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920A -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920A
KR20190088920A KR1020190007641A KR20190007641A KR20190088920A KR 20190088920 A KR20190088920 A KR 20190088920A KR 1020190007641 A KR1020190007641 A KR 1020190007641A KR 20190007641 A KR20190007641 A KR 20190007641A KR 20190088920 A KR20190088920 A KR 20190088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de
oil
particles
cosmetic composition
ceram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035B1 (ko
Inventor
이교훈
김의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90088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920A/ko
Priority to KR102022001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2Coated by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2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organic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토스핑고신을 이용하여 세라마이드 입자의 외부에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코팅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입자가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함에도 고점도뿐만 아니라 저점도의 제형에서도 세라마이드가 석출되는 현상 없이 안정하게 존재하며, 우수한 피부장벽 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ARTICLES CONTAINING HIGH CERAMIDE CONTENT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와 피토스핑고신을 포함하는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토스핑고신을 사용하여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입자에 세라마이드를 포집시킴으로써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면서도 우수한 제형 안정성과 피부장벽 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투과 장벽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피부각질세포간 지질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중성지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주요성분들의 변화가 피부장벽 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세라마이드는 피부각질세포간 지질의 라멜라 구조를 구성하는 주요한 지질로, 피부 투과성 장벽으로서의 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세라마이드는 피부 노화가 진행되며 양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에 따라 피부장벽 기능이 감소하여 피부 내의 수분량 감소 및 수분량 손실 증가, 각질층의 탈각현상 등이 일어나며 손상되거나 건강하지 못한 피부장벽이 된다.
이러한 증상은 세라마이드를 피부에 공급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으나, 세라마이드는 난용성 물질로 그 구조적 특이성으로 인해 화장료에 다량 함유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세라마이드가 화장품 제형에 다량으로 함유되는 경우, 세라마이드 입자를 작게 제조하여 사용하면 제형 내 안정도가 떨어지며 결정화하여 석출되어 겔링되는 현상(겔화, gelation)이 발생한다. 입자 크기가 작아지면 입자 간의 표면 에너지가 커져 인력이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세라마이드 간 인력이 커지므로, 유상에 완전히 분산되지 않고 수상으로 석출되어 세라마이드 간의 결합으로 인해 겔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화장품 제형의 점도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점도가 낮을수록 세라마이드 결정화가 더 잘 일어나 석출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실제 화장품 제형에 적용 시 스킨, 로션과 같은 저점도 제형에는 세라마이드를 사용할 수 있는 함량에 제한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 에는 고상화 쉘을 이용한 핵제 상의 세라마이드 관련 기술을 설명하고 있는데 외부에서 세라마이드를 안정화시킨 알갱이를 먼저 만든 다음, 이것을 에멀젼에 분산해 놓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고체로 딱딱하게 만든 세라마이드로 유동도를 없애는 방식으로 안정도를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세라마이드를 외부에서 안정화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많은 양의 캡슐화제로 인해 실제 사용되는 세라마이드 함량이 줄어들게 되며, 화장료 조성물의 중요한 부분인 사용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고압 유화 기술을 활용한 세라마이드 나노 리포좀을 제조함으로써 안정화하는 방법이 있는데 경피 흡수가 증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입자가 작아지면 입자간 인력이 강해지고, 다량의 세라마이드를 안정화하기 위해선 그 양에 비례하여 함유되는 계면활성제의 양 또한 증가하므로 사용감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여 세라마이드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아직 남아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8-0072355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0062910호
본 발명자들은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세라마이드 입자로부터 세라마이드가 석출되는 문제점을 개선시킨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피토스핑고신을 이용함으로써 세라마이드를 포집한 입자가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도록 하여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면서도 세라마이드가 석출되지 않는 우수한 제형 안정성과 피부장벽 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막 내부에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면서도 제형 내에서 세라마이드가 석출되지 않는 입자를 포함하는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 및 피토스핑고신을 함유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및 피토스핑고신을 함유한 입자를 포함한다.
세라마이드(ceramide)는 스핑고신(sphingosine) 또는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에 지방산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스핑고 지질의 일종이다. 세라마이드는 피부 각질층을 구성하는 각질 세포간 지질 중 약 40% 이상을 차지하고, 각질층의 구조 형성이나 기능을 나타내는데 필수적인 성분이다. 세라마이드는 내부 및 외부의 스트레스로 인해 세포가 손상 받는 경우, 손상 받은 세포를 제거함으로써 스트레스로부터 개체를 보호하며 수분 손실을 방지하고, 피부장벽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라마이드는 천연 세라마이드 또는 유사(pseudo) 세라마이드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천연 세라마이드는 자연에 존재하는 세라마이드로서, 동물, 식물 및 미생물로부터 추출한 세라마이드일 수 있다. 유사 세라마이드는 천연 세라마이드의 이중사슬 라멜라(lamellar)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통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라멜라 구조는 외각에서 세라마이드의 겔링을 방지하며, 이러한 라멜라 구조가 2층 이상의 다층 라멜라(multi-lamellar) 층으로 둘러싸인 매크로에멀젼(macroemulsion)을 형성하게 되면 세라마이드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적절한 점성 및 가벼운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EOP, 세라마이드 NS, 세라마이드 NP, 세라마이드 AS, 세라마이드 EOS, 세라마이드 NDS, 세라마이드 AP, 글루코실세라마이드 및 오메가하이드록시 세라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입자당 평균 1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난용성 지질 성분인 세라마이드가 수중유(O/W) 제형에 안정하게 존재하기 위해서는 유상성분 내에 존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상기 입자 내 세라마이드가 균일하게 포집된다는 전제 하에 유상성분 내 포함되는 세라마이드의 함유율이 입자 내 포집되는 세라마이드의 함유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입자 내 포함되는 세라마이드의 평균 함량은 10 내지 50 중량%, 예컨대 20 내지 40 중량%, 25 내지 35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마이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0.01 내지 7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은 피부 보호막을 이루고 있는 세라마이드 성분 중의 하나로, 천연 효모에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피토스핑고신은 합성스핑고이드 성분으로, 스핑고신은 스핑고지질, 스핑고당지질, 스핑고미엘란과 같은 화합물의 총칭으로 질소를 가지고 있으며 동물의 세포막 등에 분포되어 있다. 문제성 피부의 원인균의 활성을 저해시켜 근본적인 피부 과민 반응을 억제하고 문제성 피부를 개선하고 순하게 관리하는데 도움을 준다.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여 노화로 지친 피부를 개선하는데 관여하며, 피부 지질막의 기능을 보강하며 피부 보습력 유지에 도움을 준다. 피부 및 모발에 컨디셔닝을 부여하며 활력 있는 피부와 건강한 모발 관리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토스핑고신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0.01 내지 3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는 피토스핑고신에 의해 다층 라멜라 구조의 막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입자는 세라마이드와 같은 소수성 성분이 친수성 성분과 혼합될 때 소수성 성분끼리 뭉치면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수성 성분으로 피토스핑고신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뭉쳐서 형성된 입자의 외부에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코팅막이 형성되어 보다 안정하게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집할 수 있다. 상기 입자의 막이 라멜라 구조를 갖게됨으로써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여도 입자 밖으로 세라마이드가 석출되지 않고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입자는 코어에 세라마이드를 함유하고 외부에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막이 형성됨으로써 코어-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입자는 피토스핑고신에 의해 형성되는 외부의 코팅막에 의해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여도 종래에 발생됐던 문제점인 겔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입자의 크기는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입자는 50 내지 300 ㎛의 크기, 예컨대 100 내지 300 ㎛, 150 내지 300 ㎛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위의 크기를 갖는 입자는 본 발명이 목적하고자 하는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할 수 있으면서도 입자가 결정화되어도 세라마이드가 석출되지 않아 겔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입자는 막 유화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균일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입자의 크기가 50 ㎛ 미만이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할 수 없고, 300 ㎛를 초과하게 되면 입자 내 세라마이드가 석출되어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지방산, 지방알코올, 오일 및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상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상성분은 조성물 내 포함되어 세라마이드가 포집된 입자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발명에서, 콜레스테롤(cholesterol)은 조성물 내에서 세라마이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온 성분으로,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성지질은 스쿠알란 및/또는 탄소수 7 내지 18의 지방산을 갖는 트라이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방산은 탄소수 16 내지 22의 팔미틱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 및 베헤닉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알코올은 탄소수 16 내지 22의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및 베헤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일 및 왁스는 당업계에서 화장품의 성분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일로는 실리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식물성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들 성분을 하나 이상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리콘계 오일로는 실리콘계 유동성 오일 또는 오일에 분산되어 있는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계 유동성 오일로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사이클로메티콘, 사이클로페닐메티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라이실록산, 다이메티콘, 카프릴다이메티콘, 카프릴릴트라이메티콘, 카프릴릴메티콘, 세테아릴메티콘, 헥사데실메티콘, 헥실메티콘, 라우릴메티콘, 미리스칠메티콘, 페닐메티콘, 스테아릴메티콘, 스케아릴다이메티콘,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메티콘, 세틸다이메티콘,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다이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트라이메티콘 또는 페닐트라이메티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 성분들은 단독 또는 두 종류 이상의 오일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계 크로스폴리머로는 다이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 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 PEG-10/15 크로스폴리머 또는 PEG-12 다이메티콘/PPG-20 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에스테르류 오일로는 아스코빌팔미테이트, 아스코빌리놀레이트, 아스코빌스테아레이트,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라우레이트, 부틸렌글라이콜 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부틸렌 글라이콜다이아이소노나노에이트, 부틸렌글라이콜라우레이트, 부틸렌글라이콜스테아레이트, 부틸아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 릴아이소노나노에이트, 세테아릴노나노에이트, 세틸카프릴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아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아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아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아이소스테아레이트, 아이소프로필아이소스테아레이트, 아이소스테아릴 아이소노나노에이트, 아이소스테아릴아이소스테아레이트, 아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카프레이트, 네 오펜틸글라이콜다이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다이아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애씨드에스터, 폴리글리세릴-2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세스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세스퀴아이소스테아레이트 또는 트라이에틸헥사노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트라이글리세라이드계 오일로는 C8-C12 애씨드트라이글리세라이드, C12-C18 애씨드트라이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라우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10-C40 아이소알킬애씨드트라이글리세라이드, C10-C18 트라이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트라이아세틸하이드로스테아레이트, 소이빈글리세라이드, 트라이베헤닌, 트라이카프린, 트라이에틸헥사노인, 트라이헵타노인, 트리아이소스테아린, 트라이팔미틴 또는 트라이스테아린을 사용할 수 있다.
탄화수소계 오일로는 유동파라핀(리퀴드 파라핀, 미네랄오일), 파라핀, 바세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또는 스쿠알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식물성 오일로는 아보카도 오일, 밀배아 오일, 로즈힙 오일, 쉐어버터,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아르간 오일, 메도우폼 오일, 해바라기 오일, 피마자유, 동백 오일, 옥수수 오일, 잇꽃 오일, 대두 오일, 유채꽃 오일, 마카다미아넛츠 오일, 호호바 오일, 팜 오일, 팜핵 오일 또는 코코넛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왁스로는 일반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탄화수소계 왁스, 식물성 왁스 또는 실리콘 왁스 등의 모든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칸델리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비즈 왁스, 라놀린,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왁스,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 결정체 왁스, C30-C45 알킬다이메틸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상성분은 그 함량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성물 내 앞서 기술한 입자를 제외한 나머지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자의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막은 피토스핑고신,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지방산, 지방알코올, 오일 및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상성분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상성분으로 효능을 나타내는 활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활성 성분으로는 레티놀, 비타민 E와 같은 친유성 활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0.1 내지 40,000 cps의 점도를 갖는 제형일 수 있다. 세라마이드는 저점도의 조성물 내에서 결정화가 잘 일어나는 경향이 있어 세라마이드가 석출되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피토스핑고신을 포함하게 되면 세라마이드 입자 외부에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코팅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고점도 뿐만 아니라 저점도의 제형에서도 세라마이드가 석출되지 않는 안정한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가능한 모든 종류의 성분, 예컨대 보습제, 점증제, 자외선 차단제, 중화제, 향료, 방부제, 산화방지제 또는 색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는 탄화수소류, 유지류, 경화유류, 에스테르류, 지방산류, 저급 알코올류, 글라이콜류, 글리세롤류, 고급 알코올류, 실리콘유류, 불소계유류, 라놀린 유도체류 또는 식물 스테롤 유도체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릴,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다이글리세린, 펜틸렌글라이콜, 아이소프렌글라이콜 및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점도 조절을 위한 고분자로서, 식물, 동물 또는 미생물 유래의 고분자거나 합성 고분자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점증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구아검, 잔탄검, 낫토검,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스프레이 타입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 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스틱,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수중유형(O/W) 또는 유중수형(W/O)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 및 피토스핑고신을 포함하는 유상부와 수상부를 혼합하여 세라마이드가 포집된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상부는 물(정제수)과 혼합될 수 있는 친수성을 갖는 성분을 의미하며, 유상부는 물(정제수)과 혼합되지 않는 소수성을 갖는 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수상부는 조성물에 점도를 부여하기 위한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에 의해 조성물에 점도가 부여되면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입자 제조시 입자가 고르게 분산되어 안정성이 우수한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만일 조성물에 점도가 형성되지 않은 채로 입자를 제조하게 되면, 입자가 고르게 분산되지 않고 상층에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입자끼리 뭉치는 것과 같은 입자 안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유상부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20 중량부 이하, 예컨대 1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상부의 함량 범위에서 본 발명이 목적하는 매크로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다. 유상부의 함량이 20 중량부 이하인 경우, 수상부와의 혼합에 의해 형성되는 입자의 크기는 50 내지 100 ㎛일 수 있고, 10 중량부 이하인 경우, 100 내지 300 ㎛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유상부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형성되는 입자의 수가 과도하게 많아지게 되므로, 교반시 물리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입자가 깨져 크기가 작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형성되는 입자의 크기는 50㎛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라마이드가 포집된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의 막 유화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라마이드와 피토스핑고신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유화막에 통과시켜 수상부에 분산시키고, 유상부를 분산상으로 전환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핵제 또는 캡슐화제와 같은 입자 형성을 위해 사용되어 온 성분들을 사용하지 않고, 막 유화법에 의해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입자를 제조함으로써 피부에 도포시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세라마이드 및 피토스핑고신을 포함하는 유상부와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각각 가온 용해한 후, 유상부를 수상부 내에서 유화막에 통과시켜 입자를 제조하였다. 이때, 유화막은 세공 크기가 1 ㎛ 내지 2 mm인 유화막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공성 알루미나, 다공성 지르코니아, 다공성 스테인리스 또는 다공성 글라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막 유화는 0.1 내지 100 kPa의 압력으로 유화막에 상기 세라마이드가 포함된 유상부를 통과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용액은 20 내지 40℃로 냉각시킴으로써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입자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입자는 세라마이드를 고함량 함유할 수 있으며, 조성물 내에서 장기간 동안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험예 및 제조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험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토스핑고신을 이용하여 세라마이드 입자의 외부에 다층 라멜라 구조를 갖는 코팅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입자가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함에도 고점도뿐만 아니라 저점도의 제형에서도 세라마이드가 석출되는 현상 없이 안정하게 존재하며, 우수한 피부장벽 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입자를 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사진으로(좌: 광학 현미경, 우: 편광 현미경), (a)는 비교예 1의 조성에 따른 입자를, (b)는 비교예 2의 조성에 따른 입자를, (c)는 실시예 1의 조성에 따른 입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입자를 상온에서 4주간 보관한 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으로, (a)는 비교예 1의 조성에 따른 입자를, (b)는 비교예 2의 조성에 따른 입자를, (c)는 실시예 1의 조성에 따른 입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4주동안 피부에 도포한 후의 피부 수분 함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이다(n=22, *p<0.05).
도 4는 본 발명의 세라마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세라마이드의 함량에 따른 피부 장벽 회복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수상부를 온도 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연속상 탱크에 투입하여 40 내지 60 ℃로 가온 용해한 후, 50 내지 500 rpm으로 교반하였다. 또한,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유상부는 분산상 탱크에 넣어 50 내지 90 ℃로 가온 용해하고, 0.1 내지 100 kPa의 압력을 가하여 막유화법으로 세라마이드 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세라마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30 ℃까지 냉각하여 최종적으로 지질막 구조를 갖는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은 각각 유상부에 세라마이드와 피토스핑고신 및 피토스핑고신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중량부)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수상부 정제수 78.8 78.8 79.1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2 0.2 0.2
글리세린 5 5 5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5 5 5
1,2-헥산다이올 2 2 2
유상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2 3 1.2
베헤닉애씨드 2 3 2
베헤닐알코올 1 3 1
콜레스테롤 1.5 - 1.5
피토스핑고신 0.3 - -
세라마이드 NP 3 - 3
총합 100 100 100
실험예 1. 세라마이드 입자의 특성 확인
1) 입자 형태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세라마이드 입자를 광학 현미경과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1의 (a)는 세라마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조성에 따른 입자를 나타내고, (b)는 세라마이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질을 포함하는 비교예 2의 조성에 따른 세라마이드 입자를 나타내며, (c)는 피토스핑고신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실시예 1의 조성에 따른 세라마이드 입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2를 살펴보면, 세라마이드를 포함하지 않거나(a) 세라마이드와 통상적인 지질을 포함하는 (b)는 단순히 소수성 성분이 뭉쳐져 있는 형태인 단층의 일반적인 지질 캡슐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 도 2의 (b)에서 보는 것과 같이 입자 표면에 왁스가 석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세라마이드와 피토스핑고신을 포함한 (c)는 앞의 두 경우와 달리 입자 외벽이 쉘(shell) 형태로 구분되어 특정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도 2(c)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세라마이드를 고함량 함유하여도 석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피부 보습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4주간 도포하여 피부 보습을 측정하였다(도 3).
본 측정을 완료한 시험대상자 22명은 모두 여성으로 평균연령은 만 47.182세였다. 선정된 시험대상자들은 특별한 피부증상은 없었으며 시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이나 약물 복용력 또한 없었다.
기기적 평가를 위하여 시험대상자는 실내온도 20 내지 25℃, 습도 40 내지 60%의 항온항습 조건의 대기실에서 30분간 안정을 취하여 피부표면 온도와 습도를 측정공간의 환경에 적응하게 하였으며, 안정을 취하는 동안에는 수분섭취를 제한하였다. 객관적 측정을 위하여 연구자 1인이 측정하였으며, 매 측정 시 동일한 부위를 측정하였다.
피부 보습 측정은 Corneometer CM825(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시험제품 사용 전후에 얼굴의 동일한 부위를 측정하였다. 측정 시 Corneometer probe를 피부에 접촉시켜 Sensor를 통해 3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피부 보습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단위는 단위상수인 A.U.로 표현되며, 측정 값이 증가할수록 피부 보습도 증가됨을 의미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지 2주 후부터는 피부 보습이 도포 전 대비 약 7.93% 증가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4주가 지난 후에는 도포 전 대비 약 7.23%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2, 3 및 비교예 3. 세라마이드 함량별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세라마이드의 함량에 따른 경피흡수 손실량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세라마이드의 함량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부) 비교예 3 실시예 2 실시예 3
수상부 정제수 75.8 74.8 69.8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2 0.2 0.2
글리세린 5 5 5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5 5 5
1,2-헥산다이올 2 2 2
유상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2.4 2.4 2.4
베헤닉애씨드 3.6 3.6 3.6
베헤닐알코올 2.4 2.4 2.4
콜레스테롤 3 3 3
피토스핑고신 0.6 0.6 0.6
세라마이드 NP - 1 6
총합 100 100 100
실험예 2. 피부장벽 회복률 확인
손상된 피부 모델에 세라마이드의 함량을 달리하여 3일동안 도포하고 경피 흡수 손실량(TEWL)을 측정하여 피부장벽 회복률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의 시험대상자 5명은 모두 여성으로 평균연령은 만 29.2세였다. 선정된 시험대상자들은 특별한 피부증상은 없었으며 시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이나 약물 복용력 또한 없었다.
본 시험에서는 시험대상자의 좌측 전완 부위에 SLS 1% 패치를 부착하여 피부 자극을 유도하였다.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지정된 시험부위에 패치를 부착하여 24시간동안 피부자극을 유도한 후, 피부 자극 유무를 평가하고 시험제품 도포부위와 무도포부위로 나누어 기기측정을 실시하였다.
기기적 평가를 위하여 시험대상자는 실내온도 20 내지 25℃, 습도 40 내지 60%의 항온항습 조건의 대기실에서 30분간 안정을 취하여 피부표면 온도와 습도를 측정공간의 환경에 적응하게 하였으며, 안정을 취하는 동안에는 수분섭취를 제한하였다. 객관적 측정을 위하여 연구자 1인이 측정하였으며, 매 측정 시 동일한 부위를 측정하였다.
경피흡수손실량 측정은 Tewameter TM300 (Cutometer® MPA 58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시험제품 사용 전후에 전완부위의 동일한 부위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시험대상자의 전완부위에 동일한 압력으로 probe를 접촉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Tewameter probe를 피부에 접촉시켜 Sensor를 통해 3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피부장벽회복률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피부장벽회복률은 아래에 있는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피부장벽회복률이 높을수록 시험제품에 의해 경피 수분 손실량이 개선되어 피부장벽회복에 도움을 줌을 의미한다.
[피부장벽회복률(%) = (피부자극 후 TEWL - 측정 당시 TEWL)/(피부자극 후 TEWL - 피부자극 전 TEWL) * 100]
상기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후, 경피 흡수 손실량을 통한 피부장벽 회복률의 그래프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1일차에 세라마이드가 6 중량부 함유된 실시예 3에서 가장 빠른 피부장벽 회복을 보였고, 3일차에는 세라마이드가 함유된 화장료에서 피부장벽이 더 많이 회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0.05).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입자가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면서도 목적하는 효과를 구현해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제형 안정성 확인
앞서 제조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을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장기간 보관하여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조성물은 25℃, 0℃ 및 45℃의 온도 조건에서 보관하였으며, 0℃에서 45℃를 순환하는 챔버에 보관하여 온도 변화에 대한 제형 안정성도 함께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조건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25℃ 1주 양호 양호 양호
4주 양호 양호 침상석출
8주 양호 양호 침상석출
16주 양호 양호 침상석출
0℃ 1주 양호 양호 양호
4주 양호 양호 양호
8주 양호 양호 양호
16주 양호 양호 양호
45℃ 1주 양호 합일 합일, 침상석출
4주 양호 합일 합일, 침상석출
8주 양호 합일 합일, 침상석출
0℃↔45℃ 1주 양호 합일 합일, 침상석출
4주 양호 합일 입자표면깨짐
상기 표 3에 기재한 것과 같이, 세라마이드를 포집하고 있지 않은 일반 지질 캡슐인 비교예 1의 경우 45℃에서 입자끼리 뭉치는(합일) 결과를 보였으며, 비교예 2의 경우 0℃를 제외하고는 모든 온도 조건에서 입자끼리 뭉치거나 입자 내부의 물질이 석출되고 입자 표면이 깨지는 결과를 보였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모든 온도 조건에서 입자가 안정하게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내지 6.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된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점도에 관계없이 적용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4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수상부를 검믹서에 투입하여 고르게 분산시킨 후, 최종적으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서 분리한 세라마이드 입자를 첨가한 후 5분간 교반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부)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수상부 정제수 77.7 77.08 76.74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15 - -
카보머 - 0.46 0.3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 - 0.4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 - 0.3
트라이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글리세린 10 10 10
1,2-헥산다이올 2 2 2
트로메타민 0.13 0.44 0.24
첨가부 세라마이드 입자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2) 10 10 10
총합 100 100 100
실험예 4. 제형 안정성 확인
앞서 제조한 실시예 4 내지 6 조성물을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장기간 보관하여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조성물은 25℃, 0℃ 및 45℃의 온도 조건에서 보관하였으며, 0℃에서 45℃를 순환하는 챔버에 보관하여 온도 변화에 대한 제형 안정성도 함께 확인하였다. 점도는 제조 후 Brookfield Viscometer(spindle #4, 30rpm)를 이용하여 25℃에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점도(cps) 540 14800 측정불가
성상 액상 로션상 크림상
25℃ 1주 양호 양호 양호
4주 양호 양호 양호
8주 양호 양호 양호
16주 양호 양호 양호
0℃ 1주 양호 양호 양호
4주 양호 양호 양호
8주 양호 양호 양호
16주 양호 양호 양호
45℃ 1주 양호 양호 양호
4주 양호 양호 양호
8주 양호 양호 양호
16주 양호 양호 양호
0℃↔45℃ 1주 양호 양호 양호
4주 양호 양호 양호
실험결과, 실시예 6의 경우는 실시예 4 및 5와 같은 측정기준으로 측정시 점도가 20000cps를 넘어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상기 실험을 통해 실시예 4 내지 6의 조성물은 점도에 관계없이 세라마이드 입자가 잘 분산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안정성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Claims (14)

  1. 세라마이드 및 피토스핑고신을 함유하는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입자는 평균 입경이 50 내지 300 ㎛인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입자당 1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EOP, 세라마이드 NS, 세라마이드 NP, 세라마이드 AS, 세라마이드 EOS, 세라마이드 AP, 세라마이드 NDS, 글루코실세라마이드 및 오메가하이드록시 세라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토스핑고신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다층 라멜라 구조의 막과 세라마이드를 포집하는 코어를 갖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O/W) 또는 유중수형(W/O)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지방산, 지방알코올, 오일 및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상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피토스핑고신,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지방산, 지방알코올, 오일 및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상성분에 의해 막을 형성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실리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탄화수소계 왁스, 식물성 왁스 및 실리콘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40,000 cps의 점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13. 세라마이드 및 피토스핑고신을 포함한 유상부와 수상부를 혼합하여 세라마이드가 포집된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유상부는 2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90007641A 2018-01-19 2019-01-21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2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092A KR102451276B1 (ko) 2018-01-19 2022-02-08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7030 2018-01-19
KR1020180007030 2018-01-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092A Division KR102451276B1 (ko) 2018-01-19 2022-02-08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920A true KR20190088920A (ko) 2019-07-29
KR102362035B1 KR102362035B1 (ko) 2022-02-11

Family

ID=673011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641A KR102362035B1 (ko) 2018-01-19 2019-01-21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20016092A KR102451276B1 (ko) 2018-01-19 2022-02-08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092A KR102451276B1 (ko) 2018-01-19 2022-02-08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60007B2 (ko)
EP (1) EP3741353B1 (ko)
JP (1) JP7412838B2 (ko)
KR (2) KR102362035B1 (ko)
CN (1) CN111615379B (ko)
WO (1) WO2019143206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692A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위즈켐 다중 층상 라멜라 에멀젼 타입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9439A (ko) * 2020-06-02 2021-12-09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압분산기를 이용한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9039B1 (ko) * 2021-10-18 2022-03-03 한국콜마주식회사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220091739A (ko)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넥스텍인터내셔널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반투명 제형의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KR102529863B1 (ko) * 2022-10-14 2023-05-09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102575751B1 (ko) * 2023-05-12 2023-09-06 진홍종 보습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05203A1 (en) * 2018-01-19 2021-07-08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articles containing high content of ceramid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20200345611A1 (en) * 2019-04-30 2020-11-05 Evonik Operations Gmbh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ceramide, at least one sphingoid base and triethyl citrate
KR102147367B1 (ko) 2019-09-30 2020-08-2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윈도우 커버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CN112402282B (zh) * 2020-10-30 2023-07-04 广州集妍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修复功能的神经酰胺组合物和化妆品
CN112972293B (zh) * 2021-02-23 2023-03-21 云南贝泰妮生物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神经酰胺含量组合物、制剂及其低能耗制备方法
CN114177109B (zh) * 2021-12-17 2023-01-17 广州集妍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神经酰胺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40011922A (ko) 2022-07-19 2024-01-29 (주)아쿠아렉스 피부장벽 회복 및 가려움증 감소 화장료 조성물
KR20240056915A (ko) 2022-10-24 2024-05-02 주식회사 디아이블 고농도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2414A (ja) * 2000-12-26 2002-10-18 Kokuriyuudou:Kk スフィンゴ脂質構造物質含有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62910A (ko) 2002-01-21 2003-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반응장치
KR20040111025A (ko) * 2003-06-10 2004-12-31 가오가부시끼가이샤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KR100588743B1 (ko) * 2000-09-28 2006-06-13 엔프라니 주식회사 고보습성 액정을 포함하는 유화화장료 조성물
KR20080072355A (ko) 2007-02-02 2008-08-0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양의 바이어스 전극에 의한 인출구 주변 국부 방전을 이용한 고휘도 플라즈마 이온빔 발생장치
KR100917302B1 (ko) * 2001-12-10 2009-09-11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세라마이드류 유화물
KR101497055B1 (ko) * 2013-03-22 2015-03-03 한국콜마주식회사 고밀도 지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색상과 펄감을 구현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4451A (ko) * 2013-09-26 2015-04-03 코스맥스 주식회사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액정에멀젼의 제조방법
KR101624888B1 (ko) * 2009-12-29 2016-05-30 코웨이 주식회사 자기유화형 나노 리포좀 및 다중층 액정 함유 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60107457A (ko) * 2015-03-04 2016-09-19 주식회사 지오코스 피부장벽 회복을 위한 액정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4848A (ko) * 2016-02-12 2017-08-2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2842A (ko) * 2016-09-23 2018-04-0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효성분을 함유한 큐보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2236B1 (en) 2000-10-18 2002-04-16 Doosan Corporation Cream composition for skin care
JP2002326920A (ja) 2001-05-08 2002-11-15 Pola Chem Ind Inc 乳化組成物
JP4220698B2 (ja) 2001-12-10 2009-02-04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TW200413020A (en) 2002-07-05 2004-08-01 Kose Corp Vesicle dispersion and cosmetic containing the same
JP4188149B2 (ja) 2003-06-10 2008-11-26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KR100545836B1 (ko) 2003-09-09 2006-01-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세포간 지질 성분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37558B1 (ko) * 2007-04-30 2008-06-12 (주)아모레퍼시픽 이중으로 안정된 세라마이드 나노 캡슐 포함 에멀젼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499733B1 (ko) 2008-07-24 2015-03-09 (주)아모레퍼시픽 다층 라멜라 과립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JP2010265268A (ja) 2009-05-14 2010-11-25 Kao Corp 皮膚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03902B1 (ko) * 2011-09-16 2017-12-04 (주)아모레퍼시픽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ITRM20120378A1 (it) * 2012-08-02 2014-02-03 Consiglio Nazionale Ricerche Metodo e apparecchiatura di emulsificazione a membrana a singolo passaggio pulsato.
KR101641702B1 (ko) * 2014-11-14 2016-07-21 애경산업(주) 신규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87584B1 (ko) 2015-07-17 2017-11-15 한국콜마주식회사 세라마이드-피토스테롤 유도체 액정 수화 기술을 이용한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80772B1 (ko) 2016-01-29 2017-10-10 정관영 다중층 나노겔 에멀젼을 함유한 세라마이드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및 다중층 나노겔 에멀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743B1 (ko) * 2000-09-28 2006-06-13 엔프라니 주식회사 고보습성 액정을 포함하는 유화화장료 조성물
JP2002302414A (ja) * 2000-12-26 2002-10-18 Kokuriyuudou:Kk スフィンゴ脂質構造物質含有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17302B1 (ko) * 2001-12-10 2009-09-11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세라마이드류 유화물
KR20030062910A (ko) 2002-01-21 2003-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반응장치
KR20040111025A (ko) * 2003-06-10 2004-12-31 가오가부시끼가이샤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KR20080072355A (ko) 2007-02-02 2008-08-0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양의 바이어스 전극에 의한 인출구 주변 국부 방전을 이용한 고휘도 플라즈마 이온빔 발생장치
KR101624888B1 (ko) * 2009-12-29 2016-05-30 코웨이 주식회사 자기유화형 나노 리포좀 및 다중층 액정 함유 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497055B1 (ko) * 2013-03-22 2015-03-03 한국콜마주식회사 고밀도 지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색상과 펄감을 구현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4451A (ko) * 2013-09-26 2015-04-03 코스맥스 주식회사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액정에멀젼의 제조방법
KR20160107457A (ko) * 2015-03-04 2016-09-19 주식회사 지오코스 피부장벽 회복을 위한 액정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4848A (ko) * 2016-02-12 2017-08-2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수계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2842A (ko) * 2016-09-23 2018-04-0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효성분을 함유한 큐보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Vol. 35, No. 3, September 2009, 171-177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692A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위즈켐 다중 층상 라멜라 에멀젼 타입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9439A (ko) * 2020-06-02 2021-12-09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압분산기를 이용한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91739A (ko)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넥스텍인터내셔널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반투명 제형의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69039B1 (ko) * 2021-10-18 2022-03-03 한국콜마주식회사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2529863B1 (ko) * 2022-10-14 2023-05-09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라멜라 구조를 이용하여 펄감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102575751B1 (ko) * 2023-05-12 2023-09-06 진홍종 보습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276B1 (ko) 2022-10-07
CN111615379A (zh) 2020-09-01
WO2019143206A1 (ko) 2019-07-25
JP2021511334A (ja) 2021-05-06
KR20220024296A (ko) 2022-03-03
EP3741353A1 (en) 2020-11-25
US11260007B2 (en) 2022-03-01
EP3741353B1 (en) 2024-01-17
CN111615379B (zh) 2023-03-28
KR102362035B1 (ko) 2022-02-11
EP3741353A4 (en) 2021-11-24
JP7412838B2 (ja) 2024-01-15
US20200337969A1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276B1 (ko)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S2633120T3 (es) Producto cosmético en forma de lámina
KR101490713B1 (ko) 제형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저점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HU230156B1 (hu) Hagymakivonatot és zsírolajat tartalmazó szer előállítása károsodott bőrszövet, különösen sebhelyek ellátására, megelőzésére vagy kezelésére
JP2000327558A (ja) 細胞更新速度を増大させる方法
KR101989750B1 (ko) 발효 당지질과 오일을 포함하는 구상다중액정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30345317A1 (en) Water-releasing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a hydrophobic silica and a co-emulsifier
WO2012017734A1 (ja) 皮膚化粧料
KR20090112630A (ko) 항주름제 및 adam 저해제
EP1100455A1 (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wirksamen gehalt an gallensäuren, ihren salzen und/oder ihren derivaten
JP2004002289A (ja) 不全角化抑制剤
JP2001233754A (ja) 乳化型皮膚外用剤
KR20160150473A (ko) 법제 유황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항염 및 면역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1175897A2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Formulierung zur Pflege und Kühlung der Haut nach einem Sonnenbad
WO2009044248A2 (en) Cosmetic and dermo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skin barrier restoration and disorders prevention
US20210205203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articles containing high content of ceramid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3441387B2 (ja) 保湿剤及び皮膚化粧料並びに入浴剤
JP2010030933A (ja) 皮膚外用剤
KR20210024268A (ko) 병풀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자작나무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1932A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1622B1 (ko) 쌀겨왁스의 안정화 방법 및 고 함량의 쌀겨왁스를 안정화한 나노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8137A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28359B1 (ko) 스몰 리포좀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및 보습용 다기능성 화장품
JP7240144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US20240130950A1 (en) Liquid crystal composition including ceramid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