에 있어서는 아연이온 용출량 0.7~40ppm의 범위에 있어서도 저해율 40% 이상, 아연이온 용출량 1.2~30ppm의 범위에 있어서도 저해율 50% 이상이 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분체에 있어서는 낮은 아연이온 농도여도 UK저해효과가 발휘되기 때문에 적합하다.
실시예 11
산화아연에 하기 표 11의 음이온성 폴리머를 피복한 분체를 제조하고, UK저해율을 조사했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음이온성 폴리머피복 산화아연의 제조방법
각종 음이온성 폴리머를 양용매(良溶媒)에 용해시키고, 그곳에 산화아연을 첨가한다. 충분히 교반한 후, 여과, 세정을 실행하여 충분히 건조하여 얻을 수 있다.
종류 물로의 용해성
아크릴레이트/t-옥틸프로펜아미드 공중합체 난용
카르복시비닐폴리머 가용
폴리스티렌설폰산 가용
폴리아크릴아미드메틸프로판설폰산 가용
종류 피복량(질량%) ζ전위(mV) 아연이온농도(ppm) 저해율(%)
아크릴레이트/t-옥틸프로펜아미드 공중합체 0.5 -13 7.9 5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1 -20 6.4 40
폴리스티렌설폰산 0.4 -27 27.9 40
폴리스티렌설폰산 0.6 -29 27.2 56
폴리아크릴아미드메틸프로판설폰산 0.5 -20 22.9 43
어느 분체나 충분한 저해능을 가진 것이 확인되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분체는 단지 피부 거칠음 개선효과의 증강작용 뿐만아니라, 병적 피부염을 일으키는 민감성 피부에 있어서 자극경감작용도 인지된다.
한편, 현저한 효과를 가진 복합분체에 대해 3% 실리콘 처리를 실시하여 발수성을 부여한 경우에는 시료가 소수성으로 인해 평가계에 분산되지 않아 흡착률, 저해율은 측정할 수 없었지만(N.D.), 실사용의 결과에서는 미처리 복합분체보다도 떨어지지만, 충분한 피부 거칠음 방지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분체의 효과를 민감성 피부의 피부상태에 대한 개선효과 및 피부자극성 등에 대해 평가했다. 또, 시료로서는 표 13에 나타낸 조성(질량%)의 산화아연피복 탈크를 10질량% 배합한 파우더형 파운데이션(실시예 12)과, 무배합 파우더형 파운데이션(비교예 7)을 이용했다.
상기 민감성 피부 대상자 50명의 여성 모니터의 안면을 이용하여 좌우 어느 한쪽의 볼에 실시예 12를, 다른 쪽 볼에 비교예 7을, 1일 1회 이상 8주간 도포하고, 그 후의 피부상태를 하기의 판정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판정기준 및 평가는 이하와 같다.
① 피부상태 개선효과의 판정기준
특효: 피부상태가 현저하게 좋아졌다
유효: 피부상태가 좋아졌다
약간 유효: 피부상태가 약간 좋아졌다
무효: 피부상태의 변화가 없거나 또는 악화되었다
<피부상태에 대한 개선효과의 평가>
◎: 피험자가 특효, 유효 및 약간 유효를 나타낸 비율(유효율)이 80% 이상
○: 유효율이 50% 이상 80% 미만
△: 유효율이 30% 이상 50% 미만
×: 유효율이 30% 미만
② 피부자극성
<피부자극성의 평가>
◎: 피부에 따끔따끔함을 인지한 피험자의 비율이 0%
○: 피부에 따끔따끔함을 인지한 피험자의 비율이 5% 미만
△: 피부에 따끔따끔함을 인지한 피험자의 비율이 5% 이상 10% 미만
×: 피부에 따끔따끔함을 인지한 피험자의 비율이 10% 이상
③ 레플리카법 판정기준
피부상태를 눈으로 관찰하는 동시에, 피부표면 상태를 미리슨 수지에 의한 레플리카법을 이용하여 피부의 레플리카를 취하고, 현미경(17배)으로 관찰하여 평가했다.
<레플리카법에 의한 평가>
1: 피부결의 홈·피부결의 산의 소실, 광범위한 각질의 벗겨짐이 인지된다.
2: 피부결의 홈·피부결의 산의 선명하지 않음, 광범위한 각질의 벗겨짐이 인지된다.
3: 피부결의 홈·피부결의 산은 인지되지만 평탄
4: 피부결의 홈·피부결의 산이 선명
5: 피부결의 홈·피부결의 산이 선명하고, 정돈되어 있다.
실시예 12 비교예 7
산화아연 피복 탈크 10.0 -------
운모 36.0 36.0
탈크 잔여 잔여
구형상 PMMA분말 8.0 8.0
구형상 실리카분말 3.0 3.0
산화티탄 7.5 7.5
적산화철 2.0 2.0
황산화철 3.0 3.0
흑산화철 0.2 0.2
에스테르유 2.0 2.0
실리콘유 4.0 4.0
탄화수소계유 2.0 2.0
소르비탄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1.0 1.0
산화방지제 적량 적량
① 피부상태 개선효과 ×
② 피부자극성
③ 레플리카 평가 1 0명 4명
2 4명 9명
3 8명 17명
4 29명 18명
5 9명 2명
50명 50명
표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화아연피복 탈크를 배합한 실시예 12의 시료는 배합하지 않은 비교예 7의 시료보다도 민감성 피부의 상태에 대해 우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고, 또 피부자극성도 인지되지 않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적합한 배합예를 나타낸다. 모두 우수한 피부 거칠음 예방, 개선효과,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 피부 등에 대한 개선효과를 갖고, 또한 민감성 피부, 알레르기성 피부 등에 대한 자극성은 매우 낮은 것이었다.
배합예 1 크림
(처방) 질량%
1) 스테아린산모노글리세리드 2.0
2) 스테아릴알콜 4.0
3) 밀랍 3.0
4) 라놀린 5.0
5) 에틸파라벤 0.3
6) P.O.E(20몰)소르비탄모노올레인산에스테르 2.0
7) 스쿠알란 20.0
8) 산화아연피복탈크 5.0
9) 향료 0.2
10) 1,3-부틸렌글리콜 5.0
11) 글리세린 5.0
12) 정제수 잔여
(제법)
1)~7) 및 9)를 가열하여 75℃로 유지한다(유상). 12)에 10) 11)을 용해한 후, 8)을 첨가하고, 분산하여 75℃로 가온한다(수상). 수상을 유상에 첨가하여 호모믹서에서 균일하게 유화하고, 잘 혼합하면서 30℃까지 냉각한다.
배합예 2 분말형상 외용제
(처방) 질량%
1) 탈크 49.95
2) 산화아연 피복실리카 50.0
3) 향료 0.05
(제법)
1)과 2)를 블렌더로 충분히 교반혼합하면서 3)을 균일하게 분무한다.
배합예 3 베이비 파우더
(처방) 질량%
1) 탈크 77.0
2) 탄산칼슘 17.0
3) 전분 0.5
4) 산화아연 피복실리카 5.0
5) 살균제 0.3
6) 방부제 0.2
(제법)
1)~6)을 블렌더로 잘 교반혼합한다.
배합예 4 립스틱
(처방) 질량%
1) 탄화수소왁스 3.0
2) 칸델리라왁스 1.0
3) 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 41.0
4) 유동파라핀 46.448
5) 적색 202호 0.5
6) 적색 204호 2.0
7) 적색 223호 0.05
8) 산화아연피복 운모 2.0
9) 이산화티탄 4.0
10) 향료 0.002
(제법)
1)~4)를 85℃로 가열용해하고, 이것에 5)~9)를 첨가하여, 교반혼합한 후 10)을 교반혼합하여 용기에 충전하고 냉각한다.
배합예 5 유화 파운데이션
(처방) 질량%
1) 스테아린산 0.4
2) 이소스테아린산 0.3
3)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4.0
4) 유동파라핀 11.0
5) P.O.E(10)스테아릴에테르 2.0
6) 탈크 15.0
7) 적색산화철 0.01
8) 황색산화철 0.001
9) 흑색산화철 0.05
10) 세틸알콜 0.3
11) 방부제 0.07
12) 산화아연 피복실리카 5.0
13) 트리에탄올아민 0.4
14) 프로필렌글리콜 5.0
15) 향료 0.01
16) 정제수 잔여
(제법)
1)~11)을 85℃로 가열용해·분산한 후, 12)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한다. 이것에 13) 14) 16)을 85℃로 가열용해 혼합한 것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한다. 유화시 온도를 10분간 유지하여 교반한 후, 교반냉각하여 45℃로 한다. 이것에 15)를 가하여 35℃까지 교반냉각을 계속하여 용기에 충전한다.
배합예 6 팩
(처방) 질량%
1) 폴리비닐알콜 15.0
2) 폴리에틸렌글리콜 3.0
3) 프로필렌글리콜 7.0
4) 에탄올 10.0
5) 산화아연피복실리카 10.0
6) 메틸파라벤 0.05
7) 향료 0.1
8) 정제수 잔여
(제법)
8)에 2) 3) 6)을 첨가하여 용해한다. 이어서 1)을 첨가하여 가열용해한 후 5)를 분산한다. 이것에 4) 7)을 첨가하여 교반용해한다.
배합예 7 스틱 파운데이션
(처방) 질량%
1) 이산화티탄 13.0
2) 카올린 12.0
3) 산화아연피복 탈크 13.7
4) 적색산화철 1.0
5) 황색산화철 0.7
6) 흑색산화철 0.1
7) 스쿠알란 37.0
8)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16.0
9)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10)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4.0
11) 카르바나로우 1.3
12) 향료 0.2
(제법)
7)~9)를 80℃에서 혼합하고, 이것에 1)~6)을 첨가하여 디스퍼에서 혼합한 후 TK밀 처리한다. 또 이것에 가열용해한 10)과 11)을 첨가하고, 혼합후 탈기(脫氣)한다. 12)를 완만하게 혼합한 후, 80℃에서 용기에 충전하고 냉각한다.
배합예 8 고형분말 파운데이션
(처방)
1) 셀리사이트 22.0
2) 합성운모 15.0
3) 탈크 잔여
4) 산화아연 피복실리카 7.0
5) 벤가라 0.8
6) 황산화철 2.0
7) 흑산화철 0.1
8) 실리콘 탄성분말 2.0
9) 구형상 폴리에틸렌 4.0
10) 디메틸폴리실록산 3.0
11) 유동파라핀 5.0
12) 바세린 5.0
13) 소르비탄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1.0
14) 파라벤 적량
15) 산화방지제 적량
16) 향료 적량
(제법)
1)~17)을 블렌더로 잘 교반혼합한다.
배합예 9 W/O형 유화 화장기초
(처방)
1) 시클로메티콘 30.0
2) 디메티콘 2.0
3) 실리콘수지 1.0
4) 항산화제 적량
5)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3.0
6)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1.0
7) 이소스테아린산 1.0
8) 실리콘처리 알루미나 8.0
9) 양이온변성 벤토나이트 2.0
10) 산화아연피복탈크 5.0
11) 탈크 5.0
12) 구형상 PMMA 수지분말 5.0
13) 정제수 잔여
14) 글리세린 4.0
15) 폴리에틸렌글리콜 1.0
16) 방부제 적량
17) 안정화제 적량
18) 향료 적량
(제법)
1)~9), 12), 16)~18)을 85℃로 가열용해하고, 10), 11)을 부가하여 분산한다(유상). 13)에 14), 15)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분산한다(수상). 수상 중에 유상을 첨가하고, 85℃에서 100분간 유지하여 교반한 후, 교반냉각하여 45℃로 한다.
배합예 10 W/O형 유화 파운데이션
1) 실리콘처리 합성운모 15.0
2) 실리콘처리 셀리사이트 7.0
3) 실리콘처리 산화티탄 12.0
4) 실리콘처리 벤가라 1.2
5) 실리콘처리 황산화철 2.3
6) 실리콘처리 흑산화철 0.6
7) 산화아연피복운모 12.0
8) 구형상 PMMA분말 4.0
9) 시클로메티콘 잔여
10) 디메틸폴리실록산 4.0
11) 스쿠알란 3.0
12)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2.0
13) 소르비탄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1.0
14) 분산조제 적량
15) 디프로필렌글리콜 2.0
16) 정제수 20.0
17) 파라벤 적량
18) 항산화제 적량
19) 향료 적량
(제법)
1)~14)를 85℃로 가열용해한다(유상). 16)에 15)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한다(수상). 수상 중에 유상을 첨가하고, 85℃에서 100분간 유지하여 교반한 후, 17)~19)를 부가하여 교반냉각하여 45℃로 한다.
배합예 11 백분
1) 탈크 잔여
2) 합성운모 22.0
3) 산화아연피복탈크 13.0
4) 구형상 실리콘분말 4.0
5) 스쿠알란 3.0
6) 파라벤 적량
7) 향료 적량
(제법)
1)~6)을 블렌더로 충분히 교반혼합하면서 7)을 균일하게 분무한다.
배합예 12 O/W형 유화 파운데이션
1) 셀리사이트 17.0
2) 운모 20.0
3) 산화아연피복운모 8.0
4) 벤가라 0.3
5) 황산화철 1.2
6) 흑산화철 0.6
7) 구형상 폴리에틸렌 분말 6.0
8) 스쿠알란 10.0
9) 올리브유 10.0
10) 스테아린산 2.0
11)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12) POE(40)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2.0
13) 글리세린 5.0
14) 트리에탄올아민 0.8
15) pH조정제 적량
16) 방부제 적량
17) 정제수 잔여
(제법)
1)~12)를 85℃로 가열용해한다(유상). 17)에 13)~15)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한다(수상). 수상 중에 유상을 첨가하고 85℃에서 100분간 유지하여 교반한 후, 16)을 부가하여 교반냉각하여 45℃로 한다.
배합예 13 O/W형 유화 화장기초
1) 정제수 잔여
2) 글리세린 20.0
3) 1,2-펜탄디올 3.0
4) 1,3-부틸렌글리콜 1.0
5) 유동 파라핀 7.5
6) 이소스테아린산 0.5
7) 아스코르빈산 0.2
8) 카모밀라 엑기스 0.1
9) 범의귀 엑기스 0.3
10) 프탈산 디2-에틸헥실 0.3
11) 구형상 실리카 4.0
12) 산화아연피복탈크 5.0
13) 탈크 5.0
14) 안정화제 적량
15) 향료 적량
(제법)
5)~14)를 85℃로 가열용해한다(유상). 1)에 2)~4)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분산한다(수상). 수상 중에 유상을 첨가하고, 85℃에서 100분간 유지하여 교반한 후, 15)를 부가하고 교반냉각하여 45℃로 한다.
배합예 14 유성 아이섀도우
1) 디메티콘 10.0
2) 에스테르유 10.0
3) 유동 파라핀 잔여
4) 스쿠알란 10.0
5) 소르비탄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1.0
6) 폴리에틸렌왁스 8.0
7) 셀레신왁스 3.0
8) 운모 7.0
9) 구형상 셀룰로스분말 5.0
10) 운모티탄 8.0
11) 산화아연 피복실리카 7.0
12) 카올린 10.0
13) 산화방지제 적량
14) 향료 적량
(제법)
1)~7)을 85℃로 가열용해하여 이것에 8)~12)를 첨가하고, 교반혼합한 후 13), 14)를 교반혼합하고 용기에 충전하여 냉각한다.
배합예 15 립스틱
1) 폴리에틸렌왁스 10.0
2) 셀레신왁스 3.0
3) 라놀린 20.0
4) 폴리부텐 20.0
5)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5.0
6) 디메티콘 12.0
7) 에스테르유 잔여
8) 산화티탄 4.5
9) 적색 201호 0.5
10) 적색 202호 1.1
11) 적색 223호 0.3
12) 구형상 폴리에틸렌 분말 3.0
13) 벤가라 피복운모 티탄 12.0
14) 산화아연피복탈크 5.0
15) 질화붕소분말 5.0
16) 산화방지제 적량
17) 향료 적량
(제법)
1)~7)을 85℃로 가열용해하여 이것에 8)~15)를 첨가하고, 교반혼합한 후 16), 17)을 교반혼합하고, 용기에 충전하여 냉각한다.
배합예 16 양용 파우더 파운데이션
1) 실리콘처리 셀리사이트 13.0
2) 실리콘처리 운모 잔여
3) 실리콘처리 탈크 15.0
4) 산화아연피복운모 5.0
5) 스테아린산알루미처리 미립자산화티탄 6.0
6) 실리콘처리 산화티탄 9.0
7) 실리콘처리 벤가라 1.2
8) 실리콘처리 황산화철 2.5
9) 실리콘처리 흑산화철 0.9
10) 황산바륨 분말 7.0
11) 폴리우레탄 분말 1.0
12) 실리콘 탄성분말 5.0
13) 폴리에틸렌 분말 2.0
14) 운모티탄 4.0
15) 파라벤 적량
16) 디메틸폴리실록산 3.0
17) 메틸페닐폴리실록산 2.0
18) 바세린 2.0
19)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3.0
20) 소르비탄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1.0
21) 폴리에테르실리콘 1.0
22) 산화방지제 적량
23) 향료 적량
(제법)
1)~22)를 85℃로 가열혼합한 후, 23)을 균일하게 분무한다.
배합예 17 양용 파우더 파운데이션
1) 실리콘처리 셀리사이트 22.0
2) 실리콘처리 운모 잔여
3) 실리콘처리 카올린 10.0
4) 산화아연피복 실리카 7.0
5) 실리콘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8.0
6) 실리콘처리 산화티탄 9.0
7) 실리콘처리 벤가라 1.2
8) 실리콘처리 황산화철 2.5
9) 실리콘처리 흑산화철 0.9
10) 구형상 실리콘 분말 8.0
11) 라우로일라이신 피막산화티탄 4.0
12) 파라벤 적량
13) 디메틸폴리실록산 4.0
14) 폴리에틸렌글리콜 2.0
15) 플루오로폴리에테르 2.0
16)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2.0
17) 소르비탄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1.0
18) 산화방지제 적량
19) 향료 적량
(제법)
1)~18)을 85℃로 가열혼합한 후 19)를 균일하게 분무한다.
배합예 18 청정용 크린싱제
1) 정제수 91.945
2) 염화나트륨 0.35
3) 디프로필렌글리콜 2.0
4) 헥사메타인산 소다 0.005
5) 산화아연피복 탈크 5.0
6) 벤토나이트 0.5
7) 메틸파라벤 0.1
8) POE(20)옥틸도데실에테르 0.1
(제법)
1)에 2)~8)을 잘 교반하면서 용해·분산하고 그것을 부직포에 함침시킨다.
배합예 19 종이분
1) 착색제 25
2) 산화아연피복 실리카 3
3)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0.2
4) 디히드로초산나트륨 0.1
5) 메타인산나트륨 0.2
6)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E.O.) 0.2
7) 향료 0.1
8) 정제수 적량
계 100질량%
(제법)
8)에 1)~7)을 혼합한 도공액을 지면에 도공한 후, 건조시킨다.
배합예 1~19의 피부외용제는 모두 플라스미노겐활성제 흡착·저해작용을 갖고, 접촉성 피부염,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이외에, 보통사람이 경험하는 피부 거칠음, 또는 여드름에 대해 우수한 개선·예방효과를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효소흡착성과 작용성을 가진 복합분체로 하는 것에 의해 높은 안전성과 함께 우수한 대피부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laims (1)

  1. 플라스미노겐활성제를 흡입 또는 흡착하는 흡착 부위의 표면에, 플라스미노겐활성제의 저해 특성을 갖는 작용 부위를 형성하는 복합 분체에 있어서,
    상기 흡착 부위의 표면적에 대한 상기 작용 부위의 피복률이 1~90%이고,
    상기 작용 부위가 산화아연이고, 흡착 부위가 실리카, 탈크, 폴리아미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실리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
KR1020107004153A 2001-06-29 2002-06-28 복합분체 및 이를 배합시킨 피부외용제 KR201000286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200002 2001-06-29
JP2001200002 2001-06-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680A Division KR101089438B1 (ko) 2001-06-29 2002-06-28 복합분체 및 이를 배합시킨 피부외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674A true KR20100028674A (ko) 2010-03-12

Family

ID=190372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153A KR20100028674A (ko) 2001-06-29 2002-06-28 복합분체 및 이를 배합시킨 피부외용제
KR1020037002680A KR101089438B1 (ko) 2001-06-29 2002-06-28 복합분체 및 이를 배합시킨 피부외용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680A KR101089438B1 (ko) 2001-06-29 2002-06-28 복합분체 및 이를 배합시킨 피부외용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92834B2 (ko)
EP (1) EP1407752B1 (ko)
JP (1) JP4149378B2 (ko)
KR (2) KR20100028674A (ko)
CN (1) CN100346767C (ko)
ES (1) ES2417356T3 (ko)
TW (1) TWI241197B (ko)
WO (1) WO2003002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4403A (ja) * 2002-12-26 2004-07-22 Shiseido Co Ltd 複合粉体含有材料
JP4175123B2 (ja) * 2003-01-24 2008-11-05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複合化カーボンブラックの製造方法
US7988779B2 (en) * 2003-10-30 2011-08-02 Mcneil-Ppc, Inc.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nanoparticles
CN102036650A (zh) * 2008-05-21 2011-04-27 三好化成株式会社 表面处理粉体及掺入有该表面处理粉体的化妆品
JP4869377B2 (ja) * 2009-04-07 2012-02-08 三好化成株式会社 易分散性を有する親油化表面処理粉体および該粉体を配合した化粧料
JP2014091658A (ja) * 2012-11-06 2014-05-19 Nippon Steel Sumikin Materials Co Ltd 球状粒子及び球状粒子の製造方法
JP6762941B2 (ja) * 2014-12-15 2020-09-30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難燃剤としての金属酸化物で被覆された雲母
CN105524490B (zh) * 2015-07-20 2017-08-01 苏州宇希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氧化锌无机粉体材料的制备方法
CN105153754B (zh) * 2015-07-20 2017-12-19 苏州宇希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氧化锌无机粉体材料的改性方法
JP6988487B2 (ja) * 2017-01-06 2022-01-05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酸化ケイ素被覆紫外線遮蔽粒子、酸化ケイ素被覆紫外線遮蔽粒子含有水系組成物、化粧料
JP6988488B2 (ja) * 2017-01-06 2022-01-05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酸化ケイ素被覆紫外線遮蔽粒子、酸化ケイ素被覆紫外線遮蔽粒子含有水系組成物、化粧料
KR102437232B1 (ko) * 2017-01-06 2022-08-26 스미토모 오사카 세멘토 가부시키가이샤 산화 규소 피복 자외선 차폐 입자, 산화 규소 피복 자외선 차폐 입자 함유 수계 조성물, 화장료
CN114702637A (zh) * 2022-04-01 2022-07-05 国科广化韶关新材料研究院 一种环保型聚氨酯催化剂的制备方法及其应用
FR3133998A1 (fr) * 2022-04-05 2023-10-06 L V M H Recherche Composition solide de soin et/ou de maquillag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4787A (en) * 1982-07-20 1985-06-25 Johnson Products Co., Inc. Hair relaxer
US5122418A (en) * 1985-12-09 1992-06-16 Shiseido Company Ltd. Composite powder and production process
US5073272A (en) * 1988-11-15 1991-12-17 Aluminum Company Of America Method for using a flocculant powder
US5876758A (en) * 1989-08-04 1999-03-02 Lvmh Recherche Solid complex particles comprising a biologically active solid substance, mode of preparation and compositions for topical use containing them and intended to treat biological surfaces
JP2851885B2 (ja) * 1989-12-12 1999-01-27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酸化亜鉛および化粧料
GB9207280D0 (en) * 1992-04-02 1992-05-13 Unilever Plc Skin care method and composition
DE69433111T2 (de) * 1993-06-07 2004-07-08 Colloidal Dynamics Pty. Ltd., Sydney Messung der teilchengrösse und -ladung in mehrkomponenten-kolloiden
US5545428A (en) * 1993-10-05 1996-08-13 The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Method of preparing a suspension of particles and related methods
US5567596A (en) * 1994-12-29 1996-10-22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Rapid assay of activators and inhibitors of clotting
JP2943056B2 (ja) * 1994-12-30 1999-08-30 ミキ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イテド 粒状複合材料、その製造法および粒状複合材料を含む化粧品
ATE226089T1 (de) * 1995-01-27 2002-11-15 Tno Verwendung einer zubereitung enthaltend einen plasminogen-aktivator für die verbesserung der wundheilung
JP2780153B2 (ja) * 1995-02-20 1998-07-30 花王株式会社 粉体化粧料
US5902569A (en) * 1995-03-10 1999-05-11 Kao Corporation Ultraviolet shielding composite fine particle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cosmetics
JP3081529B2 (ja) * 1996-04-05 2000-08-28 花王株式会社 固形化粧料
GB9616978D0 (en) * 1996-08-13 1996-09-25 Tioxide Specialties Ltd Zinc oxide dispersions
JPH1087434A (ja) * 1996-09-09 1998-04-07 Pola Chem Ind Inc 高濃度コーティング酸化亜鉛
JPH11193354A (ja) * 1997-12-26 1999-07-21 Fuji Shikiso Kk シリカ被覆酸化亜鉛粒子、その製法及びその粒子を含有する 組成物
JP3503814B2 (ja) * 1999-04-30 2004-03-08 冨士色素株式会社 変性シリカ被覆金属酸化物、その製法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US6572693B1 (en) * 1999-10-28 2003-06-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esthetic dental materials
US20010014356A1 (en) * 1999-12-24 2001-08-16 Yuzo Yoshida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and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omprising the same
JP4326689B2 (ja) * 1999-12-24 2009-09-09 株式会社資生堂 プラスミノーゲンアクチベーター阻害剤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皮膚外用剤
JP4369013B2 (ja) * 2000-04-25 2009-11-18 トピー工業株式会社 雲母粉、及び雲母粉を含む組成物
JP2004514669A (ja) * 2000-11-07 2004-05-20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 セリンプロテアーゼ阻害剤として有用な酸誘導体
JP4283452B2 (ja) * 2001-01-18 2009-06-24 株式会社資生堂 メーキャップ化粧料
US7381415B2 (en) * 2002-03-29 2008-06-03 Shiseido Co., Ltd. Composite powder and cosmetic contain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46767C (zh) 2007-11-07
EP1407752B1 (en) 2013-04-03
CN1547460A (zh) 2004-11-17
WO2003002076A1 (fr) 2003-01-09
TWI241197B (en) 2005-10-11
JPWO2003002076A1 (ja) 2004-10-14
KR20040014938A (ko) 2004-02-18
US20040175386A1 (en) 2004-09-09
US8092834B2 (en) 2012-01-10
EP1407752A1 (en) 2004-04-14
EP1407752A4 (en) 2009-04-29
KR101089438B1 (ko) 2011-12-07
JP4149378B2 (ja) 2008-09-10
ES2417356T3 (es)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906B1 (ko) 복합 분체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1089438B1 (ko) 복합분체 및 이를 배합시킨 피부외용제
KR100705200B1 (ko) 플라스미노겐 액티베이터 저해제와 이를 배합한 피부외용제
KR101066690B1 (ko) 유성 피부 외용제
JP4283452B2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4326689B2 (ja) プラスミノーゲンアクチベーター阻害剤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皮膚外用剤
CN115414282A (zh) 含超微壬二酸的具有祛痘、抗炎及美白祛斑功效的组合物
JP4728517B2 (ja) 皮膚外用剤
JP2003012491A (ja) 粉体皮膚外用剤
JP4160490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KR100974395B1 (ko) 불용성 분체, 피부 장벽 기능 회복 분체, 피부 거칠음방지·개선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JP2003012558A (ja) 固化性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