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690B1 - 유성 피부 외용제 - Google Patents

유성 피부 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690B1
KR101066690B1 KR1020057008933A KR20057008933A KR101066690B1 KR 101066690 B1 KR101066690 B1 KR 101066690B1 KR 1020057008933 A KR1020057008933 A KR 1020057008933A KR 20057008933 A KR20057008933 A KR 20057008933A KR 101066690 B1 KR101066690 B1 KR 101066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kin
oil
lipophilic
zinc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9006A (ko
Inventor
유키미츠 스다
마리 요시다
에리코 가와이
시게루 무기쿠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50089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1Coated by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의 유분 분산성이 양호하고 또한 뛰어난 피부 거침 개선·방지 효과를 갖는 유성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유성 피부 외용제는 친유성 기초 분체의 표면에 산화아연이 피복된 복합 분체와, 상기 복합 분체를 분산시킨 유분을 포함하고, 친유성 기초 분체의 ζ전위가 피부상의 pH에서 음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친유성 기초 분체의 ζ전위가 피부상의 pH에서 -10 mV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친유성 기초 분체는 유분 분산시에 팽윤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거침 개선제 및 민감성 피부 손질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성 피부 외용제{OILY SKIN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본 발명은 유성 피부 외용제, 특히 산화아연 복합 분체를 함유하는 유성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성 피부 외용제에는 자외선 방어 등의 목적으로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분체의 배합이 시도되어 왔다. 이들 무기성(無機性) 분체는 통상 그 표면이 친수성이므로, 유성 기제(基劑) 중에 분산되기 어려워 그대로 유성 기제에 배합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유화 화장료로 할 때 분체를 포함하는 유상부(油相部)에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여 수상부(水相部)를 가하여 유화시키면, 분체와 계면 활성제, 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응집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결과, 조성물의 안정성에 문제를 일으킴과 동시에 분체가 본래 갖고 있는 기능의 발휘에도 지장을 초래한다.
그래서, 분산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분체 표면에 소수화 처리를 실시하고 친유성을 높인 분체[예를 들어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308819호), 불소 변성 실리콘(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77914호) 등으로 산화아연을 피복한 복합분말]을 배합한 화장료, 또는 분체를 특정의 분산제와 함께 유성분산매(分散媒) 중에 분산시킨 화장료(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08438호) 등이 각종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화장료에서는 분체의 유분 분산성이 어느 정도 향상되었다고는 하지만 충분하다고 할 수 없고, 또한 상기 분체의 표면을 피복하면 산화아연이 본래 갖는 효과를 발휘하기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분체의 유분 분산성이 양호하고, 또한 우수한 피부 거침 개선·방지 효과를 갖는 유성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자가 예의 연구한 결과, 친유성 기초 분체의 표면에 산화아연을 피복한 복합 분체 중 특정한 것은 유분 분산성이 양호하고, 피부 표면에서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를 흡착하여 이를 불활성화시키므로, 플라스미노겐 활성화계 효소의 활성 변화를 수반하는 여러가지 피부 질환, 피부 거침 등에 대해서 우수한 피부 거침 개선·방지 효과도 갖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유성 피부 외용제는 친유성 기초 분체의 표면에 산화아연이 피복된 복합 분체와, 상기 복합 분체를 분산시킨 유분을 포함하고,
친유성 기초 분체의 ζ전위가 피부상의 pH에서 음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친유성 기초 분체의 ζ전위가 피부상의 pH에서 -10 mV 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피부 외용제에서, 유분 분산시에 친유성 기초 분체 전체 표면적에 대한 산화아연의 피복율이 1 % 내지 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에서 친유성 기초 분체가 유분 분산시에 팽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외용제에서 친유성 기초 분체가 유기 분체, 특히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 폴리아미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카르바미드산 에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외용제에서 유분으로서 실리콘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외용제에서 복합 분체의 배합량이 1 질량% 내지 5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거침 개선제 및 민감성 피부 손질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복합 분체를 도시한 도면, 및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메카노퓨전(mechanofusion)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친유성 기초 분체 14: 산화아연
20: 회전 용기 22: 분체 재료
24: 이너피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복합 분체>
피부 거침 개선·방지 효과에 대해서
최근, 피부의 거침이나 각화(角化) 이상을 수반하는 여러 피부 질환의 병상 형성에는 프로테아제, 특히 플라스민이나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라는 선용계(線溶系) 효소의 활성 변화가 깊이 관여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실험적으로 피부 거침을 일으킨 표피 세포층에서는 플라스민의 분포에 변화가 보이고, 피부 거침 방지·개선에 항플라스민제가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Kenji kitamura: J.Soc.Cosmet. Chem. Jpn; 29(2), 1995).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는 플라스민의 전구체인 플라스미노겐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이를 활성 플라스민으로 변환하는 프로테아제이다.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에서도 표피 중에 높은 선용 활성이 보이고 있다(T.Lotti: Department of Dermatology; 28(7), 1989). 또한, 대표적인 염증성 이상 각화성 질환인 건선에서는 그 환부 표피의 착각화(錯角化) 부위에 강한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 활성이 존재한다는 것(Haustein: Arch. Klin. Exp. Dermatol; 234, 1969)이나, 고농도의 염 용액을 사용하여 건선 비늘 찌꺼기로부터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를 추출했다는 보고(Fraki, Hopsu-Havu: Arch. Dermatol. Res; 256, 1976)가 있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복합 분체는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를 흡착하는 기 초 분체와, 상기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의 활성을 저해하는 아연 이온을 용출하는 산화아연의 복합 분체이므로, 피부 거침 개선·방지 효과에 뛰어나다.
산화아연
본 발명에 관한 복합 분체에서 산화아연은 아연 이온을 용출하고,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를 불활성화한다.
하기 표 1에 이온 농도 100 ppm에서의 각종 이온의 유로키나제(UK) 저해율을 나타낸다. UK는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의 일종이다.
(UK 활성 저해율의 측정 방법)
시료 현탁수 20 ㎕에 Tris-HCl 완충액 (pH 7.5)을 가하여 전량(全量)을 180 ㎕로 하고, 여기에 300 U/㎖ 의 활성형 UK 20 ㎕를 첨가하여 실온에 방치한다. 30분 후, UK의 특이적인 합성 기질인 S2444(CHROMOGENIX)를 20 ㎕ 첨가하고, 또한 37 ℃ 항온기에 30분 방치한다. 그 후 12 %의 트리클로로 아세트산 수용액 20 ㎕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시료 분말을 여과하고 여과액의 405 ㎚ 흡광도를 측정하여 평가계 중의 UK 활성을 구하고, 또한 시료에 의한 UK 활성 저해율을 산출한다.
Figure 112005025961721-pct00001
표 1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아연 이온에는 가장 우수한 UK 저해 작용이 인정되었다. 이점으로부터 각 이온의 효소로의 작용에는 높은 특이성이 있는 것이 인정된다.
본 발명에서 복합 분체는 유분에 분산되어 있지만, 화장료 중에서는 수상과 접촉하므로 산화아연으로부터 아연 이온이 용출되어,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 저해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또는 물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이어도 도포시에 피부상의 수분에 의해 산화아연으로부터 아연 이온이 용출되어,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 저해 작용을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산화아연은 일본 약국방에도 수록되어 있는데, 그 약리 작용으로서 피부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피막을 형성하고 수렴, 소염, 보호 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가 아는 한, 피부상 효소를 흡착하고 또한 그 활성에 작용하는 것을 나타낸 보고는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산화아연의 평균 입자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01 ㎛ 내지 5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친유성 기초 분체
본 발명에 관한 복합 분체에서 ζ전위가 양의 값인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를 흡착하기 위해, 친유성 기초 분체의 ζ전위는 피부상의 pH에서 음의 값, 특히 -10 mV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중에서 분체가 전하를 가질 때, 상기 전하를 제거하기 위해 반대 전하의 이온이 정전력(靜電力)으로 분체에 끌어 당겨져 전기 이중층이 형성된다. 이중층의 최외측(最外側)의 전위가 ζ전위이다. 따라서, ζ전위는 대상물의 표면 하전 상태의 평가에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효소를 전기적으로 흡착하는 능력의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ζ전위는 통상 스몰코프스키의 공식 ζ전위 = 4 πηU/ε(η: 용매의 점도, U: 전기영동 이동도(易動度) ε: 용매의 유전율)로부터 구해진다.
ζ전위를 구하기 위해서는 전기영동법에 의해 콜로이드 입자의 속도(V), 및 전기영동 이동도(U)를 구한다. 대전된 콜로이드 입자에 전기장(E)을 가하면 입자가 이동한다. V = L/t(L: 이동 거리, t: 시간), U = V/E에서 얻어진다.
(ζ전위의 측정 방법)
pH 7.5의 Tris-HCl 완충액 중에 시료를 분산·초음파 처리한 후 측정에 사용했다. ζ전위는 오오즈카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전기영동 광산란 광도계 LEZA-600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측정은 3회 실시하고 결과는 이들의 평균값으로 나타낸다.
pH 7.5에서의 각 물질의 ζ전위와, 농도 100 ppm에서의 UK의 흡착률의 관계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UK 흡착율의 측정 방법)
시료 현탁수 20 ㎕에 Tris-HCl 완충액(pH 7.5)을 가하여 전량을 180 ㎕로 하고, 여기에 10 ㎍/㎖의 전구체형 UK 20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한다. 그 후 시료 분말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회수한다. 또한, 일정량의 Tris-HCl 완충액에서 분말을 충분히 세정하고, 여과액과 세정액을 합쳐 이를 미흡착 UK 용액으로 했다. TintEliza uPA(biopool)을 사용하여 ELISA법으로 미흡착 UK 용액 중의 UK 농도를 구하고, 그 값으로부터 시료 분말에 흡착된 UK량을 산출하여 UK 흡착율을 구한다.
Figure 112005025961721-pct00002
표 2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반드시 비례관계는 아니지만 ζ전위가 낮을수록 UK 흡착율이 높은 경향이 있고, ζ전위와 UK 흡착율에는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친유성 기초 분체의 ζ전위는 피부상의 pH에서 음의 값, 특히 -10 mV 이하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친유성 기초 분체로서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 폴리아미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카르바미드산 에틸 등을 들 수 있지만, ζ 전위는 여러 조건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고 물질에 따라 일정한 것은 아니다.
이들 친유성 기초 분체의 형상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닌데, 일반적으로는 구형상, 판형상 또는 부정형상이고, 또한 다공성이어도 좋고 다공성이 아니어도 좋다. 친유성 기초 분체가 구형상인 경우에는 특히 광확산 효과, 사용감이 뛰어난 것이 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스킨케어 화장료에 사용하는 경우, 구형상 실리콘 고무 또는 구형상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는 매끄러운 느낌이 강하여 바람직한 사용감이 된다.
평균 입자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01 ㎛ 내지 5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복합 분체에서는 산화아연 유래의 아연 이온의,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 활성 저해 효과가, 상기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를 흡착하는 친유성 기초 분체의 존재시에 더욱 향상된다.
산화아연만이 존재하는 경우, 특정 효소를 충분히 저해하기 위해서는 고농도의 아연 이온이 필요해지고, 화장료에 배합하는 데에 있어서는 제제(製劑) 구축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그러나, 산화아연과 친유성 기초 분체의 복합 분체인 경우에는 친유성 기초 분체가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를 흡착하므로, 아연 이온이 상기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에 작용하기 쉽고, 아연 이온이 저농도이어도, 효과적으로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의 활성 저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산화아연과 친유성 기초 분체를 따로따로 화장료에 배합한 경우에도 각 분체 단독보다도 약간 높은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들 복합 분체를 사용한 경우에 매우 높은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 저해 효과가 인정된다.
또한, 참고로서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와 동일한 세린 프로테아제로 분류되는 트립신에 대해서도 검토한 바, 트립신은 복합 분체에 흡착되지만 활성은 거의 잃지 않았다. 즉, 본 발명의 복합 분체는 비특이적으로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것은 아니다.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에는 유로키나제와 조직형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라고 불리는 2종류가 있고, 전자는 건강한 표피이고 후자는 주로 병적인 표피에서 그 존재가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의 복합 분체는 상기 양쪽의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에 대해서 흡착·저해 작용을 갖는 것으로 대표된다.
복합화
산화아연은 친수성이므로 산화아연 분말 단독으로는 유성 기제 중에 분산되기 어렵고 응집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복합 분체에서는 특정 조건에서, 산화아연을 친유성 기초 분체에 피복하고 있으므로 유분 분산성이 양호하다. 이하에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복합화 방법 1
친유성 기초 분체(12) 전체 표면적에 대한 산화아연(14)의 피복율이 1 % 내지 90 %인 복합 분체[도 1의 (A)].
피복율이 90 %를 초과하면 친유성이 충분하지 않게 되고 유분 분산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친유성 기초 분체에 의한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 흡착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피복율이 1 % 미만이면 아연 이온에 의한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 활성 저해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피복율은 1 % 내지 90 %이다.
복합화 방법 2
친유성 기초 분체(12)가 팽윤성이고 유분 분산시에 팽윤된 친유성 기초 분체(12) 전체 표면적에 대한 산화아연(14)의 피복율이 1 % 내지 90 %인 복합 분체[도 1의 (B)].
분체 건조시에 친유성 기초 분체 전체 표면적에 대한 산화아연의 피복율이 90 %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친유성 기초 분체가 팽윤성인 경우 유분 분산시에 팽윤한 상태에서, 친유성 기초 분체 전체 표면적에 대한 산화아연의 피복율이 1 % 내지 90 %이면 양호한 유분 분산성, 및 피부 거침 개선·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피복율이라는 것은 표면적에 대한 것으로서, 질량에 대한 것은 아니다.
팽윤성의 친유성 기초 분체로서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의 분체에서도 팽윤성을 갖는지의 여부는 가교도 등의 조건에 기인한다.
팽윤성의 친유성 기초 분체는 경도가 1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1 내지 50이다. 경도가 80을 초과하면 팽윤성을 갖지 않는다. 또한, 경도가 1 미만인 분체는 그 자체를 제조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 경도는 스프링식 경도 시험 A형(JIS K6301)에서 측정한 값으로 한다.
스프링식 경도 시험(A형)
스프링식 경도 시험기(A형)를 수직으로 유지하고, 압침이 시험편(두께 12 ㎜ 이상)의 측정면에 수직이 되도록 가압면을 접촉시켜 시험편의 경도를 구한다.
친유성 기초 분체와 산화아연의 평균 입자 직경의 비는 특별히 제한받지 않지만, 친유성 기초 분체 : 산화아연 = 1 : 1 ~ 10000 : 1, 특히 친유성 기초 분체 : 산화아연 = 5 : 1 ~ 1000 :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아연이 상기 비(比)보다도 상대적으로 작으면, 친유성 기초 분체의 표면을 완전하게 피복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유분 분산성 및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 흡착 효과가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산화아연이 상기 비(比) 보다도 상대적으로 크면, 친유성 기초 분체를 피복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서 산화아연과 친유성 기초 분체는 단순히 혼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복합화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복합 분체는 산화아연과 친유성 기초 분체를 건식 또는 습식으로 혼합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메카노퓨전 처리에 의한 방법을 들 수 있다.
메카노퓨전(mechanofusion)이라는 것은 복수의 다른 소재 입자에 어떤 종류의 기계적 에너지를 가하여 메카노케미컬적인 반응을 일으켜 새로운 소재를 창조하는 기술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용기(20) 내에 투입된 분체 원료(22)는 원심력에 의해 그 내벽에 억압되어 고정되고, 곡률 반경이 다른 이너피스(24)와의 사이에서 강력한 압축·전단력을 받는다. 상기 기계적 방법은 습식법 등의 다른 입자 복합화 방법에 비해 공정이 간단하고 조합의 폭이 훨씬 넓은 것이 장점이다. 상기 메카노퓨전 시스템은 표면 융합에 의한 고체 입자의 복합화 뿐만 아니라, 입자의 형상을 컨트롤하는 등, 종래의 분체 혼합기에 비해 혼합도가 높은 분체 융합을 실현한다.
그 밖에, 혼합 장치로서는 각종 볼밀, 옹밀, 스크린밀, 포토밀, 막자사발, 아트라이터, 하이브리다이저, 헨쉘 믹서 등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복합 분체는 적절한 은폐력을 갖고, 이를 배합한 유성 피부 외용제는 기미, 주근깨, 얼룩의 보정 효과가 우수한 것이 된다.
특히, 휘발성 유분이나 물을 사용하면 도포시에는 피부에 대한 도포 용이성이나 사용성이 뛰어나고, 도포 후에는 유분이나 물이 휘발되어 피부상에서 광확산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분체는 광확산 효과가 우수하므로, 이를 배합한 유성 피부 외용제는 피부의 울퉁불퉁함을 보정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이 된다. 친유성 기초 분체가 구형인 경우, 특히 광확산 효과가 뛰어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유성 피부 외용제에서의 복합 분체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1 질량% 내지 50 질량%, 바람직하게는 3 질량% 내지 20 질량%이다. 1 질량% 미만이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50 질량%를 초과하면 제제 처방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유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보카드유, 동백나무유, 터틀유, 마카데미어너트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 기름, 난황유, 참기름, 살구씨 기름, 소맥배아유, 산다화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사플라워유, 면실유, 들기름, 대두유, 낙화생유, 티오일, 비자나무유, 쌀겨유, 뽕나무유, 일본오동나무 기름, 호호바 오일,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 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틴산 글리세린 등의 액체 유지; 카카오 기름, 야자유, 마지(horse fat), 경화야자유, 팜유, 우지, 양기름, 경화 우지, 팜핵유, 돼지기름,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유, 목랍, 경화 피마자유 등의 고체 유지; 밀랍, 칸데릴라 왁스, 면왁스, 카르나바 왁스, 월계수 왁스, 쥐똥나무 왁스, 고래왁스, 몬탄 왁스, 쌀겨 왁스, 라놀린, 판야 왁스, 아세트산 라놀린, 액정 라놀린,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린산 헥실, 환원 라놀린, 조조바 왁스, 경질 라놀린, 셸락왁스, POE 라놀린알콜에테르, POE 라놀린알콜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첨가 라놀린알콜에테르 등의 왁스류; 유동 파라핀, 지랍, 스쿠알렌,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란, 바세린, 미세결정질 왁스 등의 탄화수소;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올레인산, 운데실렌산, 톨산, 이소스테아린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의 고급 지방산; 직쇄 알콜(예를 들어 라우릴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미리스틸알콜, 올레일알콜, 세토스테아릴알콜 등); 분지쇄 알콜(예를 들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콜),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알콜,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콜, 옥틸도데칸올 등) 등의 고급 알콜;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옥탄산 세틸,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 부틸, 라우린산 헥실,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올레인산 데실,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락트산 세틸, 락트산 미리스틸, 아세트산 라놀린, 스테아린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 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 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린산 네오펜틸글리콜,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린, 트리옥탄산 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틴산 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틴산 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올레인산 올레일, 아세토글리세라이드, 팔미틴산 2-헵틸운데실, 아디프산 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 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신산 디-2-에틸헥실, 미리스틴산 2-헥실데실, 팔미틴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2-헥실데실, 세바신산 디이소프로필, 숙신산 2-에틸헥실, 시트르산 트리에틸 등의 합성 에스테르유; 쇄(鎖)형 폴리실록산(예를 들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페닐폴리실록산 등); 환형 폴리실록산(예를 들어,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 각종 변성 폴리실록산(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알킬 변성 폴리실록산, 불소변성 폴리실록산 등) 등의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끈적거림이 경감된 사용성 측면에서 실리콘유가 바람직하다.
<자극 완화성>
극히 드물기는 하지만, 화장품 등 피부 외용제를 사용할 때 쓰림, 화끈거림과 같은 자극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자극을 느끼는 경우, 본 복합 분체를 해당 피부 외용제에 배합하면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다.
<기타 성분 등>
본 발명의 유성 피부 외용제에는 상기 필수 성분 외에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에 사용되는 기타 성분, 예를 들어 그 밖의 분말 성분,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증점제, 피막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이온 봉쇄제, 저급 알콜, 다가 알콜, 당, 아미노산, 유기 아민, 고분자 에멀전, pH 조제제(調製劑), 피부 영양제, 비타민, 산화방지제, 산화방지 조제, 향료, 물 등을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하고 상법(常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에데트산 이나트륨, 에데트산 삼나트륨, 시트르산 나트륨, 폴리인산 나트륨, 메타인산 나트륨, 글루콘산, 말산 등의 금속 봉쇄제, 카페인, 탄닌, 베라파밀, 트라넥삼산 및 이의 유도체, 알킬렌옥시드 유도체, 감초, 모과, 노루발풀 등의 각종 생약 추출물, 아세트산 토코페롤, 글리틸레딘산, 글리틸리틴산 및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빈산 인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빈산 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등의 미백제, 알기닌, 리진 등의 아미노산 및 이의 유도체, 프룩토스, 만노스,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크실리톨 등의 당류 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성 피부 외용제는 외피에 적용되는 화장료, 의약품, 및 의약부외품에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제형은 어떤 약제 처방 형태도 가능하고 용액계, 가용화계, 유화계(O/W형, W/O형, W/O/W형, O/W/O 형 등), 물-오일 2층계, 겔, 에어졸 및 캅셀 등 임의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유화계인 경우, 산화아연으로부터의 아연 이온의 용출 및 피부로부터의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의 추출이 용이해지므로 바람직하다.
배합할 수 있는 화장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성 피부 외용제 전반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백용 미용액, 유액, 크림, 팩, 파운데이션, 립스틱, 아이섀도우,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세안료, 바디 세정료, 선스크린 크림, 스프레이, 무스, 젤, 헤어린스, 샴프, 피부과용 연고 등, 종래 화장료에 사용하는 것이면 어떤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민감성 피부 등의 종래 화장료의 사용이 곤란했던 피부에 대한 적용에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민감성 피부라는 것은 간행물 등에 의하면 이하와 같이 되어 있다. 「보통은 의약품 외용제, 화장품, 식물, 자외선, 금속 등 다수의 사람에게 아무렇지도 않은 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기 쉬운 피부. 배리어 기능이 저하되어 있어 알러지성 물질(꽃가루, 향료 등)이나 자극성 물질(알콜 등)에 체질적으로 민감한 피부」 및 「수면부족, 과로, 생리, 환절기, 정신적인 스트레스 등에 의해 피부 본래의 저항력 또는 피부의 생리기능이 약화되었을 때 자극물에 대해서 일시적으로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기 쉬워지는 피부. 보통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의 사용에 불안감을 느끼는 일이 있는 염려 피부.」
이와 같이 피부 상태가 민감해지는 요인으로서는 피부 배리어 기능의 저하, 피부 자극 임계값의 저하, 피부의 건조, 접촉성 피부염의 기염(起炎)물질, 물리화학적 자극, 스트레스, 컨디션(體調), 계절변화, 자외선, 생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잘못된 스킨 케어에 의해 저절로 피부가 민감해진 경우, 또는 단순히 본인의 생각으로 민감성 피부로 분리되는 경우도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 민감성 피부 대상자로서는 하기 1 내지 5 중 어느 처리에서 이상 감각을 느끼는 자로 정의했다.
1 5 % 시트르산 수용액 100 ㎕를 볼에 도포하고 10분간 둠.
2 5 % 락트산 수용액 100 ㎕를 볼에 도포하고 10분간 둠.
3 50 % 에탄올 용액 100 ㎕를 볼에 도포하고 10분간 둠.
4 0.2 % 메틸파라벤 수용액 100 ㎕를 2 × 2 ㎝ 부직포에 함침하고 볼에 10분간 정치(靜置)한다.
5 5 % SDS 수용액 100 ㎕를 2 × 2 ㎝ 부직포에 함침하고 볼에 30분간 정치한다.
또한, 이상 감각이라는 것은 피부 영역에서 감지되는, 비교적 고통을 수반하는 감각, 예를 들어 따끔따끔한 통증, 간질간질한 느낌, 가려움, 열감, 불쾌감, 찌르는 듯한 통증 등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합 분체 1 산화아연 피복 실리콘 고무 분체(팽윤성)
산화아연(아연화(亞鉛華) 정동(正同) : 평균 입자 직경 0.5 ㎛)와 실리콘고무 분체(트레필 E506WTM : ζ전위 -12.0 mV : 평균 입자 직경 5 ㎛)를 혼합 비율을 변화시켜 혼합하고, 메카노퓨전 처리(2600 rpm, 2분)에 의해 복합화하여 원하는 피복율의 복합 분체를 얻었다(복합 분체 1-1 내지 1-6).
얻어진 복합 분체의, 팽윤시의 실리콘 고무 분체의 전체 표면적에 대한 산화아연의 피복율은 전자 현미경 관찰에 의해 관찰했다.
복합 분체 1-1 1-2 1-3 1-4 1-5 1-6
팽윤시의 피복율(%) 1 5 10 50 90 100
비교예 1: 산화아연(아연화 정동: 평균 입자 직경 0.5 ㎛)와, 실리콘 고무 분체(트레필 E506WTM)의 혼합물(질량비 1 : 9)
복합화의 확인
처음에 본 발명의 복합 분체가 단순히 혼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복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이하의 시험을 실시했다.
즉, 복합 분체 1-3 0.1 g, 물 20 g, 실리콘유(실리콘 오일 D5TM) 20 g을 혼합하여 교반한 바, 유상에 양호하게 분산되었다. 동일하게, 비교예 2의 혼합 분체 0.1 g, 물 20 g, 실리콘유(실리콘 오일 D5TM) 20 g을 혼합하여 교반한 바, 실리콘 고무 분체는 오일에, 산화아연은 물에 나누어져 분산되었다. 이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산화아연과 친유성 기초 분체가 단순히 혼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확실히 복합화되어 있는 것이 증명되었다.
다음에, 복합 분체 1-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분체를 사용하여, 분체의 유분 분산성 및 피부 거침 개선 효과의 관계에 대해서 시험했다. 구체적 시험 방법 및 그 판정 기준은 하기와 같다.
복합 분체의 유분 분산성
(시험방법)
복합 분체와 실리콘유(실리콘 오일 D5TM)를 혼합하여 교반한다.
(판정기준)
○: 양호하게 분산됨
×: 응집됨
피부 거침 개선 효과
(시험 방법)
하기 표 4의 처방에서 유성 피부 외용제를 제조하여 패널 20명의 안면에 1일 1회 이상 8주간 도포한 후 피부의 상태를 평가했다.
현저한 효과: 피부 상태가 현저하게 좋아졌다
효과 있음: 피부 상태가 좋아졌다
약간 효과 있음: 피부 상태가 약간 좋아졌다
효과 없음: 피부 상태에 변화가 없거나 또는 악화되었다
(판정기준)
◎: 피험자가 현저한 효과, 유효 및 약간 유효를 나타내는 비율(유효율)이 80% 이상
○: 유효율이 50 % 이상 80 % 미만
△: 유효율이 30 % 이상 50 % 미만
×: 유효율이 30 % 미만
Figure 112005025961721-pct00003
(제법)
(1) ~ (7)을 가열하여 75 ℃로 유지(유상). (10)에 (8), (9)를 용해하여 75℃로 가온한다(수상). 수상을 유상에 첨가하여 호모믹서에서 균일하게 유화하여 잘 섞으면서 30 ℃까지 냉각한다.
복합 분체 1-3: 10 % 산화아연 피복 실리콘 고무 분체
비교예 1: 산화아연(아연화 정동 : 평균 입자 직경 0.5 ㎛)과, 실리콘 고무 분체(트레필 E 506WTM)의 혼합물(질량비 1 : 9)
비교예 2: 실리콘 고무 분체(트레필 E506WTM)
비교예 3: 산화아연(아연화 정동: 평균 입자 직경 0.5 ㎛)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복합 분체 1-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유분 분산성 × ×
피부 거침 개선 효과 ×
산화아연은 친수성이므로 산화아연 단독으로는 유분 분산성이 나쁘고, 피부 거침 개선 효과도 낮았다(비교예 3). 실리콘 고무 분체 단독으로는 유분 분산성은 좋지만, 피부 거침 개선 효과가 보이지 않았다(비교예 2). 또한, 산화아연과 친유성 기초 분체를 따로따로 배합한 경우(비교예 1)는 피부 거침 개선 효과가 충분하지는 않았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복합 분체는 유분 분산성, 피부 거침 개선 효과 모두 양호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복합 분체에서는 산화아연 유래의 아연 이온의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 활성 저해 효과가, 상기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를 흡착하는 친유성 기초 분체의 존재로 더욱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산화아연과 친유성 기초 분체를 따로따로 배합한 경우와 비교하여 이들 복합 분체에 매우 높은 피부 거침 개선 효과가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복합 분체 2 산화아연 피복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 분체
실시예 1에서 실리콘 고무 분체 대신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 분체(KSP100TM: ζ전위 -14.0 mV : 평균 입자 직경 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원하는 피복율의 복합 분체를 얻었다. 10 % 피복율의 것을 복합 분체 2-1, 50 % 피복율의 것을 복합 분체 2-2로 한다.
비교예 4: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 분체(KSP 100TM)
비교예 5: 산화아연(아연화 정동: 평균 입자 직경 0.5 ㎛ )과,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 분체(KSP 100TM)의 혼합물(질량비 1 : 9)
다음에 상기 시험예의 분체 배합의 유성 피부 외용제를 사용하여, 피부 거침 방지 효과를 시험했다. 유성 피부 외용제의 처방은 표 4와 같다.
피부 거침 방지 효과
(시험방법)
54명의 남성 패널의 팔 앞쪽 내측부 2군데에 5 % SDS 수용액을 적신 탈지면(2 × 2 ㎝)를 대고 15분간 고정하여 활성제를 씻어낸 후, 거기에 패널마다 할당된 유성 피부 외용제를 도포했다(n=3). 상기 조작을 7일간 반복하여 8일째에 피험 부위를 충분히 세정하고 60분 방치한 후 SDS에 의해 야기되는 피부 거침의 정도를 관찰하여 이하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평점을 매겼다. 도포하지 않은 부위를 대상부위로 했다. 또한, 패널마다 대조 확인 부위와 화장료 도포 부위의 평점차를 구하여 이를 각 화장료마다 합계를 내고, 이하의 피부 거침 방지 효과 기준에 기초하여 각 시료의 효과를 판정했다.
(피부 거침 평점 기준)
평점 4: 분명한 홍반 및 / 또는 낙설(落屑)이 보인다
평점 3: 중간 정도의 홍반 및 / 또는 약간 낙설이 보인다
평점 2: 약간 홍반 및 / 또는 각 층에 균열이 보인다
평점 1: 각층 표면이 하얀, 또는 가루가 생긴 것처럼 보인다
평점 0: 증상 없음
(피부 거침 방지 효과 판정 기준)
◎= 분명히 효과 있음 : 평점차 6 이상
○= 약간 효과 있음 : 평점차 4 또는 5
△= 방지 경향 있음 : 평점차 2 또는 3
×= 효과 없음 : 평점차 1 이하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복합 분체 2-1 복합 분체 2-2 비교예 4 비교예 5
피부 거침 방지 효과 ×
친유성 기초 분체 단독의 경우 (비교예 4), 및 산화아연과 친유성 기초 분체를 복합하지 않고 배합한 경우(비교예 5)에서는 도포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피부 거침 방지 효과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의 복합 분체를 배합한 경우(복합 분체 2-1, 2-2)는 분명히 효과가 보였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복합 분체에서는 산화아연과 친유성 기초 분체를 복합화함으로써, 매우 높은 피부 거침 방지 효과가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복합 분체 3 산화아연 피복 폴리아미드 분체
실시예 1에서 실리콘 고무 분체 대신 폴리아미드 분체(나일론 SP500TM : ζ전위 -32.0 mV : 평균 입자 직경 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원하는 피복율의 복합 분체를 얻었다.
복합 분체 4 산화아연 피복 폴리에틸렌 분체
실시예 1에서 실리콘 고무 분체 대신 폴리에틸렌 분체(프로센 UFTM : ζ전위 + 1.0 mV : 평균 입자 직경 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원하는 피복율의 복합 분체를 얻었다.
친유성 기초 분체의 ζ전위와 유분 분산성 및 피부 거침 개선 효과와의 관계
상기 시험예의 10 % 산화아연 피복 친유성 기초 분체를 사용하여, 친유성 기초 분체의 ζ전위와, 복합 분체의 유분 분산성 및 피부 거침 개선 효과의 관계에 대해서 시험했다. 구체적 시험 방법 및 상기 판정 기준은 상기와 같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복합분체 복합분체 1-3 복합분체 2-1 복합분체 3 복합분체 4
친유성 기초 분체 실리콘 고무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ζ전위(mv) -12.0 -14.0 -32.0 +1.0
피복율(%) 10 10 10 10
유분 분산성
피부 거침 개선 효과
어떤 복합 분체에서도 유분 분산성은 양호했지만, ζ전위가 양의 값인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경우에는 피부 거침 개선 효과가 충분하지 않았던 데에 비해, ζ전위가 음의 값인 실리콘 고무, 폴리아미드, 실리콘 고무 피복 실리콘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피부 거침 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ζ전위가 음의 값인 친유성 기초 분체가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를 흡착하기 때문에, 아연 이온이 상기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에 작용하기 쉽고, 효과적으로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의 활성 저해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친유성 기초 분체의 ζ전위는 음의 값, 특히 -10 mV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아연 피복율과 유분 분산성 및 피부 거침 개선 효과와의 관계
다음에 상기 복합 분체 1 및 복합 분체 3의 산화아연 피복 친유성 기초 분체를 사용하여, 산화아연 피복율과 복합 분체의 유분 분산성 및 피부 거침 개선 효과의 관계에 대해서 시험했다.
결과를 표 8, 9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25961721-pct00004
Figure 112005025961721-pct00005
표 9로부터 산화아연 피복율이 1 % 내지 90 %일 때, 유분 분산성, 피부 거침 개선 효과 모두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피복율이 90 %를 초과하면, 산화아연이 친유성 기초 분체를 빈틈없이 피복하므로, 친유성면이 유분과 접촉할 수 없어 유분 분산성이 떨어지고 또한 효소를 흡착할 수 없으므로, 피부 거침 개선 효과가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친유성 기초 분체가 실리콘 고무(팽윤성)일 때에는 복합 분체 건조시의 산화아연 피복율은 90 %를 초과해도 좋다. 이는 유분 분산시에 실리콘 고무가 팽윤하고, 결과적으로 피복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표 8에서 팽윤시의 피복율이 1 % 내지 90 %일 때, 유분 분산성, 피부 거침 개선 효과 모두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광학적 특성의 개선 효과
본 발명자들은 복합 분체에 대해서 검토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관한 유성 피부 외용제가 우수한 광학적 특성의 개선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유성 피부 외용제에서 특히 기초 분체로서 구형상 수지 분체를 사용하여 피부에 도포한 경우, 피부의 얼룩 은폐 효과, 울퉁불퉁함을 커버하는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어 피부의 외관이 개선된다.
또한, 구형상 수지 분체 중에서도 실리콘유 팽윤성 기초 분체를 사용하면, 특히 사용감이 우수하다. 실리콘유 팽윤성 기초 분체라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고무 분말과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 분말을 들 수 있다.
이 점에 관해 본 발명자들은 이하의 검토를 실시했다.
또한, 이하의 검토를 실시할 때에는 하기 기본 처방의 분말 부분을 치환했다.
기본처방
물 59
디메틸폴리실록산(20cs) 25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10
분말 6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은 이하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예비 혼합하여 사용했다.
Figure 112005025961721-pc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l은 3 내지 20이며, m은 10 내지 200이고, n은 1 내지 10 이다)
또한, 평가는 이하의 기준에 기초하여 실시했다.
사용감, 겉도는 감이 없음: 주로 피부로의 도포시의 감촉을 중심으로 평가했다.
기미·모공에 들어가는 현상 없음 : 안료 분체가 모공, 피부의 미세한 주름 부분 등에 들어가, 안료색의 농담(濃淡)이 되어 오히려 이들의 존재를 두드러지게 하는 현상의 억제 효과를 중심으로 평가했다.
색 얼룩 은폐 효과 : 피부상의 미세한 기미 등의 색얼룩의 은폐 효과에 대해서 평가했다.
울퉁불퉁함을 커버하는 효과: 피부상의 모공, 미세한 주름 부분 등의 울퉁불퉁한 부분을 시각적으로 두드러지지 않게 하는 효과에 대해서 평가했다.
투명감·자연스러움 : 피부 특유의 투명감이 손실되어 있지 않은지의 여부를 중심으로 평가했다.
피부의 고운 정도: 종합적인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
Figure 112005025961721-pct00007
상기 표 11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구형상 실리콘 고무 분말을 사용한 경우(시험예 5-1)에는 파우더 고유의 특징으로서 사용감은 매우 양호하고, 파우더 자체의 투명도가 높고 또한 굴절율이 비교적 낮으므로(1.4 정도) 기미·모공에 들어가는 정도, 투명감 등도 우수하다. 그러나, 은폐도가 낮으므로 색 얼룩 은폐 효과는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한편, 아연화를 사용한 경우(시험예 5-3)에는 그 높은 은폐도에 유래하여 색얼룩 은폐 효과는 양호하지만, 사용감이 나쁘고 또한 모공 등의 미세한 함몰부에 아연화가 들어가 함몰부가 하얗게 두드러진다.
이에 대해서, 구형상 실리콘 고무 분말(친유성 기초 분체)에 아연화(17 질량 %) 피복한 복합 분체를 사용한 경우(시험예 5-2)에는 얼룩 은폐 효과, 울퉁불퉁함 커버 효과의 개선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광학적 특성의 개선 효과는 복합화되어야 비로소 얻어지는 효과로, 복합 분체와 동일한 질량비로 구형상 실리콘 고무 분말 및 아연화를 배합한 경우(시험예 5-4)에는 광학적 특성은 크게 저하된다.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복합 분체에서의 아연화 피복율 및 기초 분체의 성질과 광학적 특성의 관계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Figure 112005025961721-pct00008
복합 분체 중에서의 아연화의 질량비는 30 % 정도까지는 피복량이 증가됨에 따라 광학적 특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복합 분체의 기초 분체로서 실리콘유 비팽윤성 구형상 나일론 분체를 사용한 경우(시험예 5-9 : 피복량 17 %)에는 사용감이 약간 저하되는 경향이 있지만, 광학적 특성에는 큰 영향은 없고 양호한 효과를 유지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유성 피부 외용제에 의하면 특히 기초 분체로서 구형상 분체를 사용한 경우, 단순히 피부 거침 개선·방지 효과 뿐만 아니라, 피부의 광학적 특성의 우수한 개선 효과가 보인다. 또한, 피복율이 낮은 복합화 분말을 사용한 경우, 산화 티탄 등의 고굴절율 분말을 조합시킴으로써 더욱 색얼룩 은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자극 완화 시험
피부 도포시의 자극성에 대해서 평가했다.
표 16에 도시한 피부 외용제를 도포했을 때 가려움, 따끔거리는 자극을 느끼는 극히 드문 피험자 10명을 대상으로 자극 완화 시험을 실시했다.
Figure 112005025961721-pct00009
(제법)
(1) 내지 (6)을 가열하여 75 ℃로 유지한다(유상). (10)에 (7), (8), (9)를 용해하여 75 ℃ 로 가온한다(수상). 수상을 유상에 첨가하여 호모믹서에서 균일하게 유화하고 잘 혼합하면서 30 ℃ 까지 냉각한다.
상기 표 16의 피부 외용제에 각 분체 6 질량%를 배합하고, 자극 완화성에 대해서 시험했다.
복합 분체 1-3 : 10 % 산화아연 피복 실리콘 고무 분체
비교예 1 : 산화아연(아연화 정동: 평균 입자 직경 0.5 ㎛ )과, 실리콘 고무 분체(트레필 E 506WTM)의 혼합물(질량비 1 : 9)
비교예 2 : 실리콘 고무 분체(트레필 E506WTM)
비교예 3 : 산화아연(아연화 정동: 평균 입자 직경 0.5 ㎛)
(자극 완화의 평가 기준)
◎: 효과 있음: 자극을 느낀 사람이 6명 미만
○: 약간 효과 있음: 자극을 느낀 사람이 6명 또는 7명
△: 완화 경향 있음 : 자극을 느낀 사람이 8명 또는 9명
×: 효과 없음: 자극을 느낀 사람이 10명
시험예
7-1 7-2 7-3 7-4
복합분체 1-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 ×
본 발명의 복합 분체를 배합함으로써 자극성이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배합예를 도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합예 1 크림
(처방) 질량 %
1) 스테아린산 모노글리세리드 2.0
2) 스테아릴알콜 4.0
3) 밀랍 3.0
4) 라놀린 5.0
5) P.O.E(20몰)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 에스테르 2.0
6) 스쿠알란 20.0
7) 산화아연 피복 실리콘 고무 분말 5.0
8) 향료 0.2
9) 1,3-부틸렌글리콜 5.0
10) 글리세린 5.0
11) 정제수 잔여
(제법)
1) 내지 8)을 가열하여 75 ℃로 유지한다(유상). 11)에 9) 10)을 용해하여 75 ℃로 가온한다(수상). 수상을 유상에 첨가하여 호모믹서에서 균일하게 유화하고, 잘 혼합하면서 30 ℃까지 냉각한다.
배합예 2 유화 파운데이션
(처방) 질량 %
1) 스테아린산 0.4
2) 이소스테아린산 0.3
3)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4.0
4) 유동 파라핀 11.0
5) P.O.E(10)스테아릴에테르 2.0
6) 탈크 15.0
7) 적색 산화철 0.01
8) 황색 산화철 0.001
9) 흑색 산화철 0.05
10) 세틸알콜 0.3
11) 산화아연 피복 폴리아미드 분말 5.0
12) 트리에탄올아민 0.4
13) 디프로필렌글리콜 5.0
14) 향료 0.01
15) 정제수 잔여
(제법)
1) 내지 10)을 85 ℃로 가열 용해한 후 11)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한다. 이에 12), 13), 15)를 85 ℃로 가열 용해 혼합한 것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한다. 유화시 온도를 10분간 유지하여 교반한 후, 교반 냉각하여 45 ℃로 한다. 이에 14)를 가하여 35 ℃까지 교반 냉각을 계속하여 용기에 충전한다.
배합예 3 W/O형 유화 화장 하지(下地)
(처방)
1) 시클로메틸실리콘 30.0
2) 디메틸실리콘 2.0
3) 실리콘 수지 1.0
4) 항산화제 적량
5)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3.0
6)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1.0
7) 이소스테아린산 1.0
8) 실리콘 처리 알루미나 8.0
9) 양이온 변성 벤토나이트 2.0
10) 산화아연 피복 실리콘 수지 분말 5.0
11) 탈크 5.0
12) 구형상 PMMA 수지 분말 5.0
13) 정제수 잔부
14) 글리세린 4.0
15) 1,3-프로필렌글리콜 1.0
16) 안정화제 적량
17) 향료 적량
(제법)
1) 내지 9), 12), 16), 17)을 85 ℃로 가열 용해하고 10), 11)을 가하여 분산시킨다(유상). 13)에 14), 15)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킨다(수상). 수상 중에 유상을 첨가하여 85 ℃에서 100분간 유지하여 교반한 후, 교반 냉각하여 45 ℃로 한다.
배합예 4 W/O형 유화 파운데이션
1) 실리콘 처리 합성 마이카 15.0
2) 실리콘 처리 세리사이트 7.0
3) 실리콘 처리 산화티탄 12.0
4) 실리콘 처리 벵갈라 1.2
5) 실리콘 처리 황산화철 2.3
6) 실리콘 처리 흑산화철 0.6
7) 산화아연 피복 실리콘 고무 분말 12.0
8) 구형상 PMMA 분말 4.0
9) 시클로메티콘 잔여
10) 디메틸폴리실록산 4.0
11) 스쿠알란 3.0
12)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2.0
13) 소르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1.0
14) 분산조제 적량
15) 디프로필렌글리콜 2.0
16) 페녹시에탄올 0.1
17) 정제수 20.0
18) 항산화제 적량
19) 향료 적량
(제법)
1) 내지 14)를 85 ℃로 가열 용해한다(유상). 17)에 16)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한다(수상). 수상 중에 유상을 첨가하고 85 ℃에서 100분간 유지하여 교반한 후 18), 19)를 가하고 교반 냉각하여 45 ℃로 한다.
배합예 5 스틱 파운데이션
(처방) 질량 %
1) 이산화티탄 13.0
2) 카올린 12.0
3) 산화아연 피복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 분체 13.7
4) 적색 산화철 1.0
5) 황색 산화철 0.7
6) 흑색 산화철 0.1
7) 스쿠알란 37.0
8)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16.0
9)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10) 미세결정질 왁스 4.0
11) 카르바나 왁스 1.3
12) 향료 0.2
(제법)
7)~9)를 80 ℃에서 혼합하고, 이에 1) ~ 6)를 첨가하여 분산기에서 혼합한 후 TK밀 처리한다. 또한 이에 가열 용해한 10)과 11)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탈기한다. 12)를 천천히 혼합한 후 80 ℃에서 용기에 충전하여 냉각한다.
배합예 6 유성 아이섀도우
1) 디메티콘 10.0
2) 에스테르유 10.0
3) 유동 파라핀 잔부
4) 스쿠알란 10.0
5) 소르비탄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1.0
6) 폴리에틸렌왁스 8.0
7) 셀레신왁스 3.0
8) 마이카 7.0
9) 구형상 셀룰로스 분말 5.0
10) 운모 티탄 8.0
11) 산화아연 피복 실리콘 고무 분말 7.0
12) 카올린 10.0
13) 산화방지제 적량
14) 향료 적량
(제법)
1) 내지 7)을 85 ℃로 가열 용해하여, 이것에 8) 내지 12)를 가하여 교반 혼합한 후 13), 14)를 교반 혼합하여 용기에 충전하여 냉각한다.
배합예 7 립스틱
1) 폴리에틸렌왁스 10.0
2) 셀레신왁스 3.0
3) 라놀린 20.0
4) 폴리부텐 20.0
5)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5.0
6) 디메티콘 12.0
7) 에스테르유 잔부
8) 산화티탄 4.5
9) 적색 201호 0.5
10) 적색 202호 1.1
11) 적색 223호 0.3
12) 구형상 폴리에틸렌 분말 3.0
13) 벵갈라 피복 운모 티탄 12.0
14) 산화아연 피복 실리콘 고무 분말 5.0
15) 질화붕소 분말 5.0
16) 산화방지제 적량
17) 향료 적량
(제법)
1) 내지 7)을 85 ℃로 가열 용해하여, 이것에 8) 내지 15)를 가하여 교반 혼합한 후 16), 17)을 교반 혼합하고 용기에 충전하여 냉각한다.
배합예 8 크림
1) 산화아연 피복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 분말 5.0
2)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1.5
3)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6.0
4) 디메틸폴리실록산 3.0
5) 정제수 잔부
6) 파라벤 0.15
7) 다이나마이트 글리세린 7.0
8) 1,3-부틸렌글리콜 7.0
9) 안정화제 적량
10) 향료 적량
(제법)
2) 내지 4)를 혼합하여 1)을 가하여 분산시킨다(유상). 5) 내지 10)을 가열 교반한다(수상). 유상에 수상을 첨가하여 유화한다.
배합예 9 크림
1) 시클로메티콘 16
2)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1
3)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1
4) 올레핀올리고머 2
5) 2-에틸헥산산 세틸 0.5
6) 아세트산 토코페롤 0.05
7) 정제수 잔부
8) 시트르산 나트륨 0.03
9) 시트르산 0.07
10) 염화나트륨 1
11) 폴리에틸렌글리콜6000 1
12) 농축 글리세린 8
13) 디프로필렌글리콜 3
14) 에탄올 3
15)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0.25
16) 1,3-부틸렌글리콜 2
17) 방부제 적량
18) 산화아연 피복 실리콘 고무 분말 5
19) 소수화 처리 산화티탄 1
(제법)
5)에 6)을 용해한 후, 1) 내지 4)의 유상 혼합물에 첨가하고, 미리 조제한 유상 혼합물을 조제해 둔다. 7)에 8) 내지 13)을 차례로 첨가한 후, 14)에 15)를 습윤시킨 것과, 17)을 16)에 가열 용해한 것을 첨가하여 수상 혼합물을 제조한다. 유상 혼합물에 고속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수상 혼합물을 첨가한 후 18), 19)를 고속 교반기를 사용하여 첨가하고 목적의 크림을 얻었다.
상기의 유성 피부 외용제는 모두 우수한 피부 거침 개선·방지 효과를 갖고 또한 분체의 유분 분산성은 양호했다.
또한, 상기 유성 피부 외용제는 기미, 주근깨, 색얼룩의 보정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피부 자극성 등도 없었다.

Claims (12)

  1. 유성 피부 외용제로서,
    친유성 기초 분체의 표면에 산화아연이 피복된 복합 분체와,
    상기 복합 분체를 분산시킨 유분(油分)을 포함하고,
    친유성 기초 분체의 ζ전위가 피부상의 pH에서 음의 값을 가지며,
    상기 친유성 기초 분체가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 폴리아미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카르바미드산 에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유분 분산시에 친유성 기초 분체 전체 표면적에 대한 산화아연의 피복율이 1 % 내지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피부 외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친유성 기초 분체가 유분 분산시에 팽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피부 외용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분으로서 실리콘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피부 외용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합 분체의 배합량이 1 질량% 내지 5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피부 외용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화형(乳化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피부 외용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피부 거침 개선제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피부 외용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민감성 피부 손질제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피부 외용제.
  8. 친유성 기초 분체의 표면에 산화아연이 피복된 유분 분산성 복합 분체로서,
    친유성 기초 분체의 ζ전위가 피부상의 pH에서 음의 값을 가지며,
    상기 친유성 기초 분체가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 폴리아미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카르바미드산 에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유분 분산시에 친유성 기초 분체 전체 표면적에 대한 산화아연의 피복율이 1 % 내지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분 분산성 복합 분체.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57008933A 2002-12-27 2003-12-26 유성 피부 외용제 KR101066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81343 2002-12-27
JP2002381343 2002-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006A KR20050089006A (ko) 2005-09-07
KR101066690B1 true KR101066690B1 (ko) 2011-09-21

Family

ID=32708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933A KR101066690B1 (ko) 2002-12-27 2003-12-26 유성 피부 외용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62671B2 (ko)
EP (1) EP1576947B1 (ko)
JP (1) JP2004217621A (ko)
KR (1) KR101066690B1 (ko)
CN (1) CN100391434C (ko)
HK (1) HK1087036A1 (ko)
TW (1) TWI320318B (ko)
WO (1) WO2004060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00529B (zh) 2006-07-25 2012-07-04 株式会社资生堂 粉末化妆品
EP1941859A1 (en) * 2006-12-18 2008-07-09 ACO Hud Nordic AB Topical formulations
EP1941860A1 (en) * 2006-12-18 2008-07-09 ACO Hud Nordic AB Topical formulations
JP4965321B2 (ja) * 2007-04-09 2012-07-04 花王株式会社 樹脂粒子
US20090155586A1 (en) * 2007-12-12 2009-06-18 Avon Products, Inc. Method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Using Treated Macroscopic Particles
JP5513748B2 (ja) * 2009-01-13 2014-06-04 花王株式会社 凹凸補正用油性化粧料
JP5229187B2 (ja) * 2009-11-11 2013-07-0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複合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化粧料
JP2013049635A (ja) * 2011-08-30 2013-03-14 Hoyu Co Ltd 皮膚保湿用液晶構造体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JP6029401B2 (ja) * 2012-09-24 2016-11-24 株式会社 資生堂 凹凸補正用固形化粧料
JP2015182958A (ja) * 2014-03-20 2015-10-2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ベース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6285381B2 (ja) 2015-03-13 2018-02-2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ゲルペースト組成物及び該ゲルペースト組成物を用いた化粧料
CN104958189B (zh) * 2015-04-29 2020-07-03 广州瑾洋化妆品有限公司 光感调色防脱妆纳米粉体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EP3565409A1 (en) 2016-12-29 2019-11-13 Nouryon Chemicals International B.V. Thickened organic liquid compositions with polymeric rheology modifiers
WO2018122121A1 (en) 2016-12-29 2018-07-05 Akzo 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Metal oxide oil dispersion sunscreen formulations
JP7395022B2 (ja) 2020-05-15 2023-12-08 イーエルシー マネージメント エルエルシー シアシニング化粧品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2103A (en) * 1985-12-09 1993-01-26 Shiseido Company, Ltd. Magnesium aluminometasilicate coated composite powder and use thereof
US5122418A (en) * 1985-12-09 1992-06-16 Shiseido Company Ltd. Composite powder and production process
JP2657504B2 (ja) * 1988-01-12 1997-09-24 株式会社資生堂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2628058B2 (ja) * 1988-01-25 1997-07-09 株式会社資生堂 日焼け止め化粧料
US5219560A (en) * 1989-03-20 1993-06-15 Kobayashi Kose Co., Ltd. Cosmetic composition
US5061481A (en) * 1989-03-20 1991-10-29 Kobayashi Kose Co., Ltd.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cryl-silicone graft copolymer
DE69116950T2 (de) * 1990-08-03 1996-07-25 Kao Corp Kosmetikum
US5118496A (en) * 1990-10-02 1992-06-02 Morris Herstein Coated cosmetic materials and method of coating cosmetic materials
JP2943056B2 (ja) * 1994-12-30 1999-08-30 ミキ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イテド 粒状複合材料、その製造法および粒状複合材料を含む化粧品
JP3385857B2 (ja) * 1996-05-27 2003-03-10 ライオン株式会社 皮膚保護剤
TW482681B (en) * 1996-09-06 2002-04-11 Shiseido Co Ltd Powder coated with sparingly soluble ultraviolet absorber
JPH10175816A (ja) * 1996-12-18 1998-06-30 Toray Dow Corning Silicone Co Ltd 化粧品原料、化粧品、および化粧品の製造方法
JPH11130652A (ja) * 1997-10-24 1999-05-18 Lion Corp 皮膚化粧料
US5928658A (en) * 1997-12-05 1999-07-27 U.S. Cosmetics Oil-free wax-free solid cosmetic composition
KR20010107962A (ko) 1998-11-13 2001-12-07 데이비드 엠 모이어 아스코르브산 화합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 조성물
US20010014356A1 (en) 1999-12-24 2001-08-16 Yuzo Yoshida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and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omprising the same
JP4326689B2 (ja) * 1999-12-24 2009-09-09 株式会社資生堂 プラスミノーゲンアクチベーター阻害剤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皮膚外用剤
JP2003012491A (ja) * 2001-07-02 2003-01-15 Shiseido Co Ltd 粉体皮膚外用剤
EP1498100A4 (en) * 2002-03-29 2008-04-02 Shiseido Co Ltd COMPOSITE POWDER AND THIS INCLUDING COSME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20318B (en) 2010-02-11
HK1087036A1 (en) 2006-10-06
US20060110414A1 (en) 2006-05-25
CN1731969A (zh) 2006-02-08
KR20050089006A (ko) 2005-09-07
EP1576947A1 (en) 2005-09-21
EP1576947B1 (en) 2012-10-24
EP1576947A4 (en) 2006-03-22
CN100391434C (zh) 2008-06-04
WO2004060340A1 (ja) 2004-07-22
JP2004217621A (ja) 2004-08-05
TW200501996A (en) 2005-01-16
US8062671B2 (en)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690B1 (ko) 유성 피부 외용제
US6582709B1 (en) Cream composition comprising Dead Sea Mud
KR101391834B1 (ko)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8920A (ko)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2056852A1 (fr) Produits cosmetiques
KR100705200B1 (ko) 플라스미노겐 액티베이터 저해제와 이를 배합한 피부외용제
JP4250551B2 (ja) 化粧料
KR101089438B1 (ko) 복합분체 및 이를 배합시킨 피부외용제
JP4283452B2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4326689B2 (ja) プラスミノーゲンアクチベーター阻害剤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皮膚外用剤
JP4225717B2 (ja) 化粧料
KR101719174B1 (ko) 라멜라 액정이 수분산된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4160490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3441387B2 (ja) 保湿剤及び皮膚化粧料並びに入浴剤
JP4728517B2 (ja) 皮膚外用剤
KR20210007538A (ko)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JP2003012558A (ja) 固化性皮膚外用剤
JPH10167949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